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항원전달 08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항원전달 08"

Copied!
8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주조직적합복합체와 항원전달

 MHC 분자의 구조와 기능

 MHC의 구성과 유전

 MHC 역할과 발현 양상

 내인성 경로를 통한 항원 제시와 전달

 외인성 경로를 통한 항원 제시와 전달

 외인성 항원의 교차 제시

 비펩티드 항원의 제시

08

(2)

서론 (243)

 주조직적합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사람 간에 조직 이식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단백질을 암 호화하는 유전자들의 집단

 T 림프구는 다른 세포의 표면에 위치한 MHC 분자에 결합해있는 항원 조각만을 인지함

서로 다른 MHC 분자가 서로 다른 항원 조각을 결합하여 제 시함

 대부분 MHC 유전자들의 대립유전자들은 매우 많음 (다형성이 매우 큼)

MHC 대립유전자 조합은 개인마다 다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특이 대립유전자들은 질병에 대한 민 감성에 큰 비중을 차지함

(3)

MHC 분자의 유형 (243)

 제1형 MHC 분자

모든 유핵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함

세포질에서 기원한 펩티드 항원을 CD8+ T 림프구에 제시함

펩티드항원을 인지한 T 림프구는 항원을 제시한 세포를 살해함

 제2형 MHC 분자

항원전달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함

세포외 공간에서 기원한 펩티드 항원을 CD4+ T 림프구에 제시함

펩티드 항원을 인지한 T 림프구는 활성화되어 외부 침입자를 파 괴하는 면역반응을 촉진함

 제3형 MHC 분자

수용성 분비 단백질임

여러 면역반응에 관여함

(4)

8-1 MHC 분자의 구조와 기능 (244)

 제1형 MHC 분자와 제2형 MHC 분자

구조와 기능이 유사한 막-결합 당단백질임

항원전달분자로 기능함

제1형 MHC 분자와 제2형 MHC 분자는 펩티드 리간드와 안정 적인 복합체를 형성하여 세포 표면에 발현됨 → T 림프구가 수 용체로 항원 펩티드-MHC 분자 복합체를 인지함

 제3형 MHC 분자

수용성 분비 단백질임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와 구조적 유사성과 공통적 인 기능을 공유하지 않음

여러 가지 면역반응에 관여함

보체의 성분, 세포의 손상 복구 등

(5)

1. 제1형 MHC 분자 (244)

 제1형 MHC 분자는 1개의 α 사슬에 β

2

- microglobulin이 결합되어 구성됨

(8.1)

α 사슬의 α1 영역과 α2 영역이 상호작용하여 항원펩티 드 결합 틈새를 형성함 (8.2a)

α3 영역은 잘 보존되어 있고 세포막과 결합되어 있으 며, TC 림프구의 CD8 분자와 상호작용함

 종양세포는 제1형 MHC 분자를 생산하지만 세포 막에 발현하지 않음

β2-microglobulin이 발현되면 제1형 MHC 분자가 세포 막에 발현됨 (정상 세포)

종양세포에는 β -microglobulin이 발현되지 않음

(6)

CD8 CD4

(7)
(8)

2. 제2형 MHC 분자 (245)

 제2형 MHC 분자는 1개의 α 사슬과 β 사슬로 구 성됨

(8.1)

α 사슬의 α1 영역과 β 사슬의 β1 영역이 상호작용하여 항원펩티드 결합 틈새를 형성함 (8.2c)

α2 영역과 β2 영역은 잘 보존되어 있고 세포막에 결합 되어 있으며, β2 영역은 TH 림프구의 CD4 분자와 상호 작용함

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의 항원펩티드 결합 틈 새는 유사함

(8.3)

항원을 결합하여 T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하는 능력을 공유함

(9)
(10)

3.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의 결합부위 다형성 (245)

 사람에서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의 대립유전자 변 이가 수백 개 존재함

(표8.3)

 MHC 분자의 대립유전자는 개인에서 일부의 분자들 이 발현됨

제1형은 6종류를 발현하고 제2형은 12종류를 발현함 (8.7, 8, a)

