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of Shift Nurse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of Shift Nurses"

Copied!
8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요인

-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박 미 진

(2)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요인

지도교수 이 영 진

이 논문을 간호학 간호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20

8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박 미 진

(3)

박미진의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이 영 진 인

심 사 위 원 송 주 은 인

심 사 위 원 안 정 아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년 월 일

2020

7

17

(4)

감사의 글 임상이 좋다는 이유로 아무런 준비 없이 대학원 과정을 시작하면서 저는 아내와 엄마로써의 역할과 딸과 며느리로써의 역할 그리고 한 병원의 간호사로써 그 위치에 맞는 역할을 모두 병, 행하는 것이 정말 쉽지 않은 여정이였습니다 긴 여정동안 힘들 때도 있었지만 배우는 즐거움. 과 스스로 성장하는 모습에 보람을 느꼈고 다양한 환경의 선후배 간호사님들과 교수님들을 뵐 , 수 있어서 귀하고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아직 배울 것이 한참 많은 저에게 한편의 논문으로 . 석사과정을 마무리 한다는 것이 부끄럽기도 하고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그 어느때보다 부지런히 또 열심히 임했기에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석사 논문을 완성하. 고 졸업을 하기까지 도움 주신 많은 분들께 이 기회를 빌려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가장 먼저 연구 주제를 상의하기 위해 교수님을 찾아뵙는 순간부터 연구가 마무리 될 때까 지 부족함이 많은 저에게 진심이 담긴 조언과 애쓰고 있다는 격려의 말을 항상 잊지않으셨던 우리 이영진 교수님 정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이 늘 그렇듯 , . 한 단계 한 단계 진행할 때마다 힘들고 불안할 때가 있었지만 그럴떄마다 늘 저와 소통해주시, 고 함께 해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제가 더 성장할 수 있었고 오늘의 좋은 , . , 결과를 교수님과 함께 나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두번의 심사과정을 접하면서 부족한 저에게 . 따뜻한 말씀과 값진 의견 주신 안정아 교수님 보잘 것 없는 연구 주제일수도 있었을텐데 한줄 . 한줄 밑줄을 그으면서 꼼꼼하게 체크해주시고 진심이 담긴 조언과 자상한 격려까지 해주셔서 , 정말 감사했습니다 세월이 흘러도 잊지않겠습니다 그리고 인연이 닿지않아 수업중에는 뵐 수 . . 없었지만 심사과정에서 뵌 송주은 교수님 교수님의 진심이 담긴 조언에 제 연구가 한 단계 더 .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다시 공부하고 싶다는 열망과 설레임으로 시작했던 대학원 과정 그 과정에서 만난 동기들과 , 선후배 간호사선생님들 함께 공부하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친구가 되어준 선생님들의 위로와 . 응원 덕분에 웃으며 마무리를 할 수 있었기에 이렇게 글로나마 고마움을 전합니다. 바쁜 와중에도 자료 수집을 허락해 주시고 참여해주신 아주대학교병원 오산한국병원 간호사 , 선생님들 특히 백금여 간호부장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접합니다 저를 믿어주신 부장, . 님이 계셨기에 이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 드리며 제 연구가 미약하게나,

(5)

마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부족하고 못난 막내딸을 지금 이 순간까지도 걱정하며 응원해주시고 뒷바라지해주시는 그 , 이름만 불러도 가슴 먹먹해지는 우리 엄마 아빠 고생하시는 당신들이 계셨기에 제가 바르게 , .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엄마 아빠가 저에게 주시는 넘치는 사랑엔 턱없이 부족하겠지만 보답. , 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더 열심히 부지런히 살아가겠습니다 진심으로 사랑하고 존경합니. 다 그리고 교대근무하느라 며느리 노릇 제대로 해본적 없는 저에게 하고 싶은 공부도 마음껏 . ,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시고 넘치는 사랑을 주시는 우리 시부모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오랫동, , . 안 함께 해주세요 진심으로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그리고 하나뿐인 우리언니 동생한테 항상 . . . 양보만 하고 동생 투정 다 받아주는 우리언니 큰딸로써 언니로써 힘들때도 많았을텐데 힘든 , . 내색도 못했던 우리언니 이제는 내가 언니의 버팀목이 되어줄께 많이 미안하고 사랑해. . . 아이를 좋아하지만 놀아주는게 어설프고 부족한 그런 부족한 엄마를 세상에서 제일 사랑한 , 다는 우리 유빈이 어느덧 초등학생이 되어 공부하는 엄마를 이해해주고 배려해주는 우리 유빈. 공주 엄마 논문 끝나면 미술수업도 하고 음악수업도 하자고 했는데 앞으로 엄마랑 선생님 놀, , 이 많이 하자 엄마가 많이 노력할께 사랑한다 유빈아 마지막으로 연애 할 떄부터 지금까지 . . . 끊임없이 나에게 동기부여를 해주고 때로는 채찍질을 해주는 오랜 기간 항상 옆에서 지켜봐주 고 내 모든 투정 받아주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내 편이라고 말해주는 든든한 우리신랑 , , 오상헌씨 당신 석 박사 논문에 매번 나에 대한 감사함을 전달했었고 나한테는 이런 기회가 없. , , 을 줄 알았는데 부지런히 열심히 살았더니 나에게도 이런 기회가 왔어 여보 무슨 말이 더 필. , 요하겠어 고맙다는 말 밖에 든든한 당신 덕분에 내가 석사과정을 무사히 잘 마칠 수 있었고? , , 이번 기회로 내가 더 성장할 수 있었어 항상 응원해주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줘서 고마워. . 지금처럼 우리 열심히 부지런히 유빈이랑 즐겁게 살자 사랑해, . . 년 월 2020 7 연구자 박 미 진 올림.

