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머리말머리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머리말머리말"

Copied!
1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머 리 말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이 원 덕

(4)

목 차

요 약

제 장 연구개요 1

제 장 경제성장의 인적자원개발 기여의 이론적 논거 및 개념정의 2

(5)

제 장 내생적 성장 관련 이론 및 모형연구 3

제 장 본 정책연구의 내생성장모형 4

(6)

제 장 한국과 동아시아의 내생성장 추정과 보정 5

ρ

(7)

제 장 6 1975~2004 년의 내생성장추정결과 요약 및 정책과제

(8)

표목차

< >

ρ

(9)
(10)

그림목차

[ ]

그림 Ⅴ 동아시아 인당 성장률 추이

(11)
(12)

요약

【 】

연구개요

1.

(13)

실증분석 결과

2.

(14)
(15)
(16)
(17)

과제 및 시사점

3.

(18)
(19)
(20)

제 1 장

연구개요

제 절 연구 목적 1

(21)

제 절 연구의 중요성 2

사회과학적 의미의 중요성 1.

(22)

정책적 의미 2.

(23)

제 절 연구 계획 3

연구계획 및 범위 1.

(24)

본 보고서 작성 순서 2.

(25)
(26)

제 2 장

경제성장의 인적자원개발 기여의 이론적 논거 및 개념정의

제 절 인적자원개발의 경제성장 과정 1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지식창출 1.

(27)
(28)
(29)

제 절 국부창출과 인적자원의 기여 2

국부창출 과정에서 질적 인적자원의 역할 1.

(30)

π

π

π

π

π

인적자본의 경제성장 기여도 실증 분석 2.

(31)
(32)

기존 실증연구의 추정결과의 비교 3.

(33)
(34)
(35)

제 절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추진 배경 3

경제성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1.

(36)

물적요 소 토 지, 노 동, 자본

인적 요소 질높 은 근로자 , 창의 적 기업가 , 전문 기 술자 등

지식 요소 대 학®기업 등이 가진 지 식• 기술력, 산®학®연 시스템, 지 식유통 인 프라 등

외국 인투자 유치, 기술 제휴 등을 효과적 으로 추진 할 경우 극복 가능

국 가차원 의 체계적•전략적 대 응이 부족 할 경우 선 진국 을 따 라잡기 어려움

(37)

국가발전의 국내 외 환경 변화

2. ․

(38)

제 절 본 연구에 사용된 용어의 개념정의 4

국가인적자원개발 1.

(39)
(40)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인적자원개발 인적자본

2. :

(41)

인적자원개발 3.

(42)

내생적 경제성장 4.

(43)
(44)

제 3 장

내생적 성장 관련 이론 및 모형연구

제 절 내생적 경제성장 이론 및 모형연구 1

내생성장이론 1.

인적자원개발이론 2.

(45)

로머 모형 3. 12)

       

        

(4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루카스의 인적자본 모형 4.

(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애로우 세신스키 로머의 학습모형

5. - -

(5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연구개발모형

6. 19)

  

(53)

 

 

제 절 기존의 동아시아 및 한국의 내생성장 실증연구 2

동아시아 1.

(54)
(55)

한국 2.

내생적 성장의 교육기여 3.

(56)
(57)
(58)

제 4 장

본 정책연구의 내생성장 모형

제 절 기본모형 제안 1

기본모형개요 1.

(59)

∆

∆

∆

(60)



생산함수의 공급측면 2.

  

(61)

 

 

 

  

 

 

  

 

 

  

δ

(62)













생산함수의 수요측면 3.



 초등교육등록률초등학교학령기인구수

 중등교육등록률중등학교학령기인구수

 대학교육등록률대학교육학령기인구수

  

(63)

 

S+T

I+G

Y E

Invl

InvO

Yl Ye YO

S+T

I+G

O

S

(64)

해결방안

4. (solution)







 

(65)

 

μ

제 절 시간경과를 포함한 동태과정으로서 총자본 증가 2



 

 

 

 

 

 

 

 

 

 



(6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







제 절 피드백 효과 동시성과 인과관계 3 ( )

(6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제 5 장

한국과 동아시아의 내생성장 추정과 보정

제 절 자료출처 및 분석 1

자료정의 및 출처 1.

(71)

자료분석 2.

(72)

-4 -2 0 2 4 6 8 10 12 14

1970~1974 1980~1984 1990~1994 2000~2004

장 율

(

% )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73)

단위 ( : %, $)

(74)

제 절 변수설계 2

제 절 생산함수형태 3

(75)





 



 

  

 



  



ˆ

(76)

μ

제 절 통계처리 4

패널관측 방법

1. (panelobs)

(77)

 

 

      

β

변수추정 2.

