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캄보디아 공교육의 현황과 한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캄보디아 공교육의 현황과 한계"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캄보디아 공교육의 현황과 한계

13)서민우*

◁ 목 차 ▷

Ⅰ. 서론

Ⅱ. 캄보디아 공교육의 역사

Ⅲ. 캄보디아 공교육의 학제 및 현황

Ⅳ. 캄보디아 공교육의 한계

Ⅴ. 결론

* 프놈펜왕립대학교 캄보디아한국학연구센터 선임연구원

(2)

<Abstract>

The States and Limits of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Seo, Minwoo

This article is for understanding the public education and culture in Cambodia. For these purposes, I focus on the history, current state, and limits of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was begun much earlier before the French protectorate by Buddhist Monastery. However, the modern public education was installed by the French from the early 20th century. Passing the independence and Khmer Rouge regime, it has faced many twists and turns. Since the 1980s, Cambodia state has tried to modernize the country through public education and has achieved in its quantity, but it has a long way to go in its quality. I try to read it with the ‘Mandala scheme’, the political scheme in ancient Southeast Asia. In the dynamics between ‘Manda’-powerful countries and ‘la’-Cambodia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evel, ‘Manda’, individual leaders and

‘la’- people who have always placed periphery in the state political level- decide the quality of the public education in Cambodia.

<Key Words> public education, history of education, Cambodia, Mandala scheme, educational system

(3)

Ι . 서론

‘많이 배운 자가 적게 배운 자를 가르친다.’ 이상적인 교육방법으로 보 이는 이 선언은 킬링필드로 유명한 크메르-루즈 정권이 패퇴한 1979년 이후, 캄보디아가 교육을 통해 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내세운 기치이다.

그렇다면 40년 가까이 지난 2018년 현재 캄보디아에서 공교육은 양적, 질적으로 얼마나 성장했을까? 라는 의문에서 이 글을 시작하게 되었다.

많은 캄보디아인들이 일탈, 범죄, 비양심적 행동 등 잘못된 행동들의 원인을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고 있을 정도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한국과 달리 대학과 대학원을 합쳐 3개 과정을 한꺼번에 공부할 만큼1) 교육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 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태도나 의욕은 그다지 높아 보이지 않는 다. 게다가 결석, 지각, 무단조퇴, 부정행위 등이 너무 빈번하게 일어나 는 현실 사이의 부조화 역시 필자가 캄보디아의 교육의 역사와 현실에 대해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또한 교육 분야에 엄청나게 많은 양의 원조가 외국으로부터 들어왔고, 많은 NGO들이 이 영역에서 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학 교들이 낡은 건물에서 제대로 된 도서관이나 놀이기구, 체육시설 없이 운영되고 있는가? 왜 캄보디아 정부가 직접 나서서 학교 시설을 개선하 려고 하지 않는가? 왜 학교 이름 앞에는 이 나라 유력자들의 이름이 빈 번하게 사용되는가? 왜 불교 사원에서 운영하는 학교가 공교육에 편입 되어 학생들이 사원 학교를 졸업하고는 공립학교에 갈 수 있게 되었는 가? 등 여러 가지 부가적인 의문들이 더해졌다.

이러한 의문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필자는 캄보디아 공교육이 어떻게

1) 프놈펜 왕립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들이 오전 8시-11시, 오후 2-5시, 저녁 5시 30분-8시 30분까지의 세 개의 각각 독립된 학사 과정을 운영하고, 토요일과 일요일에 대학원 과정을 운영한다. 이 덕분에 돈이 좀 있는 가정의 학생들은 오전에 A대학교에서 비즈니스를 전공하고, 오후에는 B대학교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두 개, 많게는 세 개의 과정을 동시에 공부한다.

(4)

형성되었지, 그리고 그것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고, 현재 상태는 어떠한지, 그리고 캄보디아의 문화적 틀 속에서 어떤 한계를 갖는지에 집중한다. 그리고 그 한계를 고대 동남아시아의 정치체제인 만달라체계 에 기대어 해석해 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필자가 가진 의문들 부분적으 로나마 해소되고, 교육을 통해 캄보디아라는 나라를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하면서 말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역사와 현실의 측면을 다루기 위해 네 가지 자료에 의존했다. 하나는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Sports: MoEYS)에서 발행한 2016/2017학년도 통계자 료이고, 다른 하나는 많은 학자 및 NGO들에서 이 영역에 대해 다룬 글 들이다. 여기에 지난 4년 간 캄보디아 교육 현장에 있으면서 경험하고 들은 내용들, 마지막으로 두 명의 전·현직 교사와 두 명의 대학생을 대 상으로 한 인터뷰 자료를 결합하여 현장감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캄보디아 교육이 갖는 한계에 대한 해석은 만달라체계에 대한 필자의 기존 공부에서 가져왔다. 고대 동남아시아의 주요한 정치체 계 중 하나인 만달라 체계는 현대의 국민국가(state)와 달리 만달라적 국가들은 경계가 아닌, 중심에 의해 정의되었다.2) 그런데 이 중심은 국 민국가의 틀을 뛰어넘는 전 대륙적인 것인 동시에, 가정과 같은 가장 작 은 단위의 리더이기도 하다. 이 체계는 국가와 같이 큰 단위에서부터 가 족과 같은 가장 작은 단위까지 모사를 통해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이 다(Caroline Hughes 2006: 470). 다시 말해, 주변국보다 우월한 힘 을 가진 국가의 왕은 국제적 ‘만다’이고, 한 국가의 왕은 그 국가의 ‘만 다’이다. 그래서 교사는 자기가 맡은 학급의 ‘만다’가 되어, 각각의 ‘라’에 게 권력을 행사한다. 이 체계에서 주변인 ‘라’는 중심 ‘만다’에게 일정한 조공과 노역을 제공함으로써 그 지위와 안정을 도모했다. 필자는 이러한 만달라체계가 서구화, 근대화와 함께 사라진 것이 아니라, 서구의 체계

2) 만달라체계는 기본적으로 ‘중심(만다)’와 ‘주변, 또는 그릇(라)’로 이루어져 있 다. 만달라에서 ‘라(주변, 그릇)’은 ‘만다(중심)’를 담는 그릇이고, 만다에 의 해서 의미를 부여받는다(Donald Neiswender, 1965: 159).

