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T. OF SPORTS SCIENCE LEE CHAE SAN
제6강
노인체력검사
• 관상동맥 협착
• 협착성 심장판막증
• 전해질 이상
• 심한 동맥성 고혈압
• 빈맥, 서맥성 부정맥
• 비후성 심근병증
• 고도의 방실 차단
• 운동에 의한 신경근육 질환
• 통제되지 않는 대사성 질환
• 만성 감염성 질환
• 심근허혈
• 위험이 크고 불안정한 협심증
• 통제되지 않는 심장 부정맥
• 대동맥 협착
• 통제되지 않는 심부전
• 급성 폐색전증
• 급성 심근염
• 박리성동맥류
• 급성 감염
수행능력 검사의 금기사항
상대적 운동 금기사항 절대적 운동 금기사항
운동 프로그램 참여 금기사항
1 단계 : 사전 동의
사전 검사 단계
2 단계 : 신체활동 준비 설문지 3 단계 : 주치의의 동의서
4 단계 : 건강력과 활동에 관한 설문지
5 단계 : 참가자에게 피드백 주기와 비밀 유지
1. 의사가 당신에게 심장질환이 있다거나 의사가 권장한 신체활 동을 해야 한다고 말을 한적이 있습니까?
2. 신체활동을 할 때 가슴에 통증이 있습니까?
3. 지난달에 쉬고 있는 중에 가슴에 통증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4. 어지럼증으로 쓰러졌거나 의식을 잃은 적이 있습니까?
5. 신체활동에 변화가 생기면 악화될 수 있는 관절이나 뼈의 문제 (예, 허리, 무릎, 엉덩이 관절)가 있습니까?
6.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으로 처방 받아 복용하는 약(예, 이뇨제)이 있습니까?
7. 신체활동을 해서는 안 되는 다른 이유를 알고 있습니까?
신체활동 준비 설문지
Physical Activity Readiness Questionnaire : PAR-Q
예 아니오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작성은 사전검사와 측정평가에 대한 다측면적인 접근법에 달려있다.
질병과 장애, 신체 손상, 균형 및 활동능력 문제, 넘어질 위험과 관련된 요소
신체 손상
Physical impairments 기능 제한
Functional limitations
일상생활에 기초한 신체 및 활동능력 평가
• 근골계
• 심혈관계
• 신경계
• 의자에서 일어서기
• 물건 들기
• 계단 오르기
기능 체력 틀functional fitness framework
기능
• 근력/지구력
• 유산소성 지구력
• 유연성
• 운동 능력(균형, 조 정력, 속도/민첩성, 파워)
신체 매개변수 활동 목표
• 걷기(계단 오르기)
• 의자에서 일어서기
• 물건 들기/손 뻗기
• 허리 구부리기/무 릎 꿇기
• 조깅/달리기
• 개인적인 볼일(쇼핑 /심부름)
• 집안일
• 정원일
• 스포츠
• 여행
신체 손상 기능 제한 신체 장애/의존성
측정도구의 기준
• 신뢰도 : 검사를 반복할 때 두 검사 점수가 유사한 정도
• 검사자 간 신뢰도 : 둘 이상의 검사 실행자가 동일한 참가자들 을 대상으로 동일한 점수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
• 타당도 :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적절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는가 하는 정도
• 준거 참조 타당도 : 검사가 준거 측정법(절대적인 기준)과 상관 관계를 갖는 정도
• 내용 타당도 : 검사가 원하는 관심 영역을 측정하는 정도
• 예측 타당도 : 검사가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
검사 선택과 평가를 위한 고려사항
수행능력 기준
• 변별력 : 검사가 서로 다른 수행 능력이나 특성 수준을 구분 하는 능력
• 바닥 효과 : 검사가 검사 상당수의 참가자에게 매우 어려워서 이들이 점수를 받을 것을 불가능 하게 만드는 경우에 발생
• 천장 효과 : 검사가 검사 상당수의 참가자들에게 매우 쉬워서 많은 사람이 점수 척도에서 만점을 받아 검사의 변별 능력을 제 한하는 경우에 발생
• 수행능력 기준 : 규준 참조(개인의 점수를 특정한 집단 내의 다 른 사람들의 점수와 비교 함) 또는 준거 참조(계단을 오르는 능 력과 같이 어떠한 관심사항과 비교 함)일 수 있음
노인 체력 검사
(Senior Fitness Test : SFT)
• 30초 간 의자 에서 일어서기
권고되는 측정평가 도구
목적
운동 내용 위험 수위
• 양 팔을 가슴 앞에 모은 상태 로 30초 간 의 자에 앉아 있다 완전히 일어선 횟수
• 남녀 모두 도 움 받지 않고 8 회 미만으로 일 어서는 경우
• 아래 팔 구부 리기
목적
운동 내용 위험 수위
• 집안일과 식 료품, 서류가방 같은 물건과 손 자를 들어올리 고 나르는 것과 관련된 기타 활 동들을 하는 데 필요한 상체의 근력 평가
• 2.27kg의 손 무게를 들고 30 초 동안 이두근 굽히기(biceps curl)를 하는 횟 수
• 남녀 모두 정 확한 자세로 11 회 미만으로 실 시하는 경우
• 6분 간 걷기
운동 목적 내용 위험 수위
• 걷기, 계단 오 르기, 쇼핑, 관 광과 같은 과제 를 하는 데 중 요한 지구력 평가
• 45.7m 코스 를 6분 동안 걸 을 수 있는 거 리(m)
• 남녀 모두 320m 미만
• 2분 간 스텝 테스트
• 공간적인 제 한이나 날씨로 인한 6분 간 걷 기 테스트를 실 시할 수 없을 때 유산소 지구력
• 무릎높이 이 상 올리면서 2 분 간 실시한 완전한 스텝의 횟(오른쪽 무릎)
• 남녀 모두 65 스텝 미만
• 의자에 앉아 서 손 앞으로 뻗기
목적
운동 내용 위험 수위
• 좋은 자세, 정 상적인 보행 패 턴, 욕조나 차 에 들어가고 나 오기와 같은 다 양한 운동성 과 제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하체 유연성 평가
• 남자 : (-) 10cm 이상
• 여자 : (-) 5cm 이상
• 의자의 앞쪽 에 앉은 자세에 서 다리를 쭉 펴고, 양 손을 발끝에 향에 뻗 는다. 뻗은 중 지와 발끝 사이 의 거리(cm) 잰 다.
