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 Vol. 34, No. 2, pp.251-270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권 현 실(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박사과정생) 이 숙 정(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요 약>

연구목적: Ayres의 감각통합이론에 기반을 둔 발달장애유아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만 3~7세 발달지체유아 7명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주 2~3회, 총 20회기의 감각통합 활동 중재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에 대한 신체 도식은 감각 프로파일의 움직임과 신체자세 영역의 항목을 통해, 신체적 자아개념은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재전과 중재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1. 감각통합활동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 중 움직임과 신체자세 하위요소가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감각통합활동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중 외모, 체력, 건강 하위요소가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발달지체유아가 내적 동기를 통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중재환경을 조성하고, 반 복적인 성공 경험을 통해 자신감 상승을 유도한 점, 나아가 적응 반응을 살펴 다음 단계 발달을 위한 명 확한 중재를 제공하고, 일대일 개별 중재를 진행한 점이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 된다. 감각통합활동에서 중재자의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유아가 성공경험과 자신감을 회복하고,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을 성취하도록 심리, 정서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감각통합활동, 발달지체유아, 신체도식, 신체적 자아개념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 발달에서 만 3세~만 5세 유아기에 해당하는 아동들은 출생 초기 미숙한 두뇌발달과 미 분화된 반사움직임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환경에 반응, 적응한다. 이러한 단순 반응에서 시작하 여 점차 분화된 감각운동성을 바탕으로 외부세계를 지각하고 신체와 공간에 대한 도식을 형성 하며, 또한 반복적 움직임을 통해 신체조절 능력과 새로운 운동기능을 습득하게 된다(이슬우, 허정, 2011). 이처럼 유아기는 활발한 움직임을 통해 근력과 운동능력이 급속히 발달하여, 자율 적이고 독립적인 행동욕구가 왕성해 지는 시기이다. 또한 유아기에는 기본적 운동기능 발달 외 에도 외부로 부터의 감각정보를 신체 감각기관을 통해 지각하고 저장하는 ‘감각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감각통합’이라는 지각과정을 통해 뇌는 전달된 감각정보에 의미를 부여 하고 저장하며 새로 입력되는 감각정보와 더불어 새로운 움직임을 학습하고 운동행동을 조절하 게 된다(김경미, 지석연, 노종수, 2003).

이처럼 감각통합은 신체와 외부로 부터 감각자극을 조직화하여 환경에 효율적으로 적응하도 록 하는 뇌의 신경학적 과정(Ayres, 1979: 박경영 등, 2011, 재인용)으로, 즉, 감각과 운동이 협응 하여 환경에 적응하고, 나아가 사회적응능력과 연관된 과정이라 할 수 있다(황은영, 송브라이언 병, 2013). 이러한 맥락에서 Ayres(1979)는 감각통합 여부에 따라 상황에 대한 적응행동 내지 부 적응 행동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각통합의 기초를 근긴장도, 균형, 자세 등을 조절하는 체성감각 체계(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촉각)로 보았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신체도식, 운동 계획, 주의력, 정서적 안정감과 같은 높은 수준의 발달이 위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신경생리학적 감각체계간의 통합은 자신의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도식(body scheme)과도 밀접히 관련된다. 신체도식은 움직임의 기초가 되는 동시에 움직임을 통해 발달하 는데, 체성감각을 통하여 신체 각 부위의 자세, 위치, 움직임 등의 정보를 포괄하여 뇌에 전달 함으로써, 뇌가 신체자세 및 움직임을 계획하고 조절하도록 소위 ‘신체의 지도’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주진옥, 이혜림, 김경미, 2011). 이러한 신체도식의 발달은 새로운 과제나 환경의 요 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고차원적 실행능력(praxis)으로도 이어진다. 발달장애유아의 경우, 신체 및 외부로 부터의 감각자극에 대한 입력과 처리에 대한 신경학적 결함으로 인해 감각통합 은 물론 신체도식 발달에도 어려움이 따른다(Ayres, 1979). 감각 운동적으로 환경에 제대로 적응 할 수 있는 경험이 제한되기에 반응행동이 소극적이며 자신감이 저하된다. 불완전한 신체도식 을 방치할 경우 실패경험이 증가하여 과제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나 자아존중감에도 악영향 을 미치게 된다(이은경, 2015).

(3)

