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6강: 담 헌 홍대용의 실 심 실 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6강: 담 헌 홍대용의 실 심 실 학"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6강: 담 헌 홍대용의 실 심 실 학

김용환 교수

(2)

현실과 세계에 대한 통합구조를 이론적 실천양식으로서 규명, 실심(實心) → 실사(實事) →실지(實地)라는 삼원의 사유구조로 제시

실심 실사로서 날로 실지를 밟아야 실심의 본령에 이름

실심에 대한 구조적 이해는 학문을 하거나 실천을 하거나 마음의 주인공을 파악하는 것이 요체가 됨

→실심은 권위나 허위를 부정하는 주체적 정신

담헌의 이론적 실천양식

(3)

도를 듣고자 한다면, 옛날의 들음을 버리고 이기려는 마음을 버려야 함 선입견이나 지배 이념 틀에서 벗어나서 객관적 정신으로 실심 자세가 중요

실심 실사: 담헌 홍대용은 허자(虛子)와 실옹(實翁)이라는 대립적인 이름에서부터 세속 유학자 학문과 그 마음이 헛된 것임을 드러낸다. 천지만물 가운데 사람이 귀하며 중국 이 천하 중심이라는 유학사상을 타파하, 사람이나 동식물이 같으며 내가 있는 곳이 우 주의 중심이라고 주장하고, 실심실사(實心實事)를 행해야 함을 주장한다. 허자가 묻고 실옹이 대답하거나, 실옹이 물어 허자의 어리석음을 깨우치면서 진행되는데, 실옹이 허 자에게 가르치는 내용은 인물균 사상, 우주무한론, 역외춘추론 세 가지다. 인물균(人物 均) 사상은 사람과 금수 및 초목이 모두 동등하다는 사상이다. 예의가 다를 뿐 하늘에서 바라보면 사람과 물은 평등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우주무한론에서는 사람과 사물의 근 본을 묻는 허자의 질문에, 실옹은 생명의 근본은 천지라고 하면서 천지의 모습을 설명 한다. 역외춘추론은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을 비판하는 주장으로, 춘추를 집필한 공자가 중국이 아니라 변방 오랑캐에서 나왔다면 역외춘추가 나왔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으니 미소를 머금게 한다.

마 음 의 실 심 자 세

(4)

-역외춘추론(域外春秋論)

“공자는 주나라 사람이다. 왕실이 날로 낮아지 고 제후들이 쇠약해지자 오나라와 초나라가 중 국을 어지럽혀 도둑질하고 해치기를 꺼려하지 않았다. 춘추란 주나라의 사기(史記)인 바, 안 과 바깥에 대해서 엄격히 하는 것이 또한 마땅 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공자가 배를 타고 구이(九夷,조선)로 와 서 살았다면 중국문물을 사용하여 오랑캐의 풍 속을 변화시키고 주나라 도를 역외에 일으켰을 것이다. 그런즉 안과 밖이라는 구분과 높이거 나 물리치는 의리에 있어 마땅하게 역외춘추를 말했을 것이다. 공자가 성인이 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담헌의 실심은 역사의식으로 나타나며 객관적이고 주체적인 정신을 강조함.

담헌실심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역외춘추론’

(5)

담헌은 청조에 대한 배청의리를 지키면서도 중국이 아닌 오랑캐이기 때문에 배척하는 것이 아님

→ 병자호란의 침략자에 대한 저항으로 분별하는 것.

청조의 문물이 오랑캐의 것이기 때문에 거부해야 하는 것이 아님

→그것이 우리에게 유용한 것이기 때문에 배워야 한다는 입장을 선호 함

담헌은 궁극적으로 화이 구분 자체를 부정, 여기에서 화이론에 예속되지 아니하는 실다운 마음에서 기존의 화이론에 대한 비판에서 중국이 오랑 캐이고 조선이 ‘화’가 아니라 화이 자체를 거부하는 생태적 실심의 심원 (深遠)을 보여주고 있다.

실심의 심원

(6)

-실심은 이론적 실천양식을 끊임 없이 자문하 는 탐구정신, 이론측면에서는 실사는 인식기 반을 현실경험의 실증적 토대에 두는 과학적 사유→선험적인 판단보다 현실적 경험과 실증을 높이 산다.

-실심은 이론실천 양식의 종착에 해당하는 실 지를 중시하는 실질정신, 담헌은 실사구시를 위한 실심과 실사에 실지를 첨가하여 삼원사 유를 강조

→실지라는 현실이 실학에서는 소중함

실증주의 태도

(7)

실심(實心) 실사(實事) 실지(實地

)

-생태계에 대한 이론적 실천양식의 삼원구조

→ 동북 샤머니즘을 공유하는 한 〮 중 〮 일 〮 몽골의 문화 기저에 깔려 있는 삼수 분화와 연관된다.

