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00년 동계 한국동해 해․어황정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00년 동계 한국동해 해․어황정보"

Copied!
5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보지명

국문정보지명 동해수연 해양자원조사보고

영문정보지명 East Sea Regional FRI Oceanography and Marine Fisheries Resources News

권호사항

32호

통권

등록사항 행정간행물등록번호 EM0023690 정부간행물등록번호

제목사항

국문제목 2000년 동계 한국동해 해․어황정보

영문제목

Report of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Fishing Condition in the East Sea of Korea in Winter, 2000

저자사항

소속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

부서 직위

성명 김복기 외 9명

발행사항

발행인소속 동해수산연구소

발행인부서

발행인직위 소장

발행인성명 김안영

국문발행처명 동해수산연구소

영문발행처명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발행일 2000년 4월

주소 210-86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 산 8-6

전화번호 0391-661-8503 팩스번호 0391-661-8513 홈페이지주소

(2)

동해수연 해양자원조사보고 제 32 호

East Sea FRI Oceanography and Marine Fisheries Resource News No.32

2000년 동계 한국동해 해․어황정보

Report of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Fishing Condition in the East Sea off Korea in Winter, 2000

2000. 4.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3)

동해수연 해양자원조사보고 제 32 호

East Sea FRI Oceanography and Marine Fisheries Resource News No.32

2000년 동계 한국동해 해․어황정보

Report of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Fishing Condition in the East Sea off Korea in Winter, 2000

2000. 4.

총괄 : 김복기

해황 : 오봉철, 진현국, 성기탁

박정훈, 심정민, 박진일

어황 : 전영렬, 허영희, 황선재

(4)

목 차

Ⅰ. 해

1. 조사개요

2. 해황개요

3. 수온

가. 수온 수평분포 나. 수온 연직분포

4. 염 분

가. 염분 수평분포 나. 염분 연직분포

5. 용존산소

가. 용존산소 수평분포 나. 용존산소 연직분포

6. 영양염류

가. 인산―인 수평분포 나. 아질산―질소 수평분포 다. 질산―질소 수평분포 라. 규산―규소 수평분포

7. 동물플랑크톤

8. 연안정지수온(1~3월)

(5)

Ⅱ. 어황

1. 조사개요

2. 어황개요

3. 어업별 어황동향 O 오징어채낚기어업 O 명태연승어업 O 명태자망어업 O 꽁치유자망어업 O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

4. 2000년 춘계 어황 전망

(6)

Ⅰ. 해 황

1. 조사개요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 한국동해 해양관측조사의 일환으로 2000년 2월 10 일~3월 5일(25일간) 시험선 경북 885호(262G/T)로 한국동해 8개 정선중 일본 EEZ에 포함되 는 9개 정점(208/05~09, 209/09~11, 102/11)을 제외한 58개 정점과 독도 주변 해역 7개 정점(그림 1)에서 실시한 정선해양조사 자료의 수평분포 및 연직분포와 동해연안의 항로표 지관리소와 동해수산연구소에서 관측한 1~3월 연안정지 자료를 분석하여 동계 해황정보로 제공하고자 한다.

그림 1. 한국동해 해양관측조사점 위치도.

(7)

2. 해황개요

동한난류는 0m, 50m층 남부 연근해에서 12℃를 주축으로 주문진 근해역까지 북상하여 대 부분 해역에서 11℃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북한한류는 100m층의 속초 이북 연안에서 죽변 연안까지 5℃이하의 분포를 보이며 남하하였다. 한편 200m층의 대부분 해역은 2℃이하의 분 포를 보였으나, 울릉도 주변 해역에 9℃이상의 난수역이 분포하였다.

수온전선은 50m층의 속초~주문진 연근해와 100m층의 동경 130°이서 속초~감포 연근해 에서 7℃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200m층의 울릉도 부근 난수역에서도 6℃ 중심으로 형성되었 다. 수온약층은 연안역의 50~150m층과 외해역의 150~200m층에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온수는 대부분 정점의 200m 이심층에 분포하였다.

염분은 남부 연근해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중부 해역은 34.2 내외의 분포를 보 였으며, 평년에 비하여 연근해에서 고염상, 외해역에서 저염상을 보였다.

용존산소는 중부 연근해와 남부 외해역에서 높고, 동경 130°부근 해역에서 낮은 경향으 로 평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분포를 보였다.

영양염류는 전반적으로 중부 해역과 연안역이 남부 해역과 외해역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 다.

동물플랑크톤은 대부분 해역에서 50㎎/㎥이하의 빈약한 분포를 보였다.

연안정지 수온의 순별 추이는 평년보다 1~3℃ 고온상을 보였다.

(8)

3. 수온

가. 수온 수평분포

그림 2와 3은 0, 50, 100, 200m층의 2월 수온 수평분포도와 평년편차도이다.

0m층 수온은 7.47~14.50℃의 범위로 남부 대부분 해역은 12℃이상으로 장기갑~울기 근 해에서 13℃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중부 대부분 해역은 11℃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독도 북방 일부 해역에서 10℃이하, 속초 연안과 근해 일부 해역에서 8℃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속초 근해 일부 해역, 축산~장기갑 외해역 및 울기 연안을 제외한 대부분 해역에서 1~3℃ 고온상을 보였다.

50m층 수온은 3.34~13.88℃의 범위로 울릉도 북방 해역과 남부 근해역에서 12℃ 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속초~주문진 연안에 7℃ 이하의 저수온대가 분포하여 수온전선은 속초~주 문진 연근해에서 7℃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독도 북방 일부 해역에서도 9℃이하의 저온 수가 분포하였다. 평년에 비하여 대부분 해역에서 1~3℃ 고온상을 보였으나, 주문진 연안, 축산 외해역 및 장기갑~울기 연안에서 1~2℃ 저온상을 보였다.

100m층 수온은 1.85~13.63℃의 범위로 10℃이상의 난류계수는 묵호~축산 외해역을 제외 한 동경 130°이동의 대부분 해역에 분포하였고, 5℃이하의 한류계수는 죽변 연안까지 남하 하여 중부 연안에서 5℃이하, 남부 연안과 독도 주변 해역에서 8℃이하의 저온수가 분포하 였다. 수온전선은 동경 130°이서의 속초~감포 연근해에서 7℃중심으로 형성되었다. 평년 에 비하여 동경 130°이동 대부분 해역에서 1~4℃ 고온상을 보였고, 동경 130°이서의 연 근해에서 1~5℃ 저온상을 보였다.

200m층 수온은 1.06~11.31℃의 범위로 동경 130°이서 대부분 해역과 독도 동방 해역에 서 2℃이하의 분포를 보였으나,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9℃이상의 난수역이 분포하여 울릉도 부근 해역을 축으로 6℃ 중심의 대칭적 수온전선이 형성되었다. 평년에 비하여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1~6℃ 고온상을 보였고, 그 외의 해역에서 1~4℃ 저온상을 보였다.

