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 기준은 적정한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우리나라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 기준은 적정한가?"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우리나라에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 기준은 적정한가?

박 용 우, 김 철 환, 신 호 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서 론

전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급증하면서 비만 관련 질병의 이환율과 사망률도 크게 증가하 고 있어, 비만은 이제 선진국 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주요 건강문제로 부각되었다.1-4 비만 은 체내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지방이 남자는 25% 이상, 여자는

(2)

30~35% 이상이면 비만이라고 정의한다. 5-10 하지만 체지방을 직접 구하는 방법이 쉽지 않으 므로 신장 제곱에 대한 상대적인 체중비인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체지방의 간접 측정 도구로 이용하여 임상 및 역학 연구에 널리 사용해왔다. 8,11,12 서구에서는 BMI 30kg/m2을 비만의 분별점(cut-off value)으로 정하고 있지만, 4,13 중국 등 아시아인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는 체지방을 동일하게 놓고 비교하였을 때 BMI 가 백인에 비해 약 2 정도 낮 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이에 따라 아시아인의 경우 BMI 23kg/m2을 과체중으로, 25kg/m2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한다. 15 그러나 BMI 가 낮을수록 제지방체중(fat-free mass)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으므로 BMI 가 체지방량을 반영하는 정도 역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다시말해 BMI 23~27kg/m2 사이에서는 과지방체중(over-fat mass)과 과근육체중(over-

lean mass)을 구분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전기 임피던스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으로 %체지방을 구한 다음, BMI 가 %체지방으로 정의한 비만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3)

방 법

연구대상자: 연구 대상은 1998 년 3 월부터 2000 년 8 월까지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 비만클

리닉에 내원한 초진 환자 중 만 18 세 이상의 성인 901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계측: 신장과 체중은 신발을 벗고 진찰 가운을 입은 상태에서 0.1cm, 0.1kg 까지 측정하

였으며, BMI 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체지방 및 생체전기 임피던스법: %체지방은 체중에서 지방체중이 차지하는 백분율을 의 미하는 것으로 다주파수(multi-frequency) 부위별(segmental) 방식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법 (In-body 2.0, Biospace Co., Korea)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피검자가 임피던스 측정장치에 올 라 손전극을 잡고 발전극을 밟은 후 팔과 다리를 약간 벌린 자세로 서면 4 가지 주파수 대역 의 인체 부위별 전기저항이 측정된다.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으로 구한 %체지방과 수중체중 측정(underwater weight measure)으로 구한 %체지방의 상관계수는 0.8516, 골밀도측정기 (DXA)로 구한 값과의 상관계수는 0.88, SEE(Standard error of estimates)는 2.7%로 보고되

어 있다. 17

비만의 정의: BMI 는 WHO 서태평양지역회의15에서 제시한 대로 23 kg/m2 이상을 과체중, 25 kg/m2을 비만으로 하였으며, %체지방은 남자의 경우 25% 이상을, 여자의 경우 30% 이상,

5,6 33% 이상, 7,8 혹은 35% 이상9,10을 비만으로 정의하였다.

분석: 분석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BMI 기준에 따른 위양성율, 위음성율을 보기 위해 %체지방 정의에 따라 정상군, 전비만군(pre-obese group), 비만군으로 나눈 후 대 상자의 분포를 보았다. BMI 와 %체지방의 연령을 보정한 부분상관계수를 BMI 범주에 따 라 비교해 보았고, 상관계수간의 유의성은 Fischer’s z-transformation 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4)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사용하여 성, 연령군 별로 %체지방을 예측하는 적정 BMI 수준을 구해보았다. 유의수준은 P<0.05 (2-tail)로 하였으며 통계프로그 램은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SPSS Inc, Chicago)을 사용하였다.

(5)

결 과

연구 대상자는 남자 377 명, 여자 524 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각각 44.5 세, 44.1 세, 평균 BMI는 27.1kg/m2, 27.4kg/m2, 평균 %체지방은 26.7%, 35.5%였다 (표 1). 남자 72.9%, 여자 70.6% 가 BMI 25kg/m2 이상의 비만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체지방으로 정의한 비만은 남자 는 체지방 25%를 분별점으로 하였을 때 62.1%, 여자는 체지방 30%, 33%, 35%을 분별점으 로 하였을 때 각각 83.8%, 67.0%, 53.1% 이었다 (표 1, 2-B). BMI 25 이상의 비만군 백분율 이 남녀간 차이가 없고 남자의 체지방 기준 비만군(25% 이상)이 62%임을 볼 때 여자의 경우 33%를 비만의 분별점으로 정하는 것이 과대평가(overestimation) 혹은 과소평가

