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 Ki-67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 Ki-67"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상병리검사과학회지

:

제 31 권 제 2호

1999.

방광암에서 Ki-67 Li의 역할

충북대학교병원 병리과

·

임상병리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김천대학 임상병리과**

이광주

·

이형래 김원재 김성안** 황석연***

Th e Role of Ki-67 Li on Bladder Tumor

Lee, Kwang Ju., Lee, Hyung Lae*., Kim, Wun Jae*., Kim, Sung In**

Hwang, Seock Yeon ***

Department oJ

Pathologν

and Clinical

Pathologν,**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eongju, 361-240, Korea

Department oJ Urology, College oJ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때,

Cheongju, 361-240, Korea*

Department oJ Clinical

Pathologν,

Kimcheon College, Kimcheon, 740-200, Korea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1uate whether Ki-67 labelling index (Ki-67 Li) was associated with c1inica1

par없neters

of bladder tumor. Fifty two archiva1 tumor specimens from transitiona1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n 42 ma1e and 10 female patients rangeing from 30 to 83 years old (mean age; 63.5 years old) were investigated with Ki-67 Li immunohistochemica11y

,

inc1uding 36 superficia1 and 16 invasive bladder tumors

,

and grade

I in 16

,

II in 25 and

m

in 17.

In conc1usion

,

Ki-67 Li had statistica11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umor stage and grade (p<0.05)

,

but there was

veη

week correlation between Ki-67 Li and tumor resurrence. These results suspect that Ki-67 Li have some role in tumorigenesis & proliferation of bladder tumor. However

,

studies with more patients are required to support there correlations.

Key Words : bladder tumor, Ki-67 Li

1 .

L -

써 임상적 실험 및 역학적 연구를 통하여 그 원

인의 멸부가 밝혀지기 시작하고 있다. 방광암 치

방광암은 비뇨기 영역에서 가장 흔한 종양으로 료 및 추적조사에서 표재성 방광암의 경우 종양

(2)

의 재발 또는 진행이 예상되는 환자군, 침윤성 라핀포매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재발 양인 경우 방광전적출술 시행 후 전이가 예상되 및 종양의 진행을 알기 위해서 여러번 재발한 경 는 환자군을 미리 예측하여 적절히 대응하는 것 우는 가장 최초 발병 시점의 조직을 사용하였으 이 환자 치료 및 생존율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 며, 전체 52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소이다. 일반적으로 방광 종양 진행 또는 예후는 남자는 42 명, 여자는 10 명이었다. 또한 환자의 종양 병기 및 분화도가 예측의 지표로써 가장 자 나이는 평균 63.5 세 (30-83 세)였다.

주 이용되고 또한 종양 재발도 분화도가 나쁜 방 모든 방광암 환자에서 시술 후 약 3개월 간격 광종양에서 더 빈번히 발생하나 예외가 자주 발 으로 요세포 검사 및 방광내시경으로 첫 2년간 생하여 이것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표재성 방 주적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이후에는 6개월 간격 광암에서 종양 재발 및 진행에 관여하는 여러인 으로 추적 조사하였다. 전체 표재성 방광암 환자 자에 관한 여러 보고가 있으나 아직 확정적이고 중 1 명에서 종양 진행이 발견되어 방광전적출술 객관적인 예측 인자는 밝혀지지 않았다 1-7) 을 시행하였고, 종양 재발은 12 명 (12/36 , 33%)

최근에는 여러 분자생물학적 방법과 각각의 유 에서 발견되었다.

전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

학적 염색법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 중 파라 조직학적 검색

: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핀 포매 조직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이

H&E

염색을 시행한 슬라이드의 검색 및 검사실 다량의 조직 검체를 비교적 쉽고 빠르게 후향적 소견에 따라

TNM

분류법에 의해서 병기를 정하 조사가 가능하여 많이 이용하고 있다. Ki-67은 고 분화도는 WHO 에서 분류한 방법에 따라 등급 GO를 제외한 모든 주기의 각 세포주기에서 발현 을 정하였다. 방광암은 36명이 표재성이었고

16

되는 항원으로써 면역조직 염색법을 통하여 다양 명이 진단시 이미 근육층을 침범한 침윤성 방광 한 종류의 종양에서 세포 증식 정도의 척도로 사 암이었다. 그 각각의 종양 병기 및 분화도는 용되고 있다.5,6) Ki-67과 종양의 재발, 진행정도 Table 1 과 같다.