(5)

와 결합하여 그 범위나 형태가 이전과 같지는 않지만, 여전히 캄보디아 인의 삶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교육 제도, 특히 그 한계 역 시 이 틀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Ⅱ. 캄보디아 공교육의 역사 1. 식민지 이전

캄보디아의 공교육의 역사는 식민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식민 지 이전 캄보디아의 교육을 담당한 주체는 사원을 중심으로 한 불교 승 가였다. 캄보디아의 ‘승가’는 승려뿐만 아니라 지역의 어린이를 모아 ‘쌀 라’에서 교육했다.3)

이 시대 ‘쌀라’에서는 불교의 도덕을 중심으로 한 교육을 실시했다. 나 라마다 차이가 있지만, 상좌부 불교 동남아 국가들에서는 보통 빠르면 6-7세, 늦으면 10세 전후한 남자아이들이 사미승으로 출가해, 사원 내 의식과 작은 일들을 도우며, 승려를 스승 삼아 글을 읽고, 쓰고, 문장 (운문) 짓는 법과 셈하는 법 등 실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배우고, 간단한 불교 교리도 공부했다. 이러한 풍속은 예부터 행해져서 사원이 곧 학교 라는 등식이 성립되었을 정도였다(김영애 1997: 217). 이 사원 학교의 커리큘럼은 일반적으로 ‘크메르어 읽기와 쓰기’, ‘불교교리’, ‘예절’ 산수 등이다. 이러한 이 사원 학교는 또한, 노동을 중시해, 학생들을 승려들 과 함께 사원이나, 쌀라, 길, 다리, 물 저장소 등을 건설하고, 가구나 다른 것들을 제작하는데 참여했다(Thomas Clayton 1995: 2). 전국 적으로 작은 마을까지 분포되어 있는 사원의 교육은 무료였으므로 누구 든 배움에 뜻만 있으면 남자는 우선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다(김영애 3) 집, 기관, 학교, 관공서 등을 가리키는 보통명사인 쌀라는 쌀라-끄롱(시청), 쌀라-쭘눔(법원) 등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뒤에 수식어를 붙이지 않으면 일 반적으로 학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6)

1997: 217)

이 교육은 7세기 정도부터 상류층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을 것으로 본 다(Sideth S. Dy 2004: 92). 13세기 이 지역에 온 중국 사신인 주달 관 역시 어린이들이 사원에서 교육받는다는 것을 관찰하였다(주달관 저, 최병관 역 2013: 85).4) 이 사원에서 어떤 것들이 교육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프랑스가 캄보디아에 도착한 후 루이스 마니포우드가 기록한 바에 의하면, 승려들은 도덕적, 종교적 진리의 대리인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시대의 세속적인 모든 지식의 수호자였다. 승려들은 ‘사스트라’와 같은 신성한 캄보디아 책들을 읽도록 가르쳤고, 불교의 계육을 지도했으 며, 캄보디아의 구술되거나 기록된 전통들을 알려줬으며, 그들의 시골 삶과 쉽게 연결될 수 있는 목공일과 같은 직업적 기술들을 개발할 기회 를 제공했다(David M. Ayres 2000: 13). 이 두 관찰 사이에 두 가 지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첫째는 출가 여부, 둘째는 학생의 성별에 있다. 주달관은 당시 어린이들이 출가하여 배운 후, 환속한다고 언급한 반면, 루이스의 관찰에는 이런 언급이 없다. 13세기 주달관이 관찰한 승 려의 복장 등이 현대 캄보디아의 승려 복장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 당시 그가 관찰한 것은 상좌부 불교 승가였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상좌부 캄보디아 승가는 여성 승려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13세기에는 여자 어린이가 교육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19세기 루이스는 대다수가 남자 어린이들이지만, 드물게 여자 아 이들도 사원에서 교육을 받는다고 언급하였다. 이것이 승가 교육이 출가 자 대상, 비출가자 대상 두 가지로 나뉘는 것인지, 역사적 흐름에 따른 변화인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현재 캄보디아 사원에서 행해지는 교육 의 양태로 보아 전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4) 俗之小兒入學者 皆先就僧家敎習 曁長而還俗 其詳莫能考也(배우기 시작하는 세속의 어린 아이들은 모두 먼저 절집에 가서 공부하고 성장하면 환속한다.

그 자세한 것은 알지 못하겠다.).

(7)

2. 프랑스 식민지 시대

캄보디아의 근대 공교육은 프랑스보호령 시기에 그 기틀이 마련되었 다. 프랑스는 1963년 캄보디아를 보호 아래 두었음에도, 1900년대 초 반까지 근대적 공교육 제도를 캄보디아에 소개하지 않았다. 이 기간 동 안 캄보디아에 설립된 초등교육 기관은 2개로, 하나는 1867년 노로돔 국왕이 왕실 자녀들만을 위해 설립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1873년 페레 이 롤레이가 설립한 것이다(Gregor Muller 2006: 79-80). 1900년대 초에 소개된 ‘근대’ 교육은 소수의 엘리트가 식민지 권력에 봉사하도록 하는 것이었다(Sideth S. Dy 2004: 92). 챈들러(1988)는 ‘1920년대 이전 프랑스는 캄보디아 교육에 어떠한 투자도 하지 않았다.’고 언급했 다. 1920년대 프랑스는 사원학교에 더 해, 세속적인 국공립학교를 소개 하는데 성공했고, 수도와 지방의 읍면에서 사용되는 커리큘럼과 교육방 법 등을 사용해 캄보디아 교육을 근대화했다(Phirom Leng 2010:

17). 1918년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이었던 사라우트가 인도차이 나 5개 나라의 어린이들이 ‘동일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 만, 인도차이나 내부의 다양성 때문에 이러한 정책은 무시되었고, 곧 3 년 이상 학교에 남아 있는 학생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하기에 이른다.

그 이유들로는 부모들이 사원 교육을 선호한다는 점, 문화적인 제약으로 여학생들이 정기적으로 참석하기 어렵다는 점, 훈련된 교원이 부족하다 는 점, 시골지역 인구의 희박성, 대중이 시스템을 쉽게 무시한다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식민 정부는 사원 학교를 개 선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 사원 학교는 임시적인 조치로, 식 민 정부는 장기적으로는 보편적인 프랑스령-크메르 공립학교를 건설하기 원했다(David M. Ayres 2000: 24). 공립학교가 캄보디아의 ‘근대화’,

‘개화’를 이끌어 줄 것으로 믿었기 때문이다.

프랑스 식민 정부는 많은 수의 교원들을 프랑스에서 데려온 것으로 보 인다. 1938년 바탐방(Battambang) 지역에서 태어난 포앙(가명, 81세

(8)

남성)5)은 초기에는 집안이 가난해 사원학교를 다니다 곧 공립학교에 입 학했다. 그가 초등학교에 입학했을 때, 그의 학교에는 크메르어와 체육 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가 프랑스인이었다. 그는 프랑스인 교사들로부 터 프랑스어로 다양한 학문을 배웠지만, 당시 학교의 환경은 그다지 좋 지 못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책이 없었으며, 수 학을 가르친 프랑스인 교사가 자신의 교수 내용을 칠판에 적은 후 실습 을 하도록 했지만, 많은 학생들이 책, 공책이 없었기 때문에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고 기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공교육은 1925 년 160개 초등학교, 10,000명의 학생에서 1944년에는 약 80,000명의 캄보디아 학생들이 프랑스가 관리하는 초등학교에 다닐 정도로 그 범위 와 규모를 확대해 나갔다.

