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갈등과 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4. 갈등과 대화"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답과 해설

4. 갈등과 대화

(1) 하늘은 맑건만

│3쪽│

1

역순행적

2

전지적 작가 시점

3

외적

4

죄책감

5

내적 갈등

6

7

갈등

8

정직

│4~6쪽│

010203②, ③ 0405

06숙모(작은어머니)의 돈을 훔쳐서 수만에게 준다. 07

08수만에 대한 얄밉고 원망스러운 마음 09

10

11

부끄러워 하늘을 쳐다볼 수 없다. / 하늘을 쳐다보기가 두렵 다. / 내 자신이 부끄러워 차마 하늘을 볼 수가 없다. 등

1 2

정 직하게 살아야 한다.

01

소설은 작가가 상상하여 꾸며 낸 허구적인 글이므로, 사실 적인 체험과는 거리가 멀다.

02

본문에서 문기가 수만과 돈을 함부로 쓰는 장면이 있기는 하지만, 평소 가지고 싶은 물건에 대해서 욕심이 많았고 그 것을 위해 노력했다는 것은 알 수 없다.

03

㉡과 ㉢은 뜻하지 않게 많은 거스름돈을 잘못 받게 된 문기 가, 이 돈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내적 갈등이 행 동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이다.

04

① ⓑ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하는 공간이다. ② ⓐ는 미지의 대상이 아닌 자기 내부의 양심에 의해 두려움을 느 끼는 공간이다. ③ 전체 문맥에 맞지 않는 내용이다. ⑤ 물 건을 소유한 기쁨과 관련이 있는 것은 ⓑ이다.

05

수만이는 문기의 행동에 대해 반발하고, 문기를 협박하고 있다.

06

문기는 수만의 괴롭힘에 지쳐 결국 두 번째 허물을 범하게 된다.

07

㉠은 문기의 갈등이 완전하게 해소되지 못하고, 갈등이 새 로운 국면에 들어서게 될 것임을 짐작하게 하는 부분이다.

특히 앞으로는 문기의 내적 갈등뿐 아니라, 수만이의 협박 으로 인해 문기와 수만이의 외적 갈등이 나타날 것을 암시 한다.

08

문기는 수만의 괴롭힘 때문에 또다시 양심에 가책을 느끼 는 행동을 하게 된다.

09

(가)는 문기가 붓장 안의 돈을 훔쳐 낸 일로 인해서 이웃집 의 심부름하는 아이인 점순이가 누명을 쓰게 된 상황이다.

자신의 과오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까지 피해를 주게 된 상

태에서 문기는 심한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

10

(나)의 선생님은 거짓이 나쁘고 정직이 귀한 것임을 강조하 고 있다. 따라서 ③과 같이‘착한 거짓말(하얀 거짓말)’의 장점을 이야기하는 말은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다.

11

(다)의 문기는 자신이 저지른 잘못들로 인하여 괴로움을 겪 고 있는 상황이며, 제목처럼 맑은 하늘과 자신의 힘겨운 마 음이 대조를 이루고 있다.

12

갈등의 해결 전인 (다)에서 문기는 어둠과 같이 컴컴하고 무거운 마음에 잠겨 있었으나, 잘못을 고백하여 갈등이 해 결된 (마)에서는 문기의 마음속 어둠이 사라졌다.

│7~11쪽│

01020304 문기 혼자 돈을 독차지하 려는 속셈으로 오해했기 때문이다. 0506

070809

10

11

며칠 전 일 이다.

12

13

14

15

・아버지 : (소를) 원래 자리에 갖다 두어야 한다. ・아들 : 우리가 소를 키워 야 한다.(우리가 소를 키우는 것이 당연하다.)

16

17

18

아버지와‘나’의 갈등과 화해(아버지와‘나’의 갈등과 사랑)

19

20

21

01

사건의 시간적 순서는‘문기가 거스름돈을 잘못 받음. → 수만과 물건을 삼. → 물건이 없어짐. → 삼촌이 부르심.(훈 계) → 문기가 물건을 가져다 버리고 나머지 돈을 고깃간집 안마당에 던짐. → 수만이가 찾아와 협박함.’이다.

02

① 수만이와 함께 산 물건들을 삼촌 내외에게 들킬까 봐 걱 정하는 마음이 드러난다. ③ 얼떨결에 잘못된 거스름돈을 받아 든 당황함과 어찌할 바 모르는 마음이 드러난다. ④ 돈을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을 하다가 쓰기로 한 선택 이 나타나 있다. ⑤ 자기가 저지른 일을 조금이라도 수습했 다는 것에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03

⑤‘아주 하찮은 일이라도 힘을 합쳐서 질서 있게 해야 한 다.’는 뜻으로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표현이다.

04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은 할 수 없다는 문기와 이런 문기의 행동을 혼자 돈을 차지하려고 꾀를 부리는 약은 행동이라 오해하는 수만의 갈등이 드러난다.

05

ⓒ‘일 원’과 같은 오늘날과 다른 화폐 단위를 통해 이 글의 시대적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06

(가)에서 수만이 웃고 있지만 문기와의 갈등이 깨끗이 해소 되고 본래의 관계로 돌아갔다고 보기는 어렵다.

07

(다)와 <보기> 모두 자신이 처한 부정적인 상황에서, 자신이 한 일을 괴로워하고 부끄럽게 생각하여 더 나은 미래를 위 해 반성하고 있다.

(2)

092 국어 ➊

08

(다)로 미루어 볼 때, 문기가 하늘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 는 것은 양심의 가책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09

‘인과응보’는 선을 행하면 선의 결과가, 악을 행하면 악의 결과가 반드시 뒤따른다는 뜻이다.

10

문기는 (라)에서 잘못을 반성하고 있으나, 진실을 밝히지 못해 떳떳하지 못한 마음으로 불편해하고 있다.

11

거스름돈으로 샀던 공을 숙모가 발견할까 봐 불안해하면서 공을 사게 된 과거의 사건으로 돌아가고 있다.

12

독자들은 이 글을 통해 청소년기에는 작품 속 주인공과 같 은 경험을 하면서 성장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위 안과 감동을 느낄 수 있다.

13

(마)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해당한다.

14

이 글의‘나’는 (가)에서‘가난하고 불쌍한’상황에 놓여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필사적으로 소를 집 으로 데려가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15

이 글에는‘소’를 둘러싼 아버지와 아들(‘나’) 사이의 갈등 이 두 인물의 입장 차이에 따라 선명하게 드러난다.

16

아버지는 겉으로는 ㉡처럼 말하고 있으나, 실은 목숨이 걸 린 위험한 행동을 한 아들(‘나’)을 걱정하고 있다.

17

이 글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로, 이런 경우에는 독자 가‘나’의 내면 심리를 잘 알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인물의 경우에는‘나’의 눈을 통해 바라본 행동이나 인물 간의 대 화로 추측해야 한다.

19

‘나’가 소를 가지고 싶은 마음에 매일 기도를 드리는 모습 에서 순수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20

아버지는‘나’가 공부에 매진하고 소에 신경 쓰지 말라고 강하게 행동하셨지만, 나중에는 마음으로 소를 받아들이고

㉤과 같은 행동을 통해 소에 대한 태도 변화를 보이고 있 다.

21

ⓔ는‘마음에 들 만하지 아니하다.’라는 뜻이다.

