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A comparative study<sup>†</sup>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A comparative study<sup>†</sup>"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1, 32

(

3)

,

501–514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연구

ᄎ ᅬ현경

1

1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ᄌ ᅥ

ᆸᄉ ᅮ 2021ᄂ ᅧ ᆫ 2ᄋ ᅯ ᆯ 3ᄋ ᅵ ᆯ, ᄉ ᅮᄌ ᅥ ᆼ 2021ᄂ ᅧ ᆫ 3ᄋ ᅯ ᆯ 31ᄋ ᅵ ᆯ, ᄀ ᅦᄌ ᅢ ᄒ ᅪ ᆨᄌ ᅥ ᆼ 2021ᄂ ᅧ ᆫ 4ᄋ ᅯ ᆯ 5ᄋ ᅵ ᆯ

요 약

ᄋ ᅵ

ᆷᄉ ᅵ ᆫᄋ ᅳ ᆫ ᄋ ᅵ ᆷᄇ ᅮᄈ ᅮ ᆫ ᄆ ᅡ ᆫ ᄋ ᅡᄂ ᅵᄅ ᅡ ᄐ ᅢᄋ ᅡᄋ ᅦᄀ ᅦᄃ ᅩ ᄋ ᅧ ᆼᄒ ᅣ ᆼᄋ ᅳ ᆯ ᄆ ᅵᄎ ᅵᄆ ᅳᄅ ᅩ ᄋ ᅵ ᆷᄇ ᅮᄋ ᅴ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ᄀ ᅪ ᄀ ᅳ ᄋ ᅧ ᆼᄒ ᅣ ᆼᄋ ᅭᄋ ᅵ ᆫᄋ ᅳ ᆯ ᄐ

ᆷᄉ ᅢ ᆨᄒ ᅡᄂ ᅳ ᆫ ᄀ ᅥ ᆺᄋ ᅳ ᆫ ᄌ ᅮ ᆼ ᄋ ᅭᄒ ᅡᄃ ᅡ. ᄇ ᅩ ᆫ ᄋ ᅧ ᆫᄀ ᅮᄋ ᅴ ᄆ ᅩ ᆨᄌ ᅥ ᆨᄋ ᅳ ᆫ ᄌ ᅵ ᆨᄌ ᅡ ᆼ ᄋ ᅵ ᆷᄇ ᅮᄋ ᅪ ᄇ ᅵᄌ ᅵ ᆨᄌ ᅡ ᆼ ᄋ ᅵ ᆷᄇ ᅮᄋ ᅴ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ᄋ ᅳ ᆯ ᄇ ᅵᄀ ᅭᄒ ᅡ ᄀ

ᅩ, ᄀ ᅡ ᆨ ᄀ ᅳᄅ ᅮ ᆸ ᄋ ᅴ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 ᄋ ᅧ ᆼᄒ ᅣ ᆼᄋ ᅭᄋ ᅵ ᆫᄋ ᅳ ᆯ ᄌ ᅩᄉ ᅡᄒ ᅡᄂ ᅳ ᆫ ᄀ ᅥ ᆺᄋ ᅵᄃ ᅡ. ᄎ ᅩ ᆼ 229ᄆ ᅧ ᆼᄋ ᅴ ᄋ ᅵ ᆷᄇ ᅮ (120ᄆ ᅧ ᆼᄋ ᅴ ᄌ ᅵ ᆨᄌ ᅡ ᆼ ᄋ ᅵ ᆷᄇ ᅮ, 109ᄆ ᅧ ᆼᄋ ᅴ ᄇ ᅵᄌ ᅵ ᆨᄌ ᅡ ᆼ ᄋ ᅵ ᆷᄇ ᅮ)ᄅ ᅳ ᆯ ᄃ ᅢᄉ ᅡ ᆼᄋ ᅳᄅ ᅩ ᄀ ᅵᄉ ᅮ ᆯᄌ ᅥ ᆨ, ᄒ ᅬ ᆼᄃ ᅡ ᆫᄌ ᅥ ᆨ ᄌ ᅩᄉ ᅡᄋ ᅧ ᆫᄀ ᅮᄀ ᅡ ᄉ ᅵ ᆯᄉ ᅵᄃ ᅬᄋ ᅥ ᆻᄃ ᅡ. ᄌ ᅡᄅ ᅭᄂ ᅳ ᆫ ᄀ ᅵᄉ ᅮ ᆯᄐ ᅩ ᆼ ᄀ ᅨ, t-test, ᄋ ᅵ

ᆯᄋ ᅯ ᆫ ᄇ ᅢᄎ ᅵ ᄇ ᅮ ᆫ ᄉ ᅡ ᆫᄇ ᅮ ᆫᄉ ᅥ ᆨ, ᄑ ᅵᄋ ᅥᄉ ᅳ ᆫ ᄉ ᅡ ᆼ ᄀ ᅪ ᆫ ᄀ ᅨᄉ ᅮ, ᄃ ᅡᄌ ᅮ ᆼ ᄃ ᅡ ᆫᄀ ᅨᄌ ᅥ ᆨ ᄒ ᅬᄀ ᅱᄇ ᅮ ᆫᄉ ᅥ ᆨᄋ ᅳ ᆯ ᄋ ᅵᄋ ᅭ ᆼ ᄒ ᅡᄋ ᅧ ᄇ ᅮ ᆫᄉ ᅥ ᆨᄒ ᅡᄋ ᅧ ᆻᄃ ᅡ. ᄋ ᅵ ᆷᄉ ᅵ ᆫᄉ ᅳᄐ ᅳᄅ ᅦᄉ ᅳ, ᄉ

