•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opied!
6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5年 2月 석사학위논문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김 은 영

(2)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 edi ct or sofPr act i ceRel at edt oUr i nar y

I ncont i nenceamong Communi t y Heal t h Pr act i t i oner s

2 0 05 年 2 月 日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김 은 영

(3)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도교수 김 진 선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 0 0 4年 10月 日

조선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4)

김 은 영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인

2 0 0 4 年 1 1月 日

조선대학교 대학원

(5)

저작물 이용 허락서

학 과 간호학과 학 번 10311067 과 정 석사 성 명 한글: 김은영 한문:金 恩 英 영문: Kim, Eun-Young

주 소 전남 순천시 조례동 봉화그린빌 아파트 902동 1302호 연락처 E-MAIL : eunbi1109@hanmail.net

논문제목

한글 :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문 : Predictors ofPractice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among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동의합니다.

-다 음 -

1.저작물의 DB구축 및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에의 공개를 위한 저작물의 복제,기억장치에의 저장,전송 등을 허락함

2.위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의 편집ㆍ형식상의 변경을 허락함.

다만,저작물의 내용변경은 금지함.

3.배포ㆍ전송된 저작물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복제,저장,전송 등은 금지함.

4.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5년으로 하고,기간종료 3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 표시가 없을 경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

5.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또는 출판을 허락을 하였을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대학에 이를 통보함.

6.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의한 권리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7.소속대학의 협정기관에 저작물의 제공 및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저작물의 전송ㆍ출력을 허락함.

동의여부 :동의( V )조건부 동의( )반대( )

2004년 12월 일 저작자:김 은 영 kim(서명 또는 인)

조선대학교 총장 귀하

(6)
(7)

내 용 목 차

ABSTRACT

···iv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1

2.연구목적 ···3

3.용어정의 ···4

4.연구의 제한점 ···5

Ⅱ.문헌고찰

···6

1.요실금 관련 지식 및 태도 ···6

2.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9

Ⅲ.연구방법

···11

1.연구설계 ···11 2.연구대상 ···11 3.연구도구 ···11 4.자료수집방법 ···13 5.분석방법 ···14

(8)

Ⅳ.연구결과

···15

1.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5 2.대상자의 요실금 교육관련 특성 ···16 3.대상자의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 ···17 4.요실금 관련 지식 ···18 5.요실금 관련 태도 ···22 6.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24 7.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26 8.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27 9.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28 10.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 ···29 11.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Ⅴ.논의

···31

Ⅵ.결론 및 제언

···35

1.결론 ···35 2.제언 ···36

참고문헌

부록

(9)

표 목 차

표 1.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5 표 2.대상자의 요실금 교육관련 특성 ···16 표 3.대상자의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 ···17 표 4.요실금 관련 지식 ···19 표 5.요실금 유형분류 ···21 표 6.요실금 관련 태도 ···23 표 7.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25 표 8.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26 표 9.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27 표 10.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28 표 11.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 ···29 표 12.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10)

ABSTRACT

Pr edi ct or sofPr act i ceRel at edt oUr i nar y I ncont i nence among Communi t y Heal t h Pr act i t i oner s

Kim,Eun-Young

Advisor:Prof.Kim,Jin-Sun DepartmentofNursing,

GraduateSchoolofChosunUniversity

Objective:Knowledgeand attitudes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UI)held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CHPs) may influence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The purposes of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HPs knowledge, attitude,and practicerelated toUI,and toidentify predictorsoftheirpractice relatedtoUI.

Methods:A descriptive-correlationalstud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the survey,a totalof330 members ofthelocalKorean Association of CHP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mail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ANOVA,correlation,andstepwisemultipleregressionanalysis.

Finding:Ofthe CHPs surveyed,170(51.5%)returned completed questionnaire.

(11)

Educationalpreparation of CHPs related to UI was limited. The average correctscoreofknowledgescalewas68.96%. Overall,CHPsexhibitedpositive attitudes toward UI,averaging 94.02 outofa possible 120(78.35%). CHPs in this study were notactively participate continence-related practice behaviors. Contrary to expectation,knowledge was not significant related to practice related to UI among CHPs. Practice related to UI among CHP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attitude toward care ofUIclients. In the final analysis,practice related to UIamong CHPs was predicted by attitude and educationalneedsforUIand thesetwo variablesexplained 9% ofvarianceof practicerelatedtoUIamongCH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uggest the importance of attitude and educationalneeds in shaping nursing practice related to UI. To facilitate practicerelated toUIamong CHPs,effortsforattitudinalchangerelated toUI among CHPs are needed to facilitate practice related to UI. Moreover, continuing educationalprogram forUImanagementshouldbedeveloped,applied and evaluated. Mo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predictors of practice relatedtoUIamongCHPs.

(12)

I .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요실금은 흔한 건강문제로서,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와 더불어 요실금을 호소하는 환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요실금은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어느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여성과 노인인구 집단에 흔한 문제로(Wyman,2003),우리나라의 경우 중년여성의 32%정도,노인의 48% 이상이 요실금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유식,2002). 요 실금 문제는 그 자체만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신체적,정신적,사 회적,그리고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인은 물론 가족 및 간호 제공자의 삶의 질과 안녕을 저하시키며(Doughty & Waldrop,2000;Shumaker, Wyman,Uebersax,McClish,& Fantl,1994;김진선과 이은현,2003),특히 노인들 에게 있어서는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시설에 입소하게 되는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Merkelj,2001;Newman,2002).

