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ntubation Time Required for Tracheal Intubation with Low Dose Rocuronium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ropin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ntubation Time Required for Tracheal Intubation with Low Dose Rocuronium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ropine"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의학 석사학위 논문

소아환자에서 저용량의 rocuronium을

이용한 적절한 기관내삽관 시기의

결정 및 이에 대한 atropine의 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의학전공

박 윤 정

(2)

소아환자에서 저용량의 rocuronium을

이용한 적절한 기관내삽관 시기의

결정 및 이에 대한 atropine의 효과

지도교수 김 종 엽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2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의학전공

박 윤 정

(3)

박윤정의 의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김 종 엽 인

심 사 위 원 김 진 수 인

심 사 위 원 민 상 기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2년 12월 14일

(4)

i

- 국문요약 -

소아환자에서 저용량의 rocuronium 을 이용한 적절한

기관내삽관 시기의 결정 및 이에 대한 atropine 의 효과

Purpose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propofol과 alfentanil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마취유도 시 저용량의 rocuronium을 투여하였을 때의 성공적인 기관내삽관에 필요한 삽관시간(TimeEI)를 결정하고, atropine의 투여가 이(TimeEI)를 단축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s 3-10세의 소아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임의순서배정을 통해 생리식염수를 투여하는 대조군과 atropine(10 μg/kg)을 투여하는 아트로핀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alfentanil(10 μg/kg), propofol(2.5 mg/kg), rocuronium(0.3 mg/kg)으로 마취유도를 시행하였다. 각 환자에서의 TimeEI은 up-and-down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50%와 95%의 환자에서 성공적인 기관내삽관을 할 때 필요한 시간을 각각 TimeEI50과 TimeEI95로 정의하였다. Results TimeEI50 ± SD는 대조군과 아트로핀군에서 각각 160 ± 26.2 초, 150

± 13.7 초였다. 등위회귀(isotonic regression)를 이용한 TimeEI95는 대조군과

아트로핀군에서 199 초(95% CI: 198.8-200.7 초), 171 초(95% CI: 171.3-172.1 초)로, 대조군의 TimeEI95가 아트로핀군보다 높았다(P<0.001). 심박수는

아트로핀군에서 더욱 높았다(P<0.001).

Conclusions 본 연구에서 propofol과 alfentanil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마취유도

시 저용량의 rocuronium(0.3 mg/kg)을 투여했을 때의 TimeEI95은 199 초였다.

그리고 마취유도 전 atropine(10 μg/kg) 투여를 통해 TimeEI95를 28 초 감소시킬

(5)

ii

(6)

iii

차례

국문요약 ································································i 차례 ···································································· iii 그림 차례 ····························································· iv 표 차례 ·····························································v I. 서론 ······························································1 II. 대상 및 방법 ······················································2 A. 연구대상 ···················································2 B. 방법 ································································2 C. 통계 ········································································4 III. 결과 ·······························································6 IV. 고찰 ·····················································11 V. 결론 ·······································14 참고문헌 ·········································15 ABSTRACT ·································17

(7)

iv

그림 차례

Fig. 1. Consecutive induction time and response to intubation of each patient in the control group and atropine group ······································································8 Fig. 2. Changes of mean arterial pressure (MAP) (mmHg) and heart rate (HR) (beats/min) during anesthesia induction ···········································································10

(8)

v

표 차례

Table 1. Assessment of intubating conditions ······················································4

Table 2. Patient characteristics and induction episodes ···········································6

(9)