(9)

그림 2.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수평분포도.

(10)

그림 3.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평년편차도(빗금 부분은 평년보다 낮은 해역).

(11)

나. 수온 연직분포

그림 4는 동해의 2월 0~500m층 수온 연직분포도이다.

107선의 수온범위는 0.58~10.68℃로서 정점 07의 0~30m층에서 10℃이상의 분포를 보였 고, 수온약층은 정점 01의 50m층과 정점 05의 125m층 및 정점 07의 75m층을 잇는 이심층과 정점 01의 100m층, 정점 05의 200m층 및 정점 07의 150m층을 잇는 상부 수층 사이에서 5℃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온수는 전 정점의 200m 이심층에 분포하였다.

106선의 수온범위는 0.56~12.43℃로서 정점 09~11의 0~125m층에서 12℃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수온약층은 정점 02의 20m층과 정점 11의 200m층을 잇는 이심층과 정점 03의 100m 층과 정점 11의 300m층을 잇는 상부 수층사이에서 6℃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 온수는 정점 03의 100m층과 정점 11의 300m층을 잇는 이심층에 분포하였다.

105선의 수온범위는 0.43~11.46℃로서 정점 05~07의 0~75m층과 정점 08~12의 0~150m 층에서 11℃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수온약층은 정점 03~07, 정점 13~14의 75~150m층과 정점 08~12의 200~300m층에서 6℃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온수는 정점 04의 125m층과 정점 09~11의 300m층 및 정점 14의 150m층을 잇는 이심층에 분포하였다.

104선의 수온범위는 0.42~12.17℃로서 정점 06, 14의 0~30m층과 정점 08의 0~75m층에 서 11℃이상으로 정점 08의 0~20m층에서 12℃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수온약층은 정점 04~

07, 12~14의 50~150m층과 정점 08~11의 150~250m층에서 6℃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온수는 정점 05의 150m층과 정점 11의 300m층 및 정점 14의 150m층을 잇는 이 심층에 분포하였다.

103선의 수온범위는 0.44~12.74℃로서 정점 06의 0~30m층, 정점 07의 0~10m층 및 정점 08의 0~100m층에서 12℃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수온약층은 정점 04~08의 75~150m층과 정 점 08 외해역의 100~250m층에서 6℃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온수는 대부분 정 점의 200m 이심층에 분포하였다.

102선의 수온범위는 0.49~13.47℃로서 정점 07의 0~10층과 정점 08의 0~30m층에서 1 3℃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수온약층은 정점 07 연안역의 75~150m층과 정점 08 외해역의 125~200m층에서 6℃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이하의 저온수는 200m 이심층에 분포하였 다.

209선의 수온범위는 1.28~13.60℃로서 정점 06~08의 0~100m층에서 13℃이상

(12)

그림 4.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연직분포도.

(13)

그림 4.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연직분포도(계속).

(14)

의 분포를 보였고, 수온약층은 125~150m층에서 7℃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150m 이심층에 서 2℃이하의 저온수가 분포하였다.

208선의 수온번위는 11.95~14.51℃로서 정점 04의 0~30m층에서 14℃이상의 분포를 보였 고, 정점 02의 125m 이심층에서 12℃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4. 염분

가. 염분 수평분포

그림 5와 6는 0, 50, 100, 200m층의 2월 염분 수평분포도와 평년편차도이다.

0m층 염분은 34.05~34.55의 범위로 남부 연근해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속초 해 역과 주문진~축산 근․외해역에서 34.2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중부 연근해와 남부 대부분 해역에서 0.1~0.2 고염상을 보였고, 중부 근․외해역에서 0.1 내외의 저염상을 보였다.

50m층 염분은 33.99~34.55의 범위로 축산~장기갑 근해와 감포~울기 연근해에서 34.4이 상의 분포를 보였고, 속초 해역과 주문진~축산 근․외해역에서 34.2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속초~울기 연근해에서 01~0.2 고염상을 보였고, 주문진~축산 외해역에서 0.1 내외의 저염상을 보였다.

100m층 염분은 34.02~34.53의 범위로 장기갑~울기 근해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해역에서 34.2 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속초~주문진 연근해와 독도 서방 일부 해역에서 34.1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주문진~묵호 근해, 죽변~울기 근해에서 0.1~0.2 고염상을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해역에서 0.1 내외의 저염상을 보였 다.

200m층 염분은 34.01~34.18의 범위로 대부분 해역에서 34.05 내외의 균질한 분포를 보였 으나, 울릉도 주변 해역과 장기갑~울기 근해 일부 해역에서 34.1이상의 분포를 보였다. 평 년에 비하여 중부 연안과 울릉도 주변 해역을 제외한 대부분 해역에서 0.1 내외의 저염상을 보였다.

(15)

그림 5. 2000년 2월 동해의 염분 수평분포도.

(16)

그림 6. 2000년 2월 동해의 염분 평년편차도(빗금 부분은 평년보다 낮은 해역).

(17)

나. 염분 연직분포

그림 7은 동해의 2월 0~500m층 염분 연직분포도이다.

107선의 염분범위는 33.93~34.18로서 대부분 수층에서 34.1 내외의 분포로 정점 03~04 의 0~10m층, 정점 05~07의 0~50m층에서 34.1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정점 03의 50~75m 층에서 34.0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6선의 염분범위는 34.02~34.38로서 정점 03~06의 0~50m층과 정점 08~09의 75~125m 층에서 34.2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수층에서는 34.1내외의 분포로 정점 02 의 100m층과 정점 11의 250m층을 잇는 이심층에서 34.1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5선의 염분범위는 34.02~34.37로서 정점 03~07의 0~75m층에서 34.2이상의 분포를 보 였고, 그 외의 대부분 수층에서는 34.1내외의 분포로 정점 01~08의 150m층, 정점 11의 300m층 및 정점 14의 75m층을 잇는 이심층에서 34.1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4선의 염분범위는 34.02~34.43으로 정점 04~09의 0~75m층, 정점 12의 50~100m층 및 정점 13~14의 0~30m층에서 34.2이상으로 정점 08의 0~20m층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였 고, 정점 05~07의 125m층, 정점 10의 250m층 및 정점 14의 100m층을 잇는 이심층에서 34.1 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3선의 염분범위는 34.03~34.50로서 정점 06~08의 0~50m층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 였고, 대부분 정점의 150m 이심층에서 34.1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2선의 염분범위는 34.02~34.55로서 정점 04~08, 10의 0~30m층과 정점 08의 50~125m 층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정점 05의 100m층, 정점 09의 200m층 및 정점 10의 150m 층을 잇는 이심층에서 34.1이하의 균질한 분포를 보였다.

209선의 염분범위는 34.08~34.55로서 정점 04~05의 0~50m층과 정점 06~08의 0~125m 층에서 34.4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정점 06~08의 200m층 이심층에서 34.1이하의 분포를 보 였다.

