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view of Leukemia in Eastern Medicine Theo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eview of Leukemia in Eastern Medicine Theory"

Copied!
4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BSTRACT

The leukemia is caused by with abnormal changes of the hemotopoietic cell and in the various neoplasm group which occurs from lymph organization and the bone marrow occurs disrupts immigrates toward the blood of circumference and a hemotopoiesis and the arm discouragement royal tomb and is a disease which infiltrates with the organization.

Western medical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and presents eastern medicinal demonstration which is confronted in him about the leukemia, eastern medicinal diagnosis and treatment the clinical dissertation against precisely, saw and dissertation precisely tried about leukemia therapeutic effect of the herbal extract, last from conclusion like this dissertation precisely in the base which tries groped the direction of eastern medicinal treatment method research about the leukemia. Eastern medicine approach led about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leukemia and with leukemia treatment the medical herb which the eastern medicine possesses in development and room sacrifice an eastern medicine theory and the false eye presented the drug which is therapeutic possibility and they presented.

The eastern medicine demonstration and therapeutic method is showing the therapeutic ratio which is effective about the leukemia. But according to the patient does a about prescription and therapeutic method differently and the room my composition is complicated and clinical day is consistent decides upon a reproducibility and a therapeutic ratio with difficult point of accumulation, with standardization of therapeutic method has the difficult point of supply. In treatment of the leukemia demonstrates a nature of a disease consequently with theory of eastern medicine and appropriately prescribes endeavors raises a therapeutic ratio and the medical herb and room proposal remedial value, under verifying reveals the clinical trial which is standardized leads and the medical herb and a room sacrifice and the verification and supply of effect and safety are necessary.

백혈병의 한의학적 질병 관점과 약물 기전 조사

강다혜, 윤용선, 조성훈, 김준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Review of Leukemia in Eastern Medicine Theory

Dha-Hye Kang, Yong-Sun Yoon, Sung-Hoon Jho, June Ki Kim

(2)

Ⅰ. 緖 論

백혈병은 조혈세포(hematopoieitc cells)의 병적 전변으로 인해 발생한 이종 신생물 그룹 (heterogeneous group of neoplasms)이다. 백혈병 세포는 우선 골수나 림프조직에서 발생하여 조혈 및 면역기능을 방해하고 궁극적으로 주변의 혈액으로 이주하거나 다른 조직으로 침윤한다. 백혈병의 발병률은 매년 약 100,000명 당 13명이다.1) 백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은 난치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백혈병의 치료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특히 백혈병 치료법과 신약을 개발할 때 한의학이 보유하고 있는 본초 및 방제는 치료 가능성이 있는 약물을 제시하며, 한의학적 이론과 의안은 그 치료 가능성 을 뒷받침한다. 이에 백혈병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에 관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현황을 Review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백혈병(leukemia)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양방의 개념을 제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한의학적 개념을 정립한 후, 한의학과 관련된 치료 방법을 논의하였 다.

Ⅱ. 硏究方法

백혈병에 대해 한의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우선 첫 번째로 백혈병을 한의학적으로 변증하고 방제 를 처방한 후 치료율에 대한 임상 정보를 축적하고, 약물의 작용기전을 한의학의 이론으로 설명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한의학의 본초와 방제의 효능․주치 관점에서 백혈병의 병증을 치료 할 수 있는 약물을 찾아내고, 그로부터 유효 물질을 추출한 후 그 물질의 치료율과 작용기전을 통계 학적, 생화학적 접근을 통해 밝히고, 신약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호 의존적이다. 첫 번째 방법은 한의학 이론을 사용하여 진단과 치료를 한 후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환자를 유기적 전체로 보고 유기능 체계에 입각하여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는 처방을 구성하는 한의학의 장점을 잘 발휘 할 수 있는 반면, 치료 방법의 표준화가 어려워 연구의 재현성을 보장하기 힘들고, 일관된 치료효율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약물을 대량 공급하기 힘든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방법은 한의학을 이용해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약물을 선택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작용기전을 생화학적으로 밝혀 신약으로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통계학적인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료의 표준화를 통해 일관된 치료효율을 유지하고, 화학적 합성을 통해 약물의 대량공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한의학 특유의 유기 능 체계에 입각한 맞춤 치료의 장점을 살리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첫 번째 방법과 같이 한의학 특유 의 장점을 살린 치료 방법을 통해 달성된 치료 효과를 두 번째 방법과 같은 생화학적 방법을 통해 검 증하여 신약으로 개발 하거나, 두 번째 방법으로 개발된 신약을 첫 번째 방법과 같은 한의학적 방법 과 통합적으로 운용한다면, 백혈병의 치료효과를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상호 의존적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백혈병에 대한 서양 의학적 진단 및 분류와 그에 대응되는 한의학적 변증을 제시하고, 한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 논문을 review하고, 한약 추출물의 백혈병 치료 효능과 생화학적 작용기전 에 대한 논문을 review하며,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이러한 논문 review를 기반으로 백혈병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 방법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Ⅲ. 本論 및 考察

1. 백혈병(leukemia)의 개념 1.1. 백혈병(leukemia)의 개념과 분류 1.1.1. 백혈병의 분류와 특성 백혈병의 네 가지 분류 각각의 차이점과, 질병 발생의 원인, 형태양상은 다음과 같다. 1) 분류 백혈병이라 함은 未成熟 骨髓細胞나 淋巴系 細胞의 증식으로 조혈 기능 장애와 백혈병 세포의 여 러 조직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造血組織의 惡性 腫瘍이다. 백혈병은 이를 유발시킨 백혈병 세포의 형태와 성숙도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급성 백혈병은 미성 숙 세포의 출현과 급격히 경과가 나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만성 백혈병은 성숙된 백혈구와 비교적 완만한 경과를 보인다. 급성과 만성 백혈병은 각각 림프구성과 골수성으로 크게 구분되어 네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 는 ①급성 림프구성 백혈병(또는 림프모구성: ALL) ②급성 골수성 백혈병(또는 골수 모구성: AML) ③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④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으로 분류된다. 2) 원인 사람에서 백혈병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위험인자로서는 다음과 같 은 것들이 있다. ① 방사선 :일본의 원폭 생존자에서 피폭 후 5~7년 사이에 최고의 백혈병 발생을 보였고 이후는 감 소하였으나 총빈도는 정상군에 비해 20배 높다.

② 바이러스: HTLV-I, Ebstein Barr virus

③ 유전질환: Down씨 증후군, Bloom씨 증후군, Fanconi 증후군, Ataxia telangiectasia 화학물질: benzen, cytoxan, busulfan, chloram -busil 등의 알킬화학제

④ 방사선 조사, 암질환에서의 항암제 투여 3) 형태양상 백혈병의 형태적 소견에 관한 두 가지 특징이 있다. ① 백혈병세포의 특징적․세포학적 소견은 말초혈액도말검사와 골수흡입세포검사에서 보인다. ② 조직 변화는 백혈병 세포의 침윤에 의해 야기된다. 백혈병 세포가 신체의 어떠한 조직이나 장기를 침윤할 수 있더라도 가장 현저한 변화는 골수, 비

(4)

장, 림프절과 간장에서 보인다. 병이 완전히 진행시 골수는 백혈구 종괴로 대치되므로 끈적끈적하면서 적갈색으로 나타나는데, 때때로 종양 세포는 지방성 골수로 침윤해 들어가고 해면골과 피질골을 침윤 한다. 현저한 비종대는 CML과 관련이 있다. 이때 비장 무게는 5kg까지도 되고, CLL시에는 비종대가 덜 현저하고 비장 무게는 2500g을 초과하지 않는다. 림프구성 백혈병에는 백수가 주로 침범되고, 더 욱 심하게 되면 침윤은 더욱 광범위하게 되어 결국 구조물이 전반적으로 백혈병 세포로 대치된다. 비장의 종대는 림프계 백혈병에서 보다 골수계 백혈병에서 더욱 현저하고, 심한 림프절 종대는 림 프계일 때 더 특징적이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림프절 종대는 모든 형태의 백혈병에서 흔히 존재한다. 침범된 림프절 종대는 모든 형태의 백혈병에서 흔히 존재한다. 침범된 림프절은 고무양 소견으로 균 일하고, 절단면이 부드럽고, 적백색이고 피막이 위로 올라오는 경향이 있다. 간장의 종대는 골수계 백혈병에서보다 림프계일때 더욱 현저하다. 림프계 백혈병에서는 림프구 침 윤이 문맥부위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골수계 백혈병에서는 침윤이 국한되어 있지 않고 소엽전반에 걸쳐 동양구조내에 침윤한다. 이외 침윤되는 장기는 신장으로, 점차 간질조직 전반에 걸쳐 진행된다. 이는 어느 조직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중추신경계의 백혈병 세포 침윤으로 하는 ALL에서 가장 흔하다. 잇몸 내 침윤시에 환자는 잇몸 주위의 종창과 비대를 초래하고 흔히 2차 감염을 일으키게 된 다. 모든 백혈병의 2차 변화는 백혈병 세포가 조혈기능을 방해함으로서 야기되는 범세포 감소증 때문 에 생긴다. 피부에 반상출혈과 점상 출혈이 보인다. 신체강 내 출혈 특히 심장, 흉강내에서 일어나고, 잇몸과 비뇨계의 출혈도 흔하다. 또한 기능적인 백혈구감소증으로 결국 박테리아감염에 대한 감수성 이 증가, 감염이 구강, 피부, 폐, 신, 방광, 대장에서 흔하고 진균류, 녹농균과 공생체(commensal)같은 기회감염자에 의해 흔히 초래된다. 1.1.2. 백혈병의 각 종류별 특성 1) 림프구성 백혈병

