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그 당시 사람들은 문학을 소위 도덕(道德)으로부터 분리해놓았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그 당시 사람들은 문학을 소위 도덕(道德)으로부터 분리해놓았다"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Ⅲ. 위진 남북조(魏晋南北朝) 문학

1. 문학 사조(文學思潮)

한대(漢代)는 유학(儒學)을 숭상하던 시대요, 또 무제(武帝) 이후로는 그것이 성하던 시대였다. 실로 한대에 있어서는 모 든 학술은 유학과 직결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위진 남북조로 내려오면서 이와 같은 풍조는 일신되어 문학 사상에서도 일대 변화를 가져왔다. 그 당시 사람들은 문학을 소위 도덕(道德)으로부터 분리해놓았다.

문인들의 사상은 낭만적이고 염세주의적인 경향을 나타내어

(2)
(3)

착잡한 현실을 도피하여 물외(物外)의 세계를 동경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노장(老莊) 사상과 마침 그 당시 번역되어 성 행하던 불교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아 실제의 사회와 인생을 떠나서 소극적이고 퇴폐적인 염세주의 사상이 일시에 성하게 되었다.

왕 필(王弼)∙하 안(何晏)은 현리(玄理)를 담론하고, 죽림칠현 (竹林七賢)은 산천을 방랑하며 시와 술만을 즐기고, 도연명(陶 淵明)은 현실 사회를 외면하고 전원에 은거하였으며 청담지풍 (淸談之風) 또한 크게 일어났다. 이상과 같은 사조가 곧 ‘위진 남북조 시대 문학’의 특색을 이루게 되었다.

(4)

문학의 형식면에 있어서도 유미주의(唯美主義)를 지향하여 조탁 화려(彫琢華麗)한 것을 위주로 하는 동시에 문사(文辭)나 형식면에서도 아름다운 문장이라야 우선 가치있는 문학 작품 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 당시 조비(曹丕)의

<<전론(典論)>>을 위시하여 종영(鐘嶸)의 <<시품(詩品)>>이나 유협(劉勰)의 <<문심조룡(文心雕龍)>>의 문학비평서도 모두 아름다운 병려체(騈儷體)의 문장으로 쓰여졌음을 볼 수 있다.

(5)

또 당시 문인들은 시(詩)이든 부(賦)이든 모두 이 변우(騈偶)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문학 자체의 순수하고 자유로운 발전과 동시에 인간의 충분한 감정 표현에 많은 저해를 가져 왔으므로 문학 본연의 가치는 자연히 하락되었다. 이에 대하 여 반론이 제기됨으로 후세의 고문운동(古文運動)으로 발전하 였고 따라서 변문도 점점 쇠퇴해져 갔다.

※불교와 도교의 성행, 유미주의, 자연문학, 산수문학, 문학의 도덕에서 해방, 현실도피, 죽림칠현 등

(6)

2. 시부(詩賦)

조(曹)씨 3부자와 건안 칠자(建安七子)를 중심으로 하여 일어 났던 이른바 건안 문학을 혹자는 이 위진(魏晋) 문학에 넣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한대 문학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왕 필(王弼)∙하 안(何晏) 등은 그 동안 침체되어 있던 노장 학을 고창하여 종래의 정치 제도의 형식주의와 윤리 도덕의 속박 관념에 반대하고, 노장의 자연주의적인 인간의 자유사상 을 흠모하게 되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모든 속박으로 부터의 해방을 갈구하였다.

(7)

정시(正始 : 240~248)는 곧 위(魏) 폐제(廢帝) 조 방(曹芳)의 연호이다. 정시 학풍은 위진 시대 학술 사상의 원류를 이루었 음은 물론, 그 영향은 후대에 와서 지대하게 나타났었다. 곧 문학상으로는 낭만파 문학의 선도가 되었고 또 풍조상으로는 청담(淸談)의 오국지풍(誤國之風)을 야기시켰다. 이 정시 학풍 을 계승하여 일어난 것이 곧 이른바 죽림칠현이며 이 죽림칠 현으로 말미암아 정시 학풍은 또한 발양 광대(發揚光大)되었 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겠다.

(8)

칠현(七賢)은 곧 혜강(嵇康)∙완적(阮籍)∙산도(山濤)∙상수(尙 秀)∙유영(劉伶)∙왕융(王戎)∙완함(阮咸)을 두고 하는 말이다.

완적(阮籍 :210~263)은 자(字)가 사종(嗣宗), 진류(陳留) 울지 (蔚氏) 사람으로 건안 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인 완우(阮瑀) 의 아들이다. 특히 노장(老莊)을 좋아했다. 또 술을 즐기고 소 (嘯)와 금(琴)에도 뛰어났다. 그는 또 효성도 지극하여 모친의 상보(喪報)를 듣고 술 두말을 마시고 피를 토하며 통곡하였다 고 한다. 부(賦)로는 <동평부(東平賦)>∙유자(儒者)를 비방한

<대인선생전(大人先生傳)이 있다.