지난 30여년간 요실금 치료와 관리에 대한 상당한 발전이 있어 왔으며,그 결과 적절하게 치료를 받거나 관리를 한다면 70-80%의 환자가 치료되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HCPR,1996;Newman,2002;Wayman,2003). 미국의 AgencyforHealthCarePolicyandResearch(AHCPR)임상지침(1996)에서 는 요실금은 국가적으로 매우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문제로 요실금 대상자를 접하 는 모든 보건의료 실무자들은 요실금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하며 특히 요실금의 관리에 있어서 간호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호사들은 요실금의 사정,원인,치료 및 중재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며 요실금 대상자의 중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경향이

(13)

있다(Freundl& Dugan,1992;Henderson& Kashka,2000). 간호사들의 정규교육 과정이나 보수교육에서 요실금에 대한 교육은 부족하며,실무에서 행동수정요법, 골반근육운동 등과 같은 치료적 그리고 재활적인 간호전략보다는 기저귀,변기 등 과 같은 완화간호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Cheater,1991;Newman, 2002;Smith,2000).

외국에서는 요실금 관련 실무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건의료인들 의 요실금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들과(Cheater,1992;Freundl

& Dugan,1992;McFall,Yerkes,Bernard,& LeRud,1997;Swanson,Skelly, Hutchison, & Kaczorowski, 2002; Vinsnes, Harkless, Haltbakk, Bohm, &

Hunskaar,2001)요실금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 어져 왔다(Henderson & Kashka,2000). 이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의 부족과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요실금 관련 실무의 장애요인으로,보건의료인들 조차도 요실금에 대한 충분한 교 육을 받지 못해 지식이 부족하고,요실금을 피할 수 없는 그리고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실금이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 기 때문에 보건의료 실무자는 물론 의사결정자들 까지도 요실금 이환상태를 간과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요실금에 대한 실무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Smith,2000;Swanson etal.,2002). 따라서 서구선진국에서는 요실금에 대한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에 대한 실무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교육, 연구, 실무상황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Newman, 2002; Wyman, 2003).

국내에서는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들이 요실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고, 요실금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어느 정도 요실금 관련 실무행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외 선행 연구에서 요실금 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간호사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방 법들이 요실금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가 큼을 보여주고 있다(Borrie,Bawden,

(14)

Speechley,& Kloseck,2002;Dougherty etal.2002;Sampselle,2003;송미순, 1999;신경림과 박선영,2004). 최근 국내에서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의 요실금 관 리 실태를 보여준 연구가 한 편 있었는데(송효정,김수미와 김남초,2003),조사결 과 입소자의 41%가 기저귀로 관리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들은 단순 한 기저귀 관리가 아닌 대상자의 재활에 초점을 둔 배뇨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시급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태도 및 간호행위를 조사하 고,그들의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것 으로 생각된다. 보건진료원들은 최일선에서 일차보건의료의 포괄적 접근인 질병예 방ㆍ진료ㆍ재활 및 건강증진을 위한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며,업무의 기본방향이 지역사회 요구에 적합한 비용 효과적이면서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 고,지역주민의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한 지역사회를 구현하는 것이 므로(보건복지부,2002),다른 어느 보건의료인들보다 요실금의 예방,조기발견 및 중재를 함으로써 요실금 대상자의 간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좋은 위치 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보건진료원들이 요실금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으 며,요실금 대상자를 다루는 것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그들의 실무 에서 실제로 얼마만큼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하는지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없 었다.

2.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요실금 관련 태도 및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조사하고,그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는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15)

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것이다. 본 연 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보건진료원들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요실금 교육관련 특성,요실금 경험관 련 특성)을 파악한다.

2)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태도 및 간호행위의 정도를 파악한다.

3)보건진료원들의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를 파악한다.

4)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5)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3.용어정의

1)지식(knowledge)

지식이란 어떤 대상을 연구하거나 배우거나 또는 실천을 통해 얻은 명확한 인식 이나 이해를 뜻한다(동아국어사전 연구회,2001).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요실금에 대해 알려진 사실 또는 정보의 이해를 측정하기 위해 Henderson과 Kashka(1999) 에 의해 개발된 요실금 측정도구(Urinary IncontinenceScales:UIS)중 요실금 관 련 지식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2)태도(attitude)

태도란 개인의 특정적 사상이나 상황,사물에 대하여 보이는 특유의 반응경향 내 지는 내적인 꾸밈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즉 태도는 후천적으로 학습에 의하여 형 성된다(대한간호학회,1998). 본 연구에서는 요실금 문제를 가진 성인 대상자를 간 호하는데 대한 간호사의 생각, 느낌,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Henderson과

(16)

Kashka(1999)에 의해 개발된 UIS 중 요실금 관련 태도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 미한다.

3)간호행위(nursing practice)

간호의 목적을 위해 행하는 행동.실제로는 간호사가 간호의 원칙에 따라서 간호 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취하는 행위를 말한다(대한간호학회,1998). 본 연구에 서는 AHCPR 임상지침에서 모든 교육수준의 면허간호사가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 하기 위해 해야 하는 활동을 어느 정도 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Henderson과 Kashka(1999)에 의해 개발된 UIS 중 요실금 관련 실무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 미한다.

4.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대상자가 일 지역사회의 보건진료원이었으며,설문지 회수율이 51.9%

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또한 요실금 관련 태도와 간호행위 정도를 대상자의 주관적 보고로만 평가하였고 객관적인 평가가 없었기 때문에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17)

I I .문헌고찰

1.요실금 관련 지식 및 태도

요실금은 불수의적인 요의 누출로 정의되며(주명수,2002),요실금 그 자체로 생 명을 위협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문제를 방치할 경우 신체적,정신적,사회적,경제 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반적인 삶의 질과 안녕을 위협하는 주요 임상문제이다(Doughty & Waldrop,2000;Shumakeretal.,1994;Wyman,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실금은 때로는 보건의료인 또는 대상자의 인식부족으로 숨겨 진 문제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Henderson& Kashka,2000).

