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발협력의 평가 효과성 제고 방안 논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개발협력의 평가 효과성 제고 방안 논의"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개발협력의 평가 효과성 제고 방안 논의

◇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산하 평가네트워크(EVALNET) 회의가 2017.11.14.-15일간 개최되어 △agenda 2030에 적합한 평가기준, △난민 이슈에 대한 평가 △국익 관점에서의 개발협력 평가 등이 논의됨.

◇ 다수의 회원국들은 DAC 5대 평가기준(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영향력, 지속가능성)의 유용성과 중요성이 계속적으로 유효하다 는 점을 확인하는 한편, 향후 논의를 통해 agenda 2030 등 변화 하는 개발환경에 발맞춰 △평등, △소외금지(leave no one behind),

△정책 일관성 등 중요 이슈를 고려해 새롭게 검토해볼 것에 합의함.

◇ 난민과 강제이주 위기가 점차 장기화되고 심각한 도전과제로 부 상함에 따라, 다수의 회원국들이 인도지원 전략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그 결과의 확산에 힘쓰고 있으며, 앞으로 도 해당 이슈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의 강화, 평가결과를 바탕 으로 인도지원과 중장기적 개발협력을 아우르는 통합적 개발전 략의 수립, 인도지원-개발원조 간의 연계성 강화방안 마련 등이 지속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보임.

◇ 아울러, 일부 회원국들이 국익 관점에서의 개발협력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있으며, 각 공여국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국익의 정의가 상이하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평가 의 도입 필요성과 평가방안에 대해서는 일치된 합의점을 찾지 못 했으나, DAC 5대 평가기준 중 적절성 및 영향력 기준에서 관련 평 가질문을 도출해보는 방안이 시작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함.

(2)

1. Agenda 2030과 DAC 평가기준

ㅇ (논의 개요) 평가네트워크 사무국 Mr. Hans LUNDGREN의 발제를 통해, OECD DAC 5대 평가기준, 즉 △적절성(relevance), △효 과성(effectiveness), △효율성(efficiency), △영향력(impact), △지 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유용성과 적절성, 회원국의 평가기준을 활용한 평가경험을 공유하고, 평가기준의 검토 필요성과 방안을 논의할 것을 제안하고, 회원국들은 소그룹 토의 및 이어진 전체 회의를 통해 향후 논의 진행방안에 대해 논의함.

ㅇ (5대 평가기준의 유용성 및 적절성) 대다수 회원국은 DAC 5대 평 가기준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일부 이슈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평가기준이 유용하고 현재도 계속해서 적합할 뿐만 아니라, 파트너 국가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공동평가, 외부 전문가 활용 통한 독립평가 시 평가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공통된 기준으 로 상호 이해를 제고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함.

- 기준의 유용성과 중요성은 공통적으로 인정하나, 중요한 평가질 문을 놓치지 않도록 기계적 활용을 지양하고, 오늘날 개발환경 의 복잡성(complexity) 및 agenda 2030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 합의를 이룸.

- 적절성, 효율성 등의 기준이 기계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는 의견이 다수 제기되었으나, 기준의 문제가 아닌 기준에 대한 기계적 활용이 문제라는 점, 평가의 목적에 맞는 기준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점 역시 공통적으로 지적됨.

ㅇ (평가기준에 대한 검토방안) 평가기준의 유용성을 확인한 바, 현 재의 기준을 유지하고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평등(Equity), 소외 금지(Leaving no one behind), 정책 일관성(Policy coherence) 등 중요성이 더해가는 이슈와 원칙을 평가기준으로 통합 또는 보완

(3)

하는 방향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데 합의를 도출함.

2. 난민 지원 활동에 대한 평가

ㅇ (논의 개요) 덴마크, 캐나다 및 평가네트워크 사무국에서 각각 관 련 기존 연구, 자국의 인도지원 및 난민지원 프로그램의 평가결 과와 교훈점, 결과의 활용방안을 소개하고, 네트워크 사무국에서 개발도상국 난민위기 대응 관련 최근 연구(Working Paper)를 통 해 파악된 주요 이슈와 교훈을 공유함.

ㅇ (덴마크의 인도지원전략 평가) 덴마크 외교부 평가연구과 평가전 문가 Marianne VESTERGAARD는 2015년 수행한 인도지원 전략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년 초 개발원조 및 인도 지원 통합 전략을 새로 수립한 점을 소개하고, 해당 전략에 대한 평가결과와 교훈을 공유함.

- 평가를 통해, 지원의 예측성과 유연한 펀딩이 장기적인 협력과 파트너십의 강화를 가능케 하며, 효과성 증진에도 영향을 미친 다는 점, 성과에 대한 후속조치, 모니터링 및 보고가 다소 미흡 했다는 점을 발견했으며, △인도지원 및 개발주체 간의 연계 강 화, △유연한 재정 지원 및 장기적 지원 필요성에 대한 정책/전 략적 의사결정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음을 설명함.

- 아울러, 향후 인도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강화할 예정이 며, NGO 파트너, 개발기구와의 협력/공동평가를 적극 활용할 계 획임을 밝힘.

ㅇ (캐나다 취약상황의 인도지원 프로그램 평가) Global Affairs Canada의 국제원조평가과 과장 David HEATH는 캐나다의 2017 년 페미니스트 국제지원정책 수립 통해 취약 및 분쟁 국가에 대 한 지원과 함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강화할 계획을 밝

(4)

히며, 국가 프로그램 평가 시 인도지원과 개발원조 포함한 모든 방식의 개발협력을 포괄할 계획이라는 점을 설명함.

