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Copied!
1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연구 02 - 24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곽태원․김홍균․남준우

(2)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1판1쇄 인쇄/2002년 12월 20일 1판1쇄 발행/2002년 12월 24일

발행처/한국경제연구원 발행인/좌승희 편집인/좌승희 등록번호/제13-53

(150-7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8-1 전경련회관 전화(대표)3771- 0001 (직통)3771- 0057 팩시밀리 785-0270∼1

http://www.keri.org/

ⓒ 한국경제연구원, 2002 한국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한 간행물은 전국 대형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문의) 3771-0057

ISBN 89-8031-256-3 5,000원

(3)

발간사 3

발 간 사

이 보고서는 국민들이 기업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시장경 제체제의 성공적 정착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생각 된다. 시장경제체제의 건강한 발전은 공정하게 경쟁하는 건강한 기업들이 중심에 있을 때 가능하다. 그러므로 만일 기업이 국민들 의 눈에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비춰진다면 그것은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시장경제체제가 자랑하는 효율성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는 치명적인 독소가 된다. 따라서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다는 것은 한 나라의 시장경제체제를 진단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진단의 결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원래 이 조사는 경제학 교육의 문제를 찾아내고 개 선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시작된 것이었다. 기업의 역할이나 기업을 평가하는 기준 등에 관한 지식 은 대부분 경제학 또는 관련분야의 교육을 통해서 습득되기 때문 에 올바른 기업관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조사의 결과는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한 측면 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제학 교육 의 개선방안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이러한 조사를 통해서 기업들이 자신의 모습을 거울에 비추어 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에 서 기업들, 특히 우리 경제의 또는 경제발전의 대명사 역할을 하

(4)

고 있는 대기업들이 책임져야 할 부분이 상당히 크다고 판단된다.

물론 기업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는 정부에게도 상당한 책임을 물 을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이 연구는 기업이나 정부에게도 유용 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들 의 기업에 대한 인식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사례를 찾기 어 렵다. 몇몇 설문조사에서 기업에 대한 의식을 묻는 항목이 포함된 경우들이 있기는 하지만 이들을 본격적인 기업의식조사라고 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어떤 의미에서 기업에 대한 의식조사를 거의 처음 본격적으로 시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처음 시도이기 때문에 미진한 점도 많이 남아 있고 개선의 여지도 적지 않지만 분석의 결과들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조사가 보다 체계적으로 그리고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국민들이 기업을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이 있으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고 기업이 국민의 기대에 못미치는 행동을 보였다면 이러한 것들은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같은 유형의 조사와 연구가 계 속됨으로써 위와 같은 방향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궁극적으로 우 리나라에서 시장경제가 창달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연구를 담당해준 서강대학교의 곽태원, 남준우 그리 고 김홍균 교수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이 연구의 내용은 본원의 공식적인 견해와 다를 수 있음을 밝혀둔다.

2002년 12월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좌승희

(5)

차 례 5

차 례

제1장 서 론

/ 11

제2장 조사개요

/ 17

제3장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의식도 조사결과 : 문항별 분석

/ 21

1. 기업에 대한 의식조사 / 23 (1) 기업에 대한 호감도 / 23 (2) 기업의 목적과 성취도 / 26 (3) 우리나라 기업의 특성 / 29 (4) 기업관련 정책 / 34

2. 기업가에 대한 의식조사 / 35 (1) 개념 / 35

(2) 호감도 / 36

3. 경제학에서 기업관련 교육 및 경제학 교육 / 39 (1) 경제학에서 기업관련 교육 / 40

(2) 경제학 교육 / 41

제4장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의식도 조사결과 : 응답주체별 분석

/ 43

1. 일반국민 / 45 2. 교 수 / 64

(6)

3. 기업인사담당자 / 76 4. 입사 2-3년차 직원 / 81 5. 대학생 / 88

제5장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의식도 조사결과 : 회귀분석 결과

/ 99

1. 모형 및 추정방법 / 102 2. 추정결과 / 105

(1) 일반국민에 대한 조사 / 105

제6장 요약 및 결론

/ 113

부 표

/ 123

부 록 : 설문지

/ 137

영문초록

/ 151

(7)

표 차 례 7

표 차 례

<표 2-1> 조사대상, 방법 및 표본수 / 20

<표 4-1>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 일반국민 / 50

<표 4-2>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 : 일반국민 / 52

<표 4-3>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 / 54

<표 4-4> 기업의 이익과 발전에 대한 기업의 실행정도 / 56

<표 4-5> 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대한 기업들의 실행정도 / 58

<표 4-6> 근로자의 복지와 발전에 대한 기업의 실행정도 / 60

<표 4-7> 소비자의 복지향상에 대한 기업의 실행정도 / 62

<표 4-8>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 교수 / 65

<표 4-9>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 : 교수 / 66

<표 4-10>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 : 교수 / 70

<표 4-11>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 : 교수 / 71

<표 4-12>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이유 : 교수 / 72

<표 4-13> 기업가의 개인재산 처리문제 : 교수 / 73

<표 4-14> 대학의 경제학 과목에서 기업에 대한 교육정도 : 교수 / 74

<표 4-15> 기업관련 경제학 교육에서의 교육방법 개선사항 : 교수 / 75

<표 4-16>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 기업인사담당 / 76

<표 4-17>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 : 기업인사담당 / 77

<표 4-18>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 : 인사담당 / 78

(8)

