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읍 소재지 마을의 주민 의식 조사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촌 읍 소재지 마을의 주민 의식 조사 결과"

Copied!
7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연구 담당. 성주인︱연구위원 송미령︱선임연구위원 정문수︱부연구위원 민경찬︱연구원. R792 연구자료-1. 농촌 읍 소재지 마을의 주민 의식 조사 결과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6.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02-2269-9917) I S B N︱978-89-6013-000-5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17006791).

(3) i. 머 리 말. 최근 저성장시대의 도래, 농어촌 마을의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농어촌 주 민들의 정주형태와 경제활동 등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 라 농어촌 마을 주민들의 마을 변화에 대한 의식 변화도 진행되고 있다. 농촌 의 중요한 정주공간으로서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농촌 읍 소재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설문조사는 우리 연구원에서 수행하는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 과제의 2차년도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배후 농촌 마 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사례 마을이 존재하는 부여군 부여읍과 함양군 함 양읍, 울주군 언양읍의 3개 읍지역을 조사 지역으로 삼았다. 본 자료집은 사례 지역 주민 약 1,600명을 대상으로 정주형태 및 경제활동, 읍 소재지 거주 배경, 주민의 사회적 특성, 정주환경 변화에 대한 주민 인식 등 의 조사 결과를 담고 있다. 주민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방문 면접으로 이루어졌으며, 리서치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이 자료집을 통해 농촌 읍 소재지 주민들의 정주 의식과 앞으로의 변화 모습 을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조사에 응해주신 지역 주민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6.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4)

(5) iii. 차. 례.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의 목적 ··································································································· 1 2. 조사 설계 ······································································································ 1 제2장 조사 결과 1. 정주형태 및 경제활동 ·················································································· 3 2. 읍 소재지 거주 배경 ···················································································· 8 3. 읍 소재지 주민의 사회적 특성 ································································· 11 4. 읍 소재지 정주환경 변화에 대한 주민 인식 ·········································· 15 제3장 통계표 ····································································································25 제4장 설문지 ····································································································61.

(6) iv. 표 차례. 제1장 <표 1-1> 응답자 특성표 ················································································ 2 제2장 <표 2-1> 거주 주택 형태 ··············································································· 4 <표 2-2> 동거 가족(복수응답) ······································································ 4 <표 2-3> 주요 경제활동 ················································································ 5 <표 2-4> 경작지 소재 지역 ··········································································· 6 <표 2-5> 경작지 소재 지역 ··········································································· 6 <표 2-6> 가구주 경제활동 지역 ··································································· 7 <표 2-7> 주거지 외 별도 거주 지역 ···························································· 8 <표 2-8> 거주 기간 ························································································ 8 <표 2-9> 거주 경로 ························································································ 9 <표 2-10> 타 도시에서 이주해 온 계기(복수응답) ···································· 10 <표 2-11> 타 농촌에서 이주해 온 계기(복수응답) ···································· 10 <표 2-12> 마을조직/단체 가입 여부 ···························································· 11 <표 2-13> 타 농촌에서 이주해 온 계기(복수응답) ···································· 12 <표 2-14> 직책수행 여부 ·············································································· 12 <표 2-15>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조직 ·························································· 13 <표 2-16> 참여하는 주민활동(복수응답) ····················································· 14 <표 2-17> 과거 대비 주민활동 변화 ···························································· 14 <표 2-18> 과거 대비 전반적인 생활환경 ···················································· 15 <표 2-19> 과거 대비 생활환경 좋아진 점 ·················································· 16 <표 2-20> 과거 대비 생활환경 나빠진 점 ·················································· 17.

(7) v <표 2-21> 해당 군 밖으로 외출하는 횟수 ·················································· 17 <표 2-22> 해당 군 밖으로 외출하는 목적(복수응답) ································ 18 <표 2-23> 타 지역 이주 의향 ······································································· 22 <표 2-24> 타 지역 이주 의향 ······································································· 22 <표 2-25> 거주민의 가치관(경제활동) ························································· 23 <표 2-26> 거주민의 가치관(사회교류) ························································· 24 <표 2-27> 거주민의 가치관(지역발전방향) ················································· 24 제3장 <표 3-1> 응답자 특성표 ·············································································· 25 <표 3-2> 거주 주택 형태 ············································································· 26 <표 3-3> 동거가족(복수응답) ······································································ 27 <표 3-4> 주요 경제활동 ·············································································· 28 <표 3-5> 경작지 소재지역 ··········································································· 29 <표 3-6> 경작지 근처 별도 농가주택 ························································ 30 <표 3-7> 가구주 경제활동 지역 ································································· 31 <표 3-8> 현재 주거지 외에 별도 거주 지역 ············································ 32 <표 3-9> 거주 기간 ······················································································ 33 <표 3-10> 거주 경로 ······················································································ 34 <표 3-11> 도시에서 이주해 온 계기 ···························································· 35 <표 3-12> 농촌에서 이주해 온 계기 ···························································· 36 <표 3-13> 가입한 마을조직/단체 유무 ························································· 37 <표 3-14> 참여 조직/단체(복수응답) ···························································· 38 <표 3-15> 조직에서 직책 수행 경험 여부 ·················································· 39 <표 3-16>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조직 ·························································· 40 <표 3-17> 참여하는 주민활동(복수응답) ····················································· 41 <표 3-18> 과거 대비 전반적인 주민활동 ···················································· 42 <표 3-19> 과거 대비 전반적인 생활환경 ···················································· 43.

