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업·농촌 신규직업 100선 3권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업·농촌 신규직업 100선 3권 3"

Copied!
8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업·농촌 신규직업 100선 3권

ISBN 978-89-480-5346-3 94520 978-89-480-5343-2 (세트)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업·농촌 신규직업 100선 3권

3

10

0

농촌경제를

이끄는 신규직업

(2)
(3)

Contents

농가레스토랑운영자 04

농가카페매니저 06

농산물물류엔지니어 08

농산물유통분석가 10

농업·농촌경영컨설턴트 12

농촌비즈니스코디네이터 14

농촌융복합산업전문가 16

도시농자재판매업자 18

로컬푸드직매장매니저 20

마을기업운영자 22

사회적경제활동가 24

팜핑디렉터 26

협동조합플래너 28

(4)

농업·농촌 일자리 지원사업 정보

1.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 32

2. 스마트농업전문가 육성사업 34

3.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 36

4. 선도농가 현장실습 지원사업 38

5. 귀농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40

6. 농업인 소규모 창업기술 지원사업 42

7. 취업상담 및 사업화 연계 지원사업 44

8. 농업현장 창업 보육사업 46

9. 농식품 분야 창업 및 지식재산권 교육 지원사업 48

10. 자금조달 지원사업 1) 투자유치 50

10. 자금조달 지원사업 2) 기술자치평가 기술금융 지원사업 52

10. 자금조달 지원사업 3) 크라우드펀딩 연계사업 54

11. 농산업체 판로 지원사업 56

12. 농업법인 취업 지원사업 58

13. 농업경영체 전문인력 채용 지원사업 60

14. 농식품 모태펀드 사업 62

15.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 64

농업·농촌 취업 및 창업 정보사이트 안내 66

참고문헌 및 관련정보 68

(5)

내용

로컬푸드(Local Food)운동의 일환으로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이용해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역할이다.

유사직종으로 지역특산물을 활용하여 향토음식을 발굴하고 상품 화하며 이를 계승 및 발전시키기 위해 조성하는 전통 식문화공간 을 운영하는 농가맛집 운영자가 있다.

농가레스토랑운영자

(6)

최근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친환경 식재료 조달이 용이해졌으며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올라가면서 친환경재료로 만든 농가음식, 농가맛집 등의 외식경영사업 모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농업 총조사 결과 에서도 농가식당 경영자가 2005년 5,174명, 2010년 9,043명, 2014년 11,529명 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가레스토랑운영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리, 식품영양, 외식경영, 푸드스 타일리스트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식품조리계열에 식품영양전공, 외식경영 전공, 가정관리, 식품조리 등 관련된 전공을 이수하는 것이 좋다.

관련 자격으로는 제빵사, 제과원, 조주사, 칵테일 제조 기술자, 바리스타 자격증 을 취득하면 도움이 된다.

농촌에 있는 농가식당(농가맛집, 농가레스토랑) 및 외식업체에서 활동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7)

농가카페매니저

내용

농촌경관의 매력을 바탕으로 농촌지역에서 카페를 운영하면서 서 비스나 음식에 대한 손님들의 주문과 불만을 직접 해결하고 직원 들을 지휘, 감독하는 일을 주로 하며, 인사관리, 교육훈련 등 매장 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이다.

(8)

최근 농촌지역 6차산업의 중요한 분야로 유기농 카페 및 레스토랑, 직매장과 연계 한 레스토랑, 농가 레스토랑 등 다양한 형태의 농가카페가 생겨나고 그 규모가 점 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가카페는 친환경 생산자의 판로 확대뿐만 아니라 로컬푸드 지원, 취약계층 일 자리와 취업지원, 공정무역 상품 판매 등 다양한 사회적 경제 영역과 연계하여 발 전하고 있다.

농가카페매니저는 총괄관리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리, 식품영양, 외식경영, 푸드스타일리스트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식품조리계열에 식품영양전공, 외 식경영전공, 가정관리, 식품조리 등의 전공이 유리하다.

관련 자격으로는 제빵사, 제과원, 조주사, 칵테일 제조 기술자, 바리스타 자격증 을 취득하면 도움이 된다.

카페 혹은 레스토랑 등 외식산업에 진출이 가능하다. 이외에 농촌관광사업체의 농 가맛집, 농가레스토랑 등에서도 활동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9)

농산물물류엔지니어

내용

농산물의 유통 촉진과 물류비의 절감을 위해 물류센터의 운영부터 물류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이다.

(10)

1995년 말 화물유통촉진법이 개정되면서 물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었고 물류체계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이 강구되었다. 국가물류비, 절감을 위한 물 류 시설의 확충뿐만 아니라 이를 합리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물류엔지 니어라는 전문 인력의 체계적인 양성이 요구되었다.

기본적인 물류시스템 관리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특성을 고려한 물류체계를 구축 하기 위한 전문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학, 경영학, 무역학, 유통학, 물류학, 산업공학 등의 전공이 유리하다. 물류관 리, 물류시스템, 물류관련 법규, 화물운송, 해운운송, 항공운송, 보관하역 등 물류 전반에 대한 이론적 배경지식이 있어야 하며 물류현장과 시장을 꿰뚫어보는 능 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업체나 물류창고, 화물터미널 등 물류현장을 경험해 보는 것이 좋다.

물류관련 분야는 국내보다 국외에서 훨씬 발달되어 있기에 외국자료를 접할 일이 많으므로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구사능력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과에서 소관하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물류관리 사’ 국가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움이 된다.

기업부설연구소, 컨설팅업체, 정부기관에 진출이 가능하며 물류 관련 회사에서 운 송사무원이나 연구원으로도 활동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11)

농산물유통분석가

내용

물품의 전달과 공급과정을 분석하여 변화가 필요한지 확인하고 필 요한 경우에 해결책을 제시하며, 비용청구, 전자 청구서, 선적 경로 등을 포함한 일반적 활동을 관리하는 역할이다.

유사직종으로는 소비자의 행동 및 심리와 시장 환경을 분석하여 소비트렌드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될 수 있는 상품을 기획하는 소비트렌드분석가가 있다.

(12)

유통은 산업과 경제를 긴밀히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생산에서 소비로 이어지 는 과정에서 적절한 시기에 상품이 오고가야 하기 때문에 일련의 흐름을 경제적 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까 지의 복잡한 물품의 전달과 공급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전문가인 유통분석 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경제학, 경제물류학, 유통물류학 등을 전공하거나 물류관리사, 유통관리사, 판 매관리사, 국제공인생산재고관리사(CPIM), 관세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유리하다.

기업체(물류유통업체, 해운·항만·무역업체, 제조업체의 물류 부문, 글로벌 물류 업체, 물류 컨설팅 업체), 연구소(물류 및 유통 관련 국가 연구소, 물류 및 유통 관 련 민간 연구소), 정부 및 공공기관(유통 및 물류 관련 공공기관, 정부의 물류 관 련 부서)에 진출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13)

내용

농업경영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여 지 속적인 성장과 수익창출을 유도하는 역할이다.

컨설팅 대상은 농가, 농업법인, 농협, 농식품업체, 마을, 지방자치 단체 등이며 컨설팅 영역은 지역농업발전계획 수립, 생산기술, 경 영개선, 신사업전략, 농가조직화, 브랜드마케팅, 산지유통시설 효 율화, 6차산업화, 정보화기술, 각종 인증 등이다.

