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풍산자 라이트 수학하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풍산자 라이트 수학하 답지 정답"

Copied!
4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학(하)

풍산자

필수 개념 연계 문항들로 빠르게 끝내는 단기 완성서

(2)

0

1

① ‘키가 큰ʼ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집합이라고 할 수 없다. ② 20보다 작은 홀수의 모임은 {1, 3, 5, y, 19} 이므로 집합이다. ③ 10보다 작은 자연수의 모임은 {1, 2, 3, y, 9} 이므로 집합이다. ④ 2보다 작은 소수의 모임은 a이므로 집합이다.60의 약수의 모임은 {1, 2, 3, 4, 5, 6, 10, 12, 15, 20, 30, 60} 이므로 집합이다.

0

2

10보다 작은 홀수의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1, 3, 5, 7, 9} 이므로 2²A

0

3

주어진 벤다이어그램에서 집합 A는 A={2, 4, 6, 8}={x|x는 한 자리의 짝수} 보기에 주어진 집합을 각각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① {1, 2, 3, y, 9} ② {2, 4, 6} ③ {1, 2, 4, 8} ④ {2, 4, 6, 8} ⑤ {4, 6, 8} 따라서 집합 A를 조건제시법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④ {x|x는 10보다 작은 짝수}이다.

0

4

세 집합을 각각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 2, 4}, B={1, 2, 4, 8}, C={1, 2, 4, 8, 16} 이므로 세 집합의 포함 관계는 A,B,C

0

5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1, 13, 15, 17, 19} ㄱ.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A (참) ㄴ. 11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11<A (거짓) ㄷ. 15<A, 19<A이므로 {15, 19},A (참) ㄹ. 17<A이므로 {17},A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0

6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 3, 5, 15} 이때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고 B,A이므로 A=B Ú a-1=3, 즉 a=4일 때 B={1, 3, 5, b}에서 b=15a+b=19 Û a-1=15, 즉 a=16일 때 B={1, 5, 15, b}에서 b=3a+b=19 Ú, Û에 의하여 a+b=19 다른 풀이 b에 대하여 경우를 나누어 구해도 된다. Ú b=3일 때 a-1=15 a=16 a+b=19 Û b=15일 때 a-1=3 a=4 a+b=19 Ú, Û에 의하여 a+b=19

0

7

집합 A의 부분집합은 a, {1}, {{1, 2}}, {1, {1, 2}} 따라서 집합 A의 진부분집합은 부분집합 중 {1, {1, 2}}를 제외하면 되므로 a, {1}, {{1, 2}}

p. 06

0

1

0

2

0

3

0

4

0

5

ㄱ, ㄷ

0

6

19

0

7

a, {1}, {{1, 2}}

집합의 포함 관계

p. 08

0

1

10

0

2

0

3

0

4

0

5

0

6

8

0

7

16

부분집합의 개수

0

1

집합 A={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2인 부분집합은 {1, 2}, {1, 3}, {1, 4}, {1, 5}, {2, 3}, {2, 4}, {2, 5} {3, 4}, {3, 5}, {4, 5} 이므로 그 개수는 10이다.

0

2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5, 10, 15, 20} ①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A ② 원소의 개수가 1인 부분집합은 {5}, {10}, {15}, {20} 이므로 그 개수는 4이다.

(3)

③ 원소의 개수가 2인 부분집합은 {5, 10}, {5, 15}, {5, 20}, {10, 15}, {10, 20}, {15, 20} 이므로 그 개수는 6이다. ④ 원소의 개수가 3인 부분집합은 {5, 10, 15}, {5, 10, 20}, {5, 15, 20}, {10, 15, 20} 이므로 그 개수는 4이다. ⑤ 모든 집합은 자기 자신의 부분집합이므로 {5, 10, 15, 20}은 집합 A의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

3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2, 3, 5, 7} 집합 A의 원소의 개수가 4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16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2Ý`-1=15 따라서 a=16, b=15이므로 a+b=31

0

4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5, 11, 17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 집합은 원소 5, 11, 17을 빼고 생각한 집합 {2, 8, 14}의 부 분집합에 원소 5, 11, 17을 끼워 넣은 집합과 같다. 2ß`ÑÜ`=2Ü`=8 참고 집합 A={1, 2, 3, 4}의 부분집합 중 1, 2를 반드시 포함하 는 부분집합은 원소 1, 2를 빼고 생각한 집합 {3, 4}의 부 분집합에 원소 1, 2를 끼워 넣은 부분집합과 같다. {3, 4}의 부분집합은 a, {3}, {4}, {3, 4}이므로 원소 1, 2를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은 {1, 2}, {1, 2, 3}, {1, 2, 4}, {1, 2, 3, 4}이다.

0

5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a, d를 반드시 포함하고, b, c를 포 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은 원소 a, b, c, d를 빼고 생각한 집 합 {e, f}의 부분집합에 원소 a, d를 끼워 넣은 부분집합과 같다. 2ß`ÑÛ`ÑÛ`=2Û`=4

0

6

원소 7, 9, 11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가 32이 므로 2Ç ÑÜ`=32 2Ç ÑÜ`=2Þ` 즉, n-3=5이므로 n=8

0

7

집합 X는 집합 A의 원소 1, 4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 B 의 부분집합이므로 집합 B의 부분집합 중 원소 1, 4를 반 드시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의 개수는 2ß`ÑÛ`=2Ý`=16

0

1

6

0

2

0

3

0

4

0

5

0

6

-1

0

7

0

8

0

9

10

11

12

12

8

실력

확인 문제

p. 10

0

1

두 집합 A={1, 2}, B={0, 1}에서 a<A, b<B이므로 a+b의 값은 1+0=1, 1+1=2, 2+0=2, 2+1=3X={1, 2, 3} 따라서 집합 X의 모든 원소의 합은 1+2+3=6

0

2

A,B이려면 집합 B에 집합 A의 원소 1, 2, 4가 모두 포 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집합 B가 될 수 있는 것은 ③ {1, 2, 4, 8}이다.

0

3

xÜ`+xÛ`-2x=0 x(xÛ`+x-2)=0 x(x+2)(x-1)=0x=-2 또는 x=0 또는 x=1-1²A2²A ④ {-2},A ⑤ a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A 따라서 옳은 것은 ② 0<A이다.

0

4

ㄱ. a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a<A (거짓) ㄴ. a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A (참) ㄷ. 5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5<A (참) ㄹ. {3, 5}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3, 5}<A (참) ㅁ. 3, 5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3, 5}는 원소의 개수가 2인 집합 A의 부분집합이다. ∴ {3, 5},A (거짓) ㅂ. a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a}은 원소의 개수가 1인 집합 A의 부분집합이다. ∴ {a},A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의 개수는 ㄴ, ㄷ, ㄹ의 3이다. 참고 ⑴ a은 집합 A의 원소이기도 하지만 공집합은 모든 집합 의 부분집합이므로 a<A, a,A이다.3, 5, {3, 5}가 모두 집합 A의 원소이므로 {3, 5}<A, {3, 5},A이다.

(4)

⑶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1인 집합은 {a}, {3}, {5}, {{3, 5}}이다. ⑷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2인 집합은 {a, 3}, {a, 5}, {a, {3, 5}}, {3, 5}, {3, {3, 5}}, {5, {3, 5}}이다.

