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멘트 형 주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시멘트 형 주대"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시멘트 형 주대

고한석・김정 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1 9 6 0년 C h a r n l e y가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을 뼛속에 견고히 고정하기 시작하면서 인공 고관절의 시술결과는 급속도로 개선되었다. 1990년 대까지의 거의 대부분 인공고관절은 인공고관절 주 위의 골용해가 폴리에틸렌 마모편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또한 초기 인공 삽입 물 고정의 문 제점이 어느 정도 해결되면서 골 시멘트를 이용한 인공고관절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점차 골 시 멘트 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결과가 1 0년 이상 장기 추시 관찰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실패의 주된 원인으로 시멘트고정 수기상 의 문제로 인식하고 골 시멘트 고정 수기가 개선되 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멘트 기법

시멘트는 마모편이 골수 강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며 즉각적인 고정을 시켜주고 외력을 조절하 고 응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최대화 시켜 고정 력과 수명을 연장하려는 대퇴부시 멘트 기법이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발전되어 왔다.

1세대 시멘트 기법은 대퇴 골수 강 내 플러그 삽 입 없이 dough stage 시멘트를 손가락으로 삽입하

며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진 인공 삽입 물은 협 소한 내측 연을 갖게 된다. 2세대 시멘트 기법은 플 러그 삽입 및 pulsatile lavage 후 시멘트 g u n으로 시멘트를 삽입하며 super alloys로 구성된 인공 삽 입 물은 넓은 내측 연을 갖는다. 3세대 시멘트 기법 은 2세대 기법에 더하여 시멘트 다공성을 감소시키 고 스템 표면에 micro-and macro-texturing 시키 고 또 P M M A의 얇은 막을 스템 주위에 입혀 사용 한다. 4세대 시멘트 기법은 3세대 기법에 더하여 시 멘트 층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하여 스템의 근위부와 원위부에 c e n t r a l i z e r를 부착시킨다.

1. 골수 강 처리

시멘트와 골의 계면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적절 한 골수 강 처리가 중요하다. 삽입하려는 대퇴 삽입 물 보다 큰 b r o a c h를 삽입하여 시멘트가 들어갈 적 절한 공간을 마련하고 c u r e t t e으로 골수 강 내 느슨 한 해면 골을 제거 하는데 r e a m e r는 사용하지 말아 야 하며 플러그를 대퇴 삽입 물의 2~3 cm 하부에 위치하게 한다. lavage system을 이용하여 골수, 지방, 혈액, 혈전 등의 형성을 감소시키고 s u c t i o n 과 아드레날린 스폰지를 사용하여 건조시킨다. 척수 마취, hydrogen peroxide, 냉각된 식염수 등의 사 용으로 출혈을 감소시킨다2 ).

※ 통신저자 : 고 한 석

서울시 중구 저동 2가 8 5번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 : 02) 2270-0025, Fax : 02) 2270-0028 E-mail : kohans@hananet.net

(2)

2. 시멘트 처리

원심분리로 시멘트 내 기공의 크기를 직경 200~400 um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5 ) 이는 t e n- sile strength가 24% 증가하고 t e s i o n - c o m p r e s- sion fatigue strength가 136%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한다9 ). 다공성의 감소로 시멘트의 피로 도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공상태에서 시멘트를 혼합시킬 때도 이와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고 있다3 7 ). 시멘트 점성 또한 대퇴 삽입물 의 성공 여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점성이 높은 시멘트가 구조적으로 우위에 있다는 실험결과도 보 고 되고 있다1 1 , 1 9 ).