한편 유아기는 자아개념이 태동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신체활동은 유아의 감각운동 발달 뿐 아니라 ‘신체적 자아개념(Physical Self-Perception)’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황순각, 2001). 신 체적 자아개념이란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개인적인 자각의 결과로 인식된 자아개념을 의미하며, 신체와 관련하여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는 태도나 심리․정서적인 느낌의 총체로서, 자기 자신 에 대한 신체적 준거체계라고 볼 수 있다. 유아는 신체움직임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신체적 상태 및 신체활동 능력을 인식하며, 자유롭고 독립적인 움직임을 통한 자신감 상승은 긍정적인 신체 적 자아개념 형성에 도움이 된다(Harter, 1981: 이선배, 최일선, 2017, 재인용). 신체활동을 통한 이러한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은 위계적 단계를 거쳐 발달하며(Gallahue, 1996)1), 신체적 자아개 념 이 총체적 자아개념의 위계적 토대가 된다는 점을 많은 선행연구가 입증하고 있다(최예종, 최범규, 2009). 이러한 자아개념 발달에 대한 위계적 구조모형(hierachical structures)에 따르면 신 체적 자아개념은 총체적인 자아개념의 주요 하위요인으로써 다른 요인(학문적 요인)보다 변화 가 빠르게 이루어지며, 총체적 자아개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예 종, 최범규, 2009, 재인용). 이는 다시 말해,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자신의 가치를 높게 평 가하고, 나아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갖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유아기의 원만한 감각통합 능력의 발달은 신체를 총괄적으로 감지하고 조절하는 신 체도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원만한 신체도식의 발달은 다시금 신체적 능력에 대한 심리․정 서적 자신감인 신체적 자아개념으로 이어지며, 이는 궁극적으로는 총체적인 자아개념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유아의 원만한 자아개념 형성과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는 발달초기 부터 감각체계 간에 통합능력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움직임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 고, 외부로부터 여러 감각정보를 획득하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지각 및 움직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신체활동의 기회와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발달지체유아의 경우에는, 긍정적 자아개념 및 전인적 성장을 위한 위와 같은 일련의 감각 운동적 발달과정에 많은 제한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지연된 발달은 사회적 능력에 있어 서도 중대한 결함을 가지게 하며(임수량, 이병인, 2013), 주변에 참여하려는 자발성이 부족하다 (황성자, 신현기, 2011, 재인용). 이들은 특히 신경학적인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문제로 산만함, 감각방어, 언어발달지연, 시공간 기술 문제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고되며(박미영, 임영명, 김희, 2017), 감각통합장애 중 감각조절장애(sensory modulation disorder)를 동반하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 동의 경우, 일반아동에 비해 지나치게 감각추구 행동을 보이고 촉각 및 구강감각의 민감성이 높고, 청각처리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박경영 외, 2011).

1) 자아개념 발달에 대한 위계적 구조모형에 따르면 1단계에 운동기술 학습 및 건강이 증진되고, 2단계에 신체적 유능감이 지각되며,3단계에 실제 신체적 유능감이 향상된다. 4단계에 신체적 자신감이 상승하 고, 마지막 5단계에 자기 존중감이 증가되면서, 6단계에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4)

또한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은 감각통합 발달 뿐 아니라 신체도식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도 제한이 따름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신체도식의 미 확립으로 인해 신체 각 부위의 특징, 위치 등 을 인지하고 표현하는 능력인 신체지식(body knowledge)이 낮고, 목적이 있는 활동에서 신체움직 임을 원활히 계획하고 조절하는 실행능력(praxis)에 문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한감각통합 치료학회, 2008). 나아가 발달지체유아의 이러한 신체움직임의 어려움과 제한은 이들의 신체적 자아개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최예종, 최범규, 2009, 재인용).

위와 같이 신체도식과 실행능력, 나아가 신체적 자아개념에 문제점을 가진 발달장애아동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Ayres(1979)의 감각통합이론에 기반을 둔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시 도되었다(예: 지각․운동훈련, 감각통합치료, 운동․감각훈련 등)(김현호, 유병국, 장현수, 2009, 재인용). 특히 자폐성 장애에 해당하는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작업치료의 경우 감각통합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다(박경영 등, 2011, 재인용). 현재 국내에서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작업치 료 역시 대부분 감각통합치료가 주를 이루며, 소근육, 눈-손협응력, 감각운동 조절력 등 주로 신체의 기능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아동 의 전인적 발달과정에서 감각운동능력의 발달은 신체를 총괄적으로 감지, 조절하는 신체도식으 로 이어지고, 나아가 신체적 능력에 대한 심리․정서적 자신감인 신체적 자아개념과 총체적인 자아개념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발달지체유아의 감각통합을 지원함에 있어서 아동발달을 근시안적으로 바라보고 특정 영역의 기능적 발달에만 국한할 경우, 신체도식이나 신체적 자아 개념 등 행동발달과 관련되어 있는 심리, 정서적인 면을 간과하기 쉽다.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운동적 치료가 특정 발달영역에 국한하여 한시적으로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치료사는 유아의 총 체적 발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접근이 요청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yres(1979)의 감각통합이론의 인간학적 토대가 되는 인간과 환경간 의 유기적 상호작용과 인간발달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바탕으로 감각통합활동 프로그램을 체계 적으로 개발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에 대한 정서 및 심리적 자신감인 신체적 자 아개념 발달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감각통합 및 작업치료사에게 발달지체유아의 발달에 대 한 총체적인 이해를 돕고, 효율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서는 또래 유아에 비해 기능 수준이 6개월 이상 지연된 0세에서 9세 사이의 유아를 발달지체유 아로 정의하며(김미혜, 2004, 재인용), 덴버아동발달 선별검사 결과 ‘발달지연이 의심’되는 아동 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다.

1. 감각통합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감각통합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5)

번 호

이 름

성 별

생활 연령

덴버 아동발달 선별검사 결과 개인-사회성

발달

소근육-적응

발달 언어발달 대근육

발달 결과

1 A 남 5;6 지연 정상 정상 지연 의심

2 B 여 3;2 지연 정상 지연 정상 의심

3 C 남 4;5 지연 정상 주의 정상 의심

4 D 남 5;6 지연 정상 주의 지연 의심

5 E 여 4;5 지연 지연 주의 주의 의심

6 F 남 5;4 지연 주의 정상 지연 의심

7 G 남 5;3 주의 정상 지연 정상 의심

<표 1> 연구 대상 현황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 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모형을 설정하였다. 감각통합활동 적용을 실험처치 변인으 로 설정하였고, 실험집단에 대한 실험처치 사전․사후에 신체적 감각 프로파일과 신체적 자아 개념 설문검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H시와 S시에 소재하는 W발달센터를 방문 중인 만 3~7세 유아 32명 을 대상으로 덴버 아동발달 선별검사(DDST-Ⅱ)를 실시하였고, 선별 결과 덴버 발달지연을 ‘의심 받는’ 유아 중 부모가 동의한 12명을 선발하였고, 이 중 실험처치의 오염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감각통합활동 외에 다른 재활치료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및 감각통합치료 중재에 1회 이상 불 참한 경우를 제외한 총 7명(남아 5명, 여아 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 1> 연구대상 현황 자료에서 덴버 아동발달 선별검사(DDST-Ⅱ)에 따른 ‘발달지연 의심 (suspect)’이란 한 개 이상의 검사 영역에서 주의 및 지연을 보이는 경우인데, 언어 검사영역의 지연이란 생활연령상의 평균적 수용과 표현언어는 가능하나 추상적 내용에 대한 개념화에 대한

