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ffects of a smart phone appli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a feasibility stud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ffects of a smart phone appli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a feasibility study"

Copied!
4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의학 석사학위 논문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효과 분석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의학전공

허 재 성

(3)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효과 분석

지도교수 박 래 웅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8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의학전공

허 재 성

(4)

허재성의 의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전 미 선 인

심 사 위 원 박 래 웅 인

심 사 위 원 이 기 영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3년 6월 21일

(5)

감사의 글

공보의 기간 동안 대학원 수업을 마치고 새벽에 근무지로 돌아가던 길은

새로운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으로 뿌듯했던 기억이 납니다. 시간이 흘

러 석사학위를 마무리 하게 되어 도움을 주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

다.

부족함이 많았던 저에게 임상의사로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좋은 논문

을 쓸 수 있는 학자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박래웅 교

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Java라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그것을

통해 의학과 접목을 가능하도록 도와주신 이기영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학위 심사 기간 동안 심사위원장을 맡아주시고 연구를 진행하는데 많은

조언을 해주신 전미선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석사 과정 기간 동안 전

공의로서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졸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오영택 교수

님께도 감사 드립니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용기를 주시고 논문에 관심을

가져주신 노오규 교수님께도 감사 드립니다.

의료정보학 연구실에서 석사 기간 동안 도움을 주었던 만영이와 우재,

덕용, 은경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석사 과정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이해해주었던 방사선종양학과 가족 여러분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위해서 새벽을 깨우며 기도해 주시는 부모님, 제 자신

보다 저를 더 걱정해주시는 장인.장모님, 떨어져 지내고 있지만 항상 묵묵

히 저의 편이 되어 응원해 주고 있는 아내, 부족한 오빠이지만 항상 응원

해주는 동생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6)

- 국문 요약 -–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효과 분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방 자가 검진에 관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것이 사용자의 유방 자가 검진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안드로이드 OS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유방 자가검진일에 대한 알람 기능과 사용자의 어머님도 같이 유방 자가 검진을 유도하는 기능, 유방 자가 검진 시행여부를 기록하는 기능과 동시에 사용자가 유방 자가 검진을 따라 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19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어플리케이션 사용전과 후의 행동변화를 E-mail, 전화, 직접대면의 방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45명의 대상자가 등록되었으며 사전 설문조사에서 28명(62.2%)의 대상자가 유방 자가검진 경험이 있었으나 이중 적절한 시기에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한 대상자는 1명으로 전체 대상자중 2%에 불과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후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한 자는 사용 전 28명에서 38명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30대 미만에서 사용 전 8명에서 사용 후 18명으로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한 대상자가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후 적절한 시기에 자가검진 시행여부는 1명(2.2%)에서 15명(33.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005) 결론: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은 30세미만의 사용자들에게서 유방 자가 검진율을 증가시켰다. 어플리케이션의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 유방자가검진 ,유방암

(7)

차 례

국문요약 ……… i 차례……… ii 그림차례……… ⅲ 표차례……… ⅳ Ⅰ.서론 ……… 1 Ⅱ.연구대상및방법……… 6 Ⅲ.결과 ……… 22 Ⅳ.고찰 ……… 28 Ⅴ.결론 ……… 34 참고문헌 ………35 Supplement ………37 ABSTRACT ………39

(8)

그림 차례

Fig. 1. App development process ……… 7

Fig. 2. Developed smartphone application ……… 8

Fig. 3. Algorithm of breast self-examination alarm ……… 9

Fig. 4. Input menstrual cycle and generate breast self-examination day

……… 11

Fig. 5. Reminder to encourage mother to practice breast self-examination together

……… 13

Fig. 6. Record breast self-examination history ……… 15

(9)

표차례

Table 1.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23

Table 2.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 25

(10)

