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우수상 수상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2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우수상 수상작"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우수상 수상작

오유나

(2)

차례

II

I. 서론

I

II. 본론

결론 III.

서론 I.

문제의식 박람회 라는 공간 1. : ‘ ’

런던에 수정궁이 있다면 파리에는 에펠탑이 있다 수정궁과 에펠탑은 모두. 이들 국가가 만국박람회를 개최하면서 전시 공간을 위해 특별히 마련한 건축물이

(3)

었다. 19세기 말에 서구 열강 국가들에서 개최되었던 박람회는 이렇게 근대화 과정에서 이룬 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진보 미래 사회에 대한 비전을 실제, 눈앞에 선보인 것으로 당시에 커다란 볼거리였다 그러나 이것은 그렇게 단순한, . 볼거리에 그치는 것만은 아니었다. 18세기 말부터19세기 초반에 프랑스혁명과 잇따른 나폴레옹 전쟁에 의해 전쟁터가 된 유럽 각국의 산업은 심각한 정체에 빠지게 되었다 각국 정부는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정책 주도의 대규모 시장. (fair),즉 산업박람회를 개최하였다 이처럼 박람회는 처음에 기획되었을 때부터. 근대 국가 주도 하에 자본과 기술이 결합된 정치경제학의 장( )場으로서의 의미가 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박람회라는 행사의 성패 여부는 주최국에게나 참가국들에게나 중요한 관심사였다 각국은 한편으로 자국의 과학기술 발전 정도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 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타국의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러한, . 과정에서 박람회는 각 국가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국가적 정체성을 마련하는 공간이 되었다 즉 당시 박람회를 추죄하고 참가했던 국가들은. , 18세기의 서로 동맹을 맺고 해체하기를 반복하던 단순한 근대 국가(nation-states)가 아닌 문화, 력과 기술력까지를 포함한 좀더 확장된 국력 개념을 가진 극장국가‘ ’1)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박람회를 각국이 구성원이. 되어 서로 인식을 교류하는 과정에서 명성‘ ’(prestige)을 추구하는 국제 사회의 축소판으로 상정해볼 수 있겠다 따라서 만국박람회에서 근대 국가들에 의해. 연출된 하나의 문화적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박람회는 1851년에서 1940년의 기간 동안 매우 활발하게 개최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일본에서는 서양 국가들과 동등하게 대우받기 위하여 그들과 유사한 정치 경제 제도를 수용하는 등 이른바 서양학습․ “ ”2)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서양학습 은

‘ ’ 1890년까지 불평등 조약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4)

근대적 정치 경제 제도를 습득해야 한다는 현실적 필요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학습 의 대상은 단순한 정치 경제 제도의 외관뿐 아니라 서양의‘ ’ ․ 철학 문화 행동 양식까지를 포함하는 넓은 것이다.․ ․

서양학습 이 이루어지는 맥락에서 보면 이 시기의 박람회는 일본인들에게

‘ ’ ,

서양의 문물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였다 그뿐만 아니라 박람회는. 서양인들이 그들을 바라보면서 특정한 인식을 각인시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박람회 박람회와 일본 박람회에서의 일본과 근대 서구 국가들의 상호작, , 용을 살펴보면서 근대 서구인들이 가졌던 일본에 대한 시각과 당대 일본인의 문화 혹은 문화 외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2.

일본은 1893년 시카고 박람회 이전에도 1862년 런던 박람회에서 일본의 수공예품이 처음 소개되었던 때부터 1910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36회의 박람회 에 참가하여 국제무대에서 새롭게 주목받은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일본이 참가했던 이36차례의 박람회 중1893년 시카고 박람회를 구체적 사례로 서 살펴보고자 한다. 1893년 시카고 박람회는19세기 박람회 중 가장 대규모였고, 일본과 함께 조선과 중국도 참여했던 행사이다 따라서 이 박람회를 통해 서구에서. 바라본 문화적 타자로서의 동아시아의 이미지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조선 일본 중국이 서구의 인식에 어떻게 자리 잡게 되는지․ ․ 더불어 생각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은 기본적으로 문헌 연구 및 사료 분석에 기초할 것이다 당시 일본인들. 이 만국 박람회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인식과 시카고 박람회 참여를 통해 얻고자 했던 이익 등을 사료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의도를. 구현해나가는 과정에서 시카고 박람회에서의 일본관의 위치 전시품 목록이, 실제로 어떠했는지 문헌을 통해 조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카고 박람회의. 아시아관에 대한 서구 유럽이나 미국의 저술이나 논평을 조사하여 그들 눈에 비추어진 동아시아 그 중에서 일본의 이미지를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

(5)

분석틀 3.

푸코는17세기에서18세기로의 이행을 설명하면서 사물의 질서 조직 방식의 변화를 중요한 차이점으로서 제시한다 그는 특정 기준과 질서에 따라 사물을. 분류하고 배치하는 것은 단계적 우열을 내포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사물의. 배치는 일종의 기호가 되어 그 질서 속에 내재되어 있는 권력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박람회의 전체 구도 각 전시관의 배치와 설계. , , , 전시 품목 전시 방식 등은 비록 언술이 아니더라도 특정 권력이 작용하고 있는, 양상을 볼 수 있는 기호가 된다 여기서는 박람회에서의 사물의 질서 그것에. ‘ ’, 대한 시각적 체험을 분석함으로써 박람회에서의 권력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박람회를 통해 근대화를 공유하고 세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는 이제까지의 평가는 주로 박람회의 주최 측이었던 제 세계의 시각이었다 최근에는 박람회가1 . 인종주의 또는 민족학적 전시를 통해 백인과 서구 중심의 제국주의 및 인종 차별 정책에 일조했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라이델. (Robert Rydell),그린할 그(Paul Greenhalgh) 등이 그러한 연구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보면 박람회는 동아시아와 서양 문명의 공식적인 접촉점이었다는 면에서 흥미롭, 다 대부분의 서양인들이 동양을 처음 만난 장소가 바로 이. 19 기 박람회의세 아시아 전시관이었기 때문이다 박람회가 하나의 정치적 시선이 반영된 기호였다. 면 당시의 서양인들은 그 시각적 체험을 통해 아시아에 대한 특정 관점을 습득하게,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전제로부터 시작하여 박람회를 연구하도록 한다. .