- 1 -

I. 서론

Rocuronium 은 소아환자 마취유도 시 기관내삽관 과정에서 흔히 투여되는 근이완제이다. 일반적인 기관내삽관 용량(0.6-1.0 mg/kg)을 통해 빠른 근 이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Stoddart 등, 1998), 짧은 수술 시에는 근 이완의 자연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Debaene B, 2003). Sugammadex 가 근 이완의 정도와 상관없이 이를 효과적으로 길항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Meretoja OA, 2010), 비용 효과 면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투여하기는 어렵다(Fuchs-Buder T, 2012). 따라서, 짧은 수술에서는 더 적은 용량의 근이완제가 선호될 수 있다. 다만 저용량 투여 시에는 작용발현시간이 단축되는 반면, 근 이완 효과의 발현이 지연될 수 있다(Nava-Ocampo, 2006). 이전 연구에서, 성인환자에서 혈역학적 변화가 rocuronium 의 작용발현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었다(Tan, 2002; Szmuk, 2000). Rocuronium 의 작용발현시간은 심박출량과 반비례관계에 있다(Ezri, 2003). 소아환자에서는 일회박출량(stroke volume)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심박수(heart rate)가 심박출량(cardiac output)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Stafford, 1996). 또한, atropine 이 마취된 소아환자에서 심박출량을 증가시켰다는 연구가 있었다(McAuliffe, 1997). 현재까지 저용량의 rocuronium 을 투여했을 경우의 성공적인 기관내삽관을 할 때 필요한 삽관시간(TimeEI)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propofol 과 alfentanil 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마취유도 시 저용량의 rocuronium 을 투여하였을 때에 성공적인 기관내삽관을 할 때 필요한 삽관시간(TimeEI)을 결정하고, atropine 의 투여가 이(TimeEI)를 단축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아환자에서 atropine 을 투여함으로써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심박출량을 통해 TimeEI 를 단축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10)

- 2 -

II. 대상 및 방법

A. 연구대상

본 연구는, 아주대학교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얻고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의 부모에게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informed consent)를 구한 후,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분류체계 I(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System Class I)에 해당하는 3-10 세의 소아환자 중, 편도절제술과 고막절개술이 예정되어 있는 46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외기준으로는, 연구에 사용하는 약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반응성 기도질환 및 천식이 있는 경우, 신경근질환이 있는 경우, 기관내삽관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수술실에 도착하여 우는 소아로 하였다. 컴퓨터로 생성한 임의의 번호를 배정받은 대상환자들을, 봉인봉투기법을 통해 임의로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마취유도 전에 생리식염수를 투여 받은 대조군(control group, n=23)과 atropine을 투여 받은 아트로핀군(atropine group, n=23)으로 분류하였다. 독립된 연구자가 주사기(5 ml)에 생리식염수로 희석된 atropine 10 μg/kg, 또는 같은 용량의 생리식염수를 준비하였다. B. 방법 전처치는 시행하지 않았다.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 환자의 손등에 24-gauge 캐뉼라를 삽입하고 수액의 중력에 따른 흐름을 통하여, 캐뉼라의 혈관 내 삽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술실에 도착한 후, 심전도, 맥박산소계측기, 비침습적혈압장치와 같은 미국마취과학회(ASA)의 표준환자감시를 시작하였다. 전산소화(preoxygenation) 후, 각 군에 따라 실험약물을 투여하였다. 그리고 모든 환자에게, propofol 투여에 따른 통증과 통증으로 인한 손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alfentanil(10 μg/kg)을 20 초에 걸쳐 정주하였다. 이어서 60 초 후에는, propofol(2.5 mg/kg)을 20 초에 걸쳐서 정주하였다.

(11)

- 3 - 눈썹반사(eyelash reflex)가 소실되면, 100% 산소로 보조환기를 하면서, rocuronium(0.3 mg/kg)을 정주하였다. Rocuronium 정주 직후, 마취유지를 위해 propofol을 지속점적(6 mg/kg/h)하기 시작하였다. 각 환자에서 TimeEI은 사전에 up-and-down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고(Dixon, 1991), 두 군에서 모두 120 초로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간 간격을 log scale(0.08)을 적용하여 69, 83, 99, 120, 144, 173, 208 초로 정하였는데, 성공적인 삽관 시에는 다음 환자의 TimeEI을 한 단계 감소시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증가시켰다. 기관내삽관을 시행한 마취과 의사에게는 투여한 약물을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삽관의 성공 여부는 Viby-Mogensen scoring(Table 1)으로 평가하였고(Viby-Mogensen, 1996), 모든 변수가 “아주좋음(excellent)”일 때를 “성공적인 삽관(Successful intubation)”으로 정의하였다. 만약, 환자의 강한 움직임(strong movement of patients)이나 불충분한 턱의 이완(inadequate jaw relaxation), 닫힌 성대 (closed vocal cords), 지속적인 기침(sustained coughing)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수라도 “나쁨(poor)”일 때에는, rocuronium(0.3 mg/kg)을 추가로 투여하였다. 그리고, 50%와 95%의 환자에서 성공적인 삽관이 가능했던 TimeEI을, 각각

