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환경 R&D 사업별 소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 환경 R&D 사업별 소개"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차시. 환경 기술개발(R&D) 사업 소개

● 도입이야기

현재 환경 기술개발(R&D)사업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연간 약 2,000억원 규모로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목적, 유형 및 기술분야에 따라 13개의 단위사업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과 국민의 생활환경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사업들이 기획되고 있으므로 사업규모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환경 기술개발(R&D) 사업별 각각의 목적과 특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 습니다.

● 용어사전

사업단과제 :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시장성 또는 파급효과가 큰 유망 환경기술개발을 사업단장의 책임 하에 추진하는 과제

연구단과제 : 환경정책의 실현을 위해 장기적 집중투자가 필요한 공익성격의 기술을 연구단장 책임 하에 개발하는 과제

통합형과제 : ‘총괄과제’와 ‘세부과제’로 구성하여 수행되는 과제로 공동의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기술들을 통합하여 일체형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

개별형과제 : 하나의 독립된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

원천기술과제 : 기술적 사상(연구개발 아이디어)을 기초연구를 통하여 타당성과 실용화 가능성을 연구하는 과제

공공활용과제 : 제도개선 등 정책활용 및 공공분야의 기술개발을 위해 추진되는 과제 실용화과제 :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실증화과제 : 개발된 기술의 실증설비 적용을 위하여 최적화·규모확장 및 주변기술 확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 학습목표

1. 환경기술개발 사업을 연구목적 및 개발단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환경기술개발 사업별 사업목적과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 학습하기

1. 환경 R&D 사업 현황 및 분류

1) 환경 R&D 사업 운영 현황

[환경 R&D 사업 현황]

환경 기술개발(R&D) 사업을 운영하는 전문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2015년 현재 총 13개의 단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핵심기술개발사업 후속으로 포괄적으로 환경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차세대 Eco-Innovation 사업은 '12년 수립된 ‘중장기 환경기술로드맵(Eco-TRM 2022, 2013∼2022)’에 따라 2014년부터는 사업목적별로 글로벌탑, 환경기술선진화, 환경정책기반, 환경 서비스 등 4개의 단위사업으로 분리되어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사업별 목표를 분명히 하고 성과지표를 명확히 하는 등 연구과제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성과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다양한 사업목적에 따라 9개의 중∙소형 환경 기술개발(R&D) 사업 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환경 질 향상을 위해 계속해서 신규사업들을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2) 환경 R&D 사업 유형 분류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에서는 연구목적 및 개발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사업유형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3)

유형 개념 및 분류기준

중장기산업 기술개발 ・중장기적(3년 이상) 상용화 연구 단기산업 기술개발 ・단기간(3년 이내) 내 상용화 연구

공공기술개발 ・최종성과가 국민 삶의 질에 기여하는 연구 기초연구 ・창조적 지식 획득 연구(순수기초형)

・문제해결의 근본원리 및 창의적 지식창출 연구(목적기초형)

“기초연구”란 자연현장의 원리규명, 또는 새로운 현상의 분석 등을 통해 창조적으로 지식을 획 득하는 순수기초형 연구와 현재 또는 미래에 광범위한 응용을 목적으로 문제해결의 근본원리 및 창의적 지식을 창출하는 목적기초형 연구를 포함하여 정의하고 있습니다. “단기산업 기술개발”

이란 3년 이내의 단기간 동안 기술이 실제현장에서 상용화되는 것을 목표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개발하는 응용‧개발 연구사업입니다. 또한, “중‧장기산업 기술개발”이란 3년 이상의 중장기적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응용‧개발 연구사업입니다. 마지막으로 “공공기술개발”에는 응용‧개 발단계의 연구개발사업이지만 최종적인 성과가 국민의 건강증진, 재난방지 등 국민 삶의 질에 기 여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사업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유형 환경 R&D 사업

중장기산업 기술개발

1.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

2.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기술개발사업 3.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사업

단기산업 기술개발

4.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사업

5.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 6. 조류감시 및 제거활용 기술개발 실증화사업

공공기술개발

7.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사업 8.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사업 9.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10. CO

2

저장 환경관리 기술개발사업 11. 환경서비스 기술개발사업

12. 유해화학물질사고 관리기술개발사업 기초연구 13. 환경융합 신기술개발사업

현재 진행되고 있는 13개의 환경 R&D 사업을 이와 같은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구 유형으로는 환경융합사업이 있으며, 단기산업 기술개발 유형에 환경산업선 진화 사업을 비롯한 3개 사업, 중장기산업 기술개발 유형에 글로벌탑 사업을 비롯한 3개 사업, 공공기술개발사업에 환경정책기반 사업을 비롯한 6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4)

