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Copied!
1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9 9 - 7

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연구책임자 : 주 인 중

자 : 오 영 훈

한 국직 업 능력 개 발 원

(2)
(3)

머 리 말

1960년대 이후부터 지난 30여년동안 우리나라는 고성장- 저실업 상태를 지속해 왔으나, 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 대량실업사태를 경험한바 있고, 앞 으로도 선진국형 고실업률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동안 직업훈련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업인력 양성의 역할을 충실히 하여 왔다. 특히, 대량실업사태를 맞이하여 정부는 실업대책의 일환으로써 양산된 실업자의 재취업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교육훈련 기관들이 정부위탁하에 실업자 재취업을 위한 직업훈련을 실시하여 양적으 로 큰 실적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직업훈련기관이 개설한 훈련과정은 각 기관이 가지고 있는 여건 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거나 기존의 훈련기관들이 개설한 훈련과정을 그 대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어 다양한 특성을 가진 실직 자의 재취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 성화 방안은 각 훈련기관이 갖고 있는 성격 및 특성에 따라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실업자 훈련과정의 개설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훈련기관별로 역할을 분담하여 실업자 훈련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 여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문에 협조하여 주신 직업훈련 담당자 및 전문가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연구 과제를 성실히 수행한 연구진과 연구 추진에 있어 적극 협조한 본원 이상준 연구원의 그간의 노고를 치하하는

(4)

바이다. 끝으로, 이 연구가 정부관계자 및 실업자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 업훈련기관 관계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무엇보다도 실업자들 의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999년 11월

한 국직 업 능력 개 발 원

원장

(5)

【 연 구 요 약 】

1 . 연구의 개요 1997년 말 경제위기에 따라, 우리 사회는 고실업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 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실업자 재취업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교육훈 련기관들이 훈련 대상자의 요구와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훈련과정을 개설하여 직업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각 교육훈련기관들이 개설한 훈련과정은 각 기관이 가지고 있는 여건을 활용하지 못하거나, 기존의 훈련기관들이 개설한 훈련과정을 그대 로 운영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어 다양한 특성을 가진 실직자의 재취업 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많은 훈련실시기관들이 훈련비용과 훈련생의 양적 확대에 우선하기 때문으로 결과적으로 실업대책으로서의 직업훈련이 큰 실효를 거 두지 못하고 있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각 훈련기관의 성격 및 특성에 따라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실 업자 훈련과정 개설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실업자 훈련과정을 보 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재취직훈련과정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 를 마련하여, 각 훈련기관 유형별로 특성화 훈련과정을 제시함에 있다. 이 연구는 관련문헌 및 자료의 분석, 면담조사, 전문가 및 관계자 협의회 를 통하여 이루어 졌다. 훈련실시여건을 분석하기 위해서 훈련기관별로 기존에 개설한 교육훈련과 정, 시설 및 장비, 교원 및 강사의 훈련방법을 파악하였다. 이것은 1998년 실업자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802개 훈련기관의 훈련생 42,824명을 대

(6)

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17개 훈련분야에서의 훈 련기관 유형별로 훈련내용, 교원 및 강사, 시설 및 장비 운영 실태를 분석하 고, 또한, 훈련생의 특성으로서 훈련생의 학력, 전직업, 희망하는 훈련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적은 모집률, 수료율, 취업률을 대 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중앙고용정보관리소의 고용보험전산 기초자료를 SA S를 사용하여 각 훈련분야에서의 훈련기관별 훈련실적을 분 석하였다. 면담조사는 노동부 지방사무소 서울 경인지역과 강원지역의 고용안정센터 6개소의 업무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실업자 재취직 훈련기관 및 훈련과 정 승인실태, 그리고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였다. 전문가 및 관계자 협의회는 실업자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를 위한 준거 설정을 위하여 직업훈련 전문가 및 훈련실무 담당자, 노동부 담 당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내 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실시하 였다. 또한, 훈련분야별로 특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17개 훈 련분야의 직업훈련 담당자 20명으로 구성한 전문가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2 .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 구안을 위하여 직업교육훈 련 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요소 중에서 실업자 훈련과정이 어느 기관에서 실 시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준거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의 평가요소들 중에서 실업자 훈련기관 유형별 특성화 훈련과정 설정 준거로 사용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이고 타당한 근거자료 가 있어야 하고, 둘째, 직업훈련 관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준거항목 을 단순하여야 하며, 셋째, 특히 실업자 직업훈련을 위한 훈련기관 및 훈련 과정 운영 특성에 맞아야 한다.

(7)

설정 준거의 틀은 준거차원, 준거영역, 준거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준거 차 원은 훈련과정 특성화 설정 준거임을 감안하여 훈련과정 평가준거를 중심으 로 하여 투입, 과정, 산출의 3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준거영역은 모집실적, 훈련실시여건, 수료실적, 취업실적으로 구분하였고, 준거항목은 입학인원, 모 집률, 훈련내용, 훈련방법, 훈련시설 및 장비, 교원 및 강사, 수료율, 취업률 로 구분하였다. 준거항목별 설정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차원의 모집실적은 입학인 원과 모집율로 구분하였다. 동일 훈련과정에서 입학인원 수는 시설・장비 등의 훈련실시를 위한 제반여건을 말해 주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훈련생 모집율은 일반적으로 훈련직종의 수요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모집인원을 전제로 할 때 훈련기관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둘째, 과정차원은 크게 훈련실시여건과 수료실적으로 구성하였다. 훈련실 시 여건은 다시 훈련내용, 훈련방법, 훈련시설 및 장비, 교원 및 강사 등에 대한 만족도로 구분하였다. 훈련내용은 산업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내용 을 반영한 훈련내용을 구성하여 훈련생의 기본 능력과 성취수준을 고려하여 훈련을 잘 진행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고, 훈련방법 만족도는 교사가 훈 련내용을 구조화하여 선수 학습과 연관지어 각종 기자재를 활용하여 수업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이다. 또한, 훈련시설 및 장 비 만족도는 설치된 시설・장비 및 기자재 등이 갖추어져 있고 이러한 시 설・장비가 훈련에 얼마만큼 실질적으로 활용되었는가를 말해 주는 척도이 고, 교원 및 강사 만족도는 실제 훈련에 있어서는 산업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갖추고 훈련생의 특성과 수행능력을 고려하여 수업이 운영되고 있는가를 알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과정 차원의 수료실적은 훈련과 관련된 운영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항목으로서, 적절한 훈련생 출결관리는 물론 훈련생 중도 탈락으로 인한 국가 예산의 낭비정도를 가늠 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셋째, 직업훈련의 궁극적인 목표가 취업임을 감안할 때 산출차원에서의 취업율은 가장 중요한 항목이 된다. 각 훈련기관에서 산업체가 요구하는 훈

(8)

련내용을 구성하여 현장 적응력 있는 훈련을 실시하였다면 취업의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또한 그 동안의 각 훈련기관과 산업체와의 유기적인 연계정 도를 알 수 있는 척도이기 때문이다. 준거 점수는 전체 100점을 만점으로 하였으며, 준거차원별로 투입과 산출 차원을 각 30점을 부여하였고, 과정차원은 직업교육훈련에서 가장 핵심적이 기 때문에 투입과 산출차원에 비해 높은 40점을 부여하였다. 즉 투입30, 과 정40, 산출30으로 하여, 세부항목별 점수를 설정하였다. 3 . 연구의 결과 첫째, 실업자 직업훈련의 실시여건 및 실적을 종합하여 볼 때, 우수한 훈 련분야는 농림・어업・광업분야의 음식료품 가공 및 광업, 화학제품 및 요 업분야의 위험물 및 가스취급, 정보・통신분야의 시스템, 기타 정보・통신, 공예분야의 기타공예로 나타나고 있다. 훈련실시 여건 및 실적이 취약한 분 야는 섬유분야의 의복제조, 전자분야의 기기・설비・제어, 공예분야의 자수 와 도장, 사무관리분야의 사무지원 소분야의 훈련과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자 재취직훈련에서 각 훈련기관에서 훈련계획을 승인 받고 훈 련과정을 개설하지 못하였거나 훈련실적이 매우 저조한 훈련분야는 농림・ 어업・광업분야의 임업과 어업, 섬유분야의 제화와 섬유기계,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의 요업과 화학기계, 건설분야의 국토개발, 전기분야의 조립・제조 와 동력생산, 운송장비제조분야의 자동차, 조선 및 항공, 산업응용분야의 광 학, 의료분야의 치료 소분야의 훈련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훈련기관 유형별로 훈련과정을 특성화할 수 있는 훈련 소분야를 보 면, 공공훈련기관은 섬유가공, 위험물 및 가스취급, 금속가공, 기계가공・조 립, 건축, 전기기계・설비・제어, 전자기기・설비・제어, 귀금속・금속공예, 도장 등의 9개 소분야 훈련과정이다. 인정훈련기관은 광업, 기계 정비・설비, 용접・판금・배관 등의 3개 소분 야이며, 사업내훈련기관은 전자 가공・조립・수리 소분야이다. 또한 대학・전문대학에서 훈련과정을 특성화 할 수 있는 소분야는 농림,

(9)

