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응급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사용에 따른 신독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응급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사용에 따른 신독성"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응급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사용에 따른 신독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1

조영순・정태녕・손대곤

1

・김승호

Contrast Nephrotoxicity Associated

with Emergency CT scans

Young Soon Cho, M.D., Tae Nyoung Chung, M.D.,

Dae Kon Sohn, M.D.1, Seung Ho Kim, M.D.

P u r p o s e: In the last 30 years, there has been a markedly

increased use of iodinated contrast agents in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radiological procedures. Due to the

pos-sible side effect of nephrotoxicity of these radiocontrast

agent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nephrotoxicity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 patient groups at higher risk for

contrast nephrotoxicity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emergency computerized tomography.

M e t h o d 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572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trast computerized

tomog-raphy at the Emergency Center, Yonsei Medical Center,

from January to May 2002. We defined contrast

nephrotoxi-city as any increase in the creatinine value of more than 0.5

mg/dL (44

µ

mol/L) or 25% compared to the baseline value..

R e s u l t s: We found 21 patients (1.3%) who met the criterion

for contrast nephrotoxicity: 13 patients with normal renal

function, and 8 patients with a higher than normal creatinine

value before contrast-enhanced computerized tomography.

The incidence of contrast nephrotoxicity in the patient group

with normal renal function was 0.8% (13/1551), compared

to 38.1% (8/21) in the pre-existing renal insufficiency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n the amounts of dye

used and the frequencies of risk factors for contrast

nephro-toxicity between the patients in pre-existing renal

insufficien-cy group who developed nephrotoxicity and who did not.

The renal function of all patients returned to the baseline

value without dialysis or renal replacement therapy.

C o n c l u s i o n: Pre-existing renal insufficiency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contrast nephrotoxicity. We need to

take precautions and to have a proper protocol for the

pre-vention of contrast nephrotoxicity in emergency care.

Key Words: Contrast nephrotoxicity, Contrast media,

Renal failur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lsan, Korea1

방사선 촬영에서 조영제의 사용은 약 7 0년 전 O s b o r n e 등이 요로 촬영을 위해 사용한 이래 최근 3 0년 동안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급속히 늘고 있다1 ). 방사선 조영제의 사용량 과 빈도가 많아지면서 조영제에 의한 급성 신독성은 1 9 3 7년 Pendergrass 등이 처음 보고한 이래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의인성 급성 신부전의 원인중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2 ). 환 자의 고령화와 당뇨병 환자의 증가도 신독성의 발생률을 높 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저삼투질 비이 온성 조영제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급성 신독성의 발생빈도 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연구자들이 소속된 병원에서 도 전산화 단층촬영 시 Ultravist (iopromide), Iopamiro (iopamidol), Omnipaque (iohexol)같은 부작용이 상대적 으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저삼투질 비이온성 조영제를 사용하고 있다3 , 4 ). 그럼에도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은 발생하 고 있으며, 조사대상, 방법 또는 신독성의 진단기준에 따라 보고자마다 많은 차이가 있으며 국내 임상연구 자료도 부족 한 실정이다. 특히 응급진료에서 많이 시행되는 전산화단층 촬영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응급진료에서는 신속한 진료, 검사가 요구되는 상황이 많 은 반면 신장기능을 포함한 전신적 기능이 저하된 환자 내지 상태를 모르는 환자들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응급환자에서 조영제를 사용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했을 때 신독성의 발 생빈도를 알아보고 고위험 환자군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 였다.

157

책임저자: 김 승 호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번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Tel: 02) 361-5790, Fax: 02) 392-3715 E-mail: edksh@yumc.yonsei.ac.kr 접수일: 2003년 1월 11일, 게재승인일: 2003년 5월 10일

(2)

