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차보고서 201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연차보고서 2011"

Copied!
23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2012. 2. 2011 연차보고서.

(2)

(3) 머 리 말 이 연차보고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현황과 2011년 한 해 동안 수행한 조사연구사업의 주요 결과, 정책지원사업, 농촌정보문화센터 및 중국사무소의 업무 등을 정리·수록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발간하였다. 우리 연구원은 2011년에 ①그린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 제고 ②농식품 안전 공급 및 관리 체계 구축 ③지역정책 개발과 추진체계의 효율화 ④농촌소득원 개발과 생활의 안정화 ⑤국제협력 및 개발지원 강화 등을 연구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기본방향 하에 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타 출연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강화, 국제기구, 대학 및 연구소 등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2011년에 175건의 연구과제 및 관련사업을 완료하였다. 연구사업 외에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참여 등 정책지원 업무와 정책연구협의회, 정책워크숍, 정책토론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등 폭넓은 활동을 통하여 농림정책개발과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KREI 세미나, 농경토론회를 개최하고 연구역량강화 프로그램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였다. 농업·농촌의 가치, 농업정책, 농식품 소비촉진 홍보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농촌정보문화센터는 언론 동향·대응사례 분석 및 정책제안, 농업·농촌 가치 및 농정 홍보에 대한 여론조사 사업 등 농정현안의 국민 이해증진을 위한 활동을 하였다. 중국사무소는 현장성과 시의성 있는 중국의 농업·농촌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제공하고, 중국 농업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연구협력을 강화하였다. 좋은 연구결과와 사업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맡은 바 최선을 다해 준 직원 여러분과 연구수행에 도움을 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2012.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동 필.

(4)

(5) i. 목. 차. Ⅰ. 일 반 현 황 ····················································································· 1 1. 연 혁 ····························································································· 1 2. 임 무 ····························································································· 1 3. 기 구 ····························································································· 2 4. 정 원 ····························································································· 4 5. 인 사 ····························································································· 5 6. 예 산 ····························································································· 9 Ⅱ. 연 구 사 업 ··················································································· 11 1. 기본방향 ······················································································· 11 2. 조사연구사업 총괄 ······································································ 11 3. 농식품정책연구 ············································································ 12 4. 농업농촌정책연구 ········································································ 17 5. 농업관측연구 ················································································ 21 6. 글로벌협력연구 ············································································ 22 7. 산림정책연구 ················································································ 24 8. 미래정책연구 ················································································ 25 9. 기획조정실 ···················································································· 26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 ································································ 27 1. 현 황 ··························································································· 27 2. 정책지원연구 ················································································ 27 3. 협의회, 자문회의 및 토론회 개최 ············································ 31.

(6) ii. Ⅳ. 정보관리 ························································································· 75 1. 전 산 ··························································································· 75 2. 도서자료 ······················································································· 77 3. 출 판 ··························································································· 80 Ⅴ. 연구조성사업 및 학술활동 ··························································· 82 1. 현 황 ··························································································· 82 2. KREI 세미나 ················································································· 82 3. 농경토론회 ···················································································· 83 Ⅵ. 국제교류 ························································································· 84 1. 현 황 ··························································································· 84 2. 국제학술대회 개최 ······································································ 84 3. 국제학술회의 참가 ···································································· 100 4. 해외조사 활동 ············································································ 102 5. 외국인 내방 ················································································ 108 Ⅶ. 농정여론 조사사업 및 교육·홍보활동 ······································ 110 1. 현지통신원 운용 ········································································ 110 2. 현지통신원 대상 여론조사 ······················································· 113 3. 성과 확산 및 언론보도실적 ····················································· 115 4. 대외협력업무 ·············································································· 116 Ⅷ. 농촌정보문화센터 ········································································ 119 1. 일반현황 ······················································································ 119 2. 기본사업 ······················································································ 122 3. 수탁사업 ······················································································ 125 4. 홍보지원 ······················································································ 138.

(7) iii. Ⅸ. 중국사무소 ···················································································· 140 1. 일반현황 ······················································································ 140 2. 주요사업 ······················································································ 142 3. 2011년도 중국사무소 주요 업무일지 ······································ 155 Ⅹ. 2011년도 간행물 발간목록 ························································· 162 Ⅺ. 임원 및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회 명단 ···························· 173 Ⅻ. 직 원 명 단 ·················································································· 174 ⅩⅢ. 2011년도 연구원 주요일지 ························································· 180.

(8)

(9) 1. Ⅰ. 일 반 현 황 1. 연 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영문명칭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약칭 KREI)은 농림경제 및 농촌 사회 문제를 종합적으로 조사 연구하여 국민경제 발전과 국민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1978년 4월 1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9월 27일에는 농림분야의 기술개발투자의 지원 및 관리업무를 전담할 농림기술관리센터가 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되었고, 1999년부터는 원내에 농업관측정보센터를 설 치하여 농업관측사업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1월 29일에는 연구원 설립 근거법이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 률로 바뀌면서 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사회연구회로 소속기관이 변 경되었다. 2004년 7월 27일에는 경제사회연구회 최우수 기관으로 선 정되어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05년 4월 28일에는 농업·농촌의 가치 및 주요 농업정책 홍보업무를 전담하는 농촌정보 문화센터가 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되었고, 2008년 3월 6일에는 중국의 농림업정책 동향과 농업·농촌, 소비시장 등에 관한 정보자료 수집·분석을 위한 중국사무소를 개설하였다. 2009년 9월 16일에는 부 설기관 ‘농림기술관리센터’가 독립 법인화되었다.. 2. 임 무 연구원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 한다. ◦ 중장기 농림경제계획 및 정책수단에 관한 조사연구 ◦ 농림부문의 단기정책에 관한 조사연구 ◦ 농어촌민의 복지증진 및 농어촌사회문제에 관한 조사연구.

