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림경영인 의식조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산림경영인 의식조사"

Copied!
2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

orea

R

ural

I

nstitute

E

conomic

I

nstitute

산림경영인 의식조사

www.

krei

.re.kr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Tel. 1833-5500 Fax. 061) 820-2211 -1 | 2017

산림경영인 의식조사

I

nstitute

(2)
(3)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7.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세일포커스(주) 02-2275-6894 I S B N︱979-11-6149-119-6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4)

머 리 말

우리나라의 산림이 성숙하면서 산림경영을 통해 산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

며 경제적 효과를 얻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다양한 산림경영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정책수립의 근거로 활용

하고자 산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산주의식조사는 소규모 산주, 부재산주 등 모든 산

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조사는 대규모 산림을 경영하는 전문

산림경영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는다. 산림경영 수익성

향상을 위한 정책은 전문 산림경영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산림경영인의 경영실태와 의식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자료집에 담긴 산주의식조사는 우리 연구원에서 수행한 ‘산림경영의 수

익성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의 일환으로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산주의 산림

현황과 산림경영에 대한 의식과 태도를 파악하여, 산림경영의 수익성을 증진하

기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전문 산

림경영인만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경영 실태와 의식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하

고자 하였다.

본 자료집은 산림경영인 300명을 대상으로 산림의 기본 현황, 산림경영 현

황, 산림경영 전망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담고 있다.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갖고 산림경영인을 직접 방문하여 이루어졌으며,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하여 실

시하였다.

본 보고서에 담긴 산림경영 현황 및 산주의식 조사 결과가 산림경영 수익성

증진을 위한 연구와 정책수립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바쁜 일정에도 조사

에 응해주신 전국의 산림경영인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5)
(6)

차 례

제1장 조사개요

1. 조사 배경 및 목적 ··· 1

2. 조사 내용 ··· 1

3. 조사 설계 ··· 2

4. 실사 ··· 2

5. 자료 처리 ··· 3

6. 응답자 특성 ··· 4

제2장 조사결과 분석

1. 산림의 기본현황 ··· 5

1) 산림 위치 ··· 5

2) 산림경영면적 ··· 6

3) 산림지까지의 이동시간 ··· 7

4) 산림의 경사도 조건 ··· 8

5) 임도와 간선임도 길이 ··· 10

6) 산림 보유 경로 ··· 10

7) 산림 보유 기간 ··· 11

8) 산림경영 시작 시기 ··· 12

9) 보유 산림경영 단위 구분 ··· 13

10 보유 산림 종류 ··· 14

11)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 ··· 15

11-1) 주요 수종의 평균 임령 ··· 16

12) 보유 산림의 시업제한구역 지정 여부 ··· 17

13)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 19

(7)

14) 산림경영 이유 ··· 20

2. 산림경영의 현황 ··· 21

1) 산림경영 형태 ··· 21

2)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 22

2-1) 산림경영계획 작성자 ··· 24

2-2) 산림경영계획 작성 이유 ··· 25

2-3)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영하는지 여부 ··· 26

2-4)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이유 ··· 27

5) 산림경영 수입 항목별 비중 ··· 31

6) 지난 5년간 임목수확 여부 ··· 33

6-1) 임목판매 현황-시기/수종 ··· 35

6-2) 임목판매 현황-임령/면적 ··· 36

6-3) 임목판매 현황-재적/수취가격 ··· 38

6-4)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이유 ··· 40

7)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41

8) 산림 상속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 ··· 43

9)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44

10) 지금 경영하는 산림에서 기대하는 점 ··· 45

11)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활동 ··· 46

3. 산림경영 전망 ··· 47

1)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 전망 ··· 47

2) 향후 5년 이내 산림작업 실시 계획 여부 ··· 48

3) 향후 10년 이내 임목 수확 실시 계획 여부 ··· 49

4)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 ··· 50

4-1) 희망 수종명 ··· 51

4-2) 응답수종 희망 이유 ··· 54

5) 향후 산림경영 계획 ··· 57

5-1) 산림경영 확대 방안 ··· 58

(8)

5-2) 산림경영 유지 방안 ··· 59

5-3) 산림경영 축소 방안 ··· 60

6)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61

7)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62

7-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 ··· 63

8) 은퇴 이후 산림경영 방안 ··· 64

9) 산림경영을 이어가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및 대책 ··· 66

10)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인증’ 획득 의사 ··· 67

11) ‘산림탄소상쇄사업’ 참여 의사 ··· 68

12)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 ··· 69

부록

1. 결과집계표 ··· 71

2. 질문지 ··· 194

(9)

표 차례

제2장

<표 2-1>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교차분석 ··· 23

<표 2-2> 임목판매 수종 ··· 35

<표 2-3> 임목판매 ha당 수취가격* 교차분석 ··· 39

<표 2-4>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44

<표 2-5> 수종별 구체적 희망 수종 ··· 51

<표 2-6> 전체 희망 수종명 ··· 52

<표 2-7> 수종별 응답수종 희망 이유 ··· 54

<표 2-8> 전체 응답수종 희망 이유 ··· 55

<표 2-9>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 ··· 69

부록

<부표 1-1> 산림 위치 - 시도 ··· 72

<부표 1-2> 산림 위치 - 시도, 시군구 ··· 73

<부표 2> 산림경영면적 ··· 76

<부표 3> 산림지까지의 이동시간 ··· 77

<부표 4> 산림의 경사도 조건 ··· 78

<부표 5> 임도와 간선임도 길이 ··· 79

<부표 5-1> 임도밀도 ··· 80

<부표 6> 산림 보유 경로 ··· 81

<부표 7> 산림 보유 기간 ··· 82

<부표 8> 산림경영 시작 시기 ··· 83

<부표 9> 보유 산림경영 단위 구분 ··· 84

<부표 10-1> 보유 산림 종류 - 인공림 ··· 85

<부표 10-2> 보유 산림 종류 - 천연림 ··· 86

(10)

<부표 11-1>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 –1순위 ··· 87

<부표 11-2>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 - 1+2+3순위 ··· 89

<부표 11-3> 주요 수종의 평균 임령 ··· 91

<부표 12> 보유 산림의 시업제한구역 지정 여부 ··· 92

<부표 12-1> 시업제한구역 포함 이유 ··· 93

<부표 13-1>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 포크레인 ··· 94

<부표 13-2>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 엔진톱/기계톱 ··· 95

<부표 13-3>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 운반트럭 ··· 96

<부표 14-1> 산림경영 이유 - 경관을 즐기기 위해 ··· 97

<부표 14-2> 산림경영 이유 - 산림생태계와 생물다양성 보호 ··· 98

<부표 14-3> 산림경영 이유 - 수자원 보호 ··· 99

<부표 14-4> 산림경영 이유 - 토지 투자의 의미 ··· 100

<부표 14-5> 산림경영 이유 - 목재 생산 ··· 101

<부표 14-6> 산림경영 이유 - 조경수 생산 ··· 102

<부표 14-7> 산림경영 이유 - 단기임산물(유실수, 산채·산약초) 생산 ··· 103

<부표 14-8> 산림경영 이유 - 여가 활동을 위해 ··· 104

<부표 14-9> 산림경영 이유 - 임산물의 자가 소비를 위해 ··· 105

<부표 14-10> 산림경영 이유 - 가업의 승계 ··· 106

<부표 14-11> 산림경영 이유 - 사회 공헌 ··· 107

<부표 15> 산림경영 형태 ··· 108

<부표 16>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 109

<부표 16-1> 산림경영계획 작성자 ··· 110

<부표 16-2> 산림경영계획 작성 이유 ··· 111

<부표 16-3>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영하는지 여부 ··· 112

<부표 16-4>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이유 ··· 113

<부표 17> 현재 산림경영 상태 ··· 114

<부표 18> 지난 5년간 산림경영에서 발생한 연간 평균 수입 ··· 115

<부표 18-1> 산림경영 수입이 가계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 116

(11)