(마우스에서 제1형은 6종류를 발현하고 제2형은 8종류를 발현함) (8.11)

 MHC 분자의 항원펩티드 결합은 정교한 특이성이 없 음

한 MHC 분자는 서로 다른 항원펩티드와 결합할 수 있음

한 항원펩티드는 서로 다른 MHC 분자와 결합할 수 있음

(11)
(12)
(13)
(14)

DP

α, β DQ

α, β DR

α, β B C A

αβ α β

αβ α β

(Maternal)

(Paternal) (제1형 MHC 분자)

(제2형 MHC의 DQ분자) (a)

Ⅱ Ⅰ

α, βDP DQ

α, β DR

α, β B C A

(15)
(16)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의 항원펩티드 결합 (245)

 항원 펩티드 MHC 분자의 결합 틈새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공간 내에 자리를 잡음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의 펩티드 결합 양상이 일부 공통 적임 (표8.1)

 제1형 분자에서 결합 틈새는 양 끝이 막혀있음

(8.4a)

8~1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와 결함

제1형 분자와 결합하는 항원 펩티드의 N-말단과 C-말단 부 위에는 특정 아미노산 잔기가 고정됨 (8.5)

 제2형 분자에서 결합 틈새는 양 끝이 열려있음

(8.4b)

13~1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항원 펩티드와 결합함

제2형 분자와 결합하는 항원 펩티드의 N-말단과 C-말단 부 위에는 특정 아미노산 잔기가 없음

(17)
(18)
(19)

1) 제1형 MHC-펩티드 상호작용 (247)

 제1형 MHC 분자는 항원 펩티드를 결합하여 CD8

+

T 림프구에 전달함

 1개의 유핵세포에는 약 10

5

개의 제1형 MHC 분자가 발현됨

다양한 펩티드가 세포 표면에 동시에 제시되어 있음

개인이 지닌 제1형 MHC 분자의 대립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특정 항원 펩티드의 전달 여부가 결정됨

 제1형 MHC 분자와 항원 펩티드 결합의 특성

항원 펩티드가 특정 MHC 분자에 결합하는 데 필수적인 특 정 아미노산 잔기(고정 잔기)를 포함함 (8.5)

 C-말단(9번)에 소수성 잔기, N-말단(2, 3번)에 글리신과 프롤린 잔 기를 가짐

고정 잔기들 사이에 있는 펩티드는 틈새의 바닥에서 가운데 로 휘어 빠져 나감 → TCR과 보다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음

(20)
(21)

2) 제2형 MHC-펩티드 상호작용 (249)

 제2형 MHC 분자는 항원 펩티드를 결합하여 CD4

+

T 림프구에 전달함

 제2형 MHC 분자와 항원 펩티드 결합의 특성

항원 펩티드에 MHC 분자와 결합하는 고정 잔기가 없 음

펩티드 중앙의 13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MHC 분자와 의 결합 특성을 결정함

7~10개의 아미노산이 주요 접촉점을 제공함

제2형 MHC 분자에 결합하는 항원 펩티드는 결합 틈새 의 바닥 위에 대충 일정한 높이로 길게 펼쳐져 있음

(22)

8-2 MHC의 구성과 유전 (249)

 MHC 분자의 다양성 기전

무작위적인 펩티드 결합 조합

모든 세포에 서로 다른 MHC 분자의 발현

 MHC의 발견과 명명

(1940~1950년대, Gorer와 Snell)

마우스의 혈액세포 항원을 암호화하는 4개의 유전자 군(Ⅰ~Ⅳ) 중에 2번째 유전자 군(Ⅱ)에 의해 암호화된 항 원이 다른 조직이식에 대한 생착 거부 반응에 관여함을 확인함 (조직적합성 항원; histo-compatibilty antigen)

“조직적합성-2 유전자 복합체(H-2 complex)”로 명명함

사람에서는 “사람백혈구 항원 복합체(human leucocyte- associated complex; HLA complex)”로 칭함

(23)

1. MHC 유전자 자리는 3종류의 주요 분자를 암호화한다 (250)

 MHC 유전자는 3부류의 분자를 암호화하는 구역 으로 구성됨

(8.7)