토목, 데이터베이스, 인쇄・출판, 디자인개발, 금융, 증권・보험, 의료보조, 환 경관리 등의 9개 소분야이다. 교육훈련기관은 음식료품 가공, 운전, 정보통신 시스템, 프로그래밍, 관 광・숙박 서비스, 사무지원, 재무・경영, 인사노무, 생산사무, 판매사무, 무역, 안전관리 등의 12개 소분야이다. 마지막으로 학원에서 훈련과정을 특성화 할 수 있는 훈련분야는 의복제 조, 봉제, 기타 금속, 기계설계・제도, 기계 정비・설비, 통신설비・운용, 음 식서비스 등의 7개 소분야의 훈련과정이다. 이상에서 훈련분야별로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을 특성화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하였다. 각 노동부 지방사무소에서는 이 자료를 활용하여 훈련과 정 인정・지정시 각 훈련기관이 적절한 훈련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게 함으 로써 실업자 직업훈련을 보다 내실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0)

연구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제한점 4

II. 실업자 직업훈련 실태 및 문제점

7 1.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1998년 까지의 교육훈련과정 7 2. 실업자 직업훈련 실태 17 3.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특성 22 4. 실업자 직업훈련 실시상의 문제점 31

III.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분야별 실업자 직업훈련

과정의 실적분석

35 1.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 35 2.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분야별 실업자 직업훈련과정의 실적분석 41 가. 농림・어업・광업분야 41 나. 섬유분야 42 다. 화학제품 및 요업 분야 45

(11)

라. 금속분야 46 마. 기계・장비분야 48 바. 건설분야 51 사. 전기분야 53 아. 전자분야 55 자. 정보・통신분야 58 차. 운송장비제조분야 60 카. 산업응용분야 61 타. 공예분야 63 파. 서비스분야 66 하. 사무관리분야 68 거. 금융・보험분야 71 너. 의료분야 73 더. 환경분야 74

IV .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

77 1. 농림・어업・광업분야 77 2 섬유분야 78 3.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79 4. 금속분야 79 5. 기계・장비분야 80 6. 건설분야 82 7. 전기분야 82 8. 전자분야 83 9. 정보・통신분야 84 10. 운송장비제조분야 85

(12)

11. 산업응용분야 85 12. 공예분야 86 13. 서비스분야 87 14. 사무관리분야 88 15. 금융・보험분야 90 16. 의료분야 90 17. 환경분야 91

Ⅴ . 결론

93

참고 문헌

95

A b s t r ac t

99

부록

105 1. 전문가 회의 참석자 명단 106 2.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기관 및 과정 현황 107 3.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훈련과정 108 4. 훈련분야별 훈련생 학력 및 전직업 116 5.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인원 현황 127 6. 실업자 재취직훈련 모집인원 현황 129 7. 실업자 재취직 훈련생 모집율 현황 131 8. 실업자 재취직훈련 수료 현황 133 9. 실업자 재취직훈련 취업 현황 135 10.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여건 점수 137 11.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직종 139 12. 실업자 직업훈련 권장 훈련과정 140

(13)

< 표 Ⅱ- 1> 공공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9 < 표 Ⅱ- 2> 인정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10 < 표 Ⅱ- 3> 사업내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11 < 표 Ⅱ- 4> 1998년도 직업훈련 현황 12 < 표 Ⅱ- 5> 전문대학 학과 현황 13 < 표 Ⅱ- 6> 지정 교육훈련기관 현황 14 < 표 Ⅱ- 7> 1998년도 학원 현황 15 < 표 Ⅱ- 8> 기술계 학원의 교육훈련과정 15 < 표 Ⅱ- 9> 1998년도 훈련기관별 교육훈련과정 16 < 표 Ⅱ- 10> 1998년도 실업대책 직업훈련 유형별 실시현황 17 < 표 Ⅱ- 11> 1998년도 실업대책 직업훈련의 훈련기관별 훈련현황 18 < 표 Ⅱ- 12> 학력별 구성 및 훈련직종 선호도 18 < 표 Ⅱ- 13> 훈련분야별 훈련직종 현황 19 < 표 Ⅱ- 14>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 현황 20 < 표 Ⅱ- 15>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기관 및 과정 현황 21 < 표 Ⅱ- 16> 실업자 재취직훈련 훈련분야별 실시 현황 21 < 표 Ⅱ- 17> 연령별・학력별 훈련생 분포 23 < 표 Ⅱ- 18> 학력에 따른 남녀별 전직업 현황 24 < 표 Ⅱ- 19>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학력 분포 24 < 표 Ⅱ- 20> 훈련분야별 훈련생의 학력 분포 25 < 표 Ⅱ- 21>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전직업 분포 26 < 표 Ⅱ- 22> 훈련분야별 훈련생의 전직업 분포 27 < 표 Ⅱ- 23> 훈련기관별 훈련기간 28 < 표 Ⅱ- 24> 훈련분야별 훈련기간 29 < 표 Ⅱ- 25> 실제 훈련기간과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훈련기간 30

(14)

< 표 Ⅱ- 26> 훈련생의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31 < 표 Ⅲ- 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 36 < 표 Ⅲ- 2>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항목 36 < 표 Ⅲ- 3>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준거 항목 38 < 표 Ⅲ- 4> 훈련과정의 특성화 준거항목 등급별 부여 점수 40 < 표 Ⅲ- 5> 농림・어업・광업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1 < 표 Ⅲ- 6> 농림・어업・광업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2 < 표 Ⅲ- 7> 섬유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3 < 표 Ⅲ- 8> 섬유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4 < 표 Ⅲ- 9>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5 < 표 Ⅲ- 10>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6 < 표 Ⅲ- 11> 금속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7 < 표 Ⅲ- 12> 금속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47 < 표 Ⅲ- 13> 기계・장비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49 < 표 Ⅲ- 14> 기계・장비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0 < 표 Ⅲ- 15> 건설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2 < 표 Ⅲ- 16> 건설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3 < 표 Ⅲ- 17> 전기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4 < 표 Ⅲ- 18> 전기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5 < 표 Ⅲ- 19> 전자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6 < 표 Ⅲ- 20> 전자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57 < 표 Ⅲ- 21> 정보・통신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58 < 표 Ⅲ- 22> 정보・통신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0 < 표 Ⅲ- 23> 운송장비제조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1 < 표 Ⅲ- 24> 산업응용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2 < 표 Ⅲ- 25> 산업응용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3 < 표 Ⅲ- 26> 공예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4 < 표 Ⅲ- 27> 공예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5

(15)

< 표 Ⅲ- 28> 서비스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6 < 표 Ⅲ- 29> 서비스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68 < 표 Ⅲ- 30> 사무관리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69 < 표 Ⅲ- 31> 사무관리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1 < 표 Ⅲ- 32> 금융・보험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72 < 표 Ⅲ- 33> 금융・보험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2 < 표 Ⅲ- 34> 의료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73 < 표 Ⅲ- 35> 의료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4 < 표 Ⅲ- 36> 환경분야 훈련기관별 만족도 비교 74 < 표 Ⅲ- 37> 환경분야 실업자 직업훈련 실적 75 < 표 Ⅳ- 1> 농림・어업・광업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77 < 표 Ⅳ- 2> 섬유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78 < 표 Ⅳ- 3>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79 < 표 Ⅳ- 4> 금속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0 < 표 Ⅳ- 5> 기계・장비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1 < 표 Ⅳ- 6> 건설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2 < 표 Ⅳ- 7> 전기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3 < 표 Ⅳ- 8> 전자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3 < 표 Ⅳ- 9> 정보・통신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4 < 표 Ⅳ- 10> 산업응용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6 < 표 Ⅳ- 11> 공예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6 < 표 Ⅳ- 12> 서비스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8 < 표 Ⅳ- 13> 사무관리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89 < 표 Ⅳ- 14> 금융・보험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90 < 표 Ⅳ- 15> 의료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90 < 표 Ⅳ- 16> 환경분야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점수 91

(16)

Ⅰ .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 연구의 필요성

경제위기에 따른 IM F 금융지원 이후, 우리 사회는 과거 어느 때 보다도 실업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1999년 10월 현재 실업 률은 1998년도와 비교해 볼 때 다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높은 실업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고실업률은 선진국에처럼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고용창출 및 실업자 재취업을 위한 훈련사업 등의 종 합대책을 수립하여, 실업자의 직업능력의 개발과 직업전환을 위해 법과 제 도로 직업훈련 실시기관을 지정하고 실업자 재취직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실업자들이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업자에 대한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기관은 과거 직업훈련기본법 을 중심으로 볼 때 현재 공공직업훈련기관, 인정직업훈련기관, 사업내직업 훈련기관, 교육훈련기관, 학원, 대학・전문대학 등이 있다. 이 기관들은 자 신들의 여건과 배우려고 하는 훈련 대상자의 요구에 적합한 직업훈련과정 을 개설하여 교육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고있다. 1998년 한 해 동안 실업자 직업훈련은 1,207개 기관에서 4,598개 훈련과 정을 개설하여 363,000명이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직업훈련 실시기관이 개 설한 훈련과정은 각 훈련기관이 가지고 있는 여건을 활용하지 못하거나 기 존의 훈련기관들이 개설한 훈련과정을 그대로 운영하는 등의 문제점을 나 타내어 다양한 특성을 가진 실직자의 재취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한 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업대책 직업훈련으로 개설한 훈련직종들은 서비스, 사무관리, 정

(17)

보・통신분야 등의 일부 인기직종의 훈련분야에만 집중되고 있다. 노동부 내부자료에 의하면 전국에서 실업자 훈련을 받고 있는 17개 분야 훈련생 153,4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조리, 미용, 호텔종사자 등 서비스분야, 컴퓨터 등 정보・통신분야와 사무자동화, 워드프로세서 등의 사 무관리분야가 전체의 62%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와 반대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건설분야, 운송장비제조 등 이른바 3D업종의 훈련실적은 저조하게 나 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훈련직종의 편중현상은 인기 직종에 대한 인력과잉 을 유발하고 필요한 인력의 공급부족 현상을 겪고있는 3D직종은 여전히 인 력이 모자라는 인력수급의 불균형 현상을 상존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많은 훈련실시기관들이 각 기관의 특성이나 훈련 대상자 의 요구를 고려하기 보다, 훈련비용과 훈련생의 양적 확대에 우선하기 때 문으로 결과적으로 실업대책으로서의 직업훈련이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의 방안은 여러 가지로 고려될 수 있겠으나 무엇 보다도 각 교육훈련기관이 가지고 있는 성격 및 특성에 따라 전문성을 살 릴 수 있는 실업자 훈련과정 개설에 관한 명확한 기준의 제시와 함께 이에 근거한 훈련과정을 승인함으로써 실업자 훈련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나 .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재취직훈련과정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 석하고, 둘째,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훈련과정의 특성화 설정 준거를 구안하여, 셋째, 각 훈련기관 유형별로 특성화 훈련과정을 제시한다.

