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Copied!
3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이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에서 발췌 정리한 것임.

2018, Vol. 34, No. 1, pp.1-33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 2007-2017년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박 지 윤(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학생) 이 병 인(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요 약>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자폐성장애영유아와 관련된 실험연구에 관 한 논문을 분석하여 자폐성장애 영유아를 위한 조기지원과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하고 적용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자폐성장애 영유아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 구문제는 첫째,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의 일반적 특성(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 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의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의 동향을 어 떠한가?’로 선정하였다. 이에 논문 72편을 분석논문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일반적 특성(대상, 환경, 실 험설계)과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72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은 59 편(81.9%)로 유아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환경으로는 23편(31.9%)로 교실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실험설 계는 20편(27.8%)로 단일대상연구인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립변인(중재 방법)은 22편(30.6%)로 인간관계중심 중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은 24편(27.6%)로 사 회성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다 양한 연구들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이를 통해 자폐성장애 영유 아와 관련된 과학적기반의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주제어> 자폐성장애 영유아, 실험 연구, 연구 동향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자폐성장애의 출현울이 증가함에 따라 자폐관련 영화, 드라마, 도서, 다큐멘터리 등 다 양한 매체에서 자폐성장애에 대해 다루면서 자폐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2005년에 개봉 한 영화 ‘말아톤’을 계기로 2006년 1월 자폐성장애인들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자폐성장애에 의 해 영향 받는 지역사회구성원들의 사회통합과 삶의 질을 향상, 복지증진 등을 목적으로 사단법 인 한국자폐인사랑협회 (ASK: Autism Society of Korea)가 설립되었다(김은경, 김은경, 2006). 또한 2013년 드라마 “굿 닥터”에서 자폐성장애인 주인공이 나오면서 자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증 가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얻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자폐성 장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자폐성장애를 위한 교육 및 지원의 중요성까지 대두되고 있다(김건희, 조정민, 임미향, 진미영, 심선경, 2011). 이와 같은 관심에 따라 2007년 새 롭게 재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자폐성장애를 특수교육대상자로 규정하는 등, 자폐성장애를 조금 더 정확하게 진단하고 판별하며 교육하기 위한 노력으로 연결되어 왔다 (이소현, 이수정, 2012).

자폐성장애는 생물학적 근거에 의한 신경 발달적 장애로 3세 이전에 나타나는 장애로 (Poustka, 2007), 영아시기에 조기발견이 가능해지는 등의 장애진단 연령이 계속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Crane & Winsler, 2008). 교육의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자폐성장애 영유아에게 더욱 긍정적인 성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조기발견에 따른 조기교육․중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 고 있다(이소현, 이수정, 윤선아, 2013). 이소현(1994)에 따르면, 자폐성장애로 진단 받은 다음 바 로 조기중재를 시작해야 하는 것은 실제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소들에 의해 그 필요성이 더 욱 강조되고 있다. 첫째로 자폐성장애 영유아가 비생산적이고 자신의 성장발달이나 주변 환경 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기 전에, 이러한 행동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교 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비효율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발전 시기키 전에 바 람직하고 효율적인 형태의 기능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습득 시킬 수 있다. 세 번째로, 가족들이 영유아의 자폐적 특성에 긍정적으로 적응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가정을 통한 사회적인 관계 를 구성하고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부모교육을 통하여 지역사 회와 가정에서 자폐성장애 영유아의 교사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자폐성장애 교육을 위한 결정적 시기로 어느 특정 나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조기 교육 및 중 재가 늦게 시작하는 것 보다 더 효과적이다(이소현, 1994).

자폐성 장애영유아를 위한 조기교육 및 중재는 장애의 발견, 조기 개입, 종합적인 교육프로 그램, 구체적인 교수전략 등의 접근이 과학적 실제를 기반으로 한 교육일 때 더욱 효과적이며

(3)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이소현, 이수정, 2012). 과학적 기반의 실제(scientifically based practice)란 연구기반의 실제(research based practice) 또는 증거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라 고 불리기도 하는데, 임상적 효율성 및 효과성이 반복적으로 확인된 중재방법의 사용을 일컫는 다. 이는 여러 건의 질 높은 연구를 통해 특정 장애영역, 또는 연령자의 학습자들이 교육적 성 과를 얻도록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라고 입증된 실제(practice)를 말한다. 다시 말해, 과학적인 방 법을 통하여 일정기준을 만족시키며, 그 성과가 입증된 방법론적인 전략을 의미한다(이소현, 박 은혜, 2011). 특수교육에서 과학적 기반의 실제의 효과성은 이미 잘 입증되어있는 부분이며 (Odom, Brown, Frey, Karasu, Smith-Canter & Strain, 2003), 특히 자폐성장애 영유아에 대한 접근에 있어 과학적 기반의 실제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이소현, 이수정, 2012). 자폐성장애 영유아를 교 육하는데 있어 교육적 내용과 방법을 연구기반의 실제로 구축해야한다. 이에 과학적인 방법으 로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려고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자폐성장애 영유아에 관련된 다양 한 형태의 실험연구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응용학문인 특수교육에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이소현, 이수정, 2012), 자 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중재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김은경, 김은경, 2006). 또한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문헌분석 연구들도 발표되고 있지만, 그 연구의 수는 미비하다. 최근 10년간 자폐성장애 와 관련된 문헌분석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에 관련된 국내 문헌분석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하고 있었다(김은경, 방명애, 박현옥, 2014; 김은경, 김은경, 2006).

이소현, 이수정(2012)은 연령을 영유아로 한정하여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한 가지 중재방법의 문헌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최하영(2010)은 자폐성 장 애아동을 위한 실험연구 중심의 의사소통체계적용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희란과 이승복(2013) 은 자폐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몸짓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종희, 김은경(2013)은 자 폐성장애 아동의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 연구를 문헌 분석하였으며, 셋째, 김영란, 이병인 (2007)은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활동을 분석하였지만, 자폐성장애 뿐만 아니라 모든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대부분의 문헌분석연구들은 한 가지 중재방법만의 문헌분석이 주 를 이루거나, 영유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하여 자폐성장애 영유아의 실험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동향은 파악하기 어렵다. 이소현과 이수정(2012)은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분석을 하면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간의 기능적 관계를 입증하고자 실험설계를 적용 한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지만 관련 연구는 대체로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로 제정된 2007년에서 2017년 9월 까지 이루어진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자폐성 장애 영유아를 위한 조기지원과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며 향후 자폐성장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4)

2. 연구 문제

첫째,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의 일반적 특성(연구 대상, 연구 환경, 실험 설계)은 어떠한가?

둘째,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의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의 동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자폐성장 애 영유아를 위한 조기지원과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며 향후 자폐성장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 라 분석 대상 논문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선정하였다. 객관적인 질적 수준의 논문 선정을 위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홈페이지에서 등재(후보)학술지 목록을 다운받아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를 파악한 후에 등재 및 등재후보지로 제한하여 논문을 선정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자폐성장애 영유아로 선정했으며, DSM-Ⅳ에 의하면 전반적발달장애 안에 자폐성장애가 포함되므로, 전반적발달장애(PDD)는 포함하였다. 또한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 이 있는 교사, 부모를 포함하였다.

