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사업계획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사업계획서』"

Copied!
1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권역

구분 수도권 유형

구분

Ⅰ유형 (자율협약형)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사업계획서』

2020. 7.

단국대학교

(2)
(3)

【당초대비 변경 사항】

<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

- 해당없음

< 자율 성과지표 >

1. 자율성과지표 총괄

자율성과지표명 당초 대비 변경 여부 및 유형(해당 시)

변경 여부 유형 변경 내용 및 사유

3.1.

교육혁신지수 ○ 수정

- 1차년도 연차평가 결과, 세부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표에 고르게 반영해야 한다는 수정 권고에 따라 세부 프로그램별 주요 성과를 지표에 반영

- 사업과 직접 관련 없는 지표의 “삭제” 권고에 따라 “외국인 학생 중도탈락률” 등 일부 지표 삭제

- 지표 조정에 따른 산출식 및 오타 수정

- 1차년도 사업 실적이 목표치를 상회하여 2~3차년도 목표치 상향 조정

3.2.

융합연구지수 ○ 수정

- 사업규정에 따라 융합연구지원금을 연구비 성격으로 투입할 수 없어 ‘융합연구지원금’을 ‘융합연구기반 조성비’로 성격 전환 - 세부 프로그램의 성과를 고르게 반영하기 위해 ‘미래융합 연구

중심학과’와 ‘학부생연구트랙제(VIP)’ 추진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추가

3.3.

산학협력 혁신지수 ○ 수정 - 자율성과지표 관리 강화를 위한 세부 지표 추가 및 그에 따른 산출식 변경

3.4.

HUMART 행정혁신지수

○ 수정

- 1차년도 연차평가 결과, 세부 프로그램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지표의 재검토와 과다한 실적값에 대한 수정 권고에 따라 세부 사업별 주요 성과를 균형 있게 반영하도록 일부 지표 수정 - 지표, 목표치 및 산출식 수정

(4)

1-1. 자율성과지표 수정 주요내용

자율 지표명

수정

사항 구분 수정내용 요약

수정 전 수정 후

3.1.

교육 혁신 지수

✔ ✔

- 세부프로그램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지표 포함(당해년도 신규 교양/전공 교과목 수, 등록 외국인 학생 비율, 유학생 중도탈락율)

- 일부 프로그램 성과 지표 미반영 (EduAI 사용자 만족도, EduAI 이용 건수)

- 연간 1.5%p 향상 목표

- 1차년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지표 삭제

- 프로그램 및 지표 간 연계성을 고려한 EduAI 사용 실적 지표 포함

- Learning Community 운영 및 학내 학습 공동체 확산을 위한 Learning Community 참여자(교수·학생) 지표 포함

- 성과 과다 계상 방지를 위해 누적지표(다전공 이수 학생 수 등)의 당해연도 실적만 집계 하도록 변경

- 수정된 산식으로 1차년도 실적값을 반영한 결과값은 116.5로 목표치(100.5)를 초과 달성함에 따라 2,3차년도 목표치를 매년 7.5%p 이상 증가되도록 도전적으로 상향 조정 (기존 목표 대비 2,3차년도 목표치를 각각 24%p, 28%p 상향)

- 일부 산출식 오타 수정

3.2.

융합 연구 지수

✔ ✔ ✔ - 융합연구지원금 투입

- 융합연구기반 조성비

- 연구중심학과 실적 반영한 하위지표 신설 - 학부생연구트랙제 실적 반영한 하위지표 신설 - 새로운 하위지표를 포함하는 수정된 산식으로

도출되는 1차년도 실적값은 99.0으로 최초 수정사업계획 시 수립하였던 융합연구지수 상향 원칙(매년 10점)을 준용하여 2차년도 목표는 110.0, 3차년도 목표는 120.0으로 조정

3.3.

산학협력 혁신지수

✔ ✔ ✔ -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관리 지표 부족

- 학생창업자 매출액, 창업강좌 만족도 추가 - 세부지표 추가에 따른 산출식 조정 3.4.

HUMART 행정혁신

지수

✔ ✔

-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조사 - HUMART 행정시스템 당해연도 사용자 수 / 재적생

- HUMART 행정시스템 정보 활용 건수로 통합 - 세부지표 조정에 따른 산출식 조정

(5)

2. 자율성과지표 수정 전후대비표 3.1. 교육혁신지수

▸ 수정 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교육

혁신지수 100 100.5 102.0 103.5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교육혁신의 주요 구성 주체(교수, 학생) 및 요소를 중심으로 한 범주화 : 교육참여자,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방법

• 교육성과(핵심역량)의 단기 효과 측정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투입 및 단기 산출 지표를 활용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교육환경 혁신 : ALC, 집단지성 활용 Peer 평가 등 첨단 강의 환경 활용, EduAI 교육 지원시스템 활용 및 Young熊스토리 등 플랫폼 기반 성과 평가 도입

• 교육과정 혁신 : 모듈형 교육과정, 공유 교육과정, 중핵/공통 교양 도입 등

• 교육방법 혁신 : Learning Community, Design Thinking 등

산출식 • [(교육환경 혁신 + 교육과정 혁신) + (교육혁신 참여 + 핵심역량 함양 + 국제화 지수)] / 5 × 100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혁신적 교육과정 적용 학과(전공) 수 3개

신설학과 및 통합학과 교육과정 개발 건수 0개

ALC 강의실 수 33개

전공 교과목 개발/개설 건수 619개

교양 교과목 개발/개설 건수 161개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 건수 0개

다전공 이수 중인 재학생 수 6,294명

혁신적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 205명

신규 개설 교양 교과목 수강학생 수 0명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0명

학습공동체 참여 학생 수 460명

단국핵심역량 평균 3.53/5.00

전공역량 평균 3.62/5.00

학위과정 등록 외국인 학생 비율 3.95%

유학생 중도탈락률 7.29%

• 측정방법

(1) 교육환경 혁신 = {[혁신적 교육과정 적용 학과(전공) 수 × 5] + [신설학과 및 통합학과 교육과정 개발 건수 + [ALC 강의실 수(D-Space 등 포함) × 3]} / 18학년도 교육 환경혁신 값

(2) 교육과정 혁신 = {[전공 교과목 개발/개설 건 수] + [교양 교과목 개발/개설 건수] +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 건수]} / 18학년도 교육과정혁신 값

(6)

(3) 교육혁신 참여 = {[다전공 이수 중인 재학생 수]+[혁신적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 + [신규 개설 교양 교과목 수강학생 수] +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 [학습 공동체 참여 학생 수]}/(총 재학생 수) / 18학년도 교육혁신 참여 값

(4) 핵심역량 함양 = [(단국핵심역량 평균 × 0.5) + (전공역량 평균 × 0.5)] / 18학년도 핵심역량 함양 값

(5) 국제화 지수 = {(학위과정 등록 외국인 학생 비율) + (1-유학생 중도탈락율)} / 18학년도 국제화 지수 값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년 기준값을 고려 재학생 참여 비율 및 신규 강의 개설 건수 확대를 위해 기준값 기준 매년 1.5% 향상 목표. 단 2019년의 경우, 교육환경 및 교육과정 등 혁신을 위한 개발 및 준비가 중점적이므로 2018년 대비 0.5% 향상 목표. 2020년 이후 2019년 대비 매년 1.5% 향상 목표