3. 시멘트 삽입과 압력

시멘트와 플러그 사이의 공기가 t r a p p i n g되는 것 을 피하고 골수 강 내 시멘트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 기 위해 r e t r o g r a d e하게 주입해야 한다. 골수 강 내 시멘트가 다 채워지면 골 내로 시멘트가 잘 침투되 도록 압력을 가해주며 시멘트와 골 사이면의 적절한 강도를 위해서는 4 mm 정도의 깊이가 적당한데1 ) 이는 주로 치밀한 피질 골로 이루어진 골간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4. 대퇴 스템 centralization 과 시멘트의 두께

골수 강 내에서 스템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시멘트 가 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해 스템 c e n t r a l i z e r를 사 용한다. 인공 삽입물이 내반 위치로 되었을 때 기계 적 실패율이 증가하며 외반 고정 시에도 G r u e n zone 5와 6에서 시멘트 두께가 얇아져 기계적 해리 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상적인 시멘트 두께 에 대해 정의되어진 바는 없으나 여러 저자들은 2~5 mm의 두께가 적절하다고 하고 있다1 0 ). 대부 분의 연구에서 최대로 힘을 받는 부위는 스템 끝 부 위 시멘트에서이며 이는 시멘트의 두께에 많은 영향 을 받는다고 보고하고 있다1 5 ).

5 .항생제 골 시멘트

술후 감염에 대한 예방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지 고 있으며 P M M A의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주고 조 기 해리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나 적은 양의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P M M A의 기계적 성질에 큰 영향이 없다는 견해가 대부분이다3 8 ). 전신 적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와 항생제 골 시멘트를 사 용한 경우에 대한 비교연구에서 항생제 골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약간의 우세함이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방사선학적 측정

Gruen 등은 전후방사선 상에서 7가지 구역으로 나누고 측면 방사선 상에서 세부적으로 다시 7가지 구역으로 나누었으며1 4 ) H a r r i s는 시멘트 인공 고관 절에서 해리를 definite, probably, possibly로 분

류하였다1 8 ). 이에 따르면 인공 삽입물의 위치 변화나

침강 등이 추시 방사선 상에서 나타나거나 금속과 시멘트 사이의 새로운 방사선 투과성선이 보이거나 시멘트 mantle 혹은 인공 삽입물의 골절 소견이 보 일 때 d e f i n i t e라 하고 시멘트와 골 사이 면에 지속 적인 방사선 투과성선이 나타날 때 p r o b a b l y라 하 며 시멘트와 골 사이면의 50~99% 사이에서 방사선 투과성선이 나타날 때를 p o s s i b l y라 정의하였다. 그 러나 해리의 기준과 방사선 투과성선의 정의는 섬유 성 조직의 형성을 포함하여 재평가하여야 한다.

대부분에서 해리의 기준으로 대퇴삽입물의 침강을 2 mm로 하고 있으며 초기 시멘트 형 대퇴 삽입물 의 침강이 1.2 mm 이내 일 때 2년 내 재치환술의 필요성이 높다4 , 2 4 , 3 4 ).

임상적 결과

시멘트 기법이 향상됨에 따라 시멘트 대퇴 인공 삽입물의 장기추시 결과가 향상되어지고 있으며 1세 대 기법보다 2세대 기법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2 5 ). 그러나 2세대 기법이라고 하여 다 성공적인

결과를 낳고 있지 않으며3 1 ) 3세대. 4세대 기법을 이 용한 후의 조기결과에서는 높은 고정 율을 보이고

(3)

있다.

또한,젊은 환자에서의 1세대 시멘트 기법을 이용 한 고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좋지 않은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30~45세 사이의 환자에서 보다 3 0 세 미만의 환자에서 더 나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 러나 개선된 시멘트 기법에서는 노령 층에서처럼 장 기추시결과가 향상되어졌다는 보고가 있다6 , 3 5 ). 이러 한 연구를 토대로 볼 때 수술기법이 시멘트 형 대퇴 삽입물의 장기결과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