셋째, 영유아의 연령은 유아교육법 제2조(정의) 1항의 ‘유아란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까지의 어린이를 말한다.’와 영유아보육법 제2조(정의) 1항 ‘영유아란 6세 미만의 취학전 아동을 말한다.’에 준거하여 ‘만6세 미만의 취학 전’ 연령으로 제한하였다. 단, 노은호, 김은경(2010)의 논문의 대상아동은 만 7세이나, 초등학교를 유예하여 어린이집 통합반에 재원 중으로 대상은

‘취학 전’에 해당한다. 이에 분석논문으로 포함하였다.

넷째,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논문의 연구방법 중 실험연구를 분석대상논문으로 삼았 다. 즉, 실험연구 중 자폐성장애 영유아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집단설계연구의 경우 다른 장애영역과 혼합되어 있는 연구는 분석논문에서 제외하였다.

다섯째, 2007년부터 최근 2017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선정하였다. 2007년을 선정기준으로 설정한 이유는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공포되면서 자폐성장 애가 특수교육대상자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2007년 이후, 최근까지의 논문을 선정하여 자폐성장애에 대한 연구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5)

여섯째, 논문 대상 중 원문보기제공이 중단된 논문은 한국학술정보원 원문 열람 활용여부동 의 선택에 따라 후속연구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분석논문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자료 수집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RISS(KERIS 학술정보 서비스), 국가과학기술전 자도서관, 국내학술지 뉴논문, DBpia, KISS, 모아진을 이용하여 최근 2007년부터 2017년 9월 까 지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에 관련하여 필요한 논문을 수집하였다. 검색을 할 때 1차 검색 으로는 ‘자폐’, ‘전반적장애’, ‘아스퍼거’, ‘발달장애’ 등을 주제어로 1차 검색을 하고 결과 내 검 색으로 ‘아동’, ‘유아’를 분류하여 자료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그 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한국 자폐학회 홈페이지에서 실험연구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와 같은 단계를 거쳐 자료수집의 결과 총 72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의 국 내학술지/발표연도별 추이는 아래 <표 1>과 같으며, 학술지/발표연도의 추세에 관련된 그래프 는 아래 <그림 1>에 제시되었다.

발표년도

학술지명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계(%)

1 교육혁신연구 - - - 1 - - 1(1.4%)

2 놀이치료연구 1 - - 1 - - - 2(2.8%)

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1 - - 1 - - 1 - 1 4(5.6%)

4 미술치료연구 2 - - - 2(2.8%)

5 발달장애연구 - - - 1 1 - 2(2.8%)

6 아동복지연구 - 1 - - - 1(1.4%)

7 언어치료연구 1 - - - - 1 - - - 1 - 3(4.2%)

8 예술심리치료연구 - - - 1 - - - 1(1.4%)

9 유아특수교육연구 1 3 - - - - 1 1 2 - 2 10(13.9%)

10 자폐성장애연구 2 - 2 2 1 1 1 1 - 2 - 12(16.7%)

11 재활심리연구 - - - 1 - - - 1(1.4%)

12 정서․행동장애연구 3 1 - 1 - 2 - - - 2 - 9(12.5%)

13 정신간호학회지 1 - - - 1(1.4%)

14 특수교육 1 - - - 1(1.4%)

15 특수교육연구 - - 1 - - 1 - - - 2(2.8%)

<표 1> 학술지/발표연도별 논문 수(%)

(6)

발표년도

학술지명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계(%)

16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 2 1 - - 1 - - - - 1 - 5(6.9%)

17 특수교육저널 1 - - - - 1 - - - 1 - 3(4.2%)

18 특수교육학연구 - - - 1 - - - - 1(1.4%)

19 특수아동교육연구 - - - 1 - - 1 - - 1 - 3(4.2%)

20 한국보육학회지 - - - 1 - - - 1(1.4%)

21 한국아동심리치료

학회지 - - - 1 - - - 1(1.4%)

2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 - - 1 - - 1(1.4%)

23 한국웰니스학회지 - - - 1 1(1.4%)

24 한국융합학회 - - - 1 - - - 1(1.4%)

25 한국음악치료학회지 - - 1 - - - 1(1.4%)

26 한국체육과학회지 - 1 - - 1 - - - 2(2.8%)

계 (%) 15

(20.8) 7 (9.7)

5 (6.9)

7 (9.7)

3 (4.2)

9 (12.5)

4 (5.6)

3 (4.2)

6 (8.3)

10 (13.9)

4 (5.6)

72 (100%)

<표 1> 학술지/발표연도별 논문 수(%) (계속)

<그림 1> 발표 연도별 논문 수 그래프

3. 분석 기준과 방법

본 연구에서 선정논문으로 선택된 실험논문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 다. 연구문제에 제시된 것과 같이 5개의 분석변인을 도출하였다: (1) 연구대상, (2) 연구환경, (3) 실험설계, (4) 독립변인, (5) 종속변인. 이어서 연구자가 총 72편의 논문을 분석한 후 2가지 큰 분석영역으로 구성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제시의 2가지 분석영역은 (1)실험연구의 일반 적 특성(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2)실험연구의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으로 나누어 제시하 였다.

(7)

실험설계 분석기준은 이소현, 이수정(2012)에서의 실험설계연구 분류 체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대상논문을 살펴본 후,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 설계방법을 추가하였으며, 중다기초 선설계와 중다간헐기초선설계는 대상자간, 상황간, 행동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 류 기준은 아래 <표 2>와 같다.

집단설계연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 사전사후 검사설계

중다기초선 설계

대상자간 상황간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대상자간 상황간 행동간 AB 설계

ABA 설계 ABAB 설계

<표 2> 실험설계에 따른 분류기준

독립변인은 Simpson(2005)의 실험연구 분류기준에 따라 인간관계중심 중재, 기술중심 중재, 인 지적 중재, 생리학적․생물학적․신경학적 중재, 치료 및 기타중재로 총 5가지 범주에 따라 분 류를 하였으며, 구제척인 분류기준은 아래 <표 3>과 같다.

인간관계중심 중재 안아주기치료, 온화한교수, 선택하기방법 (썬라이즈 프로그램), 발달/개인차/관계- 중심모델(마루놀이), 놀이 - 중심의 전략, 애완동물/동물치료, 관계개발중재 등

기술중심 중재

그림교환의사소통 체계, 우발교수, 촉진적 의사소통, 보조공학, 밴다이크 교육과 정접근, 응용행동분석,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공동행동일과, 단어훈련게임, 중심 축반응훈련, 구조화된 교수 등

인지적 중재 인지행동수정, 인지학습전략, 인지적 스크립트, 상황이야기, 파워카드, 만화, 사회 적의사-결정 전략, 학습경험: 유아와 부모들을 위한 대안 프로그램 등

생리학적․생물학적․

신경학적 중재 광과민성 증후군, 감각통합, 청각통합훈련, 대용량비타민치료, 약물치료 등 치료 및 기타 중재 미술치료, 음악치료, 수은: 백신접종과 자폐, 칸디다: 자폐와의 관계, 글루텐-카세

인 저항 등

Richard L. Simpson외(2005). 자폐범주성장애: 중재와 치료(이소현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표 3> 독립변인 분류기준

(8)

종속변인은 미국의 증거기반실제 연구진(Evidence Based Practice: EBP)의 성과영역기준(Wong et al., 2013)을 수정․보완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류 기준은 아래 <표 4>에 제시하였다.