(18)

2 . 연구의 방법

가 . 관련 문헌 및 자료의 분석

1 )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 실시여건 분석 훈련실시여건을 분석하기 위해서 훈련기관별로 기존에 개설한 교육훈련과 정, 시설 및 장비, 교원 및 강사의 훈련방법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서 노 동부 지방사무소에 각 훈련기관에서 제출한「실업자 직업훈련 계획서」와 「훈련과정 승인자료」및「훈련실시결과 보고」자료를 검토하여 훈련실시 기관별 실업자 훈련과정과 시설 및 장비, 교원 및 강사의 현황을 조사하였 다. 그러나 각 훈련기관이 제출한 자료에는 수료 및 취업률 등의 훈련실적 에는 차이가 있으나 훈련실시여건은 승인기준에 맞게 기본여건이 제시되어 있어, 각 기관별 실시여건 차이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1998년 실업자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802개 훈련기관의 훈련생 42,824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김병숙 외, 1998)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17개 훈련분야에서의 훈련기관 유형별로 훈련내용, 교원 및 강사, 시설 및 장비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또한 훈련생의 특성으로서 훈련생의 훈련에 대 한 태도, 학력, 전직업, 희망하는 훈련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원 자료의 분석은 SP S SW IN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 으며, 훈련실시여건의 만족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검증을 위하여 t검증과 A N OVA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 훈련기관 유형별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적 분석 실업자 재취직훈련의 실적은 모집율, 수료율, 취업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 다. 이 분석을 위하여 중앙고용정보관리소의 고용보험전산 기초자료를 SA S 를 사용하여 각 훈련분야에서의 훈련기관별 훈련실적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1998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 기간동안에 훈련과정을 개설 하여 종료된 과정의 훈련에 참여한 훈련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취업실적

(19)

은 각 훈련과정이 종료되고 3개월이 되는 시점에서의 취업상황을 파악하였 다.

나 . 면담조사

노동부 지방사무소 서울 경인지역과 강원지역의 고용안정센터 6개소의 업 무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실업자 재취직 훈련기관 및 훈련과정 승인실 태, 그리고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파악하였다.

다 . 전문가 및 관계자 협의회

실업자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를 위한 준거 설정을 위하여 직업훈련 전문가 및 훈련실무 담당자, 노동부 담당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내 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또한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과정의 특성화 방안에 대한 훈련분야별로 의견 을 수렴하기 위하여 전문가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워크숍은 17개 훈련분야 의 직업훈련 담당자 20명이 참석하였다(참석자 명단은 부록 1 참조). 전문가 워크숍에서는 해당 훈련분야에서의 훈련기관별 훈련과정 특성화 방안을 검토하였고, 또 훈련과정 특성화 준거를 해당 훈련분야에 적용할 때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대책, 그리고 훈련기관 유형별 권장 훈련과정에 대 하여 협의하였다.

3 . 연구의 제한점

실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훈련은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업자 취업훈 련 등 여러 가지 훈련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업자 재취직

(20)

훈련기관을 대상으로 훈련실시여건에 대한 훈련생의 만족도와 훈련실적을 분석하였다. 훈련실적의 지표인 모집률, 수료율, 취업률의 분석은 고용보험 미대상자에 대한 신뢰할 만한 자료가 미비하여 고용보험적용 대상자의 자 료를 가지고 그 실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업자 재취직훈련에서 개설된 6,700개 정도의 훈련과정을 모두 분석하기에는 자료의 방대함과 연구기간 의 한계로 인하여 훈련과정 특성별로 76개 훈련분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 행하였다.

(21)
(22)

Ⅱ . 실업자 직업훈련 실태 및 문제점

1.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1998년 까지의 교육훈련과정

가 . 실업자 직업훈련기관 유형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은 직업전문학교・직업훈련원과 사업주, 사업주 단 체가 설치한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 및 전문대학, 그리고 노동부 장관의 지정을 받아 개인 등이 운영하는 시설과 남녀고용평 등법에 의한 여성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하여 설치된 시설로 분류된다. 이 연구는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이 시행됨에 따라 법적인 근거는 없으나, 지금까지 국가에서 훈련기관 유형별로 육성하게된 취지에 따라 훈련기관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자 한다. 공공훈련기관, 인정훈련기관, 사업내훈련기관은 구 직업훈련기본법에 의하 여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공공단체가 설치・운영하는 시설(공공훈련기관), 개인 또는 단체가 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하는 기관(인정훈련기관), 사업주가 단독 또는 다른 사업주와 공동으로 설립하는 기관(사업내훈련기관)을 말한다. 대학・전문대학은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로 대학 및 전문대학이며, 지정 교육훈련기관은 기업교육훈련시설, 기업부설연구소, 일반 비영리 법인과 구 직업훈련기본법에 의한 교육훈련기관이고, 학원은 학원의 설립・운영에 관 한 법률에 의하여 운영되는 기술계 학원에서 3년 이상 교육훈련경력이 있 고, 시설・장비가 훈련기준 이상인 기관이다.

나 .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교육훈련과정

1 ) 공공훈련기관

(23)

공공훈련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 장애인고용촉진공단, 대한상공회의소에 서 운영하는 직업전문학교 및 직업훈련원과 기능대학법에 의한 기능대학이 여기에 속한다. 공공직업훈련기관은 산업별 공통수요 직종, 수출전략 직종, 첨단 및 신수요 직종과 기능사 양성훈련에 중점을 두어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기관은 소년원생 및 수형자 자체능력 배양을 위한 훈련에, 그리고 지방 자치단체는 영농직종과 주민소득 향상 및 농촌필요 직종의 훈련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는데, 다음의 < 표 Ⅱ- 1> 에서와 같이 매우 다양한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직업전문학교는 생산기반기술 직종의 CNC 선반, 머 시닝센터, 생산가공, 전기 및 특수 용접, 전기기기 및 전기공사, 전력전자, 전자기기, 공업 및 건축배관, 공업전자, 전자기기 등의 훈련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능대학은 다기능과정으로 생산기계, 생산자동화, 금형, 산 업설비, 메카트로닉스, 전기, 전자, 정보, 금속기술 등의 과정을 중심으로 운 영되고 있다. 또한, 대한상공회의소 직업훈련원에서는 전산응용 제도, 전산 응용가공, 기계 전자・정비, 시스템제어, 전기계측제어, 정보처리 등의 훈련 직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들 공공훈련기관에 개설된 훈련과정은 기계・장비분야가 37개로 42.5% 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응용 9개, 공예 7개, 그리고 금속, 건설, 전기, 전자 가 각각 5개 이상으로 이들이 전체 훈련과정의 86.2%를 차지하고 있다. 2 ) 인정직업훈련기관 인정직업훈련기관은 훈련실시주체의 성격에 따라 법인과 개인으로 나누어 지며, 1998년 현재 141개소가 있다. 인정직업전문학교에 개설된 훈련분야는 기계・장비분야가 24개 직종, 건설분야가 12개 직종으로 전체 훈련과정의 46.8%를 차지하고 있다. 훈련직종별 개설 기관수를 보면 자동차정비 44개소, 정보처리 40개소, 컴퓨터산업디자인 26개소, 미용 20개소, 지게차운전과 굴 삭기운전이 각각 9개소, 그리고 내선공사 및 외선공사, 한식조리가 각각 6개 소에 개설・운영되고 있었다.

