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Copied!
30
0
0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의학 석사학위 논문

만성 고막 천공의 유형과 특징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

의학전공

(3)

만성 고막 천공의 유형과 특징

지도교수

정 연 훈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8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

의학전공

홍 정 주

(4)

홍정주의 의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1년 6월 23일

(5)

i - 국문요약 -

만성 고막 천공의 유형과 특징

고막 천공은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비교적 자주 접할 수 있는 질환으로, 일반 적으로 고막 천공의 크기가 큰 경우, 변연 천공인 경우, 또는 지속적인 감염의 경우에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고막의 재생 능력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기전이 명확히 밝혀 져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고막 천공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고 재 생과정에서 보이는 경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임상적 특징을 다 른 동물 실험등과 비교하여 고막 재생 기전을 확립하고 새로운 재생 기술을 개 발하고자 하였다. 본 이비인후과에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한 명의 선임 술자에게 제 1형 고 실 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술전 고막 사진을 분석하였고, 고막 사진에 Image JTM program을 이용하여 고막 전체 면적과 천공 부위의 면적을 비교하였으며, 고막 사진 분석을 통해 천공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천공 부위가 추골병을 포함한 경우, 그리고 fibrous annulus을 포함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환자 100명중 남자는 39명, 여자는 61명 이였으며, 평균 연령 46.2세였다. 천 공의 위치는 천공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하였고 전하방에 있는 경우가 89 예로 가장 많았으며, 전상방 56예, 후하방 37예, 후상방 20예 순이였다. 고막 전 체 면적 중 천공 고막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평균 18.4 ± 13.66% 이였으며,

(6)

ii tophi는 천공 부위 양측에 있는 경우가 45례로 가장 많았고, 반대측 29례, 동측 11례 순으로 나타났다. 천공 부위가 추골병을 포함한 경우는 53예로 평균 면적비 는 25.2 ± 13.11% 이였고, 추골병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47예로 평균 면적비는 10.8 ± 9.79% 이였다. 천공 부위가 fibrous annulus를 포함한 경우는 64예로 평균 면 적비는 21.9 ± 12.90% 이였고, fibrous annulus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36예로 평균 면적비는 12.2 ± 12.88% 이였다. 그리고 동시에 포함한 경우는 48예로 평균 면적 비는 25.3 ± 12.67% 이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만성 고막 천공은 천공 부위가 추골병을 포함하거나, fibrous annulus를 포함할 때 크며, 이는 고막 재생이 이 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어 : Chronic perforated tympanic membrane, Regeneration, Malleus handle, Fibrous annulus

(7)

iii

국문요약 ··· ⅰ 차례 ··· ⅲ 그림차례 ··· ⅳ 표차례 ··· v . Ⅰ 서론 ··· 1 . Ⅱ 대상 및 방법 ··· 3 A. 연구 대상··· 3 B. 연구 방법 ··· 3 C. 통계적 분석 ··· 3 . Ⅲ 결과 ··· 6 . Ⅳ 고찰 ··· 12 . Ⅴ 결론 ··· 16 참고문헌 ··· 17 ABSTRACT ··· 20

(8)

iv

그림

차례

Fig. 1. 수술 전에 촬영한 고막 사진 ··· 5

Fig. 2. Image JTM를 이용한 고막 사진에서 고막 면적과 천공 면적비 측정 ··· 5

Fig. 3. 만성 고막 천공 환자들의 천공 위치 ··· 8

Fig. 4. 천공 고막의 크기와 추골병/fibrous annulus 관계 ··· 9

Fig. 5. Tophi 크기와 추골병/ fibrous annulus 관계 ··· 9

(9)

v

차례

Table 1. 만성 고막 천공시 tophi 발생부위 ··· 11

(10)

