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청간 間島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전개와 전망*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청간 間島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전개와 전망* **"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청간 間島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전개와 전망* **

41)

박 성 순***

❙국문초록❙

본고는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간도 영유권 관련 연구의 개황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작성되었다

.

특히 글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가급적

1

차 자료들을 제시함으로써

,

앞으로의 간도 논의들이 더 이 상 소모적인 논란거리로 전락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

숙종

36

(1710)

평안도 渭原에서 李萬枝 사건이 발생하였다

.

청 성조는 두 나라의 경계가 불명확하기 때 문이라고 판단하고 烏喇摠管 穆克登을 조선에 보내 공동 査界를 요구하였다

.

숙종

38

(1712) 5

월 穆克登의 주도하에

西爲鴨綠 東爲土門

을 골자로 하는 백두산 정계비가 세워졌다

.

이 당시까지만 해도 조선과 청측에서 는 두만강과 토문강을 같은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

그러다가 조선에서는 穆克登의 요구대로 백두산 정계비 와 토문강을 잇는 設柵 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이 강이 두만강과 전혀 관계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

청은 태종

(1626~1643)

때 開原 威遠堡에서 압록강 어귀까지

,

康熙

20

(1681)

에는 개원 위원보에서 舒蘭 二道河子까지 柳條邊을 수축하였다

.

때문에 압록강

·

두만강과 유조변 중간에는 무인지역이 만들어져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

정축년

(1877)

경부터 종성과 온성 부근의 土民이 두만강과 해란강 접점의 삼각주를 개간 하기 시작하였다

.

그리고 그 개간이 두만강 대안 백두산 동록 전체로 확대되면서 이를 총칭하여 間島라고 부 르게 되었다

.

청국에서는 이를 古林邊界라고 칭했는데

,

조선에서는 그후 이를 墾島라고도 칭하였다

.

구한국 정부는

20

세 기 초에 청국과의 간도 유민 문제로 갈등을 겪으면서 일관되게

墾島

라는 명칭만을 사용하였다

.

조선 변민들 이 간도에 들어가 그곳을 개척하여 우리 영토화 했다는 능동적인 의미를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짐작 된다

.

그러다가

1904

년에

北間島

라는 명칭이 등장하였다

.

본고에서는 간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문제들을 시간순에 따라 객관적으로 살펴보면서 문제시될 수 있는 역 사적 맥락들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

다각적 시각에서 간도분쟁의 심층적 이해와 전망에 도움이 되는 부분들만 을 주로 다루었다

.

[

주제어

]

간도 영유권

,

백두산 정계비

,

정계회담

,

간도관리사

,

다양한 법적 논의들

* 이 논문은 2013년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교책중점연구기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118255).

** 이 논문은 2014년 1월 17일 제19회 동양학연구원 연구과제 학술회의 ‘동아시아의 영역과 대외관계’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임.

*** 단국대학교 강의전담조교수 / ttiger97@dankook.ac.kr

(2)

❙목 차❙

.

머리말

.

간도 영유권 분쟁의 발단

.

간도 영유권 분쟁의 전개

.

간도 영유권 분쟁의 전망

.

맺음말

Ⅰ. 머리말

간도에 대한 그동안의 개략적인 연구 현황은 장계황

·

이범관의 공동 조사를 통해서 발표된 바 있다

.

1) 그 들은 간도 관련 연구 주제를 ① 간도에 대한 인식

,

② 교육

,

③ 문학

,

④ 사회

,

⑤ 영유권문제

,

⑥ 간도에 대 한 한

·

·

일의 정책

,

⑦ 경제

,

⑧ 지리

·

지적학적 측면에서 본 간도의 문제로 구분하였다

.

그 결과에 의하 면

,

간도에 관한 논문은

331

편의 학술지논문과

19

편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이 중에서 본고의 주제와 직접 관련이 있는 간도의 영유권 관련 논문은 박사학위논문

3

,

연구논문

52

편 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

초기의 연구는 白山學會에서 진행한 것으로 간도를 우리나라에 귀속시킬 수 있는 근거를 찾는 데 모아졌다

.

그중에서도 백두산정계비에 기록된 토문강이 정확히 어느 강인가 하는 문제가 이 슈가 되었다

.

한편 간도협약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

·

일 간도협약의 체결과정과 내용의 부당 성을 분석하여 간도협약의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

통일 한국 차원에서 이 조약은 주변국과 협상을 통해 재논 의 되어야 한다는 주장들로 압축된다

.

이밖에도 간도와 독도문제를 비교한 연구도 있다

.

독도는 한국이 역사 적 권원을 바탕으로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하고

,

간도는 역사적 권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고 있으므로

,

정부는 「조중변계조약」이 북한 단독의 비밀 추진 결과임을 문제 삼아 간도 영유권 을 제기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2)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

간도의 영유권에 관한 연구는 그 양적인 면에서 결코 적다고 할 수 없다

.

그러나 많은 논문들이

1

차 사료를 확인하지 않고

,

다른 사람의 글에 대한 인용을 거듭하다 보니 기본 사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조차 결여하고 있는 글들이 부지기수이다

.

아울러 일방적인 민족감정을 여과 없이 그대로 드러내 고 있는 논문들도 많은 편이다

.

초창기의 선도적 연구라 할 수 있는 이선근의 글은 목차에서부터 다소 감정적인 표현이 여과없이 드러나 고 있다

.

3)

1987

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책에서 만주 부분을 담당한 임계순의 글은 아직까지도 많은

1) 장계황·이범관, 「간도에 관한 선행 연구의 특성 연구」, 󰡔大韓不動産學會誌󰡕 30: 1, 대한부동산학회, 2012.

2) 장계황·이범관, 위의 글, 241~243쪽.

3)李瑄根, 「白頭山과 間島問題 ‒ 回想되는 우리 疆域의 歷史的 受難」, 󰡔歷史學報󰡕 17, 역사학회, 1962. 이 글은 총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Ⅲ. 結語’를 제외하면, 나머지 두 장의 제목이 ‘Ⅰ. 白頭山은 우리의 主山靈峰’, ‘Ⅱ. 淸帝의 貪慾과 白頭山 및 間島問題’로 되어 있다.

(3)

사람들이 갖고 있는 간도문제에 대한 편견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4) 특히

1960

년대 들어 북한이 중국 에 백두산을 넘겨주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간도영유권을 주장하는 논의는

1966

년 백산학회의 창설로 이어 졌다

.

아울러 반공의식과 고토회복의식이 결합된 이념의 문제로 발전하였다

.

5) 대부분의 간도 영유권 연구는 간도가 민족의 발상지이자 민족 본래의 강역이라는 전제 아래 중공의 야욕을 분쇄하고

,

북한의 수복

,

간도의 수복을 위하여 간도 영유권을 주장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

그리고 법적으로 중국과 북한의 어떠한 합의 도 무효라고 주장한다

.

6)

본고는 그동안 진행된 간도 영유권 연구의 문제점들을 바로잡아 보기 위한 시도이다

.

초창기부터 시작된 간도연구의 목적과 그 지향이 민족사적 관점에서 볼 때 올바른 것이었다 해도

,

객관적인 사실의 검증을 결여 하고 감정에 치우친다면

,

학술적 의미를 상실한 무의미한 논란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간 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문제들을 시간순에 따라 객관적으로 살펴보면서 문제시될 수 있는 역사적 맥락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

다각적 시각에서 간도분쟁의 심층적 이해와 전망에 도움이 되는 부분들만을 주로 다룰 것 이다

.

그리고 가급적

1

차 사료를 근거로 제시하여 간도문제가 더 이상 소모적인 논란거리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

Ⅱ. 간도 영유권 분쟁의 발단

1. 백두산 정계비의 설치

17

세기 초에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고 세력을 확장하면서 압록강과 두만강 연변 및 백두산 일대에 거 주하던 번호들을 흡수하여 중원으로 이동하였다

.

그러자 이 지역은 일종의 공백지대가 되었다

.

이에 평안도 와 함경도 북변의 조선인들은 삼을 캐고 사냥하거나 토지를 개간하는 등 적극적인 경제활동을 전개하였다

.