대상과 방법

2 0 0 2년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동안 연세의료원 응급의 료센터에 내원하여 조영제로 강조 ( e n h a n c e m e n t )한 전산 화단층촬영을 시행받은 1 , 5 7 2명의 환자 중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이 발생한 환자와 당시 혈청 크레아티닌 치가 정상보 다 높았던 환자들의 의무기록지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과거력, 현재병력, 약물, 촬영 전, 촬영 후 2 4시간, 48시간 및 7 2시간후의 혈청 크레아티 닌 치, 촬영의 종류, 조영제의 종류와 사용양 등을 조사하였 다.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의 진단기준은 방사선 조영제에 노 출된 후 2 4 ~ 7 2시간 이내에 혈청 크레아티닌이 기저값에서 0.5 mg/dL 이상 또는 25% 이상 상승한 경우로 하였다5 ). 혈청 크레아티닌의 검사 장비는 Synchron LX20 (Beckman Coulter)을 사용하였다. 통계는 Student t- t e s t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ample

Contrast

Pre-existing Renal Insufficiency Group N e p h r o t o x i c i t y Contrast Contrast

Group (N=21) Nephrotoxiciy (+) Nephrotoxicity (-) p- V a l u e ( N = 8 ) ( N = 1 3 ) Baseline Characteristics Age in years 6 3 . 4±1 6 . 4 5 8 . 8±1 5 . 4 6 5 . 3 8±8 . 3 5 Male: Female 13 : 8 5 : 3 1 1 : 2 Age > 60 yrs 15 (71%) 5 (63%) 11 (85%) N S Past History

Chronic renal failure 3 (14%) 2 (25%) 1 (8%) N S

D i a b e t e s 7 (33%) 4 (50%) 5 (38%) N S

H y p e r t e n s i o n 9 (42%) 2 (25%) 9 (69%) N S

Liver cirrhosis 3 (14%) 2 (25%) 3 (23%) N S

Congestive heart failure 0 (0%) 0 (0%) 2 (15%) N S

Coronary artery occulsive disease 0 (0%) 0 (0%) 1 (8%) N S

M e d i c a t i o n s

ACE inhibitors 0 (0%) 0 (0%) 3 (23%)

Calcium channel blockers 3 (14%) 2 (25%) 4 (31%)

D i u r e t i c s 4 (19%) 2 (25%) 4 (31%)

B e t a - b l o c k e r s 5 (24%) 1 (13%) 2 (15%)

I n s u l i n 2 (10%) 2 (25%) 2 (15%)

Oral hypoglycemics 1 (5%) 0 (0%) 2 (15%)

N S A I D S 3 (14%) 1 (13%) 0 (0%)

Baseline Lab Measures

Creatinine (mg/dl) 1 . 4 5±0 . 6 9 2 . 0 3±0 . 8 2 2 . 2 9±0 . 7 9 N S BUN (mg/dl) 1 3 5 . 5 8±5 . 2 3 5 . 6 8±2 0 . 3 0 4 0 . 9 6±2 6 . 2 7 N S BUN/Cr ratio 1 7 . 6 4±8 . 4 8 1 9 . 4 4±1 1 . 6 6 1 7 . 8 2±9 . 2 4 N S Estimated CrCl (ml/min) 4 6 . 4 4±2 4 . 3 8 3 5 . 4 5±1 4 . 7 1 2 9 . 1 5±1 2 . 5 1 N S Glucose (mg/dL) 1 8 6 . 2 8±1 1 8 . 7 8 1 9 6 . 5±9 5 . 1 3 2 1 3 . 3 8±2 7 6 . 8 1 N S Hemoglobin (g/dL) 1 0 . 7 8±2.21 1 0 . 2 6±2 . 5 3 1 0 . 9 6±2 . 5 3 N S Hematocrit (%) 3 1 . 7 8±5 . 8 6 3 0 . 1 4±6 . 0 1 3 2 . 6 8±8 . 5 6 N S

Urine specificity gravity 1 . 0 2 0±0 . 0 0 6 1 . 0 1 9±0 . 0 0 8 1 . 0 1 8±0 . 0 0 4 N S Creatinine Follow Up