2. 환경 R&D 사업별 소개

1) 중장기산업 기술개발 사업 가.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은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첨단 환경기술을 국산화하고 국내 기술의 수출 산업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패키지형 기술개발사업’입니다. 차세대 Eco-Innovation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1~2020년까지 10년간 약 7,820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특히, ‘글로벌 탑’ 사업의 경우 환경부 내에서 진행하는 R&D 사업 중 지원 금액과 과제규모가 가장 큰 사업이므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6개의 사업단과 1개의 통합형과 제형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탑 환경기술개발사업’에서 지원되는 연구과 제의 유형은 실용화과제 또는 실증화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해외 의존 첨단 환경기술의 국산화 및 수출 산업화를 위한 전략적으로 집중 육 성하는 패키지형 기술개발사업

사업목표 - 세계 일류 수준 환경기술개발을 통한 환경산업의 신성장 동력화 및 수출산업화 추진방향 - 글로벌 기술개발 및 산업동향, 기술개발 파급효과, 기술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검

토하여 성공가능성이 큰 패키지 기술 집중 지원 사업기간 - 2011~2020(10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7,820억원

과제지원 - 사업단과제(6개 사업단), 통합형과제 기술유형 - 실용화과제, 실증화과제

‘글로벌탑’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사업단 과제

에코스마트 상수도 시스템

- 상수도 사업 전반의 운영 및 관리 관련 토탈 솔루션 기술 확보, 해외 물 시장 진출

폐금속·유용자원 재활용 기술

- 미활용 폐자원에 대한 최신 재활용 기술개발, 자원 순환율을 제고 하고 자원순환 기술의 실용화 및 해외 수출 촉진

하·폐수 고도처리 기술

- 오염수의 처리 시스템 및 효율적인 수자원 확보·이용 기술 개발, 미래형 하폐수 처리시스템 개발

친환경 자동차 기술 - 자동차 배출허용 기준 및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수요에 부합하는 그린카 기슬개발 및 보급

Non-CO2 온실가스 저감 기술

- 국가 온실가스 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Non-CO2 온실가스 저감 핵심 기술 및 시스템 개발

그린패트롤 측정기술 - 수질오염측정, 대기오염 측정, 유해화학물질 측정분야의 센서, 계측 기기, 측정장비의 핵심기술개발

통합형

과제 지능형 상수관망 - 환경 시설의 지능화를 통한 수도관망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사업화, 수돗물의 신뢰성 향상

(5)

- 에코스마트 상수도 사업단에서는 상수도 사업 전반의 운영 및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 니다.

- 폐금속‧유용자원 재활용 사업단에서는 미활용 폐자원에 대한 최신 재활용 기술개발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 하‧폐수 고도처리 사업단에서는 오염수의 처리 시스템 및 효율적인 수자원 확보‧이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자동차 사업단에서는 자동차 배출허용 기준 및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수요에 부합 하는 그린카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Non-CO2 온실가스 저감 사업단에서는 국가 온실가스 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그린패트롤 사업단에서는 수질오염측정, 대기오염 측정, 유해화학물질 측정분야의 센서, 계측 기기, 측정장비 등의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통합형과제의 경우, 기술 분야는 지능형 상수관망으로 수돗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수도관망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사업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나.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기술개발사업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기술개발사업’은 ‘국내 토양‧지하수 분야 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90%이상 으로 향상시키고, 선진화된 토양‧지하수 관리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2008~2017년까지 10년간 약 1,397억원의 규모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사업이 종료되는 2018년부터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기술개발사업의 후속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현재 준비 중에 있습니다. ‘토양‧지하수’ 사업의 경우 연구단과제, 통합형과제, 그리고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 원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국내 토양·지하수 분야 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90% 이상으로 향상하고 선진적인 토양·지하수 통합관리기반을 구축

사업목표

- 우리나라 지질환경에 적합한 사전예방, 오염탐지, 오염정화, 사후관리 기술 개발 및 보급

- 독자적 기술 확보로 선진국에서 요구하는 기술이전비용 저감 및 기술수출 - 사전예방기술과 오염탐지기술 집중지원으로 향후 국가가 책임질 정화비용 절감

추진방향

- 현장적용 가능한 실용화 기술개발 과제 중점 지원

- 공공기반 및 향후 실용 기술 개발 연계가 가능한 원천기술 지속적 발굴‧추진 - 사업화 진입 유도를 위한 산‧학‧연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단과제 추진

사업기간 - 2008~2017(10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1,397억원

과제지원 - 연구단과제,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원천기술과제, 공공활용과제, 실용화과제, 실증화과제,

또한,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기술개발사업’에서 지원되는 연구과제의 유형은 실용화과제, 실증 화과제, 공공활용과제, 원천기술과제입니다.

