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코드엠 수학하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코드엠 수학하 답지 정답"

Copied!
7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학 (하)

[ 코드가 맞는 수학 친구 ]

(2)

8

B의 모든 원소가 A의 원소이므로 a@은 -1 또는 4이다. a는 실수이므로 a@=4 / a=-2

9

A=B이므로 두 집합의 원소가 같다. / a=5, b=2

10

⑴ 원소가 0개 : ‡ 원소가 1개 : 910, 920 원소가 2개 : 91, 20{=A} ⑵ 원소가 0개 : ‡ 원소가 1개 : 9a0, 9b0, 9c0, 9d0 원소가 2개 : 9a, b0, 9a, c0, 9a, d0,

9b, c0, 9b, d0, 9c, d0 원소가 3개 : 9a, b, c0, 9a, b, d0, 9a, c, d0, 9b, c, d0 원소가 4개 : 9a, b, c, d0{=B}

11

⑴ 원소가 1개이므로 2!=2 ⑵ 원소가 5개이므로 2%=32 ⑶ 원소가 2, 3, 5, 7, 11, 13의 6개이므로 2^=64

12

C A B A B B[C A[B C B A[C

1

ㄱ, ㄷ : 작거나 크다는 기준이 분명하지 않다. ㅁ, ㅂ : 착하다는 기준이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집합이 될 수 있는 것은 ㄴ, ㄹ이다.

2

A의 원소는 2, 3, 5, 7이다. ⑴ 2{A ⑵ 5{A ⑶ 9:A

3

⑴ 10보다 작은 홀수는 1, 3, 5, 7, 9이므로 91, 3, 5, 7, 90 ⑵ 10 이상 30 미만인 4의 배수는 12, 16, 20, 24, 28이므로 912, 16, 20, 24, 280 ⑶ |x-1|<2에서 -2<x-1<2 / -1<x<3 x는 정수이므로 -1, 0, 1, 2, 3이다. / 9-1, 0, 1, 2, 30

4

⑴ 1, 2, 3, y 17, 18, 19는 20보다 작은{또는 19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9x|x는 20보다 작은 자연수0 (또는 9x|x는 19 이하의 자연수0) ⑵ 4, 8, 12, 16, y은 4의 배수이므로 9x|x는 4의 배수0

5

⑴ 원소가 1, 2, 3, 6, 곧 4개이므로 n{A}=4 ⑵ 6의 배수는 짝수이므로 홀수는 없다. 곧, 공집합이므로 n{A}=0

6

⑴ ‡은 공집합이므로 n{A}=0 ⑵ 900는 원소가 0인 집합이므로 n{A}=1 ⑶ 9‡0는 원소가 ‡인 집합이므로 n{A}=1

7

⑴ x@=9이면 x=-3이므로 B=9-3, 30 곧, B의 모든 원소가 A의 원소이므로 B[A ⑵ B=93, 6, 9, 12, y0이므로 A, B의 원소가 같다. / A=B

⑶ A=91, 3, 5, y0, B=91, 2, 3, 4, 5, y0이므로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이다. / A[B 11~12쪽 개념 확인

01

집합

01

.

집합

⑴ n=1, 2, 3이므로 x=n 에 대입하면1 x=1, 1 2 , 1 3 / - 1, 12, 13= ⑵ n=-1, 0, 1, 2이므로 x=4n-1에 대입하면 x=-5, -1, 3, 7 / 9-5, -1, 3, 70 ⑶ x@=4에서 x=-2 x는 B의 원소이므로 x=2 / 920 ⑷ a=1, 2, 3이고 b=-1, 0, 1, 2이므로 가능한 a+b의 값은 다음 표와 같다. a b -1 0 1 2 1 0 1 2 3 2 1 2 3 4 3 2 3 4 5 집합의 원소는 중복하여 쓰지 않으므로 90, 1, 2, 3, 4, 50 13쪽 예제

1

(3)

유제

1-1

⑴ x$=1에서 x$-1=0, {x@+1}{x@-1}=0 x는 실수이므로 x@-1=0 / x=-1 또는 x=1 / 9-1, 10 ⑵ n=2, 4, 6, 8이므로 x=2 n 에 대입하면 x=1, 1 2 , 1 3 , 1 4 / - 1, 12, 1 3, 1 4= ⑶ n=1, 2, 3, 4, y이므로 x=3n+1에 대입하면 x=4, 7, 10, 13, y / 94, 7, 10, 13, y0 ⑷ n=y, -3, -2, -1, 0, 1, 2, 3, y이므로 x=2n에 대입 하면 x=y, -6, -4, -2, 0, 2, 4, 6, y / 9y, -6, -4, -2, 0, 2, 4, 6, y0 note 다음도 가능하다. 90, -2, -4, -6, y0, 90, 2, -2, 4, -4, 6, -6, y0 유제

1-2

⑴ a=-1, 0, 1이고 a b 1 2 -1 0 1 0 1 2 1 2 3 b=1, 2이므로 가능한 a+b는 오른쪽 표에서 0, 1, 2, 3 / 90, 1, 2, 30 ⑵ a=-1, 0, 1이고 b=1, 2이므로 a b 1 2 -1 -1 -2 0 0 0 1 1 2 가능한 a\b는 오른쪽 표에서 -2, -1, 0, 1, 2 / 9-2, -1, 0, 1, 20 ⑶ b1=1, 2이고 b2=1, 2이므로 b1 b2 1 2 1 1 2 2 2 4 가능한 b1\b2는 오른쪽 표에서 1, 2, 4 / 91, 2, 40 14쪽 예제

2

A의 원소는 자연수 1과 2 그리고 91, 20이다. ㄴ. 920[A ㅂ. 1, 2가 A의 원소이므로 91, 20[A ㅅ. A의 원소는 3개이다. ㅇ. 991, 200도 원소가 1개인 A의 부분집합이다. ㅈ. 1, 2는 A의 원소이지만 집합 91, 20의 부분집합이 아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 ㅁ의 ② 4개이다. 유제

2-1

A의 원소는 a, b, 공집합 ‡, 9a0이다.

따라서 ‡과 9a0는 A의 원소이기도 하고, A의 부분집합이기도 하다.

ㄴ. a는 A의 원소이므로 9a0[A

ㅇ. 집합 9a0의 모든 부분집합은 ‡, 9a0이고, 이것은 모두 A의 원소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 ㅁ, ㅂ, ㅅ, ㅇ의 ⑤ 7개이다. 15쪽 예제

3

⑴ 원소가 5개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32 ⑵ 94, 6, 80의 부분집합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8 ⑶ 94, 6, 80의 모든 부분집합에 0과 2를 넣으면 된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8 ⑷ 94, 6, 80의 부분집합에 0만 넣는 경우, 2만 넣는 경우, 0과 2를 모두 넣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3=24 다른 풀이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0과 2가 원소가 아닌 부분집합의 개수를 빼면 되므로 2%-2#=24 유제

3-1

⑴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4 B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64 ⑵ 9b, c, d, f 0의 부분집합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16

⑶ 9b, c, d, f 0의 부분집합에 A의 원소 a와 e를 넣으면 되므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16

⑷ 9b, c, d, f 0의 부분집합에

a를 넣는 경우, e를 넣는 경우, a와 e를 모두 넣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3=48 다른 풀이 B의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a와 e가 원소가 아닌 부분집합의 개수를 빼면 되므로 2^-2$=48

0

1

ㄴ과 ㄷ의 ‘높은’, ‘빠른’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집합인 것은 ㄱ, ㄹ, ㅁ의 3개이다.

0

2

① 원소는 0, 1의 2개이므로 n{A}=2 (거짓) ② 원소는 ‡, 0의 2개이므로 n{9‡, 00}=2 (거짓) ③ 910의 원소는 1개, 930의 원소도 1개이므로 n{910}=n{930}=1 (거짓)

0

1

0

2

0

3

0

4

1

0

5

4

0

6

8

0

7

0

8

③, ④

0

9

7

10

⑴ 8 ⑵ 12

11

⑴ 풀이 참조 ⑵ a=1, b=-1, c=3

12

⑤ 16~17쪽 연습 문제

(4)

④ ‡은 공집합이므로 원소가 0개, 9‡0은 원소가 ‡의 1개 / n{‡}+n{9‡0}=0+1=1 (참) ⑤ 예를 들어 A=910, B=920이면 n{A}=n{B}=1이지만 A=B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0

3

A에서 x@-3x+2=0, {x-1}{x-2}=0이므로 x=1 또는 x=2 / A=91, 20 B에서 x@-4<0, {x+2}{x-2}<0이므로 -2<x<2 / B=9x|-2<x<20 C에서 |x-1|<1, -1<x-1<1, 0<x<2 x는 정수이므로 x=1 / C=910 따라서 A, B, C의 포함 관계는 C[A[B

0

4

A=B이므로 -4{A, 2{A / 2a=-4 또는 2a=2 ! 2a=-4일 때, a=-2이므로 A=91, -4, -70, B=9-4, 2, 100 곧, A=B에 모순된다. @ 2a=2일 때, a=1이므로 A=91, 2, -40, B=9-4, 2, 10 곧, A=B가 성립한다. !, @에서 a=1

note 1{B이므로 2a@-a=1로 놓고 a의 값을 구해도 된다.

0

5

집합 A의 모든 부분집합은 16개이다. A의 원소의 개수를 k라 하면 2K=16 / k=4

0

6

A=91, 2, 40, B=91, 2, 3, 4, 6, 120 따라서 X는 B의 부분집합 중 A를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1, 2, 4 를 원소로 갖는다. 93, 6, 120의 부분집합에 1, 2, 4를 넣으면 되므로 구하는 X의 개수는 2#=8

0

7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낸다.

① y=1, 2, 3, 4, 5, y를 x=2y-1에 대입하면 91, 3, 5, 7, 9, y0

② 4=2@과 서로소인 자연수는 2를 약수로 갖지 않으므로 91, 3, 5, 7, 9, y0

③ y=2, 4, 6, 8, 10, y을 x=y-1에 대입하면 91, 3, 5, 7, 9, y0 ④ 약수의 개수가 홀수이면 제곱수이므로 91, 4, 9, 16, 25, y0 ⑤ 모든 홀수 a는 a=1\a이므로 두 홀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짝수는 두 홀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91, 3, 5, 7, 9, y0 따라서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④이다.

0

8

원소이면 {, 부분집합이면 [ ① ‡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 (참) ② ‡은 A의 원소이므로 ‡{A, 9‡0[A (참) ③ a는 A의 원소이므로 9a0[A (거짓) ④ 9a, b0는 A의 원소이므로 9a, b0{A (거짓) ⑤ 9a, b0는 A의 부분집합이므로 9a, b0[A (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④이다.

