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NS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SNS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Copied!
6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NS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S N S 빅 데 이 터 자 료 를 활 용 한 밭 작 물 소 비 자 분 석 834 연구자료 -2 | 2017 R

SNS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채광석·김부영·민선형 834 연구자료-2 | 2017. 12. | R

(2)
(3)

연구 담당 채광석︱연구위원︱연구 총괄 김부영︱연구원︱자료 수집 민선형︱연구원︱빅데이터 분석 R834 연구자료-2 SNS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7.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02-2269-9917) I S B N︱979-11-6149-137-0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4)

i

일러두기

지금까지 경쟁력이란 경쟁국과 비교하거나 외관, 품질 등 일부 상품적 특성 에 대한 기술적 비교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밭작물의 경우, 대 부분 단순 1차 가공(세척 후 포장 등) 또는 원물로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이러 한 소비 패턴을 고려한 소비 분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는 밭작물 소비 특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최근 소비 트렌 드 분석 방법으로 주목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웹상의 키 워드를 분석하여 해당 주제(검색어)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 및 의견을 파악하는 것이다. 키워드 분석은 민간 데이터(다음소프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하 였다. SNS(뉴스/포털사이트/블로그/트위터/인터넷카페 등)의 댓글 등 가능한 많은 빅데이터 출처를 활용하여 분석대상 품목 또는 생산자단체에 대한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고, 이렇게 추출된 키워드를 활용하여 감성 분석과 연관어 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급 측면에서의 전략적 대응을 마련하고 궁 극적으로 밭작물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자료집이 밭작물의 소비 변화 트렌드 파악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5)
(6)

iii

차 례

제1장 서론 1. SNS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 방법 및 분석 자료··· 1 2. 분석 대상 작물 선정··· 3 제2장 분석 결과 1. 고구마··· 11 2. 감자··· 16 3. 잡곡··· 20 4. 토마토··· 25 5. 마늘/양파··· 30 6. 대파/쪽파··· 35 7. 고추··· 39 8. 배추··· 43 9. 부추··· 46 10. 버섯··· 49 제3장 결론 1. 작물별 시사점··· 53 2. 결론··· 55 참고문헌 ··· 59

(7)

iv

표 차례

제1장 <표 1-1> 소셜네트워크(SNS) 연관어 분류체계··· 2 <표 1-2> 밭작물 주산지 지정 품목··· 3 <표 1-3> 연도별 밭작물 생산액··· 4 <표 1-4> 식량작물/채소류 최근 5년 생산액··· 5 <표 1-5> 가구당 평균 구매액··· 6 <표 1-6> 품목별 구매빈도 순위··· 7 <표 1-7> 버섯 유형별 연간 구매동향(2010∼2016 평균) ··· 8 <표 1-8> 분석 대상 품목··· 9

(8)

v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1> 밭작물 생산액 추이··· 4 <그림 1-2> 밭 식량작물/채소류 5년 평균 생산액 비중··· 5 제2장 <그림 2-1> 연관어 분석 결과(고구마) ··· 13 <그림 2-2>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고구마) ··· 13 <그림 2-3>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고구마) ··· 14 <그림 2-4> 연관어 분석 결과(감자) ··· 16 <그림 2-5>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감자) ··· 18 <그림 2-6>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감자) ··· 19 <그림 2-7> 연관어 분석 결과(잡곡) ··· 21 <그림 2-8>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잡곡) ··· 22 <그림 2-9>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잡곡) ··· 23 <그림 2-10> 연관어 분석 결과(토마토) ··· 26 <그림 2-11>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토마토) ··· 28 <그림 2-12>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토마토) ··· 29 <그림 2-13> 마늘과 양파의 연관어 교집합 현황··· 30 <그림 2-14> 흑마늘 가공식품과 흑마늘 국수··· 31 <그림 2-15> 연관어 분석 결과(마늘) ··· 31 <그림 2-16> 연관어 분석 결과(양파) ··· 32 <그림 2-17>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마늘/양파) ··· 32 <그림 2-18>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마늘) ··· 33

(9)

vi <그림 2-19>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양파) ··· 34 <그림 2-20> 연관어 분석 결과(대파) ··· 36 <그림 2-21> 연관어 분석 결과(쪽파) ··· 36 <그림 2-22>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대파/쪽파) ··· 37 <그림 2-23>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대파) ··· 38 <그림 2-24>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쪽파) ··· 38 <그림 2-25> 연관어 분석 결과(고추) ··· 40 <그림 2-26>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고추) ··· 41 <그림 2-27>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고추) ··· 42 <그림 2-28> 빨간배추··· 43 <그림 2-29> 연관어 분석 결과(배추) ··· 44 <그림 2-30>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배추) ··· 44 <그림 2-31>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배추) ··· 45 <그림 2-32> 연관어 분석 결과(부추) ··· 46 <그림 2-33>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부추) ··· 47 <그림 2-34>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부추) ··· 48 <그림 2-35> 연관어 분석 결과(버섯) ··· 50 <그림 2-36>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버섯) ··· 50 <그림 2-37>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버섯) ··· 51

(10)

1

서 론

1. SNS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 방법 및 분석 자료

○ 키워드 분석이란 웹상의 검색어를 기반으로 해당 검색어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수치화할 수 없는 웹 이용자의 주관적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짐. ○ 특히, 소셜네트워크(SNS)에 대한 키워드 분석은 일상에서 잠재적 소비자의 선호를 유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음. - 소셜네트워크 내에서는 소비자-소비자, 생산자-소비자 간 정보의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SNS에 대한 키워드 분석은 최근 소비 트 렌드에 대한 신속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다음소프트(Daumsoft)에서 제공하는 소셜메트릭스(social

metrics)를 활용하여 트위터(twitter), 블로그(blog), 인스타그램(instagram),

각종 커뮤니티, 뉴스 등의 SNS를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음.

- 분석대상 기간은 2016년 10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총 1년이

(11)

2 ○ 키워드 분석은 연관어 분석과 감성 분석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음. 분석 결과 를 바탕으로 각 품목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도출하였음. 연관어 분석은, 특정 한 키워드를 검색할 때 함께 출현하는 연관어를 빈도순으로 나열하여 해당 키워드의 특성을 파악함. 일종의 네트워크 분석임. 본 분석에서 사용된 소셜 메트릭스의 경우 연관어 중 빈도가 가장 높은 상위 10개를 채택하여 구체적 으로 살펴봄. 감성 분석은 키워드와 연관된 자연어를 긍정 감성어와 부정 감 성어로 구분하여 웹 이용자의 주관적 반응을 분석하는 방법임. ○ 키워드 분석은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의 주 요 대상인 작물 그 자체에 대한 정보만을 담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작물과 연관성이 낮은 단어는 그 원인을 조사하여 제시함. 분류명 분류설명 전체 모든 연관어 인물 사회인, 스포츠인, 연예인, 기타 유명인, 지위·직업 등 인물 관련 명사 단체 정부·공공기관명, 사회단체명, 기업명, 교육기관명, 조직 관련 일반 명사 장소 행정구역, 자연지리, 인위적 장소, 장소 관련 일반 명사 상품 구매할 수 있는 소비재의 품목명 브랜드 구매할 수 있는 소비재 품목의 브랜드명 라이프 시간 명사, 의료·의약 용어, 교육·커리어 관련 용어, 일상생활 관련 용어 시사/경제 법명, 제도명, 경제 및 산업 관련 용어 문화/여가 영화명, 공연명, TV 프로그램명, 악기명, 문화재명, 문화·여가 관련 용어 자연/환경 동물, 식물, 물질, 자연환경 관련 용어 속성 제품·음식·사람·조직·장소의 특징을 나타내는 각종 속성 관련 용어 자료: 다음소프트(http://www.daumsoft.com: 2017. 5. 2.). <표 1-1> 소셜네트워크(SNS) 연관어 분류체계

(12)

3

2.

분석 대상 작물 선정

○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밭작물 가운데 정책적 관심이 높은 품목이면서도 생산 추세와 소비 추세를 반영하여 분석 대상을 선정하고자 함. - 정책적 관심이 높은 품목이란, 정부 차원에서 주산지 기준을 정의한 작 물로서 국내 농산물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생산 및 출하 조절 이 필요한 품목을 의미함. <표 1-2> 밭작물 주산지 지정 품목 식량작물류 채소류 곡물류 밀/보리 밀 엽경채류 배추 쌀보리 조미채소류 고추 겉보리 마늘 맥주보리 양파 두류 콩 대파 팥 생강 녹두 근채류 무 잡곡류 수수, 옥수수 당근 기장, 메밀 유지·특용작물류 참깨 조, 귀리 땅콩 서류 고구마 버섯류 감자 기타특작류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7). 󰡔사업시행지침서󰡕.