 비고전적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가 제1형과 제2형 구역에 포함됨 (8.8)

유전자 구역 특징

제1형 MHC 유전자

 모든 유핵세포의 표면에 발현됨

 유전자 산물은 내인성 펩티드 항원을 CD8+ T 림프구 에 전달함

제2형 MHC 유전자

 항원전달세포의 표면에 발현됨

 유전자 산물은 외인성 펩티드 항원을 CD4+ T 림프구 에 전달함

제3형 MHC 유전자

 수용성 분비 단백질을 암호화함

 유전자 산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β)과 보체 (C4, C2, 인자 F) 등의 면역 기능을 가진 물질임

(24)
(25)
(26)

비고전적 MHC 분자의 기능 (250)

 비고전적 제1형 MHC 분자

HLA-G, HLA-F, HLA-E

특정 유형의 세포에서 특정 시기에 발현되어 특화된 기능을 수행함

 HLA-G 분자는 발생 중인 태아에서 부계항원이 나타나는 시기에 발현되어 모체의 태아가 비자기로 인식되지 않게 함

 비고전적 제2형 MHC 분자

HLA- DM, HLA-DO , LMP2, LMP7, TAP1, TAP2

HLA-DM 분자는 제2형 분자에 항원펩티드의 결합을 촉진하 고 HLA-DO 분자는 제2형 항원처리 조절자로 기능함

TAP1, TAP2 분자는 제1형 분자와 항원펩티드의 결합에 관 여함

LMP2, LMP7의 유전자 산물은 단백질분해소체를 면역단백 질분해소체로 변형시킴 (세포질의 단백질 분해가 증가함)

(27)

2. 제1형과 제1형 유전자의 엑손/인트론 배열 (252)

(28)

3. MHC 유전자의 유전 (253)

 연관된 MHC 유전자들의 대립유전자 세트는 일 배체형으로 유전됨

(표8.2)

재조합빈도 0.5%(200회의 감수분열 당 1회 재조합)

재조합된 일배체형 대립유전자 세트는 개인의 MHC 다 형성을 만들어냄

 마우스의 MHC 일배체형은 임의의 이탤릭체 위 첨자로 표시함

동종교배종(동형접합자) - H-2a, H-2b, H-2k

이종교배종(이형접합자) - H-2b/k

(29)
(30)

동계유전자형 혈통과 유사유전자형 혈통(253)

 동계유전자형 혈통

(syngenic strain)

유전자 자리가 모두 동일한 순계 혈통

 유사유전자형 혈통

(congenic strain)

특정한 1개의 유전자 구역을 제외한 유전자 자리가 모 두 동일한 2 혈통

(31)

유사유전자형 혈통 동물 제작

 서로 다른 2 순계 혈통의 마우스를 교배, 역교배, 선택 과정을 여러 번 하여 MHC 유전자만 다른 유 사유전자형 마우스 혈통을 만들 수 있음 (b)

서로 다른 동종번식 strains(A, B)을 교배함

F1을 서로 교배하고, 생겨난 F2에 strain A의 피부조직 을 이식함

거부반응을 일으킨 b/b를 strain A(a/a)에 역교배함

생겨난 F1을 서로 교배하고 생겨난 F2에 strain A의 피 부조직을 이식함

거부반응을 일으킨 b/b를 strain A(a/a)에 역교배함

10 cycle 이상을 반복하면 strain A의 유전적 배경을 가 지면서 H-2는 strain B의 것을 가진 “congenic strain AB”가 탄생함

(32)

(b)

(B 유전배경 ½)

(B 유전배경 1/4)

b/b [B 유전배경 (1/2)10 ] (B 유전배경 ½)

b/b (B 유전배경 1/4)

(33)

4. MHC 분자는 공동우성으로 발현된다 (254)

 MHC 유전자 자리 내의 유전자들은 공동우성으로 발 현됨

부계와 모계의 대립유전자가 한 세포에서 동일한 시간에 발 현됨

 일배체형이 서로 다른 순계 마우스 혈통을 교배할 경 우에 F

1

세대는 양 부모의 대립유전자를 발현함

(8.10a)