0

5

A=B이므로 두 집합 A, B의 원소를 각각 비교하면 a+2=2 또는 a+2=6-a이어야 한다. Ú a+2=2, 즉 a=0일 때 A={-2, 2}, B={2, 6} A+B Û a+2=6-a, 즉 a=2일 때 A={2, 4}, B={2, 4} A=B Ú, Û에 의하여 a=2

0

6

두 집합 A, B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a-2 -3 3 4 x AB A,B이어야 하므로 a-2É-3aÉ-1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0

7

집합 A={1, 2, {3, 4, 5}}의 원소는 1, 2, {3, 4, 5} 이므로 원소의 개수는 3a=3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Ü`=8이므로 b=8b-a=8-3=5

0

8

1<A, 3<A, 4²A이므로 집합 A는 원소 1, 3을 반드시 포함하고, 원소 4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집합 S의 부분집합 A의 개수는 2ß`ÑÛ`ÑÚ`=2Ü`=8

0

9

[1단계]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4 또는 7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 합의 개수는 4를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7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의 합에서 4, 7을 모두 포 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빼면 된다. [2단계] 원소 4를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Þ`ÑÚ`=2Ý`=16 원소 7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Þ`ÑÚ`=2Ý`=16 두 원소 4, 7을 모두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Þ`ÑÛ`=2Ü`=8 [3단계] 따라서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4 또는 7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16+16-8=24 다른 풀이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3, 5, 6}의 부분집합을 제외하면 되므로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집합 {3, 5, 6}의 부분집합의 개수를 빼면 된다. 2Þ`-2Ü`=32-8=24

10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적어도 하나의 소수를 원소로 갖는 집합의 개수는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소수를 하나도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뺀 것과 같다.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Þ`=32 집합 A의 원소 중 소수는 2, 3, 5이므로 소수를 하나도 갖 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Þ`ÑÜ`=2Û`=4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32-4=28

11

[1단계] (짝수) _ (짝수) = (짝수), (짝수) _(홀수) = (짝수)이므로 원 소가 짝수이거나 모든 원소의 곱이 짝수이려면 적어도 한 개의 짝수를 부분집합의 원소로 가져야 한다. 즉,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 에서 짝수를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빼면 된 다. [2단계]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 2, 3, 6}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16 집합 A의 원소 중 짝수는 2, 6이므로 2, 6을 포함하지 않 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ÑÛ`=2Û`=4 [3단계]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16-4=12 다른 풀이 집합 A의 원소 중 적어도 한 개의 짝수를 원소로 가져야 하므로 2를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6을 반드 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의 합에서 2, 6을 모두 포함하 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빼면 된다. 원소 2를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ÑÚ`=2Ü`=8 원소 6을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ÑÚ`=2Ü`=8

(5)

두 원소 2, 6을 모두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Ý`ÑÛ`=2Û`=4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8+8-4=12

12

[1단계]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 2, 4}, B={1, 2, 3, 4, 6, 12} 이므로 {1, 2, 4},X,{1, 2, 3, 4, 6, 12} [2단계] 즉, 집합 X는 집합 A의 원소 1, 2, 4를 반드시 포함하고 집B의 부분집합이므로 집합 B의 부분집합 중 원소 1, 2, 4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이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ß`ÑÜ`=2Ü`=8

0

1

벤다이어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은 A'B이다. 따라서 A'B={1, 2, 3, 4, 5, 6, 7, 8, 9}이므로 벤다이어 그램의 색칠한 부분에 해당하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9이 다.

0

2

A;B={-1, 3}에서 3<A이므로 aÛ`+2=3, aÛ`=1a=-1 또는 a=1 Ú a=-1일 때 aÛ`-2a-4=-1이므로 B={-1, 3, 9, 10}A;B={-1, 3} Û a=1일 때 aÛ`-2a-4=-5이므로 B={-5, 3, 9, 10}A;B={3} Ú, Û에 의하여 a=-1

0

3

보기의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ㄱ. {x|x는 한 자리의 소수}={2, 3, 5, 7} ㄴ. {x|x는 4의 약수}={1, 2, 4} ㄷ. {x|x는 10보다 작은 2의 배수}={2, 4, 6, 8} ㄹ. {x|x는 9의 약수}={1, 3, 9} p. 12

0

1

0

2

0

3

ㄴ, ㄷ

0

4

0

5

A‚ ={1, 4, 24} B‚ ={1, 2, 4, 8, 12}A-B={2, 8, 12} ⑷ A‚ ;B‚ ={1, 4}

0

6

B={1, 3, 4, 7}

0

7

집합의 연산 법칙

따라서 집합 A={3, 5, 7, 9}와 서로소인 집합, 즉 공통인 원소가 없는 집합은 ㄴ, ㄷ이다.

0

4

Aª={2, 4, 6, 8, 10, y}, A¢={4, 8, 12, 16, 20, y} 이므로 Aª;A¢={4, 8, 12, 16, 20, y}=A¢ A£={3, 6, 9, 12, 18, y}이므로 A£;A¢={12, 24, 36, y}=AÁª 따라서 A£;(Aª;A¢)가 나타내는 집합은 AÁª이다.

05

전체집합 U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U={1, 2, 3, 4, 6, 8, 12, 24}, A={2, 3, 6, 8, 12}, B={3, 6, 24}A‚ =U-A={1, 4, 24}B‚ =U-B={1, 2, 4, 8, 12}A-B={2, 8, 12} ⑷ ⑴과 ⑵의 교집합을 구하면 A‚ ;B‚ ={1, 4} 다른 풀이 ⑶ A-B=A;B‚ 이므로 집합 A와 ⑵에서 구한 집합 B‚`` 의 교집합을 구하면 A-B={2, 8, 12}A‚ ;B‚ =(A'B)‚ 이고 A'B={2, 3, 6, 8, 12, 24}이므로 A‚ ;B‚ =U-(A'B)={1, 4}

0

6

U={1, 2, 3, y, 8}이고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U A 6 8 2 1 3 4 7 5 B 따라서 두 원소 4, 7은 집합 B-A의 원소이므로 B={1, 3, 4, 7}

0

7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B,A일 때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U A BA;B=BA'B=AA‚ ,B‚ A'B‚ =U 따라서 옳은 것은 ④ B-A=a이다.

(6)

다른 풀이 A={1, 2, 3, 4, 5, 6}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 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A 1 4 6 2 3 7 5 Bn(A'B)-n(A;B)=7-3=4

0

6

n((A'B)‚ )=n(U)-n(A'B)이므로 1=10-n(A'B)n(A'B)=9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B-A이 므로 n(B-A)=n(A'B)-n(A)=9-6=3 다른 풀이 n(A'B)=n(A)+n(B)-n(A;B)이므로 9=6+5-n(A;B)n(A;B)=2 따라서 벤다이어그램에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 과 같으므로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 는 3이다. U A B 4 2 3 1

0

7

야구 경기를 시청한 학생의 집합을 A, 농구 경기를 시청한 학생의 집합을 B라고 하면 야구 경기와 농구 경기를 모두 시청한 학생의 집합은 A;B, 야구 경기 또는 농구 경기를 시청한 학생의 집합은 A'B이다. n(A)=22, n(B)=13, n(A;B)=10이므로 n(A'B) =n(A)+n(B)-n(A;B) =22+13-10=25 따라서 야구 경기 또는 농구 경기를 시청한 학생은 25명이 다.

0

8

영화 감상 동아리 전체 학생의 집합을 U, A영화를 감상한 사람의 집합을 A, B영화를 감상한 사람의 집합을 B라고 하면 두 영화 A, B를 모두 감상한 학생의 집합은 A;B, 두 영화 A, B를 모두 감상하지 않은 학생의 집합은 (A'B)‚ 이다. n(U)=35, n(A)=18, n(B)=16, n(A;B)=5이므로 n(A'B) =n(A)+n(B)-n(A;B) =18+16-5=29n((A'B)‚ )‌‌=n(U)-n(A'B)=35-29=6 따라서 두 영화 A, B를 모두 감상하지 않은 학생은 6명이 다. p. 14

0

1

5 ⑵ 5

0

2

20 ⑵ 25 ⑶ 5

0

3

0

4

15

0

5

0

6

3

0

7

0

8

6

원소의 개수

0

1

n(A'B)=n(A)+n(B)-n(A;B)이므로 12=10+7-n(A;B)n(A;B)=5n(A-B)=n(A)-n(A;B)이므로 n(A-B)=10-5=5 다른 풀이 ⑵ ⑴에서 n(A;B)를 구하지 않은 경우 n(A-B)=n(A'B)-n(B)이므로 n(A-B)=12-7=5

0

2

n(A‚ )=n(U)-n(A)이므로 n(A‚ )=30-10=20n(A'B)=n(A)+n(B)-n(A;B)이므로 n(A'B)=10+20-5=25A‚ ;B‚ =(A'B)‚ 이므로 n(A‚ ;B‚ ) =n((A'B)‚ ) =n(U)-n(A'B) =30-25=5