(8) vi <표 3-20> 과거 대비 생활환경 중 좋아진 점 ············································ 44 <표 3-21> 과거 대비 생활환경 중 나빠진 점 ············································ 45 <표 3-22> 평소 타 시군으로 다니는 횟수 ·················································· 46 <표 3-23> 평소 타 시군으로 다니는 목적(복수응답) ································ 47 <표 3-24>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생활필수품 구입) ····························· 48 <표 3-25>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주택 및 주거환경) ··························· 49 <표 3-26>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행정‧의료‧복지 서비스 이용) ········ 50 <표 3-27>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이웃 간 친교와 교류) ····················· 51 <표 3-28>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문화와 여가생활) ····························· 52 <표 3-29>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자녀 교육여건) ································ 53 <표 3-30>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치안 및 안전) ·································· 54 <표 3-31> 계속 거주할 의향 ········································································· 55 <표 3-32> 이주하려는 이유(복수응답) ························································· 56 <표 3-33> 경제활동 부분 가치 추구 ···························································· 57 <표 3-34> 사회교류 부분 가치 추구 ···························································· 58 <표 3-35> 지역발전 부분 가치 추구 ···························································· 59.

(9) vii.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2-1>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함양읍) ············································· 19 <그림 2-2>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부여읍) ············································· 20 <그림 2-3>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언양읍) ············································· 21.

(10)

(11) 제. 1. 장. 조사 개요. 1. 조사의 목적 ○ 본 조사는 한국 농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방향에 맞춰 거주 주민 의 정주형태와 경제활동, 거주배경, 정주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봄 으로써, 향후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됨.. 2. 조사 설계 조사 대상. ▪ 함양읍 / 부여읍 / 언양읍 거주민. 표본 수. ▪ 함양읍 : 538명 / 부여읍 : 548명 / 언양읍 : 516명. 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 4.23% Point(함양읍) / 4.19% Point(부여읍) / 4.31% Point(언양읍). 조사 방법. ▪ 개별면접조사. 조사 기간. ▪ 2016년 8월 25일 ∼ 2016년 8월 29일 (5일간).

(12) 2 <표 1-1> 응답자 특성표 구. 분. 성별. 연령. 1,602. 100.0. 538. 33.6. 부여읍. 548. 34.2. 체. 언양읍. 516. 32.2. 남성. 636. 39.7. 여성. 966. 60.3. 30대. 129. 8.1. 40대. 232. 14.5. 50대. 345. 21.5. 60대. 447. 27.9. 70대. 449. 28.0. 고졸 이하 학력. 주요경제활동. 소득. 1,191. 75.0. 전문대졸. 128. 8.1. 대재 이상. 270. 17.0. 농업/임업. 356. 28.7. 자영업. 362. 29.1. 판매/영업/서비스직. 81. 6.5. 생산/기능/노무직. 86. 6.9. 사무/경영/관리. 229. 18.4. 전문/기술직. 68. 5.5. 자유직. 41. 3.3. 기타. 19. 1.5. 100만 원 이하. 455. 28.4. 101∼200만 원. 437. 27.3. 201∼300만 원. 290. 18.1. 301∼400만 원. 165. 10.3. 401∼500만 원. 89. 5.6. 501만 원 이상. 122. 7.6. 44. 2.7. 농가주택. 420. 26.2. 전원주택. 354. 22.1. 빌라/다가구주택. 233. 14.6. 아파트. 488. 30.5. 상가주택. 88. 5.5. 원룸/오피스텔. 18. 1.1. 모름/무응답. 거주주택형태. 비율(%). 함양읍. 전 지역. 사례 수.

(13) 제. 2. 장. 조사 결과. 1. 정주형태 및 경제활동. 1.1. 거주 주택 형태. 문1. 선생님께서 현재 거주하는 주택의 형태는 무엇입니까?. ○ 거주민의 주택 형태를 살펴본 결과, ‘아파트’라는 응답이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농가주택’ 26.2%, ‘전원주택’ 22.1%, ‘빌라/다가구주 택’ 14.5%, '상가주택' 5.5% 등으로 나타남. ○ 언양읍의 ‘아파트’ 거주 비율이 44.6%로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 났으며, ‘농가주택’은 함양읍에서 39.8%로 가장 높게 나타남..

(14) 4 <표 2-1> 거주 주택 형태 단위 : % 사례수 전체. 아파트. 농가주택. 전원주택. 빌라/ 다가구주택. 상가주택. 원룸/ 오피스텔. 모름/ 무응답. (1,602). 30.5. 26.2. 22.1. 14.5. 5.5. 1.1. 0.1. 함양읍. (538). 27.3. 39.8. 18.2. 10.0. 3.5. 1.1. 0.0. 부여읍. (548). 20.3. 24.8. 27.7. 17.0. 8.8. 1.5. 0.0. 언양읍. (516). 44.6. 13.6. 20.2. 16.7. 4.1. 0.8. 0.2.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2. 동거 가족. 문2. 선생님과 함께 거주하는 가족은 누구입니까? (모두 체크해 주십시오). ○ 동거 가족을 살펴본 결과(복수응답), ‘배우자’ 응답이 75.0%, ‘자녀’ 응답이 34.0%, ‘단독세대’ 응답은 15.2%, ‘부모/시부모’ 응답은 7.5%로 나타남. ○ ‘단독세대’ 응답은 함양읍에서 1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여읍이 12.8%로 가장 낮음. <표 2-2> 동거 가족(복수응답) 단위 : % 사례수. 배우자. 자녀. 단독세대 (본인 혼자). 부모님 (시부모님). 형제자매. 기타. 친인척. (1,602). 75.0. 34.0. 15.2. 7.5. 1.1. 0.6. 0.3. 함양읍. (538). 74.2. 27.3. 16.7. 8.4. 0.7. 0.4. 0.7. 부여읍. (548). 77.0. 34.3. 12.8. 9.3. 1.6. 0.2. 0.0. 언양읍. (516). 73.6. 40.5. 16.3. 4.7. 0.8. 1.4. 0.2.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5) 5. 1.3. 주요 경제활동. 문3. 선생님 가정의 주요 경제활동은 무엇입니까?. ○ 거주민의 주요 경제활동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영업’이라는 응답이 22.6%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농업/임업’ 22.2%, ‘사무/경영/관리’ 14.3% 순으로 나타남. ○ 함양읍이 ‘농업/임업’의 비율이 34.9%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부여읍은 ‘사무/경영/관리’의 응답이 22.4%로 높게 나타남. <표 2-3> 주요 경제활동 단위 : %. 전체. 사례수. 자영업. (1,602). 22.6. 농업/ 임업 22.2. 사무/ 경영/ 관리 14.3. 무직 12.8. 모름/무 응답. 생산/ 기능/ 노무직. 판매/ 영업/ 서비스직. 전문/ 기술직. 자유직. 기타. 9.2. 5.4. 5.1. 4.2. 2.6. 1.7. 함양읍. (538). 20.3. 34.9. 8.4. 12.6. 4.3. 4.1. 4.1. 5.0. 3.9. 2.4. 부여읍. (548). 17.7. 19.9. 22.4. 11.5. 10.9. 4.0. 5.7. 4.0. 2.4. 1.4. 언양읍. (516). 30.2. 11.4. 11.8. 14.3. 12.4. 8.1. 5.4. 3.7. 1.4. 1.2.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4. 경작지 소재지역. 문4. 선생님 댁에서 농사를 짓는 경우 경작지는 어디에 있습니까?. ○ 거주민의 경작지 소재 지역을 살펴본 결과, ‘경작지 없음’이라는 응답이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해당 읍 주변’ 25.5%, ‘해당 군 내 다른 면지역’ 6.4%, ‘해당 군 외 타 시/군 지역’ 1.0%로 나타남..