(6)

어려움을 가진 경우이기에 본 연구의 측정검사에서는 별다른 제한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연구 도구

1) 선별도구 : 덴버 아동발달 선별검사(DDST-Ⅱ)

덴버 아동발달 선별검사는 생후 2주부터 만 6세까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을 또래 아동의 수행능력과 비교하여 잠재된 발달 장애를 조기에 선별하는 검사로 발달장애의 위험이 있는 아 이들을 발견, 관찰할 수 있는 도구이다. 덴버 아동발달 선별검사는 4가지 영역 125개의 항목이 있으며, 4가지 검사 영역은 개인-사회성발달, 소근육-적응 발달, 언어발달, 대근육 발달이다. 개 인-사회성 발달 영역은 사람들과의 어울림과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고, 소 근육-적응 발달 영역은 눈-손 협응력, 작은 물체의 조작능력, 문제해결 능력을 검사한다. 언어발 달 영역은 듣기, 이해하기, 언어의 사용을 검사하며, 대근육 발달 영역은 앉기와 걷기, 뛰기, 종 합적인 큰 근육의 움직임을 검사한다. 검사는 검사용지와 준비물을 이용해 실시하며, 아동의 생 활연령을 기준으로 항목의 통과와 실패, 거부, 기회 없음 등을 체크한다. 아동의 생활연령에 속 한 문항 중 75~90% 또래가 성공하는 항목, 생활연령보다 낮은 수준의 항목에 실패 및 거부를 한 경우 ‘의심’이나 ‘지연’으로 판단하며, 종합적으로 지연항목이 없거나 주의항목이 한 개 이 하인 경우 ‘정상발달’, 1개의 지연항목 과/이나(and/or) 2개나 그 이상의 주의항목이 있을 경우

‘의심스런 발달’, 아동이 거부하는 항목에 따라 ‘검사 불능’으로 판단 내린다.

2) 측정 도구 (1) 감각 프로파일

본 연구대상의 신체도식 측정은 감각통합 처리능력의 일부인 움직임 감각과 신체자세 감각 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해 감각통합 능력 평가도구인 감각 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사용하 였다. 감각 프로파일은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기능적 작업수행과 관련된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 는 도구로써 (김경미, 2003), 총 1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문항 구성요소는 <표 2>와 같이 8 가지 영역이며(청각, 시각, 활동정도, 미각 및 후각, 신체 자세, 움직임, 촉각, 감정 및 사회성), 이를 3개 감각영역 및 9개 감각요소로 구성하여 측정한다(표 3 참조). 각 문항들은 1997년 미국 감각통합 부분 작업치료사 155명에 의해 분류되었으며, 신체 자세와 움직임과 관련된 영역의 신뢰계수는 .69~.83 범위이다(전정감각, 지구력 및 근긴장도 조절, 신체자세 및 움직임 조절).

만3세부터 10세 일반아동 및 모든 장애군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면담 및 설문조사로 실시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보호자 설문지(care-giver questionnaire)로 실시하였다. 감각 프로파일에 대 한 응답은 평균 30분이 소요되며, 리커트 5점 척도(행동빈도에 따라 행동이 ‘항상’ 나타날 경우 1점, ‘전혀’ 나타나지 않을 경우 5점으로 표시)로 점수가 높을수록 감각처리능력이 우수함을 의

(7)

검사항목 하위 영역 검사항목 하위 요소

1. 영역 (Section)

1) 감각처리(6개 영역) 2) 감각조절 행동(5개 영역) 3) 행동 및 감정 반응(3개 영역)

2. 감각요소 (sensory factor)

1) 감각 추구 2) 감정적 반응

3) 낮은 지구력 및 근긴장도 4) 구강감각 예민함 5) 부주의 및 산만함 6) 낮은 감각등록 7) 감각 예민함 8) 정적인 성향

9) 소근육운동 및 지각력

<표 3> 감각 프로파일의 영역 및 감각요소

문항 구성 요소(Icon Key) 청각(Auditory)

시각(Visual) 활동 정도(Activity Level)

미각/후각(Taste/Smell) 신체 자세(Body Position)

움직임(Movement) 촉각(Touch) 감정/사회성(Emotional/Social)

<표 2> 감각 프로파일의 문항 구성요소 8가지

미한다.