0

3

n(A‚ 'B‚ )=n((A;B)‚ )=n(U)-n(A;B)이므로

45=50-n(A;B)n(A;B)=5 따라서 n(A'B)=n(A)+n(B)-n(A;B)이므로 n(A'B)=26+18-5=39

0

4

n(B)=7, n(C)=9, n(B'C)=13이므로 n(B'C)=n(B)+n(C)-n(B;C) 13=7+9-n(B;C)n(B;C)=3n(A'B'C) =n(A)+n(B)+n(C)-n(A;B)-n(B;C) -n(C;A)+n(A;B;C) =5+7+9-2-3-2+1=15

0

5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 2, 3, 4, 5, 6} B={2, 3, 5, 7}이므로 A;B={2, 3, 5}n(A;B)=3 n(A)=6, n(B)=4, n(A;B)=3이므로 n(A'B)=n(A)+n(B)-n(A;B)에서 n(A'B)=6+4-3=7n(A'B)-n(A;B)=7-3=4

(7)

0

1

0

2

2

0

3

0

4

12

0

5

0

6

0

7

0

8

34

0

9

20

10

11

실력

확인 문제

p. 16

0

1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은 A;B이다.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1, 2, 3, 4, 6, 12}, B={1, 3, 5, 15}이므로 A;B={1, 3} 따라서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에 해당하는 집합의 원 소의 합은 1+3=4

0

2

A'B={2, 3, 4, 5, 7}이므로 2a+1=7 또는 3a+1=7이다. Ú 2a+1=7, 즉 a=3일 때 A={2, 7, 4}, B={3, 5, 10}A'B={2, 3, 4, 5, 7, 10} Û 3a+1=7, 즉 a=2일 때 A={2, 5, 4}, B={3, 5, 7}A'B={2, 3, 4, 5, 7} Ú, Û에 의하여 a=2

0

3

[1단계] 집합 A의 xÛ`-5x+6=0에서 (x-2)(x-3)=0x=2 또는 x=3A={2, 3} [2단계] 이때 A'B={-6, 2, 3}이므로 -6은 이차방정식 xÛ`+ax-12=0의 근이다. x=-6을 이차방정식 xÛ`+ax-12=0에 대입하면 36-6a-12=0, 6a=24a=4 즉, xÛ`+4x-12=0이므로 (x+6)(x-2)=0x=-6 또는 x=2B={-6, 2} [3단계] 따라서 A;B={2}이므로 b=2a+b=4+2=6

0

4

두 집합 A, B가 서로소이므로 A;B=a A={1, 2}, A'B={1, 2, 3, 4, 5}이므로 B=(A'B)-A={3, 4, 5} 따라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3+4+5=12

0

5

(A-B)'(B-A)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A B (A-B)'(B-A)={1, 3, 5, 7, 9}, B={2, 4, 7, 9} 이므로 A;B={2, 4}, B-A={7, 9}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A 1 3 5 2 7 9 4 B 따라서 A={1, 2, 3, 4, 5}이므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1+2+3+4+5=15

0

6

A;(A-B)‚ =A;(A;B‚ )‚ =A;(A‚ 'B) (∵ 드모르간의 법칙) =(A;A‚ )'(A;B) (∵ 분배법칙) =a'(A;B) =A;B 참고 집합 (A-B)‚ 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 과 같다. U A BA;(A-B)‚ =A;B

0

7

A◎B=A‚ ;B‚ 이므로 (A◎B)◎B =(A‚ ;B‚ )◎B ={(A'B)‚ }‚ ;B‚ =(A'B);B‚ =(A;B‚ )'(B;B‚ ) =(A;B‚ )'a =A;B‚ =A-B 따라서 (A◎B)◎B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이다.

0

8

n(A‚ 'B‚ ) =n((A;B)‚ ) =n(U)-n(A;B) =40-6=34

(8)

0

9

[1단계] 두 집합 A, C에 대하여 n(A)=8, n(C)=7, n(A'C)=10이므로 n(A'C)=n(A)+n(C)-n(A;C) 10=8+7-n(A;C)n(A;C)=5 [2단계] 또, 두 집합 B, C에 대하여 n(B)=11, n(C)=7, n(B'C)=17이므로 n(B'C)=n(B)+n(C)-n(B;C) 17=11+7-n(B;C)n(B;C)=1 [3단계] A;B=a이므로 A;B;C=an(A'B'C) =n(A)+n(B)+n(C)-n(A;B)-n(B;C) -n(A;C)+n(A;B;C) =8+11+7-0-1-5+0=20 다른 풀이 [3단계] 벤다이어그램에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C A 3 5 1 1 10 Bn(A'B'C)=20

10

n(A-B)=n(A)-n(A;B)이므로 6=10-n(A;B)n(A;B)=4n(B-A)=n(B)-n(A;B)=8-4=4 (B-A),X,B를 만족시키는 집합 X는 집합 B-A 의 원소 4개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 B의 부분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2¡`ÑÝ`=2Ý`=16

11

A£'A»=A£이므로 Aª;(A£'A»)=Aª;A£=A¤ 100 이하의 자연수 중 6의 배수는 16개이므로 n(Aª;(A£'A»))=16 참고 A£={3, 6, 9, y, 99}, A»={9, 18, 27, y, 99} 이므로 A£'A»=A£ 또, Aª={2, 4, 6, y, 100}이므로 Aª;A£은 100 이하의 자연수 중 6의 배수의 집합을 나타낸다. 즉, Aª;B£=A¤ p. 18

0

1

ㄱ, ㄷ

0

2

{1, 2, 3, 4}

0

3

2

0

4

풀이 참조

0

5

풀이 참조

0

6

⑴ {x|-5<x<2} ⑵ {x|x>-5}

0

7

명제와 진리집합

0

1

ㄱ. 6은 짝수이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ㄴ. xÛ`-2x-3=0은 x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판별되므 로 조건이다. ㄷ.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참인 명 제이다. ㄹ. ‘재미있다.’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명제가 아니 다. 따라서 명제인 것은 ㄱ, ㄷ이다.

0

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5보다 작은 자연수는 1, 2, 3, 4이므 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1, 2, 3, 4}이다.

0

3

10 이하의 자연수 중 20의 약수는 1, 2, 4, 5, 10이므로 조p의 진리집합 P는 P={1, 2, 4, 5, 10} 또, 10 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2, 3, 5, 7이므로 조건 q의 진리집합 Q는 Q={2, 3, 5, 7} 따라서 P;Q={2, 5}이므로 집합 P;Q의 원소의 개수2이다.

0

4

⑴ 명제 ‘12는 3의 배수이다.’가 참이므로 명제의 부정 ‘123의 배수가 아니다.’는 거짓이다. ⑵ 명제 ‘5É3’가 거짓이므로 명제의 부정 ‘5>3’은 참이다. 참고 일반적으로 명제 p가 참이면 ~p는 거짓이고, 명제 p가 거 짓이면 ~p는 참이다.

0

5

전체집합 U={1, 2, 3, 4, 5}에서 ⑴ ~p: x는 홀수이다. 이때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의 진리집합은 P‚ 이므로 P‚ ={1, 3, 5} ⑵ ~q: xÛ`+1¾10 이때 xÛ`+1¾10에서 xÛ`-9¾0 (x+3)(x-3)¾0xÉ-3 또는 x¾3 이때 조건 q의 진리집합을 Q라고 하면 ~q의 진리집합Q‚``이므로 Q‚ ={3, 4, 5}

(9)

0

6

x<4-x에서 2x<4x<2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x|x<2} x<2x+5에서 x>-5 조건 q의 진리집합을 Q라고 하면 Q={x|x>-5} 두 집합 P, Q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Q P -5 2 x ⑴ 조건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Q이므로 P;Q={x|-5<x<2} ⑵ 조건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P‚ 'Q이므로 P‚ 'Q={x|x>-5} -5 x Q 2

0

7

조건 ‘두 실수 x, y는 모두 무리수이다.’는 ‘두 실수 x, y는 모두 유리수가 아니다.ʼ 와 같고 이 조건의 부정은 ‘두 실수 x, y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수이다.ʼ p. 20

0

1

풀이 참조

0

2

⑴ 참 ⑵ 거짓

0

3

P,Q, PøR ⑵ 참, 거짓

0

4

0

5

0

6

0

7

⑴ 참 ⑵ 거짓

0

8

풀이 참조

명제 p

33Ú q

0

1

⑴ 명제 ‘x=2이면 2x+1=5이다.’에서 가정: x=2 결론: 2x+1=5 ⑵ 명제 ‘두 삼각형이 합동이면 두 삼각형의 넓이는 같다.’ 에서 가정: 두 삼각형이 합동이다. 결론: 두 삼각형의 넓이는 같다.

