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Usefulness of Esophagography as a Screening Test for Laryngopharyngeal Reflux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Usefulness of Esophagography as a Screening Test for Laryngopharyngeal Reflux"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위산의 위식도 역류(gastroesophageal reflux, GER)는 소화 기 및 호흡기 내과 질환뿐만 아니라 이비인후과 영역의 인후 두 역류(laryngopharyngeal reflux, LPR) 질환 즉 급 만성 후 두염, 후두협착, 재발성 후두경련, 성문하 협착 등을 유발 한다 (1, 2). 인후두 역류(Laryngopharyngeal reflux, LPR)는 위식 도 역류와 비슷한 개념의 말로서 위에서 식도로 들어온 위산 의 극소량이 인후두로 역류하는 경우를 일컫는 말이며, 인후두 역류 질환은 인후두 역류에 의해서 나타나는 질환 군으로 최 근까지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낮았다.

인후두 역류 질환의 진단은 목의 이물감, 인두통, 만성기침, 그리고 연하곤란 등의 특징적인 증상과, 역류의 확인을 위해 식도 24시간 수소이온농도지수 측정검사(pH-metry), 식도내 압검사 (esophageal manometry), 핵의학검사(radio-nuclide imaging) 그리고 식도조영술 등의 검사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다 (3). 현재 까지는 pH-metry가 역류 검출에 가장 신뢰 할 수 있는 검사로 널리 받아들여 지고 있지만, 이 방법은 환자에

게 약간 침습적이며, 24시간 동안 환자의 일상 생활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검사비가 비싸서 1차 선별 검사로 사용하기에 는 부적합하다 (4, 5). 식도조영술은 비교적 쉽게 시행 할 수 있고, 검사비가 저렴하고, 위에서 식도로의 조영제 역류를 쉽 게 투시로 확인 함으로서 역류의 유무와 정도를 알 수 있으나, 이전 보고자에 따라 25-149 명을 대상으로 20-73%의 다양 한 역류 검출율을 보여, 그 역할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6-9).

이에 인후두 역류 질환의 조기 선별검사로 water-siphon test를 겸한 식도조영술의 유용성을 1000명 이상의 많은 대상 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 외래 를 방문한 환자 중 식도조영술을 1156명에서 1190회를 시행 하였다. 추적검사 34회를 제외한 신환 1156명 중 증상과 후두 경 검사상 (Table 1, 2) 인후두 역류 질환이 의심되어 바리움 식도조영술을 시행한 환자는 1064명 이였다. 이중, 위식도 역

인후두 역류 질환의 선별 검사로서 식도조영술의 유용성

1

김 태 훈・정 필 상2

목적: 위식도 역류질환에서 바리움 식도조영술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인후두 역류질환 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적다. 본 연구는 인후두 역류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1차 선별검 사로서 바리움 식도조영술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인후두 역류 질환의 전형적인 임상증상과 후

두내시경 소견을 보인 707명의 환자(인후두 역류 군)에서 water-siphon test를 겸한 식도조 영술을 시행하였다. 이 검사 결과 와 식도 24시간 수소이온농도지수 측정검사(pH-metry)로 위식도 역류가 확인된 122명의 환자(위식도 역류 군) 그리고 인후두 역류 증상이 없는 324명 (대조 군)의 식도조영술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water-siphon test의 결과는 정상 그리고 경 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의 위식도 역류로 분류하였다.

결과: 인후두 역류 군의 water-siphon test에서 정상 71명(10.0%), 경도의 위식도 역류 207 명(29.2%), 중등도 201명(28.4%) 그리고 고도 228명(32.2%) 이었다. 위식도 역류 양성율은 인후두 역류 군에서 90.0%, 위식도 역류 군 89.3% 그리고 대조 군 54.6% 였다. 인후두 역류 및 위식도 역류 군은 대조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역류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water-siphon test를 겸한 식도조영술이 인후두 역류 질환의 1차 선별 검사로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1단국대학병원 영상의학과

2단국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이 논문은 2005년 5월 30일 접수하여 2005년 10월 24일에 채택되었음.