유사직종으로는 관광분야에서 주민사업체 발굴과 조직화, 창업과 경영개선 지원 등을 총괄하는 관광두레PD가 있다.

(14)

외부환경과 농정체계의 변화에 따라 농업경영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 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생산중심에서 상품화·마케팅·가공·관광 등으 로 사업영역이 확장되면서 농업경영·기술 분야의 컨설팅 수요는 지속될 것으 로 전망이다.

생태관광, 지역개발, 지역지원/건설, 농업경영과 관련된 전공을 이수하는 것이 도 움이 된다.

농업협동조합, 농촌융복합산업(6차산업) 인증사업체와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 활기업 등에 진출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15)

내용

농촌관광, 자연자원, 문화 등 농촌의 잠재적 자원을 사업적 가치로 평가하여 사업화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역할이다.

유사직종으로는 농업인들과 도시민들이 농촌문화와 농산물을 주 제로 자유롭게 정보를 교류하며 농촌과 농산물에 대한 인식의 변 화를 제고하는 파티를 기획하는 팜파티플래너가 있다.

음식·체험

치유·레저

숙박·팜핑 농산물·기념품

(16)

정부에서는 농가소득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 어 농촌의 잠재적 가치를 평가하고 사업을 운영하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관광학과, 경영학과 관련 전공을 이수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국내여행안내사나 문 화관광해설사를 취득하면 유리하다.

직무능력으로는 농촌체험상품개발, 농촌체험시설운영관리, 농촌체험프로그램, 관 광자원해설능력이 요구된다.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사업에 진출하거나 여행사, 농촌관광마을, 농촌관광 사업체, 기관 지역정책 및 개발부서, 민간 농촌 컨설팅업체에서 전문가로도 활동 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17)

농촌융복합산업전문가

내용

농촌에서 1차산업(농수산업)과 2차산업(제조, 가공업), 그리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농촌관광)을 융복합한 사업을 기획하고, 사업장 을 경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8)

단순히 농산물을 판매하던 것과 비교해 높은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한다는 점 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농업의 6차산업화 성장가능성이 있는 사업자를 인증사업자로 지정하기 위한 근거 법령이 마련되었고 정부의 지원도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어 앞으로 전망이 밝다.

전업농가나 젊은 영농 후계자, 마을사업 경험이 있는 전문인력 혹은 농촌 생활을 체험해 봤거나 예전에 사무장 경험이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리더십을 발휘하여 농업인과 도시민 사이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조직체를 잘 구성하여 생산과 관련한 지역자원을 활용하며 관광농원, 농산물직판장 등을 운 영해야 한다.

사회적 경제기업(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에 진출이 가능 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19)

도시농자재판매업자

내용

도시농업 발전과 생산활동에 필요한 농자재(각종 농기계부품, 유 기질비료, 농약, 관수관비장비, 종묘 등)를 생산, 수입하거나 규격 별·품목별로 구분하고 판매하는 역할을 한다.

(20)

도시의 생태계 보전, 도시환경 개선, 이웃과의 나눔, 환경과의 교류라는 새로운 가 치가 조명되면서 도시농업이 세계도시의 트렌드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에서도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도시농업 전문가 과정이 개설되는 추세 로 도시농업에 필요한 농자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농업에 대한 이해와 작물생리, 토양 등 농업기술과 농작물에 대한 판매와 유 통, 생활여건 등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농업 관련 분야의 종사자가 유리하다.

원예학, 조경학, 농학 등의 전공과 관련이 있다.

각 시군별 도시에 있는 농자재 판매업체나 대리점에서 개인으로도 활동이 가능 하고, 해외 농업 생산활동을 위한 해외 농자재 판매업체나 대리점으로 진출이 가 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21)

로컬푸드직매장매니저

내용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먹거리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환경과 건 강을 지키고, 지역사회의 생산을 촉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유사직종으로는 농업인이 수확한 농산물이 최종소비자에게 판매 되기 전까지 모든 과정에서 저장, 수송, 구매, 판매 등의 과정을 수 행하는 사람인 농산물도매유통전문가가 있다.

(22)

최근 안심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고 로컬푸드에 대한 관심이 빠르 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농장에서 식탁까지 운송거리 및 유통단계를 최대한 축 소시킨 로컬푸드직매장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로컬푸드직매장운영자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로컬푸드직매장은 김포, 천안, 안성, 완주 등에서 다수 운영되고 있으며 대표적으 로 1일 1천명 이상의 고객이 방문하는 사례도 있다.

농학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식품공학과 등을 전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생산농가는 수확부터 포장, 운송, 가격결정, 소포장, 매장 진 열 등을 담당하고, 운영주체는 출하농가 교육과 직매장 판매관리와 정산 등의 업 무를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로컬푸드 직매장 또는 농산물도매센터, 대형마트, 과일전문점 등에도 진출이 가 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23)

마을기업운영자

내용

지역이 보유한 사회적·경제적 자원을 바탕으로 주민 참여형 지역 개발사업과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사람으로 지역 활 동가와 조직 경영자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24)

2013년 말 정부지원 기준 마을기업은 농식품부 지원 농어촌 공동체회사 725개소, 안전행정부 지원 마을기업 782개소, 산업통상부 지원 마을기업 320개소 등 다수가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마을기업 운영자는 주로 지자체가 전문교육·컨설팅 기관에 교육위탁을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마을 권역·단위로 육성하고 있다.

마을 기업은 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행정자치부에서 육성 및 지원하고 있으며 2014년 기준 매출은 약 1조 2천억 원, 고용 인력은 3만 5천여 명으로 매년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영학과, 경제학과에 진학해 관련 전공을 이수하면 유리하다. 관련자격으로는 경 영지도사 혹은 창업보육전문매니저를 취득하면 도움이 된다.

마을기업 운영자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마을기업으로 선정되어야 하는데 지역에 뿌 리를 두고 설립되어야 한다. 마을기업은 민법에 따른 법인, 상법에 따른 회사, 협동 조합기본법에 따른 협동조합, 농어법 경영체법에 따른 영농조합 등 조직형태가 법 인인 자이어야 하며 법인이 아닌 경우에도 마을기업을 신청할 수는 있으나 약정 체 결 전까지 법인 설립을 완료해야 한다.

참고적으로 마을기업의 출자자는 최소 5인이어야 하고, 최대 출자자 1인의 지분은 30% 이하여야 하며, 특정 1인과 그 특수 관계인의 지분의 합이 50% 이하여야 한 다. 출자자가 5명인 경우에는 5명 모두 지역주민이어야 하고, 6인 이상 출자 시 지 역주민의 비율이 70% 이상이어야 하며, 고용 인력도 70% 이상 지역주민이어야 하 는 등 지역 주민이 기업을 주도해야 한다. 그리고 마을 기업 모든 회원은 법인에 출 자하여야 한다(행정안전부, 2017).

전업농가나 젊은 영농 후계자, 마을사업 경험이 있는 전문인력 혹은 농촌 생활을 체 험해 봤거나 사업장 경영 경험이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각 지역의 마을기업에 진출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25)

사회적경제활동가

내용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1) 생태계 조성을 비전으로 삼고 체계적인 시스템과 인프라 조성,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등 지원정책을 수 행하며 다양한 사회적경제 조직들(자활기업, 사회적기업, 마을기 업, 협동조합)을 지원하는 역할이다.