(2) 괜찮아

│12쪽│

1

2

회상

3

괜찮아

4

공감

5

6

배려, 희망

│13~14쪽│

01020304 깨엿 장수 아저씨가 글쓴이에게 깨엿 두 개를 내밀며‘괜찮아.’라는 말을 한 것을 통 해 글쓴이는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05

060708 열심히 풀었으니 괜찮다.

힘내라. 고생 많았다. 등

01

이 글은 글쓴이가 어린 시절에 겪은 특별한 경험과 그것이 삶에 미친 영향을 감동적이고도 담담하게 서술한 수필로, 교훈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있지만 해학적으로 전달하는 것 은 아니다.

02

‘괜찮아.’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는 데, 이 글에 쓰인‘괜찮아’에는 너그러움과 따뜻함, 희망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03

이 글은 남의 처지를 헤아리는 배려와 공감에 대한 이야기 를 하고 있는 글로‘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보다.’라는 의미 의 ③과 가장 관련 깊다.

04

깨엿 장수 아저씨는‘나’에게 깨엿 두 개를 내밀며‘괜찮 아.’라고 말했다. 그를 통해 글쓴이는 세상을 믿을 만한 곳, 용서와 너그러움이 있는 곳이라고 믿게 되었다.

05

㉡`~`㉤에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이 드러난다.

06

깨엿 장수 아저씨의“괜찮아.”는 문맥상 용서의 말이라고 볼 수 없다.

07

ⓓ는 친구들에 대한 배려의 마음이 잘 나타난 가수의 일화 를 통해 주제를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다.

08

‘괜찮아.’는 용기, 용서, 격려, 나눔, 부축 등 상황과 맥락에 따라 조금씩 달리 해석될 수 있다. 제시된 상황에서‘괜찮 아.’는 격려의 의미를 담고 있다.

│15쪽│

01020304

01

이 글은 글쓴이가 겪은 경험을 통해 교훈을 주고 있는 글이 다. 설득을 목적으로 쓴 글은 아니다.

02

(가)~(라)는 전반적으로 밝고 따스한 정서와 분위기가 드 러나는 글로, 다양한 심상과 비유적인 표현은 사용되지 않 았다.

03

①, ②, ⑤는‘별로 나쁘지 않고 보통 이상이다.’라는 뜻으 로, ④는‘탈이나 문제, 걱정이 되거나 꺼릴 것이 없다.’는 뜻으로 쓰였다. ③은‘그만하면 잘했다, 마음으로 부축여 주는 말’의 의미로 쓰였다.

04

(마)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는 윤호의 말을 경청하지 않고, 윤호의 처지를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있다.

(3)

정답과 해설

│16~19쪽│

0102 (마)`-`(다)`-`(가)`-`(라)`-`(나) 0304

05작은아버지께 잘못을 고백하고 죄책감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06070809 문기가 붓장 안의 돈을 훔쳤는데 점순이가 누명을 쓰고 쫓겨나게 되었음 을 알고 죄책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10

11

수신 시 간

12

13

②, ③

14

‘괜찮아’라는 말을 통해 힘든 상황에 처한 이에 대한 공감과 위로, 격려를 전하고 있 다.

15

16

17

18

‘그만하면 참 잘 했다.’또는‘괜찮아.’

01

문기는 잘못 받은 돈으로 산 물건들을 숙모가 발견했을까 봐 불안해하고 초조해하고 있다.

02

문기는 거스름돈을 잘못 받고 그 돈으로 수만이와 같이 물 건을 샀는데 그 물건이 없어지자 초조해한다. 그후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뉘우치며 죄책감을 느끼다가 삼촌에게 모든 것을 고백한다.

03

(나)에서 문기는 정직하지 못했던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 다가 삼촌에게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고 마음의 짐을 덜어 낸다. 이를 통해‘정직하게 살아야 한다.’라는 주제를 전달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4

문기는 자신이 한 일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고 부끄러워하 고 있다.

05

문기는 죄책감에 시달려 하늘조차 제대로 쳐다보지 못했다.

06

현재는‘일 원’단위가 사용되지 않고 특정 시대에만 사용 되었고 일 원은 현재의 2만 원 정도의 가치를 지닌다. ‘활 동사진’은 영화의 옛 용어이다.

07

이 글은 전지적 작가 시점의 소설로,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심리까지 모두 제시하고 있다.

08

(가)에서는 문기와 수만의 갈등이 잘 드러나 있다.

09

문기가 붓장 안의 돈을 훔쳤는데 점순이가 오해를 받아 일 하던 집에서 쫓겨나게 된다. 이에 문기는 죄책감을 느끼고 잠을 이루지 못한다.

10

하늘은 맑지만 문기는 죄책감과 부끄러움으로 인해 그 맑 은 하늘을 쳐다볼 수 없다.

11

이 소설의 배경은 일제 강점기이다. 이 당시에는 학교에서

‘수신’과목을 가르쳤는데 이는 윤리와 비슷했지만 실제로 는 황국 신민화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12

문기는 공과 쌍안경 등을 잘못 받은 거스름돈으로 산 것이 지만 수만이가 준 것이라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

13

<보기>에는 인물의 내적 갈등이 드러난다. (나)에서 문기는 잘못 받은 거스름돈을 쓰고 나서 삼촌에게 거짓말을 둘러 대며 마음속 갈등을 겪고 있고, (다)에서도 문기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쫓겨나게 된 점순이로 인해 죄책감을 느끼

며 갈등하고 있다.

14

(라)에서는 깨엿 장수 아저씨가 글쓴이에게‘괜찮아’라고 말하며 격려하고 있고, 제시된 노래 가사도 힘든 상황에 있 는 사람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전하고 있다.

15

문기는 자신의 잘못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다가, 잘못을 고 백하고 마음이 가벼워졌다.

16

(다)~(라)에서는 사건에 대한 주관적인 시선을 통해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17

공감적 화법을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상대방의 이야기에 반 응하며 경청해야 한다.

18

‘그만하면 참 잘했다.’라고 용기를 북돋아 주는 말, 또는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다.

5. 우리말의 품사

(1) 품사의 분류

│21쪽│

1

품사

2

분류

3

형용사

4

조사

5

관형사, 부사

6

7

불변어, 가변어

8

감탄사

│22~23쪽│

01 ③, ④ 02 품사는 단어를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분류한 갈래로, 품사 분류는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03 •형태가 변하는 단어:웃다, 아름답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사랑, 매우, 나무, 온갖, 물 04 ⓐ 윤다 솜, 장미라 ⓑ 사물의 이름을 나타낸다. 0506

070809

10

01

품사는 형태에 따라 가변어와 불변어로, 기능에 따라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의미에 따라 명사, 대명 사, 수사, 동사, 형용사, 조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로 나 뉜다.

03

‘사랑, 나무, 물’은 명사, ‘매우’는 부사, ‘웃다’는 동사,

‘아름답다’는 형용사, ‘온갖’은 관형사이다.

05

단어의 형태를 품사 분류의 기준으로 삼는다면 형태가 변 하는 가변어와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로 나눌 수 있다.

가변어에는 동사, 형용사, 불변어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있다.

06

① 품사란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로,

(4)

094 국어 ➊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 사의 아홉 가지로 분류한다. ② 동사와 형용사는 가변어이 다. ④는 문장 성분에 관한 설명이다. ⑤ 기능에 따른 분류 이다.

07

①은 부사, ②는 조사, ③은 수사, ④는 형용사, ⑤는 대명 사에 대한 설명이다. ‘책상, 신발, 동전’은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에 해당한다.