(2)

류를 확인하기 위해서 식도조영술 중 water-siphon test를 시 행하였는데, 발포제를 먹은 후 water-siphon test를 시행한 357명은 제외하고, 발포제를 먹기 전에 시행한 707명 만을 인 후두 역류 군으로 선별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 까지 상복부 통증, 흉부 통증 등을 주소로 본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식도 pH-metry로 위식도 역류가 확인된 환자중, water-siphon test를 겸한 바리움 식도조영술을 시행한 210 명에서, 발포제를 먹은 후에 water-siphon test를 시행한 88 명을 제외한 122명을 위식도 역류 군으로 선별하였다. 대조 군 은 2002년 10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순환기내과에서 협심

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위식도 역류에 의한 흉부 통증을 감별 하기 위하여 water-siphon test를 겸한 바리움 식도조영술을 시행한 587명에서 역시 발포제를 먹은 후에 water-siphon test 를 시행한 158명 및 인후두 역류의 유사한 증상이 의심된 155 명을 제외한 274명과, 인후두 역류의 증상이 없는 건강한 지 원자 50명을 더해 총 324명을 선별하였다.

Water-siphon test는 단순 식도조영술(single contrast esophagography)후 먼저 환자를 반드시 눕힌 자세에서 왼쪽 으로 몸을 한 번 돌려 위에 들어있는 바리움을 위 기저부 (stomach fundus)로 옮긴후, 빨대를 통해 물을 마시게 하면서 환자를 천천히 우측으로 돌려 바리움이 위 동 (stomach antrum)으로 흐르게 하면서 투시로 역류의 유무를 관찰하였 다. 발포제를 먹은 후에 water-siphon test를 시행한 경우는 트림에 의한 역류를 흔히 볼 수 있어서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역류된 바리움의 식도 도달 위치에 따라, 식도 전장을 3등분 하여 경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의 역류로 분류하였다(Fig. 1).

각 군간의 식도조영술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Chi 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식도조영술의 water-siphon test 결과는 인후두 역류 군에 서는 정상 71명(10.0%), 경도 역류 207명(29.2%), 중등도 201명(28.4%) 그리고 고도 228명(32.2%)을, 위식도 역류 군 에서는 정상 13명(10.7%), 경도 32명(26.2%), 중등도 33명 (27.0%) 그리고 고도 44명(36.1%)을, 대조 군에서는 정상, 경 Table 1. Symptoms of LPR

Symptoms No. (%)

Globus sensation 632 (59.4%)

Chronic throat clearing 481 (45.2%)

Sore throat 451 (42.4%)

Dysphasia 234 (22.0%)

Chronic cough 223 (21.0%)

LPR: laryngopharyngeal reflux

Table 2. Telescopic Findings of LPR

Telescopic findings No. (%)

Pachydermia laryngis 912 (85.7%) Vocal fold hyperemia 415 (39.0%) Diffuse laryngeal edema 218 (20.5%) LPR: laryngopharyngeal reflux

A B C

Fig. 1. Grade of gastroesophageal reflux (GER) A. mild GER

B. moderate GER C. severe GER

(3)

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 역류는 각각 147명(45.4 %), 78명 (24.1 %), 33명(10.2 %) 그리고 66명(20.4%)을 보였다 (Table 3, Fig. 2). 인후두 역류 군과 대조 군의 water-siphon test의 결과는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위식도 역류 군과 대조 군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지만(p<0.05), 인후두 역류 군과 위식도 역류 군 사 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88). 따라서 인후 두 역류 군과 위식도 역류 군은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 한 역류 소견을 보였다.

Water-siphon test 상 민감도는 인후두 역류 군과 위식도 역류 군에서 각각 90.0%와 89.3%, 특이도는 45.4%를 보였다 (Table 4).

1950년대에 현대식 식도내압검사(manometry) 및 1962년 에 잘 휘어지는 광섬유 식도내시경 (flexible fiberoptic esophagoscope)의 개발 그리고 식도 pH-metry 등의 도입과 더불어 연하작용에 대한 복합적인 신경생리 및 이와 관련된 역 류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 함으로서, 위식도 역류 진단의 민 감도와 특이도가 많이 향상되었다(10-13). Dodds 등(13)은 위식도 역류의 기전으로 3가지를 제시했는데 첫째는 하부식도 괄약근의 일시적 이완, 둘째 복압의 일시적 증가, 셋째 임의적 인 발생 등이다. 이외에 제시된 역류의 원인 적인 요소로는 체 위, 위 내압, 횡경막 식도열공의 이완 및 식도 단축 등이 있다 (14).