After 24h 2 . 0 5±0 . 8 9 2 . 5 8±0 . 9 5 2 . 0 1±0 . 7 5

After 48h 2 . 0 1±0 . 8 0 2 . 2 4±0 . 6 3 1 . 9 2±0 . 8 1

After 72h 1 . 8 5±0 . 7 9 2 . 2±1 . 2 2 . 0 4±0 . 8 9

After 96h 1 . 6 7±0 . 7 8 1 . 9±1 . 0 1 1 . 8 7±0 . 6 3

Volume of Contrast Agent (cc) 1 2 8 . 5 7±2 5 . 3 5 1 2 5 . 0 0±2 6 . 7 3 1 1 2 . 3 0±2 8 . 3 2 N S Clinical Outcome

Good prognosis 2 1 8 1 3

Dialysis 0 0 0

(3)

및 F i s h e 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p값 0.05 미만을 의미 있게 해석하였다.

1. 조영제에 의한신독성발생환자

조영제로 강조한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환자 1 , 5 7 2명 중 2 1명 ( 1 . 3 % )에서 신독성이 발생하였다. 이 중 1 3명은 촬영 전 정상 신기능 상태이었고 8명은 정상치보다 높은 혈청 크레아티닌 치를 보였었다. 환자 2 1명의 평균연령은 6 3세로, 이중 남자 1 3명은 평균 5 8세 ( 2 9 ~ 8 5세), 여자 8명은 평균 7 2세 ( 6 3 ~ 8 1세)이었 다. 신독성 발생의 위험인자 중 6 0세 이상은 1 5명 ( 7 1 % ) , 당뇨병은 7명 (33%), 고혈압은 9명 (42%), 간경변증은 3 명 ( 1 4 % )이었다 (Table 1). 촬영부위는 두부 6례, 흉부 3 례, 복부 9례, 대동맥 3례 이었다. 전산화 단층촬영의 대상이 된 질환은 신경계 질환 3명, 심혈관계 질환 3명, 호흡기계 5 명, 소화기계 질환 6명, 비뇨기계 질환 1명, 악성종양 1명과 기타질환 2명이었다. 21명 모두 투석 내지 신대체요법 없이 회복되는 경과를 보였다.

2.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dL 이상으로 조영제 촬

영을 시행한 환자군

2 1명 중 8명 ( 3 8 . 1 % )에서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이 발생 하여 조영제에 노출 전 정상 신기능을 보였던 환자들 보다 4 7 . 6배 높은 빈도를 보였다.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 발생의 위험인자들, 사용전 신장기 능, 조영제 사용량은 발생군과 미발생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Table 1).

3. 신독성발현 시 혈청 크레아티닌 치의변화.

방사선 조영제에 노출 후 신독성은 2 4시간에 1 0명 (47.6%), 48시간에 1 7명 (80.9%), 72시간까지 2 1명 ( 1 0 0 % )에서 발생하였다. 혈청 크레아티닌 치의 최고값은 2 4시간 후에 8명 (38.1%), 48시간 후에 6명 (28.6%), 72 시간 후에 4명 (19.0%), 96시간 후에 3명 ( 1 4 . 3 % )에서 관 찰되었다. 96시간 이후 혈청 크레아티닌 치가 최고에 달한 3 명도 5 ~ 7일 사이에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Fig. 1).

조영제 사용에 따른 급성 신부전의 발생빈도는 대상환자 군, 조사방법, 위험인자 유무 및 신손상의 정의에 따라 연구 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 % ~ 6 %의 발생률을 보이고 고위험군에서는 4 0 % ~ 5 0 %까지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 7 ) . 198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저삼투질 비이 온성 조영제로 인해 신독성의 빈도가 감소하였다는 보고도 있지만 종전의 조영제와 큰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3 , 8 - 1 0 ). 본 연구에서 신독성의 판정기준을 널리 쓰이는 혈청 크레아 티닌 치가 조영술 전에 비해 25% 또는 0.5 mg/dL 증가한 것을 기준으로 했을 때 신독성의 발생빈도는 1 . 3 %로 현재까 지 알려진 조영제에 의한 신부전의 발생빈도와 큰 차이가 없 었다. 조영제로 인한 신손상의 발생기전은 혈역학적 변화, 미세 순환의 변화, 뇨단백이나 요산 결정에 의한 요관 폐쇄, 면역 반응 외에 조영제에 의한 근위 세뇨관 상피세포의 직접적인 독성 작용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하지 않다. 병리학 적으로는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공포형성, 괴사, 염증세포 의 침윤과 부종, 신간질 혈관의 충혈 등이 관찰되고 있다1 1 ). 방사선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은 환자가 얼마나 많은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위험인자로는 신부전증, 체액결핍, 당뇨병,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단백뇨, 다발성 골수종 및 간 기능이상,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사용되는 방사선 조영제의 양, 72시간 내에 여러 번 방사선 조영제의 사용 등이 있다1 2 , 1 3 ). 이중 기존의 신부전은 가장 중요하고 명확한 위험 인자로 Davidson 등1 4 )의 1 , 1 4 4명의 심혈관 촬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에서 신독성의 위험은 혈청 크레아티닌 값 Fig. 1. The change of serum creatinine level after

