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모형과 기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4 :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모형과 기준"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 :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모형과 기준

(2)

 ACRL의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 ACRL은 2000년 1월 총 5개의 기준과 22개의 수행지표, 87개의 성과 측정 항목들로 이루어진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을 개발

-> 필요한 정보의 특성과 범위 결정 역량

-> 필요한 정보에 대한 효과적/효율적 접근 역량

-> 정보/정보원을 평가해 자신의 지식체계에 통합하는 역량 -> 목적에 맞는 정보의 효과적인 이용 역량

-> 정보이용의 경제적/법적/사회적 인식과 윤리적 이용 역량

- “IL은 모든 학문분야와 모든 학습환경, 모든 교육수준에 있어 평생학

습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것”

(3)

 ACRL의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기준

- 기준 1 : IL을 보유한 학생은 필요한 정보의 속성과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Performance Indicators(수행지표) :

1. 정보요구를 정의하고 분명히 표현한다.

2. 여러 형태와 포맷으로 된 잠재적 정보원들을 인식한다.

3. 필요한 정보의 입수와 관련된 비용과 효과를 고려한다.

4. 정보요구의 속성과 범위를 재평가한다.

(4)

 ACRL의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기준

- 기준 2 : IL을 보유한 학생은 필요한 정보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접 근한다.

Performance Indicators(수행지표) :

1.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사방법과 정보검색 시스템을 선 택한다.

2. 효과적으로 설계된 탐색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한다.

3.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면서 온라인이나 직접 정보를 검색한다.

4. 필요하다면 검색전략을 개선한다.

(5)

 ACRL의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기준

- 기준 3 : IL을 보유한 학생은 정보와 그 출처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선택된 정보를 자신의 지식기반과 가치체계에 통합한다.

Performance Indicators(수행지표) :

1. 수집된 정보로부터 발췌된 아이디어를 요약한다.

2. 정보와 그 정보원을 평가하기 위해 초기의 기준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그것 을 적용한다.

3. 주요 아이디어들을 종합하여 새로운 개념들을 구성한다.

4. 정보의 부가가치, 반론, 다른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전의 지식과 새로 운 지식을 비교한다.

(6)

 ACRL의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기준

- 기준 3 : IL을 보유한 학생은 정보와 그 출처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선택된 정보를 자신의 지식기반과 가치체계에 통합한다.

Performance Indicators(수행지표) :

5. 새로운 지식이 개인의 가치체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결정하고 차이점을 조 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6. 다른 개인, 해당분야 전문가, 실무자 등과의 대화를 통해 정보에 대한 이해 와 해석에 대해 확인을 거친다.

7. 초기 질의가 수정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7)

 ACRL의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기준

- 기준 4 : IL을 보유한 학생은 개인 또는 조직의 일원으로 특정 목적 달 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정보를 이용한다.

Performance Indicators(수행지표) :

1. 새로운 정보와 이전의 정보를 특정한 결과물이나 성과를 계획하고 생성하 는데 적용한다.

2. 결과물이나 성과를 위한 진행과정을 수정한다.

3.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결과물이나 성과에 대해 소통한다.

(8)

 ACRL의 고등교육 정보리터러시 기준

- 기준 5 : IL을 보유한 학생은 정보이용을 둘러싼 많은 경제적, 법적, 사 회적 이슈들을 이해하고 윤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정보에 접근하고 이 용한다.

Performance Indicators(수행지표) :

1. 정보와 정보기술을 둘러싼 많은 윤리적, 법적, 사회경제적 이슈들을 이해한 다.

2. 정보원의 접근과 이용에 관련된 법규, 규제, 기관의 정책, 에티켓을 준수한 다.

3. 결과물이나 성과를 소통함에 있어 정보원의 이용에 대해 공식 표명한다.

(9)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 2001년 호주 대학도서관사서협회

-> 미국 ACRL의 IL기준(2000)을 수정해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1 판 제정

- 2004년에 ANZIIL(Australian and New Zealand Institute for Information Literacy)

-> 제1판을 보완해 정보리터리시 기준 제2판인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을 공표

-> 6개의 기준, 19개의 성과지표, 상세한 예시 등으로 구성

(10)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기준 1 : IL을 보유한 학생은 정보요구를 인식하고 필요한 정보의 속성 과 범위를 인식한다.

학습결과물(수행지표) :

1.1 정보요구를 한정하고 분명히 한다.

1.2 다양한 정보원들의 목적, 범위, 적절성을 이해한다.

1.3 정보요구의 속성과 범위를 재평가한다.

1.4 의사결정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이용한다.

(11)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기준 2 : IL을 보유한 학생은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찾 는다.

학습결과물(수행지표) :

2.1 정보를 찾기 위해 가장 적합한 방법이나 도구를 선택한다.

2.2 효과적인 검색 전략을 구성하고 실행한다.