(16) 6 <표 2-4> 경작지 소재 지역 단위 : % 사례수 전체. 경작지 없음. ○○○ 내 다른 면지역. ○○○ 주변. ○○○ 외 타 시/군 지역. 모름/무응답. (1,602). 66.3. 25.5. 6.4. 1.0. 0.8. 함양읍. (538). 58.4. 34.4. 5.9. 0.6. 0.7. 부여읍. (548). 66.6. 23.2. 9.3. 0.2. 0.7. 언양읍. (516). 74.2. 18.8. 3.7. 2.3. 1.0.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5. 경작지 근처 별도 농가주택. 문5. 경작지 근처에 농가주택을 별도로 가지고 계십니까?. ○ 경작지가 있는 거주민(N=540)을 대상으로, 경작지 근처에 농가주택을 별도 로 보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없음’이라는 응답이 8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본인 소유의 농가주택 활용’ 14.8%, ‘농가주택을 빌 려서 활용’ 0.9%로 나타남. <표 2-5> 경작지 소재 지역 단위 : % 사례수. 본인 소유의 농가주택 활용. 없음. 농가주택을 빌려서 활용. 모름/무응답. 전체. (540). 83.7. 14.8. 0.9. 0.6. 함양읍. (224). 86.6. 12.1. 0.9. 0.4. 부여읍. (183). 80.3. 18.0. 1.1. 0.5. 언양읍. (133). 83.5. 15.0. 0.8. 0.8.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7) 7. 1.6. 가구주 경제활동 지역 문6. 선생님 댁의 가구주(실질적 가장)께서는 직장생활 혹은 경제활동을 주로 어디서 하십니까?. ○ 거주민의 가구주의 경제활동 지역을 살펴본 결과, ‘해당 읍 시가지’라는 응 답이 7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해당 읍의 별도 마을 지역’ 8.4%, ‘해당 군 내 면지역’ 4.9%, ‘해당 군 외 타 시/군 지역’ 3.2% 등으로 나타남. <표 2-6> 가구주 경제활동 지역 단위 : % ○○○ 시가지. ○○○의 별도 마을지역. (1,602). 75.9. 8.4. 7.5. 4.9. 3.2. 함양읍. (538). 71.6. 13.8. 7.8. 4.5. 2.4. 부여읍. (548). 78.6. 6.6. 6.8. 6.2. 1.8. 언양읍. (516). 77.5. 4.8. 7.9. 4.1. 5.6. 사례수 전체. 모름/무응답. ○○○ 내 면지역. ○○○ 외 타 시/군 지역.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7. 현재 주거지 외에 별도 주거지역. 문7. 현재 주거지 외에 따로 사시는 지역이 있습니까?. ○ 현재 거주지 외 별도 거주 지역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없음’이 97.9%, ‘있음’이 2.1%로 나타나 현재 주거지 외에 별도 거주지역이 없는 사 람이 대다수를 차지함..