0

9

a가 원소가 아닌 부분집합 ⇨ a를 제외하고 생각 a가 원소인 부분집합 ⇨ a를 제외하고 생각한 후, a를 추가 A=91, 2, 3, y, n-1, n0에서 1, 2, n을 제외한 93, 4, 5, y, n-10의 부분집합에 1과 2를 넣으면 된다. 이때 이 부분집합의 개수가 16이므로 2N_#=16, 2N_#=2$, n-3=4 / n=7

10

⑴ 최댓값이 4이면 4는 원소, 5는 원소가 아니다. ⑵ 공집합, 짝수만의 집합에 홀수를 2개 넣은 집합을 생각한다. ⑴ A의 부분집합 중 4는 원소이고, 5는 원소가 아닌 부분집합과 같다. / 2#=8 ⑵ 집합 92, 40의 부분집합에 1, 3, 5 중 2개를 넣은 집합의 개수 와 같다. 집합 92, 40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4이고 1, 3, 5 중 2개를 고르는 경우는 {1, 3}, {1, 5}, {3, 5}이다. / 4\3=12

11

⑵ 각 부등식을 푼 후, 세 집합이 같음을 이용한다. ⑴ A[B, B[C이면 A[C

곧, A[C, C[A이므로 A=C yy ① A=C이므로 A[B, B[C에서

C[B, B[C / B=C yy ② ①, ②에서 A=B=C

⑵ A=B이고 B=9x|b-a<x<5-a0이므로 -2=b-a, 4a=5-a / a=1, b=-1 또 A=C이고 C=9x|a-c<x<a+c0이므로 -2=a-c, 4a=a+c 이때 a=1이므로 c=3

12

자연수 k를 거듭제곱한 수에서 일의 자리 수는 반복된다. ㄱ. k=3이면 3!=3, 3@=9, 3#=27, 3$=81, 3%=243, y이므로 A{3}=93, 9, 7, 10 곧, 1{A{3}이므로 참 ㄴ. k=6이면 6!=6, 6@=36, 6#=216, y이므로 A{6}=960 곧, A{6};A{3}이므로 거짓 ㄷ. k=3@=9이면 9!=9, 9@=81, 9#=729, y이므로 A{3@}=99, 10, 곧 A{3@}[A{3}이므로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5)

1

⑴ A B U A B U ⑶ A B U ⑷ A B U ⑸ A B U ⑹ A B U

2

⑴ A B U ⑵ A B U ⑶ A B U ⑷ A B U ⑸ A B U

3

U와 A, B의 원소를 벤다이어그램 A B U 1 8 2 4 7 9 10 3 5 6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A5B=92, 40 ⑵ A6B=91, 2, 3, 4, 5, 6, 80 ⑶ AC=93, 5, 6, 7, 9, 100 ⑷ BC=91, 7, 8, 9, 100 ⑸ {A5B}C=91, 3, 5, 6, 7, 8, 9, 100 ⑹ {A6B}C=97, 9, 100 ⑺ A-B=91, 80 ⑻ B-A=93, 5, 60 ⑼ {A-B}6{B-A}=91, 3, 5, 6, 80 20쪽 개념 확인

02

집합의 연산

U와 A, B, C의 원소를 벤다이어그램 U A C B 3 12 6 8 10 5 7 2 4 9 1 11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U A C B ⑵ U A C B {A5B}5CC=990 AC5{B6C}C=91, 110 ⑶ U A C B ⑷ U A C B A-{B-C}=93, 6, 120 C-{A6B}=92, 40 ⑸ U A C B ⑹ U A C B {A-B}6{C-B} A6{BC5CC} =92, 3, 4, 120 =91, 3, 6, 9, 11, 120 유제

4-1

A=94, 8, 12, 16, 200 U A C B 8 6 20 10 2 4 12 16 14 18 B=910, 12, 14, 16, 18, 200 C=92, 4, 10, 200 이므로 U와 A, B, C의 원소를 벤다 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21쪽 예제

4

4

⑴ U A C B ⑵ U A C B ⑶ U A C B ⑷ U A C B

(6)

⑴ U A C B ⑵ U A C B A6{B5C} {A5B}6{A5C} =94, 8, 10, 12, 16, 200 =94, 12, 16, 200 ⑶ U A C B ⑷ U A C B {A6C}-B=92, 4, 80 {A-B}-C=980 ⑸ U A C B ⑹ U A C B {A-B}6CC AC-{B5C} =94, 6, 8, 12, 14, 16, 180 =92, 6, 14, 180 22쪽 예제

5

⑴ A5B=93, 40이므로 4가 B의 원소이다. 곧, a@-5=4 / a=-3 또는 a=3

a=-3일 때, A=94, a, a@+10=94, -3, 100이므로 A5B=93, 40를 만족하지 않는다.

a=3일 때, A=94, a, a@+10=94, 3, 100이므로 A5B=93, 40를 만족하고 A6B=92, 3, 4, 100 / a=3, A6B=92, 3, 4, 100 ⑵ U와 A, B의 원소를 벤다이어그램에 A B U b a f c g d e h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원소는 d, e, h 이다. / A=9b, d, e, h0 ⑶ {A5B}6C=C이므로 {A5B}[C {A6B}5C=C이므로 C[{A6B} A5B=94, 50, A6B=91, 2, 3, 4, 5, 6, 70 이므로 C는 A6B의 부분집합 중 4와 5를 원소로 갖는 부분집 합이다. 따라서 C의 개수는 91, 2, 3, 6, 70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 므로 2%=32 유제

5-1

1, 4, 7은 A의 원소이므로 a가 4 또는 7이다. a=4일 때, A=91, 3, 4, 70, B=92, 3, 60이므로 A-B=91, 4, 70을 만족한다. a=7일 때, A=91, 3, 7, 130, B=93, 5, 90이므로 A-B=91, 4, 70을 만족하지 않는다. / a=4

유제

5-2

B-A, AC, AC6BC는 다음 벤다이어그램에서 색칠 한 부분이다. A B U A B U A B U B-A AC AC6BC 주어진 집합의 원소를 벤다이어그램 A B U 1 6 10 5 9 2 8 3 4 7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색칠한 부분의 원소는 2, 8이다. / A=91, 2, 6, 8, 100, {A6B}C=93, 4, 70 유제

5-3

{A-B}6C=C이므로 {A-B}[C {A6B}5C=C이므로 C[{A6B} A-B=9a, b, c0, A6B=9a, b, c, d, e, f, g0 이므로 C는 A6B의 부분집합 중 a, b, c를 모두 원소로 갖는 부 분집합이다. 따라서 C의 개수는 9d, e, f, g0의 부분집합의 개수 와 같으므로 2$=16 23쪽 예제

6

① {AC}C=A (참) ② A5AC=‡, A6AC=U (참) ③ 다음 벤다이어그램의 AC와 B의 합집합을 생각하면 AC6B=U (참) A B U AC A B U B ④ A6B=A에서 B[A이므로 다음 벤다이어그램에서 AC[BC (거짓) B A U AC B A U BC

(7)

⑤ A6B=U이므로 x:A이면 x{B 곧, x{AC이면 x{B이므로 AC[B (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note ⑤ BC[A도 성립한다. 유제

6-1

⑴ A5AC=‡이므로 {A5AC}C=‡C=U ⑵ A6AC=U이므로 {A6AC}C=UC=‡ ⑶ 다음 벤다이어그램에서 A, BC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A5BC=‡ A B U A A B U BC ⑷ {AC}C=A이므로 {AC}C5B=A5B=A 유제

6-2

AC5B=‡이면 오른쪽 벤다 A B U 이어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에 원소가 없다. 곧, B의 원소는 A의 원소이다. ① B[A (참) ② A5B=B (참) ③ AC[BC (참) ④ A의 원소 중 B의 원소가 아닌 것이 있을 수 있으므로 A-B=‡ (거짓) ⑤ 다음 벤다이어그램에서 A와 BC의 합집합을 생각하면 A6BC=U (참) B A U A B A U BC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24쪽 예제

7

⑴ -1{B, 1{B이므로 x=-1, 1은 방정식 x#+2x@+ax+b=0의 해이다. x=-1, 1을 대입하면 -1+2-a+b=0, 1+2+a+b=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이때 방정식 x#+2x@-x-2=0에서 x@{x+2}-{x+2}=0, {x+2}{x@-1}=0 {x+2}{x+1}{x-1}=0 / x=-2 또는 x=-1 또는 x=1 / B=9-2, -1, 10 ⑵ -2<x<2에서 x@-x+a<0이다. O x y 2 -2 x=2! y=f{x} 2! `f{x}=x@-x+a라 하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f{-2}=4+2+a<0 / a<-6 `f{2}=4-2+a<0 / a<-2 / a<-6 note 그래프의 축이 직선 x=12 이므로 f{-2}<0만 생각 해도 된다. ⑶ g{x}<0< f{x}에서 f{x}>0 g{x}<0 9x| f{x}>00 =9x| f{x}>0 또는 f{x}=00=A6C 9x| g{x}>00 =9x| g{x}>0 또는 g{x}=00=B6D g{x}<0은 g{x}>0이 아닌 경우이므로 9x|g{x}<00={B6D}C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를 집합 A, B, C, D로 나타내면 {A6C}5{B6D}C note BC=9x|g{x}<00이므로 9x|g{x}<00=BC-D 이때 벤다이어그램을 그리면 {B6D}C와 BC-D가 같은 집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을 {A6C}5{BC-D}라 해도 된다. 유제

7-1

A[B이고 B[A이므로 A=B이다. A의 원소는 방정식 x#+ax@-x-a=0의 해이다. x{x@-1}+a{x@-1}=0, {x+a}{x@-1}=0 {x+a}{x+1}{x-1}=0 / x=-a 또는 x=-1 또는 x=1 B의 원소와 비교하면 -a=2이고 b<c이므로 a=-2, b=-1, c=1 유제

7-2

B의 원소는 부등식 x@+{b-2}x-2b<0의 해이다. x@+{b-2}x-2b<0에서 {x-2}{x+b}<0 b<-2이므로 해는 2<x<-b B[A이려면 오른쪽 그림에서 x a 2 -b 5 A B a<2, -b<5 곧, a<2, -5<b<-2이므로 a-b의 최댓값은 2-{-5}=7 유제

7-3

AC=9x| f{x}<00이므로 9x| f{x}<00=AC6C BC=9x| g{x}<00이므로 9x| g{x}<00=BC6D 따라서 구하는 연립부등식의 해를 집합 A, B, C, D로 나타내면 {AC6C}5{BC6D}

(8)

⑤ U A C B BC5{A6C} 따라서 구하는 집합은 ③이다.

0

4

벤다이어그램에 주어진 집합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ㄱ. A B U A B U A5B A-B ㄴ. A B U A B U A5B {A6B}C ㄷ. A B U A B U A5BC AC5B 따라서 두 집합이 서로소인 것은 ㄱ, ㄴ, ㄷ이다.

0

5

AC6B=U이면 오른쪽 벤다이어그 A B U 램과 같다. 따라서 A6BC=U이므로 ③은 옳지 않 다.

0

6

⑴ A5X=‡이면 A와 X는 서로소이므로 X는 A의 원소 1, 3, 5를 모두 원소로 갖지 않는다. 따라서 X는 1, 3, 5를 모두 원소로 갖지 않는 U의 부분집합 이므로 92, 4, 60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 2#=8 ⑵ A6X=U이면 X는 AC의 원소 2, 4, 6을 모두 원소로 갖는 다. 따라서 X는 2, 4, 6을 모두 원소로 갖는 U의 부분집합이므로 91, 3, 50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 2#=8

0

7

3{A6B이므로 3{A 또는 3{B이다. A6B=90, 1, 2, 30이므로 3{A 또는 3{B이고, A, B의 각 원소는 0, 1, 2, 3 중 하나이다.

