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3 LH 글로벌사업 현황과 사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03 LH 글로벌사업 현황과 사례 "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01 최근 동향

02 해외 도시개발/인프라 수요

03 LH 글로벌사업 현황과 사례

04 해외진출 협력전략

(3)

최근 동향

 해외건설 수주 현황

 해외수주 활력 제고 방안

(4)

1. 해외건설 수주 현황

 ’21.10.1일 기준 해외건설 총 수주액 174억 달러로 전년 동기 185억 달러 대비 94% 수준

 발주형태별 수주 비중은 도급형이 90% 이상을 차지, 부가가치가 높은 투자개발형 프로젝트의 발굴과 사업성을 제고하기 위한 민관의 협력적 접근 필요

 해외건설 총 수주액 및 단위 프로젝트 규모는 2014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최근 반등 추세

<출처 : 해외건설협회(2021), “해외인프라시장의 PF현황 및 주요 이슈 진단”, p.5>

<해외건설 수주 추이(2010~2020)> <발주형태별 해외건설 수주 추이(2010~2020)>

(5)

2. 정부 합동 「해외수주 활력 제고 방안」 발표 (’21. 7. 5)

 [공공부문] 인프라 공기업이 기획·투자하는민관 동반진출해외 PPP사업 전방위 지원, 공기업 투자유도를 위한 예타·인사제도 개선, KIND 기능강화

 [민간부문] PM(사업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발주 확산 유도

 [주요국 진출저변 확대] 한미 인프라 협력 강화 및 미국시장 진출기반 조성,

개도국 EDCF PPP 지원체계 정착, G2G 협력(EIPP, K-City Network) 강화등

 고부가 투자개발사업 전환을 위한 역량 강화

구 분 기 존 개 선

공기업 역할 주로 PPP사업의 운영(O&M)단계 수행(수주)

투자개발사업을 기획·제안하고 자금 조달하는 디벨로퍼(민간과 공동투자),

설계/시공 등 사업은 민간업체가 수행

사업 발굴 입찰형 사업 수주 G2G 협력 기반 제안형 투자사업

지원 전략 필요시 지원 발굴‧기획·개발‧금융 全단계 지원(KIND)

<인프라 공기업 역할 확대 방안>

(6)

해외 도시개발/인프라 수요

 세계인구 전망

 글로벌 도시화 현황과 도시개발 수요

 글로벌 인프라개발 수요

 코로나19 영향 (전문가설문)

(7)

1. 세계인구 전망

 2050년 추정인구 약 97.4억 명 중 신흥국 인구 약 84.6억 명 전망

 인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탄자니아, 인니 등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 신흥국이 인구 증가 주도

 신흥국

(Less Developed)

주도 인구 증가

(UN, 2019)

(단위 : 백만 명)

<2100년까지 세계인구 전망(UN, 2019)> <2100년까지 지역별 인구 전망(UN, 2019)>

(단위 : 백만 명)

(8)

2. 글로벌 도시화 현황과 도시개발 수요

 아시아(한국, 일본, 대만 제외), 아프리카 지역의 도시화 급증

 2050년 전세계 추정인구

(97.4억 명)

중 도시인구 66.8억 명

(도시화율 68.5%)

전망

(UN, 2018)

<세계 도시화 전망(UN, 2018)>

0.450.3 0.670.68 0.831.46 0.99 1.05 1.12 3.23 4.12

5.56

0 1 2 3 4 5 6 7 8

1950 1970 1990 2018 2030 2050

More Developed Less Developed

<2050년까지 세계 도시인구 전망(UN, 2018)>

(단위 : 십억 명)

(9)

2. 글로벌 도시화 현황과 도시개발 수요

 2030년 추정 메가시티 43개, 대도시 66개, 중규모 도시 597개로 증가 예상(UN, 2018)

 신흥국 중심의 도시화에 따라 도시개발 수요 지속적 증가

<2030년까지 규모별 도시 수 변화(UN, 2018)> <2030년까지의 도시규모별 분포 변화(UN인구국)>

(10)

2. 글로벌 도시화 현황과 도시개발 수요

 도시개발 수요에 대응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중 목표 11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

의 달성과 인프라 구현에 38조 달러 소요 예상

(Habitat, UNDP)