0

2

⑴ 명제 p 3Ú q에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명제 ‘x>0이면 2x+1>0이다.’에서 P={x|x>0}, Q={x|2x+4>0}={x|x>-2} 이고 두 집합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 다. -2 x Q P 0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⑵ (반례) a=1+'2, b=1-'2일 때 a+b=2는 유리수 이지만 a, b는 모두 유리수가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0

3

세 집합 P, Q, R를 각각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P={1, 2, 3, 6}, Q={1, 2, 3, 4, 6, 12}, R={1, 3, 5, 15} 이고, 이것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 2 6 1 3 5 15 4 12 Q R ⑴ 두 집합 P, Q에 대하여 집합 P의 원소가 모두 집합 Q 에 포함되므로 P,Q 또, 두 집합 P, R에 대하여 집합 P의 원소가 집합 R에 모두 포함되지 않으므로 PøRP,Q이므로 명제 p 3Ú q는 참이고, PøR이므로 명p 3Ú r는 거짓이다.

0

4

명제 p 3Ú q가 참이므로 P,Q이고 벤다이어그램으로 나 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Q PP;Q=PP-Q=aQ-P+a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③ P'Q=Q이다.

0

5

주어진 명제가 거짓임을 보여 주려면 24의 약수이지만 12 의 약수가 아닌 것을 찾으면 된다.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이고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이다. 24의 약수 중 12의 약수가 아닌 것은 8, 24이므로 반례로 알맞은 것은 ④ 8이다.

0

6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명제 p 3Ú q이므로 P,Q x-a<4에서 x<a+4이므로 두 집합을 수직선 위에 나 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10)

p. 22

0

1

풀이 참조

0

2

⑴ 거짓 ⑵ 참

0

3

⑴ 참 ⑵ 참

0

4

0

5

0

6

0

7

㈎ 대우, ㈏ 2k-1, ㈐ kÛ`-k

명제의 역과 대우

0

1

⑴ 명제 ‘n이 4의 약수이면 8의 약수이다.’의 역은 ‘n이 8의 약수이면 4의 약수이다.’이고 대우는 ‘n이 8의 약수가 아니면 4의 약수도 아니다.’ ⑵ 명제 ‘a+b>0이면 a>0 또는 b>0이다.’의 역은 ‘a>0 또는 b>0이면 a+b>0이다.’이고 대우는 ‘aÉ0이고 bÉ0이면 a+bÉ0이다.’

0

2

⑴ 명제 ‘x>2이면 xÛ`>4이다.’의 역은xÛ`>4이면 x>2이다.’ (반례) x=-3이면 xÛ`>4이지만 x<2이므로 주어진 명제의 역은 거짓이다. ⑵ 명제 ‘평행사변형의 두 쌍의 대각은 크기는 각각 같다.’ 의 역은 ‘사각형에서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 면 평행사변형이다.’ 따라서 명제의 역은 참이다. 참고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에 의하여 사각형에서 두 쌍의 대 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면 평행사변형이다.

0

3

⑴ 명제 ‘x=1이면 xÛ`-2x+1=0이다.’의 대우는xÛ`-2x+1+0’이면 x+1이다.’ 이때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도 참이다. ⑵ 명제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직교한다.’의 대우는 ‘두 대각선이 직교하지 않으면 마름모가 아니다.’ 이때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도 참이다.

0

4

명제가 참이면 그 명제의 대우도 참이다. 따라서 명제 p 3Ú ~q의 대우 q 3Ú ~p도 참이다.

0

5

명제 p 3Ú q의 역 q 3Ú p가 참이므로 Q,P이고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P QQ;P‚`=Q-P=a

0

6

세 조건 p, q, r에 대하여 두 명제 p 3Ú q, q 3Ú ~r가 참 이므로 명제 p 3Ú ~r도 참이다. 또, p 3Ú q, q 3Ú ~r, p 3Ú ~r의 대우 ~q 3Ú ~p, r 3Ú ~q, r 3Ú ~p도 참이다. 따라서 항상 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② r 3Ú q이다.

0

7

주어진 명제의 ㈎ 대우 인 ‘n이 2의 배수가 아니면 nÛ`은 4 의 배수가 아니다.’를 증명하면 된다. 이때, n이 2의 배수 가 아니므로 n=2k-1 (k는 자연수)로 나타낼 수 있다. nÛ`=( ㈏ 2k-1 )Û` nÛ`=4kÛ`-4k+1 nÛ`=4( ㈐ kÛ`-k )+1 즉, 4(kÛ`-k)가 4의 배수이므로 nÛ`은 4의 배수가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 대우 가 참이므로 명제 ‘nÛ`이 4 의 배수이면 n은 2의 배수이다.’도 참이다. ∴ ㈎ 대우, ㈏ 2k-1, ㈐ kÛ`-k 1 x PQ a+4 1Éa+4a¾-3

0

7

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0이므로 xÛ`+1¾0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⑵ x+1=0에서 x=-1 따라서 x+1=0이 성립하는 자연수 x의 값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0

8

⑴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어떤 자연수 x에 대하여 xÛ`<4x-4이다.’ xÛ`<4x-4에서 xÛ`-4x+4<0(x-2)Û`<0 어떤 자연수 x에 대하여 항상 (x-2)Û`¾0이므로 주어 진 명제의 부정은 거짓이다. ⑵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x+1>0이다.’ xÛ`+x+1>0에서 {x+;2!;}2`+;4#;>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2`+;4#;>0이므로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참이다.

(11)

p. 24

0

1

⑴ 충분조건 ⑵ 필요조건

0

2

⑴ 충분조건 ⑵ 필요조건 ⑶ 필요충분조건

0

3

0

4

0

5

|ab|-ab, ㈏ ¾, ㈐ ¾

0

6

8 ⑵ 16

0

7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0

1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고 두 집합을 수 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2 x Q P 5 따라서 P,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0

2

p 3Ú q: x가 6의 배수이면 3의 배수이다. (참) q 3Ú p: x가 3의 배수이면 6의 배수이다. (거짓) (반례) 3은 6의 배수가 아니다. 따라서 명제 p 3Ú q가 참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⑵ p 3Ú q: x(x-5)=0이면 x=5이다. (거짓) (반례) x=0일 때 x(x-5)=0이지만 x+5이다. q 3Ú p: x=5이면 x(x-5)=0이다. (참) 따라서 명제 q 3Ú p가 참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⑶ p 3Ú q: A,B이면 A'B=B이다. (참) q 3Ú p: A'B=B이면 A,B이다. (참) 따라서 두 명제 p 3Ú q, q 3Ú p가 모두 참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0

3

P;Q=P이므로 P,Q 즉, 명제 p 3Ú q가 참이다. 명제 p 3Ú q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다. 따라서 보기 중 참인 명제는 ⑤ ~q 3Ú ~p이다.