(6)

국문요약 -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요인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 , 하여 향후 일 생활 균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중재 방안 도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 -하였다 해당 연구는 경기도 소재 개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재직 후 년 이상 환자간호업무. 2 , 1 를 담당하고 있는 교대근무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월 일부터 월 2 1 2 28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 일 생활 균형은 김정운- , 박정열(2008)이 개발한 일 생활 균형 척도를 사용하였고 - (Work-Life Balance) , 건강상태는 김윤신(1979)이 일본 동경대학 의 의학부 보건학과에서 신체적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 로 작성한 건강조사표를 한국판 Todai Health Index(THI) 건강조사표로 번안한 것을 임경희

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요구와 직무통제는

(2002) · . 조성일(2004)이 번안한

의 설문 문항 중 직무요구와 직무통제에 해당하

Karasek(1998) Job Content Questonnaire(JCQ)

는 문항들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김정희, (2000)가 Weinert(1988)의 개인 자원 설문지 를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Ⅱ : PRQ- )Ⅱ .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 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교대근무 간호사의 1. 일 생활 균형은 - 145점 만점에 평균 86.13±19.05점이었고 건강상태 총, 점은 150점 만점에 평균 76.13±16.87점이었다 직무요구의 경우 점 만점에 평균 . 20 14.82±2.59점 였고, 직무통제는 총점 45점에 평균 30.21±3.63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점 . 사회적 지지는 총 점 105점 만점에 평균 79.77±12.82 으로 나타났다. 점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은 건강상태 2. - (r=-0.55,

p

<.001), 직무요구(r=-0.21,

p=.011

)

(7)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r=0.41,

p<.001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3.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 생활 균형은 성, -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6.49,

p=

.005), 건강상태는 성별(F=8.29,

p=

.008) 및 종교 (F=4.04,

p=

.052)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요구는 현 직위, (F=7.98,

p=

.008)와 밤 근무 횟 수(F=6.46,

p=

.096)에 따라 직무통제는 현 직위, (F=4.11,

p=

.042)와 임상경력(F=5.27,

p=

.01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 사회적 지지의 경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 , 이를 보인 변수는 없었다. 4.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 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건강상태, - ( =-0.41, β p<.001), 직무요 구( =-0.25, β p=<.001), 사회적 지지( =0.32, β p<.001)로 나타났고, 해당 분석 모델의 설명력은 41.3%(F=33.98, p<.001)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 증진을 위해 구성원 개인은 -건강상태의 중요성과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병원조직은 간호사 개인에게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제공하며 더불어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이 활성화 될 ,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사의 . 직무요구에 대한 통제 및 자율성을 부 여하여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사회적 지지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하고 , 현실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교대근무 간호사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 - , , , ,

(8)

차 례

국문요약 ··· ⅰ

차 례 ··· ⅲ

표 차례 ··· ⅴ

부록 차례 ···ⅵ

서론

.

··· 1

연구의 필요성

A.

··· 1

연구의 목적

B.

··· 4

용어의 정의

C.

··· 5

문헌고찰

.

··· 8

일 생활 균형

A.

-

··· 8

일 생활 균형 영향요인

B.

-

··· 10

연구방법

.

··· 16

연구 설계

A.

··· 16

연구 대상

B.

··· 16

연구 도구

C.

··· 17

자료 수집 방법

D.

··· 19

자료 분석 방법

E.

··· 19

윤리적 고려

F.

··· 20

(9)

연구 결과

.

··· 2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A.

··· 21

연구 대상자의

B.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

-

,

,

,

,

··· 23

C.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

,

, 직무요구 직무통제

,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2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의 차이

D.

-

··· 27

연구

E.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영향요인 분석

-

··· 29

논의

.

··· 30

결론 및 제언

.

··· 36

결론

A.

··· ··· ··· ··· ··· ··· ··· 36

제언

B.

··· 37

참고 문헌 ··· 38

부록 ··· 49

ABSTRACT ··· 70

(10)

표 차 례

1.

연구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 ··· 22

2.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

-

,

,

,

,

··· 24

3.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간의

-

,

,

,

,

관계

··· 26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의 차이

-

··· 28

표 5.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

··· 29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

··· 63

7.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요구 차이

··· 65

8.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통제 차이

··· 67

9.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 69

(11)

부록 차례

부록

1.

연구 설문조사 설명문

··· 49

부록

2.

연구 설문지

··· 53

부록

3.

도구사용 동의서

··· 58

부록

4.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 통지서

··· 61

부록

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

,

,

차이

··· 62

(12)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A.

일 생활 균형이란 일과 일 이외의 영역 간에 시간과 심리적 및 신체적 에너지를 적절히 할 -당함으로써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만족스러워하는 상태로 정의한다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 , , & 장훈, 2005). 년 유엔 지속가능 발전 해법 네트워크 에

2017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서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 에 의하면 실제로 한국인 대다수는 연봉보다 일 생활의 균형을 더 ‘ ’ -중시한다고 한다(World Happiness Report, 2017). 또한 2018년 한 구직업체에서 직장인을 대상 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일 생활의 균형이 좋을 경우 연봉이 낮아도 이직하고 싶다 는 직“ - ” 장인이 과반을 넘겼다고 한다 한라성( , 2019). 이처럼 최근들어 구직자들 자신이 일할 직장을 결 정할 때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균형있는 병행이 가능한지 일과 생활의 균형을 가능하게 하, , 는 조직인지가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이재상( , 2017). 통계청 사회통계국 에서 발표한 일 가정 양립 지표에서는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 ( , 2019) 2019 -로 일과 가정을 유사하게 생각하는 비율이 44.2%로 일을 우선시 한다는 비율 42.1%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이를 통하여 일을 우선으로 하는 사회에서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 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생활 균형 유지는 개인과 가족 모두의 행복을 . -위한 핵심적인 필요조건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에서 정의하였으며 반대로 일 생활 균형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신체적 정신적

Development) , - ,

건강이 악화되며 개인은 물론 가족 모두의 삶의 질이 저하되며 직무 만족도가 저하되어 조직 , , 몰입 감소 이직 증가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Greenhaus, Collins, & Shaw, 2003).

최근 보건의료 근로자 정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간호사 등 보건의료 근로자의 는 , 50.5% 업무량이 근무시간 내에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다 라고 응답하였고 일평균 연장근무 “ ” , 시간이 95.11분으로 통상적으로 장시간 근로로 인한 일 생활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국보건의료노조( , 2019). 특히 간호사는 하루 종일 환자를 간호하는 통상적인 근, 무 시간 외에도 교대근무를 하는 대표적인 직업군으로 전체 의료기관 종사자 중 약 29%를 차

(13)