ᅡ ᆫᄌ ᅥ ᆫᄋ ᅮᄋ ᅮ ᆯ, ᄇ ᅮᄇ ᅮᄎ ᅵ ᆫᄆ ᅵ ᆯᄃ ᅩ, ᄉ ᅡᄒ ᅬᄌ ᅥ ᆨ ᄌ ᅵᄌ ᅵ,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 ᄆ ᅩᄃ ᅮᄋ ᅦᄉ ᅥ ᄃ ᅮ ᄀ ᅳᄅ ᅮ ᆸ ᄀ ᅡ ᆫᄋ ᅦ ᄎ ᅡᄋ ᅵᄀ ᅡ ᄋ ᅵ ᆻᄋ ᅥ ᆻᄃ ᅡ. ᄐ ᅳ ᆨ ᄒ ᅵ, ᄌ ᅵ ᆨ ᄌ ᅡ

ᆼ ᄋ ᅵ ᆷᄇ ᅮᄀ ᅡ ᄇ ᅵᄌ ᅵ ᆨᄌ ᅡ ᆼ ᄋ ᅵ ᆷᄇ ᅮᄋ ᅦ ᄇ ᅵᄒ ᅢ ᄃ ᅥ ᄂ ᅩ ᇁᄋ ᅳ ᆫ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ᄋ ᅳ ᆯ ᄇ ᅩᄀ ᅩᄒ ᅡᄋ ᅧ ᆻᄃ ᅡ. ᄃ ᅮ ᄀ ᅳᄅ ᅮ ᆸ ᄆ ᅩᄃ ᅮᄋ ᅦᄉ ᅥ ᄉ ᅡ ᆫᄌ ᅥ ᆫᄋ ᅮᄋ ᅮ ᆯ, ᄇ

ᅮᄇ ᅮᄎ ᅵ ᆫᄆ ᅵ ᆯᄃ ᅩ, ᄋ ᅵ ᆷᄉ ᅵ ᆫᄉ ᅳᄐ ᅳᄅ ᅦᄉ ᅳ, ᄉ ᅡᄒ ᅬᄌ ᅥ ᆨ ᄌ ᅵᄌ ᅵᄀ ᅡ ᄋ ᅵᄃ ᅳ ᆯ ᄋ ᅴ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ᄋ ᅳ ᆯ ᄋ ᅵᄒ ᅢᄒ ᅡᄂ ᅳ ᆫ ᄃ ᅦ ᄌ ᅮ ᆼ ᄋ ᅭᄒ ᅡ ᆫ ᄋ ᅭᄋ ᅵ ᆫᄋ ᅳᄅ ᅩ ᄒ ᅪ ᆨ ᄋ

ᅵ ᆫᄃ ᅬᄋ ᅥ ᆻᄃ ᅡ. ᄋ ᅵ ᆷᄇ ᅮᄋ ᅴ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ᄋ ᅵ ᄃ ᅡᄋ ᅣ ᆼᄒ ᅡ ᆫ ᄋ ᅭᄋ ᅵ ᆫᄃ ᅳ ᆯ ᄋ ᅦ ᄋ ᅧ ᆼᄒ ᅣ ᆼᄇ ᅡ ᆮᄂ ᅳ ᆫ ᄃ ᅡᄂ ᅳ ᆫ ᄇ ᅩ ᆫ ᄋ ᅧ ᆫᄀ ᅮᄋ ᅴ ᄀ ᅧ ᆯᄀ ᅪᄅ ᅳ ᆯ ᄀ ᅩᄅ ᅧᄒ ᅡᄋ ᅧ, ᄌ ᅵ ᆨ ᄋ ᅥ

ᆸᄋ ᅴ ᄋ ᅲᄆ ᅮᄋ ᅦ ᄄ ᅡᄅ ᅳ ᆫ ᄋ ᅵ ᆷᄇ ᅮᄋ ᅴ ᄀ ᅥ ᆫᄀ ᅡ ᆼ ᄀ ᅪ ᆫᄅ ᅧ ᆫ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ᄋ ᅳ ᆯ ᄂ ᅩ ᇁᄋ ᅵ ᆯ ᄉ ᅮ ᄋ ᅵ ᆻᄂ ᅳ ᆫ ᄆ ᅡ ᆽᄎ ᅮ ᆷᄒ ᅧ ᆼ ᄑ ᅳᄅ ᅩᄀ ᅳᄅ ᅢ ᆷᄋ ᅴ ᄀ ᅢᄇ ᅡ ᆯ ᄆ ᅵ ᆾ ᄌ ᅥ ᆨᄋ ᅭ ᆼ ᄋ ᅵ ᄑ ᅵ ᆯᄋ ᅭᄒ ᅡ ᄃ

ᅡ.

ᅮᄋ ᅭᄋ ᅭ ᆼ ᄋ ᅥ: ᄀ ᅥ ᆫᄀ ᅡ ᆼ, ᄉ ᅡ ᆱᄋ ᅴ ᄌ ᅵ ᆯ, ᄋ ᅵ ᆷᄇ ᅮ, ᄌ ᅵ ᆨᄋ ᅥ ᆸ.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ᄀ

ᅥᆫ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이 완성된 상태를 의미하고 (World Health Organization, 1948), 건강관련 삶의 질은개인의 웰빙과 기능에 있어 신체적, 역할 기 ᄂ

ᅳᆼ적, 사회적, 심리적 영역 전반에 걸친 다차원적 개념을말한다 (Bullinger, 1991). 건강관련 삶의 질은 ᄃ

ᅡ양한 질병 상태뿐만 아니라 생애과정에서 경험하는사건들에 의해 영향을받게 되는데 (Cho와 Nam, 2013), 특히 여성에게 있어 임신은 생애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요한 사건 중에 하나이며, 임신기간 동안 ᄋ

ᅧ성의 건강 정도는 임부 개인뿐만 아니라 태아 및 가족전체에 영향을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ᅩ늘날 여성의 높은교육수준과 자기개발을위한 노력은여성의 사회진출 및 취업률 증가로 나타나고 이

ᆻ다. 여성고용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5-6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3.1%로 나타났고, 이 ᄌ