본론 II.

1. 1893년 시카고 박람회에서의 동아시아 전시

(6)

일까지 거행된 시카고 만국박람회는

30 1876년 필라델피아 박람회에 이어 미국에

서 열린 두 번째의 대규모 만국박람회였다 당시 뉴욕에 이어 미국 제 의 도시였던. 2 시카고가 기업상인 등의 후원으로․ 5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준비하면서 개최한 이 박람회는 그때까지의 어느 박람회보다도 가장 성공적이고 거대한 규모를 자랑했다 미국의 각주와 세계. 46개 국이 참여하고 천 백만 관람객이 시카고에2 7 모여들었던 것이다 이 박람회를 통해 미국은 물질적으로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세계적인 대국임을 보여주려 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유럽의 문명이 미국으로, 건너와 새로운 진보와 번영의 단계에 도달했음을 증명하려 하였다.

그런데 박람회는 문명과 문화의 과시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전시였으므로 대중적 볼거리와 오락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시카고. 박람회에서는 엘리트 문화와 대중문화가 두 장소로 나뉘어 전시되었다 엘리트. 문화를 상징하는 본 전시는 후일 잭슨 공원이 된 시카고 호수가의 늪지대를, 개발하여 건립한 화이트 시티‘ ’(the White City)에서 열렸다 화이트 시티 란. ‘ ’ 명칭은 박람회의 건설 책임자 다니엘 번함(Daniel H. Burnham)이 시카고의 주요 건축가들에게 위촉한 본 전시장의 모든 건축물을 에콜 데 보자르(Ecole des Beaux-Arts)풍의 신고전주의 양식과 흰색으로 통일시킴으로써 붙여진 이름이 다 이러한 신고전주의 양식은 그 당시 시카고 시내에 들어서고 있던 모던. ‘ ’ 양식의 고층 거물과는 대조되는 것이었다 번함은 화이트 시티 에서 완벽한. ‘ ’ 유토피아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박람회장 화이트 시티 의 중심은 공화국을 상징하는 여성상‘ ’ ( )像이 있는 영예의‘ 중정’(中庭, court of honor)이었다 이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는 당시로. , 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건축물인 제조와 교양관 을 비롯하여 전기관‘ ’ (Electricity B u i l d i n g )․기계관 미술관 교통관 농업관 광업관 수산업관 임학관 원예관․ ․ ․ ․ ․ ․ ․ (Horticulture)․여성관관리동미국 정부관․ ․ (US Government Building) 등이 세워졌 다.

이 건물들 외에도 각 나라의 국가관들이 세심하게 조직적으로 배열되었으며, 모두 만 천6 5 개에 달하는 내부의 전시물들도 역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류에

(7)

따라 배치되었다 이러한 배치는 모든 것을 지식화하고 측정할 수 있다고 믿었던. 세기의 실증주의를 반영한다 이렇게 자연이나 사회적 현상을 과학으로 설명하

19 .

려는 경향은 19세기 후반에 점점 더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이상적이고 진지하며 축적된 지식의 양이 엄청난 화이트 시티 는 본 전시장에서‘ ’ 약 마일 정도 떨어진 곳에 세워져 미드웨이 플레잔스1 ‘ ’(Midway Plaisance)로 불렸던 놀이공원과 대조를 이룬다 이곳은 넓은 통로를 중심으로 갖가지 오락. 시설과 전시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돈벌이를 목적으로 했던 곳이다 본. 전시에서보다도 더 극심하게 국가의 정체성을 드러낸 곳도 바로 이곳이었다.

무엇보다도 인기가 있었던 곳은 비서구 국가의 민속촌이었다 관람객들은 걸어다. 니면서 일본중국인도 등의 이국적인 전시나 터키의 바자 남태평양제도의 촌락․ ․ , , 동물들의 서커스 등을 즐길 수 있었고 각종 민속 음식점에서 세계 각국의 음식을, 맛볼 수 있었다.

(8)

민속촌 전시는 주최 측과 참가국 사이의 암묵적인 합의 하에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화이트 시티 에서 유럽 각국과 경쟁하기 어려웠던 비서구 국가들이. ‘ ’ 오히려 이곳 미드웨이 플레잔스 의 민속촌에서 이국적 정서를 앞세워 관람객‘ ’ 동원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1867년 파리 박람회 때부터 시작되었으 나 본격적으로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 때였다.3) 파리 박람회 주최 측은 프랑스의 중요한 식민지였던 알제리 튀니지․ 등의 파빌리온(pavilion)을 설치하였다 그들은 다수의 원주민을 데려와 원주민. 촌락을 만들고 일상생활을 하게 하면서 관람객들의 구경거리가 되게 하였다.