! 3{A일 때, a@-1=3 / a=-2 또는 a=2

0

1

A, B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 5 -3 1 2 x A B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A6B=9x|-3<x<50 ⑵ A5B=9x|1<x<20 ⑶ A-B=9x|-3<x<10 ⑷ BC=9x|x<1 또는 x>50

0

2

{A6B}C5C는 오른쪽 벤다이어 A C U B 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이므로 x는 C의 원소이고 A와 B의 원소가 아니다. / x{{C-A}

0

3

① U A C B A6{B5C} ② U A C B A5{B6C} ③ U A C B B5{A6C} ④ U A C B AC5{B6C}

0

1

⑴ 9x|-3<x<50 ⑵ 9x|1<x<20 ⑶ 9x|-3<x<10 ⑷ 9x|x<1 또는 x>50

0

2

0

3

0

4

0

5

0

6

⑴ 8 ⑵ 8

0

7

a=2, B=90, 1, 30

0

8

91, 2, 6, 70

0

9

a=4, b=6, c=7

10

11

⑴ 91, 2, 3, 4, 5, 8, 9, 120 ⑵ 92, 4, 8, 120 ⑶ 91, 3, 90

12

16 25~26쪽 연습 문제 다른 풀이 `f{x}<0은 f{x}>0이 아닌 경우이므로 9x| f{x}<00={A-C}C g{x}<0은 g{x}>0이 아닌 경우이므로 9x| g{x}<00={B-D}C 따라서 구하는 연립부등식의 해를 집합 A, B, C, D로 나타내면 {A-C}C5{B-D}C

(9)

a=-2이면 a-1=-3이므로 -3{B 곧, A6B=90, 1, 2, 30에 모순이다. a=2이면 a-1=1, 2a-1=3이므로 A=91, 2, 30, B=90, 1, 30 이때 A6B=90, 1, 2, 30이다. @ 3{B일 때,

a-1=3에서 a=4이면 2a-1=7이므로 7{B 곧, A6B=90, 1, 2, 30에 모순이다.

2a-1=3에서 a=2이면 a@-1=3, a-1=1이므로 A=91, 2, 30, B=90, 1, 30 이때 A6B=90, 1, 2, 30이다. !, @에서 a=2, B=90, 1, 30 다른 풀이 a@-1=0 또는 a@-1=3이므로 a=-1 또는 a=-2 이 값을 A, B에 대입하여 A6B=90, 1, 2, 30이 되는 경우를 찾으면 a=2

0

8

벤다이어그램을 그려 A를 구한다.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U와 A, B의 원 A B U 1 2 3 4 5 6 7 8 9 소를 벤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 림과 같다. / A=91, 2, 6, 70

0

9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을 집합으로 나타내 본다. 벤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이 나타내는 집합은 A5{B6C} 따라서 4, 6, 7은 A와 B6C의 원소이다. 4, 6, 7이 A의 원소이므로 a=4 4, 6, 7이 B6C의 원소이고 B6C=9b, c, 3, 4, 5, 8, 90 이므로 b=6, c=7 (∵ b<c)

10

ㄷ. 더할 때, 중복되는 부분이 있음을 주의한다. ㄷ. `f{A}+f{B}는 f{A5B}가 중복되므로 `f{A6B}=f{A}+f{B}-f{A5B}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note ㄴ. A=B일 때도 A[B이므로 f{A}=f{B}일 수 있다.

11

A6BC와 {A5B}C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다. A6BC, {A5B}C는 다음 벤다이어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이다. A B U A6BC A B U {A5B}C ⑴ {A6BC}6{A5B}C=U이므로 U=91, 2, 3, 4, 5, 8, 9, 120 ⑵ {A6BC}-{A5B}C=A5B이므로 A5B=92, 4, 8, 120 ⑶ {A5B}C-{A6BC}=B-A이므로 B-A=91, 3, 90

12

A-X=A, B-X=‡일 때, A와 X, B와 X의 관계 를 구한다. A-X=A이면 A의 모든 원소가 X의 원소가 아니므로 1, 2, 4, 8은 X의 원소가 아니다. B-X=‡이면 B의 모든 원소가 X의 원소이므로 3, 9는 X의 원소이다. 따라서 X의 개수는 95, 6, 7, 100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16

1

⑴ 두 집합을 벤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서로 같다. U A C B U A B C A6{B5C} {A6B}5{A6C} ⑵ 두 집합을 벤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서로 같다. A B U {A5B}C A B U AC6BC

2

❶ 앞의 교집합에서 A와 B의 위치를 바꾸었으므로 교환법칙 ❷ 두 교집합에서 뒤를 먼저 계산하였으므로 결합법칙

3

❶ A5BC와 A5CC에서 공통인 A5으로 묶었으므로 분배법칙 ❷ BC와 CC에서 C로 묶었으므로 드모르간의 법칙

4

n{A6B}=n{A}+n{B}-n{A5B}이므로 ⑴ n{A6B}=7+5-3=9 ⑵ 12=6+10-n{A5B} / n{A5B}=4 ⑶ 15=7+n{B}-3 / n{B}=11 30쪽 개념 확인

03

집합의 연산법칙

(10)

⑵ A5B=‡이므로 U와 A, B, C의 벤다이어그램은 다음 그 림과 같다. ① ② ③ A C B U ②의 개수는 n{A5C}=3 ①의 개수는 n{A-C}=n{A5CC}=6 ③의 개수는 n{C-B}-② =n{C5BC}-② =6-3=3 / n{A6B6C}=n{A6B}+③=16+3=19 유제

9-1

AC6BC={A5B}C이므로 n{A5B}=n{U}-n{{A5B}C}=30-24=6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벤다이어그램 A B U{30} {6} 15-6 11-6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원소의 개수는 30-9-6-5=10 ⑴ n{A5B}=6 ⑵ n{A6B}=9+6+5=20 ⑶ AC5BC={A6B}C이므로 n{AC5BC}=30-20=10 유제

9-2

A5C=‡이므로 A, A B C B, C의 벤다이어그램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n{A6B6C} =n{A6B}+n{C}-n{B5C} 이므로 20=15+7-n{B5C} / n{B5C}=2 33쪽 예제

10

⑴ A3은 3의 배수, A4는 4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A35A4는 3의 배수이고 동시에 4의 배수인 수의 집합이다. 따라서 12의 배수의 집합이다. / A35A4=A12 / k=12 ⑵ 100보다 작은 3의 배수는 3\1, 3\2, y, 3\33이므로 n{A3}=33 100보다 작은 4의 배수는 4\1, 4\2, y, 4\24이므로 n{A4}=24 100보다 작은 12의 배수는 12\1, 12\2, y, 12\8이므로 n{A12}=8 / n{A36A4} =n{A3}+n{A4}-n{A35A4} =33+24-8=49 ⑴ {A5B}6{A6BC}C ={A5B}69AC5{BC}C0 ={A5B}6{AC5B} ={A6AC}5B =U5B=B ⑵ 9A5{AC6B}069BC5{A6B}0 =9{A5AC}6{A5B}069{BC5A}6{BC5B}0 ={A5B}6{BC5A} =A5{B6BC}=A ⑶ {A-B}6{A-C} ={A5BC}6{A5CC} =A5{BC6CC}=A-{B5C} 유제

8-1

(좌변) ={A5BC}C5{A6B} ={AC5A}6B=‡6B=B 따라서 주어진 식은 B=A5B이므로 B[A ② A6B=A ④ A-B=‡ 이므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note 좌변의 벤다이어그램을 그려 우변과 비교해도 된다. 유제

8-2

⑴ {A5B}6{A-B} ={A5B}6{A5BC} =A5{B6BC}=A 이므로 9{A5B}6{A-B}05AC=A5AC=‡ ⑵ B5{B6C}=B이므로 9A5{AC6B}069B5{B6C}0 =9{A5AC}6{A5B}06B ={A5B}6B=B 32쪽 예제

9

⑴ n{AC5B}=n{B-A}=14 n{AC5BC}=n{{A6B}C}=9 이므로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벤다 A B {6} {14} {9} U{40} 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는 40-6-14-9=11 / n{A}=11+6=17 n{AC6BC}=n{{A5B}C}=40-6=34 ‡ ‡ A5BC U {B5C}C AC6B U ‡ 31쪽 예제

8

(11)

⑶ {A26A3}5A4={A25A4}6{A35A4} yy ① 에서 A25A4는 2의 배수이고 4의 배수인 수의 집합이므로 4의 배수의 집합이다. 곧, A25A4=A4 A35A4는 12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A35A4=A12 또 12의 배수는 모두 4의 배수이므로 A12[A4 따라서 ①은 A46A12=A4이고, 원소의 개수는 n{A4}=24 유제

10-1

⑴ A12는 12의 약수의 집합, A18은 18의 약수의 집합이고, A125A18은 12와 18의 최대공약수인 6의 약수의 집합이다. / A125A18=A6 / k=6 ⑵ A12=91, 2, 3, 4, 6, 120, A18=91, 2, 3, 6, 9, 180, A6=91, 2, 3, 60이므로 n{A126A18} =n{A12}+n{A18}-n{A125A18} =6+6-4=8 ⑶ {A126A18}5A24={A125A24}6{A185A24} yy ① 에서 A12는 12의 약수의 집합, A24는 24의 약수의 집합이고 12와 24의 최대공약수는 12이므로 A125A24=A12 A18은 18의 약수의 집합, A24는 24의 약수의 집합이고, 18과 24의 최대공약수는 6이므로 A185A24=A6 또 6의 약수는 모두 12의 약수이므로 A6[A12 따라서 ①은 A126A6=A12이고, 12의 약수는 6개이므로 n{A12}=6 ⑷ k의 약수는 모두 36의 약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k는 36의 약수이면 된다. 36의 약수는 1, 2, 3, 4, 6, 9, 12, 18, 36이므로 가능한 k는 모 두 9개이다. 유제

10-2

재성이네 반 학생의 모임을 집합 U, 방과 후 취미 활동으로 운동을 하는 학생의 모임을 집합 A, 독서를 하는 학생 의 모임을 집합 B라 하면

n{U}=42, n{A}=23, n{B}=17, n{{A6B}C}=10 ⑴ n{{A6B}C}=n{U}-n{A6B}이므로 10=42-n{A6B} / n{A6B}=32 n{A6B}=n{A}+n{B}-n{A5B}이므로 32=23+17-n{A5B} / n{A5B}=8 따라서 운동도 하고 독서도 하는 학생은 8명이다. ⑵ n{A-B}=n{A}-n{A5B}=23-8=15 따라서 운동은 하지만 독서는 하지 않는 학생은 15명이다.

