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5-6-김민송김정열-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연구.pdf(654.0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65-6-김민송김정열-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연구.pdf(654.0K)"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연구

- 대학 마스코트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Preference for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 Focused on college mascot design cases -

주저자 : 김민송(Kim, Min Song)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교신저자 : 김정열(Kim, Jeong Yeol)

총신대학교 교수

graphicjy@chongshin.ac.kr

(2)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

2.2.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B.I.P.) 2.3. 대학 아이덴티티와 대학 마스코트 3. 대학 마스코트 현황

3.1. 대학별 마스코트 보유 현황 3.2. 대학별 마스코트 유형별 보유 현황

비참여형 및 참여형 마스코트 디자인 분석 4. 실증연구

4.1. 설문조사 및 연구문제 설정 4.2. 설문조사 분석 및 검증 4.3. 소결

5. 결론 및 제언 5.1. 결론

5.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요약)

국내 대학에서 보유하고 있는 마스코트는 대학 아 이덴티티 디자인과 함께 대학의 정체성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대학 마스코트의 경우, 다 양한 캐릭터 굿즈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대학생을 넘 어서 일반인에게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와 같 이 대학 마스코트는 캐릭터 굿즈뿐만 아니라, 이모티 콘, 홍보용 영상, 대학 홈페이지까지 등장하여 다양한 곳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학 마스 코트들은 최근 사용자가 참여하여 디자인한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가 참여함으로써 다양한 아이 디어가 도출되고, 다양한 곳에 활용된 것을 알 수 있 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 중 대학 마스코트 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의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서울권 대 학 57곳을 중심으로 마스코트 유무를 파악했고, 사용 자 참여 유무를 파악하여 사용자 참여형 마스코트와 사용자 비참여형 마스코트를 모두 사용하는 대학 3곳

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마스코트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 으로 분석했다.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의 구 성 요소를 기준으로 대학 마스코트 디자인을 분석했 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학 마스코트에 대한 일반인들의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 의 평가 결과가 비참여형 마스코트와 참여형 마스코 트의 평가가 정반대로 나온 것을 확인했다. 둘째, 참 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 은 것으로 확인했다. 위와 같은 결과, 대학 마스코트 를 개발 시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가 필요하다고 생 각하며,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또 한,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 마스코트의 개발 및 유사 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 대학 마스코트, 디자인 선호도

(Abstract)

The mascots of domestic universities were made to deliver the identity of each university along with its identity design. In case of university mascot, they were made to various character goods and gain popularity not only from college students but also from the general people. Likewise, college mascots are actively utilized as emoticons, PR clips, college websites beyond simple character goods. Recently, the number of cases which users participated in designing these college mascots increased. By so doing devised in the various ideas and diverse utilization of the designs.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college mascots created by user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nd investigated the preference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For this research, 57 colleges’ mascots in Seoul, South Kore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etween the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design.

Among, three colleges, which use both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designed mascots, were chosen for research subjects.

To investigate the mascot preference, two

methods were used. First, the college mascots design

3.3.

(3)

was analyzed by the standard of the brand identity prism components. Second, by college mascots questionnaire,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was examin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dentified two outcomes. First, the brand identity prism evaluation result for non-participatory mascot is opposite of participatory. Second, the preference of participatory design mascot is higher than the non-participatory design mascot. Based on this research outcome, it is necessary to apply user participatory design when a college designs its mascot.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is used as reference for college mascot development and other similar research.

Keyword : User Participatory Design, College Mascot, Design Preference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대학 마스코트는 학생들의 애교심을 높이고, 대학 을 홍보할 수 있는 하나의 매체가 되었다. 대학가에 서는 마스코트 굿즈(Goods)를 구매하기 위한 학생들 이 생기기 시작했다(한국경제매거진 & 한경 잡앤조 이, 2018.5.28). 한국교육방송의 대표 캐릭터인 ‘펭 수’처럼 학교 마스코트를 활용하여 유튜브를 통해 학교 이미지와 인지도를 높이려는 학교들도 늘어났다.