이러한 민속촌 전시는 인간을 관람의 대상으로 전락시킨 일종의 인종 전시4)가 되었다 화이트 시티 의 질서정연한 문명의 전시는 미드웨이 플레잔스 의 미개하. ‘ ’ ‘ ’ 고 야만적인 비서구 인종들의 자연 생활과 대비되었다 일부 안내서에서도 먼저. 화이트 시티 를 보고 그 다음에 미드웨이 플레잔스 를 보아야 명백한 차이를

‘ ’ ‘ ’

느낄 수 있고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충고하고 있다.5)여기서 말하는 교훈 은‘ ’ 실상 문명개화를 앞세운 서구 제국주의의 정당화하는 구실을 하였다 주최 국가는. 이러한 전시를 통해 관람자가 자신의 국가에 대한 자부심과 우월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그들을 제국주의의 공모자로 만들었던 것이다.6)

당대의 인종주의 담론 2)

이러한 인식과 관련하여 인종과 문화의 상호관계에 대한, 19세기 중반 이후의 사고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1859년에 찰스 다윈의 종󰡔 ( )種의 기원 이 출판된󰡕 이후 사회적 다윈주의, ‘ (Social Darwinism)’의 추종자들은 어떤 인종은 인간 진보

󰡔 󰡕

(9)

의 단계에서 동물에 가까운 단계에 있으며 이러한 열등한 인종은 복잡한 문명에 적응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미래의 발전에 적합하지 않다고 믿었다.7)

이러한 사고는 환경적인 요소보다 생물학적 유전적 요소를 더 중요시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인종과 문화에 대한 이 같은 편견은, 19세기 미국 사회에 상당히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 그리고 인간은 인종에 따라 신체적정신적 능력의 차이를. ․ 가진다고 믿음으로써 골상학(phrenology)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골상학으로. 인해 인간의 지성과 도덕심이 골상에 드러난다고 믿었던 인류학이 과학으로서의 위상과 객관적인 권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민족학 박물관에서 여러 인종들의. 사진이나 석고상 또는 두개골 등을 전시하는 일은 흔했다, .

당시에는 인종을 주로 백인과 유색 인종의 두 종류로 분류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10)

그리고 인종의 단계에서 가장 밑에 있었던 것은 아프리카 흑인과 미국의 인디언들 이었으며 가장 위에 위치한 백인들과 맨 아래에 위치한 흑인 및 인디언의 서열에서, 중간에 위치한 것이 아시아 인종이었다 요시미 슌야는 중심인 화이트 시티 에. , ‘ ’ 주로 서구인들의 국가관이 들어선 데 비해 이로부터 조금 떨어진 숲이 있는, 섬에는 일본관이 그리고 더 멀리 미드웨이 플레잔스 의 끝에는 다호메이 촌이, ‘ ’ 들어섰다는 점을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열 이 의도적이었는지는 모르지만. ‘ ’ 매우 상징적이라고 보고 있다.8)

시카고 박람회에서의 동아시아 전시 3)

이러한 사회적 다윈주의와 인종 차별적 시각에서 비서구 지역인 동아시아도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서구의 열강들 특히 주최국이었던 미국이 발달된 과학기. , 술과 문명을 선보이는 데 집중했다면 일본 중국 조선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은, ․ ․ 일상용품이나 수공예품을 중심으로 문화와 전통을 선보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들 모두는 대부분 동양을 처음 접하는 서양의 대중들에게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또한 인종주의적 서열상에서 가장 밑바닥을 차지하던 아프리카인이나. 아메리카 인디언과는 달리 각국 나름의 오랜 전통과 문화가 있다는 점에서 호기심 이상의 동경을 받기도 했다.

1893년의 시점은 동아시아의 토대를 이루고 있었던 중화 질서가 1840년 아편전쟁 때부터 급격히 파괴되고 이러한 국제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일본 국내에, 서는 서양을 기준으로 하여 근대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을 때였다 따라서. 일본도 제국주의적 우월감이 내재된 서구인들의 시각에서 보면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타자 로서 비추어졌지만 자신을 객체화 하고 보여지는‘ ’ , ‘ ’ ‘ 대상 으로 만드는 데 있어서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 박람회라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타자 로서의 자신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만들‘ ’ , 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좀더 민감하고 신중하게 접근했던 점이 그것이다 이에. 따라 서구인들은 그들의 인식 속에서 동아시아의 다른 나라들과 일본은 다른

(11)

위상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기본적으로 당시 미국의 동아시아에 대한 태도는 그 층위가 단일하지는 않았다.

그들에게는 동아시아를 이국적이고 열등한 후진국이나 근대화에 뒤쳐진 지역으 로 여기는 시각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오랜 문명과 미적 전통을 인정하 는 두 가지 시각이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되는 기존의. 시각이 공존하는 가운데 그 중 어떤 시각의 비중이 큰가는 맥락에 따라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시카고 박람회에서의 일본 전시 2.

박람회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1)

1860년부터 1912년의 시기까지 일본은 정부의 지원 하에 많은 사람들이 서구 유학과 견학을 통해 17 19~ 세기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던 서양의 근대 문명을 학습하고 일본의 것으로 소화해나가던 시기였다 박람회 역시 서구 근대의. 독특한 시각 문화 제도로서 후쿠자와 유키치, (福澤諭吉),구미 쿠니다케(久米邦武) 등 문화 사절단의 자격으로 파견된 여러 일본의 지도자들도 여기에 관심을 표현하 였다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 󰡔 󰡕(西洋事情)에서는 박람회에 대한 항목에서 천만 종류의 물품을 하나의 거대한 건물 안에 배열해 개월 간 모든 사람이

“ 5, 6

관람하게끔 제공하는 역할 을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구미 쿠니타케는 미구회람” . 󰡔 실기 특명전권대사: 󰡕(米歐回覽實記 特命全權大使: )에서 무역을 활발하게 하고“ 제작을 격려하고 지식을 사람들에게 넓히는 데는 절실하게 필요한 회장으로, 국민의 치안 부강의 촉매가 된다 는 말을 통해 박람회 참가를 명치시대의 목표인, ” 부강(富强)과 연결시키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사노 쓰네타미는 박람회의 근대 시각 제도로서의 메커니즘의 실체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국박람회보고서 에서 그가 박물관에󰡕 대해 피력하고 있는 아래와 같은 견해는 박람회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는 그가 그 공간의 정치적 작용과 효과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12)

박물관의 취지는 안목을 통해 교육으로 사람들이 지교기예를 개진시키는 것에 있다 무릇 사람의 마음이란 사물과 만나서 그 감동식별이 일어남은 안시. (眼視)의 힘에 의거한 것이 가장 많고 또한 크다 나라의 언어가 서로 다르고 사람들의 생각이. , 서로 통하지 않는 것도 수단을 이로 하면 대개의 뜻을 풀고 알 수 있을 것이니 사물의, 빼어남과 보기 흉함 등 그 미추를 구분하고 좋고 싫음의 감정을 발하자면 그 형질과, 상태로 만드는 방식과 쓰는 법을 이해하자면 모두 안시의 힘에 의존하지 않는 게, 없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한 것과 같다 사람의 지혜를 열고. . 공예를 촉진시키는 데 가장 첩경이며 가장 쉬운 방법은 이 안목을 통한 교육에 있을 뿐이다.9)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시각이 언어를 초월하여 가질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고 이러한 안시를 통한 감화에 대한 인식은 나중에, 1880년 부터 일본의 국내 박람회 추진을 촉진하는 전제가 된다.