(10) 2. ◦ 국제 농업협력에 관한 연구 ◦ 농업관측을 통한 품목별 수급 동향 및 중장기 전망 연구 ◦ 농림업 정책의 국민 이해증진 조사연구 및 대국민 여론조사·홍보 ◦ 국내외 연구기관(대학원과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연구기관을 포 함한다)과의 공동연구 ◦ 정부 및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등으로부터 연구용역 수탁 ◦ 연구결과의 출판 및 배포 ◦ 관계기간의 공무원 및 기타 단체의 수탁 연수 ◦ 상기 연구원 임무의 부대사업 및 기타 연구원의 목적달성을 위 해 필요한 사업. 3. 기 구 기구는 연구업무를 수행하는 본원과 농업·농촌가치 이해 및 도농 교류 협력사업을 수행하는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은 정부의 농림수산분야 ODA 중장기 발전방안에 따른 사업 추진체계 변경으로 ‘국제농업협력연구센터’를 글로벌협력연구본부 소속 ‘국제농업협력팀’으로 조정하여 3본부 1센터 2실의 연구부서와 2실의 지원부서로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농촌정보문화센터에는 1실을 두고 있다..

(11) 3. < 기 구 표 >. 원. 감 사 (비상근). 장. 검 사 역. 부 원 장. 농 식 품 정 책 연 구 본 부. 농 업 농 촌 정 책 연 구 본 부. 글 로 벌 협 력 연 구 본 부. 농. 산. 미. 업. 림. 래. 정. 정. 책. 책. 연. 연. 센. 구. 구. 터. 실. 실. 관 측. 기. 행. 획 조. 정. 정 실. 실. 농 촌 정 보 문 화 센 터.

(12) 4. 4. 정 원 정원은 본원 141명 및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 20명 등 총 161명이 며, 별정직을 제외한 2011년 말 현원은 휴직자 5명을 포함하여 본원 128명,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 14명으로 총 142명이다.. 직 종. 직 급. 정 원 본 원 농촌정보 계 문화센터 ⓐ+ⓑ ⓐ ⓑ. 연 구 직 행 정 직. 원 장 선임연구위원 연 구 위 원 부 연 구 위 원 전 문 연 구 원 연 구 원 소 계 책 임 행 정 원 선 임 행 정 원 행 정 원 소 계. 전 책 임 전 문 원 선 임 전 문 원 문 전 문 원 직 소 계. 1. -. 1. 102. 6. 108. 102. 6. 108. 17. 4. 21. 17. 4. 21. ⓓ. 1 19 33 25 9 8 94 2 4 7 13. 1 1 1 1 4 1 1 2. 1 20 34 26 10 8 98 3 4 8 15. 2 6. 2 5 9. 8. 8. 8. 16. 2 3 3. 8. 8. 16. 8. 2. 15. 3 2 1 1 1 2 1 1. 2 20. 15 161. 12 128. 책임연구조원 책임행정조원 기 책 임 기 능 원 주임연구조원 주 임 행 정 조 원 13 능 주 임 기 능 원 연 구 조 원 행 정 조 원 직 기 능 원 소 계 합 계. 현 원 본 원 농촌정보 계 문화센터 ⓒ+ⓓ ⓒ. 13 141. 14. 2011.12.31 현재 결 원 비 고 본 원 농촌정보 계 ⓐ-ⓒ=ⓔ 문화센터 ⓔ+ⓕ ⓑ-ⓓ=ⓕ. ※ 특별휴직 4명 포함 (연구위원 4명) ※ 육아휴직 1명 포함 (책임연구조원 1명) △8. △2 △10. △4. △2. △6. 16. -. -. -. 3 2 1 1 1 2 1 1. △1. △2. △3. 12 △1 △2 △3 142 △13 △6 △19.

(13) 5. 5. 인 사 2011년에 부연구위원 1명, 선임전문원 1명, 초빙연구위원 2명, 초청 직 정규화(전문연구원 또는 연구원) 임용 4명 및 초청직 2명 등 10명 을 채용한 반면, 정년퇴직 1명 및 기타사유로 인한 퇴직 9명 등 10명 의 퇴직이 있었다. 또한 인력 운영 면에서는 승진 23명, 청와대 대통 령실 및 지역발전위원회, 농림수산식품부 등 파견 6명이 있었으며, 특별휴직 4명을 포함하여 총 9명의 휴직이 있었다.. < 임 용 >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1. 2.21. 초빙연구위원. 허 경 태. 산 림 정 책 연 구 실. 2011. 5. 2. 선임전문원. 천 관 우. 기. 2011. 5. 2. 초청연구원. 임 지 은. 농 업 농촌 정 책연 구 본부. 2011. 5. 2. 초청연구원. 남 경 수. 농 업 관 측 센 터. 2011. 8. 3. 초빙연구위원. 이 창 범.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12.15. 부연구위원. 송 우 진.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12.15. 전문연구원. 이 형 우. 농 업 관 측 센 터. 2011.12.15. 전문연구원. 송 성 환. 산 림 정 책 연 구 실. 2011.12.15. 연. 구. 원. 권 인 혜. 농 업 농촌 정 책연 구 본부. 2011.12.15. 연. 구. 원. 승 준 호. 농 업 관 측 센 터. * 계: 10명. 획. 조. 정. 실.