I. 서 론

A. 연구의 배경및 필요성

유방암은 전세계적으로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성들에게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Jemal et al., 2011) 한국에서 유방암은 여성 암 발생 순위 제2위를 차지하는 주요 암으로서 1996년 3,801명으로 집계된 유방암 발병환자는 2008년 13,859명으로 늘어나 10년 사이 약 3.5배 증가하였다.(Jung et al., 2011)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발병환자가 2006년 1만 명을 넘어선 이후, 2008년에는 2년 만에 2,548명(23%)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Jung et al., 2011) 또한, 유방암 발병 연령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과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경우 유방암 발병 시 환자의 평균연령이 61세인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평균연령이 48.9세로 젊고 이 가운데 30 ~ 40대 환자의 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Leong et al., 2010) 유방암은 예후가 좋은 암으로 생존율이 83.5%로 높고 특히 5년 생존율의 경우 0기 암의 경우 98.2%에 이른다. 이에 비해 4기암의 경우는 5년 생존율이 30.5% 로 낮기 때문에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한국유방암학회, 2008) 또한 병기로 구분해 보면 0기와 1기를 포함하는 조기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47.2%로 지난 13년 동안 약 2배 가량 상승하였다. (한국유방암학회, 2012) 한국 유방암 학회에서는 30대 초반에는 매월 유방 자가 검진을, 30대 후반에는 유방 자가 검진과 2년마다 임상검진을, 40대 이후부터는 1~2년에 한번씩 임상 진찰과 유방촬영술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Oh et al., 2010) 이중 유방 자가 검진은 다른 검사법에 비해 간단하고 안전하여 비용이 들지 않으며 대부분의 유방암이 촉진된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게 되므로 유방 조기 진단을 위해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11)

검사법이다.(양성회 et al., 2004)

그러나 국내에서 유방 자가 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유방 자가 검진의 시행비율은 높지 않다. 2007년 125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Korea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KNCSS)가 시행되었다. 88%의 대상자가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하여 들은 적은 있으나 실제 유방 자가 검진을 정기적으로 시행한 비율은 13.2%에 불과하였고 불규칙적으로 시행한 경우는 16.1%에 해당하여 총 29.3%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하였다. (Yoo et al., 2012) 또한, 2008년 시행된 핑크리본 캠페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1460명의 참여 인원 중 2%만이 매달 정기적으로 유방암 자가검진을 실시하고 있었고 50%의 응답자는 한번도 자가검진을 실시해 본적이 없었다. 이들 자가검진을 실시하지 않은 이들의 이유를 살펴보면 정확한 유방암 자가 검진 방법을 모르거나 이상증상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67%)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유방암이 나에게 해당되지 않는 질병인 것 같아서(17%) 등과 같은 답변도 일부 있었다.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는 유방 자가 검진을 촉진시키기 위한 동기 부여와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교육이 동시에 필요함을 의미한다. 과거로부터 국내외에서는 유방 자가 검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이들 중 휴대폰, 피임제 등 개인의 접근성이 뛰어난 도구들을 이용하여 유방 자가 검진율을 높이려는 연구들도 진행되었다. 미국에서는 피임제를 이용한 유방 자가 검진율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Ferris DG 등, 1996) 피임제에 유방 자가 검진을 촉구하는 포장을 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피임제 포장이 가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총 90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사전 조사에서 대상자중 24.5%는 생리주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 (생리 시작 후 7일) 에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하고 있었다. 3개월 후 대상자 중 적절한 시기에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한 경우는 이전 24.5%에서 68.1%로 증가하였다. 2008년 인도 정부 주도로 SMS를 이용한 유방암 자가 검진 캠페인이 시행되었다.(Khokhar A. 2009) 22세에서 54세에 이르는 106명의 대상자를

(12)

모집하여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교육을 우선 시행하였다. 이후 대상자 각자의 생리주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여 생리주기에 따른 유방 자가 검진 시기를 알려주는 SMS를 대상자 각자에게 발송하였다. 이 연구는 6개월간 지속되었으며 자가 검진율이 초기 40%였으나 6개월 이후 72.6%까지 증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대상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했고 개인정보 수집과 분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2012.2월말 기준으로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이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중 47.7%를 차지하고 있다.(진흥원, 2012) 또한 여성의 비중이 전체 사용자중 2010년 31.7%에서 2012년 44.4%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진흥원, 2012) 일평균 이용시간은 평균 2.4시간으로 스마트폰은 개인이 밀접하게 사용하는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진흥원, 2012) 이러한 시장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들이 제작되고 있다. 주로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의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운영체계에서 40,000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의료 접근성을 높이려는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Chomutare et al., 2011; Holtz and Lauckner, 2012; Liang et al., 2011; Lim et al., 2011) 만성질환의 관리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들은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약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거나 체중조절, 생활습관 교정 등의 목적으로 개발된 것들이 다수이다. 그에 반해 질환의 예방과 관련된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은 드물다. 유방암 예방과 관련하여 유방 자가 검진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제작된 예들이 있으나 단순한 정보 제공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유방 자가 검진을 동기 유발할 수 있는 기능들과 실제 사용자가 유방 자가 검진을 보고 따라 할 수 있는 컨텐츠도 부족하였다. 지금까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방 자가 검진을 촉진 시키는 유방암 예방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하였다.