3. 독립 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캄보디아에는 전국적인 규모의 교육 커리큘럼 이 존재하지 않았다. 도시 학교들은 지역 전통 문화와 좀 더 사회적 과 목들을 접목하여 가르친 시골학교들보다 과학과 기술 과목들을 더 제공 할 수 있었다(Sideth S. Dy 2004: 94)

1954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캄보디아의 교육은 흔히 ‘교육의 대중화’

로 특징된다(윤종혁 2007: 21) SLK(2008: 4)에 의하면 시하누크 국 왕 치하, 특히 1955년에서 1968년까지의 13년 기간 동안 교육기관과 학생이 극적으로 성장했다. 초등학교 학생 수는 30만 명에서 100만 명 으로 성장했고6) 1955년 고등학생 수는 500여명에 불과했으나 1968년 에는 백만 명에 이르렀다. 1955년에는 대학이 전혀 없었지만, 1968년

5) 포앙은 1938년에 태어나 1962년에 교원 시험에 붙어 프놈펜 근교 ‘우동’에 서 5년 동안 중등교원으로, 1970년부터는 바탐방(Battambang)에서, 1973년부터는 빠일린(Pailin)주에서 각각 교사로 생활했다.

6) 그러나 아이레스(Ayres, 1999, 2000), 챈들러(Chandler, 1991, 1998), 듀간(Duggan, 1996)은 시하누크의 교육 시스템이 대도시들에 편중되어 있 었기 때문에, 이것을 전국적으로 보편화시키지는 못했다는 점을 비판했다.

(9)

까지 9개의 대학이 설립되었고, 학생 수는 11,000여명에 이르렀다.

에비하라(9171: 412)에 의하면, 당시 스와이 마을 어린이 중 당시 마을의 80% 정도의 아이들은 다른 마을에 있는 공립학교 대신 마을의 사원에 있는 학교에 다녔다고 전했다. 사원의 학교는 남, 녀 모든 어린 이들에게 열려 있었으며, 공립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과정들을 두 명 의 평신도와 한 명의 승려가 가르쳤다. 이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더 높 은 과정을 공부하기 위해 다른 마을에 있는 공립학교에 진학했다. 공립 학교에서는 하루 6시간, 주 5일, 1년에 9개월 동안 수업을 진행했다고 한다. 그 학교에서 학생들이 3년 동안에는 크메르언어(어휘, 단어, 쓰 기)과 위생, 수학, 지리, 시민론, 도덕과 체육 등을 공부했고, 그 이후 승급 시험에 합격해야만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수업을 받을 수 있었 다. 그리고 이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정에서는 중, 고등학교에서 다 른 공부를 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프랑스어를 배웠다. 흥미로운 것은 에 비하라가 조사하던 시기에 장기 결석이 거의 드물었으며, 이는 학생들 이나 그 부모들이 교육의 가치를 알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필자 가 3년 동안 캄보디아 대학생들을 가르친 경험과는 약간 다른 것 같다.

필자가 가르친 대학생들은 자주 결석을 하거나, 결석 허가를 요청했고, 지각을 하거나, 수업 중간에, 심지어는 무단으로 조퇴를 하는 경우도 많 았다. 교육에 대한 그들의 가치부여는 여전하지만, 실제 행동에 있어서 는 많은 변화가 있었던 셈이다.

1965년 즈음 캄보디아는 프랑스, 미국, 소련 등으로부터 병원, 학교, 항만, 고속도로 등을 지원받았다. 이 시기부터 170년대 초까지 캄보디 아 공교육의 극적인 확장기로 보아야 한다(David P. Chandler 1991:

123) 당시 국왕이었던 시하누크는 근대화의 일환으로 시각적이고, 질적 으로 낮은 사회간접자본, 특히 교육적인 것들에 엄청난 투자를 했다 (UNESCO 2011: 22).

덕분에 1969년에 이르러 11,000명 이상의 학생이 캄보디아의 대학 에 재학 중이었고, 적어도 이백만명 이상의 학생이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다(David P. Chandler 1991: 123).

(10)

4. 크메르-루즈 집권기

김진희(2017)에 의하면 1953년 캄보디아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 후 격변의 시기를 거치면서 1975~1979년 크메르-루즈(KHMER Rouge) 급진 공산주의 혁명단체의 쿠데타로 교육 체제가 붕괴 되었다.

캄보디아의 교육 기반 시설은 물론 전반적인 교육체제가 무너지고, 대량 학살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학자, 교수, 교사 및 교육을 받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죽음을 당하 거나 피난민으로 자국을 떠나야하는 상황에 내몰 렸다. 교과서, 교육보조자료, 인쇄소 등 교육과 관계된 대부분의 시설과 기술이 황폐화되었다.

그러나 약간 다른 측면에서 크메르-루즈가 ‘읽기와 쓰기’를 완전히 금 지했다는 관념은 그릇된 것이다. 크메르-루즈는 수천 페이지에 이르는 문서들을 생산했을 뿐만 아니라, ‘읽고 쓰는 능력’을 가르칠 교육 시스템 을 발전시킬 의도를 분명히 갖고 있었다. ‘크메르 -루즈’의 4년 계획은 일반인들에 대한 ‘읽고 쓰는 능력’의 훈련이 캄보디아 사회를 재정비하는 그들의 계획의 일부라는 것을 보여준다. 계획의 후반부 20페이지에 해 당하는 문화, 교육, 사회적 행동과 건강의 제목은 ‘인민의 문화, 문학, 예술, 기술, 과학, 교육, 선전과 정보’이다. 이 장은 캄보디아의 제국주 의적 과거를 청산하고, 당의 프롤레타리아적 견지에 따른 혁명적 문화와 문학, 노동자-농민의 예술의 건설을 강화하고 확장하는 것을 주요 골자 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그들은 공립교육으로서 초등 교육 3년, 중등교육 6년(일반 과목 3년, 기술과목 3년), 기술 과목들에 대한 고등교육 3년 이라는 기본적인 교육 틀을 확립했다. 이와 동시에 일상 교육 방법으로 반나절 교육, 반나절 물질 생산이라는 방법을 명시하고, 1977년부터 이 교육방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의 혜택 대부분은 과 거 농촌 지역에 거주했던 구-크메르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도시에 거주했던 신-크메르인은 제외되었다(Georg Chigas and Dmitri Mosyakov n.d.). 이러한 교육 계획은 집단 농장 등 경제, 정치적 개혁

(11)

과는 달리 느리고,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많은 크메르인들이 그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대신 이들이 기억하는 교육은 주로 집단 농장에서 이루어진 집체교육이었다. 주로 구호와 혁명가요, 강연 등으로 이루어진 이 교육을 통해 캄보디아인들은 크메르-루즈가 지향하는 방향에 대해 배 워나갔다.

