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목. 차. 1. 국가 개황 ······························································································· 1. 2. 경제 현황 ······························································································· 8. 3. 농업 현황 ····························································································· 13 3.1. 생산 및 무역 동향 ····································································· 13 3.2. 식량안보 동향 ············································································· 19 3.3. 네팔의 농업개발정책 및 전략 ·················································· 24. 4. 농업분야 주요 도전과제 ···································································· 31 4.1. 낮은 농업 생산성 ······································································· 31 4.2. 미흡한 농산물 유통 체계 ·························································· 37 4.3. 높은 농식품 수입 의존도 ·························································· 42. 5. 시사점 ·································································································· 46. 참고 문헌 ································································································· 51. i.

(4) 표 차 례 표 1. 네팔 지형 ················································································ 2 표 2. 토지 이용 현황 ······································································· 3 표 3. 네팔 전력의 주요 공급경로(2015~2016년) ·························· 5 표 4. 네팔 전력 현황 ······································································· 5 표 5. 네팔 주요 경제지표 ······························································· 8 표 6. 네팔의 주요 산업 ··································································· 9 표 7. 네팔 해외송금 유입액 추이(2011~2015년) ························ 10 표 8. 네팔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2010~2014년) ························ 16 표 9. 주요 가축 사육 현황(2013년) ············································· 17 표 10. 농산물 수출입 현황(2013년) ··············································· 18 표 11. 2016년 네팔 세계기아지수의 세부 지표 현황 ·················· 19 표 12. 네팔의 지대별 식량안보 현황(2013~2014년) ···················· 20 표 13. 주변국과의 영양결핍 지표 비교 ········································· 22 표 14. 주변국과의 식량부족 지표 비교 ········································· 22 표 15. 주변국과의 5세 이하 아동 영양 지표의 비교 ·················· 23 표 16. 네팔 농업개발전략 핵심 지표별 목표치 ··························· 25 표 17. ZHC 액션플랜 이행전략 ····················································· 28 표 18. 농업현대화사업 보조금 예시 ·············································· 29 표 19. 농업현대화사업의 품목별 자급자족 달성 기한 ················ 30 표 20. 네팔의 농지 지표 동향 ························································ 31 표 21. 네팔의 농업 분야 생산성(2010년) ····································· 32. ii.

(5) 표 22. 네팔 2개 지역(Banke, Kapilvastu) 콜리플라워와 토마토의 수확 후 손실 현황(2014~2015년) ······································· 40 표 23. 유통 단계별 수확 후 손실 발생 비율 ······························· 41 표 24. 수확 후 손실 원인 조사 결과 ············································ 41 표 25. 농산물 수출 부진 원인 ························································ 44 표 26. 네팔 국가개발협력전략(2013~2015) 농업 분야 실행계획 ·· 47 표 27. 농어업 분야 한국형 ODA 모델 중 ‘농업역량 강화’ 및 ‘농촌지역 종합개발’ 관련 프로그램 ·································· 48. iii.

(6) 그림 차 례 그림 1. 네팔 지도 ············································································· 1 그림 2. 토지 이용 현황 ··································································· 2 그림 3. 농촌-도시 인구 비율(2015년) ············································ 3 그림 4. 파슈파티나트 사원의 모습 ················································ 7 그림 5. 네팔의 무역 현황(2005~2014년) ····································· 11 그림 6. 네팔 GDP 중 농업 비중 ·················································· 13 그림 7. 네팔의 농업 GDP 동향 ··················································· 14 그림 8. 지형별 네팔 농업 현황 ···················································· 15 그림 9. 네팔 농업 GDP의 구조 ··················································· 15 그림 10. 네팔 식량안보 현황 ·························································· 21 그림 11. 네팔 제로헝거 챌린지 액션플랜 우선지원 분야 ·········· 28 그림 12. 네팔의 농번기 평균 강수량의 변화 ······························· 33 그림 13. 네팔의 농번기 평균 기온의 변화 ··································· 33 그림 14. 네팔의 식량 공급 현황 ···················································· 34 그림 15. 카트만두 깔리마띠 청과물 도매시장의 모습 ··················39 그림 16. 농식품 순수입 현황 ·························································· 42 그림 17. WTO/SAFT 가입 전후 무역수지의 비교 ······················ 43.

(7) 1. 국가 개황 그림 1. 네팔 지도. 자료:. Worldatlas(2016.07.05.).. ○ 네팔은 지리적으로 남아시아에 속하며 인도 북부 및 중국 서남부 지역 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전체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약 2/3 크기인 147,181㎢이며, 형태는 길이 650㎞와 너비 200㎞의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약 8,000m 높이의 산이 늘어선 고산지대가 즐비하여 세계 의 지붕이라고 칭해진다.. ○ 네팔의 지형은 크게 산악지대(35%), 구릉지대(42%), 테라이(terrai)라 고 불리는 평원지대(23%)로 구성된다<표 1>. 평원지대는 열대성 기후 를 보이며 구릉지대는 아열대 및 온대성 기후를 보인다. 산악지대의.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1.

(8) 경우 밤낮의 기온차가 심한 한대 기후이다. 우기는 5월부터 10월까지 로 평원지대에는 비가, 히말라야 산봉우리에는 눈이 내린다. 10월 중 순부터 12월 중순까지는 8~22℃로 등산에 가장 적합한 트래킹 시즌으 로 분류된다. 여름은 3월부터 5월까지로 한낮에는 기온이 28℃까지 오 르지만 아침과 저녁의 기온은 약 15℃로 큰 일교차를 보인다. 표 1. 네팔 지형 구분. 고도. 비율. 산악지대(Mountain). 해발 4,000~8,848m. 35%. 구릉지대(Mid Hills). 해발 700~4,000m. 42%. 평원지대(Terai). 해발 70~700m. 23%. 자료: Ghimire(2016) 재구성.. ○ 토지 이용도를 살펴보면 국토의 39%가 삼림이며 21%가 경작지로 활 용되고 있다. 이 밖에 경작가능토지(비경작지)(7%), 목초지(12%), 수 자원(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2. 토지 이용 현황. 자료: NARC(2016).. 2. 해외농업시리즈 18.

(9) 표 2. 토지 이용 현황(면적) 분류. 면적(ha). 경작지. 3,091,000. 비경작지. 1,030,000. 삼림. 5,828,000. 목초지. 1,766,000. 수자원. 383,000. 기타. 2,620,000. 자료: Ghimire(2016).. ○ 네팔의 인구(2015년 기준)는 2,840만 명으로 이 중 약 81%인 2,315만 명이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약 19%에 해당하는 529만 명이 수도인 카트만두 등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그림 3. 농촌-도시 인구 비율(2015년). 자료:. FAOSTAT(2016)..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3.

