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 양 음 악 사 (2) 서 양 음 악 사 (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서 양 음 악 사 (2) 서 양 음 악 사 (2)"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김 진 호

서 양 음 악 사 (2)

(2)

음악을 고리로 한, 인간과 세계,

우주에 대한 통합적 이야기

(3)

음악은, 자연의 법칙에 복종하는 인간이 만든 것이고, 그래서 자연의 법칙의 흔적을 가지거나, 그것을 반영하 거나, 그것에 대한 인간 인지의 특별한 표현이다.

음악에 대한 이야기가 자연에 대한 그것으로부터 독립 적일 수 없다. 따라서 음악에 대한 연구, 이해는 자연 에 대한 연구와 이해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좋다.

1강의 소결:

음악과 관련한 형이상학은 없다.

(4)

특이한 빅뱅(Big Bang)

• 137억 년 전, 무(無)가 에너지/입자로 대체되었던 사건

• 현재의 인간의 감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3차원의 공간이 생 성되었고, 3차원 기반 4차원으로서의 시간도 생성되었다.

• 공간의 폭발적 확대와 더불어 물질의 질량과 성질을 규정짓 는 모든 힘과 모든 자연법칙이 생겨났다.

• 생명, 지력, 의식, 예술과 음악도 빅뱅으로부터 생겨난 것.

• 빅뱅에 대한 설명과 음악에 대한 사유방식에는 닮은 데가 있 어 보인다.

(5)

2강.

빅뱅 이후부터 인간의 출현 전까지, 그 동안의 음악과 관련된 이야기들:

음악은 생명체가 발전시킨 것이며 따라서 생명체는 빅뱅 이후 우주에서 어떻게 탄생하여 진화하였고 어

떤 특성을 가지는가 등에 대해 다룰 필요가 있다.

(6)

• 빅뱅 후 38만 년

• 뜨거운 우주

• 수소와 헬륨

• 구조 발생 힌트가 제시되고 아주 작 은 물질의 덩어리 가 점점 커진다.

• 물질로부터 해방된 빛, 가시적 우주

• 빅뱅 후 1억 년

• 충분히 차가워진 우주

• 아직 별이 탄생 하지 않은, 고독 하고 어두운 우

• 첫 별들의 등장

• 별들에 의한 첫 은하(galaxy)

• 빅뱅 후 10억 년

(7)

• 빅뱅 후 87억 년

• 50억 년 전

• 태양의 탄생

• 100여 개의 행성들을 가졌던 태양계

• 이산화탄소, 질소, 수 증기만의 지구

• 섭씨 1200도 표면

• 빅뱅 후 91억 년

• 46억 년 전

• 오늘날 우리가 아는 태양계

• 태양계 밖에서 침입하는 무수히 많은 운석들의 가혹한 공격.

• 상대적으로 안정기에 돌입한 후 (약 40억 년 전) 행성들의 “ 조화로운 공전과 자전”이 이 루어지게 되었다.

(8)

천체의 음악, 우주의 소리

• 오직 현인인 피타고라스만이 들을 수 있는, "천체의 음악 (music of the spheres)”

• 물리학자 제나 레빈(Janna Levin, 1967-), “우주의 사 운드 트랙”

• 빅뱅이 만들어낸 소리가 빅뱅이 낸 빛처럼 우주를 떠돌아 다닐 것이라는 가정. 빅뱅이 만들어낸 소리를 포착할 수 있을까?

(9)

블랙홀이 내는 소리

http://www.youtube.com/watch?v=jYi WNLv-Bgg

(10)

지구가 내는 소리

http://cafe.daum.net/HEKSTER/CDsK/3 255?docid=1793t|CDsK|3255|2010072 1230002&q=%BF%EC%C1%D6%B0%

A1%20%B3%BB%B4%C2%20%BC%

D2%B8%AE

(11)

