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속대중교통체계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속대중교통체계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Copied!
14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고속대중교통체계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A Study on Rapid Transit Oriented Spatial Structure of City Regions

(2)

고속대중교통체계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2010-39

지은이 펴낸이박양호/ / 펴낸곳국토연구원

출판등록제 2-22/ 인쇄2010 1220 / 발행2010 12 31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54 (431-712)

전화031-380-0114(대표), 031-380-0426(배포) / 팩스031-380-0470 ISBN978-89-8182-759-5

한국연구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31306 http://www.krihs.re.kr

국토연구원 2010,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3)

국토연 2010-39

고속대중교통체계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A Study on Rapid Transit Oriented Spatial Structure of City Regions

정진규조남건윤하중김종학․ ․ ․

(4)

연 구 진

연구심의위원 손영환 부원장 주심( )

김현식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류재영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일호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성호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연구협의 자문 위원( ) 권창기 울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경철 베이올라 트랜스포트 코리아 대표 김시곤 서울산업대학교 교수

김재홍 울산대학교 교수

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 박준석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 지우석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수

연구책임 정진규 연구위원

연구반 조남건 선임연구위원

윤하중 연구위원 김종학 책임연구원

외부연구진 마강래 중앙대학교 교수

이주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영국도시 국토계획협회· (TCPA)

리서치 GRI

(5)

P R E F A C E

발 간 사

최근 선진국들은 도시권 육성 정책을 통하여 글로벌 경쟁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영국은 국가발전의 동력으로서 도시간 연계. 가 강조된 도시권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다 프랑스는 도시권공동체별로 경제. , 환경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 . , , , 도 자국의 도시권 정책을 통하여 도시간 분업과 협력 상호보완을 강조하고 있, 다 최근 우리나라도. 5+2 광역경제권의 발전을 위한 거점 역할로서 도시권 발전 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권역 내 다양한 거점들이 효율적으로 연계 되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교통인프라의 역할. 이 중요하며 특히 권역내 거점도시들을 연결하여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는 광역 대중교통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메가시티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에서도 이러한 연계성 및 교통인프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경부선 단계 완공 최근 논의 중인 및 광역 등의 도입으로 연계

KTX 2 , GTX BRT

성 제고를 통한 도시권의 경쟁력 강화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그러나 두 도시 혹은 두 지역간의 연계성 강화가 단순히 발전된 교통인프라의 공급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요소는 물론 공간정책· 의 변화를 통해서도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아무리 좋은. , 교통인프라가 공급되더라도 주변 역세권이 조성이 되지 않는다면 교통인프라의

(6)

매력도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역 주변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볼 수 있다면. 두 도시 혹은 두 지역간 교류는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이는 연계성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즉 토지이용과 교통은 상호 영향을 미치므로 경쟁력 있는 도. 시권 공간구조 형성을 위해서 두 부문이 연계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국내 외 정책동향에 부합하는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한 연구이며 내용적으로도 부문간 융합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 다 도시계획과 교통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효율적인 도시권 공간구조를 형성하. 기 위한 전략 및 추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계량분석을 포함한 사례분석으. 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KTX 역세권 개발 등 향후 우리가 중점을 두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을 수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위해 수고한 정진규 연구위원 및 내 외부 연구진에게 감사를 드린· 다 특히 한국의 도시권 정책 및 교통인프라 구축에 관심이 많아 공동연구를 수. , 락해주신 세계적 도시학자 런던대학교 피터 홀 교수님과 영국국토도시계획협회 의 연구진에게 감사를 드린다 또한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아낌없는 조언을 해. 주신 자문위원 여러분께도 감사를 드린다.

년 월 2010 12 국토연구원장 박 양 호

(7)

S U M M A R Y

요 약

제 장 서 론1

선진국들은 글로벌 경쟁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자국 내 지역공간구조 를 개편하고 있으며 선도거점으로 도시권을 육성 중이다 또한 도시권의 경쟁력, . 제고를 위해 권역 내 도시간 연계성(Connectivity) 개선이 강조되고 있다 동아일. 보사(2009)의 세계 20개 도시권 경쟁력 평가 대 지표에도 경제적 번영 및 장소3 적 매력과 함께 연계성이 포함되어 있다 도시권내 연계성 제고를 위하여 교통인. 프라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거점도시들 간을 연결하는 광역대중교통체계 구, 축이 중요하다 또한 도시권에서의 교통인프라 구축은 토지이용정책과 연계되어. 추진되면서 새로운 지역공간구조를 형성한다.

도시권

경쟁 력 제고 연계 성

(Connectivity)

장소 적 매력 (Quality of Place)

경제 적 번영 (Econom ic Prosperity)

도시권내 연계 (광역대중교통)

글로벌 연계 산업클러스터링

그림 도시권 경쟁력과 연계성.

(8)

최근 국내에서도 도시권 육성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통인프라 개선 관련 논의는 미흡하다 또한 토지이용과 교통은 상호 영향. 을 미치므로 경쟁력 있는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을 위해서 두 부문이 연계된 전략 이 필요하다 는 미흡하다목적은 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권역내 거점도. , 시 간 연계성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도입, 의 효과를 분석하며 토지이용 및 교통이 연계된 연계성 강화를 위한 도시권 공, 간구조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는 미흡는 도시권의 공간구조 관련 기본적인 전. 략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권 육성방안 정책 추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 된다.

제 장 도시권의 연계성과 교통2

도시권 개념에 관하여 사전적 정의 및 도시학적 해석을 살펴보았다 도시권 정. 의 관련 공통어로 중심도시 주변도시 연계 통근 통학 권 등이 있다 연계성 관, , , ( ) . 련 개념을 도시 지역 네트워크· (urban & regional network) 이론에서 살펴보면 정주 공간은 장소(place)와 흐름(flow)으로 구분되며 교통인프라를 통한 흐름 교류 의, ( ) 변화는 도시간 연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 이상의 도시들이. 2 교통수단 등을 통한 기능적 상호보완을 통해 집적경제를 달성하고 경쟁을 촉진 시켜 시너지 효과를 영위한다고 정리하고 있다 최근의 메가시티. (megacity) 이론 에 따르면 메가시티 형성은 교통 통신 인프라 발전으로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도· , 시 간 시너지 효과를 위하여 연계성 및 광역교통망을 강조하고 있다 연계성 개. 념의 공통어는 교통 통합 시너지효과 경쟁력 등이다, , ,

연계성 측정을 위한 지표 분석은 주로 권역획정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 으며 통행 및 고용과 관련된 지표 중심도시로의 통근자 비율 통행시간 직업의, ( , , 존율 등 를 활용한다 기능적 연계성 분석을 통한 도시 지역 네트워킹 관련 연구) . · 에서도 통근 관련 지표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빨대효과 방지를 위해 자족. 성이 전제된 연계성 제고가 전략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호통근량 관련. 지표의 설정이 중요하다.