0

1

⑴ {A5B}6{A5C}에서 공통부분 A5로 묶으면 A5 {B6C} ⑵ {A6C}5{B6C}에서 공통부분 6C로 묶으면 { A5B }6C

0

2

{AC6B}5BC ={AC5BC}6{B5BC} ={A6B}C6‡={A6B}C / 9{AC6B}5BC0C=9{A6B}C0C=A6B 다른 풀이 드모르간의 법칙을 먼저 이용하면 9{AC6B}5BC0C ={AC6B}C6{BC}C ={A5BC}6B ={A6B}5{BC6B} ={A6B}5U=A6B

0

3

{A5BC}6{B5AC} ={A-B}6{B-A} =9b, d, f 0 이므로 오른쪽 벤다이어그램에서 A B U ① ② ③ ①, ③의 원소는 b, d, f A와 비교하면 ①의 원소는 b, d 따라서 ③의 원소는 f ②는 A의 원소에서 ①의 원소를 빼면 a, c, e B는 ②, ③의 원소이므로 B=9a, c, e, f 0

0

4

A-BC=A5{BC}C=A5B이므로 {A6B}5{A-BC}={A6B}5{A5B}=A5B 9{A6B}5{A-BC}06A={A5B}6A=A / A=U

0

5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벤다이어 A B U{50} {17} 35-17 28-17 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n{AC}=50-28=22 ⑵ n{B-A}=35-17=18 ⑶ n{A5BC}=n{A-B}=28-17=11 ⑷ n{A6B}=11+17+18=46 ⑸ n{AC6BC} =n{{A5B}C}=n{U}-n{A5B} =50-17=33 ⑹ n{AC5BC} =n{{A6B}C}=n{U}-n{A6B} =50-46=4

0

1

⑴ A5 ⑵ A5B

0

2

0

3

9a, c, e, f 0

0

4

0

5

⑴ 22 ⑵ 18 ⑶ 11 ⑷ 46 ⑸ 33 ⑹ 4

0

6

0

7

0

8

풀이 참조

0

9

10

28

11

최댓값 : 18, 최솟값 : 12

12

④ 34~35쪽 연습 문제

(12)

이므로 B-A=96, 7, 80 주어진 집합의 원소를 벤다이어그램에 A B U 3 5 1 2 4 6 7 8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AsB={A-B}6{B-A}는 색칠 한 부분이므로 AsB의 원소의 합은 1+2+4+6+7+8=28

11

n{A}+n{B}>n{U}이므로 n{A5B}=0이다. n{A}<n{B}이므로 A[B일 때, n{A5B}가 최대이고 최댓값은 n{A}=18이다. n{A6B}=n{A}+n{B}-n{A5B} yy ① 이므로 n{A5B}가 최소이면 n{A6B}가 최대이다. {A6B}[U이므로 n{A6B}의 최댓값은 n{U}=30 이때 ①에서 18+24-n{A5B}=30 / n{A5B}=12 따라서 A6B=U일 때, n{A5B}의 최솟값은 12이다.

12

세 명을 동시에 적을 수 없으므로 n{A5B5C}=0 세 후보 A, B, C를 뽑은 학생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자. 주어진 조건에 따라 뽑은 학생 수를 벤다 A C B {2} {x} {10} {0} {8} {2} {1} 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B와 C가 적힌 투표용지가 x장이라 하면 전체 학생 수가 35이므로 35=2+10+0+8+1+x+2 / x=12 따라서 각 후보가 얻은 표는 A는 20, B는 23, C는 22이므로 B, C, A의 순이다.

0

6

조사한 학생의 모임을 집합 U, 노트북이 있는 학생의 모임 을 집합 A, 태블릿 pc가 있는 학생의 모임을 집합 B라 하면 n{A6B} =n{A}+n{B}-n{A5B} =12+6-3=15 노트북과 태블릿 pc 둘 다 없는 학생의 집합은 {A6B}C이므로 n{{A6B}C}=n{U}-n{A6B}=30-15=15 따라서 구하는 학생 수는 15명이다.

0

7

A5BC=‡이므로 A와 B의 포함 관계부터 조사한다. A와 BC가 서로소이므로

A5BC=‡, A-B=‡ / A[B ㄱ. A-B=‡ (참)

ㄴ. A[B이므로 A5B=A / {A5B}C=AC (참) ㄷ. {AC6B}5A ={AC5A}6{B5A} =‡6A=A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0

8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을 이용한다. {A6B}5{AC6B}5{A6BC} ={A6B}5{A6BC}5{AC6B} =9{A6B}5{A6BC}05{AC6B} =9A6{B5BC}05{AC6B} ={A6‡}5{AC6B} =A5{AC6B}={A5AC}6{A5B} =‡6{A5B}=A5B note 벤다이어그램을 그려 서로 같음을 비교해도 된다.

0

9

필요하면 원소를 나열하여 집합을 비교한다. ① A26A4 =92, 4, 6, 8, y0694, 8, 12, 16, y0 =92, 4, 6, 8, y0=A2 ② A26A3 =92, 4, 6, 8, y0693, 6, 9, 12, y0 =92, 3, 4, 6, 8, 9, y0=A6 ③ A25A3의 원소는 2의 배수이면서 동시에 3의 배수인 수이다. 따라서 A25A3의 원소는 6의 배수이다. 곧, A25A3=A6 ④ A45A6의 원소는 4의 배수이면서 동시에 6의 배수인 수이다. 따라서 A45A6의 원소는 4와 6의 최소공배수 12의 배수이다. 곧, A45A6=A12이므로 A12[{A45A6} (참) ⑤ A25A4의 원소는 2의 배수이면서 동시에 4의 배수인 수이다. 따라서 A25A4의 원소는 4의 배수이다. 곧, A25A4=A4 또 A8의 원소는 8의 배수이고 8의 배수는 4의 배수이므로 A8[A4 / A8[{A25A4} (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10

U-{AC5B}C를 간단히 정리한다. U-{AC5B}C =U59{AC5B}C0C=U5{AC5B} =AC5B=B-A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분배법칙

1-1

① A*U ={A5U}6{A6U}C=A6UC =A6‡=A (거짓) ② B*A ={B5A}6{B6A}C ={A5B}6{A6B}C=A*B (참) ③ A*‡={A5‡}6{A6‡}C=‡6AC =AC (참) ④ AC*BC ={AC5BC}6{AC6BC}C ={A6B}C6{A5B} ={A5B}6{A6B}C=A*B (참) ⑤ A*AC ={A5AC}6{A6AC}C =‡6UC=‡6‡=‡ (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①이다. 36쪽

(13)

0

1

A=9a, b, c0로 놓고 X의 원소를 a, b, c로 나타낸다. A=9a, b, c0 {a<b<c}라 하면 X=9a+b, a+c, b+c0=99, 11, 120 이므로 a+b=9, a+c=11, b+c=12 세 식을 변변 더하면 2a+2b+2c=32 / a+b+c=16 a+b=9이므로 c=7 따라서 A의 원소 중 가장 큰 수는 7이다.

0

2

16x 이 자연수이므로 x는 16의 약수이다. x{A이면 16x {A이므로 x와 16x 은 모두 자연수이다. 곧, x는 16의 약수이므로 가능한 x는 1, 2, 4, 8, 16이다. 1{A이면 161 {A, 16{A이면 1616 {A이므로 1과 16은 동시 에 A의 원소이거나 원소가 아니다.

2{A이면 162 {A, 8{A이면 168 {A이므로 2와 8은 동시에 A의 원소이거나 원소가 아니다.

4{A이면 164 {A이므로 4는 단독으로 A의 원소일 수 있다. 4가 원소가 아닌 경우는

A=91, 160, A=92, 80, A=91, 16, 2, 80 4가 원소인 경우는

A=940, A=94, 1, 160, A=94, 2, 80 A=94, 1, 16, 2, 80 따라서 가능한 A는 모두 7개이다.

0

1

7

0

2

7

0

3

6

0

4

0

5

94, 9, 16, 810

0

6

{A5B}69{A6C}C5{B6D}C0

0

7

0

8

⑴ 20 ⑵ 4

0

9

9

10

11

12

5 % 37~39쪽 실력 문제

0

3

a1, a2 중 하나를 원소로 갖는 경우와 a1과 a2를 모두 원 소로 갖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9a3, a4, y, an0의 부분집합은 2N_@개이고,

이 각각의 부분집합에 a1을 넣거나, a2를 넣거나, a1과 a2를 넣는 경우를 모두 생각하면 {2N_@\3}개 이때 주어진 조건은 진부분집합의 개수이므로 2N_@\3-1=47, 2N_@=16 따라서 n-2=4이므로 n=6

0

4

P{A}의 원소는 A의 부분집합이다. ① P{A}의 원소는 A의 부분집합인 ‡, 910, 920, 91, 20이다. (참) ② ‡은 A의 부분집합이므로 ‡{P{A}이다. (참)

③ A도 A의 부분집합이므로 A{P{A}이다. (참)

④ P{A}의 원소의 개수는 A의 부분집합의 개수 2n{A}이다.

곧, n{A}=4이므로 n{P{A}}=2$=16 (참) ⑤ P{A}의 원소가 36개이면 A의 부분집합이 36개이다. 그러나 2N=36이 되는 자연수 n은 없다. (거짓)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0

5

jnk 이 자연수이면 n은 제곱수이다. B의 원소는 자연수이므로 a, b, c, d는 제곱수이다. 그런데 a+b=13이고 a<b이므로 a=4, b=9 이때 A5B=94, 90이므로 4{B, 9{B c<d이므로 jc=4, jdk=9 / c=16, d=81 / A=94, 9, 16, 810

0

6

AB>0은 -A>0 B>0 또는 -A<0 B<0이다. `f{x}g{x}>0은 - f{x}>0 g{x}>0 yy ① 또는 f{x}<0 g{x}<0 yy ② ①의 해를 집합으로 나타내면 A5B 또 9x| f{x}<00={A6C}C, 9x| g{x}<00={B6D}C 따라서 ②의 해를 집합으로 나타내면 {A6C}C5{B6D}C / {A5B}69{A6C}C5{B6D}C0 note {A6C}C=AC5CC=AC-C, {B6D}C=BC5DC=BC-D이므로 구하는 집합을 {A5B}69{AC-C}5{BC-D}0라 해도 된다.

0

7

약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ㄱ. m, n이 서로소이면 공약수는 1이므로 Am5An=910 (거짓) ㄴ. n이 m의 배수이면 m의 약수는 n의 약수이므로 Am[An (참) ㄷ. Am5An은 m과 n의 공약수의 집합이므로 m, n의 최대공약수를 k라 하면 Am5An=Ak

2-1

조사한 사람의 모임을 집합 U, 세 휴대폰 A, B, C를 사용 해 본 사람의 모임을 각각 집합 A, B, C라 하면 n{A6B6C} =n{A}+n{B}+n{C} -n{A5B}-n{B5C}-n{C5A} +n{A5B5C} =12+16+19-5-6-7+2=31 / n{{A6B6C}C} =n{U}-n{A6B6C} =35-31=4 따라서 A, B, C 휴대폰 모두를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사람 은 4명이다.

(14)

12

벤다이어그램을 그려서 해결한다. 조사한 전체 학생의 모임을 집합 U, 축 A B a b c g f e d C U 구, 야구,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모임 을 각각 집합 A, B, C라 하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벤다이어그램의 각 부분의 원소의 개수(백분율)을 a, b, c, y, g 라 하자. n{A5B}=b+e=6{%} yy ① n{B5C}=e+ f =12{%} yy ② n{C5A}=d+e=8{%} yy ③ n{A6B}=a+b+c+d+e+ f =48{%} yy ④ n{B6C}=b+c+d+e+ f + g =60{%} yy ⑤ n{C6A}=a+b+d+e+ f + g =52{%} yy ⑥ a=12{%}이므로 ④에서 b+c+d+e+ f =48-12=36{%} ⑤에서 g =60-36=24{%} ⑥에서 b+d+e+ f =52-12-24=16{%} yy ⑦ ①+②+③을 하면 b+d+3e+ f =26{%} yy ⑧ ⑧-⑦을 하면 2e=26-16=10 / e=5{%} 그런데 k는 m+n의 약수이므로 Ak[Am'n / {Am5An}[Am'n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0

8

An[Am이면 n은 m의 배수 또는 m은 n의 약수이다. ⑴ A4는 4의 배수의 집합, A10은 10의 배수의 집합이고, 4와 10의 최소공배수는 20이므로 A45A10=A20

Aa[A20이므로 a는 20의 배수이다. 곧, a의 최솟값은 20이다. ⑵ A8은 8의 배수의 집합, A12는 12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A86A12}[Ab이면 A8[Ab이므로 b는 8의 약수이다. 또 A12[Ab이므로 b는 12의 약수이다. b는 8과 12의 공약수이다. 곧, b의 최댓값은 최대공약수 4이다.