명치유신 이래로 부국강병과 식산흥업 정책을 펼쳤던 일본 정부는 위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정부 주도의 치밀한 준비 작업을 통해 박람회 전시를 추진했다.

아래의 인용문에서 사노 쓰네타미가 밝히고 있듯이 정부 입장에서의 목적은 경제적 이익과 서양학습 의 효과를 중심으로 수립되었다‘ ’ .

정예의 양질 물품을 수집 전시하여 일본 국토의 풍양과 사람들의 솜씨를 해외에

① 알릴 것.

서양 각국의 물산과 학예의 정밀함과 뛰어남을 보고 배우고 기계 기술을 전수,

② 받을 것.

일본에서도 박물관을 창건하고 박람회를 개최할 기초를 갖출 것, .

각국에서 일본의 제품이 일상용품이 되어 수출등가를 가져다줄 실마리를 찾을

④ 것.

각국의 제품 원가 판매가와 결핍 수요의 물품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무역 이익으로,

(13)

삼을 것.10)

일본 정부는 박람회를 통해 일본 물품의 해외 선전을 통해 수출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①에서 밝히는 바와 같이 일본의 전반적인 국가 이미지를 홍보하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여겼다.

실제로 1893년 시카고 박람회 참여 과정에서도 역시 이러한 적극성이 보인다.

시카고에서 대규모 만국박람회가 개최된다는 정보는 1890년 월에 일본에 들어4 왔다.11) 사노 쓰네타미의 기록을 보면 당시 일본 정부는 박람회에서의 홍보 효과를 통해 수출을 확대하는 것을 최대 목적으로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은 우리 국산을 즐겨 소비하여 우리 수출품 분의, 3 1이상은 매번 미국인이 구입하는 바인데 마침 이차에 기호에 맞춰 우리의 풍부한 물품을 진열하여 이로써, 크게 수출액의 증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하물며 열국들이 만든 핵심품을 모으고. , 정수만을 고른 만국대박람회에서 외국인들에게 알게 모르게 우리 국산의 진가로 널리 알리는데 우리 수출품의 반로가 어찌 미국에만 국한되겠는가.12)

위의 인용문을 보면 수출국이 미국으로만 한정되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이를 무역 활로를 개척하는 데 있어서 박람회 참가가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효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전시품과 전시관의 위치 선정 등이 모두 정부 차원의 의사 결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시카고 박람회가 열리기 전부터 일본 국회는 이미 자발적으로 기부금을 내기로 결정했고63만 엔을 시카고에 전달했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의 적극적 태도는. 시카고 박람회 주최 측의 호감을 불러 일으켰고 이에 따라 일본은 각국의 국가관, 위치 선정에 대한 경쟁에서 숲이 우거진 호젓한 섬(Wooded Island)에 그들의 국가관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일본은 이곳에 국가관 호오덴. (鳳凰殿)을 세우고

(14)

박람회 후에 이 건물을 시카고 시민들에게 기증하기로 하였다.

즉 서구인의 응시에 수동적 타자로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자포니즘, (Japonisme)을 잘 활용하여 그들의 이국 취향에 호소하고 오히려 자기 자신을

관찰의 객체

“ ”13)로 적극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일본 정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그들이 부국강병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와 박람회라는 서구 근대의 시각 제도의 연결 지점을 파악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시카고 박람회에서의 일본 전시 2)

문명의 세계인 화이트 시티 에서 미개의 세계인 미드웨이 플레잔스 로 가는‘ ’ ‘ ’ 길목에16에이커의 Wooded Island라는 공간이 놓여 있었다 이곳에 일본의. 국가관인 호오덴과 일본의 희귀 식물과 분재된 나무 등을 심어서 장식한 일본식 정원이 있었다 이 건물은 박람회의 주최 측에서도 상당히 핵심적으로 기획한. 공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 시카고 박람회 준비에 참여했던 한 사람은. 이 정원을 예술작품‘ ’(work of art), ‘대중적인 볼거리’(popular attraction)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이 정원을 자신의 역사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자들의 건물 이, “ ” 며 보는 이로 하여금 기쁨을 자아낸다고 서술하였다, .14) 박람회의 한 광고물에서 는 일본식 찻집에 가면 웨이퍼를 정교한 예절과 함께 대접 받을 수 있다“ (At Japanese Tea House one could dazzlingly served with a wafer, and elaborate courtesy)”라는 문구처럼 일본인의 예절에 대한 언급도 들어 있다.15)

(15)
(16)

국가관 이외에도 일본은 제조와 교양관 미술관 원예관 농업관 임학

‘ ’ ‘ ’, ‘ ’, ‘ ’, ‘ ’, ‘ 관’, ‘광업관’, ‘수산업관 전시에도 참여하였는데 이 중 가장 관심을 끈 전시는’ ,

미술관 전시였다 일본은 필라델피아에서는 전시 공간을 따로 얻을 수 없었지만

‘ ’ . ,

시카고에서는 아시아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미술관 에 전시를 할 수 있었다‘ ’ . 전시된 일본 미술은 대부분 공예품이었고 회화의 경우에는 주로 화조화인물화들, ․ 이 많이 출품되었다 섬세하고 완벽한 일본 미술이 유럽과 거의 대등하게 보일. 정도의 수준이었다는 점 이외에도 전시품을 세련되게 전시하여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는 점에서 미국인들의 찬탄을 자아냈다 일본 국내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박람회 참가를 통해 미술이라는 단어가 정착되었고 미술과 미술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대두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림 에서 보이는 호오덴은 세기 교토 근처의 우지

