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Ol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Ol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노령 인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만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골관절염은 유병률이 높은 질환 중 하나이다.1,2) 골관절염은 장애 율이 높고,3) 의료비를 상승시키며,3) 골관절염으로 인해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4)는 면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질환

중 하나이다.

한편,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 국 성인에서 6.7%가 우울장애 유병률을 보였으며, 사회적으로 우울 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울증은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이며,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질병부담을 야 기하는 정신건강문제이다.5) 우울증은 만성 질환들과 동반이환 되어

Original Article

45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년 자료 이용

이은정, 이연지*, 최지호, 조혜진, 강자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Ol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Eun-Jeong Lee, Yeon Ji Lee*, Ji-Ho Choi, Hye-Jin Jo, Ja-Yeon Ka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Korea

Background: Disability affects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among individuals experiencing osteoarthritis. In these people, depression and depressive mood may be combined with osteoarthritis. We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Korean adults over age 45 years.

Methods: We included 12,664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0 to 2012. We adjusted factors such as age, body mass index, presence of chronic disease (diabetes, dyslipidemia, hypertension, myocardial infarction, angina, stroke, and rheumatoid arthritis), smoking, alcohol, economic status, education, and living with a spouse. We then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biologic sex with logistic regression. We also used logistic regression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subjective depression, and objective depression in the population with or without regular physical activity.

Result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in female participants (odds ratio [OR]=1.50, 95% confidence interval [CI]: 1.240–

1.182). Depression was also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in female participants who did not engage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OR=1.51, 95% CI:

1.324–1.719).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objective depression among people who did not engage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OR=1.61, 95% CI: 1.302–1.989; OR=1.40, 95% CI: 1.246–1.586).

Conclusion: We found that osteoarthritis increases the risk of depression in female Koreans who do not engage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but the risk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le Koreans.

Keywords: Osteoarthritis; Depression; Sex; Physical Activity

http://dx.doi.org/10.21215/kjfp.2016.6.2.111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6;6(2):111-117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Received March 10, 2016 Accepted March 19, 2016 Corresponding author Yeon-Ji Lee

Tel: +82-32-890-2240, Fax: +82-32-890-2195 E-mail: dawndusk@naver.com

Copyright © 2016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Eun-Jeong Lee, et al.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Old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있는 경우가 많으며6,7) 하나 이상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주 요 우울장애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있다.6,8) 특 히 만성적으로 관절통이 있는 사람들에서 우울증상은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9,10) 우울증과 골관절염이 동반되어 있는 사람들이 그렇 지 않은 사람들보다 의료기관 이용 횟수나11) 투약하는 약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도 일상생활에 제한이 있고 신체활동이 어려우며, 통증이 심한 노인에 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었다.12) 그 외에도 우울증 유병 률과 관계 있는 인자들로 나이, 성별, 비만도, 교육수준, 경제수준, 결 혼상태, 운동 여부, 음주량 등이 있다.13,14) 이번 연구에서는 45세 이상 의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골관절염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알아 보고, 규칙적인 운동 여부에 따른 골관절염과 우울증과의 관계에 대 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Figure 1)

이 연구는 제5기 1, 2,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에 참

여한 45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12,664명 중 인구학적 또는 사회경제적 상태에 대해 무응답이거나 응답을 거부한 경우, 우울증,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등 의 만성 질환에 대한 결과가 없는 경우, 기타 결측 값이 있는 경우를 제 외하여 남성 4,443명, 여성 5,987명, 총 10,4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 골관절염의 정의

골관절염은 의사로부터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경우 또는 골관절 염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3. 우울증의 정의

우울증을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경우 또는 우울증 치료를 받은 적 이 있는 경우를 객관적 우울증으로 정의하였고, 2주 이상 연속으로 우울한 증상이 있거나 지난 1년간 자살사고가 있었던 경우, 또는 자 살시도가 있었던 경우를 주관적 우울증으로 정의하였다. 우울증은 객관적 우울증과 주관적 우울증을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Adults over 45 years old (n=12,664)

Exclued (n=2,234)

Participants without data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158)

Participants without data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n=370)

Participants without data on chronic disease (hypertension, stroke, myocardiac infarction, angina, arthritis, diabetes and dyslipidemia) (n=1,140)

Participants on other incomplete data (n=566)

Included in analysis (n=10,430)

Male (n=4,443)

Female (n=5,987)

Depression (n=794)

No depression (n=3,649)

Depression (n=1,913)

No depression (n=4,074)

Objective depression

(n=92)

Subjective depression (n=702)

Objective depression

(n=440)

Subjective depression

(n=1,473) Figure 1. Flow chart on inclusion pro- cess of study population.