①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은 림프모 구(lymphoblast)로 불리는 미성숙, 전구 B 또는 T림프구(pre-B or pre-T lymphocyte)로 이루어진 종양군이다. 약 85%가 pre-B 형으로 전형적인 소아 백혈병이며 골수와 말초 혈액을 침범한다. 나머 지 중 pre-T 세포형은 청년기에 림프종 형태로 나타나고, 흉선을 잘 침범한다. 두 가지 형태를 현미 경 소견으로 감별하기는 어려우며 면역 표현형에 따라 분류하여야 한다. a. 원인 대부분의 경우, ALL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 다른 종류의 백혈병과는 달리, ALL은 다른 장소에서 각기 다른 비율로 발생한다. 선진국일수록, 사회 경제적인 지위가 높을수록 더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현재의 성인과 소아에 있어서 ALL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생활 습관이나 환경적 요소와 질병과 의 가능한 관계를 밝히려 하고 있지만 정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예방법 또한 알려져 있지

(5)

b. 임상증상 급성림프모구성 및 골수모구성 백혈병은 공통적으로 가지는 임상적 양상이 있다. 대부분의 환자가 첫 증상 후 삼개월내에 갑자기 발병한다. 급성백혈병의 현저한 임상양상은 정상 골수기능의 감퇴와 관련 되어 빈혈로 인한 쇠약감, 감염을 의미하는 발열, 혈소판 감소증으로 인한 출혈(점상출혈, 반상출혈, 비출혈, 잇몸출혈)을 보인다. c. 주요 사망 원인 가. 감염 나. 호흡기 감염, 신우염, 패혈증, 궤양 또는 농양(구강, 직장, 피부) 다. 감염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균 :

pseudomonas aeruginosa, E. coli, Staph. aureus, Klebsiella, Aerobacter, Proteus vulgaris, Fungus(Candida, Aspergillus), Pneumocystis carinii, virus(Herpes zoster/ variclla virus, CMV 등) 라. 출혈 :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로서는 위장, 두개내 출혈이 있다.

②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 성숙형 림프구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형 백혈병이다.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은 모든 백혈병 중 가장 서서히 진행한다.

a. 원인 CLL은 다른 세 가지 종류의 백혈병과는 달리(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 성 백혈병) 고농도 방사선이나 벤젠에 대한 노출과 연관되어 있지 않다. 또 같은 가족 내에서 빈발하 는 유전적 소인도 원인으로 생각 하고 있다. b. 병리생리 CLL은 소림프구성 림프종과 상당히 유사함을 가진다. 대부분의 다른 림프계 악성 질환처럼 CLL은 B 세포의 종양성 질환이다. T세포는 모든 예의 5% 미만으로 드물다. CLL에서 전환된 B세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가. 표면 면역 글로불린(Ig M or IgD)를 가지고 pan-B세포 항원(CD19, CD20) 을 표현하나. TdT나 초기 B 세포 항원인 CD10은 표현하지 않는다. 이들의 표현형은 대부분의 ALL의 림프모세포와 아주 다르다. 나. 세포들은 람다 혹은 카파 경쇄(light chain)를 표현함으로서 단일 세포군을 나타낸다. 다. 세포들은 장기 생존하나 체내에서 항체를 분비하는 형질세포로 분화할 수 없다. 라. CLL은 장기간 생존하는 비기능성 B 림프구가 골수, 말초혈액, 림프절 및 다른 조직 내로의 축적 을 특징으로 한다.

(6)

c. 임상증상 CLL환자는 흔히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증상이 있더라도 비특이적이고 쉽게 피로감, 체중감소 및 식욕감퇴를 보인다. 전반적인 림프절 종대와 간종대가 환자의 50~60%에서 관찰된다. 총 백혈구수가 다소 올라가거나 20만/mm3 로 증가될 수 있다. 말초혈액에서는 림프구의 부서진 핵(smudge cell)이 흔히 보인다. 백혈병성 B 세포는 비기능성이기 때문에 환자들은 저감마글로빈혈증을 보인다. 역설적 으로 환자의 10~15%는 적혈구 혹은 혈소판에 대한 자가 항체가 생겨서 자가 면역 용혈성 빈혈 혹은 혈소판 감소증이 초래된다. d. 염색체 이상 CLL환자의 대략 50%가 배정상적인 핵형을 가지고 있다. Trisomy 12가 환자의 약 1/3에서 보이면서 가장 흔하다. 염색체 14와 11을 침범하는 복합체 이상이 또한 보이고 보통 trisomy 12와 관련되어 있다. 세포유전변화를 보이는 환자들은 초기 치료가 요구되고 상당히 짧은 생존을 보인다. 2) 골수성 백혈병

①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은 15~39세 연령 의 성인에서 주로 호발하며, 소아에서는 백혈병의 20%를 차지한다. AML은 형태가 아주 다양하며 여 러 골수계 분화의 양상을 보인다.

a. 원인

대부분의 경우 AML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고농도의 방사능, 벤젠에 대한 노출, 난소암, 유방암과 같은 암 치료에 있어서의 화학요법 등이 AML을 발생시키는 위험과 관련되어 있다. AML은 전염성이 있거나 유전되지도 않는다. 즉 AML은 후천적 유전 변형 (Faconi anemia, Schwachman- Diamond syndrome, Down syndrome과 같은) 에 의해 유발되고, 정상 골수가 비교적 덜 분화된 세포로 대치되 어 종양세포는 골수계 분화 초기의 한 가지 이상의 미분화 골수모세포로 이루어진다. 이 미분화 모세 포의 복제 비율은 정상 골수모세포보다 낮아, 유전 변형의 실제 효과는 세포 증식보다는 세포 분화를 차단하는 것이다. 종양 세포들은 골수 내에 축적되어, 물리적으로나 다른 기전으로 정상 조혈 세포를 억제한다. 따라서 정상 조혈 작용이 소실되고,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등의 주요 임상 양상을 나타나게 된다. b. 분류

Revised FAB classification에서 AML은 성숙정도(M1-M3)와 백혈구 모세포 분화의 주된 계열 (M4-M7)에 따라 8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같은 환자에서 두 가지 이상의 골수모세포나 복합형태 를 보이는 골수모세포(blasts with hybrid feature)를 관찰 할 수도 있어, 이 경우는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이 혼재하든지 복합된 백혈병(hybrid leukemia)으로 생각해야 한다.

(7)

c. 임상증상

미세혈관 폐색이 AML에서 아주 흔히 보인다. 드물게 파종성 혈관내응고가 AML M3에서 초래된다. 백혈병 세포의 잇몸 내 침윤은 M4와 M5의 특징소견이다. 드물게 골수와 말초혈액에 백혈병 세포가 없이도 골수모세포로 이루어진 국소 종괴를 볼 수 있는데 이를 골수모세포종(myeloblastoma), 과립구 성 육종(granulocytic sarcoma) 또는 녹색종(chloroma)이라 부르며, 이 경우 수 년 내에 전형적인 AML의 양상이 나타난다.

분류

빈도 (% of

AML) 기준

M0-minimally differentiated AML 2~3

종양세포는 골수모세포의 세포학적 소견이나 세포 화학적 표지자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골수세포의 항원을 나타내며 전자현미경적으로 골수모세포를 닮는다.

M1-AML without differentiation 20 매우 미성숙된 골수모세포이나 3%이상이 peroxidase양성 Auer rod나 과립은 적다. M2-AML with maturation 30~40 골수구의 전반적인 성숙을 보인다. Auer rod가

대부분 나온다.

M3-Acute promyelocytic leukemia 5~10 대부분 과과립 전골수구로 세포 한개당 Auer rod가 많다. 환자는 젊고 DIC가 발생한다.

M4-Acute myelomonocytic 15~20

골수구와 단구의 분화가 뚜렷하다. 골수구성분은 M2와 비슷하다. 염색체 16 이상이 있는 M4대 군은 골수호산구증과 좋은 예후가 특징이다.

M5-Acute monocytic leukemia 10

M5a 아형은 단모세포와 전단구가 주된 종양세포이다. M5b아형은 성숙한 단구가 말초혈액에 많다. 양쪽 모두 노령층에 발생하며 장기비대, 림프절증, 조직침윤의 빈도가 높다. M6-Acute erythroleukemia 5 이형성은 적혈구 전구세포가 주된 성분이며 비적혈구성분중에는 30%이상을 골수모세포가 차지한다. 장년기 혹은 노령기 발생한다. M7-Acute megakaryocytic leukemia 1 거핵세포의 모세포가 주된 성분이다. 대부분 골수섬유화 혹은 골수 레티큘린 섬유가 증가한다. 표 2. 백혈병 세포의 성숙정도(M1-M3)와 백혈구 모세포 분화의 주된 계열(M4-M7)에 따른 급성 골수성백혈병(AML)의 분류

② 만성 골수성 백혈병 :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은 원시 골수간 세포의 DNA 손상에서 기원하는 만성형 백혈병이다. CML은 과립구의 과도한 이상 증식, 백혈병세포 가 정상분화ㆍ정상기능을 하나 질병 말기에 분화능력을 상실하여 급성으로 전환, Philadelphia chromosome 양성반응 등의 특징을 가진다.