(18) 8 <표 2-7> 주거지 외 별도 거주 지역 단위 : % 사례수. 없음. 있음. (1,602). 97.9. 2.1. 함양읍. (538). 97.8. 2.2. 부여읍. (548). 98.5. 1.5. 언양읍. (516). 97.5. 2.5.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 읍 소재지 거주 배경. 2.1. 거주 기간. 문8. 선생님은 현재 거주지에 얼마 동안 사셨습니까?. ○ 거주민의 거주기간을 살펴본 결과, ‘21년 이상’이라는 응답이 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년 이하’는 11.4%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언양읍 주민들이 평균 27년 거주한 것으로 나타나 타 읍 지역에 비해 최근 이주해온 가구가 많다고 볼 수 있음. <표 2-8> 거주 기간 단위 : % 사례수. 5년 이하. 6년∼10년 이하. 11년∼20년 이하. 21년 이상. 평균 거주 기간 (년). (1,602). 11.4. 12.4. 14.6. 61.5. 32.2. 함양읍. (538). 10.2. 12.8. 11.0. 66.0. 34.7. 부여읍. (548). 10.0. 8.9. 12.2. 68.8. 34.7. 언양읍. (516). 14.1. 15.7. 20.9. 49.2. 27.0.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19) 9. 2.2. 거주 경로. 문9. 선생님은 ○○읍에 어떻게 살게 되셨습니까?. ○ 거주민의 해당 읍 거주 경로를 살펴본 결과, ‘고향/계속 거주’라는 응답이 29.5%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결혼하면서 정착’이 27.5%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남. ○ 고향 여부와 상관없이 타 도시 지역에서 살다가 이주해온 주민은 전체 30.5%로 언양읍(43.4%), 함양읍(25.3%), 부여읍(23.8%) 순으로 나타남. <표 2-9> 거주 경로 단위 : %. 사례수. 고향이고 계속 거주 하였음. 결혼하면서 정착하였음. 타 도시의 동 지역 출신으로 이주해 옴. 고향이지만 타 도시의 동 지역에서 살다 돌아옴. ○○○ 내 다른 면 출신으로 이주해 옴. ○○○이 고향이지만 타 농촌의 읍/면 지역에서 살다 돌아옴. 타 농촌의 읍/면 지역 출신으로 연고없이 이주해 옴. (1,602). 29.5. 27.5. 22.8. 7.7. 6.9. 2.4. 2.2. 함양읍. (538). 35.9. 25.7. 15.6. 9.7. 4.6. 3.2. 3.7. 부여읍. (548). 32.3. 30.5. 13.9. 9.9. 9.3. 2.6. 1.3. 언양읍. (516). 19.8. 26.2. 39.9. 3.5. 6.6. 1.4. 1.6.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3. 도심에서 이주해 온 계기 문10. 도시 지역에서 현재 살고 있는 곳으로 이주해 오신 계기는 무엇입니까? 2가지를 답해주세요.. ○ 타 도시에서 이주해온 주민(N=490)을 대상으로, 타 도시에서 이주해 온 계 기를 살펴본 결과, ‘(농업 외) 직장생활’ 42.0%, ‘가족/친지와 함께 생활’이라 는 응답이 24.7%로 높게 나타남..

(20) 10 ○ 언양읍이 ‘(농업 외) 직장생활’로 응답한 비율이 51.3%로 가장 높았으며, 함 양읍은 ‘가족/친지와 함께 생활’로 응답한 비율이 32.4%로 높게 나타남. <표 2-10> 타 도시에서 이주해 온 계기(복수응답) 단위 : % 사례수. (농업 외) 직장생활. 가족/ 친지와 함께 생활. 자연과 밀접하게 생활. 새로운 사업 구상. 직업적인 영농. 기타. 건강 회복 또는 질병치료. 생활 및 주거비 절약. 모름/ 무응답. 전체. (490). 42.0. 24.7. 18.0. 11.6. 9.4. 6.3. 5.7. 5.7. 0.8. 함양읍. (136). 27.2. 32.4. 25.0. 14.0. 14.0. 10.3. 8.8. 4.4. 0.7. 부여읍 언양읍. (130) (224). 41.5 51.3. 24.6 20.1. 11.5 17.4. 9.2 11.6. 8.5 7.1. 6.9 3.6. 4.6 4.5. 9.2 4.5. 0.8 0.9.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4. 농촌에서 이주해 온 계기 문11. 농촌 마을에서 현재 거주지로 이주하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2가지를 답해주세요.. ○ 농촌 지역에서 이주해온 주민(N=183)을 대상으로, 타 농촌에서 이주해온 계 기를 살펴본 결과, ‘경제활동 기회’라는 응답이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남. ○ 특히 부여읍(54.2%)과 함양읍(43.5%)에서 ‘경제활동 기회’를 위해 타 농촌 에서 이주해 온 비율이 높게 나타남. <표 2-11> 타 농촌에서 이주해 온 계기(복수응답) 단위 : % 사례수 전체 함양읍 부여읍 언양읍. (183) (62) (72) (49). 경제활동 기회 45.9 43.5 54.2 36.7.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친척/ 가족과 함께 살기 위해 30.6 32.3 25.0 36.7. 기타 18.0 17.7 12.5 26.5. 행정/ 문화/ 치안 등 주거환경 9.8 14.5 5.6 10.2. 자녀교육 9.3 9.7 12.5 4.1. 양호한 의료여건 2.7 0.0 2.8 6.1. 이웃간 갈등 모름/무응답 0.5 1.6 0.0 0.0. 0.5 0.0 1.4 0.0.

(21) 11. 3. 읍 소재지 주민의 사회적 특성. 3.1. 가입한 마을조직/단체 유무. 문12. 선생님께서 가입하고 계신 마을조직이나 단체가 있습니까?. ○ 거주민의 마을조직/단체 가입 유무를 살펴본 결과, ‘없음’이 80.0%, ‘있음’이 20.0%로 나타나 10명 중 8명은 마을조직 및 단체에 가입하지 않았음. <표 2-12> 마을조직/단체 가입 여부 단위 : % 사례수. 있음. 없음. (1,602). 20.0. 80.0. 함양읍. (538). 21.9. 78.1. 부여읍. (548). 19.2. 80.8. 언양읍. (516). 19.0. 81.0.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3.2. 참여 조직/단체. 문13. 선생님이 참여하시는 조직이나 단체는 무엇입니까?. ○ 마을조직 및 단체에 가입한 거주민(N=321)을 대상으로, 참여하고 있는 조직 이나 단체를 살펴본 결과(복수응답), ‘새마을회’와 ‘노인회’가 3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언양읍의 경우 ‘상가번영회’(20.4%) 와 ‘주민자치위원회’(11.2%)가 타 읍 지 역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음..