국내외에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요실금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한 연구의 결과를 보면,많은 대상자들이 요실금은 정상노화과정이며 피할 수도 없고 치료할 수도 없다는 잘못된 생각이나,당혹스러움,부끄러움 때문에 치료추구행위를 잘하 지 않고(Blanes,Pinto,& Santos,2001;Branch,Walker,Wetle,DuBeau,&

Resnick,1994;Keller,1999;Kim,Lee,& Park,2004;송효정,2001),요실금 문제 를 가지고 불편하게 살아가고 있으며,이로 인해 일상생활 및 다양한 사회적 활동 에 제한을 받고 결과적으로는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yman etal.,1990;Yu,Wong,Chen,& Chie,2003;김진선,이은현,2003).

이렇게 일반대중들의 요실금에 대한 잘못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 키고 요실금에 대한 일반대중의 적극적인 치료추구행위를 촉진시켜서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실금에 대한 보건의료인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AHCPR,1996;Cheater,1992;Keller,1999). 그러나 불행하게도 보건의료인 조차 도 요실금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요실금 관리에 대해 부정적인 생 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적극적인 치료나 관리보다는 기저귀나 변기의 사용과

(18)

같은 수동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Cheater,1992;Henderson& Kashka, 2000;Palmer,1995;송효정 등,2003).

그러나 최근 요실금 관련 연구결과들을 보면 요실금은 노인정상노화과정이 아니 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골반저 근육운동이나 행동수정요법에 의해 일차적인 예 방을 할 수 있고,일단 발생을 하였다 하더라도 비수술적,수술적 방법에 의해 치 료를 하면 회복이 가능한 문제이며,70-80%가 치료될 수 있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HCPR,1996;Henderson & Kashka,2000). 따라서 서구선진국에서는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킴을 통해 일반대 중으로의 확산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일차적으로 보건의료인들 의 요실금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조사결과를 보건의료인의 정규교육이나 보수교육에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Cheater,1992;Henderson& Kashka,2000;Swansonetal.,2002).

이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간호사나 의사들의 정규교육과정이나 계속교육에서 요실금에 대한 교육은 부족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골반저 근육운동,방광훈 련 등의 치료적이나 재활적인 관리보다는 패드나 기저귀의 사용과 같은 완화적인 관리를 권하는 실정이다(Cheater,1992;Freundl& Dugan,1992;Smith,2000). Cheater(1992)는 스코트랜드의 14개 급성내과병동과 26개의 노인병동간호사 382명 을 대상으로 간호사들의 요실금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였는데 대상자들은 요실금에 대한 사정,치료법,원인 및 중재방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한 것으 로 나타났다. Freundl과 Dugan(1992)의 연구에서는 13개의 장기요양시설의 직원 을 대상으로 요실금 관련 지식을 조사하였는데 지식 설문지에 대한 정답률이 56%

로 지식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임상실무에 대한 내용이나 최신 연구결과에 대한 지 식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enderson과 Kashka(2000)는 미국 텍사스 의 일 지역 면허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요실금에 대한 지식,태도,신념 그리고 간호실무를 조사하였는데,대상자들의 요실금 지식도구에 대한 정답률은 72.5%였 으나,간호사들은 요실금이 정상노화과정이 아니라는 점이나 여성이 남성보다 요실

(19)

금 발생률이 높다는 점,일부 항고혈압제 또는 수면제가 요실금을 일으킬 수도 있 다는 점,그리고 제왕절개를 한 대상자에게도 요실금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점에 대 한 지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는 가장 긍정적인 것을 100%로 보았을 때 79%로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많은 간호사들이 대상자와 요실금 문제 를 논의하는 것과 남성 요실금 환자를 간호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 다. Swanson등(2002)은 캐나다의 가정의 650명을 대상으로 요실금에 대한 지식, 태도,그리고 실무를 조사하였는데,46%의 대상자만이 요실금에 대해 명확한 이해 를 하고 있었으며,37%만이 조직화된 치료계획을 가지고 있었고,단지 35%만이 요실금 문제를 다루는 것을 편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Freundl& Dugan,1992;Henderson & Kashka,2000). Freundl과 Dugan(1992) 의 연구에서는 지식과 태도 간에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Henderson과 Kashka(2000)의 연구에서는 두 변수 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의 결과에서 이들 변수간의 관계는 일관성이 없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요약하면,보건의료인들은 요실금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를 하고 있지 못하며,잘 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고,요실금 환자를 돌보는 것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기는 했지만 요실금 환자를 다루는 것에 대해 많은 보건의료인들이 편안해 하지는 않았 다. 또한 요실금 관련 지식과 태도간의 관계는 선행연구에서 상이한 연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에 대한 지식의 향상을 통해 요실금 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 좀 더 편안해하고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요실금 관련 지식과 태도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

2.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요실금 대상자와 만나는 모든 실무자들은 요실금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 을 해야 하며 특히 요실금 관리에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HCPR,1996;Henderson & Kashka,2000).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관리는 그리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reundl& Dugan, 1992;Henderson& Kashka,2000;McFalletal.,1997).