성신여자대학교는 2018년 1월에 재학생 캐릭터 공모 전을 통해 선정된 ‘수룡이’를 활용하여 유튜브 채 널에서 브이로그(V-log) 영상을 통해 학교 인근 맛 집과 학교생활을 즐기는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 츠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있다(한국경제, 2019.12.

14).

최근 들어, 대학들은 마스코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을 많이 도입하고 있다. 기존에는 대학이 전문 디자인 업체에 의뢰를 통해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대학 마스코트를 제작하는 공급자 위주의 제작 프로세스였 다. 반면, 최근에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재학생 공모전 등을 개최했다. 학생이 참여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코트를 통해 새롭게 대학을 홍보하는 학 교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성대학교는 2019년 8월부터 5주간 열린 한성대 학교 캐릭터 공모전을 통해 ‘상상부기’ 마스코트를 선정했다(천지일보, 2019.8.29). 동덕여자대학교 역 시 2018년 실시한 동덕여자대학교 공식 캐릭터 공모 전의 당선작인 ‘솜솜이’를 학교의 공식 마스코트로 채택했다(동덕여자대학교 공식 블로그). 사용자 참여 형 디자인은 많은 분야에서 도입이 가능한 디자인 프 로세스이다. 부천문화재단은 2019년 시민참여형 공 공디자인 프로젝트 ‘모두의 디자인’으로 부천대학 교와 지역시민들의 참여로 부천시 심곡동의 조경과 벤치디자인을 디자인한 바 있다(클래시안, 2019.10.

31). 서울시는 올해 7월, 2020 공공디자인 시민공모 전을 통해 시민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2020 년 12월에 서울의 대표적인 빛 축제인 ‘서울라이 트’를 계획 중이다(우리문화신문, 2020.7.14).

본 연구에서는 대학 마스코트들의 사용자 참여형 마스코트 디자인 사례를 분석해보고, 사용자의 설문 조사를 통해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대학 본교를 소재한 대학 57 곳(종합대학, 특수대학, 전문대학, 전공대학 포함)의 마스코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서울 소재 대학에서 사용 중인 대학별 마스코트 보유 현황을 조사하고, 마스코 트를 보유 중인 대학들과 마스코트를 보유하지 않은 대학들로 분류했다. 둘째, 마스코트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들 중 비참여형 마스코트를 보유한 대학과 참여 형 마스코트를 보유한 대학으로 분류했다. 그 중 비 참여형 마스코트와 참여형 마스코트를 보유한 대학들 을 비교분석했다. 셋째, 대학 마스코트 디자인을 브랜 드 아이덴티티 프리즘의 요소를 기준으로 디자인 분 석을 진행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했다. 이 결과를 통해, 대학 마스코트 디자인의 사용 자 참여형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봤다.

2. 이론적 고찰

2.1.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

디자인 프로세스는 디자인 전문가가 프로세스를 주

도하는 방법론으로 사용자가 참여하여 계획 및 의사

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사용자 참여 디자

인(User Participatory Design)이란 계획 및 설계,

의사결정, 실행 그리고 전반적인 디자인의 질을 향상

(4)

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계획, 디자인,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Henry Sanoff, 2007, p.29). 사용자가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것의 장점 은 첫째, 소비자의 정확한 요구를 파악할 수 있으며,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둘째,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셋째, 디자인의 난이도를 사용자에게 맞춰 처음부터 조절하여 디자인할 수 있 다(Leela, 1996).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참여한 디자인 프로젝트는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과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참여형 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공공기관이 나 공공서비스에 관련한 연구가 많았다. 정이삭 (2018)은 동두천 장애인 복지관의 ‘햇살큰방’을 중심으로 참여디자인 방법 중 바텀업(Bottom-Up) 접근법을 활용하여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연구를 진행 했다. 황동호(2019)는 참여형 디자인을 통해 학교 공간개선을 한 후, 이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를 진행 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의 아쉬운 점은 참여형 디자인 사례와 비참여형 디자인 사례를 서로 비교하 는 연구는 없었고, 참여형 디자인만을 연구의 단일 대상으로 삼은 경우가 많았다.