0

4

p: x=2, q: xÛ`-ax+6=0이라고 하면 x=2는 xÛ`-ax+6=0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명제 p 3Ú q는 참이다. 따라서 x=2를 xÛ`-ax+6=0에 대입하면 성립한다. 4-2a+6=0a=5

0

5

(|a|+|b|)Û`-(|a+b|)Û` =aÛ`+2|a||b|+bÛ`-(aÛ`+2ab+bÛ`) =aÛ`+2|ab|+bÛ`-aÛ`-2ab-bÛ` =2|ab|-2ab =2( ㈎ |ab|-ab ) |ab|¾ab이므로 2(|ab|-ab)¾0 즉, (|a|+|b|)Û` ㈏ ¾ (|a+b|)Û` 이때 |a|+|b|¾0, |a+b|¾0이므로 |a|+|b| ㈐ ¾ |a+b| (단, 등호는 |ab|=ab, 즉 ab¾0일 때 성립한다.) ∴ ㈎ |ab|-ab, ㈏ ¾, ㈐ ¾

0

6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 여 식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⑴ 4ba +4ab ¾2¾Ð4ba _4ab =2_4 =8 {단, 등호는 4ba =4ab , 즉 a=b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4ba +4ab 의 최솟값은 8이다.{a+;b!;}{b+;a(;}=ab+9+1+;a»b; =ab+;a»b;+10 ¾2¾Ðab_;a»b;+10 =2_3+10 =16  {단, 등호는 ab=;a»b;, 즉 ab=3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a+;b!;}{b+;a(;}의 최솟값은 16이다.

07

x+2+ 64x-2 =(x-2)+4+x-264 =x-2+ 64x-2 +4 이때 x>2이므로 x-2>0, 64x-2 >0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면 (x-2)+ 64x-2 +4¾2¾¨(x-2)_x-2 +464 =2_8+4 =20  {단, 등호는 x-2= 64x-2 , 즉 x=8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0이다.

(12)

참고 ③ 역: 정사각형은 마름모이다. (참)

0

5

전체집합 U={x|-2ÉxÉ5, x는 정수}이고 조건 p의 부정 ~p는 ~p:-2Éx<0 또는 3<xÉ5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의 진리집합은 P‚``이 다. ∴ P‚ ={-2, -1, 4, 5}

06

전체집합 U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U={1, 3, 5, 15} xÛ`-8x+15=0에서 (x-3)(x-5)=0x=3 또는 x=5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3, 5}이고 조건 ∼p의 진리집합은 P‚ ={1, 15}이다. 따라서 조건 ∼p의 진리집합의 원소의 합은 1+15=16

0

7

q: 1-2x>-7에서 2x<8 ∴ x<4 U={1, 2, 3, y, 10}이고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1, 2, 3, y, 6}, P‚ ={7, 8, 9, 10}, Q={1, 2, 3}, Q‚ ={4, 5, 6, 7, y, 10} 이므로 Q,P, P‚ ,Q‚ PøQ이므로 명제 p 3Ú q는 거짓이다.PøQ‚ 이므로 명제 p 3Ú ~q는 거짓이다.QøP‚ 이므로 명제 q 3Ú ~p는 거짓이다.P‚ øQ이므로 명제 ~p 3Ú q는 거짓이다.P‚ ,Q‚ 이므로 명제 ~p 3Ú ~q는 참이다. 다른 풀이 두 집합 P, Q에 대하여 Q,P이므로 명제 q 3Ú p는 참이 고 이것의 대우 ~p 3Ú ~q도 참이다.

0

8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기 위해서는 x=a가 이차방정식 xÛ`+4x-21=0의 근이어야 한다. x=a를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aÛ`+4a-21=0 (a+7)(a-3)=0a=-7 또는 a=3 이때 a는 양수이므로 a=3

0

9

[1단계]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 ={x|(x+2)(x-4)+0} ={x|x는 x+-2이고 x+4인 실수} Q={x|-2ÉxÉ4}

0

1

xÛ`-6x+8=0에서 (x-2)(x-4)=0x=2 또는 x=4 전체집합 U={x|x는 4의 약수}={1, 2, 4}에 대하여 조p를 만족시키는 원소는 2, 4이므로 ①, ⑤ P={2, 4}2는 집합 P의 원소이므로 2<P ③ {4}는 원소의 개수가 1인 집합 P의 부분집합이므로 {4},P 따라서 옳은 것은 ④ {2, 4},P이다.

0

2

세 집합 P, Q, R를 각각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1, 2, 7, 14} Q={1, 2, 3, 4, 5, 6, 7} R={2, 3, 5, 7, 11, 13, 17, 19}P;Q;R={2, 7} 따라서 집합 P;Q;R의 모든 원소의 합은 2+7=9

03

두 집합 P={x|x¾3}, Q={x|x<-2}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2 3 x P Q 조건 r: -2Éx<3의 진리집합을 R라고 하면 R={x|-2Éx<3} 이고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x -2 R 3 따라서 조건 r의 진리집합은 (P'Q)‚ 이다.

0

4

거짓인 명제의 부정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 중 거짓인 명 제를 찾으면 된다. ① 1+2+3+4+5>10 (참)'2는 무리수이다. (참) ③ 마름모는 정사각형이다. (거짓) ④ a=b이면 aÛ`=bÛ`이다. (참) ⑤ 정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참) 따라서 명제의 부정이 참인 것은 ③이다.

0

1

0

2

9

0

3

0

4

0

5

{-2, -1, 4, 5}

0

6

16

0

7

0

8

0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유리수, ㈏ 서로소, ㈐ 무리수

20

21

22

6

23

15

실력

확인 문제

p. 26

(13)

[2단계] 이때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은 각각 P‚ , Q‚ 이므로 P‚ ={x|x=-2 또는 x=4} Q‚ ={x|x<-2 또는 x>4} [3단계]PøQ이므로 명제 p 3Ú q는 거짓이다.P‚ øQ‚ 이므로 명제 ~p 3Ú ~q는 거짓이다.QøP‚ 이므로 명제 q 3Ú ~p는 거짓이다.QøP이므로 명제 q 3Ú p는 거짓이다.P‚ ,Q이므로 명제 ~p 3Ú q는 참이다.

10

두 집합 P, Q에 대하여 P‚ ;Q=P‚ 이므로 P‚ ,Q, 즉 명 제 ~p 3Ú q는 참이고 이것의 대우 ~q 3Ú p도 참이다.

11

전체집합 U={-2, -1, 0, 1, 2}이고 ㄱ. 명제 ‘모든 x에 대하여 x+2¾0이다.’의 부정은 ‘어떤 x에 대하여 x+2<0이다.’ 이때 전체집합의 원소 중 x+2<0을 만족시키는 원소 가 없으므로 거짓이다. ㄴ. 명제 ‘모든 x에 대하여 x-1É0이다.’의 부정은 ‘어떤 x에 대하여 x-1>0이다.’ 이때 전체집합의 원소 중 2는 x-1>0을 만족시키므 로 참이다. ㄷ. 명제 ‘어떤 x에 대하여 xÛ`-5=0이다.’의 부정은 ‘모든 x에 대하여 xÛ`-5+0이다.’ 이때 전체집합의 원소가 모두 xÛ`-5+0을 만족시키므 로 참이다. ㄹ. 명제 ‘어떤 x에 대하여 x-1É0이다.’의 부정은 ‘모든 x에 대하여 x-1>0이다.’ 이때 전체집합의 원소 중 -2, -1, 0은 x-1>0을 만 족시키지 않으므로 거짓이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ㄴ, ㄷ이다. 참고 명제가 참이면 그 명제의 부정은 거짓이므로 주어진 명제 의 참, 거짓을 판별해도 된다.

12

[1단계] 명제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Û`-12x+k<0이다.’의 부정 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12x+k¾0이다.’ [2단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Û`-12x+k¾0이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xÛ`-12x+k=0의 판별식을 D라고 할 때, DÉ0이어야 한다. D 4 =(-6)Û`-kÉ0 36-kÉ0 ∴ k¾36 따라서 상수 k의 최솟값은 36이다.

13

x¾1이고 y¾1’의 부정은 ‘x<1 또는 y<1’, x+y¾2’의 부정은 ‘x+y<2’ 이므로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x+y<2이면 x<1 또는 y<1이다.’ 이때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도 참이다. 따라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⑤이다.

14

명제 ~q 3Ú p의 역, 즉 명제 p 3Ú ~q가 참이므로 P,Q‚ 두 집합 P, Q 사이의 포함 관계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 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U P QP;Q=aP'Q,UP-Q=PP'Q‚ =Q‚ 따라서 옳은 것은 ⑤ P‚` 'Q=P‚` 이다.

15

세 집합 P, Q, R에 대하여 Q,P, R,P이므로 명제 q 3Ú p, r 3Ú p는 참이고, 이것의 대우 ~p 3Ú ~q, ~p 3Ú ~r도 참이다. 따라서 항상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④ q 3Ú ~r이다.