<부표 19> 산림경영 수입 항목별 비중 ··· 117

<부표 19-1> 입목/목재가공 판매 용도 ··· 118

<부표 20> 지난 5년간 임목수확 여부 ··· 119

<부표 20-1> 임목수확 방식 ··· 120

<부표 20-2-1> 임목판매 시기 ··· 121

<부표 20-2-2> 임목판매 수종 ··· 122

<부표 20-2-3> 임목판매 임령 ··· 123

<부표 20-2-4> 임목판매 면적 ··· 124

<부표 20-2-5> 임목판매 재적 ··· 125

<부표 20-2-6> 임목판매 수취가격 ··· 126

<부표 20-3>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이유 ··· 127

<부표 21-1-1>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조림 ··· 128

<부표 21-1-2>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육림 ··· 129

<부표 21-1-3>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가지치기 ··· 130

<부표 21-1-4>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간벌 ··· 131

<부표 21-1-5>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임도(개설 및 보수) ·· 132

<부표 21-2-1>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 조림 ··· 133

<부표 21-2-2>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 육림 ··· 134

<부표 21-2-3>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 가지치기 ··· 135

<부표 21-2-4>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 간벌 ··· 136

<부표 21-2-5>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 임도(개설 및 보수) ··· 137

<부표 22> 산림 상속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 ··· 138

<부표 23-1>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소나무 ··· 139

<부표 23-2>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잣나무 ··· 140

<부표 23-3>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낙엽송 ··· 141

<부표 23-4>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편백 ··· 142

<부표 23-5>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삼나무 ··· 143

<부표 23-6>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참나무류 ··· 144

(12)

<부표 23-7>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활엽수잡목림 ··· 145

<부표 24> 지금 경영하는 산림에서 기대하는 점 ··· 146

<부표 25>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활동 ··· 147

<부표 26>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 전망 ··· 149

<부표 27> 향후 5년 이내 산림작업 실시 계획 여부 ··· 150

<부표 28> 향후 10년 이내 임목 수확 실시 계획 여부 ··· 151

<부표 29>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 ··· 152

<부표 29-1> 희망 수종명 ··· 153

<부표 29-2> 응답수종 희망 이유 ··· 155

<부표 30> 향후 산림경영 계획 ··· 157

<부표 30-1> 산림경영 확대 방안 ··· 158

<부표 30-2> 산림경영 유지 방안 ··· 159

<부표 30-3> 산림경영 축소 방안 ··· 160

<부표 31-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육림·보육으로 고급목재 생산·판매 ··· 161

<부표 31-2>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목재가공 등 목재 부가가치 증진 ··· 162

<부표 31-3>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산림작물 재배(산채, 약용식물) ··· 163

<부표 31-4>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임도 확충 ··· 164

<부표 31-5>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기계장비 확보 ··· 165

<부표 31-6>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휴양·치유·관광 등 6차 산업화 추진 ··· 166

<부표 31-7>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산림경영의 위탁 ··· 167

<부표 32-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산림 탄소배출권 도입 ··· 168

<부표 32-2>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국산재 이용하는 목재산업 육성 ··· 169

(13)

<부표 32-3>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임도 등 산림경영 인프라 확충 ··· 170

<부표 32-4>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산림규제 완화 ··· 171

<부표 32-5>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자연재해 보상 ··· 172

<부표 32-6>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산림경영의 집단화로 규모확대 ··· 173

<부표 32-7>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산림작업의 기계화 지원 ··· 174

<부표 32-8>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촉진 ··· 175

<부표 32-9>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금융지원 확대 ··· 176

<부표 32-10>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임업기술 보급 및 지도 ··· 177

<부표 32-1-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

- 1순위 ··· 178

<부표 32-1-2>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

- 1+2+3순위 ··· 180

<부표 33> 은퇴 이후 산림경영 방안 ··· 182

<부표 33-1> 산림경영을 지속하지 않는 이유 ··· 184

<부표 34-1> 산림경영을 이어가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및 대책 - 1순위 ·· 185

<부표 34-2> 산림경영을 이어가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및 대책

- 1+2+3순위 ··· 188

<부표 35>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인증’ 획득 의사 ··· 190

<부표 36> ‘산림탄소상쇄사업’ 참여 의사 ··· 191

<부표 37>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 ··· 192

(14)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2-1> 산림 위치 ··· 5

<그림 2-2> 산림경영면적 ··· 6

<그림 2-3> 산림지까지의 이동시간(차량 기준) ··· 7

<그림 2-4> 산림의 경사도 조건 ··· 8

<그림 2-5> 임도와 간선임도 길이 ··· 9

<그림 2-6> 임도 밀도 ··· 9

<그림 2-7> 산림 보유 경로 ··· 10

<그림 2-8> 산림 보유 기간 ··· 11

<그림 2-9> 산림경영 시작 시기 ··· 12

<그림 2-10> 보유 산림경영 단위 구분 ··· 13

<그림 2-11> 보유 산림 종류 ··· 14

<그림 2-12>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 ··· 15

<그림 2-13> 주요 수종의 평균 임령 ··· 16

<그림 2-14> 보유 산림의 시업제한구역 지정 여부 ··· 17

<그림 2-15> 시업제한구역 포함 이유 ··· 18

<그림 2-16>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 19

<그림 2-17> 산림경영 이유 ··· 20

<그림 2-18> 산림경영 형태 ··· 21

<그림 2-19>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 22

<그림 2-20> 산림경영계획 작성자 ··· 24

<그림 2-21> 산림경영계획 작성 이유 ··· 25

<그림 2-22>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영하는지 여부 ··· 26

<그림 2-23>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이유 ··· 27

(15)

<그림 2-24> 현재 산림경영 상태 ··· 28

<그림 2-25> 지난 5년간 산림경영에서 발생한 연간 평균 수입 ··· 29

<그림 2-26> 산림경영 수입이 가계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 30

<그림 2-27> 산림경영 수입 항목별 비중 ··· 31

<그림 2-28> 입목/목재가공 판매 용도 ··· 32

<그림 2-29> 지난 5년간 임목수확 여부 ··· 33

<그림 2-30> 임목수확 방식 ··· 34

<그림 2-31> 임목판매 시기 ··· 35

<그림 2-32> 임목판매 임령 ··· 36

<그림 2-33> 임목판매 면적 ··· 37

<그림 2-34> 임목판매 재적 ··· 38

<그림 2-35> 임목판매 수취가격 ··· 38

<그림 2-36>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이유 ··· 40

<그림 2-37> 지난 5년간 산림작업을 실시한 비율 ··· 41

<그림 2-38>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 42

<그림 2-39> 산림 상속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 ··· 43

<그림 2-40> 지금 경영하는 산림에서 기대하는 점 ··· 45

<그림 2-41>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활동 ··· 46

<그림 2-42>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 전망 ··· 47

<그림 2-43> 향후 5년 이내 산림작업 실시 계획 여부 ··· 48

<그림 2-44> 향후 10년 이내 임목 수확 실시 계획 여부 ··· 49

<그림 2-45>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 ··· 50

<그림 2-46> 향후 산림경영 계획 ··· 57

<그림 2-47> 산림경영 확대 방안 ··· 58

<그림 2-48> 산림경영 유지 방안 ··· 59

<그림 2-49> 산림경영 축소 방안 ··· 60

<그림 2-50>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61

<그림 2-5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62

(16)

<그림 2-52>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 ··· 63

<그림 2-53> 은퇴 이후 산림경영 방안 ··· 64

<그림 2-54> 산림경영을 지속하지 않는 이유 ··· 65

<그림 2-55> 산림경영을 이어가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및 대책 ··· 66

<그림 2-56>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인증’ 획득 의사 ··· 67

<그림 2-57> ‘산림탄소상쇄사업’ 참여 의사 ··· 68

(17)
(18)

조사개요

1. 조사 배경 및 목적

○ 본 조사는 산림경영인의 산림경영 현황과 산림경영 전망에 대한 의식을 조

사하고,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음.

