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분류체계와 학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분류체계와 학명"

Copied!
13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 한국조류목록의 성격

한국의 조류는 1835년 최초의 학술적인 보고 이후 20세기에 접어들어서야 본 격적인 학문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조류를 연구하거나 조류 관찰을 즐기는 탐조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한국에 기록된 조류의 수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1990년 한국조류학회가 창립된 이후 십 수년이 지났지 만 여전히 한국의 조류에 대한 공식적인 목록을 마련하지 못한 것은 많은 아쉬 움으로 남아있었다. 이에 2005년 (사)한국조류학회 이사회에서 학회 차원의 공식 적인 조류목록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그동안의 기록을 정리한 새로운 한국조류목 록을 준비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간 국내에서 발표된 자료와 연구결과 는 한국에 기록된 모든 조류에 대한 체계적인 목록을 준비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많았으며, 특히 국내의 분류학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은 이 목록을 만드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 되었다. 더구나 끊임없지 밝혀지고 있는 새로운 계통분류학적 정보 는 목록의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 다양한 견해와 논란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 인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비록 이 조류목록이 국내에 기록된 모든 자료와 분류 학적 정보를 완전히 다룰 수 없다고 하더라도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신뢰할 수 있고 보편화된 기준에 의해 한국에 기록된 조류를 정리하고자 노력하였다. 향후 이 목록이 한국의 조류에 대한 분류학적인 검토를 활성화시키고 과거 기록을 보 완함으로써 더 나은 목록을 다듬어가는 첫걸음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1. 분류체계와 학명

분류체계는 학술적 견해에 따라 다양한 시각이 상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 (species)의 정의 및 기준을 감안할 때 어느 쪽도 완벽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조 류목록을 작성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문제는 어떤 분류체계와 학 명을 따라 목록을 작성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전통적인 조류의 분류체계는 각 종과 분류군의 형태학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수많은 표본 채집과 검증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으며, 이런 견해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분류체계는 193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이용된 Peters (1951)의 분류체계

이다. 그러나 유전적 정보를 기초로 1990년 발표된 Sibley와 Monroe의 계통분

류학적 분류체계(Sibley and Monroe 1990)는 기존의 형태학적 분류 체계와 상

(2)

당한 차이가 있어 조류의 분류체계의 정립에 큰 논란과 충격을 가져오게 하였다.

분자유전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Sibley와 Monroe의 분류체계는 다수의 오류 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연구 방법의 개선과 후속 연구를 통하여 조류 의 진화와 계통을 밝히고 과거의 형태분류학적 불확실성을 해결하거나 보완하는 중요한 도구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조류 분류체계의 두 가지 큰 경향에 대해 한국조류학회 이사회에서 드러난 국내 조류학자들의 분류학적 견해는 대부분 형태적인 유사성을 근거로 한 보수적인 분류체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태적 분류체계는 최 신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지 못하는 반면, 유전적 분류체계는 짧은 역사로 인해 전 체 조류의 계통 관계를 밝히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여 두 분류체계의 결과를 접목시킨 조류 목록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Dickinson 2003)’는 전 세계의 조류 분류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물을 종합한 대표적인 목록에 해당한다.

비록 Dickinson (2003)의 목록이 조류의 분류학적 체계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본 조류목록 역시 분류학적인 체계의 선택을 목적으로 한 것 이 아니라 한국에 기록된 조류를 목록화 하는 것이므로 Dickinson (2003)이 제 시한 분류학적인 순서에 따라 정리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명은 한 종에 대해 다양한 이름이 존재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각 지역 및 국가에 따라 서로 다른 영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목록에서는 국 제적인 표준 영명을 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Birds of the World: Recommended English Names (Gill and Wright 2006)’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러나 기존에 널 리 사용하던 영명과 큰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영명을 각주로 표시하여 참고하도록 하였으며, 만일 Gill and Wright (2006)의 목록 이외의 문 헌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영명을 목록에 채택 하고 Gill and Wright (2006)의 영명을 각주로 표시하기도 하였다.

본 목록은 과거의 많은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아종 수준까지 작성되었

다. 국내에 기록된 아종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종의 경우 외국의 문헌들을

검토하여 분포권을 바탕으로 국내에 분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아종이 있을 경

우 표기하였다. 그러나 아종의 유효성에 대한 분류학적인 논란이 있거나 국내 기

록 및 아종의 실체가 확실치 않을 경우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의 분류학적인 연구가 부족한 현실로 인해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나 유효성이 확

(3)

인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따라서 본 목록은 향후 분류학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 운 사실이 밝혀질 때마다 적절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2. 조류의 범주 구분

국내에서 기록된 조류에 대한 기록의 범주는 다양하게 나눠질 수 있다. 외국 의 경우 국가별로 다양한 범주를 나누어 기록을 정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에서는 야생조류 여부와 기록의 신뢰성에 대한 평가만 있어 현재 기록되고 있거 나 향후 기록될 종들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어렵다. 특히 사육을 하다가 탈출한 외국의 조류가 관찰되거나 도래 또는 유입경로가 불확실한 경우, 관찰하였다는 주장은 있으나 근거가 부족한 경우 등 다양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어 공식적인 기록의 인정체계에 대한 정비는 물론 체계적인 기록정리의 필요 성도 증가하고 있다. 비록 아직까지는 외국에 비해 기록의 범주가 아주 복잡하지 는 않다고 판단되지만, 현재까지 기록된 조류를 범주에 따라 나누어 정리하기 위 해 아래의 여섯 가지 범주에 따라 목록을 작성하였다.

구분 범주 내용

한국의 조류로 인정되는 종

또는 아종

범주 가 야생의 조류로서 공식적으로 기록된 종 범주 나

한국의 야생 조류로 공식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사육조류의 인 위적인 방생 또는 탈출에 의해 기록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 지 못할 경우

범주 다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도입된 후 야생에 완전히 정착하여

사람의 도움 없이 자연 번식하는 종

한국의 조류로 인정되지 않는 종 또는 아종

범주 라 사육개체가 방생 또는 탈출하여 관찰되었으나 아직까지 야생

에서 완전히 정착하지 못한 종

범주 마

과거 공식 또는 비공식 경로를 통해 보고되었거나 관찰하였 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거 나 오동정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및 분류학적인 재검토가 필 요한 경우

범주 바

원병오(1996), 이우신 등(2000)의 기존 목록에서 한국의 조류 로 공식 인정되었으나 재검토가 요구되거나 조류 목록에서 삭 제가 요구되는 종 또는 아종

(4)

II. 조류목록 배열 순서

본 조류목록의 배열 순서는 과 수준에서 정리하였으며, 2009년 9월 현재까지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서 기록된 종을 포함하여 총 74과 518종을 수록하였다.

1> 꿩과 Family Phasianidae 2> 오리과 Family Anatidae 3> 아비과 Family Gaviidae

4> 알바트로스과 Family Diomedeidae 5> 슴새과 Family Procellariidae 6> 바다제비과 Family Hydrobatidae 7> 논병아리과 Family Podicipedidae 8> 황새과 Family Ciconiidae

9> 저어새과 Family Threskiornithidae 10> 백로과 Family Ardeidae

11> 군함조과 Family Fregatidae 12> 사다새과 Family Pelecanidae 13> 얼가니과 Family Sulidae

14> 가마우지과 Family Phalacrocoracidae 15> 매과 Family Falconidae

16> 수리과 Family Accipitridae 17> 느시과 Family Otididae 18> 뜸부기과 Family Rallidae 19> 두루미과 Family Gruidae

20> 세가락메추라기과 Family Turnicidae 21> 검은머리물떼새과 Family Haematopodidae 22> 장다리물떼새과 Family Recurvirostridae 23> 물떼새과 Family Charadriidae

24> 호사도요과 Family Rostratulidae

25> 물꿩과 Family Jacanidae

26> 도요과 Family Scolopacidae

(5)