TimeEI50과 TimeEI95로 정의하였다.

심박수와 평균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같은 혈역학적 변수는, 시간대별로 다음과 같이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마취유도 전(baseline value)은 T0, alfentanil 주입 후는 T1, propofol 정주 후는 T2, 후두경 시행 직전은 T3, 삽관 1 분 후는 T4로 하였다.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저혈압과 서맥은, 심박수와 평균동맥압에서 각각 30% 이상 감소하였을 때로 정의하였고,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atropine 또는 ephedrine을 투여하여 교정하기로 하였다.

(12)

- 4 - Table 1 Assessment of intubating conditions

Intubating conditions; Excellent: all criteria are excellent, Good: all criteria are either excellent or good, Poor: the presence of a single criterion listed under “poor”.

C. 통계

통계적 검정을 위해, SPSS 13.0 for Windows(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였다. TimeEI50은 각 환자에서 6번의 교차점 후 중간시점의 평균시간을

계산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backup analysis 목적으로, isoton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TimeEI95를 계산하였다(using R 2.12.2). 보정반응확률(adjusted response

probability)은 PAVA(the pooled adjacent-violators algorithm)로 계산하였고,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은 bootstrapping sampling으로 추정하였다(Pace, 2007). 두 군 간의 TimeEI95를 비교하기 위해 two sample Z-procedure를

사용하였다. 통계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 중앙값, 또는 환자수(%)로 표현하였으며, 모든 측정값과 계산값의 정규분포를 검정하기 위하여 Kolmogorov-Smirnov tests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각 환자의 특성 및 마취유도 시 발생한 부작용을 비교하였다. 두 군의 혈역학적 변화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measures ANOVA)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Variables

Intubating conditions

Acceptable unacceptable Excellent Good Poor Ease of laryngoscopy

(jaw relaxation) Easy Fair Difficult Vocal cord position Abducted Intermediate Closed Vocal cord movement None Moving Closing Airway reaction (coughing) None Diaphragm Sustained (>10 s) Movement of the limbs None Slight Vigorous

(13)

- 5 -

각각의 시점에서 두 군의 심박수와 평균동맥압을 대조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14)

- 6 -

III. 결과

본 연구를 완료한 환자는 44명이었다. 두 군에서 각 1명을 통계분석에서 제외하였는데, 마취유도 과정에서 propofol과 rocuronium 주입 시 발생한 통증으로 인한 심한 움직임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측정시점를 충족하지 못한 것이 그 이유였다. 두 군에서, 환자의 특성과 마취유도 시 발생한 부작용은 차이가 없었다(Table 2). 성공적인 삽관(모든 변수에서 “아주좋음”)은, 대조군에서 10/22(45%), 아트로핀군에서 11/22(50%)이었고, 나쁜 삽관조건(poor)은 대조군에서 3/22, 아트로핀군에서 2/22이었다. 나쁜 삽관 환경 중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두 군에서 모두, 지속적인 기침(sustained coughing)과 환자의 강한 움직임(strong movement of the patients)이었다.

Table 2 Patient characteristics and induction episodes

Values indicate the mean ± SD or median [interquartile range] or a number of pati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noted.