종양 병기, 분화도와의 관계에 대한 많은 보고들 이 있으며 7-11) 이에 저자들은 방광암 파라핀 포

매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을 시행하여

Ki-67 Labelling Index

(Li)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Ki-67

Li와 종양 병 기 및 분화도와의 연 관성을 비교 분석하고,

Ki-67

Li가 종양재발의 예측지표로서의 효용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II. 재료 및 방법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Ki-67은

NCL-Ki-67

-MM1 는

mouse

유래 단일클론 항체

(NCL-Ki -67-MMl, Novocastra Lab,

UK)를 사용하였 다.

U1tra Tek

HRP는 ScyTek사로 부터

(Anti -polyvalen t)

구입하여 염색하였으며 발색제로는

amino-ethylcabazole

(AEC)를 사용하였고, 각 각의 염색 방법은

Table

2 에 기술한 방법에 따 라 시행하였다.

대상

:

충북대학병원 비뇨기과에서 1992 년

5

염색 반응의 결과 판정

:

세포 증식 지표를 나

월부터 1998 년 4월가지 방광의 이행상피세포암 타내는

Ki-67

Li는 전체 세포중에서 세포핵이

으로 진단된 환자중 경요도적 방광암절제술 또는 짙은 갈색으로 염색되거나 세포핵내에 짙은 갈색

방광전적출술을 통해 얻은 방광 이행상피암의 파 과립이 있는 것을 양성 반응으로 정의 하고 그

(3)

Table 1. Distribution according to stage and grade in bladder tumor

싫냈한~

Grade Ta T1 T2 T3a T3b

8 2 0 0

H 2 20

m

0 4 4

Total 10 26 2 5

Table 2. Staining procedure of Ultra Tek HRP CD Deparaffinization

(2) Digested with 0.1% pepsin for 10min

@ Wash with TBS(Tris buffer solution PH7.4) for 5min

@ Block nonspecific binding with blocking reagent for 5min

@ Incubate slides with

primaη

Ab( 1: 100 dilution) at R -T

@ Wash with TBS for 10min

([) Incubate slides with linking Ab for 10min

@ Wash with TBS for 5min

@ Incubate slide with streptavidin for 10min

@ Wash with TBS for 5min

d]) Develope in working chromogen(AEC) solution for 5min

@ Wash with distilled water

@ Counter stain with Mayer’s hematoxylin for 1min

@ Wash with distilled water Ammonia water for 2min

@ Wash with distil1ed water for 2min Mounting

0 0 5 5

T4 Total

0 10

25

3 17

4 52

분포 정도를 전체 종양 세포에 대해 백분율로 표 시하여 각각

5%

미만, 5% 이상

15%

이상으로 구분하여 판정하였고, 판독자에 따른 주관적 오 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 명의 비뇨기병리학자 의 판독을 평균하였다. 이 중

15%

이상의 분포 를 보인 것을 상한치로 정하여 사용하였다. 한 편,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판독은 전혀 임상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tion coefficient

Fisher’s exact test

,

Chi- square test

등을 각각의 변 량간의 상황에 따라 적용하였다. 또한 종양 재발, 종양 병기 및 종양 분화도에 대한

Ki-67

Li간의 상관관계를 다변량 으로 각각의 공헌도를 알아보기 위해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 행 하였으며

, p<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간주하였다.

III. 결 과 통계학적 분석

:

종양의 병기, 분화도,

Ki-67

Li

및 종양 재발 등의 4개 변량 각각의 상관관계

를 알아보기 위해

Spearman’s rank correla- Ki-67 Labelling Index (Li) Ki-67

Li가

(4)

A; High power view (x 400)

,

it’s shows moderate staining

B; High power view (x 400)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in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urinaη

bladder.

(5)

C; Ligh power view (X 200)

D; Negative control.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in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urinaη

bladder.

(6)

Table 3.

Spe없man'

s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bladder tumor

Ki-67 Stage Grade

상관계수

1.000 0.426 0.494 Ki-67

p-value 0.002 0.000

상관계수

0.426 1.000 0.690 Stage

p-value 0.002 0.000

상관계수

0.494 0.690 1.000 Grade

p-value 0.000 0.000

Recurrence

상관계수

0.015 0.230 0.211

p-value 0.002 0.000 0.000

15%

이상인 경우를 종양세포 증식이 활성화된 과는

Table

3과 같다. 상관계수를 기준으로 볼 것으로 정의하였다

(Fig. 1).