ᅮᆼ가임기에 해당하는 20-49세 여성이 58.2%를 차지하였다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이처럼 임신과 출산을경험하게 되는연령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증가로 보건복지부에서는

ᄋ ᅵ ᄉ ᅥ ᆼᄀ ᅪᄂ ᅳ ᆫ 2017ᄂ ᅧ ᆫᄃ ᅩ ᄌ ᅥ ᆼᄇ ᅮ(ᄀ ᅪᄒ ᅡ ᆨᄀ ᅵᄉ ᅮ ᆯᄌ ᅥ ᆼᄇ ᅩᄐ ᅩ ᆼᄉ ᅵ ᆫᄇ ᅮ)ᄋ ᅴ ᄌ ᅢᄋ ᅯ ᆫ ᄋ ᅳᄅ ᅩ ᄒ ᅡ ᆫᄀ ᅮ ᆨᄋ ᅧ ᆫᄀ ᅮᄌ ᅢᄃ ᅡ ᆫᄋ ᅴ ᄌ ᅵᄋ ᅯ ᆫᄋ ᅳ ᆯ ᄇ ᅡ ᆮᄋ ᅡ ᄉ ᅮᄒ ᅢ ᆼᄃ ᅬ ᆫ ᄋ ᅧ ᆫᄀ ᅮᄋ ᅵ ᆷ(No.

2017R1C1B1010177).

1

(41944) ᄃ ᅢᄀ ᅮ ᄀ ᅪ ᆼᄋ ᅧ ᆨᄉ ᅵ ᄌ ᅮ ᆼ ᄀ ᅮ ᄀ ᅮ ᆨ ᄎ ᅢᄇ ᅩᄉ ᅡ ᆼᄅ ᅩ 680, ᄀ ᅧ ᆼᄇ ᅮ ᆨ ᄃ ᅢᄒ ᅡ ᆨᄀ ᅭ ᄀ ᅡ ᆫᄒ ᅩᄃ ᅢᄒ ᅡ ᆨ, ᄇ ᅮᄀ ᅭᄉ ᅮ. E-mail: hchoi@knu.ac.kr

(2)

이

ᆯ·가정양립 및 직장 여성의 건강한 임신 및 출산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실시하고 있다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20). 따라서 직장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피

ᆯ요하다 (Kong과 Um, 2016).

ᅡᆫ편,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호르몬의 여

ᆼ향으로 임신동안 여성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는 임부의 삶의 질을떨어뜨리는스트레스 요인 ᄋ

ᅳ로 작용할 수 있다 (Clark, 2013). 또한 임신으로 인해 변화된일상생활의 대처, 임부와 아기의 건강 ᄋ

ᅦ 대한 염려, 어머니로서의 역할 기대, 가족의 지지 정도와 임신에 대한 사회적인 분위기 등은모두 임 ᄇ

ᅮ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Kim과 Chung, 2018). 특히, 직장 임부의 경우 직장생활에 ᄉ

ᅥ 직장근무환경과 직장 동료와의관계에서 경험하는추가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될수 있는데 (Kim과 Chung, 2018), Kong과 Um (2016)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직장 임부는 직장 환경과 동료들과의 관 ᄀ

ᅨ에서 직접적 혹은 간접적 차별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부친밀도와 ᄀ

ᅡ족의 지지가 높을수록이러한 임신관련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나 임부의 건강관 ᄅ

ᅧᆫ 삶의 질에긍정적인 역할을할 것으로 추측된다 (Kim과 Yu, 2014). 또 다른선행연구에 따르면, 가 ᄌ

ᆨ의 지지가 높을수록, 산전우울 정도가 낮을수록 임부의 건강관련 삶은 질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Lee 등, 2018a). 또한, 사회적 지지는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반면, 산전 ᄋ

ᅮ울은부정적인 영향을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Lee 등, 2018b). 이처럼,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ᄋ

ᅧ러 요인들과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지만, 이들선행연구들은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구분 없이 ᄉ

ᅮ행되어 결과를해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Kim과 Chung, 2014).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임부의 ᄀ

ᅥᆫ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요인들을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볼 피

ᆯ요가 있겠다.

ᅡᆫ호사는 임신기간 동안 임부가 임신으로 인해 변화된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임부와 태아의 건강을유 ᄌ

ᅵ,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수행할 수 있는핵심적인 위치에 있다. 따라서 간호 ᄉ

ᅡ는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요인들을파악하고 그 차이를비교 ᄒ

ᅡᆫ 후 적절한 간호를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연구는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맞 ᄎ

ᅮᆷ형 산전간호 제공을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 자료로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2. 연구목적 보

ᆫ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요인에 대하여 대상자를 직장 임부와 비 지

ᆨ장 임부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차이를비교하는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다음과 같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의 차이를파악한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지

ᆯ 정도의 차이를파악한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에 따른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각각 ᄑ

ᅡ악한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지

ᆯ의 상관관계를각각 파악한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요인을각각 규명한다.

(3)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ᄇ

ᅩᆫ연구는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요인을파악하고 비교 ᄒ

ᅡ기 위한 서술적,횡단적 조사연구이다.

2.2. 연구대상 보

ᆫ 연구에서는 D시 소재 2개의 여성전문병원에서 산전관리를받기위해 내원한 임부를 대상자로 하 ᄋ

ᅧᆻ다. G*Power 3.1.9.2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에 필요한 대상자 수를 산출하였고, 유의수준 .05, 검정 ᄅ

ᅧᆨ .80, 효과크기 .15, 다중회귀분석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5-8개 변수에 대해 필요한 표본의 크기는 92- 109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각 그룹당 109명 이상의 연구대상자를 목표 대상자 수로 선 저

ᆼ하였고, 최종적으로 직장 임부 120명과 비직장 임부 109명의 자료가확보되었다.