(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알림 기능을 통해서 유방 자가 검진일을 확인하고 유방 자가 검진을 직접 따라 할 수 있는 교육 컨텐츠가 포함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유방 자가 검진율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4)

B.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방 자가 검진일 알람 기능과 유방 자가 검진 교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유방암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유방 자가 검진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유방 자가 검진을 동기 유발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유방 자가 검진 빈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3.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유방 자가 검진시기의 적절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15)

II. 연구 대상 및 방법

A.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1.개발과정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유방암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유방 자가 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유방암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유방암을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기존에 개발된 유방 자가검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자가검진을 기록하는 기능과 정보제공의 목적으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자가검진 시기를 알려주거나 실제 자가검진을 따라 할 수 있는 교육기능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자가검진 시기를 알려주는 알람 기능 이외에 유방 자가 검진 방법, 유방암 예방과 관련된 교육기능도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A) 1단계 : 사전조사 및 1차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거에 이루어진 선행연구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공해야 할 기능과 내용들을 선별하여 1차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에서 구현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자가 검진일 알람기능 : 사용자의 생리주기를 이용한다. 사용자의 최종 월경일과 생리주기를 이용하여 자가 검진 최적시기 Database를 생성하고 최적 검진일에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 자가 검진 기록부 : 사용자가 실제 유방 자가 검진 시행일을 기록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16)

(B) 2단계 : 일반인 의견조사 및 2차 어플리케이션 개발 어플리케이션 개발 후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1단계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편의성, 내용 등 어플리케이션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일반인들의 의견 중 다수는 유방 자가 검진을 직접 따라 할 수 있는 컨텐츠의 필요성과 검진기록부 입력 방식의 불편함을 제시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 자가 검진 동영상 추가 : 국가 암 정보 센터의 협조를 얻어 유방 자가 검진 동영상을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였다. - 자가 검진 기록부 입력방식 보완 : 유방 자가 검진일 등록시 자판을 이용한 검진일 입력에 불편함을 호소하여 캘린더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자가 검진일 입력이 가능 하도록 입력 방식을 보완하였다.. (C) 3단계 : 전문가 의견조사 의료정보학 전문가 2인,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 1인, 유방암 외과 전문의 1인, 유방암 환자 간호경험을 가진 간호사 2인 등 유방암 환자에 대한 임상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내용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 이를 통해 유방암 자가 검진 알림 서비스의 보완, 교육 내용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졌다. - 알람 방식 보완 단순히 자가 검진 최적일 당일에만 알림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최적일 전후를 포함한 3일 연속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보완이 이루어졌다. 또한 부모님과 떨어져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스마트폰 사용자 본인 이외에도

(17)

어머님과 같이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최적일 알람시 어머님께 전화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알림창을 보여주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 교육내용 보완 자가검진의 방법 이외에 암 정보 센터의 도움을 받아 유방암 예방 정보를 추가하였다.

(18)

Fig. 1. App development process. Expert

who were medical informatics

professor, radio-oncologist, breast cancer surgeon, breast cancer patient

managing experience nurses.

(19)

2.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연구에 사용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경기지역암센터와 국가암 정보센터의 지원을 받아 안드로이드 OS 기반으로 제작하였다

.

(20)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네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자가 검진 알람 기능이다. 이것은 유방암 자가검진을 하기 가장 좋은 시기로 알려진 생리시작 일주일 후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유방 자가 검진일이 된 것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사용자는 생리주기를 입력한다. 생리주기가 일정한 경우 마지막 생리 날짜와 생리주기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생리주기에 따른 추천 유방 자가 검진일이 생성된다. 반대로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거나 폐경이된 사용자는 매달 특정일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리주기를 입력하면 사용자에 맞는 자가 검진 추천일이 사용자 스마트폰 내부의 SQL Database에 저장된다. 이를 이용하여 매월 사용자의 유방 자가 검진 추천일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지 하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가 검진일 전후로 알림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행동 변화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21)
(22)
(23)

또 다른 기능은 스마트폰 사용자 본인의 자가 검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님도 같이 유방 자가 검진을 같이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사용자에 맞는 추천 유방 자가 검진일을 알려주는 동시에 어머님께 연락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서 폐경기 이후 어머님도 같이 유방 자가 검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24)

Fig. 5. Reminder to encourage her mother to practice breast

self-examination together.