08

‘그녀, 선생님, 매우, 아차, 둘째’는 문장에서 쓰일 때 형태 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이고, ‘달리다, 깨우다, 맑다, 흐리 다, 날다’는 형태가 변하는 가변어이다.

09

㉠ 체언, ㉢ 용언, ㉣ 관계언, ㉤ 독립언

10

ⓐ는 문장에서 몸체에 해당하는 말인 체언(명사)이다. ①의

‘부사’와 ②의‘관형사’는 수식언, ④의‘동사’는 용언, ⑤ 의‘감탄사’는 독립언에 해당한다.

│24~25쪽│

0

1

0

2

0

3

0

4

0

5

06070809 ⑴ 2개 ⑵ 에서, 은, 로, 가 ⑶ 저, 제일

01

체언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에는 관형사, 부사, 관 계언에는 조사, 독립언에는 감탄사, 용언에는 동사, 형용사 가 있다.

02

<보기>의‘무척’은 부사로, 문장에서 다른 단어를 꾸며 주 는 역할을 하는 단어인 수식언이다. 수식언에는 관형사와 부사가 속한다. ①은 체언, ②는 용언, ④는 독립언, ⑤는 관계언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03

단어는 의미에 따라‘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 사, 동사, 형용사, 감탄사’로 나뉜다. 부사는 주로 용언을 꾸며 주는 말이다. 체언을 꾸며 주는 말은‘관형사’이다.

04

④의‘웃다’, ‘자다’는 동사, ‘아름답다’, ‘길다’는 형용사 로 가변어에 해당한다.

05

①은‘네’, ③은‘어머나’, ④는‘아차’, ⑤는‘에구’가 감탄

사로 쓰였다. ②에서는 감탄사가 쓰이지 않았다.

06

ⓔ는 부사이다.

07

기능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면 모두 다섯 개로 나눌 수 있 다.

08

㉠에는 체언, ㉡에는 수식언, ㉢에는 용언, ㉣에는 독립언,

㉤에는 관계언이 들어가야 한다.

09

⑴ 명사는‘소리, 봉우리’이다. ⑵ 조사는‘에서, 은, 로, 가’이다. ⑶ 수식언은 관형사와 부사로, ‘저(관형사)’와‘제 일(부사)’이 쓰였다.

│26~27쪽│

01 품사 02형태, 기능, 의미 03동사, 형용사

04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 사 05체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06불변어, 가변어 07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08불변어 09기능

10

용언

11

관형사

12

동사, 형용사

13

문법적 관계

14

동사, 형용사

15

산, 산들바람, 마을, 밥, 냄새, 집, 앞, 꽃, 형, 저것, 감자, 하 나

16

산, 산들바람, 마을, 밥, 냄새, 집, 앞, 꽃, 형, 감자(명 사) / 저것(대명사) / 하나(수사)

17

불다, 퍼지다, 피다, 보 다, 예쁘다, 심다, 먹다

18

이, 새로, 몰래

19

이(관형 사) / 새로, 몰래(부사)

20

에서, 이, 에는, 가, 을, 은, 이다, 만

21

이야

22

⑴ 관형사, ⑵ 대명사

23

명사, 조사, 부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24

이름, 움직임, 수량, 순 서, 대명사, 체언, 용언, 감탄사, 형용사, 조사

25

⑴ 관형사 와 부사는 모두 수식언에 포함된다. ⑵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하지 만, 부사는 주로 용언을 수식한다.

26

활용

16

명사 / 대명사 / 수사로 분류할 수 있다.

17

용언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해당된다.

18

부사, 관형사를 찾는다.

19

부사, 관형사로 나눈다.

20

조사(서술격 조사 포함)를 찾으면 된다.

21

감탄사를 찾는다.

23

공부, 수고 - 명사 / 를, 가 - 조사 / 열심히 - 부사 / 너 - 대명사 / 많구나(많다) - 형용사 / 하느라(하다) - 동사

(2) 품사의 특성

│29쪽│

1

동사, 형용사

2

주어, 목적어, 보어

3

이름, 대명사, 순서

4

활용

5

조사

6

7

의존 명사,

8

체언, 용언

│30~31쪽│

0102밥, 아침, 학원 0304 ⓐ 기본형,

ⓑ 고즈넉하다 05060708

01

체언은 명사, 대명사, 수사에 속하는 단어들이 문장에서 주 어, 목적어, 보어 등 몸체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붙 여진 명칭이다. 체언은 관형사의 수식을 받으며, 뒤에 조사 를 결합시킬 수 있다.

02

<보기>는 체언에 속하는 단어들이다. 체언에는 명사, 대명 사, 수사가 있는데, 명사는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

(5)

정답과 해설

고,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며, 수사는 수량이나 순서를 나 타낸다.

03

㉠은 동사에 대한 설명이다. ④는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04

용언의 기본형을 하나로 정한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사전 이 너무 복잡해지고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고즈넉한’은

‘고즈넉하다’의 활용형이다.

05

관형사와 부사는 모두 문장에 쓰일 때에 형태가 변하지 않 는 불변어이다. 문장에서 쓰일 때 형태가 변하는 가변어는 동사와 형용사이다.

06

①, ②, ③, ⑤는 모두 뒤에 오는 체언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 고, ④의‘하나’는 뒤에 조사가 결합할 수 있는 수사이다.

07

제시된 문장에 쓰인 조사는‘을, 은, 이다’이다.

08

<보기>는 품사의 종류 중 감탄사에 대한 설명으로, ‘어머’

는 감탄사이다. ①은 부사, ②는 형용사, ③은 명사, ⑤는 조사이다.

│32~33쪽│

0102 하나, 둘, 첫째, 둘째 / 수사는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낸다. ‘은/는, 이다, 도’등 조사와 결합하여 쓰이는 경우가 많다. 0304050607

부사 08‘다섯’은‘사람’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므로 조사

‘의’를 붙일 수 없다. 따라서‘그 버스에는 다섯 사람이 타고 있 었다.’로 고쳐야 한다. 09

10

01

명사는 문장에서 쓰일 때에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이 다.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품사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있 다.

02

수사는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단어이다.

03

④의‘지나갔다(지나가다)’는 동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형 용사이다.

04

<보기>의 밑줄 친 단어들은 사람이나 사물 또는 장소를 대 신하여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은‘강산이’를 가리킨다.

05

①~④는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용언이고, ⑤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체언(명사)이다. 문장에서 쓰일 때 형태가 변 하는 품사에는 동사, 형용사가 있다.

06

관형사는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꾸며 주는 품사이다.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는 형용 사이다.

07

‘같이’는‘가자(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부사는 용언 을 꾸며 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이다.

08

관형사는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는 품사로, 조사 없이 혼 자 쓰인다.

09

ⓐ, ⓑ, ⓓ, ⓔ는 체언과 결합하여 쓰였으므로 조사이고, ⓒ 는‘끊어지(어간)`+`-고(어미)’에서 볼 수 있듯이 동사‘끊어 지다’의 어미이다.

10

감탄사는 문장에서 다른 단어의 꾸밈을 받지 않고 독립적 으로 쓰인다. 감탄사는 그 자체만으로 화자의 감정과 의지 가 표현될 수 있어 다른 말이 계속되지 않더라도 독립된 문 장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34~35쪽│

01 주어, 목적어, 보어 02 조사 03 이름, 명사, 수사

04서술어, 동사, 형용사 05어간, 어미 06조사, 조 사 07수식언 08체언, 용언 09조사

10

명 사

11

조사

12

명사

13

수사

14

관형사

15

관형사

16

관형사

17

부사

18

형용사

19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이고, 형태가 변한다.

