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반월상 연골 상태에 따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반월상 연골 상태에 따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반월상 연골 상태에 따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최충혁∙조영아∙성일훈

배 경: 반월상 연골의 손상여부나 치료방법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기능결과에 영 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3년 12월 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7명의 환자 중 반월상 연골의 손상이 없었던 9명을 제 I군으로,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어 반월상 연골을 부분절 제한 14명을 제 II군으로, 그리고 반월상 연골 파열을 봉합술로 치료한 14명을 제 III군으로 분류하여 전방십자인 대 재건술후의 결과를 임상적 평가 (KT-2000 Arthrometer, Lysholm score, HSS score, IKDC score)와 기능적 평가 (Hop test) 그리고 Fairbank sign을 이용한 방사선학적 평가 및 VAS scale을 이용한 주관적 만 족도를 SPSS PC version 12.0 의 Oneway ANOVA 분산분석과 Pearson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비 교 분석하였다.

결 과: 평균 49.4(12~76)개월 추시상 방사선학적으로는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하여 부분 절제술로 치료한 제 II 군이 제 I군과 제 III군에 비해 많은 방사선학적 퇴행성 변화를 보이기는 하지만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P>0.05), 이외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한 모든 임상적, 기능적 결과 및 주관적 만족도 등도 통계적으로 세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0.05)

결 론: 본 연구의 결과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는 반월상 연골 상태에 따른 손상에 대한 치료방법에 영향 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1년에서 6년정도의 비교적 단기 추시로 인해 초래된 결 과일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색인 단어: 전방십자인대, 반월상 연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반월상 연골 절제술, 반월상 연골 봉합술

Comparing the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2)

서 론

치료하지 않은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은 관절염 (arthritis), 기능 장애(disability), 반월상 연 골의 손상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18). 따라서, 전 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반복되는 슬관절의 손상을 예방하고, 불안정성의 증상과 동통을 방지할 목적으 로 시행되며7,10), 동반된 반월상 연골의 치료 역시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4,9). 인대 손상시 반월상 연 골의 역할에 대하여 Levy 등12)은 내측 반월상 연골 의 후각부가 쐐기 역할을 하여 경골의 전방전위를 방지하는 반월상 연골의 안정성 기능에 대하여 보고 한 바 있다. Lynch 등13)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중 반월상 연골을 절제한 경우의 88%, 봉합한 경우는 12%에서 Fairbank 징후5)를 보고하여 반월상 연 골손상에 대한 치료방법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주장한 바 있으며, 다른 저자 들도 역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반월상 연골 절제 술을 시행한 경우 방사선학적 변화 및 불만족스런

임상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1,6,14,17).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봉합술은 슬관절의 견고함(integrity)을 유 지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반월상 연 골손상이 없었거나,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 하여 봉합술로 치료한 경우가 반월상 연골을 절제한 경우보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좋

은 결과2,16)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가설 하에 본 연

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일 인 술자에 의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58 명의 환자중에서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한 37명의 환 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7명의 환자중 반월상 연 골의 손상이 없었던 9명을 제 I군으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반월상 연골을 절제한 14명을 제 II 군으로, 그리고 반월상 연골파열을 봉합술로 치료한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followed up the result of 37 ACL reconstructions at least 1 year.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matched groups according to their meniscal status and treat- ment. Group I included 9 patients with normal meniscus; Group II, 14 patients with partial meniscectomy; Group III, 14 patients with meniscal repair. We evaluated the clinical (KT-2000 Arthrometer, Lysholm score, HSS score, IKDC score), radiological (Fairbank sign) and function- al (Hop test) results of each groups. The result were analysed statistically with one way ANOVA test and Pearson Chi-square test (SPSS PC version 12.0).

Results: The follow-up period was average 49.4(12~76) months. The patients with meniscec- tomy (Group II) had more evident degenerative changes radiologically than the groups (Group I, III) with the normal meniscus and meniscal repair,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 ferences (P>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clinical, functional result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mong the 3 groups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hav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niscal status or kinds of meniscal treatment like meniscectomy or meniscal. However, this results may be induced by relatively short term(1~6 years) follow-up period. So, more cases and the longer period follow-up might be needed.

Key Words: Anterior cruciate ligament, Meniscus, ACL- reconstruction, Meniscectomy,

Meniscal repair

(3)

14명을 제 III군으로 분류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9.4(12~76)개월 이었고, 남자 31명, 여자 6명 이었으며, 수술시 연령은 평균 26(18~51)세였다.