(6)

‘토양‧지하수’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사전예방 - 오염물질 차단, 오염유출 경보, 시설입지평가 등 토양․지하수 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기술 개발 분야

오염조사 - 오염원인자 판별, 오염부지 조사, 확산 및 거동 특성 규명, 위해성 조사․평 가 등 오염원, 오염도 및 오염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개발 분야

오염정화 - 오염물질 및 부지 정화를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술 개발 분야 사후관리 -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및 오염정화 후 관리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분야

- 사전예방 분야에서는 오염물질 차단, 오염유출 경보, 시설입지평가 등 토양․지하수 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오염조사 분야에서는 오염원인자 판별, 오염부지 조사, 확산 및 거동 특성 규명, 위해성 조사․

평가 등 오염원, 오염도 및 오염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오염정화 분야에서는 오염물질 및 부지 정화를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술을 개발 하고 있습니다.

- 사후관리 분야에서는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및 오염정화 후 관리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사업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사업’은 ‘폐자원의 매립‧해양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자원으로 이용하 기 위한 한국형 폐자원에너지화 실증시스템 개발’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2013~2020년까 지 8년간 약 1,341억원의 규모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사업은 런던협약 및 해양환경관 리법에 따른 폐기물 해양투기 금지 조치와 최근 에너지고갈 심화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폐자원의 매립·해양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한국형 폐자원에너지화 실증시스템 개발

사업목표 - 폐자원에너지화 분야의 실증기술 개발을 통한 한국형 기술 확보 및 사업화 확대

추진방향

- 국정과제, 창조경제 및 정책계획 등 국정현안에 기여도가 높은 과제 위주로 선별적 지원

- 해양투기 금지 등 국제규제로 인한 시급한 환경문제 우선 해결을 위한 실용·실증화 과제 계속 지원

사업기간 - 2013~2020(8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1,341억원

과제지원 - 사업단과제,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실증화과제

‘폐자원에너지화’ 사업의 경우 사업단과제, 통합형과제, 그리고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 습니다. 또한,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사업’에서 지원되는 연구과제의 유형은 실증화과제입니다.

(7)

‘폐자원에너지화’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가연성폐자원 에너지화

- 생활폐기물 등 가연성폐자원을 활용하여 환경오염 없이 에너지원을 확 보할 수 있는 한국형 실증기술 개발

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사업단)

-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을 바이오가스화, 고체·액상 연료화하여 활용가치가 높은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

- 가연성폐자원 에너지화 분야에서는 생활폐기물 등 가연성폐자원을 활용하여 에너지원을 확보할 수 있는 한국형 실증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 분야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의 유기성 폐자원을 연료화하여 에너지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습니다. 특히, 이 분야는 사업단을 출범하여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 단기산업 기술개발 사업

가.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사업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사업’은 ‘환경산업체 등 기술수요자가 요구하는 환경기술에 대한 수요자 맞춤형 사업화 기술개발 사업’입니다. 차세대 Eco-Innovation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1~2020년까지 10년간 약 4,510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은 통합형과제 또는 개별 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 환경산업체 등의 기술 수요자가 요구하는 환경기술에 대하여 사전수요를 바탕으로 개발하는 매체별 수요자 맞춤형 사업화 기술개발

사업목표 - 시장중심 환경기술 사업화를 통한 환경산업 경쟁력 제고

추진방향

- 핵심기술 기술수준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90% 이상 달성 - 6대 분야별 핵심환경기술 사업화 촉진을 통한 환경산업 육성 - 6대 분야별 핵심환경기술 상용화를 통한 환경개선 역량 제고 사업기간 - 2011~2020(10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4,510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실용화과제, 실증화과제(수요자기반형)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실용화과제 또는 실증화과제입니다. 특히, 실증화 과제의 경우, 수요자기반형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수요자기반형이란 대기업, 중견기업 등 기술수 요자가 사전에 개발기술에 대한 구매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기술에 대하여 연구를 추진 하는 방식입니다.