이들의 활동이 활발해지자 강변 일대에서 역시 삼을 캐고 사냥하던 청인들과 자주 접촉하게 되었으며 서로 약탈하거나 심지어는 살인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

현종

9

(1668,

청 강희

7)

에 청은 漢族의 만주 이주를 금 한 이래 瀋陽 동쪽 일원에 광범위한 封禁地帶를 설정하고 자국민의 거주를 금하였다

.

瀋陽將 및 吉林城將의 관리하에 매년 일정기간에 제한된 인원만을 이 봉금지대에 들여보내 貂皮

,

人蔘 등을 채취하도록 하였다

.

4)임계순, 「만주·노령 동포사회(1860~1910)」, 󰡔한민족독립운동사󰡕 2, 국사편찬위원회, 1987, 582쪽. “일본의 마수에 의하여 식민지화 되어가던 조선은 土門, 圖們, 豆滿이 동일한 강을 지칭한다는 청측의 주장이 문헌과 과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확실 히 증명되지도 못한 상황에서 한민족이 피와 땀으로 개간한 옥토를 일본제국주의의 제물로 잃어버리게 되었던 것이다.” 간도 는 한민족의 ‘피와 땀’의 영토인데, 일본제국주의와 중국의 무지한 억지에 의해서 빼앗긴 곳이라는 일반적 인식을 잘 보여준 다. 그러나 백두산 정계비가 설립될 때까지 청은 물론이고, 조선 또한 전기부터 토문·도문·두만강이 같은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5) 배성준, 「한·중의 간도문제 인식과 갈등구조」, 󰡔東洋學󰡕 43,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08, 340~341쪽. 6) 李漢基, 󰡔한국의 영토󰡕, 서울대출판부, 1969, 350쪽; 배성준, 위의 글, 341쪽 재인용.

(4)

선 역시 두만

,

압록강을 넘어 청의 봉금지대에 왕래하는 것을 금하였다

.

그러나 국내외의 초피

,

인삼 수요가 증가하고 이를 구하기 위한 조선인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월강 충돌사건이 증가하였다

.

숙종

36

(1710)

에는 평안도 渭原의 李萬枝 등이 압록강을 건너 평소 안면이 있던 청인

5

명을 타살하고 삼과 물품을 약탈한 사건이 일어났다

.

청 황제는 두 나라의 경계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계속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 보고

,

烏喇摠管 穆克登을 보내 공동 査界를 요구하였다

.

7)

1712

2

월에 청의 禮部에서 정식으로 咨 文을 보내 목극등을 책임자로 하는 국경조사단을 파송하겠다고 통보하였다

.

8)

조선에서는 정계시에 가능한 우리측 지역의 捷路를 청에게 가르쳐 주지 않으며

,

백두산을 기준으로 하여 압록강과 토문강 이남을 조선의 강역으로 확보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

당시 조선에서는 백두산과 압록강

,

두 만강 일대의 지세가 험할 뿐만 아니라

,

범월을 막기 위한 조처로 주민들의 거주를 제한하고 있었다

.

鎭堡 역 시 백두산 남쪽

5, 6

日程에 있었다

.

그러므로 현지 답사 중에 청측에서 파수처를 기준으로 경계를 정하자고 주장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

9) 설상가상 󰡔大明一統志󰡕에는 백두산을 女眞에 속한다고 하였기 때문에 穆克登이 조선의 파수처를 경계로 한다면 일이 매우 난처하게 될 것이었다

.

그래서 도제조 李頤命은 토문강 과 압록강 두 강을 경계로 하여 그 남쪽을 모두 조선영토로 확보할 수 있도록 접반사에게 신칙할 것을 아뢰 었다

.

임금이 이에 허락하였다

.

10)

1712

4

월 청 성조가 穆克登을 파견하여 조선과 국경을 정하도록 하였다

.

그러나 조선의 우려와는 달리

1712

5

월에 압록강을 건너온 청 差使 穆克登은 鎭堡가 내륙에 설치된 것이나

,

백두산 남쪽에 주민이 거의 없다는 점들은 크게 문제 삼으려 하지 않았다

.

그는 조

·

청 양국의 경계는 백두산과 압록강

,

두만강이라는 접반사 朴權의 말을 그대로 인정하였다

.

그리고 파수처가 백두산 남쪽에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험준한 이 지 역에 파수처가 없는 것은 청에서도 책문 밖에 파수처를 두고 있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박권의 말에 이의 를 제기하지 않았다

.

11) 당시 穆克登 역시 조

·

청 양국의 경계가 압록

·

토문 양강인 것은 논의할 필요도 없 다고 보고 있었다

.

12)

穆克登은 조선측 접반사 박권과 함경감사 李善簿의 동행을 거부하고

,

청측 일행과 조선인 역관

,

군관들만 을 데리고 백두산에 올라 압록강과 토문강의 수원을 직접 정하였다

.

그리고 조선과 청은

서쪽은 압록강

,

동 쪽은 토문강을 경계로 한다

(

西爲鴨綠 東爲土門

)’

는 내용의 정계비를 세웠다

.

13) 이로써 압록강

,

백두산 남쪽 을 조선의 강역으로 확보하는 문제는 어렵지 않게 일단락되었다

.

이전부터 양국 간에 묵시적인 국경개념은 있었으나

,

국경에 대해 명문화된 규정이 표기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

14)

7) 강석화, 「조선후기의 북방영토의식」, 󰡔韓國史硏究󰡕 129, 한국사연구회, 2005, 97쪽. 8) 󰡔肅宗實錄󰡕 肅宗 38년 2월 24일.

9) 󰡔備邊司謄錄󰡕 肅宗 38년 3월 24일.

10) 󰡔肅宗實錄󰡕 숙종 38년 3월 8일. 이 기사 외에도 이 당시 사람들은 두만강 대신 ‘土門江’이라는 표현을 곧잘 사용하였다. 󰡔肅 宗實錄󰡕 숙종 37년 3월 5일; 󰡔肅宗實錄󰡕 숙종 38년 2월 24일; 󰡔肅宗實錄󰡕 숙종 38년 3월 6일; 󰡔肅宗實錄󰡕 숙종 38년 6월 4일.

11) 󰡔肅宗實錄󰡕 肅宗 38년 5월 5일. 12) 金指南, 󰡔北征錄󰡕 5월 28일.

13) 󰡔肅宗實錄󰡕 숙종 38년 5월 23일; 󰡔肅宗實錄󰡕 숙종 38년 6월 3일; 󰡔肅宗實錄󰡕 숙종 38년 6월 10일.

(5)

2. 정계 당시 조·청의 토문강 인식

대체로 청에서는

土門

豆滿

을 같은 것으로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

조선에서도 적어도 정계를 전 후한 시기에는 豆滿江과 土門江을 같은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

15)豆門과 土門은 조선 전기부터 豆滿江 유 역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혼용되었다

.

16) 이런 사실은 조선 후기 숙종대까지 두만강이 곧 토문강이라는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

조선 조정에서 정계대책을 논할 때에도 土門과 豆滿이 혼용되고 있었으며 淸使와 定 界할 때에도 우리측 경계는

두만강

이라 하였다

.

당시 청에서 보낸 咨文에 鴨綠江과 土門江의 근원을 밝혀야 한다는 내용이 있자

,

이에 대해 조선측에서는 두만강의 근원을 미리 확인하도록 지시한 적도 있었다

.

土 門

豆滿

을 구별되는 것으로 보지 않았던 것이다

.

조선접반사 박권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한다고 하 였을 때 청 穆克登은 이에 대해 전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

정계 이후에도 이같은 사례는 적지 않게 발견된다

.

영조

33

(1757)

에 발생한 조선인들의 犯越 사건을 조 사하면서

,

청 예부에서는 범인들이 말하는 두만강이 무엇을 가리키는가를 묻는 자문을 조선에 보냈다

.

이에 대해 조선에서는

豆滿

土門

은 같은 것이며

,

한 강에 두 이름이 있는 것이라고 답하였다

.

17)

이같이

豆滿

土門

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 것은 당시 백두산 지역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부족에서 비 롯된 것이다

.

정계시 조선의 입장에서는 토문과 두만이 같은 것이든 별개의 것이든 큰 문제가 아니었다

.

당 시 북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져 가고는 있었지만

,

아직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지역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 는 것은 아니었다

.

실제 방어선도 내륙에 위치하고 있었다

.