(underestimation)를 최소화하는 적정 수준으로 보인다. 남자의 경우 위험체중군(at risk)으로 분류한 BMI 23~24.9kg/m2 중 16%가 체지방 정상(20% 미만)이었으며, 비만군인 BMI 25~27kg/m2 에서는 45.2%가 체지방 비(非)비만군(체지방 25% 미만)에 해당하였다 (표 2- A). 여자의 경우 체지방 33%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였을 때, 위험체중군인 BMI

23~24.9kg/m2에서는 22.2%가 체지방이 정상(30% 미만)이었으며, BMI 25~27kg/m2에서는

27.5%가 체지방 비비만군(체지방 33% 미만)에 속했다 (표 2-B).

BMI와 %체지방의 연령을 보정한 부분 상관계수를 구하였을 때, BMI 30 kg/m2 미만인 사람들의 상관계수는 0.18~0.40 로, BMI 30 kg/m2 이상인 사람들의 상관계수 0.73~0.78 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P<0.001).

ROC 분석을 이용하여 %체지방의 분별점을 반영하는 적정 BMI 를 구해본 결과, 과다 체지방의 분별점을 남자 20%, 여자 30%로 정할 경우 BMI 는 각각 24.6, 24.2 였으며, 비만

(6)

분별점을 남자 25%, 여자 33%로 했을 때 이에 해당하는 적정 BMI 분별점은 각각 26.7, 27.1 이었다.

(7)

고 찰

본 연구에서 BMI 만으로 비만을 진단할 경우, 특히 BMI 25~27kg/m2 에 해당하는 사람들 에게는 위양성율이 남자 45.2%, 여자 27.5%로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비 만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임을 감안할 때 실제 일반 인구에서는 이

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BMI는 체지방의 간접적인 측정도구로 널리 이용되어왔다. WHO 와 미 NIH 의 진단 기 준에 의하면 BMI 25kg/m2 이상을 과체중, 30kg/m2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과체중 (overweight)의 개념에는 지방과다(over-fat) 및 근육과다(over-lean)가 모두 포함되므로 BMI 25~29.9kg/m2 사이에는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비만 환자와 근육이 발달하여 실제보다 과 대평가된 사람들이 함께 존재한다. 하지만 BMI 30kg/m2 이상에서는 거의 대부분 지방과다 로 인한 과체중이기 때문에 “비만”이라는 정의를 내려도 무리가 없다. 문제는 우리나라를 비 롯한 아시아인들에게 서구인들의 자료를 토대로 얻은 이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다. 더구나 아시아인들은 백인들에 비해 같은 BMI 에서 %체지방이 더 높다. 14,18 최근 WHO 서태평양지역회의에서는 아시아인들의 진단 기준으로 23~24.9kg/m2를 위험체중(at risk), 25kg/m2 이상을 비만으로 할 것을 잠정적으로 정하고 각국에 적합한 기준을 달리 사용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15 우리나라는 이 기준에 따라 BMI 25kg/m2 이상을 비만으로 진단 한다. 하지만 BMI 는 지방체중 뿐 아니라 제지방체중을 함께 반영하며 BMI 가 낮을수록 제 지방체중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본 연구에서도 BMI 가 30kg/m2 미만인 그룹에서는 BMI 와

%체지방과의 상관계수가 BMI 30kg/m2 이상인 그룹에 비해 의미있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

(8)

었다(표 3). 따라서 BMI 진단 기준을 낮출수록 지방체중의 간접적 측정도구인 BMI 의 예측 도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BMI 30kg/m2 이상의 중등도 비만 인구보다는 25~29.9kg/m2의 경증 비만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19 BMI만으로 비만을 판정 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현재 국내 비만 진단의 분별점으로 사용중인 BMI 25kg/m2 는 근육과다(over-lean)군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비만인구가 실제보다 과대평가될 위험이 있 다. 본 연구에서 BMI 27~29.9kg/m2인 그룹에서는 남자 92%, 여자 93%가 %체지방으로 정 의한 비만군에 포함되어 있어 위양성율을 낮추고 지방과다(over-fat)라는 비만의 정의에 맞 춘다면 BMI 만으로 비만을 정의할 경우 27kg/m2을 비만의 분별점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한 다. ROC 분석을 이용하여 %체지방의 비만 분별점(남자 25%, 여자 33%)을 적절히 반영하

는 BMI 분별점을 구한 결과도 각각 26.7, 27.1 로 나와 이를 뒷받침해준다 (표 4).

