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목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학습목표"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주차.

한국어 단어구조(2):

단어의 구조와 품사 분류

(2)

1. 단어와 형태소가 어떻게 다른지 안다.

2. 단어 구조 유형과 그에 따른 단어의 종류를 안다.

3. 굴절형태소와 파생형태소의 차이를 안다.

4. 단어 구조에 따른 언어 유형을 안다.

5. 한국어 품사 분류와 각각의 특징을 안다.

학습목표

(3)

7주차.

한국어 단어구조(2):

단어의 구조와 품사 분류

(4)

Q. 다음 중 단어만으로 묶인 것은?

① 먹-, -고, 잡-, -(으)니, 아름-, -답-, -게

② 먹고, 잡으니, 아름답게

③ 봄, 구름, 매우, 어떤

④ 봄비, 창문, 시계탑

⑤ 돌아가다, 구워먹다, 낚아채다

⑥ 큰아버지, 볶음밥, 풋사과

⑦ 샛노랗다, 치솟다, 높이다

1 1 단어의 구조

1.1 단어의 정의

(5)

일반적인 단어의 정의

최소자립단위(minimal free form)(Bloomfield, 1926) (Wikipedia 정의: a word is the smallest element that may be uttered in isolation with semantic or pragmatic content (with literal or practical meaning). This

contrasts with a morpheme, which is the smallest unit of meaning but will not necessarily stand on its own.)

➡ ‘최소자립단위’라는 단어의 개념 중 더 중요한 것은 {최소성, 자립성}이다.

1 1 단어의 구조

1.1 단어의 정의

(6)

생각해 봅시다 (1)

한국어의 ‘이, 가, 을, 를, 만, 도’와 같은 조사는 자 립성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문법에서는 조 사를 단어로 간주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에 반 해, ‘-고, -으면, 어서’와 같은 어미는 왜 단어로 인정 하지 않을까?

영어의 ‘the’는 자립성이 있는가? 이와 같은 점에

서 볼 때 위 Bloomfield의 정의는 올바른 것인가?

(7)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이에 준 하는 말. 또는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1 1 단어의 구조

1.1 단어의 정의

(8)

생각해 봅시다 (2)

우리의 머릿속에는 분명히 단어라는 것이 존재한 다. 그리고 사전은 단어의 모음이라 할 수 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자들은 단어를 한 마디로 정 의하는 데 주저한다. 그것은 올바르게 단어를 정의 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어떤 점이 어려울지 생각해 보자.

(예: ‘결혼하다’는 한 단어이다. 이와 같은 의미를 갖는

‘국수를 먹이다’는 한 단어인가, 두 단어인가?)

(9)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식물은 크게 뿌리, 줄기, 잎, 꽃으로 구성되 어 있어. 그런데 뿌리, 줄기, 잎은 주로 영양 과 생장에 관계되는 일을 하기 때문에 ‘영양 기관’이라 하고, 꽃은 번식을 담당하기 때문 에 ‘생식기관’이라고 해.

[네이버 지식백과] 식물의 몸은 어떻게 구 성되어 있나요? (묻고 답하는 과학톡톡카페 1 : 지구과학·생물)

※ 생물학에서 생물의 구조에 대한 연구:

morphology(형태학)

※ 해부학도 형태학의 한 분야

(10)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다음 단어의 형성구조에 대해 말해 보자.

머리 돌다리 마음씨

덧버선 헛손질 ⑥ 잡히고

※ 구조: 부분이나 요소가 어떤 전체를 짜 이룸.

또는 그렇게 이루어진 얼개.

※ 언어학에서 단어형성구조(word formation structure)에 대한 연구: morphology(형태론)

(11)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다음 세 단어는 그 구조가 어떻게 다를까?

① boyfriend ② boyish ③ boys

① workday ② worker ③ worked(v.)

1) ①과 <② ③>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2) <①, ②>와 ③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3) 위의 세 단어 중에서 사전에 표제어로 등재되는 것 은 어떤 것일까?

①: 어근(자립형태소) + 어근(자립형태소)

②, ③: 어근(자립형태소) + 접사(의존형태소)

①, ②: 어휘적 성격(의미 and/or 품사 변화)

③: 문법적 성격(의미&품사 불변)

① & ②

(12)

1 1 단어의 구조

단어의 구조: +

1) 굴절(inflection, ❶+❷): 한 단어의 어간이 어미를 취하는 등 단어의 형태변화를 통하여 어간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경우는 용언(경우에 따라서는 체언 포함)에 나타난다.