27> 제비물떼새과 Family Glareolidae 28> 갈매기과 Family Laridae

29> 도둑갈매기과 Family Stercorariidae 30> 바다오리과 Family Alcidae

31> 사막꿩과 Family Pteroclidae 32> 비둘기과 Family Columbidae 33> 두견이과 Family Cuculidae 34> 가면올빼미과 Family Tytonidae 35> 올빼미과 Family Strigidae 36> 쏙독새과 Family Caprimulgidae 37> 칼새과 Family Apodidae 38> 파랑새과 Family Coraciidae 39> 물총새과 Family Alcedinidae 40> 후투티과 Family Upupidae 41> 딱다구리과 Family Picidae 42> 팔색조과 Family Pittidae 43> 숲제비과 Family Artamidae

44> 할미새사촌과 Family Campephagidae 45> 때까치과 Family Laniidae

46> 꾀꼬리과 Family Oriolidae 47> 바람까마귀과 Family Dicruridae 48> 긴꼬리딱새과 Family Monarchidae 49> 까마귀과 Family Corvidae

50> 여새과 Family Bombycillidae 51> 박새과 Family Paridae

52> 스윈호오목눈이과 Family Remizidae

53> 제비과 Family Hirundinidae

54> 오목눈이과 Family Aegithalidae

55> 종다리과 Family Alaudidae

56> 개개비사촌과 Family Cisticolidae

57> 직박구리과 Family Pycnonotidae

(6)

58> 휘파람새과 Family Sylviidae

59> 붉은머리오목눈이과 Family Timaliidae 60> 동박새과 Family Zosteropidae

61> 상모솔새과 Family Reguliidae

62> 굴뚝새과 Family Troglodytidae

63> 동고비과 Family Sittidae

64> 나무발발이과 Family Certhiidae

65> 찌르레기과 Family Sturnidae

66> 지빠귀과 Family Turdidae

67> 솔딱새과 Family Muscicapidae

68> 물까마귀과 Family Cinclidae

69> 참새과 Family Passeridae

70> 납부리새과 Family Estrildidae

71> 바위종다리 Family Prunellidae

72> 할미새과 Family Motacillidae

73> 되새과 Family Fringillidae

74> 멧새과 Family Emberizidae

(7)

III. 한국조류목록

범주 가

야생의 조류로서 한국에 공식적으로 기록된 종

1. 꿩과 Family Phasianidae

1. 들꿩 Bonasa

1)

bonasia (Linnaeus, 1758) Hazel Grouse 1-1. 들꿩 Bonasa bonasia amurensis (Riley, 1916)

2. 멧닭 Lyrurus

2)

tetrix (Linnaeus, 1758) Black Grouse 2-1. 멧닭 Lyrurus tetrix ussuriensis (Kohts, 1911)

3. 메추라기 Coturnix japonica Temminck & Schlegel, 1849 Japanese Quail

4. 꿩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Ring-necked Pheasant 4-1. 꿩 Phasianus colchicus karpowi Buturlin, 1904

4-2. 북꿩 Phasianus colchicus pallasi Rothschild, 1901

2. 오리과 Family Anatidae

1) Bonasa 속(del Hoyo et al. 1994, Clements 2007) 또는 Tetrastes 속에 해당한다(Austin 1948, Vaurie 1965, 원병오 1981, Dickinson 2003). Vaurie (1965)는 아무르, 우수리, 만주,

한반도, 사할린과 북해도에 분포하는 집단을 vicinitas 하나로 통합하였으나, 최근에는 한반도, 아

무르, 만주에 분포하는 집단을 amurensis, 사할린의 집단을 yamashinai, 북해의 집단을 vicinitas 로 각각 구분하여 별개의 아종으로 나눈다(del Hoyo et al. 1994, Dickinson 2003).

2) Tetrao 속(del Hoyo et al. 1994, Clements 2007) 또는 Lyrurus 속에 포함된다(Dickinson 2003).

(8)

5. 개리 Anser cygnoides (Linnaeus, 1758) Swan Goose

6. 큰기러기 Anser fabalis (Latham, 1787) Bean Goose 6-1. 큰기러기

3)

Anser fabalis serrirostris Swinhoe, 1871

Tundra Bean Goose 6-2. 큰부리큰기러기 Anser fabalis middendorffi Severtzov, 1873

Taiga Bean Goose

7. 회색기러기 Anser anser (Linnaeus, 1758) Greylag Goose 7-1. 회색기러기 Anser anser rubrirostris Swinhoe, 1871

8. 쇠기러기 Anser albifrons (Scopoli, 1769) Greater White-fronted Goose 8-1. 쇠기러기 Anser albifrons frontalis Baird, 1858

9. 흰이마기러기 Anser erythropus (Linnaeus, 1758) Lesser White-fronted Goose 10. 줄기러기

4)

Anser indicus (Latham, 1790) Bar-headed Goose 11. 흰머리기러기 Anser canagicus (Sevastianov, 1802) Emperor Goose

12. 흰기러기 Anser caerulescens (Linnaeus, 1758) Snow Goose 12-1. 흰기러기 Anser caerulescens caerulescens (Linnaeus, 1758)

13. 캐나다기러기 Branta hutchinsii

5)

(Linnaeus, 1758) Cackling Goose

3) 최근에는 큰기러기와 큰부리큰기러기를 형태, 생태, 분포, 유전정보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는 견해가 우세하여(Sangster and Oreel 1996, Ruokonen et al. 2008), 향후 한국조류목록에 반영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4) 2003년 3월 15일 경기도 파주시의 곡릉천 하구에서 성조 1개체를 처음으로 관찰한 기록이 있다(이기섭 2005).

5) 캐나다기러기 Canada Goose Branta canadensis는 형태적 차이와 지리적 분포에 따라 11아 종(del Hoyo et al. 1992) 또는 12아종(Dickinson 2003)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 미의 내륙지역과 남쪽에서 번식하는 대형종을 Canada Goose Branta canadensis (7개 아종),

(9)

13-1. 캐나다기러기 Branta hutchinsii leucopareia

6)

(Brandt, 1836) Aleutian Cackling Goose

14. 흑기러기 Branta bernicla (Linnaeus, 1758) Brant Goose

7)

14-1. 흑기러기 Branta bernicla nigricans (Lawrence, 1846)

15. 혹고니 Cygnus olor (Gmelin, 1789) Mute Swan

16. 고니 Cygnus columbianus (Ord, 1815) Tundra Swan 16-1. 고니 Cygnus columbianus bewickii Yarrell, 1830

17. 큰고니 Cygnus cygnus (Linnaeus, 1758) Whooper Swan 18. 혹부리오리 Tadorna tadorna (Linnaeus, 1758) Common Shelduck 19. 황오리 Tadorna ferruginea (Pallas, 1764) Ruddy Shelduck 20. 원앙사촌 Tadorna cristata (Kuroda, 1917) Crested Shelduck 21. 원앙 Aix galericulata (Linnaeus, 1758) Mandarin Duck 22. 알락오리 Anas strepera Linnaeus, 1758 Gadwall

북미의 툰드라지역, 알류산 열도 등지에서 번식하는 소형종을 Cackling Goose Branta hutchinsii (4개 아종)로 구분함으로써, 독자적인 2개의 종으로 간주하고 있다(Sangster et al. 2005).

6) 국내에 간혹 관찰되는 개체는 알래스카 서부의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는 B. h. minima

(Small Cackling Goose)로 판단되며, 2007년 12월 5일 서산에서는 알래스카 동북부와 캐나다 북부에서 번식하는 B. h. taverneri (Taverner's Cackling Goose)로 추정되는 개체가 관찰된 기 록도 있다. 그러나 본 종은 지리적 분포에 따라 몸의 크기, 부리 길이 및 깃털 색 등이 점진적 으로 변화하므로, 야외 관찰만으로 아종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위 2아종을 포함한 각 아종별 국내 도래 현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7) Brant 또는 Brent Goose라는 영명도 흔히 사용된다.

