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장경희 (한서대학교 교수)
미술사의 이해
-고조선의 청동유물
목 차
고조선 ; 우리역사의 시작
고조선의 지표유적 ; 고인돌 고조선의 지표유물 ; 청동기
고조선의 토기 ; 붉은간토기, 민무늬토기
1
2
3
4
고조선은 우리 민족, 우리 역사의 시작이다.
고조선은 B.C 2333년, 단군왕검이 청동기 문화의 토대 위에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부족국가이다 . 북방 만주부터 한반도까지 아우르는 광대한 영역, 부여와 고구려가 일어날 터전과 기반을 닦았다.
해방 후 북한은 단군릉을 비롯 고고학적인 유적, 유물을 발굴하였고, 이것을 과학적으로 분석 , 연구해 고조선의 실체를 밝히고 있다. 이에 고조선은 B.C 2000년 경부터 고인돌과 청동검을 만들어 중국의 한 족과 전혀 다른 청동기문화를 널리 발전시켰음이 밝히고 있다 .
조선의 표지유물은 고인돌과 비파형 동검이고, 광대한 강역에 분포하 여 실재한 고조선의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일제 식민사관은 고조선의 실재를 부인하고 신화나 전설로 폄하하였 다 . 또 고조선과 고구려를 중국역사로 통합하고자 하는 중국의 동북 공정에 대항하여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1. 고조선 ; 우리 역사의 시작
단군왕릉의 복원 후 전경
-1973년, 북한의 고고학계 에서 단군왕검의 왕릉 발굴
-단군조선 관련 유물 출토 ; 민무늬토기, 흑도, 청동 검, 청동거울 등
-B.C. 2000년경부터 실존
단군왕검 초상과 출토유골 복원모습1. 고조선
2. 고조선의 지표유적 ; 고인돌
북방식
남방식
-
지상에 무덤방을 꾸리고 덮개돌을 덮는 형식, 책상처럼 생겨 탁자식이라 함 - 한강 이북부터 중국 요령지방까지 분포하며 강화지석묘는 북방식의 대표작
2. 고조선 ; 북방식 고인돌
2. 고조선 ; 남방식 고인돌
-지하 무덤방, 덮개돌과 돌방 사이 3~4개 이상의 받침돌, 바둑판처럼 생김
-전라도, 경상도 등 한강 이남 지역에 분포되어 있음
유래
1.
은나라의 청동기 문화가 중국 동북 지방을 거쳐 들어왔다 는 설
2.
우리나라 자체 발원설
3.
남부 시베리아로부터 들어왔다는 설
북방 유목문화적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
종류
1.
무기- 칼(劍, 鉾), 창(戈), 활촉(钃),) 도끼
2.
의기- 세문경, 모조한경, 각종 방울장식, 대끝장식
3.옷장식- 띠고리, 농경문청동기
4.
수레장식- 굴대머리, 채머리장식, 수레양산살 끝쇠, 말종 방울
거푸집의 발견으로 우리나라에서 청동기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고조선 지표유물 ; 청동기
3. 고조선 지표유물 ; 청동검
-비파형동검- 만주지역 과 한반도 북부에서 집중 적으로 발견됨
-세형동검-청천강 이남
에 분포
동과(銅戈), 동검(銅劍), 동모(銅鉾)
경주 월성 입실리 출토, 길이 26.7cm 31.5cm 31.6cm, 경주박물관
.