20

현재 시제 선어말어미

21

의도

22

목적

23

동사

24

형용사

25

조사

26

감탄사

27

놀람, 부름, 느낌, 느낌, 대답

28

조사

29

의존 명사

30

주어, 뜻

│36~39쪽│

0102030405 ⓐ 김밥, 수박 ⓑ 웃다, 걷다 ⓒ 하나, 첫째 0607 대명 사 08②, ④ 09

10

11

수식언이 없 을 때에 비해 있을 때가 문장의 의미가 더욱 분명해진다.

12

13

14

은, 이, 는, 가

15

16

㉠ 명 사, ㉡ 조사

17

18

19

20

형태가 변하지 않고, 문법적인 관계를 드러내며, 특별한 뜻을 더해 준다.

01

품사란 단어를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한 갈래이 다. ①은 형태소, ②는 단어, ④는 문장, ⑤는 문장 성분에 대한 설명이다.

02

①은‘신발’, ②는‘예쁘구나(예쁘다)’, ④는‘어머’, ⑤는

‘이’가 해당된다.

03

㉮는 단어가 문장에서 쓰일 때 형태가 변하는 가변어와 형 태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로 나누는 기준이다. 문장에서 쓰 일 때 형태가 변하는 품사에는 동사, 형용사가 있고, 형태 가 변하지 않는 품사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 사, 부사, 감탄사가 있다.

04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가 해당된다.

05

품사는 의미에 따라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조 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로 분류할 수 있다. ⓐ는 명사, ⓑ 는 동사, ⓒ는 수사를 가리킨다.

(6)

096 국어 ➊

096 국어 ➊

06

체언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가 속하는데, ④의‘온갖’은 뒤 에 오는 체언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다. ①은 대명사, ②와

⑤는 명사, ③은 수사이다.

07

제시된 시는 대명사를 표현한 시이다.

08

제시된 문장의‘첫째, 둘째, 셋째’는 순서나 수량을 나타내 는 수사이다.

09

①의‘한’은 뒤에 오는 명사‘사람’을 수식하고 있으므로 관형사이다.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 사이다.

10

부사는 용언 또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해 주는 품사로, 활용하지 못한다.

11

수식언은 다른 단어를 꾸며 주는 단어로, 관형사와 부사가 있다.

12

<보기>의 단어들은 동사이다. ①은 수식언(관형사, 부사),

②는 형용사, ③은 동사, 형용사를 제외한 나머지 품사, ⑤ 는 감탄사에 대한 설명이다.

13

<보기>는 동사‘가다’의 활용의 예이다. 기본형에 현재 시 제 선어말 어미‘-`는/-`ㄴ’을 사용할 수 있을 경우에는 동 사, 없을 경우에는 형용사이다. 또한 명령형과 청유형 어미 를 사용할 수 있을 경우에는 동사, 없을 경우에는 형용사이 다. ①~④는 동사, ⑤는 형용사이다.

14

조사는 문장에서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단어(주로 체언) 에 붙어서 쓰인다.

15

③의‘만’은‘단독’의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이다.

16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는 명사이고, 주로 체언과 결합하여 다른 말과의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단어는 조사이다.

17

‘무슨, 헌’은 관형사이고, ‘매우, 활짝’은 부사이다.

18

용언에는 동사, 형용사가 속해 있고, 조사는 자립성이 없어 홀로 쓸 수 없다.

19

<문제 1>의 정답은 Yes이므로, <문제 2>를 풀어‘집’을 골 라야 한다.

(1) 천년을 가는 한지의 비밀

│41쪽│

1

한지

2

3

대량 생산

4

닥풀, 도침

5

우수성

6

처음, 중간, 끝

7

대조

8

정의

6. 효과적인 설명

│42~43쪽│

0102030405 한지는 통 풍성이 뛰어나고 습기를 잘 흡수해서 습도 조절의 역할을 하기 때 문이다. 060708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 독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09

10

01

이 글은‘한지’에 대한 설명문으로 다양한 설명 방법을 사 용하여 한지의 특성과 우수성에 대해 전달하고 있다.

02

(다)에서는 화학 반응에서의 한지와 양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03

(가)에서는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의 뜻과 의미를 밝혀 설명 하는‘정의’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①은 분석, ②는 정의,

③은 분류, ④는 비교, ⑤는 대조의 방법이 쓰였다.

04

한지는 보온성과 통풍성이 뛰어나고, 양지에 비해 비싸며 중성지이다. 한지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중반 부터이다.

05

(나)에서 한지는 바람이 잘 통하고 습도 조절의 역할까지 한 다고 하면서 한지를‘살아 있는 종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06

이 글은 설명문으로 정확한 사실과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쓰는 글이다. ①은 문학 작품, ②, ④는 설득하는 글, ⑤는 수필을 읽는 방법이다.

07

(가)~(라)는 설명하는 대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시하는 글의 중간 부분, (마)는 설명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글쓴 이의 의견을 제시하는 글의 끝 부분이다.

08

제시된 내용은 한지로 만들어진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두 루마기가 오래도록 보존되어 왔음을 설명하면서 한지의 우 수성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09

㉠과 ㉡의 앞뒤 내용은 서로 대조되는 내용으로, 한지와 양 지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10

닥나무의 섬유의 길이가 양지의 원료가 되는 것보다 훨씬 길다는 원인을 제시하고 그러한 결과로 한지가 양지보다 질기다고 하였으므로 인과의 방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44~45쪽│

0102030405

060708 민수 / 한지와 양지를 견주어 설명 하면 한지가 양지보다 우수하다는 생각이 두드러지고 강조되기 때문이다.

01

(가)는 처음, (나)~(라)는 중간, (마)는 끝 부분에 해당한다.

(7)

정답과 해설 정답과 해설 02

(다)에 양지의 원료는 침엽수나 활엽수라고 제시되어 있다.

닥나무는 한지의 주원료이다.

03

<보기>는 한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과 발전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마)에서도 일상생활과 첨 단 과학 분야에서 한지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하 고 있다.

04

<보기>는 인용에 대한 설명이다. ㉠은 정의, ㉡과 ㉣은 인 과, ㉤은 대조의 설명 방법이 사용되었다.

05

①은 (나)와 (다)에, ②는 (다)에, ③은 (나)에, ④는 (라)와 (마)에서 찾을 수 있다.

06

<보기>에서는 사물놀이와 풍물놀이의 차이점을 견주어 설 명하는 대조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대조의 방법이 사용된 문단은 양지와 한지의 차이점을 설명한 (다)이다.

07

③은‘닥풀’에 대한 설명으로, ‘닥풀’은 얇은 종이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여러 장의 겹쳐진 젖은 종이를 분리 하는 역할을 한다.

08

은영이는 한지의 장점을 그대로 나열하였고, 민수는 한지 의 장점을 양지와 견주어 제시하였다.

(2) 적절한 설명 방법으로 글쓰기

│47쪽│

1

정의

2

부연・상술

3

비교, 대조

4

기준, 기 준

5

신뢰도

6

원인, 결과

7

분석

8

예시

│48~49쪽│

010203 제시된 글에 쓰인 설명 방법은 비교 와 대조의 방법으로, 비교는 둘 이상의 대상이나 현상에 대해 공통 점을 중심으로 밝히는 데 반해, 대조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 는 방법이다. 0405 설명하는 내용에 대한 신뢰도 를 높일 수 있다. 06070809

인과

10

01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의 의미를 밝히는 방법을‘정의’라고 한다.