특별한 원인 없이 항상 목이 답답하고 이물감을 느끼며, 만 성기침을 잘 동반하는 인후두부 이상 감증(globus pharyngeus) 은 이비인후과 의사가 외래에서 흔히 접하는 증상 군으로, 과 거에는 인후두 신경증(neurotic globus)으로 불리던 질환으로 단순히 신경증에 속하는 질환으로 여겨져 왔으나 현재는 위식 도 역류가 중요한 원인으로 제시되어, 인후두 역류 질환의 원 인으로 위식도 역류의 중요성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강조되 고 있다(15-18).

인후두 역류 질환을 일으키는 기전으로는 크게 두 가지 가 설이 받아 들여 지고 있다. 첫 번째 가설은 위산이 인후두로 직접적인 역류 현상이 일어나 침과 섞이어 미세하게 후두와 기 관으로 유입되어 증상을 유발하는 미세 흡인 설이며, 두 번째 가설은 식도와 기관지 사이에 미주신경 관여 반사작용(vagus nerve-mediated reflex)이 존재하여 식도 내로 유입된 위산 이 식도 점막의 산에 예민한 수용체를 자극하여 반사작용이 유 발되고 이로 인하여 인두 이물감, 만성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 난다는 것이다(19).

인후두 역류 질환의 진단은 특징적인 인후두 역류 증상의 병

Table 3. Results of Water-siphon Test

LPR group GER group Control group

Normal 071 (10.0%) 013 (10.7%) 147 (45.4%)

Mild GER 207 (29.2%) 032 (26.2%) 078 (24.1%)

Moderate GER 201 (28.4%) 033 (27.0%) 033 (10.2%)

Severe GER 228 (32.2%) 044 (36.1%) 066 (20.4%)

Total 707 122 324

LPR: laryngopharyngeal reflux, GER: gastroesophageal reflux

Table 4.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Water-siphon Test

LPR group GER group Control group

WST (+) 636 (90.0%) 109 (89.3%) 177 (54.6%)

WST ( - ) 071 (10.0%) 013 (10.7%) 147 (45.4%)

Total 707 122 324

WST: water-siphon test, LPR: laryngopharyngeal reflux, GER: gastroesophageal reflux Fig. 2. Results of water-siphon test, LPRG: laryngopharyngeal

reflux group, GERG: gastroesophageal reflux group, CG: con- trol group, GER: gastroesophageal reflux

(4)

력 확인과 객관적인 위식도인후두 역류의 증명이다. 인후두 역 류 증상으로는 목의 이물감, 인두통, 만성기침, 그리고 연하곤 란 등이 있으며, 이때 이학적 검사를 통해 만성 부비동염, 후 두의 구조적 이상, 전신 질환 등의 다른 질환들을 배제하는 것 이 중요하다(20).

객관적으로 인후두 역류를 증명 할 수 있는 진단 방법으로 는 서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pH-metry 가 민감도와 특이도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3, 4). 비록 이 검사가 인후두 역류의 표준 검사로 인정 받고 있지만, pH 탐촉자(pH probe)의 수와 적절한 위치, 그리고 결 과 판독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21). Postma 등(3)은 pH- metry의 인두 탐촉으로 인후두 역류가 증명된 334명의 환자 중 126명(38%)에서 정상 식도 탐촉 소견을 보였는데, 이것은 식도에서 정상범위의 역류가 있다 하더라도 역류된 소량의 위 산이 인두로 역류하여 인후두 역류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 하여, pH-metry 검사시 인두 탐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 다. 즉 식도에서 비정상 적인 범위의 역류가 없다 하더라도 인 후두 역류를 배제할 수 없다. Woo 등(22)은 pH-metry가 인 후두 역류 질환의 진단에 절대 적인 것은 아니라고 보고하였 는데, 즉 개인들 마다 식도 와 인후두의 민감도 차이에 따라, pH-metry 상 비 정상 소견을 보여도 환자의 증상이나 다른 검사상 정상 일 수 있으며, 반대로 pH-metry상 정상 범위 인 경우도 인후두 역류의 증상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pH-metry가 일반적으로 위식도인후두 역류를 검출하는 가 장 신뢰 있는 검사방법 이지만 여러가지 단점이 있는데, 역류 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24시간 검사중 활동의 제약 을 받으며, 검사방법이 약간 침습적이고, 그리고 식도조영술에 비해 검사비가 비싸다(8). 역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는 pH 탐촉자의 잘못된 위치선정, 식후 음식에 의한 위산의 중화, 음 식, 점액 등의 방해에 의한 탐촉자 와 역류된 위산의 불충분한 접촉, 그리고 감산증(hypochlorhydria) 등이 있다(8). 본 연구 의 위식도 역류 군은 pH-metry의 식도 탐촉자로 위식도 역 류가 증명된 경우로, 인두 탐촉자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후두 역류로 확진된 환자는 아니다. 그러나 인후두 역류의 기전이 아직 확실치 않아, 상기의 제시한 가설 중 첫번째 가설 에 따르면 본 연구의 위식도 역류 군중 인후두 역류가 없는 경 우도 있을 수 있으며, 두번째 가설에 따르면 환자 대부분이 인 후두 역류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도조영술은 식도의 형태와 기능을 볼 수 있는 검사이다.