5. 1979-현재

1979년 캄보디아 교육의 재탄생은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의 그것과는 다른 독특한 것이었다. 1979년 크메르-루즈가 패망한 후 캄보디아 전역 의 초등학교 교사 수는 5,000명도 되지 않았다. 이들 중 1,000여명은 정부행정을 위해 차출되었다. 그래서 1979년부터 1981년 사이 캄보디 아 교육에서 가장 우선시된 것은 교육 기관들의 추가였다. 유니세프와 적십자 등의 지원으로 약 6000개의 교육 기관들이 재건되었고, 수천의 교사들이 단기간에 훈련되었다(Sideth S. Dy 2004: 96). '더 많이 배 운 이가 더 적게 배운 이를 가르친다'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한 교육체제 를 재수립하여 잔류의 교원 또는 어느 정도의 교육 수준을 갖춘 이들을 모집하였다. 예컨대, 초등교육 3학년을 마친 학생이 교사가 되어 1, 2학 년의 학생을 가르칠 수 있었고, 하급중등학교 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초 등학생을, 상급중등학교과정을 이수한 사람은 하급중등학생을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김진희 2017: 38). 이들은 대개 3주에서 1개월 정도의 속성 교사훈련을 받고 실무에 투입되는 경우가 허다했다(윤종혁 2007: 27). 크메르-루즈 집권 전, 빠일린의 중등학교 교장으로 일했던 포앙 역시 1979년 교사직으로 되돌아가려고 했지만, 정부에서 그를 차 출해 밧덤벙 주의 행정 일을 하게 되었다. 반면, 수의사였던 만(30대, 남성, 가명)7)의 아버지는 크메르-루즈가 물러나자, 안정된 직장을 원했

7) 만은 1980년대에 태어나 고등학교를 수료한 후 초등교원 시험에 붙어 우동 (Uding)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일을 시작했다. 5년이 지난 후, 그는 캄퐁스 프(Kampong Speu)로 전근을 가 현재까지 초등학교 교사로 일하고 있다.

(12)

기 때문에 프랑스어 교사로 일을 시작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의 결 과, 1979년에서 1991년 사이, 초등학교 등록 학생 수는 20만 명에서 160만 명으로 증가했다.

1989년 베트남군이 캄보디아에서 철수하자, 아주 약간의 교육적 변화 가 있었다. 정부는 교육 분야에 대한 통제권 재획득과 캄보디아 재건를 위한 외국의 국가적 원조와 NGO들이 교육 분야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UNTAC이 국가 재건을 돕는 동안, 교육은 국가 재건이라는 목표의 성 취를 위한 최우선 과제가 되었고, 1994년에는 ‘캄보디아 교육, 훈련의 질적 향상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초등학교에서 상급중등학교까지 9년간 의 의무교육을 보편화하고, 교육의 근대화, 질적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1996년에는 ‘교육청소년체육부(MoEYS)’가 설립되었고, 학제를 6-3-3으로 개편하였다.8)

또한 2000년에는 여전한 교육 부족을 인식하고서 정부는 최우선 행 동 프로그램(Priority action program: PAP)를 10개 도(都)의 모든 초등학교에서 시범 실시했고, 2001/2002학년에는 전국적으로 모든 과 정에 확대 실시했다. 이 때, 모든 교육 영역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 개혁을 실천했으며, 그 가장 중요한 목표는 접근성, 질적, 효과성의 향 상이었다. 특히 초등학교를 대상으로는 2005년까지 등록률 95%와 승 급율 90%를 2005년까지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Keng Chansopheak 2009: 135). 국가전략개발계획(NSDP) 2004-2010은

‘교육의 질 향상과 기본교육(초등교육) 보급’을 목표로 했고, 그 결과 2005/2006년 91.3%였던 초등학생 등록율이 2010/2011에는 95.2%

로 향상되었다(김진희 2017: 82).

현재 캄보디아는 2030년까지 차상위소득국으로, 2050년까지는 선진 국 진열에 오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발전을 위한 인적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전략발전계획(NSDP)과 연계하여 교육

8) 캄보디아 학제는 1950-1955년까지는 6-4-3제로, 독립 후인 1956-1985까 지는 4-3-3, 1986-1996까지는 베트남의 영향으로 그 학제를 따라 5-3-3 으로 바뀌었다가, 1996년에 6-3-3으로 정착되었다.

(13)

전략계획 (Education Strategic Plan) 2014-2018을 선포하여 교육 정책을 실행 중에 있다. 주요정책은 1)교육기회 보장, 2)학습의 질과 적 절성 향상, 3)교원 및 교육계 인사의 리더십 및 관리 효과성 강화 이 세 가지이다(박희진 외 2015: 31).

Ⅲ. 캄보디아 공교육의 학제 및 현황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캄보디아의 초·중등 학제는 1996년 6-3-3 형 태로 확립되었다. 아래 <그림 1>은 유아교육부터 고등학교까지 캄보디아 의 교육 기간과 국가의 역할을 보여준다.

<그림 1. 캄보디아의 학제(KOICA 2018, 발췌)>

현재 캄보디아 교육은 기본적으로 초등학교 6년, 중학교(전기중등교 육) 3년, 고등학교(후기중등교육) 3년 총 12학년으로 구성되어 있다(김 진희 2017: 81).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육청소년체육부 (MoEYS) 하의 기본적 의무교육은 초등학교(1-6학년), 하급중등학교 (7-9년)까지의 9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무는 아니지만, 유치원과 상 급중등학교(10-12학년) 역시 강하게 장려되고 있다(Mary N. Booth 2014: 42). 더불어, 아직 유치원 교육이 활성화되지는 않았지만, 유치

(14)

원에서 상급중등교육(고등학교)까지의 모든 교육 과정이 무상으로 실시 되고 있다.

아래 <표 1>은 각 교육과정별 공립학교의 학교, 학생 및 교사 수를 보여준다.

학교 수 학생 수 교사 수 학생/교사 비율 총계 12,889 3,077,660 92,444 33.29/1 유치원 4,014 190,148 4,888 38.9/1 (1-6학년)초등학교 7,144 2,022,061 46,149 43.81/1

college

(7-9학년) 1,245 324,095 15,249 21.25/1 Lycee

(10-12학년) 32 19,148 960 19.15/1 Lycee

(7-12학년) 454 522,344 25,198 20.72/1 하급중등학교

(7-9학년) 1,699 585,971 28,782 20.36/1 상급중등학교

(10-12학년) 486 279,480 12,625 22.14/1

<표 1. 단계별 학교, 학생 및 교사 수(MoEYS 2018)>

초등교육은 단일한 과정인 반면, 7학년 이상 중등 교육은 프랑스 학 제를 따라 7학년에서 9학년까지의 college, 10학년에서 12학년까지 과 정을 가르치는 Lycee, 이 둘을 통합한 Lycee, 그리고 일반적인 하급중 등학교와 상급중등학교로 구분된다.9)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캄보디아에는 유치원 과정이 그다지 활성 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에 많은 사립 및 국제학교에서 유치원 과정

9) 프랑스의 교육제도로 중·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college, Lycee가 여전히 캄보디아에 남아 있는 것이 흥미롭다. 그러나 대부분의 캄보디아인들은 이 둘의 존재를 모르고 있다.