- 1 -

I. 서 론

고막 천공은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비교적 자주 접할 수 있는 질환으로 외 상, 만성 중이염, 중이염 수술이나 환기관 삽입술의 합병증 등으로 발생하며, 자연치유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치유되지 않고 만성 고막천공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실제 쥐 등을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고막 천공 시 대부분은 2-3 주 안에 치유가 되고, 사람의 경우에서도 외상에 의한 급성 고막 천공의 경우 고막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50% 이상에서 자연 치유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ruy 등, 1995; Kim 등, 1997).일반적으로 고막 천공의 크 기가 큰 경우, 변연 천공인 경우 또는 지속적인 감염의 경우에서 고막천공이 만성화 되는 경향이 있다 (Spandow 등, 1995). 고막 천공이 만성화 되면 만성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음성 난청을 포함한 청력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비수술적 복원법으로 paper-patch법이나 지방 조직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고, 수술적 복원법으로 고막 성형술이 있다 (Kim 등, 1997). 천공된 고막의 자연 치유가 힘들 경우에는 보존적 방법이나 수술적 방법으로 천공을 치료하게 되 는데, 이 경우 창상 치유 과정에서 두께의 변화, 고막 경화의 발생, 청력 감소, 진주종 형성 등 바람직하지 못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고막 천공의 치유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고막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방 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임상적으로 만성 고막 천공의 특징에 대한 연구 및 고막 줄기세포 및 고막 재생 능력에 대한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한다. 천공된 고막이 재생되는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음 3 단계원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첫째, 염증 단계로 염증 세포의 침윤이 일어나 며, 천공연의 편평상피가 과형성되고 케라틴이 과다 생성되게 된다. 둘째, 상 피 세포의 증식과 이동이 일어나 천공의 폐쇄가 일어난다. 셋째, 섬유층의 증

(11)

- 2 - 식과 혈관 증식이 일어난다. Peter Luke 등 (2010)은 고막의 재생과 관련된 줄 기세포 및 고막성장 세포의 분포가 fibrous annulus와 추골병 근처에 많다고 동 물실험을 통하여 추측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 고막 재생 기전이 명확히 밝 혀지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고막 천공 및 재생과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도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고막 천공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고 재생 과정에 서 보이는 경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임상적 특징을 다른 동 물실험 등과 비교하여 고막 재생 기전을 확립하고 새로운 재생 기술을 개발 하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다.

(12)

- 3 -

II. 대상 및 방법

A. 연구 대상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아주대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한 명의 선임 술자에 의해 시행된 제 1형 고실 성형술 증례 중 의무기록 관찰과 술전 고막 사진 분석이 가능하였던 경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Fig. 1). 대상 환자는 모두 100명으로 하였고, 남녀 차이나 좌우 차이는 구분하지 않았다. 모든 환자들은 6개월 이상 천공된 상태에서 항생제 등의 치료로 이루가 멎고, 이학적 검사상 고막과 중이 점막이 완전히 말랐을 때 제 1형 고실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B. 연구 방법 고막 사진은 모두 수술 전날에 촬영하였으며, 고막 사진에 Image JTM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aryland, USA) 이용하여 고막 전체 면적 과 천공 부위 면적을 비교하였다 (Fig. 2). 고막 사진의 배율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진마다 고막의 크기는 다르지만, 하나의 고막 사진에서 전체 고막 면적 중 천공 부위가 차지하는 면적은 비교가 가능함을 이용하여 천공의 크 기를 비교하였다. 고막 사진 분석을 시행하여 천공으로 추골병이 노출된 경우 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고, tophi가 천공 고막의 동측에 잘 생기 는지 아니면 반대측에 잘 생기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천공이 잘 생기 는 부위가 어딘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고, 천공 부위와 fibrous annulus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천공의 위치 분석은 추골병에서 수직으로 선을 긋고 다시 제 (umbo)에서 이 선에 직각으로 선을 그어서 전상부, 전하부, 후 상부, 후하부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C. 통계적 분석

(13)

- 4 -

고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평균, 표준 편차를 구하고, 천공 고막의 추골병 침 범 여부 및 fibrous annulus 침범여부 관련성에 대한 Independent samples t-test를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각 검사의 유의 수준은 95%로 p<0.05로 채택하였다.

