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Basic Pharmacy Practice<br /> Education Program in a General Hospital Pharmac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Basic Pharmacy Practice<br /> Education Program in a General Hospital Pharmacy"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bstract : Since 2013,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BPP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under the new six-year Pharmaceutical College curriculum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is implementation, the pharmacy department at St.Mary’ s Hospital in Seoul has developed its own BPPE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10 education items: introduction of hospital pharmacy practice, evalua- tion medicine prescription,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major prescription preparation,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drug information provision, medication safety evaluation, medical terminology, patient evaluation, and patient counseling.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PPE program and stu- dents’satisfaction, the first 20 students trained under the BPPE program were surveyed and practically tested. The students rated their knowledge level of each education item pre- and post-BPPE: using the 4-point Likert scale from 1 to 4, where 1 is very low, 2 is low, 3 is high and 4 is very high. The objective practical tests were done after the BPPE. The students’safety evaluation survey contained questions on

회원학술보고

약학대학 학생을 위한 병원기초약무실습 교육도구 개발 및 적용 평가

최선

a

, 권은영

a

, 이연지

a

, 나현오

a,b�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약제부

a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실

b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in a General Hospital Pharmacy

Sun Choi

a

, Eun Young Kwun

a

, Yeon Jee Lee

a

, Hyen O La

a,b�

Department of Pharmacy, Seoul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137-701, Korea

투고일자 2014.5.12; 심사완료일자 2014.6.11; 게재확정일자 2014.6.23

�교신저자 나현오 Tel:02-2258-2520 E-mail:hola@catholic.ac.kr

(2)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내 약학대학이 2009년에 4년제에서 6년제로 학제 가 개편됨에 따라 실무교육이 필수과정으로 포함되었 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인 약사의 역할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전통적인 조제 관련 업무에서 환자 개인별 맞춤형 복약상담과 의약품에 대한 정보 제공, 적절한 약물요법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임상영역에서 의 약사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1)

이러한 약사의 역할 변화는 의사, 간호사 등 타 의료진들과의 관계에서도 약물요법에 적극 참여하여 약물 사용상 문제들을 제기

하고 협력을 통해 적절한 해결을 찾아가는 전문가로서 역할 수행을 요구하고 있다.

2)

학습이론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하나로 제시되 는 구성주의적 수업은 체험학습, 자기성찰적 학습, 협 동학습, 실제적 성격의 과제제시 등을 특징으로 한다.

3)

최근 의학교육의 경향이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실제적인 사례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과정을 중요시 하고 있으며 문제바탕학습이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준 다.

4)

약학대학에서는 이러한 구성주의적 수업이 실무 실습을 통해 질환에 대한 약물처방의 감시 및 중재활동 능력에 대한 교육이나, 약물요법의 효과를 최대화 하고 overall satisfaction, self-sufficiency, benefits of the education, and self confidence in further advanced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All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For self-assessed knowledge level of each education item, the portion of positive responder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items in the post-BPPE survey (p<0.001), and

‘medication safety evaluation’among the items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followed by ‘injectable drug preparation’and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 In the objective practical tests after the BPPE, ‘various dosage preparation’had the highest scores of 93.8±1.1 (mean ±SD), and ‘medical ter- minology’and ‘patient counseling’had the lowest scores of 80.5±8.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 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assessed knowledge and the objective test scores. All students posi- tively answered to overall satisfaction. Only 76.7% of the students positively answered to self confidence in further advanced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and the most negatively responded confident item was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PPE program was efficient and highly satisfying. However, the self assessment did not significantly correspond to objective evaluation.

Therefore, consensus between precepto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purpose of BPPE, standard of stu- dents’evaluation, and items of BPPE is needed. Furthermore, there should be persistent efforts between the pharmacy school and practice field by sharing information as a way to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for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Key words]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Assessment of pharmacy

practice education

(3)

유해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식 습득에 적용될 수 있 을 것이다.

5)

병원실무실습은 약학대학생들이 기타 보 건계열의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임상실습을 통해 학교 에서 학습한 지식을 병원 업무에 접목할 수 있는 기회 이며 나아가 총체적으로 전문분야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과정이며, 단순한 임상기술의 습득뿐만 아니라 환 자 진료 및 치료의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임상 실무실습 은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서 실습을 경험한 학생 들의 역량 및 정신적인 부분에서도 큰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6), 7)

국내 약학대학 학생들의 병원실무실습은 약학교육협 의회에서 제시한 항목에 따라 40시간 정도의 기초약무 실습을 받은 후에 400시간의 필수실습을 수행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임상실습 형태의 교육에 참여하는 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제 시된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학 생의 학과선택동기, 가치관, 임상실습환경 등이 있다.