부모는 자손에게 조직적합하고 자손은 부모에게 조직적합 하지 않음 (8.10b)

 사람에서 각 개인은 이형접합체이고 HLA는 고도의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냄

(8.10c)

부모와 자손 간에는 조직적합하지 않음

형제 간에는 ¼ 의 확률로 조직적합함

(34)
(35)

5. 제1형과 제2형 MHC 분자의 다양성 (254)

 1형과 2형 MHC 분자는 종과 개체 수준에서 다양성을 나타냄

 특정 MHC 분자는 많은 다른 항원펩티드와 결합할 수 있음

 MHC 구역에 따라 기능은 같고 구조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유 전자가 포함됨 (다유전자성; polygenic)

 HLA-A, -B, -C 분자는 모두 CD8+ T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할 수 있음

 HLA-DP, -DQ, -DR 분자는 모두 CD4+ T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할 수 있음

 많은 종류의 항원펩티드를 전달할 수 있음

 MHC 대립유전자는 공동우성으로 발현됨

 생쥐세포에서 1형 분자는 6종류, 2형 분자는 8종류가 발현됨 (8.11)

 사람세포에서 1형 분자는 6종류, 2형 분자는 12종류가 발현됨 (c)

 MHC 유전자 자리의 유전적 다양성이 큼 (표8.3)

 사람에서 1형과 2형 대립유전자의 가능한 조합은 1.7ⅹ1024에 이름

 종 수준에서 제시할 수 있는 항원펩티드의 수는 엄청남

 MHC 다양성이 감소한 집단은 질병감수성이 증가함

(36)
(37)

DP

α, β DQ

α, β DR

α, β B C A

αβ α β

αβ α β

(Maternal)

(Paternal) (제1형 MHC 분자)

(제2형 MHC의 DQ분자) (c)

Ⅱ Ⅰ

α, βDP DQ

α, β DR

α, β B C A

(38)
(39)

6. MHC 다형성은 기능적 의미가 있다 (257)

 한 종 내에서 MHC 대립유전자들 간의 염기서열 의 차이가 상당히 큼

 MHC 내의 다형성은 주로 항원펩티드 결합 영역 에 분포함

(8.12)

제1형 MHC 분자에서는 α1, α2 영역에 주로 분포함

제2형 MHC 분자에서는 α1, β1 영역에 주로 분포함

 특정 MHC 유전자 또는 일배체형이 특정 질병감

수성과 연관이 있음

(d)

(40)
(41)

(d)

(강직성 척추염)

(특발성 혈색소철증)

(발작성 수면)

(42)

8-3 MHC 역할과 발현 양상 (257)

 대부분의 MHC 분자는 다른 세포에 항원을 전달 함

 MHC의 발현은 외부 항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에도 항상성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함

(43)

1. MHC 분자의 내인성 항원과 외인성 항원의 제시 (258)

 제1형 MHC 분자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항원을 수집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

세포질에 외부 단백질(내인성 항원)이 존재할 때 제1형 MHC 분자가 세포 표면에 발현되기 시작함 (항원의 존 재에 대한 경고)

세포질에 외부 단백질이 존재하는 세포(표적세포)는 CD8+ T 림프구에 의해 파괴됨

 제2형 MHC 분자는 세포외 공간에서 유래한 항원 펩티드

(외인성 항원)

를 제시함

전문 항원전달세포는 외인성 항원을 TH 림프구에 제시 하고 외부 침입물질을 제거함

(44)

2. 제1형 MHC 분자의 발현 (260)

 신체의 모든 유핵세포는 제1형 MHC 분자를 발현 함

 제1형 MHC 분자의 발현 정도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름

림프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됨 (세포 단백질 의 1%, 5ⅹ105/세포)

섬유모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 로 발현됨

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종양세포, 노화된 세포

에서 제1형 MHC 분자는 감소함

(45)