2.3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정보를 얻는다.

2.4 최신의 정보원, 정보기술, 정보접근 도구, 조사방법을 유지한다.

(12)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기준 3 : IL을 보유한 학생은 정보와 정보탐색과정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다.

학습결과물(수행지표) :

3.1 획득한 정보의 유용성과 관련성을 평가한다.

3.2 정보평가를 위한 기준을 정의하고 적용한다.

3.3 정보추구과정을 돌아보고 필요시, 검색전략을 수정한다.

(13)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기준 4 : IL을 보유한 학생은 수집되거나 생산된 정보를 관리한다.

학습결과물(수행지표) :

4.1 정보와 그 출처를 기록한다.

4.2 정보를 조직한다.(정렬, 분류, 저장)

(14)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기준 5 : IL을 보유한 학생은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고 새로운 이해를 만 들기 위해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이용한다.

학습결과물(수행지표) :

5.1 정보의 부가가치, 모순성, 다른 독특한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의 지식 과 새로운 이해/발견을 비교하고 통합한다.

5.2 지식과 새로운 이해/발견을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한다.

(15)

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기준 6 : IL을 보유한 학생은 분별있게 정보를 이용하며 정보이용과 관련 된 문화적, 윤리적, 경제적, 법적, 사회적 이유를 인식한다.

학습결과물(수행지표) :

6.1 정보 접근과 이용과 관련된 문화적, 윤리적, 사회경제적 이슈에 대해 알고 있다.

6.2 가치와 신념에 의해 정보가 지지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6.3 정보 접근 및 이용과 관련된 관습과 에티켓을 따른다.

6.4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사운드를 합법적으로 획득, 저장, 배포한다.

(16)

 SCONUL의 The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

- 영국 국립/대학도서관협회(Society of College,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ies)가 제정

- 1999년 고등교육을 위한 정보능력에 관한 의견서 발표

- information skill을 IT Skills와 Information Handling Skills로 구분

- 대학교육에 필요한 7개의 정보능력을 제시

(17)

 SCONUL의 The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

- 기준 1. 정보요구를 인식하는 능력

- 기준 2. 정보의 ‘격차’(gap)를 다루는 방법을 구분하는 능력

-> 인쇄와 비인쇄 등 적절한 종류의 정보원에 대한 지식 -> 시급한 과제에 가장 적합한 정보원을 선택

-> 정보원에 대한 접근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 는 능력

- 기준 3. 정보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 정보원에 맞게 정보요구를 분명히 표현할 수 있는 능력 -> 요구에 적합한 체계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능력

-> DB의 구축과 생성에 관한 원리를 이해하는 능력

(18)

 SCONUL의 The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

- 기준 4. 정보의 소재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능력

-> 적절한 검색 테크닉을 개발하는 능력(불리언 연산 등) ->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정보 기술을 이용하는 능력

-> 적절한 색인, 초록, 인용색인, DB를 이용하는 능력

-> 최신성 유지를 위해 최신정보 입수방법을 이용하는 능력

- 기준 5. 다른 정보원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비교하고 평가하는 능력

-> 편견이나 권위와 관련된 인식

-> 학술 출판의 동료심사 과정에 대한 인식 -> 정보요구와 일치하는 정보의 적절한 발췌

(19)

 SCONUL의 The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

- 기준 6. 적절한 방법으로 정보를 조직하고 적용하고 다른 사람과 소 통하는 능력

-> 상황에 적합한 방법으로

-> 프로젝트 보고서와 논문에서 참고문헌을 인용하는 적절한 방법 -> 개인적 서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적절한 방법

-> 시급한 문제에 정보를 응용하는 적절한 방법

-> 적절한 매체를 사용해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적절한 방법 -> 저작권과 표절 이슈들을 이해하는 적절한 방법

- 기준 7. 현재의 정보를 종합하고 구축하여 새로운 지식 창출에 기여

하는 능력

(20)

참조

관련 문서

 Students nee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grading policies and procedures should meet with their faculty advisor, Executive Director/Chairperson or a

[r]

①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하여 기동장치의 조작·작동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경보를 발하도록 하고 소화약제 방사 전에 차단되지 않도록 할 것. ② 음향경보장치는

Rule 1: 정보의 비가시성 (정보가치의 주관성) Information is invisible?. (The value of

정보의

고분자의 명명법은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원료 기준 명명법 (source based nomenclature)와 IUPAC의 구조 기준 명명법 (structure based

① 기동장치의 방출용스위치 등의 작동으로부터 저장용기등의 용기밸브 또는 방출밸브의 개방까지의 시간이 20초 이상으로 되도록 지연장치를 설치할 것 (단,

• Bauman-Waengler, J.(2008), Introduction to Phonetics and Phonology: From Concepts to Transcription, Pearson.. Mees(2013), Practical Phonetics and Phonology(3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