(10)

23. 청머리오리 Anas falcata Georgi, 1775 Falcated Duck 24. 홍머리오리 Anas penelope Linnaeus, 1758 Eurasian Wigeon 25. 아메리카홍머리오리 Anas americana Gmelin, 1789 American Wigeon

26.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Linnaeus, 1758 Mallard 26-1.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platyrhynchos Linnaeus, 1758

27. 미국오리 Anas rubripes Brewster, 1902 American Black Duck

28.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Forster, 1781 Spot-billed Duck 28-1.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zonorhyncha

8)

Swinhoe, 1866

Chinese Spot-billed Duck 29. 넓적부리 Anas clypeata Linnaeus, 1758 Northern Shoveler 30. 고방오리 Anas acuta Linnaeus, 1758 Northern Pintail 31. 발구지 Anas querquedula Linnaeus, 1758 Garganey 32. 가창오리 Anas formosa Georgi, 1775 Baikal Teal

33. 쇠오리 Anas crecca Linnaeus, 1758 Eurasian Teal 33-1. 쇠오리 Anas crecca crecca Linnaeus, 1758

8) Johnson and Sorenson (1999)은 흰뺨검둥오리를 북방계에 속하는 독자적인 종(Anas

zonorhyncha, Chinese Spot-billed Duck)으로 간주하고 남방계인 Anas poecilorhyncha (Indian Spot-billed Duck)와 구분하였으며, Leader (2006)는 홍콩에서 함께 번식하는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zonorhyncha)와 Burmese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haringtoni)의 두 아종이 각각 독립적인 쌍을 형성한다는 것을 근거로 하여 흰뺨검둥오리를 독

립된 종(Anas zonorhyncha)으로 보았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집단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검토가 더 필요하다.

(11)

34. 미국쇠오리

9)

Anas carolinensis (Gmelin, 1789) Green-winged Teal 35. 붉은부리흰죽지 Netta rufina (Pallas, 1773) Red-crested Pochard 36. 큰흰죽지 Aythya valisineria (Wilson, 1814) Canvasback 37. 미국흰죽지 Aythya americana (Eyton, 1838) Redhead 38. 흰죽지 Aythya ferina (Linnaeus, 1758) Common Pochard 39. 붉은가슴흰죽지 Aythya baeri (Radde, 1863) Baer's Pochard 40. 적갈색흰죽지 Aythya nyroca (Güldenstädt, 1770) Ferruginous Duck 41.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Linnaeus, 1758) Tufted Duck

42. 검은머리흰죽지 Aythya marila (Linnaeus, 1761) Greater Scaup 42-1. 검은머리흰죽지 Aythya marila nearctica

10)

Stejneger, 1885

43. 호사북방오리

11)

Somateria spectabilis (Linnaeus, 1758) King Eider 44. 흰줄박이오리 Histrionicus histrionicus (Linnaeus, 1758) Harlequin Duck

9) Johnson and Sorenson (1999), Sangster et al. (2002)은 수컷의 형태 및 구애행동의 차이,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등을 근거로 쇠오리 Eurasian Teal A. crecca와 미국쇠오리 Green- winged Teal A. carolinensis를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10)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한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Dickinson (2003)은 아 종 marila와 nearctica로 구분하였지만, Clements (2007)는 아종 marila와 mariloides로 보았다.

원병오(1981), 日本鳥学会(2000), del Hoyo et al. (1992) 등은 국내에 도래하는 아종을 A. m.

mariloides로 보았다. 그러나 mariloides가 nearctica의 분포지역에 출현하는 유효하지 않은 아 종이므로(Sangster et al. 2005), 국내에 기록된 아종은 Aythya marila nearctica에 해당한다.

11) 2009년 1월 11일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에서 암컷 1개체, 2009년 1월 17일 경북 울진군 죽변항에서 수컷 성조 1개체가 관찰되었다(김석민 등 2008).

(12)

45. 검둥오리사촌 Melanitta deglandi (Linnaeus, 1758) White-winged Scoter 45-1. 검둥오리사촌 Melanitta deglandi stejnegeri Ridgway, 1887

46. 검둥오리 Melanitta americana (Linnaeus, 1758) Black Scoter 47. 바다꿩 Clangula hyemalis (Linnaeus, 1758) Long-tailed Duck

48.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Linnaeus, 1758) Common Goldeneye 48-1.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clangula (Linnaeus, 1758)

49. 북방흰뺨오리 Bucephala islandica (Gmelin, 1789) Barrow's Goldeneye 50. 흰비오리 Mergellus

12)

albellus (Linnaeus, 1758) Smew

51. 비오리 Mergus merganser Linnaeus, 1758 Common Merganser 51-1. 비오리 Mergus merganser merganser Linnaeus, 1758

52. 바다비오리 Mergus serrator Linnaeus, 1758 Red-breasted Merganser 53. 호사비오리 Mergus squamatus Gould, 1864 Scaly-sided Merganser

3. 아비과 Family Gaviidae

54. 아비 Gavia stellata (Pontoppidan, 1763) Red-throated Loon

13)

55. 큰회색머리아비 Gavia arctica (Linnaeus, 1758) Black-throated Loon 55-1. 큰회색머리아비 Gavia arctica viridigularis Dwight, 1918

12) Mergellus 속(Dickinson 2003, Clements 2007) 또는 Mergus 속에 포함된다(del Hoyo et al. 1992, 日本鳥学会 2000).

13) 아비류는 Loon이란 영명과 함께 Diver라는 영명도 흔히 사용한다.

(13)

56. 회색머리아비 Gavia pacifica (Lawrence, 1858) Pacific Loon 57. 흰부리아비 Gavia adamsii (Gray, 1859) Yellow-billed Loon

14)

4. 알바트로스과 Family Diomedeidae

58. 알바트로스 Phoebastria

15)

albatrus (Pallas, 1769) Short-tailed Albatross 5. 슴새과 Family Procellariidae

59. 흰배슴새 Pterodroma hypoleuca (Salvin, 1888) Bonin Petrel 60.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 (Temminck, 1836) Streaked Shearwater 61. 쇠부리슴새 Puffinus tenuirostris (Temminck, 1836) Short-tailed Shearwater 62. 붉은발슴새 Puffinus carneipes Gould, 1844 Flesh-footed Shearwater

6. 바다제비과 Family Hydrobatidae

63. 바다제비 Oceanodroma monorhis (Swinhoe, 1867) Swinhoe's Storm Petrel 7. 논병아리과 Family Podicipedidae

14) White-billed Diver라는 영명도 사용된다.

15) 과거에는 Diomedea 속에 포함되었으나(del Hoyo et al. 1994, 日本鳥学会 2000), 최근에

는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Phoebastria 속에 포함시키는 경향이 강하다(Nunn et

al. 1996, Dickinson 2003, Clements 2007).

(14)

64. 논병아리 Tachybaptus ruficollis (Pallas, 1764) Little Grebe 64-1. 논병아리 Tachybaptus ruficollis poggei (Reichenow, 1902)

65. 큰논병아리 Podiceps grisegena (Boddaert, 1783) Red-necked Grebe 65-1. 큰논병아리 Podiceps gricegena holboellii Reinhardt, 1854

66.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Linnaeus, 1758) Great Crested Grebe 66-1.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cristatus (Linnaeus, 1758)

67. 귀뿔논병아리 Podiceps auritus (Linnaeus, 1758) Horned Grebe 67-1. 귀뿔논병아리 Podiceps auritus auritus (Linnaeus, 1758)

68. 검은목논병아리 Podiceps nigricollis Brehm, 1831 Black-necked Grebe 68-1. 검은목논병아리 Podiceps nigricollis nigricollis Brehm, 1831

8. 황새과 Family Ciconiidae

69. 먹황새 Ciconia nigra (Linnaeus, 1758) Black Stork 70. 황새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Oriental Stork

16)

9. 저어새과 Family Threskiornithidae

71. 검은머리흰따오기 Threskiornis melanocephalus (Latham, 1790)

Black-headed Ibis 72. 따오기 Nipponia nippon (Temminck, 1835) Crested Ibis

16) Oriental White Stork이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15)