6),

8), 9)

다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 학생이

실습기관에 상주하며 일정기간 실습지도를 받는 오리 엔테이션 프로그램이 임상실습 수행에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10)

그러므로 현재 약학대학 학생의 실무실습이 기초약무실습과 필수실습으로 나누어서 구성된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국내 기초약무실습의 진 행은 주로 학교 내에 설치된 실습약국에서 이루어지며 실습방법도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병원실무실습의 경우에도 구체적인 내용이나 학습방법 은 실습기관인 병원의 업무현황과 시스템에 따라 진행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약학대학 학생의 실무 실습은 2013년도부터 진행되었으며 그 효과에 대해 보 고된 적이 없는 상황이다. 약료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실 무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 도구의 적용과 지속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 대학병원에서 개발된 기초약무실 습의 교육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적용하고, 교육 전∙후 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에 대한 효과와 만족도를 평 가함으로써 학교의 교육과 병원기초약무실습 및 필수 실습에 이르는 전체 임상교육과정이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본 연구는 2013년 8월부터 총 40시간 동안 서울성모 병원의 기초약무실습에 처음으로 참여하는 약학대학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도구 및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기초약무실습 교육도구는 서울성 모병원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당 교육프로그램은 총 40시간 동안 10개의 교육항목을 지 도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항목별 교육시간은 Table 1과 같다.

해당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교 육프로그램 시작 전에 설문조사를 1차 실시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에 2차 설문조사 및 객관적 평가 를 실시하여 전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별첨 1). 교육프로 그램의 효과 평가는 10개 교육항목에 대한 보유지식의 정도를 교육 전∙후 자기 기입식 설문으로 주관적인 평 가를 하였고, 교육 후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실기평가 를 실시하였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전 반적인 만족도, 기대 충족도, 교육의 유익성, 그리고 기 초약무실습 후에 진행되는 병원 필수실습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하였다.

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기준은

‘매우 아니다-아니다-그렇다-매우 그렇다’ 의 Likert Scales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매우 아니 다-아니다’ 는‘부정적’답변으로, ‘그렇다-매우 그렇 다’ 는‘긍정적’답변으로 분류하였다. 객관적인 실기평 가는 각 교육항목에 대한 워크시트를 사용하여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익명화하여

처리하였고, 관련된 파일은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며 관

리자 이외에 접근이 되지 않도록 보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서울성모병원의 IRB 심의를 받아 승인을 얻

은 후 진행되었다. 승인번호는 KIRB-00431_10-002

(4)

이며 승인 받은 날짜는 2013년 10월 7일이고 과제번호 는 KC13QISI0638 이다.

3. 통계분석

통계분석 방법으로 교육 전∙후 자기 기입식 주관적 설문의 결과 분석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또 한, 교육 후 효과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의 상관관계 및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Spearman’ s correlation analysis (-1<r<1 사이의 값)로 분석하였다. 결과판정은 p < 0.05 일 때 통계학 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연구결과

1.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교육 전∙후 자기 기입식 주관적 평가의 결과는 Table 1.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for pharmacy students in Seoul St. Mary’ `s Hospital

Theory education time (hour)

Practice education time (hour) Education items

Introduction of hospital pharmacy practice 1 0

Evaluation medicine prescription 1 3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0 4

Major prescription preparation 2 2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2 2

Drug information provision 2 5

Medication safety evaluation 2 2

Medical terminology 2 2

Patient evaluation 2 2

Patient counseling 2 2

Total education time 16 24

Table 2. Likert scales before and after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n=20, Data = Mean±SD) p-value Post-education

Pre-education Education items

Introduction of hospital pharmacy practice 2.3±0.7 3.2±0.4 0.0001

Evaluation medicine prescription 1.7±0.5 3.0±0.5 <0.0001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1.7±0.6 3.1±0.6 <0.0001

Major prescription preparation 1.6±0.5 2.7±0.6 <0.0001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1.6±0.6 3.0±0.3 <0.0001

Drug information provision 1.7±0.7 3.0±0.3 <0.0001

Medication safety evaluation 1.4±0.5 2.9±0.5 <0.0001

Medical terminology 1.8±0.5 2.8±0.5 <0.0001

Patient evaluation 1.8±0.6 2.9±0.5 <0.0001

Patient counseling 2.1±0.6 3.0±0.3 <0.0001

Tested by paired t-test

(5)