(24)

< 표 Ⅱ- 1> 공공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훈 련분야 훈 련과정 기능대학 법에 의한 기능대 학 한국산 업인력공단직업 전문학교 대한상 공회의소직업 훈련원 섬유 (4) 패션디자인 (2), 섬유생 산기술 (1), 섬유가공기 술 (1), 섬유디자인 (1) - -화학제품 및 요업 (1) - 고압가스냉동기계 (1) -금속 (6) 금속기술 (6) 열처리 (1), 주조 (1), 정밀주 조 (1), 전기도금 (1), 특수도금 (2) -기계・장비 (37) 생산기계기술 (13), 기 계설계기술 (4), 기계정 비기술 (1), 생산자동화 기술 (9), 정밀계측기 술 (2), 금형기술 (8), 자 동차기술 (4), 산업설비 기술 (9), 메카트로닉스 (6) CNC선반 (11), 머시닝센타 (11), 생산가공 (11), NC기계 (4), 선반 (1), 기계조립 (1), 프레스금형 (1), 사출금형 (1), 전산응용기계제도 (1), 전산 응용가공 (1), 공업배관 (4), 건축배관 (8), 보일러 (7), 전 기용접 (9), 특수용접 (11), 제 관 (2), 자동차정비 (8), 농업 기계정비 (5) 전산응용가공 (5), 전산 응용제도 (4), 생산기계 (2), 기계전자 (3), 기계 정비 (3), 시스템제어 (3), 치공구 (2), 열기계 (1), 전산응용기계제도 (1), 중기정비 (1) 건설 (5) 건축기술 (1), 주거인테 리어 (1) 철근콘크리트 (1), 온돌 (1) 전산건축제도 (2) 전기 (6) 전기기술 (15) 전기공사 (13), 전기기기 (7), 전력전자 (10) 전기공사 (2), 전기계측 제어 (4) 전자 (5) 전자기술 (12) 전자기기 (11), 공업전자 (8) 전자기기 (2), 전자계산 기 (1) 정보・통신 (4) 정보기술 (7), 정보통신 설비기술 (3) -정보통신설비 (2), 정보 처리 (4) 운송장비 (1) - 선박기관정비 (1) -산업응용 (9) 산업디자인 (3), 시각디 자인 (1), 인쇄기술 (1) 실내디자인 (6), 사진제판 (1), 스크린인쇄 (1), 옵셋인쇄 (1), 컴퓨터산업디자인 (5) 가구디자인 (1) 공예 (7) 귀금속공예기술 (1) 가구제작 (6), 목공예 (1), 도 자기공예 (1), 귀금속가공 (2), 보석가공 (1), 금속도장 (1) -사무관리 (1) - - 사무자동화 (1) 환경 (1) 환경관리기술 (2) - -계 :87(345) 25 (114) 43(187) 19 (44) 주) 훈련분야의 ( )안은 개설 훈련과정 수이며, 훈련과정의 ( )안은 개설 훈련기관 수임 .

(25)

< 표 Ⅱ- 2> 인정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훈 련분야 과정수 훈련 과정 농림・어업・ 광업 1 화약취급(2) 섬유 2 일반봉제(1), 패션디자인(1) 화학제품 및 요업 1 고압가스(2) 금속 2 비파괴검사(1), 열처리(1) 기계・장비 24 건축배관(4), 공유압(2), 굴삭기운전(9), 금형(1), 기계(1), 기계제도(1), 기계조립(1), 기중기운전(2), 밀링(1), 보일러(1), 선반(2), 양화장치운전(2), 연삭(1), 자동차정비(44), 자동차판금(2), 전기도금(1), 전기용접(2), 전산응용설계(1), 지게차운전(9), 차량정비(1), 컨테이너크레인운전(1), 특수용접(3), 항공기정비(4), 자동차선적훈련(1) 건설 12 건설재료시험(1), 건축내장(2), 건축도장(1), 건축목공(2), 도배(6), 석공(1), 전산응용건축설계(4), 전산응용건축제도(1), 조경(1), 창호제작(1), 철근콘크리트(1), 측량(1) 전기 4 내선공사(6), 외선공사(1), 전기(1), 전기공사(6) 전자 3 전자계산기(3), 전자계산기정비(1), 전자기기(1) 정보・통신 8 선로설비(1), 영상제작(1), 유선방송(1), 이동통신설비(2), 인터넷(3), 정보처리(40), 정보통신(3), 정보통신운용(3) 산업응용 5 그래픽디자인(2), 실내디자인(1), 옵셋인쇄(1), 캐릭터디자인(1), 컴퓨터산업디자인(26) 공예 1 석공예(1) 서비스 8 관광통역(1), 미용(20), 양식조리(1), 이용(1), 제과(2), 제빵(1), 한식(3), 한식조리(1) 사무관리 6 관리자(6), 비서(2), 사무자동화(3), 세무회계정보(1), 워드프로세서(3),텔레마케팅(1) 계 77 77 (278) 주 : 훈련과정에서의 ( )안의 숫자는 개설 기관수임. 자료 : 노동부(1998a). 인정 및 사업내 직업훈련 사업현황. 3 ) 사업내훈련기관 사업내훈련기관은 1998년도 현재 전국에 237개소가 있으며, 훈련분야별로 개설한 훈련직종은 기계・장비분야와 사무관리분야가 각각 42개, 36개 직종 으로 이들이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화학제품 및 요업, 전기, 전자, 정보・통신분야가 43개 직종으로 27.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훈련직종별 개설 훈련기관수를 보면, 사무자동화 34개소, 일반가전 제품수리 20개소, 품질관리 16개소, P C 14개소, 자동차정비 13개소, 방적기 조정 12개소, 생산부문 12개소에 운영되고 있다. 다음으로 계층별교육, 전자 기기조립, 용접, 특수용접, 굴삭기운전, 기계조립, 반도체조립, 생산성향상, 선

(26)

반 등의 직종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Ⅱ- 3> 사업내직업훈련기관 훈련과정 훈련 분야 과정수 훈련 과정 농・어・광업 3 담배제조(1), 채광(3), 라면제조(2) 섬유 5 방사(4), 방적기조정(12), 봉제(2), 제직기조정(1), 직물가공(1) 화학제품 및 요업 11 고압가스1,2급(1), 고압가스냉동기계(1), 공조냉동기계(1), 도자기제조(1), 석유정제(5), 시멘트제조(2), 위험물취급(2), 종이제조(1), 타이어제조(2), 프라스틱제품제조(1), 신발제조(1) 금속 5 금속(1), 금속기계(1), 비파괴검사(1), 압연(1), 축로(1) 기계・장비 42 건축배관(1), 공업배관(3), 공유압(3), 공장자동화(3), 공장합리화(2), 굴삭기운전(7), CAM (1), 기중기운전(1), 불활성가스용접(2), 선반(7), 성형기계정비(1), 수치제어(1), 금형(1), 기계정비(1), 기계제도(1), 열관리(1), 용접(8), 유압응용(1), 이륜자동차정비(1), 자동차정비(13), 자동차판금(1), 전기용접(3), 전동차운전(1), 전동차정비(1), 전산응용가공(1), 전산응용기계제도(2), 중기운전(1), 중기정비(4), 지게차운전(3), 특수용접(8), 판금(2), 포장기운전(1), 프레스가공(1), 항공기정비(3), 공압기초(1), 공압응용(1), 기계실무(1), 기계전문기술(1), 기계조립(7), 다기능복합가공(1), 생산가공(1), 제조기술전문가(1) 건설 7 건설재료시험(6), 건축목공(1), 도배(5), 조적(2), 창호제작(1), 철도궤도(1), 측량(6) 전기 12 PLC응용 (1), 내선공사 (6), 동력배선 (1), 수배전반조립 (1), 엘리베이터설치 (2), 외선공사(3), 자동판매기수리(1), 전기기기(5), 전기안전관리사(1), 전기전자기술(4), 전력전자(1), 축전지제조(1) 전자 11 개인용컴퓨터수리(3), 반도체가공(3), 반도체설계(1), 반도체조립(7), 사무자동화기기수리(4), 인쇄회로기판제작(2), 일반가전제품수리(20), 자기테이프제조(1), 전자기기(3), 전자기기조립(9), 콘덴서조립(1) 정보・통신 9 교환설비(2), 네트워크(1), 데이터통신기술(1), 선로시설입문(1), 시스템엔지니어링(1), 유선전송(1), 통신공사(4), 통신회로(1), CS아카데미(1) 운송장비 8 선박기관의장(1), 선박도장(3), 선체가공(1), 선체의장(1), 선체조립(1),자동차부품제조(1), 자동차조립(1), 항공기기체조립(2) 산업응용 2 CAD (1), 컴퓨터산업디자인 (1) 공예 1 금속도장(4) 서비스 4 일식(1), 제과(3), 제빵(1), 한식조리(1) 사무관리 36 기업회계(1), 마케팅(6), 사무자동화(34), 정보처리(5), 회계실무자동(1), C&C기술판매 (1), PC (14), 감독자 (2), 경영관리 (1), 경영일반 (1), 계층별교육 (9), 고충처리개발기법(1), 관리자과정(3), 기술교육(1), 기술판매(1), 기초기능실습(1), 능력개발(5), 물자수배송관리(1), 생산관리(2), 생산부문(12), 생산성향상(7), 설비관리(6), 신설비요원(1), 신임마케터육성(1), 신제품개발(1), 영업사원능력개발(2), 원가관리(1), 인사관리(1), 인사조직(1), 직무기초(1), 직무향상(1), 판매촉진전략(3), 품질관리(16), 한마음연수(1), 현장실무(2), 조업요원정비(1) 계 156 (441) 주 : ( )안은 훈련과정을 개설한 기관수 임. 자료 : 노동부(1998a). 인정 및 사업내 직업훈련 사업현황.