(15)

을 개설하고는 있지만, 대부분 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시골에 거주하는 학생들 대부분은 이 과정 교육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 이 과정은 초등 학교를 들어가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인식되어 크메르문자와 수, 영어 알 파벳을 익히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의무, 무상 교육임에도 불구하 고 초등교육 과정에 비해 중등 과정의 학교 및 학생이 적은 편이다. 이 는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중학교에 입학하지 않거나, 입학 후 학교를 그 만두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10) 대부분 가난한 가정의 자녀들이 일찍 부터 일자리를 찾아 학교를 떠나기 때문이다.11) 일부에서는 무상교육 자체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즉 무료이기 때문 에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학교를 결석하고 집안일을 돕거나, 휴학했다가 1년 후에 다시 가서 공부하도록 하는 사례들이 많기 때문이다.

전체 학생 대비 교사 수는 33.21:1 정도로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초 등학교의 경우 43.81:1로 높아진다. ‘만’에 의하면, 실제 시골에서는 학 교에 따라 한 반에 학생이 50명이 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70명이 넘는 경우도 있다.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의 2016/2017년 통계에 따르면 도시 지역의 교사 1명당 학생 수는 33.88명인 반면, 시골 지역 은 46.89명이다. 시골 지역에서도 외국 NGO의 지원을 받는 학교는 한 반에 25-30명 정도로 상황이 좀 나은 편이지만, 그렇지 못한 학교는 대 부분 50명이 넘는다. 만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 자신이 처음 맡은 반 의 학생 수가 50명가량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그의 교장에게 들은 이야기는 이웃한 학교의 1학년이 한 반에 80명 정도이며, 두 반으로 나 눌 경우, 한 반에 50명이 안되기 때문에 교육부에서 분반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10) 김진희(2017: 82)에 의하면 2015/2016년 초등학생의 수료율은 80.6%

로 높은 편이나 중등교육은 2016년에 39%, 이중 후기 중등교육은 19%의 수료율을 기록하고 있다.

11) MoEYS의 2016/2017 통계에 의하면 시골지역 학생들의 초등학교 수료율 은 81.98%로 도시지역의 71.03%에 비해 높은 반면, 하급중등학교는 41.97%, 상급 중등학교는 16.41%로 도시지역의 44.97%, 33.52%보다 낮은 수준이다.

(16)

현재 초등학생들은 보통 아침 7시부터 11시까지 운영되는 오전반, 오 후 1시에서 5시까지 운영되는 오후반에서 하루 4과목 정도를 공부한다.

원칙적으로 1-3학년은 크메르(13)어와 산수(7), 과학과 사회(3) 등을 포함해 일주일에 27-30 교시를 공부해야 하지만, 현실은 24시간 정도 에 그친다. 4-6학년 역시 27-30 교시를 공부하지만, 크메르어(10), 산 수(6), 과학(3), 사회(4)로 수업 비중이 달라진다(Sokhan Khut 2016). 재미있는 것은 초등학교 과정 중 예체능 수업이 전무하다는 것 이다. 체육이나 예술 교육 시간이 배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수업을 진행할 교사 훈련도, 장소와 교재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신, 학생들은 노동, 혹은 농업 교육을 통해 채소를 기르는 등 농업 기술에 대한 교육 을 받는다. 이 수업을 잘 진행하는 학교에서는 채소가 다 자라면 학생이 나 교사들이 시장에 나가 채소를 팔아 도서관에 기부하기도 하지만, 대 부분의 경우, 제대로 자라지 않거나, 자라는 중간 누군가가 몰래 잘라다 먹는다고 한다.

하급 중등학생이 되면 학생들은 7개의 주요 과목을 중심으로 일주일 에 32-35개의 수업씩 듣는다.12) 만은 자신이 고등학교를 다녔던 1990 년대 말에는 중등학생도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눠 하루에 4시간만 공부 했지만, 교육법이 바뀌면서 학생들의 공부시간이 늘었다고 밝혔다. 한국 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을 중요시하는 반면, 캄보디아에서는 수학과 과 학계열의 화학, 생물, 물리, 지구과학, 이 다섯 과목을 주요 과목으로 본 다. 고등학생이 되면, 이 7개 주요 과목을 공부하지만, 좀 더 깊은 단계 를 공부한다(레악카낙, 가명, 20대 여성).13) 상급고등학교에서는 10학 년에는 초등학교에서 배운 것들을 하급중등교육에 이어 다시 반복하고 11학년과 12학년에서는 의무교육으로 캄보디아문학(6), 보건체육(2), 외국어(4), 수학과목과 선택교육으로 과학(물리, 화학, 생물, 지구환경),

12) 크메르어, 수학, 사회과학, 과학, 외국어, 보건·체육, 기술.

13) 레악스메이는 깜퐁츠낭(Kampong Chnang)주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상급중등학교까지 졸업한 후 프놈펜에 올라와 낮에는 직장에서 근 무하고, 밤에는 야간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다.

(17)

또는 사회과학(도덕, 역사, 지리, 경제), 선택적 직업교육(ICT/기술, 회 계경영, 지역직업교육, 관광, 예술교육 등) 등을 공부한다(Sokhan Khut 2016).

캄보디아 공교육에서 흥미로운 지점 하나는 프랑스가 근대화된 공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취했던 첫 번째 정책인 ‘사원 학교’의 공교육에 로의 편입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MoEYS의 2017년 조사 에 따르면 현재 캄보디아 전국에 1030개가 넘는 사원에서 운영하는 학 교가 있고14), 이 중 90개가 프놈펜에 위치해 있다. 현재 공립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마을에 사는 학령기 어린이나 공립학교에 다니지 못할 가난 한 가정의 어린이들은 사원에서 승려나 평신도 지도자인 아짜(Acha r)15) 등이 가르치는 사원 학교에 다닌다. 이 사원 학교의 일과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동과 교육이다. 교실 내에서 학생들은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 외에도 불교의 교리, 도덕 등을 설화집인 ‘께떼이록 (Gatilok)’, 교훈시집인 ‘쯔밥(Chbab)’ 등을 통해 배운다. 이러한 교육 과정 덕분에 이 사원 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다른 공립학교 졸업생과 동일하게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 이 사원학교는 또 한 시골 출신 학생들에게 무료 숙식 제공을 통해 신분 상승을 위한 사다 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캄보디아에서 잠시라도 사원학교에 다 닌 경험이 있는 이들을 찾아보기는 어렵지 않다.