2. 조사 내용

구 분 내 용 기본현황  산림의 위치, 면적  산림 보유경로, 기간, 경영 단위  주요 수종, 수종의 평균 임령  산림경영의 이유 산림경영 현황  산림경영 형태  산림경영계획서 수립 현황  지난 5년간 산림경영 소득 창출 여부  산림작업 실시여부 및 투자금액  임목가 시세와 희망 임목가  지역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활동 산림경영 전망  산림경영의 미래 전망  조림 희망 수종  장래 산림경영 계획  수익성 개선 노력  수익성 개선 정책사항  산림경영의 계승 여부  탄소상쇄, 산림인증 등에 대한 인식

(19)

실사지도원 교육 ∎ 조사 전에 면접원 교육을 실시하며, 면접원 교육에 앞서 실사지도원(Supervisor)을 대상으로 조사 개요, 조사 목적, 조사 내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 󰀶 면접원 선발 ∎본 연구소 소속 면접원 중 적격자를 선발 󰀶

3. 조사 설계

구분 내 용 조사 대상 · 전국의 산림경영인 (산림경영인협회, 임업후계자연합회 명부 및 임업통계조사 참여 임가명부 활용) 표본 크기 · 300명 조사 방법 · 방문면접조사 자료수집도구 ·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

4. 실사

1) 자료수집

○ 자료수집 도구: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이용

○ 조사방법: 방문면접조사

- 리스트를 기준으로 유선으로 컨택하여 방문면접 실시

○ 조사기간: 2017년 8월 23일 ~ 9월 22일

2) 실사 진행 절차

(20)

면접원 교육 ∎ 조사 방법과 조사 내용에 대하여 1시간의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조사 방법과 질문지 내용에 익숙하게 하고 문제점을 미리 발견, 지적함으로써 비표본오차(Non-sampling Error)를 최소화 하여 실사과정이 표준화(Standardization)될 수 있도록 교육 󰀶 검증 조사 ∎ 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완성된 조사 결과 중 30% 이상을 무작위 추출, 본 연구소 검 증원이 전화를 통해 자료를 검증하여 응답의 허위기재, 조작이 발견될 경우 해당 면접원이 조사 한 질문지 전부를 무효로 하고 재조사 실시 󰀶 최종 DATA 확정 ∎ 회수된 설문은 입력 결과의 논리성을 검증하여 최종 DATA로 확정

5. 자료 처리

○ 수집된 자료(raw data)는 Editing, Coding, 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IBM

호환 Intel Core i5를 사용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rogram으로 자료 처리

Editing Coding Data Cleaning Data Processing

기록상의 오류 및 누락 검증 설문내용의 부호화 및 리코딩 입력 자료의 오류 검색 ∙ Intel Core i5 ∙ SPSS Program

(21)

6. 응답자 특성

단위: 명, % 구 분 사례수 비율 전 체 (300) 100.0 지역별 서울/인천/경기 (21) 7.0 부산/울산/경남 (54) 18.0 대구/경북 (51) 17.0 광주/전라 (76) 25.3 대전/세종/충청 (63) 21.0 제주/강원 (35) 11.7 연령별 40대 이하 (39) 13.0 50대 (119) 39.7 60대 (94) 31.3 70대 이상 (48) 16.0 직업별 임업 (143) 47.7 농업·어업 (80) 26.7 자영업 (60) 20.0 회사원 (17) 5.7 학력별 중졸 이하 (51) 17.0 고등학교 졸업 (124) 41.3 대학교 졸업 (102) 34.0 대학원 이상 (23) 7.7 임업인단체별 산림경영인협회 (73) 24.3 임업인후계자연합회 (167) 55.7 산림조합조합원 (4) 1.3 아무 데도 속하지 않음 (56) 18.7

(22)

조사결과 분석

1. 산림의 기본 현황

1) 산림 위치

○ 경영 중인 산림의 위치를 질문한 결과, ‘전라남도’라는 응답이 20.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18.0%), ‘충청남도’(17.7%), ‘경상북도’(17.3%)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2-1> 산림 위치

문) 귀하께서 경영하는 산림은 어디에 위치합니까?

단위: %, n=300

(23)

2) 산림경영면적

○ 경영 중인 산림의 면적에 대해 질문한 결과, 평균 40.1ha의 산림을 경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5~30ha 미만’(32.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음.

<그림 2-2> 산림경영면적

문) 귀하께서 경영하는 산림의 면적은 얼마입니까?

단위: %, n=300

(24)

3) 산림지까지의 이동시간

○ 산림경영인의 거주지에서 경영 산림지까지 이동시간(차량 가준)은 평균

21.3분으로 조사되었으며, ‘10~30분 미만’(41.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음.

<그림 2-3> 산림지까지의 이동시간(차량 기준)

문) 귀하의 거주지에서 경영 산림지까지 이동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단위: %, n=300

(25)

4) 산림의 경사도 조건

○ 경영 중인 산림의 대체적인 경사도 조건에 대하여 절반 이상이 ‘보통(15~30°)’

(52.7%)이라고 응답함.

○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산림의 경사도 조건이 다른 지역에 비해

‘험준한 편(30° 이상)’이라는 응답이 많았음(42.6%).

<그림 2-4> 산림의 경사도 조건

문) 귀하께서 경영하는 산림의 대체적인 경사도 조건은 어떤 편입니까?

단위: %, n=300

(26)

5) 임도와 간선임도 길이

○ 경영 중인 산림에서 임도와 간선임도의 길이에 대해 질문한 결과, 평균

2.5km인 것으로 조사됨.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경우 임도와 간선임도의

길이 평균이 12.6km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임도가 확충되어 있음.

○ 임도와 간선임도에 대한 평균 임도 밀도는 0.1km/ha로 나타남.

<그림 2-5> 임도와 간선임도 길이

문) 귀하의 산림에서 임도와 간선임도는 몇 km입니까?

단위: %, n=300

<그림 2-6> 임도 밀도

문) 귀하의 산림에서 임도와 간선임도는 몇 km입니까?

단위: %, n=300 * 평균 임도 밀도(km/ha)=임도, 간선임도 길이/산림경영면적

(27)

6) 산림 보유 경로

○ 산림을 보유하게 된 경로에 대하여 물어본 결과, ‘구입’(64.0%)하였다는 응

답이 가장 많았으며, ‘상속’(32.7%) 및 ‘증여’(12.3%)가 뒤를 이음.

<그림 2-7> 산림 보유 경로

문) 귀하께서는 산림을 어떤 경로로 보유하게 되었습니까? 해당되는 항목을 모두 응답해주십시오(중복응답).

단위: %, n=300

(28)

7) 산림 보유 기간

○ 산림을 보유한 기간에 대하여, ‘20년 이상’(49.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음.