2.3. 연구도구 2.3.1. 임신스트레스

ᅩᆫ 연구에서 임신스트레스는 Kim과 Chung (2018)이 한국 임부의 임신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ᄀ

ᅢ발한 도구를사용하였다. 4점 Likert 척도, 8개 하위영역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43- 17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신스트레스가 높음을의미한다. 본도구의 하위영역은 신체·심리적 변화, 이

ᆯ상생활의 대처, 임부와 아기의 건강, 어머니 역할, 가족의 지지, 의료서비스, 사회적 분위기, 직장생 화

ᆯ과의 조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장인 임부의 경우에만 직장생활과의 조화 영역을작성하도록하였다.

ᅢ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전체 임부의 Cronbach’s α .85였고, 직장 임부의 경우 .86이었다. 본연구 ᄋ

ᅦ서의 신뢰도는전체 임부, 직장 임부 그리고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Cronbach’s α .88로 나타났다.

2.3.2. 산전우울 보

ᆫ 연구에서 산전우울은 산후우울 측정을위해 Cox 등 (1987)이 개발한 Edinburgh Postnatal De- pression Scale (EPDS)을 Kim (2006)이 번역한 도구를사용하였다. 현재 EPDS는산후우울뿐만 아니 ᄅ

ᅡ 산전우울의 정도를사정하기 위한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Bennett 등, 2004). 본도구는 4점 Likert로 측정하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0-3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산전우울이 높 ᄋ

ᆷ을의미한다. 점수의 총합이 13점 이상일 경우 중정도의 우울, 15점 이상일 경우 심한 산전우울이 있 ᄋ

ᆷ을의미한다 (Matthey 등, 2006). 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7이었고, Kim (2006)의 연 ᄀ

ᅮ에서는 .83, 본연구에서는전체 임부의 신뢰도는 .81, 직장 임부 그리고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80으 ᄅ

ᅩ 각각 나타났다.

2.3.3. 부부친밀도 보

ᆫ 연구에서 부부친밀도는 Waring과 Reddon (1983)이 개발한 도구를 번역한 Kim (1999)의 한국 ᄋ

ᅥ 도구를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점 Likert로 측정하는 8개 문항 (부부간의 의사소통 양상, 상호존중 ᄃ

ᅩ, 성생활만족,여가활동, 결혼생활의 안정감, 감정 표현정도와 가족관계 유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ᄎ

ᅩᆼ점은 8-3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부친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Kim (1999)의 연구에서 신뢰도 느

ᆫ Cronbach’s α .92였고, 본연구에서 전체 임부, 직장 임부, 그리고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신뢰도는 .90으로 나타났다.

(4)

2.3.4. 사회적 지지 ᄇ

ᅩᆫ 연구에서는 친구, 가족, 의미있는 타인으로부터 임부가 지각하는 지지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Zimet 등 (1988)이 개발한 다차원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의 한국어판 (Shin과 Lee, 1999)을이용하였다. 5점 Likert로 측정하는 3개 하위 영역 12개 문 ᄒ

ᅡ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12-6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친구, 가족,의미있는타인으로부터의 지 ᄌ

ᅵ 정도가 높음을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7이었다. 본연구에서는전체 ᄃ

ᅩ구의 Cronbach’s α는 .89였고, 가족의 지지 .89, 친구의 지지 .91, 의미있는타인의 지지 .93으로 각 ᄀ

ᆨ 나타났다.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에서 신뢰도는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86-.93이었다.

2.3.5. 건강관련 삶의 질 보

ᆫ 연구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 (1996)에서 개발한 삶의 질의 간편형 척도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BREF)를 한국인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WHOQOL-BREF 척도 (Min 등, 2000)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전반적 삶의 질 2개 문항과 4개 하 ᄋ

ᅱ영역 (신체적 건강, 심리적 영역, 사회적관계, 환경적 영역) 24문항 5점 Likert로 측정한다. 총점은 26-13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음을의미한다. Min 등 (2000)의 연구에서 신뢰 ᄃ

ᅩ는 Cronbach’s α .90이었고, 본연구에서 하위영역의 신뢰도는 .70-.84그리고 전체 도구는 .92로 나 ᄐ

ᅡ났다. 직장 임부에서 신뢰도는 전체 .93, 하위요인별 .74-.85로 나타났고, 비직장 임부에서 신뢰도는 ᄌ

ᅥᆫ체 .91, 하위요인별 .61-.83으로 나타났다.

2.4. 자료수집 보

ᆫ 연구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되었다 (2017-0060). D시 소재 여성전문병원2곳의 기관장과 수간호사에게 협조를구한 후, 이들병원에서 산 ᄌ

ᅥᆫ검진을위해 방문한 임부를대상으로 2017년 7월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훈련받은연구원이 본연구 ᄋ

ᅴ 목적과 절차, 위험과 이득,참여 철회, 개인정보에 대한 보장 등을설명한 후 서면동의서에 서명을한 이

ᆷ부에게만 설문지를배부하였고,완성된 설문지는그 자리에서 밀봉하였다. 설문지를작성한 대상자에 ᄀ

ᅦ는감사의 의미로 소정의 답례품을제공하였다. 250명의 임부에게 설문지를배부하였고, 230명의 설 무

ᆫ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부를제외한 229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 ᄃ

ᅡ.