Control (n = 22) Atropine (n = 22) Sex (M/F) 13/9 10/12 Age (years) 7 [6-9] 7 [5.5-8] Weight (kg) 28.5 ± 8.5 25.6 ± 9.0 Induction episodes (n) Cough 1 (5.2%) 2 (9.5%) Injection pain of propofol 9 (40.9%) 8 (36.4%) Rocuronium withdrawal 8 (36.4%) 7 (31.8%)

(15)

- 7 -

Figure 1은 두 군에서 기관내삽관의 성공 여부에 따른 TimeEI의 변화양상을

보여준다. Dixon의 up-and-down 방법을 이용한 TimeEI50은 대조군과

아트로핀군에서 각각 160 ± 26.2 초, 150 ± 13.7 초였다. PAVA response rate를 통하여 isoton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구한 TimeEI50은, 대조군과

아트로핀군에서 각각 175초(95% CI: 173.0-177.8 s), 146초(95% CI: 143.8-148.1 s)였다. TimeEI95는, 대조군과 아트로핀군에서 각각 199 초(95% CI:

198.8-200.7 s), 171 초(95% CI: 171.3-172.1 s)였다. 대조군의 TimeEI50과

(16)

- 8 -

Fig. 1 Consecutive induction time and response to intubation of each patient in the

control group (top) and atropine group (bottom). The intubation time at which tracheal intubation conditions were excellent in 50% of children (TimeEI50) was 160 ± 26.2 s and

150 ± 13.7 s in the control and atropine groups, respectively.

Figure 2는 마취유도 시 심박수와 평균동맥압을 보여준다. 측정한 모든 시점에서 평균동맥압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심박수는 마취유도 전(baseline value, T0)을 제외한 모든 측정시점에서, 아트로핀군에서

(17)

- 9 - 높게 나타났다(all, P<0.001). 심박수는, 대조군에서 T0와 비교하여 T2 와 T3 시점에서 감소하였지만, 아트로핀군에서는 alfentanil 주입 후(T1)부터 삽관 1 분 후(T4)까지 증가하였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빈맥성 혹은 서맥성 부정맥, 저혈압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산소포화도 저하나 체간경직, 후두경련을 보인 경우도 발생하지 않았다.

(18)

- 10 -

Fig. 2 Changes of mean arterial pressure (MAP) and heart rate (HR) during anesthesia

induction. Error bar indicates standard deviation (SD). T0, baseline value; T1, after alfentanil administration; T2, after the bolus dose of propofol; T3, just before laryngoscopy; T4, 1 min after intubation. *P < 0.05, compared with the atropine group, P

< 0.05, compared with the baseline value (T0) within the

(19)

- 11 -

IV. 고찰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아환자에서 propofol과 alfentanil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마취유도 시 저용량의 rocuronium(0.3 mg/kg)을 투여하였을 때의 TimeEI50을 결정할 수 있었다. 둘째,

atropine(10 μg/kg) 투여가 rocuronium 투여 시의 TimeEI95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두 군에서 TimeEI95의 95% 신뢰구간은 서로 중복되지 않았다. 이전 연구결과를 보면, Eikermann 등(Eikermann, 2001)은, 소아환자에서 얕은 sevoflurane 마취 시 고용량의 rocuronium(0.5-1.0 mg/kg)이 기관내삽관 조건을 호전시키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소아의 짧은 수술 시 이와 같은 고용량의 근이완제 사용이 근 이완의 자연회복을 지연시키므로 적합하지 않다고 하였다(Eikermann, 2001). 한편 Oztekin 등(Oztekin, 2004)은, propofol-remifentanil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마취유도 시, rocuronium 투여 후 90초 후에 적절한(“acceptable”) 기관내삽관 조건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rocuronium의 용량으로 0.3 mg/kg를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용량을 선택하였다. 또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propofol과 alfentanil을 이용한 마취 유도 시 rocuronium 0.3 mg/kg 투여 2 분 후에 많은 비율에서 적절한 기관내삽관 조건이 갖추어졌음을 보고하기도 하였다(Barclay, 1997). 건강한 소아환자에서 halothane으로 마취유도 시 rocuronium(0.3 mg/kg)의 작용발현시간은 87.3 초(범위: 30-150 초)라는 보고가 있다(Driessen, 2002).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TimeEI50이 두 군에서 모두 2분 이상이었다. 이와 같이 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Driessen 등(Driessen, 2002)이 halothane을 이용한 마취 시에 정맥마취에 비해, 신경근접합부 차단이 증가하고 근이완제의 작용발현시간이 단축된다고 보고한 것을 들 수 있다. Bartolek 등(Bartolek, 2010)은, 소아환자에서 흡입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rocuronium 0.45 mg/kg의 작용발현시간이 3.1 분이라고