(8)

그림 1. 염색체이상과 CML의 관련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다른 종류의 백혈병과는 달리 필라델피아 염색체(비정상적으로 짧은 22 번 염색체)라는 혈구세포의 유전적 비정상이 나 타나는 것으로 구분이 된다. 염색체 9번의 장완 에 위치하는 BCR 유전자와 염색체 22번 장완에 위치하는 ABL 유전자간의 상호 전위를 한 것으 로, 이는 BCR-ABL 융합유전자를 만들고 이어 tyrosine kinase 의 활성을 갖는 210-KD의 융 합 단백을 생산한다. 이 단백질은 비정상적인 기 능을 수행하게 된다. CML환자에서 염색체의 파 손의 원인은 불명확하다. 하지만 적은 비율의 환 자들에서, 염색체 파손이 전리방사선에 의해 일 어나고, 또 벤젠이나 항암제 같은 화학물질에 의 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b. 병리생리 CML은 4가지 만성 골수증식성 질환의 하나이 고, 명백한 염색체 이상인 필라델피아 염색체(Ph1)과 관련이 있다. CML환자의 약 90%에서 t(9;22)(q34q11)을 의미하는 Ph1염색체를 관찰할 수 있고, 5~10%에서는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통해 서 BCR-ABL 융합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 Ph1염색체는 ALL환자에서도 때때로 보인다. 급성 백혈 병과 달리 백혈병 간세포의 성숙과정의 장애는 없다. 세포역학적 및 배양검사로 골수와 비장에서 과 립구 전구체세포들이 10~20배 증가를 보이나 정상 간세포보다 더 급격히 분열하지는 않는다. 이는 골수조혈 전구체세포들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생리적인 되먹임회로 신호에 대한 반응의 실패로 생각된다. c. 임상증상 CML의 병세는 보통 서서히 나타나고 초기 증상은 아주 비특이적이다. 환자들은 세포들의 증가된 교 체(turnover)로 빈혈 혹은 증가된 신진대사로 쉽게 피곤감, 쇠약감, 체중감소 및 식욕감퇴를 나타낸 다. 때때로 첫 증상은 심한 비장종대로 인한 복부의 당기는 증세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 하나의 특이 점은 과립구 알칼리성 인산 분해효소의 완전 결핍이다.

(9)

(3) 치료법

백혈병의 종류에 따른 구체적 치료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1)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관해유도약제로는 Vincristine, prednisone, daunorubicin과 L-asparagenase, cyclophosphamide 등 을 병용하는데 이러한 치료로 성인의 약 75%에서 관해가 유도된다.

최근 성인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관해후 치료는 여러 가지 약제를 이용하여 교대로 투여하는 항암 화학치료를 하게 된다. Cytoxan, Vincristine, Doxorubicin ,dexamethasone를 이용한 화학요법과 methotrexate, Cytarabine을 이용한 화학요법을 관해유도요법부터 교대로 투여하는 Hyper-CVAD요 법 (미국, MD Anderson 암센타 연구)은 완전관해을 91% 로 보고하였고, 기존 VAD 요법과 비교하 여 5년 생존율을 21% 에서 39% 로 특히 T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무병생존율을 47%까지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관해 후 치료로 복합 항암치료를 할 것인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할 것인가의 결정은 급성 골 수성 백혈병에 비해 이견이 더 많으며 환자의 위험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염색체 이상 중 9 번과 22번, 4번과 11번, 8번과 14번 염색체의 전좌가 동반된 경우와 진단시 높은 백혈구수치, 완전관 해에 도달하기까지의 기간이 4주 이상 걸린 경우 등은 불량한 예후를 시사하며 동반된 위험인자의 개수에 비례하여 완치율이 감소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급 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경우 1차 관해시 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의 생존율을 약 50% 로 보고하 고 있다. 고위험군에서 공여자가 없거나 고령 등으로 동종이식이 불가능한 경우 자가 조혈모세포 이 식도 고려할 수 있는데 3년 생존율은 42%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9번과 22번 염색체의 전좌, 즉 필 라델피아 염색체 이상이 동반된 경우 복합 화학요법만 할 경우 대부분에서 재발하며 아주 예후가 나 쁘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최근 이러한 경우 글리벡과의 병합요법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장기 생존율에 대한 결과도 곧 보고될 예정이다. 또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중 CD20 표면항원이 양 성인 경우는 CD 20 표면항원의 표적치료제인 맙테라와의 병합요법도 연구중이다.

유지요법은 6-멜캅토퓨린과 methotrexate를 주로 사용한다. Vincristine과 prednisone을 추가하기도 하며 대개 2-3년간 치료한다.

2) 만성림프구성 백혈병

Cytosine arabinoside와 Daunomycin 또는 Adriamycin 또는 Idarubicin같은 항생물질을 주로 사용 하여서 관해의 도입으로서 백혈 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한다. 대사길항제인 Cytosine arabinoside를 중심으로 몇 가지 약제가 활용되고 있다. monocytic 형일 때는 VP-16을 사용한다. 관해가 오면 중추 신경계 침범 예방을 시행한다. 그 방법은 두개강 방사선 조사와 척수강내 methotrexate 시행이다. 관해의 유지를 위해 6-Mercaptopurine 과 methotrexate를 사용하며 4주에 4주에 한 번씩 Prednisone과 Vincristine으로 강화요법을 시행한다. 단, 예후 불량군에서는 관해 도입시부터 강력한 항화학요법을 시행하고 consolidation과 유지요법을 강화시킨다.

(10)

관해가 왔을 경우 골수이식을 시행하기도 한다. 골수 이식은 현재 가장 주목되고 있는 치료법이다. 이는 대량의 항암제나 방사선을 투여하여 골수세포를 완전히 없앤 후에 새로운 골수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골수 제공자 확보의 문제, 재발의 문제, 골수이식 후 사망원인의 약 30%가 되는 폐 렴이나 폐혈증 같은 감염증의 문제, 시설과 의료진의 문제 등의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다. 3) 급성골수성 백혈병 최초 치료의 항암화학요법으로 최대한 백혈병세포를 사멸시켜 정상 조혈작용을 회복하고 완전관해 에 도달하도록 하는 치료이며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APL)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치료를 하게된다. Cytarabine과 Doxorubicin 또는 daunorubicin을 각각 7일과 3일간 투여하는 7-3 요법이 대표적인 치 료법이며 60세 이하에서 평균 완전관해율은 60%-80% 로 보고하고 있다. 이외에도 etoposide, fludarabine, thioguanine 등의 약제도 사용할 수 있다. 관해유도요법으로 완전관해에 도달하더라도 골수내에는 1억-10억개 정도의 백혈세포가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남아있는 백혈세포를 완전히 없애기 위한 관해 후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며 관해 후 치 료로 추가화학요법이나 조혈모세포이식 등의 치료를 하게 된다. 완치를 위한 치료과정에서 완전관해 에 도달했다는 것은 1차 관문을 통과했다는 의미인 것이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은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이나 항암제를 이용한 강화요법에 비해 재발을 유의하게 줄이는 반면 다른치료방법에 비해 치료 관련 사망률이 높다. 따라서 예후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저위험군) 8번과 21번 염색체의 전좌, 16 번 염색체의 역전 등이 동반된 경우는 60세 미만인 경우 고용량 Cytarabine 화학요법을 2-4회 시행 하는 것만으로도 5년 생존율이 60%를 상회하므로 1차 완전 관해후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이 권고되 지는 않는다. 반면 예후가 나쁘리라고 예상되는 (고위험군) 5번과 7번 염색체의 이상, 복합적인 염색 체 이상을 동반한 경우는 비록 60% 정도에서 완전관해에 도달할 수 있으나 관해 지속기간이 짧아 5 년 생존율은 10-20% 로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1차 관해후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권하고 있다. 정상 염색체를 보이는 경우는 중간위험군에 속하며 는 5년 생존율은 45% 정도로 알려져 있고 이 러한 경우 1차 관해 후 자가 또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4)만성골수성 백혈병

DNA를 송상시키는 Busulfan이나, DNA합성에 장해를 주는 hydroxyurea 등이 사용되며 방사성 치 료나 비장적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방사선 치료는 주로 백혈병에 의해 어느 부위에 덩어리가 생겼 을 경우 시행한다. 백혈 세포의 덩어리에는 화학요법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므로 이 종류를 표적으 로 방사선이 조사된다. 그러나 이 종류가 항상 한 부위에만 머물러 있지 않으므로 화학요법을 병용해 야 여기저기에서 종류가 생기지 않는데, 이것이 방사선 치료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만성 골수성 백 혈병에서도 골수이식을 하기도 하나 이는 근치적 치료이다.

(11)