14) 이 수는 학교를 운영하는 사원의 수인 것 같다. 같은 통계에서 유치원, 초 등학교, 하급/상급 중등학교로 나눠진 통계상으로는 2000개가 넘는 사원학 교가 있다. 사원에서 유치원부터 상급중등학교까지 다양한 학년을 가르치기 때문에 그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15) 아짜는 두 가지 종류, 사원 아짜와 마을 아짜로 나뉘는데, 둘 다 지식이 있 고, 덕망이 높은 이들을 선택한다. 이들은 사원과 마을 내에서 벌어지는 많 은 의례들을 집례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18)

Ⅳ. 캄보디아 공교육의 한계

캄보디아 교육은 그 양적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측면은 그다지 성장한 것 같지 않다. 많은 학생들이 자신들이 받아온 캄보디아 공교육 의 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그 이유를 ‘부정부패’에서 찾는 다. 사실 이들은 캄보디아에서 벌어지는 모든 부정적인 일들의 원인을 부정부패에서 찾는다. 교사와 학생 사이에 벌어지는 사소한 거래들과 그 거래에 참여하지 못했을 경우 오게 될 불이익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 등 부정부패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캄보디아에서는 일상적으로 언급 된다. 예를 들어, 2000년대 초반에 만난 상급중등학교 12학년 학생들 은 졸업 시험을 앞두고 300리엘 정도를 주고 교사에게 과외를 받을 것 인가?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었다. 그들은 과외를 받지 않을 경우, 시험 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불안해했다. 이 장에서는 캄보디아 사회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캄보디아 교육의 질이 낮을 수밖에 없는 이유들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캄보디아 교육의 질적인 한계는 주로 교사의 질과 시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캄보디아에서 교사는 존경 받는 직업인 동시에, 정년을 보장 받기 때문에 선망의 직업이다. 많은 학생들이 안정된 ‘교사’라는 직업을 갖기 원한다.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공무원, 정부일은 정년이 보장되고, 심지어 ‘죽을 때까지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교사가 되기를 원한 다고 한다. 또, 연세 지긋한 어르신들이 교사들이 존댓말을 쓰며 존경을 표하는 모습 또한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사명감을 갖고 전적으로 교직에 전념하기에는 구조적인 뒷받침 이 부족한 듯하다.

먼저 교사가 되기 위한 자격부터 알아보자. ‘많이 배운 자가 적게 배 운 자를 가르친다’는 1980년대에 세워진 원칙은 조금 강화되었을 뿐 여 전히 유지되고 있다.

(19)

과정 자격 연수

기간 교육기관

초등학교 상급 중등학교 수료 2년 도 교육청

하급중등학교 상급 중등학교 졸업 2년 도 교육청

상급중등학교 대학교 졸업 1년 중핵 교육청*

* 대체로 3개 도의 교육 업무를 관장하는 중심 교육청

<표 2. 교사응시 자격 및 연구과정>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상급중등학 교 수료, 즉 졸업시험 불합격, 하급중등학교 교사는 졸업, 상급중등학교 는 대학교 졸업의 자격을 갖춘 후 각각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된다. 시험 에 합격한 이는 각각 지정된 교육기관에 가서 2년 또는 1년간 연수를 받은 후 교원으로 임용된다. 문제는 이 임용 교육 이후 교사가 재교육을 받을 기회가 흔치 않다는 점이다. 또한 기회가 있다하더라도 얼마나 많 은 교사가 그 교육을 받을지 역시 의문이다. 교사라는 직업만으로는 생 계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2000년대 초반 53000리엘, 약 13.25달러 정도를 받았고, 2018년에는 1,150,000리 엘(약 287.5달러)정도로 받는다. 2000년대 초반에 비해 교사의 월급이 월등하게 많이 오르긴 했지만, 물가 역시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에 이 정도 금액으로는 시골 지역에서도 아껴 써야만 한 달을 살 수 있는 정도 의 금액이고, 도시에서는 변두리에 있는 쁘떼아-르웽16) 형태의 집 한 채도 임대할 수 없는 정도의 금액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임용된 교원은 ‘스스로 다른 곳으로 전출을 신청하지 않는 이상’ 정년이 될 때까지 한 지역에서 근무한다는 원칙을

16) 쁘떼아-르웽은 가로는 4-6미터 정도인 반면, 세로가 16-20미터 정도 되는 긴 형태의 집으로 보통 3층으로 짓고, 1층에는 거실(또는 차고)와 주방, 2층부터 4-5개의 방이 가운데 계단과 통로를 중심으로 앞뒤로 배치되어 있 고, 대부분 방 안에 화장실이 딸려 있어서, 부모와 그 결혼한 자녀들, 미혼 인 자녀들이 함께 살기에 적합하다. 2018년 현재 프놈펜 변두리에 있는 쁘 떼아-르웽 임대료가 월 300달러 이상이다.

(20)

최대한 잘 활용해 경제적인 돌파구를 마련한다.17) 이들이 가장 잘 활용 하는 방법이 결혼이다. 그들은 배치 받은 지역에 살거나, 자신처럼 그 지역에 배치 받은 공무원 미혼 여성과 결혼함으로써 지역 내에 있는 배 우자의 집 또는 그 부모의 집에 거주해 주거비를 줄이는 대신, 배우자 역시 직장에 근무하거나 장사를 하는 방법으로 수입을 늘리는 것이다.

이 외에도 교사들은 부족한 수입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한 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오전, 오후 중 한 파트만 맡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시간이 많은 편이다. 그래서 이들은 오전에는 근무하 고, 오후에는 다른 일을 하면서 수입을 만들어 내는데, 가장 많이 실천 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학생들을 상대로 과외 수업을 하는 것이다. 초, 중학교 일과가 모두 끝나는 이 시간에 교사들이 별도로 학생들을 모아 영어, 수학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학생들로부터 돈을 받기도 하고, 과거 에는 학교 수업 자체의 대가로 학생들에게서 적게는 하루에 1,000리엘, 많게는 2,000-3,000리엘씩 받기도 했다.18)

교사들의 이러한 낮은 처우는 국가에서 교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능 력이 없어서라기보다는 캄보디아 사회가 정부에서 낮은 급여를 주는 대 신, 학생들에게 약간의 일종의 조공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허락한 것으 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조공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자들, 예를 들어 선생, 경찰, 공무원 등에게는 낮은 급여를 주는 대신, 그들의 서비

17) 이는 캄보디아 공무원 사회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교통경찰 역시 별다른 조 치를 취하지 않은 이상 10년 넘게 한 영역에서 근무하는 사례들이 많다.

필자가 2001년 한 시장에서 만난 경찰은 2017년에도 그 자리에서 그대로 근무하고 있었다.

18) 인터뷰를 목적으로 하지 않은 과거의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이 반강제적 납 부의 존재를 인정하기도 하지만, 2018년 현재의 공적인 인터뷰로 대화가 전환되는 순간 모든 교사, 학생들이 이 존재를 부인했다. 그러나 2014년 UCA news(2014. 11. 20)는 ‘선생들이 그들의 학생들에게 돈을 낼 것을 강요한다’고 보도했다. 뽀삿(Posat)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두 명의 교사 들은 이러한 관행은 최근에 교육부에 의해 금지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학사 를 운영하는 한국인 선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비공식 인터뷰에서 그들은 ‘장 학금을 지원할 때, 정확한 금액을 기록하도록 하는데, 학생들이 여전히 많 은 금액을 선생에게 지불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21)

스나 행정을 받는 이들로부터 일정한 조공을 받는 것을 용인해 왔기 때 문이다. 만달라체계에서 ‘낮은 급여’와 조공은 체계 내에서 위치를 점하 는 개인의 지위, 윗 권력과의 관계와 관련되어 있다. 마치 사원산 바이 욘 속에 함몰되지 않은 54개의 얼굴 탑처럼, 만달라 내의 개인들은 그

‘만다’에게 완전히 속한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독립성과 자율성을 띤 존 재로 인정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성은 그의 ‘만다’, 궁극적으로는 왕에게 향해 있기 때문에 자신의 ‘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 적, 도덕적 책임을 진다. 여기서 낮은 경제적 책임은 ‘낮은 임금’으로, 낮 은 도덕적 책임은 ‘조공’의 형태로 드러난다.