2.5. 자료분석 보

ᆫ 연구의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이용하였고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 ᄃ

ᅡ.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은기술통계를이용하였고, 두 그룹간의 차 ᄋ

ᅵ는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지

ᆯ의 정도는기술통계를이용하였고, 두 그룹간의 차이는 t-test를 실시하였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에 따른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ᄉ

ᆱ의 질의관계는피어슨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5)

•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규명하기 위해 다중 ᄃ

ᅡᆫ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

3.1.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의 차이 보

ᆫ연구에 참여한 임부 중 39%가 35세 이상의 고령 임부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대학교 이상의 학 ᄅ

ᅧᆨ에서 직장 임부가 79%로 비직장 임부보다 많았고 (χ2 = 12.19, p < .001),이러한 양상은배우자의 ᄀ

ᅭ육정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χ2= 6.45, p = 011).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서는 직장 임부가 비직 ᄌ

ᅡᆼ 임부에 비해 소득이 높았고 (χ2 = 32.12, p < .001), 분만 경험에서는 직장 임부에서 비직장 임부에 ᄇ

ᅵ해 첫 아이를 임신한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χ2= 4.83, p = .028). 전체적으로 임신 ᄌ

ᅦ 3 삼분기에 속한 임부가 45% 이상으로 나타났고, 임신 제 1 삼분기에 속한 임부는 직장 임부의 비율 ᄋ

ᅵ 높았다 (χ2 = 9.54, p = .008). 계획한 임신 여부에 대해서는 ‘그렇다’, 난임 치료와 유산의 경험, 임 ᄉ

ᅵᆫ관련 합병증에 대해서는 ‘없다’고 응답한 임부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들 항목에서 직장 임부와 비직장 이

ᆷ부 사이에는차이가 없었다 (Table 3.1).

Table 3.1 Comparisons of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Characteristics Categories Total Job yes Job no χ

2

p

(n=120) (n=109) n(%)

Age (years)

<35 140(61.4) 74(62.2) 66(60.6) 0.06 .800

≥35 88(38.6) 45(37.8) 43(39.4)

Education ≤College 71(31.0) 25(20.8) 46(42.2) 12.19 < .001

≥University 158(69.0) 95(79.2) 63(57.8)

Partner’s education ≤College 60(26.2) 23(19.2) 37(33.9) 6.45 .011

≥University 169(73.8) 97(80.8) 72(66.1)

Religion Yes 124(54.1) 65(54.2) 59(54.1) 0.00 .995

No 105(45.9) 55(45.8) 50(45.9)

Economic status ≤300 72(31.4) 20(16.7) 52(47.7) 32.12 < .001 (10,000won) 301-500 94(41.0) 52(43.3) 42(38.5)

≥501 63(27.5) 48(40.0) 15(13.8)

Birth experience 0 151(65.9) 87(72.5) 64(58.7) 4.83 .028

≥1 78(34.1) 33(27.5) 45(41.3)

Gestational week 1st (0-13) 56(24.5) 39(32.5) 17(15.6) 9.54 .008 2nd (14-27) 69(30.1) 35(29.2) 34(31.2)

3rd (28-40) 104(45.4) 46(38.3) 58(53.2)

Planned pregnancy Yes 143(62.4) 75(62.5) 68(62.4) 0.00 .986 No 86(37.6) 45(37.5) 41(37.6)

Infertility Yes 15(6.6) 9(7.5) 6(5.5) 0.37 .542

treatment No 214(93.4) 111(92.5) 103(94.5)

Miscarriage Yes 45(19.7) 20(16.7) 25(22.9) 1.42 .223

No 184(80.3) 100(83.3) 84(77.1)

Pregnancy related Yes 49(21.4) 24(20.0) 25(22.9) 0.29 .588

complication No 180(78.6) 96(80.0) 84(77.1)

N varies due to missing data.

N = 228

(6)

3.2.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이

ᆷ부의 임신스트레스 (직장생활과의 조화 제외)는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에서 차이가 없는것으로 ᄂ

ᅡ타났으나, 하위 영역 중가족의 지지 (t = −2.32, p = .021)와 의료서비스 (t = −2.62, p = .009)에 ᄉ

ᅥ는 비직장 임부의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산전우울정도는 비직장 임부에서 높 ᄋ

ᆫ것 (t = −3.10, p = .002)으로 나타났고, 부부친밀도는 직장 임부 (t = 2.64, p = .009)에서 높게 나 ᄐ

ᅡ났다.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 (t = 3.19, p = .002)에서는 직장 임부가 높았고, 특히 가족 (t = 2.43, p = .016)과 친구 (t = 3.68, p < .001)의 지지에서 비직장 임부에 비해 높은수치를보였다. 직장 임부 ᄋ

ᅴ 건강관련 삶의 질 (t = 3.08, p = .002)이 비직장 임부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신체적 건강 (t = 2.49, p = .014), 심리적 영역 (t = 2.56, p = .011) 및 사회적관계 (t = 3.87, p < .001)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노

ᇁ은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2).

Table 3.2 Comparisons of main variable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Variables Range Total Job yes Job no t p

(n=120) (n=109) M±SD

Pregnancy stress 43-172 73.59±12.95 72.43±12.49 74.87±13.38 -1.43 .154 Physical & psychological 18.73±4.06 18.35±3.86 19.16±4.24 -1.51 .134 stress

Coping in daily life 5.08±1.83 5.04±1.89 5.12±1.77 -0.32 .750

Health about mother & baby 11.15±3.70 11.35±3.84 10.93±3.55 0.86 .389

Maternal role 12.32±3.71 12.01±3.64 12.66±3.78 -1.33 .185

Family support 6.06±2.73 5.66±2.49 6.50±2.92 -2.32 .021

Health care service 6.97±2.09 6.63±2.00 7.35±2.13 -2.62 .009

Social atmosphere 13.28±3.31 13.38±3.29 13.17±3.35 0.50 .620

Reconciliation of work life

13.02±4.06

Prenatal depression 0-30 8.73±4.72 7.83±4.62 9.72±4.65 -3.10 .002

Marital intimacy 8-32 25.13±4.97 25.94±4.73 24.23±5.09 2.64 .009

Social support 12-60 46.01±7.30 47.45±7.18 44.43±7.14 3.19 .002

Family 4-20 17.27±2.67 17.68±2.64 16.83±2.64 2.43 .016

Friend 4-20 15.76±2.83 16.40±2.57 15.06±2.95 3.68 < .001

Significant others 4-20 12.98±4.13 13.38±4.00 12.55±4.25 1.51 .132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26-130 90.38±13.20 92.90±13.28 87.61±12.61 3.08 .002

Physical health 24.36±4.57 25.07±4.57 23.58±4.46 2.49 .014

Psychological 19.00±3.12 19.49±3.10 18.45±3.06 2.56 .011

Social relationships 10.84±1.74 11.25±1.70 10.39±1.68 3.87 < .001

Environmental 27.12±4.82 27.68±4.96 26.50±4.60 1.85 .066

N varies due to missing data.