○ 지역별로는 산림 보유 기간이 ‘20년 이상’이라는 응답이 다른 지역에 비해

‘서울/인천/경기’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71.4%), ‘10~20년 이내’라는 응

답은 ‘대전/세종/충청’(49.2%), ‘제주/강원’(48.6%) 지역에서 높게 나타남.

<그림 2-8> 산림 보유 기간

문) 귀하께서 산림을 보유하신 지는 얼마나 되셨습니까?

단위: %, n=300

(29)

8) 산림경영 시작 시기

○ 산림경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기에 대한 질문에 ‘20년 이상’이라는 응답

이 42.0%로 가장 많았음.

○ ‘대구/경북’(41.2%), ‘대전/세종/충청’(47.6%), ‘제주/강원’(54.3%) 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하여 ‘10~20년 이내’라는 응답이 많았음.

<그림 2-9> 산림경영 시작 시기

문) 귀하께서 산림경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단위: %, n=300

(30)

9) 보유 산림경영 단위 구분

○ 보유 산림의 경영 단위에 대해 물어보았을 때, 절반 이상이 ‘2~4개’(54.0%)로

나뉘어 있다고 응답함.

○ 지역별로는 ‘대구/경북’(45.1%) 및 ‘서울/인천/경기’(42.9%) 지역에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산림의 경영 단위가 ‘1개’라는 응답이 많았음.

<그림 2-10> 보유 산림경영 단위 구분

문) 귀하께서 보유한 산림의 경영 단위는 몇 개로 나뉘어 있습니까?

단위: %, n=300

(31)

10) 보유 산림 종류

○ 현재 보유한 산림의 종류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천연림이 평균 53.6%, 인

공림이 평균 46.4%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천연림’(78.6%)이 ‘인공림’(21.4%)에 비하여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대전/세종/충청’ 지역의 경우 ‘인공림’(66.0%)이 ‘천연

림’(34.0%)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됨.

<그림 2-11> 보유 산림 종류

문) 현재 보유한 산림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단위: %, n=300

(32)

11)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

○ 현재 보유한 산림의 주요 수종을 물어보았을 때, ‘소나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68.0%), 그 다음으로 ‘참나무’(48.0)%, ‘밤나무 등 유실수’(31.3%)

등의 순으로 나타남(1+2+3순위 기준).

○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지역의 소나무 보유 비율(92.2%)이 높았으나 ‘서울/

인천/경기’ 지역은 소나무의 보유 비율(33.3%)이 낮았으며, ‘대전/세종/충

청’ 지역은 밤나무 등 유실수의 보유 비율(69.8%)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

적으로 높았음(47.6%)(1+2+3순위 기준).

<그림 2-12>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

문) 현재 보유한 산림의 주요 수종은 무엇입니까?

단위: %, n=300

(33)

11-1) 주요 수종의 평균 임령

○ 보유 산림의 주요 수종(1순위)의 평균 임령은 평균 32.3년으로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58.0%가 ‘30년 이상’이라고 응답함.

○ ‘대전/세종/충청’ 지역의 경우 주요 수종의 평균 임령이 24.0년으로 다른 지

역에 비해 다소 짧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 2-13> 주요 수종의 평균 임령

문) 응답한 수종 중 가장 대표적인 수종(1순위 응답)의 평균 임령은 어느 정도입니까?

단위: %, n=300

(34)

12) 보유 산림의 시업제한구역 지정 여부

○ 현재 소유한 산림이 시업제한구역에 ‘전부 포함되어 있다’라는 응답은

7.3%, ‘일부 포함되어 있다’라는 응답은 13.7%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79.0%)

라는 응답이 대다수임.

○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경우 시업제한구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이

14.3%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소유 산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시업제한구역

으로 지정된 비율이 높음.

<그림 2-14> 보유 산림의 시업제한구역 지정 여부

문) 현재 소유한 산림이 시업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까?

단위: %, n=300

(35)

<그림 2-15> 시업제한구역 포함 이유

문) 시업제한구역에 포함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6)

13)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 산림경영에 활용하는 장비 소유 현황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엔진톱/기계톱

은 평균 1.9대, 운반트럭은 평균 0.9대, 포크레인은 평균 0.4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운반트럭을 소유하지 않은

산림경영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47.6%).

<그림 2-16> 산림경영 활용 장비 소유 여부

문) 산림경영에 활용하는 아래 장비들을 소유하고 있습니까?

단위: 대, n=300

(37)

14) 산림경영 이유

○ 산림경영 이유에 대한 질문에 ‘단기임산물(유실수, 산채·산약초) 생산’ 항목

에서 ‘관련이 있다(그렇다+매우 그렇다)’라는 응답이 82.0%로 다른 항목에

비해 높게 나타났음.

○ ‘임산물의 자가 소비를 위해’(45.7%), ‘가업의 승계’(43.0%), ‘토지 투자의

의미’(41.0%) 등이 뒤를 이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남.

<그림 2-17> 산림경영 이유

문) 다음 문항은 산림을 경영하는 이유와 관련이 있습니까?

단위: %, n=300

(38)

2. 산림경영의 현황

1) 산림경영 형태

○ 현재 산림경영의 형태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46.7%가 ‘산림작물 재배(목재

생산계획 없음)’, 41.7%가 ‘산림복합경영(목재 생산+산림작물)’이라고 응답함.

<그림 2-18> 산림경영 형태

문) 현재 귀하의 산림경영의 형태는 무엇입니까?

단위: %, n=300

(39)

2)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 산림경영계획의 수립 상황에 대하여 40.3%가 ‘대부분 면적에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였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일부 면적에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였다’

라는 응답은 29.3%임.

<그림 2-19>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문) 산림경영계획의 수립 상황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단위: %, n=300

○ 산림경영면적별로 산림경영계획 수립 여부를 살펴보면, 면적이 클수록 ‘대

부분 면적에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였다’는 응답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임.

○ 산림경영형태별로는 ‘목재생산 중심’의 경영형태에서 ‘대부분 면적에 산림

경영계획을 수립하였다’는 응답(83.3%)이 다른 경영형태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대부분 면적에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였다’는 산림경영인의 연간 평균 산림

경영 수입은 4,584.8만 원으로, 일부 면적에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거나 산림

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산림경영인의 수입보다 2배 이상 많게 나타남.

(40)

구 분 사례수 대부분 면적에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하였다 일부 면적에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하였다 과거에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 하였지만 지금은 아니다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 산림경영 계획 제도를 모른다 계 전 체 (300) 40.3 29.3 6.3 17.3 6.7 100.0 산림면적 15ha 미만 (85) 32.9 29.4 2.4 25.9 9.4 100.0 15~30ha 미만 (97) 37.1 29.9 10.3 15.5 7.2 100.0 30~50ha 미만 (57) 43.9 28.1 3.5 21.1 3.5 100.0 50ha 이상 (61) 52.5 29.5 8.2 4.9 4.9 100.0 평균(ha) - (54.3) (36.3) (32.3) (22.3) (24.6) (40.1) 산림경영형태 목재생산 중심 (18) 83.3 16.7 0.0 0.0 0.0 100.0 산림복합경영 (125) 37.6 40.0 5.6 13.6 3.2 100.0 휴양림, 산림교육, 캠핑 등 (14) 57.1 28.6 7.1 7.1 0.0 100.0 산림작물 재배 (140) 35.7 21.4 7.1 24.3 11.4 100.0 없다 (3) 33.3 33.3 33.3 0.0 0.0 100.0 연간 평균 산림경영수입 1,000만 원 미만 (130) 32.3 34.6 7.7 20.8 4.6 100.0 1,000~3,000만 원 미만 (82) 42.7 25.6 7.3 17.1 7.3 100.0 3,000~5,000만 원 미만 (26) 42.3 34.6 0.0 11.5 11.5 100.0 5,000만 원 이상 (61) 52.5 21.3 4.9 13.1 8.2 100.0 모름/무응답 (1) 100.0 0.0 0.0 0.0 0.0 100.0 평균(만 원) - (4,584.8) (2,109.8) (1,434.2) (1,803.9) (2,868.0) (3,062.8)

<표 2-1>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교차분석

단위: 명, %

(41)

2-1) 산림경영계획 작성자

○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산림경영계획을 ‘산림조합에 의뢰하였다’(54.5%)라고

응답하였으며, ‘스스로 작성하였다'(36.8%)는 응답이 뒤를 이음.