표재성 방광암에서 때

Ki-67

Li는 종양의 병기, 종양의 분화도와 통

11.1% (4/36),

침윤성 방광암의

50%

(8/16) 에 계적으로 유의하게 서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

Ki-67

Li가 상한치 이상으로 나타나 종양 병 고 특히, 종양분화도와의 상관성이 높았다. 하지

기가 증가할수록 종양세포 증식이 활발한 것으로 만 종양병기와 분화도와의 상관계수가

Ki-67 Li

나타났다

(p<0.05).

종양 분화도와

Ki-67

Li와 가 나머지 각 변량과의 상관계수 보다 높아 의 상관관계에서

Grade 1

Grade

II 를 분화도

Ki-67

Li가 기존의 종양병기나 분화도 보다는 가 좋은 고분화암

Grade

m는 분화도가 나쁜 저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i-67 Li,

성 분화암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역시 각각

8.6%

별, 종양 병기, 종양 분화도, 환자의 나이 등

6 (3/35), 52.9%

(9/17) 로 나타나 종양 분화도가 개의 변수를 동시에 대입하여 종양 재발과의 연 나쁜 군에서 유의하게

Ki-67

Li가 높게 나타났 관 관계를 보기 위해 시행한

mu1tiple logistic

(p < 0.01). regression analysis

결과 어느 변수도 종양 재

표재성 방광암에 국한해서 실시한 종양 재발과 발과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는 변수는 없었다.

Ki-67

Li의 상관관계는 재발군 (16.7%) 이 종양 다만, 종양 병기, 종양 분화도가 통계적으로 유

재발이 없었던 군 (8.7%) 에 비해

Ki-67

Li가 높 의하지는 않으나 다른 변수들에 비해 월등하게 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p<0.05).

종양 재발과의 상관관계가 다변량 비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N. 고 찰

Ki-67,

상관관계 (단변량 비교 Ki-67

Li,

종양 분화도, 종양 병기 등의 3가지 변수의 각각 의 상관관계와 연관성을 보기 위해 단변량으로

시 행 한

Spearman’s correlation rank test

결 종양은 세포의 성장, 발육 조절에 이상 발생시

(7)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찌 유전적 변화는 에서는 종양 재발이 발생한 환자군에서 재발이

세포 성장 및 증식에 관여하는 여러 종류의 유전 없는 군에 비해 상한치를 넘는 환자가 비교적 높 자들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고 종양 유전자 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 (protooncogene)는 점돌연변이나 증폭의 과정을 었다. 아마도 이 차이는 두 연구간에

Ki-67 Li

통해 활성화되고 종양 억제 유전자(tumor

sup-

상한치의 상이성에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되며,

pressor

gene)은 점돌연변이, 재정렬

(rearrange-

이는 저자들의 연구 대상 환자수가 증가하면 유

ment)

또는 결손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13) 방광 사한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

이행상피암은 다른 고형 종양과 마찬가지로 일련 된다.

의 유전적 변화과정을 통하여 진행되는 병변이 또한

Ki-67

Li가 종양 병기 및 분화도와 높은 다 14) 방광암 환자에서 종양의 재발과 진행에 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7, 11) 이는 한 정확한 예측이 환자의 예후를 좋게 하고 생존 저자들의 조사에서도 종양의 병기, 분화도와 각 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지금 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양 까지 종양 병기와 분화도가 예측 지표로써 가장 진행과

Ki-67

Li가 연관이 있다고 보고도 있으 좋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또한 여러 문제를 나21) 저자들의 조사에서는 종양 진행이 된 사례 내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이 보 가 1 명에 불과해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다 정확하고 실용성이 있는 방광암 예측 지표를 종양 진행의 위험 인자가 종양 병기, 종양 분화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도 등인 것으로 알려진 1)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단클론 항체인 Ki-67은

Gerdes

등 15) 에 의해 저자들의 연구에서

Ki-67

Li가 종양 병기, 분화 세포 증식에 연관된 핵내 항원과 반응한다고 보 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종양 진행과도 고된 이후 종양 세포의 증식 활성도를 나타내는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척도로써 사용되어 왔다 16,17) 세포 증식의 척도