홀스트(Gustav Holst, 1874-1934), Suite, “Planets”, Op. 32, 1918

• 화성(Mars, 전쟁의 전령), 금성(Venus, 평화의 전령), 수성(Mercury, 날개 단 전령), 목성(Jupiter, 쾌락의 전령), 토성(Saturn, 노년의 전령), 천왕성(Uranus, 마법사), 해왕성(Neptune, 신비주의자)

(12)

• 45-40억년 전

• 달의 형성

• 24시간 자전주기

• 상 대 적 안 정 기 의 태양계

• 자연계의 여러 순 환의 근간 형성

• 40-30억 년 전

• 폭우, 지구의 냉 각, 지구 표면의 조형화

• 개울, 강, 바다의 형성과 물의 순

• 바다에 쏟아지는 유성들, 영양 수 프 속에서 생명 이 탄생함

• 시아노박테리아의 광 합 성 , 산 소 의 공급

• 오 존 층 의 형 성 , 생명에 우호적인 지구로의 변화

• 30억 년 전

(13)

생명의 진화, 자연선택, 성 선택, 그리고 지식 습득의 과정

• 15억 년 전, 전핵(前核) 에서 진핵(眞核)의 단계 로 도약

• 유전질에 수용되는 많은 정보와 지식.

• 생명의 진화는 더 많은 정보와 지식의 저장 및 전

달에 기반 한다. 이러한 지식은 "의식 형태 이전의

선(先)지식"이다. "이제 몸 속에 체화된(몸으로 구

현된) 선지식과 함께 인식의 모험이 시작된다. 이

것은 곧 진화의 역사이기도 하다."

(14)

생명의 진화를 논하는 이유

• 인간의 마음, 즉 지성과 정서/감정이 음악의 바탕.

• 인간 마음의 뿌리, 다른 동물들에게서 찾을 수 있다.

• 진화적 연속성

– 동물들 간 해부학적 구조에서의 진화적 연속성

– 동물들 간 뇌 구조와 인지 및 감정/정서 능력에서의 진화적 연속성

• 지식과 감정/정서 및 공감능력, 생존의 열쇠

• 생명의 역사, 진화적 적응구조로서의 지식 및 감정/정서 기제의 발달 과정

(15)

벤도비온트(Vendobiont), 생존을 위한 인지

• 선캄브리아기(Precambrian time, 先―紀), 7억 년 전의 생명체

• 벤도비온트는 인식 혹은 지식이 생명 만큼이나 길다는 것을 보여준다.

• "평화롭게 살았던 벤도비온트도 최소한 공간적으로 위아래 는 구분해야 했다. 자외선에 너무 가깝게 접근하는 것도, 너무 멀리 떨어지는 것도 생존에 위험했기 때문이다."

(16)

동물 vs. 식물, 동물의 뇌

• 동식물의 먼 조상 다세포 식물

• 동물과 식물의 진화과정의 분기

• 햇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없던 동물, 에너지원을 얻기 위해 움직여야.

• 움직이기 위해 중력에 저항하고, 근육을 발전시켜야 했 으며, 신경과 감각기관들을 발달시켜야 했고, 신경전선망 과 감각기관들을 통합/조정하기 위해 사령탑인 뇌를 만 들어내야 했다.

(17)

인지를 위한 귀의 진화

• 지구상에서 최초로 귀 기울여 들은 동물, 물고기

• 물고기의 몸통 양측에 분포하는 측선기관, 촉각기관에서 청각기관으로의 변화

• 진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건

• 생사를 건 싸움이나 후려치는 파도가 가져다 주는 진동과 같이 물고기의 몸 통을 지나는 저주파 진동들이 유모세포들을 자극하기 시작. 쓸 만한 정보들이 이 같은 진동을 통해 속속 도착하기 시작했다.

• 멀리서 오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이 측선에 소리로 감지되기 시작

• “동물들은 드디어 30억 년의 진화 과정에서 처음으로 듣기 시작했다. (…) 모든 발전 단계를 조정하기 위해 두뇌가 진화했고, 점차 단순히 소리를 감지 하는 수준을 넘어 분석하고 해석하며 식별하기 시작했다. 돌이켜보면 동물들 이 소리의 첫 흔적을 식별하는 수준에서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를 감상할 수 있을 만큼 귀가 진화하는 데에는 약 5억년, 즉 1억 세대 이상이 걸린 것이다...” 로베르 주르댕, “음악은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18)

우리 안에 물고기:

평형석(이석/耳石)과 함께 유모세포는

물고기의 전정기관, 즉 평형 기관이 된다.