2.1. 생산 부문

○ 최근 10년간 농림생산액 중 밭작물별 비중을 살펴보면, 모든 연도에서 ‘채소 류>과수>식량작물(쌀 제외)>약용작물>특용작물’ 순으로 생산액 비중이 큼.

(13)

4 <표 1-3> 연도별 밭작물 생산액 단위: 십억 원, % 구분 2005 2010 2015 생산액 비중 생산액 비중 생산액 비중 식량작물 1,202 10.0 1,210 8.4 1,133 7.4 채소류 6,919 57.3 8,353 57.9 8,989 58.8 과실류 3,082 25.5 3,584 24.8 3,687 24.1 특용작물 347 2.9 371 2.6 547 3.6 약용작물 524 4.3 913 6.3 927 6.1 전체 12,073 100.0 14,431 100.0 15,284 100.0 주: 식량작물: 맥류(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밀), 잡곡(옥수수, 메밀), 두류(콩, 팥, 녹두), 서류(감자, 고구마) / 채소류: 엽채류(배추, 양배추, 시금치, 상추, 미나리, 쑥갓, 부추), 과채류(수박, 오이, 호박, 가지, 참외, 토마토, 딸기, 메론, 풋고추, 가지, 파프리카), 근채류(무, 당근, 우엉, 토란, 연근), 조미채소(고추, 마늘, 파, 양파, 생강), 양채류 / 과실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자두, 매실, 유자, 참다래, 무화과, 감 / 특용작물: 유지작물(참깨, 들깨, 땅콩), 기호작물 (차) / 약용작물: 강활, 구기자, 길경, 당귀, 맥문동, 방풍, 사삼, 산약, 의이인, 오미자, 작약, 지황, 천궁, 하수오, 황기, 천마, 감초, 복분자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6). 󰡔2016년도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 생산액 추이를 살펴보면 특용작물류를 제외한 전체 작물의 생산액은 2013년 이후 다소 감소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본 분석에서는 생산 액 비중이 크고 주산지 지정기준이 있는 식량작물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키 워드 분석을 실시함. <그림 1-1> 밭작물 생산액 추이 단위: 십억 원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6). 󰡔2016년도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통계자료 재가공.

(14)

5 ○ 각 작물군에서 중요한 품목을 선정하기 위해 최근 5년간 평균 생산액 비중 을 살펴봄. 식량작물의 경우, 서류와 두류의 생산액 비중이 각각 42%, 45% 를 차지하여 밭식량작물 생산액 중 비중이 가장 큼. 채소류의 경우, 생산액 비중이 과채류>조미채소류>엽채류>근채류>양채류 순임. <표 1-4> 식량작물/채소류 최근 5년 생산액 단위: 십억 원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5년 평균 식량 1,210 1,455 1,633 1,722 1,223 1,133 1,396 맥류 120 136 111 101 131 150 125 잡곡 59 59 66 59 48 43 56 두류 499 681 682 943 558 406 628 서류 532 578 775 619 486 535 587 채소 8,353 8,534 10,154 9,633 8,894 8,989 9,093 엽채류 1,408 1,326 1,640 1,342 1,247 1,136 1,350 과채류 4,236 3,956 4,953 4,972 5,099 4,874 4,682 근채류 584 544 579 629 571 569 579 조미채소 1,880 2,531 2,765 2,443 1,721 1,967 2,218 양채류 245 177 217 248 256 443 264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6). 󰡔2016년도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식량작물> <채소류> <그림 1-2> 밭 식량작물/채소류 5년 평균 생산액 비중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6). 󰡔2016년도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통계자료 재가공.

(15)

6

2.2. 소비 부문

○ ‘농식품 소비자 패널데이터’(농촌진흥청 2016)를 사용하여 밭작물의 소비 부 문 현황을 살펴봄. ‘농식품 소비자 패널데이터’의 패널가구는 약 600여 가구 이지만, 본 분석에서는 패널분석이 목적이 아니므로 패널가구 데이터가 아 닌 연도별 전체 표본1의 항목별 합산 값을 사용함. ○ 2016년 기준 가구당 평균 구매액이 상위 20위권에 포함된 품목을 살펴본 결 과, 사과, 감귤, 딸기, 토마토 등 과실과 과채류의 순위가 높게 나타남. 2010 년과 2016년을 비교하면 토마토와 바나나는 2010년에 10위권 밖이었지만 (각각 11위, 13위), 2016년에 10위권 안으로 진입함. 반면 무, 배추의 순위는 10위권 밖으로 내려감. 이는 1인당 김치의 소비량이 줄어드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됨(농촌진흥청·강원도농업기술원 2016). <표 1-5> 가구당 평균 구매액 단위: 원 구분 2010 2013 2016 구매가격 순위 구매가격 순위 구매가격 순위 사과 83,964 1 79,790 1 88,352 1 감귤 65,406 2 64,228 2 53,032 2 딸기 41,089 6 42,386 5 42,334 3 수박 46,826 4 47,308 4 39,662 4 토마토 32,329 11 36,768 6 37,186 5 포도 55,672 3 59,065 3 37,174 6 바나나 29,501 13 26,300 15 35,584 7 복숭아 30,653 12 32,944 8 35,453 8 마늘 32,423 10 28,310 11 33,225 9 버섯 33,891 9 32,616 9 32,376 10 파 35,152 8 27,326 13 30,054 11 무 41,462 5 27,433 12 28,451 12 1 2010년 829가구, 2011년 799가구, 2012년 732가구, 2013년 807가구, 2014년 804가구, 2015년 1,652가구, 2016년 1,488가구로 증가함.

(16)

7 (계속) 구분 2010 2013 2016 구매가격 순위 구매가격 순위 구매가격 순위 양파 28,012 15 33,459 7 26,719 13 참외 25,629 17 30,475 10 26,010 14 고구마 22,574 18 25,839 16 24,380 15 배추 37,368 7 25,678 17 24,311 16 기타채소류 28,388 14 26,848 14 22,090 17 기타나물 22,203 20 20,638 22 21,628 18 고추 25,840 16 22,990 19 19,904 19 배 21,127 21 24,339 18 19,487 20 주: 평균구매가격=제품별 총 구매가격/조사대상 가구 수 자료: 농촌진흥청 내부자료. ○ 구매 빈도가 가장 높은 품목은 버섯임. 그 다음은 파, 콩나물이 차지함. 버섯의 최근 6년간 평균 구매빈도는 17.9회로 가장 자주 구매하는 버섯 품종은 느타 리버섯(5.5회)과 새송이버섯(4.9회)임. 느타리버섯은 찌개나 국밥에 주로 사용 되고, 새송이버섯은 고기와 함께 구이용으로 소비됨. <표 1-6> 품목별 구매빈도 순위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버섯 1 1 1 1 1 1 1 파 3 3 3 2 2 2 2 콩나물 2 2 2 3 3 4 3 고추 4 4 4 4 4 3 4 바나나 8 8 8 10 7 7 5 사과 7 9 12 11 10 10 6 호박 6 5 6 5 5 5 7 오이 13 7 5 6 6 8 8 무 5 6 7 7 8 6 9 쌈채소 10 10 9 8 9 9 10 상추 11 11 10 12 11 12 11 양파 9 12 11 9 13 11 12 토마토 17 16 13 17 12 13 13 감귤 12 13 16 13 15 14 14

(17)

8 (계속)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당근 14 14 14 15 14 15 15 시금치 15 15 15 14 16 16 16 딸기 19 18 19 19 19 18 17 감자 16 17 17 18 17 17 18 배추 21 21 20 20 21 21 19 마늘 20 20 21 22 22 22 20 주: 농식품소비자패널조사의 조사대상 가구 수2는 매년 증가하여 연도별 ‘총 구매횟수’가 아닌 ‘구매횟수 순위’를 비교함. 자료: 농촌진흥청 내부자료. ○ 소비 현황을 참고하여 가구당 평균 구매액이 증가한 토마토와 구매 횟수가 많은 버섯을 분석대상 작물로 선정함. <표 1-7> 버섯 유형별 연간 구매동향(2010∼2016 평균) 단위: 원, 회 구분 구입액 구매빈도 버섯식품 38,503 17.9 1) 신선버섯 37,357 17.8 - 느타리 9,822 5.5 - 새송이 9,626 4.9 - 표고 8,456 1.9 - 팽이 3,302 3.4 - 양송이 2,541 1 - 목이 442 0.2 - 만가닥 195 0.1 기타 2,974 0.8 2) 가공식품(건표고/기타) 1,145 0.1 자료: 정구현·이윤혜(2017: 241)에서 인용. ○ 위와 같이 생산/소비 현황을 참고하여 각 부문에서 중요한 품목이거나 생산 및 판매 전략 차별화를 통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품목을 분석 대상으 2 2010년 829가구, 2011년 799가구, 2012년 732가구, 2013년 807가구, 2014년 804가구, 2015년 1,652가구, 2016년 1,488가구로 증가함.