위에서 언급되었던 Henderson과 Kashka(2000)의 연구에서 간호사들은 그들의 실무에서 항상 요실금에 대한 실무를 수행하지 않고 때때로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 했으며,단지 26%만이 대상자에게 요실금 여부에 대해 항상 질문을 하였으며, 30%만이 행동수정요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며,그리고 30%만이 대상자가 요실금이 있는 경우 요실금 관련 전문가에게 가보도록 권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eundl과 Dugan(1992)은 13개의 장기요양시설의 요실금 관리실태를 조사하였는데 요실금 관리를 위한 문서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곳은 없었으며,간호사 및 간호 조무사들은 방광훈련이나 자극배뇨와 같은 행동수정요법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조 사기관의 50%가 현재 문헌에서 그 사용에 대해 모순이 제기되는 방법인 유치도뇨 관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cFall과 그의 동료들은(McFalletal., 1997)155명의 내과의,가정의,산부인과,그리고 비뇨기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요실 금의 평가와 치료와 관련된 실무행위의 실태를 조사하였는데,대상자들의 단지 17%만이 AHCPR 임상지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행동수정요법 및 약물사용에 대 한 요실금 관련 AHCPR 임상지침을 잘 사용하고 있지 않았고,40% 이상의 내과의 와 가정의가 흡수용 패드를 대상자에게 일상적으로 추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국내에서는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태도,그리고 실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적이 없었다.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태도,그리고 실무행위가

(21)

조사된다면 향후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을 위한 좋은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 관리를 위한 실무행위는 부족 한 상황이며 요실금 관련 실무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요실금 관련 지식의 향상 그리고 요실금 대상자를 다루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 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향후 보건의료인들의 요실금 관련 실무행위를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2)

I I I .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 지역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태도,간호행위를 파악하 고,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요실금 교육관련 특성,요실금 경험 관련 특성),요실금 관련 지식,그리고 요실금 관련 태도가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념화하였다.

2.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4년 7월 현재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 소재한 보건진료 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330명 전수였다. 보건진료원들의 현황 및 주소 는 지역 보건진료원회에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한 후 협조를 얻어 파악하였 다.

3.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91문항으로,인구사회학적 특성 6문항,요실금 교 육관련 특성 3문항,요실금 경험관련 특성 2문항,요실금 관련지식 24문항,요실금 유형분류 11문항,요실금 관련 태도 20문항,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25문항으로 구

(23)

성되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관련된 문항은 연구자와 지도교수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 해 만들었으며,요실금 관련 지식,태도 및 간호행위는 Henderson과 Kashka(1999) 가 간호사들의 요실금에 대한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번역은 간호학 교수 1인과 영어 능통한 2명이 번역을 한 후 번역한 내용을 비교하여 의미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의 정확성과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 본 조사 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1)요실금 관련 지식

요실금에 대해 알려진 사실 또는 정보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기 위한 진위형 질 문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해 옳게 응답을 한 경우 1점,틀리거나

‘잘모르겠다’로 응답을 한 경우는 0점으로 처리하였다. 가능한 점수 범위는 0점에 서 24점이며,점수가 높을수록 요실금에 대한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2)요실금 관련 태도

요실금 환자를 돌보는 것에 대한 간호사들의 태도를 특정하기 위한 6점 척도(1=

아주 동의함;6= 아주 동의하지 않음)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의미의 일관성을 위해 일부 문항(11문항)은 재부호화 하였다. Henderson과 Kashka(2000)는 최고 점수인 120점은 태도가 아주 긍정적임을 의미하고,110-119점은 중정도의 긍정적인 태도,80-99점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분류했다. 가능한 점수 범위는 20점에서 120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요실금 환자를 간호하는 것에 대해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당시 신뢰도는 Cronbach'sα=.87이었고,본 연 구 대상자에 대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α=.76이었다.

(24)

3)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미국의 AHCPR 임상지침에서 모든 교육수준의 면허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4점 척도로 실무에서 대상자가 각 행위를 얼마만큼 실천하는지를 묻고 그 문항에 대해 ‘항상 그렇다’의 경우 3점,

‘전혀 그렇지 않다’의 경우 0점을 주었다. Henderson과 Kashka(2000)는 75점은 행 위를 항상 하는 것이고,50-74점은 일반적으로 수행을 함을,그리고 1-49점은 때때 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류했다. 가능한 점수의 범위는 0점에서 75점 이며,점수가 높을수록 실제로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잘함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당시 신뢰도는 Cronbach'sα=.90이었고(Henderson& Kashka,1999),본 연구 대상자에 대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α=.94이었다.

4.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우편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조화된 설문 지를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등을 설명한 편지,우표를 붙인 반송봉투와 함께 330명 의 보건진료원들에게 1차로 발송하였다. 1차 발송을 통해 128부가 수거되었고,2 부가 수취인 미거주로 반송되었다.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2차로 설문지를 발송하 여 43부가 추가로 회수되어,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서 총 171부가 수거되었 다. 설문에 응한 171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명을 제외한 170명(응답률:51.5%) 의 자료가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7월부터 2004년 9월까지였다.

(25)

5.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PC+/1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특성,요실금 관련 지식,요실금 관련 태도,그리고 요실금 관련 간호 행위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또 는 ANOVA를 실시하였다.

3)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4)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26)

I V.연구결과

1.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대상자는 모두가 여자였으며,대부분이 기혼이었고(90.6%),평균 연령은 43.92세 (SD=6.95)였으며,최저 연령은 29세,최고 연령은 65세였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40대가 55.3%로 가장 많았고,20대가 1.8%로 가장 적었다. 대상자들의 48.5%가 전문대를 졸업하였고,37.3%가 4년제 대학을 졸업하였다. 간호사를 포함한 총경력 은 19.31년(SD=6.61),보건진료원 경력은 평균 16.01년(SD=5.80)이었다<표 1>.