기대성과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반 구축 및 투입, 산출, 질적 성과 향상 간의 균형적 반영

(7)

▸ 수정 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교육

혁신지수 100 116.5 124.0 131.5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교육혁신의 주요 구성 주체(교수, 학생) 및 요소를 중심으로 한 범주화 : 교육환경, 교육과 정 및 방법(강좌 및 프로그램), 교육참여주체(교수, 학생), 교육성과(핵심 역량)

• 혁신지원사업에 따른 투입(교육환경)-과정(교육과정)-산출(교육참여)-성과(핵심교육 성과)로 체계적으로 구성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교육환경 혁신 : ALC, 첨단 실습 강의실, 동영상 강의 녹화시스템 등 학습자 활용 교육공간 및 EduAI 교육지원시스템, Young熊스토리 등 플랫폼

• 교육과정 혁신: 모듈형 및 공유 교육과정, 중핵 및 공통교양, 비교과 프로그램(학습공동체, 디자인씽킹 등)

• 교육혁신 참여: 신규 교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이수자, 학습공동체 참여 교수

• 핵심교육 성과: 6대 단국핵심역량 및 10대 전공역량 지수, EduAI 사용자 만족도

산출식

• 교육혁신지수 = (①+②+③+④) / 4 x 100 ①: 교육환경 혁신

②: 교육과정 혁신 ③: 교육혁신 참여 ④: 핵심교육 성과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구분 지수 기준값

(2018년)

교육환경 혁신

혁신적 교육과정 적용 학과(전공) 수 3개

신설학과 및 통합학과 교육과정 개발 건수 0개

ALC 강의실 수(ALC, 동영상 강의 녹화 시스템, Peer 평가 운영 등

혁신적 방법이 활용 가능한 강의실) 33개

교육과정 혁신

혁신적 강의 방법 적용 강좌 수(디자인씽킹, Peer 평가, ALC 등) 0개

신규 교양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개발 건수 780건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건수 0개

교육혁신 참여

혁신적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영웅학기제, 모듈형 교육과정, 공유

교육과정 등) 205명

신규 교양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수강학생 수 0명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0명

다전공 이수 중인 재학생 수 6,294명

학습공동체 참여자 수(교수, 학생) 460명

EduAI 교육지원시스템 사용 건수 4,715건

핵심교육 성과

단국핵심역량 평균 3.53/5.00

전공역량 평균 3.62/5.00

EduAI 사용자 만족도 63.1/100

(8)

• 측정방법

구분 세부 산출식

교육환경 혁신 {[혁신적 교육과정 적용 학과(전공) 수 × 5] + [ALC 강의실 수 × 3]

+ [신설학과 및 통합학과 교육과정 개발 건수]} / 18학년도 교육환경 혁신 값

교육과정 혁신 {[혁신적 수업 방법 적용 강좌 수] + [신규 교양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개발 건 수]

+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건수]} / 18학년도 교육과정혁신 값

교육혁신 참여

{{[혁신적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 + [신규 교양교과목 및 전공교과목 수강학생 수]

+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 [다전공 이수 중인 학생 수]

+ [학습공동체 참여자 수] + [EduAI 교육지원시스템 사용 건 수]} / (총 재학생 수)}

/ 18학년도 교육혁신 참여 값

핵심교육 성과 {[단국핵심역량 평균 × 0.4] + [전공역량 평균 × 0.4]

+ [EduAI 사용자 만족도 x 0.2]} / 18학년도 핵심교육 성과 값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수정된 지표에 따른 산정 결과, 1차년도(2019년) 달성도가 116.5점으로 당초 목표(100.5점)을 크게 상회, 이에 1차년도 실적을 토대로 2~3차년도 목표를 당초 대비 7.5%p 이상 도전적 으로 상향 조정

• 영웅학기제, 모듈형 교육과정 시범 적용 등 혁신적 교육과정 도입,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인원 증가 등 교육과정 혁신 및 교육혁신 참여 지수 향상을 통해 실적 달성 기대

기대성과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반 구축 및 투입, 산출, 질적 성과 향상 간의 균형적 반영

(9)

3.2. 융합연구지수 ▸ 수정 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융합

연구지수 100 110.0 120.0 130.0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정량 지표인 융합연구지수를 설정. 융합연구지수는 융합연구의 결과물인 융합연구 논문의 양적 증가는 물론 질적 향상과 융합연구 확장을 위한 운영과 관련된 지표가 포함되어야 함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미래융합연구원’ 중심의 융합연구 기반 조성으로 인한 효과 정량화. 또한 ‘캠퍼스별 특성화를 반영한 연구중심학과 (RFD) 선정 및 육성’과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글로벌 연구 인재 양성’에 의해 더불어 발생될 전임교원의 융합연구 논문 업적 향상을 반영

산출식

• 융합연구지수 = {(융합연구 연구역량 지표 + 융합연구 운영 지표) / 2} × 100

• I. 융합연구 연구역량 지표 = (대학혁신지원사업 비용, 내부 융합연구지원비 (교책중점연구원 및 교내 융합과제) 및 2019년 이후 융합연구비 외부 신규 수주에 의한 전임교원의 융합 연구업적 점수 합계 (SCI/KCI급)) / (2018년도 융합연구지원 (교책중점연구원 + 융합과제 지원비)에 의한 전임교원의 융합 연구업적 점수 합계 (SCI/KCI급))

• II. 융합연구 운영 지표 = {1+ [융합연구 프로그램 운영 지수 (0.5 × (융합컨퍼런스 개최 횟수/2회)] + [0.5 × (융합연구 지원금 및 신규 융합연구 수주액/3.28억)]} / 2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 : (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2018년 융합연구지원에 의한 논문점수 3,913.5점

2018년 융합연구지원금 3.28억원

• 융합연구역량지표 측정방법 : 대학혁신지원사업비 연구분야 투자액 및 2019년 3월 이후 새로 확보된 융합연구비에 의한 전임교수의 융합연구 논문점수의 합 (SCI/KCI급)

• 교내 연구업적 업로드 시스템에 ‘대학혁신지원사업비 지원 + 2019년 3월 이후 융합연구비 외부 수주에 의한 연구 논문 체크’ 항목 추가 예정 (미래융합연구원, 연구중심학과, VIP 프로그램 및 기타 신규 융합연구비 수주에 참여한 전임교원의 업적 중)

• 융합연구에 의한 질적 향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업적 평가기준 수정 (분야별 상위 연구 논문에 대한 가중치 부여 기준 상향 조정) 후 반영할 예정

• 융합연구 운영지표 측정방법 : 2019년도 융합연구 개최 예정 횟수 2회/년 및 2018년도 융합연구 기 지원금 3.28억/년을 기준으로 삼음

• 2개 단과대학, 3개 학과(전공), 1개 교외(해외) 연구자 이상이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융합학 과(전공) 출간 연구논문에 한하여 융합연구 실적으로 인정할 예정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학년도 우리 대학의 융합연구지수를 기준값으로 하여 목표치 설정