 제2형 MHC 분자는 항원전달세포에 제한적으로 발현됨

제2형 MHC 분자의 발현 정도는 세포의 분화 단계나 활성화 정도 에 따라 다름

 전문 항원전달세포

 수지상세포는 가장 효과적인 항원전달세포임

제2형 MHC 분자를 지속하여 높은 수준으로 발현함

보조자극 활성을 가짐

숫 TH 림프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

 대식세포는 항원을 포식한 후에 활성화되어야 제2형 MHC 분자 와 공동보조자극분자 B7(CD80/CD86)를 발현함

 B 림프구는 지속하여 제2형 MHC 분자를 발현함

 비전문 항원전달세포는 염증반응이 있는 동안 제2형 MHC 분자를 발현함

섬유모세포, 가슴샘상피세포, 신경교세포, 갑상선상피세포, 췌장 베타세포, 혈관내피세포

3. 제2형 MHC 분자의 발현 (260)

(46)

4. MHC의 발현은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260)

 제1형 MHC 분자

대부분의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발현됨

병원체에 의해 제1형 MHC 분자의 발현이 저해됨

 제2형 MHC 분자

항원전달세포에서 미세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발현 됨

병원체에 의해 제2형 MHC 분자의 발현이 증가함

국소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2형 MHC 분자의 발현 이 증가함

 MHC의 발현은 세밀하게 조절됨

(47)

1) 유전적 조절인자 (261)

 세포 외 침입이나 사이토카인의 존재에 의해, 또 는 체내나 체외의 반응에 의해 MHC 유전자의 발 현이 변할 수 있음

 전사인자가 제2형 MHC 유전자 자리의 촉진자에 결합하여 제2형 MHC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함

제2형 MHC 전사 활성인자(CⅡTA)

전사인자 RFX

(48)

2) 바이러스 간섭 (261)

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세포 표면의 제1형 MHC 유전 자의 전사가 감소함

사람 거대세포바이러스, B형 간염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12형

 제1형 MHC의 조합이나 펩티드 이동에 필요한 인자들의 발현 저하 때문에 제1형 MHC 발현이 감소하는 경우도 있 음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시 바이러스성 단백질이 β2-microglobulin 에 결합하여 제1형 MHC 분자와 β2-microglobulin 의 조합을 방해 → 세포막으로 제1형 MHC 분자의 이동이 억제됨

 TAP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면, 제1형 MHC 분자가 β2-

microglobulin과 조합하거나 세포막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됨

 제1형 MHC 발현 저하는 TC 림프구의 표적세포 인지를 감 소시킴

바이러스의 면역반응 회피를 도와줌

62

(49)

3) 사이토카인-매개 신호 (261)

 MHC 분자의 발현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조절됨

 제1형 MHC 발현을 증가시키는 사이토카인

IFN-α, -β, -γ

TNF-α, -β

 특정 세포에서만 MHC 발현을 조절하는 사이토 카인

IL-4는 휴지기 B 림프구의 제2형 MHC 발현을 증가시 킴

IFN-γ,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프로스타글란딘은 B 림프 구의 제2형 MHC 발현을 감소시킴

(50)

4) 제2형 MHC 대립유전자의 면역반응에 대한 역할 (262)

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능력은 제2형 MHC 의 일배체형에 의해 결정됨 [면역반응 유전자

(immune response gene; Ir gene)

]

 제2형 MHC의 일배체형에 따른 면역반응의 차이 를 설명하는 모델

항원결정기 선택 모델(determinant-selection model)

서로 다른 class Ⅱ MHC 분자들은 처리된 항원에 결합하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임 (e)

레퍼토리 결함 모델(holes-in-the-repertoire model)

자기항원과 매우 유사한 외부 항원을 인식하는 수용체를 가 진 T 림프구가 가슴샘에서의 분화 과정에서 제거되기 때문임

(51)

(e)

(52)

5. T 림프구의 항원펩티드 인지의 자기-MHC 제한 (262)

 T 림프구는 자기 MHC 대립유전자에 의해 제한된 펩티드 를 인지함

T 림프구는 자기-MHC 분자에 의해 전달되는 항원만을 인식함 ( 기-MHC 제한; self-MHC restriction)