○ 산림경영계획을 ‘산림조합에 의뢰하였다'는 응답은 ‘서울/인천/경기’(87.5%)

및 ‘제주/강원’(70.4%) 지역에서 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 2-20> 산림경영계획 작성자

문) 산림경영계획은 누가 작성하였습니까?

단위: %, n=209

(42)

2-2) 산림경영계획 작성 이유

○ 산림경영계획을 작성한 산림경영인의 대부분이 그 이유로 ‘산림경영을 계

획하기 위해’(85.2%)라고 응답함.

<그림 2-21> 산림경영계획 작성 이유

문) 산림경영계획을 작성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단위: %, n=209

(43)

2-3)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영하는지 여부

○ 산림경영계획을 작성한 경영인들에게 제출한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

영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물어보았을 때, 87.6%가 ‘계획대로 진행한다’라고

응답함.

<그림 2-22>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영하는지 여부

문) 제출한 산림경영계획대로 산림을 경영하고 있습니까?

단위: %, n=209

(44)

2-4)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이유

○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경영인들은 그 이유로 ‘필요하지

않아서’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꼽음(63.4%).

○ ‘서울/인천/경기’ 및 ‘광주/전라’ 지역에서는 응답자의 25%가 ‘비용이 비싸

서’라고 응답하여 ‘필요하지 않아서’라는 응답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그림 2-23>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이유

문)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단위: %, n=71

(45)

3) 현재 산림경영 상태

○ 현재 산림경영 상태에 대해 질문한 결과, 45.0%가 ‘매년 수입이 발생하지만,

가계의 주요 수입은 임업 외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매년 산림에서 수입

이 발생하고, 가계의 주요 수입은 임업이다’라는 응답이 31.7%로 나타남.

○ ‘대전/세종/충청' 지역의 경우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매년 산림에서 수입이

발생하고, 가계의 주요 수입은 임업이다'라고 응답하여(54.0%) 다른 지역에

비해 주 수입원이 임업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그림 2-24> 현재 산림경영 상태

문) 현재 귀하의 산림경영의 상태는 어떻습니까?

단위: %, n=300

(46)

4) 지난 5년간 산림경영에서 발생한 연간 평균 수입

○ 지난 5년간 산림경영에서 발생한 연간 평균 수입은 평균 3,062.8만 원으로,

응답자의 43.3%가 ‘1,000만 원 미만'이라고 응답함.

○ 산림경영 수입이 가계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34.0%로, ‘30% 미만'

이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남(56.0%).

<그림 2-25> 지난 5년간 산림경영에서 발생한 연간 평균 수입

문) 지난 5년 동안 산림경영에서 발생한 연간 평균 수입은 얼마입니까?

단위: %, n=300

(47)

<그림 2-26> 산림경영 수입이 가계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문) 산림경영 수입이 가계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몇 % 정도입니까?

(48)

5) 산림경영 수입 항목별 비중

○ 산림경영 수입의 항목별 비중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단기임산물 생산 판

매'라는 응답이 87.5%로 나타남.

○ 입목 또는 목재가공판매 수입이 있는 경우, 그 판매 용도를 물어본 결과 ‘제

재목'(64.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펄프 또는 보드 생산'(11.9%)이라

는 응답이 그 뒤를 이음.

<그림 2-27> 산림경영 수입 항목별 비중

문) 산림경영 수입은 어디에서 발생한 것입니까? 각 항목별 수입 비중을 응답해주십시오.

단위: %, n=298

(49)

<그림 2-28> 입목/목재가공 판매 용도

문) 입목 또는 목재가공판매 수입이 있다면 어떤 용도로 판매하였습니까?

(50)

6) 지난 5년간 임목수확 여부

○ 지난 5년간 산림에서의 임목수확 여부를 물어본 결과, 임목을 수확했다는

응답은 19.3%였으며, ‘벌기령에 도달했지만 수확하지 않음'이 44.0%, ‘아직

벌기령에 도달하지 않음'이 36.7%로 나타남.

○ 임목수확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임목수확 방식을 질문한 결과, ‘직접

수확'이 51.7%, ‘벌목업자에게 넘김'이 44.8%, ‘산림조합이 수행'이 5.2%로

나타남.

<그림 2-29> 지난 5년간 임목수확 여부

문) 지난 5년 동안 산림에서 임목수확을 한 적이 있습니까?

단위: %, n=300

(51)

<그림 2-30> 임목수확 방식

문) 임목수확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였습니까?

(52)

6-1) 임목판매 현황-시기/수종

○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그 시기에 대해 질문한 결과, ‘2016년'이라는 응답이

32.4%로 가장 높으며, ‘2014년'(19.7%), ‘2015년'(18.3%) 순으로 나타남.

○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그 수종에 대해 물어본 결과, ‘소나무'(26.8%), ‘참나무’

(15.5%), ‘낙엽송'(15.5%)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2-31> 임목판매 시기

문)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판매시기는 언제입니까?

단위: %, n=71 구 분 전체 소나무 참나무 낙엽송 편백나무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참나무 황칠나무 사례수(명) (71) (19) (11) (11) (6) (6) (5) (3) 비율(%) 100.0 26.8 15.5 15.5 8.5 8.5 7.0 4.2 구 분 리기다소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소나무+ 참나무 낙엽송+ 삼나무 다양한 수종 잡목 이팝나무+ 느티나무 사례수(명) (3) (1) (1) (1) (1) (1) (1) (1) 비율(%) 4.2 1.4 1.4 1.4 1.4 1.4 1.4 1.4

<표 2-2> 임목판매 수종

(53)

6-2) 임목판매 현황-임령/면적

○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그 평균 임령은 37.1년으로 조사되었으며 ‘30~50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66.2%로 나타남.

○ 임목 판매 시 임목판매 면적에 대해 질문한 결과, 평균 15.5ha로 ‘5ha 이상'

이라는 응답이 50.7%로 나타남.

<그림 2-32> 임목판매 임령

문)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판매임목의 임령은 어떻습니까?

단위: %, n=71

(54)

<그림 2-33> 임목판매 면적

문)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임목판매 면적은 얼마입니까?

(55)

6-3) 임목판매 현황-재적/수취가격

○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임목판매 재적을 물어본 결과, 평균 364.3㎥로 조사됨.

○ 임목 판매 시 수취가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평균 2,309.8만 원으로 ‘1,000

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35.2%, ‘1,000~3,0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33.8%, ‘3,000만 원 이상'이라는 응답이 23.9%로 나타남.

<그림 2-34> 임목판매 재적

문)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임목판매 재적은 얼마입니까?

단위: %, n=71

<그림 2-35> 임목판매 수취가격

문) 임목을 판매하였을 때 임목판매 수취가격은 얼마입니까?