Table 2 와 같다. 교육 전에 점수가 낮았던 항목은‘약 물 안전성 평가’ , ‘주사제 조제’ , ‘대표처방 조제’순이 었다. 교육 후 점수가 높았던 항목은‘병원약제 업무의 이해’ , ‘제형에 따른 조제’ , ‘처방전 적절성 검토’순이 었다. 교육 전∙후 점수의 증가는 10개 항목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그 중에서

‘약물 안전성 평가’ 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다음으로

‘주사제 조제’ 와‘제형에 따른 조제’순이었다.

교육 후에 객관적 실기평가는 평균 86.5점으로 모두 80점 이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 중에서‘제형

에 따른 조제’ 가 93.8±1.1로 최고 점수를 나타냈고, 그 밖에 90점 이상인 항목은‘처방전 적절성 검토’ 와

‘주사제 조제’이었다. 최저점을 보인 항목은‘의학용 어(80.5±8.5)’였으며, 학생들 간에 점수의 편차가 높 은 항목은‘의약정보 제공 (SD=±9.3)’ , ‘복약지도 (SD=±8.5)’및‘의학용어(SD=±8.3)’순이었다.

각 항목의 주관적인 자가평가와 객관적 평가의 상관 관계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 았다.

Tested by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p<0.05

Table 3. Correlation between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results Education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Benefits of the education

Self- confidence

Self confidence in further advanced pharmacy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category

Self- assessed knowledge level

Objective practical tests

Introduction of hospital pharmacy practice 0.327 0.256 0.167 0.107 Evaluation medicine prescription 0.000 0.298 0.000 0.426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0.088 0.160 0.012 0.544*

Major prescription preparation 0.085 0.152 0.045 0.339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0.000 0.000 0.000 0.517*

Drug information provision 0.000 0.000 0.000 0.517*

Medication safety evaluation 0.067 0.205 0.100 0.357

Medical terminology -0.040 0.308 0.075 0.467*

Patient evaluation -0.116 0.093 -0.027 0.286

Patient counseling 0.000 0.000 0.000 0.517

Introduction of hospital pharmacy practice 0.114 0.386 0.445 -0.129 Evaluation medicine prescription -0.343 -0.106 -0.290 0.008 Various dosage forms preparation 0.613* 0.548* 0.391 0.015 Major prescription preparation -0.301 -0.103 0.010 -0.062

Injectable drugs preparation 0.118 0.403 0.210 0.169

Drug information provision 0.084 -0.161 0.117 -0.024

Medication safety evaluation 0.533* 0.304 0.263 0.052

Medical terminology -0.083 0.119 -0.145 -0.280

Patient evaluation 0.372 0.682* 0.447 0.293

Patient counseling -0.175 -0.258 0.071 0.008

Education items

(6)

2.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기대 충족도는 모두 긍정적 답변이 100%이었고, 교육의 유익성에 대해서 는 89.5%가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기초약무실습 후 에 진행되는 병원 필수실습 수행에 대한 자신감은 76.7%만 긍정적 답변을 하였고, ‘주사제 조제’ 에서 가 장 많은 응답자가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답변하였다 (9/20명).

3.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교육의 효과 평가점수와 전반적 만족도를 포함한 교 육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교육의 효과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기초약무실습 후 병원 필수실습에 대한 자신감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 서‘대표처방 조제’ 와‘주사제 조제’ , ‘의약정보 제공’ ,

‘의학용어’항목이 서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 (p<0.05). 그 밖의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실습에 대한 전반 적인 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제형에 따른 조 제’및‘약물 안전성 평가’항목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 (p<0.05). 또한 교육 효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이번 교육의 유익성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제 형에 따른 조제’및‘환자 평가기법’항목이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약학대학이 6년제로 전환된 후 처음 으로 시작되는 기초약무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대학에서의 강의와 병원 실습현장에서의 실무 사이에 연계성을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 적인 실무실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실습교육에 참여하는 프리셉터들은 약학대학에서 요 구하는 필수 교육을 모두 이수 받고, 약학대학으로부터 공인된 실무교육강사 자격 인증 기관인 한국병원약사 회로부터 자격을 인정받은 후, 실습 과정에 참여하여 학생들에게 적절한 실습 교육 및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는 실습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다른 보건계열의 연구에서도 지적된 바 있는데, 실습기관의 교육자는 실 습생들을 전문가로 육성하는데 필요한 교육목표와 실 습수행 원칙을 수립하여 사전에 교육을 이수하는 것이 효율적인 실습에 도움이 된다. 또한, 바람직한 교육자 는 학생의 현장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하고 규 칙적인 피드백 방법과 학습을 촉진하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학생이 전문가의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할 능력과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 다.