 지속가능한 도시화의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경제, 환경, 사회, 무형자산 측면에서 투자방향 제시

(UNDP, 2020)

지속가능한

도시화의 가치 투자요소 프로젝트 사례

경제 도시 경제기능 지원을 위한 물리적 자산,

시스템, 시설 관련 투자 주택, 도로, 고속철도, 수자원 및 위생 등 자본 프로젝트, 도시관리 등

환경 대기오염 감소, 생태계보호, 기후변화 등

부정적 영향 감소를 위한 투자 재생에너지, 에너지 저사용 건물, 자원순환시스템, 지속가능한 교통시스템 등

사회 도시공간의 포용성 강화, 빈곤 퇴치,

통합과 삶의 질 제고, 보건 강화를 위한 투자 저비용주택, 도시개량, 노동자 및 청소년 역량 강화, 교통접근성 강화 등

(거버넌스)무형자산 Good Governance,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지역문화 다양성 관련 투자 정부구조 개선, 법제도 프레임워크, 기술적 역량 강화, 모니터링 기법 개발, 연대와 협력 등

(11)

3. 글로벌 인프라개발 수요

 부문별로는 2016년 이후 도로 부문의 투자 수요 증가 전망(연결성 강화)

 전체적인 소득 증가가 전망되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인프라 투자 수요 증가

(전체 투자 수요의 약 60%)

<지역별 글로벌 인프라 투자 수요의 변화(Oxford Economics∙GIH, 2017)> <부문별 글로벌 인프라 투자 수요의 변화(Oxford Economics∙GIH, 2017)>

(단위 : %) (단위 : %)

(12)

3. 글로벌 인프라개발 수요

 2040년까지 인프라 투자 수요는 93.7조 달러 추정

(중국 22.4조 달러)

 현재 투자 트렌드 감안, 실제 투자 발생은 78.8조 달러 전망(14.9조 달러의 Gap 발생)

 세계 각국, Gap을 줄이기 위한 인프라 부문 민간참여(PPI) 적극 추진

 1990~2021 상반기까지 총 8,316건, 약 2조 달러 규모의 민간참여 실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수요의 Gap(Oxford Economics)> < 인프라 부문 민간참여 현황(Worldbank PPI)>

(단위 : 조 달러)

(13)

4. 코로나19 영향 (전문가설문)

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 및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수요 증가 예측

 발주국가의 재정사업 및 투자개발형사업에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응답

<글로벌 이슈가 인프라·도시개발 시장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가 사업방식별 수요에 미치는 영향>

(14)

4. 코로나19 영향 (전문가설문)

 전기·통신분야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응답

 기존의 도시개발 방식 보다는 ICT가 결합된 스마트도시 확산 시사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2021년 말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응답

(65.38%)

<코로나19가 사업분야별 수요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영향의 지속기간>

(15)

LH 글로벌사업 현황과 사례

 LH 글로벌사업 현황

 한-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

 한-베트남 경제협력 산업단지

 일본 : 띨라와 경제특구

(16)

1. LH 글로벌사업 현황

 1992년 해외 투자개발 최초 진출

(중국 천진공단)

, 2009년 부채위기로 해외 투자개발사업 중단

 2016년부터 해외 투자개발사업 재추진 및 본격화

(17)

1. LH 글로벌사업 현황

 도시개발 6건, 산업단지 8건, 스마트시티 28건, 신도시 6건, 주택단지 2건, 기타 3건

 대표적 사업으로 6개국 대상 9건의 사업 추진

 2021년 현재 17개국 대상 총 53건의 해외사업 추진 중

사업 국가 사업명

스마트시티

쿠웨이트 쿠웨이트 압둘라 스마트시티(SSAC) 베트남 베트남 껀터 스마트시티

태국 태국 촌부리 아마타·한국 스마트시티 인도 인도 BKC 재개발사업

산업단지

미얀마 한·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KMIC)

베트남 한·베트남 경제협력 산업단지(흥옌성) 베트남 후에성 쩐마이랑꼬 경제구역 러시아 한·러시아 경제협력 산업단지 주택단지 베트남 베트남 하노이 사회주택 6

1 1

5 7

18

5

2 2

3

1 1

1

0 5 10 15 20 25 30

도시개발 산업단지 스마트시티 신도시 주택단지 기타

남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18)