(20)

- 12 -

보고하였다. 둘째, 성공적인 기관내삽관의 정의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초기 연구에서는 “아주좋은(excellent)”과 “좋은(good)” 조건 모두를 “적절한(acceptable)” 기관내삽관으로 간주하였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아주좋은” 조건일 경우만 성공적인 삽관으로 정의하는 추세이다(Eikermann, 2001; Eikermann, 2002). Mencke 등(Mencke, 2003)은 “아주좋은” 조건일 경우에 수술 후 애성(hoarseness) 및 성대합병증이 더 적게 발생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전 조건을 적용한다면 본 연구에서의 TimeEI은 더욱 짧아질 수 있을

것이다.

약물의 효력(potency), 투여량(injected dosage), 혈역학적 요인(circulation factors)과 같이, 신경근접합부에 도달하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의해, 근이완제의 작용발현시간이 영향을 받는다는 보고가 있다(Donati, 1988). 한편, Propofol 지속점적투여를 시행하는 성인환자에서 atropine(10 μg/kg)을 투여한 후 심박출량이 의미있게 증가했다고 보고된 바 있다(Takizawa, 2006). 본 연구에서는, 마취유도하는 동안 심박출량을 직접 측정하지는 않았으나, 심박수는 아트로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항상 높게 나타났다. 소아환자에서는 심박수가 심박출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Stafford, 1996)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atropine은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으므로, atropine은 정맥마취제와 마찬가지로, rocuronium의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Oztekin, 2004; Eikermann, 2002)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근이완제의 용량 대신, 시간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소아환자에서는, 마취유도 시 보조환기시간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propofol을 이용한 소아환자 마취유도에서 저용량의 rocuronium(0.3 mg/kg)을 이용하여 TimeEI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TimeEI95의 경우, 두 군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길었다. 비록 atropine 투여를 통해 TimeEI95를 199 초에서 171 초로 감소시켰으나, 그 폭은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기관내삽관 시 rocuronium을 0.3 mg/kg으로 투여할 경우에는 atropine 대신, 고용량의 propofol과 아편양제제의 조합이나, 고농도의

(21)

- 13 - sevoflurane을 이용한 흡입 마취제로써 마취유도를 하는 것이 기관내삽관 조건을 호전시키는 데에 더욱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편양제제 중, alfentanil은 작용발현시간이 1 분, 작용시간이 20-30분이므로, 짧은 수술에서 투여하기에 이상적이다. Remifentanil 역시 작용발현시간이 빠르고 작용시간은 더욱 빠르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일시투여(bolus dose)가 가능한 alfentanil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의 제한점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심박출량을 측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Atropine의 혈역학적 영향은 투여량 외에, 마취유도제의 종류에 의해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아환자에서 atropine의 이상적인 용량과, 신경근접합부 차단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른 제한점으로는, propofol 또는 rocuronium 투여 시 발생하는 빈번한 통증에 따른 움직임(withdrawal movement)으로 인해 신경근 기능을 평가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이런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서 propofol 투여 전 alfentanil 10 μg/kg을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이 40%에서 발생하였다. 신경근 기능을 직접 감시하지 못했기 때문에, rocuronium의 작용발현에 미치는 atropine의 효과를 입증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신경근접합부 차단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데 가장 흔히 이용하는 무지내전근(the adductor pollicis muscle)이 완전히 마비되어도, 이 점이 기관내삽관 시기의 지표로는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었다(Viby-Mogensen, 1996).