그러므로 두 강의 남쪽을 조선의 강역으로 보장 받을 수 있었던 것만도 정계의 중요한 성과로 자부하였다

.

더욱이 조선과 청이 압록강과 토문강을 경계로 한 다는 비석은 청측 책임자가 세운 것이므로

,

만일 두만강과 토문강이 별개라면 조선은 영역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었다

.

정계 이후에 조선에서 강의 수원지나 목책의 위치에 대해 잠시 논란이 있다가 곧 중지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

청 差使員 穆克登은 분수령 상에 정계비를 세우고 귀환하면서

,

토문강의 물줄기가 흐르다가 끊어져 복류 하는 곳에 목책을 설치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

조선에서는 그의 요구대로 設柵 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정 계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

穆克登이 토문강의 수원이라 지적한 물의 흐름을 다시 조사한 결과 두만강과 전혀 관계가 없음을 명확히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

1712

12

월 兼文學 洪致中은 상소하여 두만강 수원의 문제와 목책 설치 공사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

18) 홍치중의 상소에 따르면

,

백두산 동편에서 흘러나와 두만강을 이루는 물줄기는 넷이었다

.

목극등은 그 가운 데 어느 것도 수원으로 지목하지 않았으며

,

두만강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는 별개의 물줄기를 토문강의 근원이 라 한 것임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

19)

14) 姜錫和, 「1712년의 朝·淸 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經營」, 󰡔震檀學報󰡕 79, 진단학회, 1995, 146쪽. 15) 姜錫和, 위의 글, 147쪽.

16) 󰡔太宗實錄󰡕 태종 6년 3월 6일; 󰡔世宗實錄󰡕 세종 14년 12월 21일. 17) 󰡔同文彙考󰡕 권57, 犯越編, 乾隆 22년 12월 초 6일 回咨. 18) 󰡔肅宗實錄󰡕 肅宗 38년 12월 7일.

(6)

이에 조정의 의론이 분분하여졌다

.

영의정 李濡는

穆差

’(

穆克登

)

가 정한 水源이 잘못된 것인데도 차원들이 監司에게 말하지도 않고 評事의 지휘도 듣지 않은 채 멋대로 푯말을 세웠으니

,

잡아다 推問하고

,

감사도 推 考하라고 주장하였다

.

형조판서 朴權은 穆差가 정한 수원이 두만강이라 확신하면서

,

그 수원이 비록 북쪽으 로 조금 뻗어나갔다고 해서

,

穆差가 지정해준 것을 무시하고 원래보다 푯말을 안쪽으로 거의

20

리 가량 옮겨 세운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하였다

.

설령 애초의 수원이 끝내 두만강에 속하지 않는 것이라면 穆差에게

당초 에 정한 것은 잘못 안 것 같다

고 사실대로 말하면

,

무슨 답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

그러나 이유는 청에 奏聞하면 穆差가 견책을 받을 위험이 있으므로 우선 穆差에게 묻고

,

시급하게 다시 看審하자고 주장하였다

.

우참찬 金鎭圭의 상소도 이와 비슷하여

,

우선 현지 사정에 밝은 사람을 골라 간심하도록 하였다

.

북평사 밑에서 푯말작업의 실무를 맡았다가 잡혀온 居山察訪 許樑 등의 공술에 의하면

,

이들은 여러 差員 들과의 의논 끝에

, ‘

북쪽으로 흐르는 물에다 목책을 세우면 앞으로 염려가 있을 것

이라는 사실 때문에 穆差 의 말을 무시하고

, ‘

두만강

상류쪽으로 목책과 토석을 쌓아 경계를 표시하였다고 한다

.

20)

18

세기 초까지는 穆克登 뿐만 아니라 조선인들도 두만강의 수원에 관해서 부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었다

.

함경감사 李善簿 역시 혜산첨사의 보고에 따라 강의 근원은 백두산 산마루 중간에서 시작되어 거의

8, 90

리 흐름이 끊어졌다가 甘土峰 밑에서 솟아나와 두만강을 이룬다고 보고 있었다

.

21)

논란 끝에 조선 조정에서는 정확한 수원 확인을 위해 현지 조사를 다시 행하는 한편

,

穆克登에게 그 사실 을 알려 재답사를 통해 잘못을 시정할 것을 청하기로 하였다

.

그런데 이듬해 칙사로 조선에 온 穆克登은 정 계와 설책문제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

오히려 그와 함께 온 부칙사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조선에서 제작한 백두산 지도를 보여줄 것을 요구하였다

.

조선은 비변사의 지도는 상세하므로 보여주지 않기 로 하고

,

전국지도와 穆克登이 정계 당시에 주고간 백두산 지도를 보여주어 논란을 피하려 하였다

.

22) 정계비 의 내용이나 설책한 바가 조선측에 크게 불리할 것이 없었기 때문에 정계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국경문제를 일단락 지으려 한 것이다

.

23)

3. 정계비 설치 이후의 영향

(1) 북방영토에 대한 관심의 증폭

백두산 정상 부근은 척박한 불모지대로 농경이나 거주에 적합하지 않아 소수의 수렵이나 채삼인 이외에는

19) 姜錫和, 「1712년의 朝·淸·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經營」, 󰡔震檀學報󰡕 79, 진단학회, 1995, 148~149쪽.

20) 󰡔肅宗實錄󰡕 숙종 38년 12월 7일. 정계비 세운 곳에서 아래로 25리까지는 목책을 세우거나 돌을 쌓았고, 그 아래의 물이 나오는 곳 5리와 乾川 20여 리는 산이 높고 골짝이 깊으며 川의 흔적이 분명하여 푯말을 세우지 않았다. 또 그 밑으로 물이 솟아나는 곳까지의 40여 리는 모두 목책을 세웠고, 그 중간의 5, 6리는 나무나 돌도 없고, 토질이 강하기에 단지 흙으로 돈대만 쌓았다.

21) 󰡔肅宗實錄󰡕 肅宗 38년 5월 15일. 22) 󰡔肅宗實錄󰡕 肅宗 39년 6월 2일.

23) 姜錫和, 「1712년의 朝·淸 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經營」, 󰡔震檀學報󰡕 79, 진단학회, 1995, 151~152쪽.

(7)

왕래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

그러나

1712

년 정계 이후 조선의 강역에 속하는 곳이라는 관념이 확산되고

,

조종산이자 왕조의 발상지로 인식되는 등 신성성이 강화되고 위상이 높아지게 되었다

.

그리하여 백두산을 직 접 답사하고 기행문을 남기는 사례가 크게 늘어난다

.

李鍾徽

(1731~1797)

는 백두산 부근과 요동의 靑石嶺 안 쪽이 모두 고려의 경계이므로 고려를 이어받은 조선의 영토는 압록강

,

두만강 대안 지역 전부라고 언명하면 서 백두산 북쪽의 통로를 확보하면 발해 고토를 모두 수복하여 영토가 만리에 이르고 천하를 雄視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였다

.

24)安鼎福

(1712~1791)

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하나의 독립된 구역에서 독자적인 역사 와 문화를 이루고 유지해 왔음에 주목하였다

.

25)

洪世泰

(1653~1725)

백두산은 동북의 곤륜

이라고 규정하여 곤륜산과 맞먹는 위상을 강조하였다

.

26) 李 縡

(1680~1746)

백두산세가 북쪽으로 곤륜과 상대하기 위해 대륙을 휘감고 있으니 천지에 없는 것이고

,

동쪽으로 달리는 천 갈래 산들은 자손과 같다

.”

27) 하여 백두산의 형세는 곤륜과 맞서는 것이라 평하였다

.

정조

17

(1793)

에 연행한 金正中도 백두산이 북쪽 한곳을 차지하고 당당히 서 있는 것은 중국에 굽히지 않

는 기상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

28)

洪良浩

(1724~1802)

서방의 산들은 곤륜산을 조종산으로 삼고 동방의 산들은 백두산이 조상이 된다

.”

고 하여

,

29)중국의 곤륜산과 조선의 백두산을 동서 지역의 각기 다른 조종산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李獻慶

(1719~1791)

은 백두산이 조선뿐 아니라 고대 여러 나라들의 발상지이고 조선 산천은 물론 일본 전지 역

,

나아가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들에 있는 조산의 조종이라는 관념을 보였다

.