(10) ○ 네팔은 대표적인 취약국1)이자 최빈국2) 중 하나이며, 삶의 질을 반영 하는 인간개발지수(HDI)는 189개국 중 145위(0.548)를 기록했다 (UNDP 2015). 네팔의 성인 문해율은 약 60%(’10) 수준이며, 초등학교 순취학률은 약 94.5%이나 중퇴 및 유급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관계 부처합동 2013).3) 보건·의료 측면에서 모자보건 및 예방접종 지표는 개선 추세에 있으나, 5세 이하 아동 중 41%가 발육부진, 29%가 체중 미달로 아동 영양부족 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UNICEF 2013).. ○ 그 밖에, 도로 연결망이 상당이 열악하며 불안정한 전력 공급 및 제한 된 접근성은 경제 성장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3). 열악한 도로 연결망은 식량안보 상황이 특히 우려할 만한 수준 에 있는 산악지대의 식료 값 상승의 주범이 되고 있다(WFP 2010). 전 력의 경우 인구의 76.3%가 전기를 공급받고 있으나 정전이 하루에도 여러 번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시 위주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어 농촌 지역의 전기 보급률은 약 8%에 불과하다.. 1) 2016년 기준, 네팔의 취약국가지수(fragile states index)는 91.2로 33위에 해당된다.. 안전이 가장 취약한 국가인 소말리아의 취약국가지수는 114.0 (1위)이며, 가장 안전한 국가로 나타난 핀란드는 18.8(178위)이다(Messner 2016). 2) 전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를 지칭하는 것으로 소득, 인적자원, 경제취약성을 기준으로 유엔 총회에서 3년마다 지정한다. 2016년 기준, 최빈국에는 네팔을 포함한 48개국이 해당된다(UNCDP 2016). 3) 네팔의 초등교육은 5년으로 1975년부터 무상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초등학교 1학년생 10명 중 7명만이 5학년에 진학하며, 이 중 50% 정도만이 중등교육과정(lower secondary)에 등록하는 상황이다(UNESCO 2016).. 4. 해외농업시리즈 18.

(11) ○ 네팔 전력청(NEA)은 수력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며, 부족한 전기 는 인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표 3>. 히말라야로부터 얻는 풍부한 수 량 덕분에 내륙 수자원이 매우 풍부한 편이지만 전력 수요의 증가, 겨 울철 가뭄, 부족한 발전소, 높은 전력손실률 등으로 인해 지역별로 하 루 평균 6~8시간의 계획정전을 실시한다. 2016년 2월 기준 일일 정전 시간은 13시간으로, 네팔 정부는 8년 만에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 고, 향후 50%의 전력을 인도로부터 수입할 계획을 표명하였다 (Economic Times India 2016). 표 3. 네팔 전력의 주요 공급경로(2015~2016년) 출처. 비율. 전력청 자체 생산. 43%. 인도. 23%. 민자발전사업자. 34%. 자료: NEA(2015).. 표 4. 네팔 전력 현황 출처. 전력량. 수요(성수기). 1,400MW. 공급(성수기). 850MW. 수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량. 300MW. 자료: Economic Times India(2016).. ○ 네팔의 취약성은 불안정한 정치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오늘날의 네팔 국경선을 확립한 프리트비 나라얀 샤(재위: 1768~1775년) 시대부.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5.

(12) 터 2008년 왕정이 폐지되기까지 비효율적인 통치, 국왕과 귀족 또는 의회 간의 권력다툼, 왕족 간의 알력다툼, 정부와 마오주의자들 간의 인민전쟁 등으로 정치 불안이 계속되어 왔다. 왕정 기간은 물론 왕정 폐지 이후에도 소수의 상위 계급과 종족들이 네팔 정치를 주도하고 있 으며, 2008년 이후에도 잦은 총리 교체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과 고질 적인 부정부패4)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국가 제도의 밑 바탕이 될 신헌법이 2015년 9월에 공표되었으나 연방 분할과 관련하 여 거센 반대 무력시위가 발생하는 등 정치적 안정이 이루어지지 못하 고 있다.. ○ 정치적 불안 외에도 대규모 자연재해와 카스트 제도의 잔재 등도 네팔 의 발전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네팔은 1980년대 이후에만 강도 6.5 이상의 대지진이 6차례 발생한 바 있다. 2015년 4월과 5월에 발생한 대지진에 대한 복구는 열악한 인프라, 부정부패 등으로 인해 여전히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 네팔의 카스트 제도는 1962년에 폐지되었으나 카스트와 계급의식은 여전히 네팔 문화를 지배하고 있다. 한 예로, 힌두인들이 자신의 장례 식을 치루고 싶어 하는 가장 신성한 성지 중 한 곳인 카트만두의 파슈 파티나트 사원은 카스트 제도에 따른 사회적 지위에 따라 강의 상류와 하류로 화장터가 구분된다. 빈곤 감소 측면에서 네팔은 지난 20여 년 4)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의 2015년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에서 네팔은 167개국 중 130위로 27점(백점 만점)을 기록했다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6).. 6. 해외농업시리즈 18.

(13) 간 많은 진척이 있었으나, 여전히 잔존하는 신분제는 사회계층 및 소 득수준, 지역, 성별 간 개발격차를 야기하고 있다.. 그림 4. 파슈파티나트 사원의 모습. 주: 현지 출장 시 촬영(2016.04.07.). 사진에 보이는 교량을 기준으로 부유층의 ‘상류’와 가난한 사람들의 ‘하류’로 구분된다..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7.

(14) 2. 경제 현황 ○ 2015년 네팔의 GDP는 미화 214억 달러였으며, 1인당 GDP는 미화 751달러로 2016년 현재 최빈국 48개국 중 31위에 해당한다. 주요 경제 지표는 <표 5>과 같다.. 표 5. 네팔 주요 경제지표 2012. 2013. 2014. 2015. 억 달러. 189. 193. 198. 214. 1인당 GDP. 달러. 686. 693. 703. 751. 경제성장률. %. 4.8. 4.1. 5.4. 3.4. %. -0.6. 2.1. 2.2. 1.4. %. 8.3. 9.9. 9.0. 7.2. 경제지표. 단위. GDP. 재정수지 /GDP 소비자물가 상승률. 자료: 한국수출입은행(2016); WBOD(2016).. ○ 경제성장률을 살펴보면 2012년 4.8%, 2014년 5.4% 등 경제성장세가 지속되었으나 2015년 4월 25일 대지진 이후 경제성장률이 3%대로 대 폭 하락하였다. 또한, 신헌법에 대한 반정부 세력의 저항, 기후 등으로 인해 지진 후 재건사업이 지연되고 무역 및 소송 등의 어려움이 계속 됨에 따라 2016년 경제성장률은 1.5% 수준으로 전망된다(ADB 2016; WBOD 2016).. 8. 해외농업시리즈 18.