73.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Linnaeus, 1758 Eurasian Spoonbill 73-1.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leucorodia Linnaeus, 1758 74. 저어새 Platalea minor Temminck & Schlegel, 1849 Black-faced Spoonbill

10. 백로과 Family Ardeidae

75. 알락해오라기 Botaurus stellaris (Linnaeus, 1758) Eurasian Bittern 75-1. 알락해오라기 Botaurus stellaris stellaris (Linnaeus, 1758)

76.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sinensis (Gmelin, 1789) Yellow Bittern

77.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Swinhoe, 1873)

Von Schrenck's Bittern

17)

78. 열대붉은해오라기 Ixobrychus cinnamomeus (Gmelin, 1789)

Cinnamon Bittern

79. 검은해오라기 Dupetor

18)

flavicollis (Latham, 1790) Black Bittern 79-1. 검은해오라기 Dupetor flavicollis flavicollis (Latham, 1790)

80.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Temminck, 1836) Japanese Night Heron

81. 푸른눈테해오라기

19)

Gorsachius melanolophus (Raffles, 1822)

Malaysian Night Heron

17) Schrenck's Bittern이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18) Dupetor 속(Dickinson 2003) 또는 Ixobrychus 속(del Hoyo et al. 1994, Clements 2007) 에 포함된다.

19) 2006년 6월 4일 전북 군산시에서 1개체가 구조된 기록이 있다(강정훈 등 2008).

(16)

82.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Linnaeus, 1758)

Black-crowned Night Heron 82-1.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nycticorax (Linnaeus, 1758)

83.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a (Linnaeus, 1758) Striated Heron 83-1.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a amurensis (von Schrenk, 1860) 84. 흰날개해오라기 Ardeola bacchus (Banaparte, 1855) Chinese Pond Heron

85. 황로 Bubulcus ibis (Linnaeus, 1758) Cattle Egret 85-1. 황로 Bubulcus ibis coromandus (Boddaert, 1783)

86. 왜가리 Ardea cinerea Linnaeus, 1758 Grey Heron 86-1. 왜가리 Ardea cinerea jouyi Clark, 1907

87. 붉은왜가리 Ardea purpurea Linnaeus, 1766 Purple Heron 87-1. 붉은왜가리 Ardea purpurea manilensis Meyen, 1834

88. 중대백로 Ardea

20)

alba (Linnaeus, 1758) Great Egret 88-1. 대백로 Ardea alba alba (Linnaeus, 1758)

88-2. 중대백로 Ardea alba modesta (Gray, 1831)

89.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Wagler, 1829) Intermediate Egret

21)

89-1.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 (Wagler, 1829)

90. 쇠백로 Egretta garzetta (Linnaeus, 1766) Little Egret 90-1. 쇠백로 Egretta garzetta garzetta (Linnaeus, 1766)

20) Ardea 속(Dickinson 2003, Clements 2007) 또는 Egretta 속(del Hoyo et al. 1994)에 포

함된다. 분자유전적 분석에 의하면 Egretta 속보다는 Ardea 속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del Hoyo et al. 1994).

21) Gill and Wright (2006)는 Yellow-billed Egret이라는 영명을 사용하였다.

(17)

91. 흑로 Egretta sacra (Gmelin, 1789) Pacific Reef Egret 91-1. 흑로 Egretta sacra sacra (Gmelin, 1789)

92.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lophotes (Swinhoe, 1860) Chinese Egret 11. 군함조과 Family Fregatidae

93. 큰군함조 Fregata minor (Gmelin, 1789) Great Frigatebird 93-1. 큰군함조 Fregata minor minor (Gmelin, 1789)

94. 군함조 Fregata ariel (Gray, 1845) Lesser Frigatebird 94-1. 군함조 Fregata ariel ariel (Gray, 1845)

12. 사다새과 Family Pelecanidae

95. 사다새 Pelecanus crispus Bruch, 1832 Dalmatian Pelican 96. 큰사다새 Pelecanus onacrotalus Linnaceus, 1758 Greater White Pelican

13. 얼가니과 Family Sulidae

97. 푸른얼굴얼가니새

22)

Sula dactylatra Lesson, 1831 Masked Booby 97-1. 푸른얼굴얼가니새 Sula dactylatra personata

23)

Gould, 1846

98. 붉은발얼가니새

24)

Sula sula (Linnaeus, 1766) Red-footed Booby

22) 2004년 9월 23일 부산시 남구 감만동에서 탈진한 수컷을 포획하였다(이종남 미발표 자료).

23) 아종의 지리적 분포로 보아 국내에 기록된 아종은 personata로 판단된다.

24) 1981년 9월 부산 근해에서 채집된 1점의 표본이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박종길, 최창용 미발표 자료).

(18)

98-1. 붉은발얼가니새 Sula sula rubripes

25)

Gould, 1938

99. 갈색얼가니새 Sula leucogaster (Boddaert, 1783) Brown Booby 99-1. 갈색얼가니새 Sula leucogaster plotus (Forster, 1844)

14. 가마우지과 Family Phalacrocoracidae

100.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Linnaeus, 1758) Great Cormorant 100-1.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sinensis (Blumenbach, 1798)

101. 가마우지 Phalacrocorax capillatus (Temminck & Schlegel, 1848)

Temminck's Cormorant

26)

102. 쇠가마우지 Phalacrocorax pelagicus Pallas, 1811 Pelagic Cormorant

27)

102-1. 쇠가마우지 Phalacrocorax pelagicus pelagicus Pallas, 1811

103. 붉은뺨가마우지

28)

Phalacrocorax urile (Gmelin, 1789)

Red-faced Cormorant

29)

15. 매과 Family Falconidae

104.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Linnaeus, 1758 Common Kestrel 104-1.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

30)

McClelland, 1840

25) 아종의 지리적 분포로 보아 국내에 기록된 아종은 rubripes로 판단된다.

26) Gill and Wright (2006)는 Japanese Cormorant라는 영명을 사용하였다.

27) Gill and Wright (2006)는 Pelagic Shag라는 영명을 사용하였다.

28) 북한에만 기록된 종으로 납도와 덕도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9) Gill and Wright (2006)는 Red-faced Shag라는 영명을 사용하였다.

30) 남태경(1950), 원홍구(1963) 등은 국내에 분포하는 황조롱이가 interstinctus라고 보았으며,

日本鳥学会(2000)도 우리나라가 히말라야부터 일본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는 interstinctus의

(19)

104-2. 한국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tinnunculus

31)

Linnaeus, 1758 105. 비둘기조롱이 Falco amurensis Radde, 1863 Amur Falcon

106. 쇠황조롱이 Falco columbarius Linnaeus, 1758 Merlin 106-1. 쇠황조롱이 Falco columbarius insignis (Clark, 1907)

107. 새호리기 Falco subbuteo Linnaeus, 1758 Eurasian Hobby 107-1. 새호리기 Falco subbuteo subbuteo Linnaeus, 1758

108. 헨다손매 Falco cherrug Gray, 1834 Saker Falcon 108-1. 헨다손매 Falco cherrug milvipes Jerdon, 1871

109. 매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Peregrine Falcon 109-1. 매 Falco peregrinus japonensis Gmelin, 1788

109-2. 바다매 Falco peregrinus pealei Ridgway, 1873

Peale's Peregrine Falcon 16. 수리과 Family Accipitridae

110. 물수리 Pandion haliaetus (Linnaeus, 1758) Osprey 110-1. 물수리 Pandion haliaetus haliaetus (Linnaeus, 1758)

111. 벌매 Pernis ptilorhynchus (Temminck, 1821) Crested Honey Buzzard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와는 달리 Clark (1907)는 한국에서 번식하는 아종을 몸 색깔이 밝은 perpallidus로 판단하였고, Dickinson (2003), Brazil (2009) 등도 시베리아 동북 부, 중국 동북부, 한국에 분포하는 아종을 perpallidus로 보았다. 그러나 perpallidus를 tinnunculus 의 동종이명으로 보기도 하므로(Vaurie 1965, Clements 2007), 향후 아종 perpallidus의 유효성 과 국내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31) Clark (1907)는 국내에 번식하는 아종(황조롱이)을 perpallidus, 겨울철에 도래하는 아종(한

국황조롱이)을 interstinctus로 보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희귀한 겨울철새로 찾아오는 집단은

tinnunculus인 것으로 보고있다(남태경 1950, 강영선 1962, 원홍구 1963, 채희영 등 2009).