단위: %, n=71

(56)

○ 임목판매가 있는 산림경영인(n=58)의 판매 면적당 수취가격을 산출한 결과,

평균 446.9만 원/ha로 나타남.

○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별로는 ‘일부 면적에 수립’한 경우에 면적당 수취가

격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음.

○ 수행 산림작업 여부에 따라서는 ‘산림작업을 수행한 경영인’이 수행하지 않은

경영인보다 상대적으로 면적당 수취가격이 높았음.

○ 임목수확 방식별로는 ‘직접 수확’한 경우가 면적당 수취가격이 가장 높았음.

구 분 사례수 100만 원 미만 100~500만 원 미만 500만 원 이상 모름/ 무응답 계 평균 (만 원/ha) 전 체 (58) 20.7 37.9 20.7 20.7 100.0 (446.9) 산림경영계획 수립 상황 대부분 면적 수립 (28) 25.0 32.1 17.9 25.0 100.0 (371.8) 일부 면적 수립 (19) 21.1 31.6 31.6 15.8 100.0 (665.2) 과거 수립했으나 현재 수립하지 않음 (4) 25.0 50.0 25.0 0.0 100.0 (292.5) 수립하지 않음 (5) 0.0 80.0 0.0 20.0 100.0 (153.8) 제도를 모름 (2) 0.0 50.0 0.0 50.0 100.0 (322.2) 수행 산림작업 수* 산림작업 하지 않음 (11) 27.3 18.2 18.2 36.4 100.0 (285.4) 1개 (12) 16.7 33.3 25.0 25.0 100.0 (628.4) 2개 (18) 16.7 50.0 11.1 22.2 100.0 (297.9) 3개 이상 (17) 23.5 41.2 29.4 5.9 100.0 (545.8) 임목수확방식 직접 수확 (30) 13.3 36.7 30.0 20.0 100.0 (556.6) 벌목업자에게 넘김 (26) 30.8 38.5 11.5 19.2 100.0 (331.4) 산림조합이 수행 (2) 0.0 50.0 0.0 50.0 100.0 (240.0)

<표 2-3> 임목판매 ha당 수취가격* 교차분석

단위: 명, % 주 1) 임목판매 ha당 수취가격(만 원/ha)=임목판매 수취 가격/임목판매 면적 2) 수행 산림작업 수: 조림, 육림, 가지치기, 간벌, 임도(개설 및 보수) 작업 중 지난 5년간 실시한 작업 개수.

(57)

6-4)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이유

○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를 질문한 결과 ‘벌채계획이 없으므로'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39.4%), ‘목재가격이 싸기 때문에'(24.2%), ‘벌채

에 의한 수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23.5%) 순으로 나타남.

<그림 2-36>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이유

문) 임목수확을 하지 않는 이유는?

단위: %, n=132

(58)

7) 지난 5년간 산림작업 실시 여부

○ 보유한 산림에서 지난 5년 동안 실시한 산림작업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가

지치기’는 41.0%, ‘간벌’은 35.3%, ‘조림’은 34.3%, ‘임도(개설 및 보수)’는

33.0%, ‘육림’은 23.0%가 ‘실시한 적이 있다’라고 응답함.

○ 지난 5년간 실시한 산림작업에 투자한 금액을 조사한 결과, ‘조림’에 평균

2,725.1만 원, ‘육림’에 평균 1,822.3만 원, ‘가지치기’에 평균 1,430.6만 원,

‘간벌’에 평균 732.6만 원, ‘임도(개설 및 보수)’에 평균 2,596.0만 원을 투자

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2-37> 지난 5년간 산림작업을 실시한 비율

문) 보유한 산림에서 지난 5년 동안 다음 산림작업을 실시한 적이 있습니까?

단위: %, n=300

(59)

<그림 2-38> 지난 5년간 산림작업 투자금액

문) 있는 경우, 산림작업에 투자된 금액은 얼마입니까?

(60)

8) 산림 상속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

○ 산림을 상속하는 경우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세금 납부 때문에 산림을 매각하는 등 산림경영에 영향이 있

다’는 응답이 47.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림경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라는 응답이 30.3%, ‘상속세 또는 증여세 납부가 없었다’라는 응답이

20.3%로 나타남.

<그림 2-39> 산림 상속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

문) 산림을 상속하는 경우 세금납부가 ‘산림경영’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n=300

(61)

9)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 벌목업자에게 입목을 판매할 때 발생하는 재적은 소나무의 경우 평균 121.1

㎥/ha로 조사되었으며, 잣나무의 경우 132.2㎥/ha, 낙엽송은 135.3㎥/ha, 편

백은 132.5㎥/ha, 삼나무는 122.6㎥/ha, 참나무류는 104.6㎥/ha, 활엽수잡목

림은 152.8㎥/ha로 나타남.

○ 벌목업자에게 임목을 판매할 때 1ha당 현지 시세는 소나무의 경우 평균 336.8

만 원, 잣나무는 168.0만 원, 낙엽송은 376.0만 원, 편백은 356.2만 원, 삼나

무는 213.2만 원, 참나무류는 253.8만 원, 활엽수잡목림은 132.9만 원으로

나타남.

○ 벌목업자에게 임목을 판매할 때 산림경영의 수익으로 적정한 가격에 대하여

물어본 결과, 1ha당 소나무는 평균 547.0만 원, 잣나무는 534.3만 원, 낙엽송

은 639.3만 원, 편백은 753.7만 원, 삼나무는 612.1만 원, 참나무류는 463.4

만 원, 활엽수잡목림은 271.4만 원으로 조사됨.

수종 임령 (년) 재적 현지 시세 적정 가격

사례수 m3/ha 사례수 만 원/ha 사례수 만 원/ha

소나무 40 (65) 121.1 (83) 336.8 (81) 547.0 잣나무 50 (29) 132.2 (32) 168.0 (30) 534.3 낙엽송 30 (44) 135.3 (45) 376.0 (49) 639.3 편백 40 (25) 132.5 (34) 356.2 (35) 753.7 삼나무 30 (24) 122.6 (28) 213.2 (29) 612.1 참나무류 25 (39) 104.6 (52) 253.8 (54) 463.4 활엽수잡목림 - (21) 152.8 (26) 132.9 (28) 271.4

<표 2-4> 벌목업자에게 임목 판매시 판매 현황

(62)

10) 지금 경영하는 산림에서 기대하는 점

○ 현재 경영하는 산림에서 기대하는 점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절반 이상이 ‘임

산물 소득이 증대되는 것’(53.3%)이라고 응답함.

○ 이와 같은 기대는 ‘대구/경북’(74.5%) 및 ‘대전/세종/충청’(68.3%)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40> 지금 경영하는 산림에서 기대하는 점

문) 지금 경영하는 산림에서 귀하께서 가장 크게 기대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단위: %, n=300

(63)

11)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활동

○ 산림경영 전문가로서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해 하고 싶은 활동에 대

하여, 23.3%가 ‘그다지 하고 싶지 않다’라고 응답하였으며, ‘필요하지만 무

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응답은 15.3%로 나타남.

○ ‘산림경영 기술을 전수하고 지도하고 싶다'(14.7%), ‘다른 임가의 산림을 구

입하여 경영하고 싶다'(14.0%), ‘산림조합을 중심으로 협업경영하고 싶다’

(14.0%), ‘지역의 산주들을 모아 공동 산림계획을 수립하고 협업경영하고

싶다’(13.3%)라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남.

<그림 2-41>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활동

문) 귀하는 산림경영 전문가로서 지역의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싶습니까?