2.2.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B.I.P.)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은 브랜드의 ‘개성, 목 표와 비전, 일관성, 가치, 진실, 인지적 표식’ 등 여 섯 가지가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Brand Identity Prizm)이라는 모델을 통해 아이덴티티 구성 요인을 ‘물리적 특성, 개성, 관계, 문화, 사용자 이미 지, 자아 이미지’ 등 여섯 가지로 세분화하여 정리 했다(Kapferer, 1992, p.43).

첫째, ‘물리적 특성’은 특정 브랜드를 이야기할 때, 떠오르는 브랜드만의 독립적인 특징을 말한다. 둘 째, ‘개성’은 광고에서 부여하는 브랜드와 연관된 일련의 인간적 특징을 말한다. 셋째, ‘문화’는 브랜 드가 추구하는 가치관을 말하며, 브랜드의 철학과 열 정 등을 말한다. 넷째, ‘관계’는 소비자들 간에 브 랜드의 태도 등 무형적인 교환 기회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다섯째, ‘사용자 이미지’는 브랜드가 대중에게 보여주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말한다. 여섯 째, ‘자아 이미지’는 브랜드에 대해 사용자가 갖게 되는 내부적인 관계 유형을 말한다(손일권, 2007, pp.194-197).

[그림1]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

이와 같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를 반영 하여 대학 마스코트를 만든다면 대학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구성 요소 를 활용하여 마스코트를 디자인하게 된다면 더욱 효 과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2.3. 대학 아이덴티티와 대학 마스코트 2.3.1. 대학 아이덴티티

통합적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대표적으로 엠블럼, 슬로건, 마스코트, 그래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이영 화, 2018, pp.157-158).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구성 요인은 물리적 특성, 개성, 관계, 문화, 사용자 이미 지, 자아 이미지 등의 여섯 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를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이라는 모델로 표현하

기도 한다(Kapferer, 1992, p.43).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University Identity Design)은 대학의 이념

과 교육관 등 대학의 전반적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UI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며 심볼마

크, 로고타입, 마스코트 디자인 등으로 이루어진다(안

혜신과 김태선, 2016, p.215). 대학에서는 아이덴티

티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잘 활용하여 대학의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학교 홍보에 효과

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대학 발전에 도움이 되

도록 해야 한다.

(5)

2.3.2. 대학 마스코트

대학 마스코트는 대학의 행사나 각종 프로모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캐릭터로서 대학의 이미지를 나 타낸 대학 홍보 정책 중 하나이다. 훌륭한 대학 캐릭 터는 대학 구성원들의 의식개혁, 주체성 확인, 의식의 통합화를 유도하며, 예비 대학생이나 이해 집단에게 대학의 개성과 이미지를 기억시킬 수 있다(권윤경, 2008, p.167). 대학 마스코트는 대학의 상징 이미지 인 심볼마크, 로고타입, 폰트 등과 달리 대학교 공식 홈페이지에서 학교 상징으로 공개하는 경우가 드물다.

대부분의 대학 마스코트는 대학 아이덴티티가 만들어 지고 난 후,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만들어진 마 스코트는 공식 블로그나 대학 뉴스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건국대학교의 마스코트인 ‘쿠(KU)’이다 (건국대학교 공식 블로그). 재학생 공모전을 통해 만 들어진 마스코트는 대학을 상징하는 황소를 모티브로 디자인하였으며, 황소의 컬러인 연갈색과 건국대학교 의 상징색인 초록색을 활용하여 디자인했다. 마스코 트의 이름은 학교명 ‘Konkuk University’의 약자 를 활용하여 ‘KU’라는 이름을 지었다[그림2].

[그림2] 건국대학교 마스코트와 활용 사례

건국대학교 마스코트의 유형적 활용 예시인 캐릭터 상품과 무형적 활용 예시인 홍보용 영상을 만들어 활 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학 마스코트들은 유·무 형적인 사례를 활용하여 대학 홍보에 이용할 수 있다.