(20)

111-1. 벌매 Pernis ptilorhyncus orientalis Taczanowski, 1891

112. 솔개 Milvus migrans (Boddaert, 1783) Black Kite 112-1. 솔개 Milvus migrans lineatus (Gray, 1831)

113.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White-tailed Eagle 113-1.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albicilla (Linnaeus, 1758)

114. 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Pallas, 1811) Steller's Sea Eagle 114-1. 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pelagicus (Pallas, 1811)

114-2. 한국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niger Heude, 1887

Black Sea Eagle

115.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Linnaeus, 1758) Bearded Vulture

32)

115-1.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aureus (Hablizl, 1783)

116. 독수리 Aegypius monachus (Lannaeus, 1766) Cinereous Vulture 117. 고산대머리수리

33)

Gyps himalayensis Hume, 1869 Himalayan Griffon

118. 관수리 Spilornis cheela (Latham, 1790) Crested Serpent Eagle 118-1. 관수리 Spilornis cheela ricketti

34)

W. L. Sclater, 1919

119. 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Kaup, 1847 Eastern Marsh Harrier 119-1. 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spilonotus Kaup, 1847

120.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Linnaeus, 1766) Northern Harrier

35)

32) Lammergeier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33) 2007년 2월 11일 경남 진주시 수곡면에서 어린새 1개체가 관찰되었다(채희영 등 2009).

34) 한국에 기록된 아종에 대한 자료가 없다. 지리적 분포로 볼 때 국내에 기록된 아종은 중국 중남부와 동남부, 베트남 북부에 분포하는 ricketti로 판단된다(채희영 등 2009).

(21)

120-1.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cyaneus (Linnaeus, 1766)

121. 알락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os (Pennant, 1769) Pied Harrier 122.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Horsfield, 1821) Chinese Sparrowhawk

123. 조롱이 Accipiter gularis (Temminck & Schlegel, 1844)

Japanese Sparrowhawk 123-1. 조롱이 Accipiter gularis gularis (Temminck & Schlegel, 1844)

124. 새매 Accipiter nisus (Linnaeus, 1758) Eurasian Sparrowhawk 124-1. 새매 Accipiter nisus nisosimilis Tickell, 1833

125. 참매 Accipiter gentilis (Linnaeus, 1758) Northern Goshawk 125-1. 참매 Accipiter gentilis schvedowi (Menzbier, 1882)

125-2. 흰참매 Accipiter gentilis albidus (Menzbier, 1882)

126. 왕새매 Butastur indicus (Gmelin, 1788) Grey-faced Buzzard

127. 말똥가리 Buteo buteo (Linnaeus, 1758) Common Buzzard 127-1. 말똥가리 Buteo buteo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4 127-2. 붉은꼬리말똥가리 Buteo buteo vulpinus

36)

Gloger, 1833

128.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Temminck & Schlegel,1844 Upland Buzzard

129.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Pontoppidan, 1763) Rough-legged Buzzard 129-1.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menzbieri Dementiev, 1951

129-2. 캄차카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kamtschatkensis Dementiev, 1931

35) Hen Harrier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36) 유럽에서 중국 서북부까지 분포하는 아종 vulpinus로 판단되는 개체가 국내에서 지속적으

로 관찰되고 있다(박진영 등 2008).

(22)

130. 항라머리검독수리 Aquila clanga Pallas, 1811 Greater Spotted Eagle

131. 초원수리

37)

Aquila nipalensis Hodgson, 1833 Steppe Eagle 131-1. 초원수리 Aquila nipalensis nipalensis Hodgson, 1833

132. 흰죽지수리 Aquila heliaca Savigny, 1809 Eastern Imperial Eagle

133.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Linnaeus, 1758) Golden Eagle 133-1.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japonica Severtsov, 1888

134. 흰배줄무늬수리 Hieraaetus fasciatus (Vieillot, 1822) Bonelli's Eagle 134-1. 흰배줄무늬수리

38)

Hieraaetus fasciatus fasciatus (Vieillot, 1822) 135. 흰점어깨수리

39)

Hieraaetus pennatus (Gmelin, 1788) Booted Eagle

136. 뿔매 Spizaetus nipalensis (Hodgson, 1836) Mountain Hawk Eagle 136-1. 뿔매 Spizaetus nipalensis orientalis Temminck & Schlegel, 1844 17. 느시과 Family Otididae

137. 느시 Otis tarda Linnaeus, 1758 Great Bustard 137-1. 느시 Otis tarda dybowskii Taczanowski, 1874

37) 북한에서는 1959년 12월 함경남도 요덕에서 생포하여 평양 동물원에서 7년간 사육한 기록 이 있다(채희영 등 2009). 남한에서는 2005년 12월 28일 경남 진주시 수곡면 관정리에서 미성 숙 1개체가 처음 관찰된 이후, 인천 승봉도, 신안군 홍도, 해남군 영암호 일대에서 확인되었다 (채희영 등 2009).

38) 2007년 3월 21일 전남 도초면 우이도에서 3년생 암컷의 사체가 수집되었다(박종길과 채희 영 2007a).

39) 2006년 10월 29일에서 11월 2일까지 전남 흑산도에서 2년생 1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 (박종길과 채희영 2007a).

(23)

18. 뜸부기과 Family Rallidae

138. 알락뜸부기 Coturnicops exquisitus (Swinhoe, 1873) Swinhoe's Rail

139. 흰눈썹뜸부기 Rallus aquaticus Linnaeus, 1758 Water Rail 139-1. 흰눈썹뜸부기 Rallus aquaticus indicus Blyth, 1849

140. 흰배뜸부기 Amaurornis phoenicurus (Pennant, 1769)

White-breasted Waterhen 140-1. 흰배뜸부기 Amaurornis phoenicurus phoenicurus (Pennant, 1769)

141. 쇠뜸부기 Porzana pusilla (Pallas, 1776) Baillon's Crake 141-1. 쇠뜸부기 Porzana pusilla pusilla (Pallas, 1776)

142. 쇠뜸부기사촌 Porzana fusca (Linnaeus, 1766) Ruddy-breasted Crake 142-1. 쇠뜸부기사촌 Porzana fusca erythrothorax (Temminck & Schlegel, 1849) 143. 한국뜸부기 Porzana paykullii (Ljungh, 1813) Band-bellied Crake 144. 뜸부기 Gallicrex cinerea (Gmelin, 1789) Watercock

145. 쇠물닭 Gallinula chloropus (Linnaeus, 1758) Common Moorhen 145-1. 쇠물닭 Gallinula chloropus chloropus (Linnaeus, 1758)

146. 물닭 Fulica atra Linnaeus, 1758 Eurasian Coot 146-1. 물닭 Fulica atra atra Linnaeus, 1758

19. 두루미과 Family Gruidae

(24)

147. 쇠재두루미 Anthropoides virgo (Linnaeus, 1758) Demoiselle Crane 148. 시베리아흰두루미 Grus leucogeranus Pallas, 1773 Siberian Crane

149. 캐나다두루미 Grus canadensis (Linnaeus, 1758) Sandhill Crane 149-1. 캐나다두루미 Grus canadensis canadensis (Linnaeus, 1758) 150. 재두루미 Grus vipio Pallas, 1811 White-naped Crane

151.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Linnaeus, 1758) Common Crane 151-1.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lilfordi Sharpe, 1894

152. 흑두루미 Grus monacha Temminck, 1835 Hooded Crane 153. 두루미 Grus japonensis Müller, 1776 Red-crowned Crane