(19)

유모세포와 귀, 공간, 세계

• 원래 평형감각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유 모세포와 귀

• 생물체는 자신이 놓인 세상의 공간에 대한 지각, 자기를 구속하는 중력의 방향 등을 인지하는 데 에 이것들을 사용한다.

• 오늘날 우리는 음악을 공간적 예술로도 듣는다.

(20)

귀가 없으면 소리와 음악을 못 듣는가?

• 음악을 좋아하는 식물?

• 옥수수, 호박, 백일홍, 금잔화 등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클래 식 음악을 틀어준 쪽으로 줄기가 이동하여 자라는 현상이 관찰 되기도.

• 식물의 생장촉진용 음악을 제작한 미국회사, “빛의 자극이 있 어야 식물의 생장과 개화가 촉진되듯이 음향에너지의 진동 역시 식물에게 유용한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 특정 작곡가를 선호하는 식물들? 많은 실험에서 식물들은 바흐 의 오르간 음악을 좋아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고.

(21)

몸으로서의 악기, 소리에 대한 인지의 결과

• 약 6천 5백만 년 전에 일어난 대멸종 직전까지 번성했던 공룡

• 공 룡 파 라 사 우 롤 로 푸 스 (Parasaurolophus)의 관

• 사회적 동물, 정보 전달을 위해 지구상에 최초로 등장한 일종의 악기, 즉 조악한 트럼펫을 사용.

• 특정한 주파수를 확대하고 나머지 주파수는 약화시키는 데 사용한 일종의 공명기(resonator)

• 몸으로 구현된 음악적 선(先)지식

(22)

특이한 인지, 소리의 증폭

• 소리증폭기 역할을 하는 말코손바닥사슴의 큰 뿔(캐나다 구엘프대

학교(University of Guelph)의 조지 부베니크(George Bubenik) 연구팀, 2008)

• 큰 뿔을 가진 말코손바닥사슴은 뿔이 없는 암사슴이나 뿔 이 적은 수사슴보다 더 나은 청각능력을 가진 다고.

• 소리를 확장해서 듣는 다른 포유 동물인 고래와 돌고래

(23)

감정에 물든 인지활동

• 감정적 능력의 출현(양서류와 초기 파충류 시대 사이)

• 동기와 충동, 계속하고 싶은 욕구로서의 쾌락, 회피욕구, 두려움, 공포 등 좁은 의미의 정서로써의 감정의 등장

• 예측하고 반응/판단을 하여야 했던 동물들. 표준화되지 않 은 불확실한 입력에 대해 반응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느낌.

판단의 중요한 근거로 진화해온 감정과 느낌

• 감정과 인지의 연관성

• 음악과 예술의 조건으로서의 감정의 등장

(24)

• 공룡의 멸망

• 약 6,5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 반도 지역에 떨어진 작은 유성.

• 지진과 대규모 화산 활동, 유성의 파편이 지구를 뿌연 안개와 가스로 뒤덮으며 햇 빛을 가렸고, 몹시 추워진 지구 위에서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지 못했던 냉혈동물 공룡을 비롯한 원시 동식물 의 4분의 3이 죽음으로 내 몰렸다.

• 포유류의 등장

• 환경의 교란에 상관없이 털가죽으로 덮인 몸을 가져 체온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는 온혈동물과 새, 포유류가 2억년 전 등장한다.

• 곤충과 함께 생존 예술가로 등극한 이들의 등장은 진화의 새로운 경지 를 의미한다.

• "이제는 생명체가 환경의 변화를 그 저 수동적으로 감수하기를 거부하는 것처럼 보였다.”