(14) 6. < 승 진 >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1. 2.24. 부연구위원. 서대석. 농 업 관 측 센 터. 2011. 4. 1. 선임연구위원. 김창길.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4. 1. 선임연구위원. 전창곤.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4. 1. 선임연구위원. 김홍상.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11. 4. 1. 선임연구위원. 김병률.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11. 4. 1. 연 구 위 원. 우병준.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4. 1. 연 구 위 원. 김용렬.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11. 4. 1. 연 구 위 원. 마상진.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11. 4. 1. 연 구 위 원. 연규영. 농촌정보문화센터. 2011. 4. 1. 전문연구원. 김현중.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4. 1. 전문연구원. 박미성. 농 업 관 측 센 터. 2011. 4. 1. 주임행정조원. 강민혜. 원. 2011. 6. 7. 부연구위원. 김성우. 농 업 관 측 센 터. 2011. 6.27. 부연구위원. 이병훈.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6.27. 부연구위원. 지인배.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11. 1. 연 구 위 원. 국승용.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11. 1. 연 구 위 원. 이대섭. 글로벌협력연구본부. 2011.11. 1. 연 구 위 원. 전형진. 글로벌협력연구본부. 2011.11. 1. 선임전문원. 조경익. 농촌정보문화센터. 2011.11. 1. 전문연구원. 김영단.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11.11. 1. 전문연구원. 박영구. 농 업 관 측 센 터. 2011.11. 1. 전문연구원. 이정민. 농 업 관 측 센 터. 2011.11. 1. 전문연구원. 윤종열. 미 래 정 책 연 구 실. * 계: 23명. 장. 실.

(15) 7. < 파 견 > 기 간. 직 급 구. 위. 성 명. 근무기관. 2010. 6.28~2011. 8. 1. 연. 원. 신 용 광. 청와대 대통령실. 2010. 1.11~2011. 3.31. 전 문 연 구 원. 성 주 인. 지역발전위원회. 2011. 1. 5~2011. 1.23. 초 청 연 구 원. 장 도 환. 농림수산식품부. 2011. 1.24~2011. 2. 1. 위 촉 연 구 원. 김 대 석. 농림수산식품부. 2011. 8.29~2011. 9.10. 초 청 연 구 원. 조 우 림. 농림수산식품부. 2011.10.31~2011.11.29. 연. 김 창 호. 감. 구. 원. 사. 원. * 계: 6명. < 퇴 직 > 일 자. 직 급. 성 명. 소 속. 2011. 5. 7. 초청연구원. 김말징. 농 업 관 측 센 터. 2011. 6.23. 초빙연구위원. 조규담. 글로벌협력연구본부. 2011. 7. 1. 책임행정원. 김광진. 조. 2011. 8. 1. 연. 원. 장정경.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8. 8. 초청전문연구원. 김재환. 농 업 관 측 센 터. 2011. 9. 1. 연 구 위 원. 신용광. 농식품정책연구본부. 2011. 9. 1. 부연구위원. 전익수. 미 래 정 책 연 구 실. 2011. 9. 2. 전. 원. 정재현. 농촌정보문화센터. 2011.10. 8. 선임연구위원. 이동필.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2011.10.22. 전. 이경원. 농촌정보문화센터. * 계: 10명. 구. 문 문. 원. 사. 역.

(16) 8. < 휴 직 > 직 급. 성 명. 사 유. 기 간. 부연구위원. 김 성 우. 해 외 유 학. 2005. 8. 1~2011. 6. 6. 부연구위원. 이 병 훈. 해 외 유 학. 2006. 8.16~2011. 5.29. 부연구위원. 지 인 배. 해 외 유 학. 2007. 7.25~2011. 6. 9. 연 구 위 원. 김 배 성. 특 별 휴 직. 2010. 9. 1~2011. 8.31. 연 구 조 원. 이 경 미. 육 아 휴 직. 2010. 11.7~2011.10.30. 초청연구원. 채 상 현. 육 아 휴 직. 2011. 1.30~2012. 1.29. 연 구 위 원. 송 주 호. 특 별 휴 직. 2011. 2. 1~2012. 1.31. 연 구 위 원. 이 상 민. 특 별 휴 직. 2011. 2. 5~2012. 2. 4. 연 구 위 원. 송 미 령. 특 별 휴 직. 2011. 8. 1~2012. 7.31. 책임연구조원. 김 은 정. 육 아 휴 직. 2011. 8. 9~2012. 8. 8. 전. 원. 이 경 원. 휴. 직. 2011. 8.16~2011. 9.30. 초청연구원. 윤 형 현. 육 아 휴 직. 2011. 8.22~2012. 1.31. 초청연구원. 반 현 정. 육 아 휴 직. 2011. 9.11~2012. 5.31. 연 구 위 원. 허. 특 별 휴 직. 2011.11. 1~2012.10.31. 문. * 계: 14명. 덕.

(17) 9. 6. 예 산 ’11년도 연구원 수권예산은 28,646백만원으로 ’10년 31,047백만원 대비 7.7%(2,401백만원) 감액 편성되었다. 총예산 중 수입예산은 정부출연금 15,915백만원(55.6%) 및 자체수 입 12,731백만원(44.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출예산은 인건비 9,471백만원(33.1%), 연구사업비 17,616백만원(61.5%), 경상운영비 897 백만원(3.1%), 시설비 386백만원(1.3%) 및 청사이전비 276백만원(1.0) 으로 편성되었다. 이 중 연구사업비에는 농림수산식품부 정부위탁사업으로 수행하 고 있는 농업관측사업 5,089백만원이 포함되어 있다.. < 2011년도 예산 현황 > 단위: 백만원. 구 분. 수입. 지출. 2010. 2011. 증 감. 정부출연금. 14,717. 15,915. 1,198. 자체수입. 16,330. 12,731. △3,599. 합. 계. 31,047. 28,646. △2,401. 인 건 비. 8,912. 9,471. 559. 연구사업비. 20,698. 17,616. △3,082. 경상운영비. 1,197. 897. △300. 시 설 비. 240. 386. 146. 청사이전비. -. 276. 276. 31,047. 28,646. △2,401. 합. 계.