(27)

이상에서 공공・인정 및 사업내훈련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훈련과정을 알아보았는데, 훈련양성 인원은 < 표 Ⅱ- 4> 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업내훈련 원이 318,000명으로 전체 양성인원의 64.7%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공 공훈련기관이 129,000명으로 26.1% , 인정훈련기관이 45,000명으로 9.2%를 차 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표 Ⅱ- 4> 1998년도 직업훈련 현황 (단위 : 개소, 명, % ) 구분 기관 수 훈련생 (계획 ) 주요 훈련 직종 공 공 훈 련 기 관 소계 95 (18.9) 128,886 (26.1) -정부기관 37 (7.4) 4,054 (0.8) ・수형자의 직업능력 배양을 위한 직종 지방 자치단체 (1.8)9 2,780 (0.6) ・수요가 많은 직종 (용접, 자동차정비 등) ・농가수입증대 및 농촌필요직종(편물, 봉제, 전기 등) 한국산업 인력공단 (8.0)40 111,660 (22.5) ・각 산업별 공통수요 직종으로 사업내 직업훈련으로 양성 이 어려운 직종(선반, 밀링, 용접, 전기 기기・공사, 전력 전자, 전자기기, 공업전자, 자동차정비, 배관 등) ・다기능기술자(생산기계, 생산자동화, 금형, 산업설비, 메카 트로닉스, 전기, 전자, 정보기술 등) ・2년과정(전산응용 제도・가공, 기계 전자・정비, 시스템제 어, 전기계측제어) 대한상공 회의소 8 (1.6) 10,182(2.1) 장애인고용 촉진공단 1(0.2) (0.1)210 사업내 훈련기관 (47.1)237 318,945 (64.7) ・자체 수요직종의 단능공 및 준다능공(방적, 사무자동화, 가전제품수리, 자동차정비, 전자기기조립, 굴삭기운전, 금 속도장, 반도체조립, 용접 등) 인정훈련기관 171 (34.0) 45,334 (9.2) ・공공 사업내 직업훈련에서 양성하기 곤란한 직종 (자동차정비, 정보처리, 산업디자인, 굴삭기운전, 내선공사, 도배 등) 전체 503 (100.0) 493,165 (100.0) -주 :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서울시 운영 기능대학 1개교가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기능 대학법에 의한 기능대학이 포함되어 있고,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미포함. 자료 : 노동부(1998b ). 직업훈련 사업 현황. 4 ) 대학・전문대학 대학에 개설된 학과는 전 분야의 모든 학과가 개설되어 있으며 이는 전문 대학도 마찬가지이다. 전문대학에 개설된 학과수는 인문계 229개, 자연계 1,747개, 의약계 266개, 예・체계 562개가 개설되어 있다 (교육부, 1998 ).

(28)

< 표 Ⅱ- 5> 전문대학 학과 현황 분 야 농림・어업・광업 (30) 관상원예과, 원예과, 원예조경과, 화훼원예과, 녹지조경과, 낙농과, 사료과, 애완동물과, 자원 동물산업과, 축산과, 축산개발과, 양식과, 어업과, 농업경영과, 협동조합경영과, 농업기술과, 동물과학과, 식량자원과, 자원개발과, 농공기술과, 수산개발과, 임산공업과, 식품과학과, 식품 영양과, 수산가공과, 식품가공과, 식품공업과, 식품제조과, 전통발효식품과, 약용식품과 섬유(12) 섬유과, 염색공업과, 염색제직과, 제지공업과, 의류과, 의류직물과, 의상과, 전통복식과, 전통 의상과, 제화공업과, 패션디자인과, 염직디자인과 화학제품・요업(7) 세라믹공업과, 요업과, 공업화학과, 석유화학공업과, 석유화학과, 향장공업과, 원자력과 금속(6) 금속과, 금속재료과, 신소재금속과, 열처리과, 제철금속과, 표면처리과 기계・장비(18) 금형과, 금형기술과, 금형설계과, 금속금형설계과, 기계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과, 기계재료 과, 동력기계과, 메카트로닉스과, 정밀기계과, 컴퓨터응용설계과, 가스냉동과, 열냉동과, 열냉 동관리과, 용접공업과, 용접기술과, 공장자동화과, 자동화기계과 건설(15) 측지공학과, 지형정보과, 토목과, 토목공학과, 토목설계과, 해양토목과, 항공측량과, 철도시설 토목과, 건설안전과, 건축과, 건축물관리과, 건축설계과, 건축설비과, 건축장식과, 실내건축과 전기(3) 전기과, 전기설비과, 전기통신설비과 전자(14) 전자과, 전자제어과, 제어계측과, 정보전자과, 컴퓨터응용제어과, 컴퓨터제어과, 산업전산과, 전산기 공학과, 전산응용과, 전자계산과, 전자계산기과, 컴퓨터서비스과, 컴퓨터응용과, 컴퓨터과 정보・통신(25) 전산정보처리과, 영상정보처리과, 인터넷정보과, 컴퓨터정보과, 컴퓨터정보기술, 정보검색과, 관광정보처리과, 소프트웨어개발과, 컴퓨터네트워크과, 전자통신과, 전파통신과, 정보통신과, 통신과, 이동통신과, 방송기술과, 방송설비과, 방송통신과, 방송제작기술과, 산업영상과, 멀티 미디어제작과, 멀티미디어과, 영상제작과, 영상편집기술과, 영상촬영조명과, 영상디자인과 운송장비(12) 자동차과, 자동차정비과, 자동차전자과, 자동차시험과, 차량기계과, 철도운전기전과, 철도전기 신호과, 철도차량기계과, 항공기계과, 항공운항과, 조선과, 기관과 산업응용(52) 인쇄과, 인쇄출판과, 전자편집디자인과, 전자출판과, 정보출판과, 출판과, 출판인쇄과, 출판편 집과, 가구디자인, 건축디자인, 공업디자인, 귀금속디자인, 도시환경디자인, 미술과, 보석디자 인과, 산업공예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산업미술과, 산업정보디자인과, 상업디자인과, 섬유디 자인과, 시각디자인과, 시각정보디자인과, 실내디자인과, 실내장식과, 응용미술과, 의상디자인 과, 일러스트레이션과, 장신구디자인과, 전통예술과, 조명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컴 퓨터디자인과, 텍타일디자인과, 포장디자인과, 표면디자인과, 환경디자인과, 광고기획과, 광고 디자인과, 광고창작과, 관광사진예술과, 광고사진과, 사진과, 사진영상과, 전자그래픽과, 전자 편집디자인과, 전자그래픽과, 포장과, 만화영화과, 만화예술과, 에니메이션과, 음향제작과 공예(11) 공예과, 공예디자인, 관광공예과, 귀금속공예과, 도자기공예과, 산업공예과, 전통도예과, 조형 과, 보석가공과, 산업금속공예과, 인테리어공예과 서비스(12) 관광호텔조리과, 식품조리과, 전통조리과, 조리과, 호텔제과제빵과, 호텔조리과, 관광외식산업 과, 외식사업과, 관광레저스포츠과, 미용과, 피부관리과, 피부미용과 사무관리(9) 경영정보시스템과, 공업경영과, 산업공학과, 산업훈련과, 품질경영과, 전산사무자동학과, 식품유통과, 철도경영정보과, 철도운수경영과 의료(18) 보건위생과, 보건정보관리과, 산업위생과, 산업안전위생과, 위생과, 환경위생과, 응급구조과, 치기공과, 치위생과, 재활공학과, 재활학과, 간호과, 건강관리과, 물리치료과, 방사선과, 안경 광학과, 의무행정과, 임상병리과 환경(8) 산업안전과, 산업안전관리과, 환경공업과, 화공환경공업과, 환경조경과, 환경관리과, 환경보호과, 토목환경과 기타(18) 연극과, 연극영화과, 영화과, 국악과, 기악과, 생활음악과, 실용음악과, 음악과, 종교음악과, 문예창작과, 문예편집과, 방송연예과, 컴퓨터창작과, 가정과, 가정관리과, 가정보육과, 생활 과학과, 생활정보과 계 271 자료 : 교육부(1998). 교육통계연보.

(29)

또한 전문대학에 개설된 학과는 전체 271개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데 이를 훈련분야별로 나누어 보면, 산업응용분야가 52개 학과로 가장 많고, 농림・ 어업・광업분야 30개, 정보・통신분야 25개, 기계・장비, 건설, 의료분야가 각각 18개, 섬유분야와 서비스분야가 각각 12개 학과로 개설되어 있다. 5 ) 지정 교육훈련기관 지정 교육훈련기관은 고용보험법에 의한 기업교육훈련시설과 기업부설연 구소 및 일반 비영리법인, 그리고 직업훈련기본법에 의한 교육훈련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체 506개 지정 교육훈련기관에서 12,987개의 교육훈련과 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교육훈련기관의 개설 훈련직종은 경영기획, 재 무회계 , 인사노무 , 생산관리 , 마케팅, 금융 , 컴퓨터・통신분야의 훈련직 종이 주로 개설되어 있다 . < 표 Ⅱ- 6> 지정 교육훈련기관 현황 기관수 과정수 기업교육훈련시설 118 1,486 비영리법인 181 1,782 기업부설연구소 9 80 직업훈련기본법에의한 교육훈련기관 198 9,639 계 506 12,987 6 ) 기술계 학원 1998년도 현재 전국의 학원은 6만여 개로 이 중 기술분야 학원이 6,617개, 경영실무분야의 학원이 14,208개이다. 수강자 및 이수자는 연인원100만여 명 에 달하고 있으며, 기술분야와 경영실무분야의 수강자 및 이수자는 380만 명 이상이다. 학원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술계 학원의 분류를 보면, 기술계 학원은 13개 계열에 72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학원총연합회에서는 6개 계열 70개 과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기술분야의 학원으로 37개 과정 이 있다. 기술계 학원의 분포를 보면, 정보처리 및 OA 와 관련된 컴퓨터과정