(9)

공동연구 및 문헌검토를 통하여 해외 도시권 정책동향을 살펴보았다 영국은. 현재의 대도시권 계획시스템이 요소간 연계가 부족한 상태로 진행되어 경쟁력 강화에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국가발전의 동력으로서 도시권(city 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다 지역의 경제발전 및 교통계획을 향상시키기

regions) .

위한 권역 내 협력체계 형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경제활성화, , 삶의 질 향상 인프라 확충 등에 관한 도시권 발전계획을 소속 지자체들이 공동, 으로 수립하도록 한다 일본은 대도시권의 성장관리를 통한 경쟁력 강화 정책 추. 진 중이다 미국의 대도시권. (Metropolitan Areas) 정책은 R&D투자 등 혁신 인적, 자본 기반시설 정주환경 개선 등 대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독일의 유럽거점대, , 4 . 도시권(European Metropolitan Regions) 육성은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경제구조 변, 화 등에 대응하여 11개 대도시권 육성하며 공간구조를 모자이크, ‘ (mosaic)’형에서

네트워크 형으로 전환하고 있다 프랑스는 도시권공동체

‘ (network)’ . (Communaté

별로 경제 환경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 중이다 중국도 새

Urbaine) , , , .

로운 경제발전 거점으로서 10개∼12개의 도시군(城市群) 정책을 구상하고 도시 간 분업과 협력 상호보완을 강조하고 있다, .

제 장 고속대중교통의 도시권 연계성 개선효과 사례분석3 ( )

고속대중교통 광역급행전철 도입효과 분석을 위하여 사례권역을 선정하고 통( ) 행분포 생활권 및 교통수단선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경제규모 공간구조 교통, . , , 인프라 현황 계획 등을 고려하여 부산대도시권을 분석권역으로 선정하고 노선· 부전역 울산역 및 부전역 창원역 을 설정하였다 부산 울산

( ∼ 57.8km ∼ 43.6km) . , ,

통합창원 간 특정 교통축의 서비스 변화로 인한 통행량 예측 통행목적 및 수단, 별 통행패턴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부산 울산 부산 창원간 광역급행전철 서비스 도입에 따른 통행, ∼ , ∼ 량 및 통행분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통행량의 변화는 없다고 전제하고 접. , 근도 개선으로 인한 통행분포 변화를 도착지선택모형(Destination Choice Model) 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국가교통. DB의2006년 가구설문조사 및 부산 울산권 네·

(10)

트워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광역급행전철 도입 후 통근통행량이 부산. , 울산 구간은 15,020통행 일에서/ 19,131통행 일로/ 27.4% 증가하였으며 부산,

∼ ∼

창원 구간은 13,427통행 일에서/ 15,239통행 일로/ 13.5%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 다 각 통근통행량 증가를 방향별로 살펴보면 울산 창원 등 주변 거점도시에서. , 권역 중심도시인 부산으로의 증가보다 부산에서 주변 거점도시로의 통근통행량 이 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방향별 통근통행량 변화. ·

두 번째로 광역급행전철 도입에 따른 생활권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속대중교, . 통을 도입으로 도시권내 상호 단절된 도시들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생활권의 변 화가 예상된다 고속대중교통 도입 전 후 권역 내 접근성 향상 패턴을 분석하였. · 으며 접근성 향상으로 인한 생활권 변화를 통행시간 등시선을 통해 분석하였다, . 또한 교통수요 및 공간추정모형 역거리가중치법( , IDW)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 광역급행전철 도입 후 부산 부전역 을 중심으로 울산 창원 마산시의 대부분 지( ) , , 역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역이 입지하는 중간지역 예 웅천. , ( . ) 을 포함하여 역 주변지역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노선이 통과하지. 않고 울산역 및 창원역으로의 접근도가 낮은 외곽지역의 경우는 통행시간에 큰 변화가 없다.

(11)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접근도 변화 부산 부전역 중심. · ( )

마지막으로 수단선택 변화 관련 사례지역에서는 광역급행철도가 시외버스 및, 지역철도보다 더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승용차와 광역급행철도 간 교. 차탄력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도입 시 승용차의 이용수요의 감소가 예상된다.

따라서 광역급행전철의 효율성을 배가시키고 승용차와 비교한 경쟁력 확보를 위 해 도시내 연계대중교통체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 장 연계성 개선을 위한 도시권 공간구조4

교통과 토지이용은 도시 지역공간 형성의 중요한 요소이며 공간계획 과정에· , 서 연계가 미흡할 경우 비효율적인 공간이 형성된다 선진국에서는 공간계획 과. 정에서 교통과 토지이용계획이 상호 피드백과정을 통해 진행되어 효율적인 공간 구조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국가 지역 도시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 및 가이드라. , , 인을 제시하고 있다 스페인은. 2020년 10,000km의 고속철도망을 갖추고 인구의 가 역 이내에 거주할 수 있도록 도시개발을 유도할 예정이다 영국의

90% 50km .

은 도시차원의 교통 및 토지이용 연계방 Planning Policy Guidance 13, PPG13

「 」

법에 관한 지침서이다 도시권 차원에서도 고속대중교통과 토지이용이 상호 연. 계된 공간구조의 검토가 필요하다.

(12)

교통과 토지이용의 연계 관련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개념은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이다 일반적인. TOD의 공간적 범위 는 역 버스환승센터 등 대중교통결절점 주변의 지구계획 수준이나 최근 도시회, , 랑 및 지역 전체로 TOD개념을 확장하는 이론적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대중교통. 중심 회랑개발(Transit-Oriented Corridors, TOC)은 점적 개념이라 할 수 있는 TOD 를 선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도시를 대중교통 회랑을 중심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대중교통중심 지역개발. (Transit-Oriented Regions, TOR)은TOD 개 념을 지역차원의 공간으로 확장하여 광역대중교통체계 중심의 지역 도시권 공, ( ) 간구조로 유도하자는 개념이다.