아동 성과

사회성 사회적 상호작용,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자발적인 사회적행동, 친사 회적행동, 눈맞춤 등

의사소통 의사소통기술,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행동, 의사소통기능습득, 자발화, 반향어, 어휘력향상, 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이해력, 자발적 질문하기 등 운동 대근육운동 발달, 자세조절, 손기능, 눈-손 협응력, 운동모방, 신체모방,

운동능력, 행동발달, 감각조절 등

인지 행동모방능력, 시각적인지, 인지발달, 새로운 행동 습득 등 정서 정서표현, 충동성, 감정표현능력 등

문제행동 소리지르기행동, 수업방해행동, 주의집중, 착석행동, 물건던지기행동 등 활동참여 자발적 놀이 참여, 사회적 놀이수준 등

공동관심 공동관심선행기술, 공동관심행동, 상호주의하기 행동 등 적응행동 일상생활, 일반화 등

학교준비기술 한자리수 덧셈뺄셈 등

기타 혈중 면역글로블린, 자폐증상 감소 등 가족

성과

스트레스 및 효능감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등

모-아 상호작용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어머니와 대화차례 주고받기 등 미국의 증거기반실제 연구진(EBP)의 성과영역기준(Wong et al,. 2013)

<표 4> 종속변인 분류기준

4. 자료 분석 및 분석자간 일치도

본 연구의 자료분석 및 분석자간 일치도를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 변인별로 기술 분석 을 실시하였다. 분석자간 일치도를 위해 연구자는 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보조분석자에 대한 훈련을 실시하였다. 분석훈련은 보조분석자가 논문분석에 대해 충분히 논의한 후 분석기 준에 대해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5편의 논문에 대해 사전분석을 실시했다.

분석논문의 약 31.9%에 해당하는 23편의 연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자와 보조분석자가 독립적으로 분석한 후 일치여부 비교하였다. 분석자간 일치도는 ‘(일치된 분석단위 수/전체분석 단위 수)X100’으로 산출하였으며, 산출한 결과 분석자간 일치도는 95.6%로 나타났다.

(9)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1

강명희, 이장규, 고석중

(2008)

취학 전 자폐

남 8명 실험실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중강도 유산소운동 혈중 면역글로블린

2 강은희

(2012)

4-6세 자폐 남 3명

개별 언어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제스쳐중재 자발적구어

3

강은희, 강수균

(2007)

4-6세 자폐 남 6명

통합어린이집 내 언어

치료실

ABA 설계 구조화된 촉진전략

프로그램 의사소통능력

4

강은희, 박선희

(2007)

4-6세 자폐 남 3명

통합어린이집 내 언어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중재

의사소통행동

5

강지원, 이지경

(2009)

만4세 자폐

2명 특수학급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시각흔적 따라가기 중재

움직이는 사물시간인지와 시각적 습득능력

6

구현진, 이효신

(2012)

4세 자폐

남 1명 어린이집 교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로봇 자극 상호작용

7

권소영, 이병인 (2015)

31개월 자폐성향, 발달지체

남 1명

사설 클리닉

놀이실 ABAB 설계 긍정적 행동지원 소리지르기행동, 사회적상호작용

8 김경민

(2014)

만4-5세

자폐 남자 2명 애견카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매개견 활용 부모 중재 프로그램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

9 김기옥

(2007)

만3-6세 자폐 3명 (성별X)

학급 자유놀이 선택활동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자발화

10

김미영,김 은경 (2012)

만4-5세

PDD 여자 2명 사설클리닉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동기절차와 결합한 질문하기 중재

자발적 질문하기, 어휘습득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

(10)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11

김소영, 송병호

(2010)

만3-7세 자폐 18명 (남14명, 여4명)

치료실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무게감 있는 조끼 일상생활

12

김영아, 정대영

(2010)

3-5세 자폐

남1명, 여1명 학급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긍정적 행동지원 수업방해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13

김영아, 정대영

(2013)

만4-5세 자폐 남2명 여1명

학급 자유놀이 선택활동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부모-교사 협력을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문제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14

김영익, 권순우

(2016)

4세 자폐 3명

(성별X) 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감각통합 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

의사소통기능, 상동행동 감소

15

김은실,주 세진 (2013)

만24개월- 48개월 자폐아동과 어머니 11쌍

-

단일사례 사전사후 검사설계

母-兒 애착 증진프로그램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6 김일명 (2016)

5세 전반적 발달장애 남1명

심리운동실, 작업치료실

단일사례 사전사후 검사설계

심리운동 대근육운동 발달

17 김지현 (2017)

만5세 자폐 남1명

학급 자유놀이

선택활동 AB 설계 보드게임활동 한자리수

덧셈뺄셈

18 김진선 (2008)

만5세 자폐 남1명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보육실

단일사례 사전사후 검사설계

유아마사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19

김해선, 김은경, 전상신

(2016)

만5세 자폐

남1명 치료실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

상황이야기 중재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

20

김호년, 도명애

(2012)

만4-5세 자폐 남3명

어린이집

역할놀이실 ABA 설계 또래중재 역할놀이 사회적 행동

21

남보람, 이소현

(2014)

30개월이하 자폐 영아 남3명

각 가정 놀이하는 공간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활동

공동관심 선행기술, 공동관심 행동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1)

(11)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22

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만4-6세 전반적발달장애

10명 (남6명, 여4명)

-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감각통합치료 자세 조절, 손 기능

23

노은호, 김은경

(2010)

만7세 (초등학교유예) 자폐성 장애1명

(성별x)

보육실 ABAB 설계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자발화, 반향어

24

도명애, 김성애

(2007)

만4-5세 자폐 남3명

어린이집

통합학급 AB 설계 역할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참여

25

문혜숙, 김계진

(2008)

만5-7세 자폐

남2명 여1명 -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보완대체

의사소통중재 자발어

26

문회원, 박지연

(2008)

만5-7세 자폐

남3명 가정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

저녁일과시간에 발생하는 문제행동

27

박윤이, 박수현, 유은영, 이지연

(2012)

만4-7세 자폐

남3명 특수학급 ABAB 설계 공의자적용

교실 내 문제행동, 주의집중 및

착석 행동

28

박은선, 조윤경

(2015)

만4-5세 자폐 남3명

완전통합 교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비디오-자기 모델링 중재

자유선택활동 또래상호작용

29

박정민, 김병철

(2015)

만4세 전반적발달장애

남1명

미술 치료실

단일사례 사전사후 검사설계

미술치료 자기표현력증진, 눈-손 협응력

30

박주연, 이병인

(2007)

만5.5세 자폐 남1명

유치원

치료실과 교실 ABA 설계

기능평가를 통한 선호재료선택

미술활동

물건던지기 행동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2)

(12)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31

박혜숙, 김현옥, 안효민, 김다윤, 서동수 (2016)

3-4세 자폐유아

모 3명 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교사수행 정확도 및 능숙도 척도를

이용한 비디오자기점검

절차

부모에 의해 실행되는 개별시도 훈련법수행

32

백보경, 황상심

(2013)