(3)

이은정 외. 45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4. 기타 만성 질환의 정의

본 연구에서 기타 만성 질환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뇌졸 중, 심혈관계 질환으로 국한하였고, 심혈관계 질환은 심근경색과 협 심증으로 정의하였다. 각 만성 질환은 의사에게 진단받았거나 치료 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방법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만성 질환과 객관적 우울증의 진단 여부 및 치료 유무에 대해서는 면접방 법으로 조사하였다. 주관적 우울증의 항목인 2주간 연속 우울감 여 부와 지난 1년간 자살사고 또는 자살시도의 정신건강영역 및 흡연, 음주, 운동행태 등의 건강행태영역, 배우자 동거 여부에 대해서는 자 기 기입식으로 조사하였다. 흡연은 현재흡연자, 과거흡연자, 비흡연 자로 구분하였고, 음주는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시는 경우로, 비 음주는 한 달에 1회 미만으로 마시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운동행태 는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를 참고하여, 격렬한 신 체활동을 1회 20분 이상, 주 3회 이상 실천하거나, 중등도 신체활동 을 1회 30분 이상, 주 5회 이상 실천한 경우에 규칙적 운동을 한 것으 로 정의하였다. 소득은 개인소득액을 사등분 하여 상, 중상, 중하, 하 그룹으로 나누었고, 교육수준은 교육을 받은 기간에 따라 6년 이하, 9년 이하, 12년 이하, 12년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신체계측은 이동검진차량에서 직접 계측을 하였으며, 신장과 체중은 각각 0.1 cm와 0.1 kg까지 측정하였고, 체질량지수는 (체중[kg]/신장의 제곱 [m2])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6. 통계 분석

관절염을 가진 환자들 중 성별에 따라 우울 여부에 차이가 있으므 로1,3) 본 연구는 우울증과 관절염의 관계를 성별을 나누어 분석하였 다. 성별에 따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연속 변수는 독립표 본 t-검정을 이용하여 평균±표준오차로 제시하였고, 범주 변수는 카 이 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빈도(백분율)로 제시하였다. 각 교란변수 마다 골관절염 여부에 따른 우울증의 유병률은 카이 제곱 검정을 이 용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관계에 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보정 변수에 따라 보정을 하 지 않은 모형(Model 1), 연령,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모형(Model 2), Model 2에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류마 티스 관절염을 보정한 모형(Model 3), Model 3에 음주, 흡연, 규칙적인 운동, 배우자 동거를 보정한 모형(Model 4), Model 4에 교육수준, 소 득수준을 보정한 모형(Model 5)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했다. 규 칙적인 운동 여부에 따른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

해 연구대상 전체, 성별에 따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리고 우울증은 다시 주관적 우울증과 객관적 우울증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는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제시 하였다.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19.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Table 1에서 남성은 4,443명, 여성은 5,987명이고, 45–64세의 중년은 남성은 3,902명(87.8%), 여성은 5,162명(86.2%)이었고, 65세 이상 노인은 남성이 541명(12.2%), 여성이 825명(13.8%)이었다(P=0.009). 그 이외에 배우자 동거(P<0.001), 교육수준(P<0.001)에서 대학 졸업 이상, 음주 (P<0.001), 흡연(P<0.001), 규칙적인 운동(P<0.001), 당뇨(P<0.001), 뇌졸 중(P<0.001), 심혈관계 질환(P=0.009)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 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평균 체질량지수(P<0.001), 교육수준(P<0.001) 에서 초등학교 이하, 우울증(P<0.001), 이상지질혈증(P<0.001), 류마티 스관절염(P<0.001), 골관절염(P<0.001)이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 을 보였다.