(8)

‘환경산업선진화’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대기질 개선기술 - 대기유해물질 정밀 측정기술,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처리기술, VOCs/악취처리기술, 대기오염물질처리 기술

생활환경질 향상기술 - 소음 및 진동 저감 기술, 실내공기질 개선 기술

생태계 복원관리기술

- 도시생태계 기능회복을 위한 네트워크 조성 및 복원기술, 육상생태계 생태통로 및 서식지 조성기술, 하천 및 호소생태계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리기술

에코공정 기반기술

(친환경소재·제품/공정) - 친환경 제품개발기술, 친환경 제품소재, 산업설비 환경성 향상기술 위해성평가관리 및

감축기술

- 인공조명으로 인한 도시지역 빛공해 저감기술, 환경성질환 위해성 평 가기술, 유해금속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기술, 신종유해인자의 모니 터링기술

- 대기질 개선기술 분야에서는 대기유해물질 정밀 측정기술,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처리기술, VOCs/악취처리기술, 대기오염물질처리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생활환경질 향상기술 분야에서는 소음 및 진동 저감 기술, 실내공기질 개선 기술 등을 개발 하고 있습니다.

- 생태계 복원관리기술 분야에서는 도시생태계 기능회복을 위한 네트워크 조성 및 복원기술, 육상생태계 생태통로 및 서식지 조성기술, 하천 및 호소생태계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리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에코공정 기반기술 분야에서는 친환경 제품개발기술, 친환경 제품소재, 산업설비 환경성 향상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위해성평가관리 및 감축기술 분야에서는 빛공해 저감기술, 환경성질환 위해성 평가기술, 유해 금속 위해성 평가기술, 신종유해인자의 모니터링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은 ‘현장적용이 시급한 분야에 실즐화 연구지원을 통해 환경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중소기업 우수환경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 니다. 2010년부터 기한이 없는 계속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6년간 약 278억원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사업에서는 성과향상을 위해 ‘사전연구제도’를 운영하고 있 는데, 이는 과제선정 전에 약 1~2개월 동안 사전 연구기간을 부여하여 부지선정 및 기술수요자 와의 협약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협약 후에 바로 연구진행이 가능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9)

사업목적 - 기 개발된 기술 중 현장적용이 시급한 분야에 대한 실증 지원을 통해 지역 환경 현안 해결 및 중소기업 우수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

사업목표 - 지역의 시급한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적기 실증화 기술 개발 및 적용 - 중소기업 우수 환경기술 현장적용을 통한 사업화 촉진

추진방향

- 지자체가 요구하는 환경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유망 환경기술 발굴·지원 - 환경기술개발사업으로 실용화과제를 수행한 우수 중소기업의 실증화 기술 지원 - 연구성과 제고 및 사업화 성공률 향상을 위한 ‘사전연구제도’ 도입

사업기간 - 2010~(계속)

사업예산 - 2015년까지 정부지원금 278억원 과제지원 -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실증화과제

‘미래유망’ 사업의 경우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에서 지원되는 연구과제의 유형은 실증화과제입니다.

‘미래유망’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지자체 Test-bed 실증화

- 현장적용이 즉시 필요한 분야의 Test-bed 구축을 통한 단기집중 투자로 사업화 촉진 및 지역환경 현안문제 해결

중소기업 우수기술 육성

실증화

- 환경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기술경쟁력 강화 및 중소기업의 우수환경 기술의 사업화 촉진

- 지자체 Test-bed 실증화 분야에서는 현장적용이 필요한 분야에 Test-bed 구축을 통하여 지 역환경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증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중소기업 우수기술 육성 실증화 분야에서는 중소기업의 우수환경 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 조류감시 및 제거활용 기술개발 실증화사업

‘조류감시 및 제거활용 기술개발 실증화사업’은 ‘주요 수계별 특성을 고려한 조류 감시 및 제거·

활용 기술 등 최적 조류관리 실증기술 개발을 통한 국민 물복지 향상’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 니다. 2014~2017년까지 4년간 약 180억원의 규모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사업은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주요 상수원의 조류발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급하게 추진 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10)

사업목적 - 주요 수계별 특성을 고려한 조류 감시 및 제거·활용 기술 등 최적 조류관리 실 증기술 개발을 통한 국민 물복지 향상

사업목표

- 조류발생 조기 대응을 위한 감시시스템 개발

- 조류 제어를 위한 물리·화학·생물학적 실증기술 개발 - 먹는물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수장녹조관리 실증기술 개발

추진방향

- 조류 대발생 관련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조류제거분야 우선 추진

- 지자체·공공기관 등 조류기술의 실질적 수요기관과 연계하여 중소기업 적합분야 연구지원 확대

- 기존기술 개선 및 국외 기술의 국산화를 통한 조기 사업화·현장적용 추진 사업기간 - 2014~2017(4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180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실증화과제

‘조류 실증화’ 사업의 경우 통합형과제 그리고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또한,

‘조류감시 및 제거활용 기술개발 실증화사업’에서 지원되는 연구과제의 유형은 실증화과제입니다.