(22) 12 <표 2-13> 타 농촌에서 이주해 온 계기(복수응답) 단위 : % 새마 사례수 을회 노인회 (부녀회). 기타. 자원봉 사단체. 상가 번영회. 의용 농협 및 주민 농민회 소방 및 작목반 생산자 자치 (한농연, 자율 조직 위원회 전농) 방범대. 마을 기업. 귀농 귀촌 연합회. 전체. (321). 32.7. 33.0. 14.0. 10.9. 10.0. 7.2. 6.2. 5.9. 4.4. 2.5. 1.2. 0.9. 함양읍. (118). 28.8. 44.9. 22.0. 12.7. 0.8. 11.9. 5.9. 2.5. 5.1. 1.7. 1.7. 0.8. 부여읍. (105). 41.9. 27.6. 12.4. 7.6. 10.5. 7.6. 6.7. 4.8. 3.8. 2.9. 1.0. 1.9. 언양읍. (98). 27.6. 24.5. 6.1. 12.2. 20.4. 1.0. 6.1. 11.2. 4.1. 3.1. 1.0. 0.0.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3.3. 조직에서 직책 수행 경험 여부 문14. 선생님은 해당 조직에서 회장 혹은 총무 등 직책을 현재 수행 중이시거나 경험한 적이 있으십니까?. ○ 마을조직 및 단체에 가입한 거주민(N=321)을 대상으로, 현재 직책을 수행 중이거나 경험 여부를 살펴본 결과, ‘없음’이 56.7%, ‘있음’이 43.3%로 나타 나 직책 수행/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약간 높게 나타남. <표 2-14> 직책수행 여부 단위 : % 사례수. 있음. 없음. 전체. (321). 43.3. 56.7. 함양읍. (118). 46.6. 53.4. 부여읍. (105). 42.9. 57.1. 언양읍. (98). 39.8. 60.2.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3) 13. 3.4.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조직 문15. 응답하신 조직 중에 선생님께서 이전에 비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계신 조직은 무엇입니까?. ○ 마을조직 및 단체에 가입한 거주민(N=321)을 대상으로, 가입한 마을조직/단 체 중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에 대해 살펴본 결과, ‘노인회’가 28.3%로 가장 높게 나타남. <표 2-15>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조직 단위 : %. 사례수. 노인회. 새마 을회 (부녀회). 전체. (321). 28.3. 26.8. 의용 농민회 주민 농협 및 귀농 상가 자원봉 소방 및 기타 작목반 (한농연, 자치 생산자 귀촌연 번영회 사단체 자율 전농) 위원회 조직 합회 방범대 13.1 8.4 7.5 3.7 3.4 3.4 2.5 1.6 0.6. 함양읍. (118). 37.3. 19.5. 21.2. 0.0. 5.9. 6.8. 3.4. 1.7. 2.5. 0.8. 0.0. 부여읍. (105). 23.8. 35.2. 12.4. 8.6. 5.7. 3.8. 2.9. 1.0. 1.9. 2.9. 1.9. 0.0. 언양읍. (98). 22.4. 26.5. 4.1. 18.4. 11.2. 0.0. 4.1. 8.2. 3.1. 1.0. 0.0. 1.0. 마을 기업 0.6 0.8.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3.5. 참여하는 주민활동. 문16. 선생님이 주로 참여하시는 주민활동은 무엇입니까? (복수응답). ○ 마을조직 및 단체에 가입한 거주민(N=321)을 대상으로, 가입한 마을조직/단 체에서 주로 참여하는 주민활동을 살펴본 결과, ‘마을 청소’가 31.8%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 다음으로 ‘자원봉사 활동’ 31.2%, ‘마을 총회’ 23.7%, ‘취미활동(예술, 풍 물, 체육 등)’ 19.0%, ‘각종 지역발전 모임’ 17.8% 등으로 나타남..

(24) 14 <표 2-16> 참여하는 주민활동(복수응답) 단위 : % 사례수. 마을청소. 자원봉사 활동. 마을총회. 취미활동 (예술, 풍물, 체육 등). 각종 지역발전 모임. 기타. 의용소방 및 자율방범. 귀농 귀촌인 모임. 전체. (321). 31.8. 31.2. 23.7. 19.0. 17.8. 15.9. 3.1. 0.6. 함양읍. (118). 39.8. 28.0. 15.3. 24.6. 7.6. 23.7. 1.7. 0.8. 부여읍. (105). 36.2. 27.6. 36.2. 17.1. 18.1. 17.1. 4.8. 1.0. 언양읍. (98). 17.3. 38.8. 20.4. 14.3. 29.6. 5.1. 3.1. 0.0.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3.6. 과거 대비 전반적인 주민활동 문17. ○○읍에서의 마을 주민들의 활동이 과거에 비해 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했습니까?. ○ 과거 대비 전반적인 주민활동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활발하다’는 의견이 37.6%로 ‘저조하다’는 의견 32.3%보다 약간 높게 나타남. ○ 특히 함양읍은 ‘과거에는 저조했지만 지금은 활발하다’는 의견이 29.9%로 타 읍 지역에 비해 높게 응답하였음. 반면 부여읍은 ‘과거에는 활발했지만 지금은 저조하다’는 의견이 27.2%로 높게 나타남. <표 2-17> 과거 대비 주민활동 변화 단위 : % 사례수 전체. 과거에는 저조했지만 지금은 활발하다. 과거에도 활발했고, 지금도 활발하다. 과거에는 활발했지만 지금은 저조하다. 과거에도 저조했고, 지금도 저조하다. 18.9. 18.7. 19.6. 12.7. (1,602). 잘 모르겠다 30.1. 함양읍. (538). 29.9. 15.6. 14.3. 9.1. 31.0. 부여읍. (548). 11.5. 11.7. 27.2. 19.7. 29.9. 언양읍. (516). 15.1. 29.5. 17.1. 8.9. 29.5.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5) 15. 4. 읍 소재지 정주환경 변화에 대한 주민 인식. 4.1. 과거 대비 전반적인 생활환경 문18. 선생님께서 느끼시기에 ○○읍의 생활환경은 과거에 비해 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했습니까?. ○ 과거 대비 전반적인 생활환경 변화를 살펴본 결과, ‘과거에는 나쁨/지금은 좋아짐’이라는 응답이 43.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과거에도 좋음/지금도 좋음’ 17.9%, ‘과거에는 좋음/지금은 나빠짐’ 13.7%, ‘과거에도 나빴음/지금도 나쁨’ 9.0%등으로 나타남. ○ 현재 생활환경이 나쁘다고 응답한 비율이 부여읍에서 38.2%로 타 읍에 비해 높게 나타남. <표 2-18> 과거 대비 전반적인 생활환경 단위 : %. 사례수. 전체. 과거에는 나빴지만 지금은 좋아졌다. 과거에도 좋았고, 지금도 좋다. 과거에는 좋았지만 지금은 나빠졌다. 과거에도 나빴고, 지금도 나쁘다. 잘 모르겠다. (1,602). 43.1. 17.9. 13.7. 9.0. 16.4. 함양읍. (538). 44.6. 21.0. 8.7. 6.5. 19.1. 부여읍. (548). 30.3. 14.2. 21.4. 16.8. 17.3. 언양읍. (516). 55.0. 18.6. 10.7. 3.3. 12.4.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6) 16. 4.2. 과거 대비 생활환경 중 좋아진 점 문19. 선생님께서 느끼시기에 ○○읍 생활환경 중 과거에 비해 가장 크게 좋아진 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거주민의 과거 대비 생활환경 중 좋아진 점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통통행 여건’이라는 응답이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남. ‘공원 녹지, 산책로 조성’ 24.8%, ‘문화 향유 기회’ 10.5% 순으로 나타남. <표 2-19> 과거 대비 생활환경 좋아진 점 단위 : % 교통통행 여건. 사례수. 공원녹지, 산책로 조성. 문화향유의 기회. 기타. 주택상황. 상업서비스. 자녀교육 환경. (1,602). 40.9. 24.8. 10.5. 9.4. 8.6. 3.2. 2.6. 함양읍. (538). 44.2. 26.2. 10.8. 9.3. 4.6. 2.4. 2.4. 부여읍. (548). 35.2. 29.4. 12.0. 8.4. 10.0. 2.9. 2.0. 언양읍. (516). 43.4. 18.6. 8.5. 10.7. 11.0. 4.3. 3.5.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4.3. 과거 대비 생활환경 중 나빠진 점 문20. 반대로, ○○읍 생활환경이 과거에 비해 가장 크게 나빠진 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거주민의 과거 대비 생활환경 중 나빠진 점에 대해 살펴본 결과, ‘상업서비 스’라는 응답이 1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자녀교육 환경’ 13.0% 순으로 나타남..