결과해석은 3개 감각영역 및 9개 감각요소의 하위항목별 각 총점을 또래와 비교하여 84%에 해당하는 정상범주(typical performance), 14%에 해당하는 의심범주(probable difference), 2%에 해당하 는 문제범주(definite difference)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감각 프로파일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α 계수는 .47~.91 범위이다(김경미, 2003; 김경미 외, 2003).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 식을 평가하기 위해 감각 프로파일 문항 증 신체도식과 관련된 요소인 움직임 22문항, 신체자 세 11문항, 총 33개 문항을 추출하여 중재 전․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2) 신체적 자아개념 설문지

신체적 자아개념은 신체적 자아개념 설문지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설문지는 ‘신체적

(8)

자아개념 척도’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Marsh와 Redmayne(1994)의 ‘신체적 자기 기술 질문지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 PSDQ)’를 황순각(2001)이 ‘유아를 위한 신체적 자아개념 척 도’로, 김병준(2001)이‘한국판 신체적 자아개념 척도’로 개발한 것에 기반을 두고, 윤은영(2005) 의 유아 관련 연구에 사용된 ‘신체적 자아개념 척도’를 활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4개 하위영역(외모, 운동 유능감, 체력, 건강) 총 1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 며, 피검자인 유아들에게 직접 질문하고 연구자가 체크하는 척도이다. 설문대상인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리커트 형태의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1점: 아니다, 4점: 매우 그렇다), 윤은 영(2005)의 연구에서 산출된 하위영역별 Cronbach's α계수는 <표 4>에서 처럼 .73~.84로 나타났 다. 전체적인 신뢰계수는 .78로 설문지의 신뢰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신체적 자아개념 설문지 검사는 연구자와 대상 유아가 일대일로 실시했으며, 검사문항의 이해가 충분 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하위요인 구성내용 신뢰계수

외모 남에게 멋있게 보이거나 용모가 준수한 정도 .73

운동유능감 운동에 소질을 갖고 있어 여러 스포츠를 잘 하는 것 .84 체력 근력, 지구력, 유연성 등이 포함된 기초 체력에 대한 인식 .78 건강 병에 잘 걸리지 않으며, 병에 걸리더라도 쉽게 낫는 상태 .77

<표 4> 신체적 자아개념 하위 요인, 구성내용과 신뢰계수

신체적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발달지체유아에게 응답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였고, 질 문을 듣고 잠시 생각한 뒤 응답하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4점 척도에 대한 응답은 컵에 구슬이 담겨 있는 4가지 그림을 보고 직접 말하거나 손가락으로 짚어서 응답하도록 하였 다. 총점은 최저 16점에서 64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아개념 정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한다.

3) 연구도구

감각통합활동 중재 프로그램은 김진미, 김경미(2007)의 ‘고유수용성 감각활동’, 김현호 등 (2009)의 ‘감각프로그램’, 이지은(2007)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 주진옥 등(2011)의 ‘감각통합 치료 활동’ 등에 제시된 것을 토대로 <표 5>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표 5>에 나타난 중재 프 로그램 구성 원리는 우선, Ayres(1979)의 감각통합 원리의 토대가 되는 촉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전정감각을 기반으로 감각통합의 위계에 따른 움직임 활동을 총 4단계로 구성하였다(감각입력 단계, 감각통합 1단계, 감각통합 2단계, 감각통합 3단계). 나아가 감각통합활동 중재의 기본 원

(9)

활동수준 활동목표 활동주제 활동 내용 활동자료 차시

감각입력 단계

촉각

신문지 활동 신문지 찢기, 신문지 목욕하기 신문지 1

로션놀이 수성펜으로 신체에 그림그리기, 로션으로 문질러 지우기

수성펜,

로션 2

전정 감각

해먹타기 치료사와 함께 타기, 혼자 누워서 느껴보기 해먹 3 바이롤그네타기 앉은 자세로 그네타기, 서서 그네타기 바이롤그네 4 플렉서그네타기 앉아서 그네타기, 그네에서 자세 유지하기 플렉서그네 5

고유 수용성

감각

치료실 탐색하기 평균대, 트램펄린 등 고유수용감각 자극으로 꾸며진 환경 탐색하기

평균대, 사다리 등 6

트램펄린 뛰기 트램펄린에서 뛰기, 뛰면서 고리 잡기 트램펄린, 고리끼우기 7 나무 만들기 다양한 높이의 가지에 나뭇잎 붙이기 전지, 색종이 8

감각통합 1단계

중력 안정감

스쿠터보드타기 스쿠터보드 썰매타기, 경사로에서 내려오기 스쿠터보드, 경사로, 밧줄 9

뛰어내리기 다양한 높이에서 뛰어 내리기 뜀틀 10

자세

발판점프 놓여진 발판에 따라 점프하기 발판 11

사진 따라하기 선 자세, 앉은 자세, 만세 자세 등의

사진보고 따라 하기 사진 12

감각통합 2단계

신체 지각

선생님 따라하기 ‘그대로 멈춰라’ 노래에 맞춰 뛰다가,

타인의 자세를 똑같이 모방하기 음악 13

소중한 나의 몸 전지에 몸의 윤곽선 그리기, 옷, 신발, 악세서리 등으로 몸 그림 꾸미기

전지, 물감, 붓 등 14

신체 협응

사다리 활동 사다리 위에 놀잇감 놓고 찾아오기 사다리, 놀잇감 15

장애물 통과 유니바, 평균대 등 장애물 통과하기 유니바, 평균대 등 16

감각통합 3단계

눈-손 협응

도형맞추기 도형 오리기, 같은 모양 도형 찾아 붙이기 가위, 전지, 색종이 17

종이컵 쌓기 종이컵 높게 쌓기 종이컵 18

목적 있는 활동

동물가면 꾸미기

각 동물 특성 이해하기,

알맞은 재료 찾아오기 활동지 19

카드 만들기 준비물 이야기해보기, 순서 기억해보기 종이, 가위, 풀 등 20

<표 5> 감각통합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

(10)

단계 활동구성 중재내용 준비단계

(약 5분) 1. 각성조절 Bi-roll Swing 활동- 전정감각 제공 통하여 각성조절 유도한다.