(18)

(19) 11. Ⅱ. 연 구 사 업 1. 기본방향 2011년도 연구는 그린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 제고, 농식품 안전공 급 및 관리체계 구축, 지역정책 개발과 추진체계의 효울화, 농촌소득 원 개발과 생활의 안정화, 국제협력 및 개발지원 강화 연구 등 중장 기 기초연구와 수요자 지향의 중대형 정책연구를 적절히 배합하여 연 구를 수행하였다.. 2. 조사연구사업 총괄 2011년도에는 모두 173과제를 수행하였다. 그중 152개 과제를 완료 하였으며, 21개 과제는 2012년도까지 계속된다.. < 연구사업 총괄 > 연 구 부 문. 총과제 수 2010년 완료과제 2011년 계속과제. 농식품정책연구. 74. 61. 13. 농업농촌정책연구. 51. 47. 4. 농업관측연구. 10. 10. -. 글로벌협력연구. 22. 20. 2. 산림정책연구. 7. 6. 1. 미래정책연구. 4. 3. 1. 기획조정실. 5. 5. -. 173. 152. 21. 계.

(20) 12. 3. 농식품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연구기간. 책임자. 1. 과제 과 제 명 성격 기본 육묘산업의 실태와 발전 방안. 2011.01.01-2011.10.31. 박기환. 2. 기본 벼대체 사료작물 이용시스템 구축 방안. 2011.01.01-2011.10.31. 우병준. 3. 기본 생협 경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2011.01.01-2011.10.31. 정은미. 4. 기본 학교급식의 운영실태와 개선 방안 - 식재료 공급을 2011.01.01-2011.10.31 중심으로. 황윤재. 5. 기본 채소 수급 및 가격 안정화 방안 연구. 2011.01.01-2011.10.31. 최병옥. 6. 기본 해외곡물시장 동향과 해외곡물시장정보체계 구축 2011.01.01-2011.10.31 방안. 성명환. 7. 기본 산지유통 정책 개선 방안. 2011.01.01-2011.10.31. 국승용. 8. 기본 농식품 원산지표시의 효과분석과 활용도 제고 방안 2011.01.01-2011.10.31. 이계임. 9. 기본 일선조합의 역할변화와 체제개편방안. 2011.01.01-2011.10.31. 황의식. 10 기본 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2011.01.01-2011.10.31 (일반) 중장기 발전 전략(3/5차년도). 최지현. 11 기본 농업부문 에너지 수급전망과 청정에너지 농업시스 2011.01.01-2011.10.31 (일반) 템 구축방안(2/2차년도). 김연중. 12 기본 농업·농촌부문 녹색성장 추진전략 개발(2/2차년도) (일반). 2011.01.01-2011.10.31. 김창길. 13 기본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구축 2011.01.01-2011.10.31 (협동) 연구(1/4차년도). 정민국. 14 수시 식품분야 소비자정책 추진방향 (이월) 15 수시 잡곡의 유통 실태 조사 분석 (이월). 2010.10.01-2011.02.28. 이계임. 2010.12.01-2011.04.30. 성명환. 순번.

(21) 13. 과제 과 제 명 성격 16 수시 유기가공식품의 소비실태분석 연구 (이월). 순번. 연구기간. 책임자. 2010.12.01-2011.01.31. 정학균. 17 수시 산지유통인의 법인화와 계약재배 참여방안 연구 (이월). 2010.12.01-2011.04.30. 전창곤. 18 수시 축산 방역체계 개선 방안. 2011.01.10-2011.05.30. 정민국. 19 수시 구제역 청정국 지위 유지 여부의 영향 분석. 2011.01.24-2011.03.23. 우병준. 20 수시 수입원재료 가격상승의 식품물가 파급영향과 대응 2011.03.21-2011.06.30 방향. 이용선. 21 수시 고추, 마늘의 도매시장 거래제도 개선 방안. 2011.04.01-2011.05.31. 최병옥. 22 수시 2011 수확기 쌀 수급안정 방안. 2011.09.01-2011.11.30. 박동규. 23 수시 친환경농식품의 소비실태와 시장전망. 2011.12.01-2012.02.29. 김창길. 24 특별 쌀 생산 및 소비량 통계 개선방안. 2011.06.01-2011.09.30. 박동규. 25 연구관 2010년도 식품수급표 련사업. 2011.07.01-2011.12.31. 황윤재. 26 용역 과채류(딸기) 수출증대를 위한 수출시장별 상품개발 2009.08.20-2011.01.19 (이월) 및 시장확대 전략(2/5차년도). 전창곤. 27 용역 토마토 수출단지의 조직화와 수출확대 방안 구축 2010.01.20-2011.01.19 (이월) (1/4차년도). 최병옥. 28 용역 한국배 신규시장 접근 전략 개발(1/4차년도) (이월). 2010.01.20-2011.01.19. 이용선. 29 용역 천안시 식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이월). 2010.04.14-2011.01.13. 국승용. 30 용역 통상여건 변화에 대비한 식량정책 보완방안 연구 (이월). 2010.07.22-2011.01.21. 박동규. 31 용역 수출전업농교육과 수출전문단지관리 매뉴얼 개발 2010.08.20-2011.01.19 (이월) 및 단지육성 핵심과제명:단감수출 전문단지육성 및 수출시장개 척(2/5차년도). 김경필.