(26)

사회적 경제는 1800년대 초 유럽과 미국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상호부조조 합, 커뮤니티비즈니스 등의 형태로 등장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 농민협 동조합과 도시 빈곤층들의 두레조합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경제는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 2010년 마을기업육 성사업 시작,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등 정책사업을 통해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었고, 2011년 서울시를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과 지역사회문제해결을 위 해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을 도입하면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원에 대한 수요 도 늘어날 전망이다.

공동체의 보편적인 이익을 실현하고 노동을 중심으로 수익을 배분하며, 민주적 참 여를 이끌고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이 해가 있어야 하며, 사회학, 경제학, 복지학, 경영학 등과 관련이 있다.

전국 단위 지역별 시군 지자체 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 진출하거나 자활기업, 사회 적 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에서 활동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1)사회적경제 자본주의 시장 경제가 발전하면서 나타난 불평등과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 다양한 사회문제 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습니다. 이윤의 극대화가 최고의 가치인 시장경제와 달리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두 는 경제활동이다.

(27)

팜핑디렉터

내용

캠핑문화를 둘러싼 각종 사업에 참여하여 캠핑장 위치선정 및 관 련 환경 여건을 조사해 캠핑장을 조성하기도 하고, 캠핑장 관련 사 업계획서 작성 및 캠핑 사업컨설팅 등을 수행한다.

(28)

주5일 근무제가 정착하면서 휴일을 자연과 함께 보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 다. 캠핑 인구 300만 명 시대가 열리면서 캠핑 인구는 매년 20% 이상 증가하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회사를 비롯해 다양한 모임에서 캠핑 형태로 행사를 준비 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농촌에서 캠핑을 하면서 자연을 즐기고 농산물 을 직접 수확하고 맛보는 체험인 팜핑(Farmping)을 즐기고자 하는 도시민도 늘 어나고 있다.

패밀리가 떴다, 아빠 어디가?, 1박 2일, 삼시세끼, 효리네민박 등 농촌에서 생활하 는 TV 예능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캠핑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캠핑사업 전문가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관광진흥에 관한 법률(관광진흥법),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산림문화휴양법) 등 오토캠핑과 관련된 법령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요구되는 특별한 학력이나 자격은 없지만 경영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므로 경영학, 관광학을 전공하거나 창업 관련 교육을 이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사설학 원 등에서 관련 이론과 실습교육을 받을 수 있고, 일부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운 영하는 캠핑사업전문가 과정을 통해 캠핑을 비롯한 아웃도어 레저산업을 이해하 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농어촌민박, 오토캠핑장, 야영장, 펜션 등 야외장소에 있는 관광숙박업체에 진출이 가능하고 지자체의 관광개발 관련 부서 등에서도 활동할 수 있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29)

내용

협동조합의 설립과 원활한 초기정착을 돕기 위해 내부 혹은 외부 에서 협동조합의 설립과 관련한 정보들을 조합원들에게 전달하고 필요한 과제를 분석한 후 개선 내용을 제안하고, 제안과제가 실행 될 수 있도록 구성원과 함께 필요한 자원을 탐색하고 결합시키며 조정, 지원하는 일을 한다.

유사직종으로는 협동조합을 결성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조합 결성 후 생길 수 있는 혜택과 지원내용을 상담하고, 경영 노하우, 협동조 합 형성과 운영 등에 대해 지원하는 협동조합코디네이터가 있다.

(30)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이후 5인 이상이면 누구나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금까지 약 9,000여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향후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에서는 협동조합코디네이터 자격제도를 검토하고 있고, 협동조합 전 문인력을 육성할 계획에 있다. 이에 따라 협동조합의 재무·회계·경영 등을 담 당할 컨설팅 전문가가 양성되면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건전한 협동조합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경영컨설턴트, 경영지도사, 기존의 협동조합에서 활동해본 사람, 사업에 대한 안 목과 경영, 인사, 사람에 대한 이해가 겸비된 사람이 유리하다.

특별한 자격증이 요구되지는 않으며 민간자격증으로 협동조합코디네이터(한국협 동조합창업경영지원센터), 협동조합컨설턴트(작은사랑실천운동시민연합) 등을 취 득하면 도움이 된다.

협동조합 설립에 대한 상담을 비롯하여 설립 이후의 경영, 회계, 인사, 홍보, 마케 팅, 평가 전 분야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며 분야별로 설립상담사, 평가상담사, 홍 보상담사 등으로 구분된다.

권역별 협동조합 중간지원센터, 지자체별 사회적경제지원센터, 협동조합 컨설팅 및 연구기관, icoop자연드림 등의 대형 생협, 협동조합 임직원, 개인별 외부전문 가로 활동이 가능하다.

진출가능분야

역량 및 교육

(31)
(32)

농업·농촌 일자리 지원사업 정보

(33)

지원대상

스마트팜 창업 희망 청년(만 18세 이상~39세 이하)

사업내용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를 통해 전문교육과정 제공

교육지원, 영농정착금 지원(경영실습 과정 월최대 100만원), 전문가 컨설팅 지원 등

스마트팜 혁신벨리: ‘22년까지 4개소 임대료만 내고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도록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하여 보육센터 수료생 등에게

우선 제공할 예정

(34)

스마트팜 홈페이지(www.smartkorea.net) 공지

지원규모: 60명(2018년) → 600명(2022년) = 총 660명

문의처

스마트팜 콜센터 TEL. 1522-2911

입문교육 : 영농기본교육+해외전문가 특강(1~2개월) 현장실습교육 : 이론교육+현장실습+컨설팅, 현장지도(6개월) 경영실습교육 : 경영준비+현장실습+컨설팅, 현장지도(1년)

(35)

지원대상

ICT(컴퓨터 공학, 빅데이터) 및 농업 관련 전공자 등

사업내용

예비 스마트농업전문가 채용(임금 지급)

* 전국 9개도 농업기술원에서 근무

빅데이터 수집·분석·활용 및 컨설팅 역량 교육

신청방법

농촌진흥청 홈페이지(www.rda.go.kr) 공지

지원규모: 60명(2018년) * 예산규모에 따라 변경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컨설팅 역량을 갖춘 전문가 양성 역량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36)

농촌진흥청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TEL. 063-238-1523

(37)

지원대상

만 18세 이상 ~ 만 40세 미만의 독립경영 3년 이하

* 독립경영: 본인 명의 농지·시설 등 영농기반을 마련, 경영주 등록 후 직 접 영농 종사자

사업내용

농가경영비 및 일반 가계자금 지원 1년차 월 100만원, 2년차 90만원,

3년차 80만원 지급,

단 일정 수준 이상의 재산 및 소득이 있는 자는 제외

(38)

농림사업정보시스템 (www.agrix.go.kr) 신청

지원규모:

1,600명(2018년)

*2019년 미확정

문의처

농림사업정보시스템 TEL. 1670-0255

(39)

지원대상

귀농연수생: 최근 5년 이내 이주한 귀농인

* 40세 미만 청장년층은 귀농여부 및 지역 상관없이 지원 선도농가: 농업기술원장 / 농업기술센터소장 추천

사업내용

귀농연수생: 현장실습 및 교육비 지원(월 80만원 한도, 3~7개월)