<표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N=170) 변수 구분 실수(n)백분율(%) 평균(표준편차) 범위 연령 29세 이하 3 1.8 43.92(6.95) 29-65

30~39세 38 22.4 40~49세 94 55.3 50~59세 31 18.1 60세 이상 4 2.4

결혼상태 미혼 7 4.1

기혼 154 90.6

기타* 9 5.3

최종학력 간호고등기술학교 7 4.1 전문대졸 82 48.5

대졸 63 37.3

대학원졸 17 10.1

경력(년) 간호사+보건진료원 19.31(6.61) 2-38 보건진료원 16.01(5.80) 1.17-27.92

*사별,이혼,별거

(27)

2.대상자의 요실금 교육관련 특성

대상자의 요실금 교육관련 특성은 <표 2>와 같다. 연구대상자 170명 중에서 69.8%(n=117)가 요실금 교육을 받은 경험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을 받은 경험 이 있는 대상자의 평균 교육이수시간은 3.93시간(SD=4.29)이었으며,1시간부터 40 시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연구대상자에게 요실금 대상자를 다루는데 있어서 자 신이 얼마나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십니까?라는 질문에 60.0%(n=102)가 ‘보통’이라 고 응답을 했으며,22.9%(n=39)가 ‘부적절’,17.1%(n=29)가 ‘적절’이라고 응답하였다.

요실금 관련 교육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요실금의 예방 및 중재에 대한 교육이나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상자의 대부분 인 94.7%(n=161)가 ‘필요’라고 응답했다.

<표 2> 대상자의 요실금 교육관련 특성 (N=170) 변수 구분 실수(n)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범위

교육경험 유 117 69.8

무 53 31.2

교육이수 시간 3.93(4.29) 1-40

간호행위 준비정도 적절 29 17.1 보통 102 60.0 부적절 39 22.9

교육필요성 필요 161 94.7

불필요 9 5.3

(28)

3.대상자의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

대상자의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은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31.2%(n=53)가 지 난 1개월 동안 요실금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의 유형을 살 펴보았을 때,28.7%(n=49)가 ‘지난 1개월 동안 기침,재치기,또는 운동 중에 소변 을 흘린 적이 있다’라고 응답하여 복압성 요실금이 가장 많았고,8.8%(n=15)가 ‘지 난 1개월 동안 화장실에 도착하기 전에 소변을 참지 못해 옷을 적신 적이 있다’라 고 응답하여,절박성 요실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 실금의 혼합형인 복합성 요실금이 6.5%(n=11)로 나타났다.

<표 3> 대상자의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 (N=170)

변수 구분 실수(n) 백분율(%)

요실금 경험 예 53 31.2

아니오 117 68.8

복압성 요실금 예 49 28.7

아니오 121 71.3

절박성 요실금 예 15 8.8

아니오 155 91.2

복합성 요실금 예 11 6.5

아니오 159 93.5

(29)

4.요실금 관련 지식

1)요실금 관련 지식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지식정도는 <표 4>와 같다.요실금 관련 지식은 총 24점 만점에 평균 16.55점(SD=3.43)으로 68.96%의 정답률을 보였고,최저 5점(정답률 20.8%)에서 최고 23점(정답률 95.8%)의 분포를 나타냈다.

응답자들의 문항별 응답분포를 보면 정답률이 가장 높은 지식문항은 ‘요실금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96.5%)’,‘요실금은 기침,재 채기,걷기와 같은 활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96.4%)’,‘방광염은 요실금의 원인 이 될 수 있다(95.3%)’,‘어떤 경우에는 골반저 근육운동을 하는 것이 요실금을 경 감시키거나 없애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95.3%)’,‘적절히 치료하면 요실금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은 증상이 호전되거나 치료된다(91.8%)’,‘대부분의 사람들이 야간에 소변을 보기위해 자다가 3번 이상 일어난다(91.2%)’,그리고 ‘중추신경계의 문제발 생이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90.0%)’순으로 나타났다. 오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임신기간 동안에 요실금이 있는 것은 정상이다(67.1%)’,‘복압성 요실금은 심리적이 문제가 원인이다(45.3%)’,‘요실금은 정상 노화과정이다(44.1%)’,그리고

‘절박성 요실금은 55세 이하의 여성들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요실금유형이 다(42.9%)’순이었다.

(30)

<표 4> 요실금 관련 지식 (N=170) 문 항 n(정답%) 오답n(%) 모르겠다n(%)

1.적절히 치료하면 요실금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은 증상이 호전되 거나 치료된다.

156(91.8) 3(1.8) 11(6.4) 2.하루에 3잔 이하로 물을 마시는 것은 요실금 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안전한 방법이다.

139(81.2) 16(9.4) 16(9.4) 3.깨어있을 때 모든 사람은 매 2-4시간 간격으로 방광을 비워줄

필요가 있다.

94(55.3) 56(32.9) 20(11.8)

4.복압성 요실금은 심리적인 문제가 원인이다. 51(30.0) 77(45.3) 42(24.7) 5.방광감염은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62(95.3) 6(3.5) 2(1.2) 6.요실금은 흐르는 물소리를 들었을 때,화장실로 걸어 들어갈 때,

집으로 들어 갈 때 발생하기도 한다.

144(84.7) 17(10.0) 9(5.3)

7.전립선 수술 후 요실금이 생기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72(42.4) 44(25.9) 54(31.7) 8.임신기간 동안에 요실금이 있는 것은 정상이다 48(28.2) 114(67.1) 8(4.7) 9.요실금은 기침,재채기,걷기와 같은 활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

다.