(22) 14. 과제 과 제 명 성격 32 용역 국내 쌀 수급상의 감모량 통계 개선 방안 연구 (이월). 순번. 연구기간. 책임자. 2010.09.30-2011.02.28. 박동규. 33 용역 국·내외 식품산업 모니터링 (이월). 2010.10.08-2011.06.07. 이용선. 34 용역 파프리카 대표조직 발전 방안 연구 (이월). 2010.10.01-2011.04.30. 정은미. 35 용역 공정한 농산물 유통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이월). 2010.12.01-2011.02.28. 전창곤. 36 용역 지역단위 가축분뇨의 자원순환 모델 개발(2/3차년도) 세부①: 가축분뇨 이용 자원순환농업 연구사업의 경 제적 효과분석. 2011.1.1-2011.12.31. 정민국. 37 용역 지역단위 가축분뇨의 자원순환 모델 개발(2/3차년도) 세부②: 가축분뇨 자원 이용 우수사례조사 및 성공 요인 분석. 2011.1.1-2011.12.31. 우병준. 38 용역 지역단위 가축분뇨의 자원순환 모델 개발(2/3차년도) 세부③: 입지유형별 가축분뇨 자원 최적 배분 및 모 형 개발. 2011.1.1-2011.12.31. 이명기. 2011.01.13-2011.03.31. 김창길. 40 용역 과채류(딸기) 수출증대를 위한 수출시장별 상품개발 2011.01.20-2012.01.19 및 시장확대 전략(3/5차년도). 전창곤. 41 용역 (세부2)단감 수출농가 경영모델과 수출단지 운영 2011.01.20-2012.01.19 메뉴얼 개발 핵심과제명:단감수출 전문단지육성 및 수출시장개 척(3/5차년도). 김경필. 42 용역 인공광형 식물공장 경영모델 연구(1/3차년도). 2011.03.01-2011.12.31. 김연중. 43 용역 경상북도 제3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 수립 2011.03.16-2011.07.13 연구. 김창길. 39 용역 식물공장의 분자농업 산업화 가능성 연구.

(23) 15. 과제 과 제 명 성격 44 용역 경상북도 곤충산업 육성방안 연구. 연구기간. 책임자. 2011.03.16-2011.10.31. 박현태. 45 용역 비축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1.03.17-2011.06.16. 최병옥. 46 용역 부산 엄궁농산물도매시장 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 2011.03.28-2011.11.27. 전창곤. 47 용역 농산물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대응방안 연 2011.05.16-2011.12.15 구(2/2차년도). 이용선. 48 용역 농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타당성조사 및 학술연구 2011.04.13-2012.04.30 용역. 최병옥. 49 용역 기능성 콩식품 개발의 경제성 평가와 국내외 시장 2011.07.01-2011.12.19 분석 및 마케팅전략 수립(3/3차년도). 최지현. 50 용역 캄보디아 농산물가공사업 육성. 2011.06.27-2012.01.26. 장재봉. 51 용역 유기농특구조성 공동 연구. 2011.07.22-2012.01.17. 김창길. 52 용역 주요 품목별 경영 및 시장분석. 2011.08.01-2011.12.31. 김연중. 53 용역 구제역 발생 등 사회환경 변화와 소비트렌드 예측 2011.08.05-2011.11.15 을 통한 국내산 돼지고기(한돈) 시장 전망 및 중장 기 발전방안. 지인배. 54 용역 소비자 부류별 김치소비 실태조사. 2011.08.16-2011.12.15. 이용선. 55 용역 이로로 명품브랜드 활성화대책. 2011.08.24-2011.12.21. 전창곤. 56 용역 출하대금 정산회사 설립 및 출자 타당성 검토 용역 2011.09.08-2011.11.07. 황의식. 57 용역 경상북도 밭농업 소득보전지원제도 타당성 검토 연 2011.09.28-2012.02.24 구. 박동규. 58 용역 aT 해외조직망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용역. 2011.09.30-2011.12.29. 최지현. 59 용역 안양·군포·의왕 공동 급식지원센터 설립 타당성 및 2011.10.04-2012.03.27 운영방안 연구. 국승용. 순번.

(24) 16. 과제 과 제 명 성격 60 용역 로컬푸드 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연구기간. 책임자. 2011.10.05-2012.02.01. 정은미. 61 용역 식품산업 동향분석 및 전망 연구용역. 2011.10.26-2012.05.25. 이용선. 62 용역 신지식재산 분야 조사 및 성과분석. 2011.11.04-2012.02.28. 성명환. 63 정책 떫은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2010.03.01-2011.02.28 (이월) 연구(제2세부과제) 총괄과제명: 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 구(2/3차년도). 김경필. 64 정책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시스템 구축방안 2010.10.19-2011.02.18 (이월) 연구. 정은미. 65 정책 떫은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2011.03.01-2012.02.29 연구(제2세부과제) 총괄과제명: 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 구(3/3차년도). 김경필. 66 정책 농업기계 관리제도 도입을 통한 효율적 운영방안 2011.04.11-2011.07.30 연구. 박기환. 67 정책 농업환경지표를 활용한 농업환경자원관리시스템 2011.04.14-2011.10.13 구축. 김창길. 68 정책 축산업 선진화 방안 연구. 2011.05.16-2011.09.15. 정민국. 69 정책 한·일 한·중 FTA 대비 지리적표시 보호를 위한 대 2011.05.20-2011.12.09 응방안 연구. 성명환. 70 정책 농식품 이력관리시스템 확대 및 활성화 방안연구. 2011.05.26-2011.11.25. 이계임. 71 정책 수입 GMO 농산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1.06.02-2011.12.01. 황윤재. 72 정책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림수산식품산업 전략 수립 2011.06.10-2011.11.08 연구. 김창길. 73 정책 유기식품 인증제도 동등성 관련 영향분석. 2011.08.30-2011.10.28. 김창길. 74 정책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사업군 심층평가. 2011.10.14-2012.04.13. 황의식. 순번.