(25)

8,500만 년 전, 영장류의 등장

• 어금니, 유선(乳腺), 자궁에 착상되는 난자 등으로 포유 류는 더욱 많은 후손을 낳게 되었고, 이들의 선(先)지식 들과 그것들의 구현인 그들의 특별한 신체의 조형, 그리 고 그러한 신체의 특별한 작동 방식들을 배경으로 영장류 와 인간이 지구에 나타나게 된다.

• “오랜만에 만났을 때 침팬지들은 입을 맞추고 서로의 등을 토닥여준다. 공격적 상황에서 그들은 으스대거나 노 려보거나 고함을 지르기도 하며…” 제인 구달

(26)

찰스 다윈,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

• “포유동물은 불안, 슬픔, 우울, 절망, 기쁨, 사랑, 따뜻한 느 낌, 심술, 부루퉁함, 단호함, 증오, 분노, 경멸, 모욕, 혐오, 죄책감, 자만심, 무력감, 참을성, 놀람, 경악, 두려움, 공포, 부끄럼, 수치심, 겸손 등 갖가지 감정을 경험한다.”

•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동물들은 더 긴밀한 사회적 유대 관 계를 쌓기 위해 감정을 진화시켜 왔다.” “감정이야말로 이 세상 모든 사람, 나아가 지구상의 모든 존재와 우리를 연결 시켜 왔다.”

• “인간과 고등 동물의 정신 능력은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27)

동물의 감정과 울음, 소리

• 죽은 당나귀의 무덤가에 모여서 밤새도록 울부짖는 당나귀들

• 죽은 친구를 위해 밤샘을 하며 크게 울부짖는 고릴라들

• 친구의 죽음에 대해 가장 애절하고 심장을 후벼 파는 듯한 소리로 울부짖는 늑대들

• “야마(아메리칸 낙타)들은 한 녀석이 쉬거나 뒤쳐져서 보이지 않게 되면 불안해한다. 그들은 꽤나 울리는 소리를 낸다. 그 소리는 마치 백 파이프를 불 때 나는 소리와도 닮았다.”

• 노래, 감정의 언어?

(28)

• 개체로서 필멸의 운명을 갖는 모 든 생명체들

•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여야 할, 즉 자손을 낳아야 할 운명

• 성의 분화

• 수컷 공작새의 아름다움, 자연선 택 과정에서의 핸디캡?

• 암컷의 수컷 선택: 수컷들의 (노 와 춤을 포함한) 화려한 과시 행위들, 암컷을 둘러싼 싸움들

성 선택과 기능적 미, 음악과 예술의 조건?

(29)

새들의 노래와 음악

• “ 노래하고 있는 새”라는 관념의 보편성

•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제공해준 새들의 노래

• 베에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의 “전원 교향곡

(Pastoral Symphony, 1808)

2악장 말미에 나오는, 플루트에 의한 새소리의 흉내

• 끌레망 잔느깽

(Clément Janequin 1485-1558)

,

“새들의 노래

(Le chant des oiseaux, 1528)

(30)

음악적 조류학자들

• 새들의 노랫소리에 담긴 음악적 흔적 찾기/새들의 음악 생산 능력에 대한 믿음, 다비드 로텐베르크, “새들은 왜 노래하는가”

• 올리비에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 새들의 고유한 노래를 종별로 분류하기 위해 노래들을 악보에 받아씀(傳寫 /transcription)

• “조류도감(Catalogue doiseaux, 1958)

(31)

성대를 갖고 노래하는 명금류

• 계통사적으로 가장 최근의 조류인 명금류(鳴禽類, songbirds), 노래하는 새

• 폐 앞의 기관지가 갈라지는 지점에 섬세하게 발달된 성대, 즉 명 관: 다양한 노래를 “가슴으로” 노래 부르는 명금류

(32)

• 암컷을 유혹하거나 경쟁자로부터 방어할 때처럼 자신에게 매우 중요한 일일 때에는 반드시 노래를 불러야 한다.”

• “인간의 말이 많은 뜻을 품기도 하고, 별 뜻이 없기도 하듯 새들 역시 특별한 필연성 없이 노래 부르기도 한다.”