• 융합연구 역량지표 : 2018년에 발생된 (2018.03 ~ 2019.02) 융합연구 지원에 의한 SCI/KCI급 논문 점수 총합 반영 (현재 3,913.5점임)

(10)

• 융합연구 운영지표 : 2019학년도에 예정된 융합컨퍼런스 개최 횟수 2회 및 융합연구지원금 3.28억(현 교책중점연구지원비 + 융합과제 지원비 합)을 기준값으로 잡음

• 최근 3년간 전임교원당 국제논문 편수 증가 비율의 평균값을(연 10%) 고려하여 융합연구 지수 연간 10% 향상 목표

기대성과

• 연구논문의 양적 증가만이 아니라 질적 향상 기대(단기)

• 교외 연구비 확보 능력 및 전체 대학의 연구력 (전임교원1인당 연구논문 수 등) 향상에 기여 (장기)

(11)

▸ 수정 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융합

연구지수 100 99.0 110.0 120.0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융합연구 활성화 및 융합연구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정량 지표로서 융합연구지수를 설정

• 융합연구지수는 연구기반 조성 및 연구 활동의 궁극적 결과물인 연구 논문의 양적, 질적 향상 정도를 평가

• 우수한 융합연구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및 ‘학부생 연구트랙제’ 의 시행 성과를 평가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미래융합연구원’ 중심의 제도 개선 및 연구기반 조성의 궁극적 효과를 융합연구논문 실적 으로 정량화(융합연구 역량지표)

• 미래융합연구원의 글로벌 융합컨퍼런스 개최 및 연구기반 조성 실적을 정량화

•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및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융합연구 후속세대 양성’에 의한 운영실적을 정량화

산출식

• 융합연구지수 = (①+②+③+④+⑤) / 5 x 100 ①: 융합연구논문 발표 실적

②: 글로벌 융합 컨퍼런스 개최 실적 ③: 융합연구기반 조성 실적

④: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지원 실적 ⑤: 학부생 연구트랙제(VIP) 운영 실적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융합연구 논문 점수(기존 기준 준수) 3,913.5점

글로벌 융합 컨퍼런스 개최회수(기존 기준 준수) 2회

융합연구기반 조성비(기존 기준과 동일) 3.28억원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운영 실적 1

학부생연구트랙제(VIP) 운영 실적 1

• 측정방법

구분 세부 산출식

융합연구논문 발표 실적

융합논문 점수 합계 / 18학년도 융합논문 점수 합계

ž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시스템(KRI)에 등록된 해당 연도 연구업적 중 융합연구의 정의를 충족하는 논문 점수의 합을 기준값으로 나누어 산출

ž 융합연구업적 정의: 2개 단과대학, 3개 학과(전공), 1개 교외(해외) 연구자 이상이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융합학과(전공)에서 발표한 연구논문

글로벌 융합컨퍼런스

개최 실적 국제컨퍼런스 개최횟수 / 18학년도 국제컨퍼런스 개최횟수

융합연구기반

조성 실적 연구기반조성 지원금 / 18학년도 연구기반조성 지원금

(12)

구분 세부 산출식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지원 실적

연구중심학과 연구실적물 수 / 연구중심학과 전임교원 수

ž 연구중심학과 연구실적물 : 선정된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소속 대학원생과 교수가 공동으로 산출한 연구실적물로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시스템(KRI)에 등 록된 연구실적에 해당 대학원생이 공동저자 이상으로 참여한 실적물

학부생 연구트랙제(VIP)

운영 실적

학부생 연구기여점수 합계 / 참여 학부생 수

ž 학부생 연구기여점수 : 교내 연구기관(교책, 부설, 일반연구소)에 의하여 VIP 참여 학생으로 등록된 학부생이 해당 연구소 소속 지도교수와 공동으로 산출한 연구실적에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한 값

ž 학부생의 연구성과 인정 가중치 가중치

SCI급 논문 주저자: x40 국제학회 포스터발표 주저자: x6 SCI급 논문 공동저자: x20 국내학회 포스터발표 주저자: x5 KCI급 논문 주저자: x20 국제학회 포스터발표 공동저자: x4 KCI급 논문 공동저자: x10 국내학회 포스터발표 공동저자: x3 국제학회 구두발표: x8 교내학술대회 발표: x2

국내학회 구두발표: x7 VIP 참여학생 연구활동기록: x1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학년도 우리 대학의 융합연구지수를 기준값으로 하여 목표치 설정

• 융합연구논문 실적 기준은 최초 계획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2018년에 발생된(2018.03 ~ 2019.02) SCI/KCI급 논문 점수 총합(3,913.5점)

• 글로벌융합컨퍼런스: 해당연도에 예정된 개최 횟수 2회에 대한 실제 개최 횟수의 정량값으로 산정

• 융합연구기반 조성지원금 기준은 과제 시작 시점의 융합연구 지원금 3.28억원과 동일한 금액 으로 설정

•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운영성과는 대학원 중심 프로그램으로서 선정학과의 대학원생과 교수가 공동으로 산출한 연구성과물 편수로 산정

•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는 교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운영성과는 연구기관의 VIP 참여 학부생의 산출한 연구성과의 합을 참여 학생수로 나누어 정량값으로 산정

• 1차년도에는 ‘연구중심학과’를 학부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대학원 중심으로 운영하였으나 2차년도에는 프로그램 성격에 맞추어 실시 대상을 맞바꿈

• 그 결과 새로운 산식으로는 성과 산출이 불가능함. 따라서 새로운 산식으로 1차년도 결과를 산출할 때 연구중심학과 및 VIP 실적은 기준치를 달성한 것으로 가정하여 평가한 결과 융합 연구지수 99.0으로 평가

• 융합연구지수를 매년 10%p 향상시킨다는 원칙을 준용하여 2~3차년도 목표를 각각 110, 120으로 수정

• 융합연구지수 수식 변경은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의 연구성과물을 하위지표에 새롭게 포함시킨 도전적인 자율성과지표임

기대성과

• 융합연구 기획과 연구조직의 혁신으로 융합연구 역량을 향상하고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확대

• 연구중심학과 및 VIP를 운영하는 연구소를 중심으로 미래의 융합연구를 이어갈 우수한 학문 후속세대 양성

• 대학의 융합연구역량 강화로 경기ž충청권의 연구클러스터와 시너지 창출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글로벌 지식 공동체 실현

• 융합연구 실적의 양적, 질적 향상

(13)

3.3. 산학협력 혁신지수 ▸ 수정 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산학협력

혁신지수 100 105.3 111.6 118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예산 투입이 발생하는 프로그램 중심으로 지표 구성

• 산학협력 혁신은 연구 수주, 기술사업화, 협력 네트워크 및 인프라 수준에 의해 관리될 수 있음

• 산학협력 혁신 프로그램으로 제시한 2개 세부프로그램과 관련성이 높고 객관적 집계 및 관리가 가능한 지표 중심으로 설정

• 공시자료 중심으로 지표를 선정하여 객관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정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연구비 수주 금액 : 산학협력 성과 전반을 대표

• 기술이전 수입료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 기술자회사 수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 가족기업 수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구축