164(96.4) 4(2.4) 2(1.2)

10.어떤 형태의 요실금은 약물복용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144(84.7) 10(5.9) 16(9.4) 11.요실금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164(96.5) 0(0.0) 6(3.5) 12.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몇 가지의 고혈압 약 또는 수면제가 요실

금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107(62.9) 18(10.6) 45(26.5)

13.뇌졸중이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137(80.6) 7(4.1) 26(15.3) 14.요실금은 정상 노화과정이다. 81(47.6) 75(44.1) 14(8.3) 15.대부분의 사람들이 야간에 소변을 보기 위해 자다가 3번 이상

일어난다.

155(91.2) 12(7.0) 3(1.8) 16.어떤 경우에는 골반저 근육운동을 하는 것이 요실금을 경감시키

거나 없애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62(95.3) 2(1.2) 6(3.5)

17.비만이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114(67.0) 28(16.5) 28(16.5) 18.절박성 요실금은 55세 이하의 여성들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

하는 요실금 유형이다.

50(29.5) 73(42.9) 47(27.6)

19.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의 약1/3이 요실금이 있다. 106(62.4) 33(19.4) 31(18.2) 20.중추신경계의 문제발생이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53(90.0) 4(2.4) 13(7.6) 21.당뇨병이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21(71.2) 16(9.4) 33(19.4) 22.에스트로젠 복용은 요실금을 가진 일부여성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90(52.9) 16(9.4) 64(37.6)

23.복압성 요실금은 여성의 요실금 중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한다. 80(47.0) 35(20.6) 55(32.4) 24.제왕절개로 분만을 한 여성에게는 요실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121(71.2) 9(5.3) 40(23.5)

(31)

2)요실금 유형분류

요실금 유형분류에 대한 지식정도는 <표 5>와 같다. 요실금에 대한 예를 설명 하여 해당하는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연구대상자의 요실금 유형분류 지식점수 의 평균은 총 11점 만점에 평균 5.55점(SD=2.38)으로 50.45%의 정답률을 보였고, 최저 0점에서 최고 11점의 분포를 나타냈다.

응답자들의 문항별 응답분포를 보면 정답률이 가장 높은 유형분류 문항은 ‘증가 된 복강내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요실금(89.4%;복압성 요실금)’,‘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85.9%;혼합성 요실금)’,‘화장실에 가는 길에 소변을 보려는 강한 욕구가 있어 소변을 싸는 경우(84.1%;절박성 요실금)’,그리고

‘기침,재채기를 할 때,웃을 때 소변이 조금 새는 경우(68.8%;복압성 요실금)’순 으로 나타났다. 오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신체적 이동성의 제한으로 요실금이 발생하는 경우(77.1%;기능성 요실금)’,‘방광의 과도한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75.3%;일류성 요실금)’,‘폐쇄로 인해 이차적으로 요실금이 생기는 경우(75.3%;일 류성 요실금)’,‘불수의적인 방광배뇨근의 수축으로 발생하는 경우(74.1%;절박성 요실금)’,그리고 ‘방광배뇨근의 과활동성 또는 불안정성(72.4%;절박성 요실금)’순 으로 나타났다.

(32)

문 항 정답 n(%)

오답 n(%)

1.화장실에 가는 길에 소변을 보려는 강한 욕구가 있어 소변을 싸는 경우 143(84.1) 27(15.9)

2.기침,재채기를 할 때,웃을 때 소변이 조금 새는 경우 117(68.8) 53(31.2)

3.폐쇄로 인해 이차적으로 요실금이 생기는 경우 42(24.7) 128(75.3)

4.방광배뇨근의 과활동성 또는 불안정성 47(27.6) 123(72.4)

5.신체적 이동성의 제한으로 요실금이 발생하는 경우 39(22.9) 131(77.1)

6.방광의 과도한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42(24.7) 128(75.3)

7.인지기능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요실금 93(54.7) 77(45.3)

8.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146(85.9) 24(14.1)

9.불수의적인 방광배뇨근의 수축으로 발생하는 경우 44(25.9) 126(74.1)

10.간헐적인 도뇨에 의해 치료하는 요실금 78(45.9) 92(54.1)

11.증가된 복강내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요실금 152(89.4) 18(10.6)

<표 5> 요실금 유형분류 지식 (N=170)

(33)

5.요실금 관련 태도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태도는 <표 6>과 같다. 요실금 관련 태도 점수의 평균은 94.02점(SD=10.19)으로,최저 68점에서 최고 118의 범위 내에 있었다. 요실금 관련 태도가 긍정적인 문항은 ‘보건진료원은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하는 것에 대해 긍정 적인 태도를 가져야만 한다(5.62)’,‘보건진료원은 대상자와 요실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5.62)’,‘요실금이 있는 여성을 간호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5.57)’,‘보건진료원은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5.40)’,그리고 ‘간호교육은 보건진료원이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한다(5.26)’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태도를 보인 문항은 ‘대상자의 다른 건강문제와 비교할 때 요실금은 우선순위가 낮다(3.02)’,‘남 성과 요실금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3.38)’,‘보건진료원 보다는 의 사가 요실금 문제에 대해 대상자와 논의하여야 한다(3.99)’이었다.

(34)

문 항 평균(표준편차)

*1.보건진료원은 요실금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을 돕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해 야 한다.

5.05(0.97)

*2.보건진료원은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지식이 있어 야 한다.

5.39(0.80)

3.여성과 요실금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4.46(1.64)

*4.요실금이 있는 남성을 간호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4.31(1.23) 5.요실금 있는 남성을 간호하는 것은 좋은 경험은 아니다. 4.06(1.40) 6.남성과 요실금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3.38(1.54) 7.요실금은 대상자가 먼저 그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다면 논의

되지 말아야 한다.