‘조류 실증화’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녹조관리 - 수계별 특성에 최적화된 현장적용형 녹조 제거 기술개발

정수장 녹조관리 - 녹조 대발생에도 안전한 먹는물의 공급을 위한 정수장 녹조관리 통합 기술개발

- 녹조관리 분야에서는 수계별 특성에 최적화된 현장적용형 녹조 제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정수장 녹조관리 분야에서는 녹조 대발생에도 안전한 먹는물의 공급을 위한 정수장 녹조관리 통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3) 공공기술개발 사업

가.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사업

‘환경정책기반 기술개발사업’은 ‘공공환경기술의 수요를 해결함으로써 국가 환경정책을 실현하고, 환경보전 및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하기위한 사업입니다. 차세대 Eco-Innovation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1~2020년까지 10년간 약 2,710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은 통 합형과제 또는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11)

사업목적 - 공공환경기술의 수요를 해결함으로써 국가 환경정책을 실현하고, 환경보전 및 국민 삶의 질 향상

사업목표 - 공공환경기술 역량 강화를 통한 환경정책 효율성 제고 추진방향 - 공공환경 기술수준 최고기술보유국 대비 90%이상 달성

- 공공환경기술의 정책목표 달성을 통한 환경개선 역량 제고 사업기간 - 2011~2020(10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2,700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공공활용과제, 원천기술과제(ERL, 혁신도약형)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공공활용과제 또는 원천기술과제입니다. 특히, 원천기술과제의 경우, 연구소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ERL과 도전적‧창의적 연구과제인 혁신도약형 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 분 과제 정의

원천 기술

ERL - 첨단환경기술 연구 또는 정책활용 등 공공 성격의 연구로, 대학·출연연·기타 비영리 연구소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과제

혁신 도약형

- 패러다임 전환, 새로운 시장 창출 등 과학기술 혁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도 전적ㆍ창의적 연구과제

‘환경정책기반’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대기환경정책 대응

- 광화학 오염 관리 기반기술, 규제 강화 유해대기오염물질 통합 관리 체계 및 정책기반 구축, 대기생활환경오염원 통합관리체계 구축, 원격 탐사기법을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탐지 알고리즘 개발

상하수도정책 대응 - 하수관거 관리효율화 기술, 수질 개선을 위한 공공처리시설 개선과 시스템 제고

물환경정책 대응

- 비점 오염원 유입 방지 기술, 비점오염원 저감 기술, 비점오염원 모니 터링 및 평가 기술, 하천 수질 모니터링 및 오염방지 기술, 지속가능 물순환 시스템 구축, 가축분뇨 처리기술

자원순환정책 대응 - 친환경 포장설계 기준개발, 폐기물의 수거 및 운송기술개발, 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영 및 고도화 기술

자연보전정책 대응

- 도시생태계 기능회복을 위한 생태네트워크 조성 및 복원기술 개발, 육상생태계 생태통로 및 서식지 조성기술 개발, 하천 및 호소생태계 생물 다양성 증진 및 관리기술 개발

(12)

- 대기환경정책 대응 분야에서는 광화학 오염 관리 기반기술, 대기오염물질 통합 관리 체계 구 축, 대기오염물질 탐지 알고리즘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상하수도정책 대응 분야에서는 하수관거 관리효율화 기술, 수질 개선을 위한 공공처리시설 개선 및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물환경정책 대응 분야에서는 비점 오염원 유입 방지 기술, 비점오염원 저감 기술,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하천 수질 모니터링 및 오염방지 기술, 지속가능 물순환 시스템 구축, 가축분뇨 처리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자원순환정책 대응 분야에서는 친환경 포장설계 기준발, 폐기물의 수거 및 운송기술발, 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영 및 고도화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자연보전정책 대응 분야에서는 생태네트워크 조성 및 복원기술, 육상생태계 생태통로 및 서식지 조성 기술, 하천 및 호소생태계 생물 다양성 증진 및 관리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사업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사업’은 ‘라돈, 석면, 아토피, 유해화학물질 등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생활 속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국민건강 영향을 평가하고 피해저감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2012~2021년까지 10년간 약 1,639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은 통합형과제 또는 개별 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공공활용과 제 또는 실용화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라돈, 석면, 아토피, 유해화학물질 등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생활 속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 및 피해저감 기술개발

사업목표

- 생활환경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환경성질환 부담 선진국 수준 감축 - 2025년 선진국 수준의 환경보건기술 확보