(27) 17 <표 2-20> 과거 대비 생활환경 나빠진 점 단위 : % 없음/모름/ 기타. 사례수 전체. 상업 서비스. 자녀교육 환경. 교통통행 여건. 문화향유의 기회. 공원녹지, 산책로 등 공공장소. 주택 상황. (1,602). 34.5. 19.7. 13.0. 10.2. 9.6. 8.7. 4.4. 함양읍. (538). 45.4. 13.0. 9.9. 8.2. 9.9. 10.0. 3.7. 부여읍. (548). 26.5. 28.1. 19.5. 5.8. 8.2. 8.4. 3.5. 언양읍. (516). 31.6. 17.6. 9.5. 16.9. 10.9. 7.6. 6.0.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4.4. 평소 군 밖으로 다니는 횟수. 문21. 선생님은 평소에 ○○군 밖으로 얼마나 자주 다니십니까?. ○ 해당 군 밖으로 다니는 횟수를 살펴본 결과, ‘월 1회 이하’라는 응답이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주 1회’ 25.5%, ‘주 2∼3회’ 12.7% 순으로 나타남. 월 평균으로 보면 주로 4∼5회 정도 군 밖으로 다니 는 것으로 나타남. <표 2-21> 해당 군 밖으로 외출하는 횟수 단위 : % 사례수. 월 1회 이하. 주 1회. 주 2∼3회. 주 4∼5회. 주 6회 이상. *월평균*. (1,602). 54.3. 25.5. 12.7. 3.6. 3.8. 4.49. 함양읍. (538). 52.8. 32.2. 9.7. 2.6. 2.8. 3.96. 부여읍. (548). 58.8. 22.3. 11.9. 3.1. 4.0. 4.24. 언양읍. (516). 51.2. 22.1. 16.9. 5.2. 4.7. 5.32.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28) 18. 4.5. 군 밖으로 다니는 목적 문22. 선생님께서 ○○군 밖으로 다니시는 목적은 무엇인지 2가지를 말씀해주십시오.. ○ 해당 군 밖으로 다니는 목적을 살펴본 결과(복수응답), ‘친지방문/친교모임’ 이라는 응답이 51.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술/입원/치료 등 전문의료 활동’이 45.9%로 뒤를 이음. <표 2-22> 해당 군 밖으로 외출하는 목적(복수응답) 단위 : %. 사례수. 친지 방문이나 친교모임. 수술, 입원, 치료 등 전문의료 활동. 쇼핑, 영화관람 등 문화 소비활동. 생활필수품 구입. 직장통근 등 경제활동. 가전, 가구, 주방용품 등 구입. 기타. (1,602). 51.6. 45.9. 32.1. 15.3. 9.9. 5.9. 2.4. 함양읍. (538). 43.5. 52.0. 24.3. 16.0. 10.4. 6.5. 3.3. 부여읍. (548). 54.2. 44.0. 32.8. 15.0. 6.2. 5.7. 1.6. 언양읍. (516). 57.2. 41.7. 39.3. 14.9. 13.2. 5.4. 2.3.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4.6.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 문23. 선생님께서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읍의 생활환경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다른 지역 대비 함양읍의 생활환경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이웃 간 친교/교 류에 대해 100점 환산 평균 점수로 59.4점으로 나타나 대체로 만족하는 것 으로 나타남. 또한 치안 및 안전에 있어서도 57.0점으로 긍정적이었고, 주택 및 주거환경은 55.2점으로 대체로 만족함..