1.2. 백혈병(leukemia)에 대한 한의학 개념 설정 1.2.1. 한의학에서 파악하는 백혈병의 특성 급성백혈병과 만성백혈병으로 나누어 질병을 살펴보기 이전에, 한의학 문헌에 나타나는 백혈병의 특 징과 病因病幾에 대하여 먼저 알아보도록 한다. 1) 문헌에 나타나는 백혈병 한의학에서는 백혈병(白血病)이라는 병명은 없지만 백혈병의 임상적 증상과 연관성있는 표현이 이 역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발열, 빈혈, 출혈, 肝脾腫大, 임파절 종대 등의 증후에 대한 기록들을 찾 아 볼 수 있는데, 급성백혈병의 증상과 병증에 근거하면 “虛勞”, “血枯” 와 닮아 있다. 즉, “血勞”, “急 勞”, “熱勞” 등의 범주에 속하며 출혈이 있으므로 “血症”에, 발열이 있으므로 “溫病”에 속하고, 간비종 대가 뚜렷하면 “𢋋 積”이라 부르며, 임파절 종대가 뚜렷하면 “痰咳”이나 “瘰癧”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名醫雜著>에 “男子二十前後, 色慾過度, 損傷精血, 必生陰虛火動之病, 睡中盜汗, 午後發熱, 喀喀咳 嗽, 卷怠無力, 飮食少進, 甚則痰涎帶血, 喀吐出血, 或咳血 吐血衄血, 身熱, 脈沈數, 肌肉消瘦, 此名勞察, 最重, 難治.” 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의 發熱, 乏力, 盜汗, 出血 및 불량한 예후 등은 백혈병과 매우 유사하며 吐血과 衄血의 언급은 결핵병의 虛勞와 구별되는 것이다. <晋濟方>에 “熱勞由心肺實熱, 傷於氣血, 氣血不和, 臟腑壅滯, 積熱在內, 不能宣通三焦”라 하였다. <景岳全書>에 “虛損之虛, 有在陰分, 侑在陽分, 然病在未深, 多宜溫補, 若勞察之虛, 深在陰中之陰分, 多 有不宣溫補者.”라 하였다. 이외에도 𢋋 과 積의 원인을 “陰陽不和, 臟腑虛弱, 風邪搏之, 是以爲積.” 이라 하였다. 이는 한의학에서 백혈병을 陰虛火動으로 인식하였음을 설명하는 것으로 병이 내재하는 虛損과 陰 陽不和 및 臟腑虛弱의 기초 위에 風邪熱毒 등이 허한 틈을 타고 침입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虛中挾實 의 종합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2) 病因病幾 백혈병의 발병원인은 外邪의 侵入과 內傷의 두 방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外感 病邪의 發病인자 는 毒邪와 熱邪로, 毒邪는 熱毒, 溫毒, 瘀毒, 風毒 등을 포함하고 熱邪는 溫熱, 濕熱, 痰熱, 毒熱 등을 포함한다. 內傷 因子는 勞倦, 肌胞不節, 房事過多, 七情所傷 등으로 간장, 비장, 심장, 신장 등을 손상 한 것이다. 또한 소아환자의 경우는 先天不足 및 유전경향이 內因이 된다. 백혈병의 發病機轉에 대해서 특이하게 因虛之病과 因病之虛의 견해로 나뉜다. 전자는 환자가 먼저 體虛하여 內傷의 상태에서 外邪가 虛한 틈을 타 침범한 것으로 “四肢消溱, 其氣必虛”, “精氣存內, 邪不 可干” 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후자는 백혈병이 먼저 邪毒이 內伏한 상태에서 正氣가 虛損되어 邪毒이 亢盛하게 되어 臟腑와 骨髓에 영향을 주어 발병하게 되는 것으로 “邪氣盛則實, 精氣奪則虛”한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12)

백혈병의 진행병정에 따른 증상들로 보아 급성백혈병의 초기와 중기는 實證 위주로서 本虛表實의 증으로 나타나고, 말기에는 標本이 모두 虛하게 나타난다. 근래에 백혈병은 단순한 虛症이나 實證이 아닌 虛實相兼이나 本虛標實로 보고있다. 환자는 陰陽, 臟腑, 氣血, 經絡 다방면의 失調와 寒熱虛實의 변화가 복잡하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일종의 전신성 질병으로 백혈병의 병인병리에 대하여 진일보한 연구관찰이 필요하다 하겠다. 1.2.2. 한의학적 관점에서의 백혈병의 구분 1) 급성백혈병 ① 한의학에는 급성백혈병이라는 명칭은 없다. 하지만 이 병의 임상적 표현은 일찍부터 있어왔음을 옛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급성백혈병의 증상과 병증에 근거하면, 응당 본병은 한의학의 “虛 勞”, “血枯” 과 닮아있다. <醫門法律>에서는 “虛勞“에 관하여 “虛勞의 증상은, 金櫃敍의 血痺의 아래, 勞를 볼 수 있음 즉 精血에 또한 勞가 있다. 營血이 상한 즉 內熱이 일어나고 五心에 항상 열이 있고, 目中에 火가 나타나 고, 귀 안에 耳鳴이 있고, 입과 혀가 짓무르고, 五味를 알지 못하고, 콧구멍은 마르고, 호흡은 불편하 고, 이에 음식은 肌膚에 다다르지 못하고, 나태하고 즐기고 드러눕고, 뼈가 무르고 발이 시큰거리고, 營氣가 나아감에 하루가 더디고, 衛氣가 나아감에 병이 들고, 營血이 衛氣가 되는바, 안을 지킬 수 없 고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혹은 토하고 혹은 코피를 흘리고, 혹은 二陰之竅에 출하고, 피가 밖으로 나옴에 그 양이 많고, 火熱이 솟아 들어가고, 고통에 시달리고, 제멋대로 굴며 그치지 않고, 營血은 들어서고 다해서 그치고, 죽지 않으니 어찌 기다릴 수 있겠는가” 血枯에 관해서, <素問> 에서는 다음과 같이 밝힌다. “病之則先聞腥燥臭, 出淸液 , 先唾血, 四肢淸, 目眩, 時時前后血...病名曰血枯.”. 急勞와 熱勞의 관계에 대해 <聖濟悤錄>에서 말하기를 “熱勞之證, 心神煩燥, 面赤頭痛, 眼澁脣焦, 身體壯熱, 煩渴不止, 口舌生瘡, 飮食無味, 肢節酸痛, 多臥少起, 或時盜汗, 日見羸瘦者是也.” “急勞之病其 證與熱勞相似, 而得之差暴也, 緣禀受不足 , 優思氣結, 塋衛俱虛, 心肺癰熱, 金火相刑, 髒氣傳克, 或感外 邪, 故煩燥體熱, 頰赤忪心, 頭痛盜汗, 咳嗽, 咽干, 骨挻酸痛, 久則肌腑消索, 各涎唾血者, 皆其候也.” 라 하였다. 위에서 밝힌 것과 같이 본병이 극성하면 出血이 쉽게 발생하여 感染 종류의 임상 표현에 이 르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 급성백혈병의 발병 원인은 外邪와 外邪가 아닌 또 다른 것이 체내를 침습하여, 상하게 한 두 가지 방면이 있다. 외사 중 주요한 것은 濕熱毒邪이고, 이들은 血瘀, 痰凝의 원인 때문이다. 인체 내부가 상한 중 주요한 것은 氣虛로 인한 陰血不足이다. 한의학에서 “正氣在內 , 邪不可干痰“ 에 근거하면 ”邪之所湊, 其氣必虛.“ 의 논술에 해당하는 것이 니, 본병의 발생이 天稟의 부족으로 말미암은 것이고, 後天은 길러지지 못하여 臟腑功能이 實凋되고, 正氣가 허약하고, 邪毒이 內寢하고, 眞氣와 精血이 損傷되고, 음양이 실조되고, 정기가 衰敗하고, 外邪 의 침습을 받기 쉽고, 통괄하지 못하여 혹은 열이 나고 血行이 급해진다.

(13)

② 變症綱目 급성 백혈병의 일반적 초기는 邪氣가 盛해서 돌출한 것이고, 치료는 邪氣를 祛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正氣를 바르게 하는 것을 겸한다. 化學治療로 병세가 완화된 후의 초기의 단계에서는 邪氣가 감 소하고 正氣가 상한다. 또한 正氣를 돕고 本을 북돋우는 것이 주가 되는 것이 알맞다. 병세의 후기에 는 正氣가 衰하는 것이 주요한 임상표현이다. 급성 백혈병은 4가지의 증상의 유형을 가지며, 각 증상 간의 관계는 다음 가~사의 특성을 가진다. 가. 증상간의 경계는 절대적이지 않고, 각 증의 증상들은 서로 동반해서 나타날 수 있고, 주증에 응하 여, 소상하게 판별해서 분석한다 나. 증상은 상호 전화하고, 병의 초기에 氣血은 모두 많지 않고, 병의 증세는 보통이고 즉시 열독이 熾盛하는 증상 종류가 나타나기 쉽다. 다. 熱毒이 熾盛한 증상은 위험하다. 급성 백혈병의 중대한 단계에서 혹은 화학치료 후에 발생하기 쉽 고, 이것이 극성하면 열이 心包에 들어가기 쉽다. 급성 백혈병에는 標 를 치료하고, 淸熱解毒을 위주로 하고, 신속히 병의 세력을 제압하여 발전을 막는다. 라. 급성백혈병에서 本이 虛하고 慓가 實한 것은 특이점이다. 그러므로 益氣養陰 이 기본 치료방법이 되고, 이에 질병의 처음과 끝을 꿰뚫어, “治病必求于本”의 治則을 체현할 수 있게 된다. 마. 內傷과 外感發熱을 구별한다. 壯熱은 아니지만, 밀려오는 기세는 사나워 外感熱毒이 된다. 바. 출혈은 다하지 않아 血熱이 되고, 低熱이나 五心煩熱을 동반하여 陰虛勞 말미암은 것이다. 응당 滋陰養血하고, 高熱 을 동반하여 熱迫血行, 淸熱凉血한다. 氣虛證의 사람에 동반했을 시에는 氣不 攝血하여, 益氣攝血을 치료하는 것이 옳다. 사. 血虛(빈혈)에는 益氣養血하는것이 알맞고, 腎을 윤택하게 돌보고, 精을 보충하는 것을 겸하는 것 이 좋다. a. 氣虛血虧, 肝腎陰虛 症候: 頭暈乏力, 心悸氣短, 動則尤甚, 面色不華, 納差, 低熱, 盜汗或自汗, 可有五心煩熱, 或衄血, 舌質 淡, 舌體胖, 苔少或薄膩, 脉細數或虛大 辨證: 心悸氣短, 面色不華, 低熱 이 변증의 요점이 된다. 이러한 증상은 급성 백혈병의 초기증상이고, 혹은 병의 증상 중에 한꺼번에 일어나는 증상은 그 단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병은 간장, 비장, 신장에 있고, 병의 성정은 虛에 속한다. 病機: 肝腎의 陽이 虛한 즉 精血不化이다. 脾가 虛한 즉 氣血生化乏原하고, 고로 豆暈乏力, 心悸, 自 汗, 面色不華, 舌炎胖, 怠少等氣虛血虧한 증이다. 血은 陰에 속하고, 血虧가 심한 즉 음 역시 허 하다. 그러므로 貝低熱, 盜汗, 五心煩熱, 脈細數等陰虛內熱之症, 陰虛火旺, 迫血妄行하여 衄血이 생긴다. 苔膩가 脾虛濕沮의 증상이다.