6) 7)

연구결과, 기초약무실습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에 주관적인 자가 설문평가에서 점수가 낮았던 항목 은‘약물 안전성 평가’ , ‘주사제 조제’ , ‘대표처방 조 제’순이었는데, 이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접하기 어렵 고 실습현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교육 주제였다. 이 들 항목은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기초약무실습교 육 후 점수의 증가가 높게 나타나, 약학교육에 있어 실 습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교육 전∙후 효과 평가에서 전 항목의 점수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는 본 연구에 적용된 교육프 로그램의 구성이나 내용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볼 수 있다. 또한 연구 도구였던 교육프로그램 내용이 주로 실습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들로 구성되었고, 실무 실습 교육이 이론강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시간 동안 이뤄진 점이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 다. 한편 보건계열의 다른 연구들의 결과에서 실습병원 규모가 큰 병원에서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난 바 있다. 이는 학생들이 규모가 큰 병원에서 실습 하기를 원하고, 병원 및 의원 보다는 종합병원 이상에 서의 실습교육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1), 12), 13)

본 연 구 역시 1300병상 규모의 대학병원에서 실시되었으므 로 높은 만족도의 또 하나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교육 후 객관적으로 실시된 실기평가의 결과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들은 실습현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조제와 관련된 항목들 이었다. 반면, '의학용어’ 와

‘복약지도', '환자평가기법'은 주관적인 평가에서 교육

전 점수가 높은 편이었고, 교육 후 점수의 증가가 낮은

편이어서 학생들이 주관적으로는 잘 알고 있다고 평가

(7)

하는 항목들이었다. 하지만 실제 객관적인 평가 결과에 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한 항목이었으며, 이중 의 학용어와 복약지도는 학생들 간의 편차도 높게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항목들이 광범위한 이론적 지 식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다양한 경험이 필요한 업무 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이 항목들은 상 황에 따라 고려할 사항들이 다양하고,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며, 타인과의 소통기술이 요구되므로 단시간 내 에 높은 교육 성과를 얻기가 어려운 항목들이다. 그러 므로 기초약무실습 기간 동안 단시간 내에 학생들이 습 득하기 어려운 항목들은 학교의 교육에서 관련된 분야 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하 고, 기초약무실습 후에 연결되는 필수실습에서도 보다 많은 시간을 배정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효과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는데, 이는 교육자와 실습생 사이에 실습 목표와 평가기준, 실습 내용을 좀 더 명확히 공유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본다.

교육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기대충족도가 모 두 100% 긍정적인 답변인 것은 교육 효과에 대한 주관 적 평가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큰 폭으로 증가된 것과 일관된 결과이다. 또한, 이는 객관적인 교육 효과 평가에서도 각 교육 항목이 모두 80점 이상을 기록한 긍정적인 결과와도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전반적인 만족도와 기대충족도의 100% 긍정적 인 답변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유익성에서 일부 부정적 인 답변(10.5%)이 나온 것은 향후 약사가 되었을 때 진 로에 있어 병원약사 분야에 대한 관심도가 적은 이유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임상 실습에 대한 의미 와 목적을 명확히 인식시키는 것이 교육의 효과를 높이 는 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기초약무실습 후에 진행되는 병원 필수실습에 대한 자신감은 실습 학생의 76.7%가 긍정적 답변을 보였다.

그러나 각 교육 항목별 교육의 주관적 효과평가와 향후 병원필수실무실습에 대한 자신감과 상관관계 분석에서 는‘제형에 따른 조제’ 와‘주사제 조제’ , ‘의약정보 제 공’ , ‘의학용어’4개 항목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특정 실습교육이 효과적이었다고 주관 적으로 평가한 학생들이 이후 병원필수실습에도 자신 감을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기초약무실습 보다

10배 가량 더 많은 시간이 배정되고 보다 다양한 실습 이 진행되는 병원필수실습 프로그램 구성에 참고자료 가 될 것이다. 한편, 설문 항목 중 이후 필수실습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주제에 대한 주관식 질문에 대해 가장 많이 응답한 항목은 '주사제 조제'이었다. 이는 학교에 서 경험한 적이 거의 없었고, 주사기를 다루는 기술을 습득하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주사제 조제의 대상이 고가의 항암제이며 주로 액 상 조제이므로 무엇보다 정확한 조제가 요구되는 특성 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병원 필수실습에서는 주사제 조제 부분에 보다 많은 시간을 배정하여 조제기 술을 훈련시킬 필요가 있겠다.