(15) ○ 2015년 대지진으로 인해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서비스산업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으며, 같은 해 거센 폭풍우로 인해 농업 성장세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지진 후 복구가 시급한 상황이나 정치적 인 견해 차이로 인해 국가재건당국의 설립이 지연되면서 복구가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2015년 네팔 재무부 장관은 지진 복구에 수년 간 100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는 200억 달러 규모인 네팔 GDP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이다(Bloomberg 2015). ○ 네팔의 주요 산업은 서비스업과 농업이며 2014/15년 기준 각각 GDP 의 46.5%와 33.1%를 차지하고 있다<표 6>. 서비스 분야의 성장을 주 도하는 것은 관광산업으로 이는 전체 GDP 대비 약 10% 수준이다. 반 면 제조업은 전체 GDP의 약 15%로 비교적 낮은 수준인데, 이는 열악 한 사회간접자본, 정치 불안, 협소한 국내소비시장 및 지리적 제약 등 에 기인한다(관계부처합동 2013). 표 6. 네팔의 주요 산업 부문. GDP 비중. 농업. 33.1%. 임업. 1.0%. 서비스업. 46.5%. 기타 산업. 20.4%. 자료: Ghimire(2016).. ○ 지난해 대지진으로 인하여 서비스산업의 경우 도소매업, 운송, 통신, 관광 등이 공급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농업의 경우 올해 쌀 과 옥수수 수확량이 각각 10%, 5%씩 하락할 것으로 관측되는 등 전반.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9.

(16) 적인 농업 성장률이 0.5%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연 료와 제조업 및 건설업 관련 원자재가 부족하여 전반적인 산업 침체가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ADB 2016).. ○ 주요 산업 외에도 해외로부터의 송금 규모가 2011~2015년 기간 평균 GDP의 29.2%로 큰 부분을 차지하며(<표 7> 참조), ODA 자금은 GDP 의 4.4% 수준이다. 표 7. 네팔 해외송금 유입액 추이(2011~2015년) 단위: 백만 달러(USD).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유입액. 4,217. 4,793. 5,589. 5,770. 6,976. 자료: WBOD(2016). *: 추정치. ○ 네팔의 가장 큰 교역 대상국은 인도이다. 네팔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인도, 미국, 중국, 독일 등이며 주요 수입 대상국은 인도, 중국, 아랍에 미리트 등이다. 주요 수출품으로는 수제 카페트, 인조섬유, 향미워터 (flavored water), 압연된 대철 등이며 정제된 석유, 석유 가스, 가공된 철, 쌀 등을 수입한다. 인도와의 교역(2014년 기준)은 네팔 전체 수출 물량의 62%와 수입 물량의 46.6%를 차지한다. 2014년 기준 네팔 무역 중 수입이 약 10억 달러, 수출이 약 77억 달러로 무역수지 적자는 약 67억 달러 규모였다(OEC 2016).. 10. 해외농업시리즈 18.

(17) 그림 5. 네팔의 무역 현황(2005~2014년) 단위: 십억 달러(USD). 자료: OEC(2016).. ○ 네팔은 지형적 위치, 민족, 사회적 계층에 따른 빈곤의 차이가 크게 나 타나는데, 전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25.2%가 빈곤선 이하 절대빈곤계 층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국민의 30% 이상이 1인 기준 매월 미화 14 달러 미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지형적 위치를 반영한 빈곤율의 경우 산악지대 40%, 농촌지역 27%, 도시지역 15% 수준이다. 특히 카 스트 제도 최하 계급에 해당되는 달리트 계층의 빈곤율은 전체 인구의 평균 빈곤율에 비해 현저히 높은 실정이다.. ○ 1996년 42%에 달했던 네팔의 빈곤율은 2013년 24.8%로 꾸준히 하락 하고 있다. 그러나, 2015년 대지진으로 인해 100만여 명이 빈곤선 이 하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또한 빈곤율이 2.5~3.5%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대지진으로 인해 최근 빈곤 상황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Times of India 2015). 지난해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네팔 국.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11.

(18) 민은 약 8백만 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30%에 달하는 수치이다 (MoAD 2016a: 4).. ○ 네팔의 빈곤은 낮은 농업생산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네팔 전체 노 동인구의 약 8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나 소규모 농지, 최신 기술 및 투입요소에 대한 접근성 문제, 높은 문맹률 등으로 인해 농업생산성 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 외에도 낮은 수준의 보건 서비스, 교육에 대 한 낮은 공공지출, 도로와 같은 기초 인프라 시설의 부족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개발 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며, 개발을 위한 다양한 노력 은 교통시설이 미비한 산악지대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2. 해외농업시리즈 18.

(19) 3. 농업 현황 3.1. 생산 및 무역 동향 ○ 전체 GDP 중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 나(<그림 6> 참조) 농업은 여전히 네팔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국민의 65%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네팔 총 가계소득 의 49%가 농업으로부터 창출된다. 네팔 전체 개간지는 총 3,091,000ha로 이는 전체 영토의 21%에 해당된다.. 그림 6. 네팔 GDP 중 농업 비중 단위: %. 자료: Karki(2015).. ○ 1995년부터의 자료를 살펴보면 네팔 농업 GDP는 <그림 7>과 같이 평 균 3%대로 다소 더딘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농업 산업 이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주변국들과는 대조적으로 네팔의 농업은.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13.

(20) 아직도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네팔 정부는 농업 분야 와 비농업 분야 간 연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전반적 농업 분야 정체 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MoAD 2015).. ○ <그림 7>은 연도별 농업분야 성장세가 큰 폭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 여준다. 이는 불안정한 기후와 농업 분야의 저개발에 기인한다. 성장 세 증대와 더불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농업생산 기반을 확보하는 것 이 요구된다.. 그림 7. 네팔의 농업 GDP 동향. 자료: MoAD(2015).. ○ 네팔에서는 고도에 따라 다양한 농작물이 생산된다. 고산지대에서는 방목과 보리, 메밀, 감자 등의 생산이 주를 이루며, 중간고도의 산악지 대에서는 옥수수, 오일시드, 콩, 밀, 쌀, 차 등이 생산된다. 고도 2,000m 이하의 비교적 낮은 지대에서는 쌀 생산이 주를 이루며 이모작이 가능 하다<그림 8>.. 14. 해외농업시리즈 18.

(21) 그림 8. 지형별 네팔 농업 현황. 자료: NARC(2016).. ○ 네팔의 농업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농산물 62%, 축산물 28%, 임산물 9%, 수산물 1%이다. 그림 9. 네팔 농업 GDP의 구조. 자료: NARC(2016)..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15.

