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7.부정정 구조물의 개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7.부정정 구조물의 개요"

Copied!
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 부정정 구조물의 개요

7.1. 개설

7.1.1. 부정정구조물

■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 혹은 그들의 접합부 및 지점에 의한 구속조건이 붕괴의 방지 를 위해 필요한 수보다 많은 경우 정역학적 부정정구조물이라 한다. 과잉부재 및 과잉구속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부정정력, 여용력 혹은 과잉력이라 하며 부정정력수는 부정정 차수로 표현되고 이는 구조물이 보유하고 있는 구조형식으로 인한 안정성의 여유 정도를 나타낸다.

■ 정정구조물의 해석: 해제조건을 고려한 평형방정식에 의해 미지 반력을 구하고 이를 이용 해 부재 내부력을 해석

■ 부정정구조물의 해석: 미지력의 수가 평형조건식 수보다 많아 추가적인 조건식이 필요하므 로 변형의 적합조건(Compatibility Condition)을 이용, 변형과 힘의 관계는 재료의 물성과 부재단면특성에 의해 표현

7.1.2. 부정정구조물의 기본개념

■ 응력법(Force Method) : 부정정력을 미지변량으로 취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예) 변위일치법, 3연 모멘트법, 최소일의 방법

■ 변위법(Displacement Method) : 변위를 미지변량으로 취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예) 처짐각법, 모멘트 분배법

■ 부정정 차수()의 판별

■ 판별식 방법 1

-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들을 절단하여 양단에 절점을 갖는 열린 부재들로 구성 - 지점 반력과 각 부재에 나타나는 미지 단면력이 미지력

- 각 절점에 세워지는 평형방정식과 부재 내부의 해제조건식이 사용 가능한 방정식 수

     ·    ·   

(7.1.1)

부재수 해제조건수

반력수 절점수

단면력성분수 절점별 평형방정식 수

미지력수방정식수

(2)

 

■ 판별식 적용 예

아래 구조물의 지점 A, B에 절점을 정의하여 2개의 절점과 한 개의 부재로 고려

- 미지반력 4개

- 부재수는 한 개 이며 부재 절점에 나타나는 미지 내부력 , , , , 각각 종속되어 미지력은 3개, 즉 양단에 6개의 미지 단면력을 갖고 한 개의 자유물체도에 평형방정식 3개를 고려하면 3개 단면력만이 미지력

- 절점 A, B에는 위에 언급한 7개의 미지력 (반력 4, 부재력 3) 외에 추가적인 미지력이 나 타나지 않으며, 두 절점에서 각각 3개의 평형방정식이 세워짐

- 부재 내부의 모멘트 힌지로부터 추가 조건식   

- 따라서, 부정정 차수 = 반력수 + 부재수 당 3개의 미지력 – 절점 당 3개의 평형방정식 – 해제조건식 수 = 4 + 1×3 – 2×3 – 1 = 0 : 정정

■ 부재 단면에 발생하는 미지력 수와 평형 방정식 수는 구조형식에 따라 아래 표와 같다.

구조 차수 평면 구조물 입체 구조물

구조 형식 들보 보, 라멘 트러스 들보 보, 라멘 트러스

절점 평형방정식 수 2 3 2 4 6 3

부재 단면력 수 2 3 1 2 6 1

■ 판별식 방법 2 (Cut-Tree 방법)

-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들을 절단하여 절점을 정의하고, 각각의 절단된 부재(강체) 의 절점에 미지 내부력을 표시하여 자유물체도를 구성

- 절단된 부재는 강체이어야 하므로 힌지에서 절단

- 각 자유물체도는 평형을 이루므로 각 각 세 개의 평형조건식이 주어지며 반력을 포함한 절점 미지 내부력 수는 구하여야 할 미지력의 수

(3)

 

    

  × 

부정정차수 절점 미지력수 평형방정식수 반력수 절점수

미지력수방정식수

■ Cut-Tree 방법 적용 예

위의 예를 Cut-Tree 방법으로 분석하면 모멘트 힌지C에 절점을 정의하고 2개의 자유물체 도를 고려

- 반력 4개

- 절점C의 미지력 2개

- 부재수 (자유물체도 수) 2개

- 부정정 차수 = 반력 + 절점 미지력 – 자유물체도 수×평형방정식 수 (=3) = 4 + 2 – 2×3 = 0 : 정정

(4)

■ 부정정 판별 예

- 판별식 방법 1:

     ·    ·   

- 판별식 방법 2:

    

  × 

예1) 예2)

1.