<표 4-19>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이유 : 인사담당 / 79

<표 4-20> 대학의 경제학 과목에서 기업에 대한 교육정도 : 기업인사담당 / 80

<표 4-21> 기업관련 경제학 교육에서 교육방법 개선사항 : 기업인사담당 / 80

<표 4-22>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 2-3년차 직원 / 82

<표 4-23>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 : 2-3년차 직원 / 83

<표 4-24>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 : 2-3년차 직원 / 84

<표 4-25>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이유 : 2-3년차 직원 / 85

<표 4-26> 대학의 경제학 과목에서 기업에 대한 교육정도 : 2-3년차 직원 / 86

<표 4-27> 기업관련 경제학 교육에서 교육방법 개선사항 : 2-3년차 직원 / 87

<표 4-28>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 대학생 / 89

<표 4-29> 대학소재별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 90

<표 4-30>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 : 대학생 / 91

<표 4-31> 대학소재별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 / 92

<표 4-32>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 : 대학생 / 94

<표 4-33>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 : 대학생 / 95

<표 4-34> 대학소재별 기업의 최대 장점 / 96

<표 5-1> 일반국민의 기업관련 호감도에 대한 로짓 추정결과/ 110

<표 5-2> 대학생의 기업관련 호감도에 대한 로짓 추정결과/ 112

(9)

그 림 차 례 9

그림차례

<그림 1> 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호감도 조사 / 24

<그림 2>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조사 / 24

<그림 3>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 조사 / 25

<그림 4> 기업이 추구해야 할 목적 / 26

<그림 5> 기업이익에 대한 실행정도 / 27

<그림 6> 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대한 실행정도 / 28

<그림 7> 근로자 복지에 대한 실행정도 / 28

<그림 8> 소비자 복지에 대한 실행정도 / 29

<그림 9> 기업의 약점 / 30

<그림 10> 기업의 장점 / 31

<그림 11> 부도의 책임 / 32

<그림 12> 기업환경 / 32

<그림 13> 기업환경이 어려운 이유 / 33

<그림 14> 현재 정부의 규제강도 / 34

<그림 15> 바람직한 규제의 수준 / 35

<그림 16> 기업가란? / 36

<그림 17>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 / 37

<그림 18> 기업가가 좋지 않은 이유 / 37

<그림 19> 기업가의 사회적 영향력 / 38

<그림 20> 기업가의 개인재산 처리방법 / 39

<그림 21> 기업에 관한 현행 경제학 교육 / 40

<그림 22> 기업에 관한 경제학 교육에서 더 중요한 것 / 41

<그림 23> 기업에 관한 경제학 교육 개선방안 / 42

(10)

부표차례

<부표 1>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 : 일반국민 / 125

<부표 2>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 : 일반국민 / 126

<부표 3> 기업 운영에 대한 용이함 : 일반국민 / 127

<부표 4> 기업 운영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 : 일반국민 / 128

<부표 5> 우리나라 기업가들에 대한 호감도 : 일반국민 / 129

<부표 6> 기업가들을 안좋게 생각하는 이유 : 일반국민 / 130

<부표 7> 기업가의 사회적 영향력 : 일반국민 / 131

<부표 8>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 : 대학생 / 132

<부표 9> 대학소재별 기업 운영하기 어려운 이유 / 133

<부표 10> 대학의 경제학 과목에서 기업의 교육정도 : 대학생/ 134

<부표 11> 대학소재별 경제학 과목에서 기업에 대한 교육정도/ 135

(11)

제1장 서 론

(12)

시장경제체제의 경제활동 주체로 가계, 기업 그리고 정부를 꼽 는다. 이 세 가지 주체 중에서 누가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하고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지만 그래도 경제활동의 능동적인 중심이 되는 주체는 가계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눈부신 발전을 이룩해온 우리 경제를 흔히 정부주도에 의 한 고도성장이라는 수식어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그 중심적인 역할은 민간부문이라고 할 수 있는 가계와 기업이 담당 했다고 본다. 특히 수요보다는 공급의 제약이 더 컸던 이른바 개 발연대의 기간 중에는 가계보다 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했다는 주 장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가계는 눈에 드러나지 않는 다수 로 이루어져 있고 기업은 다수의 중소 영세기업이 있기는 해도 몇몇의 소위 ‘스타’ 기업들이 있어서 이들의 역할이 더 잘 부각되 는 면이 있다.

그러나 과연 기업은 누구이고 가계는 누구인가? 경제학 교과서 에 나오는 경제의 순환모형에는 기업과 가계가 서로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시장경제에서 서로의 관계가 그처럼 불가분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리 모두는 기업에 속 해 있기도 하면서 동시에 가계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대다수 국민들은 기업을 상당한 거리를 두고 바라본다.

이 연구는 국민들이 기업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갖는 중요한 이유의 하나는 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거시적으 로는 시장경제체제의 성공적 정착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시장경제체제를 대변하는 핵심단어는 공정한 ‘경 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쟁의 가장 중심적인 주체는 기업이다. 따라서 만일 기업이 국민들의 눈에 지나치게 부정적으 로 비쳐진다면 그것은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무 너뜨리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시장경제체제가

(13)

14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자랑하는 효율성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는 치명적인 독소가 된 다. 따라서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다는 것 은 한 나라의 시장경제체제를 진단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진단의 결과는 경제학 교육에 관해서도 많은 점을 시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기업의 역할이나 기업을 평가하는 기준 등에 관한 지식은 대부분 경제학 교육을 통해서 습득된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사가 기업들이 자신의 모습을 거울에 비추어 보는 효 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미시적으로도 이 문제는 관심을 가질 만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에 서 기업들, 특히 앞에서 잠시 언급했던 스타기업들이 책임져야 할 부분이 상당히 크다고 판단된다. 물론 기업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 는 정부에게도 상당한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이 연 구는 기업이나 정부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들 의 기업에 대한 인식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사례를 찾기 어 렵다. 몇몇 설문조사에서 기업에 대한 의식을 묻는 항목이 포함된 경우들이 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인 기업의식조사라고 하기 어렵다.

최근 경제학 교육의 실수요자인 기업뿐만 아니라 경제학계에서 조차도 현재의 기업과 관련한 경제학 교육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 를 많이 제기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업 혹은 기업가에 대한 설문조사와 함께 경제학을 가르치는 교수와 실수 요자들인 기업 및 학생 등을 대상으로 현재 기업관련 경제학 교 육의 문제점도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설 문조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제3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주 요 문항별로 살펴보고 제4장에서는 조사대상들의 특성별로 주요

(14)

결과를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주요 문항별로 특 성에 따라 이들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Logit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 제6장에서는 요약 및 결론을 제시한다.