(29) 19 ○ 다른 지역에 비해 사회 인프라적인 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교육과 의료, 일자리 측면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음. <그림 2-1>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함양읍). ○ 다른 지역 대비 부여읍의 생활환경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치안 및 안전 에 대해 100점 환산 평균 점수로 63.5점으로 나타나 대체로 만족하는 것 으로 나타남. 또한 이웃 간 친교와 교류에 있어서도 61.9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임. ○ 반면, 일자리/경제활동의 기회의 경우 33.2점으로 불만족인 것으로 판단됨. 그 밖에, 자녀교육 여건(42.7점), 문화와 여가 생활의 기회(45.5점) 등의 경우 도 불만족한다는 의견이 좀 더 높았음..

(30) 20. <그림 2-2>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부여읍). ○ 언양읍의 생활환경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주택 및 주거환경에 대해 100점 환산 평균 점수로 65.6점으로 나타나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교육여건, 문화와 여가생활의 기회, 일자리 측면에 있어서는 대체로 만족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31) 21 <그림 2-3> 다른 지역 대비 생활환경(언양읍). 4.7. 계속 거주할 의향. 문24-1. 선생님은 향후 ○○읍에서 계속 거주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 해당 읍 지역에서 계속 거주할 의향을 살펴본 결과, ‘계속 거주할 생각이다’ 라는 응답이 91.8%로 가장 높게 나타남. 이주 의향이 있는 주민의 경우 ‘다 른 도시 지역으로 이주’ 비율이 6.4%로 높게 나타남..

(32) 22 <표 2-23> 타 지역 이주 의향 단위 : %. 전체. 향후 ○○○ 내의 다른 면지역으로 이주할 생각이다. 계속 거주할 생각이다. 사례수. 향후 ○○○ 외의 다른 농촌 지역으로 이주할 생각이다. 향후 ○○○ 외의 다른 도시 지역으로 이주할 생각이다. (1,602). 91.8. 1.3. 0.5. 6.4. 함양읍. (538). 95.5. 0.9. 0.6. 3.0. 부여읍. (548). 90.3. 1.3. 0.4. 8.0. 언양읍. (516). 89.3. 1.7. 0.6. 8.3.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4.8.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이유 문24-2. (이주 의향이 있으신 분들만) 선생님께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가지를 답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주 의향이 있는 주민(N=132)을 대상으로 이주하려는 이유에 대해 살펴본 결과(복수응답), ‘주택 등 주거여건’이라는 응답이 31.8%로 가장 높게 나타 났고, 그 다음으로 ‘자녀 보육/교육 환경’ 28.0%, ‘가족/친지와 함께 거주’ 22.7% 등으로 나타남. ○ 함양읍과 언양읍의 경우 ‘고향 또는 연고지로 복귀하기 위해’로 응답한 비율 이 각 25.0%, 16.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 <표 2-24> 타 지역 이주 의향 단위 : % 사례수 전체 함양읍 부여읍 언양읍. (132) (24) (53) (55). 주택 등 주거여건 31.8 37.5 37.7 23.6.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가족/ 건강 때문에 농업 외에 자녀 보육과 친지와 함께 병원과 직장이나 교육 환경 살기 위해 가까운 곳 소득 기회 28.0 16.7 28.3 32.7. 22.7 16.7 13.2 34.5. 17.4 12.5 22.6 14.5. 14.4 8.3 20.8 10.9. 고향 혹은 연고지로 복귀 13.6 25.0 5.7 16.4. 기타 9.8 8.3 9.4 10.9. 농사짓기 좋은 곳 2.3 0.0 1.9 3.6.

(33) 23. 4.9. 경제활동 부분 가치 추구 방식. 문25-1. 경제활동에 어떠한 가치를 추구하십니까?. ○ 거주민의 경제활동 가치 추구 방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돈보다 시간과 정 신적 여유’라는 응답이 64.0%로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바빠도 경제활 동 적극 참여’ 25.0%, ‘비교 불가’ 11.0% 등으로 나타남. 지역별로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음. <표 2-25> 거주민의 가치관(경제활동) 단위 : % 타인보다 바쁘더라도 경제활동에 적극 참여. 사례수. 돈을 많이 벌기보다 시간과 정신의 여유를 가질 것. 비교 불가. (1,602). 25.0. 64.0. 11.0. 함양읍. (538). 22.3. 61.2. 16.5. 부여읍. (548). 26.5. 64.4. 9.1. 언양읍. (516). 26.2. 66.5. 7.4.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4.10. 사회교류 부분 가치 추구 방식. 문25-2. 사회교류에 어떤 가치를 추구하십니까?. ○ 거주민의 사회교류 가치 추구 방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유롭게 개인활동’ 이라는 응답이 45.5%로 ‘지역민과 교류’ 44.8%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남. ○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나는데 함양읍은 자유로운 생활(48.1%)을 선호하는데 반해 언양읍은 지역민들과 교류(49.8%)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34) 24 <표 2-26> 거주민의 가치관(사회교류) 단위 : % 지역 사람들과 활발하게 교류한다. 사례수 전체. 타인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활동한다. 비교 불가. (1,602). 44.8. 45.5. 9.7. 함양읍. (538). 38.1. 48.1. 13.8. 부여읍. (548). 46.7. 45.6. 7.7. 언양읍. (516). 49.8. 42.6. 7.6.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4.11. 앞으로의 지역 발전 방향. 문25-3. 앞으로 ○○읍이 어떻게 발전하길 원하십니까?. ○ 앞으로 어떤 지역 발전을 원하는지 살펴본 결과, ‘농촌다운 특성이 보존된 곳’이라는 응답이 46.7%로 ‘도시처럼 생활이 편리한 곳’(43.3%)에 비해 약 간 높게 나타남. ○ 지역별로는 함양읍 주민들이 ‘농촌다운 특성이 보존된 곳’(58.0%)을 상대적 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양읍은 ‘도시처럼 편리한 곳’(52.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표 2-27> 거주민의 가치관(지역발전방향) 단위 : % 도시처럼 생활이 편리한 곳. 사례수. 농촌다운 특성이 잘 보전, 관리된 곳. 비교 불가. (1,602). 43.3. 46.7. 10.0. 함양읍. (538). 29.0. 58.0. 13.0. 부여읍. (548). 48.9. 43.4. 7.7. 언양읍. (516). 52.3. 38.4. 9.3. 전체. 자료: 읍 소재지 주민설문조사 결과..