= 4,

= 3,

= 2,

= 2 1.

= 9,

= 14,

= 9,

= 19

= 4 + 3×3 – 3×2 – 2 = 5

= 9 + 14×3 – 3×9 – 19 = 5 2.

= 4,

= 7,

= 2 2.

= 9,

= 38,

= 14

= 4 + 7 – 2×3 = 5

= 9 + 38 – 14×3 = 5

예3) 예4)

1. 1.

2. 2.

예5) 예6)

1. 1.

2. 2.

(5)

8.변위일치법

n 기본개념

■ 대상 구조물에 부정정력 발생시키는 구속들을 선택하고 해제하여 정정구조물로 만들어

이를 기본 시스템 (Fundamental system)으로 취한다.

■ 기본시스템에 실제 하중을 가하여 구속이 해제된 위치에서의 변위를 구한다.

■ 부정정력  ⋯ 등을 기본 시스템에 하중으로 가하여 구속이 해제된 위치에서의 변위를 구한다.

■ 이때 기본시스템의 구속이 해제된 위치에 실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를 원상복구 시켜, 구속이 해제되기 전의 실제시스템의 변형조건과 일치하게 하는 힘들을 찾으면 그 힘들이 부정정력이다.

■ 정정인 기본시스템에 실제하중과 앞에서 찾은 부정정력들을 하중으로 가하여 실제 시 스템을 해석한다.

■ 이때 부정정력의 선택에 따라 해석이 간단해 질 수 있으며, 각각의 변위는 단위하중법 으로 구할 수 있다.

예) 1차 부정정보: 반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

 



 

1) 부정정력 선택

■ 지점 의 수직 변위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이에 대응하는 반력 를 부정정력으로 선택한다.

 



 

(6)

2) 기본시스템

■ 선택한 정정시스템에 실제하중을 가한다.

■ 실제 하중 에 의해 점에는 의 처짐이 발생한다.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선택한 정정시스템이 부정정력을 단위하중  로 가한다.

■   에 의해 점에는 

의 처짐이 발생한다.

 

 ⊕

4) 각각의 처짐 와 

은 단위하중법으로 구한다.

이때 사용되는 가상의 힘에 의한 모멘트도는 단위하중시스템에서의 모멘트도와 동일하다.

5)   에 배한 힘 에 의한 변위 ·

이  와 같다면, 지점 에서의 처짐은 “”

이 되어 지점 에서의 실제보의 경계조건을 만족하고 이때의 는 실제보의 점 반력

이다.

6) 부정정력 와 실제하중 를 기본시스템에 가하여 나머지 반력과 보의 부재력을 정정 해석법에 의해 구한다. 이때 기본시스템에서 구한 모멘트도와 반력은 단위하중시스템 에서 구한 모멘트도 및 반력을 배하여 중첩할 수 있다. 전단력도 또한 동일한 방법으 로 구하거나 모멘트와 전단력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Q는 부정정력으로 고차 부정정구조물의 경우 여러개의 부정정력이 나타나며 이를 단위하중 와 동일하게 표시한다. 구하고자 하는 실제 시스템의 응답(반력, 단면 력도, 변형, etc.)은 실제하중과 부정정력 에 대한 기본시스템의 응답 와 을 중첩하여 구한다.

 

  

(8.2.1)  : 부정정 차수  : 부정정력,    · · · 

: 기본시스템의 응답  : 단위하중 시스템의 응답

(7)

■ 앞에 기술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체계화 된다.