해외사례를 살펴보면 TOC의 경우 미국의 보스톤 덴버 샤롯에서 교통과 토, , , 지이용간이 연계를 강조하면서 대중교통축을 중심으로 한 도시개발계획을 수립 하고 있다 세 도시의 대중교통축 주변지역 거주민과 도시전체 평균을 비교한 결. 과 승용차 및 개중교통 통근비율에서 큰 차이가 있다. TOR의 경우 미국의 포틀 랜드 및 파리에서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포틀랜드는. TOD와 연계된 지역 스마트 성장(Smart Growth)정책을 추진이며, 2030「 파리 대도시권 계획 에서는 광역급」 행철도인 RER과 연계하여 TOR 개념의 다핵구조화 구상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최근 수도권 광역통행량 및 통행시간 증가로 수도권 GTX와 같은 고속대 중교통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그림. 2030 파리 대도시권 계획의 공간구상

(13)

연계성 개선을 위한 도시권의 공간구조 형성의 첫 번쩨 기본방향은 핵심도시 들의 광역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다핵분산형(polycentric)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이 다 권역 내 중심도시로의 고용과 도시기능 집중. (monocentric)을 줄일 수 있는 분 산화된 도시권 공간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즉 권역 내 상대적으로 자족성이. , 높고 상호 단절된 핵심도시 중심도시 및 주변 거점도시 들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 통합하되 비효율적 토지이용인 평면적 확산을 통한 공간적 연담을 지양하고 광, , 역고속대중교통을 통해 시간적으로 연담된 공간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도시권. 공간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마트성장 전략의 지속적인 추진 및 광역도시계‘ ’ ‘ 획과 광역교통계획의 연계성 강화 등 두 가지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

그림. 광역역세권 중심 다핵분산형 도시권 공간구조

두 번째 기본방향은 연계대중교통회랑 중심 선형(linear)의 도시 공간구조 형성 이다 핵심도시 간 연계의 시너지 효과를 장기적으로 도시내 및 주변도시들과 공. 유할 수 있도록 광역고속대중교통 역세권의 활용도를 높이고 연계대중교통회랑, 을 중심으로 개발이 집중된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 형성이 필요하다 우선적으. 로 입지 경쟁력이 높은 도심의 고속대중교통 역세권의 활용도를 높이고 장기적, 으로 도시 전체로 파급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연계교통회랑 역세권 포함 을 중심( ) 으로 한 도시개발 유도가 필요하다 즉 단계로 도심 고속대중교통 역세권 개발. , 1

(14)

단계로 연계교통회랑 개발 그리고 단계로 도시내 외곽지역간

(TOD), 2 (TOC), 3

연계 강화를 위한 순환대중교통체계 구축 및 주변지역 개발 (TOD+TOC)을 통하 여 도시내 공간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연계대중교통체계 구축. ‘ 및 도시개발사업 관련 제도개선 관련 추진방안이 필요하다’ .

기본방향 실천전략 추진방안

광역역세권 중심의 다핵분산형 도시권

스마트성장 전략의 지속적 추진

기성도시의 재생 -

주 역세권의 집중개발 -

도시규모별 단계적 연계 강화 -

광역도시계획과 교통

계획의 정합성 강화 - 이원화된 계획체계의 통합

연계대중교통회랑 중심 선형도시

연계대중교통체계 구축 제도개선

지원시설 종류 및 재정지원 등 구체화 -

트랜짓몰 조성방안 구체화 -

역세권개발 등 도시개발 사업 제도개선

역세권개발사업 관련 법률 보완 -

역세권개발사업을 도심재생사업과 연계 -

중앙정부의 지원 강화 -

표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요약. ( )

그림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15)

제 장 결 론5

본 연구의 차별성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도시권 논의, 관련 연계성 개념을 보완한 것이고 두 번째는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을 위하여, 토지이용 및 교통이 연계된 방안을 제시하는 것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점이다 정책적 활용방안으로 스마트 성. 장 정책의 지속적 추진 및 역세권 개발 제도의 개선 등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이를 보완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를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도시간 연계성 개선이 도시권의 경쟁력 강화. , 를 위한 조건임을 전제로 하였다 따라서 연계성과 경쟁력 등 두 지표간의 연관. 성 검증을 위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간 연계성 개선을 위한 교통인. , 프라 중 광역고속대중교통의 중요성을 전제로 하고 광역고속대중교통 중 광역, 급행전철의 도입효과 분석에 한정하였다 따라서 도로 및. BRT 등 다양한 광역고 속교통수단과의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선형 도시권공간구조가 형성되어. , 있는 사례지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도시권의 다양한 형태 및 규모를 고. 려한 사례분석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 도시권 공간구조 모델의 검증이 필요하다.

■ 색인어 도시권_ (City Region), 고속대중교통(Rapid Transit), 연계성(Connectivity), 대중교통중심개발(TOD)

■한국연구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 _ 31306

(16)
(17)

C O N T E N T S

차 례

발 간 사 ··· i

요 약 ··· iii

제 장 서 론1 ··· 1

연구의 배경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 2 연구범위

3. ··· 3 연구방법

4. ··· 3 연구의 기대효과

5. ··· 5

제 장 도시권의 연계성과 교통2 ··· 7

도시권의 개념

1. ··· 7 문헌상 정의

1) ··· 7 도시권 관련 지역 유형

2) ··· 8 국내 유사권역 설정 예

3) ··· 10 도시권 연계성

2. ··· 13 연계성의 개념 정의

1) ··· 13 연계성 관련 이론

2) ··· 14 연계성 지표

3) ··· 16 국내 외 도시권 정책동향

3. · ··· 20

(18)

영국

1) ··· 20 일본

2) ··· 23 기타 국가

3) ··· 25 국내 정책동향

4) ··· 26

제 장 고속대중교통의 도시권 연계성 개선효과 사례분석3 ( ) ··· 29

분석 개요

1. ··· 29 사례지역 및 교통축 선정

1) ··· 30 부산 울산권 통행현황

2) · ··· 32 통행행태 설문조사

2. ··· 33 조사 개요

1) ··· 33 통행자 특성

2) ··· 34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 조사

3) ··· 36 광역급행전철 도입에 따른 통행량 및 통행분포 변화

3. ··· 37

분석개요

1) ··· 37 분석방법

2) ··· 37 분석결과

3) ··· 39 광역급행전철 도입에 따른 생활권 변화 분석

4. ··· 43 분석개요

1) ··· 43 분석방법

2) ··· 43 분석결과

3) ··· 45 광역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변화 분석

5. ··· 47 분석개요

1) ··· 47 분석방법

2) ··· 47 분석결과

3) ··· 48 사례분석 요약 및 시사점

6. ··· 50 통행량 및 통행분포 변화

1) ··· 50 생활권 변화

2) ··· 50 수단선택 변화

3) ··· 50

(19)

제 장 연계성 개선을 위한 도시권 공간구조4 ··· 51

교통과 토지이용의 연계 1. ··· 51

개요 1) ··· 51

개념의 확장 2) TOD ··· 52

해외사례 2. ··· 54

고속대중교통에 의한 핵심도시간 연계 1) ··· 54

도시내 연계교통회랑 구축 2) ··· 59

연계성 강화를 위한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3. ··· 64

도시권 공간구조의 조작적 정의 1) ··· 64

기본방향 도출의 전제 2) ··· 65

광역역세권 중심의 다핵분산형 도시권 공간구조 3) (polycentric) ··· 66

연계대중교통회랑 중심 선형 도시 공간구조 4) (linear) ··· 69

제 장 결 론5 ··· 77

연구의 차별성 1. ··· 77

정책적 활용방안 2. ··· 78

스마트성장 정책 1) ··· 78

도시 및 역세권 개발 제도의 개선 2) ··· 78

기타 3) ··· 78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과제 3. ··· 79

참고문헌 ··· 81

SUMMARY ··· 85

부 록 ··· 89

(20)
(21)