16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고 하면 P={x||x|>5}={x|x<-5 또는 x>5}, Q={x|xÛ`-4É0}={x|-2ÉxÉ2}, R={x|xÉ5} 이고 세 집합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P Q P R -2 -5 2 5 xP‚ ,R, Q,R 즉, 두 명제 ∼p 3Ú r, q 3Ú r가 참이므로 이것의 대우 r 3Ú p, ~r 3Ú ~q도 참이다. 따라서 항상 참인 명제는 ④ ∼r 3Ú p이다.

17

두 명제 p 3Ú ~q, r 3Ú q가 참이므로 이것의 대우 q 3Ú ~p, ~q 3Ú ~r도 참이다. 이때 두 명제 p 3Ú ~q, ~q 3Ú ~r가 참이므로 삼단논법 에 의하여 명제 p 3Ú ~r도 참이고 이것의 대우 r 3Ú ~p 도 참이다. 따라서 항상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① p 3Ú r이다.

(14)

18

ㄱ. 명제 q 3Ú ~r가 참이므로 Q,R‚ (거짓) ㄴ. 두 명제 ~p 3Ú q, q 3Ú ~r가 참이므로 삼단논법에 의하여 명제 ~p 3Ú ~r도 참이고 이것의 대우 r 3Ú p도 참이다.R,P (참) ㄷ. ㄴ에서 R,P이므로 P;R=R 명제 q 3Ú ~r가 참이므로 r 3Ú ~q도 참이다.R,Q‚ …… ㉠ 명제 ~q 3Ú r가 참이므로Q‚ ,R …… ㉡ ㉠, ㉡에 의하여 Q‚ =RP;R=Q‚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9

'3이 ㈎ 유리수 라고 가정하면 '3= nm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 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nm 의 양변을 제곱하면 3= nÛ` mÛ`nÛ`=3mÛ` …… ㉠ 따라서 nÛ`이 3의 배수이므로 n도 3의 배수이다. n=3k (k는 자연수)로 놓고 ㉠에 대입하면 (3k)Û`=3mÛ` mÛ`=3kÛ` mÛ`이 3의 배수이므로 m도 3의 배수이다. 이것은 m, n이 ㈏ 서로소 라는 가정에 모순이므로 '3은 ㈐ 무리수 이다. ∴ ㈎ 유리수, ㈏ 서로소, ㈐ 무리수

20

p 3Ú q: xy>0이면 |x+y|=|x|+|y|이다. (참) Ú x>0, y>0일 때, |x+y|=|x|+|y| Û x<0, y<0일 때, |x+y|=-x-y |x|+|y| =-x+(-y) =-x-y |x+y|=|x|+|y| q 3Ú p: |x+y|=|x|+|y|이면 xy>0이다. (거짓) (반례) x=1, y=0이면 |x+y|=|x|+|y| 이지만 xy>0이 아니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 니다. ② p 3Ú q: x=2이면 xÛ`+x-6=0이다. (참) 이때 x=2를 xÛ`+x-6=0에 대입하면 등식 이 성립한다. q 3Ú p: xÛ`+x-6=0이면 x=2이다. (거짓) (반례) xÛ`+x-6=0에서 (x+3)(x-2)=0 x=-3 또는 x=2 즉, x=-3이면 xÛ`+x-6=0이지만 x+2 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 니다. ③ p 3Ú q: x가 8의 약수이면 16의 약수이다. (참) q 3Ú p: x가 16의 약수이면 8의 약수이다. (거짓) (반례) 16은 16의 약수이지만 8의 약수는 아 니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 니다. ④ p 3Ú q: 두 삼각형이 닮음이면 합동이다. (거짓) q 3Ú p: 두 삼각형이 합동이면 닮음이다. (참)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 니다. ⑤ p 3Ú q: x=0이고 y=0이면 |x+y|=|x-y|이다. (참) q 3Ú p: |x+y|=|x-y|이면 x=0이고 y=0이다. (거짓) (반례) x=2, y=0이면 |x+y|=|x-y|이 지만 x+0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 니다.

21

[1단계]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x|(x-1)(x-4)=0}={1, 4} Q={x|1<2xÉa}=[x|;2!;<xÉ;2A;] [2단계] 이때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 즉, ;2!;<xÉ;2A;에 1, 4가 모두 포함되어야 하므로 4É;2A; ∴ a¾8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8이다.

22

[1단계]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고 하자.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려면 p 3Ú q가 참이어야 한다.P,Q p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려면 r 3Ú p가 참이어야 한다.R,P

(15)

p. 30

0

1

풀이 참조

0

2

{2, 3, 4}

0

3

;4!;

0

4

0

5

3

0

6

0

7

4

함수와 그래프

0

1

ㄱ. 집합 X의 원소 중 3이 집합 Y의 원소 b와 d에 대응하 므로 함수가 아니다. ㄴ. 집합 X의 모든 원소가 집합 Y의 원소에 하나씩만 대 응하므로 함수이다. ㄷ. 집합 X의 원소 중 3이 집합 Y의 원소에 한 개도 대응 하지 않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함수인 것은 ㄴ이고 정의역은 {1, 2, 3}, 공역은 {a, b, c, d}, 치역은 {a, b, c}이다.

0

2

함수 f(x)=x+3에 대하여 x=-1일 때 f(-1)=-1+3=2, x=0일 때 f(0)=0+3=3, x=1일 때 f(1)=1+3=4 이므로 함수 f의 치역은 {2, 3, 4}

0

3

두 함수 f, g가 서로 같으므로 f(-2)=g(-2), f(0)=g(0), f(2)=g(2) 이어야 한다. 이때 f(2)=g(2)에서 2=8aa=;4!; 참고 x=0을 대입하면 a의 값에 관계없이 f=g가 성립하므로 x=-2 또는 x=2를 대입하여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0

4

주어진 그래프에 y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O y y x x O y x O y x O y x ② O y y x x O y x O y x O y x ③ O y y x x O y x O y x O y x ④ O y y x x O y x O y x O y x ⑤ O y y x x O y x O y x O y x [2단계] 즉, R,P,Q이고 세 집합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R Q P a 1 2 b 5 6 x [3단계] 따라서 aÉ1, 2<bÉ5이므로 MÁ=1, Mª=5MÁ+Mª=1+5=6

23

[1단계] x+y=6이므로 x+y2 ¾'¶xy에서 3¾'¶xyxyÉ9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9이므로 a=9 [2단계] xyÉ9에서 등호가 성립할 조건은 x=y=3이다. ∴ b=c=3 [3단계] ∴ a+b+c=9+3+3=15

(16)

그래프와 y축에 평행한 직선의 교점이 2개 이상이거나 1개 도 없으면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닌 것은 ②이다.

0

5

f 는 항등함수이므로 f(2)=g(2)=2 이때 g는 상수함수이므로 g(x)=2f(5)-g(5)=5-2=3

0

6

ㄱ. 함수 f(x)=2x+2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f(x)=2x+2 x O x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한 점에서 만나고 치역 과 공역이 같으므로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다. ㄴ. 함수 g(x)=|2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g(x)=|2x| x O x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두 점에서 만나므로 함g(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ㄷ. 함수 h(x)=(x+1)Û`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h(x)=(x+1)Û x O -1 x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두 점에서 만나므로 함h(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따라서 일대일대응인 함수는 ㄱ이다. 참고 ㄴ. 절댓값 기호가 있는 함수의 그래프는 절댓값 기호 안을 0으로 만드는 수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누어 그린다. 함수 g(x)=|2x|에서 절댓값 기호 안을 0으로 하는 x=0을 기준으로 구간을 나눈다. Ú x¾0일 때 g(x)=2x Û x<0일 때 g(x)=-2x 따라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g(x)=|2x| x O 이때 절댓값 기호 안을 0으로 만드는 수, 즉 x=0에서 그 래프가 꺾이는 것을 알 수 있다.