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 2017). 간호사는 병원의 생산성 및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집단이 자 의료기관의 핵심요소 강기노( , 2012) , 로 개인의 생활 및 가족 동료 조직성과에까지 많은 영, , 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통하여 두 영역 간에 균형은 개인적 및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 제가 되고 있다 김귀례( , 2008). 선행연구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 유지되면 직무만족 장승희, ( , 이진석 이홍용 조직몰입 서창석 최은실 이홍용 삶의 만족 이 2019; , 2019; , 2017), ( , , 2018; , 2017), ( 진석, 2019), 행복감 최복길( , 2018) 등은 높아지고 일과 삶의 균형이 깨질 경우 이직의도 최복, , ( 길, 2018), 심리적 소진 이소립( , 2015), 직무소진 이홍용( , 2017)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선행논문을 살펴보면 한국 간호사의 일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정미숙 김현리 , , 와 이윤정의 연구(2017)에서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각 하였으며 여성 근로자 특히 기혼 여성 근로자의 경우 개인의 건강상태가 일과 가정의 양립 및 , 갈등에 중요한 영양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동 김명희( , , 2011; 김준기 양지숙, , 2012; 이양 숙 장수정, , 2013; 정미숙 외, 2017). , 즉 건강상태 정도가 좋아질수록 직장 또는 가정에서의 갈 등 수준이 낮아짐으로써 일과 가정 사이의 양립이 가능하게 하여 이를 통하여 조직에서는 근 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근로 환경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 다. 뿐만 아니라 일과 가정의 갈등과 관련된 개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61 , 일과 가정의 균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특히 일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는 결과가 확인, 되었다(Byron, 2005). 또한 양동민 심덕섭의 연구, (2015)에서 높은 수준의 직무요구와 낮은 수 준의 직무통제는 일 생활 갈등을 증가시키므로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 -났다 직무요구는 조직 관리자가 조직구성원에게 요구하는 육체적 정서적 부담을 의미하는 것. , 으로 업무 과부하(Work Load), 시간적 압박(Time pressure),그리고 역할 갈등 등이 있다 전( 우한, 2013). 높은 직무요구는 업무시간 내 업무의 종료를 어렵게 하여 결국 업무시간 종료 후 에도 직장 또는 가정에서 업무의 연계로 이어지기 때문이며 이러한 직무요구가 일 가정 갈등, -을 야기시킨다고 보고 있다 박재춘( , 2017). 직무통제는 직무수행에 있어 구성원의 선택과 의사 결정의 재량이 어느 정도인가를 뜻하는 것으로 자신의 업무를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일 가정 , -모두에 만족감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동민 심덕섭( , , 2015). 또한 사회적 지지는 일 생활 균형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보고되었으며 - (Smith & 박정열 손영미 신규리 이는 일과 가정의 병행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 Gardner, 2007; , , , 2016),

(14)

을 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송다영 장수정 김은지( , , , 2010).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에서는 개 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를 들고 있으며 김정희 현미열 김숙영( , , , 2009; 김하자 김정희, , 2011), 이는 대인관계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원이며 일 생활 , -균형을 도모하여 간호사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통제 가능하게 함으 로써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하게 한다 한진아 김미진( , , 2016). 또한 직장 내 상사의 지원은 일 -가정 갈등을 감소하게 하였고 원숙연( , 2005; 유계숙, 2008), 상사의 지지가 있을 경우 가정 갈등 문제에서 기혼 직장 여성의 갈등을 완화시켜주고 일 생활 균형을 유지하며 직업 만족도를 높, - , 여주는 것과 관련 있음을 나타냄으로써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Byron, 2005, 박정열 손영미 신규리, , , 2016). 현재까지 수행된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연구는 직업 및 조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 ,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연구는 가사와 육아 교대근무 등의 직무 - , 특성 그리고 사회적 지지 등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나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일 생활 균형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 , -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 정도를 - 파악하고 교대근무 간호사의 ,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교대근무 간호사 - , 개인에게는 일 생 -활 균형을 통한 성장을 그리고 병원과 간호조직에게는 구성원의 일 생-활 균형을 높일 수 있는 ,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5)

연구의 목적

B.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의 정도를 파악하고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 - ,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의 정도 - , , , , 를 파악한다 . 둘째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간의 상 , - , , , , 관관계를 파악한다 . 셋째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의 차이를 파악한다 , - . 넷째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 - .

(16)

용어의 정의

C.

일 생활 균형

1.

-이론적 정의 (1) 일과 일 이외의 영역 간에 시간과 신체적 및 심리적 에너지를 균등하게 할당함으로써 생활 의 모든 영역에서 만족스러운 상태를 의미한다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장훈( , , , , 2005). 조작적 정의 (2) 본 연구에서는 김정운과 박정열 이 개발한 일 생활 균형 척도를 (2008) - (Work-Life Balance)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건강상태

2.

이론적 정의 (1) 세계 보건기구 에서 건강이란 질병이나 장애가 없을 뿐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 (WHO) , , , 적으로 안녕한 상태로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어 개체와 그 환경 사이의 균형을 이루고 있는 , 상태를 말한다. 조작적 정의 (2) 본 연구에서는 건강문제 호소율을 뜻하며, 김윤신(1979)이 일본 동경대학 의학부 보건학과에 서 신체적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건강조사표 를 한국판 Todai Health Index(THI) 건강조사표로 번안한 것을 임경희(2002)가 수정 보완한 ·

(17)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직무요구

3.

이론적 정의 (1) 특정 직무가 해당 직무 담당자에게 요구하는 육체적 정신적 노력과 부담 업무량 시간적 압 , , , 박 역할갈등 등을 의미한다, (Karasek, 1998). 조작적 정의 (2)

본 연구에서는 Karasek (1998)등 의 직무 스트레스 측정 설문지인 Job Content Questionnaire

를 조성일 이 번안한 설문 문항 중 (JCQ) (2004) 직무요구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 직무통제

이론적 정의 (1) 일의 수행 및 과업에 걸쳐 해당 직무 담당자가 얼마나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가 정도를 의미한다(Karasek, 1998). 조작적 정의 (2) 본 연구에서는 Karasek 등(1998)의 직무 스트레스 측정 설문지인 JCQ를 조성일(2004)이 번안 한 설문 문항 중 직무통제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18)

사회적 지지

5.

이론적 정의 (1) 넓은 의미로 한 개인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인들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Cohen & Hoberman, 1983). 조작적 정의

(2)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개인적 자원 즉 가족 친구 및 조직 내 상사와 동료를

, ,

의 개인자원설문지를 김정희

Weinert (1988)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PRQ- ) Ⅱ Ⅱ 가

(19)

문헌 고찰

.

일 생활 균형

A.