T A B L E C O N T E N T S

표 차 례

표 국정과제와의 연관성

< 1-1> ··· 5

표 도시권의 개념과 유형

< 2-1> ··· 9

표 미국 축의 도시권 및 인구

< 2-2> I-35 ··· 10

표 권역 유형간 규모 비교 대구 경북지역 예

< 2-3> ( · ) ··· 12

표 년 기준 광역통근통행수요 공간분포 지표

< 2-4> 2005 ··· 19

표 부산울산권 목적통행량 현황 년

< 3-1> ․ (2008 )··· 33

표 교통수단별 설문조사 표본설계

< 3-2> ··· 34

표 설문조사 내용

< 3-3> ··· 34

표 시외버스 및 철도 이용 만족도 점 기준

< 3-4> (5.00 ) ··· 36

표 광역급행전철 서비스 수준 설정

< 3-5> ··· 37

표 도착지선택모형 도입 전 후 구축결과

< 3-6> ( · ) ··· 40

표 부산 울산권 통근통행량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 3-7> · ( ) ··· 40

표 부산 울산권 통근통행량 광역급행전철 도입 후

< 3-8> · ( ) ··· 41

표 광역급행전철 도입에 따른 부산 울산권 통근통행량 변화

< 3-9> · ··· 41

표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구간 방향별 통근통행량 변화

< 3-10> · · ··· 42

표 교통수단선택모형 추정 결과

< 3-11> ··· 48

표 수단별 통행시간변화에 대한 급행철도 수요 탄력도 분석

< 3-12> ··· 49

표 미국의 사례 요약

< 4-1> TOC ( ) ··· 61

표 연계성 개선을 위한 도시권 공간구조의 구성요소 및 도시형태

< 4-2> ··· 65

표 실현을 위한 도시개발사업의 문제점

< 4-3> TOD ··· 74

표 고속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요약

< 4-4> ( ) ··· 75

표 정책적 활용방안

< 5-1> ··· 79

(22)
(23)

F I G U R E C O N T E N T S

그 림 차 례

그림 유럽의 도시권 분포 및 경쟁력 비교

< 1-1> ··· 2

그림 연구의 흐름도

< 1-2> ··· 4

그림 미국 축의 지역 유형

< 2-1> I-35 ··· 9

그림 국내 유사권역 설정 예

< 2-2> ··· 11

그림 수도권 연계성 통근통행량 분석 사례

< 2-3> ( ) ··· 14

그림 메가시티 경쟁력과 연계성

< 2-4> ··· 16

그림 일본 도시권의 통근권 인구분포

< 2-5> ··· 17

그림 영국 대도시 통근권

< 2-6> ··· 18

그림 영국 지역별 인당 총 부가가치액 현황

< 2-7> 1 (GVA) (2008) ··· 20

그림 영국의 지역별 고용률 현황

< 2-8> (2005) ··· 21

그림 영국의 도시권 현황

< 2-9> ··· 22

그림 영국의 개 도시권 현황

< 2-10> 8 ··· 22

그림 런던 크로스레일 노선도

< 2-11> ··· 23

그림 일본의 대도시권 현황

< 2-12> ··· 24

그림 일본 쯔쿠바 익스프레스 운영방식

< 2-13> ··· 24

그림 각국의 도시권 분포

< 2-14> ··· 25

그림 지방 대도시권역 설정 안

< 2-15> ( ) ··· 26

그림 수도권 노선도

< 2-16> GTX ··· 27

그림 분석의 흐름

< 3-1> ··· 30

그림 권역별 공간구조 현황

< 3-2> ··· 31

그림 광역대중교통망 현황 부산권

< 3-3> ( ) ··· 31

그림 교통축별 및 통과노선 설정

< 3-4> ··· 32

(24)

그림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 3-5> ··· 35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방향별 통근통행량 변화

< 3-6> · ··· 42

그림 생활권변화 분석방법

< 3-7> ··· 44

그림 고속대중교통 수단 도입전후 지역별 통행시간 변화

< 3-8> ··· 45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통행시간대별 교류가능 인구변화

< 3-9> · ··· 46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통행시간대별 교류가능 누적인구

< 3-10> · ··· 46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전 후 수단분담률 변화

< 3-11> · ··· 49

그림 도심과 교통결절점 위치의 연계성 미흡 사례 영국

< 4-1> ( ) ··· 52

그림 확장형 개념

< 4-2> TOD (E-TOD) ··· 53

그림 개념의 확장

< 4-3> TOD ··· 54

그림 대도시권의 시간 통행권역 변화 일본 범례 생략

< 4-4> 1 ( , ) ··· 55

그림 그랑파리 광역교통체계 대안

< 4-5> ··· 56

그림 파리 대도시권 계획의 공간구상

< 4-6> 2030 ··· 56

그림 파리 르와브르 지역 대도시권 구상

< 4-7> ∼ ··· 57

그림 텍사스 트라이엥글 지역의 고속대중교통 수단

< 4-8> ··· 57

그림 광역급행전철 도입 후 통행량 변화 볼티모어 워싱턴

< 4-9> ( ∼ DC)··· 58

그림 포틀랜드 대중교통회랑 개발

< 4-10> ··· 59

그림 대중교통회랑 주변 거주자의 통근수단 비교

< 4-11> ··· 61

그림 미국 알링턴 카운티 사례

< 4-12> TOC ··· 62

그림 꾸리찌바 대중교통회랑

< 4-13> ··· 63

그림 도시권 공간구조의 구성요소

< 4-14> ··· 64

그림 광역역세권 중심 다핵분산형 도시권 공간구조

< 4-15> ··· 66

그림 광역급행전철 역세권 개발 수도권 역 구상

< 4-16> ( GTX ) ··· 67

그림 미조노구치역 재개발 조감도

< 4-17> ··· 67

그림 연계대중교통 회랑 중심의 선형 도시공간구조

< 4-18> ··· 70

그림 연계대중교통 회랑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 4-19> ··· 71

그림 도시내 연계교통회랑 개발 송파 위례신도시 트랜짓몰 구상

< 4-20> ( ) ·· 72

그림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 4-21> ··· 75

(25)

1

C H A P T E R 1

서 론

선진국들은 글로벌 경쟁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자국 내 지역공간구조를 개편 하고 있으며 선도거점으로 도시권을 육성 중이다 또한 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위, . 해 권역 내 도시간 연계성(Connectivity) 개선이 강조되고 있다 연계성 제고를 위하여 교. 통인프라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거점도시들 간을 연결하는 광역대중교통체계 구축, 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권역내 거점도시 간. , 연계성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도입의 효과를, 분석하며 토지이용 및 교통이 연계된 연계성 강화를 위한 도시권 공간구조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배경 1.