- 과학적 자료에 기반한 환경보건정책 수립 및 정책 신뢰성 제고

추진방향

- 국민들이 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환경 유해요인과 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중점 기술 발굴 및 문제해결 중심의 통합적인 환경보건기술 개발

- 사회적 현안문제 해결 및 대응에 필요한 기술 우선 개발 - 미래사회 환경변화 대비를 위한 기술개발에 투자 확대

- 국민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 유지를 위한 전과정 기술개발 추진 사업기간 - 2012~2021(10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1,639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공공활용과제, 실용화과제

(13)

‘생활공감 환경보건’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 라돈, 석면, 빛공해, 소음·진동 등 생활환경 유해인자별 위해성평가 및 저감·관리기술

환경성질환 대응 - 환경성질환과 환경유해인자와의 상관성 규명 및 저감·관리 기술 확보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 Biocide 등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를 위한 위해성·노출 평가 및 위해 저감·관리 기술개발

환경호르몬 통합위해관리

-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환경호르몬 물질 배출량 저감 및 환경호르몬 통합 위해관리·평가 시스템 개발·적용

-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분야에서는 라돈, 석면, 빛공해, 소음·진동 등 생활환경 유해인자별 위해성평가 및 저감·관리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환경성질환 대응 분야에서는 환경성질환과 환경유해인자와의 상관성 규명 및 저감·관리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분야에서는 Biocide 등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를 위한 위해성·노출 평가 및 위해 저감·관리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환경호르몬 통합위해관리 분야에서는 환경호르몬 물질 배출량 저감 및 환경호르몬 통합 위해 관리·평가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지원을 위한 통합 정책기반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2013~2020년까지 8년간 약 835억원의 규모로 진행 됩니다. 이 사업은 연구단과제, 통합형과제 또는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공공활용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는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 정책 지원을 위한 통합 정책기반기술의 확보

사업목표

- 기후변화에 비용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세계 최고수준의 통합 정책기반 기술 확보 - 2020년까지 효과적인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비용 절감

추진방향

- ‘15년부터 추진되는 배출권거래제 지원을 위해 신뢰도 높은 감축 잠재량 분석 및 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 관리 기술개발 우선 지원

-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국가·지자체 적응대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델, 의사결정 지원 모형 등 기술개발 추진

사업기간 - 2013~2020(8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835억원

과제지원 - 연구단과제,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공공활용과제

(14)

‘기후변화대응’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온실가스 감축 통합관리

- 배출권 할당계획 등 배출권 거래제 추진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통합 분석 및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고도화 기술개발

기후변화 적응 통합관리

- 기후변화 영향평가 체계 구축, 민간 적응대책 수립 지원 등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기후변화 적응 관리 기술개발

- 온실가스 감축 통합관리 분야에서는 배출권 할당계획 등 배출권 거래제 추진을 위한 온실 가스 감축 통합 분석 및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고도화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 적응 통합관리 분야에서는 기후변화 영향평가 체계 구축, 민간 적응대책 수립 지원 등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기후변화 적응 관리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 습니다.

라. CO2 저장 환경관리 기술개발사업

‘CO2 저장 환경관리 기술개발사업’은 ‘국가 CO2 저장 환경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2014~2021년까지 8년간 약 413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은 연구단과제로 연구가 지 원되고 있습니다. ‘CO2 저장 환경관리 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공공활용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국가 CO₂저장 환경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목표 - 2021년까지 CO

2

저장을 위한 환경관리기술 개발 및 실증화, 법․제도 정비 추진방향 - CO2 저장 환경관리를 위한 핵심기술 및 환경영향 예측 능력 확보

- CO2 저장 환경관리 기술의 실증 및 법제화를 통한 현장적용 능력 확보 사업기간 - 2014~2021(8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413억원 과제지원 - 연구단과제

기술유형 - 공공활용과제

‘CO2 저장 환경관리’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CO

2

거동 및 누출 평가 - EIT를 활용한 CO

2

누출 감지 기술, CO

2

자연 다량방출지역의 장기 환경 영향 사례 연구

CO

2

저장 환경 위해성 평가․관리

- 토양 환경영향 식별‧평가‧저감 핵심기술, 지하수 환경영향 식별‧평가‧

저감 핵심기술, 생태계/인체 위해성 식별‧평가‧관리 핵심기술 CO

2

저장 환경관리

실증

- 저장부지 환경성 평가를 위한 기반 구축, 지하수 및 토양 환경영향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실증

CO

2

저장 환경관리 기반 구축

- 법제기반 마련연구, CCS 전과정 안전관리 체계 연구, SSC 환경 위해 소통방안 연구

(15)

- CO2 거동 및 누출 평가 분야에서는 EIT를 활용한 CO2 누출 감지 기술, CO2 자연 다량방출 지역의 장기 환경영향 사례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CO2 저장 환경 위해성 평가․관리 분야에서는 토양 환경영향 식별‧평가‧저감 핵심기술, 지하수 환경영향 식별‧평가‧저감 핵심기술, 생태계/인체 위해성 식별‧평가‧관리 핵심기술 등을 개발 하고 있습니다.