-일과 일 이외의 영역 간에 시간 신체적 심리적 에너지를 균등하게 할당함으로써 생활의 모 , · 든 영역에서 만족스러워하는 상태를 의미한다(김정운 외, 2005). 정보기술 발달 기업의 경영환, 경 변화 여성의 사회진출 등으로 인해 과거 사회와는 달리 개인 생활을 우선시 하는 경향이 , 나타났으며, 일과 생활의 갈등과 조화가 개인 뿐 아니라 가족 동료 조직에까지 영향을 준다, , , 는 연구결과들이 나타남에 따라 두 영역 간에 균형이 중요한 사회적 관심거리가 되었다 김귀( 례, 2008; 김주엽 박상언, , & 지혜정, 2011). 하지만 일 생활 균형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일과 생활의 어떠한 영역과의 균형인지 규정되어 -야 한다. Greenhaus(2003)는 일 생활 균형의 영역을 일 가정 여가생활 자기개발 취미생활로 - , , , , 분류하였고 김정운 박정열 , , (2008)은 일 가정 여가 여가생활과 건강, , ( ), 성장 교육과 자기개발( ) 의 가지 영역을 분류하였으며 김종관 이윤경 4 , , (2009)은 가정 자신 놀이 및 여가영역으로 분, , 류하였다 이와 같이 많은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일 생활 균형의 주요 영역을 가정 성장 여. - , , 가로 전제하였다. 또한 , 일 생활 균형의 용어를 보면 굉장히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합의 된 개념이 없다(Rantanen et al., 2011). 일 생활 균형은 일 가정 갈등 균형 양립 일- ‘ - · · ’, 과 생활의 균형 일과 삶의 조화 균형, · , Work-Life Balance’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으 나(Stratigaki, 2004), 본 연구에서는 용어의 혼재를 막기 위해 일 생활 균형 으로 통일하고자 ‘ - ’ 한다. 일 생활 균형을 설명하는 대표적 이론으로 갈등이론 이 있다 갈등 이론은 - (Conflict Theory) . 개인이 일과 생활의 영역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일 또는 생활에서의 요구가 높, 아지게 되면 두 가지 영역에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Greenhaus & Beutell, 1985). Greenhaus & Beutell(1985)은 이러한 갈등 이론을 시간기반(time-based), 긴장기반(strain-based), 행동기반(behavior-based)으로 구분하여 역할갈등을 제시하였다 먼저 시간기반 갈등은 일과 생활에서 어느 한쪽 역할의 시간이 길어져 . 다른 역할을 수행할 시간적인 여력이 없어서 발생하는 갈등이다 장시간 근무를 하는 조직일수.

(20)

록 종업원은 가정에 투자 할 역할 수행 시간이 부족하여 스트레스를 초래하고(Parasuraman, 각 영역에서의 시간적 요구에 의한 갈등은 정서적 직무소 Purohit, Godshalk, & Beutell, 1996),

진을 유발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Mesmer-Magnus & Viswesvaran, 2006). 긴장기반 갈등은 한 역할에서 경험한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이 다른 역할 수행을 방해하는 갈등을 뜻한 다 실제로 한 역할의 수행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생한 피로와 긴장으로 인해 다른 역할 수행. 을 방해하게 되므로 시간기반 갈등과 긴장기반 갈등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두영( , 2003), 스트레스의 관점에서 일과 가정의 갈등은 정서적 고갈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석영 ( 외, 2012). 행동기반 갈등은 일과 생활의 영역에서 기대하는 역할의 행동이 상호 부합하지 않 아 상충되어 나타나며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보고 있다, (Eby et al., 2005). 자원 보존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에 따르면 개인은 시간 에너지 능력 등의 보유한 , , 자원을 유지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Hobfoll, 1989). 그러나 한정된 자원에서 일 또는 생활 한쪽의 요구가 높아지게 되면 다른 쪽에서 개인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충족시키 지 못하게 되고 또한 자원을 손실하거나 손실의 위험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심리적 스트레스, 와 정서적 소진을 유발할 수 있다(Frone, Russell, & Cooper, 1992; Wright & Cropanzano,

이상의 이론을 종합해 보면 일과 생활의 두 영역은 구분되어 있으며 개인은 두 가지의 1998). , 균형을 이루었을 때 만족감을 얻을 수 있으나 시간적으로 한쪽으로만 편중하게 된다면 역할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스트레스나 직무소진으로 이어진다고 밝히고 있다 성윤지 전인 ( , , 2019). 일 생활 균형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초기에는 일과 일 이외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일 이 - , 외의 영역의 초점을 가정으로 맞추어 여성 복지 가정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 . 이후에는 인적자원개발과 경영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일 생활 균형의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더 활발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김현덕( , 2017).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 생활 균형은 근로자 및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직무만족 - , , 이직의도 등과 같은 조직 효과성 변인들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김미정( , 2016). 즉 일과 생활 에 균형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신체적 정신적 건강저하와 함께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 직무, , 만족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이직률 증가를 초래한다 박정열 ( & 손영미, 2005; 박종찬, 2009; 이혜 정 & 유규창, 2013). 반면에 일 생활 불균형은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고 업무몰입을 높여- , 직무만족 뿐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킨다고 보고된다 전문혁( , 2012;

(21)

김미정, 2016).

일 생활 균형 영향요인

B.

-년대 한국은 산업화 시대를 겪으면서 공동체 의식과 근면성을 중시하며 한 회사에 1960~70 충성을 다하던 베이비붐 세대가 주축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개인의 삶을 더욱 중시하며 . 개인생활의 만족이 업무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즉 기업의 최대. , 성과를 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개인의 삶을 중요시한다 일 생활 균형이 개인생활에서 . -조직성과까지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다수의 연구결과가 2000년을 전후로 발표됨에 따라 두 영 역 간에 균형은 주요한 사회적 관심거리가 되었다 김귀례 ( 2008, 김정운 박정열 , 2004). 특히 김수경(2017) 연구에서는 간호사에게 일 생활 균형은 일과 가정에서의 시간 신체적 심- , · 리적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간호 업무 만족 및 개인의 성장과 여가만족 나아가 가정, 의 만족을 이루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밝혔으며 간호의 질을 높이고 환자의 결과에 긍, 정적 영향을 가져오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고되었다(Makabe, Takagai, Asanuma, Ohtomo, & Kimura, 2015).

년 이전에는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연구 김종관 이윤 2010 - ( , 경, 2009; 송광선 이유덕, , 2008; 손영미 외, 2011)와 국가적 차원에서 일 생활 균형을 위해 실 -시되는 정책이나 제도의 효과성을 밝히는 연구 최성일 유계숙( , , 2007; 문은영 최나리, , 2010; 이 유덕, 2011)가 주를 이루었다 정미숙 김현리. , (2017) 연구에서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특성 근로 특성 조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 . , , 교육수준 건강상태 자녀 수 및 부모 동거여부 근로특성으로는 근로형태 직장유형 평균임금, , , , , , 고용형태 평균 근로시간 등이었으며 조직특성으로는 자율성 시간제근무 상사나 동료의 지원, , , 유무 모성보호 양육서비스가 일 생활 균형에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었다 김유진, , - ( , 2016; 이지혜, 정미숙 김현리 이윤정 2017; Camerino, 2010; , , & , 2017). 년 근로환경조사 원시 자료를 이차 분석한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 2014 -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성별 건강상태 주당 근무시간 야간근무 근무유연성 등이 간호사의 , , , ,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정미숙 김현리- ( , , & 이윤정, 2017). 또한 국외 연구에서도 직위 근무 부서 근무형태 주당 근무시간 부서이동 등이 일 생활 균형에 중요 요, , , ,

(22)

-소로 보고되었다(Makabe, Takagai, Asanuma, Ohtomo, & Kimura, 2015).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가 , , , 일 생활 균형에 -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각각의 요인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건강상태

1.