(8)

 담헌의 사유에 이러한 삼수분화의 세계관에 근거한 삼원사유 의 구조를 하고 있음을 보게 됨

 삼수분화 세계관은 상황과 맥락을 존중한 가운데 세계윤리를 지향하는 역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

 21세기는 투쟁보다는 평화와 화해, 억압보다는 해방의 공존 공영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함

삼원사유 구조

(9)

희망을 이어가기 위한 공공실천

어떻게 가능한가? <58 참조>

(10)

인격도야와 무지 제거에 대해 실질적인 탐구를 해야 한다.

실 심 실 학

(11)

홍대용 『담헌서』

• 실심, 실사로써 날로 실지를 밟 아 먼저 이 진실의 본령이 있어 야 한다.

• 의리를 버리면 경제가 공리에 흐르고 사장이 경박함에 빠지 니 어찌 학문이라 할 수 있겠는 가. 경제가 없으면 의리를 펼 데가 없으며, 사장이 없으면 의 리를 나타낼 수가 없다.

(12)

희망의 꽃, 신념

• 공공시민으로서 세계시민성 추구하는 사회

• 횡단으로 매개하는 공공 시민성(trans-versal

public common citizenship)

(13)

• 주권을 지닌 개별 국가들 사이의 공존과 협력에 기초한 국가를 횡단 매개하는 시민성의 관념

• 개별 국가의 시민들이 다양한 형태의 NGO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기회를 확대함

(14)

다산 정약용의 愼獨事天<59>

1. 다산 사상배경 2. 다산 수양론 3. 다산 신독사천

•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서학을 통해 당시 세 계관을 혁신하고자 노력하였다. 서학의 영향을 받은 다산은 성리학 사고에서 벗어나 새 철학을 구축하였으며, 그 속에서 실존고민을 융합하였다.

이 철학적 전환의식에 팔복의 길을 발견한다. 팔 복과 관련된 다산의 대책방안은 한마디로 ‘자주 지권’(自主之權)이다. ‘자주지권’은 천부권리이자, 인간 스스로 선악을 선택하고 결단할 수 있는 주 체적 자각권리이다. 이를 통해 공동체구조의 메 커니즘에서 벗어나, 독립적이며 존엄하게 자기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했다. 전통형이상학,

‘이기론’을 해체하는 대신에 초월존재, 상제로서 매개하였다. 노년소외 영역도 인격독립 주체로서 자주지권을 자각한다면, 소외가 오히려 축복으로 전환된다는 발상전환이다. ‘자주지권’은 신독사천 의 사상형성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15)

1. 다산 수양론의 철학적 배경

1) 다산의 상제(上帝)

· 인간에게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 끄러워하는 착한 본성 또는 도심(道 心)을 부여한 존재

· 우리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스 스로를 속이고 나쁜 생각이나 행동 을 하지 못하도록 우리를 악으로부 터 감시하며, 선한 행위를 하면 상 을 주고 악한 행동을 하면 벌을 주 는, 그래서 우리가 늘 삼가고 두려 워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존재

1.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

1836년 4월 7일은 조선 후기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

철학자·과학자·공학 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 는 다산(茶山)·

(16)

1. 다산 수양론의 철학적 배경

2) 다산의 성기호(性嗜好)와 자유의지

· 다산은 상제의 존재 때문에 인간의 성은 선을 좋아하고 악 을 부끄러워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까닭에 인간에게 선의

실천이 가능하고, 설사 악행을 일삼던 사람도 다시 선으로

되돌아올 수 있기 때문에, 즉 이러한 측면에서 다산은 성선

설을 옹호하고 있는 것이다.

(17)

1. 다산 수양론의 철학적 배경

2) 다산의 성기호(性嗜好)와 자유의지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산은 사람의 본성이 선하지만 실제 행동하는 데 있 어서 선의 실천은 어렵고 악에 빠지기 쉽다는 것을 인정한다.

· 그래서 인간의 마음은 누구나 선을 즐기고 악을 미워하지만, 실제 행동에 있어서는 선을 선택하기 어렵고 악을 선택하기 쉽기 때문에 자유의지의 관 점 아래 선과 악 가운데 어느 쪽도 선 택할 수 있는 것이다.

(18)

1. 다산 수양론의 철학적 배경

3) 실천을 통한 덕의 획득

· 다산은 사단이 내면의 사덕이 외 적으로 드러난 것이 아니라, 덕을 이루기 위한 시작이라고 주장한다.

· 덕은 그러한 사단의 실천에 의해 서 비로소 얻어지는 덕이다. 인의 예지의 四德이 행사에 있어서 경 험적 실천을 통해 얻어진다는 것 이다.