208선의 염분범위는 34.22~34.59로서 대부분 정점에서 34.5 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정 점 03의 75~125m층에서 34.4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8)

그림 7. 2000년 2월 동해의 염분 연직분포도.

(19)

그림 7. 2000년 2월 동해의 염분 연직분포도(계속).

(20)

5. 용존산소

가. 용존산소 수평분포

그림 8과 9는 0, 50, 100, 200m층의 2월 용존산소 수평분포도와 평년편차도이다.

0m층 용존산소는 5.56~6.59㎖/ℓ의 범위로 중부 대부분 연근해와 축산~장기갑 연안에서 는 6.0㎖/ℓ이상으로 속초 연안에서 6.5㎖/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중부 근․외해역과 축 산~감포 근해에서 6.0㎖/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감포~울기 연근해를 제 외한 해역에서 0.1㎖/ℓ~1.1㎖/ℓ낮은 분포를 보였다.

50m층 용존산소는 5.51~6.75㎖/ℓ의 범위로 중부 연근해, 묵호~장기갑 외해역 및 감 포~울기 근해에서 6.0㎖/ℓ이상으로 속초 연안과 근해 일부 해역에서 6.5㎖/ℓ이상의 분포 를 보였고, 그 외의 해역에서 6.0㎖/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속초 근해역, 축산~장기갑 외해역 및 감포~울기 근해에서 0.1~0.5㎖/ℓ높았으나, 그 외의 대부분 해역 에서 0.1~0.7㎖/ℓ낮은 분포를 보였다.

100m층 용존산소는 5.51~6.85㎖/ℓ의 범위로 중부 연근해, 남부 연안 및 주문진~장기갑 외해역에서 6.0㎖/ℓ이상으로 속초 연근해에서 6.5㎖/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 부분 해역에서 6.0㎖/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속초 연근해, 남부 연안 및 축산~장기갑 외해역에서 0.1~0.7㎖/ℓ높았고, 그 외의 대부분 해역에서 0.1~0.8㎖/ℓ낮 은 분포를 보였다.

200m층 용존산소는 5.29~6.75㎖/ℓ의 범위로 대부분 해역에서 6.0㎖/ℓ내외의 분포를 보 였으나, 속초 연근해에서 6.5㎖/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묵호~죽변 근해 일부 해역에서 5.5㎖/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속초 연근해, 죽변 연안, 장기갑 연안 및 장 기갑~감포 근․외해역에서 0.1~0.4㎖/ℓ높았고, 그 외의 대부분 해역에서 0.1~0.9㎖/ℓ낮 은 분포를 보였다.

(21)

그림 8. 2000년 2월 동해의 용존산소 수평분포도.

(22)

그림 9. 2000년 2월 동해의 용존산소 평년편차도(빗금 부분은 평년보다 낮은 해역).

(23)

나. 용존산소 연직분포

그림 10은 동해의 2월 0~500m층 용존산소 연직분포도이다.

107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51~6.98㎖/ℓ로서 대부분 수층에서 6.5㎖/ℓ 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정점 02~03의 125~300m층, 정점 02의 400~500m층, 정점 05의 150m층, 정점 06 의 125~200m층에서 6.75㎖/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정점 07의 250~400m층에서 5.75㎖/ℓ 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6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46~6.47㎖/ℓ로서 정점 07 연안역의 대부분 수층과 정점 10 의 75~200m층에서 6.0㎖/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정점 08 외해역의 대부분 수층에서 6.0

㎖/ℓ이하로 정점 08의 200~250m층에서 5.5㎖/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5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27~6.25㎖/ℓ로서 정점 04~06의 50~100m층, 정점 13의 0~

10m층과 150~200m층 및 정점 14의 0~250m층에서 6.0㎖/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수층에서는 5.75㎖/ℓ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정점 07~08의 150~250m층과 정점 08~09의 400~500m층에서 5.5㎖/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4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25~6.40㎖/ℓ로서 정점 04~06의 0~100m층, 정점 13~14의 50~125m층에서 6.0㎖/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수층에서 5.75㎖/ℓ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정점 07의 200~250m층과 정점 07~09의 400~500m층, 정점 10~11의 2 0~30m층 및 정점 13~14의 250~300m층에서 5.5㎖/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3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55~6.33㎖/ℓ로서 정점 04~05의 0~100m층, 정점 07의 25 0~300m층 및 정점 09~11의 0~250m층에서 6.0㎖/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수층에서 5.75㎖/ℓ내외의 분포를 보였다.

102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51~6.42㎖/ℓ로서 정점 05~07의 100~125m층, 정점 05~06 의 150~200m층, 정점 09의 0m, 75~125m층 및 정점 10의 0~200m층에서 6.0㎖/ℓ이상의 분 포를 보였고, 그 외의 대부분 수층에서 5.75㎖/ℓ내외의 분포를 보였다.

209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59~6.49㎖/ℓ로서 대부분 정점에서 6.0㎖/ℓ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정점 05의 100m층, 정점 06의 125m층 및 정점 50~75m층에서 6.25㎖/ℓ이상의 분 포를 보였고, 정점 07의 100~150m층에서 5.75㎖/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24)

그림 10. 2000년 2월 동해의 용존산소 연직분포도.

(25)

그림 10. 2000년 2월 동해의 용존산소 연직분포도(계속).

(26)

208선의 용존산소 범위는 5.82~6.49㎖/ℓ로서 대부분 수층에서 6.0㎖/ℓ내외의 분포롤 정점 02~03의 50m층 부근에서 6.25㎖/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정점 02, 04의 100m층과 정 점 03~04의 125m층에서 6.0㎖/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6. 염양염류

가. 인산―인(PO4―P)수평분포

그림 11은 0, 20, 50, 100m층의 인산―인 수평분포도이다.

0m층 농도범위는 0.01~0.15㎍―at/ℓ로서 대부분 해역에서 0.1㎍―at/ℓ 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죽변~장기갑 연안과 죽변~축산 근․외해 일부 해역에서 0.1㎍―at/ℓ이상의 분 포를 보였고, 속초~묵호 대부분 해역과 감포 연안역에서 0.05㎍―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 다.

20m층 농도범위는 0.02~0.27㎍―at/ℓ로서, 대부분 해역에서 0.1㎍―at/ℓ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죽변 연안과 독도 남방 일부 해역에서 0.2㎍―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묵호 이북의 대부분 해역에서 0.05㎍―at/ℓ 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50m층 농도범위는 0.03~0.38㎍―at/ℓ로서 장기갑~감포 연근해에서 0.2㎍―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중부 대부분 해역에서 0.1㎍―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0m층 농도범위는 0.06~0.35㎍―at/ℓ로서 중부 연안과 남부 대부분 해역에서 0.1㎍―

at/ℓ이상으로 주문진~묵호 연안에서 0.2㎍―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중부 근․외해역 에서 0.1㎍―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나. 아질산―질소(NO2―N)수평분포

그림 12는 0, 20, 50, 100m층의 아질산―질소 수평분포도이다.