(14)

b. 熱毒熾盛, 氣血兩燔 症候: 壯熱口渴, 寒出熱不解, 溲短赤. 伴面色不華, 可兼有口舌生瘡, 咽痛, 喀黃痰, 癤腫, 肛門腫痛或有 衄血, 尿血及便血, 甚則神昏譫語等, 舌炎紅少津, 苔黃燥, 脈虛大而數. 辨證: 感染과 出血의 상태가 동반해서 일어남을 밝혀야한다. 壯熱이 사라지지 않으면서 衄血이 나타나 는 것은 辨證의 요점이다. 병은 氣分에서부터 血分까지 위치한다. 병의 성정은 本은 虛하고 標 는 實하다. 病幾: 正氣가 虛衰하고 外邪는 虛한 것을 타고 들어온다. 熱毒의 사기는 氣分까지 깊이 침입하여 壯 熱, 목이 마르고, 땀이 나고 열이 내리지 않고, 열로 인해 津液이 말라 오줌이 짧고 붉으며(尿 短赤), 혀에 진액이 마른다(舌少津). 열독은 신체 전신의 각 처에 聚結하고, 고로 국부적으로 腫痛이 있고, 심하면 肉이 썩고 고름이 생긴다(肉腐膿). 열이 높아 내리지 않고, 營血에 침입하 여 혈의 상태가 움직임에 神昏, 譫語가 나타난다. 苔黃燥, 脈數屬熱症. 面色不華, 舌淡, 脈虛大 가 本이 虛한 증상이다. c. 癥瘕痰核 症候: 脇下腫塊, 固定不移, 瘰癧痰核, 可伴有發熱, 面色不華, 舌暗淡或有瘀点及瘀班, 脈弦細. 辨證: 본 증상은 肝脾淋巴結腫大가 나타나거나 국부적인 浸潤이 나타나는 환자에게서 관찰된다. 脇下 腫塊, 瘰癧痰核은 변증의 요점이 된다. 병은 간장과 비장에 위치하고, 병의 성정은 虛實이 섞여 있다. 病幾: 脾는 정상적인 기능을 잃고, 수습은 內停되어있고, 凝集하여 痰이 된다. 肝氣는 郁結되고, 瘀血 이 안에서 생긴다. 痰瘀는 서로 방해해서 옆구리 아래에 腫塊가 생긴다. 이것이 신체 각 처로 흩어져서 痰核瘰癧이 생긴다. 脈弦하여 瘀血의 증상이 나타나고 面色不華, 舌淡, 脈이 細하여 本虛하다. d. 邪毒入髓 症候: 皮膚及粘膜廣泛出血, 甚則融合成瘀班, 或班有尿血, 黑便, 崩漏, 嚴重者出現頭痛昏迷, 可兼有發熱 及心悸氣短, 舌淡暗, 脈弦細 辨證: 본 증상은 주로 急性早幼粒白血病患者에게서 나타난다. 체표에서부터 내장출혈이 변증의 주요점 이다. 병은 血分에 위치하고, 그 성정은 實하다. 病幾: 毒邪가 골수에 침입하고, 瘀血이 막히고, 혈이 脈外로 넘쳐 흐름에 출혈이 일어나고, 瘀血이 淸 竅 를 방해하여, 淸氣가 올라가지 못해 頭痛이 생기고, 심하면 昏迷해진다. 瘀血이 안에 쌓여 막히고, 고로 열이 나고, 瘀血이 제거되지 않으면 피가 새로이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心悸氣短 하다. 舌淡暗, 脈弦細하여 血虛夾瘀의 징후가 나타난다.

(15)

3) 만성백혈병 ① 만성백혈병의 병명은 고대 중국 의학문헌에서 찾을 수 없다. 다만 만성백혈병의 임상적 특징에 근 거하면, 微熱, 貧血이 있고, 무기력하며, 몸이 여위고, 코피, 간장과 비장이 붓는다고 한다. 고대 의 학 서적 중 “虛勞”, “積” 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다. <諸病源候論>에 “虛勞之人, 情髓萎竭, 血氣虛弱, 不能充盈肌膚, 故此羸瘦也.”이며, <醫門法律>에 서 또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勞則必勞其精血也. 營血傷則內熱起, 五心煩熱, 目中生花見火, 耳內蛙 聒? 蟬鳴……及至飮食不生肌膚, 怠惰嗜臥, 骨軟足疲……或吐或衄……不死何待郁.“ <難境> 에서 말하기 를 ”病有積, 有聚, 何以別之? 然. 積者, 陰氣也, ……故陰沈而伏.“ <難經正義>에서도 積에대해 서술하고 있다. “其始發宥常處, 其痛不離其郁, 上下有所始終, 左右有 所窮處.” <諸病源候論>: “其病不動者, 直名爲癥”. 만성백혈병은 한의학에 있어서 “虛勞”, “癥”, “積”의 범주에 속하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만성백혈병의 발생이 內傷과 外感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하였다. <諸病源候論> 에서 말하기를 “積聚者, 由陰陽不和, 臟腑虛弱, 受于風邪, 搏于臟腑血氣所爲也.” 이 는 先天이 부족하거나 後天이 失養하여 장부의 虛損을 발생을 야기시킴을 가리킨다.外感六淫은 칠정 을 손상시켜서 氣血의 공능이 문란해진다. 또 장부의 공능이 失調되고, 毒邪가 虛한 틈을 타 침입하 고, 血이 傷한것이 골수에까지 이르고, 氣虛하고 血無하게된다. 邪氣와 營血은 서로를 결박하여 경락 의 흐름을 방해하고 경락이 閉塞되고, 덩어리로 되어 형체를 이룬다. 邪毒이 체내에 쌓이고 머무르며 흩어지지 않고 쌓이게 된다. 평상시에 음식을 절제하지 않으면, 비위가 손상되며, 痰濁이 체내에서 생 기고, 오랫동안 모여서 積을 이룬다. 그러므로 “內虛” 는 병이 발생하는 선제 조건이 되고, 원대의 장인이, “壯人無積, 虛人多宥之”라 한 것과 같다. <靈樞經> 중에 “風雨寒熱不得虛, 邪不能獨傷人, ……此必人虛邪之風如其身形兩虛相得及客 其形.” 이란 언급이 있다. 내재한 정기가 부족한 것이 병의 초기 증상을 일으킴을 강조하였고, 결국 氣血痰食邪毒이 서로 搏結하여 本病(만성백혈병)을 일으키는 것이다. ② 變症綱目 만성백혈병은 숨겨져서 완만하게 발병한다. 임상적 표현은 항상 虛한 중에 實하고, 實한 중에 허하 며, 虛實이 뒤섞여있다. 병정의 진전 속도는 같지가 않다. 그러므로 질병의 각 단계에서 정사의 성쇠 를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 論治가 적절할 수 있도록, 標本의 소재를 변별한다. 변증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積塊의 성질에 근거해서 질병의 단계를 판단한다. 초기에 갈비뼈 아래의 積塊는 작고 연하 다. 중기의 積塊는 점차 커지고, 質이 中하다. 후기의 積塊는 빠른 속도로 점차 커지고, 딱딱해져서 통증을 유발하며, 움직이지 않는다. 둘째, 虛實을 변별한다. 초기의 환자는 일반적으로 情의 상태는 아직 좋다. 환자의 증상은 명확하 지 않으나, 인체의 정기가 손상을 심하게 받지 않았기 때문에, 사기가 實한것이 주가 된다. 중기의 환 자는 피곤함과 무력함을 호소하며, 納減, 消瘦, 自汗盜汗 종류의 正氣 損傷의 症候는 병이 중한 표현

(16)