N = 96

3.3.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ᄌ

ᅥᆫ체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는배우자의 학력 (t = −2.36, p = .019), 가정의 경제적 수준 (F = 8.69, p < .001),그리고 출산 경험 (t = 5.06, p < .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직장 임부에서는배우 ᄌ

ᅡ의 학력 (t = −2.20, p = .030)과 출산 경험 (t = 2.87, p = .005)이, 비직장 임부에서는가정의 경제 ᄌ

ᅥᆨ 수준 (F = 5.70, p = .004)과 출산 경험 (t = 3.81, p < .001)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정도가 다 ᄅ

ᆫ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 임부에서는배우자의 학력이 대학교 이상인 경우와 출산 경험이 없는경 ᄋ

ᅮ에, 비직장 임부에서는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501만원이상이고,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에 유의하게 ᄀ

ᅥᆫ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Table 3.3).

(7)

Table 3.3 HRQoL according to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Character- Categories Total t or F (p) Job yes t or F (p) Job no t or F (p)

istics Scheffe (n=120) Scheffe (n=109) Scheffe

M±SD M±SD M±SD

Age <35 91.14±13.57 1.00(.319)

93.88±13.40 0.87(.384)

88.08±13.19 0.47(.638)

(years) ≥35 89.35±12.57 91.69±12.97 86.91±11.79

Education ≤College 89.32±12.95 -0.81(.416) 92.36±11.29 -0.23(.820) 87.67±13.59 0.04(.967)

≥University 90.86±13.33 93.04±13.80 87.57±11.95

Partner’s ≤College 86.97±11.81 -2.36(.019) 87.52±9.91 -2.20(.030) 86.62±12.96 -0.59(.558)

education ≥University 91.60±13.49 94.18±13.69 88.13±12.49

Religion Yes 90.14±13.39 -0.31(.759) 92.42±13.23 -0.43(.666) 87.63±13.23 0.01(.991)

No 90.68±13.04 93.47±13.43 87.60±11.97

Economic ≤300

a

85.28±11.33 8.69(<.001) 88.00±13.66 1.84(.163) 84.23±10.25 5.70(.004) status 301-500

b

92.07±13.08 a < b, c 94.65±12.63 88.88±13.07 a < c

(10,000won) ≥501

c

93.70±13.84 93.04±13.57 95.80±14.99

Birth 0 93.40±12.21 5.06(<.001) 94.98±12.38 2.87(.005) 91.25±11.74 3.81(<.001)

experience ≥1 84.55±13.17 87.42±14.18 82.44±12.11

Gestational 1st (0-13) 92.54±14.10 0.99(.374) 94.77±14.86 0.73(.482) 87.41±10.91 0.03(.970)

week 2nd (14-27) 89.57±13.01 91.03±14.65 88.06±11.08

3rd (28-40) 89.77±12.83 92.74±10.57 87.41±14.02

Planned Yes 91.71±13.27 1.97(.051) 94.71±13.19 1.95(.054) 88.40±12.63 0.83(.407)

pregnancy No 88.19±12.88 89.89±13.01 86.32±12.62

Infertility Yes 90.40±14.05 0.01(.996) 94.89±16.08 0.47(.642) 83.67±6.95 -0.79(.433)

treatment No 90.38±13.18 92.74±13.10 87.84±12.85

Miscarriage Yes 88.82±12.60 -0.89(.377) 91.70±14.39 -0.44(.660) 86.52±10.71 -0.49(.623)

No 90.77±13.35 93.14±13.11 87.94±13.16

Pregnancy Yes 87.90±13.54 -1.49(.137) 92.54±11.64 -0.15(.883) 83.44±13.95 -1.91(.059)

related No 91.06±13.07 92.99±13.71 88.86±11.99

complication

HRQo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N varies due to missing data.

N = 228

N = 119

3.4.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

ᅥᆫ체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임신스트레스 (r = −.49, p < .001)와 산전우울 (r = −.56, p <

.001)과는강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부부친밀도 (r = .58, p < .001)와 사회적 지지 (r = .47, p < .001)와는강한 정적 상관관계가확인되었다. 직장 임부 및 비직장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주요 ᄇ

ᅧᆫ수의 상관관계는 Table 3.4에 기술되어 있다.

(8)

Table 3.4 Correlations between HRQoL and other variable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Total Job yes Job no

(n=120) (n=109) r(p)

Pregnancy stress -.49(< .001) -.38(< .001) -.59(< .001) Physical & psychological stress -.36(< .001) -.27(.003) -.44(< .001) Coping in daily life -.31(< .001) -.30(.001) -.31(.001) Health about mother & baby -.15(.026) -.16(.088) -.17(.080) Maternal role -.38(< .001) -.30(.001) -.44(< .001) Family support -.36(< .001) -.24(.007) -.45(< .001) Health care service -.28(< .001) -19(.041) -.32(.001) Social atmosphere -.23(.001) -.13(.170) -.37(< .001) Reconciliation of work life

-.26(.009)

Prenatal depression -.56(< .001) -.51(< .001) -.58(< .001) Marital intimacy .58(< .001) .51(< .001) .63(< .001) Social support .47(< .001) .42(< .001) .48(< .001) Family .40(< .001) .32(< .001) .44(< .001)

Friend .37(< .001) .40(< .001) .29(.002)

Significant others .32(< .001) .29(.001) .34(< .001) HRQo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N = 96