0m층 농도범위는 0.11~0.86㎍―at/ℓ로서 속초~묵호 연근해, 주문진 죽변 외해역 및 감 포 근해 일부 해역에서 0.7㎍―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죽변~축산 연근해에서 0.2

㎍―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20m층 농도범위는 0.12~0.89㎍―at/ℓ로서 속초~묵호 연안, 속초~주문진 근해 일부 해 역 및 독도 남방 일부 해역에서 0.8㎍―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죽변~축산 연근해에 서 0.2㎍―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50m층 농도범위는 0.11~0.98㎍―at/ℓ로서 속초~묵호 연근해와 감포 근해 일부 해역에 서 0.8㎍―at/ℓ이상으로 속초~묵호 연안에서 0.9㎍―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죽변 연근해에서 0.2㎍―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27)

100m층 농도범위는 0.11~0.98㎍―at/ℓ로서 속초~주문진 연안에서 0.9㎍―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죽변 연근해에서 0.2㎍―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다. 질산―질소(NO3―N)수평분포

그림 13은 0, 20, 50, 100m층의 질산―질소 수평분포도이다.

0m층 농도범위는 0.87~4.79㎍―at/ℓ로서 대부분 해역에서 3.0㎍―at/ℓ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울릉도 주변 일부 해역, 축산 외해 일부 해역 및 감포 근해 일부 해역에서 4.0

㎍―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감포~울기 연안에서 2.0㎍―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20m층 농도범위는 1.12~4.86㎍―at/ℓ로서 속초~묵호 근해 일부 해역, 주문진 연안 및 죽변~축산 연근해에서 4.0㎍―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남부 근해역에서 2.0㎍―at/ℓ 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50m층 농도범위는 1.71~4.87㎍―at/ℓ로서 대부분 해역에서 3.0㎍―at/ℓ내외의 분포를 보였으나, 속초~묵호 연안과 울릉도 북방 일부 해역에서 4.0㎍―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 고, 장기갑~울기 근해 일부 해역에서 2.0㎍―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0m층 농도범위는 1.26~5.94㎍―at/ℓ로서 속초~축산 대부분 해역에서 3.0㎍―at/ℓ이 상으로 속초~주문진 연안에서 5.0㎍―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축산 연안과 장기갑~

울기 연근해에서 2.0㎍―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라. 규산―규소(SiO2―Si)수평분포

그림 14는 0, 20, 50, 100m층의 규산―규소 수평분포도이다.

0m층 농도범위는 7.42~14.11㎍―at/ℓ로서 속초~장기갑 연안에서 13.0㎍―at/ℓ이상으 로 장기갑 연안 일부 해역 14.0㎍―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고, 주문진~묵호 근․외해역과 감포~울기 근해에서 10.0㎍―at/ℓ이하로 울기 근해 일부 해역에서 8.0㎍―at/ℓ이하의 분 포를 보였다.

20m층 농도범위는 9.02~13.16㎍―at/ℓ로서 속초~주문진 연안에서 13.0㎍―at/ℓ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나, 묵호 근해, 울릉도 주변 일부 해역 및 울기 연안에서 10.0㎍―at/ℓ이하 의 분포를 보였다.

50m층 농도범위는 8.05~14.98㎍―at/ℓ로서 중부 연안에서 14.0㎍―at/ℓ이상, 울

(28)

그림 11. 2000년 2월 동해의 인산―인 수평분포도.

(29)

그림 12. 2000년 2월 동해의 아질산―질소 수평분포도.

(30)

그림 13. 2000년 2월 동해의 질산―질소 수평분포도.

(31)

그림 14. 2000년 2월 동해의 규산―규소 수평분포도.

(32)

릉도 북방 해역과 감포~울기 근해에서 10.0㎍―at/ℓ이하의 분포를 보였다.

100m층 농도범위는 9.25~16.13㎍―at/ℓ로서 대부분 해역에서 13.0㎍―at/ℓ내외의 분포 를 보였으나, 속초~묵호 연근해에서 15.0㎍―at/ℓ이상, 감포 연근해에서 10.0㎍―at/ℓ이 하의 분포를 보였다.

7. 동물플랑크톤

그림 15와 16는 2월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Biomass) 수평분포도와 평년편차도이다.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의 범위는 1.32~246.92㎎/㎥(평균 48.77㎎/㎥)로서 대부분 해역에서 50㎎/㎥이하의 분포를 보였으나, 속초 근해 일부 해역, 죽변 외해역, 죽변 연안 및 울기 연 안에서 100㎎/㎥이상의 분포를 보였다.

평년에 비하여 대부분 해역에서 20~160㎎/㎥ 낮은 분포로 주문진 연안, 주문진~묵호 근 해역, 및 축산 근해 일부 해역에서 100㎎/㎥이상 낮았으나, 속초 근해 일부 해역, 죽변~축 산 외해역, 축산 연안 및 울기 연안에서 10~160㎎/㎥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림 15. 2000년 2월 동해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수평분포도.

(33)

그림 16. 2000년 2월 동해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평년편차도 (빗금부분은 평년보다 낮은 해역).

(34)

8.연안정지수온

그림 17은 동해 연안의 연안정지관측에 의한 순별 평균수온의 추이를 나타내었다.

속초는 1월 7.22℃(6.98~7.50℃), 2월 6.83℃(6.37~7.55℃), 3월 8.83℃(8.70~8.91℃) 로서 3월 하순은 중순에 비하여 0.2℃ 하강하였고, 평년에 비하여 1월 0.9℃, 2월 1.8℃, 3 월 2.6℃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주문진은 1월 8.81℃(7.71~10.04℃), 2월 8.11℃(7.67~8.36℃), 3월 9.17℃(8.46~9.6 4℃)로서 1월 중순은 상순에 비하여 1.4℃ 상승하였고, 2월 중순과 하순은 1월 하순에 비하 여 0.6℃ 상승하였으며, 평년에 비하여 1월 0.8℃, 2월 1.6℃, 3월 2.2℃ 고온상을 나타내 었다.

울릉도는 1월 13.00℃(12.88~13.18℃), 2월 11.25℃(10.93~11.82℃), 3월 10.88℃

(10.86~10.92℃)로서 3월 하순은 중순에 비하여 0.1℃하였고, 평년에 비하여 1월 1.4℃, 2 월 0.9℃, 3월 1.0℃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죽변은 1월 12.94℃(12.19~13.52℃), 2월 11.06℃(10.52~11.78℃), 3월 11.15℃(10.7 0~11.45℃)로서 평년에 비하여 1월 3.0℃, 2월 2.5℃, 3월 2.1℃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후포는 1월 12.09℃(11.83~12.25℃), 2월 10.52℃(10.31~10.77℃), 3월 11.27℃(10.8 6~11.62℃)로서 3월 하순은 중순에 비하여 0.3℃ 하강하였고, 평년에 비하여 1월 1.7℃, 2 월 1.1℃, 3월 1.3℃고온상을 나타내었다.