발생 원인으로는 운동이 32명이었고, 실족이 4명, 교통 사고가 1명이었으며, 34례는 자가 슬개골건, 3례는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 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중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8명, 외측 반월상 연골 절제는 4명, 내,외 측 반월상 연골 모두를 절제한 경우는 2명이었으며, 2명은 반월상 연골 전절제술을, 6명은 아전 절제술 을, 6명은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는 내측 반월상 연골은 8명, 외측 반월상 연골은 1명, 내,외측 반월상 연골 모두 를 봉합한 경우는 5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로는 KT-2000 Arthrometer, Lysholm score, HSS scor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score), IKDC grad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grade)를 사용 하여 평가하였으며, 기능적 평가는 Hop test를 이 용하였고, 그리고 Fairbank 징후5)를 이용한 방사 선학적 평가 및 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한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통계학적 검정은 SPSS PC version 12.0의 Oneway ANOVA 분산분석과 Pearson Chi- 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 value

<0.05 인 경우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Lysholm score는 제 I군의 경우가 평균 92.3 점, 제 II군은 92점, 제 III군은 92.2점을 나타내었 고, IKDC에서는 제 I군의 경우 normal 6례, nearly normal 3례, 제 II군은 normal 10례, nearly normal 4례, 제 III군은 normal 10례, nearly normal 4례로서 세군간의 통계학적 차이 는 없었다(P=0.964).

HSS score역시 제 I군의 경우 평균 90점, 제 II 군의 경우 90.6점, 제 III군의 경우 90.4점을 보여 세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17).

Hop test상 제 I군의 경우 평균적으로 정상측의 93%, 제 II군의 경우 95%, 제 III군의 경우 95%

를 보이고 있으며(P=0.312), 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한 환자 만족도도 제 I군은 평균 8.6 점, 제 II군은 8.4점, 제 III군은 8.5점으로 세 군간 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43).

Fairbank 징후5)를 이용한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는 관절 간격의 협소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4례, 골 극은 8례에서 관찰되었다. 이중 제 I군은 1개의 Fairbank change 보인 경우는 2례, 제 II군은 6 례, 제 III군은 2례였다. 즉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한 제 II군이, 제 I, III군에 비해 방사선학적으 로 퇴행성 변화를 많이 보였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68).

고 찰

반월상 연골이 중요성에 대하여 Fairbank5)는 반 월상 연골 절제술후 장기간 추시 방사선 사진상에서

(4)

연골의 견고함(integrity)유지에 더 좋은 방법이라 고 주장한 바 있으며, 반월상 연골 상태에 따른 전 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비교에서 Aglietti 등2)은 평균 55개월 추시 결과상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정상 반월상 연 골이나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보다 동통 이나 퇴행성 변화가 더 많이 발생하므로 내측 반월 상 연골 봉합술이 내측 관절면 유지에 도움이 된다 고 하였고, Wu 등20)은 자가 슬개골건을 이용한 전 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63명 환자의 평균 10 년 추시결과상, IKDC, Lysholm score는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손상받지 않은 반월상 연골의 경우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내므로 전방십자 인대 재건술의 추시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월 상 연골 손상은 봉합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 으며, Shelbourne과 Gray16)도 전방십자인대 재 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주관적, 객관적 장기 추시 결 과는 재건술 시행시 반월상 연골, 관절 연골의 상태 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와는 달리 Jarvela 등10) 은 34명의 전방십자인대만 손상받은 환자와 38명의 반월상 연골 손상으로 부분 또는 아전절제술을 시행 했거나, 측부인대 손상, 후방십자인대 손상이 동반된 환자의 5~9년 추시 결과상 두 그룹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Spindler 등19) 역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최소 5년이상 추 시 결과가 반월상 연골 손상과 치료방법, 관절 연골 의 상태와 관련이 없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Jarvela 등10)과 Spindler 등 19) 의 결과와 같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는 반 월상 연골 손상 여부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치 료 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러한 결과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슬관절의 안정 성과 재손상의 가능성을 줄일 수는 있으나, 수상전 과 같은 슬관절 기능의 완전회복을 이룰 수 없으며 따라서 재건술후에 발생하는 관절염을 완전히 예방 하지 못하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자체의 한계로 인 해 초래된 결과일수도 있다고 사료되며, 한편으로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 자체 의 문제점이나 한계로 인해 초래된 결과 일수도 있

으며, 적은 예의 짧은 추시로 인해 초래된 결과일 수 있다고 사료되어 추후 보다 많은 예에서의 장기 추시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결 론

저자들은 가설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에 반월 상 연골 손상이 없거나,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하여는 반월상 연골을 봉합한 경우가 반월상 연골 을 절제한 경우보다 주관적, 객관적 평가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연구의 결과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는 반월상 연골 손상 여부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치료 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러 한 결과는 단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1년에서 6 년정도의 단기추시로 인해 초래된 결과일 수도 있다 고 사료되며, 추후 보다 많은 예에서의 장기 추시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01) Aglietti P, Buzzi R, D’’Andria S and Zacche rotti G: Long-term study of anterior cruciate liga- ment reconstruction for chronic instability using the central one-third patella tendon and a lateral extraarticular tenodesis. Am J Sports Med, 20:38- 45, 1992.