(25) 17. 4. 농업농촌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 과제 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 기본 농업구조정책의 평가와 방향정립에 관한 연구. 2011.01.01-2011.10.31. 박석두. 2. 기본 농업부문 조세체계와 개선 과제. 2011.01.01-2011.10.31. 김미복. 3. 기본 농지의 총량관리에 관한 연구. 2011.01.01-2011.10.31. 채광석. 4. 기본 농촌 문화산업의 실태와 육성 방안. 2011.01.01-2011.10.31. 김광선. 5. 기본 지방자치단체의 농업부문 투융자 실태와 정책과제 2011.01.01-2011.10.31. 박준기. 6. 기본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2011.01.01-2011.10.31. 박대식. 7. 기본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지리적표시제도의 운영 2011.01.01-2011.10.31 실태와 발전방안. 이동필. 8. 기본 농촌지역 활성화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 2011.01.01-2011.10.31. 김정섭. 9. 기본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 2011.01.01-2011.10.31 (일반) 업 육성방안 연구(2/2차년도). 이규천. 10 기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1/3차년도) (일반). 2011.01.01-2011.10.31. 김태곤. 11 기본 지역경제모형(KREI-REMO)에 기초한 농촌지역 의 2011.01.01-2011.10.31 (일반) 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박시현. 12 기본 식량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농업 개발과 자원 2011.01.01-2011.10.31 (일반) 확보 방안(3/3차년도). 김용택. 13 수시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생활권 종합진단지표 2010.11.01-2011.01.31 (이월) 개발과 활용. 송미령. 14 수시 농업보조금 개편방안 연구 (이월). 2010.12.01-2011.01.31. 박성재. 15 수시 논농업 활성화를 위한 쌀 사료화 방안 (이월). 2010.12.01-2011.02.28. 김태곤.

(26) 18. 순번. 과제 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16 수시 포괄보조금 제도 운영의 실태와 개선 방향. 2011.03.16-2011.06.15. 송미령. 17 수시 미국의 작물수입보험 실태와 시사점. 2011.05.16-2011.10.31. 최경환. 18 수시 도시민의 농어촌 정주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2011.08.24-2011.11.24. 성주인. 19 특별 성공적인 협동조합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이월). 2010.12.01-2011.04.30. 박성재. 20 특별 농어촌형 지역경제 및 산업기상도 구축을 위한 지 2010.12.01-2011.03.31 (이월) 표 발굴. 김용렬. 21 특별 주류제도의 변천과 전통주산업 (이월). 2010.12.01-2012.06.30. 이동필. 22 특별 농지처분명령 운용실태와 개선과제. 2011.07.18-2011.12.30. 김수석. 23 용역 귀농·귀촌인 유치를 통한 영천시 인구증대 방안 (이월). 2010.03.30-2011.02.28. 박시현. 24 용역 상주시 농생명산업 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이월). 2010.05.18-2011.02.11. 박문호. 25 용역 산채식품 클러스터 조성방안 연구 (이월). 2010.06.07-2011.02.25. 박석두. 26 용역 농업·농촌 여건 변화 대비 농지은행 대응방안 (이월). 2010.08.18-2011.04.30. 김홍상. 27 용역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지원 실효성 확보방안 (이월). 2010.11.02-2011.01.31. 김용렬. 28 용역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적정 소요 연구 (이월). 2010.11.01-2011.11.30. 김정호. 29 용역 2013 천안국제웰빙식품엑스포 타당성 조사 (이월). 2010.11.09-2011.02.16. 최경환. 30 용역 농촌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2011.03.01-2011.12.31 생태계 구축방안. 김용렬.

(27) 19. 순번. 과제 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31 용역 농림수산식품분야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지원사업 2011.03.09-2011.08.09. 이동필. 32 용역 장수군 첨단시설원예단지조성 기본계획 용역. 2011.04.07-2011.10.06. 김정섭. 33 용역 캄보디아 농촌마을 소액금융지원 시범사업. 2011.04.08-2011.12.15. 김용택. 34 용역 농협 경제사업활성화 계획 수립. 2011.04.27-2011.07.31. 박성재. 35 용역 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협동조합 운영. 2011.05.01-2011.12.31. 박성재. 36 용역 2015 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 타당성 조사. 2011.05.25-2011.09.21. 김용렬. 37 용역 농업진흥지역 관리를 위한 주기적 정비체계 구축방 2011.07.12-2011.12.16 안 연구. 채광석. 38 용역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방안. 2011.08.17-2011.12.14. 김수석. 39 용역 1사 1촌 농촌사랑 연구. 2011.11.07-2012.01.06. 이규천. 40 용역 거점농업복합단지 조성 용역. 2011.11.29-2012.03.07. 김종선. 41 용역 귀농 귀촌 사회적 편익 분석 연구. 2011.11.29-2012.01.31. 김경덕. 42 정책 농업부문 중장기 재정투자 방향 설정 연구 (이월). 2010.12.28-2011.06.27. 박준기. 43 정책 농림수산식품부 인력육성정책 진단과 발전방안 마 2010.12.30-2011.04.29 (이월) 련을 위한 연구. 마상진. 44 정책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 평가 등 업무위탁 2011.03.31-2011.12.29. 김광선. 45 정책 선진국 소득안정제의 최근 동향과 농가소득안정직 2011.04.15-2011.12.14 불제의 쟁점 분석. 김태곤. 46 정책 농어업인 건강보험 및 국민연금 수혜실태와 정책개 2011.05.17-2011.11.15 선 방안 연구. 박대식. 47 정책 농어촌지역개발계획 수립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1.05.18-2011.12.16. 성주인. 48 정책 구제역 발생 확산원인 및 재발방지 방안. 2011.06.01-2011.10.31. 김정호. 49 정책 선진 농업금융 사례분석. 2011.09.19-2011.12.26. 박준기.

(28) 20. 순번. 과제 성격. 과 제 명. 연구기간. 책임자. 50 정책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농어촌 대응방안 연구. 2011.09.26-2011.12.20. 박대식. 51 정책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1.10.07-2011.12.06. 김태곤.

(29) 21. 5. 농업관측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 1 2 3 4 5 6 7 8 9 10. 과제 과 제 명 성격 연구관 농업전망 2011 련사업 연구관 농업·농촌경제동향 련사업 연구관 농업관측월보 엽근채소 련사업 연구관 농업관측월보 양념채소 련사업 연구관 농업관측월보 과일 련사업 연구관 농업관측월보 과채 련사업 연구관 농업관측월보 축산 련사업 연구관 농업관측월보 곡물 련사업 연구관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1 운용·개발 련사업 연구 수시 기상요인을 고려한 단수예측모형 개발 연구. 연구기간. 책임자. 2011.01.01-2011.12.31. 김명환. 2011.01.01-2011.12.31. 한재환. 2011.01.01-2011.12.31. 서대석. 2011.01.01-2011.12.31. 김성우. 2011.01.01-2011.12.31. 정호근. 2011.01.01-2011.12.31. 정호근. 2011.01.01-2011.12.31. 허덕. 2011.01.01-2011.12.31. 한석호. 2011.01.01-2011.12.31. 한석호. 2011.07.20-2011.12.31. 한석호.