반면 BMI 23~24.9kg/m2의 위험체중군에서도 남자 21.3%, 여자 27.2%가 지방체중 과다 인 비만군에 속했다(표 2-A,B). 따라서 BMI 23~27kg/m2 사이에 있는 비만군을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하기 위해서는 BMI 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또다른 진단기구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전체 지방량보다는 지방의 분포가 비만 관련 질환 및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 관계 가 더 높음이 밝혀지면서 복부비만 진단을 위한 허리둘레 측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

다. 20-22 허리둘레 측정 기준을 BMI 분별점과 함께 적용한다면 BMI 27kg/m2 미만의 비만군

을 찾아내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비만으로 인한 건강문제는 과체중으로 인한 물리적(mechanical) 문제와 대사 이상

(metabolic)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BMI 가 정상군에 속해있는 사람이라도 내장지방 과다나

(9)

근육내 지방과다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면 비만 관련 대사 이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 지면서, BMI 로 나누는 비만의 진단 보다는 만 18 세 체중에서 얼마나 체중이 늘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다. 23 비만의 판정을 BMI 만으로 할 경우 문제가 있다는

또다른 견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을 구하기 위해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였다. 생체전기 임피 던스법은 체지방 측정의 황금기준인 DXA 를 이용한 측정법이나 수중체중측정법과의 상관 계수가 높고 재현성이 뛰어나다. 24 생체전기저항측정법 역시 비만정도가 심하거나 부종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지만, 측정이 간편하고 비용이 상 대적으로 저렴하여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BMI 23kg/m2이상인 위험체중군에 게 이 방법을 적용한다면 잠재성(subclinical) 비만환자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으며, BMI

30kg/m2 미만군에서는 비비만군을 가려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다. 우선 비만클리닉을 찾은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이 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둘째, 허리둘레 측정 결과를 분석에 포함시키지 못했다. BMI 와 허리둘레 측정 결과를 함께 제시하였다면 BMI의 제한점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었을 것이다. 셋째, 체지방의 절대 기준을 타당 도가 높은 DXA 나 수중체중 측정법 대신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했다는 점이다. 아울 러 이 방법의 표준화된 검사지침, 즉 식사나 수분섭취 여부, 배뇨 여부, 측정 시간 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지 못했다. 하지만 임상에서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으로 측정한 %체지방을 실 제 비만의 기준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큰 무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향후 타당도가 높은 측

(10)

정기기를 이용하고 아울러 허리둘레나 각종 대사이상 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에 게 적합한 BMI 및 허리둘레의 분별점을 정해 비만의 조기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기준이 제

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적용하고 있는 BMI 의 비만 기준은 적절치 않 아 보이며 위험체중은 23kg/m2 이상의 기준을 그대로 두고, 비만은 27kg/m2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허리둘레 측정 등을 함께 사용하여 위험체중군에서 잠재 적 비만환자들을 조기에 찾아낼 수 있는 새로운 진단기준을 마련하거나 체지방 측정 등의 방 법을 적극 활용하는 방법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James PT, Leach R, Kalamara E, Shayeghi M. The Worldwide Obesity Epidemic.

Obes Res. 2001; 9: 228S-233S.

2. Jousilahti P, Tuomilehto J, Vartiainen E, Pekkanen J, Puska P. Body weigh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oronary mortality. 15-year follow-up of middle-aged

men and women in eastern Finland. Circulation. 1996;93(7): 1372-9.

3. Seidell JC, Verschuren WM, van Leer EM, Kromhout D. Overweight, underweight, and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48,287 men and women. Arch Intern Med.

1996;156(9): 958-63.

(11)

4.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WHO: Geneva, 1997.

5. Pollock ML, Wilmore JH. Exercise in Health and Diseases. Philadelphia, PA; WB

Saunders, 1990.

6. Hortobagyi T, Israel RG, O’Brien K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Quetelet index to assess obesity in men and wome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94;48: 769-75.

7. Lohman TG. Skinfolds and body density and their relation to body fatness: a review.

Hum Biol. 1981; 53(2): 181-225.

8. Wellens RI, Roche AF, Khamis HJ, Jackson AS, Pollock ML, Siervogel RM.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y Mass Index and body composition. Obes Res. 1996;

4(1): 35-44.