* 단 매월 10일 또는 80시간 이상 연수 시 지급

선도농가: 교수 수당 지원(연수생 1인당 월 40만원 한도, 3~7개월)

* 선도농가: 우수농업인, 농업법인, 농림축산식품부 지정 농장

(40)

시군농업기술센터(1~3월 중, 지역에 따라 다름)

지원규모: 730명 내외

문의처

농촌진흥청 역량개발과 TEL. 063-238-1842

(41)

지원대상

신규농업인으로 현장실습을 마친 자, 귀농확인이 가능한 자 가공·제조·유통업 및 농촌비즈니스(관광) 겸업 농가

사업내용

농업스타트업 창업교육 및 전문가 컨설팅

창업지원: 예비창업 실행비, 창업 성공 전문가 컨설팅

* 예비창업 실행비는 서류검토와 심사를 거쳐 1인 최대 10백만원 이내에서 차등 지원

(42)

도 농업기술원 또는 시·군 농업기술센터(1~3월 중, 지역에 따라 다름)

지원규모: 9개소

문의처

농촌진흥청 역량개발과 TEL. 063-238-1842

(43)

지원대상

창업을 통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영농조합법인 등 2농가 이상 공 동 참여자

* 농산물종합가공센터에서 창업교육을 이수한 자 우대

농산물 종합가공기술 지원사업

가공기반: 창업 아이디어는 있지만 가공시설이 없는 농업인에게 공동가공시설(시·군 농산물종합가공센터) 제공 창업보육: 농산물가공 창업보육 및 코칭 프로그램 운영 컨설팅: 농식품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 자문·컨설팅 지원

(44)

가공·생산·상품화에 필요한 내부시설 리모델링 및 장비 구입비용(개소당 50백만원 지원)

포장, 유통개선, 상표등록 및 출원, 전자상거래 홈페이지 제작, 홍보 강화 등 전문가 컨설팅, 교육 및 우수사례 벤치마킹 기회 제공

신청방법

시·군 농업기술센터(1~3월 중, 지역에 따라 다름)

지원규모: 33개소(예산규모에 따라 변경)

문의처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과 TEL. 063-238-1020

(45)

연계하여 창업지원

지원대상

농식품·생명·ICT융복합 분야(예비) 창업자(기업)

사업내용

창업 상담 및 관계기관 원스톱 연계지원

신청방법

전화, 방문 등(연중 수시)

창업 상담: 창업 및 사업화 추진 시 애로사항 1:1 상담 농식품 관계기관 지원사업 연계

창업에 필요한 기술개발, 기술이전, 자금(융·투자 알선), 판로, 6 차 산업 등 연계지원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R&D), 농업정책보험금융원(크라우 드 펀딩, 투자), 6차산업지원센터(6차산업 지원), 창조경제혁 신센터(유통) 등 연계

(46)

서울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TEL. 02-739-5545~8(서울, 인천) 강원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TEL. 033-257-8711~4(강원, 경기) 세종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TEL. 044-868-6834~7(충북, 충남, 세종, 대전) 경북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TEL. 054-461-9540~3(경북, 경남, 대구, 울산, 부산) 전남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TEL. 061-664-7201~4(전북, 전남, 광주, 제주) 안성 농식품 벤처창업지원센터

TEL. 031-659-3676(글로벌 진출(희망)기업)

(47)

기술·경영컨설팅을 통한 벤처기업 설립지원

지원대상

농업 분야 예비 창업자 및 창업 초기 기업(5년 미만)

* 중소벤처기업청 창업보육센터 입주자 제외

사업내용

창업-성장 단계별 지원

공통지원 프로그램

지식재산권 출원, 디자인 개발, 시제품 제작, 전시회 참가, 홈페이 지 구축 등 지원

선택적 지원 프로그램

공동전시회, 투자유치, 제품 기획 등 지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전문가 컨설팅, 보육업체 역량강화 워크숍 및 네트워킹, 정보제공 등

(48)

재단 홈페이지 공고 → 신청서 접수 → 신청자격 사전검토

→ 1단계 평가(설문 및 인터뷰) → 2단계 평가(발표평가) → 보육계약 체결

→ 보육프로그램 운영 → 사후관리

신청방법

E-mail, 우편, 방문 등(상반기 모집)

* 우편접수의 경우 도착시를 기준으로 인정하며, 모집 일정이 변동될 수 있으니 문의 및 재단 홈페이지 확인 요망

문의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창업성장촉진팀 TEL. 031-8012-7312, 7193, 7248

(49)

관련 지식을 교육함으로써 창업성공률 제고 및 사업능력 향상 지원

지원대상

농산업·BT분야 예비창업자 및 창업 5년 미만 기창업자(임직원) 기술이전 업체 및 이전 희망업체

사업내용

실전에 적용 가능한 교육 운영

High-Up 농식품 벤처창업 성공비법(실전에 적용 가능한 교육) 1단계:『창업업체 기틀 잡기』 → 2단계:『창업업체 정부지원사업 도전하기』→ 3단계:『창업업체 인증 받기』→ 4단계:『창업업체 판 로 뚫기』4단계 교육을 차례로 진행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기술기반 벤처창업 과정(실습위주의 교육) 1단계:『창업업체 기술 확보하기』→ 2단계:『창업업체 지식재산권 출원하기』

(50)

재단 홈페이지 공고 → 신청서 접수 → 선착순 혹은 평가를 통한 교육생 선 정 → 창업 및 지식재산권 교육 진행

신청방법

E-mail 접수(지식재산권 상반기 모집, 창업교육 하반기 모집)

* 상황에 따라 일정이 변동될 수 있으니 문의 및 재단 홈페이지 확인 요망

문의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창업성장촉진팀 TEL. 031-8012-7312, 7193, 7248

(51)

지원대상

농식품분야 우수기술 및 사업아이템 보유기업 등

사업내용

농식품 투자유치 설명회(IR)에서 투자유치를 위해 교육 및 컨설팅(사업전략 수립, IR자료작성 등) 진행

지원절차

재단 홈페이지 공고 → 서류심사 → 투자역량강화교육 → 현장평가 → 사업 계획서 발표 → 최종컨설팅지원업체선정 → 컨설팅실시(5주) → 맞춤형 멘토 링캠프 → 투자유치설명회(IR)실시

등 집중지원을 통해 투자사의 직접투자를 유도하는 맞춤형 투자를 지원

(52)

E-mail 접수(상반기 3~4월)

문의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창업성장촉진팀 TEL. 031-8012-7311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기술평가팀 TEL. 031-8012-7228, 7382, 7115

(53)

지원대상

농식품 관련 IP(품종보호권, 특허권 등)를 보유한 농식품 창업기업

사업내용

농식품 벤처 및 창업기업 보유기술에 대한 기출가치평가료 지원을 통해 사업화 자금조달 및 크라우드펀딩 등 투자유치 기반 마련

지원절차

업체발굴 및 상담 → 평가신청(업체☞재단) → 대상업체 선정 → 계약체결 → 기술가치 평가 → 결과검토 및 평가보고서 제출 → 사후관리

자산이 없이도 투·융자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여건 마련 및 사업화 촉진

(54)