선진국들은 글로벌 경쟁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자국 내 지역공간구조 를 개편하고 있으며 선도거점으로 도시권을 육성 중이다 오마에, . (1997) 「의 지역 국가(Region States)론 에 따르면 인구」 300만∼2,000만 명의 특성화 산업을 보유 한 지역이 글로벌 경제의 주역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유럽연합. 의 공간계획발전전략 에서도 기존의 광역경제권과 함께 도시권의 경쟁

(2006) 「 」

력 제고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권역 내 도시 간 연계성(Connectivity)이 강조되 고 있다 동아일보사 모니터그룹. · (2009)의 세계20개 도시권 경쟁력 평가 대 지표3 에도 경제적 번영 및 장소적 매력과 더불어 연계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시.

(26)

출처 유럽연합

- (2006)

그림 유럽의 도시권 분포 및 경쟁력 비교

< 1-1>

권 내 연계성 제고를 위하여 교통인프라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거점도시들 간, 을 연결하는 광역대중교통체계가 강조되고 있다 특히 교통인프라의 구축이 토. , 지이용정책과 연계되어 추진되면서 연계성 강화를 위한 도시권의 공간구조 개편 을 도모하고 있다 이현주( 200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최근 국내에서도 도시권 육성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통인프라 개선 관련 논의는 미흡하다 특히 단일생활권 형성을 위한 연. , 계성 제고에 큰 영향을 주는 광역급행전철 등 고속대중교통 도입에 관한 논의가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다 또한 토지이용과 교통은 상호 영향을 미치므로 경쟁력. 있는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을 위해서 두 부문이 연계된 전략이 필요함에도 불구 하고 이러한 논의가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권 경쟁력을 위한 권역내. , 연계성 강화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도입의 예,

(27)

상 효과를 분석하며 토지이용 및 교통이 연계된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범위 3.

시간적 범위로는 2009년을 기준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대 지방대도시권, 4 1) 으로 하되 사례분석 지역은 부산 울산대도시권 통합창원 포함 을 성정하였다 내· ( ) . 용적 범위로는 도시권 개념 정립 도시권 연계성과 교통의 관계 분석 도시권 육, , 성 관련 국내 외 정책동향 분석 고속대중교통 도입 효과 사례분석 연계성 강화· , , 를 위한 고속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제시 정책적 활용방안, 제시 등을 포함한다.

연구방법 4.

도시권 개념 및 국내 외 정책동향 도시권 연계성과 고속대중교통 관련 이론· , 및 사례에 관하여 문헌검토를 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하여 설문. (SP)조사를 실시하 였다 또한 통행량 및 분포 변화 분석을 위한 도착지선택모형 활용 생활권 변화. , 분석을 위한 교통수요 및 공간추정모형 활용 그리고 통행수단선택 변화 분석을, 위하여 로짓모형을 활용하였다.

선진국의 도시권 육성 및 고속대중교통 구축 사례 분석을 위하여 영국의 국 토 도시계획협회· (TCPA)2) 및 국내 관련 전문가가 원고를 집필하였다 고속대중교. 통 도입효과 사례분석을 위하여 중앙대학교와 사례지역 통행행태 설문조사를 위 하여 설문조사기관과 공동연구를 진행하였다.

1) p. 16 및 부록1. 국토해양부 지방대도시권 설정 안 참조( )

2) Town & Country Planning Association. Dr. Nick GreenMichael Chang이 공동저자이며 협회장인 피터, (Sir Peter Hall) 교수가 자문연구진(Expert Contributor)으로 참여하고 보고서 서문(Foreword) 작성

(28)

그림 연구의 흐름도

< 1-2>

(29)

연구의 기대효과 5.

본 연구는 새로운 공간개념인 도시권의 정책추진을 위한 교통측면의 대안 제 시 및 도시 및 지역의 연계성 관련 이론적 보완을 시도하였다 또한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가 연계된 도시권 공간구조 형성 방안 제시하였다 도시권의 공간구조. 형성 관련 기본적인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권 육성방안 정책 추진 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도시권이 중심 역할을 수행할 광역경제권 및. 친환경인프라 구축 등 국정과제와의 연관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정지표 국정과제

지표 1 : 섬기는 정부 전략 2 : 지방분권 확대 및 지방경제 활성화 과제 광역경제권 구축

( 3: )

지표 2 : 활기찬 시장경제 전략 7 : 녹색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과제 친환경 에너지절감형 인프라 구축

( 31: — )

표 국정과제와의 연관성

< 1-1>

(30)
(31)

2

C H A P T E R 2

도시권의 연계성과 교통

도시권 및 연계성 개념에 관하여 사전적 정의 및 도시학적 해석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계성 관련 도시 지역 네트워크· (urban & regional network) 이론 메가시티, (megacity) 이론 등을 살펴보았다 연계성 측정을 위한 지표는 통행 및 고용과 관련된 지표 중심. ( 도시로의 통근자 비율 통행시간 직업의존율 등 를 활용한다 공동연구 및 문헌검토를, , ) . 통하여 해외 도시권 정책동향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대도시권 계획시스템이 요소간. 연계가 부족한 상태로 진행되어 경쟁력 강화에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국가발 전의 동력으로서 도시권(city regions)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다.

도시권의 개념 1.

문헌상 정의 1)

국어사전에서 도시권은 중심도시 및 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주변지역 으로“ ”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도시권역은 통근 통학권 상권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파악. · , 하여 설정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백과사전에서는 도시의 여러 기능이 미치는 권. “ 역 으로 도시권을 정의하고 있으며 어떤 도시와 경제 문화적으로 연계되어 있” , · 는 지역범위로 설명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사전에서는. city region이란 용어가

년대부터 도시학자 및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50 , “not

just the administrative area of a recognizable city or conurbation but also its hinterland 로 국어사전과 유사하게 정의하고 있다

that will often be far bigger” .

(32)

도시학에서의 도시권의 정의는 퀸과 토머스((Quene & Thomas)의 삼지대론에 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중심도시 도시주변 후배지 등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 지역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시역사학자인 홀. (Hall 1966)에 의하면 도시권은 인 구 약 100 ~300만 만 명의 지역으로 중심도시와 교외지역을 포함하며 경제적 연, 계성이 높은 지역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시권 획정을 담당하고 있는 영국 행정자. 치부도 도시권을 주민들이 거주하고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도시 및 주변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TCPA 2010).