포항은 1월 10.33℃(9.17~11.21℃), 2월 8.67℃(8.62~8.75℃), 3월 10.21℃(9.41~

10.59℃)로서 평년에 비하여 1월 1.9℃, 2월 0.7℃, 3월 0.6℃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장기갑은 1월 11.46℃(10.58~12.16℃), 2월 9.11℃(8.87~9.41℃), 3월 10.79℃(103.9~

11.33℃)로서 1월 중순은 상순에 비하여 0.5℃ 상승하였고, 평년에 비하여 1월 2.9℃, 2월 0.8℃, 3월 1.3℃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감포는 1월 13.09℃(12.27~113.73℃), 2월 11.38℃(10.92~11.72℃), 3월 11.69℃(11.3 6~11.87℃)로서 평년에 비하여 1월 1.1℃, 2월 0.4℃, 3월은 0.5℃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울기는 1월 14.01℃(13.17~14.53℃), 2월 12.35℃(12.17~12.56℃), 3월 11.98℃(11.7 3~12.58℃)로서 1월 중순은 상순에 비하여 0.2℃ 상승하였고, 평년에 비하여 1월 2.0℃, 2 월 1.1℃, 3월 0.1℃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35)

그림 17. 동해 연안정지수온의 순별평균.

(36)

그림 17. 동해 연안정지수온의 순별평균(계속).

(37)

그림 17. 동해 연안정지수온의 순별평균(계속).

(38)

Ⅱ. 어 황

1. 조사개요

우리나라 동해안의 주요어업인 오징어채낚기, 명태연승, 명태자망, 꽁치유자망, 동해구기 선저인망의 5개어업에 대하여 강원도 관내의 거진, 속초, 주문진 및 삼척의 4개 항구와 경 북 관내의 축산, 후포, 포항, 구룡포, 감포 및 울릉의 6개 항구에 매일 입항하는 조업선에 대하여 수산기술지도소, 포항분소 및 동해수산연구소를 통하여 수집된 어황조사자료를 분석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0년의 1~3월과 1999년 및 평년(1995년부터 1999년의 5개년 평균)으로서 어업별로 어획량 및 단위노력당 어획량(CPUE)의 월변동과 지역별 변동을 분석하고 주 어획 대상종의 체장조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의 경우는 주요어획대상종인 명태, 가자미류, 도루묵, 청어 , 대구의 어종별 어획량의 월변동을 분석하였다.

2. 어황개요

O 오징어채낚기어업

동계의 동해안 연안수온이 고수온을 보임으로서 오징어군의 남하가 지연되어, 1~2월에 동해남부연안을 중심으로 호황을 보였고, 3월에는 동해남부해역을 중심으로 지난해 여름~

가을발생군의 신규가입이 시작되었다.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116% 및 118%로 나타났다. 한편 금년 6월 이후에도 전년도 가을발생군의 가입 호조로 호황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O 명태연승어업

최근 명태자원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한 산란군의 내유량 감소로 2000년 1~3월의 어획량 은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6% 및 11% 수준으로 매우 불황을 보였다. 최근의 명 태자원의 지속적인 감소로 금후로도 불황으로 전망된다.

O 명태자망어업

2000년 1~3월의 어획량은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276% 및 94% 수준을 보였 다. 이는 2~3월에 동해중부해역의 계절수온약층이 강하게 형성되어 약층 하층부의 수온이 평년비 저온을 보임으로서 냉수성 어종인 명태에 좋은 서식환경이 형성되어 어황이 평년수 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의 명태자원이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으므 로 춘계 이후의 어황은 불황으로 전망된다.

(39)

O 꽁치유자망어업

동계 동해남부연안의 표층수온이 평년비 고수온을 보임에 따라 지난해 가을철 남하어군이 동해남부해역에 잔류함으로 인하여 2000년 1~3월의 어획량은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235% 및 748%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최근 꽁치자원이 회복추세에 있으므로 춘 계 북상회유군 대상 어업도 계속 호황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O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

동해안에서 기선저인망의 주어획대상종은 속초를 중심으로 한 강원연안에서는 명태(소형 명태 포함)로서 이들 자원의 감소로 불황을 보였으나, 2~3월에는 대구 어획량의 증가로 다 소 회복을 보였다. 축산을 중심으로 한 경북연안에서는 주 어획대상종이 가자미류 및 도루 묵의 어획량 감소로 불황을 보였다. 한편 춘계의 어황도 불황으로 전망된다.

3. 어업별 어황동향

O 오징어채낚기어업 가. 어획량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은 1~2월 초순까지는 주로 전년도 가을~겨울에 발생한 오징어의 남하군을 대상으로 동해남부해역을 중심으로 활발한 조업이 이루어지며, 2~5월에 는 동해남부연안을 중심으로 대형의 겨울발생군과 새로 발생되어 북상하기 시작하는 소형의 가을발생군이 어획되며, 강원 연안을 중심으로는 여름발생군이 혼획되나, 이시기의 어획량 은 연간 어획량의 3~5%에 불과하였다. 6월부터 연안수온의 상승과 함께 전년도 가을에 발 생한 오징어군의 북상회유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동해남부해역을 중심으로 이들을 대상 으로 활발하게 조업이 이루어지며, 이 시기에 오징어의 북상회유의 길목인 동해남부연안의 냉수대 발달의 강세여부가 이후의 가을철 어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8 월까지 이들이 계속 동해안에 가입되며, 주로 강원연안을 중심으로 대형의 여름발생군도 혼 획된다. 9월에는 전년도 가을에 발생한 오징어가 우리나라 동해안 전역에 분포하므로서 최 대 어획량을 보이며 10월부터는 연안수온의 하강과 함께 오징어군의 남하가 시작되므로서, 어획량이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며 9~12월까지의 어획량이 연간어획량의 80% 이상을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은 평년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2000년은 동계에는 동해안 연안수온이 고수온을 보임으로서 오징어군의 남하가 지연되어, 1~2월에 전년 및 평년의 100~183%의 어획수준을 보여 호황을 보였으나, 3월에는 전년 및 평년의 각각 168% 및 68%의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18 상).

(40)

나. 단위노력당 어획량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월별변동을 보면, 척당어획량은 평년은 1월에 1.29톤으로 높은 값을 보인 후 월의 진행에 따라 계속 감소하여 5월에 0.38톤으로 최저값을 보인 후 점차 증가하 여 10월에 1.62톤으로 최고값을 보였다.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나, 12월에 다시 1.38톤 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1999년도 평년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2000년 1~3월은 1월에는 1.45톤으로 전년 및 평년의 각각 158% 및 113%로 높았으나, 2 월에는 0.92톤으로 전년 및 평년의 각각 69% 및 88%로 낮았고, 3월은 1.70톤으로 전년 및 평년의 각각 258% 및 254%로 높았다(그림 18 중).