(4)

이 1.2 mg/dL가 넘으면 증가하기 시작하여 크레아티닌 값 의 증가와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신독성은 혈청 크레아티닌 값이 2.0 mg/dL인 경우 약 2 0 %에서 발생하며, 신부전증이 없는 경우 10% 이하에서 발생한다 하였다9 , 1 4 ). 본 연구 결과 에서도 조영제에 노출되기 전 혈청 크레아티닌이 1 . 5 mg/dL 이상인 환자에서의 급성 신독성의 발생빈도는 3 8 . 1 %로 그렇지 않았던 환자의 발생빈도 0 . 8 %와 큰 차이 를 보였다.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은 대개 비핍뇨성 (nonoliguric) 신 부전증이며 가역적이다. 소변 검사에서 세포 성분은 없이 과 립원주와 약간의 단백뇨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정상 소견인 경우도 있다. 대개 혈청 크레아티닌 값이 증가하는 시간은 방사선 조영제에 노출된 후 2 4시간에 60% 환자에서, 72시 간에 90% 이상 환자에서 증가되며, 4~5일에 혈청 크레아 티닌 값이 최고에 달하고, 7~10일 이상 지나서 정상치로 회 복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방사선 조영 제에 노출되고 2 4시간 후 신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1 0명 (47.6%), 48시간 후는 1 7명 (80.9%), 72시간 후는 2 1명 ( 1 0 0 % )이었다. 조영제에 의한 급성 신독성은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기에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도 임 상의사가 유념할 부분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응급으로 촬영이 필요한 경우가 아 니라면 조영제 사용이 필요한 환자들, 특히 당뇨나 다른 위 험요인이 있는 환자에게서 혈청 크레아티닌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신독성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서는 조영제의 사용 을 피할 수 있는 다른 촬영방법을 고려하든지 조영제를 사용 해야만 할 경우 최소량을 사용하고, 여러 번의 조영제 투여 가 필요한 경우 처음 사용한 조영제에 의한 신기능 이상이 회복될 때까지 기다린 후 시도해야 한다. 셋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 (NSAID), dipyri-d a m o l e과 m e t f o r m i n은 조영제 사용 4 8 ~ 7 2시간 전에 중 단한다. 넷째,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ACE inhibitor)는 조 영제 사용 2 4시간 전에 중단한다. 다섯째, 조영제에 의한 신부전증을 예방하는 표준방법인 조영제 투여 전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이 있다. 중간위 험군은 0.45% 생리식염수를 조영제 사용 4시간 전부터 1.0~1.5 mL/kg/hr의 속도로 투여하고 이것을 조영제 사 용 후 8 ~ 1 2시간 동안 지속하며, 고위험군은 0.45% 생리식 염수를 조영제사용 1 2시간 전부터 1.0~1.5 mL/kg/hr의 속도로 투여하고 이것을 조영제 사용 후 1 2 ~ 2 4시간 동안 지속한다1 3 ). 여섯째, 가능하면 저삼투질 비이온성 조영제를 사용해야 한다. Rudnick 등1 5 )의 1 , 1 9 6명의 환자 ( 1 9 2명은 이미 신부 전증이 있는 환자)대상의 전향적 연구에서 신기능이 정상인 (혈청 크레아티닌 1.5 mg/dL 미만) 환자는 당뇨 및 비당뇨 환자 모두에서 오스몰농도 ( o s m o l a l i t y )가 낮은 조영제의 장 점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dL 이상인 환자에서 오스몰농도가 낮은 조영제를 사용한 경우 신부전증 발생률이 3 6 %에서 2 1 %로 현저히 감소되었다는 보고와 오스몰농도가 낮은 조영제는 신부전증이 있는 당뇨 및 비당뇨 환자 모두에서 조영제에 의한 신부전증의 발생률 을 약 50% 감소시킨다는 보고에서 뒷받침된다1 6 ). 