수: baker(❶)-s(❷) 인칭: (he) love(❶)-s(❷)

시제: 먹(❶)-는(❷), 먹(❶)-은(❷) 소유: baker(❶)-’s(❷)

비교: small(❶)-er(❷), small(❶)-est(❷)

2) 조어(word formation, ❶): 어간의 구조 파악(단어의 형성) 파생(derivation): 어근에 접사를 붙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방법

eg. 먹-이(❶), 꽃-답(❶)(다), 치-솟(❶)(다)

합성(compounding): 두 개 이상의 어근을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방법 eg. 꽃-가게(❶), 돌아-가(❶) (다)

1.2 단어 구조의 유형

어간(❶) 어미(❷)

(13)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다음 낱말들은 각각 ‘먹다’와 ‘work’에 의존형태소가 붙은 말 이다. 어근을 중심으로 하여 볼 때 이들 낱말들은 의미와 품 사의 변화가 있는가?

먹-고 먹-이 work-ed work-er 의미의 확장/변화 Y/N Y/N Y/N Y/N

품사의 변화 Y/N Y/N Y/N Y/N

굴절 or 파생?

굴절형태소: 문장과 관련된 문법적 정보 제시 예) –어서/아서, -을/를, -ed, (e)s

파생형태소: 새로운 단어 형성과 관련된 정보 제시 예) –답다, -음, -er, -ness

(14)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Inflectional(굴절) Derivational(파생) Grammatical function Lexical function

No word class change May cause word class change Small or no meaning change Some meaning change

Often required by rules of

Grammar Never required by rules of Grammar

Follow derivational morphemes

in a word Precede inflectional morphemes in a word

Productive Some productive,

many nonproductive

(15)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1) 문법 기능 vs. 어휘 기능

예) 먹고 vs. 먹이 worked vs. worker 2) 품사 변화

예) 먹고 vs. 먹이 worked vs. worker * 파생은 항상 품사를 {바꾼다, 바꾸지는 않는다}.

예) 치-솟다 부모-님 re-turn child-hood 3) 의미 변화

예) 만족하-고 vs. 불-만족하고

* 파생은 항상 의미를 {바꾼다, 바꾸지는 않는다}.

예) 우리-들 good-ness

(16)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4) 문법규칙 적용(호응관계)

예) (The boy is coming. vs. The boy-s are coming.) vs.

(The act-or is coming. vs. The act-ress is coming.) 5) 순서

예) 젊-음-이 work-er-s

= + +

단어 어근 파생접사 굴절접사

6) 생산성

예) 한국어: 어미 vs. -웅

영어: 복수형태소 vs. un- (*unsad, *unbrave)

(17)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 “If a language has inflection, it always has derivation.”:

Greenberg(1963)의 언어보편성(linguistic universal)

※ 명칭

일반언어학 한국어

굴절접사=굴절형태소 조사, 어미

파생접사=파생형태소 접사

(18)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다음을 굴절과 파생으로 나누어 보자.

➀ 그는 밥을 먹고 밖으로 나갔다. ( )

② 그는 강아지 먹이를 사러 밖으로 나갔다. ( )

③ 그가 거룩하게 죽음으로써 우리는 나라를 지킬 수 있었다.

( )

④ 그의 거룩한 죽음은 우리에게 훌륭한 귀감이 되었다. ( )

⑤ 얼음( )이 얼음( )은 날씨가 추워졌기 때문이다.

(19)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❶ 통사적 합성어(syntactic compound): 두 요소의 결합방식이 구(句)를 이룰 때와 같은 방식의 합성어

용언의 관형사형 + 체언: 작은집, 큰형

용언의 어간 +-고(또는 어/아) + 용언의 어간: 들고나다, 돌아가다

비통사적 합성어(asyntactic compound): 두 요소의 결합방식 이 구(句)를 이룰 때와 다른 방식의 합성어

(= 단어형성에만 나타는 특이한 결합 방식의 합성어)

 꺾쇠, 덮밥

 여닫다, 우짖다, 검푸르다, 뛰놀다, 흩날리다

 등산(登山), 독서(讀書), 귀향(歸鄕)

 보슬비, 산들바람

(20)

1 여기서 잠깐!

대등 합성어: ‘앞뒤, 춘추(봄가을)’ 등과 같이

두 어근이 대등적으로 결합한 합성어.

종속 합성어: ‘돌다리, 시계탑’과 같이 앞 어근이 뒤 어근 에 종속적으로 결합한 합성어.

융합 합성어: ‘춘추(나이), 내외(부부)’와 같이 두 어근의 의미와는 다른 제3의 의미를 갖는 합성어.

(21)

생각해 봅시다 (3)

1) 품사변화의 관점에서 접두 파생과 접미 파생의

차이를 말해 보자.