도시권 관련 지역 유형 2)

도시권과 규모 및 형태면에서 구별되지만 유사한 유형으로 메트로폴리탄 리전

메가시티 리전 메갈로폴리스

(metropolitan region), (megacity region, MCR),

등을 들 수 있다 메트로폴리탄 리전은 개 이상의 대도시 만 명

(megalopolis) . 1 (100

이상 를 포함하며 인구는 약) 200 ~ 1,200만 만 명 수준이다 쿠자스( Kujath 2002). 메 가시티 리전은 일일생활이 가능하고 기능적으로 연결된 핵심도시 및 중소도시들 로 형성된 대규모 도시지대이며 보통 인구1,000만 명 이상의 광역경제권을 형성 한다 동아일보사( 2009; 카스텔Castells 2000). 메갈로폴리스는 메트로폴리탄 리전 이 선형으로 연결 연담 되어 있는 거대한 도시집중지대로 보통 인구( ) 2,500만명 이상을 포함한다 구트만( Gottman 1961). 이 밖에도 글로벌 시티리전(glo핢심도시 은 메트로폴리스 및 메가시티리전과 유사한 규모이나 글로벌 경제에 city-region)

서 경쟁하는 중심도시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독시아디스(Doxiadis)의 정주체계에 따르면 인간(man) - 주거(dwelling) - 도시

대도시 거대도시 연담도시 거대도시

(town) - (city) - (metropolis) - (conurbation) -

도시화지역 세계도시 순으로 공간을

(megalopolis) - (urban region) - (ecumenopolis)

구분하고 있다 미국 텍사스주의 센 안토니오시와 켄사스주의 켄사스 시티를 연. 결하는35번 주간고속도로(I-35)축의 지역공간구조를 살펴보면 도시권 관련 지역 유형 사례를 종합적으로 알 수 있다 표( 2-1 및 그림 2-1).

(33)

명 칭 특 징 사례지역

City Region (Hall , 1966)

인구 약 만 명 - 100 ~300

중심도시와 통근자들의 교외지역 -

경제적 연계성이 높은 지역 -

영국 리버풀

- /

맨체스터 등

Metropolitan Region

(Kujat , 2002)

인구 약 만 명

- 200 ~1,200

개 이상의 대도시와 그 배후지역 - 1

대도시 서비스 및 교통의 결절점 -

독일 라인루르

- /

베를린 등

Megacity Region (Castells , 2000)

인구 만 명 이상 - 1,000

대도시와 기능적으로 연관된

- 10~50

중소도시들로 형성된 대규모 도시지대

독일 라인 루르

- - ,

네덜란드 란스타드

- ,

오사카 고베 교토 등

- - -

Megalopolis (Gottman, 1961)

인구 만 명 이상 - 2,500

고속도로 철도 등 인프라로 연결

- ,

미국 보스턴 워싱턴

- - ,

시카고 피츠버그 등

- -

표 도시권의 개념과 유형

< 2-1>

자료 국토연구원 재구성

- : (2010, p. 10)

대도시권 (207만명)

도시권

만 만명

(61 ~123 )

메갈로 폴리스 (1,506만명)

대도시권

(645만명) 메가시티

리전 (1,023만명) 도시권

(171만명) 대도시권 (207만명)

자료 랑 다베일 - : · (2005)

그림 미국 축 의 지역 유형

< 2-1> I-35 (San Antonio, TX Kansas City, KS)∼

(34)

단위 천명 ( : )

도시권(MSA) 중심도시 인구 도시권 인구

San Antonio-New Braunfels, TX 1,374

2,072 56

Austin-Round Rock, TX 786

1,705 105

Dallas-Fort Worth-Arlington, TX

1,299

6,447 728

380

Oklahoma City, OK 560 1,227

Tulsa, OK 389 929

Wichita, KS 372 612

Kansas City, KS 482 2,067

메가로폴리스 계 6,531 15,059

자료 미국인구조사국 홈페이지

- : (www.census.gov). 2009년 현재

표 미국 축 의 도시권 및 인구

< 2-2> I-35 (San Antonio, TX Kansas City, KS)∼

국내 유사권역 설정 예

3) 3)

대도시권 광역도시계획은 20년 장기계획으로 도시계획체계상 최상위 계획이 다 중심도시를 포함한 대도시권에 대하여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거나 시. 군 기능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적정한 성장관리를 도모한다 권역은 수도권 대. , ㆍ

전권 광주권 대구권 부산권 마창진권 광양만권 전주권 청주권 제주권 등, , , , , , , , 10 개이다 대도시권 광역교통계획은 대도시 생활권이 확대됨에 따른 광역교통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20년 단위의 기본계획으로 수도권 대전권 광주권 대구권 부, , , , 산울산권 등 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5 .

대도시권보다 큰 규모의 공간단위인 광역개발권은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위하 여 행정구역과는 별도로 광역시와 주변지역 산업단지와 배후지역 등을 광역개,

3) 자세한 내용은 부록 2 참조

(35)

발권으로 설정하여 개발하고 있다 대전청주권 광주목포권 대구포항권. ․ , ․ , ․ , 부산경남 등․ 4개의 대도시 중심형 권역 아산만권 군산장항권 광양만진, , ․ , ․ 주권 등 개의 신산업지대 중심형 권역 그리고 강원동해안권 중부내륙권 등3 , ․ , 개의 연담도시형 권역 등 개의 권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최근 설정된 광역

2 9 . 5+2

경제권은 지역의 경제발전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개 이상의 광역시도들이 경2 ․ 제활동의 상호연계성을 근간으로 통합된 권역으로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동남, , , , 권 대경권 강원권 제주권 등 개 권역이다, , , 7 .

광역도시계획 권역

< > < 광역교통계획 권역 >

광역개발권역

< > < 5+2 광역경제권역 >

그림 국내 유사권역 설정 예

< 2-2>

(36)

권역단위 지자체 비교개념도 광역도시계획

(대구권)

대구 경산 영천 칠곡 고령, , , , , 성주 군위 청도, ,

광역교통계획

(대구권) 광역도시계획 권역 + 창녕 광역개발권

대구 포항권 ( — )

대구 포항 경주 구미 김천, , , , , 경산 영천 군위 청도 칠곡, , , , , 성주 고령 영덕 울릉, , ,

광역경제권 5+2

(대경권)

대구 경주 포항 경산 군위, , , , , 구미 칠곡 성주 고령 청도, , , , , 영천 김천 상주 문경 예천, , , , , 의성 청송 영덕 영양 울진, , , , , 봉화 안동 영주, ,

표 권역 유형간 규모 비교 대구 경북지역 예

< 2-3> ( · )

도시권 개념 관련 공통어 중심도시 주변지역 연계 통근권

“ ” : , , ,

(37)

도시권 연계성 2.