일곱째, 가능하면 사용되는 조영제의 양을 줄이도록 한다. Cigarroa 등1 7 )이 최근에 발표한 전향적 연구에서는 최초의 혈청 크레아티닌이 1.8 mg/dL 이상인 환자를 두 군으로 나 누어 한 군에서는 조영제의 양에 제한을 두지 않았고 다른 한 군에서는 몸무게 K g당 5 mL의 조영제/혈청 크레아티닌 ( m g / d L )의 공식에 의거하여 조영제를 투여하였으며 그 결 과 제한을 두지 않은 군에서는 2 6 %의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 였으나 공식에 의거하여 조영제를 투여한 군에서는 2 %에서 만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였다. 여덟째, 응급실에서 신기능 저하가 있는 환자의 신독성 예 방을 위해 N-acetylcysteine, fenoldopam, atrial natri-uretic peptide 등을 투여해 볼 수 있다. Briguori 등1 8 )은 최 근 연구에서 예방적으로 N - a c e t y l c y s t e i n e을 투여하는 것이 수액공급 단독요법보다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dopamine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효현제 ( s e l e c t i v e dopamine receptor agonist)인 f e n o l d o p a m은 d o p a m i n e 과는 달리 DA-2 또는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작용하지 않고 D A - 1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신장 소동맥 확장 작용을 하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감소시키고 신장 혈류량을 증 가시킴으로서 사구체 여과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f e n o l d o p a m은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1 9 ). Kini 등2 0 ) 1 5 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f e n o l d o p a m은 특히 당뇨가 있는 환자에서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 예방에 효과적 으로 쓰일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이 신독성 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와 효과가 없다는 보고가 공존 하므로 이들의 역할을 충분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좀더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현재 대부분의 응급진료센터에서는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위해 전산화단층촬영을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그 종류 와 양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 갖고 있는 신부전이 조 영제와 관련한 신독성 발생의 가장 중요하고 명확한 위험인 자이므로 대개의 경우 사전에 혈청 크레아티닌 치를 확인하 고 있지만 조영제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응급의학과 의사의 몫이다. 현재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조영제에 의한 부 작용의 가능성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은 후 조영제를 투여 하고 있는 바 본 연구결과는 조영제 사용에 따른 신독성의 발생위험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행하게도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이 발