 



 

1) 부정정력 선택

 

2) 기본시스템

■  : 실제하중 에 의해   이 작용하는 위치에 발생하는 변위

■ 이때 이 힘이므로 는 이에 대응하는 변위 즉, 처짐이다.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8)

■  :  에 의해   이 작용하는 위치에 발생하는 변위, 즉 처짐

■ 여기서 구한 값들은 수동적 일이므로 이들의 단위도 일의 단위 · 이어야 하나 적 용된 힘이 단위 없이 “” 로 고려되어 계산결과의 단위는 일의 단위와 일치하지 않는 다. 단지 일의 계산에 단위하중 “”이 사용되어 계산된 일의 양은 구하고자 하는 변위 의 양과 동일하다.

4) 처짐계수 

■  ·  ·  가 음수인 것은  와 가상의 단위하중  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이들에 의한 일의양이 음의 값을 가짐을 나타낸다.

■ 한편  , 즉   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데 이는   와 는 항상 같은 방향을 나타내 기 때문이다.

5) 부정정력

6) 내부력 계산

■ 반력

(9)

■ 모멘트 및 반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단력



 









 

 

(10)

예) 1차 부정정보 : 단면 모멘트를 부정정력으로 선택

■ 보의 임의의 한점에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모멘트 힌지를 설정하고 실제보의 그 단면 에 발생할 단면 모멘트를 부정정력으로 선택한다. 이때 실제보의 처짐곡선에서 해당점 좌우의 회전각은 같다. 즉, 그 점에서의 상대회전각은 “”인 조건을 적용한다.



 

1) 부정정력 선택

2) 기본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실제하중에 의해  작용위치에 발생하는 변위

이때, 변위는 부정정력 이 모멘트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회전각이다(상대회전각).

(11)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정정력 에 의해, 이 작용하는 위치에 발생하는 변위 즉, 회전각(상대회전각)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에서 와 의 계산이 각각 수행되지 않았다. 과 은 각각 힌지 좌우측의 을 개별적으로 계산하여 구해진다.

■ 여기서  · · 이 음수인 것은, 과이  과 각각 반대 방향임에 기인한 다.

+ 1 1

+ 1 1

+ 1 1

+ 1

+ 1

1 1 +

1 1

(12)

5)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

 

6) 내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예) 1차 부정정보 : 모멘트 반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

■ 고정단에 모멘트 힌지를 설정하고 실제보의 고정단에 발생할 모멘트 반력을 부정정으 로 선택한다. 이때, 고정단에 (상대)회전각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고려한다.

  

1) 부정정력 선택

  

2) 기본시스템

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14)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6) 내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예) 탄성지점을 갖는 1차 부정정보

■ 탄성지점에 전단 힌지를 설정하고 그 점에 발생할 전단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한다. 이

때 구한 부정정력은 지점에서의 전단력 즉, 반력이다.

■ 탄성지점에서 변위는 발생하나 그 점의 좌·우 상대변위는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적용 한다.

■ 계산의 편의상 아래 계산에서 지점강성   

로 가정한다.

 

 

: 지점 강성계수

1) 부정정력 선택

2) 기본시스템

■   은 실제하중에 의해 기본시스템의 지점 에 발생하는 상대변위

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16)

■   에 의한 지점 변위  

 이다.

■     은 단위하중 시스템의 지점 에 발생하는 상대변위이다. 은 내부일 로 계산되며 지점 의 변위 은 가상의 힘  에 대하여 외부일 ·로 계산 된다. 이는 가상의 힘  에 대한 방향을 고려한 반력 을 이용하여 · 로도 표현된다. 즉,  ·  · 

· ·  ·



  ·   ·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

6) 내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예) 탄성지점을 갖는 1차 부정정보

■ 고정단의 지점에 힌지를 설정하고 그 점에 발생할 모멘트 반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하 여 지점의 모멘트 반력을 구한다.

■ 고정단에서 (상대)회전각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고려한다.



  



 

1) 부정정력 선택

  

2) 기본시스템





 



  

· 

 

■ 는 탄성지점을 고려하지 않고, 하중에 의한 처짐각  와 탄성지점 변위로 인한 처짐 각  의 합이다

·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6) 내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 처짐계수  의 일반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탄성지점 수  = 에 대한 번째 탄성지점 반력

= 실제하중 또는 에 대한 번째 탄성지점 변위  = 이동지점 수

= 에 대한 번째 이동지점 반력 = 번째 이동지점 변위

온도하중과 지점이동의 경우 단지  에만 고려된다.