활동단계 (약 25분)

2. 수업안내 오늘 수업활동 내용을 설명하고 규칙을 안내하여 아동의 이해를 돕는다.

3. 감각통합활동

* 장애물 통과 놀이

① 유니바 및 평균대 통과하기: 행동모방, 계획하기 통하여 실행능력 을 향상한다.

② 줄 사이 통과하기: 거미줄처럼 복잡한 줄 사이를 통과하며 몸에 대한 집중과 지각을 더 할 수 있도록 한다.

마무리 단계 (약 10분)

4. 마무리 대화 활동에 느낀 점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며 정리한다.

5. 안정감 구축 Gymball massage - 심부압박을 통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신체도식 에 대한 입력을 돕는다.

<표 6> 감각통합활동 중재 예시 (16차시 활동주제 -장애물 통과)

칙으로는, 첫째, 아동의 내적 욕구(inner drive)를 중시하고, 둘째, 아동이 신체 움직임을 통하여 스스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중재환경을 조성하며, 셋째, 아동의 적응 반응을 분석하고 다 음 단계의 발달경험을 제공하여 성취감과 자신감을 유도하고, 넷째, 전반적인 발달 과정에 근거 하여 신체활동을 구성해야 한다(김경숙, 2007; 박재국, 2010)는 원칙에 따라 본 중재에서는 초기 신체경험과 환경적응을 위한 활동에서 시작하여 점차 신체자세 조절과 높은 수준의 협응력 조 직을 위한 활동으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반복적인 연습이나 훈련이 아닌 내적 동기 를 중요시 하여 유아 스스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이와 더불어 발달지체유아의 발달수준 에 맞춰 신체활동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환경과 조화롭게 적응하도록 중재 환경을 조성하였다.

4. 중재 절차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 해 실험집단에게 감각통합활동 중재 프로그램을 일대일 개별 중재로 실시하였으며, 3개월간, 주 2회, 4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환경은 촉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전정감각 중심의 교 구가 준비된 감각통합 치료실이며, 차시별로 필요한 교구 및 놀잇감을 추가하였다. 중재 시에는 가능한 대상유아가 스스로 놀잇감과 교구를 선택하여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모든 중재 과 정을 연구대상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놀이하듯 즐겁게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다.

감각통합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은 준비, 활동, 마무리의 3단계로 실시하였다(<표 6>의 예시 참조). 준비단계는 전정감각 활성화를 통한 각성 조절을 실시하고, 활동단계는 활동 규칙에 대한 안내와 설명, 감각통합활동을 전개하고, 마무리 단계는 활동에 대한 느낌 등을 이

(11)

야기하고, 고유수용성 감각을 통한 심리적 안정을 구축하는 정리운동 단계이다.

5. 자료 분석

실험집단인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사전, 사후 수집된 측정자료 는 연구자가 수집한 신체도식 관련한 ‘감각 프로파일(보호자 설문지)’ 자료와 ‘신체적 자아개념 설문지’자료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한글판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Wilcoxon Signed-Ranks Test)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6. 중재충실도

연구자의 중재 충실도는 전문가 1인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중재충실도 기록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질문지는 3점 척도 총 7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중재 사전 준비 2문항, 진행 내용 4문항, 마무리 활동 1문항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중재에 대한 관찰 훈련을 받은 보조진 행자 2인(감각통합치료사)이 총 7개 차시를 직접 관찰하였으며, 본 중재의 중재충실도 평균(범 위)은 95.5%(92.2~98%)이다.

중재충실도 = 표시한 척도 값 총합의 평균

× 100 전체 척도값의 총합

Ⅲ. 연구결과

1. 신체도식의 변화

감각통합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여부에 따른 실험집단의 신체도식 하위요인별 사전, 사 후 검사의 기술통계량 및 분석 결과는 <표 7>과 같으며, <표 8> 실험집단 구성원의 사전사 후 하위요소별 원점수를 통해 변화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신체도식 관련 감각 프로파일을 통한 발달치제유아의 신체도식 사전, 사후 검사 기술통계량 에 따르면, 측정 하위요소 중 ‘움직임’ 평균점수는 사전검사 85.29점이 사후검사에서 94.84점으 로 9.55점 상승하였고(연구대상 7명 중 7명의 점수 상승), ‘신체자세’ 평균점수는 39.71에서 45.29로 5.58점 상승하여(7명 중 7명) 신체도식의 모든 하위요소 평균이 사후검사에서 증가했으

(12)

사전검사 사후검사

Z P

M SD M SD

움직임 85.29 ± 10.31 94.86 ± 6.52 -2.366 .018*

신체자세 39.71 ± 5.53 45.29 ± 5.22 -2.410 .016*

* P < .05

<표 7> 신체도식 하위요소 분석 결과 (N=7)

순번 A B C D E F G

하위요소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움직임 84 94 78 89 106 109 83 95 73 95 83 88 91 95 신체자세 43 46 34 38 48 54 43 47 33 47 36 40 41 45

<표 8> 신체도식에 대한 실험집단 구성원의 하위요소별 원점수 (N=7)

며, 특히 하위요소 ‘움직임’의 평균점수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신체도식 사전, 사후검사 자료에 대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통계 분석 결과, 하위 요소 ‘움직임’에 대한 사전-사후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z=-2.366, p=.018),

‘신체자세’의 사전-사후변화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410, p=.016).