(30)

학원이 4,624개로 전체 기술계 학원의 69%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용, 산업디 자인, 정보처리, 조리, 자동차정비, 간호조무사 등의 과정이 많은 수를 차지 하고 있다. 또한 보일러, 열관리, 고압가스냉동, 비파괴검사, CAD/ CAM , 광 고간판, 제과・제빵, 보석, 중장비, 병아리 감별 등의 직종이 개설되어 있다. < 표 Ⅱ- 7> 1998년도 학원 현황 (단위 : 개, 명 ) 학원 수 수강자 수 이수자 수 강사 수 기술분야 6,617 378,348 1,030,777 14,025 문리분야 13,727 1,149,656 4,254,696 53,960 경영실무분야 14,208 701,035 1,691,560 22,014 예능분야 25,670 901,912 1,359,666 40,535 계 60,222 3,130,951 8,336,699 130,534 자료 : 교육부 (1998). 교육통계연보. < 표 Ⅱ- 8> 기술계 학원의 교육훈련과정 분 야 과정수 개설 과정 농림・어업・광업 4 동물 (1), 농업 (임업 원예)(1), 병아리감별 (7) 섬유 3 수예 자수 (88), 패션디자인 (86), 편물 (15) 화학제품 및 요업 3 냉동 (안전 환경 열관리 )(85) 기계・장비 4 기계 (29), 중기운전 (40), 자동차정비 (131), 배관 (6) 건설 2 토목 건축 (43), 도배 (24) 전기 1 전기 (38) 전자 2 시계 (2), 전자기기 (RA・T V・VT R)(29) 정보・통신 4 통신 (46), 컴퓨터 (4,624), 정보처리 (165), 방송 (2) 운송장비제조 1 항공 (25) 산업응용 2 산업디자인 (272), 사진 (비디오촬영)(45) 공예 3 귀금속가공 (보석감정)(19), 광고 도장 (7), 수예자수 (88) 서비스 8 조리 (144), 제과 제빵 (27), 조주 (5), 피아노조율 (22), 이용 (32), 미용 (494), 분장 (6), 세탁 (1) 의료 2 간호조무사 (91), 한약 (1) 기타 기타 (31) 계 39 (6,684) 주 : ( ) 안은 숫자는 과정을 개설한 학원 수 임. 자료 : 서준호 외(1998). 직업교육훈련기관의 경쟁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재구성.

(31)

이상에서 훈련기관별로 1998년 이전에 개설・운영한 교육훈련과정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훈련기관에서는 각 산업별 공통수요가 있는 생산기반기술직종으로 선반, 머시닝센터, 생산가공, 용접, 전기 기기 및 공사, 전력전자, 전자기기, 배관, 공업전자 등의 훈련과정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고, 기능대학과 대한 상공회의소 직업훈련원에서는 생산기계, 생산자동화, 금형, 산업설비, 메카트 로닉스, 전기, 전자, 정보, 금속기술 등의 과정과 전산응용제도, 전산응용가 공, 기계 전자・정비, 시스템제어, 전기계측제어, 정보처리 등을 2년 과정으 로 운영하였다. 사업내훈련기관에서는 자체 수요직종의 단능공 및 준다능공 육성을 위하 여 사무자동화, 일반가전제품수리, 품질관리, P C, 자동차정비, 방적기조정, 계층별교육, 전자기기조립, 용접, 굴삭기운전, 기계조립, 반도체조립, 생산성 향상, 선반 등의 훈련과정을 중심으로 개설되어 있고, 인정훈련기관에서는 자동차정비, 정보처리, 컴퓨터산업디자인, 미용, 지게차운전과 굴삭기운전, 내선공사 및 외선공사, 한식조리과정을 중심으로 운영하였다. < 표 Ⅱ- 9> 1998년도 훈련기관별 교육훈련과정 훈련기관 교육훈련 과정 공공훈련기관 ・산업별 공통수요직종의 1년과정 (선반, 밀링, 용접, 전기기기・공사, 전력전자, 전자기기, 공업전자, 자동차정비, 배관 등) ・다기능기술자과정 (생산기계, 생산자동화, 금형, 산업설비, 메카트로닉 스, 전기, 전자, 정보기술 등 ) ・2년과정(전산응용제도・가공, 기계전자・정비, 시스템제어, 전기계측제어) 사업내훈련기관 방적, 사무자동화, 가전제품수리, 자동차정비, 전자기기조립, 굴삭기운 전, 금속도장, 반도체조립, 용접 등 인정훈련기관 자동차정비, 정보처리, 산업디자인, 굴삭기운전, 내선공사, 도배 교육훈련기관 경영기획, 재무회계, 인사노무, 생산관리, 마케팅, 금융, 컴퓨터・통신 분야, 생산과 생산관리분야의 훈련과정 학원 정보처리 및 OA와 관련된 컴퓨터과정, 미용, 산업디자인, 정보처리, 조리, 자동차정비, 간호조무사, 보일러, 열관리, 고압가스냉동, 비파괴 검사, CAD/ CAM, 광고간판, 제과・제빵, 보석, 중장비 등

(32)

교육훈련기관에서는 경영기획, 재무회계, 인사노무 , 생산관리 , 마케팅 , 금융, 컴퓨터・통신분야의 직종으로 사무관리 및 정보・통신분야의 훈 련과정을 중심으로 개설하였고 , 학원에서는 정보처리 및 OA와 관련된 컴퓨터과정, 미용, 산업디자인, 정보처리, 조리, 자동차정비, 간호조무사, 보일 러, 열관리, 고압가스냉동, 비파괴검사, CA D/ CAM , 광고간판, 제과・제빵과 정을 중심으로 운영하였다.

2 . 실업자 직업훈련 실태

실업대책 직업훈련은 1998. 12월말 현재 363,000명게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 중 실업자 재취업 직업훈련 실시 현황을 보면 고용보험 적용 실직자 170,000명, 고용보험 미적용 실업자가 164,000명이며,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 시인원 73,000명이 수료하였고 수료자중 15,571명이 취업(취업률 21.2% )하 였으며, 자격증은 13,897명(자격 취득률 19.0% )이 취득하였다. 또한 기능사 양성훈련, 정부위탁훈련, 유급휴가훈련 등의 인력개발훈련은 29,400명에 대 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 표 Ⅱ- 10> 1998년도 실업대책 직업훈련 유형별 실시현황 (단위 : 천명 ) 훈련 유형 훈련 계획 계획 승인 훈련 실시 진도 (%) 진도 (%) 0 재취업훈련 289 508 176 334 115 - 고용보험적용 실직자 141 330 234 170 121 - 고용보험미적용 실업자 148 17 120 164 111 0 인력개발훈련 31 21 69 29 94 계 320 529 165 363 113 자료 : 노동부 능력개발심의관실 (1998). 실업대책 직업훈련 실시현황 분석. 훈련기관별 훈련실시 인원을 보면, 전체 실업대책 훈련인원 중 지정교육 훈련기관이 44.3%로 가장 많고, 인정훈련기관, 공공훈련기관, 학원, 사업내훈 련기관의 순으로 나타나고있다. 실업자 재취직훈련은 지정교육훈련기관

(33)

(39.3% ), 학원 (24.2% ), 인정훈련기관 (25.0% ) 등 주로 민간훈련기관에서 많이 실시되었다. 기능사양성・정부위탁훈련은 공공훈련기관(64.2% )과 인정훈련 기관(35.8% )에서, 창업훈련은 공공훈련기관(100% )에서 실시되였다.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에 있어서 남녀 비율은 63.1% : 36.9%로서, 성별 직종 선호도를 보면 남성은 기계장비(21.3% ), 사무관리(20.4% ), 정보・통신 (19.6% )순이며, 여성의 경우는 서비스 (35.4% ), 정보・통신(19.3% ), 사무관리 (19.1% ) 순으로 나타났다. < 표 Ⅱ- 11> 1998년도 직업훈련기관별 훈련현황 (단위 : 명, % ) 구 분 훈련기관공공 훈련기관사업내 훈련기관인정 지정교육훈련기관 학원 실업자 재취직훈련 170,096 (100.0) 17,283 (10.2) 2,338 (1.4) 42,609 (25.0) 66,784 (39.3) 41,082 (24.2) 기능사양성・ 정부위탁훈련 (100.0)25,515 16,371 (64.2) -9,144 (35.8) - -창업훈련 13,598 (100.0) 13,598 (100.0) - - - -유급휴가훈련 3,885 (100.0) 15 (0.4) 87 (2.2) 20 (0.5) 3,763 (96.9) -대학훈련 43,012 (100.0) - - -43,012 (100.0) -계 256,106 (100.0) 47,267 (18.5) 2,425 (1.0) 51,773 (20.2) 113,559 (44.3) 41,082 (16.1) 주 : 고용촉진훈련과 영농훈련을 제외한 수치임. 자료 : 전게서. 또한 학력별로는 고졸이하가 53.4% , 전문대졸 이상이 46.6%로 나타났고, 전문대졸 이상의 실직자는 정보・통신(25.1% ), 사무관리(24.1% ), 서비스 (18.3% )분야의 훈련직종을 선호한 반면, 고졸이하 실직자는 서비스 (26.0% ), 기계장비(19.7% ), 사무관리(16.2% ) 분야의 훈련직종을 선호하였다. < 표 Ⅱ- 12> 학력별 구성 및 훈련직종 선호도 (단위 : % ) 서비스 정보・통신 기계장비 사무관리 산업응용 기타 훈련참가 비율 고졸 이하 26.0 14.1 19.7 16.2 6.6 17.4 전문대졸 이상 18.3 25.1 9.8 24.1 7.7 15.0 자료 : 전게서.