•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구축

• 학생 창업자 수 :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산출식

• {(0.1 × 연구비 수주 금액 / 2018학년도 연구비 수주 금액) + (0.1 × 기술이전 수입료 / 2018학년도 기술이전 수입료) + (0.2 × 기술자회사 수 / 2018학년도 기술자회사 수) + (0.2 × 가족기업 수 / 2018학년도 가족기업 수) + (0.2 ×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2018학년도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0.2 × 학생 창업자 수 / 2018학년도 학생 창업자 수)} × 100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2019 2020 2021

연구비 수주 금액(년) 492억 495억 498억 501억

기술이전 수입료(년) 9.93억 10억 11억 12억

기술자회사 수 9개 10개 11개 12개

가족기업 수 2,306개 2,400개 2,500개 2,600개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59명 60명 61명 62명

학생 창업자 수(년) 11개 12개 13개 14개

* 기술자회사 수, 가족기업 수,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는 누적

• 측정방법

- 대학알리미 공시자료 기준 및 외부 공개 자료 활용 - 연구비 수주 금액 = 공시자료 기준 연구비 수주액 - 기술이전 수입료 = 기술이전 수입 + 기술이전 사업비 - 기술자회사 수 =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수

- 가족기업 수 = 등록 가족기업 수

-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산학협력 교원 수 + 산학협력 정규직((혁신지원사업 신규인력) 무기계약직 포함) 직원 수

- 학생 창업자 수 = 사업화 실적 보유 학생 수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산학협력 혁신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서도 대학혁신 지원사업 세부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구성

• 최근 3년간의 기준값 변화를 참고하여 달성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인 목표치 설정

기대성과

• 산학협력 전반에 대한 균형 잡힌 성과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 기술사업화 관련 지표들을 중심으로 지수를 설정함으로써 4차산업혁명 시대 흐름에 맞춘 새로운 재정수입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14)

▸ 수정 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산학협력

혁신지수 100 111.7 115.5 127.2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산학협력 혁신은 학생 창업성과, 기술사업화, 협력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축 수준에 의해 관리될 필요 있음

• 산학협력 혁신 프로그램으로 제시한 2개 세부프로그램과 관련성이 높고 객관적 집계 및 관리가 가능한 지표 중심 설계

• 공시자료 중심으로 지표를 선정하여 객관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정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지수 관련 프로그램

연구비 수주 금액(년) 산학협력 총괄(Outcome)

기술이전 수입료(년)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Process & Output) 기술자회사 수

가족기업 수 학생 창업자 매출액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Process & Output) 창업강좌 만족도

학생 창업자 수(년)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산학협력 공통(Input)

산출식

산학협력지수 = (①+②+③+④+⑤+⑥+⑦+⑧) x 100 ①: 연구비 수주금액 × 0.1

②: 기술이전 수입료 × 0.2 ③: 기술자회사 수 × 0.1 ④: 가족기업 수 × 0.1

⑤: 학생 창업자 매출액 × 0.2 ⑥: 창업강좌 만족도 × 0.1 ⑦: 학생 창업자 수 × 0.1 ⑧: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0.1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

지수 기준값 2019 2020 2021

연구비 수주 금액(년) 492억 534억 498억 501억

기술이전 수입료(년) 9.93억 12.59억 11억 12억

기술자회사 수 9개 10개 11개 12개

가족기업 수 2,306개 2,381개 2,500개 2,600개

학생 창업자 매출액 2.3억 2.3억 3.2억 4억

창업강좌 만족도 4.245 4.245 4.3 4.35

학생 창업자 수(년) 11명 16명 13명 14명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59명 56명 61명 62명

* 기술자회사 수, 가족기업 수, 학생 창업자 매출액,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는 누적

• 측정방법

구분 세부 산출식

연구비 수주 금액(년) (연구비 수주 금액 / 18학년도 연구비 수주 금액) × 0.1 ž 공시자료 기준 연구비 수주액

기술이전 수입료(년) (기술이전 수입료 / 18학년도 기술이전 수입료) × 0.2 ž 기술이전 수입 + 기술이전 사업비

(15)

구분 세부 산출식

기술자회사 수 누적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수 / 18학년도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수

가족기업 수 누적 등록 가족기업 수 / 18학년도 등록 가족기업 수

학생 창업자 매출액 누적 학생 창업자 매출액 / 2017~2019 학생창업자 매출 실적 합 × 0.2

창업강좌 만족도 2개학기 평균 창업강좌 만족도 / 19학년도 2개학기 평균 창업강좌 만족도

학생 창업자 수(년) 학생 창업자 수 / 18학년도 학생 창업자 수 ž 사업화 실적 보유 학생 수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누적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18학년도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ž 산학협력 교원 수 + 산학협력 정규직((혁신지원사업 신규인력) 무기계약직 포함) 직원 수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산학협력 분야 성과지표 관리 강화를 위해 세부지표 추가 및 핵심지표 가중치 조정

• 1차년도에 목표를 초과 달성하여 사업비 규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성과 창출이 가능 하도록 사업 내용 조정

• 산학협력 혁신성과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서도 대학혁신 지원사업 세부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재구성

• 최근 3년간의 기준값 변화를 참고하여 달성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인 목표치 설정

기대성과

• 산학협력 전반에 대한 균형 잡힌 성과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 4차산업혁명 시대 흐름에 맞춘 새로운 대학 재정수입원 확보, 수입 증대 및 학생 창업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16)

3.4. HUMART 행정혁신 지수 ▸ 수정 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HUMART

행정혁신지수 100 100.0 101.0 103.0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우리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기반으로 대학혁신전략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적 기반이 되는 행정시스템 혁신이 필요

•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 의사결정시스템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 구축은 대학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필수

• 현실성 있는 정책결정과 집행 후 환류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예산과 연동된 성과관리 방안이 연계 적용되어야 함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 예산이 연동된 성과관리 시스템,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은 모두 교내 구성원의 만족도가 기준이 되어 정책추진 및 개선방안이 도출 가능함

산출식

•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 18학년도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 100)}

+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만족도 / 18학년도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만족도 × 100)]

+ [(HUMART 행정시스템 1년 사용자수 / 재적생) / 18학년도 (HUMART 행정시스템 1년 사 용자수 / 재적생) × 100)]} /3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66.5점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조사 56.7점

HUMART 행정시스템 당해연도 사용자 수 / 재적생 9.65%

• 측정방법

-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 CS경영센터의 행정서비스만족도 조사 (데이터정보환 경 만족도 + 행정서비스개선 만족도)

⋆데이터정보환경 만족도 평균 : 직원 간 업무협조 + 행정정보 접근 용이성 + 행정담당자 접근 용이성

⋆행정서비스개선 만족도 평균 : 행정서비스 만족도 + 개선노력 + 충분한 지식과 전문성 (※ 2017학년도 기준값 적용)

-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 인공지능기반 행정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 블록 체인 기반 증명서 발급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 학내 마일리지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5지선다 설문 중,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라고 답한 학생의 비율을 산정)

- HUMART 행정시스템 1년 사용자수 : (인공지능기반 행정시스템 사용자 수 + 블록체인 기반 증명서 발급 시스템 사용자 수 + 학내 마일리지 시스템 사용자 수) / 재적생 ⋆인공지능기반 행정시스템은 2018년 5월 서비스 시작, 학내 마일리지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증명서발급 시스템은 구축 예정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년 인공지능기반 행정시스템에 대한 구성원의 만족도 조사와 사용자 통계 조사가 실시 되었으며, 이후 매년 실시할 예정임