바리움을 삼키는 과정을 투시로 관찰하면 식도의 운동에 의해 바리움이 원위 부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위로 넘어간 바리움이 식도로 역류 및 다시 위로의 이동도 볼 수 있 다. 위식도 역류는 식도조영술 상 위에서 식도로 바리움의 역 행 이동에 의해서 나타나며, 역류의 정도는 역류된 바리움이 식도의 어느 높이까지 올라 가는 지에 따라 결정된다(23). 소 량의 바리움이 위에서 하부 식도로 역류하여 곧 다시 위로 내 려가는 경우는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다(24). 그러나 이 경 우 인후두 역류 증상이 있을 수도 있어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는 이견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 에서도 인후두 역류 군 중

29.2%에서 소량의 바리움이 하부 식도로 역류하는 경도의 위 식도 역류를 보였지만 이들은 인후두 역류 증상을 보인 환자 이다.

식도조영술상 역류는 저절로 일어날 수 있고, 복부 압박, 기 침, Valsalva 운동, water-siphon test와 같은 역류를 유발시 키는 조작을 통해 일어날 수도 있다. Water-siphon test는 식 도조영술 중 어느 시기에 물을 빨대로 지속적으로 마시게 하 여 자극을 줌으로서 역류의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다(7, 8).

Water-siphon test는 단순 식도조영술(single contrast esophagography)후 먼저 환자를 반드시 눕힌 자세에서 왼쪽 으로 몸을 한 번 돌려서 위에 들어있는 바리움을 위 기저부로 옮긴후, 빨대를 통해 물을 마시게 하면서 환자를 천천히 우측 으로 돌려 바리움이 위 동으로 흐르게 하면서 투시로 역류의 유무를 관찰한다. 상기의 자세는 하부식도괄약근을 이완 시켜 줌으로서 역류를 좀 더 용이하게 해준다(8).

위식도 역류 진단시 식도조영술의 역할에 대해서 이견이 있 다(7, 8, 24). 위식도 역류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식도조영 술을 통한 역류의 검출율은 20-73%(평균 39%)로 다양 하게 보고 되고 있다(6-9). 이러한 다양한 검출율은 유발 자극 검 사의 병행 유무와 관련이 있는데, 높은 검출률은 water-siphon test와 같은 유발 자극 검사와 병행해서 식도조영술을 시행하 여 역류의 민감도를 높인 것이다(24).

Thomson 등(8)은 위식도 역류가 의심되는 117 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pH-metry와 식도조영술의 비교 연구에서 water-siphon test의 민감도 와 특이도를 각각 70% 및 74%

로 보고하여 이전보다 월등히 좋은 결과를 보고했다. 그 이유 는 유발자극 즉 Valsalva 운동, water-siphon test 등의 역류 를 유발 시키는 조작을 겸한 식도조영술을 시행하였기 때문이 다. 본 연구에서도 water-siphon test 에 의한 위식도 역류의 민감도는 인후두 역류 군 90.0%, 위식도 역류 군 89.3%로, Thompson의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민감도는 더 높게 나왔 다.