(34)

전직 경력별로 실업자 직업훈련 참여자를 보면 사무직이 60.1% , 생산직 이 39.9%이다. 사무직 출신 직업훈련 참여자가 계속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훈련직종의 분야별 실시현황을 전체적으로 보면, 사무관리(19.7% ), 서비 스(18.3% ), 정보・통신(17.8% ), 기계・장비(17.3% ), 산업응용(6.3% ) 분야의 순을 나타내고 있다. 실업자재취직훈련은 서비스(21.9% ), 사무관리(20.1% ), 정보・통신(20.1% ), 기계・장비(14.6% ) 순으로 전체분야 중에서 이들 분야 가 차지하는 비중은 76.7%이며, 대학・전문대학훈련은 정보・통신, 사무관 리, 서비스분야에 훈련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 표 Ⅱ- 13> 훈련분야별 훈련직종 현황 (단위 : % ) 구 분 재취직훈련실업자 대학・전문대학훈련 유급휴가훈련 기능사양성・정부위탁훈련 창업훈련 사무관리 19.7 20.1 27.2 21.2 0.4 45.1 서비스 18.3 21.9 16.6 1.6 0 12.4 정보・통신 17.8 20.1 30.1 13.7 0.3 14.3 기계・장비 17.3 14.6 4.1 0.2 44.3 15.1 산업응용 6.3 7.1 7.6 0 4.2 0 건 설 4.5 2.7 2.1 0 19.9 1.4 전 기 4.5 2.7 0.6 1.2 19.8 3.0 금융・보험 3.4 3.0 1.4 60.2 0 0 기 타 8.2 7.8 10.3 1.9 11.1 8.7 전분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 기타 - 전자, 공예, 섬유, 금속, 운송장비제조, 의료, 화학제품・요업, 환경, 농・어・광업. 자료 : 전게서. 1998년 2월부터 12월까지 각 훈련기관에서 실업자재취직 훈련과정으로 노 동부 지방사무소에 제출하여 승인받은 훈련과정 현황은 다음의 < 표 Ⅱ- 14> 와 같다. 1,506개 훈련기관에서 1,161개 훈련과정을 승인 받았으며, 훈련기관 수로 보면 서비스 분야가 295개(19.6% )로 가장 많고, 사무관리, 기계・장비, 산업응용 순이며, 훈련과정에서는 사무관리분야에 210개(18.2% )로 가장 많 은 훈련과정을 승인하였고, 기계・장비(16.5% ), 정보・통신(12.0% ), 산업응용 (9.6% )순 이며, 이들 분야가 전체의 67.8%를 차지하고 있다.

(35)

훈련기관별로 승인된 훈련과정을 비교해 보면 공공훈련기관은 기계・장 비, 전자, 금속분야, 대학・전문대학은 사무관리, 서비스, 정보・통신, 산업응 용분야, 교육훈련기관은 사무관리, 정보・통신, 금융・보험분야의 훈련과정 을 많이 개설하고 있다. < 표 Ⅱ- 14> 실업자 재취직훈련 승인 현황 (단위 : 개소, 개 ) 훈련기관 훈련분야 공공 인정 사업내 대학 전문 교육훈련 학원 기관 과정수 기관수 과정수 기관수 과정수 기관수 과정수 기관수 과정수 기관수 과정수 기관수 과정수 농림・어업・광업 14 11 - - 1 1 - - 11 8 2 2 - -섬유 24 35 4 14 1 1 - - 12 15 1 1 6 4 화학제품 및 요업 24 17 5 5 2 2 - - 3 2 5 6 9 2 금속 22 26 10 13 - - - - 3 5 3 6 6 2 기계・장비 230 191 46 86 38 9 4 6 35 35 17 34 90 21 건설 101 64 24 14 11 6 2 2 37 26 5 6 22 10 전기 74 66 37 25 5 5 1 1 15 16 6 11 10 8 전자 73 60 26 26 3 2 1 2 23 18 6 6 14 6 정보・통신 137 139 13 17 8 7 2 3 67 54 25 43 22 15 운송장비제조 4 5 1 1 1 1 1 2 - - - - 1 1 산업응용 161 112 25 34 14 7 - - 64 44 11 11 47 16 공예 33 37 13 17 - - 1 1 11 12 1 1 7 6 서비스 295 135 15 17 26 11 2 2 74 60 14 19 164 26 사무관리 264 210 34 26 30 10 3 3 102 78 38 86 57 7 금융・보험 20 30 - - - 8 9 12 21 - -의료 17 7 - - - 15 4 2 3 - -환경 13 16 1 1 - - - - 9 7 2 7 1 1 계 1,506 1,161 254 296 140 62 17 22 489 393 150 263 456 125 주 : 1998. 1. 1. ~ 1998.12.31. 기간에 훈련이 시작되어 종료된 과정임. 자료 : 노동부(1998d ). 실업자 재취직 훈련과정(1~10차 ). 실업자 재취직훈련에서 개설된 훈련과정을 보면, 사무관리 분야가 294개 (24.8% )로 가장 많고, 정보・통신, 서비스, 기계・장비분야 순으로 개설되어, 이들 4개 분야의 훈련과정이 전체의 67.3%를 차지하고 있다.

(36)

1998년도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현황을 살펴보면, 총 1,885개 훈련기관 에서 1,185개 훈련과정을 개설하여 실시하였고, 훈련기관 유형별로는 대 학・전문대학이 396 (33.5% )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교육훈련기관, 공 공훈련기관, 학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 표 Ⅱ- 15> 실업자 재취직훈련 실시기관 및 과정 현황 (단위 : 개, % ) 구분 공공 인정 사업내 대학 전문 교육훈련 학원 훈련기관수 1,885 331 190 19 560 213 572 훈련과정수 1,185 (100.0) 256 (22.2) 72 (4.8) 18 (1.5) 392 (33.5) 284 (24.6) 163 (13.4) 주 : 1998. 1. 1. - 1998. 12. 31. 기간에 개설되어 종료한 과정임. 실업자 재취직 훈련과정을 훈련분야 대분류별로 보면 사무관리가 294개 (24.8% )로 가장 많았고, 정보・통신, 서비스, 기계・장비의 순으로 실시되 었으며, 전체 훈련과정중 이들 4개 분야에 속한 훈련과정이 67.6%로 다른 분야와 비교하여 볼 때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Ⅱ- 16> 실업자 재취직훈련 훈련분야별 실시 현황 (단위 : 개, % ) 훈련 분야 훈련과정수 훈련 분야 훈련과정수 1. 농/ 어/ 광업 3(0.3) 10. 운송장비제조 4(0.3) 2. 섬유 29(2.4) 11. 산업응용 109(9.2) 3. 화학제품 및 요업 8(0.7) 12. 공예 24(2.0) 4. 금속 12(1.0) 13. 서비스 164(13.8) 5. 기계・장비 143(12.4) 14. 사무관리 294(24.8) 6. 건설 43(3.6) 15. 금융・보험 16(1.4) 7. 전기 41(3.5) 16. 의료 6(0.5) 8. 전자 45(3.8) 17. 환경 0(0.0) 9. 정보・통신 197(16.6) 18. 기타 47(4.0) 계 1,185(100.0) 주 : 1998. 1. 1. - 1998. 12. 31. 기간에 개설되어 종료한 과정임. 자료 : 중앙고용전보관소(1999). 고용보험전산 원 자료.

(37)

또한, 훈련과정 중분류 차원에서의 훈련과정 실시 현황을 보면, 기계・장 비분야에서는 기계가공・조립 44개, 정비・설비 및 운전 58개,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정보・통신 응용 124개, 산업응용분야에서는 디자인 개발이 92 개, 서비스분야에서는 음식서비스가 44개, 기타서비스가 102개, 사무관리분 야에서는 재무 및 경영 115개, 사무지원 75개의 훈련과정이 개설되었다. 이 들 8개 분야에 속한 훈련직종은 654개로 전체 개설된 훈련직종의 55%를 차지하고 있다.