(18)

9 로 선정하였음. 대상 품목은 서류(고구마, 감자), 잡곡, 과채류(토마토), 조미채 소류(고추, 마늘/양파, 대파/쪽파), 엽채류(배추, 부추), 특용작물류(버섯)임. <표 1-8> 분석 대상 품목 구분 품목 비고 생산 부문 식량작물 서류(고구마, 감자) 밭식량작물 중 생산액 비중이 큼 잡곡 채소류 과채류(토마토) 채소류 중 생산액 비중이 큼 조미채소류(마늘, 양파, 파, 고추) 엽채류(배추, 부추) 소비 부문 채소류 과채류(토마토) 최근 가구당 평균 구매금액 순위가 상승함 특작류 버섯 최근 6년간 구매 횟수가 가장 많음 자료: 저자 작성.

(19)
(20)

2

분석 결과

1.

고구마

1.1. SNS 연관어 분석

○ 인터넷 사용자는 고구마와 함께 ‘감자’를 가장 많이 언급함. 고구마와 감자 는 조리 방법(찜, 구이, 튀김)이 유사하며, 재료 사용에 있어 원재료를 대체 하거나 함께 조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임. ○ 두 번째로 ‘고구마’와 함께 많이 검색된 단어는 ‘맛’임. 식품 및 제품의 특성 을 나타냄에 있어 ‘고구마 맛’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음. 고구마칩, 고구 마 피자, 고구마 치즈 돈가스, 과자 등 고구마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품의 맛 을 ‘고구마 맛’으로 묘사하거나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함. 최근 편의점에서 여 성을 타깃으로 다이어트 상품 시리즈 중 하나로 출시된 고구마 아이스바 등 가공식품의 광고 또한 ‘고구마’를 주로 언급함. ○ 온라인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고구마’ 품종3은 ‘호박고구마’임.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고구마’ 품종은 호박고구마(9만 8,317건)>자색

(21)

12 고구마(3만 288건)>밤고구마(2만 1,335건)>물고구마(1,494건)로 호박고구 마의 인기가 압도적임. 호박고구마는 식이조절 및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 에게 주요 식재료로 사용됨. 커뮤니티 매체에서는 개인이 직접 농사 지은 호 박고구마를 판매하기 위한 홍보글과 고구마 캐기 체험을 경험한 사람들의 수기가 많았음. 호박 고구마 브랜드 중 ‘김의준 고구마’, ‘해남고구마’가 함 께 언급이 되는 경우가 있음. ○ ‘다이어트’의 주 식단으로 고구마가 사용됨. 고구마는 다이어트 식단의 주요 품목으로 사용되며, 최근 일부 연예인의 고구마 다이어트가 성공 사례로 회 자되면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음. 다이어트 식품으로 고구마 말랭이, 모닝죽 고구마, 고구마 아이스바 등을 홍보하는 광고도 상당수임. ○ 고구마의 연관 검색어 7위는 ‘집’임. 이를 통해 고구마를 소비하는 주된 장 소가 집 밖이 아닌 가정임을 알 수 있으며, 식사 대용으로 ‘저녁’과 ‘아침’에 주로 먹는 소비패턴을 확인할 수 있음. 고구마는 집에서 주로 섭취하고, 고 구마를 요리 또는 소비하는 주체는 ‘엄마’(연관 검색어 15위)임. 한편 ‘밥’ (연관 검색어 12위) 대신 ‘저녁’과 ‘아침’에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고구마 를 선택하고 있음. 고구마가 식사 대용뿐 아니라 ‘간식’(연관 검색어 11위) 으로 인기가 있음. 따라서 고구마가 조리의 간편성 등으로 인해 식사/간식 등으로 식용할 수 있는 작물이고, 고구마를 주로 소비/조리하는 주체는 ‘집’ 에 있는 가정주부임을 확인할 수 있음. 3 고구마는 은미, 생미, 율미, 신율미, 증미, 건미 연미, 자미 등 품종이 다양하고, 육성 하는 공식 품종명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 는 호박고구마, 자색고구마, 밤고구마, 물고구마 등으로 분류함. 농촌진흥청 작물기 술정보 참조(https://m.nongsaro.go.kr: 2017. 10. 11.).

(22)

13 순위 연관어 건수 1 감자 104,520 2 맛 97,244 3 호박 91,115 4 호박고구마 82,013 5 다이어트 80,343 6 개4 71,373 7 집 71,296 8 저녁 65,049 9 치즈 61,959 10 아침 59,539 <그림 2-1> 연관어 분석 결과(고구마)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1.2. SNS 감성 분석

○ 온라인 사용자가 ‘고구마’를 언급할 때 긍정적 표시는 46%(41만 4,564건)로 부정적 감성 언어 비중(20%)보다 26%p 높게 나타남. <그림 2-2>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고구마)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4 매체별 내용을 확인한 결과 고구마의 연관어로 검색된 ‘개’는 고구마 수량을 세는 단 위를 의미함.

(23)

14 ○ 고구마의 긍정 감성어 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맛을 표현하는 언어이며, 호감도가 높은 작물임을 알 수 있음.5맛있다’, ‘맛있는긍정 감성어 상위 10개 중에 두 번이나 언급되었으며, ‘좋아하다’, ‘좋다’, ‘좋은’ 등의 호감도 가 높은 감성적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음. ‘먹고 싶다’, ‘든든하다’를 통해 고 구마에 대한 온라인 사용자들의 고구마에 대한 인식 및 평가를 알 수 있음. 따라서 고구마에 대한 호감을 식사 및 간식 대용으로 충분히 홍보 및 호소 할 수 있음. 고구마에 대한 부정 감성어는 신조어로서 ‘답답하다’를 표현하 는 경우가 많았음.6 <그림 2-3>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고구마)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5 ‘따뜻한 마음’, ‘존경스럽다’ 같은 감성적 표현은 고구마 자체에 대한 표현은 아니며, 게시물의 내용은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에게 고구마를 선물한 사례 때문임. 6 이는 고구마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이기보다는 고구마 섭취 시의 특성을 빗대어 관용적 표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함.

(24)

15

1.3. 고구마 SNS 분석 소결

○ 고구마는 온라인 사용자에 있어서 긍정적인 감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편적 으로 소비할 수 있는 작물임. 고구마를 표현하는 언어의 46%가 긍정적인 감 성어에 해당하고, 맛있고 좋아하며 먹고 싶다는 의견이 많았음. 아침과 저녁 식사 대신 고구마를 많이 섭취하고 있으며, 이유식 및 간식의 재료로 고구마 를 많이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또한 다이어트의 식단으로 고구마는 상당히 인기가 있으며, 소비자가 직접 조리한 고구마 외에도 다이어트용 가 공 식품으로 최근 출시되고 있음. ○ 고구마는 감자와 함께 많이 언급되며 고구마 품종 중에는 호박고구마가 가 장 인기가 있음. 고구마는 조리 방법이 동일한 감자와 함께 연관 검색어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으며, 조리 전자제품의 광고가 파급 효과를 가져와 온 라인에서 함께 언급되고 있는 경우가 많음. 고구마 품종 중에서는 호박고구 마가 압도적인 수로 언급되고 있으며, 이는 다이어트 식단과 드라마 영상이 주된 원인임. ○ 고구마를 주로 소비하는 장소는 ‘집’이며, 주체는 가정주부이며, 소수 브랜 드 및 제품을 통해 고구마 소비 진작을 꾀할 수 있음. 온라인 사용자들이 고 구마를 외식으로 섭취하기보다는 집에서 소비하고 있으며, 고구마 조리를 가장 많이 하는 대상은 가정주부(연관어에서는 ‘엄마’)임. 따라서 주부들이 고구마를 더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본다면 고구마에 대한 더 많은 소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김의준 고구마’, ‘해남 고구 마’, ‘여주 밤고구마’와 같이 일부 생산자명이나 지역명으로 브랜드화 된 고 구마가 소수이나 언급된 사례가 있음. 따라서 품종에 따른 고구마의 차별화 뿐만 아니라, 지역 및 생산자 조합을 중심으로 한 고구마의 브랜드화 및 적 극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임.