Ott(23)는 소량의 바리움이 하부 식도로 역류하여 곧 다시 위로 내려가는 경우는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는데, 그의 주장에 따르면 본 연구의 결과 중 경도의 역류는 많은 부 분이 여기에 해당되어 이를 제외한 중등도 및 고도의 역류 만 을 의미 있는 역류로 보았을 때 민감도는 인후두 역류 군 60.6%, 위식도 역류 군 63.1%로 떨어진다. 그러나 Postma 등 (3)과 Little 등(25)은 인후두 역류가 확인된 환자중 각각 38%

및 46%에서 pH-metry의 하부 식도 탐촉자에서 소량의 역류 를 보였다. 즉 하부 식도에서 소량의 역류가 있어도 인후두 역 류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 하는 것이며, 또한 Koufman (14) 의 지적처럼 인후두 역류 질환에서 위식도 역류 질환 환자와 달리 식도염 및 흉통 등이 드물다는 것은 인후두 역류 질환은 하부 식도에 소량의 역류 만으로도 생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식도조영술의 민감도는 경도의 역류도 의미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면 본 연구의 위식도인후두 역류의 식도조영술의 민감도는 지금 까지 발표된 가장 높은 민감도(73%, 9) 보다 더 높은 민감도

(5)

를 보인다.

향후, 이중 탐촉 pH-metry(dual probe pH-metry)와 water-siphon test를 같은 환자에게 시행하여 water-siphon test의 양성 기준을 좀 더 객관화 해서, 민감도와 특이도를 올 릴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pH-metry와 water- siphon test를 122명에서 같이 시행하여 water-siphon test의 민감도는 89.3%를 보였으나, pH-metry는 이중 탐촉 pH- metry(dual probe pH-metry)가 아닌 식도 탐촉자 만으로 위 식도 역류를 확인한 환자였다. 또한 water-siphon test의 시 행 방법을 일반화 하여 객관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다. 본 연구에서 발포제를 먹이고 난 후에 water-siphon test 를 시행한 603명을 대상에서 제외하였는데, 발포제를 먹이면 약리적으로 기포가 많이 생겨 트림이 심하게 나타나 트림과 역 류를 구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식도조영술은 쉽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고, 검 사비가 저렴한 단순명확한 검사 방법이다. Water-siphon test 를 겸하여 시행하면, 이전의 연구에서 제시된 낮은 민감도를 극복 할 수 있어 인후두 역류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일차 선별 검사로서 유용한 검사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Choi HS.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The 2nd digestive dis- ease research lecture. Korea University Digestive Research Institute 1999:25-32

2. Chen MY, Ott DJ, Koufman JA. Correlation of laryngeal and pha- ryngeal carcinomas and 24-hour pH monitoring of the esophagus and pharynx.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1:168-172 3. Postma GN, Belafsky PC, Aviv JE, Koufman JA. Laryngopharyngeal

reflux testing. Ear Nose Throat J 2002;81(9 Suppl 2):14-18

4. Johnson PE, Koufman JA, Nowak LJ, Belafsky PC, Postma GN.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the importance of manometry. Laryngoscope 2001;111:1970-1975

5. Ahn CM, Kim MR, Chung D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 cacy of ranitidine and rabeprazole in reflux laryngitis. Korean J Otolaryngol 2003;46:513-519

6. Kaul B, Petersen H, Myrvold HE, Grette K, Roysland P, Halvorsen T. Hiatus hernia in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1986;21:31-34

7. Sellar RJ, De Caestecker JS, Heading RC. Barium radiology: a sen- sitive test for gastro-oesophageal reflux. Clin Radiol 1987;38:303- 307

8. Thompson JK, Koehler RE, Richter JE. Detection of gastroe-

sophageal reflux: value of barium studies compared with 24-hr pH monitoring. AJR Am J Roentgenol 1994;162:621-626

9. Christiansen T, Ravnsbaek J, Tottrup A, Funch-Jensen P, Thommesen P. Detection of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clinical value of a barium exanimation after food stimulation. Acta Radiol Diagn (Stockh) 1986;27:297-299

10. Code CF, Fyke FE Jr, Schlegel JF. The gastroesophageal sphincter in healthy human beings. Gastroenterologia 1956;86:135-150 11. Lopresti PA, Hilmi AM. Clinical experience with a new foroblique

fiber optic esophagoscope. Am J Dig Dis 1964;35:690-697

12. DeMeester TR, Johnson LF. The evaluation of objective measure- ments of gastroesophageal reflux and their contribution to patient management. Surg Clin North Am 1976;56:39-53

13. Dodds WJ, Dent J, Hogan WJ, Helm JF, Hauser R, Patel GK, et al.

Mechanisms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N Engl J Med 1982;307:1547-1552

14. Koufman JA. Gastroesophgeal reflux disease. 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Krause CJ, Richardson MA, Schuller DE, ed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3rd ed. St. Louis : Mosby year book, 1998:2411-2442