(9)

유영(劉伶 : 약 221~300 전후)은 자가 백륜(佰倫), 패국(沛 國) 사람으로 생졸년은 불상(不詳)이다. 때로는 옷을 벗고 나 형(裸形)으로 방안에 있었고 주량(酒量)은 완적(阮籍)보다도 더 강했다. 그는 항상 술을 잔뜩 마신 뒤 수레에 타고서는 사람 을 시켜 삽을 메고 자기 뒤를 따라오게 하면서 그에게 말하기 를, “내가 죽거든 곧 나를 묻어달라.”고 했다. 저술로서는 <주 덕송(酒德頌)>1편이 남아 있다.

혜강(嵇康 : 223~262)은 자가 숙야(叔夜), 초국(譙國) 사람으 로 어려서 부모를 여의었으나 기재(奇材)가 있었고 박람하여 어디고 통하지 않은 곳이 없었으나, 노장학을 좋아하였다.

이 밖의 산도(山濤)∙상수(尙秀)∙왕융(王戎)∙완함(阮咸)의 4

(10)

인에 대해서는 남아 있는 작품도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렇 게 알려지지 않았다.

도잠(陶潛 ; 372~427)은 자가 연명(淵明) 혹은 원량(元亮), 그 의 이름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심양(尋陽) 자상(紫桑) 사람으로 진 간문제(簡文帝) 함안(咸安) 2년에 나서 송 문제 (文帝) 원가(元嘉) 4년 향년 56세로 일생을 마쳤다. 일찍이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지어서 자신에 비유하였다. 오직 전원에서 궁경자급(躬耕自給)하면서 시주(詩酒)와 자연을 즐기 면서 일생을 보냈다. 세상에서는 그를 ‘정절선생(靖節先生)’이 라고 부른다.

(11)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귀거래사(歸去來辭)>∙<도화원기 (桃花源記)>, 그리고 수많은 전원시야말로 불후의 걸작이라 아 니할 수 없다.

도 잠은 당(唐)나라 이두(李杜) 이전에는 찾아보기 드문 위대 한 시인이었다. 혹자는 그의 <도화원기(桃花源記)>를 서양의 토마스 모아(Thomas More)의 <유토피아(Utopia)>와 비교해 서 말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디오게네 스(Diogenes)와 비유하는 사람도 있다.

(12)

3. 소설(小說)

소설은 그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대개 고대 신화(神話)와 전 설(傳說)로부터 발달한 것으로, 중국도 역시 그러하다.

중국에서 그 예를 들어보면 <<열자(列子)>> <탕문(蕩問)>편 의 ‘여왜(와)보천지설(女媧補天之說)’이나 <<회남자(淮南子)>>

<본경훈(本經訓)>의 ‘예사십일지설(羿謝十日之說)’ 등이 있다.

고대 학자들은 이런 것들을 물론 믿지도 않았으려니와, 이런 것들은 정치나 교육 같은 원대한 사업을 함에 있어서는 큰 장 애물이 된다고 믿었다.

(13)

그 후 한대(漢代)에 와서 반고(班固)는, 소설가의 부류는 대 개 패관에서 나왔으며, 항간에서 주고받는 한담이나 아무렇게 나 길거리에서 주워들은 자료에 의하여 조성된 것이다. 공자 가 말하기를 “소설이란 비록 보잘 것이 없는 것이긴 하지만 거기엔 반드시 볼 만한 점이 있다. 그러나 원대한 일에 인용 한다면 아마도 혼란을 면치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군자들은 소설을 쓰지 않았고, 그렇지만 또한 그것을 없애버리지도 않았다.

(14)

중국의 신화와 전설은 다만 고서적에 산견(散見)될 뿐인데

<<산해경(山海經)>>이야말로 중구구 고대 신화의 보고(寶庫)라 고 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신화를 수록하고 있다. 이는 후인의 위작(僞作)이라고는 하지만, <<목천자전(穆天子傳)>>과 더불어 중국 소설의 원천(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15)

유명한 곤륜산(崑崙山)과 서왕모(西王母)의 이야기가 있다.

<<목천자전(穆天子傳)>>은 진(晉)의 함녕(咸寧) 5년 급현(汲縣) 사람이다. 부준(不準)이 위(魏) 양왕(襄王)의 왕총(王冢)을 도굴 하여 죽서(竹書)의 <<목천자전(穆天子傳)>>을 다른 잡서 19편과 함께 얻었다. 현존하는 <<목천자전>>은 모두 6권으로 되어 있 는데 전5권은 주(周) 목왕(穆王)이 팔준마(八駿馬)를 타고 서방 (西方)의 서왕모를 정벌한 일을 서술하였고, 후1권에는 성희(盛 姬)가 도중에서 죽어 되돌아가 장사를 치룬 것을 기술하고 있 다. 특히 여기서는 서왕모의 괴이한 형상에 대해서는 그렇게 말 하지 않고 있는 것을 보아 신(神)에서 인화(人化), 다시 말하면 고대 소설이 자연적인 변천 과정을 밟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16)

이상과 같은 <<산해경(山海經)>>을 중심으로 한 수많은 중국 고대의 신화나 전설들이 곧 중국 소설의 실질적인 전신이요 기원이었음은 더 말할 나위도 없겠다.