2. 한-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KMIC)

 위치/규모/사업기간 : 미얀마 양곤주 야웅니핀 지역 / 225ha / 2019년(JV설립)~2026년

 국내기업들의 전방위적 지원을 위한 공공기관 협력채널 「Team KOREA」 구성

 국제투자보증기구(MIGA) 정치 리스크 보험 가입(‘20.10)

 한국기업 진출을 위한 산업단지로 미얀마 정부와 LH 컨소시엄이 공동사업 추진

(‘19.8)

(19)

3. 한-베트남 경제협력 산업단지(흥옌성)

 위치/규모 : 베트남 흥이엔성 리트엉컷 지역 / 143ha

 사업기간 : 2021년(JV설립)~2071년(회사청산)

 산업단지, 스마트시티, 주거단지 개발사업으로 베트남 민간기업

(TDH ECOLAND)

LH 컨소시엄이 공동사업 추진

(’21.9)

(20)

4. 일본의 패키지형 인프라 수출 : 띨라와 경제특구(Thilawa SEZ)

 2011년 1월부터 미얀마 경제특구법에 의해 추진

 일본정부는 주로 민간자금과 국제협력은행(JBIC) 융자 및 일본무역보험(NEXI)의 정책금융을 활용

 JICA는 본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양곤 주변의 도시개발 기본계획 수립

 경제산업성(METI) 사업타당성 조사(F/S) 지원을 받아 상하수도·전력·도로 등 정비사업 계획 작성

 특구내 상·하수도, 도로, 광케이블, 차세대 전력망 등 인프라 구축사업 수주(‘12.2)

<JICA의 띨라와 경제특구 ODA 지원 영역>

미얀마 51% 일 본 49%

(21)

해외진출 협력전략

 중점협력국가 선정

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 국내 공공기관/민간기업과의 협력

• 해외 관련기관과의 협력

 글로벌사업 중장기 전략 방향

(22)

1. 중점협력국가 선정

주요기구(기관)국내외 해외사업 대상국

설문조사전문가 분석결과

해외사업수주현황 (해외건설협회)

해외직접투자 (한국수출입은행)현황

국가협력전략 (CPS) 수립국

총 33개 관심국가 Pool 구성

총 25개 관심국가 선정

관심국가 유형화

단기 / 중장기 중점협력국가 선정

<중점협력국가 선정 절차>

(23)

1. 중점협력국가 선정

사분면 해당 국가 주요 내용

1사분면 (1인당GDP↑,

도시화율↑)

- -

2사분면 (1인당GDP↓,

도시화율↑)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네팔, 탄자니아

• GDP 성장 폭이 크고 도시화 증가 추세

• 향후 도시 및 지역개발에 대한 수요↑

→ 단기적 진출

3사분면 (1인당GDP↓,

도시화율↓)

필리핀, 몽골,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볼리비아

• 현 수준에서 사업성과 시장성, 개발수요 측면에서 제약 예상

• 장기적 관점에서 진출전략 수립 및 향후 수요 대응 → 장기적 진출

4사분면 (1인당GDP↑,

도시화율↓)

말레이시아, 터키, 카자흐스탄, 멕시코,

콜롬비아, 브라질, 페루, 파라과이,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리비아, 남아공

• 중소규모 도시재생/개량 사업을 통한 질적 수준 향상 도모

• 중기적 관점에서 재생 및 개량사업에 대한 진출전략 수립 → 중기적 진출

<중점협력국가 유형화>

(24)

2.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 국내 공공 파트너십 구축 및 G2G 협력기반 강화 → 안정적 해외사업 추진

 사업기획 단계부터 주요 섹터별 민간기업 참여 → 민관 동반진출 확대

(25)

2.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가. 국내 공공기관/민간기업과의 협력

 쿠웨이트 압둘라 신도시 MP 수립 사례

 압둘라 신도시 개발협력 양해각서(‘16.5)에 의거 ‘MP 및 실시설계 용역’ 계약(‘17.4)