홈페이지(www.fact.or.kr) 신청서 다운로드 및 작성 후 재단 기술평가팀 혹은 해당지역 특화센터 방문상담(연중 계속)

문의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기술평가팀 TEL. 031-8012-7228, 7382, 7115

(55)

지원대상

농식품 분야 기창업자

사업내용

농식품 분야 유망 기업 및 스타트업 및 벤처 등을 발굴하고 네트워킹, 데모데 이, 시설지원 등을 통한 민간 투자 자금 유치

지원절차

크라우드펀딩 희망업체 모집 → 유망 농식품 업체 선발 → 컨설팅·네트워 킹·데모데이 지원 → 크라우드펀딩 진행

농식품분야 유망 업체에 대한 대중의 투자를 활성화하고 창업기업의 소액 자본 수요를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

(56)

농업정책보험금융원 투자관리부 상담 후 접수(상반기)

* 상황에 따라 일정이 변동될 수 있으니 문의 및 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 요망

문의처

농업정책보험금융원 투자관리부 TEL. 02-3775-6770, 6775

(57)

지원대상

농식품분야 기술기반 벤처기업 및 창업기업(공고일 기준 창업 7년 미만)

* 농식품, 농기계, 농자재, 생활용품 등 농업분야의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 한 제품 생산업체

사업내용

서울 양재 aT센터 내 A-Start-up 마켓(농식품 벤처·창업 아이디어 제품관) 에 제품 입점하여 전시 및 판매

지원절차

홈페이지 모집공고문 확인→ 제품설명서 포함 신청서 양식 다운로드 → 작성 및 압축하여 이메일 송부 → 제품설명서 및 서류(특허, 인증)를 통한 서 면평가 실시

(58)

재단 홈페이지(www.fact.or.kr) 공고를 통한 E-Mail 신청 및 접수(5월 중)

* 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 요망

문의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창업성장촉진팀 TEL. 031-8012-7265

(59)

업’의 농산업부문 인턴제 운영을 위해 청년인턴과 농업법인 모집

지원대상

농업법인 및 인턴 희망자(자격요건을 충족하는 농업법인 및 청년)

* 청년 필수요건

1. 농산업 취업 등을 희망하는 만 18세 이상~39세 이하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

2. 법인과 계약한 근무기간(최소 3개월)동안 인턴활동 가능한 청년 3. 재학생인 경우 학교 휴학자 또는 마지막 학기 재학 중으로 졸업이후 인

턴활동을 할 수있는 청년만 가능하며 방송·통신·방송통신·사이버·

야간 학교 등 온라인 교육이 주된 학교에 재학 중인 청년은 참여가능 4. 사업신청일 기준 미취업자

사업내용

인턴취업을 통해 실무연수의 기회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영농정착을 위한 동 기부여와 농업 부문의 신규인력 유입을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인턴을 채용한 농업법인에 인건비(1인당 50%, 일 최대 100만원)를 지원

자격요건

법인 필수요건 ➊~➍ 모두 충족 및 ➎의 경우 셋 중 하나 이상 충족

(60)

➋ 농림축산식품분야 재정사업관리 기본규정 지원요건(참고)에 충족하는 농업법인

➌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회계 관리를 실시한 농업법인

➍ 법인 설립 후 운영 실적이 2년 이상인 농업법인

➎ 직전 2년 평균 매출액 5억원 이상, 상시종사자 5인 이상, 경영규모 기준표상 ‘전 업농’ 이상의 경영규모 중 하나 이상의 요건을 갖춘 농업법인

신청방법

농업인력포털 내 ‘농업법인 취업지원사업 신청’ 배너 클릭 및 신청서 작성

* 최소 3개월 이상의 고용기간을 유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지원하되, 독립경 영 예정자가 독립영농 기반을 마련하고 경영주로 등록하는 경우에 한하여 3개월 미만이라도 지원가능

* 3개월 이내 청년의 자진퇴사 등으로 인한 재배치는 1회로 제한하되, 독립 경영예정자가 독립영농 기반을 마련하고 경영주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재 배치 제한 없음.

문의처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일자리지원실 TEL. 044-861-8729, 8778, 8773

(61)

지원대상

농업법인(아래 요건 동시 충족)

법인 설립 후 운영 실적이 1년 이상인 법인, 농업경영체 등록 농업법인 출자금 1억 이상, 회계장부 작성 또는 외부회계감사를 실시한 농업법인

* 우대법인: ‘농업법인 취업지원 사업’을 수료한 청년을 정규직으로 전환하 는 당해 법인

농업법인 외(아래 요건 중 1가지 충족)

「농업협동조합법」에 의한 조합공동사업법인

정부지원 거점 농산물산지유통시설(APC) 중 직전년도 경영평가 D등급 이 상인 법인

정부지원 미곡종합처리장(RPC) 중 직전년도 경영평가 D등급 이상인 법인 정부지원 거점 도축장 중 직전년도 경영평가 C등급 이상인 법인 직전년도 농식품부가 선정한 통합마케팅조직

들녘경영체 육성사업, 농촌공동체 회사 우수사업의 지원을 받은 법인

(62)

지원요건에 적합한 법인이 전문인력 신규 채용 시, 인건비 일부 지원(최대 월 80~180만원/1인)

경영체당 전문인력 1명 지원 1. 농고·농대 졸업생 채용

2. 귀농·귀촌하여 거주하는 전문인력 채용

3. 농업법인 취업지원사업을 신청한 당해법인에서 사업 수료한 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경우 최대 2명 지원

신청방법

신규 법인 선정 공모 기간 내, 관련 서류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 제출 → 심사 및 선정

* 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 요망

문의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창업성장촉진팀 TEL. 031-8012-7265

(63)

농식품산업에 대한투자를 촉진하고 농식품경영체의 건전한 성장기반 조성

지원대상

성장가능성 있는 사업모델을 보유한 농·어업인, 영농·영어조합법인, 농업·어업회사법인, 식품사업자 등 농림수산식품관련 산업 종사자

사업내용

정부와 민간이 결합하여 매칭펀드(농식품 투자조합)를 결성하여 성장가능성 있는 다양한 농식품 경영체(농어업인, 농어업법인, 식품사업자, 관련 사업자 등)에 투자

1. 농림수산식품산업에 투자하는 일반펀드 및 소규모 경영체, 6차산업경 영체 등에 투자하는 특수목적펀드 운용

2. 6차산업화 전문펀드 4개, 400억 원 운용 중(‘16년 말 기준)

3. 분야별 전문펀드 운용 중: 스마트팜(500억 원), 수출(330억 원), 창업 아이디어(120억 원) 등

신청방법

정부재정으로 농식품 모태펀드 조성 → 모태펀드와 민간자금이 결합하여 매칭 펀드(농식품 투자조합) 결성 → 농식품 투자조합에서 성장가능성 있는 다양한 농식품 경영체(농어업인, 농어업법인, 식품사업자, 관련 사업자 등)에 투자

(64)

* 농식품투자조합: 민간벤처캐피탈(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등)이 운용

문의처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농식품 투자상담센터 TEL. 02-3775-6770

민간자금 농식품모태펀드 농업정책보험금융원

(Fund of Funds Manager)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투자조합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

운용사

경영체 경영체 경영체

운용사

경영체 경영체 경영체

운용사

농식품투자조합A 농식품투자조합B PE Fund

(65)