건강상태란 질병이나 장애가 없을 뿐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로 , , , ,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어 개체와 그 환경 사이의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WHO, 일반적으로 건강상태는 개인이 건강에 대해 지각하는 것으로 개인이 안녕을 느끼며 생 1970). 활 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Ware, 1979)라고 할 수 있다

.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는 연령 임상경력이 증가할수록 , , 기혼일수록 한 달 동안의 밤근무 횟수가 적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 증진행위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경 이태용 김광환( , , , 김혜영 윤은자 또한 근무부서 보수 만족도에 따라 근무 시 수면을 취하기 어려 2010; , , 2010). , , 운 군에서 과도한 피로를 느끼는 군에서 신체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다 문인오 이윤주, ( , , 2015). 또한 한국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정미숙 김현리와 이윤정의 , - , 연구(2017)에서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 생활 균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각하여 건강상태- , 가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성 직장인 특히 기혼의 경우 개인의 - . 건강상태가 일 가정 양립 및 갈등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김현동 김명희- ( , , 2011; 김준기 양지숙, , 2012; 이양숙 장수정, , 2013; 정미숙 외, 2017). , 즉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장- 가정 갈등 수준이 낮고 일 가정 사이의 양립을 높게 경험하므로 개인의 건강상태가 일 생활 , -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상태는 일 생활 균형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교대근무 간호사들은 이를 인지하지만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부족하여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3)

직무요구

2.

직무요구는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업무수행에 육체적 정신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피

,

로감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게 하며 육체적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업무특성으로 , ,

정의된다(Karasek et al., 1998). Demerouti(2004)은 직무요구란 조직구성원에게 계속적인 육체 적 인지적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역할 갈등 역할모호성 업무 과부하, , , , 등이 포함된다 또한 직무요구는 직무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급여 직무와 관련된 태도 인간. , , 관계 등 외부 조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라고 정의하였다 김봉규( , 2006

).

는 직무요구란 도전적으로 평가하는 요구와 방해물로 여기지는 요구로 구 Cavanaugh(2000) 분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도전적으로 평가되는 요구는 직무담당자에게 미래의 발전에 대해 도. 움이 되거나 자기 발전과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방해물로 여겨지는 요구는 . 직무담당자에게 일정 수준을 넘어 업무를 수행하라고 하는 요구를 말한다 방해물로 여겨지는 . 요구는 조직구성원의 개인적인 성장과 목표달성 등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채연 ( , 2018). 선행연구에서 직무요구가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Evangelia Demerouti, Bakker,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야기시키는 과중한 업무의 직무요 Nachreiner, & Schaufeli, 2001), ,

구는 일 가정의 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Lu et al., 2010). 임창희와 이승윤 연구에서도 직무요구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웰빙 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 (2013) (well-being) 음을 입증하였다. 직무요구와 일 가정 갈등 간의 관계는 종업원들이 가진 자원관점 에서 설명할 - (Hobfoll, 2002) 수 있는데 한 종업원이 가진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직무요구는 일과 가정 모, 두에 자신이 가진 자원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직무요구에 처한 종. 업원은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 대부분을 일에 쓰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가정의 요구에 적절하 게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할 수 없게 된다(Valcour, 2007). 게다가 높은 직무요구 수준의 압박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일과 가정에서의 역할 모호성을 야기하여 일을 하지 않는 시간조차도 그러 한 압박에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 상황을 가져오게 한다(Schieman and Young, 2010). 이러한 종업원은 일과 가정 간의 균형을 경험하지 못하고 갈등을 겪게 된다 즉 업무과중으로 . , 많은 시간동안 일을 해야 하는 것처럼 높은 직무요구에 있는 종업원은 일과 가정에서의 요구

(24)

를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고 일 가정 갈등을 경험한다- . Hill, Martinson,

와 와 와 같은 연구자들은 근무 시간과 일 가정 균형 간

Ferris Baker(2004), Milkie Peltola(1999)

-의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실증하였고, Major, Klein과 Erhart (2002) 역시 높은 직무요구 수준은 보다 높은 수준의 일 가정 갈등과 연결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가 인식하는 직무요구의 정도를 파악하고 일 생활 균형 ,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직무통제

3.

직무통제(job control)란 일의 수행 및 과업에 걸쳐 해당 직무 담당자가 얼마나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가 정도를 의미한다(Karasek et al., 1998). 이는 일의 계획과 방법 순서를 해당 , 직무담당자가 얼마나 자율적으로 결정 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Karasek, 1979; 권성현, 2008). 즉, 직무통제는 직무수행에 있어 구성원의 선택과 의사결정의 재량이 어느 정도인가를 뜻한 다 자신의 업무를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일 가정 모두에 만족감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자. -원이다 왜냐하면 이는 종업원이 요구받는 여러 가지 다양한 역할을 잘 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 이기 때문이다(Kossek, Lautsch and Eaton, 2006).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일정관리 혹 은 가정에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량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통제수준 이 높아지면 직장과 가정 양쪽 영역에서 각각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 , 특정 불이익 없이 일과 가정 모두에서 보다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Thomas and 반면 직무통제가 낮은 종업원의 경우 가정에 중요한 일이 생긴다 할지라도 자 Ganster, 1995). , 신의 직무를 통제할 만한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일 가정 -갈등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직무통제와 일 가정 갈등의 부 적 영향관계는 여러 . - (-) 선행연구들에서 지지되어 왔다(Duxbury, Higgins and Lee, 1994; Thomans and Ganster, 1995).

따라서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가 인식하는 직무통제의 정도를 파악하고 일 생활 균형

,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25)

사회적 지지

4.