실패의 요인과 기전에 대한 고찰

시멘트 기법의 기술적 요인들이 장기결과에 중요 한 것으로 증명 되고 있다. 대퇴삽입물의 내반 위치 는 높은 무균성 해리의 결과를 가져오며 특히 근위 내측과 원위외측 부위에서 시멘트 층이 고루 퍼지지 않고 얇아지는 결과를 낳게 된다. Barrack 등은 시 멘트 기법을 A에서 D까지 나누었으며 A는 골간의 근위 부까지 완전히 채워진 경우를 말하고 B는 골간 에 거의 채워진 경우, C는 다시 C 1과 C 2로 세분하 여 C 1은 시멘트와 골 사이면의 50% 이상에서 방사 선 투과성선이 보이는 경우를 말하고 C 2는 시멘트 층의 두께가 1 mm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마지막 으로 D는 시멘트 층의 큰 결손 및 많은 큰 기공들이 있거나 스템 밑에 시멘트가 없어 육안 적으로 층의 결손이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3 ). C와 D층에서는 무 균성 해리와의 연관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체중 역 시 실패의 원인 인자가 될 수 있으며1 6 ) 한 연구보고 에서는 68 kg 이하의 환자에서가 68 kg 이상의 환 자보다 실패율이 낮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외상 후 관절염 환자와 골관절염 환자의 비 교연구에서는 외상 후 관절염 환자에서 결과가 나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삽입 물과 시멘트 사이의 분리는 시멘트와 금속 사이의 면에서 발생한다2 2 , 2 8 ). 시멘트와 금속 사이 면 에서 분리가 발생시에 시멘트 층에서 최고의 응력이 가해지며 규열은 얇은 시멘트 지역과 시멘트 층 결 손과 인접한 곳에서 발생한다. 더욱이 시멘트내의 기공에서 균열이 시작되고 확대되는 부위가 된다.

생물학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분리와 시멘트 골절

의 결과로써 삽입물의 안정성에 손상과 골 내막으로 의 조직파편이 침투 될 수 있다. 조직 파편이 이물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골 흡수와 섬유성 조직 막이 생성된다1 3 , 2 1 ). 시멘트와 골 사이 면에 생기는 입자에 의한 연부 조직 막은 가성피막에서 시작하여 시멘트와 골 사이 면을 따라 확대된다.

고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정상적인 하지에서 이루어지는 부하전달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응력 과 변형의 감소가 골 흡수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응력차단에 의한 c a l c a r지역의 골 소 실로 설명이 된다.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지 않은 정상인에서 4 5세 이후부터 노화에 따른 변화로 근위 대퇴부의 직경이 넓어지게 되며 피질 골은 얇아지게 되고 약 해지게 된다. 이러한 변화 역시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의 무균성 해리와 연관이 있다는 견해도 있으나

3 3 , 3 6 )부검을 이용한 연구 등에서 지지할 만한 이론적

근거를 얻지는 못했다.

안쪽 피질 골 과 바깥쪽 피질 골 사이에 골수 강이 이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선 사진 상 방사 성선 투과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섬유성 조직이 형 성된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2 3 , 2 6 , 2 8 ). 골상태가 나쁜 환자들에서 역시 골 결손이 크게 나타난다고 한다.

골 용해는 주로 무균성 해리와 연관되어 발생한 다. 미립자편은 골 용해 과정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

각되며1 2 ) 무 시멘트 형 기법이 시멘트 형 삽입물의

해리와 관련 있는 골 용해를 피하기 위해 시도되어 졌다. 삽입 물 주위의 조직파편이 골 용해를 일으키 는 데 필수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최근의 3 세대 시멘트 기법은 대퇴부 골 용해에 대한 대비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시멘트 조각은 부분 골 용 해의 원인이 되며 시멘트와 골 사이면의 조직들을 살펴보면 대식세포와 거대세포 이물 육아종성 반응 소견이 보임을 알 수 있다2 1 ).

세포 단계에서 보면 PMMA 입자들이 노출된 후 대식세포에서부터 arachidonic acid mediator가 유리되고 또한 PMMA 입자들은 I L - 1 , T N F , PGE2, 등의 골 흡수 인자들이mononuclear cell로 부터의 유리를 자극 시키며 이들로 인하여 골 흡수 가 생기게 된다2 0 ).