지원대상

정규과정: 만 16세~34세 말산업 종사를 희망하는 청년구직자(‘17년 기준) 말조련: 체력테스트 및 면접 통해 선발

승마지도: 기승능력 테스트 및 면접 통해 선발 재활승마지도: 기승능력 테스트 및 면접 통해 선발 말관리: 신체검사 및 면접 통해 선발

말산업 산학협력 교육과정: 교육을 희망하는 교사, 교수인력, 학생, 지자체 및 민간 농가

재직자 능력향상 교육과정: 협약기업으로 등록된 사업장의 재직근로자(말산 업 종사자)

말산업 창업전문 교육과정: 말산업 예비 창업자 및 경영주

지원절차

홈페이지 모집공고문 확인→ 원서접수 → 전형방법 통한 교육생 선발 → 교육과정 운영

(66)

신청방법

호스피아(www.horesepia.com)에서 신청(매년 초 1~2월)

* 교육과정별로 상이하기에 홈페이지 공고 참고 문의처

한국마사회 말산업인력교육원 TEL. 02-509-2226 말산업 전문인력 교육과정 운영

구분 교육과정 기간 인원 교육일정

정규과정

말조련 7개월 12명 2~9월

승마지도 7개월 10명 2~9월

재활승마지도 7개월 10명 3~10월

말관리 3개월 20명 2~4월

산학협력

고교생 1~4주 5~20명 연간

대학생 1~2주 5~20명 연간

교수인력 직무연수 1~2주 5~15명 연간

재직자 능력향상 교육(총 15개 과정) 과정별 상이 과정별 상이 연간

말산업 창업전문 교육 2주 15~20명 미정

※ 세부일정은 호스피아(www.horsepia.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교육일정, 교육비 및 국비지원여부는 매년 달라질 수 있습니다.

(67)

①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

- 귀농귀촌상담을 통해 취업 및 창업 관련 교육정보와 지원정책 관련 정보 제공

②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www.epis.or.kr) - 농업 인적자원 육성과 관련된 교육 정보 제공

③ 농림축산식품부(www.mafra.go.kr)

- 청년 농업인 육성정책 등 농림축산식품사업 정보 제공

④ 농산업인력지원센터(www.agriwork.kr)

- 농산업 분야 구인·구직 알선을 위한 구인·구직 정보시스템

⑤ 농식품일자리 포털(www.agrijob.kr)

- 농식품 분야 일자리 정보, 유망직업, 일자리 동향, 자격 및 교육정보 제공

⑥ 농업·농식품 창업 정보(www.a-startups.or.kr)

- 농촌현장 창업보육, 벤처청년인턴제, 농수산식품 창업콘테스트, 기술정보, 투융자 지원 등 정보 제공

농업·농촌 취업 및 창업 정보사이트 안내

(68)

⑦ 농업교육포털(www.agriedu.net)

- 농업법인 취업지원, 청년창업농 등 농업·농촌의 새로운 지식과 정보활용능력 정보 제공

⑧ 농촌융복합사업(www.6차산업.com)

- 1차(농수산업)+2차(제조·가공업)+3차(서비스업)=6차산업(농촌융복합산업) 관련 정보 제공

⑨ 농촌진흥청(www.rda.go.kr)

- 청년층 채용 정보(전문연구원, 연구지원 공무직 등) - 청년층 창업 지원 사업 등 농촌진흥사업 정보 제공

⑩ 푸마시(www.poomasy.com)

- 도시의 좋은 일손과 농촌의 좋은 일자리를 서로 연결하며 정보를 제공하는 농촌일자리 플랫폼

(69)

참고문헌

강방훈(2017). 도전! 농업·농촌 유망 직종. 농촌진흥청 농업기술, 609: 8-11.

고용노동부(2013). 외국과의 직업 비교·분석을 통한 新직업 발굴·육성 추진방안. 1-5.

곽동훈·김지현·박승호·박희애·배진영(2015). 잡아라 미래직업 100.

서울: 스타리치북스, 1-431.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2014 미래의 직업세계(직업편). 1-427.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2014 미래의 직업세계(학과편). 1-386.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5). 2015 미래의 직업세계(해외직업편).

1-250.

국립농업과학원(2013). 마을·농가에서 개설 가능한 소규모 오토캠핑장 모델. 1-98.

농림축산식품부(2014). 농업·농촌에 창조를 담다Ⅰ 6차산업화 창업매뉴얼.

1-266.

농림축산식품부(2014). 농업·농촌에 창조를 담다Ⅱ 6차산업화 지원정책 매뉴얼. 1-281.

농림축산식품부·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2018). 2018 귀농귀촌의 첫 걸음 귀농귀촌 가이드북. 1-235.

농림축산식품부·농업기술실용화재단·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2016). 농식품 창업 및 사업화 매뉴얼.

발간자료

(70)

농촌진흥청(2014). 일자리 미래 여행 농업·농촌 유망 일자리 50선. 1-76.

농촌진흥청(2016). 행복한 삶을 위한 새로운 시작 농업·농촌 유망일자리 취업 꿈 설계하기. 1-149.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KISTEP·KAIST(2017). 미래전략 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경기: 도서출판 지식공감, 1-246.

박주석·문정훈(2009). 첨단 기술과 농업의 융합. Food Business & IT Service, 1(2): 119-130.

손기영(2010). 생태텃밭강사 양성 및 활성화 방안.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정책제안서. 1-24.

송미령·민자혜(2013). 지역별 농촌 일자리 창출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 1-97.

송미령·민자혜(2013). 농촌의 일자리 창출 사례 78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1-180.

윕스(2016). 2040 농림식품 미래기술예측. 1-291.

이규천·오내원·마상진·김광선·김창호(2011).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 육성방안 연구(2/2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307.

(71)

포커스, 64: 3-22.

이형환(2013). 한국에서의 자연치료의 직업전망에 대한 소고.

한국자연치유학회지, 2(2): 164-174.

지역농업네트워크(2014). 농업·농촌 유망일자리 발굴 조사 연구. 1-186.

한국고용정보원(2011). 우리나라에 도입 가능한 외국 직업. 1-133.

한국고용정보원(2012). 일자리 창출 가능 해외 직업 연구. 1-242.

한국고용정보원(2013). 2014 신생 및 이색직업 색다른 직업 생생한 인터뷰.

1-258.

한국고용정보원(2013). 국내외 직업비교 분석 및 분야별 창직연구(下)- ‘13년 도입검토 대상 직업 심층 정보. 1-648.

한국고용정보원(2013). 창조산업 직업전망. 1-228.

한국고용정보원(2014). 국내외 직업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발굴 연구.

1-350.

한국고용정보원(2015). 2015신직업 육성 추진 계획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1-236.

한국고용정보원(2015). 2030 미래 직업세계 연구: 바이오기술을 중심으로.

1-265.

한국고용정보원(2015).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관광학. 1-169.

한국고용정보원(2015). 대학전공별 진로가이드 사회학. 1-191.

한국고용정보원(2015). 인생 2막, 새로운 도전 베이비부머 직업 탐색 가이드.

1-214.

(72)

한국고용정보원(2015). 인생 2막을 여는 나의 꿈, 나의 직업 2016 우리들의 직업 만들기 중장년층을 위한 창직가이드. 1-212.