Ki-67

Li의 증가는

s-phase

세포의 분획과 v. 결 론

aneuploid

population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

로 종양의 병기, 분화도, 재발, 진행, 생존율의 저자들은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Ki-67

감소화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 19) 이 방광암의 여러 요인 (재발, 병기, 분화도 등)

Ki-67

Li의

cutoff

value 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과의 연관 관계 및

Ki-67 Li

자체가 방광암에서 여러 보고자마다 그 상한치가 각기 다르게 보고 어떤 상관관계 및 의미로 작용하는 지를 분석하 되고 있다.

15%

이상의

Ki-67

Li가 있는 경우

를 세포 증식이 왕성한 것으로 정의하여 이를 상 한치로 정한 보고도 있고2이 다른 기준을 상한치 로 정한 보고도 있다 21,22) 저자들은 전자의 보고 와 같이

15%

이상의 Li를 임의로 상한치로 정 하였다.

Asakura

등21) 에 의 하면

Ki-67

Li가 표 재성 방광암 환자에서 종양 재발과 종양 진행의 독립적 예측 지표라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많은 유사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7-11) 저자들의 연구

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Ki-67

Li는 종양 병기, 종양 분화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종양 재발과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으나

Ki-67 Li

지표는 방광암 환자 에서 재발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하기 어렵고 단지 참고 지표로는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방광암 재발 예측 인자를 알고자 Ki-67 의 병

기, 분화도, 성별을 대입한 다변량 분석에서도

역시 유의한 예측 인자는 없었다. 다만 종양 병

(8)

기, 분화도가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Ki-67

Li가 방광암의 세포활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으나 기존의 종양병기 나 분화도를 대치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1. Kiemeney LALM

,

Witijes JA

, He젠 broek

RP

,

Verbeek ALM Debruyne FMJ.:

Predictability of recurrent and progres- sive disease in individual patients with

primaη

superficial bladder cancer. J Urol, 150 : 60-64

,

1993.

2. Loening S

,

Narayana A

,

Yoder L

,

Sylmen D

,

Weinstein S

,

Penick G

,

Culp D.: Factors influencing the recurrence rate of bladder cancer. J Urol, 123 29

,

1980.

3. Koch M

,

Hi1l GB

,

McPhee MS.: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rates in superficial bladder cancer. J Natl Cancer Inst, 76 : 1025

,

1986.

4. Allard P

,

Fradet Y

,

Tetu Bernard P.:

Tumor-associated antigens as prognos- tic factors for recurrence in 382 patients with

primaη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Clin Cancer Res, 1 : 1195-1202

,

1995.

5. Vielh P

,

Chevillard S

,

Mosseri V

,

Donatini B

,

Magdelenat H.: Ki-67 index and s-phase fraction in human breast carcinomas. comparison and correlation with prognostic factors. Am J Clin Path, 94 : 681-686

,

1990.

6. Kubota Y

,

Petras RE

,

Easle KA

,

Bauer TW

,

Tubbs RR

,

Fazio VW.: Ki-67 -Deter-

mined growth fraction versus standard staging and grading parameters in colorectal carcinoma. A multivariate

an때sis.

Cancer, 70: 2602-2609

,

1992.

7. Okamura K

,

Miyake K

,

Koshikawa T

,

Asai J.: Growth fractions of transitional cell carcinomas of the bladder defined by the monoc1onal antibody Ki-67. J Urol

,

144 : 875-878

,

1990.

8. Mellon K

,

Neal DE

,

Robinson MC

,

Marsh C

,

Wright C.; Cell cyc1ing in bladder carcinoma determined by monoc1onal antibody Ki-67. Br J Urol, 66 : 281-285

,

1990.

9. Stavropoulos NE

,

Ioackim-Velogianni E

,

Hastazeres K

,

Kitsiou E

,

Stefanaki S

,

Agnantis N.; Growth fractions in bladder cancer defined by Ki -6 7:

association with cancer grade

,

category and recurrence rate of superficial lesions. Br J Urol, 72 : 736-739

,

1993.