2. 신체적 자아개념의 변화

감각통합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여부에 따른 실험집단의 신체적 자아개념의 하위요인별 사전, 사후 검사의 기술통계량 및 분석 결과는 <표 9>과 같으며, <표 10> 실험집단 구성원의 사전사후 하위요소별 원점수를 통해 변화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신체적 자아개념 설문지를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사전, 사후 검사 기술통계 량에 따르면, 측정 하위요소 중 ‘외모(자기 외모의 준수한 정도에 대한 인식)’의 평균 점수는 사 전검사 11.57 점이 사후검사에서 14.00 점으로 상승하였고(연구대상 7명 중 5명의 점수 상승),

‘운동 유능감(자신의 운동소질 및 능력에 대한 인식)’은 5.71에서 10.71로(7명 중 6명), ‘체력(근 력, 지구력, 유연성 등의 기초 체력)’은 5.29에서 10.29로(7명 중 7명), ‘건강(질병에 대한 저항력 및 회복력에 대한 인식)’은 6.86에서 12.86으로 상승하여(7명 중 7명), 모든 하위요소의 평균이 사후검사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하위요소 ‘건강’의 평균점수 상승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 다. 전체 평균은 29.43에서 47.71로 18.28점 상승하였다.

나아가 신체적 자아개념 사전, 사후 검사 자료에 대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통계 분석 결

(13)

하위요소 외모 운동 유능감 체력 건강 전체

순번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A 12 15 7 9 6 14 6 13 31 51

B 7 12 4 6 4 7 4 15 19 39

C 13 13 4 16 4 10 4 10 25 49

D 10 13 6 13 8 14 6 8 30 48

E 14 14 4 16 4 11 8 16 30 57

F 11 15 5 10 4 7 7 13 27 45

G 14 16 10 5 7 9 13 15 44 45

<표 10>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실험집단 구성원의 하위요소별 원점수 (N=7) 신체적 자아개념

하위 요소

사전검사 사후검사

Z P

M SD M SD

외모 11.57 ± 2.51 14.00 ± 1.41 -2.032 .042*

운동 유능감 5.71 ± 10.31 10.71 ± 4.46 -1.784 .074 체력 5.29 ± 1.70 10.29 ± 2.93 -2.375 .018*

건강 6.86 ± 3.08 12.86 ± 2.91 -2.375 .018*

전체 29.43 ± 6.63 47.71 ± 5.62 -2.375 .018*

* P < .05

<표 9> 신체적 자아개념 하위요소 분석 결과 (N=7)

과, 하위 요소 ‘외모’에 대한 사전-사후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z=-2.032,

p=.042), ‘운동 유능감’의 사전-사후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z=-1.784, p=.074). 하위요소 ‘체력’(z=-2.375, p=.018)과 ‘건강’(z=-2.375, p=.018)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신체적 자아개념의 사전, 사후검사의 총점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375, p=.018).

Ⅴ. 논의 및 결론

3개월간 20회기의 개별 감각통합활동 중재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 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활동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에서 신체도식의 하위요소인

(14)

움직임과 신체자세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즉, 감각통합활동 중재프로그램이 발 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감각통합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의 변화에 긍정적이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김현호 등, 2009; 이은경, 2015; 주진옥 등, 2011; 최대근, 2009).

움직임을 통해 발달하는 신체도식은 움직임의 기초가 되는 동시에, 자신의 신체를 효과적으 로 사용하기 위한 바탕으로(김현호 등, 2009), 움직임을 통한 신체부위의 감각이 환경과의 관계 에 대한 정보를 중추신경계에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형성된다(김진미, 김경미, 2007). 그러기 에 움직임 및 신체자세에 따른 신체감각 처리능력은 신체도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 에서도 중재 전후에 감각 프로파일의 움직임과 신체자세의 감각처리능력을 검사한 결과 신체도 식의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감각통합활동과 관련하여 움직임과 신체자세의 감각처리 기제를 살펴보면, 움직임 동작은 피 부와 관절을 통해 대뇌에 지속적으로 감각자극을 전달하여 자기 신체에 대한 내적 도식 모델을 형성한다(Ayres, 1979). 즉, 능동적인 움직임과 신체활동을 통한 촉각, 전정감각 및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도식 발달에 기여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감각처리 기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 정감각과 촉각, 고유수용성감각을 기반으로 하는 감각통합활동을 구성하였고, 중재를 통한 능동 적 움직임과 신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움직임과 신체자세, 즉 신체도식에 긍정적 영향을 가 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에서 증명하듯, 발달에 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경우, 움직임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특 히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의존도가 떨어진다(김미점 등, 2006; 홍양자, 강승애, 2007). 즉, 체성 감각의 대표격인 고유수용성 감각을 사용하는 대신 움직임 조절 및 자세유지를 시각이나 청각 등 원감각에 의존하거나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도식 형성에 주요 요소이 며, 고유수용성 감각을 통해 신체지각과 중력에 대한 안정감을 갖게 되므로, 발달지체유아의 신 체도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포함한 체성감각정보를 통합할 수 있도록 움 직임을 지원하고, 신체지각과 환경과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상위수준의 운동지각 기술 발 달을 위해 다양한 감각통합 활동 경험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김영미, 강대옥, 박재국, 200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8; 박재국, 2010; 주진옥 등, 2011).

둘째, 감각통합활동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의 4개 하위요소 중 3개 하위요인인 외모, 체력, 건강 요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즉, 감각 통합활동 중재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신체활동이 발달지체유아는 물론 유아와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에 긍정적이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문경은, 2015; 박성빈, 2014, 신승 주, 2007; 최범규, 2008; 최예종, 최범규, 2009; 한수정, 2014).