< 4> 12 (宇治)에 세원진 뵤오도 에엔(平等院)의 호도덴을 재현한 것이다 이 건물은 일본 정부의 건축가인 쿠루. 마사미치와 일본에서 직접 건너간 장인들에 의해 몇 달에 걸쳐 지어진 것으로, 세 개의 방을 연결시켜 헤이안무로마치에도 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꾸며졌다.․ ․ 장식을 배제하여 정갈한 실내 분위기를 조성하고 수직과 수평의 조화를 중시하는 경향은 이후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를 비롯한 미국 건축가들 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본 정부가 거의. 10만 달러 이상의 건축비를 들였던 이유는 이러한 문화적 영향력의 가치를 고려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또한 여성관에는 일본 여성의 생활을 소개하는 코너도 마련하였는데 여기서는, 서구 근대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예( )禮와 효( )孝라고 하는 동양의 전통적 가치를 지키려고 노력하는 동아시아 소국(小國)으로서의 이미지를 연출하 고자 하는 의도가 보인다.

요시미 슌야는 이 호오덴의 입지가 가진 상징성에 주목하는데 호오덴이 바로, 화이트 시티 의 뒤편에서 미드웨이 로 빠져나가는 중간 지점에 있었기 때문이다

‘ ’ ‘ ’ .

이는 서구 사회가 당시 가지고 있었던 문명적 서열에서 일본이 자신을 위치시키고 자 했던 혹은 서구인들의 인식에 실제로 위치되었던 지점인 것이다, .

(17)

중국관 조선관과의 비교 3) ․

시카고 박람회는 중국과 조선도 참여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중국과 조선은 주최국인 미국과 사전 연락을 할 수 없었고 정부 간 협조적, 자세나 물적 지원도 부족하였다 따라서 건물 배치나 전시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없었다 이런 점을 고려해볼 때 중국과 조선은 일본과 비교하여 수동적 역할에. 국한된 단순한 타자로 남는 측면이 많다 따라서 대개 이들은 서구인들 시선에. 의해 왜곡되었으며 자국이 원하는 이미지를 창출하기보다는 서구인의 언술, 속에서 그들의 시각에 따라 재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일본과 달리 미국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서구의 문명과, 이상에 반응하지 않는 몰락해가는 나라로 비춰졌다 이렇게 된 이유 중의 하나는, . 중국 전시가 중국 정부의 후원 아래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미국 영사관의 중개에 의해 주로 미국 서부와 중국 남부의 제조업자와 상인들이 개별적으로 참여한 전시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 미국 내에 차이나타운을 형성할 정도까지 미국으. 로 상당한 수를 보내고 있던 중국 정부가, 1882년에 미국이 이주를 금지하는 법(Geary Act)을 통과시키면서 미국과의 관계가 나빠지게 되자 결국 참가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16)

중국 물건들은 제조와 교양관 에서만 전시되었는데 전시품은 주로 곡물과‘ ’ , 다색 도자기 장식 미술품 상아 자수 에나멜 직물 보트 등이었다 그러나, , , , , , . 복잡한 장식의 수출용 중국 도자기들은 산더미같이 쌓여 전시되었기 때문에 전시의 묘를 살린 일본의 전시에 비해 전혀 호감을 주지 못했다.

미드웨이 플레잔스 의 중국촌

‘ ’ (中國村)은 시카고의 미국 건축가들에 의해 건립 되었는데 빅토리아 수기 시대의 시누아즈리, (Chinoiserie)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었다 즉 중국 본래의 건축이 아닌 혼합되고 왜곡된 건축 양식을. , 따랐던 것이다 중국촌의 아래층에 있는 상점에서는 비단과 가구 등을 팔고. 있었고, 2층에서는 신으로 추앙받던 군신(軍神) 쿠안티의 영묘(靈廟)가 있었다.

(18)

이 사당에는 여러 숭배물들이 놓여 있었으나 실제로 종교적 의식이 행해진 것은 아니었다 이외에도 중국 민속촌에는 중국의 전통 연극을 보여주는 극장이 있어서. 중국에서 온 배우들이 화려한 의상을 입고 공연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람회를 보러 온 관람자들은 중국을 이상하고 차갑고 감정이 없는, , 나라 또는 억압받는 여성과 폭군 같은 남성으로 가득 찬 나라로 보았다 공연. 중에 쓰인 타악기는 끔찍스런 소음 을 냈으며 배역을 맡은 배우들은 재능“ ” “ 없는 혹은 무미건조 한 연기를 보여주었다고 평가되었다 중국 군신인 쿠안티” “ ” . 에 대해서도 중국인의 신 도 악마 처럼 생겼다는 식으로 서술할 뿐이었다“ ” “ ” .17) 한편 시카고 박람회는 조선이 참여했던 최초의 박람회이기도 하다 고종은. 당시 국제 사회에 조선을 알리기 위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최초의 박람회 참여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전시 물품을 누가 선정했는. 지의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고 윤치호의 일기를 보면 시카고 박람회에서의, 조선의 모습은 그의 기대에 못 미쳤다고 서술되어 있다 조선관은 프랑스 건축가가. 설계했기 때문에 건축 양식이 왜곡되었으며 당시 서구인의 인식에서 조선은,

이상하고 고립된 나라 로서의 이미지가 강했다고 한다

‘ ’ .

근대 서구인의 시각 3.