한국고용정보원(2016). 2016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

1-441.

한국고용정보원(2016). 동아리활동을 통한 직업진로탐색가이드. 1-132.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선진외국 직업분석을 통한 한국의 신규창출가능 직업에 관한 연구. 1-201.

한국직업자격학회(2015). NCS 신규직무 발굴 및 분류체계 개선. 1-219.

Bianco, A. (2016). Green Jobs and Policy Measures for a Sustainable Agriculture.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science procedia, 8, 346-352.

Sparks & Honey(2017). 20 Jobs of The Future. 1-30.

Stat, O. E. C. D. (2016).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16–2025 data.

(73)

3D융합산업협회(www.3dfia.org) 3D프린팅산업협회(www.3dpia.org) 6차산업(http://www.6차산업.com/) 건강한 밥상(www.hilocalfood.com) 고용노동부(www.moel.go.kr)

고창학원농장식당(http://www.borinara.co.kr/) 구글(https://www.google.co.kr/)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www.kobic.kr)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http://www.naqs.go.kr/) 국립농업과학원(www.naas.go.kr)

국립식량과학원(www.nics.go.kr) 국립원예특작과학원(www.nihhs.go.kr) 국립축산과학원(www.nias.go.kr)

국제한식문화재단(http://jbws1661.alltheway.kr/) 국토교통부(www.molit.go.kr)

경기도 농촌체험관광(http://kgtour.gg.go.kr) 기상청(http://www.kma.go.kr/)

김포농협(www.kimpoac.co.kr)

김포로컬푸드(blog.naver.com/gimpofarmers)

사이트

(74)

네이버(https://www.naver.com/) 농다락(https://blog.naver.com/rda2448)

농림사업정보시스템(http://www.agrix.go.kr/?targetRow=1)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www.epis.or.kr)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www.ipet.re.kr) 농림축산식품부(www.mafra.or.kr) 농민신문(www.nongmin.com)

농민신문(https://blog.naver.com/rda2448) 농사로 농업기술포털(www.nongsaro.go.kr) 농산업인력지원센터(www.agriwork.kr)

농서남북(http://lib.rda.go.kr/pod/total/selectTotalList.do) 농식품일자리포털(http://www.agrijob.kr/hrm/job/main.do) 농업과학도서관(http://lib.rda.go.kr/main.do)

농업교육포털(www.agriedu.net) 농업기술실용화재단(www.fact.or.kr)

농업·농식품 창업 정보(www.a-startups.or.kr) 농업·농촌 미래성장산업분야 유망직업

소개_스마트팜제어시스템개발자(https://www.youtube.com/

watch?v=Pj03EQcSvDc)

농업·농촌 미래성장산업분야 유망직업 소개_팜파티 플래너(https://

www.youtube.com/watch?v=PmH62YLrL9w) 농업인건강 안전정보센터(farmer.rda.go.kr) 농업정책보험금융원(www.apfs.kr)

(75)

농촌사랑운동본부(www.ifarmlove.com) 농촌진흥청(www.rda.go.kr)

대한화학회(http://new.kcsnet.or.kr/) 더농부(https://blog.naver.com/nong-up) 디팜(http://defam.co.kr/)

릴리의 테이블(http://lillystable.com)

마을디자인(www.villd.com), (www.facebook.com/villd) 모인팜스(https://moinfarms.modoo.at/)

무인항공센터(www.uavcenter.com) 문턱없는 밥집(cafe.daum.net/bobjibngage) 문화체육관광부(www.mcst.go.kr)

미실란 낭만부엌(http://www.imisillan.com/etc/kitchen.html) 바른 식생활 정보114(www.greentable.or.kr)

보건복지부(www.mohw.go.kr)

부안슬지네찐빵(http://www.zzinbbang.kr/)

비비정 농가레스토랑(http://blog.naver.com/bibijeong8606) 산업연구원(www.kiet.re.kr)

생물학연구자정보센터(www.ibric.org)

생약종합정보시스템(www.mfds.go.kr/herbmed) 서울가스트로투어(http://blog.naver.com/veronica_kan) 서울가스트로투어(www.GastroTourSeoul.com)

(76)

서울귀농아카데미(http://cafe.naver.com/seoulrefarm) 서울특별시 동부기술교육원(www.dbedu.or.kr)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http://sehub.net/policy) 수산물이력제(http://www.fishtrace.go.kr/)

순천대학교 산업기계공학과(http://sangi.scnu.ac.kr/web/sangi/home) 시골투어(http://www.sigoltour.com)

식생활교육전문도서관(www.foodedulib.or.kr) 식품이력관리시스템(www.tfood.go.kr)

스마트팜코리아(http://www.smartfarmkorea.net) 아름다운 커피(www.beautifulcoffee.com) 아시아공정무역네트워크(www.asiafairtrade.net) 약물작물종자종합정보시스템(www.hseed.kr) 어쩌다농부(https://www.instagram.com/firefarmer_/) 에어로피디케이(www.aeropdk.com)

연효재(http://www.ynjschool.com/) 예술경영지원센터(www.gokmas.or.kr) 완주 용진농협(yjnonghyup.com)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www.wanjucb.org)

완주해피스테이션(www.happystation.kr)우프코리아(http://wwoofkorea.org/

home/)

워크넷(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InfoSrch/

srchJobInfo.do)

(77)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www.kpis.or.kr) 자연을 닮은 사람들(www.naturei.net) 전국귀농운동본부(www.refarm.org) 전북농업기술원(www.jbares.go.kr) 전북무인항공교육원(https://jbdrone.ceos.kr)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main.do) 줄기세포연구원(www.rbio.co.kr)

창조경제혁신센터(ccei.creativekorea.or.kr) 천안로컬푸드(www.ccfarm.co.kr) 체육지도사연수원(www.insports.or.kr) 축산물이력제(http://aunit.mtrace.go.kr/)

커리어넷 진로정보망(http://www.career.go.kr/cnet/front/web/webMain.do) 텃밭보급소(www.dosinong.com)

테마캠프(http://www.themecamp.co.kr/)

팜투테이블(http://www.naqs.go.kr/f2t/cmm/main/mainPage.do) 푸마시(http://www.poomasy.com/)

푸마시 밴드(http://band.us/@poomasy) 푸마시 블로그(http://blog.naver.com/poomasy1) 학사농장 유기데이(www.62farm.co.kr), 한국3D프린팅협회(www.k3dprinting.or.kr)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www.itsa.or.kr)

(78)

한국U헬스협회(www.uha.or.kr) 한국고용정보원(www.keis.or.kr)

한국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www.ust.ac.kr) 한국관광공사(www.visitkorea.or.kr)

한국관광협회중앙회(http://www.ekta.kr/) 한국농수산대학(http://www.af.ac.kr/) 한국마사회(www.kra.co.kr) 한국문화관광연구원(www.kcti.re.kr)

한국문화스토리텔링진흥원(www.koreastorytellingagency.co.kr) 한국반려동물산업진흥원(http://www.kcid.or.kr/)

한국반려동물아카데미(http://petmanageracademy.com/yds/) 한국보건산업진흥원(www.khidi.or.kr)

한국산업인력공단(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 Cd=1592)