만4-6세 자폐

남3명 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집착사물을 이용한

중재활동 어휘력향상

33

봉귀영, 이소현

(2013)

만2세-4세 자폐아동, 다문화엄마3쌍

놀이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중심의 부모교육프로그램

다문화 가정 내 자폐범주성 장애

유아의 모와 상호작용

34

상지연, 김은경

(2009)

3세 자폐

남1명 교실 AB 설계 그림교환

의사소통체계

자발적 사물요구하기 기능습득, 일반화

35

서소희, 최외선

(2007)

만5.5세 자폐 여1명

특수아동 교육원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설

특수교육을 병행한 풍경구성법 그리기

인지 및 사회적 상호작용

36

송유하, 박지연

(2008)

만5-6세 자폐

남3명 교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37 송호준 (2012)

만6-7세 자폐 남3명

발달 센터 심리

운동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

운동모방 및 자발적 언어행동

38 송호준

(2017) 4-5세 자폐 남3명 특수체육 센터교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공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

신체모방 및 자발적 놀이참여

39

신민경, 유은영, 이지연, 정민예

(2017)

만3-4세 자폐

남2명 여1명 - ABA 설계 구강감각자극

가정프로그램

구강방어가 있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양치질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3)

(13)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40

신선미, 심미경

(2010)

3-5세 자폐 남3명 개별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치료놀이 사회적 행동

41

안의정, 이소현

(2009)

4-5세 자폐

남2명, 여1명 어린이집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음성출력 의사소통기구사용

중재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42

양은아, 최병철

(2009)

만5세 자폐

남3명 -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음악치료 프로그램 상호작용

43 여문환 (2010)

4-7세 자폐성장애

59명 -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자폐성아동학습

프로그램 LPDAC 인지발달

44

오경민, 강현정, 전숙희

(2007)

3-7세 자폐

남4명 여2명 -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상호주의하기 훈련 상호주의하기 행동

45

오윤아, 이종숙

(2007)

만3-4세 자폐 6명

(성별x) 교육실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집단치료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46 윤선아 (2007)

만4-6세 자폐 20명 (남17, 여3)

센터 내 놀이실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중재

정서이해수준, 사회적 놀이수준

47 윤현숙 (2007)

5세 4개월 전반적발달장애

남1명

세 교실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

비디오피드백을 이용한 자기관찰방법

지시순응 및 충동성

48

윤현숙, 윤선영

(2014)

3세 8개월 아스퍼거장애

남1명

집단 교육실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

3단계 지시 따르기에 의한

수용언어촉진

반응시간

49 이강구 (2011)

만6-7세 자폐

10명 (성별x) -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12주간 태권도 운동프로그램

운동능력, 행동발달

50

이나핼, 이상헌, 박응식

(2009)

만5세 자폐 남1명

감각 통합 치료실

AB 설계 감각통합치료 지속적인 몰두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4)

(14)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51

이인숙, 조광순

(2008)

만4-5세 자폐 남2명여1명

어머니3명/

학급교사(일반유 아교사1명, 유아특수사2명)

통합 유치부 학급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가정과 학교의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문제행동감소 바람직한 행동증가 부모, 교사와의

상호작용

52

이지경, 강지원 (2012)

4-5세 자폐

남 3명 교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학습습득단위와 함께 사용된 시간지연절차

사진과 삼차원의 물건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매치시키는 능력

53

이혜림, 이소현

(2017)

만4-5세 자폐

남, 어머니3쌍 각 가정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교육용 앱을 활용한 어머니와의

놀이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54

이효신.

최효분 (2007)

5-6세 자폐 남3명 어린이집 교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그림․문자카드를 이용한 DTT

프로그램

자발적 발화능력

55

이희영, 강수균

(2007)

3-4세 자폐 남3명 -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모방놀이 프로그램 감정표현능력

56

정대영, 김미정

(2016)

만2세 자폐

남3명 센터 교육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중심축 반응훈련 어휘 확장, 상호작용

57 정희승 (2015)

만3-7세 자폐30명 (남25명/여5)

부모30명 (부5명, 모25명)

가정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가정용 감각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감각 조걸, 일상생활 기능

58

정희승,유 은영,정민 예,박지혁 ,이택영,

이지연 (2015)

자폐성장애아동 양육하는 어머니

20명

-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감각통합 대처기술 부모교육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5)

(15)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59 조정연 (2016)

만6세 자폐남1명

또래아동3명 놀이치료실 ABA 설계 또래주도 놀이 활동

친사회적행동, 대인관계

60 주세진 (2007)

만5세 미만 자폐성장애35명

(남28, 여4명) 어머니35명

-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어머니가 제공한

치료적 신체놀이 자폐증상 감소

61 채수경 (2007)

4-8세 전반적발달장애

남5명

치료실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놀이중심의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아동의 행동

62

채유선, 이소현

(2008)

만2-3세 자폐성장애 남2명, 여1명 어머니3명

가정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훈련

공동관심 행동

63

천성혜, 임동선

(2016)

3-4세 자폐유아,

어머니 14쌍 가정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아동과 부모의 발화개시 및 반응과 대화차례

주고받기

64

천승욱, 황경열

(2012)

4-5세 자폐 남3명 교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사회극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65 최진혁 (2016)

6세 자폐

남 2명, 여 1명 교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거울을 이용한

행동모방훈련 행동모방능력

66

최진혁, 김대용, 김보람

(2016)

4세 자폐 남1명

유치원 교실과 놀이터

상황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

스크립트

활용중재 언어적 의사소통

67

최진혁, 박혜숙, 한윤선

(2015)

만2-3세 자폐

남2명 치료실 AB 설계 에코익을 통한

택트교육

새로운 택트행동습득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6)

(16)

번호 저자

(연도) 연구대상 연구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68

추희영, 강수균

(2007)

5세 자폐 남3명

아동심리

연구소 AB 설계 페스트 맵핑

프로그램 언어이해력

69 허은정 (2010)

6세 자폐

남2명 치료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그림교환 의사소통체계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눈맞춤

70

허혜리, 정규진, 최애나

(2012)

5-6세 자폐 남3명 -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창작곡을 활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의사소통능력

71 홍이레

(2011) 7세 자폐 남 1명 교실 AB설계 중심축 반응훈련 의사소통기술

72 황복선 (2010)

3-4세 자폐 남2명 여1명

가정 내 놀이영역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사회적

상호훈련방법 공동관심행동

<표 5> 분석대상논문개관 (가나다 순)(계속 7)

Ⅲ.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실험연구 72편을 2가지 영역에 따른 5개의 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에 대한 전체적인 개관은 위 <표 5>에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아 래와 같다.

1. 연구의 일반적 특징의 동향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 분석한 총 72편 논문의 대상은 만3세부터 취학 전까지의 자폐성장애 유아를 대 상으로 한 연구가 59편(81.9%)으로 가장 많았으며, 영유아와 부모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8 편(11.1%), 만 3세미만의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3편(4.2%),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1편(1.4%), 영유아와 부모, 교사를 포함한 연구가 1편(1.4%)이었다. 연구 대상자에 따른 분류는 아래 <표 6>에 제시하였다.