(15)

제2장 조사개요

1)

2)

1)

(16)

1) 본 연구에 사용된 서베이조사는 KDI 경제연구센터에 의해 이루어졌다.

2) 본 연구에 사용된 서베이조사는 KDI 경제연구센터에 의해 이루어졌다.

(17)

제2장 조사개요 19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해 우리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보는 데 있다. 사실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한국개발연구원 등에서 몇 차례 간헐적으로 이 루어진 적이 있다.2) 그러나 이들 의식조사는 전적으로 기업 및 기업인에 대한 의식조사가 아니라 다른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부 차적으로 이루어진 것일 뿐만 아니라 일반국민만을 대상으로 하 고 있어 각계 각층의 기업에 대한 의식도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 가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급적이면 여러 계층을 분석의 대상에 포함시키기 위해 전체 국민을 5개의 그룹 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한 설문조사는 크게 일반국민, 경제학교수, 기업 인사담당자, 기업 2-3차 사람, 대학생 등 5개의 그룹으로 이루어 졌다. 설문조사는 일반국민은 전화인터뷰를 통해서 경제학과 교수, 기업인사담당 및 기업입사 2-3차 사원들의 경우는 e-mail과 fax를 통해서, 대학생들은 설문지 작성을 통해서 각각 이루어졌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설문조사 대상수는 일반국민은 1,011명이며 경제학 과 교수는 220명, 기업인사담당자는 43명, 기업입사 2-3차 사원은 107명이며 대학생은 833명이다3)(<표 2-1> 참조). 이 중 기업인사 담당자의 표본수가 작은 것은 원래 설문조사는 상장기업 200개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응답자가 43명에 불과하였기 때문이다.

<표 2-1> 조사대상, 방법 및 표본수

2) 예컨대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한국개발연구원(1997)의 기업 및 기업인에 대한 의식조사 역시『한국 자본주의 정신』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부차적으로 이루어 진 것이어서 설문항이 몇 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국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3) 2-3년 신입사원과 대학생은 각각 상경대학을 졸업하였거나 재학중인 사람으로만 한정시켰다.

(18)

조 사 대 상 조 사 방 법

1) 일반국민 1,011명

- 전화조사(전화번호부 이용)

- 전국(제주도 제외) 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구비(할 당)에 따른 무작위 표집

2) 경제학과 교수 220명 - E-mail, fax 조사 병행

3) 대학생 833명

- 자기기입식 응답 - 일괄배포, 일괄수거

- 서울 3개, 지방 6개(분교 1개 포함) 등 총 9개 대학교 4) 기업인사담당 43명 - E-mail, fax 조사 병행

5) 기업입사 2-3년차 사원 107명 - E-mail, fax 조사 병행

본 연구에서는 기업 및 기업에 대한 의식도 조사와 함께 기업 관련 경제학 내용을 포함해 전반적인 경제학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법이 타당한지도 물어 보았다. 경제학과 관련된 내용을 설문조 사에 포함시킨 이유는 먼저 전자와 관련해서는 우리 국민들이 전 반적으로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예 상하에 그 한 원인이 기업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경제 학에 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에서였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경제 학에 대한 수요가 최근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그 원인 중의 하나가 잘못된 경제학 교육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 까 하는 생각 때문이었다. 사실 본 연구의 설문대상으로 일반국민 뿐만 아니라 기업인사담당자, 2-3년차 신입사원, 대학생을 포함시 킨 것도 부분적으로는 이를 보기 위해서이다. 즉 기업인사담당자, 2-3년차 신입사원, 대학생들의 경우는 물론 이들이 기업 및 기업 인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되기도 했지만 부분적으로는 이들은 경제학 교육의 실수요자 인 바 이를 감안해 수요자의 입장에서 현재 경제학 교육의 문제 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포함되기도 했다.

(19)

제3장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의식도

조사결과 : 문항별 분석

(20)

본 장에서는 기업 및 기업가와 관련된 서베이 조사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본 장의 목적은 기업 및 기업가에 대 한 서베이 조사결과가 개별 응답자들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 지는가를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회귀분석보다는 조사결과를 주요 문항별로 단순 통계처리를 통해 그 결과를 살펴본다.

기업 및 기업가와 관련된 서베이는 크게 세 부분, 즉 “기업에 대한 의식”, “기업인에 대한 의식”, “기업관련 교육내용”으로 나누 어 조사되었다. 조사된 문항수는 “기업에 대한 의식”과 관련해서 는 11문항, “기업인에 대한 의식”과 관련해서는 5문항, “기업관련 교육내용”과 관련해서는 4문항 등 총 20문항이다. 이하에서는 문 항별 조사결과를 응답자별로 살펴본다.

1. 기업에 대한 의식조사

(1) 기업에 대한 호감도

우리나라 기업(중소기업 포함)에 대한 호감도 조사결과는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조사결과를 보면 응답자별로 기업에 대한 호감 도는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인 경제학교수, 기 업인사담당자, 2-3년차 신입사원 그룹에서는 조사대상 중 70.5%, 62.8%, 50.5%가 각각 기업에 대해 “좋게 생각하고 있다”라고 응 답한 반면 일반국민과 학생에서는 조사대상 중 46.5%와 37.7%만 이 기업을 “좋게 생각하고 있다”라고 응답하여 일반국민과 학생 들은 대체로 기업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24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그림 1> 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호감도 조사

46.6

70.5

37 .7

62.8

50.5 53.3

29.5

61 .8

37.2

49.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 반 국 민 교 수 대 학 생 기 업 인 사 담 당 자 기 업 신 입 사 원

좋 지 않 다 좋 다

대기업만을 대상으로 호감도를 조사한 결과는 <그림 2>에 정리 돼 있다. 조사결과는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와는 다소 다르게 나왔다. 교수와 기업인사담당자들만이 대체로 좋게 생각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국민들은 응답자들 중 63.5%