(25)

검진 기록부 기능도 제공하여 실제 유방 자가 검진 유무를 기록할 수 있고 추후에 유방 자가 검진 실시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유방 자가 검진 일 입력 방식을 캘린더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기록시 어머님과 같이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만 실제 사용빈도가 매우 낮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어머님들도 유방 자가 검진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했다.

(26)
(27)

교육 기능도 포함하였다. 국가 암 정보센터의 협조를 받아 실제 유방 자가 검진법 동영상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유방 자가 검진법을 보고 따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유방 암 예방 수칙을 제공하여 자가 검진 이외에 유방암 예방과 관련된 내용을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8)
(29)

B. 참가자 모집

본 연구의 참가자 모집은 경기 지역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2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연구 진행을 위하여 아주 대학교 병원 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고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참가자를 모집하였다. 1. 선정기준 만 19세 이상의 여성 본 연구의 의도를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자 2. 제외기준 본 연구에 참여를 거부하는 자 본 연구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 하는 자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환자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자 유방암을 치료중인 환자

C. 연구진행과정

설문은 2회 시행하였고 E-mail, 전화, 직접 대면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전과 사용 후 각각 다른 내용의 설문을 시행하였다. 사용 전 설문은 일반사항에 대한 부분, 가족력 여부, 유방 자가 검진법 의 인식 및 시행에 관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사항은 연령, 결혼여부, 직업 유무, 학력의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유방질환에 관한 가족력은 가족이나 친척 중에 유방암에 걸리신 분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유방

(30)

자가검진법의 인식 및 시행에 관한 부분은 유방 자가 검진법을 알고 있는지 유방 자가 검진 시행여부와 시행 시기의 적절성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사용 후 설문은 2 개월 후 연구담당자가 직접대면, E-mail, 전화를 통해 진행 하였다. 유방 자가 검진의 시행여부, 어플리케이션 추천 자가 검진일 알림 서비스의 유용성, 자가 검진 이후 병원 방문여부 등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D. 윤리적 고려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대상자에게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았으며 대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또한 연구의 목적, 방법, 참여시 얻을 수 있는 이점 등 연구에 관련된 설명도 제공하였다.

E. 자료 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얻게 되는 자료들은 윈도우용 Medcalc 통계 프로그램 (MedCalc®, Mariakerke, Belgium, http://www.medcalc.b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유방암 자가검진에 미치는 효과의 단일군 전후 비교를 위하여 McNemar's test를 시행하였다.

(31)

III. 결과

A. 대상자의 특성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유의 수준 0.05, 검정력 80%으로 Yoo BN가 보고한 선행연구를(Yoo et al., 2012) 기반으로 기존 연구의 자가 검진율 30%과 기대 예상 검진율 70%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McNemar's test 채택시 총 47명의 대상자가 요구되었다. 연구 기간 동안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59의 대상자를 모집하였으나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중 14명의 대상자가 사후 조사에서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연락이 되지 않아 탈락하였다. 따라서 45명의 대상자에 대한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분포는 20-30대가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20대의 비중(46.7%)이 높았다. 미혼자와 기혼자의 비율은 미혼자의 비중 (60.0%)이 더 높았다. 직업을 가진 비율(68.9%)이 높았으며 교육수준도 대졸이상(88.9%)으로 높은 편이었다. 유방암의 가족력은 2명(4.4%)으로 확인되었다.

(32)

Table1.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33)

B.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

45명의 대상자중 유방자가검진을 단순히 들어서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경우는 39명 (86.7%)였다. 이중 정확하게 유방 자가 검진 방법과 이상 증상이 무엇인지 구별할 수 있는 경우는 16명이었다. 유방 자가 검진을 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28명(62.2%) 였으며 정기적으로 유방 자가검진을 하는 경우는 4명으로 전체대상자 중 8.9%에 해당하였다. 이에 비해 불규칙적으로 우연히 유방 자가 검진을 하는 경우는 24명이었다. 유방자가 검진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월경시작일부터 7일후)를 정확히 알고 시행한 대상자는 1명으로 전체 대상자중 2.2%에 불과 하였다. (Table 2)

(34)
(35)

C

.