이다. 이 단계는 正氣가 虛하기 시작하고 邪氣가 實한 것이다. 후기에는 늘 高熱이 지속되고, 땀이 나 고 뼈마디에 疼痛이 있고, 코피가 나서 멈추지 않으며, 병세가 심하면 神昏, 譫語 하게 되는데 이들 종류는 인체의 正氣가 크게 상한 증후이다. 이에 정기는 衰하고 邪氣는 성하게 된다. 만성백혈병의 발병 원인은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a. 氣滯血瘀 b. 正虛瘀結 c. 熱毒煩成으로 나 뉘고 그에 따른 症候와 辨析은 다음과 같다. a. 氣滯血瘀 症候: 脘腹脹滿, 肋下有塊, 軟而不堅, 固定不移, 苔薄脈弦. 變症: 이 증상은 만성백혈병의 초기 단계에 많이 관찰된다. 변증의 주요점은 肋脹滿, 有塊, 軟而不堅, 脈弦 이다. 氣分과 血分에서 병이 나타나고, 正氣는 아직 상하지 않았고, 병의 성질은 實에 속 한다. 病幾: 肝氣가 郁結하고, 脈絡이 조화되지 못하고, 積滯된 증상은 아직 초기이고, 塊는 딱딱하지 않고 부드럽다. 氣滯한 즉 血行이 통하지 않고, 塊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瘡痛은 같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肝脈은 弦脈으로 나타난다. b. 正虛瘀結 症候: 積塊堅硬, 疼痛不移, 神疲怠倦, 不思飮食, 消瘦脫刑, 面色萎黃無華, 多汗, 肌膚甲錯, 豆暈心慌, 脣 甲少華, 舌淡或暗, 脈弦細或沈細. 變症: 이 증상들은 만성백혈병의 중기에 속한다. 病幾 : 병의 熱이 이미 오래되었고 正氣가 이미 衰해서 脈이 거칠어 積塊가 딱딱하게 굳고, 疼痛이 심 해진다. 脾胃의 運化作用은 勢力을 잃고, 氣血의 근원이 부족하여 식욕이 없고, 形體消瘦, 神疲 怠倦하다. 血이 虛한 즉 營血이 上行하지 못해 面色이 萎黃하고, 脣甲無華하다. 瘀血이 생기고 脈이 거칠며, 肌膚가 失養하여 기부가 甲錯해지고, 衛氣가 虛하여 외부가 굳건하지 못하고 陰 液이 외부로 새어나가며, 땀을 많이 흘린다. 舌淡暗하고, 脈이 細하여 氣血에 모두 병이 생기 는 형상을 가진다. c. 熱毒煩成 症候: 壯熱持續, 汗出不解, 煩燥不安, 甚之譫語神昏, 口燥而不甚渴, 肋下腫塊繼增, 硬痛不移, 倦怠無力, 形體消瘦, 面色晦暗, 或衄血不止, 舌紅無苔, 脈細數. 變症: 이 증상은 만성백혈병의 후기 증상이다. 高熱이 내리지 않는 것을 주요한 변증이다. 갈비뼈 아 래에 塊가 쌓여감에 따라 딱딱하게 굳어 통증을 일으킨다. 形體消瘦하고, 뼈 마디 사이에 疼痛 이 느껴지고, 코피가 나서 멈추지 않는다. 심하면 神志不淸하고, 熱毒이 번성하고, 독이 營血 안 으로 침입하여 정기가 衰하게 되는, 정기가 衰하고 사기가 實한 증에 속한다. 病幾: 邪熱壅盛하고, 汗出不解하며 열이 塋血에까지 전해져서 塋陰이 상하는데, 口渴하나 갈증이 심하

(17)

상하며, 기가 허하고 瘀血이 생긴다. 塊가 맺히는 것이 증가함이 심하면 腫이 커져 딱딱하게 굳 어지며 통증을 느끼는데, 이것이 움직이지 않고, 관절에 통증을 유발한다. 氣血이 塋血을 上行 하게 하지 못해 面色晦暗하고, 뼈 근육 형체가 氣血의 영양을 失調한 즉 倦怠하고 無力感이 오 며 形體消瘦하게된다. 혀가 붉고 舌苔가 없으며, 脈은 細數하고 熱邪는 營血에 깊이 침범하여, 陰을 상하게 한다. 2. 백혈병 치료에 대한 접근 2.1. 한의학적 접근 및 치료 효과 2.1.1. 백혈병의 한방 치료 孫起元은 한방과 양방의 각각의 치료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병의 證例에 따라 어느 방법의 치료가 적당한지 고찰하며 한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대해 논술한 바가 있다. 구체적인 治則을 언급하 기에 앞서 총론으로서 제시하면 이하와 같다. 1) 서양의학적 치료가 적합한 경우2) a. 한의학 치료효과가 별로 좋지 않거나 標症이 심한 경우 화학요법을 통해 우선 標를 치료하고 그 후에 本의 치료로 나아가야 한다. 急者治標의 치료원칙이다. b. 임파절, 간비종대에 脹滿感이 확연한 경우, 病毒이 이미 임파절과 간장과 비장에 미쳤고 미성숙백 혈구가 이미 퍼진 경우니 病毒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요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c. 백혈구 수치가 지나치게 증가한 경우 急者治標로서 화학요법을 고려할 만 하다. d. 骨痛이 심한 사람은 미성숙백세포가 대량으로 침윤되어 있는 것인데 이를 완화하기 위해 화학치료 를 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e. 특히 만성백혈병에 있어서 백혈구 세포수가 과도한 사람, 미성숙백혈구가 많아 면역작용이 중지된 경우 화학치료가 더 유용하며 부작용도 비교적 적게 나타난다. 2) 한방의학적 치료가 적합한 경우3) a. 몸이 심하게 虛證을 보여 화학치료를 할 경우 몸이 더 손상되어 회복하기 힘들 것이 우려되는 상 황에는 한방을 응용한다. b. 백혈구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는 경우 또는 정상표준보다 낮은 경우는 화학요법이 적합하지 않다. 환자의 抗病能力이 저하되고 생리조절기능이 망가져 있어, 화학치료를 시행하게 되면 元氣가 심하 게 손상되며 예후도 좋지 않다. c. 빈혈 증상이 분명한 자는 화학치료를 시행할 경우 빈혈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d. 백혈구 수치가 높으나 미성숙백혈구의 조혈모세포가 비교적 많은 경우 화학치료를 하게 되면 발열 과 출혈을 유발하게 된다. e. 口舌潰瘍腫痛이 심하거나 正氣가 虛한 징조가 보이는 자, 출혈이 심하거나 발열증상이 심한 자는 2) 孫起元, 中醫治療白血病的探索, p.23 3) 孫起元, 中醫治療白血病的探索, p.24

(18)

화학치료보다 한방치료가 적합하다. 감염발열과 血虛發熱을 불문하고 이미 正氣가 邪氣에 많이 상한 것이니 補를 우선하여야 한다. 한의학을 이용하여 백혈병을 치료함에 있어 첫 번째 어려움은 개념의 적용이다. 백혈병의 정의 자 체가 서양의학적 기반에 입각한 개념이면서 동시에 다양한 병증을 포괄하고 있어서, 한의학의 證을 중시하는 고전적 한방 용어로 정의하기 어렵다. 虛勞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하더라도, 백혈병이 모두 虛勞에 의한 것은 아니며 虛勞라 해서 반드시 백혈병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설령 백혈병에 나타나 는 증상을 모두 망라하여 辨證한다 하더라도, 지나치게 비특이적이고 광범위한 범주를 다루게 되어 임상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백혈병이라는 병증이 이미 보편적인 개념으로 자리잡은 만큼, 기 왕에 존재하는 양방적 분류방법에 따라 체계적인 辨證을 새로이 정립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다양한 한의학 병증 이론을 백혈병이라는 틀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범위를 좁히는 작업이다. 이는 필 연적으로 방대한 임상 경험의 축적을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가능한 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은 유력한 임상 보고를 중심으로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백혈병에 관련한 한의학적 연구 경향을 크게 나누면, 1) 한의학 이론에 입각한 치료 2) 양방 화학치 료요법의 보조 수단 3) 서양의학 이론을 바탕으로 약물의 성분에 의거한 신약 개발 등의 3가지로 분 류할 수 있다. 2.1.2. 한의학 이론에 의한 백혈병 치료 이하는 한의학의 辨證에 기반한 백혈병치료법이다. 주목할 요소는 病的 細胞의 死滅이라는 개념에 앞서 扶正을 중시한 점으로, 根本 治療를 중시한 한의학적 사고방식의 장점을 찾을 수 있다. 중국은 이러한 八綱ㆍ臟腑ㆍ氣血辨證과 方劑이론에 입각한 치료사례가 속속 보고되고 있으며 양호한 치료효 율을 보이는 예도 많다. 다만 한의학의 특성상 개인별 처방이 각기 동일하지 않아 유효성 있는 통계 자료가 정리되기 어려우며, 천연 약재를 사용하는 이유로 약물의 용량과 품질이 균일할 수 없어 일관 적인 투약원칙이 확정되기 어렵다. 또한 診斷 근거가 명확하고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나지 않고 시술 자의 주관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 보편적인 치료원칙으로 활용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화학요 법의 부작용을 피하는 면에서 대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높고, 개체별 상이성에 중점을 두는 맞춤의학 을 지향하는 의료계의 추세를 볼 때 향후 더욱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보인다. 또한 한방 이론에 의해 축적된 기왕의 막대한 임상경험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장차 이 방면의 치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환자 개인의 病情과 관련한 객관적인 데이터 축적과 더불어 투여용량과 약재에 관련하여 정확한 수치 자료를 검증하여 치료에 있어 보편성과 공신성을 인 정받아야 할 것이다. 1) 급성백혈병 本病의 치료에 있어서는 扶正과 祛邪의 병행이 필요하며, 시기와 임상표현에 근거하여 치료의 중 점을 두는 분야가 변화해야 한다. 整體觀念에 입각하여, 祛邪는 扶正과 분리될 수 없고 正氣가 盛하면

(19)