ε σ

ε ε ε ρ ε

ψ ε

ε ε σ

ψ

(78)

추정모형 정의 3.

ρ

ρ ρ

ρ ρ ρ

(79)
(80)
(81)
(82)

제 절 추정계수의 의미 5

의미 1. (I)

(83)

­

­

(84)
(85)

ρ

(86)
(87)

의미 2. (II)

(88)

제 절 동 아시아의 성장과정에서 각 요소의 직접역할 6

(89)
(90)
(91)

제 절 한국의 성장과정에서 각 요소의 간접역할 및 실제역할 7

(92)

상관계수 추정 1. ( )ρ

ρ

ρ

ρ ρ

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방정식체계 2. 3SLS,

추정방법 3. 33)

(9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96)

   

   

  

교육의 실제역할 4.

(97)

요소축적과 성장률 5.

(98)
(99)
(100)
(101)
(102)

제 6 장

년의 내생성장추정결과 요약 및 정책과제 1975~2004

제 절 1 1975~2004 년의 내생성장 추정결과 의미

추정결과 배경 1.

(103)
(104)
(105)

시사점 2.

(106)
(107)

제 절 연구요약 및 정책과제 2

연구요약 1.

(108)
(109)

정책과제 2.

(110)
(111)
(112)

HRD and Economic Growth

(113)
(114)

부 록

< >

부표 년간 동아시아의 성장에 대한 요소별 직접기여도

< 1> 1965-89

부표 동아시아 개국 실질

< 2> 7 GDP(1970~2004) 부표 동아시아 개국 물적자본 비율

< 3> 7 (1970~2004) 부표 동아시아 개국의 인구

< 4> 7 (1970~2004)

부표 동아시아 개국의 대비 지출비율

< 5> 7 GDP R&D (1970~1999) 부표 동아시아 개국의 취업자 수

< 6> 7 (1970~2004) 부표 동아시아 개국의 초등교육 등록률

< 7> 7 (1970~1999)

부표 동아시아 개국의 중등교육 등록률

< 8> 7 (1970~1999)

부표 동아시아 개국의 고등교육 등록률

< 9> 7 (1970~1999)

(115)
(116)

단위 ( : %)

(117)

단위 억 백만 자국통화

( : 10 , )

(118)

단위 ( : %)

(119)

단위 천명

( : )

(120)

단위 ( : %)

(121)

단위 천 ( : )

(122)

단위 ( : %)

(123)

단위 ( : %)

(124)

단위 ( : %)

(125)

0 20 40 60 80 100 120 140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년도

등록률(%)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0 20 40 60 80 100 120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등록률(%)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126)

0 20 40 60 80 100 120

1970~1974 1980~1984 1990~1994 등록률(%)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970~1974 1980~1984 1990~1994 2000~2004 물적자본

비율(%)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127)

0 1 1 2 2 3 3 4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비율(%)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 5 0 5 1 0 1 5 2 0

1970~1974 1975~1979 1980~1984 1985~1989 1990~1994 1995~1999 2000~2004

년도

증가율(%)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128)

-4 -2 0 2 4 6 8 10 12 14

1970~1974 1980~1984 1990~1994 2000~2004 성장율(%)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폴 태국

(129)
(130)

참고문헌

(131)
(132)
(133)
(134)
(135)
(1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

인적자원개발과 경제성장

년 월 일 인쇄

년 월 일 발행

이 원 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 동 홈페이지

전 화

팩 스

선우정보인쇄

년 월 일

제 호

참조

관련 문서

GDP impact of COVID-19 spread, public health response, and economic policies. Virus spread and public

[r]

The differences found in these concepts of human resources and HRD originate from their diverse subjects and objectives. In the narrow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ubjects of

An Analysis on Economic Effect of Renewable Energy

따라서 성공적인 인적자원개발전략을 위해서는 인적자원에 대한 정부 대학 및 , 기업 조직과 개인차원에서의 장기적이고 일관성 있는 전략적 HRD 접근이 실행되어 야 한다 또한..

그리고 비진학․미취업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다양한 채널과 방법을 통하여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이들이 생애에

본 절에서는 각 단계별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 고 측정 결과를 기존 제품의 성능과 비교 분석하여 신규 Push방식 제품의 개발 완성도 및 실험

외국인 근로자 활용 시 애로사항 외국인 근로자 활용의 파급효과 외국인 근로자 고용정책 평가 고용허가제 고용절차 평가.. 앞으로 외국인력 활용여부와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