 CD4+ T 림프구는 자신과 동일한 제2형 MHC 분자를 가진 대식세포에 전달되는 항원만을 인식하여 증식함 (8.13)

 CD8+ T 림프구는 자신과 동일한 제1형 MHC 분자를 가진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에만 인식하여 살해함 (f)

 T 림프구의 항원을 인식하기 위해서 항원 단백질은 펩티 드로 분해되어야 함

(항원처리)

TH 림프구는 항원전달세포 표면의 항원 펩티드를 인식하여 활성 화됨 (8.14)

TC 림프구는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보다 내부 단백질을 잘 인식 하고 바이러스 단백질의 짧은 선형 펩티드를 인식함

(53)
(54)

(f)

(55)
(56)

6. 서로 다른 항원처리 과정 및 항원전달에 대한 증거 (263)

 면역계는 세포 내부와 외부에서 유래한 항원을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제거함

(8.15)

 (세포 안에서 생성되는) 내인성 항원은 세포질 경로를 이용 하여 처리함

 (세포내이입에 의해 확보된) 외인성 항원은 세포내이입 경 로를 이용하여 처리함

 실험적 증거

제1형 MHC 분자에 의한 항원전달에는 바이러스 단백질 합 성이 필요함

 표적세포가 살아있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야 함

 단백질합성 억제제(ementine)에 의하여 제1형 항원전달이 저해됨

제2형 MHC 분자에 의한 항원전달에는 살아있는 바이러스 와 증식불능한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일어남

 단백질합성 억제제는 제2형 항원전달에 영향이 없음

 세포내이입 과정을 막는 약물(chloroquine)에 의하여 제2형 항원 전달은 저해되지만 제1형 항원전달은 영향이 없음

(57)
(58)

8-4 내인성 경로를 통한 항원 제시와 전달 (264)

 유핵세포에서 단백질은 계속 생산되어 사용된 후 분해됨

세포 단백질들의 평균 반감기 약 2일

변성되거나 미조합된 비정상적인 단백질은 급속히 분 해됨 (10분이내)

 세포 내에 끊임없이 많은 단백질 분해산물이 남음

분해산물 대부분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재이용됨

분해산물의 일부분은 펩티드로 존재함

 세포는 외래 항원에서 유래한 펩티드의 일부를 채

집하여 제1형 MHC 분자에 결합시킨 상태로 세포

막에 제시함

(59)

1.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에 의한 펩티드 생성 (265)

 세포내 단백질은 표준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단백질분 해소체; proteasome)

에 의해 짧은 펩티드로 분해됨

(8.16a)

표적 단백질에는 유비퀴틴이 붙어있음

 면역계에는 사이토카인

(IFN-γ, TNF-α)

에 의해 면역단백 질분해소체가 추가로 발현됨

(8.16b)

IFN-γ나 TNF-α에 의해 제1형 MHC 구역의 LMP2, LMP7 유 전자가 전사됨

유전자 산물이 표준단백질분해소체에서 면역단백질분해소 체로의 변환을 촉매함

 면역 단백질분해소체의 기능

단백질 분해 효율을 증가시켜 제1형 MHC 분자에 결합하는 펩티드 생성을 증가시킴

(60)
(61)

2. 펩티드는 세포질로부터 rER로 수송된다 (266)

 TAP

(transporter-associated with antigen processing)

단백질

rER의 막에 존재하는 수송체 단백질로서 TAP1과 TAP2로 구성됨 (8.17a)

ATP-의존적으로 세포질의 아미노산, 당, 이온, 펩티드 등을 rER 내강으로 수송함

 단백질분해소체에 의해 생성된 항원펩티드가

TAP에 의해 rER 내강으로 이동함

(8.17b)

(62)
(63)

3. 제1형 MHC 분자와 펩티드의 결합 (267)