박람회 전시 체험에 대한 당대 서술 1)

세기 말 서구의 예술가들에게 일본은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예술적 소재로 19

다가왔다. 1862년을 기점으로 하여 이루어진 일본의 박람회 참가에 대한 반응은 예술 분야에서 먼저 일어났다 간단하고 장식을 절제하고 화려하지 않은 색상은. , 아르누보(Arts Nouveau)라고 하는 예술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18) 당대의 신문 기사를 살펴보면 서구인들에게 동아시아는 후진국이나 근대화에 뒤쳐진 지역으, 로 여기는 시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오랜 문명과 미적 전통을 인정하는 시각 역시 공존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에드워드.

(19)

사이드의 입장에 따르면 그러한 시각마저도 왜곡된 측면이 있지만 완전한 경멸이, 나 무시는 아니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동양의 진기한 문물

「 」(Marvels of the Orient)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여러 공예품을 소개하고 있다 시카고 박람회에 나왔던 일본 전시품을. 언급하면서 신비로움 섬세함을 강조하며, , 「일본의 까마귀 철조세공」(Japanese Wrought Iron Crow)을 묘사할 때는 인내심이 이룬 기적“ ”(miracles of patience)이 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19)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중국과 함께 일본을 다루면서 동아시아의 예술에 대해 쓰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특성이 부각되어 있지는 않다.

수요일 박람회의 진기한 문물 희망 공포 희생이 깃든 예술작품, : , ,

「 」(Wednesday

Wonders of the Fair: Hopes, Fears and Sacrifices wrought into Works of Art)20)이 라는 다른 기사에서는 시카고 박람회의 미술관(Art Gallery)에서 본 일본의 조각을 보고 그 작품에서 소재로 하고 있는 일본의 전설을 소개하고 있다 그 작품은. 조각의 과정을 볼 수 있는 소형의 모형이었다 심마니에 사는 한 일본 조각가가. 도쿄의 여인과 사랑에 빠졌으나 부모님이 쌀알에 일본의 일곱 가지 운명 신 중 두 개를 새겨 넣으면 혼인을 허락하겠다고 하자 각고의 노력 끝에 완성하였지만, 너무 세세히 조각하다보니 눈이 멀었다는 내용의 전설이다 이 서술에서 묘사되고. 있는 일본의 이미지는 섬세하고 동양적인 아름다움이다 쌀알 조각은 실제로. 존재하지만 돋보기로 보아야 겨우 볼 수 있다 고 덧붙인 부분에서 섬세하고“ ” 신비스러운 일본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정확한 통계 자료로서 증명할 수는 없지만 원래 일본 정부가 박람회, , 참가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수출 증진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었다는 점을 한 인사 발령에 관한 기사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수입 담당부서. (import department)의 상원의원이었던 메이슨(Edmund T. Mason)이 일본의 대사로 임명 되었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1897년도의 “A Mission for Mason 이라는”

(20)

제목의 기사이다 메이슨이라는 의원이 만국박람회에 갔다가 일본 상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일본과 견사 무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는 이 기사 내용을 통해 박람회 참가를 통해 상업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본에 대한 이들의 시각이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아니었다 클레멘트. (Clement Scott)라는 한 영국의 극작가이자 비평가는 시카고 박람회에 다녀오고 나서 일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어 일본에 직접 가보았으나 박람회에서의 모습과 는 다른 실제의 일본에 대해 실망하였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일본의 장점만을 예찬하는 당시 영국 비평계를 비판하는 기사를 썼다.

일본의 시적인 측면에 대해 말하자면 에드윈 아놀드 경을 비롯한 여러 다른 작가들은, 일본의 찻집과 다른 휴양지가 우아한 매력의 이상향이라고 묘사한 바 있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것들이 불쾌하다고까지는 말할 수 없지만 매우 보잘것없고 처량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 내가 보았을 때 일본은 매우 실망스러웠고 그것도 거의 전적인. . , 측면에서 그러하였다.

Regarding the poetical side of Japan, the tea places and other resorts described by Sir Edwin Arnold and other writers as dreams of elegant enchantment, I found them tawdry and miserable in the extreme, not to say loathsome. yes, I was very disappointed with Japan, as I saw it, and I did it pretty thoroughly.21)

그는 일본에 대해 줄곧 호평을 하고 있는 에드윈 경(Sir Edwin)이라는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London Daily Telegraph)의 비평가 대해 비판하며 실제, 일본은 가장 부도덕한‘ (immoral) 나라 이며 매우 비참’ , (miserable)하다고 주장한 다 박람회에서 보았던 일본식 찻집. (Tea Places)의 편안한 휴양지 매혹적인, 꿈으로 각인되었던 일본의 실제적인 면을 보자면 여성들의 생활 수준은 열악하고, 교육 수준도 매우 낮으며 여성이 소처럼 사고 팔리는 나라라는 것이 그의 근거였,

(21)

다.

이 기사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일본을 평가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 반대의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클레멘트는 에드윈 경의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에드윈 아놀드 경은 일본 일본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관습에 대해 매우 높이, , 평가한다 그에 따르면 일본에 대해서 그 어떤 단점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는 일본은. .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에 가장 이상적인 곳이라고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그가. 든 논거는 여러 부유하고 세련된 미국인과 영국인들이 그곳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

Sir Edwin Arnold praises Japan, the Japanese, and their customs up to the skies. No fault can be found with them accordingly to him. Japan, he says, is the ideal country in which to live and die. He cites in support of his views the fact that numbers of wealthy and refined American and English people are in permanent residence there.22)

저자는 물론 에드윈 경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기 위해 위와 같이 언급하고 있지만 여기에서 우리는 이 당시 영국 비평계에서 일본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만, 다루고자 하는 경향이 생기게 된 데에는 일본이 박람회에서 선보인 휴양지‘ ’,

안식처 로서의 인상이 크게 작용했다는 점을 역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 ’ .

종합해 보자면 미학적예술적인 관심과 이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일본에 대한 서구의 시각은 박람회에서의 시각 체험을 통해 기존의 관심이 확대되 면서 일종의 동경 무역 대상국으로서의 신뢰로 발전하기도 했던 것이다, .