낚시당어획량은 척당어획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평년에는 1월에 68㎏에서 감소하여 2~8월에는 약 30~50㎏ 내외의 낮은 값을 보였다. 9월 및 10월에 106㎏으로 급격히 증가하 여 최고값을 보였으며, 11월 68㎏으로 감소한 후 12월에 82㎏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1999년 도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9월에 98㎏으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나, 평년에 비 하여는 낮은 값을 보였고, 10월에 108㎏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값을 보였고, 11월에는 62㎏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12월에 다시 91㎏으로 증가하였다.

2000년 1~3월은 1월에는 약 175㎏으로 높은 값을 보인 후 2~3월까지 56~68㎏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그림 18 하).

(41)

그림 18. 어징어채낚기어업 어획량(상), 척당어획량(중) 및 낚시당어획량(하)의 월변동.

(42)

다. 지역별 양륙량

2000년의 지역별 양륙량을 보면, 경북연안을 중심으로 한 동해남부해역에서는 지난해 겨 울발생군의 가입호조와 남하지연으로 1~2월에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106~192%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3월에는 경북연안에서는 지난해 8~9월에 발생한 군의 신규 가입 이 시작되었으나, 이 시기에는 아직 동해남부 연안의 수온이 오징어의 적수온에 미치지 못 하여 오징어군의 북상회유가 활발하지 못한 시기이므로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강원연안에서는 1월의 겨울발생군의 가입저조로 불황을 보였다(표 1).

표 1. 지역별 오징어 어획량의 월변화

라. 오징어의 동장조성

오징어 채낚기 어획물의 오징어의 동장조성을 보면, 1999년 1~2월에는 모두 겨울발생군 이었으며, 3월에는 포항연안에서는 모두 겨울발생군이었으나, 주문진연안에서는 모드 15㎝

의 여름발생군이 어획물의 주체를 이루었다.

2000년 1월에는 1999년과 마찬가지로 모드 24㎝의 겨울발생군이 어획물의 주체를 이루었 으나, 3월에는 모드 18㎝의 지난해 8~9월에 발생한 오징어군이 어획물의 주체를 이루어 1999년과는 다르게 나타났다(그림 19).

O 명태연승어업 가. 어획량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은 2~4월에 높았으며, 특히 3월에 414톤으로 최고값을 보 였다. 5~10월은 50톤 미만의 낮은 어획량을 나타내었으나, 11월부터 60톤 이상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1999년은 3월에 389톤으로 최고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월은 어획량이 매우 저 조하였다.

2000년 1~3월은 평년 및 전년의 6% 및 11%에 불과하였다(그림 20 상).

(43)

그림 19. 1~3월의 오징어 동장조성, 1999. 2000.

나. 단위노력당 어획량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월별 변동을 보면, 척당어획량은 평년은 2월, 8월 및 12월에 0.5~

0.6톤으로 높은값을 보였으나, 출어척수는 3월이 연평균 1,035척으로 가장 많았다. 1999년 은 2월부터 조업이 시작되어 3월에 0.46톤으로 최고값을 보였으며 이후 5월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6월 이후에는 조업이 없었다.

2000년은 1월에 0.07톤에서 월의 진행에 따라 증가하여 3월에는 0.12톤으로 나타났다(그림 20 중).

낚시당어획량은 척당어획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그림 20 하).

다. 체장조성

명태 연승어획물의 체장조성을 보면 2000년 3월에는 체장범위 35~49㎝, 모드 38~40㎝으 로 1999년 같은 시기의 체장범위 30~48㎝, 모드 36~38㎝보다 모드가 2㎝크게 나타났다(그 림 21).

(44)

그림 20. 명태연승어업의 어획량(상), 척당어획량(중) 및 낚시당어획량(하)의 월변동.

(45)

그림 21. 겨울철 명태연승 어획물의 체장조성, 2000, 1999년.

ㅇ 명태자망어업 가. 어획량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은 1~4월까지 200톤 이상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2월에 291톤으로 최고값을 보였다. 5~11월에는 30~60톤으로 낮은값을 보이다가 12월에 191톤으 로 증가하였다. 1999년은 4월에 248톤으로 최고값을 보인 후 감소하여 9월부터는 어획이 없 었다.

2000년 1~3월은 1월에 160톤, 2월에 307톤으로 최고값을 보인 후 3월에 237톤으로 감소 하여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그림 22 상).

나. 단위노력당 어획량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월별 변동을 보면 척당어획량은 평년은 2월에 0.4톤 이상으로 연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3월에 다소 감소하였다가 4월에 0.33톤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5~11월에는 0.10~0.15톤의 낮은 수준을 보였다가 12월 0.41톤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1999 년은 4월에 0.32톤으로 최대값을 보였으며 이후 8월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2000년 1~3월은 어획량변동과 같은 경향을 보여 1월에 0.12톤에서 2월에 0.51톤으로 증 가하여 최고값을 보였으며, 3월에 0.32톤으로 감소하였다(그림 22 중).

폭당어획량은 척당어획량과 같은 경향을 보여, 2000년에는 1월에 3.24㎏, 2월에 14.28㎏

으로 최고값을 보였으며, 3월에 8.84㎏으로 감소하였다(그림 22 하).

(46)

그림 22. 명태자망어업의 어획량(상), 척당어획량(중) 및 폭당어획량(하)의 월변동.

(47)

다. 체장조성

명태자망 어획물의 체장조성을 보면 2000년 1~3월에는 체장범위 34~42㎝, 모드 36~38

㎝로 1999년의 같은 시기의 체장범위 30~40㎝, 모드 36㎝보다 모드가 2㎝크게 나타났다(그 림 23).

그림 23. 명태자망 어획물의 체장조성, 2000, 1999.

O 꽁치유자망어업 가. 어획량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은 3월 하순~4월 초순부터 북상하는 꽁치를 대상으로 동 해남부연안에서부터 조업이 이루어지며, 이후 꽁치어군의 본격적인 북상과 함께 점차 어획 량이 증가하여 6월에 최고값을 보인 후 7월까지 조업이 계속 되나, 이후 꽁치어군이 우리나 라 동해안 이북으로 북상함으로서, 춘계 꽁치어업은 종어가 된다. 10월부터 연안수온의 하 강과 함께 꽁치의 남하회유군을 대상으로 추계 꽁치어업이 동해중부해역에서부터 조업이 재 개되며, 12월에 최고값을 보인 후 다음해 1~2월까지 동해남부연안에서 조업이 계속되나, 그 양은 춘계에 비하여 현저히 작다.

1999년은 동계 연안수온이 평년에 비하여 고수온을 보임으로서 남하가 지연되어 동해남부 연안을 중심으로 지난해 추계 남하잔류군을 대상으로 3월까지 비교적 많은 양의 꽁치가 어 획되었다. 4월부터 꽁치의 북상회유군을 대상으로 한 춘계 꽁치어업이 시작되어 5월 및 6월 에는 약 2,823톤을 어획하여 11월부터 추계 꽁치 어업이 재개되어 12월에는 531톤으로 평년 에 비하여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2000년에도 1999년과 마찬가지로 추계 남하회유군의 남하가 지연되어 1월에는 894톤으로

(48)

평년의 11배 이상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으며, 2~3월에도 남하 잔류군을 대상으로 비교적 많은 양의 꽁치가 어획되었다(그림 24 상).