유형적인 사례로는 인쇄매체, 기념품, 캐릭터 상품 등 이 해당된다. 무형적인 사례로는 이모티콘 개발, 홍보 용 영상, 홈페이지, SNS 홍보 등에 대학의 마스코트 를 활용할 수 있다.

3. 대학 마스코트 현황

3.1. 대학별 마스코트 보유 현황

서울에 본교가 있는 대학들을 기준으로 마스코트 보유 현황을 조사했다. 총 57곳의 대학의 마스코트 유무를 파악했다. 해당대학은 종합대학과 특수대학 44곳, 2·3·4년제 전문대학 10곳, 2년제 전공대학 3곳으로 구분된다. 단, 서울에 캠퍼스가 있지만, 본교 가 서울이 아닌 타 지역에 위치한 대학 2곳(경기대학 교, 한국과학기술원)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했다.

총 57개의 대학 중 마스코트를 보유 중인 학교로는 건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29곳을 확인했다. 대학 중 마스코트를 미 보유 중인 학교는 고려대학교, 세종대학교, 총신대학교 등으로 28곳을 확인했다[표1].

3.2. 대학별 마스코트 유형별 보유 현황

마스코트를 보유 중인 29개의 대학 중 비참여형 디 자인으로 만들어진 마스코트를 보유 중인 대학은 총 14곳으로, 국민대학교, 서강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이 있다. 참여형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마스코트를 보유 중인 대학은 총 18곳으로, 건국대학교, 광운대 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등이 있다. 비참여형 디자인의 마스코트와 참여형 디자인의 마스코트를 모두 보유한 대학은 총 3곳이 있으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여 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가 있다[표2].

구분 학교명

마스코트 보유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 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 대학교, 명지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여 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숙 명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 교, 한국체육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 육군사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 교, 한양여자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교 총 29곳

마스코트 미보유

가톨릭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고려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서 울대학교, 서울한영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세 종대학교, 숭실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총 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케이씨대학교, 서 울교육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동양미래대 학교, 명지전문대학, 배화여자대학교, 삼육보 건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인덕대학교, 국제대학교, 백 석예술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총 28곳

[표1] 서울 소재지 대학들의 마스코트 보유 현황

(6)

3.3. 비참여형 및 참여형 마스코트 디자인 분석 3.3.1. A대학교 마스코트

A대학교는 첨단 과학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대 학이다.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타임머신 이미지를 모 티브로 디자인했다. 마스코트의 전체적인 비율은 1등 신의 형태이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2010년 홍보작품 공모전 대상 수상작이다(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 지). 사이버 인간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했다. 마스코 트의 전체적인 비율은 2등신의 형태이다. 비참여형 마스코트 컬러는 빨간색이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파 란색으로 변경하여 새롭게 디자인했다. 비참여형 마 스코트는 첨단 과학과 기술의 이미지를 상징했지만, 참여형 마스코트는 역사와 미래를 동시에 상징하는 의미를 부여했다[표3].

3.3.2. B대학교 마스코트

B대학교의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학교 이름의 이니 셜을 의인화시켜 디자인했다. 마스코트의 전체적인 비율은 1.5등신의 형태이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2017년 학교 캐릭터 리뉴얼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작 이다(서울여자대학교 홈페이지). 여대의 이미지를 나 타내기 위해 여성을 마스코트 모티브로 디자인했다.

마스코트의 전체적인 비율은 2등신의 형태이다. 비참 여형 마스코트 컬러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을 사용 했다. 참여형 마스코트도 기존에 사용했던 컬러를 동 일하게 활용해 통일성을 강조해서 디자인했다. 비참 여형 마스코트의 개성요소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이미 지를 상징했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함께’라는 의 미를 부여해서 디자인했다. 자아 이미지에서는 개성 과 협력의 이미지를 동일하게 표현했다[표4].