(22)

- 14 -

V. 결론

Propofol과 alfentanil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마취유도 시 저용량의 rocuronium(0.3 mg/kg)을 투여하였을 때에 95%의 환자에서 성공적인 삽관이 가능했던 TimeEI(TimeEI95)는 199 초였다. 또한 마취유도 전에 atropine(10

μg/kg)을 투여함으로써 이(TimeEI95)를 28초만큼 단축시켰다. 그렇지만,

소아환자에서 atropine의 투여와 rocuronium의 작용발현시간의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3)

- 15 -

참고문헌

1. Barclay K, Eggers K, Asai T. Low-dose rocuronium improves conditions for tracheal intubation after induction of anaesthesia with propofol and alfentanil. Br J Anaesth. 1997; 78: 92-4.

2. Bartolek D, Jakobović J, Bartolek F, Finci D, Munjiza A. Reduced-dose rocuronium for day-case tonsillectomy in children where volatile anaesthetics are not used: operating room time saving. Paediatr Anaesth. 2010; 20: 47-55.

3. Debaene B, Plaud B, Dilly MP, Donati F. Residual paralysis in the PACU after a single intubating dose of nondepolarizing muscle relaxant with an intermediate duration of action. Anesthesiology. 2003; 98: 1042-8.

4. Dixon WJ. Staircase bioassay: the up-and-down method. Neurosci Biobehav Rev. 1991; 15: 47-50.

5. Donati F. Onset of action of relaxants. Can J Anaesth. 1988; 35: S52-8.

6. Driessen JJ, Robertson EN, Van Egmond J, Booij LH. Time-course of action of rocuronium 0.3 mg.kg-1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endstage renal failure. Paediatr Anaesth. 2002; 12: 507-10.

7. Eikermann M, Hunkemöller I, Peine L, Armbruster W, Stegen B, Hüsing J, Peters J. Optimal rocuronium dose for intubation during inhalation induction with sevoflurane in children. Br J Anaesth. 2002; 89: 277-81.

8. Eikermann M, Renzing-Köhler K, Peters J. Probability of acceptable intubation conditions with low dose rocuronium during light sevoflurane anaesthesia in children. Acta Anaesthesiol Scand. 2001; 45: 1036-41.

9. Ezri T, Szmuk P, Warters RD, Gebhard RE, Pivalizza EG, Katz J. Changes in onset time of rocuronium in patients pretreated with ephedrine and esmolol--the role of cardiac output. Acta Anaesthesiol Scand. 2003; 47: 1067-72.

10. Fuchs-Buder T, Meistelman C, Schreiber JU. Is sugammadex economically viable for routine use. Curr Opin Anaesthesiol. 2012; 25: 217-20.

11. McAuliffe G, Bissonnette B, Cavallé-Garrido T, Boutin C. Heart rate and cardiac output after atropine in anaesthetised infants and children. Can J Anaesth. 1997; 44: 154-9.

(24)

- 16 -

12. Mencke T, Echternach M, Kleinschmidt S, Lux P, Barth V, Plinkert PK, Fuchs-Buder T. Laryngeal morbidity and quality of tracheal intub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esthesiology. 2003; 98: 1049-56.

13. Meretoja OA. Neuromuscular block and current treatment strategies for its reversal in children. Paediatr Anaesth. 2010; 20: 591-604.

14. Nava-Ocampo AA, Velázquez-Armenta Y, Moyao-García D, Salmerón J. Meta-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time to onset of action between rocuronium and vecuronium. Clin Exp Pharmacol Physiol. 2006; 33: 125-30.

15. Oztekin S, Hepaguşlar H, Kilercik H, Kar AA, Boyaci F, Elar Z. Low doses of rocuronium during remifentanil-propofol-based anesthesia in children: comparison of intubating conditions. Paediatr Anaesth. 2004; 14: 36-41.

16. Pace NL, Stylianou MP. Advances in and limitations of up-and-down methodology: a précis of clinical use, study design, and dose estimation in anesthesia research. Anesthesiology. 2007; 107: 144-52.