유방 자가 검진율의 변화

대상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전 후의 유방 자가검진 빈도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표3의 결과를 보면 전체 대상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후 유방 자가검진 시행비율은 62.2%에서 71.1%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각 세부그룹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30세 이전 군에서는 사용 전 36.4%의 유방 자가 검진 비율이 81.8%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였다. (p value <0.05) 이에 반하여 30세 이후 군에서는 사용 전 87.0%에 이르렀던 유방 자가 검진 비율이 60.9%로 감소하였다. 결혼유무에 따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결혼하지 않은 미혼 그룹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가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직업과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전 대상자중 유방 자가검진을 검진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에 해당하는 월경 직후 7일에 시행한 대상자는 1명에 불과하였다. 표3의 결과를 보면 적절한 시기에 자가검진을 시행한 비율이 2.2%에서 33.3%로 증가하였고 시기의 적절성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01)

(36)

Table 3. Baseline and 2-month follow-up comparisons of Breast self

(37)

IV. 고찰

유방암은 조기 발견 시 치료결과가 뛰어난 암으로 유방 자가 검진의 중요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유방 조영술이나 의사에 의한 임상 진찰은 경제적인 부담이나 병원 진료에 대한 부담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비해서 유방 자가 검진은 간단하고 스스로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임상현장에서도 유방암 환자 중 자신이 이상 소견을 발견하여 내원한 경우가 많다. 실제로 만져지는 종괴, 피부의 이상 소견, 이상 분비물 등 환자 자신들이 발견할 수 있는 증상으로 내원하여 유방암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스스로 시행하는 유방 자가 검진은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접근성이 좋은 도구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과거 유방 자가 검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 졌다. 미국에서는 피임약에 유방 자가 검진을 촉진하는 광고를 삽입하여 유방 자가 검진의 비율과 시기의 적절성의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Ferris et al., 1996) 이 연구에서는 유방 자가 검진의 비율과 시기의 적절성 모두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기업과의 연계로 상품 제작을 통해 이루어진 연구였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인도에서는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유방 자가 검진을 촉진시키는 캠페인을 시행하여 유방 자가 검진 비율을 높이는 결과를 얻었다. (Khokhar, 2009) 하지만 대규모의 정부 지원과 대상자들의 개인 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Database가 필요하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그에 비해 본 연구는 현대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접근성을 증가시키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도 Google이 구축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서 무료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있어서도 사용자 각자의 스마트폰에 사용자 각자의 생리 주기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맞는 유방 자가 검진 추천일을 저장한 SQL-Database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유방 자가 검진 추천일 당일과 전후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여

(38)

사용자가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할 수 있도록 동기 유발을 통해 행동변화를 살펴보았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유방암 자가검진에 대한 인식과 시행빈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결과를 보면 45명의 대상자중 유방자가검진을 단순히 들어서 알고 있는 경우는 39명 (86.7%)으로 미국의

경우 (90~99%) 에 비해 다소 적은 비율이었다. (O'Malley and Fletcher,

1987) 이중 유방 자가 검진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경우는 16명에 불과하였다. 유방 자가 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는 28명(62.2%)으로 이중 정기적으로 유방 자가 검진을 하는 경우는 4명에 불과하였다. 대부분 우연하게 불규칙적으로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하였다. 이 결과는 한 달에 한번 이상 유방 자가 검진을 정기적으로 하는 비율이 10 ~ 53.7%로 보고되는 서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낮은 비율 이었다. ( Roetzheim RG등 ,1994) 또한 이러한 결과는 말레이시아와 같은 아시아 국가 들보다 낮은 것이었다. ( Loh and Chew, 2011, Rosmawati, 2010, Yavari and Pourhoseingholi, 2007) 자가검진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 (월경시작일부터 7일 후)를 정확하게 알고 시행한 대상자는 1명으로 전체 대상자 중 2%에 불과하였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2달 후 효과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우선, 빈도의 변화를 보면 시행비율은 63%에서 70%로 증가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유방 자가 검진의 빈도변화는 연구 전 기대했던 70%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이미 유방 자가 검진을 시행했던 비율이 63%로 높았으며 설문 대상자의 교육수준이 높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교육수준과 유방 자가 검진 빈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과거에 발표된 적이 있다. (Haji-Mahmoodi et al., 2002; Shin et al., 2012; Yavari and Pourhoseingholi, 2007). 따라서 참여자의 특성으로 인한 연구의 제한성은 추후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다양한 교육수준의 대상자를 추가하여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9)