구분 학교명

비참여형 마스코트 보유

국민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 학기술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 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 어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홍익대학교, 육군 사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폴리텍 총 14곳 대학교

참여형 마스코트 보유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덕성여 자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명지 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 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 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 앙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여자 총 18곳 대학교

모두 보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숙명 여자대학교

총 3곳

[표2] 마스코트 유형별 보유 현황

구분 비참여형 마스코트 참여형 마스코트

마스코트 이미지

이름 타임머신 로지

컬러 빨강 파랑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 분석 물리적 특성 타임머신의 형태,

1등신의 형태 사이버인간의 형태, 2등신의 형태 개성 첨단 과학과 기술의 역사와 미래를

[표3] A대학교 마스코트 비교 분석

이미지 동시에 상징

문화 미래지향적인 가치관 끊임없이 발전하며 꿈을 키움 자아

이미지 미래로 발전하는

이미지 꿈을 키우며

나아가는 이미지 사용자

이미지 첨단과학을

이끌어나가는 리더 과학과 기술을 융합하는 리더 관계 발전하는 대학교의

이미지를 전달 학문에 대한 열정과 6개 대학을 상징

구분 비참여형 마스코트 참여형 마스코트

마스코트 이미지

이름 슈먼 슈리, 웬디, 유시

컬러 빨강, 노랑, 파랑 빨강, 노랑, 파랑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 분석 물리적 특성

대학의 이니셜 SWU의 형태, 1.5등신의 형태

다양한 여성들의 형태, 2등신의 형태

개성 자유롭고 창의적 ‘우리’에 의미를 두었다.

문화 도전, 공손함, 호기심 똑똑함, 호기심, 세계화 이미지 자아 개성과 협력의

이미지 개성과 협력 이미지

사용자

이미지 여학생들이 하나의

힘을 이루는 이미지 각 분야에서

성장하는 여학생의

[표4] B대학교 마스코트 비교 분석

(7)

3.3.3. C대학교 디자인 분석

C대학교의 참여형 마스코트는 학교 교표에 표현된 눈송이를 의인화시켜 디자인했다(숙명여자대학교 홈 페이지). 마스코트의 전체적인 비율은 3등신의 형태 이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2013학번 동문 디자이너와 시각영상디자인과 학생들의 리뉴얼 공동 작업을 통하 여 기존의 마스코트를 개선해서 제작했다. 마스코트 의 전체적인 비율은 2등신의 형태이다. 비참여형 마 스코트 컬러는 파란색을 사용했다. 참여형 마스코트 에도 동일한 컬러인 파란색을 활용했다. 이니셜

‘S’부분만 노란색으로 강조했다. 비참여형 마스코 트는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이미지를 부여했다. 참여 형 마스코트는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를 부여했 다[표5].

4. 실증연구

4.1. 설문조사 및 연구문제 설정 4.1.1. 설문조사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소재 대학 총 57개의 대학 중 마스코트 비교 대상을 함께 보유한 대학 3곳을 선 정해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 대상은 총 127명으로 대학 마스코트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성별과 나이에 상관없이 무작위로 선정하여 진행했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0년 11월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진행했다. 조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법을 통해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4.1.2. 연구문제 설정

대학 마스코트의 선호도는 다음 연구문제를 중심으 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대학별 B.I.P. 분석 및 대 학별 기술통계량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문제 :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 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연구가설 1 : A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연구가설 2 : B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연구가설 3 : C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4.2. 설문조사 분석 및 검증 4.2.1. 대학별 B.I.P. 분석 결과

아래 표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별 B.I.P.

분석 결과이다[표6].

B.I.P. 분석 도표

A대학 B.I.P. A1 A2

a 60 67 b 78 49 c 56 71 d 65 62 e 74 53 f 50 77 [표6] 대학별 B.I.P. 분석표

이미지

관계 서로 다른

여학생들이 함께 어우러짐

우리는 나보다 똑똑하다는 의미

구분 비참여형 참여형

마스코트 이미지

이름 눈송이 ver 1.0 눈송이 ver 2.0

컬러 파랑 파랑, 노랑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 분석 물리적

특성

눈꽃의 형상.