<그림 2>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 조사

36.1

60.9

29.7

51.2 43.9

63.5

39.1

70.0

48.8 56.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반국민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담당자 기업신입사원

좋지않다 좋다

(22)

가, 대학생들은 응답자들 중 70%가, 기업의 2-3년차 신입사원들은 응답자들 중 50.5%가 각각 대기업을 “안좋게 생각한다”라고 응답 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에 대한 결과는 <그림 3>에 나타나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조사결과는 대기업과는 달리 모든 조사대상에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와 기업인사담당 자들에서는 응답자들 중 80% 이상이 중소기업에 대해 “좋게 생 각한다”라고 응답하여 다른 응답자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흥미 로운 것은 대학생 그룹에서는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을 좋게 생 각하고는 있으나 부정적으로 보는 비율 역시 35.9%로 조사대상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곧 대학생들은 다른 경제 주체들에 비해 대체로 기업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그림 3>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 조사

74. 9

83 .6

63. 6

8 1.4

6 5.4 16 .4

35. 9 3 4.6

1 8.6 2 4.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 0%

일 반국 민 교수 대 학생 기업 인사 담당 자 기 업신 입 사원

좋지 않다 좋다

(23)

26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2) 기업의 목적과 성취도

기업의 목적 및 성취도와 관련해서는 두 가지 문항(즉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이 무엇이냐와 “지금까지 우리나 라 기업들이 기업의 목적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가”)이 조사 되었다.

먼저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이 무엇이냐에 대 한 질문조사 결과는 <그림 4>에 정리되어 있다. 이 그림에 따르 면 일반국민을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에서 “기업의 이익과 발전”

이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이 “사회와 국가의 발전”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특히 전문가 그룹이라 할 수 있는 교수그룹에서는 77.3%

가 “기업의 이익과 발전”이라고 응답하여 다른 조사대상 그룹보 다 월등히 높았다. 이에 반해 일반국민은 “근로자의 복지와 발전”이 가장 중요하며(47.6%), 그 다음이 “사회와 국가의 발전”(28.3%)이 며, “기업의 이익과 발전”(12.1%)은 세번째로 중요한 것으로 응답

<그림 4> 기업이 추구해야 할 목적

12.1

77.3

47.4

58.1 59.8

28.3

17.3

31.2

25.6 28.0

47.6

0.9

10.3

14.0 8.4

12.0 4.5

10.7

2.3 3.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반국민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담당자 기업 신입사원

소비 자 복지 근로 자 복지

사회 , 국 가 발 전 기업 이익 과 발전

(24)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경우도 응답자들의 47.4%가 “기업의 이익 과 발전”이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응답하 여 그 비율이 다른 목적보다 높았지만 교수, 기업인사 담당자 및 기업신입사원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학 생그룹에서는 조사대상 중 31.2%가 “사회와 국가의 발전”이 기업 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응답하여 이 부문의 비 율이 교수, 기업인사담당자 및 기업신입사원 그룹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이 “기업의 목적을 어느 정도 수행하 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목적별로뿐만 아니라 조사대 상별로도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목적별로 보면 “기 업의 이익과 발전”에 대해서는 모든 조사대상에서 지금까지 우리 나라 기업들이 대체로 “잘하고 있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5> 참조). 이에 반해 기업의 목적 중 “기업의 이익과 발전”을 제외한 항목(“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대한 실행정

<그림 5> 기업이익에 대한 실행정도

55.0

70.9 7 2.6

88.4 81.3

44.0

27.3 2 5.9

11.6 15.9

0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일반국 민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 담당자 기업신입 사원

못 하고 있다 잘 하고 있다

(25)

28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도, “근로자의 복지와 발전”에 대한 실행정도, “소비자의 복지 향 상”에 대한 실행정도)에 대해서는 모든 조사대상들에서 지금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이 대체로 “잘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생과 일반국민들이 이들 항목들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들의 경

<그림 6> 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대한 실행정도

26.1 32.3

17.3 27.9 32.7

72.3 66.4

79.6

69.8 66.4

0%

20%

40%

60%

80%

100%

일반 국민 교수 대 학생 기 업인 사담당 자 기업 신입 사원

못 하고 있 다 잘 하고 있 다

<그림 7> 근로자 복지에 대한 실행정도

22.8 31.4

8.8

18.6 17.8

76.0 65.5

87.8

79.1 78.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반국민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담당자 기업신입사원

못하고 있다 잘하고 있다

(26)

<그림 8> 소비자 복지에 대한 실행정도

21.9 17.3 14.9 18.6 22.4

76.4 79.5 81.5 79.1 73.8

0%

20%

40%

60%

80%

100%

일반 국민 교 수 대 학생 기 업인 사담 당자 기업 신입 사 원

못 하 고 있 다 잘 하 고 있 다

우는 이들 중 “근로자의 복지와 발전”과 관련해서는 87.8%가 “잘 못하고 있다”라고 응답하여 이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6>-<그림 8> 참조).

(3) 우리나라 기업의 특성

우리나라 기업 특성과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기업이 가장 못한 점 및 잘한 점, 기업부도에 대한 책임, 기업운영 여건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조사되었다.