02

<보기>는 분류의 방법을 사용하여 악기를 소리 내는 방법 에 따라 나눈 것이다.

03

제시된 글에는 풍물놀이와 사물놀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제시되어 있다.

04

열거는 비슷한 종류의 내용을 나란히 늘어놓거나, 많은 정

보를 한번에 제시하기에 적합한 설명 방법이다. ①은‘정 의’의 방법으로 글을 쓰기에 적절한 주제이다.

05

‘인용’은 대상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 믿을 수 있는 지식과 정보를 끌어와서 사용하기 때문에 글에 대한 신뢰도를 높 일 수 있다.

06

정의는 어떤 대상의 의미나 개념을 밝히는 설명 방법이다.

①은 예시, ②는 분석, ④는 비교, ⑤는 인과가 적절하다.

07

①은 분류, ②는 정의, ④는 부연・상술, ⑤는 예시의 방법 이 사용되었다. ③은 분석의 방법으로 (가)~(마)에는 제시 되어 있지 않다.

08

①・③・④・⑤는‘악기의 재료’에 따른 분류이지만, ②는

‘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른 분류이다.

09

(라)에서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설명하는 인과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10

예시는 주로‘예를 들어, 예컨대’와 같은 말이 사용된다.

│50~51쪽│

010203 우리 조상들은“밥이 보약이다.”라 고 할 정도로 밥을 부식보다 훨씬 중히 여겨 왔다. 04

05 주거 형태에 따라 집을 분류한다. 06

07읽는 이가 좀 더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 다. 08 분석 09

10

11

01

제시된 주제들은 여러 가지 내용들을 죽 늘어놓고 설명하 는 방법인 열거가 적절하다.

02

③은 분류에 대한 설명이다.

03

직접 인용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그대로 가져와서 그 말의 앞뒤에 따옴표와 같은 문장 부호로 표시하여 직접 제 시한다.

04

(라)에서는 세종 대왕 상에 대해 읽는 이가 좀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05

(마)의 자료는 독립 주택, 연립 주택, 아파트의 특성들로 주 거 형태에 따른 분류임을 알 수 있다.

06

비교와 대조는 두 대상을 서로 견주어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07

(마)에 부연・상술의 개념 및 특성이 제시되어 있다.

08

분석은 전체를 부분으로 쪼개어 설명하는 방법이다.

09

(라)는‘인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①, ②는 정의, ③은 비교, ⑤는 분석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10

제시된 글에서 자세히 덧붙여 설명하는 방법인 상술은 사 용되지 않았다.

11

설명문은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글이다.

②는 문학 작품의 소재로 적절하다.

(8)

098 국어 ➊

│52~55쪽│

01020304 (한지) 바람, 닥나무, 중성지 / (양지) 펄프, 산성지 050607

08 (나)는 글의 끝(맺음말) 부분으로, 글쓴이의 의견을 제시하면서 글을 마무리한다. 09

10

11

12

분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쉽게 설명할 수 있다.

13

14

15

16

17

18

19

한지는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일 수 있다.

01

이 글은 설명문으로, 읽는 이가 이해하기 쉽게 간결하고 명 확하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02

(나)~(라)에서는 한지와 양지의 차이점을 견주어 제시함으 로써 한지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03

(다)와 (라)에서는 대조와 인과, 인용의 설명 방법이 사용되 었다.

04

본문을 바탕으로 한지와 양지의 차이점을 파악한다.

05

㉠과 ㉡에는 앞뒤가 상반되는 내용을 이어 주는 말이 필요 하다.

06

(가)에서 한지의 원료, 한지의 이름의 유래, (나)에서 한지의 활용 방안과 위기의 내용이 나타나 있지만 한지의 제조 과 정은 알 수 없다.

07

(가)에서는 한지의 의미를, (다)에서는 큰가시고기의 뜻을 설명하고 있다. ‘정의’는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의 뜻과 의 미를 밝혀 설명하는 방법이다.

08

(나)는 글의 끝(맺음말) 부분이다.

09

수컷 큰가시고기는 알에게 더 많은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 둥지 위에서 머리를 위로 하고 곧추서서 양쪽 지느러미를 흔드는 행동을 한다.

10

(마)에서는 풍물놀이와 사물놀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들 어 설명하는 비교와 대조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비교와 대 조는 두 대상을 서로 견주어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두 대상 이 같은 범주에 속해야 한다. ③은 부연・상술, ④는 인용,

⑤는 분류에 대한 설명이다.

11

주장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논설문이다.

12

(다)는 소리 내는 방법을 기준으로 악기를 분류한 것이다.

13

(가)에는 한지와 양지의 차이점을 제시한 대조의 방법이 쓰 였다. ①은 분석, ②는 정의, ③은 인용, ⑤는 열거의 방법 이 쓰였다.

14

(나)에는 대조, 인과, 인용의 방법이 쓰였고, <보기>에서는 인과의 방법이 쓰였다. 인과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설명 하는 방식이다.

15

(라)에서는 부연・상술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①은 열거,

②는 예시, ③은 분류, ⑤는 인용에 대한 설명이다.

16

(나)에서 한지가 값싸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양지의 등장으 로 위기를 맞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17

②는 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18

사물놀이와 풍물놀이의 차이점을 설명하면서, 각각의 놀이 에 쓰이는 악기의 종류를 열거하고 있다.

19

(나)와 제시된 책의 내용은 모두 한지의 효용 가능성에 대 해 설명하고 있다.

│56~60쪽│

➊회

010203040506

07③, ④08①, ③09

10

11

12

13

14

15

16

②, ⑤

17

18

19

20

01 으슥한 골목에 있을 때에는 망설이고 두려움을 느끼지만, 밝 은 큰 행길로 나가자 점차 즐거워하게 된다. 02‘괜찮아.’라 는 말을 듣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03 쓰임 에 따라 문장 안에서 형태가 다양하게 변한다. 문장에서 서술하는 역할을 한다. 04가다, 아늑하다 05 대조 / 한지에 대 해서만 설명하는 방법보다 한지와 양지의 차이점을 대조하여 설 명함으로써 한지의 우수성과 장점을 두드러지게 강조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주관식 문제│

01

이 글은 전지적 작가 시점의 소설로, 서술자가 사건의 전개 와 등장인물의 심리, 행동의 동기, 감정 등 모든 것을 알고 있으며 소설에 개입하여 인물이나 사건을 비평하기도 한다.

02

문학 작품 속‘갈등’은 인물의 내부나 인물 사이에 일어나 는 대립과 충돌이다. 이외에 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 립을 가리키기도 하며, 이러한‘갈등’은 전개된 사건에 필 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③ 소설에서 갈등은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어 사건을 전개시키는 역할을 한다.

03

수만은 문기가 고깃간 주인에게 거스름돈을 더 받은 것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단 잔돈만 작은어머니에게 드리라 고 문기에게 말하고 있다.

04

이 글은 1930`~`1940년대의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다.

‘수신’은 일제 강점기 때 교과목 중 하나이다.

05

(가)는 글쓴이가 체험을 통해 얻은 삶에 대한 성찰, 깨달음 을 자유롭게 적은 글인 수필로 형식이 자유로운 글이다.

06

‘괜찮아.’라는 말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일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글쓴이는‘괜찮아.’라는 말에 따뜻함과 희망이 담겨 있다고 말하고 있다. ‘훈계’는 타일

(9)

정답과 해설

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말하기이므로, 글쓴이가 생각하는‘괜찮아.’라는 말의 의미와 거리가 멀다.