(25)

16

2.

감자

2.1. SNS 연관어 분석

○ 온라인 사용자들이 ‘감자’와 함께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맛’이었음. ‘맛’ 은 감자와 함께 약 14만 6,000건이 온라인에서 언급이 되었으며, 트위터에서 는 일본 감자 스낵 전문 제조업체의 신상품 소식이 가장 많이 재공유되었음. 순위 연관어 건수 1 맛 146,056 2 치즈 135,655 3 집 129,780 4 고구마 104,512 5 고기 103,501 6 양파 102,655 7 요리 85,940 8 물 77,825 9 메뉴 75,791 10 음식 72,156 <그림 2-4> 연관어 분석 결과(감자)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온라인상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감자’와 함께 먹는 식품은 ‘치즈’임. 빵, 치킨, 햄버거, 샌드위치, 스프 등 감자가 들어간 요리와 함께 ‘치즈’를 곁 들여 먹는 경우가 많음. 한국 음식 외에도 감자와 치즈가 함께 요리된 해외 음식(프랑스)이 자주 언급되었으며, 명란, 치즈, 감자를 소재로 한 일본 편의 점 요리도 많이 언급되었음. ○ ‘집’이 ‘감자’와 함께 언급된 것은 섭취하는 장소로서의 의미가 아닌, ‘감자’ 를 생산해내는 장소의 의미가 강함. ‘감자’와 ‘집’을 연결해주는 단어는 ‘강

(26)

17 원도’로서 일반적으로 강원도 출신의 ‘집’에서 ‘감자’를 심는 것으로 온라인 사용자들은 인식하고 있음. 따라서 ‘감자’에 대한 지역적 이미지는 ‘강원도’ 라고 할 수 있음. ‘집’이라는 장소에서 ‘감자’가 언급된 경우에는, 감자를 제 철에 한꺼번에 대량 구입하여, 집에 보관하는 방법이나, 쉽게 껍질을 깎는 방법, 갈변하지 않고 보관하는 방법 등을 문의하고 해결책을 공유하는 경우 가 많았음. 따라서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감자 포장법이나, 기존의 박스 형태 의 감자 판매가 아닌 소분화하여 판매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됨. 또 한 조리하기 편하면서도 갈변하지 않는 진공 상태 포장을 한 깐 감자가 생 감자에 비해 주부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이외에도 집에서 갈 비찜, 닭볶음탕, 감자 수제비 등을 요리하여 올리는 게시물에서 ‘감자’와 ‘집’이 함께 언급됨. ○ ‘고기’, ‘양파’, ‘물’ 은 ‘요리’ 의 재료로 ‘감자’와 함께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냄. 카레, 스프, 스튜, 찜닭, 닭볶음탕, 피자, 햄버거, 샌드위치, 야채볶음 밥, 곱창 ‘요리’ 등에서 함께 사용되는 재료가 ‘감자’, ‘고기’,‘양파’,‘물’임. ‘감자’는 고구마에 비해 다양하고 동서양 모든 음식 재료의 기초 재료로 사 용되고 있음을 보여줌. ○ ‘메뉴’와 ‘감자’가 함께 언급된 이유는 급식 메뉴, 세트 메뉴, 유명 레스토랑 의 감자가 사용된 메뉴가 주로 언급되었기 때문임. 급식 메뉴에서 ‘감자’를 이용한 메뉴가, 패스트푸트 세트 메뉴에서 감자튀김, 해쉬브라운이 함께 제 공되는 메뉴가 주로 언급되었음.

2.2. SNS 감성 분석

○ ‘감자’에 대한 긍정‧부정 감정 분석 결과, 긍정적 감성이 약 62만 건으로 전 체 감성 분석의 54%를 차지함. 부정어는 약 21만 건,7 중립어는 약 19만 건,

(27)

18 기타는 약 13만 건으로 온라인 사용자의 과반수 이상이 ‘감자’에 대한 감성 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 <그림 2-5>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감자)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긍정어8의 대부분은 ‘맛있다’, ‘맛있는’ 등의 맛에 대한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았음. 온라인 사용자는 ‘감자’를 ‘좋아하다’, ‘좋다’, ‘먹고 싶다’ 등으로 호 감을 나타냄. ○ 같은 서류 종류이나 고구마에서는 가격과 관련된 단어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감자’는 ‘싸다’라는 단어와 함께 언급됨. 여름 감자가 ‘싸고’, ‘맛있다’는 표 현과 함께, 냉동 보관하는 방법을 게시한 글이 재공유가 많이 됨. 7 ‘감자’와 관련되어 가장 많이 언급된 부정어는 ‘어이없다’임. 이는 앞서 온라인 사용 자들이 강원도 출신인 사람들은 당연히 ‘감자’를 생산한다는 언급에 대한 부정적 의 미를 ‘어이없다’로 표현했기 때문임. 이외에도 ‘동물학대’, ‘못난’, ‘분개하다’, ‘썩다’ 등은 밭작물 ‘감자’로서 사용했기보다는 은유적 표현으로 빗대어 사용한 예임. 8 또한 감자빵에 ‘귀여운’ 디자인을 포장한 사례, 감자 요리 시 전자레인지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게시한 글이 많이 회자되었음.

(28)

19 <그림 2-6>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감자)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2.3. SNS 분석 소결

○ ‘감자’는 감자 자체로 소비하기보다는, 스낵‧가공식품 및 외식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됨. 감자크로켓, 튀김, 프라이, 감자칩 등과 같이 원재료의 감자보 다는 가공하여 파는 음식의 소비가 많음. ‘감자’ 단독으로 섭취하기보다는 ‘치즈’, ‘고기’, ‘양파’와 함께 요리의 재료로 사용하게 됨. 동서양 음식 구분 없이 모든 메뉴에서 ‘감자’ 요리 소재로서의 사용이 다양함.

○ 따라서 감자 소비 증가를 위해 원물보다는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음. 예로 감자전 믹스, 감자수제비 키

트 등 밀키트9와 같은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의 감자를 활용

하는 방안을 들 수 있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김치찌개 맛 감자칩 제품10

9 밀키트(Meal Kit) 제품은 요리 시 필요한 식재료를 미리 손질해 구성한 RTC(Ready to Cook) 식품을 말함(2017. 9. 27. 중앙일보 기사 참조).

10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편의점 사용자들이 김치찌개 맛 라면을 구입할 때 감자칩을 함께 많이 구입하는 것을 착안하여 출시한 상품임.

(29)

20 편의점 상품으로 출시된 것과 같이 ‘치즈’가 ‘감자’와 함께 언급되고 있는 것을 참고하여 치즈와 감자를 함께 판매하는 전략도 제시해볼 수 있음. ○ ‘감자’를 직접 소비하는 경우에는 한 번 구매 시 대량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 으며,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 온라인 사용자들의 관심과 문의가 많았음. 따라 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 개발이나, 소분화해서 필요한 만큼만 구매할 수 있는 소분 판매가 필요한 것으로 보임.

3.

잡곡

3.1. SNS 연관어 분석

○ 온라인에서 ‘잡곡’과 함께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밥’으로 약 1만여 건이 이에 해당함. 편의점에서 ‘밥’(식사)을 해결하는 트위터 사용자가 편의점 도 시락에서 ‘잡곡’이 사용된 김밥을 언급한 내용이 가장 많이 리트윗 되었음. 이는 편의점에서 ‘혼밥’을 하거나 간편식을 찾는 사람도 백미에 비해 ‘잡곡’ 을 선호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음. ○ ‘잡곡’은 ‘건강’한 ‘음식’으로 인식되어 소비자에게 다양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소비하는 것으로 확인됨. ‘잡곡’은 ‘건강’을 목적으로 ‘쌀’과 함께 ‘밥’으로 섭취함. 특히 면역력을 강화하고 당뇨, 암, 관절염, 변비, 아토 피,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식생활에 변화를 주고자 ‘잡곡’을 선택하였음.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식이조절을 위해서 백미보다는 ‘현미’ 를 ‘잡곡’ 중에 많이 소비하였고, ‘고구마’, ‘닭’가슴살과 ‘샐러드’를 함께 섭 취하는 소비 행태가 많았음. ‘잡곡’과 ‘고구마’, ‘채소’ 등을 소재로 하는 수 제 도시락 및 편의점 도시락이 인기가 많았으며, ‘잡곡’과 ‘고구마’가 포함되