단위: %, n=300

(64)

3. 산림경영 전망

1)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 전망

○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 전망에 대해 질문한 결과, ‘보다 나아질 것이

다’라는 응답이 38.3%로 ‘현재와 같을 것이다’(22.0%) 혹은 ‘나빠질 것이

다’(28.7%)라는 응답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남.

○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경우 47.6%가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이 ‘나

빠질 것이다’라고 응답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부정적인 예측이 많음.

<그림 2-42>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 전망

문) 귀하는 앞으로 임업 또는 산림경영의 수익성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단위: %, n=300

(65)

2) 향후 5년 이내 산림작업 실시 계획 여부

○ 향후 5년 이내에 산림작업 실시 계획의 여부에 대하여 ‘산림작업이 필요하

고 필요한 시기에 실시할 예정'(39.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음'(24.0%), ‘산림작업이 필요하지만 실시할 예정은

없음'(21.7%), ‘산림작업이 필요한 산림이 없음'(15.3%) 순으로 나타남.

○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경우 ‘산림작업이 필요하고 필요한 시기에 실시할

예정'이라는 응답이 4.8%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남.

<그림 2-43> 향후 5년 이내 산림작업 실시 계획 여부

문) 귀하의 산림에서 5년 이내에 산림작업(조림 또는 육림)을 실시할 예정이 있습니까?

단위: %, n=300

(66)

3) 향후 10년 이내 임목 수확 실시 계획 여부

○ 향후 10년 이내에 임목 수확 실시 계획 여부에 대하여 ‘벌기령에 도달하지만

수확하지 않을 것이다’(39.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실시할 계획이다’라

는 응답이 33.3%, ‘아직 벌기령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26.7%로 나타남.

○ ‘제주/강원’ 지역에서는 ‘실시할 계획이다'(42.9%)라는 응답이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남.

<그림 2-44> 향후 10년 이내 임목 수확 실시 계획 여부

문) 귀하의 산림에서 앞으로 10년 이내에 임목 수확을 실시할 계획이 있습니까?

단위: %, n=300

(67)

4)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

○ 다시 조림을 하게 될 경우 희망하는 수종에 대해 질문한 결과, ‘소나무, 낙

엽송, 편백, 잣나무, 자작나무 등 용재수’라는 응답이 43.3%로 가장 많았으

며, 그 다음으로 ‘밤나무, 호두, 은행 등 유실수’(24.3%), ‘황칠나무, 헛개나

무, 옻나무 등 특용수’(16.3%) 순으로 나타남.

○ ‘대전/세종/충청' 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유실수'(47.6%)에 대한 선

호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 2-45>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

문) 만약 다시 조림을 한다면 희망하는 수종은 무엇입니까?(중복응답)

단위: %, n=300

(68)

4-1) 희망 수종명

○ 향후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에 대한 구체적인 수종명을 응답비율 순서대로

3순위까지 살펴보면, 용재수 중에서는 편백나무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

으며, 그 다음으로 소나무, 낙엽송 순으로 나타남.

○ 유실수 중에서는 호두나무라는 응답비율이 약 70% 정도로 높게 나타남.

○ 조경수 중에서는 단풍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순으로 나타남.

○ 특용수 중에서는 헛개나무, 옻나무, 황칠나무 순으로 나타남.

구 분 사례수 수종명 비율(%) 소나무, 낙엽송, 편백, 잣나무, 자작나무 등 용재수 (130) 편백나무 47.7 소나무 29.2 낙엽송 26.2 밤나무, 호두나무, 은행나무 등 유실수 (72) 호두나무 69.4 밤나무 55.6 은행나무 9.7 단풍나무, 이팝나무 등 조경수 (21) 단풍나무 42.9 이팝나무 33.3 느티나무 23.8 황칠나무, 헛개나무, 옻나무 등 특용수 (48) 헛개나무 43.8 옻나무 31.3 황칠나무 29.2 기타 (16) 고로쇠나무 43.8 참나무 12.5 대나무 12.5

<표 2-5> 수종별 구체적 희망 수종

(69)

○ 구체적인 희망 수종에 대한 전체 응답결과는 ‘편백나무’(25.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호두나무’(22.3%), ‘소나무’(15.7%), ‘밤나무’(15.0%) 등의

순으로 나타남(중복응답).

구 분 사례수 (명) 비율 (%) 전체 (300) 100.0 편백나무 (76) 25.3 호두나무 (67) 22.3 소나무 (47) 15.7 밤나무 (45) 15.0 낙엽송 (35) 11.7 참나무 (32) 10.7 헛개나무 (27) 9.0 자작나무 (23) 7.7 잣나무 (21) 7.0 황칠나무 (17) 5.7 옻나무 (17) 5.7 고로쇠나무 (17) 5.7 단풍나무 (16) 5.3 이팝나무 (11) 3.7 은행나무 (10) 3.3 엄나무 (9) 3.0 느티나무 (7) 2.3 두릅나무 (7) 2.3 대추나무 (6) 2.0 조경수 (5) 1.7 감나무/떫은감 (5) 1.7 백합나무 (5) 1.7 꾸지뽕나무 (4) 1.3 아까시나무 (3) 1.0 대나무 (3) 1.0 유실수 (3) 1.0 상수리나무 (3) 1.0 배롱나무 (2) 0.7 메타세콰이아 (2) 0.7 산딸나무 (2) 0.7

<표 2-6> 전체 희망 수종명

(70)

구 분 사례수 (명) 비율 (%) 전체 (300) 100.0 노각나무 (2) 0.7 아열대 나무 (2) 0.7 가죽나무 (2) 0.7 오갈피나무 (2) 0.7 마가목 (2) 0.7 특용수 (2) 0.7 밀원수 (2) 0.7 포플러나무 (1) 0.3 동백나무 (1) 0.3 멀꿀나무 (1) 0.3 참가죽나무 (1) 0.3 황벽나무 (1) 0.3 약초 (1) 0.3 사과나무 (1) 0.3 왕벚나무 (1) 0.3 돌배나무 (1) 0.3 삼나무 (1) 0.3 돌복숭아 나무 (1) 0.3 전나무 (1) 0.3 산초나무 (1) 0.3 비목 (1) 0.3 물앵두나무 (1) 0.3 벚나무 (1) 0.3 참옻나무 (1) 0.3 재래송 소나무 (1) 0.3 아로니아 (1) 0.3 커피나무 (1) 0.3 생강나무 (1) 0.3 물박달나무 (1) 0.3 약용수 (1) 0.3 활엽수 (1) 0.3 없다 (7) 2.3 모름/무응답 (5) 1.7

(계속)

(71)

4-2) 응답수종 희망 이유

○ 향후 조림 시 희망하는 수종에 대한 희망 이유를 수종별로 3순위까지 살펴

보면 모든 수종에서 ‘수익성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남.

○ 특히 유실수와 특용수는 ‘수익성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70% 이상으로, 상대

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남.

○ 조경수는 ‘조경업을 하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수익성이 좋아서’라는 응답

비율과 동일하게 나타남.

구 분 사례수 희망 이유 비율(%) 소나무, 낙엽송, 편백, 잣나무, 자작나무 등 용재수 (130) 수익성이 좋아서 40.0 쓰임새가 다양해서 6.9 버섯 채취에 필요해서 6.2 밤나무, 호두나무, 은행나무 등 유실수 (72) 수익성이 좋아서 72.2 임산물 생산하려고 8.3 수확성이 용이해서 4.2 단풍나무, 이팝나무 등 조경수 (21) 수익성이 좋아서 23.8 조경업을 하고 싶어서 23.8 자연 경관이 좋아서 9.5 황칠나무, 헛개나무, 옻나무 등 특용수 (48) 수익성이 좋아서 75.0 임산물 생산하려고 6.3 약용 목적으로 4.2 기타 (16) 수익성이 좋아서 31.3 수액 채취하려고 25.0 표고 수확이 안 되어서 대체목이 필요해서 12.5

<표 2-7> 수종별 응답수종 희망 이유

(72)

○ 향후 조림을 원하는 수종의 희망 이유에 대하여, 50.0%의 응답자가 ‘수익성

이 좋아서'라고 응답함.