(22)

생각해 봅시다 (3)

2) 통사적 합성어는 구를 이룰 때의 방식과 같은 방식이어서 구와의 구별이 어렵다. 다음의 경우에 대해

구 구성인지 합성어인지를 어떻게 구별하는지 괄호 속의 내용을 바탕

으로 논의해 보자

[김진호 2010; 구본관 2005].

① [‘크+(으)ㄴ+집’]⇒ 큰 집 vs. 큰집(서술성, 의미의 특수성)

② 깎아(서) 먹다 vs. *뛰어(서)나다

(분리불가능성: “단어내부에는 다른 요소가 개입될 수 없다”)

③ 깨물다, 캐묻다, 몰라보다, 알아듣다(동작의 순서)

(23)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단어

(simple words) 단일어 단순구조

(단일형태소어)

복합구조 (복합형태소어)

합성구조: 합성어 (compound words)

파생구조: 파생어 (derived words)

(24)

1 1 단어의 구조

1.2 단어 구조의 유형

❶ 단일어(simple words)

단일형태소어: 집, 나무, 바다

굴절형태소가 결합한 단순구조의 단어: 먹-고, 가-면

❷ 합성어(compound words)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구조의 단어

예) 시계+탑, 돌+다리, 돌(아)+가다

❸ 파생어(derived words)

어근에 파생형태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파생구조의 단어

예) 드-높다, 높-이

(25)

생각해 봅시다 (4)

‘먹-고’와 같이 굴절형태소가 결합한 구조는 형태소가

두 개 이상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어로 규정

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해 보자.

(26)

1 1 단어의 구조

1.3 단어 구조에 따른 언어 유형

명사: 복수 접사, 소유격 등의 접사 필요

동사: 시제, 서법, 주어와의 일치를 위한 접사 필요

한국어 : 나 과일 샀어(사+았+어).

중국어 : 我[wǒ] 买[mǎi] 了[le] 水果[shuǐguǒ]。

사다 완료 과일

언어에 따라 접사로 나타낼 수도 있고, 별개의 단어 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 한국어 vs 중국어

(27)

① 매우 고립적(very isolating): 중국어

② 약간 고립적(rather isolating): 영어

③ 약간 통합적(rather synthetic): 한국어, 일본어

④ 매우 통합적(very synthetic):

핀란드어, 그루지야어, 헝가리어

⑤ 포합적(polysynthetic): Mohawk어

1 1 단어의 구조

1.3 단어 구조에 따른 언어 유형

※ 통합성: 단어에서의 접사화의 정도

① ② ③ ④ ⑤

고립적/분석적 포합적

(28)

1 1 단어의 구조

1.3 단어 구조에 따른 언어 유형

고립어(isolating language)/분석어(analytic language):

형태소들이 개별적 단어로 존재하는 언어(‘형태소 : 단어

= 1 : 1’의 가능성이 높은 언어), 즉 단일형태소 단어들이 많은 언어

통합어(synthetic language)/포합어(polysynthetic

language): 한 단어 내에 여러 형태소들 이 포함되는 언어

(29)

1 1 단어의 구조

1.3 단어 구조에 따른 언어 유형

교착어(agglutinative language):

형태소들이 의미상 쉽게 분리되는 언어

예) 한국어: 가(어간)+시(높임)+겠(의지)+습니까(상대높임 어말어미)

융합어(fusional language)/굴절어(inflectional language) 하나의 형태소에 여러 개의 문법요소가 융합되어 있는 언어

예) 스페인어 hablo ‘I speak(1인칭단수현재형)’

hablan ‘they speak(3인칭단수현재형)’

hable ‘I spoke(1인칭단수과거형)’

교착적 융합적

그리스어 한국어

(30)

1 1 단어의 구조

1.3 단어 구조에 따른 언어 유형

언어

교착어

고립어 통합어

굴절어

(31)

생각해 봅시다 (5)

굴절어의 예로 영어의 단어(예: ‘went’)가 제시

되기도 하는가 하면 영어를 고립어로 분류하는

학자들도 있다. 왜 그러한지 생각해 보고,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

해 보자.

참조

관련 문서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 electronic, mechanical, photocopying, recording,

Note that the boundary with the smallest misorientation is made up of a row of dislocations, whereas the high-angle boundaries have a disordered structure in

Conclusion: Regarding these results,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verbs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pragmatic difficulties

Community In this tool, the word community refers to the people or organizations that you hope will benefit from your work with the target population.. For example, for

temperature (Figure 14), control of bead shape during welding (Figure 6) to enhance interbead tempering or softening and specifying weld metal composition limitations (Figure

Should a module be used with any of the absolute maximum ratings excee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may not be recovered, or in an extreme case, the module

“an active element that provides a specified voltage or current that is completely independent of other circuit

All disputes, controversies, or differences which may arise between the parties out of or in relation to or in connection with this contract, or for the breach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