07

글쓴이는 어린 시절‘괜찮아.’라는 말을 듣고 세상을 긍정 적으로 바라보게 된 경험을 통해 다른 사람의 어려운 처지 에 공감하는 태도와 그를 배려하는 따뜻한 행동과 말, 마음 씨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08

(나)의‘꼬맹이’는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다) 의‘나는야 짱’은 상대방의 처지와 심정을 고려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예의를 지키지 않고 있다.

09

문장에서 형태가 변하는 가변어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있 고,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 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속한다. ②는 부사이고, ①, ④ 는 동사, ③, ⑤는 형용사이다.

10

(나)의 Ⓐ에서‘사과’는 문장에서 쓰일 때 형태가 변하지 않 는다. 반면에‘먹다’는‘먹는다, 먹을까, 먹어라’와 같이 쓰 임에 따라 문장 안에서 형태가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11

‘무척’은 용언 또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 는 품사인‘부사’로, 다른 단어를 꾸며 주는‘수식언’이다.

12

<보기>는 말하는 이의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품사인 감탄사(독립언)에 대한 설명이다. ②의

‘매우’는 다른 단어를 꾸며 주는 부사(수식언)이다.

13

명사는 구체적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구체 명사와 추상 적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추상 명사로 나눌 수 있다. ① 은 구체 명사, ③은 추상 명사의 예이다.

14

<보기>의 ㉠~㉤은 사람이나 사물 또는 장소를 대신하여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은 영웅이와 한국이를 가리킨다.

15

①은 사물이나 사람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②~⑤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16

대상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는 형용사이다. ①,

③, ④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이고,

②, ⑤는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 이다.

17

이 글은 한지의 우수성과 한지에 담긴 조상의 지혜를 설명 하는 글이다.

18

(나)에서는 인과의 방법으로 대상을 설명하고 있다. 인과는 원인과 결과라는 관계가 명확하게 설정되는 대상을 설명하 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사회 현상, 과학의 원리 등을 설명하 는 데 많이 사용된다. ①은 정의, ③은 예시, ④는 인용, ⑤ 는 대조에 대한 설명이다.

19

(다)에서는 열거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열거는 여러 가 지 예나 사실을 죽 늘어놓고 설명하는 방법으로, 비슷한 종 류의 내용을 나란히 늘어놓거나 많은 정보를 한번에 제시 하기에 적절하다. ①은 정의, ②는 분석, ③은 대조, ④는

인과의 방식으로 글을 쓰기에 적절한 주제이다.

20

한지는 보온성과 통풍성이 뛰어난 데 반해, 양지는 바람이 잘 통하지 않고 습기에 대한 친화력이 약하다.

01

(나)의‘으슥한 골목 ~ 다른 기쁨으로 변했다.’, ‘길 좌우편

~ 손짓해 부르는 듯했다.’를 통해 문기의 심리 변화를 짐 작할 수 있다.

02

(가)에서 깨엿 장수는 어린 나이에 장애를 갖게 된‘나’를 가엾게 여겨‘괜찮아.’라는 말과 함께 깨엿을 건네 주고 있 다. 글쓴이는 그 말을 통해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 었다.

03

동사와 형용사는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서술 해 주므로 둘을 묶어 용언이라고 한다. 용언은 문장에서의 쓰임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데, 이러한 것을 활용이라 한다.

05

(가)에서는 대조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한지와 양지의 차 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대조’란 둘 이상의 대상이나 현상 에 대해 차이점을 밝히는 설명 방법이다.

│주관식 문제│

│61~65쪽│

❷회

010203040506

0708②, ③09

10

11

12

②, ⑤

13

14

15

①, ②

16

17

18

19

20

①, ⑤

01 문기는 그동안 수만이 핑계를 대면서 덮었던 자신의 잘못을 양심에 비추어 바로잡아야 한다고 느꼈다. 02 어린 나이에 장애를 갖게 된‘나’를 가엾게 여겼을 것이다. 친구들도 없는 골목 길에 혼자 앉아 있던‘나’가 외로워 보였을 것이다. 03‘건강 하다’는 형용사로 명령형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보기>는

‘여러분 모두 건강하시기 바랍니다.’로 고쳐야 한다. 04 한 지란 주로 닥나무 껍질에서 뽑아낸 섬유를 원료로 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제조법으로 만든 종이이다. 한지는 20세기 초・중반 서양 종이인 양지가 들어와 많이 쓰이기 시작하면서 한지로 불리게 되 었다. 05비교, 대조

│주관식 문제│

01

(가)에서 문기는 숨겨 둔 공, 그리고 서랍 속에 넣어 둔 쌍안 경이 없어져서 불안해하고 있다.

02

이 소설은 사건을 현재에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서 제시 하거나, 결말 부분을 먼저 보여 주거나,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을 나열하는 방법 등 사건이 시간의 흐름을 따르지 않 고 복잡하게 진행되는 역순행적 구조를 가진다.

03

문기는 남은 거스름돈을 고깃간집 안마당에 돌려놓았으나, 수만은 이를 믿지 않고 문기가 혼자 돈을 독차지하려고 한 다고 오해하고 있다.

(10)

100 국어 ➊

04

(라)에서는 거스름돈을 돌려주었다는 문기와, 문기가 거짓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수만 사이의 외적 갈등이 드러 난다.

05

(가)는 글쓴이가 체험을 통해 얻은 삶에 대한 성찰, 깨달음 을 자유롭게 적은 수필이다.

06

‘나’는 다리가 불편한 장애를 가지고 있다. ④ 놀이에 참여 할 수 없는‘나’를 배려하는 친구들 덕분에‘나’는 소외감과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⑤‘나’는 깨엿 장수 아저씨의‘괜 찮아’라는 말을 통해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07

공감적 대화를 할 때에는 상대방의 말을 분석하고 비판하 기보다는 긍정적인 태도로 경청하고 수용해야 한다.

08

윤호는 우호적이지 않은 태도로 부모님에게 자신이 억울하 다는 말을 짜증스럽게 반복하고 있다.

09

‘저’는 체언인‘꽃’을 꾸며 주는 수식언(관형사)이다.

10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를 동사라 하고, 대상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를 형용사라 한다. ①,

②, ④, ⑤는 동사, ③은 형용사이다.

11

조사는 문장에서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단어(주로 체언) 에 붙어서 쓰인다.

12

관형사는 체언을 꾸며 주는 말이고, 부사는 주로 용언을 꾸 며 주는 말이다.

13

설명문은 정보를 전달하여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감화(感化)란 좋은 영향을 받아 생각이나 감정 이 바람직하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① 사실성, ③ 단 계성, ④ 평이성, ⑤ 객관성은 설명문의 특징들이다.

14

②는 (나)와 (라)에, ③은 (라)에, ④는 (마)에, ⑤는 (가)에 제 시되어 있다.

15

<보기>는 설명문의‘처음(머리말)’에 대한 설명이다. ‘중간 (본문)’에서는 설명할 대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시한 다. 이때 다양한 내용 전개 방법을 활용하여 독자들이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한다. ‘끝(맺음말)’에서는 설 명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며, 특히 글쓴이의 당부나 더 탐 구해 볼 부분을 언급하면서 글을 마무리한다. (가), (나)는 처음, (다), (라)는 중간, (마)는 끝에 해당한다.