0

9

A의 원소 5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를 문자로 놓는다. ㈐에서 A5B=950이므로 A=9a, b, c, 50라 하면 B=- a+k2 , b+k2 , c+k2 , 5+k2 = ㈎에서 a+b+c+5=8이므로 a+b+c=3 따라서 B의 원소의 합은 a+b+c+4k+52 =8+4k2 =4+2k ㈏에서 ( A6B의 원소의 합) = ( A의 원소의 합)+( B의 원소의 합) -( A5B의 원소의 합) 25=8+4+2k-5, 2k+7=25 / k=9

10

S{A6B}=S{A}+S{B}-S{A5B}임을 이용한다. S{A6B}=S{A}+S{B}-S{A5B}가 성립한다. 이때 A6B=U이고, S{A}+S{B}=S{U}+1이므로 S{U}=S{U}+1-S{A5B} / S{A5B}=1 note 원소의 합이 1인 U의 부분집합은 910뿐이므로 A5B=910

11

가장 작은 원소가 1, 2, 2@, 2#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 가장 작은 원소가 1인 집합의 개수 2, 2@, 2#을 원소로 가질 수 있으므로 2#=8 @ 가장 작은 원소가 2인 집합의 개수 1은 원소로 갖지 않고 2@, 2#은 원소로 가질 수 있으므로 2@=4 # 가장 작은 원소가 2@인 집합의 개수 1, 2는 원소로 갖지 않고 2#은 원소로 가질 수 있으므로 2 $ 가장 작은 원소가 2#인 집합의 개수는 1 ! ~ $에서 가장 작은 원소의 합은 1\8+2\4+2@\2+2#\1=32

(15)

8

P=92, 4, 6, y0, Q=94, 8, 12, y0 ⑴ P;Q이므로 거짓

⑵ Q[P이므로 참

9

⑴ x=1, y=0이면 xy=0이지만 x@+y@=0이다. (거짓) ⑵ x=-1, y=-2이면 xy>0이지만 x<0이고 y<0이다. (거짓) ⑶ 참

10

⑴ x=1이면 x@>0이다. (참) ⑵ x@<0인 실수 x가 없다. (거짓) ⑶ x=0이면 x@=0이다. (거짓) ⑷ 모든 x에 대하여 x@+1>0이 항상 성립한다. (참)

11

⑴ 모든 x에 대하여 2x-1=0이다. (거짓) ⑵ 어떤 x에 대하여 x@<0이다. (참) note x=0이면 x@<0이다.

1

① 참인 문장이므로 명제이다. ②, ③ 참, 거짓을 말할 수 없다. ④ x, y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바뀌므로 명제가 아니다. ⑤ 잘못된 등식이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따라서 명제인 것은 ①, ⑤이다.

2

⑴ 거짓 부정:1은 소수가 아니다. (참) note ‘1은 합성수이다.’라고 해서는 안된다. ⑵ 거짓 부정:3>1 (참)

3

⑴ 마주보는 두 변이 각각 평행한 사각형 ⑵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다각형 ⑶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 수가 같은 다면체

4

② 마름모의 정의이다.

5

⑴ P=92, 4, 6, 80 ⑵ x@=4에서 x=-2 x는 자연수이므로 Q=920 ⑶ x@<1에서 -1<x<1 x는 자연수이므로 R=‡

6

⑴ ~p:x$=1 x$=1에서 x@=-1 x는 실수이므로 ~p의 진리집합:9-1, 10 ⑵ ~q:x@-3x-4>0 {x+1}{x-4}>0이므로 ~q의 진리집합:9x|x<-1 또는 x>40

7

⑴ 가정:x@=1이고 x>0 결론:x=1 ⑵ 가정: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가 같다. 결론:이등변삼각형이다. ⑶ 가정:A[B 결론:n{A}<n{B} 44~45쪽 개념 확인

01

명제와 조건

02

명제

46쪽 예제

1

U=91, 2, 3, y, 90, P=92, 3, 5, 70, Q=91, 3, 5, 7, 90 ⑴ PC=91, 4, 6, 8, 90 ⑵ P5Q=93, 5, 70 ⑶ P6Q=91, 2, 3, 5, 7, 90 ⑷ PC6QC={P5Q}C=91, 2, 4, 6, 8, 90 유제

1-1

P=9x|-3<x<30, Q=9x|x<0 또는 x>50 이므로 PC=9x|x<-3 또는 x>30, QC=9x|0<x<50 ⑴ ~q의 진리집합이 QC이므로 ~{~q}의 진리집합은 {QC}C=Q=9x|x<0 또는 x>50 ⑵ PC5Q=9x|x<-3 또는 x>50 ⑶ P6QC=9x|-3<x<50 ⑷ PC5QC=9x|3<x<50 유제

1-2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자. ⑴ ~p의 진리집합은 PC이므로 ~{~p}의 진리집합은 {PC}C=P / ~{~p}=p ⑵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5Q}C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PC6QC {P5Q}C=PC6QC이므로 ~{p 그리고 q}=~p 또는 ~q ⑶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P6Q}C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C5QC {P6Q}C=PC5QC이므로 ~{p 또는 q}=~p 그리고 ~q

(16)

유제

3-1

⑴ 참

부정:어떤 정사각형은 마름모가 아니다. (거짓) ⑵ x=2이면 x@-4x+4<0 (참)

부정: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4x+4>0이다. (거짓) 유제

3-2

① x=0, 1, 2이면 |x|<x (참)

② 모든 x, y에 대하여 x@<4, y@<4이므로 x@+y@<9 (참) ③ 모든 x에 대하여 x-2<0, x+2>0이므로 {x-2}{x+2}<0 곧, ③의 부정이 참이므로 ③은 거짓이다. ④ x@-x-6<0을 풀면 -2<x<3 곧, 모든 x에 대하여 x@-x-6<0 (참) ⑤ x=0이면 x@<0 (참) 따라서 거짓인 것은 ③이다. 47쪽 예제

2

Q[P이고 R[QC이므로 벤다이어그램 Q R P U 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① P;Q이므로 거짓 ② R;PC이므로 거짓 ③ {P5Q}[RC이므로 참 ④ {P5R}[QC이므로 참 ⑤ {Q6R};P이므로 거짓 따라서 참인 것은 ③, ④이다. 유제

2-1

p 1! ~q가 참이므로 P[QC, 곧 P5Q=‡  {p 또는 q} 1! r가 참이므로 {P6Q}[R 곧,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P Q R U 그림과 같다. ⑤ {P6Q}C5R=‡ 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유제

2-2

P5QC=P이므로 P[QC / P5Q=‡ 또 R[{P6Q}이므로 벤다이어그램으 P Q U R 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① P;Q이므로 거짓 ② R;P이므로 거짓 ③ QC;R이므로 거짓 ④ {P6R};QC이므로 거짓 ⑤ {QC5R}[P이므로 참 따라서 참인 것은 ⑤이다. 48쪽 예제

3

⑴ x=0, 1, 2, 3, 4를 모두 대입하면 x@-20<0이다. / 참 부정:어떤 x에 대하여 x@-20>0이다. (거짓) ⑵ x@-4x-5=0을 풀면 x=-1 또는 x=5 곧, U의 모든 원소는 x@-4x-5=0을 만족하지 않는다. / 거짓 부정:모든 x에 대하여 x@-4x-5=0이다. (참) ⑶ xy-4x-4y+16>0에서 {x-4}{y-4}>0 U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x-4<0, y-4<0이므로 {x-4}{y-4}>0 (참) 부정:어떤 x, y에 대하여 xy-4x-4y+16<0이다. (거짓) ⑷ x=0, y=1이면 x@+{y-1}@=0 (참) 부정:모든 x, y에 대하여 x@+{y-1}@=0이다. (거짓)

0

1

P6Q, PC5QC

0

2

0

3

X=‡, 부정:어떤 A에 대하여 A5X=X이다.

0

4

7

0

5

0

6

① 49쪽 연습 문제

0

1

f{x}g{x}=0은 f{x}=0 또는 g{x}=0이므로 진리집합은 P6Q f{x}g{x}=0은 f{x}g{x}=0의 부정이므로 진리집합은 {P6Q}C=PC5QC 다른 풀이 f{x}g{x}=0은 f{x}=0이고 g{x}=0이므로 진리집합은 PC5QC

0

2

{a-b}@+{b-c}@+{c-a}@=0의 부정은 {a-b}@+{b-c}@+{c-a}@=0 / a=b 또는 b=c 또는 c=a 곧, a, b, c 중 다른 것이 적어도 하나 있다. ③ a=b 또는 b=c 또는 c=a ④ a=b이고 b=c이고 c=a 따라서 주어진 식의 부정과 같은 것은 ⑤이다. 다른 풀이 {a-b}@+{b-c}@+{c-a}@=0이면 a-b=0이고 b-c=0이고 c-a=0 / a=b=c 따라서 부정은 a, b, c 중 다른 것이 적어도 하나 있다.

0

3

A5X=X이면 X[A이다. 모든 A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X=‡ 부정은 ‘어떤 A에 대하여 A5X=X이다.’

(17)

0

4

p, q의 진리집합을 먼저 구한다. p의 진리집합은 P=94, 5, 6, 7, 8, 90 q의 진리집합은 Q=91, 2, 3, 4, 6, 80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X=P5Q=94, 6, 80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Y=PC6Q=91, 2, 3, 4, 6, 8, 100 / X6Y=91, 2, 3, 4, 6, 8, 100 따라서 집합 X6Y의 원소의 개수는 7이다.

0

5

모든 A에 대하여 {PC5A}6Q=Q가 성립할 P, Q의 포함 관계를 찾는다. {PC5A}6Q=Q이면 {PC5A}[Q이다. 모든 A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PC[Q이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⑤이다.

0

6

어떤 x에 대하여 p{x}가 거짓이면 P=‡ 주어진 명제의 부정이 참이므로 이 명제는 거짓이다. ‘어떤 x에 대하여 p{x}이고 ~q{x}이다.’가 거짓이므로 P5QC=‡, 곧 P-Q=‡ / P[Q 따라서 옳은 것은 ①이다. note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부정 ‘x{U인 모든 x에 대하여 ~p{x} 또는 q{x}이다.’ 가 참이므로 PC6Q=U이다. 이때 {PC6Q}C=UC이므로 P5QC=‡

3

~p 1! q와 대우 ~q 1! p는 참, 거짓이 같다. 따라서 참인 것은 ⑤이다.