- 자국의 인도지원 프로그램 평가 결과, △과도한 행정절차로 인 한 효율성 저해 문제, △지속적이고 장기적 비전과 책임성 (commitment)이 요구되는 점, △유연한 접근법의 활용 필요성,

△우수사례와 원칙을 국가개발전략(country programme) 수립 시 적용해야 한다는 점, △평가결과 및 교훈에 대한 수평적 학습 (horizontal learning)의 중요성 등을 확인함.

- 아울러, 향후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시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분야 국가 정책간의 일관성(coherence) 강화방안, 인도지원과 장기적 개발지원 프로그 래밍 간의 연계 강화 방안에 대한 초점 강화 예정임을 소개함.

ㅇ (강제이주 관련 DAC 가이드라인) 평가네트워크 사무국에서 강제 이주 관련 DAC 가이드라인 “개발기획 및 이행을 통한 강제이주 이슈의 해결(Addressing forced displacement through development planning and co-operation)” 수립을 위해 실시한 난민위기 대응 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했으며, 해당 연구는 난민․이주에 관한 작업반이 파악한 관심 주제인 △정책 일관성(coherence), △ 도시화, △교육, △일자리, △재정지원방인(financing) 등을 중심으 로 아프가니스탄, 에티오피아/우간다, 남수단 사례에 대한 평가로 구성됨.

- 관련 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 주요 메시지로는 △평가결과와 현 존 정책 논의 간의 연계 노력 강화, △관련 전략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 △ 평가결과와 지식의 학습(collective learning) 제고 중요성을 강조함.

- 강제이주 관련 OECD DAC 가이드라인은 △이해 제고, △증거

(5)

통한 학습, △파트너십 강화, △적합한 재정지원 방법 활용 (DELIVERING THE RIGHT FINANCE)을 주요 제언사항으로 제시 하고 있음.

3. 국익 관점에서의 원조 평가

ㅇ (논의 개요) 공여국의 무역과 외교정책 등 국익의 관점에서의 개 발협력에 대한 평가를 시행했거나 또는 계획 중임에 따라, 네트 워크 사무국 측은 최근 동료검토를 통해 발견된 사항을 공유하 고, 호주와 뉴질랜드는 외교, 무역, 안보, 개발, 문화정책 등을 아 우르는 포괄적인 정책 관점에서의 개발협력 평가 경험을 소개하 고, 일본은 개발원조의 자국의 국익 증진 기여효과에 대한 평가 추진 상황을 공유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국익 관점으로 의 개발 우선순위의 변화의 실제와 시사점, 해당 변화의 성과에 대한 평가 방안에 대해 논의함.

ㅇ (호주·뉴질랜드의 관련 평가결과) 호주와 뉴질랜드는 무역, 안보 등 다양한 외교 분야와 개발원조의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기 위한 관점에서 시행한 최근 평가경험을 소개함.

- 호주 외교통상부 개발효과성과 David SLATTERY 과장은 동 다 양한 외교정책 분야의 관점의 통합적 접근의 평가(holistic approach to evaluation)를 통해 전정부적 차원의 통합적인 국익 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됐고, △다양한 외교 분야와 원조 간의 시너지 효과 창출, △외교정책 수립 및 활용 시 개발 원조 관점의 도입을 위한 범정부적 차원의 활발한 논의가 과제 로 도출됐음을 설명함.

- 뉴질랜드 외교통상부 태평양 개발그룹 Ingrid VAN AALST 부국 장은 2015년부터 3년간 3단계에 걸친 다양한 외교정책 분야와 개발원조 정책과의 통합에 대한 전략프로그램 평가를 추진 중에

(6)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까지 △외교부 및 다양한 파트너, 이해관 계자 간의 대화 촉진, △다양한 분야 정책을 아우르는 경험 축 적, 역량의 확보, △유연한 재정 출처 확보가 요구된다는 점을 확인해오고 있음을 소개함.

ㅇ (일본의 외교적 관점에서의 ODA 평가) 일본 외무성 ODA 평가과 과장 Keiichi MURAOKA는 대국민 책무성(accountability) 제고 요 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현재의 평가결과는 외교적 관점에서의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국내 인식에 따라, DAC 원칙에 근거한 개 발 관점에서의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외교적 관점을 적용한 ODA 평가를 시도하고 있음을 설명함.

※ 작성자: 김준모 차장(원소속: KOICA), jmkim@koica.go.kr

참조

관련 문서

비용을 지불한 일부 조직이 다시 공격 대상이 되는 경우도 확인됨 처음 요구된 비용을 지불 한 후에 일부 피해자는 약속한 복호화 비용보다 더 많은 금액의

본 가이드라인의 목적은 「적극행정 운영규정」 제14조 및 제15조 등에 따라 각 중앙행정기관이 적극행정 우수공무원을 선발하고, 인사상 우대 조치 등을 부여할

approach)을 통한 해결

발효 녹용의 효능 평가...

Usefulness of co-treatment with immunomodulator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ed with scheduled infliximab maintenance therapy.. Oussalah A, Chevaux JB, Fay

이용자는 언제든지 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 현황,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한 현황,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제공 등의 동의한

 레지스터 간접 주소지정 방식 (register-indirect addressing mode).  변위 주소지정 방식

본 강좌에서는 담낭에서 용종의 모양을 보이는 병변 (polypoid lesions of gallbladder)에 대한 진단적 접근방법과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