(5)

생하더라도 혈액투석을 포함한 신대체요법이 필요했던 경우 가 없었기에 응급진료에서 조영제를 사용한 전산화단층촬영 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비록 위험인자가 있더라도 또 는 혈청 크레아티닌치에 제한 받지 않고 전산화단층촬영을 진행하여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응급진료 시 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조영제 사용 에 따른 신독성의 위험도도 증가하고 있다. 5개월간 신독성 의 발생빈도는 1 . 3 %이나 혈청 크레아티닌치 1.5 mg/dL 이 상의 환자군에서는 3 8 . 1 %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조영 증강 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해야 할 때는 예방을 위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함으로서 신독성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노력 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01. Murphy SW, Barrettd BJ, Parfrey PS. Contrast

Nephropathy. J Am Soc Nephrol 2000;11:177-82. 02. Hoh SH, Bushinsky DA, Wish JB, Cohen JJ, Harrington

JT. Hospital-acquired renal insufficiency: A prospective study. Am J Med 1983;74:243-8.

03. Cavaliere G, Arrigo G, D ’Amico G, Bernasconi P,

Schiavina G. Tubular nephrotoxicity after intravenous urography with ionic high osmolal and non-ionic low osmolal contrast media in patient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Nephron 1987;46:128-35.

04. 이기재, 김승협, 박재형, 장기현, 한만청, 김주란.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적 비교연구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8;124:349-56.

05. Morcos SK, Thomsen HS. Contrast-media-induced

nephrotoxicity: a consensus report. Eur Radiol 1999;9: 1602-13.

06. Lautin EM, Freeman NJ, Schoenfeld AH, Bakal CW,

Haramati N, Frideman, et al. Radiocontrast-associate renal dysfunction: incidence and risk factor. Am J Roentgenol 1991;157:49-58.

07. Weisberg LS, Kurnik PB, Kurnik BRC. Risk of radiocon-trast nephropathy in patient with and without diabetes mel-litus. Kidney Int 1994;45:259-65.

08. Alberchtasson U, Hultberg B, Larusdottid H.

Nephrotoxicity of ionic and non-ionic contrast media in aorta-femoral angiography. Acta Radiol 1985;25:615-22.

09. Schwab SJ, Hlatky MA, Pieper KS, Davidson CJ, Morris KG, Skelton TN, et al. Contrast nephrotoxic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non-ionic and an ionic radi-ographic contrast agent. N Engl J Med 1989;320:149-55. 10. Parfrey PS, Griffiths SM, Barrett BJ, Paul MD, Genge M,

Withers J, et al. Contrast material induced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renal insufficiency or both. N Engl J Med 1989;320:143-50.

11. Hartmann HG, Brasedl HE, Jutzler GA. Detection of renal tubular lesion after abdominal aortography and selective renal arteriography by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brush-border enzymes in urine. Nephron 1985;39:95-102. 12. Barret BJ. Contrast nephrotoxicity. J Am Soc Nephrol

1994;5:125-37.

13. Mary MW, Peter NW. Contrat media-induced nephrotoxi-city: identification of patients at risk and algorithms for prevention. J Vasc Interv Radiol 2001;12:3-9.

14. Davidson CJ, Hlatky M, Morris KG, Pieper K, Skelton TN, Schwab SJ, et al. Cardiovascular and renal toxicity of a nonionic radiographic contrast agent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A prospective trial. Ann Intern Med 1989;110:119-24.

15. Rudnick MR, Goldfarb S, Wexler L, Ludbrook PA, Murphy MJ, Halpern EF, et al. Nephrotoxicity of inonic and nonionic contrast media in 1196 patients: a random-ized trial. Kidney Int 1995;47:254-61.

16. Barrett BJ, Carlisle EJ. Meta analysis of the relative nephrotoxicity of high- and low-osmolality iodinated con-trast media. Radiology 1993;188:171-8.

17. Cigarroa RG, Lange RA, Williams RH, Hillis LD. Dosing of contrast material to prevent contrast nephropathy in patients with renal disease. Am J Med 1989;86:649-52. 18. Briguori C, Managanelli F, Scarpato P, Elia PP, Golia B,

Riviezzo G, et al. Acetylcysteine and contrast agent-asso-ciated nephrotoxicity. J Am Coll Cardiol 2002;40:298-303.

19. Barkis GL, Lass NA, Glock D. Renal hemodynamics in radiocontrast medium-induced renal dysfunction: a role for dopamine-1 receptors. Kidney Int 1999;56:206-10. 20. Kini AS, Mitre CA, Kim M, Kamran M, Reich D, Sharma

SK. A protocol for prevention of radiographic contrast nephropathy dur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effect of selective dopamine receptor agonist fenoldopam. Catheterization and Cardiovascular Interventions 2002;55:169-73.

참조

관련 문서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symptoms in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 group

Changes i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in the group of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01), and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In the region of Auerbach’s plexus (AP) of small intestine, the staining intensity of the ICC-IR cells was reduced in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Results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 precocius puberty patient(17 overweight/obese group, 21 normal weight group),14 control group weight, Height, BMI, Wai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roblems of eating habits, but the obesity group considered overeating as a problem while the normal

The change in active oxygen was decreased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