기타 유형의 백혈병의 경우 扶正을 위주로 배합하게 된다. 감염ㆍ출혈등의 竝發症이 있다면 標를 중 시하여 치료하는 동시에 滋補治療 또한 소홀히 하지 않고 氣血陰陽을 調整하여 血象을 회복하고 竝發 症의 억제에 유리하도록 한다.4) ① 氣虛血虧, 肝腎陰虛 治法 : 益氣養血, 滋補肝腎 方藥 : 三才湯加味. 人蔘 10g, 白朮 12g, 茯笭 12g, 炙甘草 12g, 黃芪 20g, 當歸 12g, 生地黃과 熟 地黃 각 15g, 枸杞子 15g, 女貞子 12g, 天門冬 12g. 加減 : 出血-加 仙鶴草 30g, 茜草 20g 鼻衄-加 白茅根 20g, 側柏葉 15g, 去 黃芪 尿血-加 大薊 小薊 각 15g 便血-加 大黃粉 15g ② 熱毒熾盛, 氣血兩燔 治法 : 淸熱解毒, 凉血救陰 方藥 : 淸瘟敗毒飮. 銀花 30g, 連翹 12g, 板藍根 20g, 梔子 12g, 石膏 45g, 淡竹葉 10g, 知母 12g, 水 牛角 30g, 生地黃 12g, 丹皮 12g 加減 : 出血 - 加 茜草 20g, 白茅根 20g 咽紅腫痛-加 山豆根 12g, 射干 9g 皮膚癤腫-加 蒲公英 30g, 野菊花 15g, 紫花地丁 20g 外塗 如意金黃膏 神昏譫語-加 安宮牛黃丸 ③ 癥瘕痰核 治法 : 活血化瘀, 軟堅散結 方藥 : 膈下逐瘀湯. 桃仁 12g, 紅花 6g, 赤芍藥 12g, 當歸 12g, 柴胡 12g, 玄蔘 15g, 貝母 12g, 夏枯 草 15g, 山慈菇 20g 加減 : 腹部腫壞ㆍ脹滿 - 加 三稜 15g, 莪朮 15g 心悸氣短 - 加 黃芪 30g, 當歸 15g, 党蔘 15g ④ 邪毒入髓 治法 : 祛邪解毒 方藥 : 靑黃散改良. 靑黛와 雄黃을 1:1 비율로 한다. 黃振翹는 扶正祛邪를 치료원칙으로 하였다. 正虛邪微한 경우에는 養氣化精ㆍ制微火하고, 正虛邪甚 한 경우에는 養精化氣ㆍ折邪火한다. 氣陰虧虛ㆍ邪熱內伏하면 三才封髓丹(天門冬, 熟地黃, 人蔘, 黃柏, 砂仁, 甘草)을 主方으로 하여 補益精氣ㆍ淸伏熱하고, 偏氣虛하면 異功散加黃芪 혹은 黃芪湯(黃芪, 茯 4) 劉鋒, 麻柔, 中西醫臨床血液病學, p. 245-246

(20)

笭, 生地黃, 芍藥, 當歸, 人蔘, 甘草)를 사용하여 健脾調中하며, 偏陰虛가 위주인 경우에는 六味地黃丸 과 大補陰丸으로 補腎滋陰ㆍ以精化氣한다. 伏熱動血에 편중된 경우는 犀角地黃湯(犀角, 生地黃, 黃連, 黃芩, 大黃)으로 凉血淸熱하고, 氣火熱盛夾濕한 자는 玉女煎, 黃連解毒湯 혹은 蒿芩淸膽湯을 쓰며, 濕 毒熱伏한 경우는 四芩散에 土茯笭, 蛇莓, 苦蔘등을 배합하여 淸熱利濕한다.5) 越紹琴은 급성백혈병을 溫熱毒邪에 의한 伏熱溫病으로 파악하여 치료하였다. 赤芍藥, 莤草, 白頭翁, 生地楡, 鬼箭羽 등으로 凉血하고, 活血化瘀하는 약을 배합하여 瘀血을 消除하며, 片薑黃을 사용하여 血中의 鬱熱을 發散하였다. 특히 靑黛6)가 백혈병 치료에 유효함을 보고하였다.7) 何宗健은 급성백혈병을 因虛致病 因病更虛 하여 氣陰兩虛한 증으로 보고, 益氣養陰을 위주로 하여 치료하였다. 3가지 基本方을 사용하여 백혈병세포를 억제하고 생존기를 연장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① 党蔘, 北沙蔘, 生地黃, 丹皮, 山茱萸, 白花蛇舌草, 龍葵, 玄蔘, 天門冬, 炙草 ② 黃芪, 党蔘, 白朮, 茯笭, 首烏, 炙遠志, 當歸炭, 仙鶴草, 半夏, 陳皮, 大黃, 柴胡, 升摩, 麥芽 ③ 炒當歸, 生地黃, 熟地黃, 首烏, 炒白朮, 赤芍藥, 白灼藥, 川芎, 蔓荊子8) 孫秉華는 백혈병의 4대 증상에 근거하여 4형으로 분류 진단하였다. ① 氣血兩虛型 : 八珍湯, 歸脾湯, 保元丹, 養榮湯, 四君子湯과 六味地黃丸을 사용한다. ② 氣衰精傷型 : 當歸補血湯, 六味地黃丸과 淸骨散, 大補陰丸을 가감한다. ③ 氣衰痰火型 : 晋濟消毒飮, 消瘰丸, 降痈活命飮 등을 쓴다. ④ 肝風熱毒型 : 犀角地黃湯, 淸營湯 등을 사용한다. 4형을 기본으로 하여 혈중 3系 세포의 변화에 따라 가감하는데, 백혈구 수치가 높을 경우에는 犀 角, 三稜, 莪朮, 靑黛등의 淸解化瘀하는 약을 배합하고, 백혈구 수치가 낮고 熱象이 없는 경우에는 小 健中湯을 사용하며, 幼稚細胞 수치가 높을 경우에는 生地黃, 熟地黃, 天門冬, 麥門冬, 玄蔘, 山藥, 土茯 笭, 知母, 黃柏등의 淸熱養陰藥을 배합한다. 혈소판의 수치가 낮으면 淸熱, 養陰, 止血을 병용하기 위해, 生地黃, 熟地黃, 黃精, 玉竹, 連翹등을 가하였다.9) 孫一民은 甘寒養陰淸熱藥을 위주로 하여 生地黃과 白茅根을 重用하였다. 貧血이 위주가 되는 경우는 熟地黃, 首烏, 阿膠, 當歸, 龜板으로 滋陰養血 하고, 高熱로 口舌生瘡, 咽喉腫痛하면 銀花, 連翹, 板藍 根, 大靑, 桔梗으로 淸熱解毒하고, 熱盛動血하여 出血하는 경우는 三七, 荷叶, 藕節, 側柏, 仙鶴草, 梔 子로 凉血止血하였다.10) 5) 周韶虹, 黃振翹治療急性白血病生存5年以上病例總結, 中醫雜誌 2005년 2월 46권 2기, p96,97 6) 현대 약리적 표현으로는, 靑黛의 유효성분은 腫瘤細胞 DNA 합성과 증식을 억제한다고 한다. 高宏, 中藥爲主 治療慢性粒細胞白血病療效觀察, 遼寧中醫雜誌 32권 6기 7) 越紹琴, 對中醫藥治療白血病的在認識, 中醫雜誌 1991년 32권 4기 8) 何宗健, 益氣養陰法爲主治療3例生存期9年以上急性白血病的報道, 上海中醫藥雜誌, 1994년 11권

(21)

藥名 出處 處方 備考 複方靑黛片5) 黃世林, 孫凡盛 靑黛, 太子蔘, 丹蔘, 雄黃 完全緩解率 34% 扶正抗白方5) 麻柔 黃芪, 党蔘, 首烏, 女貞子, 枸杞子 등 六神丸6) 陳明校 등 珍珠粉, 牛黃, 麝香, 蟾酥, 氷片 해독작용이 강하며, 熱毒入髓型과 痰熱瘀結型에 유효 抗白丹5) (七星丸) 鄧金福 雄黃, 巴豆, 川烏, 乳香, 鬱金, 檳榔, 朱砂 巴豆製劑6) 焦中華 巴豆 惡性腫瘤를 主治. 龍膽瀉肝湯 加減6) 醫方集解 酒炒龍膽, 炒黃芩, 酒炒梔子, 澤瀉, 木通, 車前子, 當歸, 酒炒生地黃, 柴胡, 甘草 本方에서 甘草와 車前子를 제거하고 丹蔘, 鷄血藤, 豬苓을 加한다. 氣滯血瘀型白血病 26예에서 총유효율 92.3% 益氣養陰方6) 凌昌全 黃芪, 太子蔘, 半枝蓮, 白花蛇舌草, 蒲公英, 小薊, 生地黃, 黃精, 女貞子, 旱蓮草, 天門冬, 麥門冬, 白朮, 茯笭 金櫃健中湯1) 熊樹松 陽虛 : 黃芪健中湯(黃芪, 白芍藥, 桂枝, 生薑, 甘草, 大棗, 阿膠, 半枝蓮, 白茅根) 陰虛 : 桂枝龍骨牡蠣湯加減(桂枝, 龍骨, 牡蠣, 黃芪, 花粉, 地骨皮, 太子蔘, 半枝蓮, 白茅根) 當歸補血湯1) 宋厚明 當歸, 黃芪, 三七, 桑葉, 白茅根 當歸, 黃芪는 면역력 증강, 三七은 지혈과 혈소판을 증가 黃連解毒湯 合 白虎湯1) 張海蓮 黃芩, 黃連, 黃柏, 梔子, 石膏, 知母, 銀花, 連翹, 白花蛇舌草, 黃藥子, 蚤休, 魚腥草, 大靑葉, 元蔘, 苦蔘, 紫草, 藿香, 佩蘭, 半夏 苦寒하여 胃를 傷하므로 과용할 수 없다. 화학요법 후 부작용 방지에 유효 歸脾湯1) 禹亞紅 歸脾湯加 仙鶴草, 三七, 茜草, 生地黃, 熟地黃, 白灼藥, 川芎, 半夏 CLL 치료사례가 보고 右歸飮1) 楊訢然 熟地黃, 枸杞子, 附子, 肉桂, 杜冲, 山藥, 黃芪, 党蔘, 炙草 腎陽虛衰의 만성백혈병치료사례 보고 표 3. 백혈병 成藥治療 王介人은 扶正固本藥을 사용하여 免疫力을 증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132例를 치료하며 유형을 이 하와 같이 4분하여 정리하였다. 첫째는 溫熱濕毒型으로 16.6%를 차지하며, 銀花, 連翹, 儿茶, 金果蘭, 鳳仙子, 山茱萸, 犀角, 鮮地黃, 黃連, 生石膏, 薏苡仁을 사용한다. 둘째는 瘀血內結型으로 28.8%를 차 지하며, 桃仁, 紅花, 五香草, 水蛭, 莪朮, 茘枝核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22)