3 .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특성

훈련분야별 훈련기관 유형별 특성화 훈련과정을 설정하기 위하여 김병숙 (1998 )의 설문조사 결과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훈련실시여건으로서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특성 및 훈련기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표본 수는 42,824명이다1). 다음의 < 표 Ⅱ- 7> 에서와 같이 훈련생의 연령은 20대가 절반이상이며, 30 대, 40대의 순의 분포이며, 연령별 학력은 30~40세는 전체의 학력분포와 같 게 고졸, 대졸이상, 전문대졸의 순이었다. 20대 훈련생은 고졸, 전문대졸 순 으로 많았고, 50세 이상은 대졸이상(32.5% )과 중졸이하(21.7% )가 많은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이 조사에서는 20대가 표본수의 절반 이상(50.7% )을 차지하고 있고, 고졸 학력의 훈련생이 전체의 절반(50.9% )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분석의 결과 가 20대와 고등학교 졸업생에 의해 많이 좌우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30세 미만의 훈련생들은 전문대학 졸업자가 다소 많은 반면 30세 이상의 훈련생 들은 대졸이상의 비중이 많으며, 50세 이상의 훈련생 중에서 중졸이하가 많 은 것이 특징이라고 하겠다. 1) 원래의 표본수는 42,824명이지만, 이 보고서에서는 설문 문항별로 훈련생의 학력, 전직업, 훈련기관, 훈련실시여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모름/ 무응답을 제외하고 통계처리한 결과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38)

< 표 Ⅱ- 17> 연령별・학력별 훈련생 분포 (단위 : 명, % ) 학력 연령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이상 20세 미만 852 (100.0) (2.0) 120 (14.1) (4.9) 730 (85.7) (3.5) 0 (0.0) (0.0) 0 (0.0) (0.0) 20~29세 21,135 (100.0) (50.7) 295 (1.4) (11.9) 11,518 (54.5) (55.5) 5,415 (25.6) (68.6) 3,907 (18.5) (37.2) 30~39세 11,329 (100.0) (27.2) 516 (4.6) (20.9) 4,967 (43.8) (23.9) 1,764 (15.6) (22.3) 4,082 (36.0) (38.8) 40~49세 5,607 (100.0) (13.5) 950 (16.9) (38.4) 2,447 (43.6) (11.8) 576 (10.3) (7.3) 1,634 (29.1) (15.5) 50세 이상 2,728 (100.0) (6.5) 592 (21.7) (23.9) 1,108 (40.6) (5.3) 141 (5.2) (1.8) 887 (32.5) (8.4) 계 41,651 (100.0) (100.0) 2,473 (5.9) (100.0) 20,770 (50.9) (100.0) 7,896 (18.1) (100.0) 10,510 (25.0) (100.0) 다음의 < 표 Ⅱ- 18> 는 학력에 따른 전직업을 나타낸 것이다. 앞에서 제시 되었던 것과 같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고등학교를 졸업한 훈련생들의 전 직업을 보면, 가장 많이 종사하였던 직업은 생산기술직이고 다음이 사무관 리직이다. 생산기술직은 남자가 74.5%를 차지하였고, 사무관리직은 여자가 66.2%를 차지하였다. 한편, 전문대 및 대학이상 졸업자는 사무관리직과 전문 직에 많이 종사하였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 졸업자는 주로 생산기술직 에 종사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생이 가장 많이 종사하였던 직업은 사무관리직으로, 여자의 경우 고 등학교 졸업생이 많은 반면 남자의 경우 대학이상 졸업자가 많았다. 이는 사무관리직이라고 하더라도 학력 및 성별에 따라 담당하는 직무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39)

< 표 Ⅱ- 18> 학력에 따른 남녀별 전직업 현황 (단위 : 명, % ) 직업 학력 사무관리직 전문직 생산기술직 서비스관련직 기타 중졸 이하 계 2,425 (100.0) 59 (2.4) 102 (4.2) 1,754 (72.3) 242 (10.0) 268 (11.1) 남 1,480 42 93 966 166 183 녀 945 17 9 758 76 85 고졸 계 (100.0)20,870 6,368(30.5) 1,853(8.9) 8,185(39.2) (14.3)2,993 1,471(7.0) 남 12,276 2,144 1,413 6,118 1,488 1,013 녀 8,694 4,224 440 2,067 1,505 458 전문 대졸 계 7,923 (100.0) 3,179 (40.1) 2,151 (27.1) 1,153 (14.4) 997 (12.6 443 (5.6) 남 4,483 1,368 1,297 1,040 503 275 녀 3,440 1,811 854 113 494 168 대졸 이상 계 10,519 (100.0) 5,572 (53.0) 2,503 (23.8) 809 (7.7) 859 (8.2) 776 (7.4) 남 7,951 4,338 1,731 767 613 502 녀 2,568 1,234 772 42 246 274 계 계 (100.0)42,188 15,298(36.3) (15.8)6,668 12,070(28.6) (12.2)5,137 3,015(7.1) 남 26,374 7,961 4,577 9,029 2,796 2,011 녀 15,814 7,337 2,091 3,041 2,341 1,004 주 : 남녀 계의 수치에 차이가 나는 것은 성별에 대하여 무응답을 제외하였기 때문임 . 아래의 < 표 Ⅱ- 19> 는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학력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고등학교 졸업이 절반(49.9% )정도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 대학졸업 이상 (25.2% ), 전문대학 졸업 (19.0% )의 순으로 나타났다. < 표 Ⅱ- 19>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학력분포 (단위 : 명, %) 훈련기관 학력 공공 인정 사업내 대학 전문 교육훈련 학원 중졸이하 2,462 (5.9) 432 (8.0) 729 (7.7) 49 (4.5) 193 (2.3) 105 (2.3) 954 (7.4) 고졸 20,869 (49.9) 3,074 (56.6) 5,553 (58.4) 701 (64.5) 2,920 (35.5) 1194 (26.2) 7,427 (57.3) 전문대졸 7,920 (19.0) 1,016 (18.7) 1,602 (16.8) 185 (17.0) 1,929 (23.5) 786 (17.2) 2,402 (18.5) 대졸이상 10,535 (25.2) 910 (8.6) 1,624 (17.1) 152 (14.0) 3,184 (38.7) 2,476 (53.3) 2,189 (16.9) 계 41,786 (100.0) 5,432 (100.0) 9,508 (100.0) 1,087 (100.0) 8,226 (100.0) 4561 (100.0) 12,972 (100.0)

(40)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학력 분포는 전체의 학력 분포와 많은 차이를 나타 내고 있는데, 공공, 인정, 사업내훈련기관 및 학원에서는 고등학교 졸업자가 56%이상으로 가장 많은 반면, 대학・전문대학은 대졸자와 고졸자의 비중이 37%내외이며, 교육훈련기관은 대졸이상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즉, 교 육훈련기관과 대학・전문대학에 고학력 출신의 훈련생이 많이 참여한 것으 로 나타났다. < 표 Ⅱ- 20> 훈련분야별 훈련생의 학력 분포 (단위 : 명, %) 학력 훈련 분야 중 졸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 이상 농림・어업・광업 101(100.0) 4 (4.0) 49 (48.5) 23(22.8) 25 (24.8) 섬유 512(100.0) 82(16.0) 243(47.5) 109 (21.3) 78 (15.2) 화학제품 및 요업 192(100.0) 10 (5.2) 129(67.2) 28(14.6) 25 (13.0) 금속 134(100.0) 11(8.2) 99 (73.9) 15(11.2) 9 (6.7) 기계・장비 7,666(100.0) 1,027 (13.4) 4,883(63.7) 870 (11.3) 886 (11.6) 건설 807(100.0) 146 (18.1) 422(52.3) 133 (16.5) 106 (13.1) 전기 1,325(100.0) 61(4.6) 753(56.8) 288 (21.7) 223 (16.8) 전자 1,174(100.0) 37 (3.2) 635(54.1) 247 (21.0) 255 (21.7) 정보・통신 7,733(100.0) 63 (0.8) 2,764(35.7) 1,978 (25.6) 2,928 (37.9) 운송장비제조 25 (100.0) 3(12.0) 16 (64.0) 1(4.0) 5 (20.0) 산업응용 2,974(100.0) 55 (1.8) 1,371(46.1) 759 (25.5) 789 (26.5) 공예 389(100.0) 24 (6.2) 212(54.5) 93(23.9) 60 (15.4) 서비스 10,622(100.0) 831(7.8) 5870(55.3) 1,764 (16.6) 2,157 (20.3) 사무관리 7,974(100.0) 137 (1.7) 3,379(42.4) 1,615 (20.3) 2,843 (35.7) 금융・보험 317(100.0) 1(0.3) 66 (20.8) 33(10.4) 217 (68.5) 의료 292(100.0) 19 (6.5) 205(70.2) 46(15.8) 22(7.5) 환경 28 (100.0) 3(10.7) 15 (53.6) 2(7.1) 8 (28.6) 계 42,265(100.0) 2,514 (5.9) 21,111(49.9) 8,004 (18.9) 10,636 (25.2) 훈련분야별 훈련생의 학력을 알아보면, 화학제품 및 요업, 금속, 기계・장 비, 의료분야는 고등학교 졸업자가 63%이상으로 많은 반면 대졸이상은 10% 정도로 적으며, 또한 건설, 전기, 공예분야 역시 대졸이상이 15%정도로 적게

참조

관련 문서

그리고 이러한 표현 법은 입자크기 구간 별로 서로 연속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별 수적 분포가 크기별로 연속적으로

넷째, 고객 유형별 세분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을 통한 판로개척 및 소비 자 팸투어, 생산농가 방문 등 소비자와 생산자간 유대를 형성할 수

④ 철손을 정의하고 필요한 철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회로에 반영. → 이상변압기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이러한

새만금 풍력에너지

시스템 구축 방안 시스템 구축 시 호환성 확보 및 향후 확장성 정도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구체 상세 절차.

② 제1항에서 정한 사항 외에 공공보건의료 지원단의 조직과 운영에 관 하여 필요한 사항은 지방자치단체의

해외 원자력 인력양성 교육의 시사점... 원전 전문인력

대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