사회적 지지란 넓은 의미로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인들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긍정적인 자 원으로 볼 수 있으며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망 안에 있는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대인관계, , 를 의미한다 신지연( , 2014; 안지영, 2015). 박지원(1985)은 사회적 지지를 사회 속에서 타인으로 부터 얻고 있는 실제 지지받고 있는 정도와 제공 받을 수 있다고 기대한 정도 및 사회적 지지 의 요구가 실제 충족된 주관적 지각 정도로 정의하였고, Cobb(1976)는 사회적 지지를 타인으 로부터 따뜻한 관심을 받고 있다는 믿음을 주고 가치를 인정하여 사회조직의 일원이라는 것을 , 믿게 하는 정도를 말한다고 하였다 또한 손경애 고종욱. , (2007)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어려운 상황에 놓였을 때 타인에게 받는 도움으로 학교 직장 가정 등에서 주고받는 여러가지 , , 상호작용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혼 여성이 대상인 양소남 의 연구에서 모든 대상자는 일과 가 , (2011) 정 양립에는 배우자와 긍정적인 관계 유지가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원숙연. 연구에서 상사의 지지는 일과 가족의 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지적인 상 (2005) , 사가 있을 경우 기혼 직장여성의 갈등은 완화되고 직업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해야 하는 조직의 특성 상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지 (Byron, 2005). 는 간호사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업무 스트레스 감소에도 영향을 준다 고아영 간호사를 대상으로 상사와 동료 가족 친구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는 업무성과 ( , 2012). , ,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역할갈등과 간호사 적응력의 압박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이 직장과 가정에서 다중역할을 통해 이중부담감을 가지고 갈 (Wang & Tsai, 2014).

등을 경험할 수 있으나 직장과 가정에서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일 가정 향상이 높, -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윤진( , 2012; 최윤정, 2011). 의 연구에서 취학 전 아동의 부모는 상사가 가정에 긴급한 일이 벌어졌을 Goff et al.(1990) 때 유연성을 보여주고 가족 관련 문제들을 의논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을수 록 낮은 일 가족 갈등을 보고하였고- , Frye, Breaugh(2004) 연구에서는 상사의 지지는 일과 가 정의 갈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에서의 상사의 지지가 일하는 기혼 여성의 . 일과 가족의 양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일 생활 균형을 증진시키는 주요 영향요인이며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 - ,

(26)
(27)

연구방법

.

연구 설계

A.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 일 생활 균형 정도를 파악 및 일 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B.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개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이다 대상자 선정기준 2 . 은 일반병동 응급실 중환자실에서 만 년 이상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로 본 연구 참여, , 1 에 동의한 자이다 단. , 1년 미만의 근무경력을 가진 신규간호사 수간호사 그리고 교대근무를 , 하지않는 임산부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 program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방법에 필요한 최소 대상자 수를 산출하였다 다중 회귀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 .05, 효과크기 .15, 검정력 .80, 예측변수 개로 설10 정한 경우 최소 필요 대상자는 118명으로 나타났다 탈락율 . 20%를 고려한 목표 연구대상자 수 는 14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150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부 응답에 누락이 있 었던 부를 제외한 총 2 148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포함하였다.

연구 도구

C.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 생활 균형- (29문항), 건강상태(30문항), 직무요 구 문항 직무통제 문항(5 ), (9 ), 사회적 지지(21문항 일반적 특성 문항 으로 총 ), (9 ) 103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도구 사용에 대해 자료 수집 전 도구 개발자들에게 사전 승인을 받. 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28)

일 생활 균형

1.

김정운과 박정열(2008)이 고안한 일 삶의 균형- (Work-Life Balance)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이 도구는 총 . 29문항이며, 4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지며 일 가족 균형 문항 일 여, - 8 , -가 균형 문항 일 성장 균형 문항 전반적 평-가 문항이다 매우 그렇다8 , - 9 , 4 . ‘ ’ 1 , ‘점 전혀 아니다’ 점의 점 척도로 5 5 Likert 원 척도에서는 점수가 높을수록 일 생활 균형이 낮음을 의미하나 해- , 당 연구에서는 해석 편의를 위하여 통계 분석 시 각 문항을 역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일-생활 균형이 높은 것으로 변환하였다. 따라서 각 하위 영역의 점수 총합이 높을수록 일 일-생활 -균형이 높음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 Chronbach’s α = .93이었으며 본 연구의 , Chronbach’s α = 였다 .95 .

건강상태

2.

김윤신 이 일본 동경대학 의학부 보건학과에서 작성한 것을 한국판 (1979) THI(Todai Health 건강조사표로 번안한 것을 임경희 가 수정 보완 한 척도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Index) (2002) · . 총 30문항으로 가지 하위영역은 신체적 영역4 (10문항), 사회적 영역(10문항), 영적 영역 문항(3 ), 정신적 영역 문항 으로 나누어 진다(7 ) . 매우 그렇지않다‘ ’ 1 , ‘점 매우 그렇다’ 5점의 점 5 Likert 척도로 전체 문항이 부정적인 질문으로 되어 있어 통계 분석 시 역코딩 하여 분석하였다 따라. 서 각 하위 영역의 점수 총합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한 김미애(20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 .87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 .92α 였다.

직무요구

3.

직무요구는 조성일(2004)이 번안한 Karasek (1998)의 Job Content Questonnaire 설문 문항 중 우리나라 직무스트레스연구회의 협력으로 근무환경에 맞게 번역한 한국판 직무내용 설문 문항 중 직무요구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 본 연구자가 다른 설문 문항. , 과 유사성이 없는 문항은 제외시켰으며 해석의 편의를 위하여 문항은 역코딩하여 진행하였1 , 2

(29)

다 총 문항으로. 5 ‘전혀 그렇지 않다’ 1 , ‘점 매우 그렇다’ 5점의 점 5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심리적 부담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연구 개발 당시 도구 신뢰 도는 Cronbach's α = .63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 .72였다.

직무통제

4.

직무통제는

조성일(2004)이 번안한 Karasek (1998)의 Job Content Questonnaire 설문 문항 중 우리나라 직무스트레스연구회의 협력으로 근무환경에 맞게 번역한 한국판 직무내용 설문문 항 중 직무통제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해석의 편의를 위하여 문항은 , 1 역코딩하여 진행하였다 총 문항으로 . 9 ‘전혀 그렇지 않다’ 1 , ‘점 매우 그렇다’ 5점의 점 5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다 높은 점수일수록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기량을 활용할 수 있는 . 기회가 많음을 의미하며 연구 개발 당시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 .72였고 해당 연구에, 서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 .50였다.

사회적 지지

5.

사회적 지지는 김정희 가 의 개인자원설문지를 번안 및 수정하 (2000) Weinert (1988) PRQ-Ⅱ 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 21개 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 , ‘점 매우 그렇다’ 5점의 점 척도로 구성되었고 높은 5 Likert , 점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김정희. (2000) 연 구에서 개발 당시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 .89였고 본 연구에서 , Cronbach's = .95α 였 다.