먼저 “우리나라 기업이 지금까지 가장 잘못하고 있는 것이 무 엇이냐”에 대한 질문 결과는 <그림 9>에 나타나 있다. <그림 9>

에 따르면 응답대상별로 조사결과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 반국민에서는 “정경유착”, “사회에 대한 무책임성”, “족벌경영”,

“열악한 근로조건”의 순으로, 대학생에서는 “정경유착”, “족벌경 영”, “취약한 기술력”, “사회에 대한 무책임성”의 순으로, 교수그 룹에서는 “취약한 기술력”, “족벌경영”, “정경유착”, “사회에 대한 무책임성”, 기업인사 담당자에서는 “족벌경영”, “취약한 기술력”,

“정경유착”의 순으로, 2-3년차 신입사원에서는 “족벌경영”, “정경

(27)

30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그림 9> 기업의 약점

20.7

30.5 29.2

41.9

31.8 10.4

30.9

18.1

32.6

28.0 31.4

25.9

41.9

16.3 24.1 29.9

6.8 5.3 2.3

11.1 2.8

0.0 3.1 0.0 3.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반국민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담당자 기업신입사원

열악한 근로조건 무책임성 정경유착 취약한 기술력 족벌경영

유착”, “취약한 기술력”의 순으로 나타나 조사대상별로 현재 우리 나라 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시각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업이 지금까지 가장 잘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냐”

에 대한 질문결과는 <그림 10>에 정리되어 있다. 특이한 점은 우 리나라 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 때와는 달리 일반국민을 제외하 고는 응답주체에 따라 응답내용이 유사했다는 것이다. 즉 교수와 기업인사담당자들은 “환경변화에 대한 높은 적응력”, “과감한 모 험정신”, “빠른 기술발전”의 순으로, 대학생들과 2-3년차 신입사원 들은 “환경변화에 대한 높은 적응력”, “빠른 기술발전”, “과감한 모험정신”의 순으로 각각 응답하여 “우리나라 기업이 지금까지 가장 잘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냐”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이들 조사대상들은 유사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반해 일반국민들은 “빠른 기술발전”, “환경변화에 대한 높은 적응 력”, “과감한 모험정신”의 순으로 응답하여 다른 조사대상들과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8)

<그림 10> 기업의 장점

12.6

33.6

21.5 18.6

13.1

47.5 14.1 28.8

16.3 28.0

16.9 45.9 32.3

55.8 44.9

7.5

0.0 1.4 0.0

5.4 0.5 2.8 0.0

0.0 1.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 반국 민 교수 대 학생 기업 인사 담당 자 기업 신입 사원

고객 서비 스 안정 된 노 사관 계 환경 변화 적응 력 빠른 기술 발전 과감 한 모 험정 신

“기업부도에 대한 책임”에 대해서는 모든 조사대상에서 정부보 다는 기업의 경영자나 사장이 가장 책임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11> 참조). 특히 교수그룹에서는 응답자들 중 94.5%가 기 업의 부도책임은 기업의 경영자에게 있다고 대답하여 다른 그룹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IMF 외환위기 전이 었던 1997년 4월 KDI국민경제연구소(현 KDI경제정보센터)가 실 시한 조사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다. 동 기관이 조사한 결과에 따 르면 ‘중소기업’부도의 책임소재에 대해 우리 국민의 50.9%가 ‘정 부’라고 응답한 반면, ‘경영자나 사장의 책임’이라는 응답은 비율 은 19.1%에 불과하였다. 비록 설문이 1997년에는 중소기업 부도 의 책임을, 이번 조사는 일반적인 기업부도의 책임을 물었으며, 응답항목4)에도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는 의 견이 줄고 ‘해당기업의 경영자나 사장’의 책임이 크다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했다는 것은 우리가 눈여겨 보아야 할 점이다.

4) 1997년 KDI 조사에서는 “(중소기업의 영역까지 침투하는) 대기업의 책임이 가장 크다”라는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29)

32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그림 11> 부도의 책임

75.9

94.5 87.0 90.7 89.7

5.3

0.0 18.2

5.6 0.0

0.9 1.3 0.0

1.4 2.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반국 민 교 수 대학 생 기 업인 사담 당자 기 업신 입사원

정 부 근 로 자 복 지 경 영 자 나 사 장

“우리나라가 기업을 운영하기에 어떠하다고 생각하느냐”에 대 해서는 모든 조사대상에서 압도적으로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동 결과는 <그림 12>에 나타나 있는데 특이한 것은 기업에 대해 부 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국민과 대학생들 조차도 각각 93.0%와 92.6%가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기가

<그림 12> 기업환경

93.0 95.9 92.6 97.7 99.1

5.7 4.1 7.4 2.3 0.9

0%

20%

40%

60%

80%

100%

일반 국 민 교 수 대 학 생 기 업 인 사 담당 자 기 업 신 입 사 원

쉽다 어렵 다

(30)

어렵다고 응답하였다는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한 결과는 <그림 13>

에 나타나 있는데 동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사대상에서 “과도한 규제”가 가장 큰 이유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많은 응답을 한 것은 “불안정한 금융시 스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국민들의 경우는 응답자들 중 34.5%가 대답한 “불안정한 시스템”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조 사되었다.5) 우리나라에서 기업하기가 어려운 이유와 관련해 특이 한 점은 일반국민과 교수 그룹에서는 “과격한 노조할동”이라 응 답한 비율이 각각 12.6%와 18.5%로 꽤 높은 반면 대학생, 기업인 사담당자 및 기업신입사원에서는 각각 3.5%, 4.6%, 4.7%로 그 비 율이 매우 낮아 “과격한 노조활동”에 대해서는 응답주체들 사이 에 시각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는 것이다.

<그림 13> 기업환경이 어려운 이유

29.9

57.3

39.6

61.9 61.3

12.6

18.5

3.5

4.8 4.7

34.5

12.8

36.8

14.3 16.0

8.8

3.3

2.6

7.1 5.7

10.5

2.4

12.7

2.4 4.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 반국 민 교 수 대 학생 기업 인 사담 당 자 기업 신 입사 원

세 계 경제 비 싼 토 지 , 부 동 산 금 융 시스 템 과 격 한 노 조활 동 과 도 한 규 제

5) 일반국민들에서는 응답자들 중 29.9%가 “과도한 규제”라 응답하여 “불안정한 금 융시스템”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31)

34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32)

(4) 기업관련 정책

기업관련 정책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질문(즉 규제의 강도와 바 람직한 규제수준)이 응답자들에게 주어졌다. 기업관련 정책과 관 련해 유념해야 할 하나의 사실은 이와 관련된 질문은 다소 전문 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조사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일반국 민은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것이다. <그림 14>에는 “기업에 대한 규제의 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결과가 정리되어 있 다. 동 결과에 따르면 모든 조사대상에서 현재의 규제강도가 “지 나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60%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소 특이한 점은 기업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 던 대학생들도 64.2%가 현재의 규제가 “지나치다”라고 응답하였 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규제수준”에 대한 질문결과는 <그림 15>

에 나타나 있는데 이 역시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려대상 모 두에서 “최소한의 필요한 규제”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비 율이 가장 높았다.