- CO2 저장 환경관리 실증 분야에서는 저장부지 환경성 평가를 위한 기반 구축, 지하수 및 토양 환경영향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CO2 저장 환경관리 기반 구축 분야에서는 법제기반 마련연구, CCS 전과정 안전관리 체계 연구, SSC 환경 위해 소통방안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마. 환경서비스 기술개발사업

‘환경서비스 기술개발사업’은 ‘녹색 생산·소비, 녹색생활 실천, 녹색사회 견인 등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생활 서비스를 창출하여 살기 좋은 생활환경 구축’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011~2020년까지 10년간 약 100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은 통합형과제와 개별형과 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환경서비스 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실용화과제 또는 공 공활용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녹색 생산·소비, 녹색생활 실천, 녹색사회 견인 등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 생활 서비스 창출 및 살기 좋은 생활환경 구축

사업목표 - 환경 분야 행정서비스 개선 및 신규 서비스 창출을 통한 공공서비스 질 향상 추진방향 - 환경분야 기술혁신을 위한 환경지식기반 구축 및 강화 기술개발

사업기간 - 2011~2020(10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100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실용화과제, 공공활용과제

‘환경서비스’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에코효율화 사회시스템 구축 -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체 관리 및 지원시스템 구축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 음식물쓰레기의 생물학적 가용화를 통한 자원화효율 향상기술 및 생물전환을 통한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생산 기술개발

재난피해자 안심서비스 구축 - 화학사고 또는 환경오염사고에 따른 안전 보호 장비 개발 및 성 능기준 개발

- 에코효율화 사회시스템 구축 분야에서는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체 관리 및 지원시스템 구축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6)

-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분야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생물학적 가용화를 통한 자원화효율 향상 기술 및 생물전환을 통한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생산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재난피해자 안심서비스 구축 분야에서는 화학사고 또는 환경오염사고에 따른 안전 보호 장비 및 성능기준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바. 유해화학물질사고 관리기술개발사업

‘유해화학물질사고 관리기술개발사업’은 ‘유해화학물질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피해를 최소화 하여 국민이 환경적으로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사업입니다. 2015~2021년 까지 7년간 약 1,084억원의 규모로 진행됩니다. 이 사업은 통합형과제와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사고 관리기술개발사업’의 기술유형은 실용화과제 또는 공공활 용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유해화학물질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피해를 최소화하여 국민이 환경적으로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반마련

사업목표

- 유해화학물질사고 대응역량 강화를 통한 환경피해 최소화 -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 예방 및 관리 핵심기술 확보 - 과학적 자료에 기반한 유해화학물질사고 관리체계 마련 - 화학물질관리법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 실천 연계

추진방향

- 유해화학물질사고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사고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현장 수요 및 현장 적용성을 고려한 기술 개발

- 국가 차원에서 유해화학물질사고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

사업기간 - 2015~2021(7년) 사업예산 - 정부지원금 1,084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실용화과제, 공공활용과제

‘유해물질화학사고 관리’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예방 기술

-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또는 하천ㆍ호소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고 로 인한 환경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환경피해 예측 및 피해 대비 기술 개발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저감 기술

- 유해화학물질사고로 인한 대기, 수질오염, 인체 및 생태계 피해 최 소화를 위한 유해화학물질 누출측정기술, 최적 방제 기술 및 잔류오 염 제거 기술 개발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 사후관리 기술

- 유해화학물질사고 종료 후 인체 및 생태계 최적 사후관리를 위한 인체 및 생태계 영향 평가 기술 개발

(17)

-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예방 기술 분야에서는 유해화학물질사고로 인한 환경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환경피해 예측 및 피해대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저감 기술 분야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출측정기술, 최적 방제 기술 및 잔류오염 제거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유해화학물질사고 환경피해 사후관리 기술 분야에서는유해화학물질사고 종료 후 인체 및 생태계 최적 사후관리를 위한 인체 및 생태계 영향 평가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4) 기초연구 사업

가. 환경융합 신기술개발사업

‘환경융합 신기술개발사업’은 ‘미래환경시장 선점과 신산업 창출 등 환경산업 고도화 기반구축을 위해 ET, NT, BT, IT와의 기술융합을 통한 고효율 환경기술개발’을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2009년부터 기한이 없는 계속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7년간 약 580억원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사업은 통합형과제와 개별형과제로 연구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융합 신기술 개발사업’에서 지원되는 연구과제의 유형은 원천기술과제 또는 실용화과제입니다.