근대 서구인의 인식 속에서 일본의 위치 2)

이미 언급한 바 있듯이 당대의 제국주의 인종주의 담론에서는 서구인들의, , 시선에서 재편(再編)되는 서열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당대의.

(22)

언론에서 보이는 긍정적인 반응이든 그것에 대한 반박이든 이러한 서술들이, 서로 얽혀 형성하는 담론 체계에서 결국 일본의 위치를 어떻게 위치시키는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일본의 정체성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 일본 스스로가 기존의 제국주의적 국제 체제 속에서 자신의 알맞은 위치 를‘ ’ 규정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일본의 인종적 우월성을 보이기 위해 밝은 피부색을 가진 아이누 족과 일본의 원주민을 전시하였다 이로 인해 인류학자들이 세계의 인종적 위계질서. 속에 일본인의 위치에 대해 좀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샘 하이드. (Sam Hyde)는 일본의 전시에서 받은 인상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박람회에 참가했던 모든 외국 중에서 일본만큼 좋은 전시를 선보이고 모두들에게 호평을 받은 나라는 없었다 전시에 참여했던 일본인 이외에도 더 많은 일본인이. 있었음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들은 매회의 박람회에서 만나며 그 중에서는. 기분이 안 놓아 보이는 일본인은 하나도 없었으며 말을 걸면 항상 유쾌하게 맞아주기 때문이다 일본의 국민들은 남성은 친절하며 여성은 아름답다. .

Of all the foreign na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fair, none made so good a showing and won such universal praise as Japan. There must have been many more of the Japs at the fair than were in attendance at their displays for we met them at every term and never saw one in a bad humor, they were always pleasant when you spoke to them. They are a nation of homely men but the women were fairly, good-looking.23)

그리고 아래 인용문에서와 같이 박람회 전시에 대한 호평 차원에서 더 나아가 일본인의 유럽인과의 골상학적 유사성을 들어 일본인의 인종적 서열을 높이기도 한다.

(23)

전체를 통하여 한 가지 신기한 점은 우리나라 사람들과 일본인들과의 놀라울 만큼의 유사성이다 이러한 유사성은 예절과 신체 두개골의 형태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 , . 두뇌의 구조적 조건을 통해 우리는 지력 에 대해 상당히 분명하게

[……] ( ) (智力)

알 수 있다 그리고 몇 가지 중요한 관련 지점들의 표현을 통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 전반적으로 일본인은 동양과 서양 사이의 공감대를 확대시켜나갈 수 있는 좋은 조짐을 보여주고 있다.

One curious similarity runs through the whole, that is, the striking similitude between Japs and our own people. This resemblance manifests itself in manner, physical and shape of head. [……] The structural conditions are distinctive indications of considerable mental power, and are emphasized by the portraits of some of the most highly placed representatives. Taken as a whole, they constitute a good augury for the growth of sympathy between east and west.24)

특히 당시 미국인들은 일본은 민주적 이며 도덕적 이고 청결한 민족임을‘ ’ ‘ ’ ‘ ’ 증명했으므로 동양의 양키 또는 아시아의 서양 파트너 로 불려야 한다고 생각했‘ ’ ‘ ’ 는데 이것이 생물학적이고 인류학적인 차원의 유사성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들과 어느 정도 유사 하다는 인식이 자신들만큼은 아니지만. ‘ ’ 다른 인종보다는 우월 하다는 인식으로 나아간다‘ ’ .

그러나 당시의 서양인들은 아직까지는 일본을 군사 대국으로서의 강국으로 인정하고 있지는 않다 일본이 만국박람회에 참여한 것은. 1862년부터이지만 다른 나라들이 일본의 존재를 더욱 실감할 수 있었던 것은 러일전쟁으로 일본의 군사력이 인정을 받고 난 1905년부터라고 한다 즉 일본은 그 당시의 서구인들에. , 게 동아시아라는 문화적 타자로 남을 수밖에 없는 한계 내에서 그나마 서구 문명을 받아들이고 발전 하고자 하는 나라로서 인식되었던 것이다 화이트‘ ’ . ‘ 시티→숲의 섬(Wooded Island)→미드웨이 플레잔스 의 순서로 전시를 관람하는’ 동선(動線)의 체험 역시 이러한 인식을 각인시키는 데 역할을 했을 것이다.

(24)

이러한 서구인의 인식은 일본의 자의식과도 어느 정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일본은 자포니즘이나 전통 공예를 통해 비서구 비근대의 국가로 위장하는 한편, , 유심히 서구의 사회 체제나 원리를 관찰하여 학습하는 그래서 결국 구미 열강과, 동등한 근대 국가로 나아간다는 의식을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는. 서구인의 한쪽의 시선에서 일방적으로 규정한 것이 아니라 박람회라는 공간,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였다고 할 수 있다.25)

결론 III.

서구 사회가 근대화 및 산업 사회로 이동하면서 국가 산업을 발전시키고 무역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만국박람회는 국가의 경계를 벗어나 세계 각국에 서 출품한 기계 문명과 생산 제품을 한 장소에서 전시하는 축소된 지구촌의, 새로운 국제적 전시 제도였다 박람회는 처음으로 세계를 한곳에 모아놓고 이를. 눈으로 느끼게 한 전시 공간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대부분 서구 도시에서. 열렸던 박람회는 식민 권력의 재현이기도 했다 특히 박람회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19세기 말의 박람회 전시는 백인 남성 서구인 부르주아의 시선에 따라․ ․ ․ 세계를 경험하고 볼 수 있게 만든 제도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 국가와 문화를 대변하는 전시 품목들을 분류하고 전시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사물을 읽는 표본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산업과 문화를 내세웠던 박람회의 실제는 서구 중심의 자본주의 및 제국주의의 문화적 장치였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시대의 집단적 심리와 마음을 재현하는, 동시에 재생산해내는 공간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복합적인 권력의 상호작용이 일어났던 박람회 공간에서 동아시아와 서양 문명의 공식적 접촉이 일어난다 박람회에 모여든 사람들은 대중 교육이. 창출한 서양의 엘리트 군집들로서 박람회에서 접한 시각적 경험과 이를 토대로,