연계성의 개념 정의 1)

국어사전에 의하면 연계란 잇따라 맴 혹은 어떤 일이나 사람과 관련하여 관" " "

계를 맺음 으로 정의하고 있다 영어사전에서는 접근 및 교류를 제공하기 위하" . “ 여 두 가지 이상을 결합하는 것, join together so as to provide access and

으로 정의한다 communication” .

도시 지역계획 분야에서는 두 개 이상의 도시 및 지역간 사회 경제적 교류의· · 정도를 나타내며 특히 일상생활권으로서 통근 통학이 가능한 정도가 중요하다, · . 교통 분야에서는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노드(node)들이 다른 노드들과 연결된 정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주 노드을 연결하는 노선이 많거, 나 차량 용량이 크거나 통행속도가 빠른 경우 두 노드의 연계성이 높다고 한다, ,

박준식 외

( 2010).

     

∀

∀

∈

×

여기서,: 노드 와 노드 를 연결하는 경로집합i j

: 집합의 원소, ∈

: 경로을 연결하는 노선,∈

: 경로을 연결하는 노선수

: 노선의 차량 용량

: 노선의 운행빈도

: 노드 와 노드 를 연결하는 경로i j의 통행시간

(38)

그림 수도권 연계성 통근통행량 분석 사례

< 2-3> ( )

자료 국토연구원 - : .(2009)

연계성 관련 이론 2)

도시 지역 네트워크 이론

(1) · (urban & regional network)

배턴(Batten 1995)은 두 개 이상의 도시들이 교통수단과 통신시설 등을 통한 기 능적 상호보완을 통해 집적경제를 달성하고 시너지 효과를 영위한다고 주장하였 다 그라함. (Graham 1996)은 정보화시대의 도시체계는 네트워크 형태로 전환되고 있어 교통기술의 발달에 따른 시공간의 압축화로 시너지효과가 발생한다고 분․ 석하였다 모리치 외. (2005)도 고속도로 건설 등 접근성 향상이 권역내 도시간 연 계를 강화하며 도시간 경쟁을 촉진시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킨다고 분석하였, 다 김찬동. (2009)은 네트워킹은 연계성을 표현하는 가장 기초적인 개념이라고 설 명하면서 네트워킹의 목적은 교류이며 우선 고려되어야 할 분야는 교통이라고, 주장하였다 랑 다베일. · (Lang & Dhavale 2005)은 정주공간은 장소(place)와 흐름 으로 구분되며 교통인프라를 통한 흐름 교류 의 변화는 지역간 연계에 영

(flow) , ( )

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두개 이상의 도시들의 교통서비스 개선을. 통한 연계성 향상은 기능적 상호보완을 통해 집적경제를 달성하고 경쟁을 촉진

(39)

시켜 도시 잠재력 상승 및 시너지 효과를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다중심 도시 지역 이론

(2) (polycentric) ·

유럽공간개발전략(ESDP 1999)에 따르면 유럽지역이 세계경제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거대도시권 형성을 통한 다중심체계가 중요하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베일리 외(2001)도 두 개 이상의 분리된 거점도시를 가진 도시권에서 적절 한 접근성 연계성 이 보장되면 자본 상품 노동 등 경제적 상승 작용이 강력하게( ) · · 발생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최막중. (2003)은 도시권 형성에는 도시개발과 인프라 공급을 연계하는 치밀한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고 다핵 분산집중형 구조로 전략, 적 개 거점 지역을 광역철도 등으로 연계하는 통합개발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 하였다.

연담화 이론

(3) (conurbation)

사전적 의미의 연담화는 인접한 개 이상의 도시가 전원지에 의해 분리되지“ 2 않고 도시 시설로 연결된 지역 으로 도시규모에 차이가 있어 한 방향으로 확대” , 하거나 도시규모 차이가 크지 않아 결국 하나로 통합되는 경우로 구별할 수 있 다 게데스. (Geddes)의 도시의 발전“ , Cities in Evolution”에서 최초로 주장되었으 며 도시가 성장하여 주거지 공장 등의 도시 시설로 연결되거나 대도시가 외연, , , 적 확산을 통하여 중소도시와 물리적으로 통합 흡수되는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연담도시의 사례로 미국의 세인트폴 미네아폴리스 영국의 리즈 래드퍼드 일본- , - , 의 도쿄 요코하마 한국의 마산 창원 진해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심용주 외- , - - . (2006) 는 신지역발전이론에 근거하여 신연담도시의 형태인 네트워크 시티(network city) 혹은 네트로폴리스(netropolis)를 분석하였는데 신연담도시의 형태는 도로 철도, , , 상하수도 등 물리적 인프라 시스템 및 경제활동 원거리 정보통신 등 비 물리적 요소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분석하였다.

(40)

메가시티 이론 (4) (megacity)

홀(Hall 2009)은 한반도의 단일 메가시티 리전 형성은 교통과 통신 인프라의“ 발전으로 가능 하다고 주장하면서 메가시티 이론을 설명하였다” 4). 스콧(Scott 도 글로벌 경쟁을 고려하면 개별도시 위주의 지방분산화는 해답이 되지 못 2009)

하며 도시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존의 핵심도시를 계속 발전시키면서 주변, 도시의 특성을 살려 연계된 협업공간구조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동아일보사. 는 중심도시와 주변간 다핵 거점간 시너지 효과를 위한 메가시티리전의

(2009) ,

핵심 경쟁력으로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그림 또한 전 세계( ). 25개 메가시티리전의 명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도시권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도시권내 광역교통망

552 ,

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하였다.

도시권

경쟁력 제고 연계성

(Connectivity)

장소적 매력 (Q uality of Place)

경제적 번영 (Economic Prosperity)

도시권내 연계 (광역대중교통) 글로벌 연계 산업클러스터링

그림 메가시티 경쟁력과 연계성

< 2-4>

주 동아일보사 재정리

- : (2009)

연계성 지표 3)

권역획정 지표 (1)

연계성 측정을 위한 지표 분석은 주로 권역획정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 으며 대부분 통행 및 고용과 관련된 지표 중심도시로의 통근자 비율, ( 5), 중심도시

4) http://www.donga.com

(41)

로부터의 역 통근자 비율 중심도시로의 통행시간 중심도시에 대한 직업의존율, , 등 을 이용한다) 6) 통계청(2007)은 도시권에 대한 통계목적의 공식적인 정의 및 획 정기준 제시하고 통근 통학권 중심으로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 , , , , , 제주권에 대하여 71개 절대도시권과 36개의 상대도시권을 획정하였다 이희열. 외(2007)은 부산을 중심도시로 하여 광역도시권을 설정 안 제시하고 연계성의( ) , 지표로 통근율과 역통근율을 사용하였다 권창기 외. (2007)는 기능적 연계성을 중 심으로 대도시 광역도시권 설정 안 제시하고 중심도시 직업의존도 중심도시와( ) , , 주변지역 간 통근율 등을 분석하였다 국토해양부. (2008)는 중심도시인구 통근율, 등을 이용하여 전국적으로 11개와 개 등 개 대안의 대도시권역을 구분하였다6 2 . 모리치 외(2005)는 통근 쇼핑 의료권 등 일상생활권을 고려하여 일본의, , 82개 도 시권 설정하였다.

