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토질역학 I (Intro_흙분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토질역학 I (Intro_흙분류)"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Soil Composition

v

흙의 구성

§ 자연발생적 흙 → 흙 입자(광물의 입자), 물, 공기 § 3상 체계(Three phase system)

(2)

Geotechnical Engineering

2. Weight~Volume Relationships

§ 간극비(Void ratio) : § 간극률(Porosity) : § 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

Chapter 3

v s

V

e=

V

v

V

n=

100(%)

V

´

w v

V

S=

100(%)

V

´

(3)

2. Weight~Volume Relationships

v

간극비와 간극률의 관계

v v v v s v

V

V

V

V

n

e=

=

=

=

V

V

V-V

1-

1-n

V

e

n=

100(%)

1+e

´

(4)

Geotechnical Engineering

2. Weight~Volume Relationships

§ 함수비(Moisture content) : § 단위중량(Unit weight) : w s W ω= (100%) W ´

Chapter 3

W

γ=

V

w s s s w s

W

W 1+

W

W +W

W (1+ω)

W

γ=

=

=

=

V

V

V

V

é

æ

ö

ù

ê

ç

÷

ú

è

ø

ë

û

- 습윤단위중량(moist unit weight)

- 건조단위중량(dry unit weight) s d

W

γ =

V

d

γ

γ =

1+ω

(5)

2.1 Relationship among unit weight, void ratio,

moisture content and specific gravity

v s V e= V s

V =1

(If volume of soil particles is 1, then volume of

void is void ratio)

s s w s s w s w W W V G = = V γ V W æ × ö ç ÷ × è × ø w w s s s s W V = V G =ω G W \ × × × s s s w s w W =G V γ =G γ× × × w s W ω= W w s s w W =ω W =ω G γ× × × s w s w s w s w W +W G γ +ω G γ (1+ω) G γ W γ= = = = V V 1+e 1+e × × × ×

(6)

Geotechnical Engineering

2.1 Relationship among unit weight, void ratio,

moisture content and specific gravity

s w d G γ e= -1 γ × s s w d W G γ γ = = V 1+e ×

Chapter 3

w s v V ω G S= = V e × s

S e=ω G

×

×

(7)

2.1 Relationship among unit weight, void ratio,

moisture content and specific gravity

s w sat s w w s w W +W W γ = = V V G γ +e γ = 1+e (G +e)γ = 1+e × × s

e=ω G

×

완전포화 : 포화도 100% s w s w sub sat w w (G +e) γ (G -1) γ γ =γ -γ = -γ = 1+e 1+e × ×

(8)

Geotechnical Engineering

2.2 Relationship among unit weight, porosity

and moisture content

v

V

n=

V

V=1 s w s w

W +W

γ=

=G γ (1-n)(1+ω)

V

×

Chapter 3

(If total volume is 1, then volume of solid is 1-n)

s d s w W γ = =G γ (1-n) V × w s s w

W =ω W =ω G γ (1-n)

×

×

×

s s s w s w

W =G V γ =G γ

×

×

×

×

(1-n)

(9)

2.2 Relationship among unit weight, porosity

and moisture content

s w s w w sat s w

W +W

(1-n)G γ +n γ

W

γ =

=

=

V

V

1

=[(1-n)G +n]γ

×

×

완전포화 : 포화도 100% w w s w s s

W

n γ

n

ω=

=

=

W

(1-n)γ

G

(1-n)G

×

×

(10)

Geotechnical Engineering

3. Relative Density

max r max min

e

-e

D =

e

-e

Chapter 3

v

상대밀도

§ 조립토 또는 사질토 § 자연상태에서 조밀하거나 느슨한 정도

d(min) d d d(min) d(max) r d(max) d(min) d d(min) d(max) 1 1 -γ γ γ -γ γ D = = γ -γ γ 1 1 -γ γ é ù é ù ê ú ê ú é ù é ù ê ú ë û ë û ê ú ê ú é ù é ù êë ú ëû û ê ú ê ú ê ú ê ú ë û ë û

(11)

3. Relative Density

s d(min) m W γ = V § 최소 건조단위중량 : 낙하고 25.4mm, Φ12.7mm 직경의 대롱, 깔대기 몰드 부피 - 2830cm3 § 최대 건조단위중량 : 14 kN/m2 추 하중재하, 3600 cycle/min 주기 진폭 0.635mm, 8분간 진동

(12)