(35) 제. 3. 장. 통계표 <표 3-1> 응답자 특성표. 거주지역.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 가구소득. 거주주택형태. 구. 분. 전. 체 함양읍 부여읍 언양읍 남성 여성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고졸 이하 전문대졸 대재 이상 농업/임업 자영업 판매/영업/서비스직 생산/기능/노무직 사무/경영/관리 전문/기술직 자유직 기타 100만 원 이하 101∼200만 원 201∼300만 원 301∼400만 원 401∼500만 원 501만 원 이상 모름/무응답 농가주택 전원주택 빌라/다가구주택 아파트 상가주택 원룸/오피스텔. 사례수(개). 비율(%) 1,602. 100.0. 538 548 516 636 966 129 232 345 447 449 1,191 128 270 356 362 81 86 229 68 41 19 455 437 290 165 89 122 44 420 354 233 488 88 18. 33.6 34.2 32.2 39.7 60.3 8.1 14.5 21.5 27.9 28.0 75.0 8.1 17.0 28.7 29.1 6.5 6.9 18.4 5.5 3.3 1.5 28.4 27.3 18.1 10.3 5.6 7.6 2.7 26.2 22.1 14.6 30.5 5.5 1.1.

(36) 26 <표 3-2> 거주 주택 형태. 구. 전 거주 지역.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 분. 체. 아파트. 농가주택. 전원주택. %. %. %. 빌라/ 다가구주택 %. 상가주택 %. 원룸/. 모름/. 오피스텔. 무응답. %. %. 계. 1,602. 30.5. 26.2. 22.1. 14.5. 5.5. 1.1. 0.1. 100.0. 함양읍. 538. 27.3. 39.8. 18.2. 10.0. 3.5. 1.1. 0.0. 100.0. 부여읍. 548. 20.3. 24.8. 27.7. 17.0. 8.8. 1.5. 0.0. 100.0. 언양읍. 516. 44.6. 13.6. 20.2. 16.7. 4.1. 0.8. 0.2. 100.0. 남성. 636. 29.6. 27.8. 20.3. 14.2. 6.3. 1.7. 0.2. 100.0. 여성. 966. 31.1. 25.2. 23.3. 14.8. 5.0. 0.7. 0.0. 100.0. 30대. 129. 41.9. 4.7. 25.6. 19.4. 3.9. 4.7. 0.0. 100.0. 40대. 232. 46.6. 11.6. 14.7. 19.8. 5.6. 1.7. 0.0. 100.0. 50대. 345. 35.7. 19.1. 22.0. 16.2. 6.1. 0.9. 0.0. 100.0. 60대. 447. 24.2. 28.0. 26.6. 14.1. 6.3. 0.7. 0.2. 100.0. 70대. 449. 21.2. 43.7. 20.5. 9.6. 4.7. 0.4. 0.0. 100.0. 1,191. 26.4. 31.6. 23.3. 12.8. 5.0. 0.8. 0.1. 100.0. 전문대졸. 128. 39.8. 11.7. 16.4. 21.9. 9.4. 0.8. 0.0. 100.0. 대재 이상. 270. 43.7. 8.9. 20.0. 18.9. 5.9. 2.6. 0.0. 100.0. 농업/임업. 356. 7.6. 62.9. 20.5. 5.9. 2.5. 0.6. 0.0. 100.0. 자영업. 362. 37.8. 9.1. 25.7. 12.7. 14.1. 0.3. 0.3. 100.0. 판매/영업/서비스직. 81. 32.1. 16.0. 27.2. 18.5. 4.9. 1.2. 0.0. 100.0. 생산/기능/노무직. 86. 37.2. 22.1. 19.8. 17.4. 1.2. 2.3. 0.0. 100.0. 229. 48.5. 6.6. 14.0. 25.3. 3.1. 2.6. 0.0. 100.0. 전문/기술직. 68. 48.5. 13.2. 19.1. 13.2. 1.5. 4.4. 0.0. 100.0. 자유직. 41. 22.0. 14.6. 34.1. 24.4. 2.4. 2.4. 0.0. 100.0. 기타. 19. 42.1. 26.3. 10.5. 15.8. 5.3. 0.0. 0.0. 100.0. 100만 원 이하. 455. 17.8. 44.6. 23.7. 9.9. 3.7. 0.2. 0.0. 100.0. 101~200만 원. 437. 27.2. 25.9. 24.9. 12.8. 7.3. 1.8. 0.0. 100.0. 201~300만 원. 290. 34.1. 19.3. 21.7. 15.5. 6.9. 2.1. 0.3. 100.0. 301~400만 원. 165. 42.4. 9.7. 20.0. 20.6. 6.1. 1.2. 0.0. 100.0. 401~500만 원. 89. 53.9. 5.6. 14.6. 20.2. 4.5. 1.1. 0.0. 100.0. 501만 원 이상. 122. 47.5. 7.4. 16.4. 24.6. 4.1. 0.0. 0.0. 100.0. 44. 29.5. 40.9. 18.2. 11.4. 0.0. 0.0. 0.0. 100.0. 고졸 이하. 사무/경영/관리. 가구 소득. 사례수. 모름/무응답.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동결방지 조치를 취하여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우려가 있는 곳은 보온재 드레인 호스 설치시 동결.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Pol y(2, 3, 4, 5-tetraphenyl )si l ol es (1 1 1, so cal l ed pol ysi l ol e, PTPS) shown i n Scheme1possessboth 2, 3, 4, 5-tetraphenyl -1-si l acycl openta- 2, 4-di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