(17)

연구 대상자 대상 논문 논문 수(%) 영아 정대영․김미정(2016), 최진혁․박혜숙․한윤선(2015), 남보람․이소

현(2014) 3편(4.2%)

유아

김지현(2017), 송호준(2017), 신민경․유은영․이지연․정민예(2017), 김영익․권순우(2016), 김일명(2016), 김해선․김은경․전상신(2016), 조정연(2016), 최진혁․김대용․김보람(2016), 최진혁(2016), 권소 영․이병인(2015), 박은선․조윤경(2015), 박정민․김병철(2015), 김 경민(2014), 윤현숙․윤선영(2014), 김영아․정대영(2013), 백보경․

황상심(2013), 강은희(2012), 구현진․이효신(2012), 김미영․김은경 (2012), 김호년․도명애(2012), 박윤이․박수현․유은영․이지연 (2012), 이지경․강지원(2012) 송호준(2012), 천승욱․황경열(2012), 허혜리․정규진․최애나(2012), 노금미․홍은경․김경미(2011), 이강 구(2011), 홍이레(2011), 김소영․송병호(2010), 김영아․정대영(2010), 노은호․김은경(2010), 신선미․심미경(2010), 여문환(2010), 허은정 (2010), 황복선(2010), 강지원․이지경(2009), 상지연․김은경(2009), 안의정․이소현(2009), 양은아․최병철(2009), 이나핼․이상헌․박응 식(2009), 강명희․이장규․고석중(2008), 김진선(2008), 문혜숙․김 계진(2008), 문회원․박지연(2008), 송유하․박지연(2008), 강은희․

강수균(2007), 강은희․박선희(2007), 도명애․김성애(2007), 김기옥 (2007), 박주연․이병인(2007), 서소희․최외선(2007), 오경민․강현 정․전숙희(2007), 오윤아․이종숙(2007), 윤선아(2007), 윤현숙(2007), 이효신․최효분(2007), 이희영․강수균(2007), 추희영․강수균(2007), 채수경(2007)

59편(81.9%)

영유아+부모

이혜림․이소현(2017), 박혜숙․김현옥․안효민․김다윤․서동수 (2016), 천성혜․임동선(2016), 정희승(2015), 김은실․주세진(2013), 봉귀영․이소현(2013), 채유선․이소현(2008), 주세진(2007)

8편(11.1%)

부모 정희승․유은영․정민예․박지혁․이택영․이지연(2015) 1편(1.4%)

영유아+부모+교사 이인숙․조광순(2008) 1편(1.4%)

<표 6> 연구 대상자에 따른 분류 (N=72)

연구 대상의 성별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모만 참여한 연구를 제외하고, 연구에 참 여한 영유아는 총229명으로, 남아는 95명(41.5%), 여아는 41명(17.5%)이었다. 남녀성비가 제시되 지 않은 영유아의 수는 63명(27.5%), 남녀비율이 잘못 표기되어 성별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영유아의 수는 30명(13.1%)이었다. 성별에 따른 분류는 아래 <표 7>에 제시하였다.

(18)

연구대상자 명수(%)

남아 95명(41.5%)

여아 41명(17.5%)

성별 구분 없음 63명(27.5%)

알 수 없음 30명(13.1%)

총 229명(100%)

<표 7> 성별에 따른 분류

2) 연구 환경

본 연구에서 분석한 총 72편 논문의 연구 환경에 따른 분류는 한 장소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58편(80.6%), 복합장소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2편(2.8%), 장소가 제시되지 않은 연구가 12편 (16.7%)으로 나타났다. 한 장소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 교육기관 환경 이 25편(43.1%), 치료실환경이 20편(34.5%), 가정환경이 7편(12.1%), 그 외 애견카페, 대학보육실 등 기타환경이 6편(10.3%)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표 8>과 같다.

연구환경 대상논문 논문수(%)

한 장소

교실

김지현(2017), 최진혁(2016), 박은선․조윤경(2015), 김영아․정대 영(2013), 김호년․도명애(2012), 구현진․이효신(2012), 박윤이․

박수현․유은영․이지연(2012), 이지경․강지원(2012), 천승욱․

황경열(2012), 홍이레(2011), 김영아․정대영(2010), 노은호․김은 경(2010), 강지원․이지경(2009), 상지연․김은경(2009), 안의정․

이소현(2009), 송유하․박지연(2008), 이인숙․조광순(2008), 김기 옥(2007), 도명애․김성애(2007), 서소희․최외선(2007), 오윤아․

이종숙(2007), 윤현숙(2007), 이효신․최효분(2007)

23편(31.9%)

원내 치료실 천승욱․황경열(2012), 강은희․박선희(2007) 2편(2.8%)

치료실

송호준(2017), 김영익․권순우(2016), 김일명(2016), 김해선․김은 경․전상신(2016), 박혜숙․김현옥․안효민․김다윤․서동수 (2016), 정대영․김미정(2016), 조정연(2016), 권소영․이병인 (2015), 박정민․김병철(2015), 최진혁․박혜숙․한윤선(2015), 백 보경․황상심(2013), 강은희(2012), 김미영․김은경(2012), 송호준 (2012), 김소영․송병호(2010), 신선미․심미경(2010), 허은정 (2010), 윤선아(2007), 채수경(2007)

20편(27.8%)

<표 8> 연구 환경에 따른 분류 (N=72)

(19)

연구환경 대상논문 논문수(%)

한 장소

가정

이혜림․이소현(2017), 천성혜․임동선(2016), 정희승(2015), 남보 람․이소현(2014), 황복선(2010), 문회원․박지연(2008), 채유선․

이소현(2008)

7편(9.7%)

그 외 기타 김경민(2014), 윤현숙․윤선영(2014), 봉귀영․이소현(2013), 강명

희․이장규․고석중(2008), 김진선(2008), 추희영․강수균(2007) 6편(8.3%) 복합장소 최진혁․김대용․김보람(2016), 박주연․이병인(2007) 2편(2.8%)

제시되지 않음

신민경․유은영․이지연․정민예(2017), 정희승․유은영․정민 예․박지혁․이택영․이지연(2015), 김은실․주세진(2013), 허혜 리․정규진․최애나(2012), 노금미․홍은경․김경미(2011), 이강 구(2011), 여문환(2010), 양은아․최병철(2009), 문혜숙․김계진 (2008), 오경민․강현정․전숙희(2007), 이희영․강수균(2007), 주 세진(2007)

12편(16.7%)

<표 8> 연구 환경에 따른 분류 (N=72)(계속)

3) 실험 설계

본 연구에서 분석한 총 72편 논문의 연구방법은 크게 집단설계연구와 단일대상연구 2가지로 나누었다. 실험설계방법은 중재상황에서 제시된 설계방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집단설계연구방법 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총 13편(18.1%), 단일대상연구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총 59편(81.9%)이 었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가 20편(27.8%)으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15편(20.8%)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실험설계에 따른 분류는 아래 <표 9>와 같다.