(30)

21 어 있는 레토르트 영양밥이 캠핑용으로 구매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 국산 ‘잡곡’뿐만 아니라 수입 ‘잡곡’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음. 농산물 축제, 직거래 장터, 전통재래시장에서 ‘잡곡’은 꾸준히 언급되는 농산물이었 으며, ‘슬로푸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 최근 ‘슈퍼잡곡’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퀴노아, 렌틸콩, 아마씨, 귀리 등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 강’한 이미지로서 국산 잡곡을 재료로 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음. ○ ‘잡곡’은 일반 백미에 비해 주부들에게는 조리하기 까다로운 곡물이며, 유아 에게 섭취하기 꺼려하는 경향이 있음. 커뮤니티 매체에서는 아기들에게 ‘잡 곡’이 잘 소화가 되는지에 대한 문의와 섭취 가능한 연령에 대한 문의가 많 았으며, 잡곡밥을 잘 짓는 요령 및 제품에 대한 문의와 답변이 많았음. 순위 연관어 건수 1 밥 10,795 2 음식 5,430 3 쌀 4,885 4 건강 3,879 5 현미 3,594 6 고구마 3,497 7 운동 2,785 8 채소 2,769 9 닭 2,644 10 샐러드 2,616 <그림 2-7> 연관어 분석 결과(잡곡)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31)

22

3.2. SNS 감성 분석

○ ‘잡곡’은 다른 밭작물에 비해 긍정에 대한 표현이 다소 많았으며, 부정적 표 현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됨. ‘잡곡’에 대한 긍정적 표현 1만 9,256건 (58%), 부정적 표현은 3,789건(11%), 중립적 표현 8,137건(25%)으로, 부정 적 표현이 다른 밭작물에 비해 낮은 구성비를 나타내었음. 온라인 사용자들 은 ‘잡곡’을 표현함에 있어 부정적인 표현보다는 오히려 중립적인 감성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었음. <그림 2-8>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잡곡)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앞서 연관어 분석에서 보았듯이 ‘잡곡’은 ‘건강’한 이미지로 연결됨.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혹은 현재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을 하고 식이조절을 하는 사람들의 게시물에 ‘잡곡’이 많이 언급됨. ○ 잡곡은 몸에 ‘좋고’ 영양이 ‘풍부’하여 면역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긍정적 으로 표현되고 있음. 온라인 사용자에게 ‘잡곡’은 ‘건강’과 암, 콜레스테롤, 복부비만 등 몸에 ‘좋은’ 농산물이며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좋은 음식’으 로 언급되고 있음. 또한 ‘좋은’ 잡곡에 대한 기준과 적극적 구매의사를 밝히 는 게시글도 확인할 수 있었음.

(32)

23 ○ 잡곡이 식이섬유와 비타민, 마그네슘, 칼슘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다는 긍 정적 표현이 많았음. 일부 ‘잡곡’은 로컬푸드 직매장, 농산물 직거래장터, 오 픈마켓에서 바로 도정해 ‘신선한’ 상태로 판매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게시 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온라인 사용자들은 ‘잡곡’을 ‘신선한’ 야채와 함께 섭취하는 사례가 많았음. <그림 2-9>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잡곡)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잡곡’과 관련된 부정 감성어는 ‘압력’인데 이는 ‘잡곡’을 조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표현임.11 연관어 검색에서 살펴봤듯이 주부들은 백비보다 잡곡 로 밥을 지을 때 ‘어려움’을 겪고 있었음. 또한 부드럽게 정제된 곡물에 비해 통곡물로 주로 구성된 잡곡은 ‘압력밥솥’을 이용하거나 전기밭솥으로 ‘압력’ 취사해서 먹는 경우가 많았음. ○ 중립 감성어로는 ‘가벼운’(2,157건), ‘다양한’(1,022건), ‘필요한’ 등이 있었 음. 이는 ‘잡곡’ 김밥이 들어간 편의점 도시락 메뉴 이름이 ‘가벼운 한끼’였 기 때문임. ‘잡곡’ 자체가 ‘다양한’ 농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하 다’는 표현이 함께 언급된 것으로 보임. 11 ‘부족하다’라는 부정 감성어는 뉴스매체에서 많이 언급되었는데, 부실하고 영양이 ‘부족한’ 보육원 급식 실태를 보도하였기 때문임.

(33)

24

3.3. 잡곡 SNS 분석 소결

○ 잡곡은 ‘건강’과 직결되는 이미지로 질병 및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과 건강관리를 위해 소비되는 경우가 많았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아토피, 변비 등 질병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잡곡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음. 식 이조절과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백미보다 ‘잡곡’을 밥으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았음. ○ 가정식 외에도 편의점 및 수제 도시락, 캠핑용 레토르트 등 ‘잡곡’이 사용될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보임. SNS상 ‘잡곡’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것은 편 의점 도시락 제품인 ‘잡곡’ 김밥과 ‘잡곡’이 들어간 삼각김밥 메뉴였음. 또한 수제 도시락에서도 ‘잡곡’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캠핑용 레토르트 영양 밥에서도 ‘잡곡’이 재료로 사용됨. ○ 소비 증진을 위해서 ‘잡곡’을 보다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판매 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음. ‘잡곡’을 조리하는 이용자에게 잡곡은 백미보 다 조리하기 ‘어려운’ 곡물이었으며, 이유식으로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궁금 해 하는 글들이 많았음. 따라서 손쉬운 조리 방법이나, 유아 섭취 가능 시기 등을 ‘잡곡’ 홍보에 활용할 수 있음. 또한 ‘불릴 필요 없는 쌀’처럼 조리가 용이한 ‘잡곡’ 상품이 개발된다면, 주부들에게 더 편리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함. ○ ‘수입’ 잡곡의 경쟁력으로 인해 공급 시장이 확장되었음. 소비자들은 최근 슈퍼 푸드로 각광을 받고 있는 퀴노아, 렌틸콩, 아마씨, 귀리 등 수입 잡곡들 을 온라인을 통해 해외에서 직접 구입하고 있음. 또한 이러한 수입 잡곡들은 가공식품(카레, 즉석밥 등)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음. 따라서 국산 잡 곡과 수입 잡곡을 비교하여 국산 잡곡의 우수한 점을 경쟁력 요소로 활용하 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

(34)

25

4.

토마토

4.1. SNS 연관어 분석

○ 토마토의 경우, 이를 재료로 한 음식 조리 방법, 신선채소 물가에 대한 연관 어가 많았음. ‘토마토’를 재료로 한 샌드위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설명, ‘방 울토마토’를 설탕에 재서 안주를 만드는 방법, 토마토 절임을 만드는 설명이 온라인상에서 많이 언급되었음. ‘방울토마토’ 중에서는 ‘대추방울토마토’가 언급된 게시물이 많이 공유되었음. 해외와 국내의 토마토 및 신선채소 가격 을 비교하여 한국의 비싼 물가 실태를 비판하는 경우도 있었음. 이는 동서양 의 식재료에 토마토가 공통적으로 자주 사용되기 때문임. 다이어트 식단에서 단호박, 사과 등 샐러드 종류와 함께 ‘방울토마토’가 언급되기도 함. ○ ‘토마토’와 ‘소스’가 함께 언급된 경우에는 주문형 샌드위치12, 햄버거, 빙수, 파스타 등 외식료품에 대한 게시물에서 언급됨. 주문형 샌드위치 판매점에 서 본인이 선택한 구성요소(토마토, 야채, 소스 등)를 공개한 게시물이 가장 많이 리트윗 되었음.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햄버거의 구성재료(빵, 양상추, 토마토, 소스, 치즈 등)와 신선도 및 가격에 대한 게시물도 인기가 많았음. ○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이 맛있다고 표현한 ‘토마토’의 맛은 ‘가열’된 토마토 의 맛이었음. 가장 많이 리트윗 된 게시물은 ‘구운’ 토마토 요리가 ‘맛’있으며, 이를 먹을 수 있는 외식업체(일본 카레) 소개글이었음. 또한 ‘토마토를 즐길 수 있는 50가지 방법 관련 기사’를 소개하고, 국내에는 ‘가열용 토마토’ 품종 이 없으며, 토마토 요리에는 수입된 캔 제품이 더 적합하다는 기사를 소개하 12 S샌드위치 판매점은 프랜차이즈 샌드위치 판매점으로, 소비자가 빵 종류, 야채, 소스 굽기 정도를 모두 정할 수 있음.