4.68(1.41)

*8.보건진료원은 대상자와 요실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5.62(0.66)

*9.요실금은 간호 실무에서 큰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4.94(1.00) 10.대상자의 다른 건강문제와 비교할 때 요실금은 우선 순위가 낮다. 3.02(1.41)

*11.요실금이 있는 여성을 간호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5.57(0.64)

*12.요실금에 대해 대상자와 논의하는 것은 다른 건강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 보다 더 어렵지는 않다.

4.93(1.03)

13.보건진료원이 요실금을 가진 대상자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 4.16(1.55)

*14.보건진료원은 대상자들에게 요실금 여부를 질문해야만 한다. 4.42(1.26)

15.요실금이 있는 여성을 간호하는 것은 불유쾌한 경험이다. 5.18(1.11)

*16.보건진료원은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 져야만 한다.

5.62(0.65)

17.보건진료원 보다는 의사가 요실금 문제에 대해 대상자와 논의하여야 한 다.

3.99(1.51)

*18.비뇨생식기계의 질병력은 간호사정의 일부분이 되어야 한다. 5.09(1.04)

*19.간호교육은 보건진료원이 요실금 대상자를 간호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한다.

5.26(1.02)

20.대상자에게 요실금 때문에 패드를 사용하는지를 묻는 것은 부적절하다. 4.88(1.29)

총점 94.02(10.19)

<표 6> 요실금 관련 태도 (N=170)

*역코딩한 문항임

(35)

6.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는 <표 7>과 같다.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점수 의 평균은 38.11점(SD=13.92)이었으며,최저 5점에서 최고 60점 까지 분포되어 있 었다. <표 7>에 제시한 것처럼,가장 높은 간호행위를 보인 문항은 ‘질병력을 조 사한다(1.95)’,‘요실금이 있다면 대상자가 다니는 병원의 의사에게 요실금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권유한다(1.94)’,‘대상자에게 이전에 요실금 문제를 가진 적이 있었 는지를 묻는다(1.89)’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상자가 요실금이 있다면 그 문제 를 대상자가 다니는 병원의 의사에게 말한다(0.92)’,‘소변을 보는 시간을 조사한다 (0.98)’,‘성기능의 변화에 대해 질문한다(1.06)’,‘소변을 보는 횟수를 조사한다(1.08)’ 에 대해 낮은 간호행위를 보였다.

(36)

문 항 평균(표준편차)

1.소변을 보는 시간을 조사한다(예:아침에 일어났을 때,잠자는 동안에 등). 0.97(0.75) 2.소변을 보는 횟수를 조사한다(예:매 30분 마다,매 3시간 마다 등). 1.08(0.85) 3.대상자가 요실금이 있다면 요실금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요인을 조사한다(예:기

침,흐르는 물소리 등).

1.75(0.85)

4.대상자가 요실금이 있다면 그 문제를 대상자가 다니는 병원의 의사에게 말한다. 0.92(0.94)

5.성기능의 변화에 대해 질문한다. 1.06(0.85)

6.요실금이 있는 대상자에게 자신보다는 요실금 전문가를 찾도록 권유한다. 1.70(0.81) 7.패드,기저귀 또는 다른 요실금 보호 장치를 사용하는지를 묻는다. 1.47(0.83) 8.요실금이 있다면,실금이 언제 발생하는 지를 조사한다(예:집에 들어가려 할 때,

아침에 커피를 마신 후 등).

1.55(0.85)

9.요실금이 있다면 관련된 증상을 조사한다. 1.73(0.86) 10.평소 소변의 양을 조사한다(예:한 숟가락,한 컵 등). 1.18(0.93) 11.요실금이 있다면 대상자가 다니는 병원의 의사에게 요실금에 대해 이야기 하도

록 권유한다.

1.94(0.86)

12.배변습관의 변화를 조사한다. 1.49(0.79)

13.요실금이 있다면 요실금 문제가 있어온 기간과 요실금의 특성을 조사한다. 1.54(0.81) 14.비뇨생식기계의 질병력(예:비뇨기계 감염,전립선 비대증 등)을 체크한다. 1.48(0.87) 15.대상자를 요실금으로 유명한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1.35(0.92) 16.카페인 또는 다른 이뇨작용을 유발시키는 음료 등을 포함한 수분섭취 양상에 대

해 질문한다.

1.74(0.80)

17.비처방 약물을 포함하여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검토한다. 1.52(0.92) 18.대상자에게 이전에 요실금 문제를 가진 적이 있었는지를 묻는다. 1.89(0.81) 1.72(0.85) 19.요실금이 있었다면 이전에 받았던 치료와 그 치료의 효과에 대해 논의한다.

1.36(0.89) 20.신경학적인 질병력을 조사한다(예:뇌졸중,파킨슨씨병 등)

1.85(0.84) 21.요실금이 있다면,요실금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를 조사한다(예:일주일에 한

번,하루에 여러 번 등).

1.66(0.85) 22.있을 수 있는 하부요로계의 증상을 조사한다(예:빈뇨,급뇨 등).

1.56(0.88) 23.요실금이 있다면 요실금의 양을 조사한다(예:팬티가 축축할 정도,패드가 흠뻑

젖을 정도).

1.95(0.80) 24.질병력을 조사한다(예:당뇨병,고혈압 등).