Geotechnical Engineering

4. Consistency of Soil

Chapter 3

v

흙의 연경도

§ 함수비에 따른 점성토의 성질의 변화를 나타냄 § 점토 입자 주위에 있는 흡착수에 기인함 § 애터버그 한계 (Atterberg limit)

(13)

4.1 Liquid Limit

v

액성한계

(LL ; Liquid Limit)

§ 흙이 액체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 § 타격횟수 25회 함수비 § 유동지수(flow index) 1 2 2 1 F ω -ω I = N log N æ ö ç ÷ è ø

(14)
(15)

점토질 실트의 액성한계 결정을 위한 유동곡선

1 2 2 1 F ω -ω I = N log N æ ö ç ÷ è ø

(16)

Geotechnical Engineering

4.2 Plasticity Limit

Chapter 3

v

소성한계

(PL ; Plasticity Limit)

§ 반고체 상태로부터 소성상태(변형가능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 § 소성(plasticity) : 균열이나 파괴없이 일정한 부피에서 원상회복되지 않는 변형을 일으키는 성질 § 직경 3.2mm로 말았을 때 부서지기 시작하는 함수비

§ 소성지수(PI ; Plasticity Index) :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

(17)

4.3 Shrinkage Limit

v

수축한계

(SL ; Shrinkage limit)

§ 고체상태와 반고체상태의 경계 § 더 이상의 체적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평형상태의 함수비 i

SL=ω -Δω

(18)

4.3 Shrinkage Limit & Ratio

v

수축한계시험 (수축비)

(a) 건조전 (b) 건조후  = 1 1  −  100 여기에서, SL은 수축한계

(19)

v

연경지수

(CI ; Consistency Index)

§ 1에 가까울수록 안정

§ 0에 가까울수록 예민

v

액성지수

(LI ; Liquid Index)

§ 0에 가까울수록 안정

§ 1에 가까울수록 예민

4.4 Relative Consistency of Cohesive Soil

ω-PL ω-PL LI= = LL-PL PI LL-ω LL-ω CI= = LL-PL PI

v

점성토의 상대적 연경도

§ 현재의 함수비 상태를 평가

(20)

Geotechnical Engineering

5. Activity

중량백분율 입자의 이하 ) mm 002 . 0 ( 2 PI A m =

Chapter 3

v

활성도

(Activity)

§ Skempton(1953) → 흙의 소성지수는 흙 속에 존재하는 점토함유율(%)[2μm 보다 가는 입자의 함유율]에 직선적으로 비례 § 점토의 팽창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 A<0.75 (inactive) 0.75<A<1.25 (normal) A>1.25(active)

(21)
(22)

Geotechnical Engineering

6. Plasticity Chart

Chapter 3

v

소성도

(Plasticity Chart)

§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관계 → Casagrande(1932) § 점성토의 특성(점토, 실트, 상한선)을 결정 (A-line, U-line)

(23)

7. Soil Structure

v

흙의 구조

§ 흙 입자들의 기하학적 배열상태

§ 흙 입자의 모양, 크기, 광물조성, 물의 양, 물의 성분 등이 영향을 미침 § 점성토와 사질토의 흙 구조는 상이함

(24)

Geotechnical Engineering

7.1 Structures in Cohesionless Soil

Chapter 3

v

사질토에서의 흙의 구조

§ 단립구조(Single grained structure) : 안정된 상태, 각각의 입자는 인력이나 점착력 없이 중력의 작용을 받아 서로 접촉

§ 벌집구조(Honeycombed structure) : 비교적 가는 모래나 실트가 연쇄적인 배열로 작은 고리를 이룸, 간극비가 상대적으로 큼,

(25)

7.2 Structures in Cohesive Soil

v

점성토에서의 흙의 구조

§ 점토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적 반력, 인력이 작용 § 양이온 및 점토입자의 전기력, Van der Waal`s force § 분산구조(Dispersed structure) : 입자간 반발력이 우세 § 면모구조(Flocculated structure) : 입자간 인력이 우세

§ 해상점토에는 염분이 존재하며 이는 이중층수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26)

Geotechnical Engineering

1. Classification of Soil

Chapter 4

v

흙의 분류법

(Soil Classification System)

§ 성질이 비슷한 여러 흙에 대하여 여러 군으로 분류, 배열 § 입도, 소성도, 흙 구조 등.... 매우 다양

§ 비균질, 복합 → 간결한 정의 필요

(27)