(35)

26 는 글이었음. 이를 통해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토마토’의 품종은 다양하 지 않으며, 요리보다는 생식용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소비자들이 알게 됨. 순위 연관어 건수 1 방울토마토 253,155 2 소스 166,237 3 맛 151,819 4 치즈 130,666 5 양파 94,249 6 샐러드 88,314 7 음식 85,548 8 파스타 84,756 9 토마토소스 82,643 10 물 75,953 <그림 2-10> 연관어 분석 결과(토마토)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토마토’와 ‘치즈’가 함께 언급된 게시물은 피자, 편의점 도시락, 패스트푸드 점 신메뉴에 대한 내용임. 토마토 소스와 ‘양파’, ‘치즈’가 함께 사용되는 피 자 메뉴를 소개하는 게시물과 토마토 크림파스타 (편의점)도시락, 치즈와 토 마트 소스로 만든 떠먹는 치킨 메뉴를 소개하는 글에서 ‘토마토’와 ‘치즈’가 함께 언급됨. ○ ‘토마토’는 다이어트 식단에서 ‘샐러드’와 함께 많이 공유되었음. ‘토마토’는 일반 외식료품에서뿐 아니라, 다이어트 식단에 사용되기 때문임. 집에서 직 접 ‘토마토’, ‘양상추’, ‘닭가슴살’ 등으로 ‘샐러드’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는 게시물과, 홈메이드 샐러드와 판매용 샐러드의 비용을 비교하며 고민하는 소비자도 있었음. ○ ‘파스타’는 쉬운 조리 방법 때문에 소비자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요리였 으며 주로 ‘토마토 소스’를 사용하였음. 온라인 소비자들은 집에서 쉽게 조리

(36)

27 할 수 있으며, 시간과 노력 대비 요리에 대한 성취도 높은 음식을 ‘파스타’라 고 올린 게시물을 많이 공유하였음. 이외에도 소비자들은 ‘토마토 소스’를 간편하게 빵과 함께 섭취하거나 덮밥과 스튜에 많이 이용하고 있었음.

4.2. SNS 감성 분석

○ ‘토마토’ 감성어 분석에서 긍정적 감성어가 전체의 50%를 차지하였음. ‘토 마토’를 긍정적으로 표현한 횟수는 43만 3,253건으로 전체의 50%를 차지하 였으며, 부정적인 감성어는 14만 4,487건으로 17%, 중립 감성어는 14만 7,028건으로 부정 감성어와 동일하게 17%를 차지하였음. ○ ‘토마토’를 긍정적으로 표현한 감성어 중에 월등히 많이 언급되었던 단어는 ‘맛있다’임. ‘토마토’를 ‘맛있다’라고 표현한 횟수는 5만 5,627건이며, 토마 토 절임, 토마토가 들어간 샌드위치, 토마토 스프, 햄버거, 피자, 주스 등을 ‘맛있다’라고 표현함. ○ 토마토는 건강에 ‘좋으며’, 다이어트 식품으로 많은 소비자들이 찾고 있었 고, ‘신선’한 야채와 함께 먹고자 함.13 신선한 야채와 토마토를 샌드위치, 러드, 빵과 함께 먹고자 하였음. 13 ‘웃다’는 토마토를 소재로 한 유머에서 ‘귀엽다’, ‘영민’은 아이돌 연예인과 관련되어 온라인상에서 많이 언급되었음.

(37)

28 <그림 2-11>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토마토)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토마토’ 부정 감성어 중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싫어하다’로 작물보다는 생활상식과 관련된 내용이 리트윗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14싫어하 다’는 모기가 ‘토마토’를 싫어한다는 생활상식을 공유한 게시물이 많이 리트 윗 되어 1순위를 차지하였음. ○ 소수이긴 했으나 화천 화악산 깜파리 품종을 다시 판매해달라는 게시물이 회자되기도 함. 위 브랜드 토마토 맛이 다른 브랜드에 비해 진하고 맛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대형마트에 재판매를 요청하는 글이 공유되었음. ○ 부정적 감성어 중 ‘토마토’의 가격 급등과 가격 불안정에 대한 언급도 다수 존재하였음. 14 또한 의사들이 ‘싫어하는’ 채소 1위로 ‘토마토’를 꼽으며, 그만큼 영양가와 비타민이 많고, 암, 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임을 소개하는 블로그 글도 있었음.

(38)

29 <그림 2-12>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토마토)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4.3. SNS 분석 소결

○ 토마토는 외식료품에서 ‘치즈’와 ‘양파’와 함께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음. 샌 드위치, 피자, 파스타, 샐러드 등의 부재료로 소비됨. ○ 토마토 품종 중 방울토마토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특히 ‘대추방울토마 토’가 가장 많이 언급됨. 이는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과도를 이용해 껍 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방울토마토나 딸기, 바나나 등 쉽게 먹을 수 있는 과일의 소비가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임.15 ○ 생식용 토마토뿐만 아니라 가열용 토마토 등 품종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본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사람들은 ‘구운’ 토마토나, 가열용 토마토에 대한 관심 이 많으며 선호도가 높았음. 따라서 샌드위치, 피자, 파스타 등 서양 요리에 사용되는 가열용 토마토 품종을 국내에서도 개발 및 확장해야 함. 15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과일 구매를 비교한 결과 딸기(65.9%), 바나나(61.9%), 방 울토마토(51.5%) 등이 1인 가구에서 더 많이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남(채용우 외 2016).

(39)

30

5.

마늘

/

양파

5.1. SNS 연관어 분석

○ 마늘과 양파는 음식의 양념을 위한 부재료로 주로 사용된다는 측면에서 동 일한 특성을 공유할 가능성이 높음. 아래의 <그림 2-13>은 마늘과 양파의 연 관어를 제시하고 있는데, 마늘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관어가 양파와도 동시 에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2-13> 마늘과 양파의 연관어 교집합 현황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마늘 및 양파의 연관어에서 출현 비중이 가장 높은 단어는 ‘맛’이었으며, 이 를 활용한 품목의 생산 및 판매 전략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여겨짐. 소비자들 의 소비행태가 달라짐에 따라 다양한 맛, 가공, 브랜드 개발 등 전략을 수립 해야 할 필요가 있음. 사례로 ‘새남해농협’의 경우 ‘해두룸’이라는 자체 브랜 드에서 생산되는 숙성 흑마늘을 가공하여 판매함으로써 재배농가의 소득안 정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유사 사례로 ‘우포바이오푸드 영농조합법인’의 경우 흑마늘을 이용한 국수와 마늘즙을

(40)

31 개발하는 등 마늘 가공품을 판매하는 전략을 실시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시장 에 정착함. <그림 2-14> 흑마늘 가공식품과 흑마늘 국수 자료: 새남해농협 홈페이지(http://snh.nonghyup.com/: 2017. 5. 2.)와 농업회사법인 자연두레 쇼핑몰(http://creativen. co.kr/: 2017. 5. 2.). ○ 마늘과 양파는 주로 양념 재료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양파’, ‘고기’, ‘물’ 등 이 주요 연관어로 나타남. 따라서 단일 제품으로 시장에 진출하기보다는 상 호보완적 성격을 갖는 품목과 함께 판매하는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음. 순위 연관어 건수 1 맛 2,441 2 집 1,689 3 양파 1,631 4 고기 1,437 5 물 1,406 6 소스 1,318 7 고추 1,310 8 재료 1,272 9 음식 1,192 10 요리 1,036 <그림 2-15> 연관어 분석 결과(마늘) 주: 최근 이슈였던 ‘청와대 마늘주사’ 사건으로 인해 연관어 분석 결과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청와대’, ‘태 반주사’ 등은 연관어 검색 시 제외되도록 하였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41)

32 순위 연관어 건수 1 맛 2,937 2 집 1,856 3 고기 1,752 4 배 1,717 5 밥 1,714 6 소스 1,631 7 마늘 1,609 8 물 1,507 9 재료 1,439 10 개 1,360 <그림 2-16> 연관어 분석 결과(양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5.2. SNS 감성 분석

○ 마늘과 양파의 긍정적 감정어는 각각 54%, 47%로 이들 품목을 구매함에 있 어 소비자의 인식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맛과 관련된 평가가 긍정 적인 것으로 나타남. <마늘> <양파> <그림 2-17>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마늘/양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42)