뾰족함이 느껴짐, 3등신의 형태

완만한 곡선과 원의 형태, 2등신의 형태 개성 부드러우면서도 강함 아기자기하고 귀여움

문화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열심히

성장함

미래를 이끌어가는 부드러운 힘 자아

이미지 우아하고 현명한

이미지 활기차고 부드러운

이미지 사용자

이미지

부드러우면서도 힘있는 여학생의

이미지

세련되고 활발한 여학생의 이미지

관계 늘 깨어있는

숙명인의 모습

숙명인의 자부심과

미래를 향해

도전하는 모습

[표5] C대학교의 마스코트 비교 분석

(8)

A대학의 경우,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개성, 자아 이미지, 사용자 이미지’ 3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물리적 특성, 문화, 관계’의 3 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B대학의 경우,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개성, 문화, 자아 이미지, 사용자 이미 지’ 4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물리적 특성, 관계’ 2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C 대학의 경우,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자아 이미지’

1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는 ‘물 리적 특성, 개성, 문화, 사용자 이미지, 관계’ 5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 참여형 마스코트 중 C대학의 참여형 마 스코트가 설문조사 참여자들이 가장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가장 낮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2. 연구문제 검증

연구문제는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 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로 설문조사를 진행했 으며, 아래 표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별 기술통계량을 정리한 결과이다[표7].

연구가설 1 : A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A대학의 비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사용자 이미지 3.13) > 물리적 특성(3.09) = 개성(3.09)의 순서대 로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물리적 특성(3.28) > 관계(3.19) > 개성 = 문 화(3.18) > 사용자 이미지(3.17) > 자아 이미지 (3.06)의 순서대로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비 참여형 마스코트는 3개의 요소가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며, 참여형 마스코트는 6개의 요소가 평균 이 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전체 평균은 참여형(3.18) >

비참여형(3.00)으로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 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가설 2 : B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B대학의 비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관계(3.43) >

물리적 특성(3.28)의 순서대로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관계(3.69) > 물 리적 특성(3.39) > 개성(3.09)의 순서대로 평균 이 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2개의 요소가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며, 참여형 마스코 트는 3개의 요소가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전 체 평균은 참여형(3.08) > 비참여형(2.90)으로 참여 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가설 3 : C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C대학의 비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개성(3.44) >

물리적 특성(3.24) > 관계(3.06)의 순서대로 평균

B대학 B.I.P. B1 B2

a 61 66 b 80 47 c 69 58 d 76 51 e 71 56 f 58 69

C대학 B.I.P. C1 C2

a 45 82 b 63 64 c 60 67 d 69 58 e 56 71 f 15 112 비고. a. 물리적 특성 b. 개성 c. 문화 d. 자아 이미지 e. 사 용자 이미지 f. 관계

구분 A대학 B대학 C대학

비참 여형 참여

형 비참

여형 참여

형 비참

여형 참여

형 물리적

특성 3.09 3.28 3.28 3.39 3.24 3.46 개성 3.09 3.18 2.99 3.09 3.44 3.30 문화 2.74 3.18 2.69 2.83 2.91 3.18 사용자 이미지 3.13 3.17 2.45 2.87 2.90 3.06 이미지 자아 2.98 3.06 2.54 2.63 2.73 2.88

관계 2.95 3.19 3.43 3.69 3.06 3.72 전체 평균 3.00 3.18 2.90 3.08 3.05 3.27

[표7] 대학별 기술통계량

(9)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관 계(3.72) > 물리적 특성(3.46) > 개성(3.30) > 문 화(3.18) > 사용자 이미지(3.06)의 순서대로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비참여형 마스코트는 3개의 요소가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며, 참여형 마스코 트는 5개의 요소가 평균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전 체 평균은 참여형(3.27) > 비참여형(3.05)으로 참여 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별 기술통계량의 기준으로 대학별 선호도를 보 았을 때, 전체 대학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온 것을 확인했다. 특 히, 전체 평균을 확인해 본 결과, C2(3.27) >

A2(3.18) > B2(3.08) > C1(3.05) > A1(3.00) >

B1(2.90) 순서로 나타났다. 5개의 마스코트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부분별로 확인해 본 결과, 물리적 특성은 전체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고, 개성과 관계는 5개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이미지는 3개, 문화는 2 개, 자아 이미지는 1개의 마스코트에서 평균 이상으 로 나타났다.