(14)

- 5 -

Fig. 1. Pre-operation drum photo; size of perforation was measured using this photo

(15)

- 6 -

III. 결과

A. 천공 고막의 위치 대상 환자 100명 중 남자는 39명, 여자는 61명 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6.2 ± 11.38세 였다. 우측 고막이 45예, 좌측 고막이 55예 였으며, 천공의 위 치는 술 전에 시행한 고막 사진으로 분석하였다. 추골병에서 수직으로 선을 긋고 다시 제에서 이 선에 직각으로 선을 그어서 천공의 중심 위치를 기준 으로 구분하였고, 4개의 사분면 중에 여러부위에 천공이 포함된 큰 천공인 경우에 각각의 사분면에 포함시켰다. 천공이 전하방에 있는 경우가 89예로 가장 많았으며, 전상방 56예, 후하방 37예, 후상방 20예 순이었다 (Fig. 3). 천공 부위와 추골병 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천공 부위가 추골병을 포 함한 경우는 53예 였고, 추골병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47예였다. 천공 부 위와 fibrous annulu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천공 부위가 fibrous annulus 를 침범하는 경우는 64예, 침범하지 않는 경우는 36예 였다. 추골병과 fibrous annulus를 모두 침범하는 경우도 48예로 나타났다 (Fig. 4). 이상의 결 과에서 만성 고막 천공이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고막 전상방이며, 추 골병을 포함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으며, fibrous annulus 를 포함하는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B. Image JTM program을 이용한 천공 면적 산출 술전에 촬영한 고막 사진의 크기는 촬영시 배율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하나의 고막 사진 내에서 전체 고막 면적 과 천공 부위의 면적 비는 일정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Image JTM program을 사용하여 고막 전 체의 면적과 천공 부위의 면적을 구하였다. 고막 전체 면적 중 천공 고막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평균 18.4 ± 13.66% 이였으며, 천공 부위가 추골병을 포함한 경우 평균 면적비는 25.2 ± 13.11% 이였고, 추골병을 포함하지 않는

(16)

- 7 - 경우 평균 면적비는 10.8 ± 9.79% 이였다. 또한 천공 부위가 fibrous annulus를 포함한 경우 평균 면적비는 21.9 ± 12.90% 이였고, fibrous annulus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평균 면적비는 12.2 ± 12.88% 이였다. 그리고 동시에 포함한 경우 평균 면적비는 25.3 ± 12.67% 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만성 고막 천공이 추 골병을 포함하거나, fibrous annulus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00) 천공 고막의 크기도 커짐을 알 수 있었다. C. Tophi 의 위치와 면적 Tophi의 위치와 천공과의 관계, tophi의 면적과 천공의 크기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tophi의 위치는 천공이 발생한 동측에 생기는 경우가 11예, 반대측이 29예, 양측에 생기는 경우가 41예, 없는 경우가 26예로 나타 났다 (Table 1). Image JTM program을 사용하여 tophi의 면적을 구한 뒤 추골병 을 포함하는 경우, fibrous annulus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분석하였다. 추골 병을 포함하는 경우가 45예, fibrous annulus를 포함하는 경우는 35예,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29예로 나타났다 (Table 2). 또 추골병을 포함할 경우 전체 고 막 면적 중에 tophi가 차지하는 면적비는 17.5 ± 13.98% 이었고, 추골병을 포 함하지 않을 경우 면적비는 6.2 ± 9.00% 이었다. 또한 tophi가 fibrous annulus 를 포함하는 경우 면적비는 17.9 ± 13.02% 이었고, fibrous annulus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면적비는 5.7 ± 9.57% 이었다. 그리고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면적 비는 17.9 ± 13.02% 이었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 면적비는 5.7 ± 9.57% 이었 다 (Fig. 5). 이상의 결과에서 고막 천공 후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tophi 의 면적도 tophi가 추골병을 포함하거나, fibrous annulus를 포함하는 경우, 또 는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00) tophi의 면적 크기도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tophi size와 perforation size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erforation size가 클수록

(17)

- 8 -

tophi는 작아지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 다 (Sig <0.005)(Fig. 6).