2. 골관절염 여부에 따른 우울증 유병률

Table 2는 다양한 집단에서 골관절염 유무에 따른 우울증 유병률 을 나타낸다. 중년과 노년에서 모두 유의하게 골관절염이 있을 때 유 의하게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성별을 나누어 분석해 보았을 때, 여성에서 골관절염이 있을 때 우울증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남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받은 기간이 12년 이하인 군 에서는 골관절염이 있을 때 우울증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12년 이상의 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 여부 에 관계없이 골관절염이 있을 때 우울증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 다. 만성 질환을 가진 집단에서도 골관절염이 있을 때 우울증의 유병 률이 높았으나 뇌졸중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Table 3은 성별에 따른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에 관한 로지 스틱 회귀분석 결과로, 골관절염이 있는 45세 이상 여성에서 골관절 염이 없는 사람에 비해 우울증의 위험이 1.5배 증가하였다(odds ratio [OR]=1.50, 95% confidence interval [CI]: 1.240–1.812; P<0.001). 이러한 관계는 남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4)

Eun-Jeong Lee, et al.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Old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4. 규칙적인 운동 여부에 따른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관계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관계에서 운동이 주요 교란변수가 될 수 있 으므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그룹을 나누 어 분석을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 은 군은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 우울증의 위험도가 OR 1.44 (95% CI:

1.284–1.623; P<0.001)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규칙 적인 운동을 한 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 은 그룹을 다시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여성에서 OR 1.51 (95% CI:

1.324–1.719, P<0.001)로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 우울증의 위험도가 증 가하였으나, 남성에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4).

운동을 하지 않은 군을 객관적 우울증과 주관적 우울증으로 나 누어 골관절염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을 때, 객관적 우울증 (OR=1.61, 95% CI: 1.302–1.989; P<0.001)과 주관적 우울증(OR=1.40, 95% CI: 1.246–1.586; P<0.001) 모두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according to sex from KNHANES 2010–2012

Male Female P-value

Total 4,443 (42.6) 5,987 (57.4)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an age (y) 61.83±10.18 31.71±10.51 0.565

Age categories (y) 0.009

45–64 3,902 (87.8) 5,162 (86.2)

≥65 541 (12.2) 825 (13.8)

Body mass index (kg/m2) 23.79±2.92 24.16±3.31 <0.001 Living with spouse 4,141 (93.2) 4,285 (71.6) <0.001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year <0.001

≤6 1,275 (28.7) 3,154 (52.7)

≤9 788 (17.7) 943 (15.8)

≤12 1,365 (30.7) 1,351 (22.6)

>12 1,015 (22.8) 532 (8.9)

Income quartile 0.662

High 1,125 (25.3) 1,475 (24.6)

High-intermediate 1,129 (25.4) 1,522 (25.4) Intermediate-low 1,127 (25.4) 1,500 (25.1)

Low 1,062 (23.9) 1,490 (24.9)

Health-related lifestyle

Alcohol 3,436 (77.3) 3,064 (51.2) <0.001

Smoking <0.001

Current smoker 1,481 (33.3) 229 (3.8)

Ex-smoker 2,294 (51.6) 205 (3.4)

Non-smoker 668 (15.0) 5,553 (92.8)

Regular physical activity 174 (3.9) 149 (2.5) <0.001 Chronic disease

Depression* 794 (7.6) 1,913 (32.0) <0.001

Hypertension 2,217 (49.9) 2,906 (48.5) 0.169

Diabetes 678 (15.3) 693 (11.6) <0.001

Dyslipidemia 610 (13.7) 1,107 (18.5) <0.001

Stroke 175 (3.9) 143 (2.4) <0.001

Cardiovascular disease 230 (5.2) 245 (4.1) 0.009 Rheumatoid arthritis 55 (1.2) 251 (4.2) <0.001 Osteoarthritis 316 (7.1) 1,635 (27.3)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standard error. P-values were ob- tained by Student’s t-test or chi-square test.

KNHASN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efined as being diagnosed and treated by a doctor, experiencing depressive mood for 2 weeks or more, having suidical ideation, or attempting suicide. De- fined as being on medication, treated, or diagnosed by a doctor.