(22) ○ 네팔의 주요 농산물로는 쌀, 콩, 옥수수, 밀, 사탕수수, 황마, 근채 작물 등이 있다. 생산량을 기준으로 곡물류 중에서는 쌀, 옥수수, 밀 등이 많이 생산되며, 환금 작물로는 사탕수수와 감자, 두류(렌틸콩과 병아 리콩) 등이 주로 생산된다. 원예작물은 감귤류, 겨울과일(사과, 배, 호 두, 복숭사, 자두 등), 열대과일(망고, 바나나, 구아바, 파파야 등)이 주 로 생산되고 있다. 네팔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은 아래 <표 8>과 같다. 표 8. 네팔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2010~2014년) 단위: 톤(M/T). 2010. 2011. 2012. 2013. 2014. 쌀. 4,023,823. 4,460,278. 5,072,248. 4,504,503. 5,047,047. 옥수수. 1,855,184. 2,067,522. 2,179,414. 1,999,010. 2,283,222. 수수. 299,523. 302,691. 315,067. 305,588. 304,105. 메밀. -. 8,841. 10,021. 10,056. 10,335. 1,556,539. 1,745,811. 1,846,142. 188,220. 1,883,147. 27,587. 30,240. 34,829.8. 33,973. 34,824. 155,050. 176,186. 179,145.1. 179,000. 181,535.5. 2,517,696. 2,508,044. 2,584,301. 2,690,421. 2,817,512. 품목 곡물류(cereal crops). 밀 보리. 환금작물(cash crops) 오일시드 감자 담배. 2,491. 1,238. 2,557. 2,430. 1,004.3. 2,495,098. 2,718,226. 2,930,047. 2,930,000. 3,315,939. 12,959. 14,418. 14,424. 15,500. 12,659.4. 109. 135. 133. 150. 132. 151,758. 206,869.3. 208,201. 226,931.4. 226,830.3. 병아리콩. 7,065. 8,130.45. 8,191.6. 9,695.69. 9,380.36. 나무콩. 18,648. 14,107. 14,082. 16,459. 16,415. 흑녹두. 26,673. 22,530.3. 22,482.4. 21,363.6. 19,382.8. 그라스콩. 4,453. 8,673.9. 8,670.6. 13,936. 14,103. 사탕수수 황마 면 두류(pulse crops) 렌틸콩. 16. 말콩. 5,532. 5,808. 5,855. 5,445. 5,662. 대두. 22,042. 28,318.1. 28,269.8. 29,220.5. 28,237. 해외농업시리즈 18.

(23) (계속) 2010. 2011. 2012. 2013. 2014. 감귤류. 259,191. 263,710. 240,793. 216,188. 224,357. 겨울과일. 107,582. 111,882. 130,754. 122,407. 113,657. 열대과일. 340,199. 418,572. 658,207. 600,135. 627,030. 품목 원예(horticulture). 자료: MoAD(2014) 재구성.. ○ 가축의 경우 가금류, 염소, 암탉, 소 등이 주로 사육되고 있다. 주로 우유, 육류, 달걀 등이 축산품으로 생산된다.. 표 9. 주요 가축 사육 현황(2013년) 단위: 마리. 순위 . 가축. 사육두수. 1. 가금류. 47,959,239. 2. 염소. 9,786,354. 3. 암탉. 8,233,616. 4. 소. 7,274,022. 5. 버팔로. 5,241,873. 자료: MoAD(2013).. ○ 전반적으로 생산량과 단위당(ha당) 산출량은 증가 추세를 보이나 지난 10년간의 변화 폭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팔 정부는 식량안보 개선을 위해 SDGs5) 2번 목표(‘기아 해소와 식량안보, 지속가능 농업 개발’) 달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곡물 생산량을 현재 5) 2015년 유엔에서 채택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새천년개발목표(MDGs)의. 후속 의제이자 2030년까지 지구적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범세계적인 목표로, 17개 목표를 중심으로 169개의 세부 목표와 230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17.

(24) 수준에서 50% 증대시킬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네팔의 주 요 농산물 중 특히 곡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 로 전망된다.. ○ 농산물 무역의 경우 사료, 식음료, 생강 등을 주로 수출하고 곡물, 쌀, 동식물성 기름 등을 수입한다. 2013년의 경우 수입한 총 농산물 규모 는 약 10억 달러였으며 반면 수출 규모는 약 2억 달러 수준으로 수출 입 규모의 격차가 매우 큰 수준이다(FAOSTAT 2016).. 표 10. 농산물 수출입 현황(2013년) 단위: 톤. 순위 . 수출품목. 순위. 수입품목. 수입량. 1. 사료. 43,105. 1. 곡물. 602,186. 2. 생강. 35,150. 2. 쌀. 325,465. 3. 과즙. 34,534. 3. 동식물성 기름. 265,216. 4. oilseed cake. 26,800. 4. 식물성 기름. 223,508. 5. 유채깻묵. 24,530. 5. 감자. 174,006. 6. 오렌지천연과즙. 12,806. 6. 옥수수. 171,096. 7. 두류. 12,443. 7. 대두유. 139,938. 8. 렌틸콩. 12,407. 8. 지방종자. 125,912. 9. 차류. 10,206. 9. 사료. 107,183. 10. 파인애플주스. 6,316. 10. 두류. 92,120. 자료: FAOSTAT(2016).. 18. 수출량. 해외농업시리즈 18.

(25) ○ 2015년에 발생한 대지진은 네팔 농업에도 큰 피해를 주었다. 네팔 전 국에 걸쳐 24개 지역의 빈곤층 소농 일백만 명 정도가 피해를 입은 것 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여성 및 고령자가 농가주인 농가가 큰 피해를 입었다. 산사태로 인해 약 1,000ha가량의 농경지가 불모화되었으며 관 개수로의 손상으로 인한 추가적인 작물 피해, 도로 손상에 따른 시장 으로의 접근성 악화, 농촌지도센터 건물 붕괴 등으로 인해 농가들은 정상적인 농업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NPC 2015).. 3.2. 식량안보 동향 ○ 농업 발전의 정체는 네팔 식량안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IFPRI가 발표한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GHI)에 따르면 2016년 네 팔 GHI는 21.9로 이는 심각한(serious)6) 수준에 해당한다. GHI를 구성 하는 4개의 지표 중 네팔의 경우 특히 발육부진을 겪고 있는 5세 미만 아동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표 11. 2016년 네팔 세계기아지수의 세부 지표 현황 단위: %. 세부 항목. 기준 연도. 해당 인구 비율. 영양결핍. 2014~16. 7.8. 5세 미만 아동 체력저하. 2011~15. 11.3. 5세 미만 아동 발육부진. 2011~15. 37.4. 5세 미만 아동 사망률. 2015. 3.6. 자료: IFPRI(2016).. 6) 국제기아지수(GHI)는 식량안보 수준을 낮음(9.9 이하), 보통(10.0-19.9), 심각 (20.0-34.9), 위급(35.0-49.9), 매우 위급(50 이상)으로 구분한다(IFPRI 2016)..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19.

(26) ○ 지역별 식량안보 현황을 살펴보면 산악지대의 62.5%, 구릉지대의 34.2%, 평원지대의 23.8%가 식량 결핍 지역으로, 지대구분에 따라 차 이가 두드러진다. 평원지대에서 산악지대로 가까워질수록 식량안보 문제가 극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표 12. 네팔의 지대별 식량안보 현황(2013~2014년) 단위: 해당 지역 개수. 지대. 공급 부족. 과잉 공급. 총 지역 수. 산악지대. 10. 6. 16. 구릉지대. 13. 25. 38. 평원지대. 5. 16. 21. 총계. 28. 47. 75. 자료: Ghimire(2016).. ○ 네팔 농업개발부는 식량안보를 저해하는 주요 이슈로 식량 가용성 (food availability), 식량에 대한 접근성(access), 식량의 활용(utilization), 식품 가격의 안정(stability)을 지적한다. 식량이 과잉 공급되는 평야지 대에서도 영양부족 문제가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는 식량의 활용인 것으로 네팔 정부는 보고 있다 (Bhattarai 2016).. ○ [식량 가용성] 2013년 기준 식량 가용성(food availability)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입에 대한 의존도 또한 가중되는 추세이다. 1인당 쌀 가용성은 2003년 177kg에서 2013년 174kg으로 약간 감소하 였으나 이는 옥수수와 밀 생산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전반적 곡물류. 20. 해외농업시리즈 18.