4

㈎:유리수, ㈏:2, ㈐:서로소

1

⑴ 역:q 1! p 대우:~q 1! ~p ⑵ 역:q 1! ~p 대우:~q 1! ~{~p} / ~q 1! p ⑶ 역:~p 1! ~q 대우:~{~p} 1! ~{~q} / p 1! q

2

⑴ [반례] x=-1 (거짓) ⑵ p:x@=1, q:x=1이라 하면 역{q 1! p}:x=1이면 x@=1이다. (참) 대우{~q 1! ~p}: x=1이면 x@=1이다. [반례] x=-1 (거짓) 51쪽 개념 확인

02

역과 대우

52쪽 예제

4

p jjjk q, r jjjk ~q이므로 대우를 생각하면 ~q jjjk ~p, q jjjk ~r 또 p jjjk q, q jjjk ~r에서 p jjjk ~r이고 대우를 생각하면 r jjjk ~p p 1! ~r에서 P[RC이므로 P;R 곧, ~r 1! ~p는 거짓이다. 따라서 참이 아닌 것은 ⑤이다. 유제

4-1

p jjjk ~q, ~p jjjk r이므로 대우를 생각하면 q jjjk ~p, ~r jjjk p 또 q jjjk ~p, ~p jjjk r이므로 q jjjk r이고 대우를 생각하면 ~r jjjk ~q p 1! ~r의 참, 거짓은 알 수 없다. 따라서 참이 아닌 것은 ④이다. 유제

4-2

p:물고기가 산다. q:바다이다. r:낚시를 할 수 있다. 라 하면 조건에서 ~p jjjk ~q, p jjjk r 따라서 대우를 생각하면 q jjjk p, ~r jjjk ~p 또 q jjjk p, p jjjk r이므로 q jjjk r이고 대우를 생각하면 ~r jjjk ~q 한편 ㄱ은 q 1! r, ㄴ은 q 1! p, ㄷ은 ~q 1! ~r이므로 참인 것은 ④ ㄱ, ㄴ이다. 53쪽 예제

5

a, b, c 모두 3의 배수가 아니라 하자. 3의 배수가 아니므로 a, b, c는 모두 3k+1 또는 3k+2 (k는 음이 아닌 정수) 꼴이다. {3k+1}@=9k@+6k+1=3{3k@+2k}+1 {3k+2}@=9k@+12k+4=3{3k@+4k+1}+1 이므로 a@, b@, c@은 모두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 이다. 이때 a@+b@은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 , c@은 3으로 나눈 나머지 가 1 이므로 a@+b@= c@ 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a, b, c 중 적어도 하나는 3의 배수이다. / ㈎:1, ㈏:2, ㈐:c@

(18)

유제

5-1

다음 대우를 증명한다. ‘m, n이 자연수일 때, mn이 홀수 이면 m@+n@은 짝수 이다.’ mn이 홀수 이면 m, n은 모두 홀수 이므로 m=2k-1, n=2L-1 (k, L은 자연수)로 놓으면 m@+n@ ={2k-1}@+{2L-1}@ =4k@-4k+1+4L@-4L+1 =2{ 2k@+2L@-2k-2L+1 } 따라서 m@+n@이 짝수 이므로 참이고, 대우가 참이므로 원 명제도 참이다. / ㈎:홀수, ㈏:짝수, ㈐:2k@+2L@-2k-2L+1 유제

5-2

오각형에서 예각인 내각이 4개나 5개라 하면 예각 4개의 크기의 합은 360!보다 작다.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3=540!이므로 나머지 한 내 각의 크기는 540!-360!=180!보다 커야 한다. 그런데 한 내각의 크기는 180!보다 클 수 없으므로 모순이다. 예각 5개의 크기의 합은 450!보다 작고, 이 또한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540!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오각형에서 예각인 내각은 3개를 넘지 않는다.

0

3

⑴ 대우:2x-3>1이면 x>3이다. 2x-3>1을 풀면 x>2 따라서 x>2이면 x>3이다는 거짓이므로 대우는 거짓이다. ⑵ 대우:x+y=6이면 x=2 또는 y=4이다. 원 명제가 참이므로 대우도 참이다. note 대우의 참, 거짓은 원 명제의 참, 거짓과 같다.

0

4

~p 1! ~q가 참이므로 R P Q U 대우를 생각하면 q jjjk p r jjjk q이므로 삼단논법에 의해 r jjjk p 따라서 전체집합이 U일 때, 조건 p, q, r의 진리집합 P, Q, R를 벤다이 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① R[P이므로 참 ② Q;R이므로 거짓 ③ {Q6R};PC이므로 거짓 ④ R[{P5Q)이므로 참 ⑤ {Q6R}C;P이므로 거짓 따라서 참인 것은 ①, ④이다.

0

5

주어진 명제의 대우 ‘ a>b인 자연수 a, b에 대하여 a, b가 모 두 홀수 이면 a@-b@은 4의 배수이다.’가 참임을 증명하면 된다. a>b이므로 m>n인 자연수 m, n에 대하여 a=2m-1, b=2n-1이라 하면 a@-b@ ={2m-1}@-{2n-1}@ ={2m-1+2n-1}{2m-1-2n+1} ={2m+2n-2}{2m-2n} =4{m+n-1}{ m-n } m+n-1>0, m-n>0 곧, a@-b@은 4의 배수이다. / ㈎:홀수, ㈏:m-n

0

6

대우와 삼단논법을 이용하여 참인 명제를 찾는다. ~q jjjk ~r이므로 r jjjk q (대우) p jjjk r, r jjjk q이므로 p jjjk q (삼단논법) p jjjk q, q jjjk ~s이므로 p jjjk ~s (삼단논법) p jjjk ~s이므로 s jjjk ~p (대우) r jjjk q, q jjjk ~s이므로 r jjjk ~s (삼단논법) 따라서 참인 것은 ⑤이다. note p, q, r, s 사이의 관계를 오른쪽 그림과 ~s q p r jjjjk jjjjk jjjjk jjjjk jjjjkjjjjk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녹색 화살표는 삼단논법의 결과 이다.

0

1

1, 5

0

2

②, ③

0

3

⑴ 대우:2x-3>1이면 x>3이다. (거짓) ⑵ 대우:x+y=6이면 x=2 또는 y=4이다. (참)

0

4

①, ④

0

5

㈎:홀수, ㈏:m-n

0

6

0

7

0

8

④ 54~55쪽 연습 문제

0

1

대우 ‘x-a=0이면 x@-6x+5=0이다.’가 참이므로 a@-6a+5=0, {a-1}{a-5}=0 / a=1 또는 a=5

0

2

① 역:xz=yz이면 x=y이다.

xz=yz이면 z=0 또는 x=y이므로 x=y일 수 있다. (거짓) ② 역:|x|<1이면 x@-1<0이다. (참)

③ 역:x@+y@=0이면 |x|+|y|=0이다.

x@+y@=0이면 x=0, y=0이므로 |x|+|y|=0이다. (참) ④ 역:|xy|=xy이면 x>0, y>0이다.

|xy|=xy이면 xy>0이므로 x>0, y>0 또는 x<0, y<0이 다. (거짓)

⑤ 역:x+y가 짝수이면 xy는 홀수이다.

x+y가 짝수이면 x, y 둘 다 짝수이거나 홀수이므로 xy는 짝 수일 수도 있다. (거짓)

(19)

0

7

시장 조사 결과를 기호를 이용하여 명제로 바꾼다. 조건 p, q, r, s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p:10대, 20대에게 선호도가 높다. q:판매량이 많다. r:가격이 싸다. s:기능이 많다. 이때 ㈎, ㈏, ㈐는 다음과 같다. ㈎:p jjjk q, ㈏:r jjjk q, ㈐:s jjjk p s jjjk p, p jjjk q이므로 s jjjk q이다. ①은 s 1! ~r ②는 ~r 1! ~q ④는 p 1! s ⑤는 p 1! ~r 곧, ①, ②, ④, ⑤는 참이라 할 수 없다. ③은 ~q 1! ~s, 곧 s 1! q의 대우이므로 참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0

8

귀류법을 이용한다. ‘2018과 2018-n이 서로소가 아니다. ’라 가정하면 2018과 2018-n은 2 이상의 공약수가 있다. 2018과 2018-n의 공약수를 t라 하면 2018=at yy ① 2018-n=bt yy ② {a, b, t는 자연수, a>b, t>2} 로 놓을 수 있다. ①-②를 하면 n={ a-b }t이므로 t는 2018과 n의 공약수이다. 이것은 ‘2018과 n이 서로소이다.’에 모순이다. 따라서 2018과 2018-n은 서로소이다. / ㈎:서로소가 아니다. ㈏:2, ㈐:a-b 따라서 ㈎ ~ ㈐에 알맞은 것을 바르게 짝 지은 것은 ④이다.

1

Q[P이므로 q jjjk p 따라서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고,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⑴ 필요조건 ⑵ 충분조건 57쪽 개념 확인

03

충분조건, 필요조건

58쪽 예제

6

⑴ a=b이면 ac=bc이므로 p jjjk q ac=bc이면 c=0인 경우도 있으므로 p hjjj q / 충분조건 ⑵ x, y가 실수이므로 p:x@+y@=0에서 x=0이고 y=0 q:xy=0에서 x=0 또는 y=0 따라서 p jjjk q이고 p hjjj q이므로 충분조건 ⑶ x=1+i, y=1-i일 때, x+y=2 (실수), xy=2 (실수) 이지만 x, y는 실수가 아니므로 p jjjk q

x, y가 실수이면 x+y, xy가 실수이므로 p hjjj q / 필요조건

⑷ p에서 x>a이고 y<a이므로 y<a<x이다. 곧, y<x이므로 p jjjk q q에서 y<x일 때, a=x+y 2 라 하면 x>a이고 y<a이다. 곧, p hjjj q / 필요충분조건 ⑸ {A5B}[A는 모든 집합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A[B가 아 닐 수도 있다. 곧, p jjjk q A[B이면 {A5B}[A가 성립한다. 곧, p hjjj q / 필요조건 유제

6-1

⑴ a=b의 양변에 c를 더하면 a+c=b+c이므로 p jjjk q a+c=b+c의 양변에서 c를 빼면 a=b이므로 p hjjj q / 필요충분조건

2

P[Q이므로 p jjjk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고,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⑴ 충분 ⑵ 필요

3

⑴ p jjjk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⑵ q jjjk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⑶ p jjjk q이고 q jjjk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note 3의 배수이고 4의 배수이면 12의 배수이다. 따라서 p, q는 같은 조건이다.

4

x>0이고 y>0이면 x+y>0이다. (참) 그런데 x=3, y=-2이면 x+y>0이지만 x>0이고 y<0이다. (거짓) 따라서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④이다.