참여형 마스코트가 비참여형 마스코트에 비해 사람 들에게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C대학의 참여형 마 스코트의 경우, 전체 평균 합계에서 가장 높은 점수 를 받았으며, A대학의 비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전 체 문항이 보통 이상의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소결

디자인 분석을 진행한 학교는 비참여형 마스코트와 참여형 마스코트를 모두 보유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의 마스코트를 분석 했다. 대학 마스코트를 분석한 결과, 대학 아이덴티티 의 그래픽 모티브와 학교의 상징물을 기반으로 제작 됐다. 컬러는 삼원색을 활용해서 디자인한 것을 확인 했다. 대학 마스코트의 제작 순서는 비참여형 마스코 트를 제작하여 사용한 후, 참여형 마스코트를 추가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보유하고 있 던 비참여형 마스코트를 개선하기 위하여 교내 공모 전이나 마스코트에 관심이 높은 재학생들의 디자인 제안을 선정하는 방식 등을 선택하여 학생들의 참여 를 유도하여 사용자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디 자인했다.

B.I.P. 분석 결과는 비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자 아 이미지 요소가 높은 평가를 받았고, 브랜드를 실

제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구체화하여 외면화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여형 마스코트의 경우, 관계 요소가 높은 평가를 받았고, 브랜드 자체가 소비자들 에게 상징하거나 표현하고자 하여 내면화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비참여형 마스코트와 참여형 마스코트의 결과가 반대로 나온 것을 확인했다.

대학 마스코트 선호도 조사의 결과, C대학교의 참 여형 마스코트가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A대 학교의 참여형 마스코트가 전체 요소에서 평균 이상 의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전체 대학별 선호도 순위 를 알아본 결과, 숙명여자대학교 참여형 마스코트 (C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참여형 마스코트(A2), 서 울여자대학교 참여형 마스코트(B2), 숙명여자대학교 비참여형 마스코트(C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비참여 형 마스코트(A1), 서울여자대학교 비참여형 마스코트 (B1)의 순으로 나왔다. 상위에는 참여형 마스코트가 나열됐고, 하위에는 비참여형 마스코트가 나열된 것 을 확인했다.

5. 결론 및 제언 5.1. 결론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만 족도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우선 연구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B.I.P. 기준으로 디자인 분석을 진행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참여형 디자인의 선호 도를 알아봤다.

위의 결과,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이 비참여형 디자 인보다 선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사용자가 직접 참여한 디자인이 사람들에게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 이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디자인을 한다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추후, 대학 마스코트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

사용자가 참여할 경우, 디자인 결과물의 선호도가 상

승할 수 있다.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은 사용자의 관

점에서 디자인을 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

족도를 높일 수 있는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

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마스코트

디자인과 유사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사용자

가 참여하게 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디자인의 효과성과 사업성을 판단하는데 하나의 척도

로서 도움이 될 수 있다.

(10)

5.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본 연구에는 세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서 울이라는 지역을 한정적으로 조사를 진행하여, 57개 의 대학을 전체 조사를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해당되 는 대학은 3곳 밖에 없었다. 그로 인해, 다양한 사례 분석과 결과를 도출 할 수 없었다. 둘째, 설문조사의 표본수의 한계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 자의 수는 총 127명이었다. 추후 더 많은 수의 모집 단을 확보해야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 을 것이다. 셋째, 설문조사 대상자에게 브랜드 아이덴 티티 프리즘의 용어인 물리적 특성, 개성, 문화, 사용 자 이미지, 자아이미지, 관계 등과 같은 용어를 일반 용어가 아닌 디자인적 관점의 용어로써 교육 및 이해 가 더 필요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는 충분한 경험을 바탕으로 설문조사에 응답을 정확하게 못했을 가능성 이 존재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파악 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세부적인 계획을 통해 심층적 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것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 권윤경. (2008). 대학의 캐릭터 디자인 분석.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8(5), p.167.

∙ 손일권. (2007). 브랜드 아이덴티티. 서울: 경영정신.