(27) 가용성은 233kg에서 257kg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공급 차원에 서는 식품이 부족하지 않으나 <그림 10>과 같이 전체 75개 지역 중 32개 지역이 식량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부족한 도로망(connectivity) 과 체계적이지 못한 유통시설 등 유통 차원의 문제가 식량안보를 위협 하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Bhattarai 2016).. 그림 10. 네팔 식량안보 현황. 자료: Bhattarai(2016).. ○ [식량에 대한 접근성] 2011~2013년 기간 동안 네팔 국민의 13%가 영 양결핍(undernourishment) 상태이며 19%는 식량부족(food inadequacy) 을 겪고 있다. 이는 주변국들에 비해 양호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며,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표 13>, <표 14> 참조)..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21.

(28) 표 13. 주변국과의 영양결핍 지표 비교 국가명. 평균값. 단위: %. 연간 개선률. 1991~93. 1999~2001. 2011~13. 1991~2000. 2001~13. 방글라데시. 34. 24. 17. -3.3. -1.2. 인도. 23. 17. 15. -3.8. -2.5. 네팔. 23. 22. 13. -0.3. -5.7. 파키스탄. 25. 23. 22. -1.6. -1.4. 스리랑카. 31. 30. 25. -0.3. -1.8. 자료: MoAD&CBS(2016).. 표 14. 주변국과의 식량부족 지표 비교 국가명. 평균값. 단위: %. 연간 개선률. 1991~93. 1999~2001. 2011~13. 1991~2000. 2001~13. 방글라데시. 42. 34. 27. -1.9. -0.8. 인도. 32. 36. 24. -2.9. -1.8. 네팔. 32. 31. 19. -0.4. -4.5. 파키스탄. 33. 30. 30. -1.4. -1.0. 스리랑카. 43. 39. 33. -1.2. -1.7. 자료: MoAD&CBS(2016).. ○ [식량의 활용] 최근 들어 네팔 국민의 영양결핍 및 발육부진 등은 크 게 개선되었으며, 특히 5세 이하 발육지체 아동 인구 비율의 경우 주 변국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네팔 정부 는 이와 같은 개선은 식품섭취보다는 치료(clinical)에 의한 개선에 기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Bhattarai 2016). 도시와 농촌지역 간의 개선 격 차가 매우 현저한데, 발육부진 아동 비율은 도시지역(27%) 대비 농촌 지역(42%)이 15%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MoAD&CBS(2016)).. 22. 해외농업시리즈 18.

(29) 표 15. 주변국과의 5세 이하 아동 영양 지표의 비교 단위: %. 2001. 2006. 2011. 방글라데시. 55.4. 47.0. 41.4. 인도. 51.0. 47.9. -. 네팔. 57.1. 49.3. 40.5. 파키스탄. 41.5. -. 43.0. 스리랑카. 18.4. -. 19.2. 방글라데시. 13.2. 12.4. 15.7. 인도. 19.8. 20.0. -. 네팔. 11.3. 12.7. 11.2. 파키스탄. 14.2. -. 14.8. 스리랑카. 15.5. -. 11.8. 방글라데시. 45.4. 39.8. 36.8. 인도. 44.4. 43.5. -. 네팔. 43.0. 38.8. 29.1. 파키스탄. 31.3. -. 30.9. 스리랑카. 22.8. -. 21.6. 국가명 발육부진. 체력저하. 저체중. 자료: MoAD&CBS(2016).. ○ [식량 공급의 안정성] 식량의 안정적인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품 수출 대비 식량 수입 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식량의 대외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품 수출 대비 식량 수입 비중은 2000년대 초반 31%에서 최근 3년간 평균 52%로 증가하였다. 엥겔지수를 보면 가계 총 지출 중 식품 에 대한 지출이 도시의 경우 40%, 인구의 80% 이상이 거주하는 농촌의.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23.

(30) 경우 61%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곡물 등 주요 식품의 생산량이 증가하 고 있음에도 식품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생산량이 증가하는 수요 량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MoAD&CBS 2016).. 3.3. 네팔의 농업개발정책 및 전략 ○ 네팔 정부는 2022년까지 최저개발국에서 저개발국으로의 도약을 장기 비전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3개년 국가 단기개발 전략서(2014~ 2016)’에서 (1) 수력전기 및 기타 에너지 개발, (2) 농업분야의 생산성 향상·다양화·상업화, (3) 사회적 개발(기초 교육, 보건, 식수, 위생), (4) 양호한 거버넌스, (5) 도로 및 인프라 개발, (6) 관광·산업 및 무역 분 야 개발, (7) 천연자원 및 환경 보호를 개발 우선순위로 선정하였다. 동 전략서는 농업생산성, 관개, 토지개혁, 식량안보 및 영양개선, 산림 및 토양 보존이 농업 부문 우선지원 분야임을 명시하고 있다.. ○ 네팔 농업개발부(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MoAD)는 최 근 주요 원조기관 및 국제기구7)와 함께 농업 및 식량안보 분야의 발전 을 위한 장기(2015~2035) 전략적 프레임워크인 ‘농업개발전략(Agriculture Development Strategy: ADS)’을 수립하였다.. ○ 네팔은 농업에 기반을 둔 산업구조에서 서비스 및 제조업 중심의 사회 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도 가속화되고 있다.. 7) ADB, IFAD, EU, FAO, SDC, JICA, WFP, USAID, DANIDA, World Bank, DfID, AusAid, UN Women 등. 24. 해외농업시리즈 18.

(31)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는 농업 생산 및 유통과 농촌개발, 농지 및 농업 인력의 생산성, 무역수지, 고용, 젊은층의 이주노동, 여성의 역할, 천연 자원의 관리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농업개발전략(ADS)’은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 ‘농업개발전략(ADS)’에 따르면 네팔 정부는 “생계와 식량안보에 기여 하고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자립적이고 지속가능하며 경쟁력을 갖춘 농업 분야를 통한 식량주권의 달성(A self-reliant, sustainable, competitive, and inclusive agricultural sector that drives economic growth and contributes to improved livelihoods and food and nutrition security leading to food sovereignty)”을 농업 개발 비전으로 삼고 있 다. 구체적인 목표치는 <표 16>과 같다. 표 16. 네팔 농업개발전략 핵심 지표별 목표치 분야 자립성. 기준 (2010). 단기 (5년 이내). 5% 무역 적자. 0% 무역 적가. 연중관개지비율. 18%. 토양 유기물 비중. 성과지표 주곡생산 자급자족률. 가능성. 0~5% 무역. 0~5% 무역 흑자. 30%. 60%. 80%. 1%. 2%. 4%. 4%. 3.2. 2.88. 2.56. 1.6. 40%. 40%. 40%. 40%. $1,804. $2,302. $2,938. $4,787. 10%. 12%. 14%. 20%. 농업무역수지. 무역적자. 무역적자. 무역적자. 무역흑자. (단위: 백만 불). $350. $310. $181. $690. $248. $418. $704. $1999. (단위: 백만 ha) 산림비율 농경지 생산성 (AGDP/ha) 농업 관련 산업의 GDP 비중. 경쟁력. 장기 (20년 이내). 흑자. ha당 퇴화지 지속. 중기 (10년 이내). 농산물 수출량 (단위: 백만 불).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25.