0

7

1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의 2개 2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도 1, 2의 2개 따라서 X에서 X로의 함수의 개수는 2_2=4 참고 집합 X에서 X로의 함수가 되도록 대응 관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X 2 1 2 1 X X 2 1 2 1 X X 2 1 2 1 X X 2 1 2 1 p. 32

0

1

7 ⑵ 25 ⑶ 7 ⑷ xÛ`+3

0

2

3

0

3

1

0

4

h(x)=;4#;x+;4#;

0

5

0

6

2

0

7

0

8

31 ⑵ 31

합성함수

0

1

( f½g)(2)=f(g(2))=f(4)=7(g½f)(2)=g( f(2))=g(5)=25( f½f)(1)=f( f(1))=f(4)=7( f½g)(x)=f(g(x))=f(xÛ`)=xÛ`+3

0

2

(g½f)(k)=g( f(k))=3에서 f(k)=a로 놓으면 g(a)=3a=2 f(k)=2에서 k=3 따라서 (g½f)(k)=3을 만족시키는 상수 k는 3이다.

0

3

f(g(3)) =f(3a-5)=2(3a-5)+3 =6a-7 6a-7=11에서 6a=18a=3

(17)

따라서 g(x)=3x-5이므로 g(2)=1

0

4

(g½h)(x)=g(h(x))=4h(x)-1이므로 (g½h)(x)=f(x)에서 4h(x)-1=3x+2 4h(x)=3x+3h(x)=;4#;x+;4#;

0

5

O 1 a y=f(x) y=x e d c b b c d e a y x 위의 그래프에서 f(1)=a, f(a)=b, f(b)=c, f(c)=d이므로 ( f½f½f½f)(1) =f( f( f( f(1)))) =f( f( f(a))) =f( f(b)) =f(c)=d

0

6

f Ú`(3)=1 f Û`(3)=( f½f)(3)=f(1)=2 f Ü`(3)=( f½f Û`)(3)=f(2)=3 f Ý`(3)=( f½f Ü`)(3)=f(3)=1 ⋮ 함숫값이 1, 2, 3의 순서대로 반복된다. 50=3_16+2이므로 f Þ`â`(3)=f Û`(3)=2

0

7

( f½g)(x) =f(-x-1)=3(-x-1)+k =-3x-3+k (g½f)(x) =g(3x+k)=-(3x+k)-1 =-3x-k-1 f½g=g½f가 성립하므로 -3+k=-k-1 2k=2k=1

0

8

(h½(g½f))(1) =h(g( f(1))) =h(g(-3)) =h(10)=31((h½g)½f)(1) =(h½g)( f(1)) =(h½g)(-3) =h(g(-3)) =h(10)=31 p. 34

0

1

y=x-10 ⑵ y=3x+3

0

2

9 ⑵ 5

0

3

0

4

0

5

0

6

1

0

7

4

0

8

역함수

0

1

y=x+10의 x와 y를 바꾸면 x=y+10y=x-10y=;3!;x-1의 x와 y를 바꾸면 x=;3!;y-1 ;3!;y=x+1y=3x+3

0

2

f(3)+f ÑÚ`(3)=5+4=9f ÑÚ`(7)=k에서 f(k)=7이므로 k=5

0

3

f(x)=4x-2에 x=1을 대입하면 f(1)=2 g(x)가 f(x)의 역함수이므로 g(2)=k로 놓으면 f(k)=2 4k-2=2k=1 즉, g(2)=1이므로 f(1)+g(2)=2+1=3

0

4

f(2)=1이므로 2a+b=1 …… ㉠ f ÑÚ`(-1)=3에서 f(3)=-1이므로 3a+b=-1 ……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5b-a=5-(-2)=7

0

5

( f ÑÚ`½g)(a)=f ÑÚ`(g(a))=2에서 g(a)=f(2) f(2)=3이므로 g(a)=3a-6=3 3a=9a=3

0

6

(g½f)ÑÚ`(3)=( f ÑÚ`½gÑÚ`)(3)=f ÑÚ`(gÑÚ`(3)) gÑÚ`(3)=k로 놓으면 g(k)=3 k-1=3 ∴ k=4 f ÑÚ`(4)=l로 놓으면 f(l)=4 2l+2=4 ∴ l=1

0

7

( f½( f½f)ÑÚ`)(7) =( f½f ÑÚ`½f ÑÚ`)(7) =(I½f ÑÚ`)(7) =f ÑÚ`(7) f ÑÚ`(7)=k로 놓으면 f(k)=7 3k-5=7, 3k=12k=4

(18)

0

8

( f½f½f)ÑÚ`(e) O y=f(x) y=x e d c b b c de a y x =( f ÑÚ`½f ÑÚ`½f ÑÚ`)(e) =f ÑÚ`( f ÑÚ`( f ÑÚ`(e))) f ÑÚ`(e)=k로 놓으면 f(k)=ek=d f ÑÚ`(d)=l로 놓으면 f(l)=dl=c f ÑÚ`(c)=m으로 놓으면 f(m)=cm=b( f½f½f)ÑÚ`(e)=b

0

1

0

2

0

3

0

4

-1

0

5

0

6

0

7

0

8

33

0

9

10

11

11

12

g(x)=-2x+8

13

14

1

15

16

10

17

18

;2&;

19

-2

20

21

22

실력

확인 문제

p. 36

0

1

각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① X Y 1 0 2 3 0 -1 1X Y 1 0 2 3 0 -1 1X Y 1 0 2 3 0 -1 1X Y 1 0 2 3 0 -1 1X Y 1 0 2 3 0 -1 1 ⑤에서 집합 X의 원소 -1에 대응하는 집합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0

2

4Ú`=4, 4Û`=16, 4Ü`=64, 4Ý`=256, y 에서 4Ç` 의 일의 자리의 수는 4, 6이 반복된다. 따라서 함수 f의 치역은 {4, 6}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4+6=10

0

3

함수 f의 치역이 2이므로 정의역은 약수의 개수가 2인 수, 즉 소수이다. 10 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2, 3, 5, 7이므로 네 수가 집합 X의 원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집합 X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은 4이다.

0

4

두 함수 f, g가 서로 같으므로 f(0)=g(0), f(1)=g(1) 이어야 한다. f(x)=xÛ`+ax-1, g(x)=2x+b이고 f(0)=g(0)에서 b=-1 f(1)=g(1)에서 1+a-1=2+b a=2+b b=-1이므로 a=1ab=1_(-1)=-1

0

5

집합 X의 임의의 두 원소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f(xÁ)+f(xª)인 것은 일대일함수이고 주어진 그래프에 x 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오직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① O y x O y x O O y x O y x y x ② O y x O y x O O y x O y x y x ③ O y x O y x O O y x O y x y x ④ O y x O y x O O y x O y x y x ⑤ O y x O y x O O y x O y x y x 따라서 일대일함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0

6

f(1)=7이므로 f(2)-f(3)=3이려면 f(2)=8, f(3)=5 이어야 한다. 함수 f가 일대일대응이므로 대응 관계를 나타내면 다음 그 림과 같다. f X Y 6 5 7 8 2 1 3 4f(4)=6f(3)+f(4)=5+6=11

0

7

함수 f(x)=-2x+b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은 감소해야 하고, 치역과 공역이 일치해 야 하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의 그래프가 두 점 (-1, a), (2, -1)을 지나야 한다.