교육 효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전반적인 실습 만족 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제형에 따른 조제'와‘약물 안 전성평가’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점은, 실습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통해 단시간 내 에 해당 실무의 핵심 사항을 습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 다. '약물 안전성 평가'의 경우 역시 실습현장에서만 확 인할 수 있는 실제 약물유해반응의 사례를 통하여 실습 을 진행한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객관적 효과 평가와 교육의 유익성 간의 상관관 계 평가에서 '환자의 평가기법'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를 보인 것은 실습현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실제 환 자의 의무기록을 통해 학습한 사례중심의 실습효과라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단면적인 설문조사 연구로 소수를 대상으 로 하였다는 점은 연구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객 관적 교육효과 평가에서 교육항목별로 실기평가의 방 법이 다양하였고, 항목별 평가자에 따른 차이도 배제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이 된 교육프로그램은 주 관적 및 객관적으로 모두 긍정적인 교육 결과를 얻었으 며, 만족도 평가 항목 역시 모두 긍정적 평가를 얻었다.

이는 해당 교육이 실무현장인 병원에서 이루어진 점과,

교육내용이 실습현장의 업무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실무실습에 참여하는 시간이 많이 배정된 것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각 교육주제별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는 점에서, 교육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얻기 위해서는 교육자와 피교육자 사이에 실습목표 및

(8)

평가기준, 실습내용에 대한 명확한 공유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교의 교육과 기초약무실습 및 현장의 필 수실습에 이르는 전체 교육과정이 보다 효과적이고 체 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 세부 내용을 상호간 에 공유 및 보완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향후 기초약무실습 및 병원필 수실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진행에 유익한 자료가 되 기를 희망한다.

참고문헌

1) Yoon J.H. : The challenge as an advanced pharmacist of health system. Kor Soc Health-Syst Pharm, 29(3), 235-247 (2012) 2) Bang J.S., Jang J.H., Kim S.J., Sohn U.D.,

Sim S.S, Cheong J.H., Choi B.C. : A Survey for the Recognition and Adoption Rate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Preceptorship into the Pharmacy Education Settings. Kor J Clin Pharm, 18(1), 50-59 (2008)

3) Kang I.A. : Another constructive teaching method-learning model. The theory and practice of PBL, 1st ed. Mooneumsa, Seoul, 24-36 (2003)

4) Baum K.D., Axtell S. : Trend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Keio J Med, 54(1), 22-28 (2005)

5) Kim J.T., Kim J.Y., Kim M.C., Rhew K.Y. : Assessment of Problem Based Learning Application in Clinical Pharmacy Education.

Kor. J. Clin. Pharm., 22(4) (2012)

6) 김학성 : 방사선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방사선과학회지, 27(4), 75-83 (2004) 7) 한수정 :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힘 북

돋우기(empowerment)와 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 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1), 132-146 (2000) 8) 양진주 :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가

치관과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 호교육학회지, 6(2), 276-286 (2000)

9) 조결자, 강현숙 :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간호학회지, 14(2), 63-74 (1984)

10) 이여진 : Blended learning을 이용한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 회지, 14(1), 30-37 (2008)

11) 유광열, 김현수 :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 방향. 방사선 기 술과학, 29(4), 303-310 (2006)

12) 김영희 :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 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및 임상실습 만족도 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6(3), 307-315 (2009)

13) 김수정, 김병곤 : 학교병원 유무에 따른 보건-의 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실습 현황 및 만족도 조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1), 195-203 (2012)

(9)

기초 약무 실습 사전 설문지

작성일자 : 2014년 월 일 성명:

본 설문지는 기초실무실습을 실시하기 전에 관련 주제에 대한 피교육자들의 알고 있는 정도를 확인하여 교육에 반영 하기 위한 것입니다. 솔직한 느낌과 의견을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각 항목에 해당하는 칸에 ∨ 표시를 해주십시오.

- 감사합니다.-

평가항목 평가결과

전혀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의료기관, 병원약제업무에 대해 알고 있다.