(32) (계속) 분야. 성과지표 여성/공동토지. 포괄성. 소유 비율 농업기술 지원율. 기준 (2010). 단기 (5년 이내). 중기 (10년 이내). 장기 (20년 이내). 10%. 15%. 30%. 50%. 12%. 17%. 22%. 30%. 3%. 4%. 5%. 6%. $794. $979. $1206. $1833. 27%. 21%. 16%. 10%. 연간 농업 분야 성장. 국민총생산 성장률. 생계 활동. 국민총생산-농업 분야 노동 생산성 농촌지역 빈곤율 식량 빈곤율. 식량 및 영양 안보. 영양상태. 24%. 16%. 11%. 5%. 발육부진(41.5%);. 발육부진(29%);. 발육부진(20%);. 발육부진(8%);. 체중미달(31.1%);. 체중미달(20%);. 체중미달(13%);. 체중미달(5%);. 체력저하(18%);. 체력저하(5%);. 체력저하(2%);. 체력저하(1%);. 저체중 여성(18%). 저체중 여성(15%). 저체중 여성(13%). 저체중 여성(5%). 자료: MoAD(2015).. ○ ADS의 우선순위는 (1) 식량 및 영양안보, (2) 빈곤퇴치, (3) 농업 분야 무역 경쟁력, (4) 농업 소득 증대 및 소득의 형평성, (5) 농업인의 권리 강화이다. 아울러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 전략으로 네팔 정부의 역 량강화를 통한 거버넌스 개선, 농지 및 농업인력의 생산성 증대, 상업 화를 통한 이윤 창출, 농업 분야 경쟁력 강화를 강조한다.. ○ ADS에 따르면 네팔 정부는 ‘식량안보 달성’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의 개발 효과가 농촌의 취약층(여성, 최 하계층 달리트 등)에까지 미칠 수 있도록 추진하고자 한다. 식량 안보 달성을 위한 전략으로 생산성 향상, 농업의 상업화, 경쟁력 강화를 강 조하고 있으며 보다 세부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 생산성 향상: (1) 지속가능한 방식을 통한 식량 생산량 증대, (2) 예. 26. 해외농업시리즈 18.

(33) 비급수/종자/식량저장의 개선, 재난에 대한 대응력 강화, 기후변화 적응을 통한 농민들의 취약성 감소 - 상업화: (1) 농민 소득 증대, (2) 시장에 대한 접근성 개선, (3) 수확 후 손실 감소 - 경쟁력 강화: (1) 식품 안전성 제고, (2) 무역을 통한 다양한 식량 섭취, (3) 기업농(특히 여성, 청년, 취약층, 취약지역 거주자) 성장 촉진 ○ 농업전략서 외에도 네팔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제로헝거 챌린지 (Zero Hunger Challenge: ZHC) 캠페인의 수행을 위한 ‘ZHC 액션플랜 (2016~2025)’이 있다. 네팔의 ‘ZHC 액션플랜’은 2025년까지 굶주림 및 영양실조의 근절을 목표로 식량에 대한 접근성 및 적절한 활용을 강조한다. ZHC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농업 분야 성장 가속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생산 과정 강화 - 빈곤층의 취업 및 소득 창출 기회의 확대 - 국민의 식량 및 영양 안보 상황 개선 - 굶주림, 빈곤, 영양실조로부터 고통받는 빈곤층을 위한 사회보장체 제 개선 - 기아 및 영양문제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식량 거버넌스 및 서비 스 개선 - 식량안보에 대한 인권적 차원의 접근 ○ ZHC 액션플랜에서 강조된 전략적 우선지원 분야 및 이행전략은 <그 림 11>, <표 17>과 같다..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27.

(34) 그림 11. 네팔 제로헝거 챌린지 액션플랜 우선지원 분야. 자료: MoAD(2016a).. 표 17. ZHC 액션플랜 이행전략 우선지원 분야. 이행전략. 농업 생산 및 생산성 제고. - 기후 대응형 곡물 생산 증진 - 주곡으로서 선호도가 낮아지는 추세에 있는 토착 곡물류(수수, 오트, 보리 등)의 생산 및 유통 제고. 농업 분야에 대한 투자 증진. 관련 인프라 개발. 28. - 농민들을 위한 금전적 투자 제고 - 민간부문 및 협동조합으로부터의 투자 증진을 위한 인센티브 마련 - 관개시설, 지역 내 식량 저장창고, 수송서비스, 가치사슬을 위한 가공시설, 유통 인프라 등의 개발. 식량 가용성의 지역화. - 종자, 비료, 식용곡물용 저장시설의 역량 확보. 애그리비즈니스 개발. - 소농 및 無 경작지 농민의 가치사슬 참여 증대. 해외농업시리즈 18.

(35) (계속) 우선지원 분야. 이행전략. 취업 기회 제고. - 농업 및 가치사슬 관련 분야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 비농업 분야 직업기술 훈련 지원을 통한 청년층의 이주노동자 수 감소. 농업 분야 일자리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 제고. - 영농 투입재 보조, 영농기계화 등의 인센티브 도입. 생산성 높은 자원에 대한 소농 및 無 경작지 농민의 접근성 지원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식량 거버넌스 제고. - 소농 및 無 경작지 농민들에 대한 계약방식의 농지 지원 - 종자, 비료, 관개 등 제도적 지원 서비스 - 현대적인 영농방식 도입 증진을 위한 위험 경감 제도 마련 - 영양가 높은 식품 섭취를 위한 요리법 교육 - 제도적 책무성 강화 - 가격 생성 과정의 투명화. 자료: MoAD(2016a) 재구성.. ○ 이 밖에도 네팔 정부는 2016년 향후 10년간 추진될 ‘농업현대화사업 (Prime Minister Agriculture Modernization Project)’을 도입하였다. 농 업현대화사업은 ‘수입 농산물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량 자급자족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농업 생산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보조금 혜택과 품목별 자급자족 달성 기한을 설정한 것이 특징이다. 표 18. 농업현대화사업 보조금 예시 보조금 대상. 혜택. 특정 지역 내 농업 투입재 구입. 85% 현금 지원. 지역 종자은행, 수확후관리센터, 연수원 등. 85% 현금 지원. 유통센터, 저장창고, 마트, 냉장시설 등. 50% 현금 지원. 조직배양실험실. 50% 현금 지원. 농업융자. 연5% 상한. 농업 투입재 수입. 관세 1%. 자료: Himalaya Times(2016) 재구성..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29.

(36) 표 19. 농업현대화사업의 품목별 자급자족 달성 기한 품목. 달성 기한. 밀. 2016~2017. 채소류. 2016~2017. 벼. 2016~2018. 감자. 2016~2018. 옥수수. 2016~2019. 수산물. 2016~2019. 바나나, 파파야, 리치. 2016~2020. 키위, 사과, 오렌지, 망고. 2016~2025. 자료: Himalaya Times(2016) 재구성.. 30. 해외농업시리즈 18.