이러한 관행이 일차적으로 교육의 질을 떨어뜨렸다. 교육청소년체육부 에서 상급중등학교 졸업시험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 많은 학생들이 불합 격하면서 분위기가 조금 바뀌고 있기는 하지만, 그 외의 시험에서 많은 학생들이 공부 대신 뇌물이나 부정행위를 선택한다.19) 동시에 교사 측 에서는 자기 계발과 교습법 연구 대신 생활비를 더 벌 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면서 교사의 질 역시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교육 시설에 관련된 것들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메르-루즈 집권기 동안 교육 인력뿐만 아니라 교육 시설 및 인프라가 완전히 황폐화되었다. 교과서 등 책들이 불탔을 뿐만 아니라, 책을 출판 할 수 있는 시설도 당의 저널을 인쇄하는 데 사용된 곳들 말고는 모두 파괴되었다. 학교 건물 역시 파괴되거나 당사, 감옥 등으로 사용되었다.

다른 사회간접자본들과 마찬가지로 교육에 대한 투자는 느린 편에 속 한다. 많은 학교들이 낡은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거나, 제대로 된 건물 없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6-2017년 조사에 의하면 전국 22,735개의 학교 건물 중 수리되거나 건축된 현대식 건물은 2031개에 19) 2014년 9만 명의 12학년 학생 중 70% 이상이 졸업 시험에서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부가 이전까지 실행되던 뇌물과 부정행위를 금지시켰기 때문이다(Radio Free Asia: 2014. 08. 29). 이것은 2013년 교육청소년 스포츠부의 장관이 된 Hang Chuon Naron의 영향으로 그가 장관이 된 후부터 졸업시험에서 부정행위를 금지하는 등 교육개혁을 이끌고 있다.

(22)

불과했으며, 나머지는 절대적인 공간 부족에 시달린다.20) 공간 부족은 교사 수의 부족과 더불어 교육의 질을 낮추는 데 절대적으로 기여한다.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 반에 많은 수의 학생들을 배치할 수밖에 없 기 때문이다. 형편이 나은 학교의 경우, 한 반에 학생 수가 30-40명인 반면, 대부분의 학교는 한 반에 60-70명 정도이다. 한 반에 학생 수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은 교사에 집중하지 못하고, 교사는 학생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힘들어진다.

교실 시설뿐만 아니라, 도서관, 체육시설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나마 NGO의 지원을 받는 학교는 교실을 신축하거나, 도서관을 세우 고, 교사를 더 채용하는 등 환경이 개선되고 있지만, 훨씬 더 많은 수의 그렇지 못한 학교들은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 영역에서도 국가는 뒷짐을 지고 있고, 다른 주체들이 교육시설 및 환 경을 개선하고 있다는 것이다. 교육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는 NGO나 외국의 정부기관, 옥 냐21)와 같은 캄보디아 내의 유력한 개인들의 기부를 통해 진행된다. 이 역시 만달라체계를 통해 해석되어야 한다. 국가적 규모에서 캄보디아는 앙코르 시대 이후, 인도차이나반도에서 패권을 차지하지 못했다. 만달라 적 용어를 빌리자면, ‘라’의 지위에 서게 되었고, 이 역할에 충실하게 되 었다. 스스로 프랑스에 보호를 요청한 것도 태국과 베트남 사이에서 더 강한 ‘만다’의 ‘라’가 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캄보디아에게 그 후견인들의 베풂을 입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된다. ‘만달 라체계’의 정점인 왕은 전륜성왕, 또는 법왕의 성격을 갖는데, 전자는 덕 으로 다스리는 자이고, 후자는 불교적 법으로 다스리는 자이다. 그래서 이 왕(만다)의 역할은 선행, 베풂과 바르게 교육함이었고, 이는 국가 간 의 관계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이 때문에 ‘라’가 된 캄보디아는 스스

20) 교육부의 2016/2017년 통계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물은 19,660개, 나무 건물은 2,936개, 대나무로 만든 건물은 139개 정도이다.

21) 옥냐는 캄보디아를 위해 공을 세운 이들에게 하사되는 귀족과 같은 명예 이다.

(23)

로 외국의 수혜를 입어 그들의 선행에 의해 국가를 발전시킨다.

이것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국가 내의 유력자들의 개인적 베풂에 의한 사회간접자본의 건설이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캄보 디아에는 수상인 훈센(Hun Sen), 공주였던 쿤테악 보파(Kantha Bopha), 집권당의 유력자였던 찌어 심(Chea Sim) 등 유력한 정치인 의 이름을 딴 학교나 병원, 도로가 많은데, 그 대부분은 개인의 기부에 의해 세워진 것들이다. 이러한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개인의 기부는 선행 을 베풂으로써 그들의 지위를 증명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만달 라의 또 하나의 특성이 그 관계가 지극히 개인적인 동시에, 계약적이기 때문이다. 즉, 만다의 선행이 베풂을 통해 끊임없이 증명되지 않으면 그 를 따르는 추종자들이 맘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큰 권력을 가 진 자라도 끊임없이 자신의 덕과 불법 지킴을 증명해야 하고, 이러한 사 회 간접자본에 대한 투자는 그 좋은 통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한 가지 해결되지 않는 의문은 ‘왜 국가가 학교 건설에 소극적인가?’

하는 것인데, 이 역시 만달라의 ‘개인’적 성격에 의해 해결될 수 있을 것 이다. 서구와 한국에서 정부나 국가는 조직 자체를 의미하지만, 만달라 적 상황에서는 그 조직의 정점에 서 있는 개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총 리, 왕, 장관의 이름이 국가를 대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아직도 캄보디아의 교육 현장 다수는 여전히 열악한 환 경에 놓여 있다. 그러나 익숙하게 받아들여 온 만달라적 체계가 서구적 교육과 정치체제에 의해 도전을 받으면서 만달라적 거래가 부정부패로 인식되기 시작했고, 이것을 거부하고 도전하는 움직임이 개인적, 집단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이 교육에 대한 국가의 투자로 이어 지게 되기를 기대한다.