16

㉠에 사용된‘정의’는 어떤 말이나 사물의 뜻을 명백히 밝 혀 규정하는 방법이다. ㉡과 ㉤에 사용된‘대조’는 둘 이상 의 대상이 가진 차이점을 밝혀서 견주어 설명하는 방법이 다. ㉢의‘인과’는 원인과 결과의 방법으로 설명하는 것을 말하며, ㉣의‘인용’은 남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이나 글 속에 끌어와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17

정의는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의 뜻과 의미를 밝히는 방법 이다. ③은 여러 가지 예나 사실을 죽 늘어놓고 설명하는

‘열거’의 방법이 사용된 예이다.

18

예시는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 추상적인 개념이 지닌 속성

01

㉠은 문기가 삼촌에게 혼난 이후의 상황에서 문기가 깨달 은 내용이다.

02

‘깨엿 장수 아저씨’는 어린 나이에 장애를 가진‘나’가 친 구들도 없는 골목길에 혼자 앉아 있던 것이 외롭고 가엾어 보였을 것이다.

03

동사는 명령형과 청유형 어미를 사용할 수 있으나, 형용사 는 사용할 수 없다.

04

한지의 의미와 유래는 (나)에 제시되어 있다. ‘한지’라는 말 의 뜻은‘한국 한(韓)’, ‘종이 지(紙)’를 가리키며, 20세기 초・중반 서양 종이인 양지가 들어와 많이 쓰이기 시작하 면서부터 한지로 불리게 되었다.

05

비교는 둘 이상의 대상이나 현상에 대해 공통점, 유사점을 중심으로 밝히는 방법이고, 대조는 둘 이상의 대상이나 현 상에 대해 차이점을 밝히는 방법이다.

│주관식 문제│

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분명하게 하는 방법이다. ③은‘정 의’의 조건에 해당한다.

19

분류는 대상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거나 종류별로 묶어 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분류를 할 때에는 대상들 사이에 공 통점이 있어야 하며, 하나의 분류 기준만을 적용해야 한다.

20

‘분석’은 복잡한 현상이나 대상 또는 개념을 성분 또는 기 능 등에 따라 하위 구성 요소로 나누어 밝히는 설명 방법이 다. ②와 ③은 분류, ④는 인과의 방법으로 설명하기에 적 절한 주제이다.

│66~70쪽│

❸회

0102030405

06①, ③070809

10

11

12

①, ④

13

14

15

①, ③

16

17

18

19

20

01 작은아버지께 잘못을 고백하고 죄책감에서 벗어났기 때문이 다. 02 형태, 기능, 의미 03 명사, 조사 04 닥풀,

도침 05인용

│주관식 문제│

01

(가)는 결말 부분으로, 문기가 삼촌에게 잘못을 고백함으로 써 내적 갈등이 해결되고 있다.

02

(가)의 글쓴이는 정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①은 마 땅히 할 말은 해야 한다는 의미로, ‘정직’과는 거리가 멀다.

03

(나)는 작가가 어린 시절에 겪은 특별한 경험과 그것이 삶 에 미친 영향을 담담하게 서술한 수필이다. 수필은 글쓴이 가 체험을 통해 얻은 삶에 대한 성찰, 깨달음을 자유롭게 적은 글이므로, 사실과 의견을 판단하기보다는 글쓴이의

(11)

정답과 해설

이야기에 공감하는 태도로 감상하는 것이 좋다.

04

(나)의 ⓐ에는 다리가 불편하여 놀이에 참여할 수 없는‘나’

의 처지를 배려하는 친구들의 따뜻한 마음씨가 드러나 있다.

05

문장에서 몸체의 역할을 하는 것은 체언으로 명사, 대명사, 수사가 있다. ①, ③은 명사, ②는 수사, ④는 부사, ⑤는 대 명사이다.

06

형태 변화의 여부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가변어와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불변어로 나눌 수 있다. 국어의 가변어에는 동 사, 형용사가 있고, 불변어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있다.

07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를 동사라 하고, 대상의 상 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를 형용사라고 한다. 동사와 형 용사는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서술해 주므로 둘을 묶어 용언이라고 한다. 용언은 문장에서의 쓰임에 따 라 형태가 변한다. ④는 체언의 특징이다.

08

‘좋았다(좋다)’는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인 형용사이다.

09

제시된 시는 명사를 표현하고 있다. ①은 동사, ②는 수사,

④는 조사, ⑤는 형용사의 특성이다.

10

①, ②, ③, ⑤는 체언으로 문장에서 몸체 역할을 한다. ④ 는 수식언으로 다른 단어를 꾸며 주는 역할을 한다.

11

③의‘그’는 대명사이고, ①, ②, ④, ⑤는 체언을 꾸며 주는 관형사이다.

12

감탄사는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워서 문장의 처음이나 끝에 놓일 수도 있고, 문장 중간에 끼어들 수도 있다. 감탄사는 문장 속에서 활용하지 않으며,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 관 련되지 않으므로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한다.

13

(가)~(다)는 한지의 우수성과 한지에 담긴 조상의 지혜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고, (라)는 큰가시고기의 새끼 보호와 자식 사랑의 오해에 대한 설명문이다. ① 전기문, ② 건의 문, ③ 논설문, ⑤ 기사문

14

②는 본문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이다.

15

② 한지는 사람의 손으로 만들고, 양지는 기계로 대량 생산 을 한다. ④ 한지는 닥나무 껍질에서 뽑아낸 섬유를 원료로 하고, 양지는 펄프를 원료로 한다. ⑤ 한지는 중성지이며, 양지는 산성지이다.

16

ⓒ에는 정의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①은 대조, ②는 인과,

③은 인용, ④는 정의, ⑤는 예시에 대한 설명이다

17

열거는 비슷한 종류의 내용을 나란히 늘어놓거나, 많은 정 보를 한번에 제시하기에 적절한 설명 방법이다.

18

비교와 대조는 두 대상이나 현상 간의 우열이나 가치를 판 단하려는 것이 아니다. 비교와 대조를 사용하면 둘 이상의 대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9

②에는 대조가 사용되었다. 비교는 둘 이상의 대상이나 현 상에 대해 공통점과 유사점을 중심으로 밝히는 방법이고, 대조는 차이점을 밝히는 방법이다.

20

①은 비교와 대조, ③은 정의, ④는 인과, ⑤는 열거의 효과 에 대한 설명이다.

01

(가)에서 문기는 삼촌에게 그동안의 잘못을 모두 자백하고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02

품사는 문장에서 쓰일 때 형태가 변하느냐 그렇지 않느냐 에 따라, 단어가 문장 안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단어가 지 닌 뜻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03

‘철수야’는‘철수(명사)’+‘야(조사)’로, 하나의 단어가 아 니다.

04

(나)에서는 한지의 질을 향상시킨 이유로 식물성 풀인‘닥 풀’과 표면 가공 기술인‘도침’을 제시하고 있다.

05

‘인용’이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이나 글 속 에 끌어와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주관식 문제│

│71~75쪽│

❹회

010203040506

0708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①, ②

19

20

01 정직은 귀하고 중하다. 02 그만하면 참 잘했다. 03형 용사, 고즈넉하다 04대조 05이, 부른다

│주관식 문제│

01

선생님은 문기의 잘못을 알지 못한다. (라)에는 수신 시간 에 문기가 혼자 마음 불편해하는 모습이 드러나 있다.

02

문기는 거스름돈을 많이 받은 뒤 갈등을 하다가 그 돈을 써 버렸기 때문에 거짓됨 없이 항상 정직을 유지했다는 설명 은 알맞지 않다.