(37) 4. 농업 분야 주요 도전과제8) 4.1. 낮은 농업 생산성 ○ 네팔의 농업은 주로 소규모 자급자족형 농업으로 생산성이 매우 낮다. 급속한 도시화 및 이로 인한 비옥한 농지의 부족 현상은 농지의 파편 화를 야기한다<표 20>. 평균 농지 규모는 0.68ha로 이는 우리나라 농 가호당 경지면적(2016년 기준)인 1.54ha의 44% 수준이며, 토지의 배 분은 사회적 신분 등에 따라 불균등하게 이루어져 있다. 보유하고 있 는 농지 규모가 0.5ha 미만인 가구 또한 51.6%에 달하며 이들 농가의 평균 농지 규모는 0.25ha이다. 소수 민족의 농지는 대부분 비탈진 언 덕에 위치하고 있고, 특히 달리트 계층의 토지 규모는 더욱 파편화된 경향을 보인다(NPC 2015; MoAD 2015; 농림축산식품부 2016). 표 20. 네팔의 농지 지표 동향 1995/96. 2003/04. 2010/11. 평균 농지 규모(ha). 1.1. 0.8. 0.7. 0.5ha 미만의 농지 비율 (%). 40.1. 44.8. 51.6. 지표. 자료: MoAD(2015) 재구성.. ○ 2010년 기준 농업인 1인당 생산성은 미화 794달러였으며 ha당 농업 생산성은 1,804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MoAD 2015). 이러한 소규모 자급 위주의 농업은 네팔 가치사슬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8) 2016. 4. 네팔 현지 출장 시 KOICA,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NARC) 등과의 면담을 기초로 작성되었음..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31.

(38)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농가당 양계규모가 10마리 정도인데 이는 생산 품을 만들어 시장에 팔기에는 어려운 규모이다.. 표 21. 네팔의 농업 분야 생산성(2010년) 단위: 달러(USD). 농업 분야 1인당 노동생산성. 비농업 분야 1인당 노동생산성. ha당 농지생산성. 794. 3,130. 1,804. 자료: MoAD(2015).. ○ 규모의 영세성과 이로 인한 낮은 농업생산성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원 인으로 관개시설의 부족, 양질의 종자 및 비료 등 투입재의 부족, 농업 기술 자문 및 유통망에 대한 접근성 미흡 등이 주로 지적된다. ○ 낮은 농업생산성의 가장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관개시설의 경우, 전 체 농경지 중 관개비율은 2010년 기준 29.7%로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효율성 또한 매우 낮다(WBOD 2016). 이로 인해 네팔의 농업은 강수 량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7~9월 사이 우기(monsoon)에 따라 작물의 경작시기가 결정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농번기 중 강우량 이 일정하지 않고 큰 변동을 보이며, 온도 또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 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우기가 늦어져 주요 농산물인 쌀, 옥수수, 밀 등의 곡물류 재배에 큰 피해를 입은 바 있다. 기후변화로 야기된 가뭄 과 홍수로 인한 피해는 곡식류 등 농산물 생산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 치며 자급자족 농업을 위주로 하는 네팔의 식량안보와도 직결된다.. 32. 해외농업시리즈 18.

(39) 그림 12. 네팔의 농번기 평균 강수량의 변화. 자료: Ghimire(2016).. 그림 13. 네팔의 농번기 평균 기온의 변화. 자료: Ghimire(2016)..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33.

(40) ○ 농산물 생산의 양적 측면에서 네팔은 주곡(staple cereals)을 기준으로 2010년 이후 절대적인 식량부족 상황에서는 서서히 벗어나고 있는 추 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14>. 그러나 지역별로 식량 부족 상황이 매우 상이한데 이는 지역마다 품종의 다양성 및 식량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 이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산악지대가 많은 네팔의 지형적 특 징으로 인해 소농들은 시장으로의 접근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산물의 생산량이 많거나 품질이 좋을 경우, 지형적인 접근성이 어려 움에도 중간상인들이 산악지대로 올라갈 유인책이 될 수도 있다. 그러 나 낮은 수준의 농업 기술로 인해 농산물의 생산량뿐만 아니라 품질이 낮으며 양질의 투입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주요 소비 농산물의 질적 측면(상품의 안정성, 수확기술, 수확 후 등급산정, 저장, 포장, 유통, 배 송 등의 기술)의 개선에 중점을 둔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림 14. 네팔의 식량 공급 현황. 자료: IPFRI(2015).. 34. 해외농업시리즈 18.

(41) ○ 이 밖에도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농촌 지역의 20~40 대 젊은 남성층은 인도 등지로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나가고 있다. 이 로 인해 농업 노동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여성 및 고령자가 농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여성인구가 전체 농업 인력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 농업인의 기여율은 농작물의 60%, 가축 및 양계의 70%에 이른다. 농촌 지역 가구의 약 26%가 여성 가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성 농업인은 농장 관리와 더불어 집안일도 도맡고 있다(NPC 2015).. ○ 시장에 판매하는 잉여 농산물이 부족한 데다 협동조합도 발달되어 있 지 않아 농민들은 농산물 가격 책정에 있어 가격 수용자가 되고 있다. 곡물의 경우 대규모 정미소 및 중간 상인이 주요 시장의 브로커 등을 통해 모은 국내외 유통정보(국내 생산 현황, 인도로부터의 수입 현황 등)를 바탕으로 매매 가격을 결정한다(WFP&FAO 2007). 소규모 영세 농의 생산성 제고 및 수입 증대와 관련하여 최근 네팔에서는 협동조합 이 매우 점진적으로 설립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별 협동조합은 정서 적인 거부감으로 인해 운영이 순조롭지 않으나 유제품, 커피 등의 품 목별 협동조합은 비교적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굴미 커피 협동조합(CCU-Gulmi) ○ 굴미 커피협동조합(CCU-Gulmi)은 국내 최초의 공정무역 재단법인인 ‘아름다운커피’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2006년부터 거래를 지속하고 있다. 아름다운커피는 굴미 커피협동조합으로부터 유기농 커피를 구 매해 ‘히말라야의 선물’이라는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35.

(42) ○ 굴미 지역은 네팔에서 처음으로 커피를 재배하기 시작한 지역으로 커 피 농지는 총 140ha 규모이다. 굴미 지역에는 총 53개의 커피 생산자 단체/협동조합이 조직되어 있으며 커피 농업 종사자 수는 1,700여 명 이다. 굴미 커피는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히말라야 중간산간지대에 서 생산된다(MoAD et al. 2014).. ○ 우리나라의 비영리 재단법인인 ‘아름다운커피’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 는 ‘굴미커피협동조합(CCU-Gulmi)’에는 37개의 커피 생산자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동 협동조합에 소속되어 있는 농가 수는 2013년 초. 350개에서 2014년 600개 가구로 증가하였으며, 6개의 펄핑센터를 협동 조합 소유로 바꾸는 등 매우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박성혜 2016.07.22.). 아울러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아름다운커피와 협력하여 2013년 커피 병충해 퇴치 캠페인, 협동조합 교육 훈련사업 등을 진행한 바 있다.. 자료: 박성혜(2016.07.22.).. 36. 해외농업시리즈 18.