요령식동검, 마제석촉, 마제석검
경남 의창군 진동리 출토, 33.3cm, 석 검 27.5cm, 국립경주박물관
3. 고조선 지표유물 ; 청동기
놋과와 과집
준국보 7호 평양 락랑구역 정백동 놋과길이 27㎝
비파형 단검
-비파형(요령식)단검 ; 고조선 전기
-거친무늬거울과 고인돌에서 동반 출토 -성분 ; 주석, 아연성분 많음 (중국;납)
3. 고조선 지표유물 ; 청동검
<청동기 거푸집>, 전남 영암 출토, 청동기시대, 길이 15.8cm-16.8cm, 숭전대학교박물관
<청동검, 과의 거푸집>, 전남 영암 출토, 청동기시대, 길이 35. 5cm, 숭전대박
3. 고조선 지표유물 ; 청동검
잔줄무늬거울
준국보 8호 평남 대동군 반천리 지름 13.5㎝
- 중국거울 ; 동물문에 꼭지가 하나 / -고조선거울 ;기하학무늬에 꼭지 두 개 - 기하무늬; 현대기술로도 재현 어려움
- 초인간적인 신통력이나 벽사를 상징하는 의기
잔줄무늬거울 거푸집
평남 만산군 삼양리 지름 20.2㎝
3. 고조선 유물 ; 청동거울
세문경, 청동기시대, 지름 21.2cm, 숭실대박물관
가는 선과 8개의 원으로 이뤄진 기하학적 무늬가 매우 정교하게 주조되어 있음
3. 고조선 유물 ; 청동거울
<번개 무늬, 별무늬, 십자햇 빛 무늬 청동 거울>
충남 , 평남 성천, 전북 익산 출토 지름 12cm
방울(鈴具)
계급의 상징물, 의기, 청동제 무기의 장식으로 사용
魏志東夷傳 韓條에 “솟대를 세우고 방울, 북을 걸고 귀신에 봉사한다”는 기록 있음
<팔령구>, 화순 대곡리 출토, 지 름 12.4cm, 국 립중앙박물관
중앙의 팔광성(八光星)을 중심으 로 바깥 방울로 연결되며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함
방울에 그려진 고사리 무늬는 다 른 의례용 청동기에도 보여 신성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추측됨
두개 한 쌍으로 두 손에 쥐고 흔
드는 종교적 도구로 우리나라 청동
기 유적에서만 출토됨
<동조령식표>, <동조환상쌍 두령>, 강원도 출토, 길이 17.5cm, 16.8cm, 개인소장
<장대끝 방울>, 강원도 출토, 높이 15.8cm, 개인소장
<장대끝 방울>, 경주 죽동리 출토, 높이 15.8cm, 개인소장
청동거울, 동탁(銅鐸), 세형동검
대전 괴정동 출토, 동탁 높이 11.2-11.4cm 동검 32.4cm, 국립중앙박물관
동물형을 몸 장식품으로 애 용하는 것은 스키타이미술의 특색으로 그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
사실과 경화를 가미한 힘이 넘치는 공예품으로 뛰어난 청 동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영천 어은동출토, 청동기시대, 말 15.6cm 호랑이 19cm, 국 립중앙박물관
3. 고조선 유물 ; 동물형 대구
영천 어은동출토, 2.1cm-3cm, 국립중앙박물관
청동제 장신구 ;
뒷면의 철선에 가죽이나 끈을 연결해서 장신구로 사용.피장자의 발목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됨
3. 고조선 유물 ; 청동단추
황금 귀걸이 / 옥목걸이 청동 장신구(단추)
청동 허리띠고리
3. 고조선 유물 ; 장신구
농경문(農耕文) 청동기
앞면 음각(솟대)
뒷면 따비로 밭 가는 인물
왼쪽 곡식 털어 항아리 담기
의기 /간결 / 다산 풍요상징
대전 괴정동출토, 7.3x12.8cm, 국박
충남 아산군 남성리 출토, 폭 19.5cm, 국립중앙박물관
패형동기(防牌形銅器) 동물문 견갑(動物文肩甲)
길이 23.8cm, 도쿄국립박물관
3. 고조선 유물 ; 청동기
<동물문견갑(動物文肩甲)>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 무문 토기 형식
고인돌, 석관묘에서 주로 출 토되어 의기나 제기적인 성격 을 지님
태토를 빚어서 모양을 만든 다음 표면에 산화철이 함유된 진흙을 발라 연마함
경남 산청 출토, 청동기시대, 높이 1.9cm, 중박
4. 고조선 토기 ; 붉은간토기
경남 산청 출토, 청동기시대, 높이 1.9cm, 중박
4. 고조선 토기 ; 붉은간토기
웅기 굴포리 서포항 출토 높이 8.6cm
어깨에 연한 검은색 문양을이 가지처럼 보임
부분적으로 검은색을 내기 위 해 특수 식물 물감을 쓴 듯
낙동강 유역에서 출토됨
함경도의 붉은칠 토기에서 변 화한 남한의 붉은칠 토기가 다시 지역적으로 발전, 변화한 것
청동기 시대, 경상도 출토, 높이 19cm, 중박
4. 고조선 토기 ; 가지무늬토기
<무문토기발-화분형 토기>, 서울 가락동 출토,
높이 26cm, 입지름 25.5cm, 고려대학교박물관 <무문토기항아리>, 서울 가락동 출토, 높이 33.9cm, 입지름 15.cm, 고려대
4. 고조선 토기 ; 민무늬토기 (가락식)
충남 부여군 송국리 출토
4. 고조선 토기 ; 민무늬토기(송국리식)
<덧띠토기(점토대토기)>: 아가리에 진흙 띠 를 덧붙여 겹아가리를 만든 토기
<무문토기>, 초기철기시대, 경상남도 늑도 출토
4. 고조선 토기 ; 민무늬토기(덧띠무늬)
구울 때 불완전 그을음이 토기 표면에 스며들어 광택나는 검은색 띰
청동기를 부장품으로 하는 세력자의 무덤이나 무덤자리에서 발견됨
초기철기시대, 대전 괴정동 출토, 높이 22.5cm, 국립중앙박물관
초기 철기시대, 경북 조양동 출토, 높이 32.5cm, 국립경주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