(4)

면역체계는 마모에 의한 조직파편들이 활동에 특 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 않다.

c o l l a r의 사용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 는데 c o l l a r는 근위 대퇴부로의 부하전달을 증가시켜 서 응력차단과 근위 내측의 시멘트에 변형을 감소시 킨다는 견해가 있다8 , 1 6 , 1 7 , 2 9 , 3 0 ).

반면에 c o l l a r없는 대퇴 삽입 물을 옹호하는 주장 은 근위 대퇴에 응력 감소를 주지만 임상적으로 유 의한 감소는 없으며 c a l c a r와 c o l l a r의 접촉을 잘 얻 고 유지하기 어렵다고 하며 c o l l a r밑의 내측 대퇴경 부에 골 흡수가 보고 되고 있으며 근위 내측경부의 골 흡수와 c o l l a r와 시멘트 뿐 만 아니라 c o l l a r와 c a l c a r사이의 미세운동에 이차적인 마모편의 생성가 능성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2 7 ).

1 9 8 0년대 초에는 스템의 결합을 위한 시멘트 사용 으로 grouting agent보다는 adhesive agent로써 생각하는 개념이 일반화되어 2세대, 3세대 시멘트 기법과 함께 거친면의 스템과 골과 시멘트 사이면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P M M A로 얇은 막을 씌운 스 템들로의 사용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p o l- ished 스템과 matte 스템의 비교 연구 논문에서 polished 스템의 우수성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거 친면의 스템은 분리와 침강의 가능성을 줄이지만 상 대적으로 운동이 일어났을 때 시멘트와 스템사이에 서 마모입자가 증가하여 스템수명에 역효과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멘 트 층 내 침강으로 주위 시멘트 층에 인장력 보다 균 일한 압박 응력을 주어 시멘트 손상을 적게 하고 최 소한의 시멘트 파편을 만들어 내는 c o l l a r l e s s , tapered, polished 스템을 선호하고 있으며7 ) 얇은 시멘트 층에서 과도한 미세운동이 있는 t i t a n i u m 보다 고강도의 스테인레스 강과 c o b a l t - c h r o m i u m 이 선호되고 있다3 2 ).

인공 고관절의 시술과 시술결과에 대한 많은 연구 가 있었으며 특히 시멘트 인공관절의 고정방법과 형 태도 이론적 근거를 두고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이어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여러 가지 인자들 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각각의 기법에 대한 평가

가 어려우나 전반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시멘트 형 인공 고관절의 수명을 연장시 키기 위해 수술 기법과 시멘트 기법이 상당히 중요 한 것으로 생각되며 논란이 있는 부분을 해결하고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더 많은 노력들이 필요 하리 라 생각된다.

REFERENCES

01) Askew MJ, Steege JW, Lewis JL, et al: Effect of cement pressure and bone strength on polymethyl - methacrylate fixation. J Orthop Res, 1: 412-420, 1984.

02) Bannister GC, Young SK, Baker AS, Mackinnon JG, Magnusson PA : Control of bleeding in cemented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72B:

385-389,1992.

03) Barrack RL, Mulroy RD, Harris WH: Improved cementing techniques and femoral component loos - ening in young patients with hip arthroplasty. A 12 year radiographic review. J Bone Joint Surg, 74B:

385-389,1992.

04) Brand RA, Pedersen DR, Yoder SA: How defini - tion of loosening affects the incidence of loose total hip reconstructions. Clin Orthop, 210: 185-191, 1993.

05) Burke DW, Gates EI, Harris WH: Cetrifuation as a method of improving tensile and fatigue proper - ties of acrylic bone cement. J Bone Joint Surg, 66A:

1265-1273,1984.