9. World Health Organization. Physical status: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nthropometry. Technical report Series 854. WHO: Geneva, 1995.

10. Deurenberg P, Yap M, van Staveren WA. Body mass index and percent body fat: a meta analysis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8;

22(12): 1164-71.

11. Keys A, Fidanza F, Karvonen MJ, Kimura N, Taylor HL. Indices of relative weight and obesity. J Chronic Dis. 1972;25(6): 329-43.

(12)

12. Garrow JS, Webster J. Quetelet's index (W/H2) as a measure of fatness. Int J Obes.

1985;9(2): 147-53.

13. NIH-NHLBI.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Bethesda: MD, 1998.

14. Wang J, Thornton JC, Russell M, Burastero S, Heymsfield S, Pierson RN Jr. Asians have lower body mass index (BMI) but higher percent body fat than do whites:

comparison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 J Clin Nutr. 1994;60(1): 23-8.

15. WHO West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OTF. Feb. 2000.

16. 우정익,오석,최종태. 수중 체밀도법에 의한 체지방 측정과 다른 비만 지표와의 상관

성. 대한비만학회지. 1997;6(S2):107-108.

17. Salmi J, Kukkonen-Harjula K, Sievanen H, Borg P, Pekkarinen H. Validation of segmental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with underwater

weighing and whole body DXA. Laboratory report (not published).

18. Deurenberg-Yap M, Schmidt G, van Staveren WA, Deurenberg P. The paradox of low body mass index and high body fat percentage among Chinese, Malays and

Indians in Singapore. Int J Obes. 2000; 24(8):1011-7.

19. 보건복지부. 국민영양조사보고서 1998.

20. Bosello O, Zamboni M, Armellini F, Todesco T. B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regional body fat distribution. Diab Nutr Metab 1993; 6: 163-71.

(13)

21. Folsom AR, Kaye SA, Sellers TA, Hong CP, Cerhan JR, Potter JD, Prineas RJ. Body

fat distribution and 5-year risk of death in older women. JAMA 1993; 269: 483-487.

22. Must A, Spadano J, Coackley EH, Field AE, Colditz G, Dietz WH.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1999; 282: 1523-9.

23. Ruderman N, Chisholm D, Pi-Sunyer X, Schneider S. The metabolically obese,

normal-weight individual revisited. Diabetes. 1998; 47: 699-713.

24. 최승훈,김기진,손정민,차기철. 새로운 생체전기 임피던스법. 대한비만학회지.

1997;6(1): 85-94.

(14)

Is the cut-off value of body mass index(BMI) appropriate for identifying obesity in Korea?

Yong-Woo Park, Chul-Hwan kim, Ho-Chul Shi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ungky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Abstract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 is commonly used to identify obesity. A BMI of 25kg/m2 is considered the cut-off value of obesity in Asia, which is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BMI as a diagnostic tool of obesity and to assess the optimal BMI predicting abnormal % body fat.

Methods: Percent body fat was measured by multi-frequency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in 901 adults (men, 377; women, 524), aged 18 yr and above, who visited obesity clinic from March 1998 till August 2000.

Results: Obesity defined by BMI of 25 kg/m2 was 72.9% among men, 70.6% among women.

However, 45.2% of men and 27.5% of women with a BMI 25~27kg/m2 were non-obese as defined by % body fat. Age-adjusted partial correlations between BMI and % body fa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ubjects below 30 of BMI (r=0.18~0.4), compared to subjects above 30 of BMI (r=0.73~0.78). Using ROC analysis, the BMIs corresponding to the cut-off values of

% body fat (25% for men, 33% for women) were 26.7, 27.1, respectively.

Conclusion: BMI cut-off value to define obesity in Korea should be 27 instead of 25. To identify obesity among at-risk populaton (BMI between 23~27), another screening tools such as waist circumference should be included, or body fat measurement should be considered.