3.5.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지

ᆨ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각 그룹 벼

ᆯ로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에 따른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분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보인 변수들 (전체 임부-배우자의 학력, 가정의 경제적 수준 및 출산 경험; 직장 임부-배우자의 학력과 출산 경험; 비 지

ᆨ장 임부-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출산 경험)은 더미 처리하고, 임신스트레스, 산전우울, 부부친밀도 및 ᄉ

ᅡ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보인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단계적 회귀 부

ᆫ석을 실시하였다 (Table 3.5). 임신스트레스의 경우, ‘직장생활과의 조화’ 하위 영역은 직장 임부에만 ᄇ

ᅮᆫ석에 투입하였고, 따라서 본항목을누락하여 작성한 24명의 데이터는제외하였다. 다중단계적 회귀 부

ᆫ석을 실시하기 전에 Durbin-Watson 통계량 (1.84-2.06)을구하여 오차항들간에 자기상관이 없음을 화

ᆨ인하였고, 공차한계 (.57-.97)와 VIF 값 (1.03-1.77)을구하여 독립변수들간에 다중공선성이 없음을 화

ᆨ인하였다.

이

ᆷ부 전체에서는부부친밀도 (β = 0.37, p < .001), 산전우울 (β = −0.28, p < .001), 임신스트레스 주

ᆼ 일상생활의 대처 (β = −0.20, p < .001), 친구 (β = 0.14, p = .009)와 의미있는타인 (β = 0.13, p = .011)의 지지,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501만원이상 (β = 0.09, p = .042)이 건강관련 삶 ᄋ

ᅴ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변수의 설명력은 52%로확인되었다. 직장 임 ᄇ

ᅮ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는 부부친밀도 (β = 0.31, p = .001), 산전우울 (β = −0.28, p = .002), 임 ᄉ

ᅵᆫ스트레스 중 일상생활의 대처 (β = −0.26, p = .003)와 친구의 지지 (β = 0.18, p = .041)가 유의 ᄒ

ᅡᆫ 영향요인으로확인되었고, 43%의 설명력을보였다. 비직장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는부부친밀 ᄃ

ᅩ (β = 0.44, p < .001), 산전우울 (β = −0.23, p = .006), 임신스트레스 중 신체/심리적 스트레스 (β = −0.20, p = .011),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501만원이상 (β = 0.19, p = .003), 그리고 의미있는타 ᄋ

ᅵᆫ의 지지 (β = 0.18, p = .006)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변수는 58%의 설명력을나타 내

ᆻ다.

(9)

Table 3.5 Factors influencing HRQoL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Group Variables B SE β t p

Total (Constant) 64.09 5.17 12.39 < .001

Marital intimacy .97 .14 .37 6.93 < .001

Prenatal depression -.78 .15 -.28 -5.20 < .001 Pregnancy stress -1.44 .35 -.20 -4.14 < .001

Coping in daily life

Social support friends .63 .24 .14 2.63 .009

Social support significant others .41 .16 .13 2.56 .011 Economic status (1=≥501) 2.77 1.36 .09 2.01 .042 (10,000won)

Adj. R

2

= .52, F = 42.46, p < .001

Job yes (Constant) 67.99 8.85 7.68 < .001

(n=96) Marital intimacy .94 .28 .31 3.36 .001

Prenatal depression -.81 .25 -.28 -3.26 .002

Pregnancy stress -1.77 .58 -.26 -3.07 .003

Coping in daily life

Social support Friends .97 .47 .18 2.07 .041

Adj. R

2

= .43, F = 18.55, p < .001

Job no (Constant) 70.90 6.41 11.06 < .001

(n=109) Marital intimacy 1.08 .17 .44 6.27 < .001

Prenatal depression -.62 .22 -.23 -2.78 .006

Pregnancy stress -.58 .22 -.20 -2.59 .011

Physical & psychological stress

Economic status (1=≥501) 6.83 2.28 .19 2.99 .003 (10,000won)

Social support significant others .54 .19 .18 2.82 .006 Adj. R

2

= .58, F = 30.94, p < .001 HRQo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4. 논의 보

ᆫ연구는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각각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요인을파악하고 비 ᄀ

ᅭ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논의에 앞서,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를구분하여 조사한 선 ᄒ

ᅢᆼ 연구를찾아보기 힘들어 본연구에서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에서 나타난 다양한 차이에 대하여 설 며

ᆼ하는것에 제한점이 있음을미리 밝힌다.

보

ᆫ 연구에서 임부 전체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90.38점이었고, 직장 임부 (92.90점)의 건강관련 ᄉ

ᆱ의 질이 비직장 임부 (87.61점)보다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도구를사용하여 임 ᄇ

ᅮ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한 Lee (2017)의 연구에서 보고된 85.88점 보다 모두 높은수치이다. 임 ᄇ

ᅮ가 인지하는건강관련 삶의 질은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받기 때문에 몇 가지 요인으로 단정지 으

ᆯ수는없으나, 우울, 피로, 임신 수용 정도와 사회적 지지가 임신기간 동안 임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ᄆ

ᅵ치는요인으로 보고한 Dotlic 등 (2012)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이해를시도해 볼수 있겠다. 즉, 본 연 ᄀ

ᅮ에서는비직장 임부의 우울이 유의하게 높았고, 가족과 친구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는유의하게 낮았 느

ᆫ데, 이러한 결과들이 비직장 임부의 삶의 질에 반영되어 직장 임부보다 낮은건강관련 삶의 질을보인 거

ᆺ으로 사료된다.