06) Callaghan JJ, Albright JC, Goetz DD, Olejniczak JP, Johnston RC: Charnely total hip arthroplasty with cement. J Bone Joint Surg, 82A:

487-497,2000.

07) Collis DK, Mohler CG: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in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rough and polished cemented stems with essentially the same geometry. J Bone Joint Surg, 84A: 586-592,2002.

08) Crowninshield RD, Brand RA, Johnston RC, Pedersen DR: An analyses of collar function and the use of titanium in femoral prostheses. Clin Orthop, 158: 270-277,1981.

09) Davies JP, O’ Connor DO, Burke DW, Jasty M, Harris WH: The dffect of centrifuation on the fatigue life of bone cement in the presence of sur -

(5)

f a c e i r r e g u l a r i t i e s . C l i n O r t h o p , 2 2 9 : 1 5 6 - 161,1988.

10) Ebramzadah E, Sarmiento A, Mckellop HA, Linas A, Gogan W : The cement mantle in total hip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76A: 77-87,1994.

11) Gates EI, Carter DR, Harris WH: C o m p a r a t i v e fatigue behavior of different bone cements. Clin Orthop, 189: 294-299,1984.

12) Goetz DD, Smith EJ, Harris WH: The prevalence of osteolysis associated with components inserted with ot without cement in total hip replacements. J Bone Joint Surg, 76A: 1121-1127,1994.

13) Goldring SR, Schiller AL, Roelke M, Roelke CM, O’ Neil DA, Harris WH: The synovial-like membrane at the bone-cement interface in loose total hip replacements and its proposed role in bone lysis. J Bone Joint Surg, 65A: 575-584,1983.

14) Gruen TA, McNiece G, Amstutz HC: Modes of failure of cemented stem-type femoral components.

A radiographic analysis of loosening. Clin Orthop, 141: 17-27,1979.

15) Harrigan TP, Harris WH: A three dimensional non-linear finite element study of the effect of cement-prosthesis debonding in cemented femoral total hip components. J Biomech, 24: 1047-1058, 1991.

16) Harrington JR MA, O’connor DO, Lozynsky AJ, Kovach I, Harris WH: Effects of femoral neck length, stem size, and body weitht on strains in the proximal cement mantle. J Bone joint Surg, 84A:

573-579,2002.

17) Harris WH: Is it advantageous to strengthen the cement-metal interface and use a collar for cement - ed femoral components of total hip replacements?

Clin Orthop, 285: 67-71,1992.

18) Harris WH, McGann WA : Loosening of the femoral component after use of the medullary-plug cementing technique. J Bone Joint Surg, 68A: 1064- 1066, 1986.

19) Havelin LI, Espehaug B, Vollset SE, Engesaeter LB: The effect of the type of cement on early revi - sion of Charnley total hip prosthesis. J Bone Joint Surg, 77A: 1543-1550,1995.

20) Herman JH, Sowder WG, Anderson D, Appel A M , H o p s o n C N : P o l y m e t h y l - m e t h a c r y l a t e induced release of bone resorbing factors. J Bone Joint Surg, 71A: 1530-1541,1989.

21) Jasty M, Jiranek W, Harris WH: Acrylic frag -

mentation in total hip replacements and its biologic consequences. Clin Orthop, 285: 116-128,1977.

22) Jasty M, Maloney WJ, Bragdon DR, et al: T h e initiation of failure in cemented femoral compo - nents of hip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73B:

551-558, 1991.

23) Jasty M, Maloney WJ, Bragdon CR, Haire T, Harris WH: Histomorphological studies of the long-term skeletal responses to well fixed cemented femoral components. J Bone Joint Surg, 72A: 1220- 1229,1990.

24) Karrholm J, Borssen B, Gudmund L, Snorrsason F : Does early micromotion of femoral prosthesis matter? J Bone Joint Surg, 76B: 912- 917,1994.