10. Fontana D

,

Be1lina M

,

Gubetta L

,

Fasolis G

,

Rolle L

,

Scoffone C

,

Porpiglia F

,

Colombo M

,

Trabuzzi R

,

Leonardo E.; Monoc1onal antibody Ki-67 in the study of the proliferative activity of bladder carcinoma. J Urol,

148 : 1149-1151

,

1992.

11. Bush C

,

Price P

,

Norton J

,

Parkins CS

,

Bailey MJ

,

Boyd J

,

Jones CR

,

A’Hern RP

,

Horwich A.; Proliferation in human bladder carcinoma measured by Ki-67 antibody labe1ling; its poten- tial c1inical importance. Br J Cancer, 64 : 357

,

1991.

12. Bishop JM.; Molecular themes in

(9)

oncogenesis. CeZZ

,

64: 235-248

,

1991.

13. Sidransky D

,

Messing E.; Molecular genetics and biochemical mechanisms in bladder cancer; Oncogenes

,

tumor suppressor genes

,

and growth factors.

Urol Clin North Am

,

19: 629-639

,

1992.

14. Vogelstein B

,

Kinzler KW.: p53 func- tion and dysfunction. Cell

,

70 523- 526

,

1992.

15. Gerdes J

,

Schwab U

,

Lemke H.:

Production of a mouse monoclonal antibody reactive with a human nuclear antigen associated with cell population.

Int J Cancer, 31 : 13-20

,

1983.

16. Burger PC

,

Shibata T

,

Kleihies P.: The use of the monoclonal antibody Ki-67 in the identification of proliferation cells: application to surgical neuropa- tholigy. Am J Surg Pathol, 10 : 611-617

,

1986.

17. Mellon K

,

Neal DE

,

Robinson MC.: Cell cycling in bladder carcinoma deter- mined by monoclonal antibody Ki-67.

Br J Urol, 66 : 281-285

,

1990.

18. Cohen MB

,

Waldman FM

,

Carroll PR.;

Comparison of five histopathologic methods to assess celluar proliferation in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Hum Pathol, 24 772

,

1993.

19. Koss LG

,

Wersto RP

,

Simmons DA.:

Predictive value of DNA measurements in bladder washings: comparison of flow

cystometη,

image

cytophotometη,

and cytology in patients with a past

histoη

of urothelial tumors. Cancer

,

64 : 916

,

1989.

20. Liukkonen TJ

,

Lipponen PK

,

Helle M

,

Jauhiainen KE.: Immunoreactivity of bcl-2

,

p53 and EGFr is associated with tumor stage

,

grade and cell prolifer- ation in superficial bladder cancer.

Finnbladder

m

Group. Urol Res, 25 1-7

,

1997.

21. Asakura T

,

Takano Y

,

Iki M

,

Suwa Y

,

Noguchi S

,

Kubota Y

,

Masuda M.;

Prognostic value of Ki-67 for recur- rence and progression of superficial bladder cancer. J Urol, 158 ; 385-388

,

1997.

22. Stavropoulos NE

,

Ioackim-Velogianni E

,

Hastazeris E

,

Kitsiou E

,

Stefanaki S

,

Agnantis N.: Growth fractions in bladder cancer defined by Ki-67:

association with cancer grade

,

category and recurrence rate of superficial lesions. Br J Urol

,

72; 736-739

,

1993.

수치

Table  1.  Distribution  according  to  stage  and  grade  in  bladder  tumor  싫냈한~ Grade  Ta  T1  T2  T3a  T3b  8  2  0  0  H  2  20  m  0  4  4  Total  10  26  2  5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in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urinaη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in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urinaη
Table  3.  Spe없man'  s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bladder  tumor

참조

관련 문서

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Pol ki nghor ne ,1 998 ;허희옥,2 006 .재인용) .또한,사회 문화적인 차원에서 스토리텔링은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r]

2 암 발생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단 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세포의 과다 증식,유전자 불안정성,세포사멸기전 불활성화 같은 중요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되어

Differential Expression of Desmoglein1, Desmoglein3, Epithelial Membrane Antigen, Ber-EP4 and CD10 in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많은 분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사람이 되기 위해 학업에 충실하고 항상 겸손한 자세로 학 우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 할

In addition, using the properties of water shown in diverse shapes, Ki Hyung-do's recognition on the reality and future consciousness from regression of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Relationship between lymph node metastasis and lymphatic invasion, diagno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H&amp;E staining in gast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