20. 세가락메추라기과 Family Turnicidae

154. 세가락메추라기 Turnix tanki Blyth, 1843 Yellow-legged Buttonquail 154-1. 세가락메추라기 Turnix tanki blanfordii Blyth, 1863

21. 검은머리물떼새과 Family Haematopodidae

155.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Linnaeus, 1758

Eurasian Oystercatcher

155-1.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Swinhoe, 1871

22. 장다리물떼새과 Family Recurvirostridae

(25)

156. 장다리물떼새 Himantopus himantopus (Linnaeus, 1758) Black-winged Stilt 156-1. 장다리물떼새 Himantopus himantopus himantopus (Linnaeus, 1758) 157. 뒷부리장다리물떼새 Recurvirostra avosetta Linnaeus, 1758 Pied Avocet

23. 물떼새과 Family Charadriidae

158. 댕기물떼새 Vanellus vanellus (Linnaeus, 1758) Northern Lapwing 159. 민댕기물떼새 Vanellus cinereus (Blyth, 1842) Grey-headed Lapwing 160. 검은가슴물떼새 Pluvialis fulva (Gmelin, 1789) Pacific Golden Plover 161. 개꿩 Pluvialis squatarola (Linnaeus, 1758) Grey Plover

162. 흰죽지꼬마물떼새 Charadrius hiaticula Linnaeus, 1758

Common Ringed Plover 162-1. 흰죽지꼬마물떼새 Charadrius hiaticula tundrae Lowe, 1915 163.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Gray, 1863 Long-billed Plover

164.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Scopoli, 1786 Little Ringed Plover 164-1.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curonicus Gmelin, 1789

165.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Linnaeus, 1758 Kentish Plover 165-1. 작은부리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alexandrinus Linnaeus, 1758 165-2.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dealbatus Swinhoe, 1870 166. 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 Pallas, 1776 Lesser Sand Plover

166-1. 몽골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 mongolus Pallas, 1776

(26)

166-2. 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 stegmanni Portenko, 1939 166-3. 검은이마왕눈물떼새

40)

Charadrius mongolus atrifrons Wagler, 1829

167. 큰왕눈물떼새 Charadrius leschenaultii Lesson, 1826 Greater Sand Plover 167-1. 큰왕눈물떼새 Charadrius leschenaultii leschenaultii Lesson, 1826 168. 큰물떼새 Charadrius veredus Gould, 1848 Oriental Plover 169. 흰눈썹물떼새

41)

Charadrius morinellus Linnaeus, 1758 Eurasian Dotterel

24. 호사도요과 Family Rostratulidae

170.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Linnaeus, 1758) Greater Painted Snipe 170-1.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benghalensis (Linnaeus, 1758) 25. 물꿩과 Family Jacanidae

171. 물꿩 Hydrophasianus chirurgus (Scopoli, 1786) Pheasant-tailed Jacana 26. 도요과 Family Scolopacidae

172. 멧도요 Scolopax rusticola Linnaeus, 1758 Eurasian Woodcock 173. 꼬마도요 Lymnocryptes minimus (Brünnich, 1764) Jack Snipe

174. 청도요 Gallinago solitaria Hodgson, 1831 Solitary Snipe

40) 2003년 4월 29일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서 1개체가 관찰되었다(박진영 미발표 자 료)

41) 2005년 9월 30일 충남 천수만 농경지에서 1개체가 관찰되었다(박종길과 서정화 2008a).

(27)

174-1. 청도요 Gallinago solitaria japonica (Bonaparte, 1856)

175. 큰꺅도요 Gallinago hardwickii (Gray, 1831) Latham's Snipe 176. 바늘꼬리도요 Gallinago stenura (Bonaparte, 1830) Pin-tailed Snipe 177. 꺅도요사촌 Gallinago megala Swinhoe, 1861 Swinhoe's Snipe

178. 꺅도요 Gallingo gallinago (Linnaeus, 1758) Common Snipe 178-1. 꺅도요 Gallingo gallinago gallinago (Linnaeus, 1758)

179. 긴부리도요

42)

Limnodromus scolopaceus (Say, 1823)

Long-billed Dowitcher 180. 큰부리도요

43)

Limnodromus semipalmatus (Blyth, 1848) Asian Dowitcher

181. 흑꼬리도요 Limosa limosa (Linnaeus, 1758) Black-tailed Godwit 181-1. 흑꼬리도요 Limosa limosa melanuroides Gould, 1846

182. 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 (Linnaeus, 1758) Bar-tailed Godwit 182-1. 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 baueri Naumann, 1836

182-2. 흰허리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 menzbieri Portenko, 1936 183. 쇠부리도요 Numenius minutus Gould, 1841 Little Curlew 184. 중부리도요 Numenius phaeopus (Linnaeus, 1758) Whimbrel

42) 1999년 1월 16일 부산시 낙동강하구 대마등에서 대학연합 야생조류연구회 조사팀에 의해 1개체가 촬영되었으며(최창용 미발표 자료), 1999년 12월 16일 충남 서산시 부남호에서 관찰된 1개체가 공식적으로 보고되었다(이도한 2000).

43) 1993년 9월 3일 경기도 시흥시 소래염전에서 1개체가 처음 관찰되었다(박진영과 김상욱 1994).

(28)

184-1. 중부리도요 Numenius phaeopus variegatus (Scopoli, 1786)

185. 마도요 Numenius arquata (Linnaeus, 1758) Eurasian Curlew 185-1. 마도요 Numenius arquata orientalis Brehm, 1831

186.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Linnaeus, 1766)

Eastern Curlew

44)

187. 학도요 Tringa erythropus (Pallas, 1764) Spotted Redshank

188. 붉은발도요 Tringa totanus (Linnaeus, 1758) Common Redshank 188-1. 붉은발도요 Tringa totanus ussuriensis Buturlin, 1934

189. 쇠청다리도요 Tringa stagnatilis (Bechstein, 1803) Marsh Sandpiper 190. 청다리도요 Tringa nebularia (Gunnerus, 1767) Common Greenshank

191. 청다리도요사촌 Tringa guttifer (Nordmann, 1835)

Nordmann's Greenshank

45)

192. 큰노랑발도요

46)

Tringa melanoleuca (Gmelin, 1789) Greater Yellowlegs 193.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Linnaeus, 1758 Green Sandpiper 194. 알락도요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Wood Sandpiper 195. 뒷부리도요 Xenus cinereus (Güldenstädt, 1774) Terek Sandpiper

44) Far Eastern Curlew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45) Spotted Greenshank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46) 1993년 9월 4일 경기도 시흥시 소래염전에서 겨울깃 1개체를 관찰하였다(박진영과 김상욱 1994).

(29)

196. 깝작도요 Actitis hypoleucos (Linnaeus, 1758) Common Sandpiper 197. 노랑발도요 Heteroscelus brevipes (Vieillot, 1816) Grey-tailed Tattler

198. 꼬까도요 Arenaria interpres (Linnaeus, 1758) Ruddy Turnstone 198-1. 꼬까도요 Arenaria interpres interpres (Linnaeus, 1758)

199. 붉은어깨도요 Calidris tenuirostris (Horsfield, 1821) Great Knot

200. 붉은가슴도요 Calidris canutus (Linnaeus, 1758) Red Knot 200-1. 붉은가슴도요 Calidris canutus rogersi Mathews, 1913

201. 세가락도요 Calidris alba (Pallas, 1764) Sanderling 202. 좀도요 Calidris ruficollis (Pallas, 1776) Red-necked Stint 203. 작은도요 Calidris minuta (Leisler, 1812) Little Stint 204. 흰꼬리좀도요 Calidris temminckii (Leisler, 1812) Temminck's Stint 205. 종달도요 Calidris subminuta (Middendorff, 1853) Long-toed Stint 206.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 Calidris melanotos (Vieillot, 1819) Pectoral Sandpiper 207. 메추라기도요 Calidris acuminata (Horsfield, 1821) Sharp-tailed Sandpiper 208. 붉은갯도요 Calidris ferruginea (Pontoppidan, 1763) Curlew Sandpiper