30) 丁若鏞

(1762~1836)

19

세기 초 백두산과 그것이 상징하는 조선의 독자성에 대한 인식을 가장 확실히 보여준다

.

그의 주장은 곤륜산 과 백두산을

동서의 조종

으로 보는 관점을 계승하여 중국에 대해서 독자성을 내세우는 한편 동북지역에서 백두산이 동방지역 여러 산의 중심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31)

이 시기 백두산 및 압록

,

두만강 지역의 개발추세와 영토의식의 변화상은 조선후기에 편찬된 고지도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 1712

년 조

·

청 정계 이전 지도에서는 대체로 백두산과 압록강

,

두만강의 큰 줄기만 으로 중국과 조선을 구분하고 있고

,

두만강과 토문강의 명칭도 구별하지 않은 채 쓰고 있으며

,

선춘령에 대 해서도 표시가 없었다

.

이에 비해 정계 이후에 그려진 북관지역에 관한 지도들은 대부분 두만강 이북 지역에 선춘령의 위치를 표기하고

高麗境

이라고 기록하였다

.

18

세기 이후의 지도에 나타나는 또다른 특징으로 土門江과 豆滿江을 명확히 구분하여 표기하는 경향이 있 음을 들 수 있다

.

물론 정계 이후에 그려진 지도에도 두만강과 토문강을 구별하지 않거나 토문강이 두만강의

24) 李鍾徽, 󰡔修山集󰡕 권4, 「先春嶺記」.

25) 安鼎福, 󰡔順菴集󰡕 권1, 「敬次星湖先生寄涑河安秀才樂重韻二首贈樂重 兼示正進」. 26) 洪世泰, 「白頭山記」, “白山者 東方之昆侖.”

27) 李縡, 󰡔陶菴先生集󰡕 권1, 「聽人談白頭山」, “白頭勢欲敵崐崙 北蟠大陸無天地 東走天山若子孫.”

28) 金正中, 󰡔奇遊錄󰡕.

29) 洪良浩, 󰡔耳溪集󰡕 권16, 「題申文初白頭山詩」.

30) 李獻慶, 󰡔艮翁先生文集󰡕 권9, 「白頭山歌 送震澤申文初北游」.

31) 丁若鏞, 󰡔與猶堂全書󰡕 6, 󰡔地理集󰡕 권3, 「疆域考」 3, 白山譜; 강석화, 「조선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 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210~218쪽.

(8)

상류인 것처럼 그린 것들이 있다

.

그러나 영조대 이후의 지도들은 두만강과 구별된 토문강의 수원을 표시해 준 지도와 토문강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는 않더라도 두만강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수원을 가진 강을 별도로 그 린 것이 대종을 이룬다

.

물론

18

세기 중엽까지는 이 지역에 대한 지리 정보의 축적이 미비하여 토문강이 수 원은 두만강과 다르지만 결국은 두만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비정하여 그린 지도도 있고 별도로 分界江 을 상정하여 그린 지도도 발견된다

.

32) 관심은 고조되고 있었으나 아직도 부정확한 북변 지리인식에서 벗어 나지 못하였던 것이다

.

함경도 지역개발에도 불구하고 두만강 대안 지역을 답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확한 지리정보의 축적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었다

.

토문강을 두만강의 수원과 구별하는데 그치는 것

,

分界江論 등

강으로서의 토문

의 실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던 것은 모두 높아진 관심에 비해 활용된 지리정보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현상이다

.

활성화된 북방영토의식에는 先春嶺이 두만강 이북

700

리에 있다는 견해도 포함된 다

.

그러나 당시 객관성과 정확성을 인정받고 있던 새로운 지리정보들은 이런 선춘령설과 충돌을 빚었다

.

관 찬지도 가운데에는 두만강 이북

700

리설이 새로운 지리정보에 의해 수정된 사례가 확인된다

.

33)

한편 청나라의 백두산 답사 활동은 청초 강희 연간과 청말 광서 연간에 집중되었다

.

강희 연간의 백두산 답사는 청조의 발상지에 대한 중시 및 󰡔盛京通志󰡕

·

󰡔一統志󰡕

·

󰡔皇輿全覽圖󰡕 제작과 관련이 있다

.

강희

16

(1677)

강희제는 신하들에게 명하여

, “

長白山이 조종 발상지이지만

,

지금까지 확실히 아는 사람이 없다

.

너희들이 가서 참작하여 예를 행하도록 하라

고 명하였다

.

34)이것이 청조의 첫 번째 백두산 답사이다

.

이듬 해

1

월 강희제는 백두산을

長白山之神

으로 봉하고

,

祀典을

5

嶽과 동일하게 하였다

.

35) 강희 초년에 󰡔一統志󰡕

편찬이 진척됨에 따라 강희제는 더욱더 압록강

·

두만강

·

백두산과 조선의 접경지대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

강희

50

(1711)·51

(1712)

청은 두 차례에 걸쳐 烏喇總管 穆克登을 파견하여 조청 국경을 조사하였다

.

이는 전국지도인 󰡔皇輿全覽圖󰡕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

36) 그리고 이 때 세운 것이 백두산정계비였다

.

강희

48

(1707)

부터 청조는 서양 선교사 레지

(

雷孝思

, Jean Baptiste Regis)·

자루트

(

杜德美

, Petrus

Jartoux)

등을 파견하여 중극측 관원들과 함께 만주 일대의 지형을 조사하고 경위도를 실측하여 전국 지도를

만들고자 하였다

.

37)그런데 당시 레지가 제작한 지도에는 두만강으로써 경계를 삼지 않고

,

도리어 두만강 左 岸을 달리는 산맥으로써 조청간의 境域을 나누고 있어 주목된다

.

38) 일본외무성의 조사에 따르면

,

강희제는 정계비 건설 후에도 오히려 두만강 左岸에서 그 통치권을 행하지 않고 다만 그 하류지방에 琿春廳을 두었어 도

,

상류지방에 이르러서는 전혀 이를 포기해 버렸다

.

뿐만 아니라

,

강희

54

(1715)

청국인이 무산

·

종성

·

경원 등 대안인 두만강 부근에 房屋을 구축한 데 대해 조선정부가 항의를 제출하자

,

강희제가 이를 수용하여

32) 姜錫和, 「1712년의 朝·淸 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經營」, 󰡔震檀學報󰡕 79, 진단학회, 1995, 159쪽. 33) 裵祐晟, 「書評 ‒ 姜錫和 著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韓國史硏究󰡕 112, 2001, 230~231쪽. 34) 王士禎, 󰡔池北偶談󰡕, 中華書局, 2006, 88~89쪽.

35) 󰡔淸聖祖實錄󰡕 권69, 강희 16년 9월 병자; 권71, 강희 17년 정월 경인. 36) 李花子, 󰡔한중국경사 연구󰡕, 혜안, 2011, 174~185쪽.

37) 李花子, 위의 책, 185쪽.

38)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113~114·367쪽.

(9)

해당 房屋을 철거케 하고 해당 지역에 촌락을 세우는 것을 금하기까지 하였다

.

39)

18

세기는 물론

19

세기 전반까지 조

·

청 양국 모두 백두산과 두만강 북변 지리에 대해서 정확한 인식을 보여주지 못했다

. 18

세기 조선의 만주 지리 인식에 영향을 준 청대 지리서 가운데 하나인 󰡔盛京通志󰡕의 「盛 京輿地全圖」에는 사실상 海蘭河를 묘사한 물줄기가 있지만

,

해란하라는 지명 표시는 없었다

.

더구나 󰡔盛京通 志󰡕의 본문에 기록된 해란하에 관한 설명은 두만강으로 합류하는 물줄기가 아니었다

.

이는 간도지역에 대한 당시 청조의 부정확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

(2) 북변 수호의지의 강화

조선 조정은 숙종

38

(1712)

백두산 정계로 두만강과 백두산

,

압록강 남쪽 전역을 조선의 강역으로 완전 히 확보하였다고 판단하자 북변 일대의 개간과 주민 거주를 허용하고 행정구역을 정비하였다

.

그 결과 개마 고원 지역에 장진부

,

압록강변에 후주부를 세웠고

19

세기 후반에는 폐

4

군을 복구할 수 있었다

.