실험설계 분류 대상 논문 논문 수(%)

집단설계 연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정희승․유은영․정민예․박지혁․이택영․

이지연(2015), 허혜리․정규진․최애나(2012), 이강구(2011), 김소영․송병호(2010), 강명 희․이장규․고석중(2008), 주세진(2007),

6편(8.3%)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

천성혜․임동선(2016), 정희승(2015), 노금 미․홍은경․김경미(2011), 여문환(2010), 오 윤아․이종숙(2007), 윤선아(2007), 채수경 (2007)

7편(9.7%)

<표 9> 실험 설계에 따른 분류 (N=72)

(20)

실험설계 분류 대상 논문 논문 수(%)

단일대상 연구

단일사례 사전사후 검사설계

김일명(2016), 박정민․김병철(2015), 김은실․

주세진(2013), 김진선(2008), 서소희․최외선 (2007)

5편(6.9%)

중다 기초선 설계

대상자간

이혜림․이소현(2017), 김영익․권순우(2016), 박혜숙․김현옥․안효민․김다윤․서동수 (2016), 김경민(2014), 남보람․이소현(2014), 백보경․황상심(2013), 강은희(2012), 구현진․

이효신(2012), 김미영․김은경(2012), 천승욱․

황경열(2012), 신선미․심미경(2010), 황복선 (2010), 허은정(2010), 양은아․최병철(2009), 문혜숙․김계진(2008), 이인숙․조광순(2008), 강은희․박선희(2007), 김기옥(2007), 오경민․

강현정․전숙희(2007), 이효신․최효분(2007),

20편 (27.8%)

상황간 윤현숙(2007) 1편(1.4%)

행동간 김해선․김은경․전상신(2016), 윤현숙․윤선

영(2014) 2편(2.8%)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대상자간

송호준(2017), 정대영․김미정(2016), 최진혁 (2016), 박은선․조윤경(2015), 김영아․정대 영(2013), 봉귀영․이소현(2013), 송호준(2012), 이지경․강지원(2012), 김영아․정대영(2010), 강지원․이지경(2009), 안의정․이소현(2009), 문회원․박지연(2008), 송유하․박지연(2008), 채유선․이소현(2008), 이희영․강수균(2007)

15편 (20.8%)

상황간 최진혁․김대용․김보람(2016), 1편(1.4%)

행동간 0편(0.0%)

AB 설계

김지현(2017), 최진혁․박혜숙․한윤선(2015), 홍이레(2011), 상지연․김은경(2009), 이나 핼․이상헌․박응식(2009), 도명애․김성애 (2007), 추희영․강수균(2007),

7편(9.7%)

ABA 설계

신민경․유은영․이지연․정민예(2017), 조정 연(2016), 김호년․도명애(2012), 강은희․강 수균(2007), 박주연․이병인(2007)

5편(6.9%)

ABAB 설계 권소영․이병인(2015), 박윤이․박수현․유은

영․이지연(2012), 노은호․김은경(2010) 3편(4.2%)

<표 9> 실험 설계에 따른 분류 (N=72)(계속)

(21)

2. 독립 변인 및 종속 변인의 동향

1) 독립 변인(중재 방법)

분석 논문 72편에 대한 독립 변인은 Simpson(2005)의 실험연구 분류기준에 따라 인간관계중심 중재, 기술중심 중재, 인지적 중재, 생리학적․생물학적․신경학적 중재, 치료 및 기타중재로 총 5가지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인간관계중심 중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22편), 기술중심중재(17편), 치료 및 기타중재(14편), 인지적 중재(12편), 생리학적․생물학적․신경학적 중재(7편) 순으로 나타났다. 각 연구에서 사용된 중재유형은 아래 <표 10>에 제시하였다.

중재유형 대상논문 논문수(%)

인간관계중심 중재

이혜림․이소현(2017), 조정연(2016), 천성혜․임동선(2016), 권소영․이병인(2015), 김경민(2014), 남보람․이소현(2014), 김영아․정대영(2013), 김은실․주세진(2013), 봉귀영․이소현 (2013), 김호년․도명애(2012), 천승욱․황경열(2012), 김영 아․정대영(2010), 신선미․심미경(2010), 김진선(2008), 문회 원․박지연(2008), 송유하․박지연(2008), 이인숙․조광순 (2008), 채유선․이소현(2008), 도명애․김성애(2007), 오윤 아․이종숙(2007), 이희영․강수균(2007), 주세진(2007)

22편(30.6%)

기술중심 중재

정대영․김미정(2016), 최진혁․김대용․김보람(2016), 최진 혁․박혜숙․한윤선(2015), 윤현숙․윤선영(2014), 김미영․김 은경(2012), 홍이레(2011), 노은호․김은경(2010), 허은정(2010), 상지연․김은경(2009), 안의정․이소현(2009), 문혜숙․김계진 (2008), 강은희․강수균(2007), 강은희․박선희(2007), 김기옥 (2007), 오경민․강현정․전숙희(2007), 이효신․최효분(2007), 추희영․강수균(2007)

17편(23.6%)

인지적 중재

김지현(2017), 김해선․김은경․전상신(2016), 박혜숙․김현 옥․안효민․김다윤․서동수(2016), 최진혁(2016), 박은선․조 윤경(2015), 백보경․황상심(2013), 강은희(2012), 이지경․강 지원(2012), 황복선(2010), 강지원․이지경(2009), 윤선아(2007), 윤현숙(2007)

12편(16.7%)

생리학적․생물학적․

신경학적 중재

김영익․권순우(2016), 정희승(2015), 정희승․유은영․정민 예․박지혁․이택영․이지연(2015), 노금미․홍은경․김경미 (2011), 이나핼․이상헌․박응식(2009), 강명희․이장규․고석 중(2008), 채수경(2007)

7편(9.7%)

<표 10> 독립변인에 따른 분류 (N=72)

(22)

중재유형 대상논문 논문수(%)

치료 및 기타 중재*

송호준(2017), 신민경․유은영․이지연․정민예(2017), 김일명 (2016), 박정민․김병철(2015), 구현진․이효신(2012), 박윤 이․박수현․유은영․이지연(2012), 송호준(2012), 허혜리․정 규진․최애나(2012), 이강구(2011), 김소영․송병호(2010), 여 문환(2010), 양은아․최병철(2009), 박주연․이병인(2007), 서 소희․최외선(2007)

14편(19.4%)

* 로봇자극, 무게감 있는 조끼, 신체활동, 심리운동, 보드게임, 공의자, 미술치료, 음악치료, LPDAC 프로그 램 등

<표 10> 독립변인에 따른 분류 (N=72)(계속)

2) 종속변인

중재의 결과로 나타난 종속변인의 유형분류는 미국의 증거기반실제 연구진(EBP)의 성과영역 기준(Wong et al,. 2013)을 수정․보완하여 분석하였다. 크게 아동성과와 가족성과로 나눈 후 아 동성과는 사회성, 의사소통, 운동, 인지, 정서, 문제행동, 활동참여, 공동관심, 적응행동, 학교준 비기술로 분류하였으며, 가족성과는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모-아 상호작용으로 분류하였다.