일반적 특성

6.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종교 현 직위 총 임상경력, , , , , , , 근무부서 한달 밤 근무 횟수 외 총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9 .

(30)

자료 수집 방법

D.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의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의 승인을

(Institutional Review Board)

받은 후 자료수집을 진행하였고 자료조사 기간은 , 2019년 월 일부터 2 1 2019년 월 2 28일까지였 다 자료수집을 위해 설문을 시행할 병원 간호부의 허가와 관리자의 협조를 얻은 후 개 기관. 2 에서 각각 100 , 50명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 . 150부는 각 병원별로 내 외· 과 병동 응급실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당하여 배포하였다 연, , . 구 대상자에게는 연구 설명문을 활용하여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을 알렸으며 무기명으로 작, 성한 설문지는 회수용 봉투에 밀봉하여 연구자가 직접 회수하였다 연구의 응답자에게는 소정. 의 기념품을 제공하였으며, 총 15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50부 모두 회수되었으며 일부 응, 답에 누락이 있었던 부를 제외한 총 2 148부를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E 자료 분석 방법

.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WIN 24.0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경우 빈도 백분율 평균 그리고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1) , , , .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는 평균 및 표준 2) - , , , , 편차로 제시하였다 .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는 3) - , , , , 로 제시하였다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의 정도를 와 로 분석

4) - t-test one way ANOVA

하였다 .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하였다

(31)

윤리적 고려

F.

해당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서 기관연구 윤리심위의원회의 승 인(AJIRB-MED-SUR-18-502)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 호하기 위해 연구의 목적과 방법 개인 정보 보호 및 설문의 내용이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됨을 , 연구 설명문에 명시하였다 그리고 사생활 보장과 연구 참여 중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 수 있다는 내용과 이에 따른 불이익은 없음을 명시하였고 본 연구에 동의한 교대근무 간호사, 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 된 설문지는 밀봉하여 보관하며 통계자료는 연구자만 . , 접근가능한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연구 대상자가 향후 연구 피험자로서의 권리에 관한 문의가 . 있을 경우 연락가능한 기관윤리 심의위원회와 연구자의 연락처를 제공하였다.

(32)

연구결과

.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 1>과 같다 전체 . 148명 중 연령은 30세 이하가 72명 으로 가장 많았고 세 사이가 명 그리고 세 이상 명 순으로 (48.6%) , 31 40∼ 51 (34.5%) 41 25 (16.9%)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 . 132 (89.2%), 명 남자 16 (10.8%)명 이였고 미혼이 , 90 (60.8%)명 으로 기혼 명 보다 많았다 학력은 전문학사 명 학사 이상 명 이였다 또한 연 58 (39.2%) . 77 (52.0%), 71 (48.0%) . 구대상자 중에서 종교가 없는 대상자가 95 (64.2%)명 이고 반면에 종교를 가진 대상자가 53명 으로 나타났다 (35.8%) . 현재 직위가 일반간호사 134 (90.5%)명 과 책임간호사 14 (9.5%)명 으로 구성되었다 근무부서의 . 경우 일반병동 117 (79.1%)명 과 응급실 및 중환자실을 포함한 특수병동 31 (20.9%) 명 나타났다. 월별 밤 근무 횟수는 회 이하가 6 90 (60.8%), 7명 회 이상이 58 (39.2%)명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 임상경력은 년 미만 3 73 (49.3%)명 로 가장 많았고, 3 ~6년 년 사이 29 (19.6%), 명 그리고 년 초과 6 명 로 나타났다 46 (31.1%) .

(3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 (N=148) 특성 구분 n(%) 연령 세( ) ≤30 72(48.6%) 31 40∼ 51(34.5%) ≥41 25(16.9%) 성별 남 16(10.8%) 여 132(89.2%) 결혼유무 기혼 58(39.2%) 미혼 90(60.8%) 학력 전문학사 77(52.0%) 학사 이상 71(48.0%) 종교 있음 53(35.8%) 없음 95(64.2%) 일반간호사 134(90.5%) 현 직위 책임간호사 14(9.5%) 근무부서 일반병동 117(79.1%) 특수병동 31(20.9%) 밤 근무 횟수 월( ) ≤6 90(60.8%) 7 ≥ 58(39.2%) 임상경력 년( ) <3  73(49.3%) 3 6∼ 29(19.6%) >6 46(31.1%)

(34)

연구 대상자의 B.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 , , , ,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는 표 - , , , , < 2>와 같다. 일 생활 균형은 점 만점에 평균 점 평균평점 - 145 86.13±19.05 ( 2.97±0.66)이었다 하위영역으로 . 일 가정 균형- (40 ) 점 평균 26.03±5.19 , -점 일 여가 균형(40 ) 점 평균 22.58±6.87 , -점 일 성장 균형 점 평균 점 일 생활 전반적 균형 점 평균 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 (45 ) 26.53±6.81 , - (20 ) 10.99±3.57 . 역 평균평점을 산출한 결과 일 가정 균형이 , - 3.25±0.6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 성장 균형 일, - , 여가 균형 일 생활 전반적 균형 순으로 나타났다 - , - . 건강상태 총점은 점 만점에 평균 점 평균평점 150 76.13±16.87 ( 2.54±0.56)이었다 하위영역으로 . 신체적 영역(50 ) 25.78±6.86 , 점 점 정신적 영역(35 ) 19.12±5.32 , 점 점 영적 영역(15 ) 6.79±2.60 , 점 점 사회적 영역(50 ) 24.44±5.51점 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 비교를 위해 평균평점을 산출한 , 결과 정신적 영역이 , 2.73±0.76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영적 영역 순으, , , 로 나타났다. 직무요구의 경우 점 만점에 평균 점 평균평점 20 14.82±2.59 ( 3.70±0.65)이었다 그리고 직무 통. 제 총점 점에 평균 45 30.21±3.63 (점 평균평점 3.36±0.40)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 사회적 지지 의 경우 총점 105점 만점에 평균 79.77±12.82 (점 평균평점 3.80±0.61)으로 조사되었다.