한국산업인력공단(www.q-net.or.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www.kribb.re.kr)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www.ksbsb.or.kr) 한국생활체육진흥원(www.kasa21.or.kr) 한국식생활교육학회(www.eksde.or.kr) 한국식생활문화협회(www.kfcl.or.kr) 한국식품연구원(www.kfri.re.kr) 한국식품정보원(www.foodi.com)

(79)

한국에너지공단(http://www.energy.or.kr/) 한국여행업협회(www.kata.or.kr) 한국음식문화재단(http://kfcf.co.kr/)

한국자연요법치유사협회(http://cafe.naver.com/dbffudbffu) 한국전통음식연구소(http://www.kfr.or.kr/)

한국정보화진흥원(www.nia.or.kr) 한국종자포럼(http://koseed.kr) 한국종축개량협회(www.aiak.or.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www.krivet.re.kr)

한국치유사협회한국자연치유협회(https://npathy.modoo.at/?link=bu05yh72) 한국치유상담협회(http://www.chci.or.kr/)

한국컬리너리투어리즘협회(www.kocta.org) 한국콘텐츠진흥원(www.kocca.kr)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www.kfpic.or.kr) 한국환경공단(http://www.keco.or.kr/)

한식진흥원(http://hansik.or.kr/)

해외농업기술센터(http://www.rda.go.kr/board/board.do) 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http://www.oads.or.kr/)

행복하누(http://www.happyhanu.com/)

행정안전부(http://www.mois.go.kr/frt/a01/frtMain.do) 호스피아(www.horsepia.com)

(80)

홍대 슬로비(blog.naver.com/slobbie8) 환경부(http://www.me.go.kr/) 흙살림(www.heuk.or.kr)

흙건축연구소 살림(http://cafe.naver.com/earthist21/)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www.at.or.kr)

food tech connect(www.foodtechconnect.com) localthyme(www.localthyme.com)

O*Net Online(https://www.onetonline.org/) SlowFood(www.slowfood.com)

(81)

2018년 02월 04일 <KBS 1TV 미래기획 2030> ‘제 50부 농업의 재발견’

(http://www.kbs.co.kr/1tv/sisa/future2030/view/vod/index.html?searchStatus=

0&articleIndex=6&vosample=&currentUrl=http://www.kbs.co.kr/1tv/sisa/future2- 030/view/vod/index.html)

2017년 5월 26일 <KBS 1TV 명견만리> ‘농업의 미래, 농업의 재발견’

(https://tv.naver.com/v/1718609)

농촌진흥청>농사로>영농기술>농업기술>농업기술동영상>도시농업>학교교육형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o/vodPlay.ps?mvpNo=1014)

농촌진흥청>농사로>영농기술>농업기술>농업기술동영상>도시농업>학교교육형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o/vodPlay.ps?mvpNo=1207)

동영상

(82)

1권 농촌자원을 코디하는 신규직업

곤충전문컨설턴트 공동체재생가이드 귀농귀촌플래너 노인돌봄매니저 농업유산해설사 농장서비스코디네이터 농촌관광플래너 농촌교육농장플래너 농촌레저활동지도사 농촌상품공간스토리텔러 농촌체험가이드 농촌체험상품기획가 농촌체험휴양마을디렉터 농촌커뮤니티가드너 다문화코디네이터 도시농업관리사 돌봄농장운영자 동물교감치유사 문화재돌보미 생태관광디렉터

수의테크니션 여가생활플래너 옥상정원디자이너 자연치유사 자연환경안내원 전통공예전문가 지역사회교육코디네이터 지역사회예술기획자 지역음식관광코디네이터 지역의료생협플래너 진로체험코디네이터 치유농업사 텃밭농장디자이너 팜웨딩플래너 팜파티플래너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0 011 012 013 014 015 016 017 018 019 020

0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83)

농업로봇개발자 디지털헤리티지전문가 미디어콘텐츠창작자 바이오데이터분석가 바이오플라스틱디자이너 스마트농업전문가 스마트팜기술자 스마트팜운영자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기획자 에너지절감시설관리사 유전체분석가 의약품신소재개발자 이력관리시스템개발자 정밀농업기술자 창작자에이전트 초음파진단관리사 친환경농자재전문가 038

039 040 041 042 043 044 045 046 047 048 049 050 051 052 053 054

(84)

3권 농촌경제를 이끄는 신규직업

농가레스토랑운영자 농가카페매니저 농산물물류엔지니어 농산물유통분석가 농업·농촌경영컨설턴트 농촌비즈니스코디네이터 농촌융복합산업전문가 도시농자재판매업자 로컬푸드직매장매니저 마을기업운영자 사회적경제활동가 팜핑디렉터 협동조합플래너 055

056 057 058 059 060 061 062 063 064 065 066 067

(85)

기후변화전문가 농산물꾸러미식단플래너 농산물품질관리사 농작업안전관리사 로컬푸드재배업자 리사이클링코디네이터 마을재난관리자 반려동물식품코디네이터 생태건축전문가 식생활교육전문가 안전먹거리지킴이 약용식물관리사 영양서비스컨설턴트 요리사농부 유기농업전문가 재생에너지전문가 재활승마치료사 전통가옥기술자

친환경포장디자이너 퍼머컬처디자이너 푸드큐레이터 한식전문가 환경복원기술자 070

071 072 073 074 075 076 077 078 079 080 081 082 083 084 085 086 087

090 091 092 093 094

(86)

5권 우리농업을 세계로 알리는 신규직업

공정무역전문가 국제개발협력전문가 농산물해외시장개척마케터 농식품수출유통가 농촌문화교류코디네이터 해외농업전문가 095

096 097 098 099 100

(87)

발행처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55365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농생명로 166 Tel. 063)238-2641 Fax. 063)238-3825

※자료협조: 농촌진흥청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발간등록번호 : 11-1390802-001275-01 ISBN : 978-89-480-5346-3 94520

978-89-480-5343-2 (세트) 인쇄처 : (주)삼미디자인

참조

관련 문서

◦ 미국 금리인상,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 대외여건 악화로 인한 수출부진과 생산가능 인구 감소 등의 구조적 요인에 따라 내수회복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는 등

농촌 생산 방식의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농촌 금융기관의 보다 적절한 자원 배분을 유도하고, 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고, 농업 규모화 생산 및 집약화 경영에

∙ 축산업의 환경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저탄소 사양관리로의 전환이 매우 중요하다. 저탄 소 사양관리를 통해 환경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사육기간

스웨덴의 농업 정책 추진 체계는 대부분 유럽연합 공동농업정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 국내 상황에 맞게 자체적으로 도입한 특이한 농업 정책을 찾아보기 힘들다.

농작물이라 는 일차적인 결과물 외의 농업의 다원적인 기능에 주목한 서유럽 지역에서는 농촌지 역을 기반을 둔 다양한 활동을 고안하면서 사회적 농업이라는 특수

∙ 단경기 콩 가격은 시장공급물량 증가폭이 커 수확기 가격 대비 하락하나, 정부 수매물량 확대와 가정 내 소비 증가 추세 지속 전망 등으로 하락폭이 제한될

하지만 Local scantling을 하기 위해서는 Stress factor를 알아야 하는데, Stress factor를 알려면 중앙단 면 계수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기준선의 중앙단면

❍ 농업 활동을 통해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돌봄 교육 고용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농업의 확산 도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