연령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30대 미만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반면 30대 이상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고 오히려 검진 빈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연령대에 따른 스마트폰에 대한 수월성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본다. (진흥원, 2012) 스마트폰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이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추후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가 낮은 대상 군에서는 SMS와 같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접근성이 뛰어난 방법을 이용한다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유방 자가 검진 시기의 적절성에 대한 변화도 살펴보았다. 적절한 시기에 자가 검진을 시행한 비율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전 2%에서 사용 후 33%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1)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알려주는 알람 기능이 유방 자가 검진 시기의 적절성에 유의한 효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과거 미국에서 시행된 연구의 결과인 70%와 비교해보면 낮은 결과였다.(Ferris et al., 1996) 알람방식의 변화를 통해서 유방 자가 검진 시기의 적절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폐경 이후 유방암 환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폐경기 이후 연령대에서 스마트폰 사용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하지만 이러한 연령층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기는 쉽지 않아서 연령에 따른 스마트폰 활용도의 차이가 존재한다.(진흥원, 2012) 그러므로 20-30대의 젊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본인의 유방 자가 검진을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사용자 본인 이외에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머님과 같이 유방 자가 검진을 하는 것은 유방암 조기 발견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자의 유방자가 검진 추천일을 알려주는 동시에 어머님과 같이 해보기를 권유하는 알림 기능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였다. 실제 45명의 연구 참여자중 6명 (13%)이 자신이 유방 자가 검진시

(40)

어머님도 같이 유방 자가 검진을 해보았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는 과거 유방 자가 검진 연구에서는 시도해 보지 않았던 결과이다. 서양과는 다른 동양의 효사상과 연관되어 앞으로 유방 자가 검진 캠페인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의 경우 주기적으로 유방 자가 검진이 힘든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녀들을 통한 동기 유발은 폐경 이후의 여성에게 유방 자가 검진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유방 자가 검진을 통해서 이상 증상을 확인하고 의료진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게 하는 것이었다. 실제 이 연구 진행과정을 통해서 유방 자가 검진으로 이상소견을 확인 후 유방 관련 검사를 진행한 예들이 있었다. 45명의 연구 참여자중 4명(9%)이 유방 자가 검진 이후 이상 증상을 확인 하여 의료진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았다. 이것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단순히 정보제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알람 기능을 통하여 유방 자가 검진이라는 행동 변화를 일으켰고 이것이 결국 진료까지 이루어지게 한 예이다. 어플리케이션 사용 기간 동안 유방암 자가검진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문도 같이 진행하였다. 가장 큰 이유는 알람이 울리지 않았다’였다. 귀챦다’,‘중요성을 모르겠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알람 기능의 오류 인한 이유가 대부분 이었다. 이는 추후 기술적 보완을 통해 수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기능의 오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애플이라는 단일 제조사를 가진 아이폰 운영체계와는 다르게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는 다양한 제조사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제조사로 인한 제품의 파편화로 제조사간 기기의 차이로 기능의 구현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추후에 알람 오류를 수정하는 동시에 알람의 방식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사용자의 의견이 있었다. 단순히 유방 자가 검진 추천일 이라는 알림 기능만으로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유방 자가 검진을 실질적으로 동기 유발하는데 부족한 면 이 있었다. 알람 방식의 변화를 통하여 장기적으로

(41)

사용시에도 사용자에게 불편감이 없도록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어플리케이션 User interface(UI)의 직관성이 부족하여 사용자의 조작성이 불편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따라서 직관적이지 못한 디자인에 대한 보완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연령비율이 고르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들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였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주사용자인 2,30대 의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실제 국내유방암 환자의 발병시 평균연령은 48.9세로(Leong et al., 2010)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참가자들의 교육수준 살펴보면 대학교 교육 이상을 받은 비중이 88.9%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높은 교육수준이 과거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유방 자가 검진율에 대한 연구와는 다른 결과에 영향을 끼쳤으리라 생각된다.(Yoo et al., 2012)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육수준을 고려한 참가자 선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스마트폰이 대중화가 되면서 보급은 많이 되었으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 개인간의 편차가 존재하고 있다.(진흥원, 2012) 그 결과 스마트폰 활용도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차를 고려하여 활용도가 낮은 대상자와 높은 대상자를 구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활용도에 따라 사용자를 구별하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방 자가 검진율의 변화를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로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애플의 운영체계를 가진 아이폰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었다. 현재 모바일 운영체계의 점유율을 고려했을 때 추후 아이폰에서도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작의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두 운영체계에서 모두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제작하거나 두 운영체계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유방암 자가검진은 매달 주기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2)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2개월의 기간보다 더욱 긴 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6개월 이상의 기간을 가지고 유방암 자가검진의 빈도와 적절성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추후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수정 후 기간을 늘린 장기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유방 자가 검진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시도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만성질환 관리 이외에 암의 예방과 암환자의 관리 분야에서도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43)