사업목적 - 미래환경시장 선점과 신산업 창출 등 환경산업 고도화 기반구축을 위해 ET, NT, BT, IT 기술융합을 통한 고효율 환경기술개발

사업목표

- 국가 및 지역적 환경난제 해결

- 환경기술 고도화를 위한 핵심원천기술 확보 - 환경융합기술을 통한 신환경시장 창출기반 마련

추진방향

- 국가 R&D의 성과확산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미래부(한국연구재단) 우수 기초․

원천 기술과제의 후속 실용화 단계 지원

- 중장기 기획 로드맵 수립에 따라 성공가능성이 높고 개발완료 시 시장선점 및 상용화가 가능한 원천 기술과제 지원

사업기간 - 2009~(계속)

사업예산 - 2015년까지 정부지원금 580억원 과제지원 - 통합형과제, 개별형과제

기술유형 - 원천기술과제, 실용화과제

‘환경융합’ 사업에서 추진되는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명 기술분야

환경공정 개선 융합소재

- 저감효율 개선 기능성 소재, 유지관리 향상 융복합 소재 등 환경공정 개선 및 환경난제 해결을 위한 융합소재 기술개발

환경오염 통합관리 - 오염물질 감시 고도화 기술 등 환경문제의 원인·결과 상호 연관성 분석 을 통하여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하는 환경오염 통합관리 기술개발 생태계 감시·보전

정보화 시스템

- 다매체 연계형 생태 관리 기술 등 양질의 생태정보를 수집·분석하여 통 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생태계 감시·보전 정보화 시스템 개발

(18)

- 환경공정 개선 융합소재 분야에서는 환경공정 개선 및 환경난제 해결을 위한 융합소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환경오염 통합관리 분야에서는 환경문제의 원인·결과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하는 환경오염 통합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생태계 감시·보전 정보화 시스템 분야에서는 양질의 생태정보를 수집·분석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생태계 감시·보전 정보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정리하기

1. 환경 R&D 사업 현황 및 분류

환경기술개발 전문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2015년 현재, 13개의 환경 R&D 단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가표준에 따른 사업유형으로 구분하면, 중장기산업 기술개발에는 글로벌탑, 토양‧지하수, 폐자원에너지화 3개 사업이 해당되며, 단기산업 기술개발에는 환경산업선진화, 미래유망, 조류 감시 등 3개 사업이 해당됩니다. 또한, 공공기술개발 유형으로는 환경정책기반, 생활공감, 기후변화대응 등 6개 사업이 해당되며, 기초연구분야로는 환경융합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2. 환경 R&D 사업별 소개

13개의 단위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환경 R&D 가업은 사업에 따라 각각 목적, 목표, 기간, 예 산 그리고 기술분야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 R&D 신청을 준비하는 연구자들께 서는 본인의 연구과제가 어떠한 사업과 적합한지를 먼저 면밀히 검토하여야 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이때 R&D 포트폴리오 관리는 반드시 해당 기업의 사업/기술 전략상의 방향과 R&D 포트폴리오를 도입하려는 목적 포트폴리오 가치 극대화, 프로젝트간의 균형 달성, 포트

[r]

- 사업 전략과 연계한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는 성과지향적 R&D 체계 구축 ㆍ소니의 Target-oriented R&D, 히타치의 特硏(Tokken) 프로젝트 등 초.

[r]

연료전지 전기자동차(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 Honda

- 데이터베이스 쿼리 결과에 대한 데이터 셋을 생성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에 전송 - 오즈 리파지토리 관리.. - 독립 구동형인 Daemon Type과 WAS 연동형인

2) 도자기ㆍ내화물ㆍ형상토제품(형상을 본떠 흙 으로 만든 제품) 또는 연마재를 제조하는 공 정에서 원료를 혼합 또는 성형하거나, 원료 또는 반제품을 건조하거나, 반제품을 차에 싣

시뮬레이션 환경은 MSRDS의 하나의 파트너 서비스로서 개발자가 개발한 시뮬레이션 모듈이 실행될 때 같이 실행되며,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구 동하는데 사용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