• 등 긁기
목적
운동 내용 위험 수위
• 머리 빗기, 머 리 위로 입는 옷 입기, 좌석 벨트를 매기 위 해 손 뻗기와 같은 과제에 중 요한 상체(어깨) 유연성 평가
• 남자 : (-) 20cm 이상
• 여자 : (-) 10m 이상
• 한 손은 어깨 위로 가져가고 다른 손은 등의 가운데로 뻗게 해서 중지 사이 의 거리(cm)
• 일어서서 2.44m 걷기
목적
운동 내용 위험 수위
• 버스좌석에서 앉아 있다가 내릴 정거장에서 내리 기, 일어서서 부엌 일 돌보기, 일어서 서 화장실 가기, 전화 받기와 같이 빠른 동작을 필요 로 하는 과제에 중 요한 민첩성과 동 적 균형 평가
• 9초 이상
• 앉은 자세에 서 일어나
2.44m 걸은 다 음 돌아서 다시 앉은 자세로 돌 아가는 데 걸리 는 시간(초)
검사가 끝나면, 개개인을 고려해 점수와 상관없이 희망 을 북돋워주어야 한다 .
누구나 운동으로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언제 라도 너무 늦은 때는 없다는 점을 이해시켜야 한다.
검사 매뉴얼에 점수 해석을 위한 수행 능력에 관한 규준 과 준거 기준에 입각한다.
검사 결과 해석하기
• 검사 항목에 관한 수행 능력 규준이나 준거 기준이 없는 경우,
• 1차 점수(pre test)를 해석,
• 일정기간(예, 8주) 참가한 후 동일한 검사(post test)를 다시 실 행,
• 신체 및 기능 상태를 향상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알게 해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의 검사
• 동일한 연령, 성별의 비교가 가능햔 수행능력 규준(매우 적음).
• 노인체력검사(SFT)의 규준은 60~94세의 미국 노인 7천 명(백인 89%, 백인 외 11%, 학력 높고, 활동적인 노인)의 점수 기초,
• 정상(normal)을 전체의 50%로 할 때, 평균 이상, 평균 이하로 간주
수행 능력 규준
준거 규준
• 검사 항목 중에 준거 기준이 있는 경우에는 활동능력 문제나 넘어 짐 또는 장애의 위험이 있는 사람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준 점수(threshold score)와 참가자들이 받은 점수 비교
운동
정상 범위의 점수(남자)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84세 85~89세 90~94세
1 14~19 12~18 12~17 11~17 10~15 8~14 7~12 2 16~22 15~21 14~21 13~19 13~19 11~17 10~14 3 610~735 560~700 545~680 470~640 445~605 380~570 305~500
4 87~115 86~116 80~110 73~109 71~103 59~91 52~86
5 -2.5~+4.0 -3.0~+3.0 -3.5~+2.5 -4.0~+2.0 -5.5~+1.5 -5.5~+0.5 -6.5~+0.5 6 -6.5~+0.0 -7.5~-1.0 -8.0~-1.0 -9.0~-2.0 -9.5~-2.0 -10.0~-3.0 -10.5~-4.0 7 5.6~3.8 5.7~4.3 6.0~4.2 7.2~4.6 7.6~5.2 0.9~5.3 10.0~6.2
운동
정상 범위의 점수(여자)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84세 85~89세 90~94세
1 12~17 11~16 10~15 10~15 9~14 8~13 4~11
2 13~19 12~18 12~17 11~17 10~16 10~15 8~13 3 545~660 500~635 480~615 430~585 385~540 340~510 275~440 4 75~107 73~107 68~101 68~100 60~91 55~85 44~72 5 -0.5~+0.5 -0.5~+4.5 -1.0~+4.0 -1.5~+3.5 -2.0~+3.0 -2.5~+2.5 -4.5~+1.0 6 -3.0~+1.5 -3.5~+1.5 -4.0~+1.0 -5.0~+5.0 -5.5~+0.0 -7.0~-1.0 -8.0~-1.0 7 6.0~4.4 6.4~4.8 7.9~4.9 7.4~7.2 8.7~5.7 9.6~6.2 11.5~7.3
Q & A
차시 예고
제7강 체력요인의 측정 및 평가
출처
장경태 등 편저(2006). 노인체육. 서울: 도서출판 대한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