V.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유방 자가 검진 빈도에 미치는 영향과 검진 시기의 적절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였다. 2012년 7월부터 9월까지 유방암에 걸리지 않은 스마트폰 사용자 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자에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전과 사용 후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대상자의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는 McNemar's test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중 유방 자가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는 45명중 28명(63%)이었다. 이중 정기적으로 적절한 시기를 알고 그시기에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한 대상자는 1명으로 전체 대상자중 2%에 불과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유방 자가 검진 빈도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사용 전후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방 자가 검진 빈도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는 30대 미만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후 적절한 시기에 자가검진 시행 여부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018)

(44)

Reference

1. 양성회, 최영은, 원종욱, 이혜리, 윤방부: 유방암 진단에서 유방 X-선

촬영술과 초음파유방촬영 법의 진단적 효용성.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52-158, 2004 2. 한국유방암학회: 2006-2008 유방암백서,2008 3. 한국유방암학회: 2012 유방암백서, 2012 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은퇴연령계층의 스마트기기 이용행태와 라이프 스타일, 2013 5. 한국인터넷 진흥원 : 2012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2012

6. Chomutare T, Fernandez-Luque L, Arsand E, Hartvigsen G: Features of mobile diabetes application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alysis of current applications compared against evidence-based guidelines. J Med Internet Res 13: e65, 2011 7. Ferris DG, Golden NH, Petry LJ, Litaker MS, Nackenson M, Woodward LD:

Effectiveness of breast self-examination prompts on oral contraceptive packaging. J

Fam Pract 42: 43-48, 1996

8. Haji-Mahmoodi M, Montazeri A, Jarvandi S, Ebrahimi M, Haghighat S, Harirchi I: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among female health care workers in Tehran, Iran. Breast J 8: 222-225, 2002

9. Holtz B, Lauckner C: Diabetes management via mobile phones: a systematic review.

Telemed J E Health 18: 175-184, 2012

10. Jemal A, Bray F, Center MM, Ferlay J, Ward E, Forman D: Global cancer statistics.

CA Cancer J Clin 61: 69-90, 2011

11. Khokhar A: Short text messages (SMS) as a reminder system for making working women from Delhi Breast Aware. Asian Pac J Cancer Prev 10: 319-322, 2009 12. Leong SP, Shen ZZ, Liu TJ, Agarwal G, Tajima T, Paik NS, Sandelin K, Derossis A,

Cody H, Foulkes WD: Is breast cancer the same disease in Asian and Western countries? World J Surg 34: 2308-2324, 2010

13. Liang X, Wang Q, Yang X, Cao J, Chen J, Mo X, Huang J, Wang L, Gu D: Effect of mobile phone intervention for diabetes on glycaemic control: a meta-analysis.

(45)

Diabet Med 28: 455-463, 2011

14. Lim S, Kang SM, Shin H, Lee HJ, Won Yoon J, Yu SH, Kim SY, Yoo SY, Jung HS, Park KS, Ryu JO, Jang HC: Improved glycemic control without hypoglycemia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using the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a new medical information system. Diabetes Care 34: 308-313, 2011

15. O'Malley MS, Fletcher SW: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Screening for breast cancer with breast self-examination. A critical review. JAMA 257: 2196-2203, 1987

16. Oh DK, Shim JI, Han M, Kim Y, Lee H-Y, Jun JK, Choi KS, Park E-C: Breast Cancer Screening in Korean Women: Report of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2008. J Breast Cancer 13: 299-304, 2010

17. Shin KR, Park HJ, Kim M: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knowledge of breast cance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Nurs Health Sci 14: 292-297, 2012

18. Yavari P, Pourhoseingholi MA: Socioeconomic factors association with knowledge and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Iranian women. Asian Pac J Cancer

Prev 8: 618-622, 2007

19. Yoo BN, Choi KS, Jung KW, Jun JK: Awareness and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Korean women: results from a nationwide survey. Asian Pac J

Cancer Prev 13: 123-125, 2012

20. Jung K-W, Park S, Kong H-J, Won Y-J, Lee JY, Park E-C, Lee J-S: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08. Cancer

Res Treat 43: 1-11, 2011

(46)

Supplement

Appedndix 1.