최근까지도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신체적 자기개념 증진에 효과적임이 입

(15)

증되고 있다. Gallahue(1996)에 따르면 유아기의 움직임 활동은 지각운동능력의 발달 뿐 아니라 유아의 신체적 개념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아가 신체활동에 대한 지속적 참여는 건강 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운동 능력과 체력 증진을 통해 자신감이 높아지는 등, 궁극적으로는 자 신의 신체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게 된다(이슬우, 허정, 2011). 본 연구의 감각통합 활동 프로그램에서도 발달지체유아들은 내적 동기에 힘입어 놀이상황을 자유롭게 탐색, 적응하 는 움직임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다양한 감각-운동적 성공 경험이 유아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장애유무과 무관하게 발달지체유아 도 일반 유아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보편적 성장과 발달 원리를 따른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 다(이은경, 2015).

감각통합능력은 인간의 감각체계 중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 전정감각을 중심으로 발달하는 데, 본 연구의 감각통합활동 프로그램 역시 아동들의 전정감각,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 활동을 시작으로, 신체상, 신체도식, 눈-손협응운동 등의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유아들은 다양한 신체경험을 통해 저장된 감각정보와 새로 입력되는 감각정보를 통합하여 운동 과제 행동을 판단하고, 감각정보의 처리과정을 토대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게 된다. 나아 가 감각통합능력의 발달은 아동의 신체발달 뿐 아니라, 인지발달, 정서발달, 사회성발달에도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감각통합능력의 발달이 미흡한 경우에는 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는 결과도 보고된다(최범규, 2008). 최근의 특수교육 및 작업치료 연구에서 발달지체유아를 대상 으로 한 감각통합중재나,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관련 중재가 드문 편이다. 그 이유는 감각통합중재의 효과가 아동의 정서적인 부분보다는 신체적 기능과 주의력, 집중력 등에 초점 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이에 본 연구가 감각통합활동과 발달지체유아 자신의 신체에 대한 심리, 정서적인 면(외모, 건강, 체력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증 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하위영역인 운동 유능 감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연구대상 유아들의 최근 신체활 동 수준과 비교적 단기간 이루어진 중재 진행 수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중재기간 및 강 도가 증가 할 경우, 신체적 자아개념은 청소년기까지 계속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신 영호, 2004; 최민복, 2015).

셋째, 연구결과를 통해 종속 변인간의 관계, 즉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이 신체적 자아개념 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 영유아시기부터 아동은 감각운동경험을 통해 환경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환경과 자신의 관계를 파악하고, 나아가 서서히 자신을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윤은영, 2005).

Gallahue(1996)의 신체적 자아개념의 위계적 발달 단계에 따르면, 유아는 이러한 과정에서 신 체의 체성감각 수용기(촉각, 고유수용성감각, 전정감각)를 통해 자신의 움직임 상태, 자세 뿐 아

(16)

니라 신체 윤곽, 크기 및 이미지 등의 신체도식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자세조절, 움직임 등을 지속적으로 조절, 학습하게 된다. 이렇게 지각된 자기 신체에 대한 유능감은 지속적으로 향상되 고, 자시 신체에 대한 심리, 정서적인 자신감 향상으로 이어지며 이것이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 개념으로 귀결된다고 하였다(박은혜, 이성희, 2010).

발달 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경우, 체성감각 수용기에서 전달된 자극이 뇌에서 제대로 정보처 리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신체도식 형성이 어렵고(Ayres, 1979), 이러한 신체도식의 미숙함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실패경험이 증가, 반복되어 신체적 자아개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임채영, 2014; 최대근, 2009). 그러므로 신체도식 형성을 위해 다양한 감각운동활동 경험 을 통해 정확한 자극을 뇌에 인식시키고(김현호 등, 2009), 이와 더불어 움직임 및 신체자세에 대한 정확한 조절과 학습을 지원하여 아동이 자신의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와 인식과 키워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적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따르나, 발달지체유아의 신 체도식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선행연구가 적은 국내 연구풍토에서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 로 감각통합중재의 기본 원리를 백분 고려하여 중재를 구성하고 실행한 결과, 이들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신체도식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즉, 발달지체유아의 내적 동 기에 기반을 두고 스스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중재환경을 조성하였으며, 반복적인 성공 경험을 통해 자신감 상승을 유도하였으며, 유아의 적응 반응을 살펴 다음 단계 발달을 위한 명 확한 중재를 제공하였고, 발달지체유아와 중재자가 일대일로 개별 중재를 진행한 점이 긍정적 인 연구결과를 가져왔다고 사료된다.

현재 국내에서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작업적 재활치료는 주로 신체적 기능 향상 및 신체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신체 기능적 접근에서는 발달지체유아 의 신체인식이나 신체적 자아개념 등 심리, 정서적인 면을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가 시사하듯, 유아의 신체적 기능 및 능력은 운동적 차원 뿐 아니라 자기 신체에 대한 인지 및 정서, 심리적 측면과 맞닿아 있으므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인간의 총체적 발달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사의 인식과 이에 따른 접근이 요청된다. 감각통합적 치료를 통해 감각적, 신체적 발달을 도모함은 물론, 이를 통해 발달지체유아가 유능한 신체도식을 성취하도록 세심하고 명 확한 중재가 필요하다. 나아가 치료사의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유아가 지속적인 성공 경험과 자신감을 회복하고,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을 성취하도록 유아의 심리, 정서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17)

참고문헌

김경미 (2003). 감각통합기능 평가에 대한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1), 93-98.