209. 민물도요 Calidris alpina (Linnaeus, 1758) Dunlin 209-1. 민물도요 Calidris alpina sakhalina (Vieillot, 1816)

209-2. 북방민물도요 Calidris alpina arcticola

47)

(Todd, 1953)

(30)

209-3. 큰민물도요 Calidris aplina pacifica (Coues, 1861)

210.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Linnaeus, 1758)

Spoon-billed Sandpiper

211. 송곳부리도요 Limicola falcinellus (Pontoppidan, 1763)

Broad-billed Sandpiper 211-1. 송곳부리도요 Limicola falcinellus sibirica Dresser, 1876

212. 누른도요 Tryngites subruficollis (Vieillot, 1819) Buff-breasted Sandpiper 213. 목도리도요 Philomachus pugnax (Linnaeus, 1758) Ruff 214. 큰지느러미발도요 Phalaropus tricolor (Vieillot, 1819) Wilson's Phalarope 215. 지느러미발도요 Phalaropus lobatus (Linnaeus, 1758) Red-necked Phalarope 216.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 Phalaropus fulicarius (Linnaeus, 1758) Red Phalarope

27. 제비물떼새과 Family Glareolidae

217. 제비물떼새 Glareola maldivarum Forster, 1795 Oriental Pratincole 28. 갈매기과 Family Laridae

47) 아직까지 국내 문헌에는 기재된 바 없으나, Dickinson (2003)과 Clements (2007)는 본 아 종이 중국 동부, 한국, 일본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2008년 6월 16일 알래스카 북서부에 서 번식하여 표식 조사된 성조 1개체가 같은 해 11월 2일 군산시 옥구읍 만경강 하구에서 촬 영되는 등 최근 본 아종이 국내에 도래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일부 개체군이 서해안에 규칙 적으로 도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최창용 미발표 자료).

(31)

218.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Vieillot, 1818 Black-tailed Gull

219. 갈매기 Larus canus Linnaeus, 1758 Mew Gull

48)

219-1. 갈매기 Larus canus kamtschatschensis

49)

(Bonaparte, 1857) 220. 수리갈매기 Larus glaucescens Naumann, 1840 Glaucous-winged Gull

221. 흰갈매기 Larus hyperboreus Gunnerus, 1767 Glaucous Gull 221-1. 흰갈매기 Larus hyperboreus pallidissimus Portenko, 1939

221-2. 쇠흰갈매기

50)

Larus hyperboreus barrovianus Ridgway, 1886

222. 작은흰갈매기 Larus glaucoides Meyer, 1822 Iceland Gull 222-1. 작은흰갈매기 Larus glaucoides kumlieni Brewster, 1883

223. 작은재갈매기 Larus thayeri Brooks, 1915 Thayer's Gull

224. 재갈매기 Larus vegae

51)

Palmén, 1887 Vega Gull 224-1. 재갈매기 Larus vegae vegae

52)

Palmén, 1887

225. 옅은재갈매기 Larus smithsonianus

53)

Coues, 1862 American Herring Gull

48) Common Gull이라는 영명도 사용한다.

49) 아종 Larus canus heinei가 드물게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으나, 현재까지 확증된 바 없다(박진영 2002).

50) 학회 미발표 자료. 1990년대 이후 동해안을 중심으로 아종 barrovianus로 판단되는 개체들

이 지속적으로 촬영되거나 관찰되고 있다.

51) 분류 방식에 다양한 견해가 있는 매우 복잡한 분류군이다. 과거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북 부에 걸쳐 폭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을 재갈매기(Herring Gull, L. argentatus)로 분류하였다 (del Hoyo et al. 1996, Dickinson 2003). 그러나 Olsen and Larsson (2003)과 Clements (2007)는 러시아 동쪽의 추코트반도에서 서쪽의 타이미르반도일대에서 번식하는 무리를 Vega Gull/East Siberian Gull L. vegae라는 별개의 종으로 보았다(Clements 2007).

52) 지리적 분포를 감안할 때 L. v. vegae로 간주된다.

53) 과거 재갈매기(Herring Gull, L. argentatus)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del Hoyo et al.

1996, Dickinson 2003). Sangster et al. (2007)은 American Herring Gull L. smithsonianus에

(32)

226. 한국재갈매기

54)

Larus cachinnans Pallas, 1811 Mongolian Gull

55)

226-1. 한국재갈매기 Larus cachinnans mongolicus Sushkin, 1925

227. 줄무늬노랑발갈매기

56)

Larus heuglini Bree, 1876 Heuglin's Gull 228. 큰재갈매기 Larus schistisagus Stejneger, 1884 Slaty-backed Gull

229. 큰검은머리갈매기

57)

Larus ichthyaetus Pallas, 1773

Great Black-headed Gull 230.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 Linnaeus, 1766 Black-headed Gull 231. 긴목갈매기

58)

Larus genei Bréme, 1839 Slender-billed Gull

3개 아종(smithsonianus, vegae, mongolicus)을 포함시켰지만, Olsen and Larsson (2003)과 Clements (2007)는 L. smithsonianus를 아종이 없는 단형종으로 간주하였다.

54) 아종 mongolicus 의 다리색은 겨울철에는 대부분 엷은 분홍색을 띄고, 노란색을 띠는 개

체는 매우 드물다. 단, 번식기에 노란색이 약간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우신 등 (2000)은 본 종을 노랑발갈매기로 명명하였으나 종의 형태적 특징이 종명과 일치하지 않으며,

줄무늬노랑발갈매기(Larus heuglini)의 다리 색깔이 주로 노란색인 점을 감안할 때 종명의 혼란

과 오동정을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목록에서는 ‘한국재갈매기’로 명명하 였다.

55) 최근 이 종에 대한 영명은 Caspian Gull이 사용된다(Gill and Wright 2006, Clements 2007). 그러나 국내에 도래하는 개체가 대부분 Larus cachinnans mongolicus에 해당하며 이들 은 경우에 따라 별개의 종(L. mongolicus)으로 간주되기도 하므로, 본 목록에서는 Mongolian Gull이라는 구체적인 영명을 사용하였다.

56) 학자에 따라 분류학적 견해를 달리하고 있어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del Hoyo et al.

(1996)과 Dickinson (2003)은 Lesser Black-backed Gull L. fuscus를 4개 아종(graellsii, fuscus, intermedius, heuglini)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Olsen and Larsson (2003)과 Clements (2007)는 3개 아종(graellsii, intermedius, fuscus)만 포함시키고, heuglini를 별개의 독립된 종인 Heuglin's Gull (Larus heuglini)로 구분하였다. 최근에는 Sangster et al. (2007)의 의견에 따라 6개 아종(fuscus, intermedius, graellsii, heuglini, taimyrensis, barabensis)으로 구분하기도 한

다.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아종은 대부분 taimyrensis이며, 드물게 heuglini가 찾아온다. 그러나

taimyrensis를 재갈매기 L. vegae와 Heuglin's Gull Larus heuglini의 잡종으로 보는 견해가 우 세하다.

57) 2002년 12월 1일 서울 시내의 한강과 중랑천 합류지점에서 처음 관찰되었다(이기섭 등 2005).

(33)

232.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Swinhoe, 1871) Saunders's Gull 233. 고대갈매기 Larus relictus Lönnberg, 1931 Relict Gull 234. 꼬마갈매기

59)

Larus minutus Pallas, 1776 Little Gull 235. 북극흰갈매기

60)

Pagophila eburnea (Phipps, 1774) Ivory Gull 236. 목테갈매기

61)

Xema sabini (Sabine, 1819) Sabine's Gull

237. 세가락갈매기 Rissa tridactyla (Linnaeus, 1758) Black-legged Kittiwake 237-1. 세가락갈매기 Rissa tridactyla pollicaris Ridgway, 1884

238. 큰부리제비갈매기

62)

Sterna

63)

nilotica Gmelin, 1789 Gull-billed Tern 238-1. 큰부리제비갈매기 Sterna nilotica affinis

64)

Horsefield, 1821 239. 붉은부리큰제비갈매기

65)

Sterna caspia Pallas, 1770 Caspian Tern 240. 큰제비갈매기 Sterna bergii Lichtenstein, 1823 Greater Crested Tern

58) 2002년 1월 9일 경남 하동군 갈사만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다(Nial Moores 미발표 자료).