(25)

새롭게 얻어진 인식을 각국의 외교 정책에 반영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대부분의 서양의 엘리트들이 동아시아에 대한 서양인 전반의 시각을.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에 대한 특정 담론을 구성해나가는 역할을, 한다고 할 때 이때 형성된 그들의 관점은 출판과 언론 또 이들의 상호 텍스트, , 작용을 통한 재생산에 의해 아직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때 형성된 그들의 동아시아관일본관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적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근대 서구인들은19세기 중반 이후부터 일본의 문화를 접하게 되었고 그것은, 예술 분야 학문 분야에서의 호기심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이들은 박람회라는, . 공식적인 국제무대에 등장한 일본을 접하고 나서 일본을 비서구 국가이지만, 스스로의 것을 잘 지켜가면서도 서구 문명을 받아들여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보이는 나라로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자신들의 문명과 얼마나 유사한가를 기준으. 로 각 인종이나 문명을 서열화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기준에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일본은 서구인의 인식에서 다른 비서구 국가보다 우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1904년 일본이 서구 강대국의 하나였던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자 이른바, 황화

‘ ’(黃禍)라고 하여 일본을 두려움과 경계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적어도. 1893년의 이 시점까지의 서구에서는 일본에 대해 전반적으 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이때 일본 정책 결정자들이 박람회를 어떤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면 당시 일본 정부 지도자들이 자신들의 국가를 어떻게 보이고, ‘ 자 했고 어떻게 스스로를 인식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 1893년의 시카고 박람회에 서의 참여 과정을 살펴보면 사전, (事前)의 기금을 통한 위치 선정 자본과 인력을, 아끼지 않았던 전시관 설치 등에서 박람회라는 공간을 잘 활용하는 면모를 보여준 다 동시에 그 박람회에서 서구의 제국주의적 시선을 체화하여 이후 국내 박람회나. , 조선과 같은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에 그것을 적용하기도 한다 즉 제국주의적. , 시선에 잘 보이고자 노력하면서도 그 시선에 따라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을‘ ’ ,

(26)

일본이 수행하는 문화 외교에 체험적 기억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물론 정부 차원에. 서 본격적으로 적극적인 문화 외교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50년 이후 전범 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문화적 국가의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였지만 이렇게 근대 박람회에서의 일본을 살펴보는 것은 좀더 넓은 시간의 영역에서, 이들의 인식과 행동 추진 양상의 연속성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 , ,

久米邦武 󰡔米歐回覽實記 特命全權大使󰡕 東京 1878.

박진빈,만국박람회에 표현된 미국과 타자」 󰡔, 미국사연구󰡕vol. 18, 한국미국사학회,2003.

비즐리 W. G., 장인성 옮김, 󰡔일본근현대사󰡕, 서울 을유문화사: , 2004.

만국박람회에 대한 연구 세기의 과학과 기술 계명대학교 산업경

, : 19 , 33,

種田明 」 󰡔經營經濟󰡕

연구소, 2000.

이태문 옮김 박람회 근대의 시선 서울 논형

, , : , : ,

吉見俊哉 󰡔 󰡕 2004.

, 文明への眼 未開, への, しかご と博 日本館 , 萬國博 日本館 , 東京 株式會社:

――― 「 」 󰡔 󰡕

INAX, 1990.

, , ,

福澤諭吉 󰡔增補和解西洋事情󰡕 上 下 附錄, 京都 林芳兵衛 1868.: ,

Bennet, Tony,The Birth of the Museum, London and New York, Rouledge. 1995.

Bolotin, Norm and Laing, Christine,The World’s Columbian Exposition: the Chicago World’s Fair of 1893, Washington DC: Preservation Press, 2002.

Crowell, Mast, Photographic Panorama of the World’s Fair, 1894.

Cohen, Warren I., East Asian Art and American Culture, New York and Oxford: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Harris, Neil,Japan at American Fairs, 1876 1904 ,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Greenhalgh, Paul, Ephemeral Vistas, The Expositions Universelles, Great Exhibitions and World’s Fairs 1851 1939 ,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8.

Rydell, Robert W., All the World’s a Fair,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27)

of Chicago Press, 1984.

,

――― Fair America: World’s Fair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2000.

“Didn’t See Sir Edwin’s Japan,” New York Times(June 3rd 1893).

“Freaks of Chinese Fancy at the Fair,”Chicago Tribune(September 24th 1893).

“Marvels of the Orient,” New York Times(November 12th 1893).

“Wednesday Wonders of the Fair: Hopes, Fears and Sacrifices Wrought into Works of Art,” Lock Haven Express(October 18th 1893).

http://www.nyt.com

http://www.papaerofrecord.com/Default.asp

참조

관련 문서

유지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빈부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 한국경제는 중국과 관련하여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위스콘신 주의 여러 산업은 크랜베리 산업에 필요한 투자 환경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크랜베리 산업과 함께 성장 하고 있다(University of Wisconsin-Whitewater

‒ 산업부문의 전력수요 증가는 개발도상국, 특히 중국과 인도의 전력 수요 증가에 의해 주도될 전망이나, 중국의 산업구조가 점차 서비스산업 위주로

첫째, 현재 중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업무별 회계제도의 구체적인 행위 규범은 기업 개혁의 요구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칙 지도하의

특히, 일본의 탈동조화 촉진 요인 으로 일본 철강재의 고부가가치화, 일본 철강산업의 에너지효율기술 개발, 일본 철강산업의 전 략적 M&amp;A, 일본 철강재의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 잘 작동하는 경영관행, 조정 및 통제 방법은 일본이나 중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비효과적이거나 심지어는 모욕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청소년 인간중심 문제해결 경진대회(온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