Table 2. Preval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osteoarthritis Depression with

osteoarthritis

Depression without osteoarthritis P-value

Total 727 (37.3) 1,980 (23.4) <0.001

Age categories (y)

45-64 256 (34.2) 1201 (21.8) <0.001

≥65 471 (39.2) 779 (26.3) <0.001

Sex

Male 69 (21.8) 725 (17.6) 0.056

Female 658 (40.2) 1,255 (28.8) <0.001

Body mass index (kg/m2)

<23 240 (41.8) 855 (24.7) <0.001

≥23, <25 192 (29.0) 469 (20.6) <0.001

≥25 295 (33.6) 656 (23.9) <0.001

Living with spouse

Yes 456 (34.8) 1,507 (21.2) <0.001

No 271 (42.3) 473 (34.7) 0.001

Education year

≤6 528 (40.8) 956 (30.5) <0.001

≤9 94 (32.2) 343 (23.8) 0.003

≤12 84 (31.2) 458 (18.7) <0.001

>12 19 (20.4) 221 (15.2) 0.177

Income quartile

High 145 (31.7) 388 (18.1) <0.001

High-intermediate 176 (37.1) 475 (21.8) <0.001 Intermediate-low 193 (37.8) 497 (23.5) <0.001

Low 213 (42.0) 620 (30.3) <0.001

Alcohol

Yes 334 (34.8) 1,204 (21.7) <0.001

No 393 (39.7) 776 (26.4) <0.001

Smoking

Current smoker 66 (45.5) 365 (23.3) <0.001

Ex-smoker 65 (27.4) 404 (17.9) <0.001

Non-smoker 596 (38.0) 1,211 (26.0) <0.001

Regular physical activity

Yes 18 (36.0) 58 (21.2) 0.024

No 709 (37.3) 1,922 (23.4) <0.001

Chronic disease

Hypertension 454 (38.2) 971 (24.7) <0.001

Diabetes 104 (34.4) 288 (26.9) 0.011

Dyslipidemia 175 (37.8) 342 (27.3) <0.001

Stroke 25 (40.3) 92 (35.9) 0.521

Cardiovascular disease 53 (46.1) 116 (32.2) 0.007 Rheumatoid arthritis 44 (52.4) 77 (34.7) 0.005 Values are present as number (%). P-values were obtained by chi-square test.

(5)

이은정 외. 45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고 찰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성인에서 골 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45세 이상의 여성에서 골 관절염이 있는 경우에 우울증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골관절염이 있 는 여성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이 50% 가량 상승하였으며, 이는 규칙 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여성에 국한되었다. 즉, 남성과 운동을 한 여 성은 골관절염이 있어도 우울증의 가능성 및 정도가 운동을 하지 않 는 여성보다 증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관절염이 있는 여성에서 우울증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원인으로 낮은 교육수준과 경제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13,1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교육수준은 낮았으나 경제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전 연구 결과에 의하면 관절염 환자에서 운동이 우울증상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15,16)가 있는 반면,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이는 연구17)도 있었다. 규칙적인 운동 여부 및 성별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

지 않는 여성에서만 우울증 위험도가 51% 가량 증가하였다. 관절염 환자에서 운동의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 연구들을 메타분석 한 연구에서 운동을 함으로써 우울증상이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18) 운동을 하면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활성에 변화가 생기 고,19)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활성이 감소하며,20) 베타 엔도르 핀(beta endorphins)의 분비가 증가하게 되어21) 이런 변화를 통해 기 분이 좋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22) 다만 남녀의 차이에 대해서는 추 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전 연구들을 통해 우울증과 골관절염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생각된다. 골관절염 등의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우울증상 이 있으면 식사, 운동, 흡연, 투약 등과 자기관리에 소홀해지게 되며 이는 다른 질환의 합병증 가능성을 높이고 다시 신체적 증상의 악화 를 야기한다.23,24) 또한 우울증으로 신체적 증상이 과장되게 나타날 수 있을 뿐 아니라 근 긴장, 자율신경계,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조 절장애로 발생하는 관절 통증도 실제보다 과장되어 나타날 수 있 다.25) 역으로 신체적 증상에 대한 부담과 만성 질환으로 인한 기능적 손상으로 우울증이 더욱 악화될 수도 있다.26) 그리고 피로, 통증, 불 면증 같은 관절염의 신체증상과 염증반응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 kines)이 우울증 발생에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7)