(30) 22. 6. 글로벌협력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 1. 과제 과 제 명 연구기간 성격 기본 북한의 농업법제 고찰 - 농업조직 및 농지관리를 중 2011.01.01-2011.10.31 심으로. 책임자. 김영훈. 2. 기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 2011.01.01-2011.10.31 (일반) -한·중 FTA대비 양국간 농산물 교역구조 변화 전망. 전형진. 3. 기본 농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2/2차년도) (협동). 어명근. 4. 수시 중점협력국 농업분야 현황 기초조사 -6개국을 대상 2011.02.14-2011.04.30 으로-. 허장. 5. 수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사례와 논의 동향 분 2011.03.01-2011.07.31 석. 최세균. 2011.01.01-2011.10.31. 6 연구관 KREI-북한농업동향 련사업. 2011.01.01-2011.12.31. 김영훈. 7 연구관 중국농업동향 련사업. 2011.01.01-2011.12.31. 전형진. 8. 용역 한·중 FTA 농림업분야 파급효과 심층분석 (이월). 2010.11.17-2011.01.30. 어명근. 9. 용역 중국 농업의 지역별·품목별 성장 특성 및 시사점 (이월). 2010.12.21-2011.07.31. 전형진. 10 용역 한·중 FTA 농림업분야 파급효과 심층분석(2차년도) 2011.03.23-2011.10.10. 어명근. 11 용역 에콰도르 농업 및 농촌개발 정책. 2011.03.24-2011.04.09. 이대섭. 12 용역 국별협력전략(CPS) 수립 및 국제농업협력사업 평가 2011.04.08-2011.12.15. 이대섭. 13 용역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업부문 남북협력 2011.06.01-2011.10.31 방안 연구. 김영훈. 14 용역 나이지리아 농촌지역 지도자 양성과정 연수위탁 2011.10.13-2011.10.27 계약. 이대섭.

(31) 23. 과제 과 제 명 성격 15 정책 DDA 농업협상 중간점검 (이월). 순번. 연구기간. 책임자. 2010.12.22-2011.04.21. 문한필. 16 정책 동독지역 농업재편과정 분석과 남북한 농업통합 대 2011.03.31-2011.12.30 책 연구(2) -남북한 경제통합 후 농업부문 대책-. 김영훈. 17 정책 OECD 농업·농촌 수산분야 핵심의제 분석 및 시 2011.05.18-2011.12.16 사점. 최세균. 18 정책 한-호주 FTA 주요 농산물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2011.05.24-2011.08.23 연구. 문한필. 19 정책 농림수산 분야 발전경험 및 기술을 활용한 국제협 2011.06.03-2011.12.02 력 모델 개발. 허장. 20 정책 한·인도네시아 FTA 농수산물 영향분석 및 대응방 2011.08.25-2011.12.23 안 연구. 문한필. 21 정책 한·중 FTA 대비 품목별 전문가 회의. 2011.10.11-2012.06.12. 최세균. 22 정책 한·중 농업부문 경쟁력 심층분석. 2011.11.10-2012.01.31. 문한필.

(32) 24. 7. 산림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순번. 과제 과 제 명 성격 기본 기후변화에 대응한 목재수급 정책과제. 연구기간. 책임자. 2011.01.01-2011.10.31. 민경택. 2010.02.25-2011.12.31. 석현덕. 2011.01.01-2011.12.31. 민경택. 정책 떫은감 수출유망시장 발굴 및 시장개척 연구(제3세 2010.03.01-2011.02.28 (이월) 부과제) ․총괄과제명: 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구(2/3차년도) 5 정책 통상협상 기초자료(DB) 구축 및 한중일 FTA 영향 2011.01.01-2011.12.31 분석 6 정책 수출형 임산물 공동브랜드 관리를 위한 품질 관리 2011.01.01-2011.12.31 방안. 석현덕. 7. 석현덕. 1 2. 용역 평창 Forestopia 산림산업 특구계획 수립 (이월) 3 용역 2011년 임업관측사업 4. 정책 떫은감 수출유망시장 발굴 및 시장개척 연구(제3세 2011.03.01-2012.02.29 부과제) ․총괄과제명: 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구(3/3차년도). 장철수 석현덕.

(33) 25. 8. 미래정책연구 < 연구사업 내역 > 과제 과 제 명 연구기간 성격 1 연구관 세계농업정보 2011.01.01-2011.12.31 련사업 2 용역 한·중 FTA 추진에 따른 제주감귤산업 대응방안 연 2010.11.01-2011.07.31 (이월) 구 3 용역 가락시장 시설현대화 2단계사업 설계과제 2011.08.19-2012.01.15. 순번. 4. 정책 농림수산 서비스산업 발전방안 연구. 2011.04.07-2011.11.07. 책임자. 이병훈 김병률 김병률 김병률.

(34) 26. 9. 기획조정실 < 연구사업 내역 > 순번. 1. 과제 과 제 명 성격 특별 농업생산기반 정리사업. 2 연구관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운영 사업 련사업 3 연구관 동아시아 농업사 국제학술대회 운영 사업 련사업 4 연구관 농업·농촌에 대한 2011년도 국민의식조사 련사업 5 용역 새만금 농업용지 수요분석 및 토지이용연구(1/2차 년도). 연구기간. 책임자. 2011.05.01-2011.07.31. 김태훈. 2011.01.01-2011.12.31 연구조정· 평가팀장 2011.01.01-2011.12.31 연구조정· 평가팀장 2011.01.01-2011.12.31 김동원 2011.11.11-2011.12.20. 김홍상.