Ⅴ. 결론

이 글에서 필자는 캄보디아 교육의 역사, 특징, 한계점 등에 대해서

(24)

논하였다. 고대 앙코르 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사원을 중심으로 한 캄보디아의 공교육은 프랑스 보호령, 식민지 시대, 특히 20세기에 들 어서면서 세속화, 서구화, 근대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63년 캄보디 아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에도 이 프랑스의 영향은 지속되었다. 그러 나 1975-1979년까지 4년간의 크메르-루즈 집권기 동안, 이 틀은 부정 당했고, 그 교육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지식인이 사라졌으며, 교육시설들 역시 파괴되었다. 대신 이 기간 동안 크메르인들은 노래, 구호, 집단노 동, 집단교육 등의 방식으로 국가주의적인 교육을 받았다. 크메르-루즈 가 물러나고 베트남 간섭하는 캄푸치아인민공화국 시절에는 크메르-루즈 를 부정하고, 국가를 근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교육을 재강화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의 문화 때문에 교육의 질은 그다지 높아지지 않고 있고, 교실 내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활발한 상호작용 역 시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덕분에 이상적으로는 교육을 중시하고, 교 육을 통해서만 문화시민이 될 수 있으며, 국가의 발전 역시 교육에 기반 을 둔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 교육을 국가가 아닌 외국의 NGO나 원조, 유력한 개인에 의존하고, 교사와 학생은 수업에 집중할 수 없는 아이러니가 지속되고 있다.

얼마 전 왕립대학교에 다니는 한 한국학생으로부터 들은 이야기가 기 억에 남는다. 수업 시간에 교수가 캄보디아 역사에 관한 짧은 글을 읽도 록 하고, 그 내용에 대해 질문한 장면에 대한 것이었다. 그 반의 대부분 을 차지하는 크메르인 학생들은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았고, 대신 짬족과 한국인 학생이 대답하자, 교수는 ‘크메르인들은 책을 읽으면서 그 안에서 정보를 습득하는 훈련이 전혀 되어 있지 않다’며 화를 내었다고 한다. 캄 보디아 교육이 갖는 한계를 이보다 더 잘 설명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캄보디아인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에 서는 교사의 급여와 처우를 향상시켜, 그들이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최근 우후죽순 국제학교 들이 증가하면서 형편이 되는 가정들에서는 자녀들을 국제 학교에 보내 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로서의 교육과정을 거치지도 않은 현지인 교사들

(25)

이 가르치는 국제학교를 공립학교보다 더 신뢰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심각한 일인 동시에, 이것이 자극이 되어 공립학교에서의 교육의 질이 성장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을 가져본다.

<주요어> 공교육, 교육의 역사, 캄보디아, 만달라체계, 학제

<참고문헌>

김영애(1997). 상좌부불교와 동남아 사회. 조흥국 외 동남아의 사회와 문화. 서 울: 도서출판오름. 165-249.

김진희(2017). 캄보디아 초등교육 및 초등교사 쟁점 분석과 교육개발협력에의 시사점 탐색. 비교교육연구27(1). 77-95.

박희진(2015). 캄보디아와의 교육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교육기회 확대를 중 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윤종혁(2007). 캄보디아의 교육현황 및 발전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주달관저, 최병옥 역(2013). 진랍풍토기 캄보디아, 1296-1297년. 서울: 도서

출판 산인.

Aryes, David M.(2000). Anatomy of a Crisis: Education, Development, and the State in Cambodia, 1953-1998.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Booth, Mary N.(2014). Education and Gender in Contemporary Cambodi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4(10). 42-50

Cambodian 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Sport(2017). Public Education Statistics & Indicators, Department of Edu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hnom Penh.: MoEYS Printing Office

Carmichael, Robert(2014). Woeful Test Results Mark Turning Point for Education in Cambodia. 〔On-line〕. Available from https://www. ucanews.com/news/woeful-test-results-mark-turning-

(26)

point-for-education-in-cambodia/72443 (Retrieved 13 Jun 2018).

Chandler, David P.(1991). The Tragedy of Cambodian History:

Politics, War, and Revolution since 1945.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_______(2008). A History of Cambodia Fourth Edition. Boulder:

Westview press.

Chigas George and Mosyakov Dmitri(n.d.). Literacy and Education under the Khmer Rouge. [Online]. Available from https://gsp.yale.edu/ literacy-and-education–under-khmer-rouge (Retrieved on 11 May 2018).

Clayton, Thomas(995). Restriction or Resistance? French Colonial Educational Development in Cambodia. Education Policy Analysis Archives (3)9. 1-15 [Online]. Available from https://epaa.asu.edu /ojs/article/viewFile/662/784 (Retrieved 29 Arpil 2018).

Ebihara, May Mayko(1968). Svay, A Khmer Village in Cambodi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Hughes, Caroline(2006). The Politics of Gifts: Tradition and Regimentation in Contemporary Cambodia.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37(3). 469-489.

Keng, Chansopheak(2009). Basic Education in Cambodia: Quality and Equity, The Political Economy of Educational Reforms and Capacity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Berli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Muller, Gregor(2006). Colonial Cambodia's 'Bad Frenchmen': The Rise of French Rule and the Life of Thomas Caraman, 1840-87. Routledge Studies in the Modern History of Asia.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Neiswender, Donald(1965). A Christian Appraisal of Mandala Symbolism in Tantric Buddhism and in the Psychology of Carl Gustav Jung.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8(4). 159-174.

(27)

Phirom, Leng(2010). Students’ Perceptions toward Private Sector Higher Education in Cambodia. M. A. Thesis, Ohio University.

Sideth, S. Dy(2004). Strategies and Policies for Basic Education in Cambodia: Historical Perspectives. International Education Journal 5(1). 90-97.

SLK(2008). Sangkum Reastre Niyum of King Norodom Sihanouk 1955-1970. The History of Cambodia from 1st Century to 20th Century. [Online]. Available from https://sokheounnews.files.

wordpress.com/2010/05/10-sangkum-reastre-niyum-of-king- norodom-sihanouk-1955-1970.pdf.(Retrieved on 21 May2018).

Sokhan, Khut(2016). The Education System in Cambodia. [On-line].

Available from http://bookbridge.org/en/the-education-system- in-cambodia (Retrieved 13 Jun 2018).

UNESCO(2011). Education and Fragility in Cambodia. IIEP Research Paper.

Name Seo, Minwoo

Belong Cambodia-Korean Research Center Royal University of Phnom Penh.

E-mail mo2024@gmail.com

투고일 2018/06/15 심사일 2018/06/20 게재확정일 2018/06/25

참조

관련 문서

마음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 이 바뀌면 운명 이 바뀐다..

이러한 조경공간은 내부공간의 분위기를 향상시켜 건물전체의 질을 높여 주며,사용자의 심리적 건강에도

또한 간호현장은 예기치 못한 상황변화가 많은 곳으로 임상 실습을 통해 습득되어야 하지만 최근 환자의 사생활 보호와 환자권리 보호 강화로 인해 임상현장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교육의 세기 라고 말할 정도로 교육에 대한 관심 ‘ ’ 과 가치가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하지만 모든 교육 기관은

대한 상태변화를 모형을 통해 설명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이러한 변화 를 경험할 수 있도록 간단한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고의성이나 불법적인 행동에 대한 특성이나 질을 알고 있는 정신상태에 대한 평가.

또한 설문 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기존의 투표 방식이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는 개인의 권리를 침해한다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사회보장기본법」에서 사회보장이란 질병ㆍ장애ㆍ노령ㆍ실업ㆍ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고 빈곤을 해소하며 국민 생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