예)

  

 ···   

 ··· 

 ··· 

(20)

예) 등분포하중을 받는 1차 부정정보

■ 일반적으로 반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하는 것이 간편할 수 있으나, 다음에서는 부재의 임의의 점에 전단힌지를 설정하고 단면 전단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한다. 이때, 실제보 에서 전단힌지 위치에서 좌우 상대처짐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정정력 의 크기가 실제보의 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이다.

 

1) 부정정력 선택

2) 기본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5)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 

6) 내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모멘트도

(22)

예) 구배온도하중을 받는 양단 고정보

■ 양 고정단에 힌지를 설정하고 모멘트 반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한다.

■ 양 고정단에서 (상대)회전각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적용하여 부정정력을 계산한다.

  × 

1) 부정정력 선택

2) 기본시스템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4)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23)

5)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xwell의 정리.    )

6)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내부력도

 



(BMD) (SFD)

■ BMD에서 나타내듯이 온도변화가 음(-)인 측에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 이 예의 경우, 양 고정단에서 동일한 모멘트 반력이 발생함을 고려하면 단지 1개의 부정정력 을 양쪽 고정단에 적용할 수 있다. 

(24)

예) 지점변위가 주어진 1차 부정정보의 내부력

■ 지점변위는 처짐계산에 포함시키지 않고 처짐 방정식의 우변에 고려할 수 있다.









   · 

 

1) 부정정력 선택



2) 기본시스템











·

  



 

■   

■ 지점 변위  는 단위하중 시스템  에 대하여 외부일을 발생,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25)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부정정력

  (는 방향과 반대)

  





  

  

 

6) 내부력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지점변위는 처짐계산에 포함시키지 않고 처짐 방정식의 우변에 고려할 수도 있다.



 

 







(26)

예) 온도변화와 지점변위를 갖는 구조물 (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부정정력 선택

2) 기본시스템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27)

4)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5) 부정정력

  

· 

· 

 

··

  

6) 모멘트도



(28)

예) 2개의 내부지점을 갖는 연속보



   



 

         

1) 부정정력 선택

 

2) 기본시스템







 

 

 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

 

(29)

4)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  

 

 

5) 처짐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6) 부정정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내부력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내부력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본 예는 대칭 시스템이므로 대칭되는 부정정력 2개를 선택하여 일차 부정정 구조물로 해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31)

예) 아래 부정정보에서 점의 모멘트를 구하시오.

■ 보의 중앙에 모멘트 힌지와 전단힌지를 설정하고 실제보의 처짐곡선에서 해당점 좌우 의 상대회전각과 상대변위는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적용

 

  

 



 

  

  

1) 부정정력 선택

 

  

2) 기본시스템





    







 

      

3)  단위하중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관련 문서

주위 구조물을 통한 위치관계의 파악은 주요 해부학 구조물의 경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본 연구에서 아래턱뼈 앞니관은 아래턱뼈 아래모서리에서부터 수직거리

[r]

그러나 폐암에 병발한 폐렴이나 혹은 포도상 구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혹은 Klebsiella 등에 의한 폐렴 인 경우 객혈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비린내 나거나 짙은

최근 국내 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도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두면서 많은 청소년이 애니메이션 및 캐릭터 개발 분야 진로 를 희망하고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설계에서 위성 내부 하네스 케이블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학 임무 탑재체와 안테나, 태양 전지판을 제외한 위성 시스템 버스 를 구성하고 있는

– 무한히 많은 해가 존재하는 경우 (미지수의 수가 방정식의 수보다 많은 경우). – 유일한

OpenAPI를 통한 설계 자동화 모듈은 스마트그린 구조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핵심 기술로써 Flexible한 접합부, 수평저항장치 및 에너지 흡수장치의 특수형상 디테일을

 미지변수의 개수가 일차방정식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일반적 으로 수없이 많은 해가 존재.  일차방정식의 수가 미지변수의 수보다 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