• 새들이 자기만족으로, 즉 자기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노래한다는 추측

• “명금류 특유의 노래는 여러 점에서 인간의 언어다양성과 일치한다. 그들 에게도 사투리가 있고, 선호하는 지역적 변주가 있고,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적 노래가 있다.”

• “새로운 문화적 진화는 낡은 생물학적 발전을 재빨리 추월했다. 새들과 인간은 문화의 생성과 함께 자연의 속박에서 벗어난다.”

명금류, 문화적 지평 위에서의 노래?

(33)

다양한 명금류의 노래

http://www.youtube.com/watch?v=z2Pc S-

dXZgQ&playnext=1&list=PL0AAC1625FE AB6395&feature=results_main

(34)

빅뱅 이후 우주가 팽창되고 태양계가 형성되어 지구가 오늘날의 모 습을 갖추게 되면 생명이 탄생하여 진화한다. 물고기들은 그 와중에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만들어 세상을 들었고 공룡 파라사우롤로푸 스는 자신의 몸으로 악기를 만든다. 이렇게 생명체들은 소리와 관련 되어간다. 생명체들은 세상을 인지하고 감정과 정서의 마음 기제를 발달시켜 음악의 토대가 만들어진다. 포유류가 등장하고 그로부터 영장류가, 인간이 진화될 수 있었다. 새들의 노래는 이후 인간이 가 지게 될 문화적 지평 위에서의 다양한 개체적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2강 요약

(35)

식물은 왜 바흐를 좋아할까? 차윤정 저, 지오북, 서울: 2009.

Josef H. Reichholf, Der Ursprung des Schönheit, 박종대 역, 미의 기원, 플래 닛, 경기도: 2012.

Jürgen August Alt, Das Abenteuer der Erkenntnis, 박종대 역, 인식의 모험, 서울: 2003.

Marc Bekoff, The Emotional Lives of Animals, 김미옥 역, 동물의 감정, 시그마 북스, 서울: 2007.

Robert Jourdain, Music, the Brain, and Ecstasy, 채현경, 최재천 공역, 음악은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궁리, 서울: 2005.

Neil Shubin, Your Inner Fish, 김명남 역, 내 안의 물고기, 김영사, 경기도: 2008.

Steven Pinker et als, The Mind, 이한음 역, 마음의 과학, 와이즈베리, 서울: 2012.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FC&qid=4vlp4&q=%EB%A C%BC%EC%9D%98+%EC%88%9C%ED%99%98&srchid=NKS4vlp4

참고문헌(reference)

참조

관련 문서

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더불어 드뷔시의 생애와,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 도 혁신적 양식으로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가 조화되어 나타나는 드뷔 시의

클래식이 동서양을 통틀어 가장 뛰어난 문화적 성취라고 주장 했던 서구 음악학자들까지 스스로 그 벽을 허물고 있는 현 상 황에서 한국에서는 여전히 '클래식만이 제대로

• 바그너가 이해하는 바 대로의 고대 그리스의 연극으로의 회 귀, 즉 극적인 전개의 완벽한 표현을 위해 음악이

게르만족의 이동 등에 의해 도시 중심의 중앙집권국 로마제국이 멸망하고 농촌 중심의 봉건제 기반 중세 시대가 도래한다.. 학문과 예술, 과학, 인지 등이

• 예술은 무엇보다 감각과 지각의 대상인데, 우리의 감각기관 은 원래 예술을 지각하고 향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의 생존을 위해 발명된 기관들인 것이고,

• 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보 다는 호모 에르가스테르가 후기 호미니드인 호모 하이 델베르겐시스, 호모 네안데 르탈렌시스, 호모 사피엔스 등의 직접적인

Ton Scherpenzeel (Keyboards) Max Werner (Drums) Peter Scherpenzeel (Bass) Johan Slager (Guitars) Edward Reekers (Lead Vocals).. Katherine Lapthorn (Background Vocals)

Father Of Day, Father Of Night Manfred Mann’s Earth Band 5.. Questions Manf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