<그림 14> 현재 정부의 규제강도

0 .5 1 .25.4 0.0

0.0 23 .2

29 .1

2 0.9 1 9.6

58 .2

60 .1

6 7.4 6 8.2

15 .5

4.1

1 1.6 9.3

0 .0

2.7 1.9

0%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교 수 대 학 생 기 업 인 사 담 당 자 기 업 신 입 사 원

심 한 규 제 강 한 규 제 중 간 규 제 최 소 규 제 자 유 방 임

심한 규제 강한 규제

(33)

36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그림 15> 바람직한 규제의 수준

1.8 4.1 2.3

81 .8 70.7 86.0 82.2

14 .1

21.8

9.3 16.8

0.0 0.0

0.9 2.5 2.3

1.8 0.7 0.0

0 .5

0%

20%

40%

60%

80%

100%

교 수 대 학생 기업 인 사담 당 자 기 업 신입 사 원

심 한규 제 강 한규 제 중 간규 제 최 소규 제 자 유방 임

2. 기업가에 대한 의식조사

(1) 개 념

기업가에 대한 의식조사는 먼저 기업가에 대한 개념부터 시작 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기업가라는 표현이 가장 어울리는 사람 은 누구냐”라는 질문을 응답자들에게 하였다. 결과는 <그림 16>

에 나타나 있다. <그림 16>에 따르면 조사대상 모두에서 “전문경 영인 출신의 CEO 또는 최고관리자”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 았고 그 다음으로는 대학생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이윤추구자”

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대학생 그룹에서는 기업가에 잘 어울 리는 사람으로 “전문경영인 출신의 CEO 또는 최고관리자” 다음 으로 “혁신가

innovator

”라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심한 규제 강한 규제

(34)

<그림 16> 기업가란?

10 .0

3.6 11.6 6.5

43.2 59.3

65.1

59.8 15.0

21.0

7.0

12.1 30.9

12.4 11.6 16.8

0.9 3.5 4.7 4.7

0%

20%

40%

60%

80%

100%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담당자 기업신입사원

시장중재자 이윤추구자 혁신가(in no vato r) 전문경영인 대기업 창업주

(2) 호감도

“우리나라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교 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6) 동 결과는 <그림 17>에 요약되어 있는데 이 그림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이 비율은 앞서 조사된 기업에 대한 호감도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7) 이는 곧 우리나라 국민들 의 대다수는 기업보다는 기업가에 대해 보다 많은 부정적인 시각 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특히 대학생들은 응답자 들 중 34.6%만이 기업가들에 대해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

6) 교수들의 경우도 기업의 호감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70.5%가 “좋게 생각한다”라고 응답한 반면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에서는 55.0%가 “좋게 생각한다”라고 응답하여 그 비율이 매우 낮아졌다.

7) 특히 기업인사담당자들은 기업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서는 조사대상들 중 62.8%가

“좋게 생각한다”라고 응답하였으나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서는 37.2%만

“좋게 생각한다”라고 응답하여 매우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35)

38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그림 17>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

55 .0

34.6 3 7.2 3 6.4

53 .9 45 .0

65.2 6 2.8 6 3.6

45 .2

0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 00 %

일 반 국 민 교 수 대 학 생 기 업 인 사 담 당 자 기 업 신 입 사 원

좋지 않다 좋다

<그림 18> 기업가가 좋지 않은 이유

21.3 29 .3 28.0

22 .2

36.8

78.2 70 .7 71.6

77 .8

63.2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 반국 민 교 수 대 학생 기 업인 사 담당 자 기 업 신입 사 원

도덕성 부 족 경영능 력 부족

타나 기업가에 대해 가장 배타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8) 이에 대 한 요인분석 결과는 <그림 18>에 나타나 있는데 재미있는 것은

8) 기업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는 대학생들은 37.7%만이 기업을 좋게 생각하고 있 다고 응답하였다.

(36)

조사대상 모두에서 “경영능력 부족”보다는 “도덕성 부족”을 이유 로 든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것이다. 특히 기업에 대해 비 교적 우호적인 그룹인 교수와 기업인사담당자들조차 “경영능력 부족”보다는 “도덕성 부족”을 기업가들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이 유로 지적한 것은 이채롭다.

“기업가들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모든 조사대상에서 “크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림 19> 참조). 특히 기업가들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조차 응답자들 중 92.7%가 “크다”라고 응답 하였다.

<그림 19> 기업가의 사회적 영향력

79 .7 90.5 92 .7 90 .7 93 .5

18 .0 9.5 7.1 9.3 6.5

0%

20%

40%

60%

80%

1 00%

일 반국 민 교 수 대 학생 기업 인사 담당 자 기업 신입 사원

크지 않다

크다

“기업가의 개인재산 처리”에 대한 응답결과는 <그림 20>에 나 타나 있다. 동 결과에 따르면 교수를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에서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특히 일반국민과 대학생들의 경우는 응답자들 중 각각 86%와 68.9%가 사회에 환 원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반해 교수그룹에서는 기업가의

크지 않다

(37)

40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자유에 맡겨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총응답 중 53.2%를 차지하 여 다른 조사대상과 뚜렷한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참고로 1997년 KDI의 조사결과를 소개하면 동일한 질문 에 대해서 응답자의 87.1%가 “어느 정도 사회환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조사결과보다 다소 높았다.