(19)

1. 다산 수양론의 철학적 배경

4) 다산의 보편적 덕

· 다산에게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덕은 ‘효(孝) · 제(第) · 자 (慈)’라고 규정한다.

① 효(孝) : 상하관계에서 아랫사람의 윗사람에 대한 덕

② 제(第) : 수평적 관계에 있는 사람 상호간의 덕

③ 자(慈) : 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덕

· 이러한 덕의 실천은 주로 가족공동체 속에서 처음으로 실

현되어 점차 사회공동체로 발전해나간다.

(20)

1. 다산 수양론의 철학적 배경

5) 행사(行事)의 수양론

· 다산의 윤리학은 마음 수양의 윤리학이 아닌 생활 실천의 윤리 학으로서, 소수의 정신적 우위를 가지는 엘리트주의가 아닌 일반 백성과 대중을 위한 공동체주의 이며, 사색이나 관조보다 결단과 실천을 우선시하는 행동의 윤리 를 지향한다.

(21)

2. 다산의 수양론

1) 공부의 기준 : 수사구학

· 수양법의 관심이 형이상학 자체보다 사회현실의 문제로 바뀌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 학문이나 진리 탐구보다 구체적 현실의 문제 해결에 더욱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다.

(22)

2. 다산의 수양론

2) 공부의 이상 : 소사지학

· 상제의 존재를 통해 인간이 감시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게 하여 자신의 마음가짐이나 행동을 바르게 하도록 하는 것

· 도덕적 자각은 외부의 자연현상에서 일깨워지는 것이 아

니라 선천적인 마음의 자각을 통해 이루어진다.

(23)

2. 다산의 수양론

① 신독(愼獨)

· 자신만이 알 수 있는 내면의 정 직성과 성실성을 견지하는 것으 로, 도심을 통해 명령하는 상제 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24)

2. 다산의 수양론

② 성의(誠意)

· 실제의 도덕적 문제 사태에서 구체적으로 뜻을 성실히 하는 것 이다.

③ 계신공구(戒愼恐懼)

· 하늘의 목소리를 두려워하고 공경하여 자신의 행동을 자제력 있게 하라는 것이다.

(25)

2. 다산의 수양론

· 다산의 공부론의 기초는 ‘사회현실참여’와 ‘사회적 실천’이 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체계를 바꾸 기 위해 무단히 노력하였다.

· 개인의 학문적 업적이나 심성 수양의 성과만을 중요시 하

는 것이 아니라 사회로부터 유리되지 않은 개인의 필요성도

강조하여, 사회적 자아 형성을 중요시 하였다.

(26)

3. 다산의 신독사천

· 다산의 수양은 신독을 지나 ‘서(恕)’를 통해 인륜실천으로 나아간다.

· 서(恕) : 타인과의 구체적인 관계로서 도덕적 선택과 책임 을 묻는 응답의 근거

· 인(仁) : 내면의 고요를 뚫고 의지적으로 선택하여 형성하 는 인륜관계

· 성(誠) : 진실성으로 ‘서’로 나아가는 윤리적 자세

(27)

3. 다산의 신독사천

· 구체적 타인과 만나서 이루어 지는 사태에서 윤리적 주체의 의 지적 실천을 중시한다.

· 대월상제 마음가짐의 성이 타 인관계에서는 ‘서’로 드러나고, 공자의 인을 ‘서’로써 이루며, 이 것을 매개로 신독사천이 상관연 동 관계임을 강조하였다.

(28)

부모와 자녀 화합

(29)

• 상제는 영명(靈明)으로 다가온다.

인간=‘기’와 영명의 결합 양태로 존재

→ 영명의 측면에서 윤리적 주체를 부각

→ 상제를 두려워하고, 내면에 깃들인 상제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함.

• 영명-선을 행하기는 어렵고

• 악을 행하기는 쉽다.

(30)