40)

정계 이후 가장 큰 변화로 들 수 있는 것은 압록

,

두만강 강변과 폐

4

군 지역 및 백두산 남쪽 지역 방비론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

이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입주와 경작활동을 정부에서도 인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숙 종대 茂山府의 설치와 厚州鎭의 置廢에서 보이듯이

17

세기말부터 압록강

,

두만강 중상류지역까지 주민의 이 주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

당시 邑治나 鎭堡의 설치는 국가에서 기반시설을 세우고 주민들을 이주시킨 것이 아니라 먼저 주민들이 몰려들여 경지를 개간하고 거주하고 있는 상황을 국가에서 추인한 것이었다

.

41)

정계 이후에는 조선 조정에서 瀋陽將軍을 대하는 태도도 변화하였다

.

정계 이전에는 조선 경내에 침범한 청인을 체포해도 심양장군과의 마찰을 우려하여 심양에 먼저 처리방침을 묻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採蔘을 위 한 淸人 犯越者는 대개 심양에서 보낸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

조선에서는 월경사건이 청 중앙정부에 알려져 使行路를 관장하는 瀋陽將의 입장이 곤란해지고 그 보복으로 청에 왕래하는 조선 사신들이 불편을 겪는 일이 없도록 배려해야 했던 것이다

.

그러나 일단 정계가 이루어진 뒤에는 청인의 범월을 철저히 단속하고 청 중앙정부에 직접 통보하여 邊禁 단속을 강력히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

청이 조선 경내에 침입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두만

,

압록강의 對岸에 거주하거나 수렵하는 행위 역시 금하도록 청에 요구하는 사례도 증가하였다

.

정계의 문제가 일단락된

1714

(

숙종

40)

에 함경도 慶源 訓戎鎭 건너편에 거주하는 청인을 撤還시키도록 咨文을 보낸 것을 필두로42) 강변에 設幕하거나 통행하는 청인이 발견될 때마다 꾸준이 단속을 요구하여 범월 가능성을 미리 막고 강역 확보에 철저를 기하려 하였다

.

영조

3

(1727)

에 범월한 청인들이 압록강 위에서 수색하는 청 관병과 조선인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하자

,

조선에서는 이 사건을 직접 청 예부에 항의하고 청인의 범월단속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

43) 이에 난처해진 청 39) 󰡔英祖實錄󰡕 영조 22년 4월 19일;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115쪽.

40) 강석화, 「조선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197쪽. 41) 姜錫和, 「1712년의 朝·淸 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經營」, 󰡔震檀學報󰡕 79, 진단학회, 1995, 155쪽. 42) 󰡔肅宗實錄󰡕 肅宗 40년 12월 23일(辛卯).

43) 󰡔英祖實錄󰡕 英祖 3년 5월 5일.

(10)

瀋陽將은 연행사를 따라 청에 왕래하는 조선 상인들이 청 상인들에게 빚진 은을 문제삼아 景宗과 英祖를 모 욕하는 자문을 보내 외교문제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

44)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정부는 청인의 범월단속을 더 욱 강력히 요구하였다

.

영조

5

(1729)

에는 청인의 범월사건이 일어나자 이를 심양장보다 먼저 청 예부에 직접 馳報하여 심양장의 방해를 막으려 하였다

.

45)

북방 국경지대에 대한 철저한 확보와 아울러

,

조선은 청이 동북지역에 폭넓게 설정한 封禁地帶에 대해서 도 관심을 가졌으며

,

이를 축소하거나 개간하려는 청의 기도를 가능한 저지하려 하였다

.

영조

7

(1731)

에 심양에서 부근의 수로를 확장 설치하려 하자 이에 항의하여 철회시킨 일이 있었다

.

46) 영조

22

(1746)

에도 책문을 남쪽으로 옮겨 설치하여 봉금지대를 축소하고 경작지를 확보하려 한 심양장의 기도를 막은 일이 있었 다

.

이때 조선은 청 예부에 직접 주문을 보내 심양장의 행위를 저지시켜 줄 것을 요청하였다

.

47)

정계 이후 보장된 강역을 보다 철저히 확보하려는 노력과 아울러 북관지역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늘리고 採蔘

,

狩獵

,

개간 및 이주 등 경내에서의 주민활동을 폭넓게 허용하여 북도 주민의 생활을 보장하려는 정책 이 꾸준히 추진되었다

.

숙종

11

(1685)

의 후주진 범월 사건 때문에 전면 금지되었던 북도의 인삼 채취는 일찍부터 허용 논의가 제기되어 이미 숙종

32

(1706)

부터 전면 허용되었다

.

그리고 당시 함께 금지되었던 鳥銃의 소지와 사용 역시 다시 허가되었다

.

조총을 민간에 다시 보급하여 조선의 강역 내에서는 자유로운 수렵활동을 보장하고 범월만 단속해야 한다 는 견해가 정계 이후에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

숙종

39

(1713)

부터 이러한 주장이 제기되었으 며

,

48)영조

3

(1727)

에는 북관지역에서도 조총훈련이 허용되었다

.

49) 영조

8

(1732)

에는 北兵營 관할의

6

진에서도 官庫에 보관한 조총을 매월

2, 3

차례씩 入番 군사들에게 내주어 放砲 훈련을 실시하도록 정례화하 였다

.

50) 조선 조정의 북변 수호 의지가 북관지역민들의 조총 훈련으로 가시화 된 것이다

.

Ⅲ. 간도 영유권 분쟁의 전개

1. 간도 영유권 문제 발생 배경

종전에 採蔘이나 수렵 같은 일시적인 월경과는 달리

, 19

세기 중엽 이후 조선 백성들의 간도지역으로의 이

44) 󰡔英祖實錄󰡕 英祖 3년 6월 13일. 45) 󰡔英祖實錄󰡕 英祖 5년 10월 8일. 46) 󰡔英祖實錄󰡕 英祖 7년 6월 29일.

47) 󰡔英祖實錄󰡕 英祖 22년 4월 19일; 󰡔英祖實錄󰡕 英祖 22년 8월 17일; 姜錫和, 「1712년의 朝·淸 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 經營」, 󰡔震檀學報󰡕 79, 1995, 152~153쪽.

48) 󰡔肅宗實錄󰡕 肅宗 39년 11월 20일. 49) 󰡔英祖實錄󰡕 英祖 3년 6월 29일.

50) 󰡔英祖實錄󰡕 英祖 8년 3월 25일; 姜錫和, 「1712년의 朝·淸 定界와 18세기 朝鮮의 北方經營」, 󰡔震檀學報󰡕 79, 진단학회, 1995, 154쪽.

(11)

주 규모가 커졌다

.

그 이유는 다양하다

.

첫째 당시까지 간도지역은 여전히 봉금지역으로서 황무지 상태의 경 작토지가 많이 남아 있었다

.

조선에서는 함경도 지역에 여러 차례 수재가 발생하고 흉년이 겹쳐 북방민들의 생계유지가 어려웠기 때문에 많은 북방주민들이 간도로 건너갔다

.

오늘날 일반적으로 조선인들이 간도로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1869

년과

1870

년의 함경도 흉년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선인이

1869

년과

1870

년 함경도 六鎭지역의 기근으로 두만강을 건너 주로 烟秋

(

노에 프스키

)

등과 같은 露領으로 들어가 개간에 종사했다는 이야기의 근거는 박은식의 󰡔韓國獨立運動之血史󰡕였 다

.

51) 이후에 이 기술이 계속 재인용되면서 이 시기 조선인들의 간도 이주가 마치 일반적인 사실인 것처럼 자리잡게 되었다

.

52)

그러나 󰡔고종실록󰡕을 보면 함경도민들의 두만강 도강은

1876

년부터 본격화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

53) 고 종은 그해

8

9

일 「윤음」을 내려 기근으로 고생하는 함경도민들을 위로하고

,

俄羅斯로 넘어간 조선백성이 몇 천인지

,

몇 백인지 알 수 없다고 근심을 토로하였다

.

고종

16

(1879), 17

(1880)

두 해에 큰 흉작이 있은 후 조선인으로 간도에 越墾한 자는 대략

2

만여 호가 되었다

.

그러므로 간도지방의 개척은 오로지 조선 인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

약간의 청나라 백성이 그 사이에 섞여 살고 있었던 것이다

.