 위치/규모 : 쿠웨이트시티 서측 경계에서 3.5㎞ / 64.5㎢

 국내 공공-민간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협업 생태계 구성·운영

 [공공부문] 사업계획에 반영된 특화요소를 바탕으로 국내 전문분야별 공기업과 MOU 체결

 [민간부문] 도시개발·운영 전과정에 걸친 우리기업들의 참여방안 마련을 위한

「쿠웨이트 동반진출 추진위원회」 구성(‘19.3월) 및 운영

구분 솔라팜(태양광) 지역냉방

참여기업 (MOU체결일)

한국남동발전 (’18.10.23)

한국지역난방공사 (’18.11.30)

구분 도시개발 · 시범주택 스마트시티 · 홈 자동크린넷 참여기업 대우건설, 현대건설, SK건설,

한화건설, 삼성ENG, 두산중공업 KT, LG CNS, 포스코ICT 국내 업체 2곳

(26)

2.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가. 국내 공공기관/민간기업과의 협력

 베트남 후에성 쩐마이랑코 경제구역 사업구상 사례

. .

.

(27)

2.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나. 해외 관련기관과의 협력

 국제기구 및 MDB 네트워킹을 통한 협력 강화

 국제기구와 적극적 네트워킹으로 우량 프로젝트를 발굴, MDB loan을 활용하는 협력 플랫폼 구축

<국제기구/MDB와의 협력 플랫폼> <UN HABITAT-JICA 협력 플랫폼 구축 사례>

(28)

2.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나. 해외 관련기관과의 협력

 UN HABITAT와 협력 사례

 저개발국 국가 리스크를 회피하고 사업구조가 명확한 탄소배출권(CDM)사업을 통해 진출기반 마련

 저개발국 CDM 사업을 통한 탄소배출권을 국내에 판매하여 투자금 회수 및 수익을 실현, 수익 중 일부를 ODA 사업으로 재투자하여 마중물로 활용(파키스탄 탄소배출권 연계시범사업)

 UN HABITAT는 CDM사업을 연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승인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와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역할 담당 (‘20.12, UN HABITAT 협력 MOU 체결)

CDM 사업 발굴 및

계획 정부 승인 사업 확인

및 등록 모니터링 검증 및

인증 탄소배출권 확보 사업 참여

(사업비 지원) ODA사업과

승인 추진연계하여

(29)

2. G2G 협력기반 사업추진체계

나. 해외 관련기관과의 협력

 다자개발은행(MDB)과 협력 방안

(해외사업 추진을 위한 AIIB 협력방안 연구)

 AIIB 승인사업 중 도시부문, 교통 등 대규모 인프라 개발사업은 대부분 정부보증 사업으로 추진

(공공성, 경제성 측면에서 대주와 차주 양자에 유리)

 사업참여 희망주체(LH 등 공기업 및 한국기업) 역할

- 사업추진조직(PMU)을 지원하는 PMC, CMC 역할 수행 - PMU 내 전문직무(도시개발 및 총괄계획가, 도시인프라/설계)전담

<전체 승인사업 규모>

<정부보증 중심 추진체계(예시)>

<분야별 승인사업 현황>

(30)

3. 글로벌사업 중장기 전략 방향

(31)

참조

관련 문서

&lt;참고&gt; WTO설립을 위한 마라케쉬 협정

그 외 사회 전반에 적용되는 광의의 플랫폼 - 공용플랫폼/ 디자인 플랫폼/ 브랜드 플랫폼 등. 플랫폼은 공용하고 차량의 스타일 등을 결정하는

■ 인접 플랫폼이나 신규 플랫폼을 상시 모니터링 하여 자사의 플랫폼 전략에 반영할 필요 있음. 외부 환경과 기업 상황에 맞는

즉, &lt;FRAME&gt; 태그의 name 속성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이름을 지정하고, &lt;A&gt; 태그의 target 속성에 그 이름을 지정하면 지정된

&lt;충무공 이순신 리더십 함양과정&gt; 운영 사후협의회 연산중학교. &lt;미래를 준비하는

또한 백업 소프트웨어에서 소산 백업만을 위해 별도 백업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정기 백업 시 두벌씩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백업 완료 후 매체 복사를 통해 한 벌을

DP World logistics, 이스라엘 Al-lalouf Logistics 사와 협력 관계 구축(tie

The contemporary music of the twentieth century due to various and new changes in the style of presentation, shows dramatic differences in comparison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