72편의 연구 중 두 가지 이상의 종속변인을 사용한 논문이 있어 측정은 전체 논문수인 100%

기준이 아닌, 케이스백분율 120.8%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다. 종속변인에 따른 분류는 <표 11>

에 제시되었다. 종속변인의 유형별 케이스 백분율로 산출한 결과, 사회성에 관련된 연구가 24편 (33.3%)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다음으로 의사소통과 관련된 연구 17편(23.6%), 문제행동 10편(13.8%)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 9월까지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 연구를 살펴 보고 전반적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내 실험 연구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자폐성 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았으며, 앞으로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1. 연구의 일반적 특징 동향

연구의 일반적 특징에 대한 동향 분석 결과 몇 가지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23)

연구

분야 구분 대상논문 논문수 빈도

백분율

케이스백 분율

아동 성과

사회성

이혜림․이소현(2017), 김해선․김은경․전상신 (2016), *김영익․권순우(2016), *정대영․김미정 (2016), 조정연(2016), *권소영․이병인(2015), 박은 선․조윤경(2015), *박정민․김병철(2015), *김경민 (2014), *김영아․정대영(2013), 구현진․이효신 (2012), 김호년․도명애(2012), 천승욱․황경열 (2012), *김영아․정대영(2010), 신선미․심미경 (2010), *허은정(2010), 안의정․이소현(2009), 양은 아․최병철(2009), *송유하․박지연(2008), *이인 숙․조광순(2008), 도명애․김성애(2007),

*서소희․최외선(2007), 오윤아․이종숙(2007), *윤 선아(2007)

24편 27.6% 33.3%

의사소통

*김영익․권순우(2016), *정대영․김미정(2016), 최 진혁․김대용․김보람(2016), 백보경․황상심 (2013), 강은희(2012), 김미영․김은경(2012), *송호 준(2012), 허혜리․정규진․최애나(2012), 홍이레 (2011), 노은호․김은경(2010), *허은정(2010), 문혜 숙․김계진(2008), 강은희․강수균(2007), 강은희․

박선희(2007), 김기옥(2007), 이효신․최효분(2007), 추희영․강수균(2007)

17편 19.5% 23.6%

운동

*송호준(2017), 김일명(2016), *박정민․김병철 (2015), *정희승(2015), *송호준(2012), 노금미․홍 은경․김경미(2011), 이강구(2011)

7편 8.0% 9.7%

인지

최진혁(2016), 최진혁․박혜숙․한윤선(2015), 이지 경․강지원(2012), 여문환(2010), *서소희․최외선 (2007)

5편 5.7% 6.9%

정서 윤현숙(2007), 이희영․강수균(2007) 2편 2.3% 2.8%

문제 행동

*권소영․이병인(2015), *김경민(2014), *김영아․

정대영(2013), 박윤이․박수현․유은영․이지연 (2012), *김영아․정대영(2010), 문회원․박지연 (2008), *송유하․박지연(2008), *이인숙․조광순 (2008), 박주연․이병인(2007), 채수경(2007)

10편 11.5% 13.9%

활동 참여 *송호준(2017), *윤선아(2007) 2편 2.3% 2.8%

공동 관심 남보람․이소현(2014), 황복선(2010), 채유선․이소

현(2008), 오경민․강현정․전숙희(2007) 4편 4.6% 5.6%

<표 11> 종속변인에 따른 분류 (*중복)

(24)

연구

분야 구분 대상논문 논문수 빈도

백분율

케이스백 분율

아동 성과

적응 행동

신민경․유은영․이지연․정민예(2017), 박혜숙․

김현옥․안효민․김다윤․서동수(2016), *정희승 (2015), 윤현숙․윤선영(2014), 김소영․송병호 (2010), 상지연․김은경(2009)

6편 6.9% 8.3%

학교준비기술 김지현(2017) 1편 1.1% 1.4%

**기타

강지원․이지경(2009), 이나핼․이상헌․박응식 (2009), 강명희․이장규․고석중(2008), 주세진 (2007)

4편 4.6% 5.6%

가족 성과

스트레스 및 효능감

정희승․유은영․정민예․박지혁․이택영․이지

연(2015), 김은실․주세진(2013) 2편 2.3% 2.8%

모-아 상호작용

천성혜․임동선(2016), 봉귀영․이소현(2013), 김

진선(2008) 3편 3.4% 4.2%

합 계 87편 100.0% 120.8%

** 혈중면역글로블린, 시각적습득능력, 지속적인몰두, 자폐증상감소 등

<표 11> 종속변인에 따른 분류 (*중복)(계속)

첫째,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진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실험연구 논문 수는 양 적인 측면에서 살펴봤을 때, 꾸준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소현, 이수정(2012) 연구에서 2001년~2010년 사이에 이루어진 논문의 수는 평균 5.7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2007년부터 2017 년까지 이루어진 논문의 수는 평균 6.5편으로 더욱 증가하였다. 특히 2007년에 15편 정도의 연 구가 이루어지는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볼 때, 2007년「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공포되면서 자폐성장애가 특수교육대상자로 분류되어, 자폐성장애영유아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연구 대상 측면에서 유아가 81.9%로 가장 많았으며, 영아는 단 3편에 그쳤다. 연구대상 측면에서 편차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자폐성 장애가 생물학적인 근거를 지닌 신경발달적 장 애로 규명되면서 생후 이른 시기에 조기 선별이 가능하며(Crane & Winsler, 2008), 조기발견 및 중재의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자폐성장애 영아의 연구에도 관심이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동의 정서조절, 친사회적행동, 또래관계 유능성, 신체발달, 성역할 발달 등의 자녀의 전반적인 발달 등 다양한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설경옥, 문혁준, 2006), 아버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셋째, 연구 환경 측면에서 대상자에게 가장 친숙한 교실과 치료실에서 연구가 가장 많이 실 시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었는데, 이는 자폐성장애의 일반화 능력의

(25)

제한에 따라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의 중요성에 따라 실험연구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박혜성, 이소현, 2012).

2. 연구의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의 동향

연구의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에 대한 동향 분석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 변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인간관계중심 중재가 22편(30.6%)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선행연구 결과 모든 연령을 포함한 학교와 기타 교육현장에서 자폐성 장애 학생을 대상 으로 한 중재 중 ‘기술-중심 중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라고 했지만(Richard L. Simpson, 2005), 본 연구의 동향분석 결과, 자폐성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중재 방법으로는 ‘인간관 계중심 중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자폐성 영유 아에게 사회적․정서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애착을 표현할 수 있도록 중재해야한다는 주장과 일치한다(Hobson, 1990).