기대성과

• 합리적인 의사결정시스템으로 사업 및 정책 추진의 실효성을 높임

• 예산과 연동된 성과관리 시스템의 환류과정을 통해 개선된 정책 및 사업 추진의 현실성이 높아짐

• 행정시스템의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행정 처리에 대한 역량을 교육이나 기타 중요업무에 전이하여 효율성을 높임

(17)

▸ 수정 후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행정

혁신지수 100 99.9 125.2 129.1

지표 설정 근거

지표 선정 이유

• 우리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기반으로 대학혁신전략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적 기반이 되는 행정시스템 혁신이 필요

•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 의사결정시스템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 구축은 대학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필수

• 현실성 있는 정책결정과 추진 후 환류의 효과적인 반영을 위해 예산과 연동된 성과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

세부 프로 그램 과의 관련성

•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 예산이 연동된 성과관리 시스템,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 등은 교내 구성원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정책추진 및 개선방안의 도출 가능

산출식

HUMART 행정혁신지수 = (①+②) / 2 x 100 ①: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②: HUMART 행정시스템 정보 활용 건수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

지수 기준값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66.5점

HUMART 행정시스템 정보 활용 건수 6,802건

• 측정방법

구분 세부 산출식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CS 행정서비스 만족도 / 18학년도 CS 행정서비스 만족도 ž 데이터정보환경 만족도 + 행정서비스개선 만족도

* 데이터정보환경 만족도 : 행정정보 접근 용이성 만족도 + 행정담당자 접근 용이성 만족도 + 직원 간 업무협조 만족도

* 행정서비스개선 만족도 : 개선노력 만족도 + 행정서비스 만족도 + 충분한 지식과 전문성

HUMART 행정시스템 정보 활용 건수

행정시스템 정보 활용 건수 / 18학년도 행정시스템 정보 활용 건수 ž DICA(단국대 환류시스템), 대학재정현황 분석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생성되는 모든 형태의 정보(문서, 콘텐츠, 빅데이터, 정형데이터 등)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활용 신청된 건수를 합산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년 행정시스템에 대한 구성원의 만족도 조사와 사용자 통계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후 매년 실시할 예정

• 2019년 행정시스템 정보활용 건수 조사가 실시 되었으며, 이후 매년 실시할 예정

기대성과

• 합리적인 의사결정시스템으로 사업 및 정책 추진의 실효성 제고

• 예산과 연동된 성과관리 시스템의 환류과정을 통해 개선된 정책 및 사업 추진의 실현성 강화

• 행정시스템의 만족도 향상에 따라 행정 처리 역량을 교육 또는 기타 중요 업무에 발휘하여 업무 효율성 증대

(18)

【대학혁신지원사업 개요】

성과 지표

구분 지표명 단위 기준값

달성 목표값 향상률(%)

(2021년 목표값/기준값)

2019년 비고

(실적) 2020년 2021년

자율 지표

① 교육혁신지수 점 100 116.5 124.0 131.5 131.5

② 융합연구지수 점 100 99.0 110.0 120.0 120.0

③ 산학협력 혁신지수 점 100 111.7 115.5 127.2 127.2 ④ HUMART

행정혁신지수 점 100 99.9 125.2 129.1 129.1

재정 투자

영역

국고지원금(백만원)

비율(%) 비고 2019년

(집행액)

2020년 (계획)

2021년 (계획)

교육 3,995 6,022 5,555 71.6

연구 1,358 1,222 1,180 17.3

산학협력 288 355 350 4.6

기타 184 337 200 3.3

사업관리 및 운영 17 391 300 3.2

합 계

당해연도 사업비(A) 7,585 7,585

100%

전년도 이월금(B) 742

합계(A+B) 5,842 8,327

(19)

【대표적인 혁신 세부 프로그램 추진계획】

선정사유 : 집단지성을 활용한 참여형 교육방법과 평가의 혁신으로 대학교육의 혁신 선도모델 제시

1. (세부)프로그램명 :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 1.1. 추진배경

현황 분석

○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따른 다양한 교육방법의 변화 노력 지속 ⦁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육방법의 혁신 지연

○ MOOC, 플립 러닝, 원격수업 등 온라인 기반 수업의 지속적 확대와 운영

⦁ 온라인 기반 강의 확대에 따른 과정 중심의 평가 방법과 평가의 공정성 이슈 급부상 추진 필요성

○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의 중요성 부각 ○ 분산 인지를 기반으로 한 지식공동체 교육으로 패러다임의 대전환 ○ 문제해결력 및 창의력 증진과 학습의 주체적 참여에 대한 사회적 요구 ○ 온라인 강의 확대에 따른 평가 방법 및 공정성 확보 필요

[ 그림 ] 교육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학습 환경의 변화

1.2. 추진방향 및 내용 사업 목표

○ 창의적 협력학습을 적극 실천하여 학생의 문제해결력 강화 ○ 집단지성 기반의 교육 평가를 통하여 평가의 공정성 확보 ○ 집단지성을 활용한 학생 중심의 평가 체제 구축

연차별 계획

○ 클라우드 기반의 집단지성 학습체계 구축

○ 학습자 간 실시간 Peer 평가를 통한 평가체계의 탈중앙화, 투명화, 객관화

○ 집단지성 기반의 동료평가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으로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가속화

○ 집단지성 기반의 동료평가 시스템 구축으로 Virtual Campus 요소 정교화

(20)

2020년 세부계획

○ 집단지성 기반 DKU 동료평가 모델 및 운영 모델 개발

⦁ 1차년도 정책 연구와 추가적인 학문영역의 특성 및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DKU 동료평가 모델 및 운영 모델 개발

○ 동료평가 시스템 설계요소 도출 및 설계 제안

⦁ DKU 동료평가 모델 구현을 위한 동료평가 시스템 설계 요소 도출 ⦁ 설계요소를 중심으로 시스템 프로토타입 제시

○ 시스템 설계 요소를 바탕으로 시스템 시범 개발과 적용 ⦁ DKU 동료평가 시스템 시제품 제작

⦁ 시제품을 중심으로 학문 영역별(인문사회, 자연공학, 예체능) 시범 적용 ○ 시범 적용 효과분석

⦁ 시개발된 시스템의 학문 영역별 시범 적용 결과를 분석 ⦁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효과 분석과 3차년도 확대 방안 마련 세부 추진 일정

1.3. 기대효과

○ 클라우드 기반의 집단지성 학습체제 구축 ○ 학습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 가속화 ○ 강의/교육 평가의 공정성 확보

(21)

사업계획서 목차

<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대학의 비전 및 목표 ··· 1

2. 대학의 중장기 발전전략 ··· 7

3. 종합 재정 투자 계획 ··· 18

Ⅰ. 대학혁신지원 사업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대학의 비전과 대학혁신지원 사업 목표 ··· 1

1.1. 대학의 비전 ··· 1

1.2.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 ··· 2

2.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사업 목표와의 연계성 및 목표 설정 ··· 4

2.1. 대학의 중장기 발전 계획과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연계성 ··· 4