54)

조선인의 간도 이주가 본격화 할 수 있었던 것은 약

2

백 년 동안 이 곳이 空閑地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

그것은 청이 입관 이후 실시한 封禁정책에서 연유한다

. 1706

년 이이명이 제작한

10

폭의 병풍에 실린 지도인

「遼薊關防地圖」에는 청대의 柳條邊이 잘 드러나 있다

.

유조변은 청 왕조가 漢族들로부터 그들의 발상지인 만주에 대한 특권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방책이었다

.

버드나무를 심어 구획했다고 해서

柳條邊

이라 불린다

.

山海關에서 開原 威遠堡를 경유하여 압록강 어귀까지 이어지는 老邊과

,

개원 위원보에서 舒蘭 二道 河子까지 이어지는 新邊으로 이루어져 있다

.

55) 청 태종

(1626~1643)

때 개원 위원보에서 압록강 입구까지 柳條邊을 수축하였고

,

順治

(1644~1661)

연간에 또 산해관에서 개원 위원보까지 邊墻을 쌓았는데

,

이를 老邊 이라 한다

.

康熙

20

(1681)

新邊을 수축하였다

.

청은 유조변의 巡狩를 엄히 하고

,

매 문마다 章京

1

,

筆 帖式

1

,

披甲

10

명을 두었지만

,

압록강

·

두만강과 유조변 중간에는 무인지역이 만들어져 관리가 제대로 되 지 않았다

.

유조변은 조선인들이 도강하여 거주하기에 유리한 공간이었다

.

56)

일본 외무성에서 조사한 바로도 간도는 여진족 愛新覺羅가 敦化 지방에서 일어나 두만강 左岸의 주민을 부하로 예속시키고 그들을 이끌고 南征한 후 간도지방은 전혀 공허하게 되어 한 사람의 주민도 없었다

.

조청 양국이 모두 이 지방으로 사람이 이주하는 것을 금했기 때문에 완전히 중립지대로 남았다고 보았다

.

57)

그래서 이 지대를 간도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

간도라는 명칭이 생겨난 기원은 다음과 같다

.

勘界使 李重

51) 朴殷植, 󰡔韓國獨立運動之血史󰡕 下, 서문문고, 1975, 158쪽.

52) 임계순, 「만주·노령 동포사회(1860~1910)」, 󰡔한민족독립운동사󰡕 2, 국사편찬위원회, 1987, 596쪽, 각주 70).

53) 󰡔高宗實錄󰡕 고종 13년 7월 13일; 8월 9일.

54) 國會圖書館 編, 「慶興監理 黃祐永 意見書」,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1쪽. 55) 개리 레드야드 저, 장상훈 역, 󰡔한국 고지도의 역사󰡕, 소나무, 2011, 332~333쪽.

56) 長白朝鮮族歷史資料編寫委員會, 󰡔長白朝鮮族歷史資料󰡕, 白山市依山印刷有限責任公司, 2002, 19쪽. 57)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113쪽

(12)

夏의 복명서 「勘界謄錄」의 부록에 의하면

,

원래 종성과 온성 사이에서 두만강이 해란강과 분파하였기 때문에 삼각주가 형성되어 토지가 매우 비옥했다고 한다

.

정축년

(1877)

경부터 부근의 土民이 이곳을 개간하기 시 작하면서 間島라고 불렀다

.

그 후 무산에서 온성 사이의 토민이 다투어 이를 본받아 강을 건너가서 개간하는 자가 점증하였다

.

드디어 백두산 동록 일대의 비옥한 땅은 경작되지 않은 곳이 없게 되고 이를 총칭하여 間 島라고 불러왔다

.

청국에서는 이를 古林邊界라 칭했는데

,

조선에서는 그후 이를 墾島라고도 칭하게 되었 다

.

58) 구한국 정부는

20

세기 초에 청국과의 간도 유민 문제로 갈등을 겪으면서 일관되게

墾島

라는 명칭만 을 사용하였다

.

조선 변민들이 간도에 들어가 그곳을 개척하여 우리 영토화 했다는 능동적인 의미를 부각시 키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짐작된다

.

그러다가

1904

년에

北間島

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

59)

북간도는 현재 중국의 연길현

·

화룡현

·

왕청현

·

안도현 및 돈화현 일부를 포함하고 있는 약

42,000

㎢에 달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

60)한편 「간도협약」을 체결할 당시 일본은 「間島에 관한 日淸協定要領」이라는 것을 마련하였는데

,

여기에 보면 간도의 범위를 동은 嘎呀河를 경계로 하고

,

북은 老爺嶺에 沿하며

,

서는 老嶺에 따라 정계비에 이르는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

61)이는

1906

년 한국주차일본군 참모부가 조사한 간도의 범위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

.

그 당시 일본은 간도의 범위를 백두산으로부터 토문강

,

해란강을 거쳐 布爾哈圖河 에 걸쳐 最長經 약

40

여 리

,

10

내지

15

리를 넘나드는 것으로 파악했을 뿐이었다

.

62) 일제의 간도침략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간도영유권 문제가 발생한 직접적인 발단은

1881

년에 일어난 간도 거주 조선인의 쇄환문제였다

. 1881

년 에 청은 길림성 남부의 봉금 지역을 개방하고

,

吳大澂의 건의로 토문강 동쪽 일대에 개간을 허가하고 여러 행정기관을 신설하였다

.

이 과정에서 청국은 조선인이 간도 지역으로 들어와서 농사짓고 있는 무리가 이미 다수이며

, 2,000

(1

晌은

4-7

단보

)

의 토지를 개간하고 이를 함경관찰사로부터 地券을 받고 있으며

,

함경관 찰사는 이 지역의 지적부를 작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이에 청은 간도에 들어온 조선인을 조선으로 철수 시키려 하였으나

,

그 수가 너무 많아 도저히 이를 실행할 수 없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은 간도 거주민은 국적을 불문하고 모두 청국 국적을 부여하기로 하고

,

이에 불응하는 조선인은 조선 정부로 하여금 소환해 가 도록 압력을 가하였다

.

간도 거주 조선인들은 쇄환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반발했다

.

그들은 백두산

,

백두산정계비

,

토문강 그리고 석돈과 목책들을 답사한 후 정계비의 위치와 비문을 근거로 敦化知縣 趙敦誠에게 쇄환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

鍾城府使 李正來에게도 그 사실을 통고했다

. “

청은

2

년 전에 돈화현을 설치하였지만

,

국경이 어디에서 어디 까지임을 아직 모르고 있기 때문에 두만강을 토문강이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

…청컨대 이 뜻을 돈화현에 조 회하여 곧 경계를 조사하여 사태를 바르게 수습해 달라

는 것이었다

.

58)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53쪽.

59) 「咸鏡北道觀察使 李允在 → 議政府贊政內部大臣陸軍副將 閔泳煥 閣下」,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52쪽.

60) 盧啓鉉, 󰡔증보 조선의 영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1, 2쪽. 61)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49쪽.

62)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54쪽.

(13)

청의 돈화현과 조선의 종성부사 사이에 간도 귀속문제와 주민 소환문제가 현안으로 되어 있고 또한 주민 들이 간도 영유권 문제를 정부에 건의하는 등 문제가 일어나자

,

조선 정부는

1883

년에 魚允中을 서북경략사 로 임명하여 사실의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도록 지시하였다

.

어윤중은 종성인 김우식과 오원정을 시켜 두 차 례에 걸쳐 백두산 정계비와 그 주변을 탐사케 하였다

.

이들은 답사 후 「探界路程記」와 「探界日誌」를 써서 보고하였다

.

그 보고 요지는

,

토문강은 송화강의 상류로서 흑룡강으로 흘러들어가고

,

두만강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이었다

.

이 조사보고를 받은 어윤중은 고종에게 보고하기를

(1)

토문강 이하의 간도 지역이 조선영토임과

(2)

간도 지역의 완충

·

무인지대 즉 봉금지대를 청과 같이 해제하여 이민을 장려하여야 한다는 것

, (3)

조선 은 청에 토문강 이하가 조선영토임을 정식으로 통고해야 한다고 하였다

.

63)

조선정부는 어윤중의 보고를 근거로 하여

1885

6

월 청나라 軍機處에 간도지역이 조선영토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

토문강 이남 지역은 조선 백성들이 조선 영토에 거주하는 것이니 불가한 일이 아니라는 견해 를 표명했다

.