이번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단면 연 구이기 때문에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시간적 선후 관계를 알 수 없어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려우며, 우울증으로 인해 규칙적인 운동이 어 려웠는지 운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우울증이 발생한 것인지에 대한 선후 관계도 알기 어렵다. 둘째, 자료의 부족으로 골관절염 환자에서 우울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증 및 장애 정도를 확인하지 못 하였다. 셋째, 규칙적 운동의 기준을 높게 책정하고 두 연령군에 같은 기준을 두어 규칙적 운동을 한 군의 수가 적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우리나라 인구 전체의 대표적성을 가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 료를 이용하여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을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우울증과 관련된 위험인자의 자료를 최대한 모아 Model 1에서 Model 5까지 보정을 하여 분석하였고 나아 가 운동의 영향까지 분석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45세 이상의 여성에서 골관절염이 있는 경 우 우울증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이 런 위험도가 상쇄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골관절염과 우울 증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운동이 골관절염 및 우울증 발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3.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ac- cording to sex

Total Men Women

Model 1 1.95 (1.756–2.165)* 1.31 (0.992–1.732) 1.63 (1.363–1.956)* Model 2 1.47 (1.313–1.649)* 1.20 (0.905–1.592) 1.66 (1.382–1.990)* Model 3 1.47 (1.310–1.648)* 1.20 (0.901–1.590) 1.63 (1.354–1.956)* Model 4 1.46 (1.304–1.641)* 1.23 (0.920–1.632) 1.53 (1.346–1.739)* Model 5 1.42 (1.262–1.591)* 1.17 (0.874–1.557) 1.50 (1.240–1.812)*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obta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del 1 was unadjusted; Model 2 was adjusted for age, sex and body mass in- dex; Model 3 was adjusted for covariates of Model 2 plu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cardiovascular disease, stroke and rheumatoid arthritis;

Model 4 was adjusted for covariates of model3 plus alcohol, smoking, regular exercise, and living with spouse; Model 5 was adjusted for covariates of model4 plus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P<0.001.

Table 4.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pop- ulation with or without regular physical activity

Regular physical activity

Total Men Women

Yes 0.90 (0.422–1.933) 0.58 (0.283–9.399) 0.68 (0.264–1.752) No 1.44 (1.284–1.623)* 1.16 (0.863–1.552) 1.51 (1.324–1.719)*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obtain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by age, sex,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 emia, cardiovascular disease, stroke, rheumatoid arthritis, alcohol, smoking, liv- ing with spouse,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P<0.001.

(6)

Eun-Jeong Lee, et al.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ver 45 Years-Old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요 약

연구배경:

골관절염은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등을 하는 데 많은 영 향을 미치며 신체활동에 장애가 될 수 있고,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 증 및 우울증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45세 이상 한국 성인 에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관계 및 운동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방법:

제5기 1–3차년도(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5 세 이상 성인 중 12,664명을 대상으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규칙적 운동 여부에 따른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분석하였 다. 본 연구에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45세 이상 성인을 성별로 분류한 후 나이, 체질량지수, 당뇨, 이 상지질혈증,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류마티스관절염, 흡연, 음주, 운동, 교육수준, 소득수준, 배우자 동거를 보정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에 서 골관절염이 있는 경우 우울증의 위험도가 높았다(OR=1.50, 95%

CI: 1.240–1.182).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은 군 중 여성에서 골관절염이 있을 때 우울증의 위험도가 높았다(OR=1.51, 95% CI:

1.324–1.719). 주관적 우울증과 객관적 우울증을 분류하여 위험도를 평가하였을 때에도 규칙적인 운동은 하지 않은 군에서 주관적 우울 증과 객관적 우울증 모두 유의하게 위험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OR=1.61, 95% CI: 1.302–1.989; OR=1.40, 95% CI: 1.246–1.586).

결론: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는 45세 이상의 한국 여성에서 골관절 염이 우울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지만 남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심단어:

골관절염; 우울증; 성별; 규칙적 운동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report on the Ko- 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p. 302-438.

2. Choi RC, Moon HJ, Hwang BD. The influence of chronic disease on the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of elderly. Ko- rean J Health Serv Manag 2010; 4: 73-84.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revalence of doctor- diagnosed arthritis and arthritis-attributable activity limitation–United States, 2010-2012.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3; 62: 869-73.

4. Penninx BW, Messier SP, Rejeski WJ, Williamson JD, DiBari M, Cavazzini C, et al. Physical exercise and the prevention of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persons with osteoarthritis. Arch Intern Med 2001; 161:

2309-16.

5. Moussavi S, Chatterji S, Verdes E, Tandon A, Patel V, Ustun B. Depression, chronic diseases, and decrements in health: results from the World Health

Surveys. Lancet 2007; 370: 851-8.