위진 남북조 시대의 소설을 그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대략 다 음과 같다.

⓵신괴류(神怪類) : <<열이전(列異傳)>>∙<<박물지(博物志)>>

∙<<유명록(幽明錄)>>∙<<속제해기(續齊諧記)>> 등

⓶종교류(宗敎類) : <<선험기(宣驗記)>>∙<<명상기(冥祥記)>>

∙<<원혼지(冤魂志)>>∙<<신이기(神異記)>>∙<<습유기(拾遺 記)>> 등

(17)

⓷세속류(世俗類) : <<어림(語林)>>∙<<세설(世說)>>∙<<속설 (俗說)>>∙<<소설(小說)>>∙<<소림(笑林)>>∙<<계안록(啓顔 錄)>> 등

첫째, 신괴류는 이른바 한 대의 신선담(神仙譚)을 계승하여 나타난 귀신 지괴의 서(書)로서 많은 작품이 이미 망실되고 전 하지 않지만 그 유문(遺文)들이 <<태평광기(太平廣記)>>∙

<<태평어람(太平御覽)>>∙<<법원 주림(法苑珠林)>> 등에 간간 이 남아 있다.

(18)

장화(張華;232~300)는 자가 무선(茂先), 범양(范陽) 방성(方城) 사람이다. 그의 작품으로 <<박물지(博物志)>>가 있다.

간보(干寶;약317전후)는 자가 영승(영승), 신채(신채) 사람이다.

<<수신기(獀神記)>> 20권은 그의 작품이다. 간 보는 음양 술 수를 좋아하고 일찍이 그의 부친의 비(婢)가 주었다가 재생하 고 또 형이 기절했다가 다시 소생하여 천신을 보았다고 말한 것에 감화되어 이에 <<수신기>> 20권을 지었다.

(19)

둘째, 종교류는 육조 시대에는 이미 불교의 세력이 일반 사회 에 널리퍼져 있었으므로 불교 사상이 무의식 중에 귀신 지괴 의 서(書) 중에 혼입되었다. 이리하여 인과윤회지설(因果輪廻 之說)은 지괴서에 실려서 널리 퍼졌다. 한편으로는 이와 맞서 도교도 또한 신선 이기(神仙異記)를 작술하여 그들의 교를 신 성한 것으로 선전하였다.

셋째, 세속류에 속하는 소설은 신괴도 아니고 불교나 도교의 색채도 안 보이는 말하자면 세상에서 볼 수 있는 인간의 언행 이나 담소 등을 모은 소설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 진 남북조 시대에 있어서는 이것이 가장 진보적인 소설류로서

(20)

비로소 지괴의 테두리를 버서나기 시작한 것이다.

유의경(劉義慶)은 이미 앞에서 설명했거니와 그의 <<세설(世 說)>> 8권은 <수지(隨志)>에 양(梁) 유효표(劉孝標)가 여기에 주를 가하여 10권으로 하였다고 되어 있다. 현존하는 3권은

‘신어(新語)’란 두 자를 가한 것으로 송(宋) 안수(晏殊)가 정리 한 것이다.

금본<<세설신어(世說新語)>>는 모두 38편으로 덕행(德行)으로 부터 시작하여 구극(仇隙)에 이르기까지 내용에 따라 분류시켰 고 시대로 보면 후한에서 도진에 이르는 사이의 고사들이다.

참조

관련 문서

대만 사람들은 감기를 위해 소고기 국수를 먹어.. 태국 사람들은 감기를 위해 닭고기

왕인신사에서는 칸자키시 상공관광과 이토야마 이사오 과장 으로부터 왕인박사가 일본에서 이룩한 문화적 업적을 비롯 하여 왕인박사가 일본에 도착할 당시

However Rikuy has created his brilliant creativity and applied it to chanoyu such as not just appreciate the vase without flowers or decorations or so. It

이것을 《노자》라고 하며 《도덕경 (道德經)》이라고도 하는데, 도가사상의 효시로 일컬어진다.. 이는 예쁘지도 크지도 않는 보이는 그 자체이며 우리는 언어적

장척은 단청할 때 단청화사들이 사용하는 것과 목수들이 집을 지으면서 사용 하는 것으로 구분되고 목수들이 사용하는 것은 10척 정도이나 집의 주칸 크기 로

[2] 행정처분은 그 근거 법령이 개정된 경우에도 경과 규정에서 달리 정함이 없는 핚 처분 당시 시행되는 개정 법령과 그에서 정핚 기준에 의하는 것 이 원칙이고, 그

• 운남성의 德宏과 臨滄 지구에 사는 傣族ㆍ阿 昌族ㆍ佤族ㆍ德昂族ㆍ布朗族 사이에서 유행.

 (2) 중학교: 도덕적 가치·덕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도덕 문제에 대한 참여적 활동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도덕 적 탐구와 성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