64) 이에 청 북양대신 李鴻章도 吉林將軍 希元에게 조선과 공동으로 국경선을 확실히 밝히도록 지시하였다

.

이때부터 양국 정부는 백두산정계비 설치 이후에 본격적으로 국경선을 밝히는 일을 추진하기 시 작하였다

.

2. 을유·정해 정계회담

·

청 양국은 국경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백두산정계비를 재조사하였다

. 1885

(

乙酉

) 9

30

일부터

11

30

일까지

2

개월간 진행되었다

.

첫 회담은 회령에서 개최되었고

,

이어서 무산

·

삼하강구

·

2

차 무산회담 등 네 차례 열렸다

.

청 대표는 혼춘 부도통 德玉

,

초간변황사무위원 賈元桂

,

독리상무위원 秦煐

,

조선 대표는 안변부사 토문감계사 李重夏

,

교섭아문주사 종사관 趙昌植이 참석하였다

.

회담 초부터 양국의 기본 입장이 현저히 달랐기 때문에 두 차례에 걸친 회담은 결렬되었다

.

조선은 백두 산정계비의 토문강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

65)청은 두만강이 국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

양국 대표의 전략도 다르게 나타났다

.

청 대표는 두만강이 국경이 분명하므로 회담장소인 무산에서 두만강 상류로 답사해 올라가면서 상류지방의 여러 강줄기 중 주류를 찾자고 하였다

.

될 수 있는 대로 백두산정계비를 조사 에서 제외시키려는 의도였다

.

조선대표는 정계비를 중심으로 토문강 줄기를 따라 내려가면서 석돈

·

목책

·

토퇴들을 답사하자는 것이었다

.

이에 청 대표는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당시 청이 조선을 군사적

·

외교적으로 도와준 점과 종주국이라는 점 을 내세워

,

고압적인 자세로 두만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조사할 것을 요구하여 관철시켰다

. 10

13

일에 드

63)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76~277쪽; 盧啓鉉, 「간도영유권에 대한 역사적 연구」, 󰡔연세경제연구󰡕

9: 1, 연세대 경제연구소, 2002, 11~13쪽. 64) 󰡔淸季中日韓關係史料󰡕 제4권, 1889쪽.

65) 李重夏는 穆克登이 말한 토문강이 두만강이 아니며, 정계비에서 송화강 수원까지 土堆가 쌓여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國 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72쪽).

(14)

디어 두만강의 상류 세 갈래 지점에 이르렀다

.

청국 대표 秦煐

·

賈元桂와 조선대표 이중하는 맨 북쪽 강줄기 인 紅土水를 따라 올라가고

,

청대표 德玉과 조선 수행원 조창식은 중간 줄기인 紅丹水를 따라 올라가고

,

청 지도 작성자 廉榮과 조선 수행원 吳元貞은 맨 남쪽 강줄기인 西豆水를 답사하기로 하였다

.

이 과정에서 청 대표는 백두산정계비가 청나라는 전혀 모르는 위작된 것이라거나

, 1712

년 정계비 설치 당 시 穆克登이 착오를 했을 것이라는 점 등을 들어 백두산 정계비의 존재를 무시하려 하였다

.

이에 조선대표 이중하는 백두산정계비가 위조되었다는 청의 주장은 억측이라는 점을 조목조목 반박하였다

.

66) 결국 을유 정 계회담은 양측의 의견차이로 결렬되었다

.

청은

1887

년에 조선에 정계회담을 다시 제안하였다

.

양국 대표는

1887

(

丁亥

) 4

5

일 청나라의 요구로 회령에서 다시 모였다

.

청국 대표는 德玉과 秦煐

,

方郞이었고

,

조선은 德源府使 李重夏를 勘界使로 파견하였 다

.

양측은

4

7

일부터

5

19

일까지 약

2

개월 반

(

4

월 포함

)

에 걸쳐 두만강을 따라 백두산까지 답사하 면서 회령 회담

·

장파 회담

·

2

차 회령 회담 등을 개최하였으나

,

결국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

이 회담도 양측의 입장이 비슷하였는데

,

특이한 점은 청 대표가 조선 대표에게 신체적 위협을 가한 점과 조선 대표가 토문강을 포기하고 두만강 상류인 홍토수를 국경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

청 대표는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때 청이 수차례 막대한 예산을 쓰면서 군대를 파견하여 조선을 보호해준 것을 강조하고

,

이중하 대 표에게 청국 황제를 섬기는 태도가 불량하다는 점

,

국경조사에 임하는 조선 대표가 권모술수와 임기응변을 부리고 있다고 힐란하였다

.

그리고 홍단수 답사중 조선측

4

명에게 청측

40

명이 이 홍단수로 정하지 않으면 사살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하고

,

조선 수행원 池昌翰에게는 製圖 중에 청측 주장대로 지도를 그리지 않는다고 그의 손에 부상까지 입혔다

.

67)

또 하나의 특징은 이중하가 기존의 토문강설을 접고

,

두만강 홍토수를 경계로 제안한 것이다

.

그 이유는 이중하가 청정부의 밀령을 사전에 입수하여 청국의 정부지침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

청 정부의 밀령은 이 번 회담에서 두만강 홍단수를 고수하라는 것이었다

.

그래서 이중하는 홍단수보다 북쪽에 있는 홍토수를 조선 이 주장하여도 청 대표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

결국 이중하는 홍토수를 경계로 주장함으로 써 자연스럽게 회담의 결렬을 유도하였다

.

북양대신 이홍장은

1888

1

12

일에 정계회담을 다시 하여 국경을 확정하자고 제안하였다

.

그러나 조 선은

5

16

일에 서울 주재 駐箚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 袁世凱에게

, 1887

년의 정해 정계회담에서 조선 대표 이중하의 주장은 정부와 상관없는 개인적 의견이므로 이를 무효로 한다고 밝혔다

.

그리고 이중하가 정부에 건의한 대로 양국 회담 중의 식량과 기타 비용을 조선측이 부담했으나 이 부담이 너무 크고

,

청 대표의 위협 이 너무 크므로 회담은 서두르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청측에 전달하였다

.

68)

66)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38쪽. 67)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89쪽.

68)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114·237·562쪽; 盧啓鉉, 「간도영유권에 대한 역사적 연구」, 󰡔연세경 제연구󰡕 9: 1, 연세대 경제연구소, 2002, 14~16쪽.

(15)

3. 한·청 간의 간도 영유권 분쟁

조선이 공식문서에 의해 丁亥 국경회담을 무효로 선언하면서 토문강을 종전처럼 국경으로 주장하자

,

청은 정해 국경회담에서 그들이 주장한 두만강 홍단수가 국경으로 확정된 것으로 기정사실화 하려 하였다

.

1890

년 청 정부는 일방적으로 두만강 북안 지역에 四堡

·

三十九社를 설치하면서 그들의 행정체제를 정비 해 나갔다

.

이 제도는 한인들이 집거하고 있는 두만강 북안 지역을 鎭遠堡

·

安遠堡

·

綬遠堡

·

寧遠堡 등 네 개 지역으로 나누고

,

그 아래에

39

, 124

, 415

牌를 설치함으로써 최초의 한인 관리 체제를 형성하였다

.

이는 청조가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 간도 지역을 자국의 영토로 기정사실화 하려는 조치였다

. 1880

년대 한인 촌락은 두만강에 인접한 茂山

·

會寧

·

鍾城 대안에 국한되었으나

, 1890

년대에 와서는 촌락 분포가 오지인 南 崗

·

北崗

·

西崗

·

嘎呀河 등 지역으로 확대되어 갔다

.

69)

청은

1902

년 局子街에 연길청을 신설하고

,

太拉子에 분방경력청을 두어 지방행정사무를 개시하였다

.

또 芝他所에 무민독려사무를 두면서 군대를 주둔시켰다

.

70) 청은 또한 간도의 조선인 社主에게 청 국적을 취득 케 하고 복장과 두발을 청국식으로 고치도록 했으며

,

이에 불응하는 조선인에게는 토지를 몰수하기도 하고 두만강 이남으로 추방하기도 하였다

.