5

P[Q이므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20)

⑵ x=0이고 y=0이면 x@+y@=0이므로 p hjjj q x=1, y=i일 때, x@+y@=0이지만 x, y는 0이 아니다. 곧, p jjjk q이므로 필요조건

note x, y가 실수라는 조건이 없음에 주의한다. ⑶ x=1, y=-2일 때, x>y이지만 x@<y@` x=-2, y=1일 때, x@>y@이지만 x<y

따라서 p jjjk q, p hjjj q이므로 아무 조건도 아니다. ⑷ x=1+j2, y=1-j2일 때,

x+y=2 (유리수), xy=-1 (유리수)이지만 x, y는 유리수가 아니므로 p jjjk q

x, y가 유리수이면 x+y, xy가 유리수이므로 p hjjj q / 필요조건

⑸ A[B 또는 A[C이면 A[{B6C}이므로 p jjjk q A, B, C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면 A B C A[{B6C}이지만 A;B이고 A;C이다. 곧, p hjjj q이므로 충분조건 x -a -1 b -b 0 4 a R Q P P[Q이고 a>0이므로 a>4 R[P이고 b>0이므로 0<b<1 유제

7-2

p는 s이기 위한 필요조건이고 ~q이기 ~q s p jjjjk r jjjjk jjjjk jjjjk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 hjjj s, p jjjk ~q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고 ~q이기 위한 필요 조건이므로 r jjjk p, r hjjj ~q 곧, p jjjk ~q, ~q jjjk r, r jjjk p / s jjjk p hjjk ~q hjjk r ⑴ s jjjk p hjjk r이므로 r는 s이기 위한 필요조건 ⑵ p hjjk ~q에서 q hjjk ~p이므로 q는 ~p이기 위한 필요충 분조건 59쪽 예제

7

⑴ p:{x+2}{x-4}>0이므로 P=9x|x<-2 또는 x>40 q:{x-a}{x-2a}<0이므로 x -2 4 a 2a P Q P [ a>0일 때] x 2a a -2 4 P Q P [ a<0일 때] ! a>0일 때, Q=9x|a<x<2a0 Q[P이려면 a>4 @ a<0일 때, Q=9x|2a<x<a0 Q[P이려면 a<-2 !, @에서 a<-2 또는 a>4 ⑵ 주어진 조건에서 r p q jjjjk s jjjjk jjjjk jjjjk p jjjk q, r jjjk q s jjjk r, s hjjj q 곧, q jjjk s, s jjjk r, r jjjk q이므로 q hjjk s hjjk r 따라서 p jjjk q hjjk s이므로 p는 s이기 위한 충분조건 유제

7-1

p:{x+1}{x-4}<0이므로 P=9x|-1<x<40 또 Q=9x|-a<x<a0, R=9x|-b<x<b0 이때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 p가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R[P이어야 한다.

0

1

⑴ 충분조건 ⑵ 필요충분조건 ⑶ 필요조건

0

2

a의 최댓값:3, b의 최솟값:8

0

3

⑴ 필요조건 ⑵ 충분조건

0

4

0

5

0

6

0

7

0

8

⑴ 충분조건 ⑵ 필요충분조건

0

9

⑴ a>6 ⑵ 0<a<2

10

㈎:필요충분, ㈏:충분 60~61쪽 연습 문제

0

1

⑴ p는 x=0 또는 y=0 q는 x=0 또는 y=0 또는 z=0 p jjjk q이지만 p hjjj q이므로 충분조건 ⑵ x@=1에서 P=9-1, 10, |x|=1에서 Q=9-1, 10 곧, P=Q이므로 필요충분조건 ⑶ x@<4에서 P=9x|-2<x<20 |x|<2에서 Q=9x|-2<x<20 곧, Q[P이므로 필요조건

0

2

p hjjj q이므로 Q[P, p jjjk r이므로 P[R 오른쪽 그림에서 x a 3 6 8 b P R P Q a<3, b>8 따라서 a의 최댓값은 3이고, b의 최솟값은 8이다.

0

3

P5Q=Q이므로 Q⊂P P R U Q 또 P5R=‡이므로 P, Q, R를 벤다이 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Q[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⑵ R[QC이므로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21)

0

4

ㄱ. 원소의 개수로 집합의 포함 관계는 알 수 없으므로 p jjjk q

역으로 q jjjk p

곧,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ㄴ. n{A-B}=0이면 A-B=∅이므로 A[B이다. 곧, n{A}=n{B}일 수 있으므로 p jjjk q 역으로 A=910, B=920이면 A-B=910이므로 n{A}=n{B}이지만 n{A-B}=0이다. / q jjjk p 곧, p, q는 서로 아무 조건도 아니다. ㄷ. p jjjk q

역으로 B=U이면 A6B=U이어도 A=BC=∅이다. / q jjjk p 곧,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인 것은 ㄷ이다.

0

5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 jjjk q yy ㉠ ~q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r jjjk ~q yy ㉡ ㉠의 대우는 ~q jjjk ~p yy ㉢ ㉡의 대우는 q jjjk ~r ㉡, ㉢에서 r jjjk ~p yy ㉣ ㉣의 대우는 p jjjk ~r 따라서 참이 아닌 것은 ⑤이다. 다른 풀이 p jjjk q이므로 P[Q ~q hjjj r이므로 QC]R 따라서 P, Q, R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 R U P Q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① P[RC ② Q[RC ③ QC[PC ④ R[PC 곧, ①, ②, ③, ④는 참이다. ⑤ QC;R이므로 ~q 1! r는 참이라 할 수 없다.

06

p 1! q, q 1! p가 참인지, 거짓인지 확인한다. ㄱ. ab>0이면 a, b 모두 양수이거나 음수이다. 그런데 a+b>0이므로 a>0이고 b>0이다. / p jjjk q 역으로 a>0이고 b>0이면 a+b>0이고 ab>0이다.

/ q jjjk p 곧, 필요충분조건이다. ㄴ. a=32, b=4이면 ab=6이므로 3<ab<8이지만 3<b<4가 아니다. / p jjjk q 1<a<2이고 3<b<4이면 3<ab<8이다. / q jjjk p 곧, 필요조건이다.

ㄷ. |a|+|b|=0이면 a=b=0이므로 a#+b#=0이다. / p jjjk q

a=1, b=-1이면 a#+b#=0이지만 |a|+|b|=0이다. / q jjjk p

곧, 충분조건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인 것은 ㄷ이다.

07

‘p이면 q이다.’가 참이고 역도 성립하면 필요충분조건 이다.

④ a=1, b=i이면 a@+b@=0이지만 a=0이고 b=0인 것은 아 니다. 곧, 충분조건이다. 따라서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④이다. note ①, ②, ③, ⑤는 이미 공부한 성질이다. 이것을 필요충분조 건으로 기억하자.

08

AsB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어 본다. ⑴ AsB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A B 오른쪽 그림과 같다. AsB=B이면 A=∅이고, A=∅ 이면 A-B=∅ A-B=∅이면 A[B이므로 AsB=B 따라서 AsB=B는 A-B=∅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⑵ AsB=∅이면 A-B=∅, B-A=∅

곧, A[B, B[A이므로 A=B이다.

역으로 A=B이면 AsB={A-B}6{B-A}=∅6∅=∅ 이다. 따라서 AsB=∅은 A=B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09

f{x}=x@+x-a로 놓고 그래프를 생각한다. 조건 p에서 {x+3}{x-1}<0이므로 P=9x|-3<x<10 조건 q에서 x@+x-a=0의 두 근을 a, b {a<b}라 하면 Q=9x|a<x<b0 x O y a b -a -3 1 y=f{x} f{x}=x@+x-a라 하면 ⑴ P[Q이므로 a<-3, b>1이다.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f{-3}<0, f{1}<0 f{-3}=9-3-a<0이므로 a>6 yy ① f{1}=1+1-a<0이므로 a>2 yy ② 따라서 ①, ②의 공통부분은 a>6 ⑵ Q[P이므로 a>-3, b<1이다. x O y a b -a -3 1 y=f{x}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f{-3}>0, f{1}>0 f{-3}= 9-3-a>0이므로 a<6 yy ①

(22)

f{1}=1+1-a>0이므로 a<2 yy ②

①, ②의 공통부분은 a<2이고 a>0이므로 0<a<2

note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a이므로 음수이다.

10

기호 jjjk 를 사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정리한다.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 jjjk q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r jjjk ~p, p jjjk r (대우) ~p는 ~s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 jjjk ~s, s jjjk p (대우) s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에서 s hjjj r이다. 곧, p jjjk r, r jjjk s, s jjjk p이므로 p q r jjjjk s jjjjk jjjjk jjjjk p hjjk r hjjk s r hjjk s이므로 r는 s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고, s hjjk p jjjk q이므로 s는 q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따라서 ㈎, ㈏에 알맞은 말은 ㈎ 필요충분, ㈏ 충분이다.

4

제곱하여 뺀다. ⑴ {j6+2}@-{j7+j3}@ ={6+4j6+4}-{7+2j21k+3} =4j6-2j21k=2{j24k-j21k}>0 / j6+2>j7+j3 ⑵ {ja+bl}@-{ja+jb}@ =a+b-{a+2jabk+b} =-2jabk<0 / ja+bl<ja+jb

5

a>0, b>0일 때, a+b>2jabk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을 이용한다. ⑴ x+4 x>2qx\ 4 x e / x+ 4 x> 4 등호는 x=4 x 에서 x@=4일 때 성립하고 x>0이므로 등호는 x=2 일 때 성립한다. ⑵ x y+ y x>2q x y\ y x e / x y+ y x> 2 등호는 x y= y x 에서 x@=y@일 때 성립하고 x>0, y>0이므로 등호는 x=y 일 때 성립한다.

6

a@-ab+b@ =a@-ab+14b@+34b@=[a- 12b]@+ 34b@>0 등호는 a-12b=0, b@=0, 곧 a=b=0일 때 성립한다.

1

① x>12 일 때 성립 ③ x=0일 때 성립 ④ {x-2}@>0이므로 x=2일 때 성립 ⑤ {x+1}@+1>0이므로 항상 성립 따라서 절대부등식은 ②, ⑤이다.

2

⑴ x@+3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4a<0 / a>94 ⑵ a=0일 때, 4x>0이므로 절대부등식이 아니다. 곧, a>0이고 ax@+4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2@-a@<0, {a+2}{a-2}>0 / a<-2 또는 a>2 a>0이므로 a>2

3

2#)3@)={2#}!) {3@}!)=[ 2#3@ ]!) 2# 3@<1이므로 2#) 3@)=[ 2#3@]!)<1 / 2#)<3@) 64쪽 개념 확인

04

절대부등식

65쪽 예제

8

⑴ 2{ax+by}-{a+b}{x+y} =2{ax+by}-{ax+ay+bx+by} =ax+by-ay-bx=a{x-y}+b{y-x} ={x-y}{a-b}

a>b, x>y이므로 2{ax+by}-{a+b}{x+y}>0 / 2{ax+by}>{a+b}{x+y} ⑵ ! a+b<0일 때, 12{a@+b@}3>0이므로 12{a@+b@}3>a+b @ a+b>0일 때, 912{a@+b@}30@-{a+b}@ =2{a@+b@}-{a@+2ab+b@}=a@-2ab+b@ ={a-b}@>0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 @에서 12{a@+b@}3>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⑶ |a+b|@-{|a|+|b|}@ ={a+b}@-{|a|@+2|a||b|+|b|@} ={a@+2ab+b@}-{a@+2|ab|+b@} =2{ab-|ab|}<0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 / |a+b|<|a|+|b|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

(23)

66쪽 예제

9

⑴ [ a b+d ][c ba+dc ] =1+adbc+adbc+1 >2+2r adbc\ad ybc=4 등호는 ad bc=adbc, 곧 ad=bc일 때 성립한다. ⑵ [a+ 4b ][b+9a ] =ab+9+4+ab36 >13+2rab\ 36 ab y =13+2\6=25 등호는 ab=36 ab일 때, 곧 ab=6일 때 성립한다. ⑶ b+ca +c+ab +a+bc =a +b a +c b +c ab +ac +bc =[b a+ a b ]+[ c a+ a c ]+[ c b+ b c ] >2rba\ab y+2rac\ac y+2rcb\bc y =2+2+2=6 등호는 각각 ba=ab , c a= a c, c b= b c일 때 성립하므로 a@=b@=c@, 곧 a=b=c일 때 등식이 동시에 성립한다. 67쪽 예제

10

⑴ y 2x+2yx>2q y2x\2y ex=2\q 14 w=1 등호가 성립하려면 y 2x=2yx, y@=x@ x>0, y>0이므로 x=y 이때 최솟값은 1이다. ⑵ 4x+ 1 x-1 =4{x-1}+ 1 x-1+4 >2r4{x-1}\ 1x-1 y+4 =2j4+4=8 등호가 성립하려면 4{x-1}= 1 x-1, {x-1}@= 1 4 x>1이므로 x-1=1 2, x=32 이때 최솟값은 8이다.