2.2. 대학혁신지원사업 목표 설정 ··· 5

Ⅱ. 대학혁신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대학의 현황 분석 및 진단 ··· 7

2. 대학의 영역별 혁신전략 ··· 11

2.1. 교육 혁신전략 ··· 12

2.1.1. 프로그램명 :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인프라 구축 ··· 12

2.1.2. 프로그램명 : Liberal Education을 위한 교양교육 혁신 ··· 15

2.1.3. 프로그램명 : 혁신적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학생의 전공선택권 확대 ···18

2.1.4. 프로그램명 : 학생 중심 교육방법 혁신 ··· 21

2.1.5. 프로그램명 :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교육지원 시스템 구축 ··· 26

2.1.6. 프로그램명 : Virtual Campus 구축 ··· 30

2.2. 연구 혁신전략 ··· 32

2.2.1. 프로그램명 : 미래융합연구원 중심의 글로벌 융합연구 기반 조성 ··· 32

2.2.2. 프로그램명 : 미래융합 연구중심학과 선정 및 운영 ··· 34

2.2.3. 프로그램명 :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글로벌 연구인재 양성 ··· 35

2.3. 산학협력 혁신전략 ··· 37

2.3.1. 프로그램명 : 지속가능형 글로벌 기업가 양성 ··· 37

2.3.2. 프로그램명 : 개방형 산학협력 혁신 플랫폼 CONNECT+ 구축 ··· 39

2.4. 기타 혁신전략 ··· 41

2.4.1. 프로그램명 :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학운영 효율화 ··· 41

2.4.2. 프로그램명 : 코로나19 감염병 예방 ··· 43

(22)

3. 대학 구성원 참여유도 방안 ··· 45 4. 대학의 혁신성장 기대 효과 ··· 47

Ⅲ. 재정투자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1. 대학 투자 우선순위 제시 ··· 48 2. 대학혁신지원사업 재정투자 계획 ··· 50 2.1. 총 사업비 구성 ··· 52 2.2. 2차년도 사업비 구성 ··· 53

Ⅳ. 성과관리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1. 대학의 비전과 사업목표-대학혁신전략-재정투자계획-성과관리의 일관성 및 연계성··· 57 2. 사업성과관리체계 ··· 58 2.1. 사업추진체계 ··· 58 2.2. 사업관리조직 구성 ··· 59 2.3. 사업 성과관리 운영 체계 ··· 61 3. 성과지표 설정 및 달성목표 총괄표 ··· 62 3.1. 자율지표명 : 교육혁신지수 ··· 62 3.2. 자율지표명 : 융합연구지수 ··· 63 3.3. 자율지표명 : 산학협력 혁신지수 ··· 65 3.4. 자율지표명 : HUMART 행정 혁신지수 ··· 67 4. 성과확산 및 환류방안 ··· 68 4.1. 성과공유 및 확산 ··· 68 4.2. 환류방안 ··· 69

[증빙자료]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사업계획서 증빙자료

(23)

사업계획서 그림 목차

<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그림 1]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 ··· 1 [그림 2]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 및 인재상 ··· 2 [그림 3] 우리 대학의 SWOT 분석 ··· 3 [그림 4] 단국대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 개요 ··· 6 [그림 5] EduAI 교육지원시스템의 구현 예시 ··· 8 [그림 6] D-LAC의 구성 ··· 9 [그림 7] 교양교육대학 교육과정의 DICA 환류체계 ··· 9 [그림 8] 자체재원 및 외부재원별 재정투자 현황 및 계획 ··· 19 [그림 9] 정부지원사업 유사·중복성 방지를 위한 프로세스 ··· 20

Ⅰ. 대학혁신지원 사업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그림 1-1] 단국대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 개요 ··· 1 [그림 1-2]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과 교시, 교육목표, 인재상 ··· 1 [그림 1-3] 단국학생핵심역량(Dankook Student Key Competency) ··· 2 [그림 1-4]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 달성 체계 ··· 3 [그림 1-5] 대학혁신지원사업의 9대 발전전략 도출 과정 ··· 3 [그림 1-6] 중장기 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과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연계성 ···· 5 [그림 1-7] 대학혁신지원사업 4대 분야, 9대 발전전략, 12대 중점 프로그램 ··· 6

Ⅱ. 대학혁신전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2-1] 2020학년도 죽전 및 천안캠퍼스 단과대학(학과・부) 편제 현황(2020. 7) ··· 7 [그림 2-2] 우리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체계도 ··· 8 [그림 2-3] 우리 대학 교육지원체계 ··· 8 [그림 2-4]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환류체계(DICA) ··· 9 [그림 2-5] 학생역량진단 추이(2016~2019) ··· 9 [그림 2-6] 우리 대학 주요 정부재정지원사업 (2020. 7. 기준) ··· 10 [그림 2-7] 우리 대학 강·약점 분석 ··· 10 [그림 2-8] Liberal Education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편안(2023학년도 시안) ··· 16 [그림 2-9] 「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한 전공설계의 자율성 및 유연성 확대」(예시) 19 [그림 2-10] 과학기술대학 Top-Edu 공유 교육과정(예시) ··· 20 [그림 2-11] 「Learning Community 확대 운영」의 추진 방법 ··· 22

(24)

[그림 2-12]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개념도 ··· 23 [그림 2-13] 「Design Thinking 교육의 확대」 전략 ··· 25 [그림 2-14] 「인공지능(Edu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전략 ··· 27 [그림 2-15] 「학생역량관리시스템 Young熊스토리 고도화」 추진 전략 ··· 29 [그림 2-16] 「온라인 교육 플랫폼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31 [그림 2-17] 「미래융합연구원 신설 및 운영을 통한 융합연구 기반 조성」 ··· 32 [그림 2-18]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의 개념 및 고도화 방안」 ··· 37 [그림 2-19]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주요 프로그램」 ··· 38 [그림 2-20]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 39 [그림 2-21] 「산학협력 판교 거점센터(DKU 판교 글로벌 창업혁신센터) 추진 활동」 ··· 40 [그림 2-22] 대학 구성원 참여유도 방안 ··· 45 [그림 2-23] 대학혁신지원사업 프로그램 운영의 기대효과 ··· 47

Ⅲ. 재정투자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3-1]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을 위한 대학 전체 예산 투입 실적 및 계획 · 48 [그림 3-2] 중장기 발전계획과 연계한 대학혁신지원사업 재정투자계획 투자 우선순위 ···· 49 [그림 3-3] 대학혁신지원사업 세부 프로그램별 예산 규모 및 투자 계획 ··· 50 [그림 3-4] 정부지원사업 유사·중복성 방지를 위한 프로세스 ··· 51

Ⅳ. 성과관리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그림 4-1] 우리 대학 성과관리체계 ··· 57 [그림 4-2]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추진체계 ··· 58 [그림 4-3]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 운영체계 ··· 61 [그림 4-4] 대학혁신지원사업 환류체계 ··· 69

(25)

단국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용어 정의

용 어 정 의

단국핵심역량 (DKU-DNA)