2. 처방전 적절성 검토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3. 제형에 따른 조제방법을 알고 있다.

4. 대표 처방약물을 조제할 수 있다.

5. 주사제 조제에 대한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다.

6. 기본적인 의약정보제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7. 약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약물유해반응의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ADR(Adverse Drug Reaction) 1차 평가서 작성방법을 알고 있다.

10. 복약지도에 대한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와의 소통방법을 알고 있다.

11. 기초약무실습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기재하십시오.

8. 의무기록을 해석할 수 있다.

9. 약물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FARM note를 작성할 수 있다.

(10)

기초 약무 실습 종료 설문지

작성일자 : 2014년 월 일 성명:

본 설문은 기초약무실습을 마치신 여러분의 의견이나 희망사항을 알아봄으로써, 차기 교육에 반영하기 위한 중요 한 자료로 사용될 것 입니다. 여러분들이 이번 교육기간 중에 보고, 느끼고, 생각하신 점을 있는 그대로 해당 란에

∨표 또는 기입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1. 이번 기초약무실습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어떠했습니까?

① 대단히 만족 ( ) ② 만족 ( ) ③ 불만족 ( ) ④ 매우 불만족 ( )

*불만족 시 이유 :

2. 이번 교육과정이 귀하에게 도움이 되었습니까?

① 많이 되었다 ( ) ② 조금 되었다 ( ) ③ 보통이다 ( ) ④ 별 도움이 안되었다 ( )

*도움이 안 되었을 경우 이유:

3. 기초약무실습을 실시하기 전에 기대한 바를 충족하였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 ) ② 그렇다 ( ) ③ 아니다( ) ④ 매우 아니다 ( )

*충족하지 못한 경우 이유:

4. 이번 기초약무실습을 이수함으로써 다음 의료기관 필수실무실습에 참여할 자신감을 얻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 ) ② 그렇다 ( ) ③ 아니다( ) ④ 매우 아니다 ( )

*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어떤 실습주제가 그렇습니까?

다음 주제 중 선택하여 주십시오.(복수선택가능)

□ 처방전 검토와 조제

□ 주사제 조제

□ 약물 안전성 평가

□ 약물정보제공

□ 의학용어

□ 환자 평가 기법

□ 복약지도

(11)

5. 기초약무실습을 이수함으로써 다음 각 항목별 지식 및 실무수행 방법을 습득한 정도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6. 기초약무실습 과정 중 불편한 점이나 다음 차수에 반영되었으면 하는 개선사항이 있으면 기재하여 주십시오.

- 감사합니다.-

평가항목 평가결과

전혀 아니다 아니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의료기관, 병원약제업무에 대해 알고 있다.

2. 처방전 적절성 검토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3. 제형에 따른 조제방법을 알고 있다.

4. 대표 처방약물을 조제할 수 있다.

5. 주사제 조제에 대한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다.

6. 기본적인 의약정보제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7. 약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약물유해반응의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ADR(Adverse Drug Reaction) 1차 평가서 작성방법을 알고 있다.

10. 복약지도에 대한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와의 소통방법을 알고 있다.

8. 의무기록을 해석할 수 있다.

9. 약물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FARM note를 작성할 수 있다.

수치

Table 2. Likert scales before and after basic pharmacy practice education program (n=20, Data = Mean±SD) p-valuePost-education
Table 2 와 같다. 교육 전에 점수가 낮았던 항목은‘약 물 안전성 평가’,  ‘주사제 조제’,  ‘대표처방 조제’순이 었다. 교육 후 점수가 높았던 항목은‘병원약제 업무의 이해’ ,  ‘제형에 따른 조제’ ,  ‘처방전 적절성 검토’순이 었다

참조

관련 문서

Situat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ocio‐scientific issues as contexts for practice?. What Major “Socio-Scientific Topics” Should the Science Curriculum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rough play in modern children's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During the course of the green clothes attitud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green clothes attitude education program makes positive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sibility that art can contribute to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develops art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 i) The very high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modern engineering seismology should be and can be absorbed through the engineering means like the capacity design principle. •

• 다양한 생물 중 어느 생물은 서로 비슷하지만 어느 생물은 서로 비슷하지 안다는 것을 설명하고 생물 사이의 가깝고 먼 관계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자신의 생각의

human education' seeking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would be possible through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음악은 바로 이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2015 Curriculum to the 2009 Curriculum whose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