<

어플리케이션 사용전 개인정보>

◈ 다음 항목을 읽고 해당되는 사항에 O 하거나 기입해 주십시오. 1. 나이 : _____세 2. 결혼상태: ① 미혼 ② 기혼 ③ 동거 ④ 이혼 ⑤ 사별 ⑥ 별거 ⑦기타 3. 직업: ① 주부 ② 사무/기술직 ③ 자영업 ④ 학생 ⑤ 전문직 ⑥ 공무원 ⑦ 기타( ) 4. 교육정도 : ① 무학 ② 초졸 ③ 중졸 ④ 고졸 ⑤전문대졸 ⑥대졸이상 5. 유방 자가검진법을 알고 있습니까? ① 잘 알고 있다. ② 들어본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 ③ 들어본적 없다. 6. 스스로 유방자가검진법을 실천하고 있습니까? ① 가장 좋은 측정 시기인 한달에 한번씩 생리후 7 일되는 날에 시행한다. ② 한달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③ 몇 번 해본 적은 있으나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않는다. ④ 한두번 실시해본 적이 있다. ⑤ 한번도 실시해본적이 없다. 7. 유방자가검진법을 실시하지 않는다면 그이유는? ① 유방 자가검진법을 잘 알고 있지 않거나 이상증상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 ② 유방 자가검진법을 알고 있으나 해야할 시기를 놓쳐서 ③ 유방 자가검진법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어서 ④ 유방암의 위험이 나에게는 해당없는 일인것 같아서 ⑤ 귀챦아서 ⑥ 기타 8.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47)

Appendix 2.

<어플리케이션 효과측정>

1.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하셨습니까 ① 해보았다 ② 하지 않았다. 2. 유방 자가검진을 어플리케이션에서 알려주는 시기에 주기적으로 해보셨습니까? ① 주기적으로 월경후 7 일경에 해보았다 ② 주기적으로 해보지는 못했으나 특정한때에 해보았다. ③ 하지 않았다. 3. 유방 자가검진이후 병원에서 유방검사를 받아본적이 있습니까? ① 해보았다 ② 하지 않았다. 4. 유방암 자가검진이후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실제 유방암으로 진단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5. 유방 자가검진시 어머님과 같이 해보셨습니까? ① 해보았다 ② 하지 않았다. 6 유방 자가검진을 해보지 않았다면 그이유는? ①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받지 못했다. ② 어플리케이션의 교육자료가 부족했다. ③ 시간이 부족했다. 7.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방 자가검진을 하겠습니까? ① 하겠습니다. ② 모르겠다. 8. 어플리케이션에서 아쉬웠던 점은?

(48)

Abstracts

Effects of a smart phone appli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a

feasibility study

Jaesung Heo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The Gra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Associate Professor Rae Woong Park)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mart phone appli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o the behavioral

modifica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Methods: A developed smart phone app based on Android OS had functions on

examination date alarm, reminder to encourage her mother to practice breast

self-examination together, record keeping and education content with video clips.

Women aged more than 19 years were enrolled for the effect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Two series of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application through e-mail, telephone and face to face interview from July 2012

to September 2012.

Results : In baseline study before the use of the application, 45 women were enrolled

(age 29.5±5.9). Of the participants, subjects who ever practiced breast

self-examination were 28 (62.2%), however who performed in proper time was only 1

(2.2%) in the baseline survey. After use of the application, breast self-examination

increased from 28 to 32 (62.2% to 71.1%, p = 0.503). In subgroup analysis (age <

30 years), breast self-examin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8 to 18 (36.4% to

(49)

81.8%, p = 0.002). The breast self-examination at proper tim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 to 15 (2.2% to 33.3%, p < 0.001).

Conclusions : The use of the developed smart phone application increased breast

self-examination for women younger than 30 years. To confirm long term effect of

the mobile application on breast self-examination,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수치

Table 1.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23
Fig. 1. App development process. Expert  who were medical informatics  professor,  radio-oncologist,  breast  cancer  surgeon,  breast  cancer  patient  managing experience nurses
Fig. 2. Developed smart phone application.
Fig. 3. Algorithms of breast self-examination alarm.
+6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resilience, euphoria and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English improvement, interest, and self-confidence through th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Study of diabetes and the nutri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yphoons were examined via synoptic analysis and track examination, and the damage types and scales were analyzed to contribute to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purpose of study are analyzing the effects of dance majors' self-managemen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elf-efficacy and concentration, In the future,

The tendency of the Music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as mainly frequently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