그림 일본 도시권의 통근권 인구분포

< 2-5>

주 모리찌 외 - : (2008)

도시 지역 네트워킹 지표 (2) ·

기능적 연계성 분석을 통한 도시 지역 네트워킹 관련 연구에서도 통근 관련 지· 표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데 통근율 또는 역통근율, 5% 이상 통근 역통근율, +

5) 대부분의 연구에서 5%를 기준으로 함 6) 부록 5 참조

(42)

이상 일상통행율 이상

10% , 20% 7)등이 대표적인 지표이다 성현곤 외. (2007)는 서 울로의 의존도 및 외곽도시 간 연결체계의 특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연계, 성 지표로 직업의존도 직업점유도 통근비중 등을 이용하였다, , . 2001년의 영국의 통근패턴 분석에 의하면 점차 큰 규모의 도시권들을 중심으로 한 다핵구조로 변 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6).

- 출처: Green (2008)

주 검정 만 만 통근통행 일 주황 만 이상

- : 1 10 / , 10

7) 통근율(%) : 주변도시로부터 중심도시로의 통근자수 주변도시의 취업자수/ ×100 역통근율(%) : 중심도시로부터 주변도시로의 통근자수 주변도시의 취업자수/ ×100

일상통행율(%) : 승용차 버스 철도 항공 해운 등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업무 통학 쇼핑 여가, , , , , , , , 등 출근 귀가 제외 목적으로 하는 일상 통행자수 비율 주변도시로부터 중심도시로의 일상통행자( , ) , 수 주변도시 일상통행자수/ ×100

그림 영국 대도시 통근권

< 2-6>

(43)

자족적 연계성 을 고려한 지표

(3) “ ”

도시권이 중심도시 위주의 단핵(monocentric)구조일 경우 도시간 연계성 향상 은 중심도시로의 빨대효과(straw effect)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도시권내 주요. 도시들의 자족성이 전제된 다핵(polycentric)간의 연계성 제고가 전략적으로 우선 시될 필요가 있다 김찬동( , 2009; 심용주 외, 2006; 최막중, 2003). 심용주 외(2006) 는 이러한 형태의 도시권 구조를 제휴보완형 연담도시 로 표현하고 도시들의“ ” , 특성화를 기반으로 위계적이 아닌 동반자 관계 형성하면서 도시권 전체의 발전 을 지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공간구조를 고려한 도시권내 연계성 지표로 상호. 통근량 관련 지표의 설정이 중요하다 권창기( 2007, 성현곤 2007).

단위 ( : %)

구분 수도권 지방 대도시권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울산 대구 광주 대전

교차통근비율 42.4 47.2 46.7 15.0 10.9 17.0 41.3 17.0 내부통근비율 88.0 77.4 76.7 90.8 96.4 88.7 88.7 89.0 직주비율 113.3 91.2 89.2 95.2 103.3 92.5 91.8 93.5

표 년 기준 광역통근통행수요 공간분포 지표

< 2-4> 2005

연계성 관련 공통어 교류 시너지효과 통근율

“ ” : , ,

(44)

국내 외 도시권 정책동향 3. ·

국내 외에서 추진 중인 도시권 정책동향 관련 도시권내 연계성 강화 전략을 중· 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교통측면의 전략은 고속대중교통. 8)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공동연구의 사례국인 영국 및 일본을 중심으. 로 정리하였고 기타 미국 프랑스 독일 중국 및 국내 정책 관련 핵심적인 내용, , , , 위주로 정리하였다.

영국 1)

영국은 런던 중심의 국토공간구조가 오랫동안 진행되어 도시권간 불균형적인 발전과정을 경험하였다 그 결과 런던권과 기타 도시권 간의 경제적 격차가 크. 다 예를 들어 인당 지역 부가가치액. , (gross value added, GVA)의 경우 런던을 제 외한 대부분의 도시권이 전국 평균에 미달하고 있으며 그림 고용율 현황도 차이( ) 가 크다 그림( 2-7).

그림 영국 지역별 인당 총 부가가치액

< 2-7> 1 (GVA)1) 현황 (2008)

- 출처: TCPA(2010)

8) 고속대중교통(Rapid Transit)은 크게 Rail Rapid Transit(RRT) Bus Rapid Transit(BRT)으로 구분됨 는 일반적으로 지하철전철을 의미하며 통근열차 및 광역급행전철 등 포함

(Vuchic 2005, p. 599). RRT · , .

높은 수송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 지역공간구조에 대한 영향이 큼, · . BRT는 전용도로 및 전용차선 등을 이용하여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함. RRT에 비하여 수송능력과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적음. 본 연구는 중심도시와 거점도시 및 주변지역을 연결하는 광역급행전철 통근열차 등 광역고속대중교, (Metropolitan Rapid Transit) 을 주 분석대상으로 함

(45)

현재의 대도시권 계획시스템이 도시간 연계가 부족한 상태로 진행되어 경쟁력 강화에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최근 국가발전의 동력으로서 도시권, (city 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다 년 지역경제 발전 및 재건을 위한 분석

regions) . 2007 「 ,

Review of Sub-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SNR」을 통해

중앙과 지방 및 기타 관련 파트너들간의 협력을 강조하였다 또한. SNR을 토대로 년 지방정부의 민주화 경제개발 및 건설법

2009 「 , , Enactment of the Local 이 발효되었다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ct in 2009)」

이 법은 지역의 경제발전 및 교통계획을 향상시키기 위한 권역내 (TCPA 2010).

협력체계 형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경제활성화 삶의. , 질 향상 인프라 확충 등에 관한 도시권 발전계획을 소속 지자체들이 공동으로, 수립한다. 2010년 대선 이후 공간계획관련 정책의 변화로는 새로운 국가계획체 계 도입 지역계획에서의 비효율 제거 지역내 파트너십 구축 지방계획가의 권한, , , 강화 지방도시간 의무적 협력제도 도입 등이 강조되고 있다, (tcpa 20). 즉 도시권 내 도시간 연계성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영국의 지역별 고용률 현황

< 2-8> (2005)

- 자료: Arup, 2005, Regional Futures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the hope, connected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resilience of adolescents, to devel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method to evaluate Virtual Reality Art. To suggest the method, Noël Carroll's category-relative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the load-deflection properties and transitional temperature range(TTR) of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endoscopic modality for assessment of severity of ulcerative colitis during follow up and to know whether ther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outcomes including bone fusion and subsidence that occurred after

Likewise, other regions where highl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national agriculture showed a rapid changes in compositions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from pad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