보

ᆫ 연구의 결과,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총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ᄐ

ᅡ났다. 이는 임부를대상으로 조사한 Kim과 Yu의 연구 (2014)에서의 결과와 동일하다. 그러나 비직 ᄌ

ᅡᆼ 임부에서는산전우울이 직장 임부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비직장 임부가 직 ᄌ

ᅡᆼ 임부에 비해 산전우울위험성이 2.90배 높은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 (Koh 등,

(10)

2019). 또한, 직장 주부와 비직장 주부의 우울수준을비교한 Lee와 Cho (2000)의 연구에서 비직장 주 ᄇ

ᅮ의 우울수준이 직장 주부보다 높았다는결과 역시 이러한 결과의 이해를 돕는다. 뿐만 아니라, 본연 ᄀ

ᅮ에서는가정의 경제적 수준에서 직장 임부의 경우 301만원이상을보고한 비율이 비직장 임부의 경우 52%였으나, 직장 임부의 경우 83%를차지하였는데, Koh 등 (2019)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수준 ᄋ

ᅵ 낮은그룹에서 산전우울위험군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직업이 없는것이 산전우울에 유의한 영 ᄒ

ᅣᆼ요인으로확인되었다. 이처럼 직장 임부가 비직장 임부에 비해 경제적 여유와 직장생활을 통한 자아 시

ᆯ현 정도가 높고, 이러한 생활여건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난 결과로 추측할 수 있겠다.

ᅡᆫ편, 직장 임부에서는건강관련 삶의 질뿐만 아니라 부부친밀도와 사회적 지지 모두에서 비직장 임부 ᄇ

ᅩ다 높은수준을보였다. Kim과 Yu (2014)는부부친밀도와 가족의 지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ᄆ

ᅵ칠 수 있는 임신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Da Costa 등, 2010), Son (2007)은부 ᄇ

ᅮ관계가 중심이 되는결혼만족도가 높고, 우울감이 낮을수록기혼 직장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높 ᄋ

ᆻ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Yang (2011)은부부간의 협력적관계가 기혼 직장 여성의 다양한 역할 수행 ᄋ

ᅳ로 인한 어려움을감소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직장 임부는배우자와의 친밀하고 협 ᄅ

ᆨ적인관계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높은지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비직장 임부에 비해 건 ᄀ

ᅡᆼ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음을추측해 볼수 있다. 그러나 본연구에서는부부의 교육정도, 가정의 겨

ᆼ제적 수준, 출산횟수와 임신 주수 등에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기에 신중한 해석이 필요하다. 한편, 지

ᆨ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출산 경험이 없을경우에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 느

ᆫ첫째 아이를 임신한 여성에서 행복수준이 더 높았다는연구 결과 (Malhotra 등, 2015)로 이해해 볼 ᄉ

ᅮ 있다. 즉,이전 임신으로 이미 자녀를 둔여성의 경우 임신기간 동안 신체적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와 ᄒ

ᅡᆷ께 다른자녀를 돌보는것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한 탓으로 이해된다.

ᅩᆫ 연구에서는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부부친밀도, 사회적 지지와는 ᄋ

ᅣᆼ의 상관관계가, 임신스트레스 및 산전우울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여러 국 ᄂ

ᅢ·외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결과이다. 예를 들어, Da Costa 등 (2010)의 연구에서 수면 장애 ᄋ

ᅪ 같은 임신으로 인해 경험하는스트레스와 증가된우울감은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낮추는것으로 ᄂ

ᅡ타났고, Lee 등 (2018a)의 연구에서도 산전우울정도가 높을수록건강관련 삶의 질은낮은것으로확 ᄋ

ᅵᆫ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요인으로 보고되어 본연구의 결 ᄀ

ᅪ를지지하고 있다 (Lee 등, 2018b).

지

ᆨ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부부친밀도는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요인으로확 ᄋ

ᅵᆫ되었다. 이는부부친밀도가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 중요한 요인이고 (Koo, 2008), 특히 임 ᄉ

ᅵᆫ기간 동안 부부간의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부부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였다는결과 및긍정 ᄌ

ᅥᆨ인 부부관계가 임부의 행복을예측하는요인으로 보고 (Kang 등, 2015)된 것과 같은맥락에서 이해 ᄒ

ᅡᆯ 수 있겠다. 또한, 부부의 취업형태에 따른연령별 결혼만족도 연구에서 본연구의 대상자에 해당하는 ᄋ

ᅧᆫ령대 (20-30대) 부부의 경우 여성의 직업 유무와 상관없이 남편과의 친밀성이 결혼만족도에 가장 큰 여

ᆼ향을미치는것으로확인되었는데 (Ko와 Baek, 2021), 이는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기혼 직장 여성 ᄋ

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는결과 (Son, 2007)와 함께 본연구에서 나타난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 ᄋ

ᅦ 대한 부부친밀도의 영향력과관련한 이해를 돕는다. 취업 유무와 상관없이 부부친밀도는 임부의 건 ᄀ

ᅡᆼ관련 삶의 질에 공통적으로 영향을미치는 중요한 변수로확인된바, 향후 임부를위한 프로그램 마련 ᄉ

ᅵ 배우자를포함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ᅡ음으로, 산전우울역시 직장 임부와 비직장 임부 모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미 ᄎ

ᅵ는 공통된 영향요인으로확인되었다. 이는산전우울이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강한 부적 상관관 ᄀ

ᅨ가 있는것으로 나타난 것 (Lee 등, 2018a)과 같은맥락이다. Lee 등 (2018a)의 연구에서는산전우울 ᄋ

ᅵ 가족의 지지와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관계를조절하는요인임을확인하였는데, 이는 높은산전

수치

Table 3.1 Comparisons of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Table 3.2 Comparisons of main variable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Table 3.3 HRQoL according to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Character- Categories Total t or F (p) Job yes t or F (p) Job no t or F (p)
Table 3.4 Correlations between HRQoL and other variables of pregnant women by employment status
+2

참조

관련 문서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quality of life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and as reflected in this popular desire, kiosks provide various forms of food-related information and have

In this study, a famil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ealth, self-resilience, recre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relat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ly associated factors with burnout were social support, GDS, marital state, self­rated health

In conclusion, escape from daily life, physical fitness and he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important fun factors influencing tea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