33 ○ 긍정 감성어로 ‘좋은’, ‘좋은 음식’, ‘안심’이 출현되었다는 점에서, 건강과 관련된 이미지가 소비자에게 중요한 구매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마늘의 경우에는 ‘싸다’라는 긍정 감성어만 출현했으나, 양파의 경우 ‘비싸 다’라는 부정 감성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파에 대한 추가적 인 가격 전략이 요구됨. 양파의 경우 마늘에 비해 가격변동성이 크다는 측면 에서, 이러한 감성 분석 결과는 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고 판단됨. 따라서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가격에 양파를 공급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음. <그림 2-18>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마늘) 단위: 건수 주: 최근 논란이 된 ‘청와대 마늘주사’ 사건으로 인해 연관어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청와대’, ‘태반주사’ 등의 단어는 감성 분석 시 제외되도록 하였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43)

34 <그림 2-19>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양파)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5.3. SNS 분석 소결

○ 마늘과 양파에 대한 최근 소비 트렌드는 ‘맛’으로 대표되며, 이에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차별화된 생산 전략이 필요함. 생산 전략으로서 흑마늘 등 품종의 다양화를 통해 맛에 대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에 반응할 필요가 있음. 특히, 소비자들은 두 품목에 대해 건강한 이미지라는 인식을 갖고 있 으므로,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마늘즙/양파즙 등의 가공식품 에 대한 수요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 ○ 판매 전략에 있어서는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품목(고기)과 함께 판매하면서 판매 수입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 바베큐용 마늘/양파를 일정 분량씩 함께 포장하여 판매하는 것도 하나의 판매 전략이 될 수 있음. 또한 마늘과 양파 를 활용한 각종 양념 조리법 등을 소비자에게 적극적으로 광고함으로써 두 품목에 대한 잠재 소비를 이끌어 내는 것도 좋은 판매 전략이 될 수 있음.

(44)

35

6.

대파

/

쪽파

6.1. SNS 연관어 분석

○ 대파는 마늘, 양파와 함께 대표적 양념 재료라고 할 수 있으며, 연관어 분석 결과에서도 ‘마늘’, ‘양파’ 그리고 ‘재료’의 출현 비중이 가장 높았음. 연관어 중 ‘맛’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에서 대파 본연의 맛을 살릴 수 있는 전략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됨. ○ 쪽파는 소비자에게 주로 ‘김치’의 재료나 ‘배추’와의 보완 식품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연관어의 출현 비중이 높은 ‘맛’의 경우에도 대부분 김치의 맛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음. SNS 원문16을 통해 유추해 보면 쪽파를 이용한 파김치는 배추김치 대신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배추김치와 함께 섭취하거 나 배추김치의 남은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음. 출현 빈도가 높은 연관어 는 ‘마늘’, ‘재료’, ‘양파’이며, 동시에 ‘김치’의 출현 빈도도 높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쪽파는 대부분 김치의 재료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쪽파의 연관어로 ‘맛’이 검색된 이유도 대부분 김치의 맛을 높일 수 있는 쪽 파의 사용량이나 파김치 조리법과 관련된 것이었음. 16 “김치 하고 남은 양념으로 쪽파 김치를”, “배추 김치와 쪽파 김치를 함께 먹으면” 등.

(45)

36 순위 연관어 건수 1 마늘 55,998 2 양파 51,309 3 재료 42,985 4 물 41,965 5 고추 37,835 6 맛 37,653 7 간장 34,396 8 밥 33,176 9 고기 30,464 10 참기름 28,621 <그림 2-20> 연관어 분석 결과(대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순위 연관어 건수 1 마늘 12,760 2 재료 10,504 3 맛 9,975 4 물 9,508 5 양파 9,273 6 김치 8,136 7 고추 7,680 8 소금 7,626 9 양념 6,804 10 배추 5,849 <그림 2-21> 연관어 분석 결과(쪽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6.2. SNS 감성 분석

○ 대파와 쪽파 모두 긍정 감성어의 비중은 (대파 49%, 쪽파 47%) 부정 감정어 비중(대파 13%, 쪽파 19%)보다 크게 나타남. 대파의 긍정 감정어의 경우 ‘맛있다’의 비중이 높았고 부정 감성어의 경우 ‘비싸다’의 비중이 높은 것으

(46)

37 로 나타남. 쪽파 역시 ‘시원한’, ‘부드러운’ 등 식감과 관련된 긍정 감성어가 존재하였음. ‘시원한’, ‘부드러운’ 등의 감성어는 주로 식감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맛있다’도 주로 식감과 관련된 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식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생산 방법이나 가공 방법 은 쪽파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음. ○ 파의 경우 두 종류 모두에서 ‘비싸다’라는 부정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나 적절한 가격 전략을 실시함으로써 실패 확률을 줄일 필요가 있을 것으 로 판단됨. 쪽파의 경우, ‘비싸다’라는 부정 감성어는 배추 등의 가격 상승과 함께 주로 검색되는 것으로 나타남. <대파> <쪽파> <그림 2-22>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대파/쪽파)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또한 대파의 경우, 부정 감성어로서 ‘더럽다’는 단어가 출현하였음. 소비자 는 대파를 구매할 시 위생과 관련된 사항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판매 전략으로 위생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47)

38 <그림 2-23>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대파)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그림 2-24>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쪽파)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6.3. SNS 분석 소결

○ 연관어 분석의 결과, 파는 주로 양념을 위한 부재료와 관련되므로 대파 본연 의 맛을 유지하면서도 조리하기 간편하도록 가공하여 판매할 필요가 있음. SNS 원문자료를 통해 유추하면, 소비자는 양념 재료로서의 파의 맛을 중요 시하는 것으로 판단됨.

(48)

39 ○ 쪽파의 성공 전략인 ‘맛’의 경우 다른 품목에 비해 식감과 관련된 맛이 중요 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증진할 수 있는 생산 방법의 개발이 요구됨. 식감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사항은 신선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저장 및 유통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다른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 요하다고 할 수 있음. ○ 감성 분석 결과, 소비자는 대파에 대한 위생 문제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므로 이를 고려한 판매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여겨짐. 대파의 위생 문제는 주로 뿌리 부분의 흙이나 이물질 등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는 측면에 서, 이러한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판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구 체적으로 우선 뿌리 부분을 세척하고 포장하여 판매하는 전략이 제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대파의 특정 부분만을 따로 포장하여 소비자가 손쉽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전략 수립이 요구됨.

7.

고추

7.1. SNS 연관어 분석

○ 온라인 사용자들이 ‘고추’와 가장 많이 함께 언급한 단어는 ‘맛’이었음. ‘고 추’의 맛은 주로 매운 ‘맛’, 매콤한 ‘맛’, 알싸한 ‘맛’으로 주로 표현되고 있 음.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 고추를 이용하기도 함. ○ ‘청양고추’는 고추 품종 중에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품종임. 청양고 추 판매량의 80%가 외식업체를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라면, 김밥, 크림파스 타, 치킨, 수제비, 등갈비 등 모든 외식품에서 ‘청양고추’의 사용이 많으며 소비자들은 매운맛을 찾기 위해 이런 제품들을 소비하였음. ‘마늘’과 함께

(49)

40 매운 맛을 내는 양념 재료로서 ‘청양고추’를 찾았음. 자극적이고 매운맛을 찾는 사람들에게 ‘청양고추’가 첨가된 라면, 치킨 등이 인기를 끌고 있음. ○ 가정에서 주로 ‘고추’를 찾는 이유는 양념 재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며, ‘마늘’ 과 함께 주로 이용되고 있음. 소스, 양념을 조리하기 위해 온라인 사용자들 은 ‘고추’를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고기구이 쌈채소용으로도 이용함. 대형마 트에서는 이미 다진 ‘마늘’과 함께 다져진 ‘청양고추’를 큐브 형태로 이용자 들이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판매되고 있으며, 청양고추맛 소시지와 청양 고추를 마요네즈와 함께 간단하게 안주로 섭취하는 경우도 있었음. 순위 연관어 건수 1 맛17 202,329 2 청양고추 151,499 3 마늘 147,091 4 고기 120,697 5 집 119,392 6 양파 108,043 7 개 99,300 8 맛집 99,054 9 가루 95,516 10 밥 92,701 <그림 2-25> 연관어 분석 결과(고추)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17 본 분석과 관련 없는 연관어 카테고리 인물(여자 22만 3,880건, 남자 16만 6,984건)을 제외하였으며, 다른 밭작물들의 분석은 연관어 그림에 50개를 제시하였으나 밭작물과 관련 없는 연관어를 제외하여 31개만 제시하였음.