Q. 인간이 上帝에게 돌아가는 길은?

사랑

◆ 친민 영성과 초월지향 ◎

서학의 천주와 상제는 초월 근거를 제시한다. 이는 태극도설에서 나타났지만 인격 요소가 도덕 형이상학의 근거로 제시되었다. 이에 다산의 중용 주석은 동 일 관점에서 내재적 논고(論考)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실천적 삶은 천주교인 들 에게서 확고하게 나타났다. 그들의 신앙 윤리는 유교 윤리를 넘어서 핍박하는 사람을 사랑하고 사회계급을 타파하는 실천 사랑을 보여주었다. 효제자의 새로 운 해석은 개개인의 자발적 신앙고백의 차원이었으며 영성 사회변동을 유도하 였다. 이 때 비로소 유교문화에 친민 영성이 자리 잡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친 민 영성은 현대 언어로는 사회적 영성이다. 活命과 상통하며 사회 단결을 꾀하 고 사회 결핍을 치유하려는 인간의 도덕본성이다. 이는 종교의 제도화에 앞서 인간에게 내재된 순선의 도덕 의지 표현이다. 사회적 영성은 실천적 영성으로 목숨을 다하는 치명(致命)의 신앙고백으로 나타난다. 치명에 두 가지 뜻이 반영 되어 있다. 명을 다한다는 뜻과 천명을 다한다는 뜻이다. 목숨을 바쳐 천명을 다 하는 신앙의 실천은 다산이 제시한 ‘효·제·자’의 명덕이 구현되는 과정이다. 이 는 아래로 향하는 신민 영성이라기보다 위로 향하는 친민 영성에 가깝다고 할 것이다.

(31)

맑은 물이 채색 유리그릇에 담기면 채색된 것으로 보임

→ 내용물의 순수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그릇 자체가 수정 처럼 맑아야 한다.

물자체는 순수할 지라도 오염된 토양을 통해서 흘러내리면 불순물로 더러워짐.

→ 앙금과 오염물을 제거하려면 그 물은 여과되어야 함.

1 2

이처럼 부부의 사랑은 부모의 사랑이란 여과기를 거치면 서 확장되어서 제삼자의 가슴, 자녀의 가슴으로 흘러들 때 그 신성한 특성들을 더욱 많이 표출하게 됨.

(32)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상제의 형이상학적 칙령

상호간의 존중은 화합의 제단으로서 상제의 사랑을 통하여 발현

하늘의 영명은 사람의 마음에 직접 통한다

→ 이러한 상관연동은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 이어진다.

→ 부모는 자신들의 자녀를 부부의 사랑이 정화되고 확장될 영예로 운 사원으로 간주한다

.

(33)

- 유배생활의 어려움 속에서도 아들들에게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길을 제시 해 주면서 부모와 자식 사이의 사랑의 가치를 밝히고 있다

- 남자도 부엌에 들어가기를 권장,실용적인 학업에 소홀히 하지않을 것을 당부 - 끊임없는 독서의 중요성 강조

다산 정약용(茶山 丁 若鏞, 1762~1836년)

(34)

다산 정약용(茶山 丁 若鏞, 1762~1836년)

사사로운 온정보다는 공공실천을 향한 부단한 학업 매진과 지식을 쌓고 풍부한 상식을 넓히게 하려는

면모를 확인 할 수 있다.

(35)

• 친절함과 강력한 사랑스런 지도가 언제나 우세해야 하며, 열악한 환경이 되더라도 자녀를 거칠게 다루는 일이 되어서는 안 됨.

• 자녀들은 부모를 상제의 사랑이 제일 먼저 자신들에게 흘러 들어오는 관문으로 간주하여야 함.

• 가족은 성격 형성 신성한 사랑: 가족 사이 생산, 사랑의 변화.

<과제제출 안내>

1번 권동환 9번(윤리2) 권순민(지리3) 10번 권지언(지리 3) 18번 박병헌(윤리4)

19번 신자영(윤리 4) 27번 김태고(교육학과 다)

1. 1-9번, 1강-2강 중심으로 요점 정리하되, 해당 한국윤리교육사상론에서 두 문제 정리 2. 10-18번, 3강-4강 중심으로 요점 정리하되, 해당 한국윤리교육사상론에서 두 문제 정리 3. 19번-27번, 5강-6강 중심으로 요점 정리하되, 해당 한국윤리사상교육론에서 두 문제 정리 홈 페이지<http://web.chungbuk.ac.kr/~svision/>‘과제 제출’에 일주일 동안 정리하여 올림.

참조

관련 문서

다섯째 중증의 중년 우울여성은 나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내려놓는 과정을 통해 , 변화의 주체가 자기 자신임을 발견하고 입원을 도약의 기회로 바라보게

이에 STEAM 수업을 통해 우리 주변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이를 활용하여 실 제 음식 만들기 활동을 함으로써 에너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에너지를

무용 전공 대학생의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몰입과 중도탈락의도의 관계를 실 증적으로 규명하고 효과적인 무용몰입과 중도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어떠한 환경 이

본 연구에서는 상용탑차용 냉동시스템에 이산화탄소 냉매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냉장실험조건에서 Non-frost 상태에 대한 고내온도,

이에 본 연구는 치과에 내원하는 흡연자 를 대상으로 일반적, 구강건강 관련, 구강질환 관련, 구강건강 지식, 인식, 실 천도, 흡연,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하지만 단순히 스마트폰을 멀리하 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만으로는 올바른 교육이라고 말하기 힘들며 실 제 스마트폰이 학습에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r]

우리가�그토록�찾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