김경미, 지석연, 노종수 (2003). 감각통합 Q & A. 서울:정담미디어.

김경숙 (2007).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신체자아 개념변화 연구. 석사학 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경기.

김미점, 박재국, 김영미, 김소희 (2006).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 변처리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8(4), 37-53.

김미혜 (2004). 또래중재 역할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 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경북.

김병준 (2001).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2), 69-90.

김영미, 강대옥, 박재국 (2005). 촉각중심의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지체아의 신체상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1(2), 57~80.

김진미, 김경미 (2007). 감각통합치료에서 고유수용성 감각활동에 관한 고찰. 대한감각통합학회 지, 5(1), 1-13.

김현호, 유병국, 장용수 (2009).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신체도식과 실행능력이 미치는 영향. 대한감각통합학회지, 7(1). 47-5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8). 신체도식과 운동계획 평가. 감각통합평가과정자료집.

문경은 (2015). 신체를 활용한 전래놀이가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

박경영, 유은영, 정민예, 박수현, 이재신, 박소연 (2011). 전반적 발달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 각프로파일 (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3), 1-12.

박미영, 임영명, 김 희 (2017).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 리, 시 지각 발달, 주 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5(2), 66-79.

박은혜, 이성희 (2010). 만 5세 유아의 신체상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4(1), 227-252.

박성빈 (2014).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또래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박재국 (2010).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2(4), 31-50.

신승주 (2007). 초등학생들의 운동부 활동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춘천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원.

신영호 (2004). 태권도 수련이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18)

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전북.

윤은영 (2005).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근육 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을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선배, 최일선 (2017).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37(3), 61-83.

이슬우, 허 정 (2011). 유아기 신체활동이 채력발달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체육연 구, 7(1), 27-36.

이은경 (2015). 고유수용성감각통합활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도식, 운동기능 및 신체적 자기 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경기.

이지은 (2007). 감각통합 훈련이 발달지체유아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 육대학원. 경북.

임수량, 이병인 (2013). 또래유아와의 협동공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논총 27, 69-94.

임채영 (2014).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특성.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충 남.

주진옥, 이혜림, 김경미 (2011).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9(2), 15-28.

최대근 (2009). 고유수용성 감각 중심의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지체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 및 균형능 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최범규 (2008). 감각통합발달을 위한 체육교수-학습 프로그램개발, 한국초등체육학회, 14(1), 247- 260.

최민복 (2015). 유도수련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인성․예절성 발달과의 관계성 탐색. 석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경기.

최예종, 최범규 (2009). 감각통합 발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5(3), 67-79.

한수정 (2014). 고무줄 놀이가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

홍양자, 강승애 (2007). 감각통합운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 회지. 21(3), 87-98.

황성자, 신현기 (2011).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또래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 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25, 133-155.

황순각 (2001). 유아를 위한 신체적 자아개념 척도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2(1), 33-45.

황은영, 송브라이언병 (2013). 놀이 중심의 집단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

(19)

는 효과. 특수교육논총 28, 19-44.

Ayres, A. J. (2006). 감각통합과 아동(김경미 역). 경기: 군자출판사. (원출판년도 1979)

Gallahue, D. L. (1996).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 s Children, Times Mirror higher

Education Group, lnc.

Harter, S.(1981).

A model of intrinsic mastery motivation in children: individual difference and developmental chang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Development. 53. 87-97.

Marsh, H. W., & Redmayne, R. S. (1994). A multidimensional physical self-concept and It's relations to multiple components of physical fitness.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6, 43-55.

(20)

* 제1저자

** 교신저자 Abstract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Activities on Body Scheme and Body Self-Concept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Kwon Hyun-sil*․ Rhie Suk Jeong**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the body scheme and body-self concept of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 This study performed with 7 children who consider developmental delays on 3 to 7 years old. They had one or over areas delayed development of their personal-social, fine motor adaptive, language and gross-motor development due to the result of Dever development Screening Test(DDST - Ⅱ) For this study, 7 children who have developmental delays attend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ver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one session. The session included the part of counseling for 10 minutes, and giving them a treatment for 40 minute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ody scheme and body-self concept by the sensory profile and the body-self concept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Wilcoxon Signed Rank Test. Conclusion: Body scheme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movement processing and the body position processing. Furthermore, body-self concept look mark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appearance, health and the strength. This study suggests children who have developmental delays that their body scheme and body-self concept can be improve through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Key words : sensory integration, child with development delay, body scheme, body-self concept

게재 신청일 : 2018. 11. 22 수정 제출일 : 2018. 12. 12 게재 확정일 : 2018. 12. 19

참조

관련 문서

이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유지,경쟁을 통한 성취감,사회성 함양이 신체적 자기개 념의 하위요인인 외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회귀분석에 투입된 5개 의

실제 그 기능이나 표적유전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따라서 mi RNA가 발현되는 조직이나 세포,더 나아가 mi RNA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나

건강관련 행위 특성과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흡연 상태에 따른 삶의 질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영역은 신체적 기능 영역,신체적 역할제한

결론적으로 한센 노인 환자는 신체적,심리· 사회적,간호정보 요구의 각 영역 안 에서의 다양하게 많은 요구들이 충족되길 바라고 있었으며,일부 요구도의 경우

For a participation item, yoga participants had a high response in appearances, exercise confidence, and health; dance sports participants, in endurance;

여가경험이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여가경험이 정서적애착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업재해 판정을 받아 요양을 요하는 작업 관련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8 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환자의 신체적

This study aims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based on one’s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a physical self-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