(19)

O 2 -1 -1 a y x y=-2a+b f(-1)=a, f(2)=-1 f(-1)=a에서 2+b=a …… ㉠ f(2)=-1에서 -4+b=-1 ∴ b=3 b=3을 ㉠에 대입하면 a=5a+b=8

0

8

Ú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를 구해 보자. 1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의 3개 2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도 1, 2, 3의 3개 3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도 1, 2, 3의 3개 따라서 함수의 개수는 3_3_3=27 ∴ a=27 Û X에서 Y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를 구해 보자. 1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의 3개 2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의 함숫값을 제외한 2개 3의 함숫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의 함숫값을 제외한 1개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3_2_1=6 ∴ b=6 Ú, Û에 의하여 a+b=33 참고 ⑴ 정의역의 원소의 개수가 m, 공역의 원소의 개수가 n일 때 함수의 개수는 ⑵ 정의역과 공역의 개수가 모두 n일 때 일대일대응의 개 수는 n(n-1)(n-2)_ y _2_1

0

9

( f½f½f)(9) =f( f( f(9))) =f( f(3)) =f('3 ) =('3 )Û`=3

10

두 함수 f : X 3Ú Y, g : Y 3Ú Z가 일대일대응이고 f(1)=2이므로 (g½f)(2)=g( f(2))=1에서 f(2)=4 또는 f(2)=6 Ú f(2)=4이면 g(4)=1 Û f(2)=6이면 g(6)=1 이때 g(6)=9이므로 f(2)=6이 될 수 없다. Ú, Û에 의하여 f(2)=4, g(4)=1이고 두 함수 f, g가 일대일대응이므로 f(3)=6, g(2)=5 X Y 2 1 3 5 1 9 4 2 6 Y f gf(3)+g(2)=6+5=11

11

[1단계] ( f½g)(-1) =f(g(-1))=f(-1+b) =a(-1+b)-2=7-a+ab=9 …… ㉠ [2단계] (g½f)(0) =g( f(0))=g(-2) =-2+b=2b=4 [3단계] b=4를 ㉠에 대입하면 -a+4a=9a=3ab=12

12

[1단계] (g½f)(x) =g( f(x))=g(2x-1) =-4x+10 …… ㉠ [2단계] 2x-1=t로 놓으면 x= t+12 x= t+12 을 ㉠에 대입하면 g(t)=-4_t+12 +10 =-2(t+1)+10 =-2t+8g(x)=-2x+8

13

[1단계] ( f½h)(3)=f(h(3))=g(3)에서 h(3)=k로 놓으면 f(k)=g(3) [2단계] ;2!;k+1=-4, ;2!;k=-5k=-10

(20)

다른 풀이 [1단계] ( f½h)(x)=g(x)에서 f ÑÚ`½( f½h)=f ÑÚ`½g ( f ÑÚ`½f)½h=f ÑÚ`½g 즉, h=f ÑÚ`½g이므로 h(3)=( f ÑÚ`½g)(3)=f ÑÚ`(g(3))=f ÑÚ`(-4) [2단계] f ÑÚ`(-4)=k로 놓으면 f(k)=-4 ;2!;k+1=-4, ;2!;k=-5k=-10

14

( f½g)(0)=f(g(0))=f(0)=1 (g½f)(1)=g( f(1))=g(2)=0( f½g)(0)+(g½f)(1)=1+0=1

15

f Û`(x)=f( f(x))=f(2x)=2_2x=4x f Ü`(x) =( f½f Û`)(x)=f( f Û`(x)) =f(4x)=2_4x=8x f Ý`(x) =( f½f Ü`)(x)=f( f Ü`(x)) =f(8x)=2_8x=16x ⋮ 이므로 f Ç` (x)=2Ç` x (단, n은 자연수이다.) 따라서 f Ú`â`(x)=2Ú`â`x=1024x이므로 f Ú`â`(2)=1024_2=2048

16

[1단계] f(3x+1)=x-2 …… ㉠ 에서 3x+1=t로 놓으면 x= t-13 x= t-13 을 ㉠에 대입하면 f(t)= t-13 -2=;3!;t-;3&;f(x)=;3!;x-;3&; [2단계] f ÑÚ`(1)=k로 놓으면 f(k)=1 ;3!;k-;3&;=1, ;3!;k=;;Á3¼;; 즉, k=10이므로 f ÑÚ`(1)=10 다른 풀이 [2단계] y=;3!;x-;3&;로 놓고 x와 y를 바꾸면 x=;3!;y-;3&;, ;3!;y=x+;3&; y=3x+7 즉, f ÑÚ`(x)=3x+7이므로 f ÑÚ`(1)=10

17

[1단계]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함수 f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함수 f(x)=ax+b에서 a>0이므로 이 함수가 일대일대 응이 되려면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해야 하고 치역과 공역이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함 수의 그래프가 두 점 (-2, -5), (3, 10)을 지나야 한다. O 3 -2 -5 10 y y=ax+b xf(-2)=-5, f(3)=10 [2단계] f(-2)=-5에서 -2a+b=-5 f(3)=10에서 3a+b=1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1a-b=3-1=2

18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O 4 1 y y=x+3 x x+a y= 12 즉, 두 직선 y=x+3, y=;2!;x+a 는 점 (1, 4)에서 만나야 하므로 4=;2!;+aa=;2&;

(21)

19

( f ÑÚ`½g)(9)=f ÑÚ`(g(9))=f ÑÚ`(-1) f ÑÚ`(-1)=k로 놓으면 f(k)=-1 Ú k¾0일 때 kÛ`+1=-1 즉, kÛ`=-2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만족하는 k의 값은 없다. Û k<0일 때 k+1=-1 ∴ k=-2 Ú, Û에 의하여 k=-2

20

(g½( f½g)ÑÚ`½g)(-3) =(g½gÑÚ`½f ÑÚ`½g)(-3) =(I½f ÑÚ`½g)(-3) =(f ÑÚ`½g)(-3) =f ÑÚ`(g(-3)) =f ÑÚ`(7) f ÑÚ`(7)=k로 놓으면 f(k)=7 2k-5=7, 2k=12k=6 따라서 (g½(f½g)ÑÚ`½g)(-3)=6

21

[1단계] ( f½gÑÚ`)(1)=f(gÑÚ`(1))=f(2)=3 (g½f)ÑÚ`(4) =( f ÑÚ`½gÑÚ`)(4)=f ÑÚ`(gÑÚ`(4)) =f ÑÚ`(3)=2 [2단계]( f½gÑÚ`)(1)+(g½f)ÑÚ`(4)=3+2=5

22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 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ÑÚ`(x)의 그 래프의 교점은 직선 y=x 위에 있다. 그러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교점의 좌표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좌표와 같다. 3x-6=x, 2x=6x=3 따라서 a=b=3이므로 10ab=10_3_3=90 참고 함수 f(x)=3x-6의 역함수는 f ÑÚ`(x)=;3!;x+2 O 2 3 2 3 -6 -6 y y=x y=f(x) y=f`ÑÚ`(x) x p. 40

0

1

3 ⑵ 2x+1 ⑶ 2x-8 xÛ`-4(x+2)(x+4)x-2x (x+1)Û` ⑹ (x-1)(x-3)x(x+1)

0

2

3 x(x+3)-x

0

3

0

4

0

5

풀이 참조

0

6

3

유리식과 유리함수

0

1

⑴ x+2x-2 +2x-8x-2 =(x+2)+(2x-8)x-2 = 3x-6x-2 =3(x-2)x-2 =3 ⑵ x-3 xÛ`+x+ x+3xÛ`+x= (x-3)+(x+3)xÛ`+x = 2x x(x+1) = 2x+1 ⑶ 2x+2 - 4 xÛ`-4 = 2x+2 - 4 (x+2)(x-2) = 2(x-2) (x+2)(x-2)-(x+2)(x-2)4 = 2x-4-4 (x+2)(x-2) = 2x-8 xÛ`-4x-3 xÛ`+4x+4_xÛ`+x-12xÛ`-4 = x-3 (x+2)Û`_ (x+2)(x-2)(x-3)(x+4) = x-2 (x+2)(x+4) ⑸ x xÛ`-1Ö x+1x-1 = x xÛ`-1_ x-1x+1 = x (x+1)(x-1)_ x-1x+1 = x (x+1)Û` ⑹ xÛ`-5x+6 xÛ`+2x Ö xÛ`-x-2xÛ`+x-2 = (x-2)(x-3) x(x+2) _ (x+2)(x-1)(x-2)(x+1) = (x-1)(x-3) x(x+1)

참조

관련 문서

❸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지는 경우의

두 주사위의 바닥에 닿은 면에 적힌 숫자의 합이 짝수이려면 두 숫자 모두 짝수이거나

[r]

http://hjini.tistory.com 답지

[r]

자기가 가져온 책은 자기가 읽지 않으면서 책을 바꾸어 읽는 경우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y ① 따라서 구하는

바둑에서는 경우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인공 지능이 인간을 넘어서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일류 바 둑 기사와의 대결에서 인공 지능이 승리를 거두었다..

주 프로그램에서 delay( ) 함수를 실행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