1.86(0.91) 25.요실금에 대한 행동수정요법을 시작한다(예:방광훈련,골반저 근육운동 등)

총점 38.11(13.92)

<표 7>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 (N=170)

(37)

7.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표 8>에 제시한 것처럼,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는 유의수준 0.05수준에 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표 8>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변수 구분 평균(표준편차) t또는 F값 p

연령 29세 이하 36.00(7.55) .530 .714 30~39세 37.13(13.42)

40~49세 38.21(14.30) 50~59세 39.26(12.67) 60세 이상 47.00(12.65)

결혼상태 미혼 43.14(8.73) .550 .969 기혼 37.64(13.49)

기타* 46.33(17.21)

최종학력 간호고등기술학교 39.14(15.74) .603 .614 전문대졸 36.87(13.60)

대졸 38.97(13.26) 대학원졸 41.12(13.87)

*사별,이혼,별거

(38)

8.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대상자의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표 9>에 제시 한 것처럼,‘요실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요실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2.74,p=0.007). 대상자들의 교육경험,요실금에 대한 간호행위 준비정도에 따 른 간호행위의 차이는 유의수준 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표 9>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변수 구분 평균(표준편차) t또는 F값 p

교육경험 유 38.83(13.16) .708 .480 무 37.23(14.75)

간호행위 준비정도 적절 42.00(13.34) 1.765 .174 보통 38.27(13.07)

부적절 35.74(15.04)

교육필요성 필요 37.66(13.07) -2.737 .007 불필요 50.22(18.79)

(39)

9.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대상자의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표 10>에 제시한 것처럼,‘지난 1개월 동안 화장실에 도착하기 전에 소변을 참지 못해 옷을 적신적이 있습니까?(복압성 요실금)’,‘지난 1개월 동안 기침,재치기,또는 운 동 중에 소변을 흘린 적이 있습니까?(절박성 요실금)’라는 두 문항으로 살펴본 결 과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는 유의수준 0.05수준에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표 10> 요실금 경험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행위의 차이

변수 구분 평균(표준편차) t또는 F값 p

요실금경험 예

아니오

36.89(13.93) 38.98(13.53)

-.927 .355

절박성요실금 예

아니오

37.93(14.69)

38.37(13.60) 1.117 .907

복압성요실금 예

아니오

37.71(13.90) 38.58(13.60)

-.373 .710

복합성요실금 예

아니오

42.00(14.01) 38.08(13.63)

.922 .358

(40)

변수 (1) (2) (3) (4) (5) (6) (7) (1)간호행위 1.000

(2)태도 .192* 1.000

(3)지식 .126 .107 1.000

(4)연령 .096 -.098 -.187* 1.000

(5)교육이수시간 -.075 -.103 -.033 .101 1.000

(6)간호사+보건진료원경력 .066 -.094 -.150 .831*** .154 1.000

(7)보건진료원경력 -.031 -.096 -.225** .615*** -.047 .668*** 1.000

10.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표 11>에서와 같이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태도로서(r=.192,p=.012),요실금 관련 태도가 긍정적일수 록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와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

*p< .05,**p< .01,***p< .001

(41)

beta R2 CumR2 F p 교육필요성 여부

(예=1,아니오=0) -4.028 .043 .043 7.491 0.007 태도 .191 .047 .090 8.248 0.000

11.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일변량분석에서 간호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 계가 있었던 두 변수 즉 요실금 관련 교육필요성 여부와 요실금 관련 태도가 회귀 모델에 포함되었다. <표 12>에 제시한 것처럼,대상자의 요실금 관련 교육 필요 성 여부와 요실금 관련 태도가 그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점수 변이의 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2>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Ⅴ.논의

본 연구는 일 지역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태도 및 간호행위를 조사 하고,그들의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 었다. 일 지역 보건진료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 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기는 하지만,본 연구의 결과는 보건진료원들에게 적 절한 요실금 관련 간호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유 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진료원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 정답률은 68.96%였는데,이결과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미국간호사들의 요실금 관련 지식 정답률을 72.5%를 보고한 연구결과 (Henderson & Kashka,2000)보다 약간 낮았으며,13개 장기요양시설의 직원 346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Freundl& Dugan,1992)에서의 정답률인 56%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reundl과 Dugan(1992)의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지식조사도구와 도구가 틀렸으며,대상자가 단지 간호사 뿐만이 아니라 다른 직종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비교와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에서는 정답률이 높았던(90%이상)문항은 6문항이었으며,반면에 1/3이상 알지 못 한 문항이 4문항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Henderson과 Kashka(2000)의 연구결과 에서 90%이상의 정답률을 보인 문항이 5문항,1/3이상이 알지 못했던 문항 4문항 이었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Henderson과 Kashka(2000)의 연구에서 정답률이 높 았던(90%이상)문항 중 ‘방광염은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요실금은 기침, 재채기,걷기와 같은 활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어떤 경우에는 골반저 근육운 동을 하는 것이 요실금을 경감시키거나 없애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3문항이 동일 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깨어있을 때 모든 사람은 매 2-4시간 간격으로 방광을 비 워줄 필요가 있다’는 문항에 있어서 Henderson과 Kashka(2000)의 연구에서는 정답 률이 높았던(90%이상)문항이 본 연구에서는 55.6%의 정답률을 보였으며,‘요실금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The findings

유럽의 요실금 치료기기 시장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는 업 계의 과제 (industry challenges) 는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엄격한 감염관리 규정 시장의 성장을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지도, 임파워먼트 및 병 원감염관리에 대한 실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병원감염관리 실천에 영향을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Korean consumers' attitude and buying behavior on the green products.. The research model was

The concerned study is now believed to make a contribution to protecting the seniors in Korea from committing a suicide and to reduce the suicidal

또한 대상자의 소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연령 이 적은 간호제공자,치매환자의 공격행동을 다루는 것에 대해 자기효능감이 낮은

difference depending upon health state of the family (p=.000). In conclusion, the family's dep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den as well as physical and

성인교육기관 실태조사에 의한 성인교육 참여율 분석.. 성인교육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