25) Klapach AS, Callaghan JJ, Goetz DD, Olejniczak J, Johnston RC: Charnely total hip arthroplasty with use of improved cementing tech - niques. J Bone Joint Surg,83A: 1840-1848,2001.

26) Kwong LM, Jasty M, Mulroy RD, Maloney WJ, Bragdon C, Harris WH: Histology of the radiolu - cent line. J Bone Joint Surg, 74B: 67-73,1992.

27) Ling RSM : The use of a collar and precoating on cemented femoral stems is unnecessary and detri - mental . Clin Orthop, 285: 73-83,1992.

28) Maloney WJ, Jasty M, Burke DW, O’ Connor DO, Zalenski EB, Bragdon C, Harris WH : Biomechanical and histologic investigation of cemented total hip arthroplasties. Clin Orthop, 249:

129-140,1989.

29) Markoff KC, Amsturtz HC, Hischowits DL: The effect of calcar contact on femoral micromovement.

J Bone Joint Surg, 62A: 1315-1323,1980.

30) Oh I, Harris WH: Proximal strain distribution in the loaded femur. An invitro comparison of the dis - tributions in the intact femur and after insertion of different hip replacement femoral compontents. J Bone Joint Surg, 60A: 75-85,1978.

31) Ong A, Wong KL, Lai M, Garino JP, Steinberg ME: Early failure of precoated femoral components in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84A: 786-792,2002.

32) Ramaniraka NA, Rakotomanana LR, Leyvraz P F: The fixation of the cemented femaral compo - nent: Effects of stem stiffness, cement thickness and roughness of the cement-bone surface. J Bone Joint Surg Br, 82: 297-303,1997.

33) Ruff CB, Hayes WC : Subperiosteal expansion and

(6)

cortical remodeling of the human femur and tibia with aging. Scinence,217: 945-948,1982.

34) Ryd L: Roentgen stereophotogrammetric analysis of prosthetic fixation in the hip and knee joint. Clin Orthop, 276: 56-65,1992.

35) Sanchez-Sotelo J, Berry DJ, Harmsen S: L o n g - term results of use of a collared matte-finished femoral component fixed with second-generation cementing techniques. J Bone Joint Surg,84A:

1636-1641,2002.

36) Smith RW, Walker RR: Femoral expansion in aging women: implication for osteoporosis and fracture. Science :145-156,1964.

37) Wixon RL, Lautenschlager EP, Novak MA : Vaccum mixing of acrylic bone cement. J Arthroplasty, 2: 141-149,1987.

38) Wright TM, Sullivan DJ, Arnoczky SP : T h e effect of antibiotic addition on the fracture proper - ties of bone cement. Acta Orthop Scand, 55:

414,1984.

참조

관련 문서

사람은 좋지 않은 것은 언제나 좋지 않은 것이라는 심리적 관성을 가지고

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에 있어서 플라이 애쉬, 고로 슬래그 미분말 또는 실리카 흄 을 시멘트 재료의 일부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 혼화재의 사용량은

그런데 물이 위로 뜨면서 혼자 올라오지 않고 시멘트 입자를 끌고 위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것이 블리딩된 물의 아래 쪽에 가라앉게 되며 레이턴스(laitance)라

• 골재의 표면이 거칠수록 부착력(골재와 시멘트 풀)이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 로 부순 돌을 사용한 경우가 강자갈을 사용한 경우보다 강도가

(Impermeable wall) In-situ 불투수성 재료 (흙, 시멘트 등)를 이용하여 오염지하수가 주변으로 이동 및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지하수

비고 2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보드는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를

특히, 범주들에 대한 형이상학적 탐구는 때때로 비단 우리의 언어와 상식을 정리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실제 세계에 관련된 문제들로 넘어갈 수 있다.. “재주넘기”는

법랑질 백색 병소는 건전한 법랑질에 비해 불투명하고 빛을 산란시켜 심미 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들 치료 방법은 우식 진행이 정지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