이에 맞서

1897

년 光武 원년에 함경도 관찰사 趙存禹와

, 1899

년에 吳三甲이 각각 간도영유권을 주장하는 서신을 정부에 상신하였다

. 1900

년에 고종의 지시로 내부대신 李乾下는 경원부사 朴逸憲을 査界委員으로 임 명하여 현지답사를 시켰다

.

71) 그가 보고하기를

토문강 상류에서 바다에 이르기까지의 하천이 본래 국경선 임이 명백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국경 때문에 청과의 분쟁이 일어날 것을 염려하여 국민의 거주를 금하고 그 넓은 지역을 비우니 청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영토를 인정하여 천여 리의 땅을 러시아에 할양했 다

.

… 이 기회에 현행의 국제조약에 의거하여 공평히 국경을 관장해야 할 것이다

72) 보고하였다

.

조선은

1901

년 회령에 邊界警務署를 설치하고 무산과 종성에 지서를 두어 간도조선인의 보호와 소송사무 를 관장하였다

.

이어서 참정대신과 내무대신 및 경무대신은 각각

변계경무서를 설치하여 간도조선인의 사법 과 행정을 맡게 하니

,

모두 이의 지휘를 받으면서 생업에 종사하라

고 고시하였다

.

조선은 간도를 회령간 도

·

종성간도

·

무산간도

·

온성간도로 행정구역을 정하였다

.

73)

한편

1900

년에 의화단운동이 발생하자 러시아는 간도로 출병하여 이를 점령하였다

.

그러자 간도 조선인들 은 그동안 염증을 느끼던 淸裝과 薙髮을 바꾸어 머리를 기르고 한복을 착용하였다

.

그리고 러시아 관리에게 의뢰하여 청 관리의 주구를 면하려고 하였다

.

이에 대한제국 정부는

1902

년 李範允을 간도시찰사로 임명하 고

,

토문강과 두만강 사이에 기거하는 한인들을 위무하고

,

정확한 호수와 인구를 조사하도록 하였다

.

74) 이범

69) 김춘선, 「北間島地域 韓人社會의 形成과 土地所有權 問題」, 󰡔전주사학󰡕 6, 전주대 역사문화연구소, 1998, 182쪽. 70) 盧啓鉉, 「간도영유권에 대한 역사적 연구」, 󰡔연세경제연구󰡕 9: 1, 연세대 경제연구소, 2002, 18쪽.

71)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380쪽. 72) 楊昭全·孫玉梅, 󰡔中朝邊界史󰡕, 吉林文史出版社, 1993, 412~413쪽.

73) 盧啓鉉, 「간도영유권에 대한 역사적 연구」, 󰡔연세경제연구󰡕 9: 1, 연세대 경제연구소, 2002, 18쪽. 74)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12쪽.

(16)

윤은

6

월에 종성에서 간도로 들어가 한인을 위무하였다

.

경내를 순찰한 이범윤은 청인의 포학을 막는 길은 보호병사의 대동과 청국공사의 문빙을 소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여 이를 정부에 요청하였다

.

그러나 청과의 충돌을 우려한 정부는 군대 파견은 허락하지 않았다

.

75)

이범윤은 토문강과 두만강 사이의 간도 지방에 사는 조선인을 위무하고 호구와 인구를 조사하여 명부를 작성하였다

.

그는

1903

5

월에 조선인 호적부

52

책을 편제하고

,

부동산

3,647,496

34

錢을 등록하였다

.

그 결과 참정대신 金奎弘은 간도가 분명히 조선 땅임을 강조하고

,

이 곳에 세제적용

·

관리주둔

·

지방행정제 도 확립 등을 고종에게 건의하였다

.

대한제국은

1903

10

월에 간도시찰사인 이범윤을 간도관리사에 임명하 고 많은 권한을 그에게 위임하였다

.

아울러 조선은 이 사실을 청에 통고하였다

.

76)

1903

8, 9

월 경 이범윤은 한인 보호를 위해서 私砲隊란 것을 조직하여 병사를 길렀다

.

본부를 종성에 두고 帽兒山 앞의 二道溝

,

八道河子 西崗 및 沿江 琿春 등처에 각 지부를 설치하여 參理

,

領長 각

1

명을 두어 경비와 행정을 집행하게 하였다

.

이범윤은 이들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 조세를 징집하였는데

,

매 호당 엽 전

6

5

백 文

,

小米

6

두를 부과하였다

. 10

월 이후 이범윤은 그 규모를 더욱 확대하여 和龍峪에 병영을 설치 하고 帽兒山과 馬鞍山에

2

개의 營所를

,

西崗 頭道溝에

1

개의 營所를 만들었다

.

77)

1903

3

월부터 조선시찰사 이범윤이 이끄는 경무관들과 청 관헌들 사이에 和龍峪의 안원보 지역에서 충 돌이 일어났다

. 5

, 10

, 11

월에 걸쳐 조선인과 청인 사이에 크고 작은 충돌이 발생하였고

, 1904

2

15

일부터

23

일에 걸쳐 양국간에 대규모 충돌이 일어났다

.

조선 관리 김극렬과 성문석이 각각

100

명씩 인솔 한 군대와 이범윤이 직접 인솔한 무장대가 청 관리와 청인의 학정과 탄압을 견디다 못해 덕화사

·

장화사

·

산계사 등지를 점령하고

,

장대고벽 지방에서는 양국 군병의 대접전까지 있었다

.

78)

이 무렵에 동간도

·

서간도의 구분과 별칭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

79) 동간도는 延吉廳을 서간도는 敦化 縣을 가리켰다

.

80) 이후에 서간도는 압록강 대안

,

백두산 이서를 가리키는 의미로 확대되었다

.

중국 정부는 원래

간도

라고 하는 명칭을 애초부터 허용하지 않았으나

,

이후에는 현실적으로 간도라고 하는 명칭을 수용 함은 물론 서간도

,

동간도의 구분까지도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중화민국 중앙연구원 근대사 연구소 문서보관소

(

당안관

)

에 보관되어 있는 「延吉」지도

(C-1-0306)

와 「長白」지도

(C-1-0307)

가 그 반증이 다

.

이 지도는

1/500000

비례척의 「中國輿圖」로 길림

,

봉천

,

조선 지역을 포함한 것이다

.

중화민국 참모본부 製圖局에서

1917

12

월에 편찬하고

, 1918

5

월에 인쇄하였다

.

중국에서는 간도

,

북간도라는 명칭은 물론 이고

,

서간도

·

동간도라는 명칭이 일본과 조선이 영토 욕심으로 날조한 것이라고 주장하여 왔다

.

따라서 중 국 당국에서 그린 지도 중에 이런 명칭을 명기한 지도가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다

.

한편 이 지도의 특징은 천 지와 두만강원

(

중국명 圖們江源

)

이 분명하게 달리 표시되어 있다

.

중국에서 일관되게 토문강과 두만강의 동

75)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380~381쪽.

76) 盧啓鉉, 「간도영유권에 대한 역사적 연구」, 󰡔연세경제연구󰡕 9: 1, 연세대 경제연구소, 2002, 18~19쪽. 77)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357쪽.

78) 盧啓鉉, 「간도영유권에 대한 역사적 연구」, 󰡔연세경제연구󰡕 9: 1, 연세대 경제연구소, 2002, 19쪽. 79)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93쪽.

80) 國會圖書館 編, 󰡔間島領有權關係拔萃文書󰡕, 1975, 241쪽.

참조

관련 문서

Because of Hallyu, people around the world love Korea, visit Korea, and want to learn more about Korea, including the Korean language

Koreans love animals, mountains, and people, and traditional Korean artists have shown them in their

Europeans heard about the paper money in China around the 13th century, but the idea did not become popular in the West for a long time.. 손으로 기억하는

A journalist used the word to describe the wave of Korean culture that started with the Korean TV dramas in the

watching a Korean drama, I didn’t know anything about Korean culture because I hadn’t been exposed to the country. 4 In addition to Korean dramas, K- pop is becoming more

While negotiating the repatriation policy for the Korean people living in China with the Kuomintang Governmen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Koreans love animals, mountains, and people, and traditional Korean artists have shown them in their

⇒ 대다수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측 자료외에 일본, 연합국측 자료를 제시하여 일본 주장의 문제점을 논리적 측면, 국제법척 즉면, 사료 비판적 측면(불공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