(43) 4.2. 미흡한 농산물 유통 체계. ○ 네팔의 농산물시장은 현대화된 방식의 시장이 아닌 농가들이 생산한 농산물을 재래시장 형태의 시장에 직접 판매하거나 중간위탁상인을 통하여 시장에서 거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생산 자 수취가격의 보장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 농업인들은 운송 수단이 없어 시장에 직접 농산물을 파는 데 한계가 있으며, 실제 거래 가격 정보 등 시장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취약하다. 이로 인해 농업인들은 지역 재래시장에서 매우 저렴한 가격에 농산물 을 판매할 수밖에 없다. 또한 농산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시 설이 없어 빠른 시일 내에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 위탁상인들은 저렴한 가격에 농산물을 사들여 높은 가격에 소비자들 에게 판매를 하고 있다. 시장 내 공정한 거래를 위한 감시 기능이 없어 위탁상인들이 폭리를 취하기 쉬운 구조이다. 농촌지역의 경우 표준화 된 농산물 측량 시스템이 없어 전통적 측량단위나 벽돌 등을 사용하는 위탁상인들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또한 곡물에 모래를 섞거나 우유에 물을 타는 등 식품 변조 행위도 빈번히 발생한다.. ○ 대지진 이후로 전기, 도로, 저장시설 등의 기본 인프라가 심각하게 파 괴됨에 따라 정상적인 농산물유통을 가로막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어려워진 유통환경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자.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37.

(44) 신들의 거주지역을 벗어나 식량을 구하는 등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사 용하고 있다.. ○ 네팔은 농산물유통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농산업 개발계획 등 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이에 투자되는 예산은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규모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산자와 소비자 간 효율 적인 농산물유통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가격, 거래물량 등)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지 않아 유통비용이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 네팔 농산물유통의 효율화를 가로막는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수확 후 손실’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청과류와 채소류의 경우 소비자에게 전 달되는 과정에서 손상 및 손실되는 비율은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50%에 달하는데, 가장 큰 원인은 보관 및 운송과정에 있다(Devkota et al. 2014). 수확 후 손실로 인해 농민들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거래 를 해야 하는 반면 유통 과정에서 일어나는 손상으로 인해 버려지는 양이 많아 소비자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 손실되는 양이 많아 상당량의 채소를 인도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 이다. 콜리플라워의 경우 채소류 중 가장 많이 생산됨에도 한 해 수입 량이 3,329톤에 달한다(신세린 2016). 아울러 같은 양의 방울토마토의 경우 네팔산이 인도산보다 약간 더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색깔 등의 품질에서도 인도산이 우월하다는 것을 육안으로도 쉽게 확 인할 수 있다.. 38. 해외농업시리즈 18.

(45) 그림 15. 카트만두 깔리마띠 청과물 도매시장의 모습. 주: 현지 출장 시 촬영(2016.04.07.).. ○ 네팔 2개 지역의 콜리플라워와 토마토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수확 후 손실로 인해 농민들은 단위(kg)당 7% 하락된 가격에 팔고 있으며, 이는 단위당 4%의 직접적인 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Gautam 2015)..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39.

(46) 표 22. 네팔 2개 지역(Banke, Kapilvastu) 콜리플라워와 토마토의 수확 후 손실 현황(2014~2015년) 단위: kg, 달러(USD). 내용. 단위. 콜리플라워. 토마토. 총 판매량. kg. 4,646. 6,412. 수확 후 손실된 양. kg. 93. 128. 수확 후 손상으로 인해 낮은 가격에 판매된 거래량. kg. 1,047. 1,445. 수확 후 손실 또는 손상이 없었을 경우 단위당 총 수익. USD/ kg. 1,347. 1,924. 수확 후 손실로 인한 단위당 경제적 손실. USD /kg. 27. 38. 수확 후 손상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인한 단위당 경제적 손실. USD /kg. 21. 29. 수확 후 손실 또는 손상으로 인한 단위당 총 경제적 손실. USD /kg. 48. 67. 자료: Gautam(2015).. ○ 유통 단계별 수확 후 손실이 발생하는 비율은 <표 23>과 같다. 생산에 서 소매상까지의 유통 과정 중 도매시장에서의 손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Devkota et al.(2014)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매시장에 서 발생하는 손실은 주로 냉장시설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난다 <표 24>. Chennai 지역 도매시장의 경우 일일평균 5~10%의 농산물이 버려지고 있다(Devkota et al. 2014).. 40. 해외농업시리즈 18.

(47) 표 23. 유통 단계별 수확 후 손실 발생 비율 손실 유형. 수확 후 손실 발생 비율. 농장. 20%. 중간유통상. 46%. 도매시장. 74%. 소매상. 50%. 자료: Gautam(2015).. 표 24. 수확 후 손실 원인 조사 결과 원인. 비율. 냉장시설의 부족. 67%. 부적절한 포장 및 비전문적인 취급방식. 22%. 농산물의 낮은 품질. 11%. 주: 원예작물 도소매상 1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임. 자료: Devkota et al.(2014) 재구성.. ○ 북부 산악지대의 경우 농산물 가격이 평지 지대에 비해 높게 책정되고 있으며 이는 지역 주민들의 식량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 열악한 도로 인프라로 인한 높은 운송비용은 산악지대 및 구릉지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평야 지대로 유통시키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실제 이 러한 경로의 거래는 매우 드물게 일어난다. 반대로 평야 지대로부터 산 악지대로 운송된 농산물은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 다.(WFP 2010). 농가들이 자급자족을 통해 연중 식량을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은 6~8개월로 높은 식품가격 및 열악한 시장에 대한 접근성은 주 민들의 생활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WFP&FAO 2007).. 네팔의 농업 및 식량안보 동향과 주요 도전과제. 41.

참조

관련 문서

□ EAEU 회원국의 농업 생산은 식량작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요 작물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OECD 유라시아 경쟁력강화프로그램(OECD Eurasia Competitiveness Programme)’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카자흐스탄 경쟁력프로젝트 (Kazakhstan

주요 농산물의 곡물 달력(Crop Calender)을 살펴보자. 이 때문에 건조한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세하도 지역은 점토 층의

농정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 목표의 전환에 따라 농업 인력, 농업 경영체 육성 의 관점에도 변화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주요한 농업 인력 육성정책도 시대 변화 에

5.. 이러한 농축산업 구조는 대외교역에도 영향을 미쳐 비교적 단순한 교 역형태의 특징을 보인다. 국가별 대외교역은 독일과 이탈리아에 집중되어 있다. 오스 트리아

농업 부문에서 주로 논의된 내용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글로벌 식량 생산 시스템 구축과 이력추적을 통한 효율적인 글로벌 공급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Ø 한·중 FTA 농업분야 협상전략수립과 대응방안모색에 기여 Ø 중국의 식품소비와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을 충족. 지금까지 축적된 중국 농업 관련 정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