出處 治療機制 方藥 黃振翹 扶正祛邪 ① 正虛邪微 : 養氣化精ㆍ制微火 ② 正虛邪甚 : 養精化氣ㆍ折邪火 氣陰虧虛ㆍ邪熱內伏 則 補益精氣ㆍ淸伏熱 三才封髓丹 (天門冬, 熟地黃, 人蔘, 黃柏, 砂仁, 甘草) 偏氣虛 : 健脾調中. 異功散加黃芪 혹은 黃芪湯 (黃芪, 茯笭, 生地黃, 芍藥, 當歸, 人蔘, 甘草) 偏陰虛 : 補腎滋陰ㆍ以精化氣. 六味地黃丸과 大補陰丸 伏熱動血 : 凉血淸熱. 犀角地黃湯 (犀角, 生地黃, 黃連, 黃芩, 大黃) 氣火熱盛夾濕 : 玉女煎, 黃連解毒湯, 蒿芩淸膽湯 濕毒熱伏 : 淸熱利濕. 四芩散 加 土茯笭, 蛇莓, 苦蔘 等 何宗健 病機 : 因虛致病 因病更虛 氣陰兩虛 治則 : 益氣養陰 ① 党蔘, 北沙蔘, 生地黃, 丹皮, 山茱萸, 白花蛇舌草, 龍葵, 玄蔘, 天門冬, 炙草 ② 黃芪, 党蔘, 白朮, 茯笭, 首烏, 炙遠志, 當歸炭, 仙鶴草, 半夏, 陳皮, 大黃, 柴胡, 升摩, 麥芽 ③ 炒當歸, 生地黃, 熟地黃, 首烏, 炒白朮, 赤芍藥, 白灼藥, 川芎, 蔓荊子 越紹琴 病因 : 因溫熱毒邪 伏熱溫病 凉血 : 赤芍藥, 莤草, 白頭翁, 生地楡, 鬼箭羽 瘀血消除 : 活血化瘀之品 血中鬱熱發散 : 片薑黃 孫秉華 氣血兩虛型 八珍湯, 歸脾湯, 保元丹, 養榮湯을 기본으로 四君子湯과 六味地黃丸 氣衰精傷型 當歸補血湯, 六味地黃丸과 淸骨散, 大補陰丸을 가감 氣衰痰火型 晋濟消毒飮, 消瘰丸, 降痈活命飮 肝風熱毒型 犀角地黃湯, 淸營湯 표 4-1. 급성백혈병 임상치료 셋째는 陰虛發熱型으로 15.9%를 차지하며 生地黃, 女貞子, 天門冬, 麥門冬, 虎杖, 丹皮, 人蔘, 紫 草, 白頭翁, 白灼藥을 사용한다. 넷째는 氣血兩虛型으로 병의 후기에 주로 보이며 39.3%를 차지하는 데, 人蔘, 黃芪, 鹿角膠, 當歸, 鷄血藤, 丹蔘, 女貞子, 阿膠, 紫河車, 靈芝를 사용한다. 증상에 따라 가 감하는데, 骨痛이 있는 경우 桃仁, 紅花, 巴戟, 狗脊을 쓰고, 상부 출혈이 있을 경우 牛膝, 黃芩, 炒槐 花, 川軍을 사용하는 등이다. 총 유효율은 80.2%로 보고되었다.11) 陳澤濤는 190例의 치료사례를 보고하였다. 그 중 158例는 氣陰兩虛型으로, 太子蔘, 黃芪, 茯笭, 白朮, 黃精, 生地黃, 天門冬, 麥門冬, 旱蓮草, 女貞子, 小薊, 半枝蓮, 白花蛇舌草, 蒲公英을 사용하여 68.99%의 치료효과를 얻었다. 32例는 氣血雙虧型으로 党蔘, 黃芪, 茯笭, 白朮, 當歸, 阿膠, 枸杞子, 白 花蛇舌草, 補骨脂, 何首烏, 小薊와 화학요법을 병용하여 68.75%의 치료율을 보였다.12)

(23)

鄧有安은 급성백혈병을 精氣內虛, 瘟毒內侵하여 傷髓血瘀한 것으로 보고, 活血化瘀藥을 사용하여 腫瘤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當歸, 川芎, 鷄血藤, 赤芍藥, 紅花, 三七을 基本方으로 하 고, 氣血兩虛에는 党蔘, 黃芪, 白朮, 首烏, 黃精, 枸杞子, 熟地黃을 加하였으며 肝腎陰虛에는 枸杞子, 女貞子, 首烏를, 熱毒熾盛에는 牛角, 生地黃, 丹皮, 茜草, 蚤休, 銀花, 連翹, 蒲公英, 板藍根을 加하여 사용하였다.13) 霍俊明은 급성비임파성백혈병 146예를 치료함에 있어서, 3가지로 분류하였다. ① 溫毒濕熱型 : 抗白解毒方(銀花, 連翹, 蒲公英, 桑葉, 生地黃, 生石膏, 大靑葉, 車前草, 薏苡仁, 黃藥 子, 冬葵子, 莪朮, 白花蛇舌草) ② 陰虛內熱型: 石膏地黃湯(生石膏, 生地黃, 知母, 丹皮, 板藍根, 地骨皮, 銀柴胡, 山豆根, 赤芍藥, 白灼 藥, 元蔘, 白花蛇舌草) ③ 氣血兩虛型 : 人蔘黃芪湯(人蔘, 黃芪, 補骨脂, 龜板, 當歸, 生地黃, 熟地黃, 山萸肉, 山楂, 紫河車, 茯笭, 白花蛇舌草) 완전완해 35例, 부분완해 28예가 보고되어 있다.14) 2) 만성백혈병 本病은 邪毒이 血分에 오래 머물러 변화하여 因毒致瘀한 것이기 때문에, 치료과정중 일관적으로 解毒과 祛瘀의 문제에 穿鑿해야 한다. 淸熱解毒을 기본으로 하여, 活血化瘀를 병행하도록 한다.15) ① 氣滯血瘀 治法 : 疏肝理氣, 活血破瘀 方藥 : 膈下逐瘀湯 合 靑黛雄黃散 加減. 當歸 10g, 紅花 10g, 桃仁 12g, 枳殼10g, 赤芍藥 10g, 柴胡 10g, 川芎 10g, 鬱金 12g, 莪朮 12g, 三稜 12g, 靑黛 10g, 雄黃 1g 活血이 過하여 出血하는 것을 막기 위해 丹皮 10g 을 加하고 砂仁 10g을 後下. ② 正虛瘀結 治法 : 益氣養血, 活血化瘀 方藥 : 八物湯 合 靑黛雄黃散 加減. 党蔘 20g, 黃芪 20g, 白朮 10g, 茯笭 15g, 當歸 10g, 首烏 10g, 紅花 12g, 桃仁 10g, 延胡索 10g, 五靈脂 10g, 靑黛 10g, 雄黃 1g. - 陰血不足하면 生地 12g, 麥門冬 10g, 枸杞子 10g 을 加함. - 多汗하면 五味子 10g을, 胃脘脹하면 焦三仙 30g 을 加함. 12) 陳澤濤, 中西醫結合治療急性白血病, 四川中醫, 1992년 10권 11기 13) 鄧有安, 活血化瘀中藥加抗癌藥治療急性白血病近期療效觀察, 中西醫結合雜誌, 1998년 8권 11기 14) 霍俊明, 急性白血病臨床治療体會與分析, 中醫雜誌 1987년 28권 3기 15) 劉鋒, 麻柔, 中西醫臨床血液病學, p. 260 - 261

수치

그림  3.  백혈병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식물의  과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종의  비율
그림  5.  약물을  처리  한  후  세포의  생존율 그림  4.  실험대상  약물의  일반  혈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그림  6.  미토콘드리아  막의  보존율 그림  7.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  Bcl-2와  세포자멸사를  촉진하는  Bax,  Cytochrome  c의  분비  그리고  세포자멸사를  직접적으로  매개하는  Caspase-3의  활성화         Garnoderma  lucidum(靈芝)는  한의학적으로  볼  때  安神藥으로서  心,  脾,  肺經에  入하여  養心安神,  補氣益血,  止咳平喘의  작용을  가지고,  失眠多夢,  心悸怔忡,
그림  8.  Indirubin  처리  시  인산화된  Rb(P-Rb)유전자의  발현  감소
+2

참조

관련 문서

6. Acute biliary pancreatitis: the roles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the

2) Serum Cortisol, ACTH 3) Serum TSH and Free T4 4) Serum Prolactin and GH 5) Serum 25OHD and PTH.. What is the most common laboratory. abnormality expected in this

The Soviet domi- nation of Eastern Europe and the Communist takeover of China shocked the American public, fueling a fear that communism would spread around the

o Ten Years of Water Sector Reform in Eastern Europe, Caucasus and Central Asia (OECD 2011). o The OECD Checklist for Public Action regarding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Jeokbyeok Tuff and Ongam Conglomerate, located in eastern of the basin contain only detrital zircons of Paleoproterozoic (1848~2476 Ma).. Jandong Fm., located in southwestern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Mobile Pediatric Medicine in China - Need for Medical Cooperation with Korea-.. If mobile medicine is rapidly applied to pediatric medicine

4.1 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 4.2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4.3 Atypical chronic myeloid leukemia 4.4 MDS/MPN, unclassifiable.. Myeloid neoplasms

Systematic review: accuracy of symptom-based criteria for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primary care. Whitehead WE, Palsson OS, F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