나. 단위노력당 어획량

한편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월별 변동을 보면, 척당어획량은 평년에는 5월에 최고값을 보 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7월에 최소값을 보였다. 추계 꽁치어업은 평년에는 1~3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나, 어획량 및 출어척수는 적었다. 1999년은 1~3월에는 1톤 내외를 보였으나, 춘계 꽁치어업은 4월에 최고값을 보인 후 7월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2000년 1~2월에는 3톤 이상으로 높은값을 보였으며, 3월에 1.5톤으로 감소하였다(그림 24 중).

폭당어획량은 평년에는 춘계 꽁치어업은 4~6월에 17.4~19.0㎏으로 높았고, 추계 꽁치어 업은 12~1월에 19.1~22.4㎏으로 높았다. 1999년은 1월에 25.7㎏에서 3월에는 18.8㎏으로 감소하였으며, 춘계 꽁치어업은 4월에 29.5㎏에서 5월에 34.8㎏으로 증가하여 최고값을 보 인 후 6월 및 7월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2000년 1~2월에는 55.5~595.㎏으로 높은값을 보였으며 3월에는 26.8㎏으로 감소하였다 (그림 24 하).

다. 지역별 양륙량

1~3월의 지역별 양륙량을 보면, 경북 연안에서는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236% 및 748%의 높은 어획 수준을 보였으며, 강원도 연안에서는 어획이 없었다(표 2).

표 2. 지역별 꽁치 어획량의 월변화

(49)

그림 24. 꽁치유자망어업의 어획량(상), 척당어획량(중) 및 폭당어획량(하)의 월변동.

(50)

라. 체장조성

2000년 1~3월의 꽁치의 체장범위는 22~31㎝, 평균 27.5~28.9㎝, 모드 27~29㎝였다(그 림.25).

그림 25. 2000년 1~3월의 꽁치의 체장조성.

O 동해구기선저언망어업 가. 어획량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은 1월에 약 400톤에서 증가하여 3~4월 및 6월에는 662~

682톤으로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으며, 5월은 강원연안에서 조업이 중단되므로 어획량이 적 었으며, 7~12월에는 216~385톤으로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1999년은 1~2월과 5월에 200톤 이하로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으며, 나머지 월은 244~367톤으로 월별 변동이 크지 않 았다.

2000년 1~3월은 1월에 129톤에서 3월에 231톤으로 증가하였다.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 년의 각각 88% 및 35% 의 저조한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26 상).

(51)

나. 단위노력당 어획량 변동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월별 변동을 보면, 척당어획량은 평년은 1월에 0.71톤에서 증가하여 5월을 제외한 4월 및 6월에 1.3톤 이상으로 높았고 7~12월에는 0.5~0.9톤으로 낮았다.

1999년은 5월에 높았는데 이는 강원 연안에서는 자율규제로 이시기에는 경북연안에서만 조 업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5월을 제외하고는 4월이 0.9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1~2월에 0.5톤 이하로 낮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월은 0.5~0.8톤 수준으로 월별 변동이 적었다.

2000년은 1월에 0.32톤에서 3월에 0.58톤으로 증가하였다(그림 26 중).

폭당어획량도 척당어획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2000년 1~3월은 1월에 64.3㎏에서 3 월에 108.5㎏으로 증가하였다(그림 26 하).

다. 어종별 어획량 변동

1~3월의 주요 어종별 어획비율을 보면, 평년에는 속초를 중심으로 한 동해중부해역에서 는 중형명태가 25%, 소형명태가 18%, 가자미류 13%, 임연수어 1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 고, 그밖에 도루묵 2%, 대구 2%, 청어 1%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은 가자미류 37%, 대구 12%, 중형명태 10%, 소형명태 6%, 2000년은 대구 39%, 가자미류 17%, 임연수어 11% 등으로 최근 대구의 어획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반면, 명태 및 소형명태의 어획비율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축산을 중심으로 한 동해남부해역에서는 평년에는 가자미류가 5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 으며, 그밖에 임연수어 12%, 도루묵 10%, 청어 6%등의 순이었다. 1999년에는 가자미류가 63%, 도루묵 22%, 청어 2%, 2000년에는 가자미류 58%, 청어 15%, 대구 3%, 도루묵 2%등으로 최근 청어의 어획비율이 증가한 반면 도루묵 및 임연수어의 어획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표 3).

표 3. 어종별 어획비율(%)

(52)

그림 26.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량(상), 척당어획량(중) 및 폭당어획량(하)의 월변동.

(53)

라. 지역별 양륙량

1~3월까지의 지역별 양륙량을 보면 경북 연안에서는 1월을 제외한 나머지 월은 나머지 월의 모두 평년의 26~32% 수준, 강원 연안에서는 평년의 34~69%로 저조한 어획 수준을 보였다(표 4). 강원 연안의 어획량 감소의 주요인은 강원 연안의 기선저인망어업의 주어획 대상종이던 명태자원의 감소에 기인하였고, 경북연안은 도루묵의 어획량의 감소에 기인하였 다(그림 27 및 28).

표 4. 지역별 동해구기선저인망 어획량의 월 변화

바. 주여 어종별 월별 어획량 변동 명태

거진을 중심으로 한 강원연안의 기선저인망에 어획되는 명태의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에는 3월에 272톤으로 최고값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가 다시 6월에 201톤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여 7~12월에는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1999년은 3월에 38톤, 4월에 47톤으로 다소 높았으나, 나머지 월은 1톤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2000년 1~3월은 총 0.4톤으로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1% 및 0.1%의 매우 저 조한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27).

그림 27. 기선저인망에 어획된 명태 어획량의 월별 변동.

(54)

도루묵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평년에는 동해중부해역에서는 1~5월까지는 어획량이 10톤 이 하로 낮은 값을 보이다가 6월에 77톤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값을 보인후 10월까지 약 30 톤 내외로 감소한 후 11월에 50톤으로 다시 증가하였으나, 12월에는 다시 12톤으로 감소하 였다. 1999년은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도루묵은 동해중부해역에서는 6~

11월의 여름~가을에 높은 어획량을 보이며, 동계에는 도루묵의 생태적 특성상 산란을 위하 여 연안으로 접안하므로서 기선저인망의 어장에서 이탈되므로서 낮은 어획량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2000년 1~3월은 1월에 약 8톤을 어획한 후 매월 감소하여 3월에는 약 6톤을 어획하여 같 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69% 및 88%의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28 상).