6. Noël PH, Williams JW Jr, Unützer J, Worchel J, Lee S, Cornell J, et al. Depres- sion and comorbid illness in elderly primary care patients: impact on multi- ple domains of health status and well-being. Ann Fam Med 2004; 2: 555-62.

7. Cassileth BR, Lusk EJ, Strouse TB, Miller DS, Brown LL, Cross PA, et al. Psy- chosocial status in chronic illness. A comparative analysis of six diagnostic groups. N Engl J Med 1984; 311: 506-11.

8. Harpole LH, Williams JW Jr, Olsen MK, Stechuchak KM, Oddone E, Calla- han CM, et al. Improving depression outcomes in older adults with comor- bid medical illness. Gen Hosp Psychiatry 2005; 27: 4-12.

9. Penninx BW, Beekman AT, Ormel J, Kriegsman DM, Boeke AJ, van Eijk JT, et al. Psychological status among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does type of disease play a part? J Psychosom Res 1996; 40: 521-34.

10. Bookwala J, Harralson TL, Parmelee PA. Effects of pain on functioning and well-being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Psychol Aging 2003; 18: 844-50.

11. Vali FM, Walkup J. Combined med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m- pact on disabili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patients with arthritis. Med Care 1998; 36: 1073-84.

12. Lee YJ. A study on the effects of pain, sleep,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J Korean Gerontol Soc 2011; 31: 211-22.

13. Chou KL, Chi I.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in Chinese oldest- old. Int J Geriatr Psychiatry 2005; 20: 41-50.

14. Lim JH.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ve symptoms and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J Digit Converg 2014; 12: 481-90.

15. O’Reilly SC, Muir KR, Doherty M. Effectiveness of home exercise on pain and disability from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nn Rheum Dis 1999; 58: 15-9.

16. Penninx BW, Rejeski WJ, Pandya J, Miller ME, Di Bari M, Applegate WB, et al. Exercise and depressive symptoms: a comparison of aerobic and resis- tance exercise effects on emotional and physical function in older persons with high and low depressive symptomatology.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2; 57: P124-32.

17. Fransen M, Nairn L, Winstanley J, Lam P, Edmonds J. Physical activity for osteoarthritis management: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evaluat- ing hydrotherapy or Tai Chi classes. Arthritis Rheum 2007; 57: 407-14.

18. Kelley GA, Kelley KS, Hootman JM. Effects of exercise on depression in adults with 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thritis Res Ther 2015; 17: 21.

19. Rubin RT. Pharmacoendocrinology of major depression. Eur Arch Psychia- try Neurol Sci 1989; 238: 259-67.

20. Galbo H, Kjaer M, Stallknecht B, Mikines KJ, Hansen HP, Dela F. Discussion:

hormonal adaptation to physical activity. In: Bouchard G, Shephard RJ, Ste- phens T, Sutton JR, McPherson BD, editors. Exercise, fitness and health: a consensus of current knowledg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 ers; 1990. p. 259-63.

21. Ransford CP. A role for amines in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exercise: a re- view. Med Sci Sports Exerc 1982; 14: 1-10.

22. Blumenthal JA, Babyak MA, Moore KA, Craighead WE, Herman S, Khatri P, et al.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olde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rch Intern Med 1999; 159: 2349-56.

23. Katon WJ. Clinical and health services relationships between major depres- sion, depressive symptoms, and general medical illness. Biol Psychiatry

(7)

이은정 외. 45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골관절염과 우울증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2003; 54: 216-26.

24. DiMatteo MR, Lepper HS, Croghan TW.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 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 Intern Med 2000; 160: 2101- 7.

25. Katon W, Sullivan M, Walker E. Medical symptoms without identified pa- thology: relationship to psychiatric disorders, childhood and adult trauma,

and personality traits. Ann Intern Med 2001; 134: 917-25.

26. Mills TL. Comorbid depressive symptomatology: isolating the effects of chronic medical conditions on self-repor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oc Sci Med 2001; 53: 569-78.

27. Bruce TO. Comorbid depression in rheumatoid arthritis: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implications. Curr Psychiatry Rep 2008; 10: 258-64.

수치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according to sex  from KNHANES 2010–2012
Table 3.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arthritis and depression ac- ac-cording to sex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We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body image, eating attitude and depression i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Methods 82 precocious pubertal patients ag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ge-based social identity and aging anxiety on ageism among Korean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Results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