구 분 사례수 (명) 비율 (%) 전체 (300) 100.0 수익성이 좋아서 (150) 50.0 쓰임새가 다양해서 (11) 3.7 자연 경관이 좋아서 (10) 3.3 버섯 채취에 필요해서 (9) 3.0 임산물 생산하려고 (7) 2.3 지역에서 잘 자라서 (7) 2.3 조경업을 하고 싶어서 (5) 1.7 장기간 숲 이용이 가능해서 (5) 1.7 목재 생산이 용이해서 (4) 1.3 수확성이 용이해서 (4) 1.3 공기가 좋아서 (4) 1.3 수액 채취하려고 (4) 1.3 유실수 생산하려고 (4) 1.3 선호도가 좋아서 (3) 1.0 조림이 수월해서 (3) 1.0 휴양림 조성에 적당해서 (3) 1.0 토양에 맞아서 (3) 1.0 관리가 용이해서 (3) 1.0 임업을 하고 있어서 (2) 0.7 건축용 자재로 이용 (2) 0.7 빨리 자라서 (2) 0.7 표고 수확이 안 되어서 대체목이 필요해서 (2) 0.7 국산 목재로서의 입지가 커지고 있어서 (2) 0.7 식품 제조업에 직접 활용하려고 (2) 0.7 환경 보호를 위해서 (2) 0.7 정부 보조가 있어서 (2) 0.7 무난하게 잘 자라서 (2) 0.7 약용 목적으로 (2) 0.7 피톤치드가 건강에 좋아서 (2) 0.7 정부 권장수라서 (1) 0.3

<표 2-8> 전체 응답수종 희망 이유

(73)

구 분 사례수 (명) 비율 (%) 전체 (300) 100.0 힐링 사업을 하려고 (1) 0.3 기후 변화 대체 나무라서 (1) 0.3 꿀을 채취하려고 (1) 0.3 조경을 복구하려고 (1) 0.3 고급수라서 (1) 0.3 소비의 증가로 (1) 0.3 나무가 예뻐서 (1) 0.3 인건비가 적게 들어서 (1) 0.3 예전부터 해왔던 품목이라서 (1) 0.3 양봉 목적으로 (1) 0.3 6차 산업 연계성 (1) 0.3 수종이 좋아서 (1) 0.3 기후에 잘 맞아서 (1) 0.3 장뇌삼 재배에 필요한 수종이라서 (1) 0.3 경험이 있어서 (1) 0.3 수출이 가능해서 (1) 0.3 정부 보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1) 0.3 목재 이용의 증가로 (1) 0.3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1) 0.3 병해충이 없어서 (1) 0.3 없다 (15) 5.0 모름/무응답 (3) 1.0

(계속)

(74)

5) 향후 산림경영 계획

○ 향후 산림경영 계획에 대해 질문한 결과, ‘현재 경영 규모의 유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72.0%), ‘경영 규모의 확대’가 19.0%, ‘경영 규모의 축소’가 8.0%,

‘산림경영의 포기’가 1.0%로 나타남.

<그림 2-46> 향후 산림경영 계획

문) 현재 산림경영을 앞으로 어떻게 하고자 합니까?

단위: %, n=300

(75)

5-1) 산림경영 확대 방안

○ 향후 산림경영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경우, 그 방안에 대하여

‘산림을 구입하여 산림면적을 확대한다’(68.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작업로 정비와 기계 도입으로 내실화한다’(19.3%)는 응답이 뒤를 이음.

<그림 2-47> 산림경영 확대 방안

문) 산림경영을 확대한다면 주로 어떻게 하실 생각입니까?

단위: %, n=57

(76)

5-2) 산림경영 유지 방안

○ 향후 산림경영 규모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경우, 그 방안에 대하여

‘채산성 범위에서 산림사업을 진행한다’(52.3%)는 방안을 지닌 응답자가

많았으며, 31.5%는 ‘작업로 정비와 기계 도입으로 내실화한다’고 응답함.

<그림 2-48> 산림경영 유지 방안

문) 산림경영을 유지한다면 주로 어떻게 하실 생각입니까?

단위: %, n=216

(77)

5-3) 산림경영 축소 방안

○ 산림경영 규모를 축소 또는 포기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 향후 계획에 대

하여 ‘산림을 매각하고 싶다’는 응답이 55.6%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임업

인에게 임대하고 싶다’(14.8%), ‘산림조합에 산림경영을 위탁하고 싶다’

(11.1%), ‘산림관리만 한다’(11.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2-49> 산림경영 축소 방안

문) 산림경영을 축소 또는 포기한다면 주로 어떻게 하실 생각입니까?

단위: %, n=27

(78)

6)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 산림경영의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으로 ‘산림작물 재배(산채, 약용식물)’

을 위해 ‘노력한다(매우 노력함+노력함)’라는 응답이 72.7%로 높게 나타남.

○ 그다음으로 ‘임도 확충’(54.0%), ‘기계장비 확보’(45.4%), ‘휴양·치유·관광

등 6차 산업화 추진’(37.4%) 등을 위해 ‘노력한다(매우 노력함+노력함)’라는

응답이 나타남.

<그림 2-50>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노력

문) 산림경영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귀하는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십니까?

단위: %, n=300

(79)

7)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각 정책의 중요도를 질문한 결과, ‘산림규제

완화’(93.3%), ‘임도 등 산림경영 인프라 확충’(92.0%)이 ‘중요하다(매우 중

요함+중요함)’라는 응답이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그다음으로 ‘자연재해 보상’(89.3%), ‘산림작업의 기계화 지원’(86.3%) 등의

순으로 ‘중요하다(매우 중요함+중요함)’라는 응답이 많음.

<그림 2-5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요도

문) 산림경영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 정책 사항은 얼마나 중요합니까?

단위: %, n=300

(80)

7-1)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

○ 산림경영의 수익성 증대를 위한 정책 중 가장 중요한 정책에 대해 물어본

결과, ‘산림규제 완화'(66.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임도 등 산림경

영 인프라 확충'(51.7%), ‘산림 탄소배출권 도입'(49.0%), ‘산림작업의 기계

화 지원'(31.3%) 등의 순으로 나타남(1+2+3순위 기준).

<그림 2-52> 산림경영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

문) 산림경영의 수익성을 위한 다음 정책들 중 어떤 정책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3개까지만 응답해주십시오.

단위: %, n=300

참조

관련 문서

• 고객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QCD를 제공.. • 양질의 QCD를 제공 하기

근육 수축을 위한 아데노신 삼인산 생산과 관련된 3가지 에너지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운동 동안의 순환계와 호흡계의 역할을

다음에서는 주로 경관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농어촌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 동향과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general public except professors and personnel managers has negative view on large enterprises and

¾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공사시방서.. 공사시방서 작성시 작성시 활용하기 활용 하기

재학생 인권실태 및 의식조사 설문 안내.. 접속방법 :

우리는 기대효용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선호체계만을 논의 대상으로 하기 로 한다...

이미지메이 킹은 어떻게 하면 타인에게 좋은 이미지를 전달하는가를 다루는 것 으로, 타인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이미지 향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