Fig. 3. The sites of perforations in the patients with COM

AIQ; antero-inferior quadrant, ASQ; antero-superior quadrant, PIQ; postero-inferior quadrant, PSQ; postero-superior quadrant, COM; chronic otitis media

(18)

- 9 -

Fig. 4. Drum perforations involving Malleus only, Annulus only, or both Malleus and Annulus (Note the intersections of all three categories)

(+; involving the structure, -; not involving the structure)

Fig. 5. Total/tophi area ratio related tophis involve malleus or annulus or both (<0.005)

(+; involving the structure, -; not involving the structure)

(19)

- 10 -

(20)

- 11 -

Table 1. The sites of myringosclerosis (tophi)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otitis media

Same half Opposite half

Both half Absent

Number of TMs 11 29 41 26

TM; Tympanic membrane

Table 2. Myringosclerosis (tophi) involving malleus or annulus(n=100)

Malleus handle Annulus Malleus + Annulus

Number of TMs 45 35 29

(21)

- 12 -

IV. 고찰

고막의 긴장부는 외측 상피층, 중간 결합조직층, 내측 점막층으로 구성되 며, 다시 중간층은 내층과 외층으로 나뉘어지고 그 주위는 섬유모세포, 혈관, 신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Mondain 등, 1995). 고막천공과 같은 병적상태에서 의 세포분화 생성은 고막과 외이도의 상피생성 중심부에서 일어나며 표층에 서의 수평이동과 기저세포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일어난다. 이러한 이동속 성의 임상적 의의는 고막과 심부 외이도 상피의 자가세척과 고막 천공시 회 복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hnson 등, 1990). 고막과 심부 외이 도 상피의 각화과정이나 진주종형성에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진주종의 형성에 대한 관련기전으로서, 염증과 수축낭이 생기면 성장인 자나 사이토카인 등의 분비가 증가되어 고막과 외이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상피 생성 중심부의 활성도가 증가되거나, 새로운 상피 생성 중심부가 다른 부위에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피세포의 과증식이나 이동속성의 변화가 생 겨 케라틴이 축적되면서 진주종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Truy 등, 1995). Soucek 등(1991)은 상피 이동속성의 방향에 대하여 두가지 위치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번째는 고막의 이완부와 추골병 부착부위의 상피로서 이동이 추골병을 따라서 상부로 향한 후, 추골의 측돌기와 이완부를 따라 후상방으로 향한다고 하였다. 두번째는 고막의 긴장부 상피에서 일어나는 것으로서 추골 병 부착부위에서 고막륜쪽을 향해 이동하며, 이 두가지 이동이 외이도에 도달 하면 외이도를 따라서 바깥쪽으로 향하게 된다고 하였다. 고막의 치유과정은 세단계로 첫째, 혈전의 형성과 염증세포의 침윤, 둘째, 상피세포의 증식, 셋째, 섬유층의 이행으로 완성되는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으 며, 상피세포의 증식이 섬유층의 증식에 선행하여 나타난다는 점에서 다른 부

(22)