Ÿ D3인재상을 실현하기 위해 교수자 및 학습자가 개발해야 할 학생의 핵심역량 - 문제해결(Deliberation) / 전문지식(Knowledge), 세계시민(Universal value) 협력ž헌신(Dedication) / 자기주도(self-maNagement), 의사소통(Articulation) 영웅학기제 Ÿ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

Academic Advisor Ÿ 중도탈락위기 학생 등에 대한 학생역량관리시스템 기반 Advising Process Adaptive Learning

시스템

Ÿ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데이터를 수집ž분석하여 현재의 이해 수준과 학습스타일에 따라 최적의 맞춤형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시스템

ALC Ÿ Active Learning Classroom (능동형 학습 강의실) 또는 Active Learning Community (능동형 학습 커뮤니티)

Co-Curriculum Ÿ 정규교과 교육과 비교과 교육을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교육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하여 비교과 영역과 교과 영역을 연계한 단국대학교 고유의 교육과정

D3 인재상 Ÿ 민족애를 바탕으로 인류사회에 공헌하기 위한 단국대학교의 인재상

- 능동적 인재(self-Determination), 혁신적 인재(Discovery), 헌신적 인재(Dedication)

Dan.i Ÿ 지능형 교육지원시스템(EduAI) 연구개발의 결과물의 일종인 대화형 인터페이스 구조 챗봇 서비스. ‘인공지능 교육지원비서’라고도 불림

DICA Ÿ 단국대학교 교육성과 및 사업관리 환류체계 모델

- 디자인(Design)-실행(Implement)-점검(Check)-성과분석 및 환류(Assess) DK로드맵 Ÿ 영웅학기제 내 전체 신입생 대상 필수 교과목(1학점, P/F)겸 프로그램, 총 22시간 구성

D-MOOC Ÿ 단국대학교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

- K-MOOC와 연계하여 새로운 학습 경험의 장을 확대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EduAI Ÿ 교내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학생, 교직원에게 학사, 교과, 취업 등의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교육지원시스템 시스템

FARM Ÿ 학생의 글로벌 창업역량 향상을 위한 창업선도모델

- 기반형성기(Fertilizing)→목표설정기(Aiming)→역량강화기(Raising)→실전경험기(Matching)

학생중심의 HUMART University

Ÿ HUMAN + SMART University

- 인간중심의 가치와 철학이 살아있는 첨단기술 기반의 교육시스템으로서의 대학을 지칭하는 단국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

Young熊스토리

Ÿ 단국대학교 학생역량관리시스템

- 교육과정 운영에 따라 축적된 학생의 수강 내역(교양ㆍ전공ㆍ비교과)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육의 질 향상 및 개인별 학업 포트폴리오 설계 등 다양한 기능 제공

Virtual Campus

Ÿ 대학이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학습관리시스템(LMS)

- 코로나19 등 각종 위기상황에 대응하여 안정적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대학교육 시스템

(26)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요약>

대학혁신지원사업

(27)

1.1. 대학의 건학이념 및 인재상

1.1.1. 대학의 건학이념

설립배경

○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범정 장형 선생과 육영사업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던 혜당 조희재 여사가 광복 후 분단된 현실 속에서 민족의 동질성을 끝까지 지켜나가도록 교육해야 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설립

교육이념

○ 홍익인간의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은 구국, 자주, 자립

구분 내 용

구 국 ᐧ 어떠한 경우에도 민족 정통성에 의한 나라를 세우고 지켜가겠다는 ‘국가관’을 의미 자 주 ᐧ 어느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민족관’을 의미 자립 ᐧ 구국과 자주의 정신 위에 스스로 설 수 있는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세계관’을 의미

[그림 1]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

1 대학의 비전 및 목표

대학혁신지원사업

(28)

1.1.2.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인재상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 우리 대학의 교육목적은 「진리」와 「봉사」

구 분 내 용

진 리 ᐧ 교육이념의 정신적 지표로, 참된 이치와 도리를 탐구하는 것 봉 사 ᐧ 교육이념의 실천적 지표로, 탐구를 통해 얻어낸 진리를 실천하는 것

○ 우리 대학의 교육목표는 「민족애를 바탕으로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인재 양성」

⦁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방안 : 「인간 존중 정신의 함양」, 「창의력 개발과 응용」,

「실용적 능력 배양」

인재상

○ 우리 대학의 인재상은 「D3 인재」

구분 내 용

능 동 적 인 재

(self-Determination) ᐧ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인재 혁 신 적 인 재

(Discovery) ᐧ 국가와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끊임없이 도전하고 창조하는 인재 헌신적 인재

(Dedication) ᐧ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평화를 위하여 봉사하고 희생하는 인재

[그림 2]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 및 인재상

(29)

1.2. 대내·외 여건 및 대학 현황 분석

1.2.1. 대내·외 여건 분석

대내·외부 여건 및 SWOT분석

[그림 3] 우리 대학의 SWOT 분석

(30)

4대 핵심추진분야 과제 및 추진단계 ○ 분야별 추진목표와 과제

4대 핵심 추진 분야 분야별 추진 목표 4대 핵심추진 분야 과제

교육 교육 가치의 창출미래 지향적

교육 분야의 특성화

ᐧ 혁신 적 교육 방법의 운영과 교육환 경 구축 ᐧ 역량 기반, 수요 자 중심 의 교육 과정 개 발 ᐧ 교양 교육과 교양학 사조직 체계화 및 집중 육성 ᐧ 학생 지도상 담 체계 화 및 비 교과 교 육 확대 ᐧ 융합 중심의 대학원 교육 프 로그램 개발·운영 ᐧ 학생 진로와 취·창 업 지원 의 체계 화 및 활 성화

국제화 역량 강화

ᐧ 영어 전용트 랙 확대 와 외국 인 교수 /학생 확 보 ᐧ 세계 수준의 교육 콘 텐츠 개 발 및 활 용 ᐧ 다각 적 국제 교육 교 류 확대 및 국제 표준 교 육

미래형 교육 지원 시스템 구축

ᐧ 학생 맞춤형 해빙교 육과정 의 운영 ᐧ 융합 형 교육 확대

ᐧ 비형 식 교육 , 직 업교육 , 평 생교육 센터 기 능 강화 ᐧ EduAI 기 반 학생 맞춤형 지원체 계 구축

연구

세계 수준의 창의적 지식 공동체 구축

연구 수월성 확보 및 국제 경쟁력 강화

ᐧ 연구 사업 및 핵심 연 구주제 특화 분 야 선정 ᐧ 연구 역량 및 지식재 산권 확 대 지원 체제 강 화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

ᐧ 연구 및 지식재산권 실적 제고를 통한 국제적 인지도 향상 ᐧ 해외 연구소 및 대학 과의 공 통연구 를 통한 교류 확 대 ᐧ 대학 원의 글 로벌 인 재양성 강화

독립, 자율, 체계적 연구 활동을 위한 시스템 완성

ᐧ 연구 소 중심 의 대학 연구시 스템 활 성화

ᐧ 단국 미래융 합연구 원 설립 및 연구 통합조 직 운영 ᐧ 연구 활성화 를 위한 다양한 제도 혁 신

ᐧ 학부-대학원 통합연계과정 및 대학원 중심 학부과정 운영

봉사

· 협력

봉사와 협력의 대학 브랜드

명품화

지역사회 친화형 명문 사학

ᐧ 지역 학연구 소 설립 및 육성 ᐧ 봉사 와 협력 의 다면 화 시스 템 구축

ᐧ 지역 사회 친 화적 봉 사·협 력 프로 그램 개 발 및 운 영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글로벌 대학