2. Textural Classification

v

입도에 의한 분류

(Textural Classfication)

§ 흙 입자의 크기에 의한 단순분류 § 공학적 이용에 부적합 § 소성도 등 점성토의 주요특성 무시 Grain size (mm)

Gravel Sand Silt Clay

MIT >2 2~0.06 0.06~0.002 <0.002

(28)

Geotechnical Engineering

3. Classification by Engineering Behavior

Chapter 4

v

공학적 분류

§ 입도분포 및 consistency 고려

§ AASHTO(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rotation Officials)분류법

§ 통일분류법(USCS ;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 주로 통일분류법이 이용됨

(29)

§ No.200체 이하 입자량에 의하여 좌우됨

§ 군(group)으로 분류하는데 직접적 이용하지 않음 § 도로 노상토 재료의 적부 판단 기준

§ 흙의 품질은 군지수와 반비례 § 규칙

3.1 AASHTO Classification System

GI=(F-35)[0.2+0.005(LL-40)]+0.01(F-15)(PI-10)

v

군지수

(GI ; Group Index)

§ 도로의 노상토 재료로 사용되는 흙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

- 음수 → GI=0, 정수로 표시, 상한성 없음

- A-1-a, A-1-b, A-2-4, A-2-5, A-3군 흙의 군지수는 항상 0

(30)

Geotechnical Engineering

3.1 AASHTO Classification System

Chapter 4

(31)

3.1 AASHTO Classification System

v

AASHTO 분류법

(32)

Geotechnical Engineering

3.2 USCS(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Chapter 4

v

통일분류법

(USCS)

§ Casagrande(1942)가 군사적 목적으로 미 육군 공병단을 위하여

개발

§ 이 후 미국 개척국(U.S. Bureau of Reclamation)과 함께 수정

1952년 완성 (ASTM 규정 D-2487) § 현재 공학자들에 의하여 널리 사용 토질재료 입도 컨시스턴시 G (Gravel) S (Sand) M (Silt) C (Clay)

O (Organic silt or Clay)

Pt (Peat and highly organic soil)

W (Well graded) P (Poor graded)

L(Low plasticity) H(High Plasiticy)

(33)
(34)

Geotechnical Engineering

3.2 USCS(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Chapter 4

(35)

3.2 USCS(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36)

Geotechnical Engineering

3.3 Comparison between the AASHTO and USCS

Chapter 4

v

AASHTO분류법과 통일분류법의 비교

§ 흙의 입도조성, 소성을 근거로 분류 § No.200체 통과량 기준 → 조립토와 세립토 구분 - AASHTO : 35%, 통일분류법 : 50% § 약 35%정도의 세립질 갖는 조립토는 세립토와 같은 거동 - 조립토 사이의 간극을 채울 수 있어 세립토가 조립토 분리 - 이 점에서 AASHTO분류법이 더 적절 § 모래, 자갈 분류

- AASHTO : No.10체, 통일분류법 : No.4체

- 흙 입자들을 분리하는 입경의 관점에서 No.10체가 모래의 상한선 크기로 인정됨.

§ 통일분류법 : 자갈질 흙과 모래질 흙이 명확히 구분 § 통일분류법이 흙의 성질을 잘 설명하며 직관적

참조

관련 문서

• Pathology.. 출처: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system for thyroid cancers using the TNM classification. Harrison 18 th Edition.. Postsurgical hypoparathyroidism.

pressure penstocks) pilot tunnels, drifts and headings for large excavation 1.6 Storage rooms, water treatment plants, minor road and railway tunnels, surge. chambers,

인도 및 유럽의 비교 언어학에 있어서 세계 최초의 탁월한 업적을 이루었으며 만년에는 언어 일반의 성질에 관해서 깊이 연구하여, 통시(通時)

– Applies to both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분류 : 일반적 two phases의 종류에 따라 명칭을 붙인다.. Classification of column chromatography methods.. solvent)

Then, body idioms by parts were classified by emotional types and &lt;Emotional Type Classification in Korean and Japanese&gt; was made.. Frequently used

• RAT는 Emergency Classification Assessment, Critical Safety Functions and Key Barriers, Release, Safety and Auxillary System Status, Situation Prognosis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자생식물 중에서 오래전부터 여러 가지 약리 효과로 인해 민간요법으로 사용하는 약제 중 하나인 바디나물( Angel i c dec ur s i va)

• 음식물 폐기물: collected by trucks  food waste