⑶ x@+4y@>21x@\4y@3에서 4>4xy / xy<1 등호가 성립하려면 x@=4y@

x>0, y>0이므로 x=2y

x@+4y@=4에 대입하면 4y@+4y@=4, y@=1 2 / y= j2 2, x=j2 이때 최댓값은 1이다. 유제

8-1

{x@+y@+1}-{xy+x+y} =x@+y@+1-xy-x-y =129{x-y}@+{x-1}@+{y-1}@0>0 / x@+y@+1>xy+x+y (단, 등호는 x=y=1일 때 성립) 유제

8-2

⑴ 912{a+b}30@-{ja+jb}@ =2{a+b}-{a+2jabk+b} =a-2jabk+b ={ja-jb}@>0 / 12{a+b}3>ja+j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⑵ {ja-bk}@-{ja-jb}@ =a-b-{a-2jabk+b} =2jabk-2b =2jb{ja-jb}>0 {? a>b} / ja-bl>ja-jb (단, 등호는 b=0일 때 성립) 유제

8-3

|a-b|@-||a|-|b||@ ={a-b}@-{|a|-|b|}@ ={a-b}@-{|a|@-2|a||b|+|b|@} ={a@-2ab+b@}-{a@-2|ab|+b@} =2 {|ab|-ab}>0 / |a-b|>||a|-|b||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 유제

9-1

⑴ {a+b}[ 1 a+ 1 b ] =1+ a b+ b a+1 >2+2r ab\ b a t=4 등호는 a b= b a, 곧 a=b일 때 성립한다. ⑵ [a 2+ 3 b ][ b 3+ 2 a ] =ab6+1+1+ab6 >2+2r ab 6 \ab y6 =2+2=4 등호는 ab 6= 6 ab일 때, 곧 ab=6일 때 성립한다. ⑶ ab+ba>2r a b\ b a y=2 b c+ c b>2r b c\ c b y=2 c a+ a c>2r c a\ a c y=2 / [ab+ba ][bc+cb ][ca+ac ]>2\2\2=8 등호는 각각 a b= b a, b c= c b, c a= a c일 때 성립하므로 a@=b@=c@, 곧 a=b=c일 때 등식이 동시에 성립한다.

(24)

⑷ 2x+3y>2j2x\3yl에서 6>2j6xyl / {j2xk+j3yk}@ =2x+2j6xyl+3y =6+2j6xyl <6+6=12 등호가 성립하려면 2x=3y 2x+3y=6에 대입하면 x=3 2, y=1 이때 최댓값은 j12k=2j3이다. 유제

10-1

⑴ 2a+8 a >2r2a\ 8a y =2j16k=8 등호가 성립하려면 2a=a8, a@=4 a>0이므로 a=2 이때 최솟값은 8이다. ⑵ {a+2b}[ 2 a+1b ] =2+ab+4ba+2 >4+2r ab\4ba y =4+2j4=8 등호가 성립하려면 a b= 4b a, a@=4b@ a>0, b>0이므로 a=2b 이때 최솟값은 8이다. 유제

10-2

2x+1+x+22 =2{x+2}+x+22 -3 >2r2{x+2}\ 2 x+2 y-3 =2j4-3=1 등호가 성립하려면 2{x+2}=x+2 , 2 {x+2}@=1 x>-2이므로 x+2=1, x=-1 이때 최솟값은 1이다. 유제

10-3

⑴ x+2y>2jx\2yl에서 4>2j2xyl, 2>j2xyl 양변을 제곱하면 2@>2xy / xy<2 등호가 성립하려면 x=2y x+2y=4에 대입하면 x=2, y=1 이때 최댓값은 2이다. ⑵ {jxk+j2yk}@ =x+2j2xyl+2y =4+2j2xyl <4+4=8 따라서 최댓값은 j8=2j2이다.

0

1

0

2

k<-2 3

0

3

⑴ 12 ⑵ 19

0

4

0

5

㈎:2jabk, ㈏:ja-jb, ㈐:a=b

0

6

0

7

11

0

8

0

9

풀이 참조

10

80 68~69쪽 연습 문제

0

1

a>b, c>d에서 a-b>0, c-d>0이므로 ㄱ. {a+c}-{b+d}={a-b}+{c-d}>0 / a+c>b+d (참) ㄴ. {a-d}-{b-c}={a-b}+{c-d}>0 / a-d>b-c (참)

ㄷ. a=-1, b=-2이면 a>b이지만 a@<b@ (거짓) ㄹ. a>b, b>c에서 a-b>0, b-c>0이므로 {a-b}+{b-c}>0, a-c>0 / a>c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이다. note ㄱ의 결과에서 c와 d를 이항하면 ㄴ의 결과이다.

0

2

k=0일 때, 2x<0이므로 x<0일 때만 성립한다. 곧, k=0일 때, k<0이고 kx@+{k+2}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어야 한다. D={k+2}@-4k@<0에서 3k@-4k-4>0, {3k+2}{k-2}>0 / k<-23 또는 k>2 이때 k<0이므로 k<-2 3

0

3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⑴ x+3y>2jx\3yl=2j36k=12 등호는 x=3y일 때 성립한다. xy=12에 대입하면 x=6, y=2 이때 최솟값은 12이다. ⑵ 3x+4y-5>2j3x\4yl-5=2112@2-5=19 등호는 3x=4y일 때 성립한다. xy=12에 대입하면 x=4, y=3 이때 최솟값은 19이다.

0

4

ㄱ. x, y가 양수이므로 x+y>2jxyk, 2>2jxyk / xy<1 (단, 등호는 x=y=1일 때 성립) (참) ㄴ. x@+y@={x+y}@-2xy=4-2xy

ㄱ에서 xy<1이므로 -2xy>-2, 4-2xy>2 / x@+y@>2 (단, 등호는 x=y=1일 때 성립) (참) ㄷ. xy<1이고 xy>0이므로 1

(25)

⑴ {a+b+c}[1 a+ 1 b+ 1 c ] =1+ ab+a c+ b a+1+ b c+ c a+ c b+1 =3+[ ab+b a ]+[ bc+ c b ]+[ ac+ c a ] >3+2r ab\ba y+2r bc\cb y+2r ac\a yc =9 등호는 a b= b a이고 b c= c b이고 a c= c a, 곧 a=b=c일 때 성 립한다. ⑵ b+c=x라 하면 {a+x}[ 1 a+ 1 x ] =1+ a x+ x a+1 >2+2r a x\ xa y =2+2=4 등호는 a x= x a, 곧 a=x에서 a=b+c일 때 성립한다.

10

A의 겉넓이는 A, B를 합친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같다. A의 부피는 47, B의 부피는 1이고 (A의 부피)+(B의 부피)=3xy 이므로 47+1=3xy, xy=16 / (A의 겉넓이) =2{3x+3y+xy} =6{x+y}+2xy =6{x+y}+32 >12jxyk+32 =12\4+32 =80 (단, 등호는 x=y=4일 때 성립) 따라서 A의 겉넓이의 최솟값은 80이다. / 1x+1 y>2r 1xy t>2 (단, 등호는 x=y=1일 때 성립)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0

5

jabk- 2aba+b = jabk{a+b}-2ab a+b =jabk{a+b- 2jabk }

a+b =jabk{ ja-jb }@

a+b >0

따라서 jabk>a+b 이고 등호는 j2ab a-jb=0, 곧 a=b 일 때 성립 한다.

/ ㈎:2jabk, ㈏:ja-jb, ㈐:a=b

0

6

두 식을 빼서 부호를 조사한다. ! A-B ={ab+cd}-{ac+bd}

={ab-ac}+{cd-bd} =a{b-c}-d{b-c} ={a-d}{b-c}

a-d<0, b-c<0이므로 A-B>0 / A>B @ B-C ={ac+bd}-{ad+bc} ={ac-ad}+{bd-bc} =a{c-d}-b{c-d} ={a-b}{c-d} a-b<0, c-d<0이므로 B-C>0 / B>C !, @에서 A>B>C 따라서 대소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⑤이다.

0

7

A>0, B>0일 때, AB>1 hjjk A>B 5#) n@)=[ 5#n@]!)>1에서 5#n@>1, 125>n@ n은 자연수이므로 최댓값은 11이다.

0

8

{x-1}@=x@-2x+1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변형한다. x@-2x+ 1 {x-1}@ ={x-1}@-1+ 1 {x-1}@ ={x-1}@+ 1 {x-1}@-1 x=1이므로 {x-1}@>0 {x-1}@+ 1 {x-1}@-1 >2r{x-1}@\ 1 {x-1}@y-1 =2-1=1 등호는 {x-1}@= 1 {x-1}@일 때, 곧 {x-1}@=1에서 x=0 또는 x=2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이다.

0

9

전개한 다음 곱이 간단히 되는 두 식을 묶는다.

1-1

⑴ PAZ=2x, PBZ=2y라 하자. 반원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이 A B P M 1 x x y y 2 므로 CP=90! 곧, sAPB에서 4x@+4y@=4, x@+y@=1 sAPN에서 ANZ @=4x@+y@ sBPM에서 BMZ @=4y@+x@ / ANZ @+BMZ @=5x@+5y@=5{x@+y@}=5\1=5 ⑵ ANZ @+BMZ @ >27ANZ @\BMZ @9=2{ANZ\BMZ} 등호는 ANZ @=BMZ @, 곧 ANZ=BMZ일 때 성립한다. 5>2{ANZ\BMZ}이므로 ANZ\BMZ< 52 따라서 ANZ\BMZ의 최댓값은 5 2이다. 70쪽

참조

관련 문서

–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은 대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하며, 메시지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이를 위한 확장

하지만 함수가 불릴 때마다 생성되었다 사 라지는 local 변수와는 달리 static 변수는 함수를 부르 지 않더라도 그 값이 보존된다... ◦ digitalWrite(pin, value) 디지털 핀에 대하여 HIGH 또는

- 단기적인 인력부족상황만을 고려하여 외국인력 도입규모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인력구조변화 고용상황 실업률 유휴인력 , ( , ), 산업구조의 변화에

가장 마지막에 호출된 함수가 가장 먼저 실행을 완료하고 복귀하는 후입 선출 구조이므로, 후입선출 구조의 스택을 이용하여 수행순서 관리 함수 호출이 발생하면

순행은 학습자가 현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지식(또 는 개념망)의 영향을 받는 가운데 학습이 이루어짐을 의미하고, 능동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 의 지식을

어떤 별에서 스펙트럼 선이 관측되지 않았다고 해서 그 원소가 그 천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다 별 대기에서의 온도와 압력이.

기업의 사명을 자주 바꾸어서는 곤란하지만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노력을 기울일

평면도형에서 닮은 도형의 성질로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일정함을 알고, 닮은 도형에서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를 닮음비라 함을 알게 한다.. 또한, 닮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