03

이 글에는 문기와 수만이의 외적 갈등, 문기의 내적 갈등이 드러나 있고, 문기와 삼촌의 갈등은 드러나 있지 않다.

04

㉠과 ㉡에 담긴 함축적 의미의 관계는 반의 관계이다.

05

이 글의 갈래는‘수필’로 특정한 형식 없이 글쓴이의 개성 이 드러나는 글이다.

06

민호는 이 글의 주제에서 벗어난 감상을 하고 있으므로 적 절하지 않다.

(12)

102 국어 ➊

07

㉡은 친구들의 놀이에 참여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이 불편했 지만, 친구들의 배려로 함께 어울릴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하기 위해 서술된 부분이다.

08

‘나’는 골목 안 친구들의 배려로 놀이에 항상 참여해 왔다.

따라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슬프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다.

09

ⓐ에는 대명사, ⓑ에는 관형사, ⓓ에는 감탄사, ⓔ에는 형 용사가 들어가야 한다.

10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한다.

11

ⓕ에는‘조사’가 들어가야 한다. 조사는 체언에 붙여 쓰고,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고 뜻을 더해 주기도 한다. ‘은/는’은 형태만 다른 동일한 단어이며, ‘을/를’도 마찬가지이다. 조 사는 문장 안에서 체언이 주어, 목적어, 보어인지 아닌지를 결정해 준다.

12

형태 변화의 유무에 따라 품사를 구별하면 가변어와 불변어 로 나눌 수 있는데, 가변어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해당된다.

13

‘조히(종이), 조선종이, 창호지, 문종이, 참종이, 닥종이 등 으로 불렸던’에서 열거의 방법이 쓰였다.

14

한지의 장점을 소개하고 있지만,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설 명은 글에 제시되지 않았다.

15

양지와 한지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대조의 방법이 주로 쓰 였다.

16

<보기>는 정의의 방법을 사용한 문장이다. (가)의‘한지란 주로 닥나무 껍질에서 뽑아낸 섬유를 원료로 하여 우리나 라 고유의 제조법으로 만든 종이를 이르는 말이다.’에서도 정의의 방법을 사용했다.

17

제시된 글에는 원인과 결과가 잘 드러나 있다.

18

(다)는 분석의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19

과거를 기준으로 하면 현재가 결과, 미래를 기준으로 삼으 면 현재가 원인이 된다. 즉, 어느 시간을 기준으로 하느냐 에 따라 원인과 결과의 상태가 달라진다.

01

주제가 드러난 문장은‘선생님은 뒷짐을 지고 교단 위를 왔 다 갔다 하며 거짓이라는 것이 얼마나 악한 것이고 정직이 얼마나 귀하고 중한 것인가를 누누이 말씀한다.’이다.

02

골든 벨을 울리지 못한 친구의 용기를 북돋아 주는 말이다.

03

<보기>는 기본형‘고즈넉하다’의 활용형이다. ‘고즈넉하 다’는 조용하고 잠잠한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형용사에 해 당한다.

05

부연・상술은 자세히 덧붙여 설명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글에서는 세종 대왕 상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주관식 문제│

│76~79쪽│

01 문기가 심부름을 갔다가 잘못 받은 거스름돈을 쓴 일이다.

02문기의 내적 갈등 03물건을 소유한 기쁨 04ⓐ 집 안을 일으킬 사람 ⓑ 훈계 05삼촌께 꾸중을 들은 문기는 삼 촌을 속였다는 죄책감에 돈을 던지게 되었다. 06우연히 생 긴 큰돈을 몰래 쓰고, 삼촌의 추궁에 거짓으로 둘러댄 것이다.

07 문기 혼자 돈을 독차지하려는 속셈으로 오해하고 있다.

08수만의 협박으로 또 양심에 가책을 느끼게 되는 행동을 하게 되어서 얄밉고 원망스러운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다. 09부끄 러워 하늘을 쳐다볼 수 없다.

10

정직하게 살아야 한다.

11

수만이의 괴롭힘에 못 이겨 돈을 훔쳐서 준 것이다.

12

죄 책감(자책감)

13

㉠ 내적 갈등, ㉡ 정직

14

문기는 남은 거스름돈을 삼거리 고깃간집 안마당에 던지고, 거스름돈으로 샀 던 공을 버렸으며, 자신의 잘못을 모두 삼촌에게 고백했다.

15

도둑이 제 발 저리다.

16

갈등은 주제를 명확히 드러낸 다. 인물의 성격을 명확히 한다.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극적 효과를 높인다.

17

마음이 맑아지며 따라 몸도 가뜬해진다.

18

‘나’가 위축되지 않고 아이들과 어울리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9

미희는 지훈이와 더 이상 말하고 싶지 않아 하는 상황으로 화 가 난 상태를 반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20

“열심히 경기했으 니 괜찮다. 힘내라.”/ “다음에 잘하면 된다. 고생 많이 했다.”

21

깨엿 두 개

22

배려

4. 갈등과 대화

01

문기는 숙모의 심부름으로 고깃간집에 갔다가 우연히 거스 름돈을 더 받게 되었는데, 그것을 친구인 수만과 마구 써 버림으로써 모든 갈등이 일어나게 되었다.

02

㉠, ㉡ 문기는 돈을 받아도 되는 것인지 몰라서 주몃주몃하 고 있었지만, 얼결에 밀려서 나왔다. ㉢ 문기는 양심에 찔 려 머뭇머뭇 눈치를 보다가 밖으로 나와 돈을 쓰게 된다.

이는 모두 문기의 내적 갈등이 행동으로 나타난 부분이라 고 할 수 있다.

03

(다)에서 문기는‘밝은 큰 행길’로 나아가자 차차 기쁨이 생 기면서, 상점 유리창 안의 온갖 것이 모두 제 것이 된 듯한 기분을 느끼고 있다.

04

(라)에서 삼촌은 부모님 대신 문기를 돌봐 주고 계시며, 집 안을 일으킬 인물이 되기를 기대해 주시는 분이다. 따라서 문기가 다소 엉뚱한 생각으로 잘못 행동하는 것 같아 훈계 를 하시는 상황이다.

06

문기는 심부름을 갔다가 우연히 생긴 큰돈을 몰래 쓰고, 자 신을 걱정하고 염려하는 삼촌의 추궁(훈계)에 대해 거짓말 로 둘러대어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내적 갈등을 겪고 있다.

07

(가)에는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수 없다는 문기와 이 런 문기의 행동을 혼자 돈을 챙기려는 약은 행동이라고 생 각하는 수만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09

이 글에서‘하늘’은 일종의 양심을 상징하며, 문기는 자신 의 행동이 맑은 하늘, 즉 양심에 비추어 보았을 때 부끄러

참조

관련 문서

제시할 성질은 아니지만 형태와 형태가 만나서 소리를 이룬다는 점에서 참고해 보기로

대화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인간관계의 형성과 발전을 중시하였을 경우 강조되는 대화

품질형용사는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며, 명사나 주어의 성·수에 일치한다.. de

이 동사들의 과거분사는

0 6 사람이나 사물의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를 명사라고 하는데, 구체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와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로 나눌 수 있다.. 동사와

관리 (Control).. 설비종합효율 &amp; Loss 분석.. ☆ 주어짂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 충분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상태를 본연의 모습이라 한다. 4)

(나) 모든 사용자 계정은 최초 생성에서 삭제까지 이력이 관리되어야 하며 최신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사) 위험분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중요도에

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 값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이 진폭이며,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변화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진폭특성이라 한다... 입력신호를 시스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