동해남부연안에서는 평년에는 3월 이후 어획량이 점차 증가하여 6월에 99톤으로 최고값을 보인 후 12월까지 감소하였다. 1999년은 1~2월에는 1톤 미만으로 어획량이 매우 낮았으나, 3월부터 증가하여 4월에 91톤, 6월에 142톤, 7월에 204톤으로 높은 어획수준을 보인 후 12 월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2000년 1~3월은 1월에 0.05톤에서 증가하여 3월에 4톤을 어획하여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8% 및 15%의 매운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28 하).

그림 28. 지역별 도루묵의 월별 어획량 변동

(55)

가지미류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동해중부해역에서는 평년에는 1~3월에는 40~60톤으로 높았으 며, 4월부터 감소하여 5~8월에는 약 20톤 내외로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9월부터 증가하 여 12월에는 33톤이 어획되었다. 1999년은 6월에 어획량이 65톤으로 평년보다 높은 어획수 준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월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000년 1~3월은 1월에 4톤에서 증가하여 3월에는 39톤이 어획되어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43% 및 38%의 저조한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29 상).

동해남부해역에서는 평년에는 1월에 53톤을 어획한 후 점차 감소하여 7월에 27톤으로 최 저값을 보였다. 8월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9~11월에는 70톤 내외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 였으며, 12월에 다시 54톤으로 감소하였다. 1999년은 8월에 어획량이 24톤으로 최저값을 보 였으며, 나머지 월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000년 1~3월은 1월에 56톤에서 2월에 11톤으로 감소하였는데, 3월에 39톤으로 다소 증 가하여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71% 및 68%의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29 하).

그림 29. 지역별 가지미류의 월별 어획량 변동.

(56)

청어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동해중부해역에서는 평년에는 10월에 11톤으로 최고값을 보였 으며 1월에도 6.7톤으로 비교적 높았다. 1999년에도 10월에 18.5톤으로 최고값을 보였으며, 4월에 8.2톤으로 비교적 높았다. 2000년 1~3월은 1월에 0.3톤에서 3월에 2.1톤으로 증가하 였다.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각각 93% 및 27%의 저조한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30 상).

동해남부해역에서는 평년에는 10~12월에 24~42톤으로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으며, 1월에 도 10톤 이상으로 다소 높았다. 나머지 월은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1999년은 평년과 비 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어획량이 11월에 129톤, 12월에 92톤으로 매우 높은 어획수준을 보 였다. 2000년 1~3월은 1월에 23톤에서 2월에 1톤으로 감소하였으며 3월에는 어획이 없었 다.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559% 및 161%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30 하).

그림 30. 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청어 어획량의 월별 변동.

(57)

대구

월별 어획량 변동을 보면, 동해중부해역에서는 평년은 5~9월에는 1~2톤 범위의 낮은 어 획수준을 보였으나 나머지 월은 4~11톤 범위로 비교적 높았다. 1999년은 평년과 비슷한 경 향을 보였으나, 1~3월 및 10~12월에 11~31톤으로 평년에 비하여 어획량이 높았으며, 나 머지 월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2000년 1~3월은 1월에 13톤, 2월에 81톤으로 급격히 증가한 후 3월에 47톤으로 다소 감 소하였다. 같은 시기의 전년 및 평년의 298% 및 539%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31 상).

동해남부연안에서는 평년은 1, 3~4월 및 10~11월에는 1톤 내외였으나, 나머지 월은 1톤 미만으로 매우 낮은 어획수준을 보였다. 1999년에는 11월 및 12월에만 어획이 있었으며, 어 획량도 1톤 미만이었다.

2000년 1~3월은 1~2월에는 1톤 미만이었으나, 3월에 6톤으로 어획량이 급격히 증가하였 다. 같은 시기의 평년의 311%의 높은 어획수준을 보였다(그림 31 하).

그림 31. 기선저인망에 어획된 대구 어획량의 월별 변동.

(58)

4. 2000년 춘계 어황 전망

O 오징어채낚기어업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오징어의 수명은 1년으로, 대체로 3개 발생군(가을, 겨울, 여름)이 혼재하여 분포하며, 회유경로가 복잡하고, 월에 따라 그 분포비율이 달라 매우 복 잡한 양상을 보이나, 주 어획대상이 되는 군은 가을발생군으로 그 양적인 변동이 9~10월의 주어기의 풍흉을 결정하며, 동해남부연안의 여름철 냉수대 출현 등의 해양환경요인이 초어 기의 어황에 영향을 미친다. 그밖에 특히, 강원 연안에서는 여름발생군의 가입량이 봄~여 름철의 어황에 영향을 미치며, 동계 발생군의 가입량이 11월 이후의 어황에 영향을 미친다.

2000년에는 지난해 여름 및 가을발생군의 가입이 호조를 보이므로서 춘계 이후의 어황이 평년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O 명태어업(연승 및 자망)

최근 명태자원의 감소로 어황의 전망이 불투명하며, 당분간 불황이 계속될 것으로 추정된 다.

O 꽁치유자망어업

춘계 동해안 연안수온이 평년에 비하여 고수온을 보임으로서 꽁치어군이 평년보다 빨리 우리나라 동해안 이북 해역으로 북상할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꽁치 자원이 회복 추세에 있 으므로 평년에 비하여 호황이 예상된다.

O 기선저인망어업

기선저인망의 주요 어획대상종인 저어자원의 감소로 당분간 불황이 계속 될 것으로 전망 된다.

수치

그림  2.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수평분포도.
그림  3.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평년편차도(빗금  부분은  평년보다  낮은  해역).
그림  4.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연직분포도.
그림  4.  2000년  2월  동해의  수온  연직분포도(계속).
+7

참조

관련 문서

원칙적으로 건설산업기본법이 규정하는 건설공사를 대상 으로 하고, 직영 또는 도급에 의하여 건설공사를 시행하는 사업과 건설사업의 형태를 갖춘 사업으로서

폼을 열어 레코드들이 표시될 때 발 생하며, 이 이벤트는 Current 이벤트 전에 발생하고 Open 이벤트 후에 발 생함.

The fast disintegrating tablet (FDT) containing oriental herbal medicine was prepared by using a freeze-drying method.. To improve taste and morphology of

ㅇ (민간 작은 생활문화공간 지원) 인천시의 브랜드 사업인 ‘천 개의 문화오 아시스 사업 ’ 등 민간의 작은 생활문화공간 지속 발굴 및 활동 지원

상기 본인은 위와 같이 극동대학교 동계 제18기 해외봉사단에 지원하고자 합니다... 파견 지원국

노인 질환자들의 대상 영역별 음악 치료 목적은 41) 첫째,의학적 질병이 없 는 노인들과 함께 거주하는 양로원 등의 집단에서는 다른 동료들과 함께 사 회적인

이 때 그룹을 나누는 과정은 거리 기 반의 그룹간 비유사도 (dissimilarity) 와 같은 비용 함수 (cost function) 을 최 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같은

이에는 적법행 위로서의 법률행위․준법률행위가 있고, 위법행위로서의 채무불이행과 불법행위가 있다... 사단법인은 사람이라는 구성원이 필수요소이고 사단법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