(50)

41

7.2. SNS 감성 분석

○ ‘고추’에 대한 감성 분석은 긍정보다 부정이 많음. ‘고추’에 대한 긍정 감성 은 전체 감성 분석에서 30%(54만 2,590건), 부정 감성은 32%(56만 9,028건) 로 약 2,700건의 차이가 나고 있음. 하지만 이는 작물 자체가 아닌 단어에 대한 감성 분석 결과이므로, 긍정‧부정에 대한 전체 비율 비교보다는 단어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 <그림 2-26>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고추)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고추’ 관련 긍정어는 ‘맛있다’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음(4만 2,695건). 그 밖 에 ‘깔끔한’, ‘칼칼한 맛’, ‘시원한 맛’, ‘맑은’, ‘담백한 맛’, ‘느끼하지 않은’ 등을 가장 많이 언급함. 따라서 고추 본연의 맛을 온라인 사용자들은 기대하 고 있으며, 이를 맛있다고 표현하고 있음.

(51)

42 <그림 2-27>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고추)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부정 감성어 중‘고추’와 식품과 관련된 표현은 ‘느끼한’(2,108건), ‘느끼하 다’(1,707건), ‘입맛이 없다’ 등이 있었음. ‘느끼한’ 음식에 ‘고추’를 첨가하여 담백하고 칼칼한 맛을 기대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음. 따라서 튀김 및 치 킨에서도 고추를 주 재료로 만든 메뉴가 많이 회자되고 있음.

7.3. SNS 분석 소결

○ 더 자극적이고, ‘매운맛’을 찾기 위해 소비자들은 ‘고추’를 찾고 있으며, 라 면, 김밥, 치킨 등 ‘고추’ 양념이 들어간 식품을 더 선호하는 소비자층이 있 음. 느끼하지 않고 매운맛을 좋아하는 소비자층이 더욱 두터워지고 있으며, 이에 컵라면, 치킨등도 ‘고추’를 첨가하며 ‘매운맛’을 강조하고 있음. 과거에 비해 소시지, 볶음면 등 ‘고추’가 접목될 수 있는 식품이 다양해지고 있음. ○ 가정용 고추 판매를 위해서는 조리 편리를 위한 1차 가공 형태의 ‘고추’ 판 매가 필요함. 대형마트에서 다진 마늘 큐브형 패키지와 같이 ‘청양고추’ 큐 브 포장 판매가 등장하였음. 또한 ‘청양고추’보다 더 매운 서양 고추를 찾는

(52)

43 사람이 있음. 따라서 매움의 단계를 다양화하여 판매할 수 있는 ‘고추’를 생 산할 필요가 있음.

8.

배추

8.1. SNS 연관어 분석

○ 배추의 연관어로 많이 출현한 단어는 ‘김치’와 ‘배추김치’인 것으로 나타났 으며, 김치의 재료인 ‘무’, ‘고추’ 등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즉, 배추에 대한 수요는 김치 수요에 대한 파생적 수요라고 할 수 있음. ○ 배추의 성공 요인을 이러한 파생적 수요로부터의 이탈이라는 새로운 측면에 서 찾고자 하는 사례들이 발견되고 있음. 연관어 분석에 따르면 배추는 ‘김 치’뿐 아니라 ‘맛’과 같은 배추의 상품성을 의미하는 단어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해남군의 ‘영농조합법인 성진’은 맛과 영양에서 차별화한 빨 간배추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등을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하였음. <그림 2-28> 빨간배추 자료: 영농조함법인 성진 쇼핑몰(http://www.ihaenam.com: 2017. 5. 2.).

(53)

44 순위 연관어 건수 1 김치 104,731 2 배추김치 62,155 3 맛 50,275 4 무 39,780 5 집 38,185 6 고기 37,129 7 당근 32,842 8 엄마 32,336 9 상추 31,684 10 고추 30,981 <그림 2-29> 연관어 분석 결과(배추)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8.2. SNS 감성 분석

○ 배추에 대한 감성 분석 결과, 다른 작물들과 마찬가지로 긍정 감성어의 비중 (52%)이 부정 감성어의 비중(27%)보다 크게 나타남. 긍정 감성어의 경우 ‘맛’과 관련된 단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는 신선하고 맛있는 배 추 생산이 판매 전략의 일차적 성공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그림 2-30>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배추)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54)

45 ○ 부정 감성어의 경우 대부분 높은 배추 가격과 관련된 단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높은 가격으로 인해 ‘눈을 의심하다’, ‘가격이 좋지 않다’, ‘비싸다’ 등의 부정 감성어가 많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소비자가 배추 구매 를 주저하는 주된 이유가 가격 요인에 있다는 것을 의미함. ‘의심하다’, ‘좋 지 않다’ 등의 단어의 출현 비중도 높아, 소비자는 단순히 높은 가격에 부정 적인 반응을 보이기보다는, 배추 가격이 예상했던 것보다 높은 것에 대해 부 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따라서 안정적인 가격 범위 내에서 배추를 공급하는 판매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음. <그림 2-31>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배추)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8.3. SNS 분석 소결

○ 연관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배추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주로 배추김치를 위한 재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한계점으로 인식하여 최근 배추의 독 립적 상품성을 강조한 차별화 전략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음. 일례로 해남 의 ‘빨간배추’의 경우, 겨울배추 과잉 생산으로 가격 경쟁력에 어려움을 겪 는 농가를 위한 새로운 소득 작목으로 출시됨.

(55)

46 ○ 배추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상과 다른 배추 가격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상세한 가격 정 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9.

부추

9.1. SNS 연관어 분석

○ 부추와 관련된 연관어의 경우 ‘맛’과 ‘맛집’의 출현 빈도가 많았으며, ‘고기’, ‘김치’의 비중도 높아 쌈과 주로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소비자들은 가정에서는 물론 외식을 통해 맛있었던 부추를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 로 보임. 이에 부추의 판매 전략으로서 고기, 김치 등과의 조화를 강조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 순위 연관어 건수 1 맛 59,336 2 맛집 50,751 3 고기 46,346 4 김치 39,206 5 집 33,586 6 메뉴 32,375 7 양파 31,263 8 밥 28,355 9 음식 28,292 10 마늘 25,564 <그림 2-32> 연관어 분석 결과(부추)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56)

47

9.2. SNS 감성 분석

○ 부추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긍정 감성어의 비중이 부정 감성어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긍정 감성어 중에서도 ‘맛있다’, ‘싸다’의 비중이 높았음. <그림 2-33> 긍정·부정 감성 분석 결과(부추)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 부정 감성어로 출현한 단어는 부추 섭취 시기와 관련됨. ‘춥다’, ‘몸이 좋지 않다’ 등의 감성어는 날씨가 춥거나 건강이 좋지 않을 때 부추를 주로 섭취 한다는 내용인 것으로 확인되었음. 부추에 대해 소비자는 값싸고 맛있는 음 식이라는 것과 함께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는 이미지를 동시에 갖고 있었음.

(57)

48 <그림 2-34> 긍정·부정 감성어 순위(부추) 단위: 건수 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9.3. SNS 분석 소결

○ 소비자는 부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므로, 다양한 생산 또는 판매 전략은 성공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부추가 다른 품목에 비해 부정 감성어보다 긍정 감성어가 많은 이유는 소비자가 부추를 맛과 효능 대비 합리적 가격을 갖는 작물로 인식하기 떄문임. 부추는 주로 고기와 함께 김치, 무침, 쌈으로 조리되어 섭취됨. 또한 건강을 보완할 수 있 는 작물이라는 인식이 강하므로 건강식품으로 소비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 다는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공식품 판매를 통해 과거 창출되지 못 하였던 추가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음.

참조

관련 문서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성장기에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 기술, 장비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는 과정에 있으므로 사업유형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기존

[r]

• 분석 이미지 데이터 저장 효율 제고를 위한

임플란트와 골 계면에서 발생되는 생역학적인 힘은 임플란트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18) , 임플란트 주위에 발생되는 응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전국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한 도서관 분야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요구사항 증대..

프로토타이핑 시범적으로 시스템을 구현 요구에 대한 빠른 피드백 사용사례 분석 시스템 외부 기능 파악 체계적 요구 구성. 사용사례 분석

사업수행에 필요한 적정 자본금 규모 분석 및 근거 공동사업자의 경우 지분출자에 대한 적정성 분석 및 근거 현물출자의 적정성 검토 (수익․처분가능성,

– 데이터 마이닝 기법은 통계학에서 발전한 탐색적자료분석, 가설 검정, 다변량 분석, 시계열 분석, 일반선형모형 등의 방법론과 데이터베이스 측면에서 발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