02) Aglietti P, Zaccherotti G, De Biase P and Tad dei I: A comparison between medial meniscus repair, partial meniscectomy, and normal menis- cu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ed knees. Clin Orthop, 307:165-173, 1994.

03) Baratz ME, Fu FH and Mengato R: The effect of meniscectomy and of repair on intraarticular con- tact areas and stress in the human knee. A prelimi- nary report. Am J Sports Med, 14:270-275, 1986.

04) Bourne RB, Finlay JB, Papadopoulos P and Andreae P: The effect of medial meniscectomy on strain distribution in the proximal part of the tibia.

J Bone Joint Surg, 66-A:1431-1437, 1984.

05) Fairbank TJ: Knee joint changes after meniscec- tomy. J Bone Joint Surg, 30-B:664-70, 1948.

(5)

06) Ferretti A, Conteduca F, De Carli A, Fontana M and Mariani PP: Osteoarthritis of the knee after ACL reconstruction. Int Orthop, 15:367-371, 1991.

07) Hawkins RJ, Misamore GW and Merritt TR:

Followup of the acute nonoperated isolated anteri- or cruciate ligament tear, Am J Sports Med, 14(3):205-210, 1986.

08) Hazal WA Jr, Rand JA and Morrey BF: Results of meniscectomy in the knee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ficiency. Clin Orthop, 292:232-238, 1993.

09) Henning CE and Lynch MA: Current concepts of meniscal function and pathology. Clin Sports Med, 4:259-265, 1985.

10) Jarvela T, Kannus P and Jarvinen M: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or without accompanying injuries: A re-examina- tion of subjects 5 to 9 years after reconstruction.

Arthroscopy, 17:818-825, 2001.

11) Kannus P and Jarvinen M: Conservatively treat- ed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Long- term results. J Bone Joint Surg, 69-A:1007-1012, 1987.

12) Levy IM, Torzilli PA and Warren RF: The effect of medial meniscectomy on anterior-posterior motion of the knee. J Bone Joint Surg, 64-A:883- 888, 1982.

13) Lynch MA, Henning CE and Glick KR Jr: Knee joint surface changes. Long- term follow-up meniscus tear treatment in stab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s. Clin Orthop, 172:148-

14) McConville RO, Kipnis JM, Richmond JC, Rockett SE and Michaud MJ: The effect of meniscal status on knee stability and function afte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9:431-439, 1993.

15) Neyret P, Donell ST and Dejour H: Results of partial meniscectomy related to the stat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Review of 20 to 35 years. J Bone Joint Surg, 75-B:36-40, 1993.

16) Shelbourne KD and Gray T: Resul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ased on the meniscus and articular cartilage status at the time of surgery.: Five- to fifteen-year evalations. Am J Sports Med, 28:446-452, 2000.

17) Sommerlath KG and Gillquist J: Knee function after meniscus repair and total meniscetomy. A 7- year follow-up study. Arthroscopy, 3:166-169, 1987.

18) Sommerlath K, Lysholm J and Gillquist J: The long - term course after treatment of acute anteri- or cruciate ligament ruptures. A 9- to 16-year fol- lowup. Am J Sports Med, 19:156-162, 1991.

19) Spindler KP, Warren TA, Callison JC Jr, Secic M, Fleisch SB and Wright RW: Clinical out- come at a minimum of five years after reconstruc- 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J Bone Joint Surg, 87-A:1673-1679, 2005.

20) Wu WH, Hackett T and Richmond JC: Effect of meniscal and articular surface status on knee sta- bility, function, and symptoms after anterior cruci- 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long-term prospec- tive study. Am J Sports Med, 30:845-850, 2002.

참조

관련 문서

건강관련 행위 특성과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흡연 상태에 따른 삶의 질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영역은 신체적 기능 영역,신체적 역할제한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 상태에 따라 불안감이 달 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불투명 도재를 도포하기 전에 제조회사가 추천하는 각각의 결합 재를 사용하였다.결합재는 도재 소성 동안에 금속과 도재 사이의 기계적으로 취 약한 산화막

원료에 따른 바이오에탄올의 특성

심뇌혈관질환과 사회경제적 수준과의 관련성을 보면,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 록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높고 건강수준도 낮으며,소득수준과

본 연구에서 대조군과 두 실험군의 국소의치에 따른 전방 견치에 발생한 응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 CRPD,C-IRPD,K-IRP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이는 대조군에

다양한 패턴을 설정하고 재질의 따른 동일한 패턴의 충격 분산 비교 및 흡수 능력 또한 비교하는 패턴에 따른 충격 흡수 비교 실험을 진행하는 것인데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연령, 성별에 따른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Braud 등 31) 은 연령, 성별에 따른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