Key words: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15)

Table 1. Demographic and body composition data

Men (n= 377) Women (n= 524)

Mean SD Mean SD

Age (years) 44.5 11.7 44.1 13.4

Height (cm) 170.5 6.2 157.5 5.2

Weight (kg) 79.1 13.4 68.0 11.4

BMI (kg/m2) 27.1 3.7 27.4 4.4 BMI ≥23 kg/m2, % (n) 92.8 (350) 86.1 (451)

BMI ≥25 kg/m2, % (n) 72.9 (275) 70.6 (370) BMI ≥30 kg/m2, % (n) 17.2 (65) 24.2 (127)

% BF (%) 26.7 5.0 35.5 6.0

Increased BF, % (n)* 92.3 (349) 83.8 (439) High BF, % (n)† 61.9 (234) 53.2 (279) Very high BF, % (n)‡ 25.4 (96) 19.7 (103) BMI, body mass index BF, body fat

* BF ≥20% in men or ≥30% in women;

†BF ≥25% in men or ≥35% in women;

‡BF ≥30% in men or ≥40% in women

(16)

Table 2-A. Cross-classification of BMI distribution and excess body fat in men

n

% body fat

BMI <20 (normal) 20 ~24.9 (pre-obese) ≥ 25 (obese) < 23 27 9 (33.3%) 15 (55.6%) 3 (11.1%) 23 ~ 24.9 75 12 (16.0%) 47 (62.7%) 16 (21.3%) 25 ~ 26.9 115 7 ( 6.1%) 45 (39.1%) 63 (54.8%)

27 ~ 29.9 95 8 ( 8.4%) 87 (91.6%)

≥ 30 65 65 ( 100%)

Total 377 28 ( 7.4%) 115 (30.5%) 234 (62.1%) Table 2-B. Cross-classification of BMI distribution and excess body fat in women

n

% body fat

BMI <30 (normal) 30 ~32.9 (pre-obese) ≥ 33 (obese) < 23 73 60 (82.2%) 10 (13.7%) 3 ( 4.1%) 23 ~ 24.9 81 18 (22.2%) 41 (50.6%) 22 (27.2%) 25 ~ 26.9 120 5 ( 4.2%) 28 (23.3%) 87 (72.5%) 27 ~ 29.9 123 2 ( 1.6%) 7 ( 5.7%) 114 (92.7%)

≥ 30 127 2 ( 1.6%) 125 (98.4%)

Total 524 85 (16.2%) 88 (16.8%) 351 (67.0%)

(17)

Table 3. Partial correlation (r)* between BMI and % body fat by BMI categories

Men Women

BMI (kg/m2) r P r P

23~24.9 0.175† 0.135 0.325† 0.003

25~26.9 0.241† 0.010 0.394† 0.001

27~29.9 0.364† 0.007 0.398† 0.001

30~ 0.729 0.000 0.780 0.000

* controlling for age

†compared with BMI  30 kg/m2 group by Fischer’s z-transformation (P<0.001)

(18)

Table 4. The optimal BMI predicting % body fat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analysis

Over-fat * Obese†

Age (yr) BMI Sensitivity Specificity BMI Sensitivity Specificity Men

< 45 24.7 0.837 0.733 27.2 0.758 0.959

 45 24.2 0.708 0.792 25.7 0.755 0.743

All 24.6 0.777 0.764 26.7 0.652 0.930

Women

< 45 23.2 0.970 0.796 27.0 0.683 0.840

 45 24.8 0.887 0.903 27.3 0.688 0.796

All 24.2 0.888 0.882 27.1 0.710 0.757

* Over-fat: %body fat  20% for men;  30% for women

†Obese: %body fat 25% for men; 33% for women

수치

Table 1. Demographic and body composition data  Men (n= 377) Women (n= 524) Mean SD Mean SD Age (years)  44.5 11.7  44.1 13.4 Height (cm) 170.5  6.2 157.5  5.2 Weight (kg)  79.1 13.4  68.0 11.4 BMI (kg/m 2 )  27.1  3.7  27.4  4.4 BMI ≥23 kg/m 2 , % (n) 92.
Table 2-A. Cross-classification of BMI distribution and excess body fat in men
Table 3. Partial correlation (r)* between BMI and % body fat by BMI categories Men Women BMI (kg/m 2 ) r P r P 23~24.9 0.175† 0.135 0.325† 0.003 25~26.9 0.241† 0.010 0.394† 0.001 27~29.9 0.364† 0.007 0.398† 0.001 30~ 0.729 0.000 0.780 0.000
Table 4. The optimal BMI predicting % body fat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study,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was conducted in middle-aged women aged 45 to 55 years with a body fat rate of 30% or mo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loo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body image, eating attitude and depression i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Methods 82 precocious pubertal patients aged

Analysis of body characteristics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ilvaceus ) fed on the extruded and moist pellets (body weight, body length, body height and body width) ·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BOSU Ball exercise, which can develop core muscles in middle-aged women,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2) In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elastic band exercis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age of body fat, fat-fr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eilins respiratory chain concept and 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