- 13 - 위의 치유과정과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 둘째 단계에서 가장 먼저 천공 부위 의 가교가 되는 것은 증식된 상피세포로부터 생성된 각질층으로 알려져 있으 나 점막층의 가교가 선행한다는 보고도 있다(Gladstone 등, 1995). Johnson 등 (1994)은 고막 천공의 치유 과정중 상피의 이동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고, Alice 등(1992)은 상피 성장인자를 이용하여 만성 고막 천 공의 치유를 시도하였으나 그중 일부에서 중이강내 진주종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고막의 치유를 빠르게 하면서 고막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최근 상피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섬유모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하이알루론산염(hyaluronic acid)등의 일부 성장인자들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중이 진주종의 형성, 치유된 고막의 위축성 변화 등의 후유증이 발생 하여 임상적 적용이 어려운 상태이다. 고막의 치유 과정에 대해서는 사람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기니픽, 흰쥐, 고양이 등을 이용한 많은 실험적 보고가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Stenfors 등(1992) 에 의 하면 고막 천공의 치유 과정은 천공 후 2일경에 천공연의 비후와 변연에서 삼출된 임파, 혈액, 조직액이 하부조직의 건조를 방해하고, 창상 치유에 관계 하는 상피 세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매질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4~5일경 에는 변연부 모세 혈관이 증식하여 창상의 변연부는 얇고 불규칙한 케라틴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천공 후 7일경에 결손부가 좁아져 케라 틴의 연결과 상피의 연결이 생기며, 창상의 폐쇄후 새로이 형성된 반흔 조직 은 성숙이 진행되면서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이때 형성된 반흔 조직은 성숙 이 진행되면서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이때 형성된 반흔 조직으로 인행 고막 은 이소골과의 연결이 소실되어 중앙이 함몰된 정상적인 원추형의 모양을 잃 고 평평하게 된다고 하였다.

Mondain 등(1995)은 고막 천공후 섬유모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1회 사용으로 6.1일에서 8.8일사이에 고막 유합이 이루어 졌고 고

(23)

- 14 -

농도로 사용할 때 고막에 염증이 생겼으며, 고막 유합후 8일에 고막 조직 소 견상 대조군과 거의 차이점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O’daniel 등(1990)은 고양 이의 급성 고막 천공을 이용한 실험에서 상피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1회 투여로 대조군에 비해 빠른 속도로 고막 천공이 유합되었다고 하였 으며, Amoiles 등(1992)은 만성 고막 천공을 이용한 실험에서 상피성장인자를 투여한 고막이 대조군에 비해 3배이상 빠르게 유합되었고, 12주후 조직학적으 로 중간 결합 조직층이 정상 고막과 유사하게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만성 고막 천공은 대개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고막의 외상성 천공 의 후유증으로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고막 천공은 만성적이고, 안정적이며, 3 개월이상 존재하는 경우로 정의되며, 외상성 고막 천공일 경우 보통 7-10일 사이에 자연 치유가 되게 되며, 이 확률은 80%에 가깝다(Truy 등, 1995). 지속 적인 고막 천공의 치료에 사용되는 비수술적 복원법으로 paper-patch법이나 지 방 조직을 이요한 방법등이 있고, 수술적 복원법으로 근막이나 연골막을 이용 한 고실 성형술이 있다. 비수술적 복원법은 수술 성공률이 70~85%정도에 머 물고 있고, 수술적 복원법은 천공의 크기가 30%이상일 경우 성공률이 현저히 떨어지나, 수술 성공률이 87~94%에 이르고, 천공의 크기에 상관 없이 시행할 수 있으며, 중이에 병변이 있는 경우 같이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비수술적 복원법에 비해 수술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자가 이식물의 획득에 따른 동통, 혈종, 연골막염이나 연골염 등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Morgan 등, 1995). 현 재 만성 고막 천공의 치료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고실 성형술은 중이 강내 비가역적 병변을 제거한 후 상태에 따라 청각 기전을 재건하고, 고막을 이식하여 중이를 외부의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고실 성형술 의 수술 결과는 이미 많은 저자들에 의해 보고 되었고, 중이강내 점막 상태, 외이도 보존 여부, 추골 보존 여부, 그리고 고막 천공 크기나 위치 등이 중요 하다고 하였다. 제 1 형 고실 성형술의 술후 청력 개선 정도는 평균 10 dB 정 도이며, 고실 성형 술의 장기 추적 관찰에서 76%가 술후 순음 청력 검사상

(24)

- 15 - 기도-골도 역치 차가 15dB 이하임이 보고된 바 있다(Kim 등, 2002).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수술적 방법 외에 고막 천공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고막의 재생에 필요한 조건들을 알 수 있 다면, 수술보다 간편하게, 또 높은 성공률을 가진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 이다. 본 연구에서 알게 된 바와 같이 주된 천공 부위는 고막의 전하방이며 (89%), 고막 천공이 자연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tophi의 위치는 고막 천 공의 주위, 그리고 추골병과 fibrous annulus 주위에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고막 천공의 크기는 추골병 혹은 fibrous annulus를 포함하는 경우에 더 크 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tophi의 크기 또한 추골병 혹은 fibrous annulu를 포함 하는 경우에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막이 재생되는 과정에 추골병과 fibrous annulus 부위에 위치한 인자가 관련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한다.