둘째, 종속변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사회성과 관련된 종속 변인은 24편(33.3%)로 가장 많았으 며, 의사소통은 17편(23.6%)으로 두 번째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자폐성 장애의 핵심 결함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또 하나의 자폐성 장애의 핵심결함인 ‘행동, 흥미, 활동’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문제 행동’이라는 용어아 래 포함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자폐성장애의 핵심 요소인 ‘행동, 흥미, 활동’ 측면의 실험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문제의 일 반적 특성은 연구 대상, 연구 환경, 실험 설계 3가지로 제시하여 그 실험 연구에 대한 분석의 제한이 있다. 실험연구에 대한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유지, 일반화, 결과 를 제시하여 확대하여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은 Simpson(2005)의 실험 연구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러나 분류 체계에 제시되어있지 않은 분석 논문은 임의적으로 포함하여 분석 논문을 세분화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앞으로 실험 연구의 분류 기준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진다면, 세부적으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 각된다. 셋째, 본 연구는 국내 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여, 국외에서는 자폐성장애 영유아와 관련 된 실험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후속 연구로는 국내․

외에서 자폐성 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실험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 연구를 분석하였다. 자폐성 장애 영유아와 관련된 국내 실험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영유아기를 위한 증거기반의 실 제로서 이들의 발달과 학습을 지원하는 연구에 있어서 아직 양적․질적으로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자폐성 장애 영유아를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 구축을 위해 더욱 다양한 연구를 지속해야

(26)

하며 이를 적용한 다방면의 노력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국내 교육현장에서 사 용하기에 적합한 증거기반의 실제를 구축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폐성 장애 영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 및 중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건희, 조정민, 임미향, 진미영, 심선경 (2011). 자폐장애 학습자의 중재전략 연구의 최근동향 : 2006-2010년. 정서․행동장애연구, 27(3), 337-370.

김영란, 이병인 (2007). 장애 유아 통합 환경에서 활동-중심 중재에 관한 문헌분석 : 1994-2006년 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18, 99-125.

김은경, 김은경 (2006). 국내 자폐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1996-2005년 특수교육 학술지 수 록 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1(1), 79-109.

김은경, 방명애, 박현옥 (2014). 자폐성장애교육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특수교육학 연구, 49(3):

167-193.

노은호, 김은경 (2010).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어 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0(1), 169-193.

박혜성, 이소현 (2012).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자연적 교수 전략의 중재요소 고찰. 자폐 성장애연구, 12(2), 37-58.

설경옥, 문혁준 (2006).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 학회, 44(7), 1-9.

이소현 (1994), 자폐아 교육 프로그램 : 문헌연구 및 특수아 조기교육 기관의 실태조사 연구. 한 국특수교육학회, 11, 1-31.

이소현, 박은혜 (2011). 특수아동교육. 서울: 학지사.

이소현, 이수정 (2012).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내연구 동향 및 발전과제. 유아특수교육연구, 12(2), 23-53.

이소현, 이수정, 윤선아 (2013).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연계를 위한 지원체계 수 립요구 : 부모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13(1), 167-199.

이종희, 김은경 (2013). 자폐성장애 아동의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 문헌분석. 자폐성장 애연구, 13(2), 41-63.

이희란, 이승복 (2013).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몸짓 관련 연구 동향. 자폐성장애연구, 13(3), 145-165.

최하영 (2010).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연구 고찰 : 국내 실험

(27)

연구를 중심으로. 자폐성 장애연구, 10(2), 65-84.

Crane, J. L., & Winsler, A. (2008). Early Autism Detection: Implications for Pediatric Practice and Public Policy.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8(4), 245-253.

Hobson, R. P. (1990). On psychoanalytical approaches to autism. Th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0(3), 324-336.

Odom, S. L., Brown, W. H., Frey, T., Karasu, N., Smith-Canter, L. L., & Strain, P. S. (2003).

Evidence-BasedPracticesfor YoungChildrenWith Autism: Contributions for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3), 166-175.

Poustka, L., Poustka, F. (2007). Psychopharmacologie autistischer Strungen / Psychopharmacology of autistic disorders. Zeitschrift fur Kinder- und Jugendpsychiatrie und Psychotherapie, 35(2), 87-94.

Simpson, R. L. (2005). 자폐범주성장애: 중재와 치료(이소현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출판년도 2005)

Wong, C., Odem, S. L., Hume, K. A., Cox, A. W., Fettig, A., Kucharczyk, S., Brock, M. E., Plavnick, J. B., Fleury, V. P., & Schultz, T. R. (2013). Evidence-Based Practices for Children, Youth, and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hapel Hil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Frank Porter Craham Child Development Institute, Autism Evidence-Based Practice Review Group.

분석 논문

강명희, 이장규, 고석중 (2008). 중등도 유산소운동이 자폐아동들의 면역글로블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1139-1148.

강은희 (2012). 제스처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자발적 구어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 료연구, 21(2), 137-148.

강은희, 강수균 (2007). 구조화된 촉진전략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 연구. 언어치료연구, 16(3), 47-58.

강은희, 박선희 (2007). 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가 무발화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8(4), 539-553.

강지원, 이지경 (2009). The Effects of Visual Tracking on the Learn Units to Criterion and the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 of Students with Autism. 특수교육연구, 16(2): 355-375.

구현진, 이효신 (2012). 로봇 자극에 대한 자폐유아의 상호작용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8(2), 215-234.

권소영, 이병인 (2015).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영아의 소리 지르기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

(28)

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5(2), 207-234.

김경민 (2014). 매개견 활용 부모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문 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4(3), 1-24.

김기옥 (2007).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6(1), 97-121.

김미영, 김은경 (2012). 동기절차와 결합한 질문하기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적 질 문하기와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12(3), 1-21.

김소영, 송병호 (2010). 무게감 있는 조끼(weighted vest)의 착용이 취학전 자폐성 장애 아동의 일 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10(1), 143-161.

김영아, 정대영 (2010).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 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 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299-323.

김영아, 정대영 (2013).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 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355-374.

김영익, 권순우 (2016). 감각통합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의사소통기능 습득과 상동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3), 1-24.

김은실, 주세진 (2013). 母-兒 애착 증진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13(1), 73-96.

김일명 (2016). 심리운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대근육운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20 (4), 27-48.

김지현 (2017). 보드게임 활동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한자리 수 덧셈과 뺄셈에 미치는 영향. 유 아특수교육연구, 17(2), 153-170.

김진선 (2008). 유아마사지가 자폐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6(1), 49-69.

김해선, 김은경, 전상신 (2016).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아동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7(3), 283-312.

김호년, 도명애 (2012). 또래중재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

행동장애연구, 28(2), 255-278.

남보람, 이소현 (2014).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이 자폐범주성 장애 영아 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14(1), 21-45.

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377-392.

노은호, 김은경 (2010). 통합 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 어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0(1), 169-193.

참조

관련 문서

지금까지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연도별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서 주택용 전력소비에 대한 고령화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 음의 2가지 물음에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고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저가의 싱글보드컴퓨터 를 활용하여 국내 LTE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드론 운용 시스템 구축에 관한

본 연구는 2011년 9월 현재, 전국의 각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청소년동반자 로 근무하고 있는 시간제, 전일제 상담자가 지각하는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본 연구는 외국에서도 연구간호사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국내 에서 제대로 잘 알려지지 않은 연구간호사에 대한 업무관련 특성과 직무만족도에

이에 본 연구는 치과에 내원하는 흡연자 를 대상으로 일반적, 구강건강 관련, 구강질환 관련, 구강건강 지식, 인식, 실 천도, 흡연,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왜소증으로 키가 심하게 작거나 척추에 현저한 변형 또는 기형이 있는 사람 사.. 장애인 등에

이에 본 연구는 H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역량별 중요도와 현재수행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여 대학에서 셀프리더십 교육과정 개발 시 우선 개발되어야

자격기본법 의 제정 이후 민간자격에 대한 양적 질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 어났다 민간자격 실태조사에서 살펴본 것처럼 민간자격관리자 및 자격종목 수 가 대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