17. Stafford MA. Cardiovascular physiology. In: Motoyama EK, Davis PJ, eds. Smith’s anesthesia for infants and children, 6th ed. St. Louis: C V Mosby Co. 1996; 76-8. 18. Stoddart PA, Mather SJ. Onset of neuromuscular blockade and intubating conditions

one minute after the administration of rocuronium in children. Paediatr Anaesth. 1998; 8: 37-40.

19. Szmuk P, Ezri T, Chelly JE, Katz J. The onset time of rocuronium is slowed by esmolol and accelerated by ephedrine. Anesth Analg. 2000; 90: 1217-9.

20. Takizawa E, Takizawa D, Al-Jahdari WS, Miyazaki M, Nakamura K, Yamamoto K, Horiuchi R, Hiraoka H. Influence of atropine on the dose requirements of propofol in humans. Drug Metab Pharmacokinet. 2006; 21: 384-8.

21. Tan CH, Onisong MK, Chiu WK. The influence of induction technique on intubating conditions 1 min after rocuronium administration: a comparison of a propofol-ephedrine combination and propofol. Anaesthesia. 2002; 57: 223-6.

22. Viby-Mogensen J, Engbaek J, Eriksson LI, Gramstad L, Jensen E, Jensen FS, Koscielniak-Nielsen Z, Skovgaard LT, Ostergaard D. Good clinical research practice (GCRP) in pharmacodynamic studies of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Acta Anaesthesiol Scand. 1996; 40: 59-74.

(25)

- 17 -

- ABSTRACT -

Intubation Time Required for Tracheal Intubation with Low

Dose Rocuronium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ropine

Yoon Jeong Park

Department of Medial Science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ong Yeop Ki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tubation time needed to

facilitate tracheal intubation (TimeEI) with a low dose of rocuronium (0.3 mg/kg) during

propofol indu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is time was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atropine.

Methods Forty-six children, aged 3-10 ye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saline (control group) or atropine 10 μg/kg (atropine group). Anesthesia was induced with alfentanil 10 μg/kg, propofol 2.5 mg/kg, and rocuronium 0.3 mg/kg. Each TimeEI at

which tracheal intubation was attempted wa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up-and-down method. TimeEI that provided excellent intubation conditions in 50% and 95% of

(26)

- 18 -

patients was defined as TimeEI50 and TimeEI95, respectively.

Results TimeEI50 ± SD was 160 ± 26.2 s and 150 ± 13.7 s in the control and atropine

groups, respectively. Using isotonic regression, TimeEI95 in the control and atropine

groups was 199 s (95% CI: 198.8-200.7 s) and 171 s (95% CI: 171.3-172.1 s), respectively. TimeEI95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atropine

group (P < 0.001). H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ropin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tudy period.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imeEI95 of a low dose of rocuronium

(0.3 mg/kg) required for excellent tracheal intubation was 199 s during i.v. anesthesia induction using propofol and alfentanil in children. And, i.v. atropine (10 μg/kg) before anesthesia induction was able to reduce TimeEI95 by 28 s.

(27)
(28)

수치

Table 2 Patient characteristics and induction episodes
Fig.  1  Consecutive  induction  time  and  response  to  intubation  of  each  patient  in  the
Fig. 2  Changes  of  mean  arterial pressure (MAP)  and  heart rate (HR)  during  anesthesia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gt;MN d#  d#t f fT ;u FFFFFFFFFFFFFFFF .  &gt;MN d#  d#t f fT ;u B*A

Conclusion: The mean CGRP level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ith headache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ithout headache. There

Figure 15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values for the MB-CNTFs after (a) chemical functionalization of the CNT surface with 4-iodoaniline under acidic

In addition, if the patients had a high MPV level (cut-off value of 7.95 fL) without low-dose aspirin therapy, they were at risk for ischemic stroke, especially in

OABSS, overactive bladder symptom score; PSS, perceived stress scal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PSS, CES-D associations with OABSS

With analysis that it will be a chance for children with autism who have difficulty of using languages and usually can't make any relationship with people

This result also correspond with the one studying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such as 'study o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y of single par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go-resili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and students with low experi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