ᐧ DKU Globalization System 구 축, 업무 전 문성 강 화 ᐧ DKU Globalization Fund 조성

ᐧ 해외 단국거 점센터 확충 및 운영 활 성화

ᐧ 협력 층위에 따른 국 제 교류 및 협력 의 전략 적 추진

세계 최고 수준의 산학협력 대학

ᐧ 판교 K-밸 리와 연 계한 IT 산학 협 력 클러 스터 구 축 ᐧ 오송 -대덕 -천안 을 잇는 메디바 이오 협 력 중심 대학 ᐧ 산학 협력 지 원 시스 템 고도 화

ᐧ 기업 가적 대 학(Enterprise University) 도입

조직

· 경영

혁신과 효율의 신개념 조직·경영

체제 구현

학사구조 유연화

ᐧ 해빙 교육모 델 기반 의 학사 구조 운 영

ᐧ 트랙 형 및 모 듈형 교 육 프로 그램 설 치와 운 영 ᐧ 학사 단위별 행·재 정적 자 율성 강 화

행정시스템 혁신

ᐧ 직무 전문가 에 의한 책임행 정 시스 템 확립

ᐧ 수요 자 중심 의 원스 톱(One-Stop) 행정 서비스 구현 ᐧ 외국 인 교수 /학생 지 원 강화

재정시스템 혁신

ᐧ 저비 용 고효 율 고품 질 학사 및 행정 조직 운 영

ᐧ 발전기금, 학사단위 사업화, 재정안정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안 정 적 인 재 정 확 보

ᐧ 투명 한 재정 운영과 집행 실 효성 평 가제도 의 확립

(31)

○ 단계별 추진계획

분야

기반마련기 2018-2021 개혁기반 완성

역량확립기 2022-2024 실천 역량 확립

비전구현기 2025-2027

비전 실현

교육

ᐧ 교양학사조직 체계화 ᐧ 현장지향형 첨단 교육 강화 ᐧ 우수 강의 세계 수준의 플랫폼 탑재 ᐧ EduAI 기반의 교육지원시스템 구축완료

ᐧ 자율형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ᐧ 해빙교육과정 기반의 학사구조 단순화 ᐧ 혁신 교육 환경 구축

ᐧ 직업교육, 평생교육 센터 기능 강화 ᐧ 원스톱 학생 지원 상담 체제 운영 확대

ᐧ 융합교육 운영 강화 및 지속적 업데이트 ᐧ 단국 혁신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운영 ᐧ 해외대학과의 복수 및 공동학위제

운영 확대

ᐧ 세계 수준의 교육 콘텐츠 구축 ᐧ 국제 표준에 준한 대학 교육 완성

연구

ᐧ 연구특성화 분야 선정 기준 및 심의, 운영 체계 수립

ᐧ 특성화 연구 사업 분야 선정 ᐧ 대학연구소의 내실화를 위한 연구조직의

관리 및 평가를 위한 지표 개선 ᐧ 캠퍼스별 특성화 분야 연구의 선택과

집중 지원 규모의 확대

ᐧ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영역별 교원 평가제 도입

ᐧ 국내외 우수연구자의 초빙활성화 방안 마련

ᐧ 단국미래융합연구원 설립 ᐧ 대학연구소의 연구 활동 활성화 ᐧ 연구중심 특성화 학부 운영

ᐧ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수, 피인용지수, 교외 연구비 수주 규모, 특허 등록건 수 등 연구 및 지식재산권 실적 제고를 통한 대학 순위 점진적 향상 ᐧ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영역별

교원평가제 전면 확대

ᐧ 외국인 대학원생 및 외국인 전임교원의 임용 확대

ᐧ 대학연구소의 우수 연구 활동을 통한 우리 대학 연구브랜드 창출

ᐧ 세계 수준의 연구 활동 창출 및 실적 제고를 통한 우리 대학 인지도 상승

봉사

· 협력

ᐧ 지역학연구소 설립 및 육성 ᐧ 지역주민을 위한 의료봉사 확대 및

건치(健齒)문화 캠페인 전개 ᐧ 협력 관계 층위에 따른 국제 교류의

전략적 추진

ᐧ 산학협력 전문인력 확충 ᐧ 산학협력 Fund 조성

ᐧ Data Science 분야의 세계적 산학협력 교육 프로그램 구축

ᐧ 판교 K-밸리와 연계한 IT 산학 협력 클러스터 구축

ᐧ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봉사·협력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

ᐧ 지역사회 경제·사회·복지·문화 정책 개발 및 수행

ᐧ 중핵·거점 협력대학과의 교육 및 연구 프로젝트 추진

ᐧ DKU Globalization System 구축 ᐧ 메디바이오 분야 세계 수준의 산학 협력

중심 대학

ᐧ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대학문화 창달 ᐧ DKU Globalization Fund 조성 ᐧ 국제 교류 및 협력의 채널 다양화 및

자생적 글로벌 생태계 조성 ᐧ 국제사회 K-Culture 중심 대학 ᐧ 산학 협력 원스톱 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

조직

· 경영

ᐧ 해빙교육과정에 의한 학사단위 단순화 ᐧ 트랙형 및 모듈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ᐧ 직무 전문가에 의한 책임행정 시스템 확립 ᐧ 재정시스템 개혁안 발의

ᐧ 고객 친화형 전자행정 확대 ᐧ 재정안정화 프로그램 운영 ᐧ 일반 서비스 영역의 아웃소싱 확대

ᐧ 학사단위별 행·재정적 자율성 확보 ᐧ 국제 수준의 표준 프로토콜에 의한

행정 시스템 완성

ᐧ 인공지능기반의 스마트 캠퍼스 ᐧ 웰빙-그린캠퍼스 구축

참조

관련 문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 본 연구는 확장된 Mortensen and Pissarides (1994) 모형하에서 임시직의 고용조정비용을 경감하여 정규직과 임시직의 고용보호

부도․법정관리․폐업․폐교 등의 사유로 대학에 의한 사업의 계속적인 수행이 불가능하거나 이를 계속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이

만족 시

 다음의 사업계획서는 비교적 소자본으로 창업을 하고자 하는 창업자금을 위한 사 업계획서로서 인터넷 창업인 경우 상권 및 입지분석은 큰 비중이 없으므로

행정의 개념적 변천과정(김중규 분류)... 행정의

제76조 ①대통령은 내우·외홖·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 기에 있어서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 하여 긴급한 조치가

이 계획서를 접수하는 투자자는 제시된 주식을 인수할 의사가 없을 경우 상단에 기재한 주소지 로 지체없이 계획서를 반환할

③ 산소를 더욱 증가시키면 날개 모양의 푸르스름한 속불꽃이 불꽃심과 일치 하며 불꽃심이 청백색의 바깥 불꽃에 둘러싸인 중성불꽃이 된다.. ④ 산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