59) 2006년 1월 21일 경북 포항시 환호동 해안에서 성조 겨울깃 1개체가 관찰되었다(박진영 등 2006).

60) 1995년 10월 23일 울릉도 저동항 해상에서 어린 새 1개체가 관찰되었다(박진영 2002).

61) 1970년 8월 3일 포항에서 1개체가 관찰되었다(이우신 등 2000).

62) 1993년 9월 30일 충남 아산군 공세리 갯벌에서 겨울깃 2개체가 처음으로 관찰되었다(박진 영과 김상욱 1994).

63) Sterna 속(Dickinson 2003) 또는 Gelochelidon 속(del Hoyo et al. 1996, 日本鳥学会 2000) 에 포함된다.

64) 지리적 분포로 볼 때 국내에 도래하는 아종은 인도 동부, 중국 동남부와 동부에 분포하는 아종 affinis로 판단되며, 유럽에서 중국 동북부까지 분포하는 기아종 nilotica도 도래할 가능성 이 있다.

65) 2001년 3월 18일 낙동강 하구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 낙동강 하구와 포항, 제주도 등지에 서 기록되었다(전시진 미발표 자료).

(34)

240-1. 큰제비갈매기 Sterna bergii cristatus (Stephens, 1826)

241. 긴꼬리제비갈매기

66)

Sterna dougallii Montagu, 1813 Roseate Tern 241-1. 긴꼬리제비갈매기 Sterna dougallii bangsi Mathews, 1912

242.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Common Tern 242-1.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longipennis Nordmann, 1835

242-2. 붉은발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minussensis Sushkin, 1925

243.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 Pallas, 1764 Little Tern 243-1.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 sinensis Gmelin, 1789

244. 에위니아제비갈매기

67)

Sterna anaethetus

68)

Scopoli, 1786 Bridled Tern 244-1. 에위니아제비갈매기 Sterna anaethetus anaethetus Scopoli, 1786

245. 검은등제비갈매기 Sterna fuscata Linnaeus, 1766 Sooty Tern 245-1. 검은등제비갈매기 Sterna fuscata nubilosa Sparrman, 1788

246. 구레나룻제비갈매기 Chlidonias hybrida (Pallas, 1811) Whiskered Tern 246-1. 구레나룻제비갈매기 Chlidonias hybrida hybrida

69)

(Horsfield, 1821)

247. 흰죽지제비갈매기

70)

Chlidonias leucopterus (Temminck, 1815)

66) 2008년 6월 29일 낙동강 하구에서 성조 1개체가 처음 관찰되었다(전시진 등 2008). 2000 년 8월 30일 북한의 원산 앞바다에서 채집되어 ‘붉은쇠갈매기’로 최초 기록된 표본은 제비갈매 기 아종을 오동정한 것으로 판단되며, 표본의 재검증이 요구된다(최창용과 박종길 2007).

67) 본 종은 2006년 7월 10일 제3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제출한 용어로 ‘폭풍의 신’을 의미함)가 통과할 당시에 관찰되어, 최초 발견자가 태풍이름을 토대로 국 명을 에위니아제비갈매기로 명명하였다(강창완 미발표 자료).

68) 최근에는 Onychoprion 속에 포함되기도 한다(Clemengs 2007).

69) Vaurie (1965)는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을 javanicus로 보았으나, 아종의 지리적 분포권과 이동성을 감안한 때 국내에 도래하는 아종은 hybrida로 판단된다. Brazil (2009)도 역시 극동아

시아의 아종을 hybrida로 간주하였다.

70) 구레나룻제비갈매기와 검은제비갈매기의 2종과 같은 속에 포함되는 종이므로, 본 목록에서

(35)

White-winged Black Tern

248. 검은제비갈매기 Chlidonias niger (Linnaeus, 1758) Black Tern 248-1. 검은제비갈매기 Chlidonias niger niger (Linnaeus, 1758)

29. 도둑갈매기과 Family Stercorariidae

249. 큰도둑갈매기

71)

Stercorarius maccormicki Saunders, 1893 South Polar Skua

250. 넓적꼬리도둑갈매기

72)

Stercorarius pomarinus (Temminck, 1764)

Pomarine Skua 251. 북극도둑갈매기 Stercorarius parasiticus (Linnaeus, 1758) Parasitic Jaeger

30. 바다오리과 Family Alcidae

252. 큰부리바다오리 Uria lomvia (Linnaeus, 1758) Thick-billed Murre 252-1. 큰부리바다오리 Uria lomvia arra (Pallas, 1811)

253. 바다오리 Uria aalge (Pontoppidan, 1763) Common Murre 253-1. 바다오리 Uria aalge inornata Salomonsen, 1932

254. 흰눈썹바다오리 Cepphus carbo Pallas, 1811 Spectacled Guillemot 255. 알락쇠오리 Brachyramphus perdix (Pallas, 1811) Long-billed Murrelet

는 ‘흰죽지갈매기’를 ‘흰죽지제비갈매기’로 개칭하였다.

71) 1995년 11월 4일 부산 인근 해역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관찰되었다(Nial Moores 미발표 자료).

72) 1995년 11월 4일 부산 인근 해역에서 10여 개체가 관찰된 이후, 전남 가거도, 전북 어청 도, 포항 구룡포 인근 해상에서 관찰된 바 있다(박종길과 서정화 2008a).

(36)

256. 바다쇠오리 Synthliboramphus antiquus (Gmelin, 1789) Ancient Murrelet 256-1. 바다쇠오리 Synthliboramphus antiquus antiquus (Gmelin, 1789)

257. 뿔쇠오리 Synthliboramphus wumizusume (Temminck, 1836)

Crested Murrelet

73)

258. 작은바다오리

74)

Aethia pusilla (Pallas, 1811) Least Auklet 259. 흰수염바다오리 Cerorhinca monocerata (Pallas, 1811) Rhinoceros Auklet

31. 사막꿩과 Family Pteroclidae

260. 사막꿩 Syrrhaptes paradoxus (Pallas, 1773) Pallas's Sandgrouse 32. 비둘기과 Family Columbidae

261. 양비둘기 Columba rupestris Pallas, 1811 Hill Pigeon 261-1. 양비둘기 Columba rupestris rupestris Pallas, 1811

262. 분홍가슴비둘기

75)

Columba oenas Linnaeus, 1758 Stock Dove 262-1. 분홍가슴비둘기 Columba oenas yarkandensis Buturlin, 1908

263.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Temminck, 1830 Black Woodpigeon 263-1.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janthina Temminck, 1830

73) Gill and Wright (2006)는 Japanese Murrelet이라는 영명을 사용하였다.

74) 1997년 12월 22일 경북 영덕군 해안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다(박진영과 박종길 2006).

75) 1998년 2월 12일 경기도 문산읍 임진각 인근에서 2개체가 처음으로 관찰되었다(박진영과 이정연 2006).

참조

관련 문서

Crosslinker Dabco CL420 Non-fugitive novel cross-linker providing significantly improved humid aged physical properties9. Dabco T-12 Industry standard

Its four recommendations for the transport sector focus on road transport and include policies on improving tyre energy efficiency, fuel economy standards for both

• Defenders need visibility into process and file telemetry, command line parameters, and Windows Event logs. • Subscribe to ETW logs to collect PowerShell cmdlets and

The Concept of Cultural Translation in

Archaeopteryx's many features of dinosaurs such as the jaws with teeth, tiny forelimbs with three claws, a long tail and a head covered with scales while body, wings and

The oil penetrates and opens up the structure of the plumage of birds, reducing its insulating ability, and so making the birds more vulnerabl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 A Dutch massacre of British merchants took place in 1623...

 Integrating heterogeneous data sources to predict when migrating birds will arr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