(35) 27. Ⅲ. 정책지원 및 기타 활동 1. 현 황 구 분 ◦ 정책지원연구 -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작업반 참여 -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자문활동 및 위원회 - 현안과제에 대한 자료검토 및 작성. 건 수 8 36 30. ◦협 의 회. 588. ◦자문회의. 283. ◦토 론 회. 23. ◦ 정책워크숍. 21. ◦ 정책연구협의회. 2 합. 계. 991. 2. 정책지원연구 2-1.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작업반 참여 1) 기획재정부 구제역 TF 2) 기획재정부 거시경제 TF 3) 농림수산식품부 낙농제도개선 TF 4) 농림수산식품부 농산물 소매유통 효율화 T/F 5) 농림수산식품부 양념채소 생산기반 유지대책 수립 T/F 6) 농림수산식품부 온실가스 목표관리 공동작업반 7) 농림수산식품부 조사료 대책수립 TF.

(36) 28. 8) 농림수산식품부 FTA 국내보완대책 TF. 2-2. 정책현안 해결을 위한 자문활동 및 위원회 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심의회 2)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리적표시등록심의회 3) 국무총리실 핵심과제평가 전문위원회 4) 국토해양부 토지이용규제심의위원회 5) 국토해양부 친수구역조성위원회 6) 기획재정부 물가대책회의 7)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위원회 전문위원회 8) 기획재정부 경제정책조정회의 9) 농림부.농식품부 수출선도조직 운영위원회 10) 농림수산식품부 향토산업 육성사업 현장 평가회 11) 농림수산식품부 친환경농업대상 선정 심의위원회 12)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재해보험심의회 13) 농림수산식품부 물가관련 민관협의회 14)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민 농촌유치지원사업 평가위원회 15) 농림수산식품부 기후변화 대응 실무위원회 16) 농림수산식품부 글로벌 농수산협력추진위원회 17) 농림수산식품부 규제심사위원회 18) 농림수산식품부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설립 준비위원회 19)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마늘연구회 20) 농림수산식품부 기록물평가심의회 21)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실무위원회 22) 농림수산식품부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우선지원대상 심의회 23) 농림수산식품부 자체평가위원회.

(37) 29. 24)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사업 결과평가위원회 25) 산림청 중앙산지관리위원회 26) 지식경제부 지역특구 성과평가 관련 실무평가위원회 27)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28) 통일부 북한정세지수 자문 29) 행정안전부 규제개혁위원회 30)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31) 국가지식재산위원회 32) 국민권익위원회 33) 녹색성장위원회 34) 미래기획위원회 35)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36) 지역발전위원회 * 위원회 참석은 분과회의 등 세부회의가 많아 1건으로 처리. 2-3. 현안과제에 대한 자료검토 및 작성 1) 지역발전위원회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자료 작성 2) 농림수산식품부 가공식품 가격의 불안요인과 전망 자료 작성 3) 농림수산식품부 과채(애호박) 요청자료 작성 4) 농림수산식품부 구제역 관련 돼지고기 가격 전망 자료 작성 5) 농림수산식품부 국별협력전략 초안 검토 및 의견서 작성 6) 농림수산식품부 ODA 사업․기술 목록 작성 7) 농림수산식품부 긴급할당관세 관련 자료 작성 8)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분야 ODA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에 대한 정책자문 자료작성.

(38) 30. 9)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업지원체계개편방안 관련 자문자료 작성 10)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촌 정주여건 분석 작업 실시 11) 농림수산식품부 돼지 수급 동향 및 전망 관련 자료 작성 12) 농림수산식품부 매트리스기법과 산업정책 결정에의 응용에 관한 자문자료 작성 13) 농림수산식품부 물가관련 정책자료 작성 14) 농림수산식품부 북한의 식량수급상황 자료 작성 15) 농림수산식품부 시범관측품목에 관한 검토의견 작성 16) 농림수산식품부 식생활정책 관련 자료 작성 17)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 원료소비조사 개선안 자료작성 18)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안) 검토의견 작성 19) 농림수산식품부 원유가격 인상의 가공식품 원가에 대한 영향 추정 자료 작성 20) 농림수산식품부 의무자조금제도 도입의 비용편익 추정 자료 작성 21) 농림수산식품부 제7차 농업기계화 기본계획(안) 작성 22) 농림수산식품부 축산계열화사업에 관한 법률 제정안 검토의견 작성 23) 농림수산식품부 해외농어업 자원개발 및 국제협력 강화 성과보고서 작성 24) 김효석의원실 농협법 이후 대응과제 작성 25) 기획재정부 물가안정 대책회의 자료 작성 26) 기획재정부 북한의 식량상황 관련 자료 작성 27) 기획재정부 FTA 국내대책(농가경영안정분야) 보완사항 자료 작성 28) 국무총리실 서민물가 대책 평가서 작성 29) 국무총리실 농식품 물가정책에 대한 보고자료 작성 30) 공정거래위원회 수입과일 관련 자료 작성.

참조

관련 문서

무단 전재하거나

한-태국 농산물 교역 동향과 관련 정책 변화. Sitanon Jesdapipat

2)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은 전체 수출액에서 원산지 증명서가 첨부된 수출액을 기준으로 산출함.. 2)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은 전체 수출액에서

◦영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전체 FTA 체결국에 대한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 등의 시장정보 수집 강화, 국내 농업부문 경쟁력 강화 및 차별화 지원 사업, 농축산물 수출

[r]

◦우리나라 전체 농축산물 교역이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사드(THAAD) 갈등으로 중국과의 교역

FTA 이행에 따른 국내 농축산물의 파급 영향은 이행 초기에는 관세감축률 이 작아 영향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품목과 규모가 확 대될

이 연구에서는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 활성화를 위해 농업부문 데이 터의 전주기 활용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활용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