 제1형 MHC 분자의 α 사슬과 β2-microglobulin이 합성된 후 안정된 제1형 MHC 분자로 결합하는 데

샤페론

단백질 들이 관여함 (8.18)

 calnexin과 ERp57 α 사슬에 결합하여 사슬의 접힘을 증진시킴

β2-microglobulin이 α 사슬에 결합하면 calnexin이 방출되고 calreticulin tapasin α 사슬에 결합함

tapasin에 의해 TAP 수송체와 제1형 MHC 분자가 서로 가까워짐 (TAP을 통해 rER 내강으로 들어온 항원펩티드는 바로 제1형 MHC 분자에 결합됨)

exoprotease의 일종인 ERAP1는 (결합길이가 맞지 않아) 제1 형 MHC 분자에 결합되지 않은 항원펩티드에서 N-말단 잔기 를 제거함

 펩티드와 결합한 제1형 MHC 분자는 안정성이 증가하고 샤페론 단백질들이 제1형 MHC 분자에서 분리됨

 펩티드와 결합한 제1형 MHC 분자가 골지체를 거쳐 세포 표면으로 운반됨

(64)
(65)

8-5 외인성 경로를 통한 항원 제시와 전달 (267)

 항원전달세포는 포식작용이나 수용체-매개 세포 내이입을 통해 세포 밖의 외인성 항원을 세포 내 로 유입시켜 세포내이입 소포를 형성함

 세포내이입 소포에 유입된 외인성 항원으로부터

항원펩티드가 생성됨

(66)

1. 세포내이입 소포에 유입된 항원으로부터 펩티드의 생성 (267)

 세포내이입 경로에 의해 세포내이입 소포의 항원 이 펩티드로 분해됨

초기 세포내이입 소포(pH 6.0~6.5), 후기 세포내이입 소포

(pH 5.0~6.0), 리소좀(pH 4.5~5.0)의 산성 구획이 관여함 (8.19)

내재화된 항원이 각 구획에서 가수분해효소와 낮은 pH에 노 출되어 펩티드로 분해됨

후기 세포내이입 소포에서 항원은 제2형 MHC 분자와 결합하여 펩티드로 분해됨

(67)

후기 포식 소포

(68)

2. 제2형 MHC 분자의 세포내이입소포로의 운반 (267)

 제2형 MHC 분자가 rER에서 생성되면 삼량체 단 백질 불변사슬

(invariant chain; Ii, CD74)

이 제2형 MHC 분자에 결합함

(8.20)

 불변사슬의 기능

제2형 MHC 분자의 결합 틈새에 펩티드의 결합을 방지 함

제2형 MHC 분자의 α 사슬과 β 사슬의 접힘, 제2형 분 자의 rER로부터의 방출과 trans-골지 망상조직에서 세 포내이입 경로로의 이동에 관여함

(69)
(70)

3. 제2형 MHC 분자와 펩티드의 결합 (269)

 불변사슬과 결합된 제2형 MHC 분자는 후기 세포내이입 소포로 이동함

 후기 세포내이입소포와 리소좀 구획을 거치면서 불변사 슬은 분해되어 작은 절편(CLIP)이 결합틈새에 남아있음

(18.20)

CLIP이 항원펩티드의 미성숙한 결합을 막음

 (항상 발현되어 있는) 비고전적 제2형 분자 HLA-DO가 제 2형 MHC 분자의 결합틈새에서 CLIP 방출을 억제함

 비고전적 제2형 분자인 HLA-DM이 발현되어 CLIP과 항 원펩티드의 치환을 촉진함

HLA-DM이 제2형 MHC 분자의 β 사슬에 결합하여 CLIP을 제거함

제2형 MHC 분자의 결합틈새에 항원펩티드가 결합함

(71)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의 비교

(72)

8-6 외인성 항원의 교차 제시 (271)

 전문 항원전달세포는 세포외 항원을 외인성 경로를 통해 처리하고 항원펩티드를 제2형 MHC 분자와 결 합시켜 세포 표면에 제시함

항원전달세포는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하여 TH 림프구를 활 성화시킴

 감염된 세포는 세포내 항원을 내인성 경로를 통해 처 리하고 항원펩티드를 제1형 MHC 분자와 결합시켜 세포 표면에 제시함

(항원전달세포가 아닌) 세포는 감염된 경우에 숫 TC 림프구 를 활성화시키지 못함 (공동자극분자를 발현하지 않음)