(25)

- 16 -

V. 결 론

만성 고막 천공은 고막 전하방에 가장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천공 후 발생한 반흔 조직은 천공 부위 양측에 가장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천공 부위가 추골병을 포함하거나, fibrous annulus를 포함할 때 크며, 이 둘을 동시에 포함할 때 또한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ophi는 고막 재생시 염 증 반응에 의해 추골병이나 fibrous annulus 근처에서 만들어 지는 것으로 생각 된다. 이것은 고막 재생이 이 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임상적 특징을 다른 동물실험 등과 비교하여 고막 재생 기전을 확립한다면 새로운 재생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6)

- 17 -

참고

문헌

1. Chen Y.S, Hwang J.H, Liu T.C : A computer program of calculate the size of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Clin. Otolaryngol 29:340-342, 2004

2. Dvorak D.W, Abbas G and Welling D.B: Repair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with long-term epidermal growth factor. The Laryngoscope 105:1300-1304, 1995

3. Fina M, Baird A and Ryan A: Direct application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mproves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healing. The laryngoscope. 103 :804-809, 1993

4. Hampal S, Flood LM, Kumar BU.: The mini-grommet and tympanosclerosis. J

Laryngol Otol 105:161-41, 1990

5. Johnson A.P, Smallman, Lesley A, and Kent S.E.: The mechanism of healing of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Acta otolaryngol 109:406-415, 1990

6. Kristensen S: Spontaneous healing of traumat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in man:A century of experience. Acta-otolaryngol 106:1037-1050, 1992

7. Lee A.J, Jackler R.K, Kato B.M and Scott N: Repair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using epidermal growth factor:Progress toward clinical application. Am

(27)

- 18 -

8. Moils C.P, Jackler R.K and Lustig L.R: Repair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erforations using epidermal growth factor. Otolaryngol Head Neck Surg. 107:669-683, 1992

9. Mondain M, Ryan A.: Epiderm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induced in guinea-pid tympanic membrane following traumatic perforation.

Acta-otolaryngol 115:50-54, 1995

10. Ramsay H.A, Heikkonen E.J and Laurila P.K: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tympanic membranes with chronic perforations:A clinical trial. Otolaryngol Head

Neck Surg. 113(4):375-379, 1995

11. Santa Maria P.L, Ghassemifar R.: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a better animal model is needed. Wound repair reg 15:450-458, 2007

12. Schmidt S.H, Hellstrom S.: Tympanic membrane structure:new views.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53:32-36, 1991

13. Simon I, Angeli, Jessica L, Kulak, and Jose guzman.: Lateral tympanoplasty for total or near-total perforation:prognostic factors. The laryngoscope 116:1594-1599, 2006

14. Spandow O, Hellstrom S. Animal model for persistent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Ann Otol Rhinol Laryngol 102: 467–72, 1993

15. Tos M, Stangerup S.E.: Hearing loss in tympanosclerosis caused by grommets.

(28)

- 19 -

16. Truy E, Disant F, Morgon A.: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an animal model. Am J Otol 16: 222–5, 1995

17. Wang W.Q, Wang Z.M, and Chi F.L.: Spontaneous healing of various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in the rat. Acta oto-laryngologica 123:10,1141-1144, 2010

(29)

- 20 -

-

ABSTRAC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Jeong Joo Ho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un-Hoon Choung)

The objective of tympanoplasty is the reconstruction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TM) perforations. In spite of its good healing results, tympanoplasty also has many complications.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izes and patterns of the perforated TM in chronic otitis media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to stimulate the regeneration.