(35)

< 2>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 , , , , (N=148) 변수 범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총점) 평균 표준편차±(항목) 일 생활 균형- 29 145∼ 29 145 86.13±19.05 2.97±0.66 일 가정 균형- 8 40∼ 8 37 26.03±5.19 3.25±0.65 일 여가 균형- 8 40∼ 8 40 22.58±6.87 2.82±0.86 일 성장 균형 - 9 45∼ 9 45 26.53±6.81 2.95±0.76 일 생활 -전반적 균형 4 20∼ 4 20 10.99±3.57 2.75±0.89 건강상태 30 150∼ 54 142 76.13±16.87 2.54±0.56 신체적 영역 10 50∼ 16 50 25.78±6.86 2.58±0.69 정신적 영역 7 35∼ 10 35 19.12±5.32 2.73±0.76 영적 영역 3 15∼ 3 15 6.79±2.60 2.26±0.87 사회적 영역 10 50∼ 19 50 24.44±5.51 2.44±0.55 직무요구 4 20∼ 11 20 14.82±2.59 3.70±0.65 직무통제 9 45∼ 21 40 30.21±3.63 3.36±0.40 사회적 지지 21 105∼ 35 105 79.77±12.82 3.80±0.61

(36)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C. - , , , ,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통제 사회적 지지- , , - , 간의 상관관계는 표 < 3>과 같다. 일 생활 균형은 건강상태 - (r=-0.55,

p

<.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 강상태의 하위영역별 관계는 일 생활 균형은 신체적 영역- (r=-0.36,

p

<.001), 정신적 영역 (r=-0.51,

p

<.001), 영적 영역(r=-0.51,

p

<.001), 사회적 영역(r=-0.51,

p

<.001) 모두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 생활 균형은 직무요구 - (r=-0.21,

p=.011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 회적 지지(r=0.41,

p<.001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7)

< 3>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 , , (N=148) 변수   1 1-1 1-2 1-3 1-4 건강상태 2. (<.001)-0.55 (<.001)-0.39 (<.001)-0.49 (<.001)-0.49 (<.001)-0.49 신체적 영역 2-1. (<.001)-0.36 (<.001)-0.22 (<.001)-0.35 (<.001)-0.31 (<.001)-0.35 정신적 영역 2-2. (<.001)-0.51 (<.001)-0.33 (<.001)-0.47 (<.001)-0.44 (<.001)-0.49 영적 영역 2-3. (<.001)-0.51 (<.001)-0.35 (<.001)-0.43 (<.001)-0.54 (<.001)-0.35 사회적 영역 2-4. (<.001)-0.51 (<.001)-0.45 (<.001)-0.41 (<.001)-0.43 (<.001)-0.44 직무요구 3. -0.21(.011) -0.16(.044) -0.17(.039) -0.09(.258) (<.001)-0.36 직무통제 4. -0.06(.437) -0.16(.046) -0.06(.447) (.290)0.09 (.068)-0.15 사회적 지지 5. (<.001)0.41 (<.001)0.37 (<.001)0.35 (<.001)0.40 (<.001)0.18

(38)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의 차이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 <표 4>와 같다. 성별 (F=6.49,

p=

.005)에서 집단 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종교. , , , , 현 직위 근무부서 월 밤 근무 횟수에 따른 일 생활 균형 점수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 , -차이가 없었다.

(39)

<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생활 균형 차이 -(N=148)   특성  구분 일 생활 균형 -평균 표준편차± t or F p 연령 세( ) ≤30 2.97±0.69 0.26 .765 31~40 3.01±0.64 ≥40 2.90±0.63 성별 여 2.92±0.65 6.49 .005 남 3.36±0.66 결혼 여부 기혼미혼 2.96±0.622.97±0.68 0.01 .943 최종 학력 전문학사학사 이상 2.93±0.673.02±0.65 0.70 .417 종교 있음 2.99±0.62 0.11 .743 없음 2.96±0.68 현 직위 일반간호사 2.99±0.64 1.49 .221 책임간호사 2.76±0.85 근무 부서 일반병동특수병동 2.94±0.653.08±0.67 1.12 .290 밤 근무 횟수 월 ( ) ≤6 2.97±0.63 0.03 .867 7 ≥ 2.96±0.70 임상경력 년( ) <3  2.98±0.70 1.20 .312 3 6∼ 3.14±0.61 >6 2.88±0.62

(40)

연구 E.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영향요인 분석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표 < 5>와 같다.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일 생활 균형을 종속변수로 - -선정하고 일 생활 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일반적 특성의 성별과 건강상태, - ,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단계적, , (stepwise)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가변수로 처리하여 투입하였으며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정하기 위. , 하여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확인한 결과 공차한계, (tolerance)의 범위는 0.88∼ 로 이상이었으며 0.97 0.1 , 분산팽창인자(VIF) 범위도 1.11∼1.24로 기준치인 10 보다 크지 않으 므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잔차의 가정을 만족하기 위한 검정 결과 잔차의 . 선형성 등분산성 정규성의 가정도 만족하였으며, , , Durbin-Watson을 이용하여 오차의 자기상 관을 검정한 결과 1.91로 2 에 가까우므로 자기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회귀분. 석의 가정이 모두 충족되었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해당 분석 모델의 설명력은 , 41.3%(F=33.98, p<.001),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 생활 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 =-0.41, β p<.001), 직무요구( =-0.25, β p=<.001), 사회적 지지( =0.32, β p<.001)로 산출되었다. < 5>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N=148) 분류 B SE β t p R2 Adj R2 상수 ( ) 3.79 0.41 9.17 <.001 .413 .401 건강상태 -0.48 0.09 -0.41 -6.00 <.001 직무요구 -0.25 0.07 -0.25 -3.71 <.001 사회적 지지 0.35 0.08 0.32 4.63 <.001 F = 33.98 (p<.001), R2=.413, Adj R2=.401, Dubin-Watson = 1.91

수치

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t;1&gt;                                                                                                                                                              (N=148)      특성 구분 n(%) 연령 세 ( ) ≤30 72(48.6%) 31 40∼ 51(34.5%)
표 &lt; 2&gt;  연구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정도-, , , ,                                                                                                                                                                                (N=148) 변수 범위
표 &lt; 3&gt;  대상자의  일 생활  균형 건강상태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 ,                                                                                                                                                                  (N=148) 변수  1 1-1 1-2 1-3 1
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lt;6&gt; (N=148)   특성   구분 건강상태 평균 표준편차± t  or  F p 연령 세 ( ) ≤30 2.55±0.62 0.76 .471 31~40 2.47±0.48 ≥40 2.63±0.54 성별 여 2.58±0.55 8.29 .008 남 2.16±0.54 결혼 여부 기혼 미혼 2.56±0.502.52±0.61 0.13 .721 최종 학력 전문학사 학사  이상 2.60±0.57
+2

참조

관련 문서

If both these adjustments are considered, the resulting approach is called a bootstrap-BC a -method (bias- corrected-accelerated). A description of this approach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 Should you not be able to submit the document(s) (Apostille, academic certificate by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cate by a Korean consulate, bank statement with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