15. Batch AJ. Globus pharyngeus (part I). J Laryngol Otol 1988;102:

152-158

16. Freeland AP, Adran GM, Emrys-Roberts E. Globus hystericus and reflux oesophagitis. J Laryngol Otol 1974;88:1025-1031

17. Delahunty JE, Ardran GM. Globus hystericus-a manifestation of reflux oesophagitis? J Laryngol Otol 1970;84:1049-1054

18. Jang TY, Lee SC, Park IY, Kim GR, Jang HS. Globus syndrome:

Clinical aspects and video-esophagogram. Korean J Otolaryngol 1988;31:321

19. Choi HS, Ko JW, Kim KM, Kim KH, Kim MS, Kim YM, et al.

Efficacy profile of cisapride in laryngopharyngeal reflux (LPR)-re- lated symptoms. Korean J Speech Sciences 1998;9:115-127

20. Devault KR. Overview of therapy for the extraesophageal manifes- tation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m J Gastroenterol 2000;

95(8 Suppl):S39-44

21. Postma GN. Ambulatory pH monitoring methodology. Ann Otol Rhinol Laryngol Suppl 2000;184:10-14

22. Woo P, Noordzij P, Ross JA. Association of esophageal reflux and globus symptom: comparason of laryngoscopy and 24-hour pH manometr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15:502-507 23. Ott DJ.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Radiol Clin North Am

1994;32:1147-1166

24. Ott DJ. Gastroesophageal reflux: what is the role of barim studies?

AJR Am J Roentgenol 1994;162:627-629

25. Little JP, Matthews BL, Glock MS, Koufman JA, Reboussin DM, Loughlin CJ, et al. Extraesophageal pediatric reflux: 24-hour dou- ble-probe pH monitoring in 222 children. Ann Otol Rhinol Laryngol Suppl 1997;169:1-16

(6)

J Korean Radiol Soc 2006;54:283-288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Tae-Hoon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16-5 Anseodong Cheonan, Chungnam 330-715, Korea

Tel. 82-41-550-6921 Fax. 82-41-552-9674 E-mail: radiology@dankook.ac.kr

The Usefulness of Esophagography as a Screening Test for Laryngopharyngeal Reflux

1

Tae Hoon Kim, M.D., Phil Sang Chung, M.D.2

1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Purpose: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the role of barium esophagography for the diagnosis of gastroe- sophageal reflux disease. However, there are only rare articles reporting on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performing esophagography with the water-siphon test as an initial screening test for patients with suspected laryngopharyngeal reflux.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2 to December 2004, barium esophagography with the water- siphon test was performed for 707 patients who had the typical symptoms and telescopic findings of laryn- gopharyngeal reflux. The results of the 707 esophagograms (the group with laryngopharyngeal reflux)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22 patients who were confirmed as having gastroesophageal reflux upon performing pH-metry (the group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and the 324 patients without laryngopharyngeal reflux symptoms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water-siphon test were classified into normal, mild, moderate and severe degrees of gastroesophageal reflux.

Results: On the water-siphon test for the laryngopharyneal reflux group patients, 71 patients had normal (10.0%), 207 had mild (29.2%), 201 had moderate (28.4%) and 228 had severe (32.2%) degrees of reflux. The positive rates of the water-siphon test were 90.0%, 89.3% and 54.6% for the groups with laryngopharyngeal reflux, gastroesophageal reflux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 served between the group with laryngopharyngeal reflux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group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Esophagography with the water-siphon test is useful as an initial screening test for laryngopha- ryngeal reflux disease.

Index words :Esophagus, reflux Pharynx, abnormalities Barium

수치

Table 2. Telescopic Findings of LPR
Table 3. Results of Water-siphon Test

참조

관련 문서

44 글의 첫 번째 문장인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oat Race is harmony and teamwork.을 통해 Boat Race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 화와 팀워크임을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 quadriceps tendon 이 슬개골 하연에서 tibial tuberocity에 부착.

In the chapters of Journey of Renewal that describe the Mission Accountability Framework there will be flashbacks to the story of Richmond Corps, showing clearly how

SigmaNEST 펀칭 파워팩 제품 관리, 자동 다이나믹™ 배 열 및 펀칭 툴 관리를 갖춘 터렛 펀칭 프로그래밍을 위한 가장 완벽하고 최적화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body mass index, and waist measurement as indexes of obesity.. For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