We reviewed retrospectively 100 cases of type I tympanoplasty performed by one senior surgeon. Revision cases or canal down mastoidectomy cases were excluded. Using the image J programTM, we took the size of perforated tympanic membrane. And we compaired the size with the ratio of perforation (perforating size / TM size).

Most common perforation sites were antero-superior quadrant (89 cases). The perforation mean ratio was 18.4 ± 13.66%. If the perforation involves the malleus, the ratio was 25.2 ± 13.11% and If the perforation involves the fibrous annulus, the ratio was 12.2 ± 12.88% (p<0.05) .

(30)

- 21 -

The malleus and fibrous annulus play a crucial role in remodeling and healing of chron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Key words: Chronic perforated tympanic membrane, Regeneration

수치

표   차례
Fig. 1. Pre-operation drum photo; size of perforation was measured using this photo
Fig. 3. The sites of perforations in the patients with COM
Fig. 4. Drum perforations involving Malleus only, Annulus only, or both Malleus  and Annulus (Note the intersections of all three categories)
+3

참조

관련 문서

Diagram of the proposed use of the electrospun porous pH-responsive PU membrane as a ‘‘window” membrane in reservoir-IVR for controlled release of anionic nanoparticles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KDIGO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Mineral and Bone Disorder (CKD–MBD). Kidney Int 2009:

Respiratory acidosis and metabolic alkalosis : chronic lung disease and diuretics 5.. Mixed acute and chronic respiratory acidosis : chronic lung disease

Chronic kidney disease (partial updat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Clinical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bone regeneration relative to maintenance period of PTFE membrane in rabbit calcarial defects.. Eight adult

5) After GBR, the membrane was removed i n i ni ti al ti me, the usage of nonabsorbabl e membrane and autogenous bone resul ted i n the mostfavorabl e bone formati

19) Yu Y, Kang J., Clinical studies on treatment of chronic prostatitis with acupunctur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genotype 1b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who treated with daclatasvir and asunaprevir (n=231)... Characteristics of genotype 1b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the Multiple Allergosorbent Test-Chemiluminescent Assay(MAST-CLA) and Clinical Severity of Chronic Urticaria. A study of food allergy

This work builds inversely a base performance model of a turboprop engine to be used for a high altitude operation UAV using measured performance data,

The result of using PLGA nanofiber membrane with bone graft material showed that the PLGA nanofiber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2 weeks were ten times more new

Grunder U, Hürzeler MB, Schüpbach P, Strub JR: Treatment of ligature-induced peri-implantitis us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A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Comparison of the acyclovir fluxes across hairless mouse skin and artificial membranes (polyether block amide (PBA) membrane, polyurethane (PU) membrane,

Epithelial exclusion and tissue regeneration using a collagen membrane barrier in chronic periodontal defects: A histologic study.. Hutmacher D, Hurzeler

Through Simulation, we discovered that the heat and mass transfer efficiency of the porous metal foam membrane humidifier was higher, and the pressure drop was

As a result of the study, gas membrane module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of nitrogen charging capacity and using flow rate in the high-pressure

As was observed in SEM images, the thickness of the selective layer of synthesized membranes in this study was higher than conventional TFC membrane due to the nature of

• Six lessons: resting membrane potential, membrane time constant, membrane length constant, axon action potential, axon voltage. clamp

Pervaporation Selective diffusion of a component through a non- porous membrane due to a concentration gradient Membrane distillation A process of evaporation through

Two-dimensional images and phase signals of pure tone 1-kHz, 2-kHz, and 4-kHz sine wave stimuli at 15 W: contact area between tym- panic membrane and ossicles in

The notable structures were as follows: each bone of the cranium, structures of the brain, tympanic cavity (larger than human), oval window (larger than human),

To enhance acid stability, the PI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membrane was modified using Fenton’s reaction, an oxidative cross-linking process, 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