<그림 20> 기업가의 개인재산 처리방법

13.4

53.2

30.7

48.8 41.1

72.4

43.6

63.4

51.2

55.1

13.6 3.2 5.5 0.0 3.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일반국민 교수 대학생 기업인사담당자 기업신입사원

전액환원 일부환원 자유

3. 경제학에서 기업관련 교육 및 경제학 교육

본 연구에서는 기업 및 기업에 대한 의식도 조사와 함께 경제 학에서 기업에 대해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 대학 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경제학 내용 및 교육방법이 타당한지를 동 시에 물어보았다. 설문대상은 일반국민을 제외한 교수, 대학생, 기 업인사담당자, 입사 2-3년차 사원이다. 경제학과 관련된 내용을 설 문조사에 포함시킨 이유는 먼저 전자와 관련해서는 우리 국민들 이 전반적으로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을 것이라 는 예상하에 그 한 원인이 기업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치고 있는

(38)

경제학에 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에서였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경제학에 대한 수요가 최근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과 관련 하여 그 원인 중의 하나가 잘못된 경제학 교육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 때문이었다. 후자와 관련해서는 현재 경제학 교 육이 왜 잘못되고 있는지에 대한 것과 함께 기업교육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물어보았다. 그러나 질문내용이 기업 및 기업가와 관련 된 것보다는 다양하지 않고 또한 구체성이 다소 떨어져 충분한 분석이 이루어졌다고는 볼 수 없다.

(1) 경제학에서 기업관련 교육

“대학의 경제학 과목에서 기업에 대한 교육의 정도”를 물은 질 문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21>에 정리되어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모든 조사대상에서 “잘못 교육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경제학에서 기업과 관련된 내용을 가르치고 있는 공급주체인 교수에서뿐만 아니라 학생, 기업인사담당자, 2-3

<그림 21> 기업에 관한 현행 경제학 교육

31.8

43.7

20.9 20.6

68.2

55.9

79.1 79.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교 수 대 학 생 기 업 인 사 담 당 자 기 업 신 입 사 원

잘 못 한 다 잘 한 다

년차 신입사원에서조차도 경제학에서 기업과 관련된 내용을 “잘

(39)

42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못 교육하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경제학 교육의 실수요자 라 할 수 있는 기업인사담당자들 그룹에서 응답자들 중 79.1%가

“잘못 교육하고 있다”라고9) 응답한 것은 현재 경제학에서 가르치 고 있는 기업관련 내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한 예라 볼 수 있다.

(2) 경제학 교육

경제학 교육과 관련해서는 “현재의 경제학 교육이 왜 잘못되고 있는지”에 대해 물어 보았다. 조사결과는 <그림 22>에 정리되어 있다.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모두에서 교육방식보다는 교육내용 이 “잘못되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경 제학 교육의 실수요자라 할 수 있는 기업의 인사담당자와 2-3년 차 신입사원에서도 조사대상 중 61.8%와 69.4%가 교육내용이 “잘

<그림 22> 기업에 관한 경제학 교육에서 더 중요한 것

18.7

29.6

38.2 30.6

81.3

70.2

61.8 69.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교수 대학생 기 업인사 담당자 기 업신입 사원

교육 내용 교육 방식

9) 이 비율은 다른 조사대상보다 높다.

(40)

못되었다”라고 응답한 것은 우리가 눈여겨 보아야 할 점이다. 왜 냐하면 수요에 근거하지 않는 공급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는 바 이는 현재와 같이 경제학이 교육될 경우 향후 경제학에 대한 수요는 더욱 감소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기업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질문에서는 조사대상 모두에서 “현 실적 사례의 개발 및 활용”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그림 23> 참조).

<그림 23> 기업에 관한 경제학 교육 개선방안

54.5 50.2

67.4 66.4

19.1 24.0

20.9

10.3 4.5

14.5

7.0

14.0 18.6

9.5 2.3 6.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교 수 대학 생 기 업인 사담 당자 기업 신입사 원

교 과개편 실 무자강 의 현 장학습 현 실사례

(41)

제4장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의식도

조사결과 : 응답주체별 분석

(42)

본 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조사대상별로 연령, 학력, 직업 등 개별구성원들의 특성별로 살펴본다. 이와 같 이 조사대상들의 개별특성별로 조사결과들을 살펴보는 이유는 3 장에서 살펴본 결과들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장에서 사용된 조사대상들의 개별속성들은 조사대상별로 다소 다르다. 일반국민의 경우는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소득, 거주지 역 등이, 교수그룹에서는 연령, 전공, 재직기간이, 인사담당자 그 룹에서는 업종, 신입사원 채용규모, 대학시 전공이, 입사 2-3년차 직원에서는 성별, 연령, 전공, 경제학 수강과목 수가, 학생그룹에 서는 성별, 연령, 학과, 학년, 학점, 부모 학력, 가구소득 등이10) 각각 사용되었다.

이하에서는 설문 항목에 대한 조사결과가 조사대상자들의 특성 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응답주체별로 살펴본다. 그런 데 앞 장에서 본 바와 같이 설문 조사항이 다소 많아 분석결과 모두를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바 이하에서는 주요 결과 만을 소개한다.

1. 일반국민

일반국민들에서는 특성별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 도”, “기업의 추구목적”,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 및 약점”,

“우리나라에서 기업하기 어려운 이유”, “기업가들에 대한 호감도”,

“기업가를 안좋게 생각하는 이유”, “기업가의 개인재산 처리” 등 에 대한 분석결과를 언급한다.11)

10) 대학생 그룹의 경우 이 외에도 대학소재 지역을 추가적으로 알 수 있다.

11) 나머지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는 요청시 제공할 수 있다.