 감염되지 않은 항원전달세포는 외인성 항원을 세포

내이입 경로를 통해 얻은 항원펩티드를 제2형 MHC

분자와 제1형 MHC 분자 모두에 결합하여 제시함 (교

차제시)

(g)

(73)

(g)

(74)

1. 주요한 교차제시세포로 보이는 수지상세포 (271)

 2차 림프기관에 존재하는 수지상세포의 아형이 교차제시를 할 수 있음

수지상세포가 이동 중인 항원전달세포나 죽어가는 감 염세포로부터 떨어져 나온 세포외 공간에서 유래한 항 원을 얻어 교차제시함

(75)

2. 교차제시의 기작과 기능 (271)

 교차제시 기작의 2가지 모델

세포가 제1형 MHC 분자에 외인성 항원펩티드를 적재 하도록 하는 특별한 항원처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

세포가 세포소기관에 내재화된 항원을 즉시 제1형

MHC 분자에 보내주는 전문화된 세포내이입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

 교차제시의 기능

항원전달세포가 바이러스 항원을 포획하고 처리하여 감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킴

항원전달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공격하는 TC 림프구를 활성화시킴

감염 초기에 바이러스를 파괴하여 바이러스의 신체확산을 방 지함

(76)

외인성 항원 교차제시의 조절 (273)

 수지상세포는 외인성 항원을 교차 제시하기 전에 활 성화된 T

H

림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함

수지상세포에 의해 항원을 전달받은 TH 림프구는 활성화됨

(8.22a)

활성화된 TH 림프구는 공동자극 분자(CD40L)를 통해 수지 상세포가 내재화된 항원을 제1형 MHC 분자에 제시하도록 허가하고

활성화된 TH 림프구는 사이토카인(IL-2)을 통해 숫 TC 림프 구를 활성화시키는 “2차 방식”을 제공함 (8.22b)

 교차제시를 허가받지 않은 수지상세포는 T

C

림프구 의 면역관용을 유도함

 자기단백질이나 비병원성 항원에 대한 TC 림프구의 (잘못된) 활성 유도를 피함

(77)
(78)

8-7 비펩티드 항원의 제시 (273)

 비단백질 항원(당지질, 지질단백질)은 비고전적 제1형 MHC 분자인 CD1를 통해 γδ T 림프구에 전달됨

 CD1 분자

분자 구조가 제1형 MHC 분자와 유사함 (8.23)

기능은 제2형 MHC 분자와 동일함

사람에서 5가지의 유전자가 1번 염색체 존재함 (h)

고전적 MHC 유전자는 6번 염색체에 위치함

 지질 항원의 소수성 부분은 CD1 분자의 결합틈

새에 결합하고 친수성 부분은 노출되어 TCR에

의해 인지됨

(79)
(80)

(h)

참조

관련 문서

| 상거래 사건 틀과 같은 의미적 틀은 발화사건과 독립적으로 지식 목록을 기술하지만 발화사건 틀은 담화 문맥이나 의사소통 문맥에 틀

Types of phase diagrams formed when the high temperature allotrope forms a continuous series of solid solutions with the second component. β Zr ↔ α + β

아공정조성영역인 A조성에서는 T 0 의 온도에서는 완전한 액체상태이나,온도가 감소하여 액상선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α-Al 상이 정출되기 시작하여,온도가 감소 함에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01), and

“The economic order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based on a respect for the freedom and creative initiative of individuals in economic affairs.” The State may only

on-position의 경우 sapphire와 격자불일치가 적어 strain이 최소화되면서 intensity가 높게 나오고 30°-rotation-position의 경우는 sapphire가 α phase과 β

TNF-α는 랑게르한스 세포가 피부로 부터 국소 림프절로 이주를 유도하지만 세포의 MHC class II 발현의 소실을 가져 와 기능적인 세포의 성숙을 억제하여

학순도 측정을 위해서 키랄 컬럼을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이 가장 정확하고 편리한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2]. 그 중에서 α-amino acid ester 의 아미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