∙ 안혜신, 김태선. (2016). 대학교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디자인 상품 개발. 조형디자인연구, 19(3), p.215.

∙ 이영화. (2018). 동계올림픽 통합 아이덴티티의 시각 적 구성요소와 특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pp.157-158.

∙ 정이삭. (2018). 바텀업(Bottom-up) 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한국공간디자인 학회논문집, 13(4).

∙ 황동호. (2019). 참여적 공간디자인을 통한 학교 공간 개선 후 이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 회논문집, 14(2).

∙ Henry Sanoff. (2007). Principles and Purposes of Participatory Design. 대한건축학회지, 51(9), p.29.

∙ Jean-Noel, Kapferer. (1992). Strategic brand management : new approaches to creating and evaluating brand equity. The Free Press.

London.

∙ Leela Damodaran. (1996). User involvement in the systems design process - a practical guide for users. 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15(6).

∙ 우리문화신문. (2020.7.14). 밤이 아름다운 빛 축제

<서울라이트> 공모에 응모해볼까?. Retrieved 2020.1 0.14. from http://www.koya-culture.com/mobile/a rticle.html?no=125232

∙ 천지일보. (2019.8.29). 한성대, 공식 캐릭터 공모전 개최... 5주간 신청 접수. Retrieved 2020.10.29. fro m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 dxno=662786#_enliple

∙ 클래시안. (2019.10.31). 부천문화재단, 시민이 직접 디자인하는 문화도시 부천!. Retrieved 2020.10.29.

from http://www.classian.co.kr/news/articleView.h tml?idxno=3398#_enliple

∙ 한국경제. (2019.12.14).‘펭수 열풍’에 캐릭터 개 발 공들이는 국내 대학들. Retrieved 2020.11.5. fro m http://www.google.co.kr/amp/s/www.hankyung.c om/society/amp/201912121907i

∙ 한국경제매거진 & 한경 잡앤조이. (2018.5.28). 가장 센스있는 대학 마스코트는 어디?. Retrieved 2020.10.

28. from http://www.jobnjoy.com/portal/joy/corres pondent_view.jsp?nidx=282079&depth1=2&depth2

=1&depth3=1

∙ 동아일보. (2018.5.23). 눈꽃 모양 교표 의인화한

‘눈송이’... 학우들의 사랑을 한몸에. Retrieved 20 20.11.5. from http://www.donga.com/news/article/

all/20180522/90188981/1

∙ 건국대학교 공식 블로그. Retrieved 2020.10.28. fro m http://blog.naver.com/dreamkonkuk

∙ 동덕여자대학교 공식 블로그. Retrieved 2020.10.28.

from http://blog.naver.com/dongduk_w_univ

∙ 서울여자대학교 홈페이지. Retrieved 2020.11.4. fro m http://www.swu.ac.kr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Retrieved 2020.11.4.

from http://www.seoultech.ac.kr

∙ 숙명여자대학교 홈페이지. Retrieved 2020.11.4. fro m http://www.sookmyung.ac.kr

전자우편: graphicjy@chongshin.ac.kr

원고접수일: 2020년 11월 23일

심사완료일: 2020년 12월 16일

게재결정일: 2020년 12월 22일

3명의 익명(匿名)에 의한 심사.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college English course by English majors and non-majors. Three research questions

In this thesis, basic design process for an icebreaker is introduced, a reamers’ effects on resistance performance in open water is examined by model tests and a

n this paper, I examined the rights and the use of artifacts created by the machine learning proces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y applying the copyright law review and the

➢ Motivate and justify, on scientific grounds, the choice of research design and research methodology in relation to a given research question.. ➢ Choose research design and

사용자 경험 측정 사용자 경험 측정 (Measuring User Experience) (Measuring User Experience)6. Self-Recorded Metrics

This study derives the attributes of 'product design identity'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and verified whether the 'product design identity'

Accordingly, the study applie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at corporations mainly and recently use in the creative idea generating process to the

This section describe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agnostic algorithm for abnormal situations using ANN. 6 illustrates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the diagno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