(43)

48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표 4-1>과 <표 4-2>에는 일반국민들의 경우 특성에 따라 대기 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일반국민들의 53.3%는 대기업에 대해 안좋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74.9%가 좋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특히 대기업과 관련해서는 일반국민들을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볼 때는 다소 변한다. <표 4-1>에 따르면 학력별로 나눌 때는 학력이 낮은 그룹에서는 상대적으로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 이하의 학력을 지닌 국민들에서는 응답자들 중 50.4%가 대기업에 대해 호감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득 별로는 월 소득이 100만원 이하에서는 응답자들 중 47.2%가 대기 업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비율은 다른 소득계층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반면 월 소득이 281만원 이 상에서는 응답자들 중 28.3%만이 대기업에 대해 호감을 갖는 것 으로 나타나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연령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20 대는 33.2%, 30대는 35.6%, 40대는 27.7%, 50대는 45.6%로 나타 나 50대 이상에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비교적 대기업에 대해 우호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성을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도 다소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먼저 규모별로 살펴보았을 때 응답자들 중 대기업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대도시 32.0%, 중소도시 36.6%, 읍면지역 45.9%로 나타나 일반적 으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국민일수록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낮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을 위치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대 구 경북권에 사는 국민들은 응답자들 중 40.2%가 대기업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인 반면 강 원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는 23.5%만이 대기업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는 지역의 위치에 따라 대기업에 대

(44)

한 호감도가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 소득 등 모든 특 성에서 호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3>부터 <표 4-7>까지에는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 요한 목적이 무엇이냐”, “지금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이 이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느냐”(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에 대한 응답결 과가 정리되어 있다.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이 무 엇이냐”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의 복지 와 발전”, “사회와 국가의 발전”, “기업의 이익과 발전”, “소비자 의 복지향상”의 순으로 응답자가 많았었다. 이러한 응답순서는 일 반국민을 성별, 연령 등과 같은 특성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도 변 화가 없었다. 다소 특이한 점은 경제학에서 기업의 목적이라고 가 르치고 있는 “기업의 이익과 발전”에 대해서는 모든 특성에서 상 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력별로는 대재 이상 의 그룹에서, 소득별에서는 283만원 이상의 그룹에서, 나이가 많 을수록 이 비율이 다소 높아 일반국민들 중에서도 나이가 많거나 학력이 높거나 고소득층에서는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기업의 이익과 발전”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비 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비율은 지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서울, 대구 경북, 대전 충청권에서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이 이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느냐”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장점)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기업의 이익 과 발전”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사대상 특성에서 “잘 못하고 있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곧 우리나라 일반국민들의 대부분은 기업이 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지 못하 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리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단체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45)

50 기업, 기업인 및 경제학 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분석결과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이 무엇이냐”에 대한 질문조사 결 과를 응답자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는 <부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일반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정경유착”, “환경오염 등 사회에 대한 무책임성”, “족벌경영”, “열악한 근로조건”, “취약한 기술력”의 순으로 응답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조사 대상 일반국민을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다소 상이했 다. 먼저 성별로 나누었을 때는 남자에서는 “정경유착”이 우리나 라 기업의 최대 약점이라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가장 많았던 반 면 여자에서는 “환경오염 등 사회에 대한 무책임성”이라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학력 및 소득으로 표본을 구분했을 때 초등 이하, 중졸 및 월 소득 100만 이하의 표본에서도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으로 “환경오염 등 사회에 대한 무책임성”이라 고 응답한 사람이 각각 35.8%, 38.9%, 33.7%로 가장 많았으며 지 역별로도 읍면지역에서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환경오염 등 사회 에 대한 무책임성”이 우리나라 기업의 최대 약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최대 장점에 대한 질문에서는 학력별, 지역별, 소득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공히 “빠른 기술발전”이 최 대 장점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부표 2> 참조).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기가 어떠냐” 및 그 이유에 대한 응답결과를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는 <부표 3>과 <부표 4>에 정 리되어 있다. 전자의 질문에 대해서는 조사대상 모든 특성에서 공 히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 원인에 대해 서는 대체로 “불안정한 금융시스템”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를 특성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다소 상이한 결과 를 보였다. 원인을 성별, 연령별, 직업별, 소득별로 나누어 살펴보 았을 때 남자, 30대 및 40대, 화이트칼라, 대졸 이상, 월 소득 281 만원 이상의 그룹에서는 “불안정한 금융시스템”보다는 “과도한 규 제”가 보다 큰 원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46)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를 물은 응답결과를 특성별로 분석한 결 과는 <부표 5>에 정리되어 있다.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는 기업에 대한 호감도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준다. 즉 50대 이상, 초등 및 중졸 이하, 소득 100만원 이하 그룹에서는 각각 좋게 생각하고 있다는 비율 이 50%를 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살펴본 기업에 대한 호 감도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기업가에 대한 호감도 조사결과는 지 역별로도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55.6%가 기업가에 대해 좋게 생각하고 있다고 응답해 다른 지역과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기업가를 안좋게 생각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특성별 조사결과 는 <부표 6>에 정리되어 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경영능력 부 족과 도덕성 부족 두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모든 특성에서 “도덕 성 부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기업가의 개 인재산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모든 특성에서 “어느 정도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사실은 “전액 사회 에 환원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기업가의 자유에 맡겨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대부분의 특성에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12) 이는 앞서 살펴본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부분이 기업가 들을 부도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 다(<부표 7> 참조).

12) 그러나 성별에서는 남자, 연령별에서는 20-30대, 소득 및 학력별에서는 저학력 및 저소득, 지역구분에서는 대도시, 지역권에서는 부산 경남권, 인천 경기, 광주 전 라권에서 “기업가의 자유에 맡겨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다소 높았다.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1950: Graphics display on vectorscope on Whirlwind computer in first public demonstration.. UNIVAC I is the

Calculations, creativity, designs and recommendations are only of value if they can be effectively communicated to fellow engineers, decision makers and the

If the volume of the system is increased at constant temperature, there should be no change in internal energy: since temperature remains constant, the kinetic

In this paper, the power line characteristics as the view point of communication channel are investigated and the technologies of PLC are proposed to

The influences chorus ha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promotes the area of basic music; to improve the ability to read music, produce resonant soun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 of participating in senior education programs toward employment is influenced by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⑴ 4 basic directions, 16 themes, and 64 sub-theme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development are established, and

Especially, the results of downward elasticity of behaviour of labour costs and personnel expenses suggests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s of Korean fi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